KR20130129099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9099A
KR20130129099A KR1020130048031A KR20130048031A KR20130129099A KR 20130129099 A KR20130129099 A KR 20130129099A KR 1020130048031 A KR1020130048031 A KR 1020130048031A KR 20130048031 A KR20130048031 A KR 20130048031A KR 20130129099 A KR20130129099 A KR 201301290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actuator
connection object
connector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8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4256B1 (ko
Inventor
요스케 혼다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29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9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4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4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93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at the end of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zero insertion force or no fri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소형이면서 시트 형상 또는 평판 형상의 접속 대상물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고, 또한 접속 대상물의 삽입 확인 및 고정(lock)을 실행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액추에이터(2)를 개방 위치에 위치시켜서 하우징(1)의 삽입부(11)의 상방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하우징(1)의 삽입부(11)에 접속 대상물(4)의 접속 단부(41)가 삽입되고, 액추에이터(2)는 하우징(1)의 확인 홈(15) 바로 위에 위치하는 부분이 노치되어 있으며, 확인 홈(15) 바로 위의 위치(Z)에서 확인 홈(15)을 통해 접속 대상물(4)의 접속 단부(41)의 선단 위치를 눈으로 볼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프피시(Flexible Printed Circuit: FPC), 에프에프시(Flexible Flat Cable: FFC) 등의 시트 형상 또는 평판 형상의 접속 대상물의 접속을 수행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근래 전자기기의 소형화 및 고밀도화에 따라, 이러한 종류의 커넥터에 있어서도 외형 사이즈의 축소가 요구되며, 커넥터를 구성하는 하우징 등의 부품으로서 두께가 얇은 것이 사용되고 있다. 이 때문에, 커넥터에 대한 접속 대상물의 삽입 동작에 시간이 걸리고, 또한 커넥터에 대하여 접속 대상물이 완전히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 작업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확인 작업에 적합한 커넥터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61)에 확인용 감시창(peep hole)(62)을 형성한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FPC 등의 접속 대상물(63)이 하우징(61)에 형성된 삽입구(64)에서 하우징(61) 내의 소정의 위치까지 삽입되면, 접속 대상물(63)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접점부(65)가 하우징(61) 내에 고정되어 있는 콘택트(66)에 정상적으로 접속하게 되는데, 이때 감시창(62)을 통해 하우징(61)의 상방에서, 접속 대상물(63)이 소정의 위치까지 삽입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이 커넥터에서는, 하우징(61)의 측부에 형성된 삽입구(64)에서 접속 대상물(63)을 삽입하지 않으면 안 되며, 커넥터의 외형 사이즈가 작아지면, 접속 대상물(63)의 삽입 동작이 곤란해진다. 또한, 커넥터에 대하여 접속 대상물(63)의 위치를 고정(lock)시키는 기구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접속 대상물(63)의 소정 위치까지의 삽입을 일단 확인하더라도, 그 후, 접속 대상물(63)에 응력(應力)이 가해지는 등에 의해 접속 대상물(63)의 위치가 어긋날 우려가 있었다.
이에 대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67)에 회전 조작이 가능하도록 액추에이터(68)를 설치하고, 액추에이터(68)를 하우징(67)에 대하여 90도 이상으로 열린 상태에서 액추에이터(68)보다 조금 전방 위치까지 FPC 또는 FFC 등의 접속 대상물(69)의 전단부를 삽입한 후, 액추에이터(68)를 닫음으로써 접속 대상물(69)을 기계적으로 지지하는 커넥터가 개발되었다.
이와 같은 액추에이터(68)를 갖는 커넥터에서는, 액추에이터(68)가 열린 상태에서 접속 대상물(69)이 삽입되므로, 커넥터가 소형화되더라도 용이하게 접속 대상물(69)의 삽입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나아가, 액추에이터(68)에 의해 접속 대상물(69)을 기계적으로 지지하여 접속 대상물(69)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접속 대상물(69)이 완전히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도 15에 도시한 커넥터와 같이 하우징(67)의 액추에이터(68) 부근에 감시창을 형성하더라도, 액추에이터(68)를 연 상태에서는, 액추에이터(68)가 하우징(67)에 대하여 90도 이상으로 경사져서 감시창 바로 위에 위치해버려서, 감시창을 통하여 하우징(67)의 상방에서 접속 대상물(69)의 삽입 확인을 할 수 없게 된다.
만일, 액추에이터(68)에도 감시창을 형성하여, 액추에이터(68)를 90도 이상으로 열었을 때, 하우징(67)의 감시창과 액추에이터(68)의 감시창, 이 양쪽을 통해 상방에서 접속 대상물(69)의 삽입을 확인하고자 한다면, 액추에이터(68)에 대하여 경사지게 감시창을 형성하지 않으면 안 되고, 금형의 구조상, 액추에이터(68)를 성형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또한 감시창이 존재하면, 금형 내에 있어서 성형용 수지가 흘러들어가기 어려워지고, 성형된 액추에이터(68)에 휨이 발생하기 쉬워지며, 나아가 강도도 저하되므로, 소형화가 곤란해진다.
여기서,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커넥터에서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70)과는 별도의 부품으로서, 수직 방향으로 감시창을 형성한 삽입 부재(71)를 준비하여 하우징(70)에 접속 대상물(72)을 삽입한 후, 하우징(70)에 삽입 부재(71)를 삽입함으로써, 접속 대상물(72)을 고정시키면서 접속 대상물(72)의 삽입 확인을 수행한다.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특허문헌 1: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10-214659호
특허문헌 2: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9-070577호
그러나 하우징(70)에 별도 부품인 삽입 부재(71)를 삽입하는 구조에서는, 소형화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없으며, 또한 도 15에 도시한 커넥터와 같이, 접속 대상물(72)의 삽입 부분의 상방이 하우징(70)으로 덮여있기 때문에, 접속 대상물(72)의 삽입 동작이 곤란해져 소형의 커넥터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소형이면서도 시트 형상 또는 평판 형상의 접속 대상물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고, 또한 접속 대상물의 삽입 확인 및 고정(lock)을 실행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액추에이터를 회전 조작할 수 있음으로써, 하우징에 접속 대상물을 기계적으로 지지하여 접속 대상물의 접점부를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하우징은, 접속 대상물의 접속 단부를 삽입하기 위한 상방이 개방된 삽입부를 가지면서 그와 함께 삽입부에 삽입된 접속 대상물의 접속 단부의 선단 위치를 상방에서 눈으로 보기 위한 확인 홈을 가지며, 상기 액추에이터는, 삽입부의 상방을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 삽입부의 상방을 덮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회전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우징에 설치되며, 개방 위치에 위치할 때에 하우징의 확인 홈 바로 위에 위치하는 부분이 노치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은, 접속 대상물의 접속 단부 양단의 선단 위치를 눈으로 보기 위한 한 쌍의 확인 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액추에이터의 노치된 부분은, 액추에이터가 개방 위치에 위치할 때에 삽입부의 바닥면에 대하여 거의 수직이 되는 표면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액추에이터가 하우징의 삽입부의 상방을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 삽입부의 상방을 덮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회전 조작이 가능하게 하우징에 설치되며, 개방 위치에 위치할 때에 하우징의 확인 홈 바로 위에 위치하는 부분이 노치되어 있으므로, 소형이면서도 시트 형상 또는 평판 형상의 접속 대상물을 용이하게 삽입하는 것이 가능함과 아울러, 접속 대상물의 삽입 확인 및 고정(lock)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1d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커넥터를 비스듬한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e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커넥터를 비스듬한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b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b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4a는 실시예 1에 따른 커넥터에 사용된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4b는 실시예 1에 따른 커넥터에 사용된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4c는 실시예 1에 따른 커넥터에 사용된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5a는 실시예 1에 따른 커넥터에 사용된 액추에이터의 평면도이다.
도 5b는 실시예 1에 따른 커넥터에 사용된 액추에이터의 정면도이다.
도 5c는 실시예 1에 따른 커넥터에 사용된 액추에이터의 측면도이다.
도 5d는 실시예 1에 따른 커넥터에 사용된 액추에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6a는 접속 대상물이 삽입된 실시예 1에 따른 커넥터의 록(lock)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b는 접속 대상물이 삽입된 실시예 1에 따른 커넥터의 록(lock)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c는 접속 대상물이 삽입된 실시예 1에 따른 커넥터의 록(lock)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b의 C-C선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b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9는 접속 대상물이 삽입된 실시예 1에 따른 커넥터의 록(lock)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이다.
도 10a는 접속 대상물이 삽입된 실시예 1에 따른 커넥터의 록(lock)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b는 접속 대상물이 삽입된 실시예 1에 따른 커넥터의 록(lock)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c는 접속 대상물이 삽입된 실시예 1에 따른 커넥터의 록(lock)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b의 E-E선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b의 F-F선 단면도이다.
도 13은 접속 대상물이 삽입된 실시예 1에 따른 커넥터의 록(lock)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이다.
도 14는 실시예 2에 다른 커넥터에 있어서 액추에이터를 개방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종래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종래의 다른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종래의 또 다른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첨부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e는 실시예 1에 따른 커넥터(connector)의 구성을 나타낸다. 이 커넥터는 FPC 및 FFC 등의 시트 형상 또는 평판 형상의 접속 대상물의 접속을 수행하는 소형 커넥터이며, 높이 1 내지 2mm 정도의 하우징(housing)(1)과, 하우징(1)에 회전 조작이 가능하게 설치된 액추에이터(actuator)(2)와, 하우징(1)에 고정된 복수의 콘택트(contact)(3)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은 접속 대상물의 접속 단부를 삽입하기 위한 상방이 개방된 삽입부(11)를 가지고 있으며, 액추에이터(2)는 하우징(1)의 삽입부(11)의 상방을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 삽입부(11)의 상방을 덮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양측 단부에 각각 돌출되어 형성된 축부(21)를 통해 하우징(1)에 설치되어 있다. 도 1a 내지 도 1e에 있어서는, 액추에이터(2)가 개방 위치에 위치한 상태, 즉, 하우징(1)의 삽입부(11)의 상방을 개방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액추에이터(2)를 폐쇄 위치로 회전시켜서 하우징(1)의 삽입부(11)의 상방을 액추에이터(2)로 덮으면, 하우징(1)과 액추에이터(2)는 함께 거의 직방체 형상의 외형을 갖는다.
하우징(1)에는, 각각 정면측에서 배면측까지 관통하는 서로 평행한 복수의 슬릿(12)이 형성되며, 이들 복수의 슬릿(12)에 각각 대응하는 콘택트(3)가 압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액추에이터(2)에는, 액추에이터(2)의 회전축에 수직이며 회전축 근방에 복수의 슬릿(22)이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택트(3)는 평판 부재로 형성되며, 하우징(1)의 대응하는 슬릿(12) 내에 압입되는 하우징 고정부(31)와, 하우징 고정부(31)의 바로 앞쪽, 즉 정면측에 접속된 소리굽쇠 형상부(32)와, 하우징 고정부(31)의 배면측에 접속된 기판 설치부(33)를 가지고 있다. 소리굽쇠 형상부(32)의 일단은, 하우징 고정부(31)에서 하우징(1) 삽입부(11)의 바닥면(13)을 따라 액추에이터(2)의 회전축 바로 아래까지 연장되어 하우징(1)의 삽입부(11)의 바닥면(13)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접점부(34)를 형성하고, 타단은, 접점부(34)에 대향하도록 연장되어 액추에이터(2)의 슬릿(22) 내에 형성된 봉 형상부(23)에 걸리는 결합부(35)를 형성하고 있다. 기판 설치부(33)는 하우징(1)의 배부(背部)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 삽입부(11)의 내부에는, 삽입부(11)의 바닥면(13)에 대하여 직각으로 수직 설치된 맞닿음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맞닿음부(14)는, 하우징(1)의 삽입부(11)에 접속 대상물의 접속 단부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접속 대상물의 접속 단부의 선단 가장자리가 맞닿음으로써 상기 접속 대상물의 삽입 위치를 규정하기 위한 것이다.
게다가, 액추에이터(2)의 서로 인접하는 슬릿(22) 사이이면서 또한 액추에이터(2)의 회전축에 근접한 단부에는, 캠 구조의 누름부(24)가 형성되어 있다. 누름부(24)는, 도 2와 같이 액추에이터(2)가 개방 위치에 위치할 때에는, 하우징(1)의 삽입부(11) 바닥면(13)과의 사이에 접속 대상물의 접속 단부의 이동을 허용하는 데에 충분한 간격을 형성하며, 액추에이터(2)가 폐쇄 위치에 위치하면, 하우징(1)의 삽입부(11)의 바닥면(13)과의 사이에 접속 대상물의 접속 단부를 눌러서 사이에 끼우는 것과 같은 간격을 형성한다.
또한, 액추에이터(2)가 개방 위치에 위치했을 때에는, 액추에이터(2)는 하우징(1)에 대하여 직각 이상,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하는 각도 θ=115 내지 120도로 경사진 상태가 되며, 안정적으로 개방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2)의 양측 단부 부근에 있어서는, 하우징(1)에 슬릿(12)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그 대신 상방에서 삽입부(11)의 바닥면(13)을 눈으로 볼 수 있도록, 하우징(1)에 확인 홈(15)이 형성되어 있다. 확인 홈(15)은, 삽입부(11)의 내부 양단에서 각각 맞닿음부(14)와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삽입부(11)의 바닥면(13)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게다가, 액추에이터(2)는 도 3과 같이 개방 위치에 위치할 때에 하우징(1)의 확인 홈(15) 바로 위에 위치하는 부분이 노치(notch)되어 있으며, 삽입부(11)의 바닥면(13)에 대하여 거의 수직이 되는 표면(25)을 가지고 있다. 이에 의해, 액추에이터(2)가 개방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수직 홈(15) 바로 위에 존재하는 부재는 하나도 없으며, 확인 홈(15) 바로 위의 위치(Z)에서 확인 홈(15)을 통해, 삽입부(11) 내부의 바닥면(13)을 눈으로 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액추에이터(2)의 양측 단부에는, 표면(25)과는 반대측의 액추에이터(2)의 면, 즉, 액추에이터(2)를 폐쇄 위치에 위치시켰을 때에 하우징(1)의 삽입부(11)에 대향하는 면에 볼록부(26)가 형성되며, 하우징(1)의 삽입부(11)의 바닥면(13)에 액추에이터(2)의 볼록부(26)에 대향하는 오목부(16)가 형성되어 있다.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의 양측단에 각각 측벽부(17)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들 측벽부(17) 사이에 접속 대상물의 폭보다 조금 넓은 폭(W1)의 삽입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부(11) 내부에는, 각 복수의 슬릿(12) 사이에 형성된 맞닿음부(14)가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면서 삽입부(11)의 전폭에 걸쳐서 연결되어 있으며, 삽입부(11)의 양측단에 있어서 각각 확인 홈(15)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측벽부(17)에는, 액추에이터(2)의 대응하는 축부(21)를 수용하는 축 수용부(18)가 형성되어 있다.
도 5a 내지 도 5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2)는 하우징(1)의 삽입부(11)의 폭(W1)보다 조금 작은 폭(W2)을 가지며, 쌍방의 축부(21)를 각각 하우징(1)의 대응하는 축 수용부(18)에 삽입함으로써, 하우징(1)의 삽입부(11)의 상방을 개폐하도록 회전 조작이 가능하게 하우징(1)에 설치된다.
액추에이터(2)가 개방 위치에 위치할 때에 하우징(1) 삽입부(11)의 바닥면(13)에 대하여 거의 수직이 되는 표면(25)은 액추에이터(2)의 양측단에 각각 형성되며, 액추에이터(2)의 중앙부의 상면(27)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져 있다.
다음은, 이 실시예 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2)를 개방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하우징(1)의 삽입부(11)에 예를 들면, FPC로 형성되는 접속 대상물(4)의 접속 단부(41)를 삽입한다. 접속 대상물(4)은, 두께가 얇으며 가요성이 높은 절연기판(42)과, 절연기판(42)의 일단부 위에 부착된 보강판(43)을 가지고 있다. 보강판(43)도 어느 정도의 가요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 절연기판(42)과 보강판(43)이 서로 맞붙어서 접속 대상물(4)의 접속단부(41)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접속 대상물(4)의 양측단에는, 접속 대상물(4)의 접속 단부(41)가 하우징(1)의 삽입부(11) 내부까지 충분히 삽입되었을 때, 하우징(1)의 오목부(16) 위에 위치하는 부분이 각각 노치된 노치부(44)가 형성되어 있다.
액추에이터(2)가 개방 위치에 위치했을 때에는, 액추에이터(2)의 캠 구조의 누름부(24)와 하우징(1)의 삽입부(11)의 바닥면(13) 사이에 접속 대상물(4)의 접속 단부(41)의 이동을 허용하는 만큼의 간격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간격을 통해 접속 대상물(4)의 접속 단부(41)의 선단이 하우징(1)의 맞닿음부(14)에 접촉할 때까지, 접속 대상물(4)의 접속 단부(41)를 하우징(1)의 삽입부(11)에 삽입할 수 있다. 이 때, 액추에이터(2)가 개방 위치에 위치함으로써, 하우징(1)의 삽입부(11)의 상방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커넥터의 사이즈가 작아도 접속 대상물(4)의 접속 단부(41)의 양측부를 하우징(1)의 한 쌍의 측벽부(17)의 내면을 따르게 함으로써, 용이하게 접속 대상물(4)의 삽입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접속 대상물(4)의 접속 단부(41)의 선단이 하우징(1) 삽입부(11)의 내부까지 삽입되었을 때의 콘택트(3)의 배치 위치에 있어서의 커넥터의 단면을 도 7에 도시한다. 접속 대상물(4)의 접속 단부(41)의 하면, 즉 절연 기판(42)의 하면에 접점부(45)가 형성되어 있으며, 접속 대상물(4)의 접속 단부(41)의 선단이 하우징(1)의 맞닿음부(14)에 접촉하면, 접속 대상물(4)의 접점부(45)가 대응하는 콘택트(3)의 접점부(34) 바로 위에 위치하게 된다. 단, 이들 접속 대상물(4)의 접점부(45)와 콘택트(3)의 접점부(34)를 서로 가압하는 힘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양자간의 전기적 접속은 아직 확립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때,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의 맞닿음부(14)와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고 있는 확인 홈(15)에도 접속 대상물(4)의 접속 단부(41)의 선단이 접촉하고, 또한 확인 홈(15) 바로 위에 위치하는 부분의 액추에이터(2)가 노치되어, 확인 홈(15) 바로 위에 존재하는 부재는 하나도 없다. 이 때문에, 확인 홈(15) 바로 위의 위치(Z)에서 확인 홈(15)을 통해 삽입부(11)의 내부를 들여다보면,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확인 홈(15) 안으로 접속 대상물(4)의 접속 단부(41)의 선단 위치(46)를 눈으로 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접속 대상물(4)의 접속 단부(41) 양단의 선단 위치(46)를 각각 대응하는 확인 홈(15)을 통하여 눈으로 볼 수 있음으로써, 접속 대상물(4)의 삽입 확인을 실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접속 대상물(4)이 소정의 위치까지 삽입된 것을 확인한 후, 액추에이터(2)를 축부(21) 둘레로 회전시켜서, 도 10a 내지 도 10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2)를 폐쇄 위치에 위치시킨다. 액추에이터(2)가 하우징(1)의 삽입부(11)의 상방을 덮어, 커넥터는 높이 1 내지 2mm 정도의 거의 직방체 형상의 외형이 된다. 하우징(1)의 양측단 부근에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확인 홈(15)은 외부에 노출된 상태이다.
이때,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2)의 캠 구조의 누름부(24)와 하우징(1) 삽입부(11)의 바닥면(13) 사이의 간격이 좁아져, 하우징(1)의 삽입부(11)에 삽입된 접속 대상물(4)의 접속 단부(41)가 액추에이터(2)에 의해 삽입부(11)의 바닥면(13)을 향해 가압되고, 이에 의해, 접속 대상물(4)의 접속 단부(41)의 하면에 형성된 접점부(45)와 콘택트(3)의 접점부(34) 사이의 전기적 접속이 확립된다.
동시에, 접속 대상물(4)의 접속 단부(41)가, 액추에이터(2)와 하우징(1)의 삽입부(11)의 바닥면(13) 사이에 소정의 지지력으로 기계적으로 지지되어 하우징(1)의 삽입부(11)에 대한 접속 대상물(4)의 삽입 위치가 고정(lock)된다.
게다가,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2)의 양측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볼록부(26)가 각각 접속 대상물(4)의 노치부(44)를 통해 하우징(1)의 대응하는 오목부(16)에 감합된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액추에이터(2)에 의한 소정의 지지력을 넘는 크기로 접속 대상물(4)을 커넥터에서 빼내려고 하는 외력이 접속 대상물(4)에 작용하더라도, 접속 대상물(4)의 노치부(44)의 둘레 부분이 액추에이터(2)의 볼록부(26)에 결합됨으로써, 접속 대상물(4)의 삽입 위치가 유지되며, 접속 대상물(4)의 접점부(45)와 콘택트(3)의 접점부(34) 사이의 전기적 접속이 차단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이때,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의 확인 홈(15)이 외부에 노출된 상태에 있으므로, 확인 홈(15) 바로 위의 위치(Z)에서 확인 홈(15)을 통해 삽입부(11)의 내부를 들여다보면,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확인 홈(15) 안으로 접속 대상물(4)의 접속 단부(41)의 선단 위치(46)를 눈으로 볼 수 있다. 접속 대상물(4)의 접속 단부(41) 양단의 선단 위치(46)를 각각 대응하는 확인 홈(15)을 통해 눈으로 봄으로써, 접속 대상물(4)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 있더라도, 접속 대상물(4)의 삽입 확인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실시예 1에 있어서는, 하우징(1)에, 종래와 같은 감시창이 아닌 확인 홈(15)을 형성하여, 액추에이터(2)의 양측단에 중앙부의 상면(27)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표면(25)을 형성하므로, 이들 하우징(1) 및 액추에이터(2)를 금형의 단차 가공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또한 소형화하더라도, 금형 내로 성형용 수지가 흘러들어가기 쉽고 성형품이 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강도의 저하를 초래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이 실시예 1의 커넥터는, 하우징(1)의 높이가 1 내지 2mm 정도의 지극히 소형인 커넥터이기 때문에, 하우징(1)에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확인 홈(15)도 1mm가 되지 않는 작은 폭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접속 대상물(4)의 접속 단부(41)의 색채, 특히 접속 단부(41)의 상면을 형성하는 보강판(43)의 색채와 하우징(1)의 색채를 서로 다른 것으로 함으로써, 확인 홈(15)이 작아도 확인 홈(15) 바로 위에서 용이하게 접속 대상물(4)의 삽입 확인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2)가 개방 위치에 위치할 때에 하우징(1)의 삽입부(11)의 바닥면(13)에 대하여 거의 수직이 되는 표면(25)을 가지고 있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우징(1)의 확인 홈(15) 바로 위에 위치하는 액추에이터(2) 부분이 노치됨으로써, 확인 홈(15) 바로 위에서 확인 홈(15)을 통해 삽입부(11) 내부의 바닥면(13)을 눈으로 볼 수 있는 상태에만 있으면 된다.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되는 액추에이터(5)와 같이, 개방 위치에 위치했을 때에, 하우징(1)의 정면측으로 경사지는 표면(55), 즉, 상방을 향할수록 확인 홈(15)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지는 표면을 가지고 있으면 된다. 이와 같은 액추에이터(5)를 사용하면, 상방에서 확인 홈(15)을 들여다보기 쉬워지며, 확인 홈(15) 바로 위의 위치(Z)에서 확인 홈(15)을 통해, 삽입부(11)의 내부까지 삽입된 접속 대상물(4)의 접속 단부(41)의 선단 위치를 용이하게 눈으로 볼 수 있다.
단, 이와 같이, 개방 위치에 있어서 하우징(1)의 정면측에 경사진 표면(55)을 형성하면, 그 만큼 액추에이터(5)의 양측 단부의 두께가 얇아져서, 액추에이터(5)의 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반대로, 액추에이터가 개방 위치에 위치했을 때에, 하우징(1)의 배면측으로 경사지는 표면, 즉, 상방을 향할수록 확인 홈(15)으로부터 가까워지도록 경사지는 표면을 가지고 있어도, 확인 홈(15) 바로 위의 확인 홈(15)을 통해 삽입부(11) 내부의 바닥면(13)을 눈으로 볼 수만 있으면 된다.
단, 소형 커넥터에서는, 확인 홈(15)도 작아지므로, 액추에이터가, 개방 위치에 있어서 하우징(1)의 배면측으로 경사지는 표면을 가지고 있으면, 상방에서 확인 홈(15)을 들여다보기 힘들어진다.
따라서 소형 커넥터를 구성할 때에는, 액추에이터의 강도를 확보하면서 그와 함께 확인 홈(15)을 통해 상방에서 눈으로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실시예 1의 액추에이터(2)와 같이, 개방 위치에 위치할 때에 하우징(1) 삽입부(11)의 바닥면(13)에 대하여 거의 수직이 되는 표면(25)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는, 하우징(1)이 한 쌍의 확인 홈(15)을 가지며, 이들 한 쌍의 확인 홈(15)을 통해 접속 대상물(4)의 접속 단부(41)의 양단의 선단 위치를 눈으로 볼 수 있었으나, 하우징(1)의 측벽부(17)로 안내됨으로써 접속 대상물(4)이 커넥터에 대하여 크게 경사지는 일없이 하우징(1)의 삽입부(11)에 삽입되는 경우에는, 하우징(1)에 확인 홈(15)을 하나만 형성하고, 이 하나의 학인 홈(15)을 통해 접속 대상물(4)의 접속 단부(41)의 선단 위치를 눈으로도 확인하여, 접속 대상물(4)의 삽입 확인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 1 및 2에서는, 접속 대상물(4)로서 FPC를 사용했으나, FFC, 그 외의 시트 형상 또는 평판 형상의 접속 대상물의 접속, 삽입 확인 및 고정(lock)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 하우징 2: 액추에이터
3: 콘택트 4: 접속 대상물
5: 액추에이터 11: 삽입부
12: 슬릿 13: 삽입부의 바닥면
14: 맞닿음부 15: 확인 홈
16: 오목부 17: 측벽부
18: 축 수용부 21: 축부
22: 슬릿 23: 봉 형상부
24: 누름부 25: 표면
26: 볼록부 27: 액추에이터 중앙부의 상면
31: 하우징 고정부 32: 소리굽쇠 형상부
33: 기판 설치부 34: 접점부
41: 접속 단부 42: 절연 기판
43: 보강판 44: 노치부
45: 접점부 46: 접속 단부의 선단 위치
55: 표면 61: 하우징
62: 감시창 63: 접속 대상물
64: 삽입구 65: 접점부
66: 콘택트 67: 하우징
68: 액추에이터 69: 접속 대상물
70: 하우징 71: 삽입 부재
72: 접속 대상물 W1: 삽입부의 폭
W2: 액추에이터의 폭
θ: 개방 위치에 있어서의 액추에이터의 각도
Z: 확인 홈 바로 위의 위치

Claims (3)

  1. 액추에이터(actuator)를 회전 조작하는 것에 의해 하우징(housing)에 접속 대상물을 기계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접속 대상물의 접점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접속 대상물의 접속 단부를 삽입하기 위한 상방이 개방된 삽입부를 가지고, 또한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접속 대상물의 접속 단부의 선단 위치를 상방에서 눈으로 보기 위한 확인 홈을 가지며,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삽입부의 상방을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 상기 삽입부의 상방을 덮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회전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개방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하우징의 상기 확인 홈 바로 위에 위치하는 부분이 각각 노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접속 대상물의 접속 단부 양단의 선단 위치를 눈으로 보기 위한 한 쌍의 상기 확인 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의 상기 노치된 부분은,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개방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삽입부의 바닥면에 대하여 거의 수직이 되는 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30048031A 2012-05-18 2013-04-30 커넥터 KR1015142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14678A JP5905776B2 (ja) 2012-05-18 2012-05-18 コネクタ
JPJP-P-2012-114678 2012-05-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9099A true KR20130129099A (ko) 2013-11-27
KR101514256B1 KR101514256B1 (ko) 2015-04-22

Family

ID=49581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8031A KR101514256B1 (ko) 2012-05-18 2013-04-30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070993B2 (ko)
JP (1) JP5905776B2 (ko)
KR (1) KR101514256B1 (ko)
CN (1) CN103427182B (ko)
TW (1) TWI54208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0623B1 (ko) * 2012-01-30 2018-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신호케이블, 케이블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신호케이블 연결장치
JP5862387B2 (ja) * 2012-03-15 2016-02-16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2629723B (zh) * 2012-04-24 2014-10-22 东莞宇球电子股份有限公司 扁平式导体用电连接器
JP5601347B2 (ja) * 2012-05-16 2014-10-08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905776B2 (ja) * 2012-05-18 2016-04-2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272660B2 (ja) * 2013-05-17 2018-01-31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コネクタ
JP6039511B2 (ja) * 2013-07-17 2016-12-0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683670B1 (ja) * 2013-10-22 2015-03-1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308799B2 (ja) * 2014-02-21 2018-04-1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1610227B1 (ko) * 2014-03-12 2016-04-07 교우세라 커넥터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JP6094826B2 (ja) 2014-07-16 2017-03-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非水電解液二次電池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非水電解液
JP5809343B1 (ja) * 2014-10-30 2015-11-10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452393B2 (ja) * 2014-11-13 2019-01-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467224B2 (ja) * 2014-12-26 2019-02-06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394420B2 (ja) * 2015-01-29 2018-09-26 山一電機株式会社 ケーブルの接続構造、および、それを備えるケーブル用コネクタ
US9831582B2 (en) 2015-01-29 2017-11-28 Yamaichi Electronics Co., Ltd. Cable connection structure and cable connector including same
JP6336941B2 (ja) 2015-04-01 2018-06-06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6512551B2 (ja) * 2015-06-26 2019-05-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コネクタ組立体および当該コネクタ組立体で用いられるケーブル
JP6537939B2 (ja) * 2015-09-03 2019-07-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540674B2 (ja) * 2016-12-09 2019-07-10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712388B2 (ja) * 2017-01-27 2020-06-2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ハウジング及びコネクタ
US10135186B2 (en) * 2017-04-24 2018-11-20 Lotes Co., Ltd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JP2019021529A (ja) * 2017-07-19 2019-02-07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コネクタ及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TWM560120U (zh) * 2017-08-25 2018-05-11 英豪科技股份有限公司 軟性排線電連接器固定結構
CN109786998A (zh) * 2017-11-10 2019-05-21 南昌欧菲多媒体新技术有限公司 电路板组件及连接器
JP6841290B2 (ja) 2019-02-20 2021-03-10 I−Pex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996521B2 (ja) * 2019-02-20 2022-01-17 I-Pex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947195B2 (ja) 2019-02-20 2021-10-13 I−Pex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6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9001191A (nl) * 1990-05-23 1991-12-16 Philips Nv Elektrisch verbindingsorgaan voor het aansluiten van een draadvormige elektrische geleider.
JPH10214659A (ja) * 1997-01-29 1998-08-11 Sumitomo Wiring Syst Ltd シート状導電路用コネクタ
JP4248672B2 (ja) * 1999-04-30 2009-04-0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US6431897B1 (en) * 1999-10-06 2002-08-13 Japan Aviation Electroncis Industry Limited Connector having a rotary actuator engaged with a contact in a direction parallel to a sheet-like object connected to the connector
TW430171U (en) * 1999-10-11 2001-04-11 Cheng Uei Prec Ind Co Ltd Improved electrical connector structure used for a flexible circuit board
JP4607348B2 (ja) * 2001-02-07 2011-01-05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3472559B2 (ja) * 2001-02-22 2003-12-0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4152083B2 (ja) * 2001-02-22 2008-09-17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2002252049A (ja) * 2001-02-22 2002-09-06 Jst Mfg Co Ltd 電気コネクタ
JP3741619B2 (ja) * 2001-03-23 2006-02-0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JP3786400B2 (ja) * 2001-03-23 2006-06-1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3605586B2 (ja) * 2001-09-25 2004-12-2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JP3619822B2 (ja) * 2002-11-26 2005-02-16 エフシーアイ アジア テクノロジー ピーティーイー リミテッド 平形柔軟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US6790074B1 (en) * 2003-03-14 2004-09-14 P-Two Industries Inc. Electrical power connector for flexible circuit board
JP4065966B2 (ja) * 2003-06-06 2008-03-26 大宏電機株式会社 薄型コネクタ
TW582631U (en) * 2003-06-27 2004-04-0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TWM250340U (en) * 2003-08-01 2004-11-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KR100514596B1 (ko) * 2003-08-27 2005-09-14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용 액츄에이터
JP2005116495A (ja) * 2003-09-19 2005-04-28 Sony Corp フラットケーブルおよびコネクタならびに電子機器
JP4054750B2 (ja) 2003-10-24 2008-03-05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表面実装用コネクタ
JP4342904B2 (ja) * 2003-10-28 2009-10-14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Fpc用コネクタおよびfpc用コネクタとfpcの接続構造
CN2682624Y (zh) * 2003-11-28 2005-03-0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4168986B2 (ja) * 2004-07-06 2008-10-22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Fpc用コネクタ
JP4578931B2 (ja) * 2004-10-18 2010-11-10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388879B2 (ja) * 2004-10-26 2009-12-2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
JP4054013B2 (ja) * 2004-11-02 2008-02-27 エフシーアイ アジア テクノロジー ピーティーイー リミテッド 平形柔軟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US20060121776A1 (en) * 2004-12-08 2006-06-08 Unicorn Electronics Components Co., Ltd. Electric connector
JP2006196424A (ja) * 2005-01-17 2006-07-27 Jst Mfg Co Ltd Fpc用コネクタ
TWI274442B (en) * 2005-03-02 2007-02-21 Chief Land Electronic Co Ltd Structure of flexible connector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US20060216981A1 (en) * 2005-03-25 2006-09-28 Alex Huang Electric connector
TWM282346U (en) * 2005-05-06 2005-12-0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US7387528B2 (en) * 2005-06-23 2008-06-17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TWM288981U (en) * 2005-06-28 2006-03-21 Compal Electronics Inc Connector
US20070054558A1 (en) * 2005-09-03 2007-03-08 Harlan Tod M Connector with improved pulling portion
JP4240495B2 (ja) * 2005-09-20 2009-03-1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7261589B2 (en) * 2005-11-04 2007-08-28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JP4938303B2 (ja) * 2005-12-16 2012-05-23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
JP4931417B2 (ja) * 2005-12-27 2012-05-16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ケーブル接続用コネクタ
JP4837997B2 (ja) * 2006-01-18 2011-12-1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Fpc/ffc用コネクタ
CN2891343Y (zh) * 2006-04-27 2007-04-1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4215265B2 (ja) * 2006-04-28 2009-01-2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及び平型導体付き電気コネクタ
JP4303736B2 (ja) * 2006-04-28 2009-07-29 エフシーアイ コネクターズ シンガポール ピーティーイー リミテッド 電気コネクタ
JP4752705B2 (ja) * 2006-09-28 2011-08-17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TWM316553U (en) * 2006-10-23 2007-08-0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4869027B2 (ja) * 2006-11-01 2012-02-01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ケーブル用コネクタ
CN100576639C (zh) * 2006-12-27 2009-12-3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101227033B (zh) * 2007-01-17 2010-06-1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201000943Y (zh) * 2007-01-22 2008-01-0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柔性电路板连接器
TWM326246U (en) * 2007-07-06 2008-01-21 P Two Ind Inc Flexible flat cable connector
JP4526040B2 (ja) * 2007-08-03 2010-08-1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TWI355115B (en) * 2007-08-14 2011-12-2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4933994B2 (ja) 2007-09-10 2012-05-16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のインジケータ構造及びこれを備えたコネクタ
US7399193B1 (en) * 2007-11-06 2008-07-15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JP4386129B2 (ja) * 2007-11-27 2009-12-16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コネクタ
JP4192203B1 (ja) * 2007-12-26 2008-12-10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4605817B2 (ja) * 2008-04-11 2011-01-0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541428B2 (ja) * 2008-05-28 2010-09-0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CN201323266Y (zh) * 2008-10-16 2009-10-0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US7887351B2 (en) * 2008-10-30 2011-02-15 Taiwan Suncagey Industrial Co., Ltd.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conductor
CN101505015B (zh) * 2009-03-26 2011-06-01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电子连接装置
JP4917129B2 (ja) * 2009-07-28 2012-04-1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TWM380605U (en) * 2009-11-12 2010-05-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5580622B2 (ja) * 2010-03-01 2014-08-27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コネクタ、及び、平型電線と当該平型電線が接続されるコネクタとを有するケーブルアッセンブリ
JP5556261B2 (ja) 2010-03-12 2014-07-23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US8636531B2 (en) * 2011-07-22 2014-01-28 Hosiden Corporation Connector for connection with flat connecting objects
US8672698B2 (en) * 2011-07-22 2014-03-18 Hosiden Corporation Card connector
TW201324975A (zh) * 2011-12-13 2013-06-16 Aces Electronic Co Ltd 電連接器
JP5905776B2 (ja) * 2012-05-18 2016-04-2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070993B2 (en) 2015-06-30
US20130309887A1 (en) 2013-11-21
JP5905776B2 (ja) 2016-04-20
TWI542082B (zh) 2016-07-11
KR101514256B1 (ko) 2015-04-22
CN103427182A (zh) 2013-12-04
CN103427182B (zh) 2016-08-10
JP2013243013A (ja) 2013-12-05
TW201351790A (zh) 2013-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29099A (ko) 커넥터
US11158968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JP6074289B2 (ja) 雌コネクタ及び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TWI595710B (zh) Multipole connector
JP5197294B2 (ja) 基板対基板コネクタ
US7503795B2 (en) Connector prevented from undesired separation of a locking member
JP4514802B2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US8636536B2 (en) Electrical connector member
US20150318639A1 (en) Lever-type connector
US11043764B2 (en) Flat-conductor connector
TWI446635B (zh) 連接器及連接器裝置
JP2007250349A (ja) 中継コネクタ
JP6097634B2 (ja) コネクタ装置
TWI466396B (zh) Electrical connectors for circuit boards
JP7315404B2 (ja) 平型導体用コネクタ
TW201330394A (zh) 連接器
JP5736940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11003291A (ja) 電線対基板コネクタ
KR102030989B1 (ko) 케이블 접촉용 커넥터 장치
JP7087425B2 (ja) 電気コネクタ
JP6619723B2 (ja) コネクタ装置
JP7315405B2 (ja) 平型導体用コネクタ
CN117096653A (zh) Cpa装接结构、装接有cpa的连接器和线束
TWI474565B (zh) Connector device
CN115693207A (zh) 扁平型导体用电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