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2782A - 쉴드 도전체 - Google Patents

쉴드 도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2782A
KR20130122782A KR1020137021890A KR20137021890A KR20130122782A KR 20130122782 A KR20130122782 A KR 20130122782A KR 1020137021890 A KR1020137021890 A KR 1020137021890A KR 20137021890 A KR20137021890 A KR 20137021890A KR 20130122782 A KR20130122782 A KR 201301227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metal pipe
case
outer layer
lay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1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키 아오야마
마사노리 구와하라
후지오 소노다
야스시 이타니
요시노리 스기모토
가츠토시 이자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오토네트웍스 테크놀로지스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오토네트웍스 테크놀로지스,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오토네트웍스 테크놀로지스
Publication of KR20130122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27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 H05K9/0088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comprising a plurality of shielding layers; combining different shielding material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1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wear,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Sheaths; Armouring
    • H01B7/20Metal tubes, e.g. lead sheath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81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with a circular cross-s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68Corrug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쉴드 도전체(10)는 전선(11), 금속 파이프(15), 튜브형 보호구(20)를 포함한다. 보호구(20)는 금속 파이프(15)의 단부로부터 케이스(16)의 단부까지 연장되는 부분을 덮는다. 보호구(20)는 가요성 절연체로 이루어진 튜브형의 외층 부재(21)와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진 튜브형의 쉴드 부재(23)를 포함한다. 외층 부재(21)는 제1 접속부(23A)로부터 제2 접속부(23B)까지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제1 접속부(23A)는 금속 파이프(15)에 접속되고, 제2 접속부(23B)는 케이스(16)에 접속된다. 쉴드 부재(23)는 외층 부재(21)의 내측면을 따라 배치되며, 외층 부재(21)와 일체로 마련된다. 쉴드 부재(23)는 제1 접속부(23A)에서 금속 파이프(1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제2 접속부(23B)에서 케이스(16)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Description

쉴드 도전체{SHIELD CONDUCTOR}
본 발명은 쉴드 도전체에 관한 것이다.
쉴드 도전체는, 예컨대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차량에 탑재되어 인버터, 모터, 배터리와 같은 장치를 서로 접속시킨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쉴드 도전체는 전선과, 이 전선의 주위를 덮는 쉴드 부재를 포함한다. 전선은 케이스 내에 마련된 접속 단자와 같은 기기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쉴드 부재는 쉴드 도전체의 단부에서 도전성의 케이스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쉴드 도전체는 케이스에 접속된 접속부와 함께 전선과 쉴드 부재를 보호하는 보호구를 포함할 수 있다(특허문헌1 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보호구는, 고무제의 튜브형 부재이다. 상기 튜브형 부재는 전선의 주위를 덮는 쉴드 부재의 외측에 배치된다. 상기 튜브형 부재의 단부는 케이스의 일부를 덮는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쉴드 도전체에 있어서, 쉴드 부재는 전선에 마련되어 전선으로부터 발생된 전자파를 차단한다. 보호구는 전선 및 쉴드 부재를 보호하도록 마련된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쉴드 도전체는, 금속선을 서로 교차시켜 메시(mesh)형으로 제조한 튜브형 편조선(braided wire)을 포함한다. 편조선은 쉴드 부재로서 마련된다. 이 편조선의 단부는, 전선으로부터 발생된 전자파를 차단하고 전선을 보호하는 금속 파이프에 접속될 수 있다(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6-313698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71952호 공보
전술한 쉴드 도전체에 있어서, 전자(電磁) 차폐 및 전선 보호를 위해 부재의 부착 작업에서, 편조선, 금속 파이프, 보호구를 전선에 순차적으로 부착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쉴드 도전체에서 이러한 부착 작업은 번거로운 문제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 차폐 및 전선 보호 부재의 부착을 심플하게 하는 쉴드 도전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쉴드 도전체는 전선, 금속 파이프 및 튜브형 보호구를 포함한다. 전선은 케이스에 마련된 장치에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금속 파이프는 전선을 둘러싼다. 튜브형 보호구는 상기 금속 파이프의 단부로부터 케이스의 단부까지 연장되는 전선의 부분을 덮는다. 보호구는 튜브형의 외층 부재와 튜브형의 가요성 쉴드 부재를 포함한다. 외층 부재는 제1 접속부로부터 제2 접속부까지 연장되어 배치된다. 외층 부재는 가요성 절연체로 이루어진다. 제1 접속부는 금속 파이프에 접속되고, 제2 접속부는 케이스에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튜브형 가요성 쉴드 부재는 외층 부재의 내측면을 따라 배치되며, 외층 부재와 일체로 마련된다. 쉴드 부재는 도전성의 재료로 이루어지고, 보호구의 제1 접속부에서 금속 파이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보호구의 제2 접속부에서 케이스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 차폐와 전선 보호 부재는,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부착된다. 먼저, 튜브형 보호구를 금속 파이프의 단부에 부착한다. 다음으로, 전선을 상기 금속 파이프에 삽입 관통시키고 나서, 케이스 내에 마련된 장치에 접속시킨다. 그리고, 보호구를 전선이 접속된 케이스의 단부에 결속한다. 이에 의해, 보호구는 금속 파이프의 단부로부터 케이스의 단부까지 연장되어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튜브형 보호구는 금속제 파이프의 단부로부터 케이스의 단부까지 연장되는 전선의 부분을 덮는다. 상기 보호구는 튜브형의 외층 부재와 튜브형의 가요성 쉴드 부재를 포함한다. 외층 부재는 제1 접속부로부터 제2 접속부까지 연장되어 배치된다. 외층 부재는 가요성 절연체로 이루어진다. 제1 접속부는 금속 파이프에 접속되고, 제2 접속부는 케이스에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치에 접속되는 접속부를 포함하는 전선은, 케이스 내의 장치에 접속되고 금속 파이프를 삽입 관통하는 전선에 보호구를 결속하는 것만으로도 보호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호구를 전선에 부착하는 것만으로도, 쉴드 부재의 제1 접속부와 금속 파이프 사이 및 쉴드 부재의 제2 접속부와 케이스 사이에서 전기적 접속이 확실하게 된다. 쉴드 부재는 도전성의 재료로 이루어지며, 보호구의 외층 부재의 내측면에 일체로 마련된다. 이것은 전자 차례 및 전선 보호를 위한 부재를 부착하는 작업을 심플하게 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쉴드 도전체는 가요성 절연체로 이루어진 튜브형 내층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에 상응하는 쉴드 부재의 내측면의 일부를 제외한 쉴드 부재의 내측면에 내층 부재가 마련된다. 내층 부재 및 외층 부재는 쉴드 부재를 사이에 끼워 서로 일체가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쉴드 부재는 전선 또는 전선에 접속된 단자에 걸릴 가능성이 적다. 그러므로, 보호구를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으며, 쉴드 부재의 내측면을 보호할 수 있다.
제1 접속부에 상응하는 보호구의 부분에 제1 고정 부재를 결속하여 보호구를 금속 파이프에 고정한다. 제2 접속부에 상응하는 보호구의 부분에 제2 고정 부재를 결속하여 보호구를 케이스에 고정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쉴드 부재와 금속 파이프 사이 및 쉴드 부재와 케이스 사이에서의 전기적 접속을 확실히 할 수 있다.
제1 고정 부재 및 제2 고정 부재 중 적어도 하나가, 보호구의 쉴드 부재의 내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보호구 및 고정 부재를 단일 부재로서 마련할 수 있다.
외층 부재는 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외층 부재의 탄성에 의해 제1 접속부가 금속 파이프의 단부에 압착되어, 쉴드 부재 및 금속 파이프 사이의 접속을 확고하게 할 수 있다. 외층 부재의 탄성에 의해 제2 접속부가 케이스의 단부에 압착되어, 쉴드 부재 및 케이스 사이의 접속을 확고하게 할 수 있다.
내층 부재는 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보호구와 금속 파이프 사이 및 보호구와 케이스 차이의 접속을 확고히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자 차폐 및 전선 보호를 위한 부재의 부착 작업을 심플하게 한 쉴드 도전체를 제공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실드 도전체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X-X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쉴드 도전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클램프 밴드(고정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고정 부재를 고정하기 전에 있어서의 쉴드 도전체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쉴드 도전체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Y-Y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쉴드 도전체의 단면도이다.
도 9는 C링(고정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고정 부재를 고정하기 전에 있어서의 쉴드 도전체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형태(1)에서 설명되는 쉴드 도전체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형태(2)에서 설명되는 쉴드 도전체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고정 부재를 고정하기 전에 있어서의 도 12의 쉴드 도전체의 단면도이다.
<제1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쉴드 도전체(10)는 전선(11), 금속 파이프(15) 및 튜브형 보호구(20)를 포함한다. 전선(11)은 전장품의 케이스(16) 내에 수용된 장치(도시 생략)에 접속된다. 금속 파이프(15)는 전선(11)의 주위를 덮는다. 보호구(20)를 케이스(16)에 접속할 때, 보호구(20)는 금속 파이프(15)의 단부로부터 케이스(16)의 단부까지 연장되는 전선(11)의 부분을 덮는다.
전선(11)을 금속 파이프(15) 및 보호구(20)로 둘러싸기 때문에, 전선(11)으로부터의 전자파가 차폐된다. 쉴드 도전체(10)는 전기 자동차 및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차량(도시 생략)에 장착되어, 배터리(도시 생략), 인버터(도시 생략), 모터(도시 생략)와 같은 전장품을 서로 접속시킨다.
전선(11)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3개의 전선(11)이 금속 파이프(15)의 내측 및 보호구(20)의 내측을 삽입 관통하고, 삼각형상으로 배치된다[전선(11)의 중심을 연결한 선이 실질적으로 정삼각형을 형성하도록 전선(11)이 배치된다]. 각각의 전선(11)은 심선(12) 및 절연 피복(13)을 포함한다. 심선(12)은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금속으로 이루어진다(예컨대, 구리, 구리 합금,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스테인리스 등). 절연 피복(13)은 심선(12)의 외주를 덮는다. 심선(12)은 봉형의 단일 심선일 수 있으며, 복수의 얇은 금속선을 서로 꼬아 만든 연선(撚線)일 수도 있다. 상세히 설명하지는 않지만 단자 커넥터가 전선(11)의 단부에 마련되고, 케이스(16) 내에 마련된 장치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케이스(16)는 알루미늄, 스테인리스와 같은 금속(도전체)으로 이루어진다.
금속 파이프(15)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금속 파이프(15)는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그 전체 둘레에 걸쳐 일정한 두께를 갖는다. 즉, 금속 파이프(15)의 내주와 외주는 동심 원형이다. 금속 파이프(15)의 외주면은 매끄럽고 만곡된다.
금속 파이프(15)는,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철, 스테인리스, 구리 및 구리 합금 등, 필요에 따라 임의의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금속 파이프(15)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다. 금속 파이프(15)가 철로 이루어진 경우, 금속 파이프(15)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 방청 처리를 실시할 수도 있다. 아연 도금 및 필름 코팅 등, 필요에 따라 임의의 방청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보호구(20)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금속 파이프(15)의 단부로부터 케이스(16)의 단부까지 연장되는 전선(11)의 부분을 덮도록 보호구(20)가 배치된다. 보호구(20)는 외층 부재(21), 내층 부재(22) 및 쉴드 부재(23)를 포함한다. 외층 부재(21)는 보호구(20)의 외주면을 구성한다. 내층 부재(22)는 보호구(20)의 내주면을 구성한다. 쉴드 부재(23)는 외층 부재(21)와 내층 부재(22) 사이에 마련된다.
각각의 외층 부재(21) 및 내층 부재(22)는 튜브형으로 형성되고, 플루오린계 고무, 실리콘 고무, 아크릴 고무와 같은 고무로 이루어진다.
외층 부재(21)는, 외층 부재(21)의 일단부(도 3의 우측 단부 참조)가 금속 파이프(15)의 단부와 중첩되게 배치되며, 외층 부재(21)의 타단부(도3의 좌측 단부 참조)가 케이스(16)의 단부와 중첩되게 배치된다. 외층 부재(21)는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서 파형(波形)으로 형성된 외측면을 갖는다. 즉, 볼록부(21A) 및 오목부(21B)가 교대로 반복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외층 부재(21)는 쉽게 굴곡된다.
쉴드 부재(23)는 금속선을 서로 교차시켜 메시(mesh)형으로 제조한 편조선으로 구성된다. 쉴드 부재(23)는 일단부(23A)[도 3의 우단부(23A) 참조]와 타단부(23B)[도 3의 좌단부(23B) 참조]를 갖는다. 일단부(23A)는 외층 부재(21)와 함께 외측으로부터 금속 파이프(15)에 결속되고, 금속 파이프(15)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타단부(23B)는 외층 부재(21)와 함께 외측으로부터 케이스(16)에 결속되고, 케이스(16)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금속 파이프(15)에 접속되는 쉴드 부재(23)의 일단부(23A)는, 제1 접속부(23A)이다. 케이스(16)에 접속되는 쉴드 부재(23)의 타단부(23B)는, 제2 접속부(23B)이다. 편조선으로 구성되는 쉴드 부재(23)는, 만곡시키는 벤딩, 길이 방향에서의 신축, 직경의 변경과 같은 임의의 변형이 가능한 높은 가요성을 갖는다.
쉴드 부재(23)의 금속선은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철, 스테인리스, 구리, 구리 합금 중 필요에 따라 임의의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구리 또는 구리 합금이 이용된다. 금속선의 표면에 도금층을 형성할 수 있다. 도금층은 주석, 니켈, 크롬 등 필요에 따라 임의의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쉴드 부재(23)는 구리 또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튜브형의 도전성 필름일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피부(22)는, 외층 부재(21)와 쉴드 부재(23)가 금속 파이프(15)에 접속되는 제1 접속부(23A) 및 외층 부재(21)와 쉴드 부재(23)가 케이스(16)에 접속되는 제2 접속부(23B)를 제외한 쉴드 부재(23)의 내측면의 일부를 따라 튜브 형상으로 마련된다. 외층 부재(21)와 마찬가지로, 내층 부재(22)의 내측 표면은 파형으로 형성되며, 볼록부(22A)와 오목부(22B)가 교대로 반복하여 형성된다.
고정 부재(30)
제1 접속부(23A)에 상당하는 보호구(20)의 부분과 제2 접속부(23B)에 상당하는 보호구(20)의 부분에는, 금속제의 클램프 밴드(30)가 결속된다. 제1 접속부(23A)에 상응하는 보호구(20)의 부분에 클램프 밴드(30A)를 결속시켜 클램핑함으로써, 보호구(20)는 금속제 파이프(15)에 고정된다. 이것은 금속 파이프(15)와 쉴드 부재(23)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확실하게 한다. 마찬가지로, 제2 접속부(23B)에 상응하는 보호구(20)의 부분에 클램프 밴드(30B)를 결속시켜 클램핑함으로써, 보호구(20)는 케이스(16)에 고정된다. 이것은 케이스(16)와 보호구(20)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확실하게 한다. 제1 접속부(23A)에 결속되어 클램핑하는 클램프 밴드(30A)는, 제1 클램프 밴드(30A)(제1 고정 부재의 일례)이다. 제2 접속부(23B)에 결속되어 클램핑하는 클램프 밴드(30B)는, 제2 클램프 밴드(30B)(제2 고정 부재의 일례)이다. 제1 클램프 밴드(30A) 및 제2 클램프 밴드(30B)를 총괄하여 클램프 밴드(30)로 지칭한다.
각각의 클램프 밴드(30)는 벨트형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밴드 부재(33)로 구성된다. 밴드 부재(33)의 2개의 단부는 서로 중첩되고, 링형으로 밴드 부재(33)가 형성된다. 중첩되는 부분에서 반경 외측에 위치된 밴드 부재(33)의 2개의 단부 중 하나는 외측 밴드부(34)이다. 외측 밴드부(34)는 관통 구멍(35)을 갖는다. 중첩되는 부분에서 반경 내측에 위치된 밴드 부재(33)의 2개의 단부 중 다른 하나는 내측 밴드부(36)이다. 내측 밴드부(36)는 스토퍼(37)를 갖는다. 스토퍼(37)는 내측 밴드부(36)를 절개하고 반경 방향 외측으로 절개부를 세워 형성된다. 스토퍼(37)는 외측 밴드부(34) 내의 관통 구멍(35)을 삽입 관통하여, 관통 구멍(35)의 둘레 가장자리에 의해 정지된다. 이에 의해, 클램프 밴드(30)를 링형으로 유지한다.
밴드 부재(33)는 클램프부(38)를 더 갖는다. 각각의 클램프부(38)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밴드 부재(33)를 게이트형으로 벤딩하여 형성된다. 2개의 클램프부(38)는 밴드 부재(33)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단부에 위치된다. 클램프 부재(38)를 공지된 지그(jig)로 클램핑하여 압착함으로써 밴드 부재(33)의 직경은 축소된다. 밴드 부재(33)가 그 직경이 감소되어 변형되면, 제1 클램프 밴드(30A)의 반경 내측에 위치되는 외층 부재(21), 쉴드 부재(23) 및 금속 파이프(15)는, 제1 접속부(23A)에 상응하는 보호구(20)의 부분에서 서로 확고하게 고정된다. 밴드 부재(33)가 그 직경이 감소되어 변형되면, 제2 클램프 밴드(30B)의 반경 내측에 위치되는 외층 부재(21), 쉴드 부재(23) 및 케이스(16)는, 제2 접속부(23B)에 상응하는 보호구(20)의 부분에서 서로 확고하게 고정된다.
쉴드 도전체(10)의 제조 공정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쉴드 도전체(10)의 제조 공정을 설명한다. 쉴드 도전체(10)의 제조 공정은, 이하의 공정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튜브형 쉴드 부재(23)의 2개의 단부[제1 접속부(23A) 및 제2 접속부(23B)에 상응하는 부분]의 내측면을 마스킹한다. 그리고, 고무제의 외층 부재(21) 및 내층 부재(22)가 쉴드 부재(23)의 외측면 및 내측면에 형성되도록 쉴드 부재(23)를 성형한다. 제1 접속부(23A) 및 제2 접속부(23B)에 상응하는 쉴드 부재(23)의 내측면의 부분이 노출되는[고무제의 내층 부재(22)를 갖지 않는] 보호구(20)가 얻어진다. 단부(23A, 23B)에 내층 부재(22)를 갖지 않는 쉴드 부재(23)를 형성하는 다른 방법을, 예를 들어 이하에 설명한다. 외층 부재(21) 및 내층 부재(22)를 쉴드 부재(23)의 외측면 및 내측면의 전 영역에 걸쳐 형성시킨 후, 내측면의 단부에 형성된 내층 부재(22)를 나이프로 떼어낸다.
그리고, 전선(11)을 금속 파이프(20) 및 얻어진 보호구(20)에 삽입 관통시킨다. 전선(11)을 케이스(16) 내에 배치된 장치에 접속시킨 후, 전선(11)이 장치에 접속된 케이스(16)의 단부에 보호구(20)를 결속시킨다. 이에 의해, 보호구(20)는 파이프(15)의 단부로부터 케이스(16)의 단부까지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다음으로, 제1 클램프 밴드(30A)를 제1 접속부(23A)에 상응하는 보호구(20)의 외측면의 부분에 결속시키고, 제2 클램프 밴드(30B)를 제2 접속부(23B)에 상응하는 보호구(20)의 외측면의 부분에 결속시킨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클램프 밴드(30)를 밴드 부재(33)의 2개의 단부 사이가 이격된 상태로 준비한다. 이것은 클램프 밴드(30)를 보호구(20)의 외측면에 결속시키는 작업성을 향상시킨다. 밴드 부재(33)를 보호구(20)의 외측면 주위에 배치시킨 후, 밴드 부재(33)의 2개의 단부를 중첩시킨다. 그리고, 내측 밴드부(36)의 스토퍼(37)를 외측 밴드부(34)의 관통 구멍(35)에 삽입 관통시킨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토퍼(37)가 관통 구멍(35)의 둘레 가장자리에 의해 정지되어, 밴드 부재(33)를 링형으로 유지한다. 도 5는 금속 파이프(15)와 제1 클램프 밴드(30A)를 클램핑하기 전의 쉴드 도전체(10)를 도시한다. 또한, 케이스(16)와 제2 클램프 밴드(30B)를 클램핑하기 전의 쉴드 도전체(10)도, 도 5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다음으로, 제1 클램프 밴드(30A)의 클램프부(38)를 공지된 지그로 압착하여 변형시킨다. 이 변형은 밴드 부재(33)의 직경을 축소시켜, 제1 클램프 밴드(30)로 보호구(20) 및 금속 파이프(15)를 서로 확고하게 고정시킨다(도 2 참조). 마찬가지로, 제2 클램프 부재(30B)의 클램프부(38)를 공지된 지그로 압착하여 변형시킨다. 이 변형은 밴드 부재(33)의 직경을 축소시켜, 제2 클램프 밴드(30)로 보호구(20)와 케이스(16)를 서로 확고하게 고정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쉴드 부재(23)의 내측면을 금속 파이프(15)의 외측면 및 케이스(16)의 외측면에 접촉시킨다. 이에 의해, 쉴드 부재(23)는 제1 접속부(23A)의 금속 파이프(1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2 접속부(23B)의 케이스(16)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2는 금속 파이프(15)와 제1 클램프 밴드(30A)를 클램핑한 후의 쉴드 도전체(10)를 도시한다. 또한, 케이스(16)와 제2 클램프 밴드(30B)를 클램핑한 후의 쉴드 도전체(10)도, 도 2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작용 및 효과)
본 실시형태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보호구(20)는 가요성 절연체로 이루어진 튜브형의 외층 부재(21)와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진 튜브형의 가요성 쉴드 부재(23)를 포함한다. 외층 부재(21)는 제1 접속부(23A)로부터 제2 접속부(23B)까지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제1 접속부(23A)는 금속 파이프(15)에 접속되고, 제2 접속부(23B)는 케이스(16)에 접속된다. 쉴드 부재(23)는 외층 부재(21)의 내측면에 서로 일체가 되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장치에 접속되는 접속부를 포함하는 전선(11)은, 케이스(16) 내의 장치에 접속되고 금속 파이프(15)를 삽입 관통하는 전선(11)에 보호구(20)를 결속하는 것만으로도 보호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보호구(20)를 전선(11)에 부착하는 것만으로도, 쉴드 부재(23)의 제1 접속부(23A)와 금속 파이프(15) 사이 및 쉴드 부재(23)의 제2 접속부(23B)와 케이스(16) 사이에서 전기적 접속이 확실하게 된다. 쉴드 부재(23)는 도전성의 재료로 이루어지며, 보호구(20)의 외층 부재(21)의 내측면에 일체로 마련된다. 이것은 전자 쉴드 및 전선 보호를 위한 부재를 부착하는 작업을 심플하게 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가요성 절연체로 이루어진 튜브형 내층 부재(22)는, 외층 부재(21)와 함께 쉴드 부재(23)를 사이에 끼워 일체로 마련된다. 내층 부재(22)는 제1 접속부(23A) 및 제2 접속부(23B)에 상응하는 쉴드 부재(23)의 내측면을 제외한 쉴드 부재(23)의 내측면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쉴드 부재(23)는 전선(11) 또는 전선(11)에 접속된 단자에 걸릴 가능성이 적다. 그러므로, 보호구(20)를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으며, 쉴드 부재(23)의 내측면을 보호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클램프 밴드(30A) 및 제2 클램프 밴드(30B)는, 각각 제1 접속부(23A) 및 제2 접속부(23B)에 상응하는 보호구(20)의 부분에 결속된다. 이것은 쉴드 부재(23)와 금속 파이프(15) 사이 및 쉴드 부재(23)와 케이스(16) 사이에서의 전기적 접속을 확실하게 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보호구(20)는 클램프 밴드(20)의 클램프부(38)를 클램핑 및 압착함으로써 금속 파이프(15) 및 케이스(16)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외층 부재(21)는 고무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외층 부재(21)의 탄성에 의해 제1 접속부(23A)가 금속 파이프(15)의 단부에 압착되어 쉴드 부재(23)와 금속 파이프(15) 사이의 접속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외층 부재(21)의 탄성에 의해 제2 접속부(23B)가 케이스(16)의 단부에 압착되어 쉴드 부재(23)와 케이스(16) 사이의 접속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내층 부재(22)도 고무로 이루어지므로, 보호구(20)와 금속 파이프(15) 사이의 접속 및 보호구(20)와 케이스(16) 사이의 접속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를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의 쉴드 도전체(50)는, 보호구(60)의 내측면에 마련된 실질적으로 C형상의 C링(70)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C링(70)은 보호구(60)를 금속 파이프(15) 및 케이스(16)에 고정시킨다. C링(70)은 제1 고정 부재 및 제2 고정 부재의 일례로 마련된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C링(70)은 금속판을 C형상으로 가공함으로써 형성되며, 도전성의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다.
도 8 도시하는 바와 같이, C링은 쉴드 부재(63)의 내측면에 접속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C링(70)은 제1 접속부(63A)에 상응하는 보호구(60)의 일단부(도 8의 우단부 참조)에 접속되고, 제2 접속부(63B)에 상응하는 보호구(60)의 타단부(도 8의 좌단부 참조)에 접속된다. 제1 접속부(63A)에 상응하는 보호구(60)의 일단부에 접속된 2개의 C링 중 하나는 제1 C링(70A)(제1 고정 부재의 일례)이며, 제2 접속부(63B)에 상응하는 보호구(60)의 타단부에 접속된 2개의 C링 중 다른 하나는 제2 C링(70B)(제2 고정 부재의 일례)이다.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쉴드 도전체(50)는 제1 접속부(63A)에서 제1 C링(70A)을 거쳐 금속 파이프(1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2 접속부(63B)에서 제2 C링(70B)을 거쳐 케이스(16)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보호구(60)가 금속 파이프(15) 및 케이스(16)에 결속된 후, 제1 접속부(63A) 및 제2 접속부(63B)가 클램핑된다. 이에 의해, 각각의 C링은 금속 파이프(15) 및 케이스(16)에 확고하게 결속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클램핑을 실시하기 전의 C링(70)을 도시하는 도 10과 클램핑을 실시한 후의 C링(70)을 도시하는 도 7을 참조하여, 클램핑을 실시한 후의 C링에 형성된 간극(71)은, 클램핑을 실시하기 전의 C링에 형성된 간극(71)보다 작다. 즉, C링의 직경이 클램핑을 함으로써 감소된다.
도 10은 금속 파이프(15)에 클램핑을 실시하기 전의 제1 C링(70A)을 도시한다. 케이스(16)에 클램핑을 실시하기 전의 제2 C링(70B)도, 도 10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도 7은 금속 파이프(15)에 클램핑을 실시한 후의 제1 C링(70A)을 도시한다. 케이스(16)에 클램핑을 실시하기 전의 제2 C링(70B)도, 도 10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다음으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쉴드 도전체(50)의 제조 공정의 일례를 설명한다. 그러나, 쉴드 도전체(50)의 제조 공정은 이하의 공정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C링(70A) 및 제2 C링(70B)을 튜브형 쉴드 부재(63)의 내측면의 단부(63A, 63B)에 용접함으로써 각각 접속시킨다. 다음으로, 고무제의 외층 부재(61)를 쉴드 부재(63)의 전체 외측면 영역에 형성하고, 고무제의 내층 부재(62)를 C링(70)이 마련된 부분을 제외시켜 쉴드 부재(63)의 내측면의 부분에 형성하도록 쉴드 부재(63)를 성형한다. 이에 의해, 쉴드 부재(63)의 내측면의 각각의 단부(63A, 63B)에 2개의 C링(70A, 70B)이 마련된 보호구(60)가 얻어진다.
그리고, 전선(11)을 얻어진 보호구(60) 및 금속 파이프(15)의 내측으로 삽입 관통시킨다. 전선(11)을 케이스(16)에 마련된 장치에 접속시킨 후, 보호구(60)를 전선(11)이 장치에 접속된 케이스(16)의 단부에 접속시킨다. 이에 의해, 보호구(60)가 파이프(15)의 단부로부터 케이스(16)의 단부까지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다음으로, 제1 접속부(63A)에 상응하는 보호구(60)의 부분을 공지된 지그로 외측으로부터 클램핑한다. 이것은 제1 C링(70A)을 변형시키고, 제1 C링(70A)의 직경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보호구(60)와 금속 파이프(15)는 제1 C링(70A)에 의해 서로 확고하게 고정된다(도 7 및 도 10 참조). 마찬가지로, 제2접속부(63B)에 상응하는 보호구(60)의 부분을 공지된 지그로 외측으로부터 클램핑한다. 이것은 제2 C링(70B)을 변형시키고, 제2 C링(70B)의 직경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보호구(60)와 케이스(16)는, 제2 C링(70B)에 의해 서로 확고하게 고정되고, 이러한 상태의 결과로서, 금속 파이프(15)의 외주면이 쉴드 부재(63)에 접속된 제1 C링(70A)에 접촉되고, 케이스(16)의 외주면이 쉴드 부재(63)에 접속된 제2 C링(70B)에 접촉된다. 따라서, 쉴드 부재(63)는 제1 접속부(63A)에서의 금속 파이프(1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2 접속부(63B)에서의 케이스(16)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이외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보호구(60)는 가요성 절연체로 이루어진 튜브형의 외층 부재(61)와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진 튜브형의 가요성 쉴드 부재(63)를 포함한다. 외층 부재(61)는 제1 접속부(63A)로부터 제2 접속부(63B)까지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제1 접속부(63A)는 금속 파이프(15)에 접속되고, 제2 접속부(63B)는 케이스(16)에 접속된다. 쉴드 부재(63)는 외층 부재(61)의 내측면에 서로 일체가 되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장치에 접속되는 접속부를 포함하는 전선(11)은, 케이스(16) 내의 장치에 접속되고 금속 파이프(15)를 삽입 관통하는 전선(11)에 보호구(60)를 결속하는 것만으로도 보호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보호구(60)를 전선(11)에 부착하는 것만으로도, 쉴드 부재(63)의 제1 접속부(63A)와 금속 파이프(15) 사이, 쉴드 부재(63)의 제2 접속부(63B)와 케이스(16) 사이에서 전기적 접속이 확실하게 된다. 이것은 전자 쉴드 및 전선 보호를 위한 부재를 부착하는 작업을 심플하게 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가요성 절연체로 이루어진 튜브형 내층 부재(62)는, 외층 부재(61)와 함께 보호구(60)에 포함된 쉴드 부재(63)를 사이에 끼워 일체로 마련된다. 내층 부재(62)는 제1 접속부(63A) 및 제2 접속부(63B)에 상응하는 쉴드 부재(63)의 내측면을 제외하여 쉴드 부재(63)의 내측면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쉴드 부재(63)는 전선(11) 또는 전선(11)에 접속된 단자에 걸릴 가능성이 적다. 그러므로, 보호구(60)를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으며, 쉴드 부재(63)의 내측면을 보호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C링(70A) 및 제2 C링(70B)은, 각각 제1 접속부(63A) 및 제2 접속부(63B)에 상응하는 보호구(60)의 부분에 결속된다. 이것은 쉴드 부재(63)와 금속 파이프(15) 사이 및 쉴드 부재(63)와 케이스(16) 사이에서의 전기적 접속을 확실하게 한다.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C링(70)은 보호구(60) 내의 쉴드 부재(63)의 내측면에 접속된다. 그러므로, 보호구(60) 및 고정 부재(70)는 단일 부재로 마련된다. 또한, 보호구(60)의 제조시에 쉴드 부재(63)의 마스킹이 불필요하고, 내층 부재(62)를 얻기 위해 고무 부재의 부분을 떼어낼 필요가 없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외층 부재(61)는 고무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외층 부재(61)의 탄성에 의해 제1 접속부(63A)가 금속 파이프(15)의 단부에 압착되어 쉴드 부재(63)와 금속 파이프(15) 사이의 접속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외층 부재(61)의 탄성에 의해 제2 접속부(63B)가 케이스(16)의 단부에 압착되어 쉴드 부재(63)와 케이스(16) 사이의 접속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내층 부재(62)는 고무로 이루어져, 보호구(60)와 금속 파이프(15) 사이 및 보호구(60)와 케이스(16) 사이의 접속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로 한 상기의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이하의 실시형태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1)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보호구(20)는 내층 부재(22)를 포함한다. 그러나, 도 11에 도시된 보호구(81)와 같이, 내층 부재(22)가 보호구에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1의 쉴드 도전체(80)는, 보호구(81)가 내층 부재(22)를 포함하지 않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형태의 쉴드 도전체(1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도 11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와의 동일한 부품은 동일한 참조 번호로 나타낸다.
(2)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클램프 밴드(30) 및 C링(70)은 제1 고정 부재 및 제2 고정 부재로써 이용된다. 그러나,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호구(20)의 외주보다 큰 외주를 갖는 링형의 고정 부재(91)가 제1 고정 부재 및 제2 고정 부재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 13에서의 링형의 고정 부재(91)의 일부가 지그에 의해 클램핑되어 고정 부재(91)의 직경을 감소시키도록 변형된다. 따라서, 보호구(20)는 금속 파이프(15) 및 케이스(16)에 확고하게 고정된다. 도 12에 있어서, 도면 부호 92는 공지된 지그에 의해 클램핑된 클램핑부(92)를 나타낸다. 도 12 및 도 13의 쉴드 도전체(90)는 고정 부재(91)의 구성을 제외하고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도 12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와의 동일한 부품은 동일한 참조 번호로 나타낸다.
(3)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고정 부재 및 제2 고정 부재는 각각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에 마련된다. 그러나, 고정 부재가 접속부 중 한쪽에만 마련될 수도 있다.
(4)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외층 부재(21) 및 내층 부재(22)는 고무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재료가 고무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가요성 절연 재료일 수도 있다.
10, 50, 80, 90 : 쉴드 도전체 11 : 전선
15 : 금속 파이프 16 : 케이스
20, 60, 81 : 보호구 21, 61 : 외층 부재
22, 62 : 내층 부재 23, 63 : 쉴드 부재
23A, 63A : 일단부(제1 접속부) 23B, 63B : 타단부(제2 접속부)
30A, 70A, 91A : 제1 고정 부재 30B, 70B, 91B : 제2 고정 부재

Claims (6)

  1. 케이스 내에 마련된 장치에 접속되도록 구성된 전선;
    상기 전선을 둘러싸는 금속 파이프; 및
    상기 금속 파이프의 단부로부터 상기 케이스의 단부까지의 영역을 덮는 튜브형의 보호구를 포함하는 쉴드 도전체로서, 상기 보호구는,
    가요성 절연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금속 파이프에 접속되는 제1 접속부로부터 상기 케이스에 접속되는 제2 접속부까지 연장되어 배치되는 튜브형의 외층 부재와,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층 부재의 내측면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외층 부재와 일체로 마련되는 튜브형의 가요성 쉴드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쉴드 부재는 상기 보호구의 상기 제1 접속부에서 상기 금속 파이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보호구의 상기 제2 접속부에서 상기 케이스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되는 것인 쉴드 도전체.
  2. 제1항에 있어서, 가요성 절연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접속부 및 상기 제2 접속부에 상응하는 상기 쉴드 부재의 내측면의 부분을 제외한 상기 쉴드 부재의 내측면에 마련되는 튜브형의 내층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내층 부재 및 상기 외층 부재가 상기 쉴드 부재를 사이에 끼워 서로 일체로 되는 것인 쉴드 도전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부에 상응하는 상기 보호구의 부분에 결속되어 상기 보호구를 상기 금속 파이프에 고정하는 제1 고정 부재와, 상기 제2 접속부에 상응하는 상기 보호구의 부분에 결속되어 상기 보호구를 상기 케이스에 고정하는 제2 고정 부재를 갖는 것인 쉴드 도전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부재 및 상기 제2 고정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보호구의 상기 쉴드 부재의 내측면에 마련되는 것인 쉴드 도전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 부재는 고무로 이루어지는 것인 쉴드 도전체.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층 부재는 고무로 이루어지는 것인 쉴드 도전체.
KR1020137021890A 2011-02-25 2012-02-22 쉴드 도전체 KR201301227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40217A JP5655630B2 (ja) 2011-02-25 2011-02-25 シールド導電体
JPJP-P-2011-040217 2011-02-25
PCT/JP2012/054214 WO2012115130A1 (ja) 2011-02-25 2012-02-22 シールド導電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2782A true KR20130122782A (ko) 2013-11-08

Family

ID=46720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1890A KR20130122782A (ko) 2011-02-25 2012-02-22 쉴드 도전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30292154A1 (ko)
EP (1) EP2680276A4 (ko)
JP (1) JP5655630B2 (ko)
KR (1) KR20130122782A (ko)
CN (1) CN103403813A (ko)
WO (1) WO20121151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25963B2 (en) * 2013-03-26 2017-08-08 Baker Hughes Incorporated Transmission line for wired pipe
JP6048328B2 (ja) * 2013-07-04 2016-12-21 住友電装株式会社 シールド導電体とその製造方法
JP6044475B2 (ja) * 2013-07-04 2016-12-14 住友電装株式会社 シールド導電体の製造方法
JP6200238B2 (ja) * 2013-08-20 2017-09-20 矢崎総業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
US10840681B2 (en) * 2015-07-30 2020-11-17 Federal-Mogul Powertrain Llc Thermal sleeve with positioning member, assembly therewith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JP6763346B2 (ja) * 2017-01-23 2020-09-30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電磁シールド部品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6788814B2 (ja) * 2017-04-12 2020-11-25 住友電装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
DE102017114888A1 (de) * 2017-07-04 2019-01-10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Kabelanordn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erselben
JP6922791B2 (ja) * 2018-03-08 2021-08-1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固定部材付き保護管及びワイヤハーネス
CN109066516A (zh) * 2018-10-06 2018-12-21 东台市飞凌电气设备有限公司 一种屏蔽线槽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91058A (en) * 1951-03-14 1954-10-05 John H Millar Electrostatic screening conduits for electric conductors
GB1604444A (en) * 1977-09-30 1981-12-09 Raychem Ltd Heatrecoverable articles
JPS61141916U (ko) * 1985-02-22 1986-09-02
US5543582A (en) * 1995-05-23 1996-08-06 Stark; Thomas S. Liquid tight cord grip
JP3805909B2 (ja) * 1998-10-02 2006-08-09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導電性チューブの接続構造
US6409179B1 (en) * 2000-02-09 2002-06-25 Avaya Technology Corp. Cable sealing arrangements and sealing members for use therein
US6689953B2 (en) * 2001-09-11 2004-02-10 Robert M. Baldwin Flexible mast/meter can connector
JP2004022199A (ja) * 2002-06-12 2004-01-22 Uro Electronics Co Ltd プラグ付き同軸ケーブル
JP3909763B2 (ja) * 2002-11-20 2007-04-25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シールド機能を備えた車両用導電路
JP4133347B2 (ja) * 2003-01-06 2008-08-13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シールド機能を備えた導電路及びシールド部材
JP2006311699A (ja) * 2005-04-28 2006-11-09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シールド導電路
JP4374326B2 (ja) * 2005-05-09 2009-12-0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シールドコネクタ
US20090308632A1 (en) * 2005-07-05 2009-12-17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Shielded conductor
FI121904B (fi) * 2005-12-20 2011-05-31 Abb Oy Läpivientiosa sekä menetelmä
US7494348B1 (en) * 2007-08-01 2009-02-24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able termination apparatus and method
US8803008B2 (en) * 2011-03-03 2014-08-12 Sigma Electric Manufacturing Corporation Conduit connector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655630B2 (ja) 2015-01-21
EP2680276A1 (en) 2014-01-01
EP2680276A4 (en) 2014-07-09
US20130292154A1 (en) 2013-11-07
WO2012115130A1 (ja) 2012-08-30
CN103403813A (zh) 2013-11-20
JP2012178261A (ja) 2012-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22782A (ko) 쉴드 도전체
JP5655631B2 (ja) 保護具、保護具の製造方法およびシールド導電体
KR101455021B1 (ko) 쉴드 도전체
EP3073585B1 (en)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plice shield
US7491071B2 (en) Shield end processing structure
KR101476575B1 (ko) 쉴드 도전체
JP6210381B2 (ja) シールド導電路
WO2021132031A1 (ja) ワイヤハーネス
CN110506375B (zh) 线束
JP2012113949A (ja) シールド導電体
KR20100026385A (ko) 다중 요철 구조의 연결부를 구비한 커넥터 및, 커넥터와 일괄형 편조차폐선의 결합방법
WO2019188100A1 (ja) ワイヤハーネス
JP2007080622A (ja) シールド導電体
WO2022259908A1 (ja) ワイヤハーネス
JP2019175610A (ja) ワイヤハーネス
JP2015072883A (ja) ワイヤーハーネス
JP7159933B2 (ja) ワイヤハーネス
JP5637099B2 (ja) コネクタ
JP2015188023A (ja) 電磁シールド部材
KR20190081692A (ko) 고전압 케이블의 차폐접지부 및 그 제조방법
JP2013055771A (ja) 接地線引出部および電力ケーブル接続部
JP2017188374A (ja) シールド部材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