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6683A -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 - Google Patents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6683A
KR20130126683A KR1020137020747A KR20137020747A KR20130126683A KR 20130126683 A KR20130126683 A KR 20130126683A KR 1020137020747 A KR1020137020747 A KR 1020137020747A KR 20137020747 A KR20137020747 A KR 20137020747A KR 20130126683 A KR20130126683 A KR 201301266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plifier
output mode
feedback circuit
output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0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코 마츠나가
겐이치 호리구치
히로시 오츠카
마사토시 나카야마
가즈히로 이요마사
가즈야 야마모토
아키라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26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66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77Selecting one or more amplifiers from a plurality of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4Negative-feedback-circuit arrangements with or without positive feedback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56Modifications of input or output impedan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4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of transmitter output stag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45Differential amplifiers
    • H03F3/45071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45076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 H03F3/45475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using IC blocks as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72Gated amplifiers, i.e. amplifiers which are rendered operative or inoperative by means of a control signa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1/00Details of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amplification
    • H03G1/0005Circui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ling devices operated by a controlling current or voltage signal
    • H03G1/0088Circui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ling devices operated by a controlling current or voltage signal using discontinuously variable devices, e.g. switch-operate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036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high-frequency amplifiers or in frequency-changers
    • H03G3/3042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high-frequency amplifiers or in frequency-changers in modulators, frequency-changers, transmitters or power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222A circuit being added at the input of an amplifier to adapt the input impedance of the amplifi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387A circuit being added at the output of an amplifier to adapt the output impedance of the amplifi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411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output amplifying stage of an amplifier comprising two power stag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covered by H03F3/00
    • H03F2203/45Indexing scheme relating to differential amplifiers
    • H03F2203/45526Indexing scheme relating to differential amplifiers the FBC comprising a resistor-capacitor combination and being coupled between the LC and the IC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covered by H03F3/00
    • H03F2203/45Indexing scheme relating to differential amplifiers
    • H03F2203/45528Indexing scheme relating to differential amplifiers the FBC comprising one or more passive resistors and being coupled between the LC and the IC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covered by H03F3/00
    • H03F2203/45Indexing scheme relating to differential amplifiers
    • H03F2203/45534Indexing scheme relating to differential amplifiers the FBC comprising multiple switches and being coupled between the LC and the IC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covered by H03F3/00
    • H03F2203/45Indexing scheme relating to differential amplifiers
    • H03F2203/45536Indexing scheme relating to differential amplifiers the FBC comprising a switch and being coupled between the LC and the IC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covered by H03F3/00
    • H03F2203/72Indexing scheme relating to gated amplifiers, i.e. amplifiers which are rendered operative or inoperative by means of a control signal
    • H03F2203/7215Indexing scheme relating to gated amplifiers, i.e. amplifiers which are rendered operative or inoperative by means of a control signal the gated amplifier being switched on or off by a switch at the input of the amplifi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covered by H03F3/00
    • H03F2203/72Indexing scheme relating to gated amplifiers, i.e. amplifiers which are rendered operative or inoperative by means of a control signal
    • H03F2203/72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ated amplifiers, i.e. amplifiers which are rendered operative or inoperative by means of a control signal the gated amplifier being switched on or off by a switch at the output of the amplifi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covered by H03F3/00
    • H03F2203/72Indexing scheme relating to gated amplifiers, i.e. amplifiers which are rendered operative or inoperative by means of a control signal
    • H03F2203/723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ated amplifiers, i.e. amplifiers which are rendered operative or inoperative by means of a control signal the gated amplifier being switched on or off by putting into parallel or not, by choosing between amplifiers by (a )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Abstract

소망의 이득을 실현하면서, 수신 대 잡음의 열화를 억제한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를 얻는다. 전환 수단을 거쳐서 직렬 접속된 N개의 증폭기와, 복수의 출력 모드에 따라, N개의 증폭기의 접속 상태 및 온/오프 상태를 전환 제어하는 제어 회로(80A)를 구비한다. N개의 증폭기 중 P개의 증폭기는 드라이버 증폭기(1)를 구성함과 아울러, 자신의 출력 신호를 자신의 입력측으로 부귀환시키는 귀환 회로(100)를 포함하는 부귀환형 증폭기(10)를 구성한다. N-P개의 증폭기는 부귀환형 증폭기(10)에 대해 접속 해제 가능하게 직렬 접속된 최종단 증폭기(2)를 구성한다. 제어 회로(80A)는 제 1 출력 모드에서는 최종단 증폭기(2)를 부귀환형 증폭기(10)로부터 접속 해제함과 아울러 귀환 회로(10)를 무효화하고, 제 2 출력 모드에서는 최종단 증폭기(2)를 부귀환형 증폭기(10)에 직렬 접속함과 아울러 귀환 회로(10)를 유효화한다.

Description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OUTPUT-MODE SWITCHING AMPLIFIER}
본 발명은 넓은 출력 전력 범위에서 고효율 특성을 실현하기 위한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체 통신 단말에서는, 전지를 소형화하기 위해서 소비 전력의 삭감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휴대 전화 단말에서는, 소비 전력을 삭감하기 위해서, 기지국과의 사이의 거리 및 통신 상태의 시시각각의 변화에 따라 단말의 송신 전력을 변화시키기 때문에, 단말에 사용되는 증폭기로서, 넓은 출력 전력 범위에서 고효율인 것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이동체 통신 단말용 증폭기로서는, 저 출력 전력 모드와 고 출력 전력 모드에 적합 가능한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가 널리 채용되고 있으며, 복수의 출력 모드의 전환을 행하는 기술을 적용하는 것이 주류로 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도 12는 종래의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 블록도로, 예컨대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저 출력 전력 및 고 출력 전력의 2개의 출력 모드를 갖는 경우에서의, 각 출력 모드에 따른 전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12에 있어서,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는, 드라이버 증폭기(1)와, 최종단 증폭기(2)와, 드라이버 증폭기(1)의 입출력단에 삽입된 제 1 및 제 2 정합 회로(3, 4)와, 최종단 증폭기(2)의 입출력단에 삽입된 제 3 및 제 4 정합 회로(5, 6)와, 출력 모드 전환용 스위치(7, 8)와, 입력 단자(20)와, 출력 단자(21)와, 제 1 및 제 2 경로(50, 51)와, 드라이버 증폭기(1), 최종단 증폭기(2), 스위치(7, 8)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80)를 구비하고 있다.
도 13 및 도 14는 각 출력 모드에 있어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 블록도로, 도 13은 요구 출력 전력이 낮은 제 1 출력 모드에서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고, 도 14는 요구 출력 전력이 높은 제 2 출력 모드에서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도 12~도 14를 참조하면서, 종래의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13과 같이, 요구되는 출력 전력이 낮은 제 1 출력 모드에서는, 제어 회로(80)는, 스위치(7, 8)에 대해 제 1 전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최종단 증폭기(2)(파선 참조)를 포함하지 않는 제 1 경로(50)로 전환한다.
또한, 이와 동시에, 제어 회로(80)는 드라이버 증폭기(1)에 대한 전원 전압 공급을 온으로 하고, 최종단 증폭기(2)에 대한 전원 전압 공급을 오프로 한다.
제 1 출력 모드(도 13)의 경우, 입력 단자(20)로부터 입력된 입력 신호는, 제 1 정합 회로(3)을 거쳐서 드라이버 증폭기(1)에 입력되고, 증폭후의 입력 신호는 제 1 스위치(7) 및 제 1 경로(50)를 거쳐서 제 2 정합 회로(4)에 입력된다. 이어서, 제 2 정합 회로(4)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제 1 스위치(8)를 거쳐서 출력 단자(21)로부터 출력된다. 이 때, 입력 단자(20)로부터의 입력 신호는, 드라이버 증폭기(1)로만 증폭되기 때문에, 저 출력 전력이 얻어지게 된다.
한편, 도 14와 같이, 요구되는 출력 전력이 높은 제 2 출력 모드에서는, 제어 회로(80)는, 스위치(7, 8)에 대해 제 2 전환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제 1 경로(50)(파선 참조)부터 최종단 증폭기(2)를 포함하는 제 2 경로(51)로 전환한다.
또한, 이와 동시에, 제어 회로(80)는 드라이버 증폭기(1) 및 최종단 증폭기(2) 양쪽에 대한 전원 전압 공급을 온으로 한다.
제 2 출력 모드(도 14)의 경우, 입력 단자(20)로부터 입력된 입력 신호는, 제 1 정합 회로(3)를 거쳐서 드라이버 증폭기(1)에 입력되고, 증폭후의 입력 신호는 제 1 스위치(7) 및 제 2 경로(51)를 거쳐서 제 3 정합 회로(5)에 입력된다. 이어서, 제 3 정합 회로(5)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최종단 증폭기(2)에 입력되어 증폭되고, 최종단 증폭기(2)의 출력 신호는 제 4 정합 회로(6) 및 제 1 스위치(8)를 거쳐서 출력 단자(21)로부터 출력된다. 이 때, 입력 단자(20)로부터의 입력 신호는 드라이버 증폭기(1) 및 최종단 증폭기(2)로 증폭되기 때문에, 고 출력 전력이 얻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는, 요구되는 출력 전력에 따라 동작시키는 증폭기를 전환함으로써, 넓은 출력 전력 범위에서 고효율 동작을 실현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01-217661호 공보
종래의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는, 요구 출력 전력이 낮은 제 1 출력 모드에서는, 드라이버 증폭기(1)만에 의한 1단 증폭으로 충분한 필요 이득을 얻고 있지만, 요구 출력 전력이 높은 제 2 출력 모드에서는, 드라이버 증폭기(1) 및 최종단 증폭기(2) 양쪽에 의한 2단 증폭기로서 동작하기 때문에, 이득이 필요 이득보다 지나치게 높아져서, 수신 대 잡음이 열화된다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제 2 출력 모드에서 이득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드라이버 증폭기(1)와 최종단 증폭기(2)의 단 사이, 또는 최종단 증폭기(2)의 출력측에, 감쇠기를 장하(裝荷:load)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감쇠기를 장하한 경우에는 효율의 저하를 초래한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소망의 이득을 실현하면서, 수신 대 잡음의 열화를 억제한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는, 출력 전력이 다른 복수의 출력 모드를 갖는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로, 전환 수단을 거쳐서 직렬 접속된 N개(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증폭기와, 복수의 출력 모드에 따라, N개의 증폭기의 접속 상태 및 온/오프 상태를 전환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구비하고, N개의 증폭기 중 P개(P는 1 이상의 자연수, P≤N)의 증폭기는, 드라이버 증폭기를 구성함과 아울러, 자신의 출력 신호를 자신의 입력측에 부귀환시키는 귀환 회로를 포함하는 부귀환형 증폭기를 구성하고, N개의 증폭기 중 N-P개의 증폭기는, 부귀환형 증폭기에 대해 접속 해제 가능하게(disconnectable) 직렬 접속된 최종단 증폭기를 구성하고, 제어 회로는, 요구되는 출력 전력이 비교적 낮은 제 1 출력 모드에서는, 최종단 증폭기를 부귀환형 증폭기로부터 접속 해제함과 아울러, 드라이버 증폭기에 병렬 접속된 귀환 회로를 무효화하고, 요구되는 출력 전력이 비교적 높은 제 2 출력 모드에서는, 최종단 증폭기를 부귀환형 증폭기에 직렬 접속함과 아울러, 귀환 회로를 유효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2 출력 모드에 있어서만 드라이버 증폭기의 이득을 억제하는 부귀환 회로를 구비함으로써, 소망의 이득을 실현하면서, 수신 대 잡음의 열화를 억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 블록도(실시예 1),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의 제 1 출력 모드에 있어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 블록도(실시예 1),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의 제 2 출력 모드에 있어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 블록도(실시예 1),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의 출력-이득 특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실시예 1),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의 주파수-출력 특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실시예 1),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의 구성 나타내는 회로 블록도(실시예 2),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 블록도(실시예 3),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 블록도(실시예 4),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 블록도(실시예 5),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 블록도(실시예 6),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 블록도(실시예 6),
도 12는 종래의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 블록도,
도 13은 종래의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의 제 1 출력 모드에 있어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 블록도,
도 14는 종래의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의 제 2 출력 모드에 있어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 블록도이다.
(실시예 1)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 블록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200)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서, 드라이버 증폭기(1)와, 최종단 증폭기(2)와, 제 1 ~ 제 4 정합 회로(3~6)와, 제 1 스위치(7, 8)와, 입력 단자(20)와, 출력 단자(21)와, 제 1 및 제 2 경로(50, 51)와, 제어 회로(80A)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200)는, 상기 구성에 더해서, 드라이버 증폭기(1)의 출력 단자(91)에 접속된 제 2 스위치(101)와, 제 2 스위치(101)에 접속된 용량 소자(102)와, 용량 소자(102)와 드라이버 증폭기(1)의 입력 단자(90)의 사이에 삽입된 저항 소자(103)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스위치(101), 용량 소자(102) 및 저항 소자(103)는, 드라이버 증폭기(1)의 귀환 회로(100)를 구성하고 있다.
그 결과, 드라이버 증폭기(1)는, 귀환 회로(100)에 의해 부귀환이 걸려 있고, 귀환 회로(100)(제 2 스위치(101), 용량 소자(102) 및 저항 소자(103))와 함께, 부귀환형 증폭기(10)를 구성하고 있다.
도 1의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200)에 있어서, 종래의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도 12)와의 상이점은, 드라이버 증폭기(1)의 입력 단자(90)와 출력 단자(91)와의 사이에, 드라이버 증폭기(1)와 병렬로, 귀환 회로(100)(제 2 스위치(101), 용량 소자(102), 저항 소자(103))를 새롭게 구비했다는 점에 있다.
또한, 제어 회로(80A)는, 입력 단자(20)를 통해서 입력되는 입력 신호의 전류 레벨에 따라 자동적으로 출력 모드를 결정하고, 드라이버 증폭기(1), 최종단 증폭기(2), 제 1 스위치(7, 8)뿐만 아니라, 귀환 회로(100) 내의 제 2 스위치(101)도 제어한다.
예컨대, 제어 회로(80A)는, 입력 신호의 전류 레벨이 기준치보다 높은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제 2 출력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 동작을 행한다.
제어 회로(80A)는, 요구 출력 전력이 낮은 제 1 출력 모드에서는, 제 1 전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 2 스위치(101)를 오프(개방)시킴으로써, 드라이버 증폭기(1)의 이득을 유지한다.
한편, 요구 출력 전력이 높은 제 2 출력 모드에서는, 제어 회로(80A)는, 제 2 전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 2 스위치(101)를 온(도통)시켜서, 귀환 회로(100)를 유효화함으로써, 부귀환에 의해 드라이버 증폭기(1)의 이득을 억제한다.
즉, 제 1 출력 모드에서는 드라이버 증폭기(1)의 이득을 유지하고, 제 2 출력 모드에서는 드라이버 증폭기(1)의 이득을 억제하도록 귀환 회로(100)를 제어함으로써,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200)에 있어서, 출력 모드에 따른 소망의 이득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부귀환의 효과에 의해, 제 2 출력 모드에 있어서의 비선형 왜곡을 저감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서,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제 1 출력 모드에 있어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 블록도이고, 도 3은 제 2 출력 모드에 있어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 블록도이다.
우선, 도 2와 같이, 요구되는 출력 전력이 낮은 제 1 출력 모드에서는, 제어 회로(80A)는, 제 1 및 제 2 스위치(7, 8, 101)에 대해 제 1 전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 1 스위치(7, 8)에 의해, 최종단 증폭기(2)(파선 참조)를 포함하지 않는 제 1 경로(50)로 전환함과 아울러, 제 2 스위치(101)를 오프로 하여 귀환 회로(100)(파선 참조)를 무효로 한다.
또한, 이와 동시에, 제어 회로(80A)는, 드라이버 증폭기(1)에 대한 전원 전압 공급을 온으로 하고, 최종단 증폭기(2)에 대한 전원 전압 공급을 오프로 한다.
제 1 출력 모드(도 2)의 경우,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200)의 동작은, 상술(도 13)한 바와 마찬가지로, 드라이버 증폭기(1)의 이득을 유지하면서 1단 증폭기로서 기능한다.
한편, 도 3과 같이, 요구되는 출력 전력이 높은 제 2 출력 모드에서는, 제어 회로(80A)는, 제 1 및 제 2 스위치(7, 8, 101)에 대해 제 2 전환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제 1 스위치(7, 8)에 의해, 최종단 증폭기(2)를 포함하는 제 2 경로(51)로 전환함과 아울러, 제 2 스위치(101)를 온으로 하여 귀환 회로(100)를 유효로 한다.
또한, 이와 동시에, 제어 회로(80A)는, 드라이버 증폭기(1) 및 최종단 증폭기(2) 양쪽에 대한 전원 전압 공급을 온으로 한다.
제 2 출력 모드(도 3)의 경우, 입력 단자(20)로부터 제 1 정합 회로(3)를 거쳐서 드라이버 증폭기(1)에 입력된 입력 신호는, 드라이버 증폭기(1)로 증폭된 후에, 출력 단자(91)로부터, 귀환 회로(100)(제 2 스위치(101), 용량 소자(102) 및 저항 소자(103))를 거쳐서, 드라이버 증폭기(1)의 입력 단자(90)로 부귀환된다.
이 때, 부귀환형 증폭기(10)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전압 Vout은, 부귀환형 증폭기(10)에의 입력 신호의 전압 Vin과, 드라이버 증폭기(1)의 이득 Gdrv과, 귀환 회로(100)의 귀환량 β(<1)과, 드라이버 증폭기(1)에서 발생하는 왜곡 D를 이용해서, 이하의 식 (1)과 같이 표현된다.
Figure pct00001
단, 식 (1)에 있어서, Gdrv·β>>1이고, 제 2 항(우측)의 값은 무시할 수 있다.
따라서, 식 (1)의 제 1 항(좌측)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이득 Gdrv을 갖는 드라이버 증폭기(1)에 대해, 귀환량 β에 따른 부귀환를 건 경우에, 부귀환형 증폭기(10)의 이득 Gdrv_fb은, 간략하게 나타내면, 이하의 식 (2)이 된다.
Figure pct00002
식 (2)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부귀환형 증폭기(10)의 이득 Gdrv_fb는 드라이버 증폭기(1)의 이득 Gdrv에서 1/β만큼 저하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식 (1)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드라이버 증폭기(1)에서 발생하는 왜곡 D는, 부귀환을 거는 것에 의해, 루프 이득 Gdrv·β만큼 저감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하, 부귀환형 증폭기(10)의 출력 신호는, 제 1 스위치(7), 제 2 경로(51) 및 제 3 정합 회로(5)를 거쳐서 최종단 증폭기(2)에 입력되고, 최종단 증폭기(2)에서 더 증폭된 후, 제 4 정합 회로(6) 및 제 1 스위치(8)를 거쳐서 출력 단자(21)로부터 출력된다.
그 결과, 입력 단자(20)로부터 입력된 입력 신호는, 드라이버 증폭기(1) 및 최종단 증폭기(2) 양쪽에서 증폭되고, 이득이 억제된 고 출력 전력이 되어 출력 단자(21)로부터 출력된다.
일반적으로, 제 2 출력 모드에서는, 드라이버 증폭기(1) 및 최종단 증폭기(2)로 이루어지는 2개의 증폭기의 비선형성이 중첩되기 때문에, 제 1 출력 모드에 비해서 큰 왜곡이 발생하지만, 드라이버 증폭기(1)에서의 귀환 회로(100)에 의한 부귀환에 의해, 비선형 왜곡을 저감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200)의 제 2 출력 모드에 있어서의 동작 특성을 나타내는 설명도로, 도 4는 출력 전력-이득 특성을 나타내고, 도 5는 주파수-출력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4, 도 5에 있어서는, 종래 특성(파선)과 비교하면서 각 특성을 나타내고 있고, 도 4에 있어서, 가로축은 출력 전력 Pout, 세로축은 이득 Ga이고, 도 5에 있어서, 가로축은 출력 주파수, 세로축은 출력 전력 Pout이다.
제 2 출력 모드에서는, 종래 특성(파선)의 경우에는, 출력 전력 Pout 전반에 대해 이득 Ga이 지나치게 높아지고(도 4 참조), 또한 주파수에 대한 출력 전력 Pout의 왜곡도 커진다(도 5 참조).
이에 반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 1(실선)에 의하면, 이득 Ga가 균일하게 억제되고(도 4 참조), 또한 주파수에 대한 출력 전력 Pout의 왜곡도 작아진다(도 5 참조).
한편, 여기서는, 각 1개의 드라이버 증폭기(1) 및 최종단 증폭기(2)를 이용한 경우를 나타내었지만, 요구 이득에 따라, 임의의 수 씩(직렬 접속된 P개의 드라이버 증폭기(1)와, 직렬 접속된 N-P개의 최종단 증폭기(2))을 이용해도 된다.
또한, 2개의 출력 모드를 갖는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200)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출력 모드는 2개로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복수의 출력 모드를 갖는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에도 적용 가능하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도 1~도 5)에 따른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는, 출력 전력이 다른 복수의 출력 모드를 갖는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200)로, 전환 수단을 거쳐서 직렬 접속된 N개(도 1에서는, N=2)의 증폭기(드라이버 증폭기(1), 최종단 증폭기(2))와, 복수의 출력 모드에 따라, N개의 증폭기의 접속 상태 및 온/오프 상태를 전환 제어하는 제어 회로(80A)를 구비하고 있다.
N개의 증폭기 중 P개(도 1에서는, P=1)의 증폭기는, 드라이버 증폭기(1)를 구성함과 아울러, 자신의 출력 신호를 자신의 입력측으로 부귀환시키는 귀환 회로(100)를 포함하는 부귀환형 증폭기(10)를 구성하고 있다.
N개의 증폭기 중 N-P개(도 1에서는, N-P=1)의 증폭기는, 부귀환형 증폭기(10)에 대해 접속 해제 가능하게 직렬 접속된 최종단 증폭기(2)를 구성하고 있다.
제어 회로(80A)는, 요구되는 출력 전력이 비교적 낮은 제 1 출력 모드에서는, 최종단 증폭기(2)를 부귀환형 증폭기(10)로부터 접속 해제함과 아울러, 드라이버 증폭기에 병렬 접속된 귀환 회로(100)를 무효화하고, 요구되는 출력 전력이 비교적 높은 제 2 출력 모드에서는, 최종단 증폭기(2)를 부귀환형 증폭기(10)에 직렬 접속함과 아울러, 귀환 회로(100)를 유효화한다.
구체적으로는, 부귀환형 증폭기(10)과 최종단 증폭기(2)의 사이에는 제 1 스위치(7)(제 1 전환 수단)가 삽입되고, 최종단 증폭기(2)의 출력측에는 제 1 스위치(8)(제 1 전환 수단)이 삽입되며, 드라이버 증폭기(1)의 출력측과 귀환 회로(100)의 사이에는, 제 2 스위치(101)(제 2 전환 수단) 삽입되어 있다.
귀환 회로(100)는 저항 소자(103) 및 용량 소자(10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예컨대 도 1과 같이, 저항 소자(103) 및 용량 소자(102)로 이루어지는 직렬 접속 회로를 포함한다.
제어 회로(80A)는, 제 1 출력 모드에서는 최종단 증폭기(2)를 단락하도록 제 1 스위치(7, 8)를 전환함과 아울러, 제 2 스위치(101)를 오프로 하여 귀환 회로(100)를 무효화하고, 제 2 출력 모드에서는 부귀환형 증폭기(10)에 최종단 증폭기(2)가 직렬 접속되도록 제 1 스위치(7, 8)를 전환함과 아울러, 제 2 스위치(101)를 온으로 하여 귀환 회로(100)를 유효화한다.
부귀환형 증폭기(10)는 제 2 출력 모드에서는, 제 1 출력 모드에 있어서의 증폭율보다 낮은 증폭율로 입력 신호를 증폭한다.
또한, 최종단 증폭기(2)는 제 2 출력 모드에서만, 부귀환형 증폭기(10)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더 증폭한다.
이와 같이, 제 1 출력 모드에서는 귀환 회로(100)를 무효화하여 드라이버 증폭기(1)의 이득을 유지하고, 제 2 출력 모드에서는 귀환 회로(100)를 유효화하여 드라이버 증폭기(1)의 이득을 억제함으로써, 제 2 출력 모드에서 과대한 이득이 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출력 모드에서 소망의 이득을 얻음과 아울러, 수신 대 잡음의 열화를 억제 수 있다.
또한, 비선형성이 강한 제 2 출력 모드에서도, 왜곡을 저감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2)
한편, 상기 실시예 1(도 1)에서는 귀환 회로(100) 내에 제 2 스위치(101)를 마련했지만, 도 6과 같이, 제 2 스위치(101)의 기능을 제 1 스위치(7B)와 공유화하고, 제 2 스위치(101)를 생략해도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200B)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 블록도이며, 상술(도 1 참조)한 바와 같은 것에 대해서는, 상술한 것과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또는 부호 뒤에 'B'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 있어서, 귀환 회로(100B) 내의 용량 소자(102)의 일단은, 제 1 스위치(7B)의 출력 단자(92)에 접속되어 있다.
도 6의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200B)에서, 상술(도 1)한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200)와의 상이점은, 제 2 스위치(101)를 제거하고, 제 1 스위치(7B)를 이용하며, 제 1 경로(50)와 제 2 경로(51)의 전환 동작, 및 귀환 회로(100B)의 온/오프 전환 동작을 행하는 것에 있다.
이 경우, 제 1 스위치(7B)는, 용량 소자(102) 및 저항 소자(103)와 함께 귀환 회로(100B)를 구성함과 아울러, 나아가 드라이버 증폭기(1)와 함께 부귀환형 증폭기(10B)를 구성하고 있고, 모드 변경시의 신호 경로의 전환 동작만이 아니고, 귀환 회로(100B)의 온/오프 전환 동작에도 병용된다.
이로써, 상술한 실시예 1에 비해서, 귀환 회로(100B) 내에 제 2 스위치를 장하할 필요도 없어,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제 1 출력 모드에서는, 제어 회로(80B)는, 제 1 전환 제어 신호에 의해, 제 1 스위치(7B, 8)를 제 1 경로(50)측에 접속함과 아울러, 드라이버 증폭기(1)만을 온으로 한다.
이 때, 용량 소자(102)가 제 1 스위치(7B)로부터 접속 해제되기 때문에, 귀환 회로(100B)는 무효로 되고, 상술(도 2)한 바와 같은 동작이 된다.
한편, 제 2 출력 모드에서는, 제어 회로(80B)는 제 2 전환 제어 신호에 의해, 제 1 스위치(7B, 8)를 제 2 경로(51) 측에 접속함과 아울러, 드라이버 증폭기(1) 및 최종단 증폭기(2) 양쪽을 온으로 한다.
이 때, 용량 소자(102)가 제 1 스위치(7B)에 접속되기 때문에, 귀환 회로(100B)는 유효가 되어, 상술(도 3)한 바와 마찬가지의 동작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2(도 6)에 의하면, 제 2 스위치(101)의 기능을 단일의 전환 수단(제 1 스위치(7B))으로 공용화하고, 제 1 스위치(7B)를, 입력 신호의 경로 전환뿐만 아니라, 귀환 회로(100B)의 온/오프에도 병용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제 1 출력 모드에서는 드라이버 증폭기(1)의 이득을 유지하고, 제 2 출력 모드에서는 드라이버 증폭기(1)의 이득을 억제하면서, 비선형 왜곡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귀환 회로(100B)에 제 2 스위치를 장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전술한 실시예 1에 비해서, 더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3)
한편, 상기 실시예 1, 2(도 1, 도 6)에서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았지만, 도 7과 같이, 드라이버 증폭기(1)의 입력 단자(90) 측에 직류 저지용 용량 소자(104)를 삽입해도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200C)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 블록도로, 상술한(도 1 참조) 것과 같은 것에 대해서는, 상술한 것과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또는 부호의 뒤에 'C'를 붙이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는, 도 1의 회로 구성에 직류 저지용 용량 소자(104)를 추가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도 6의 회로 구성에 직류 저지용 용량 소자(104)를 추가해도 된다.
도 7에 있어서, 드라이버 증폭기(1)의 입력 단자(90) 측에는, 직류 저지용 용량 소자(104)가 삽입되어 있고, 직류 저지용 용량 소자(104)는, 제 2 스위치(101), 용량 소자(102) 및 저항 소자(103)와 함께, 부귀환형 증폭기(10C)를 구성하고 있다.
도 7의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200C)에서, 상술한(도 1)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200)와의 상이점은, 드라이버 증폭기(1)의 입력측에 직류 저지용 용량 소자(104)를 장하하고, 직류 저지용 용량 소자(104)를 포함하는 부귀환형 증폭기(10C)(귀환 루프)를 구성하는 것에 있다.
즉, 귀환 회로(100C)는, 제 2 스위치(101), 용량 소자(102) 및 저항 소자(103)에 더해서, 드라이버 증폭기(1)의 입력측에 직렬 접속된 직류 저지용 용량 소자(104)를 포함한다.
이로써, 전술한 실시예 1에 비해서, 저 주파수에서는 직류 저지용 용량 소자(104)의 효과에 의해, 드라이버 증폭기(1)에 입력되는 전력이 저하되어 루프 이득이 저하되기 때문에, 저 주파수에서의 발진을 억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제 1 출력 모드에서는, 상술한(도 2) 바와 같이, 제 1 스위치(7, 8)가 제 2 정합 회로(4) 측으로 전환되고, 최종단 증폭기(2)가 단락 상태(접속 해제 상태)가 되며, 제 2 스위치(101)가 오프되어 귀환 회로(100C)가 무효화된다. 이 때의 동작은,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이다.
한편, 제 2 출력 모드에서는, 상술한(도 3) 바와 같이, 제 1 스위치(7, 8)가 전환되어서 부귀환형 증폭기(10C)에 최종단 증폭기(2)가 직렬 접속되고, 또한 제 2 스위치(101)가 온되어 귀환 회로(100C)가 유효화된다.
이 때, 드라이버 증폭기(1)의 출력 단자(91)로부터 입력 단자(90)로 부귀환된 신호는, 저 주파수 경우에는, 직류 저지용 용량 소자(104)가 고 임피던스로 보이기 때문에, 입력 단자(20) 측으로 쉽게 흐르게 된다.
따라서, 드라이버 증폭기(1)에 입력되는 부귀환 신호의 전력이 저하되고, 루프 이득이 저하되기 때문에, 저 주파수 경우에서의 드라이버 증폭기(1)의 발진을 억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3(도 7)에 의한 귀환 회로(100C)는, 드라이버 증폭기(1)의 입력측에 장하된 직류 저지용 용량 소자(104)를 포함하고, 직류 저지용 용량 소자(104)를 포함하여 부귀환형 증폭기(10C)(귀환 루프)를 구성했기 때문에, 저 주파수 경우에는, 직류 저지용 용량 소자(104)가 고 임피던스로서 작용한다.
이로써, 드라이버 증폭기(1)에 입력되는 부귀환 신호의 전력이 저하되어 루프 이득이 저하되기 때문에, 상술한 실시예 1에 비해서, 저 주파수 경우의 발진을 억압할 수 있다.
또한, 직류 저지용 용량 소자(104)는, 드라이버 증폭기(1)의 입력측에 통상 장하되는 용량 소자와 공용화할 수 있기 때문에, 각별한 비용 상승을 초래하는 일도 없다.
(실시예 4)
한편, 상기 실시예 1~3(도 1, 도 6, 도 7)에서는, 제 1 및 제 2 출력 모드에 따라, 2가지 이득 전환 동작을 행하는 부귀환형 증폭기(10, 10B, 10C)를 이용했지만, 도 8과 같이, 임의의 M가지의 이득 전환 동작을 행하는 부귀환형 증폭기(10D)를 이용해도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200D)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 블록도로, 상술한(도 1 참조) 바와 같은 것에 대해서는, 상술한 것과 동일한 부호를 붙이며, 또한 부호의 뒤에 'D'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는, 대표적으로, 도 1의 구성에 적용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도 6 또는 도 7의 구성에도 적용 가능하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도 8에 있어서, 드라이버 증폭기(1)의 입출력 단자(90, 91) 사이에 병렬로 삽입된 귀환 회로(100D)는 M(M은 2 이상의 자연수)개의 병렬 루프 회로로 이루어지고, M개의 제 2 스위치(101a, 101b, …, 101m)와, M개의 용량 소자(102a, 102b, …, 102m)와, M개의 저항 소자(103a, 103b, …, 103m)를 구비하고 있다.
도 8의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200D)에서, 상술한(도 1)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200)와의 상이점은, M개의 용량 소자(102a~102m)과 M개의 저항 소자(103a~103m)로 이루어지는 M개의 직렬 접속 회로를 장하하고, 제 2 출력 모드시에, 제어 회로(80D)가 M개의 제 2 스위치(101a~101m) 중 소망의 수를 온 제어함으로써 귀환 회로(100D)의 귀환량 β을 조정하는 것에 있다.
이로써, 전술한 실시예 1과 비교해서, M가지의 이득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이득의 미조정이 가능하게 되어, 많은 출력 모드가 요구되는 다중 모드 시스템에도 적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의한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제 1 출력 모드의 동작에 대해서는, 상술한(도 2) 바와 마찬가지기 때문에 생략한다.
한편, 제 2 출력 모드에서는, 제어 회로(80D)는 부귀환형 증폭기(10D)에 최종단 증폭기(2)가 직렬 접속되도록 제 1 스위치(7, 8)를 제어함과 아울러, 요구되는 이득에 맞춰서, 제 2 스위치(101a~101m)의 온/오프를 선택하고, 제 2 스위치(101a~101m)의 소망의 수를 온 제어한다.
즉, 최하단의 용량 소자(102a) 및 저항 소자(103a)만을 유효화하는 경우에는, 제 2 스위치(101a)만을 온시키고, 밑에서부터 2번째단까지의 용량 소자(102a, 102b) 및 저항 소자(103a, 103b)만을 유효화하는 경우에는, 제 2 스위치(101a, 101b)만을 온시키며, 최상단까지의 용량 소자(102a~102m) 및 저항 소자(103a~103m)을 유효화하는 경우에는, M개의 모든 제 2 스위치(101a~101m)를 온시킨다. 이로써, 귀환 회로(100D)의 저항값이 순차적으로 감소하여 귀환량 β이 증대하고, 이득이 감소하기 때문에, 부귀환형 증폭기(10D)의 이득을 M 가지로 조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4(도 8)에 의하면, 용량 소자 및 저항 소자로 이루어지는 직렬 접속 회로를, 드라이버 증폭기(1)의 입출력 단자(90, 91) 사이에 병렬로 M개 장하하여 귀환 회로(100D)를 구성하고, M개의 제 2 스위치(101a~101m)의 온/오프에 의해서 귀환 회로(100D)의 귀환량 β을 조정함으로써 M 가지의 이득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전술한 실시예 1에 비해서, 이득의 미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즉, 제 2 스위치(101a~101m)를 거쳐서 병렬 접속된 M개의 직렬 접속 회로(각각 직렬 접속된 용량 소자(102a~102m) 및 저항 소자(103a~103m))로 이루어지는 귀환 회로(100D)의 저항값은 및 용량값은, 제 2 스위치(101a~101m)의 온/오프에 의해서 가변 설정되기 때문에, 저항값에 따른 귀환량 β과, 용량값에 따른 주파수 특성 양쪽을 가변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더 많은 출력 모드가 요구되는 다중 모드 시스템에도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5)
한편, 상기 실시예 4(도 8)에서는, 제 2 출력 모드에 있어서, 용량 소자 및 저항 소자로 이루어지는 M개의 직렬 접속 회로를 선택적으로 유효화함으로써 귀환 회로(100D)의 저항값 및 용량값(귀환량 β 및 주파수 특성) 양쪽을 가변 설정했지만, 용량 소자 또는 저항 소자 중 어느 하나를 고정값으로 하고, 다른 하나만을 선택적으로 전환해도 된다.
예컨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스위치(101a)와 드라이버 증폭기(1)의 출력 단자(91) 사이에 단일의 용량 소자(102)를 삽입하고, 제 2 스위치(101a~101m)를 거쳐서 M개의 저항 소자(103a~103m)를 병렬 접속하며, 제 2 스위치(101a~101m)의 온/오프에 의해서 귀환 회로(100E)의 저항값만을 가변 설정하도록 구성하면, 귀환량 β(이득)만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도 9 내의 용량 소자(102) 대신, 제 2 스위치(101a)와 드라이버 증폭기(1)의 출력 단자(91) 사이에 단일의 저항 소자(103)를 삽입하고, 제 2 스위치(101a~101m)를 거쳐서 M개의 용량 소자(102a~102m)(도 8 참조)를 병렬 접속하고, 제 2 스위치(101a~101m)의 온/오프에 의해서 귀환 회로의 용량값만을 가변 설정하도록 구성하면, 귀환 회로(100E)의 용량값(주파수 특성)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실시예 6)
한편, 상기 실시예 1~5에서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았지만, 귀환 회로(100, 100B, 100C, 100D) 내에, 고역 통과 필터, 저역 통과 필터 또는 위상 리드 회로(a phase lead circuit)를 추가 삽입해도 된다.
예컨대, 상술한 실시예 1(도 1)의 귀환 회로(100)에 고역 통과 필터를 추가하는 경우에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역 통과 필터를 구성하는 용량 소자(105)를 귀환 회로(100F)에 추가 삽입함과 아울러, 귀환 회로(100F)와 그라운드의 사이에 고역 통과 필터를 구성하는 저항 소자(106)를 삽입하면 된다.
이로써, 저주파 신호의 귀환이 저지되어, 고역 신호의 귀환량만을 증대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귀환 회로에 저역 통과 필터를 추가하는 경우에는, 도 10 내의 용량 소자(105) 대신, 저역 통과 필터를 구성하는 저항 소자를 귀환 회로에 추가 삽입함과 아울러, 귀환 회로와 그라운드의 사이에 저역 통과 필터를 구성하는 용량 소자를 삽입하면 된다.
이로써, 고주파 신호의 귀환이 저지되어, 저역 신호의 귀환량만을 증대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귀환 회로에 위상 리드 회로를 추가하는 경우에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상 리드 회로를 구성하는 용량 소자(107) 및 저항 소자(108)의 병렬 접속 회로를 귀환 회로에 추가 삽입하면 된다.
이로써, 귀환 신호의 위상 지연을 방지하여 발진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7)
한편, 상기 실시예 1~6에서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았지만, 드라이버 증폭기(1) 및 최종단 증폭기(2)로서, 헤테로 접합 바이폴라 트랜지스터(HBT:Heterojunction Bipolar Transistor)를 이용해도 된다.
이로써, 넓은 출력 전력 범위에서 고효율 특성을 손상하는 일없이,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의 고속 동작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넓은 용도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6에서는, 2개의 출력 모드(저 출력 전력 모드 및 고 출력 전력 모드)를 갖는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2개의 출력 모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임의의 복수의 출력 모드를 갖는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예컨대, 드라이버 증폭기(1) 및 최종단 증폭기(2)를, 각각 이득이 다른 복수의 병렬 증폭기에 의해 구성하고, 전환 스위치를 통해서 소요의 증폭기를 선택하도록 구성하면 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각 대표적인 적용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각 실시예의 구성을 임의로 조합해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경우, 각 실시예에서의 효과를 중복해서 얻을 수 있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1 : 드라이버 증폭기
2 : 최종단 증폭기
7, 7B, 8 : 제 1 스위치(제 1 전환 수단)
10, 10B~10G : 부귀환형 증폭기
80A~80G : 제어 회로
100, 100B~100G : 귀환 회로
101, 101a~101m : 제 2 스위치(제 2 전환 수단)
102,102a~102m : 용량 소자
103, 103a~103m : 저항 소자
104 : 직류 저지용 용량 소자
105 : 고역 통과 필터의 용량 소자
106 : 고역 통과 필터의 저항 소자
107 : 위상 리드 회로의 용량 소자
108 : 위상 리드 회로의 저항 소자
200, 200B~200G :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

Claims (17)

  1. 출력 전력이 다른 복수의 출력 모드를 갖는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로서,
    전환 수단을 거쳐서 직렬 접속된 N개(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증폭기와,
    상기 복수의 출력 모드에 따라, 상기 N개의 증폭기의 접속 상태 및 온/오프 상태를 전환 제어하는 제어 회로
    를 구비하고,
    상기 N개의 증폭기 중 P개(P는 1 이상의 자연수, P≤N)의 증폭기는, 드라이버 증폭기를 구성함과 아울러, 자신의 출력 신호를 자신의 입력측으로 부귀환시키는 귀환 회로를 포함하는 부귀환형 증폭기를 구성하며,
    상기 N개의 증폭기 중 N-P개의 증폭기는, 상기 부귀환형 증폭기에 대해 접속 해제 가능하게(disconnectable) 직렬 접속된 최종단 증폭기를 구성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요구되는 출력 전력이 비교적 낮은 제 1 출력 모드에서는, 상기 최종단 증폭기를 상기 부귀환형 증폭기로부터 접속 해제함과 아울러, 상기 드라이버 증폭기에 병렬 접속된 상기 귀환 회로를 무효화하고,
    요구되는 출력 전력이 비교적 높은 제 2 출력 모드에서는, 상기 최종단 증폭기를 상기 부귀환형 증폭기에 직렬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귀환 회로를 유효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단 증폭기에 마련된 제 1 전환 수단과,
    상기 귀환 회로에 마련된 제 2 전환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 1 출력 모드에서는, 상기 최종단 증폭기를 단락하도록 상기 제 1 전환 수단을 전환함과 아울러, 상기 제 2 전환 수단을 오프로 해서 상기 귀환 회로를 무효화하고,
    상기 제 2 출력 모드에서는, 상기 부귀환형 증폭기에 대해 상기 최종단 증폭기를 직렬 접속하도록 상기 제 1 전환 수단을 전환함과 아울러, 상기 제 2 전환 수단을 온으로 해서 상기 귀환 회로를 유효화하며,
    상기 부귀환형 증폭기는 상기 제 2 출력 모드에서는, 상기 제 1 출력 모드에 있어서의 증폭율보다 낮은 증폭율로 입력 신호를 증폭하고,
    상기 최종단 증폭기는 상기 제 2 출력 모드에서만, 상기 부귀환형 증폭기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더 증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전환 수단은 각각 제 1 및 제 2 스위치에 의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전환 수단은 단일의 전환 수단으로 공용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귀환 회로는 저항 소자 및 용량 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귀환 회로는 저항 소자 및 용량 소자로 이루어지는 직렬 접속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귀환 회로는 상기 드라이버 증폭기의 입력측에 직렬 접속된 직류 저지용 용량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귀환 회로는 고역 통과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역 통과 필터는 상기 귀환 회로에 추가 삽입된 용량 소자와, 상기 귀환 회로와 그라운드 사이에 삽입된 저항 소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
  10.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귀환 회로는 저역 통과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저역 통과 필터는 상기 귀환 회로에 추가 삽입된 저항 소자와, 상기 귀환 회로와 그라운드 사이에 삽입된 용량 소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
  12.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귀환 회로는 위상 리드 회로(a phase lead circui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리드 회로는 상기 귀환 회로에 추가 삽입된 저항 소자 및 용량 소자의 병렬 접속 회로에 의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
  14. 제 2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귀환 회로는 상기 제 2 전환 수단을 거쳐서 병렬 접속된 M개(M은 2 이상의 자연수)의 저항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환 수단의 온/오프에 의해서 저항값이 가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
  15. 제 2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귀환 회로는 상기 제 2 전환 수단을 거쳐서 병렬 접속된 M개(M은 2 이상의 자연수)의 용량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환 수단의 온/오프에 의해서 용량값이 가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
  16. 제 2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귀환 회로는 상기 제 2 전환 수단을 거쳐서 병렬 접속된 M개(M은 2 이상의 자연수)의 직렬 접속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M개의 직렬 접속 회로는 각각 직렬 접속된 용량 소자 및 저항 소자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귀환 회로의 저항값 및 용량값은 상기 제 2 전환 수단의 온/오프에 의해서 가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증폭기는 각각 헤테로 접합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에 의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
KR1020137020747A 2011-01-19 2011-11-09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 KR201301266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08934 2011-01-19
JPJP-P-2011-008934 2011-01-19
PCT/JP2011/075862 WO2012098754A1 (ja) 2011-01-19 2011-11-09 出力モード切替増幅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6683A true KR20130126683A (ko) 2013-11-20

Family

ID=46515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0747A KR20130126683A (ko) 2011-01-19 2011-11-09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30249626A1 (ko)
JP (1) JPWO2012098754A1 (ko)
KR (1) KR20130126683A (ko)
CN (1) CN103329433A (ko)
TW (1) TW201304400A (ko)
WO (1) WO20120987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923391C (en) 2013-09-11 2018-10-23 Ricoh Company, Lt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obile device
US9160376B1 (en) * 2014-09-15 2015-10-13 Qualcomm, Inc. Programmable stabilization network
US10444261B2 (en) * 2014-12-22 2019-10-15 Sony Corporation Signal detector,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ignal detector
JP2018181943A (ja) * 2017-04-05 2018-11-1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力増幅モジュール
US10840957B2 (en) 2018-08-21 2020-11-17 Skyworks Solutions, Inc.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systems with coexistence management based on digital observation data
US10840958B2 (en) 2018-08-21 2020-11-17 Skyworks Solutions, Inc.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systems with discrete time cancellation for coexistence management
US10855325B2 (en) 2018-08-21 2020-12-01 Skyworks Solutions, Inc. Discrete time cancellation for providing coexistence in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systems
US11558079B2 (en) 2019-01-15 2023-01-17 Skyworks Solutions, Inc.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systems with interference cancellation for coexistence
US11309839B2 (en) 2019-05-06 2022-04-19 Mediatek Inc. High signal-to-noise ratio amplifier with multiple output modes
US11736140B2 (en) 2019-09-27 2023-08-22 Skyworks Solutions, Inc. Mixed signal low noise interference cancellation
US11784419B2 (en) * 2019-09-27 2023-10-10 Skyworks Solutions, Inc. Antenna-plexer for interference cancellation
CN111193476B (zh) * 2020-02-27 2022-10-14 广州慧智微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放大器及放大方法
CN116346050A (zh) * 2023-05-24 2023-06-27 广州慧智微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功率放大器系统和放大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32412U (ja) * 1982-03-02 1983-09-07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パワ−ブ−スタ用入力回路
JPH0690123A (ja) * 1991-12-05 1994-03-29 Fujitsu Ltd 帰還回路
JPH07273557A (ja) * 1994-03-29 1995-10-2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周波数変換回路
JP3838447B2 (ja) * 1995-08-31 2006-10-25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US5862461A (en) * 1995-08-31 1999-01-19 Sony Corporation Transmitting apparatus and method of adjusting gain of signal to be transmitted, and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of adjusting gain of received signal
JP2003309436A (ja) * 2002-04-15 2003-10-31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増幅回路及び電力制御方法
JP2003318672A (ja) * 2002-04-23 2003-11-07 Denso Corp 電力増幅装置
JP2003347870A (ja) * 2002-05-22 2003-12-05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力増幅器
JP2007243606A (ja) * 2006-03-08 2007-09-20 Sony Corp 信号増幅装置
US7479827B2 (en) * 2006-03-21 2009-01-20 Fairchild Semiconductor Corporation Multi-mode power amplifier with high efficiency under backoff operation
JP4269188B2 (ja) * 2007-02-05 2009-05-27 ソニー株式会社 可変利得増幅回路、受信機および受信機用ic
JP2009225342A (ja) * 2008-03-18 2009-10-01 New Japan Radio Co Ltd 利得可変型低雑音増幅器
US8102205B2 (en) * 2009-08-04 2012-01-24 Qualcomm, Incorporated Amplifier module with multiple operating modes
JP2011041172A (ja) * 2009-08-18 2011-02-24 Ricoh Co Ltd 電子ボリューム回路
US8149050B2 (en) * 2009-11-13 2012-04-03 Qualcomm, Incorporated Cascaded amplifiers with transformer-based bypass mo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98754A1 (ja) 2012-07-26
JPWO2012098754A1 (ja) 2014-06-09
TW201304400A (zh) 2013-01-16
CN103329433A (zh) 2013-09-25
US20130249626A1 (en) 2013-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26683A (ko) 출력 모드 전환 증폭기
JP5141389B2 (ja) 電力増幅器
US9118282B2 (en) Power amplifier and amplification method thereof
JP5962462B2 (ja) 増幅器および無線通信装置
US10778169B2 (en) Power amplification module
JP5523619B2 (ja) 可変利得増幅器
JP2007259409A (ja) 可変利得増幅器
US20110260794A1 (en) High frequency power amplifier
JPWO2006006244A1 (ja) 高出力増幅器
US9166527B2 (en) Amplification circuit having optimization of power
US9667202B2 (en) Power amplifier and method
JP5708190B2 (ja) 高周波増幅回路、無線装置
US20230105756A1 (en) Power amplifier
CN110838827A (zh) 放大电路
JP5757362B2 (ja) 高周波増幅回路、無線装置
CN111193476B (zh) 一种放大器及放大方法
KR20220136253A (ko) 감소된 이득 변동을 갖는 전력 증폭
KR102075951B1 (ko) 전력 증폭 회로
US11018643B2 (en) Signal amplifier device
US8058931B1 (en) Enhancing an operational amplifier&#39;s capacitive load driving capability using parallel Miller feedback
US7057458B2 (en) Balanced power amplifier and high-frequency communication apparatus
JP2005184258A (ja) 高周波増幅器
CN104639076A (zh) 一种低功耗的宽带全差分运算放大器
KR100847184B1 (ko) 고출력 증폭기
WO2016130785A1 (en) Switcher noise red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