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9974A - 정지 장치 및 정지 해제 방법 - Google Patents

정지 장치 및 정지 해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9974A
KR20130119974A KR1020137022152A KR20137022152A KR20130119974A KR 20130119974 A KR20130119974 A KR 20130119974A KR 1020137022152 A KR1020137022152 A KR 1020137022152A KR 20137022152 A KR20137022152 A KR 20137022152A KR 20130119974 A KR20130119974 A KR 20130119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unit
swinging
contact
st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2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1631B1 (ko
Inventor
분고 마츠모토
Original Assignee
히라따기꼬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라따기꼬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라따기꼬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19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9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1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1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8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 B65G47/8807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with one stop
    • B65G47/8823Pivoting stop, swinging in or out of the path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65G47/28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during transit by a single conveyor
    • B65G47/29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during transit by a single conveyor by temporarily stopp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8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 B65G47/8807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with one sto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5/00Stopping elements used in conveyors to stop articles or arrays of articles
    • B65G2205/06Cushioned or damping stop devices, e.g. using springs or other mechanical a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al Conveying (AREA)
  • Tyre Moulding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워크 정지 장치는, 반송중인 워크(W)에 소정의 정지 위치에서 접촉하여 워크(W)의 반송을 정지시키는 접촉 위치와, 상기 워크(W)의 통과를 허용하는 퇴피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정지 위치보다 워크(W)의 반송 방향으로 하류측의 제1 회동축(54) 둘레로 회동 가능한 요동 유닛(10)과, 상기 요동 유닛(10)을 회동시키는 구동 유닛(30)을 구비한다. 상기 요동 유닛(10)은 상기 제1 회동축(54) 둘레로 회동 가능한 요동부(11)와, 상기 워크(W)에 접촉하는 워크 접촉부(1221)를 가진 가동부(12)를 구비한다. 상기 가동부(12)는 상기 요동 유닛(10)이 상기 접촉 위치로부터 상기 퇴피 위치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제1 회동축(54)과 상기 워크 접촉부(1221) 간의 거리가 짧아지도록, 상기 제1 회동축(54)과 평행한 제2 회동축(112)을 통해 상기 요동부(1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Description

정지 장치 및 정지 해제 방법{Stopping apparatus and stop-cancelling method}
본 발명은 반송중인 워크에 접촉하여 워크를 정지시키는 정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롤러 콘베이어 등의 반송 장치상에서 반송되는 워크를 소정 위치에서 정지시키는 정지 장치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내지 3). 정지 장치는, 워크에 접촉하는 롤러 등의 접촉 부분을 반송 장치상에 진출 또는 퇴피시킴으로써 워크의 정지 또는 정지 해제를 행한다. 따라서 접촉 부분을 이동시키는 기구 및 액츄에이터가 필요하다.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 평6-16233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공개특허 평8-319023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공개특허 평11-227937호 공보
접촉 부분을 반송 장치상에 진출 또는 퇴피시키는 기구는, 접촉 부분을 직선상에서 왕복동시키는 구성과, 회동에 의해 왕복동시키는 구성(이하, 회동 타입이라고 한다.)이 제안되어 있다. 회동 타입의 경우, 직선상에서 왕복동시키는 구성에 비해 보다 작은 힘으로 접촉 부분을 퇴피시킬 수 있다.
여기서 회동 타입의 경우, 그 회동축이 반송면보다 아래이고 접촉 부분에 대해 반송 방향의 상류측 또는 하류측에 위치하게 된다. 회동축이 접촉 부분에 대해 상류측에 위치하는 구성에서는, 접촉 부분에 접촉하여 정지한 워크의 하방 영역에 회동축이 위치하게 된다. 그러나 이 워크의 하방 영역은, 정지한 워크를 승강시키기 위한 장치나, 워크의 정지를 확인하는 각종 센서 등의 배치 공간으로서 이용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정지 장치의 배치 공간을 확보하기 힘든 경우가 있다.
한편, 회동축이 접촉 부분에 대해 하류측에 위치하는 구성에서는, 접촉 부분을 퇴피시킬 때 접촉 부분은 상류측으로 약간 이동하는 원호형의 이동 궤적을 그리게 된다. 따라서 워크를 상류측으로 약간 되밀어내게 되어 그만큼 액츄에이터의 출력이 쓸데없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정지 장치의 액츄에이터로서, 보다 저출력의 액츄에이터를 채용 가능하게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반송중인 워크에 접촉하여 워크를 정지시키는 정지 장치에 있어서, 반송중인 워크에 소정의 정지 위치에서 접촉하여 워크의 반송을 정지시키는 접촉 위치와, 상기 워크의 통과를 허용하는 퇴피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정지 위치보다 워크의 반송 방향으로 하류측의 제1 회동축 둘레로 회동 가능한 요동 유닛과, 상기 요동 유닛을 회동시키는 구동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요동 유닛이, 상기 제1 회동축 둘레로 회동 가능한 요동부와, 상기 워크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가진 가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부는, 상기 요동 유닛이 상기 접촉 위치로부터 상기 퇴피 위치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제1 회동축과 상기 워크 접촉부 간의 거리가 짧아지도록, 상기 제1 회동축과 평행한 제2 회동축을 통해 상기 요동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 장치가 제공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반송중인 워크에 접촉하여 워크를 정지시키는 정지 장치에 있어서, 반송중인 워크에 소정의 정지 위치에서 접촉하여 워크의 반송을 정지시키는 워크 접촉부를 가지며, 상기 워크 접촉부가 워크의 하면보다 상방으로 돌출된 접촉 위치와, 상기 워크 접촉부가 워크의 하면보다 하방으로 후퇴하여 워크의 통과를 허용하는 퇴피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정지 위치보다 워크의 반송 방향으로 하류측의 제1 회동축 둘레로 회동 가능한 요동 유닛과, 상기 요동 유닛을 회동시키는 구동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요동 유닛이, 상기 제1 회동축 둘레로 회동 가능한 요동부와, 상기 워크 접촉부를 가진 가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부는, 상기 요동 유닛이 상기 접촉 위치로부터 상기 퇴피 위치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제1 회동축과 상기 워크 접촉부 간의 거리가 짧아지도록, 상기 제1 회동축과 평행한 제2 회동축을 통해 상기 요동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 장치가 제공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정지 장치에 의해 반송중인 워크에 접촉하여 워크를 정지시키고, 그 후 워크의 정지를 해제하는 정지 해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지 장치가, 워크에 접촉하는 워크 접촉부를 가진 요동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요동 유닛은,
반송중인 워크에 소정의 정지 위치에서 상기 워크 접촉부가 접촉하여 워크의 반송을 정지시키는 접촉 위치와, 워크의 통과를 허용하는 퇴피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정지 위치보다 워크의 반송 방향으로 하류측의 제1 회동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며, 상기 정지 해제 방법은, 워크의 정지를 해제하기 위해, 상기 접촉 위치에 있는 상기 요동 유닛을 상기 제1 회동축 둘레로 상기 퇴피 위치로 회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요동 유닛이 상기 접촉 위치로부터 상기 퇴피 위치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제1 회동축과 상기 워크 접촉부 간의 거리가 짧아지도록, 상기 제1 회동축과 상기 워크 접촉부 사이의 도중 부위에서 상기 요동 유닛을 구부리는 정지 해제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 해제 방법이 제공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정지 장치에 의해 반송중인 워크에 접촉하여 워크를 정지시키고, 그 후 워크의 정지를 해제하는 정지 해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지 장치가, 반송중인 워크에 소정의 정지 위치에서 접촉하여 워크의 반송을 정지시키는 워크 접촉부를 가지며, 상기 워크 접촉부가 워크의 하면보다 상방으로 돌출된 접촉 위치와, 상기 워크 접촉부가 워크의 하면보다 하방으로 후퇴하여 워크의 통과를 허용하는 퇴피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정지 위치보다 워크의 반송 방향으로 하류측의 제1 회동축 둘레로 회동 가능한 요동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정지 해제 방법은, 워크의 정지를 해제하기 위해, 상기 접촉 위치에 있는 상기 요동 유닛을 상기 제1 회동축 둘레로 상기 퇴피 위치로 회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요동 유닛이 상기 접촉 위치로부터 상기 퇴피 위치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제1 회동축과 상기 워크 접촉부 간의 거리가 짧아지도록, 상기 제1 회동축과 상기 워크 접촉부 사이의 도중 부위에서 상기 요동 유닛을 구부리는 정지 해제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 해제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정지 장치의 액츄에이터로서, 보다 저출력의 액츄에이터를 채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정지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지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정지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X-X선에 따른 주요부 단면도.
도 5는, 도 4에서 요동 유닛 및 연결부를 외관도로서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1의 정지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7은, 도 1의 정지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정지 장치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정지 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정지 장치의 커버 등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도 11은, 도 8의 정지 장치의 내부 구조의 설명도.
도 12는, 도 8의 정지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13은, 도 8의 정지 장치의 다른 배치예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규제 기구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제1 실시형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정지 장치(1)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정지 장치(1)의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정지 장치(1)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X-X선에 따른 주요부 단면도, 도 5는 도 4에서 요동 유닛(10) 및 연결부(322)를 외관도로서 도시한 도면이다.
정지 장치(1)는, 반송중인 워크(W)에 접촉하여 워크의 반송을 정지시키는 장치로서, 요동 유닛(10)과, 규제 기구(20)와, 구동 유닛(30)과, 지지 부재(50)를 주요한 구성으로서 구비한다. 정지 장치(1)는, 예를 들어 롤러 컨베이어 등의 반송 장치에 마련되어 그 반송 장치상에서 반송되는 워크를 일시 정지시키기 위해 이용된다. 도 4에서 이점쇄선(L)은 반송면을 의미한다. 반송면은, 미도시된 반송 장치에서 워크가 놓여져 반송되는 위치(높이)이다.
<요동 유닛(10)>
요동 유닛(10)은, 요동부(11)와 가동부(12)를 구비하고 그 전체가 회동축(54) 둘레로 회동 가능하다.
요동부(11)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동 부재(111)를 구비한다. 요동 부재(111)는, 그 일방 단부에 축구멍(111b)을 구비한다. 축구멍(111b)에는 회동축(54)이 삽입되고 회동축(54)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요동 부재(11)는 회동 가능하다. 요동 부재(111)는, 그 타방 단부에 축구멍(111c)과 홈(111a)을 구비한다. 홈(111a)에는 후술하는 가동 부재(121)의 수직부(1211)가 삽입된다.
축구멍(111c)과 수직부(1211)의 축구멍(1211a)에는 회동축(112)이 삽입되고, 가동부(12)는 회동축(112)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요동부(11)에 회동축(112)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다. 회동축(54)과 회동축(112)은 서로 평행하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축(112)은 회동축(54)보다 워크(W)의 반송 방향(동 도면의 화살표 방향)으로 상류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또 회동축(54) 및 (112)는 모두 반송면(L)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요동 부재(111)는, 또 그 일방 단부에 하방으로 돌출된 규제부(111e)를, 그 타방 단부에 하방으로 돌출된 규제부(111d)를 각각 구비한다. 요동 부재(111)는, 그 하면으로 개구된 바닥 있는 개구부(111h) 및 (111i)를 구비한다. 개구부(111h)는 후술하는 탄성 부재(33)가 장착되는 스프링 수용 구멍이다.
개구부(111i)는, 홈(111a)과 연통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연결부(322)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구멍이다. 요동 부재(111)의 측면부에는, 그 측면 사이를 관통하는 핀 삽입 구멍(111f)이 형성되어 있고, 이 핀 삽입 구멍(111f)은 개구부(111i)와 연통됨과 아울러 연결 핀(113)이 삽입되어 있다.
규제부(111d)의 내측 측면에는, 장착 구멍(111g)이 요동 부재(111)의 폭방향으로 이간되어 2개 마련되어 있으며 이들 장착 구멍(111g)에는 접촉 부재(114),(114)가 각각 고정된다. 이 접촉 부재(114)는 후술하는 회동 규제 부재(40)와 접촉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요동 부재(111)와 접촉 부재(114),(114)를 별도의 부재로 하였으나, 양자를 일체로 구성해도 좋다.
가동부(12)는, 가동 부재(121)와 접촉 유닛(122)을 구비한다. 가동 부재(12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1211)와, 수직부(1211)로부터 구부러져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1212)를 일체로 구비한 L자형을 이루고 있다. 가동 부재(121)와 접촉 유닛(122)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서로 고정된다.
수직부(1211)의 상부는, 그 하부보다 폭이 좁아져 요동 부재(111)의 홈(111a)에 삽입되는 부위이며, 또 회동축(112)이 삽입되는 축구멍(1211a)을 가진다. 수직부(1211)의 하부에서의 양측에는 규제부(1211b),(1211b)가 형성되어 있다.
수직부(1211)의 규제부(1211b)와, 요동 부재(111)의 규제부(111d)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접촉함으로써 요동부(11)에 대한 가동부(12)의 회동 범위를 규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요동부(11)에 대해 가동부(12)가, 회동축(112) 둘레로 도 5의 위치를 넘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요동 유닛(10)의 회동축(54) 회전의 회동에 따라, 요동부(11)에 대해 가동부(12)가 회동축(112) 둘레로 회동한다. 그 때 규제부(1211b) 및 (111d)는, 규제부(111d)의 우측 측면(접촉 부재(114)가 마련된 면)보다 내측(반시계방향)으로 가동부(12)가 회동하는 것을 규제함으로써 의도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가동부(12)가 회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구동 유닛(30)이나 회동 규제 부재(40) 등과의 간섭을 피함과 아울러 규제 기구(20)에 의한 가동부(12)의 움직임을 보조한다.
수직부(1211)에는 또 홈(1211c)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1211c)은, 후술하는 연결부(322)와 가동 부재(121)와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수평부(1212)에는 접촉 유닛(122)이 탑재된다. 수평부(1212)의 상면에는, 수평부(1212)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1212a) 및 관통 구멍(1212a)이 형성되어 있다. 또 수평부(1212)의일방 측면에는, 그 일방 측면으로 개구된 핀 삽입 구멍(1212c)이 형성되어 있다.
접촉 유닛(122)은, 워크에 접촉하는 워크 접촉부로서의 롤러(1221)와, 롤러(122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동 부재(1222)와, 수평부(1212)의 상면에 재치되는 지지 부재(1224)를 구비한다. 가동 부재(1222)는 축(1223)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 부재(1224)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 부재(1224)의 상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삽입통과 구멍(미도시)에 쇼크업소버(1225)의 실린더부(외통부)가 삽입통과되고, 쇼크업소버(1225)는, 로드부(1225a)를 지지 부재(1224)의 상면으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지지 부재(1224)에 고정되어 있다.
쇼크업소버(1225)의 로드부(1225a)의 선단에, 가동 부재(1222)의 후단부 하면이 접촉한다. 또 쇼크업소버(1225)의 실린더부의, 지지 부재(1224)의 하면으로 돌출된 부분이 관통공(1212a)에 삽입통과된다.
볼트(1226)을 나사 구멍(1212b)에 나합시켜 지지 부재(1224)를 수평부(1212)에 고정함으로써 접촉 유닛(122)은 가동 부재(121)에 고정된다.
<지지 부재(50)>
지지 부재(50)는 L자형의 1쌍의 벽부(51),(51)와, 벽부(51),(51)의 수직부(도 2 중에서는 우하측부, 도 4 중에서는 우측부)를 접속하는 접속부(52)와, 벽부(51),(51)의 수평부(도 2 중에서는 좌상측부, 도 4 중에서는 좌측부)를 접속하는 접속부(53)를 일체로 구비하여 상하로 개방된 틀을 이루고 있다.
각 벽부(51),(51)는, 회동축(54)을 지지하는 베어링 구멍(51a),(51a)을 구비한다. 이러한 벽부(51),(51) 사이에 요동 부재(111)를 끼워넣음과 아울러 베어링 구멍(51a),(51a) 및 축구멍(111b)을 위치 맞춤하고, 그 구멍에 회동축(54)을 삽입통과한다. 마지막으로, 멈춤 링(54a),(54a)을 회동축(54)의 양 단부에 걸어맞춘다. 이렇게 하여 지지 부재(50)와 요동 부재(111)가 조립되어 서로 걸어맞춰진다. 이로써 요동 유닛(10) 전체가 회동축(54)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 부재(50)에 지지된다.
각 벽부(51),(51)는, 회동 규제 부재(40)가 삽입통과하는 홈(51b),(51b)을 구비한다. 홈(51b)은 상하 방향(후술하는 플런저(321)의 이동 방향과 평행)으로 연장되는 장원형을 이루고 있으며 벽부(51)를 그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회동 규제 부재(40)는 핀형을 이루고 홈(51b),(51b)에 걸쳐 삽입통과하여 이들과 걸어맞춰져 있으며, 홈(51b)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멈춤 링(40a),(40a)은 회동 규제 부재(40)의 각 단부에 장착되어 회동 규제 부재(40)의 스토퍼로 되어 있다.
각 홈(51b) 안에는, 회동 규제 부재(40)의 양 단부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수용 부재(41) 및 그 수용 부재(41)와 홈(51b)의 바닥부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42)가 각각 마련된다.
수용 부재(41)는, 회동 규제 부재(40)와 탄성 부재(42) 사이에 개재되고 탄성 부재(42)의 가압력을 회동 규제 부재(40)에 안정적으로 전달하는 부재이다. 탄성 부재(42)는 본 실시형태의 경우, 누름 스프링(코일 스프링)이며, 수용 부재(41)를 사이에 두고 회동 규제 부재(40)를 상방향으로 상시 가압하는 것이며, 그 가압력은 후술하는 탄성 부재(33)의 가압력보다 작다. 탄성 부재(42)는 코일 스프링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판스프링 등의 다른 누름 스프링 외에 다른 탄성 부재도 채용 가능하다. 각 홈(51b)의 바닥부에는 구멍(51c)이 형성되고, 이 구멍(51c)에 탄성 부재(42)의 하단부가 삽입됨으로써 탄성 부재(42)가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접속부(52)에서의 베어링 구멍(51a)의 근방 부분은, 수평면을 이루고 있으며 회동 규제면(52a)을 구성하고 있다. 회동 규제면(52a)에 요동 부재(111)의 규제부(111e)가 접촉함으로써 요동 유닛(10)(요동 부재(111))이 도 4나 도 5의 상태로부터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접속부(52)에서의 베어링 구멍(51a)과 홈(51b)과의 중도부에는 바닥 있는 구멍(52b)이 개구되어 있다. 이 구멍(52b)은, 후술하는 탄성 부재(33)가 삽입, 장착되는 스프링 수용 구멍이다.
<규제 기구(20)>
규제 기구(20)는, 가동부(12)의 회동축(112) 둘레의 회동을 안내하기 위해 그 이동 범위를 규제하는 기구이다. 규제 기구(20)를 마련함으로써 요동 유닛(10)이 회동축(54) 둘레를 회동할 때 가동부(12)를 의도한 궤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규제 기구(20)는, 핀(21)과 가이드 홈(22)을 구비한다. 핀(21)은, 가동 부재(121)의 핀 삽입 구멍(1212c)에 삽입되어 가동 부재(121)의 측면부로부터 돌출된 돌기부를 형성한다. 가이드 홈(22)은, 1쌍의 벽부(51),(51)중 한쪽의 벽부(51)에 형성된다.
핀(21)의 단부는 가이드 홈(22)에 걸어맞춰지고, 이로써 가동부(12)의 이동을 가이드 홈(22)에서 안내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핀(21)을 가동부(12)측의 걸어맞춤부로 하고, 가이드 홈(22)을 벽부(51)측의 부동(不動)의 걸어맞춤부로 하였으나, 핀과 가이드 홈의 배치 부위를 반대로 해도 좋다. 무엇보다도 본 실시형태의 경우, 가이드 홈(22)과 홈(51b)을 공통의 지지 부재(50)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것은, 가이드 홈(22) 및 홈(51b)의 성형이나 양자의 위치 정밀도 면에서 유리하다.
가이드 홈(22)은, 그 상부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하부는 반송 방향 하류측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가이드 홈(22)은 반송 방향 하류측을 향해 완만하게 굽어진 V자형으로 마련된다. 따라서 도 4나 도 5의 상태로부터 요동 유닛(10)의 요동부(11)를 회동축(54) 둘레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 그 초기에는 가동부(12)는 하방으로 대략 곧바로 이동하고, 그 후 반송 방향 하류측에서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가동부(12)의 이동 방향은, 가이드 홈(22)의 홈 형상(굽어진 형상)에 의해 결정된다.
<구동 유닛(30)>
구동 유닛(30)은 요동 유닛(10)을 회동축(54) 둘레로 회동시킨다. 구동 유닛(30)은, 탄성 부재(33)를 구비한다. 탄성 부재(33)는 본 실시형태의 경우, 누름 스프링(코일 스프링)이며, 요동 부재(111)의 개구부(111h)와 접속부(52)의 구멍(52b) 사이에 장전된다. 탄성 부재(33)는 요동 유닛(10)을 상방향으로 상시 가압하고, 도 4 및 도 5의 상태(규제부(111e)가 회동 규제면(52a)에 접촉하여 요동 부재(111)의 회동이 규제된 상태)를 유지한다. 탄성 부재(33)는 코일 스프링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판스프링 등의 다른 누름 스프링 외에 다른 탄성 부재도 채용 가능하다.
구동 유닛(30)은, 또 케이스(60)에 둘러싸인 전동(電動) 구동부(31)와, 구동부(31)에 의해 이동하는 가동부(32)를 구비한다. 가동부(32)는 플런저(321)와, 플런저(321)와 요동 유닛(10)을 연결하는 연결부(322)와, 연결 핀(323)을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구동부(31)와 플런저(321)는 풀 솔레노이드를 구성하고 있으며, 통형의 구동부(31) (전자석)에 대한 통전에 의해 플런저(321)를 구동부(31)의 통 안에 끌어들이는 방향(하방향)으로만 구동력을 발휘시킨다. 즉 풀 솔레노이드는 플런저(321)를 구동부(31)의 통 안으로부터 밀어내는 방향(상방향)으로는 구동력을 발휘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풀 솔레노이드를 채용하였으나, 모터 등 다른 전동 구동 액츄에이터여도 좋다. 전동 구동 액츄에이터 대신에 주지의 전동 이외의 액츄에이터(예를 들면, 에어 실린더 등)를 이용해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무엇보다도 풀 솔레노이드를 채용함으로써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플런저(321)의 상단부에는, 연결부(322)의 일단부(하단부)가 걸어맞춰져 삽입되는 슬릿(오목부)(321a)이 마련되어 있다. 플런저(321)의 상단부 주면(周面)에는 플런저(321)를 직경 방향(슬릿(321a)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관통하는 핀 삽입 구멍(321b)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322)는, 본체부(322a)를 구비한다. 본체부(322a)의 하부에는, 연결 핀(323)이 삽입통과되는 원형의 연결 구멍(322c)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322)를 슬릿(321a)에 삽입함과 아울러 핀 삽입 구멍(321b) 및 연결 구멍(322c)을 위치 맞춤하고 그 구멍에 연결 핀(323)을 삽입함으로써 플런저(321)와 연결부(322)가 걸어맞춰진다. 연결 핀(323)의 단부에는 멈춤 링(323b)이 걸어맞춤되어 연결 핀(323)의 빠짐방지가 방지되어 있다. 부재(323a),(323a)는 스페이서다.
이로써 플런저(321)에 대해 연결 핀(323)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연결부(322)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지 장치(1)의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본체부(322a)가 그 주위의 구성과 간섭하지 않도록 본체부(322a)를 다단으로 만곡시키는데, 그 형상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위의 구성과 간섭하지 않는다면 본체부(322a)를 직선형으로 해도 좋다.
본체부(322a)의 상부에는, 축체인 연결 핀(113)이 삽입통과되는 연결 구멍(322d)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 구멍(322d)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으로 되어 있다. 연결부(322)는, 그 상단부가 요동 부재(111)의 개구부(111i)에 삽입되어 연결 핀(113)을 요동 부재(111)의 핀 삽입 구멍(111f)과 연결 구멍(322d)에 삽입통과함으로써 연결부(322)와 요동 부재(111)가 걸어맞춰진다. 연결 구멍(322d)이 장공이므로 연결부(322)와 요동 부재(111)는 일정한 여유를 가진 끼워맞춤(헐거운 끼워맞춤(遊嵌))이 된다.
연결 구멍(322d)의 하부에는 접촉부(322b)가 형성되어 있다. 접촉부(322b)는, 회동 규제 부재(40) 주면의 최상부에 접촉하여 회동 규제 부재(40)와 걸어맞춰진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연결부(322)는, 상대적으로 반송 방향의 상류측에서 전동 유닛(30)과 연결되고, 상대적으로 반송 방향의 하류측에서 요동 부재(111)와 연결되어 있다. 이 연결 구조에 의해, 워크와 접촉하는 롤러(1221)의 하부에 전동 유닛(30)을 배치한 구성을 실현하고 있다. 그 결과, 워크와 접촉하는 접촉 부분을 직선상으로 왕복동시키는 타입의 종래의 정지 장치와 마찬가지의 장소에 구동원을 배치시키면서 회동 타입의 정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정지 장치(1)의 동작예>
다음으로, 정지 장치(1)의 동작예에 대해 도 4,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은 정지 장치(1)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4는, 동 도면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수평 방향으로 반송되어 온 워크(W)를 정지시키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한다. 정지 장치(1)의 요동 유닛(10)은, 롤러(1221)가 워크(W)에 접촉하는 접촉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이 접촉 위치에서 롤러(1221)는 워크(W)의 하면, 즉 반송면(L)보다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탄성 부재(33)는 요동 유닛(10)에 대해 요동 유닛(10)을 접촉 위치에 위치시키는 방향(동 도면에서는 상방향이며, 요동 부재(111)의 수평 상태를 상한으로 하고 회동축(54)을 중심으로 한 시계방향)으로 가압력을 부여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접속부(52)의 회동 규제면(52a)과 요동 부재(111)의 규제부(111e)와의 접촉함에 의해 요동 유닛(10)은, 도 4의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는 더 회동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 4의 상태에서는 구동부(31)는 비구동 상태에 있다. 탄성 부재(42)의 가압에 의해 회동 규제 부재(40)는 홈(51b)의 상단에 위치하고 있다. 회동 규제 부재(40)는 연결부(322)의 접촉부(322b)에 접촉하여 걸어맞춤 상태에 있다. 구동부(31)는 비구동 상태이므로 탄성 부재(42)의 가압에 의해 회동 규제 부재(40)를 사이에 두고 연결부(322) 및 플런저(321)가 이 최상방 위치로 밀어올려져 있으며, 연결 핀(113)은 연결 구멍(322d)의 최하부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탄성 부재(42)는, 회동 규제 부재(40)를 연결부(322)에 걸어맞추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부여한다.
도 6의 상태(ST1)는, 워크(W)가 롤러(1221)에 접촉하여 워크(W)를 소정의 정지 위치에 정지시킨 상태를 도시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롤러(1221)를 지지하는 가동 부재(1222)가 축(1223)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다. 따라서 워크(W)가 롤러(1221)에 접촉하기 시작한 단계에서는, 워크(W)의 반송력이 요동 유닛(10) 전체를 회동시키는 방향으로는 작용하지 않으며 가동 부재(1222)만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상태(ST1)의 형태가 된다. 가동 부재(122)의 회동에 따라 쇼크업소버(1225)의 로드부(1225a)의 선단에 가동 부재(1222)가 접촉하기 시작하기 때문에 쇼크업소버(1225)에 의해 워크(W)와 롤러(1221)와의 충돌의 충격이 완충된다.
상태(ST1)의 형태에서는, 워크(W)의 반송력이 가동부(12)를 회동축(112)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요동부(11)에 대해서는 회동축(54)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이것을 회동시키는 힘이 작용한다. 즉, 가동부(12)와 요동부(11)를 굴곡시키는 힘이 작용한다.
그러나 회동 규제 부재(40)와 요동 부재(111)의 접촉 부재(114)가 접촉하여 걸어맞춤 상태가 되기 때문에, 요동부(11)의 회동이 규제된다. 또 가동부(12)도 가이드 홈(22)의 상단부와 핀(21)의 접촉함에 의해 그 회동이 규제된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동부(31)의 구동력을 이용하지 않고, 보다 확실하고 강고하게 요동부(11) 및 가동부(12)의 회동을 규제할 수 있어, 워크(W)를 소정의 정지 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구동부(31)를 구동함으로써 롤러(1221)를 워크(W)의 하면보다 하방으로 후퇴시키고, 워크(W)와 롤러(1221)가 비접촉의 퇴피 위치로 요동 유닛(10)을 회동시키고, 워크(W)가 정지 장치(1)를 통과 가능한 경우(정지 해제 공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구동부(31)는, 탄성 부재(33)의 가압에 대항하여 요동 유닛(10)이 퇴피 위치측으로 회동하는 방향으로 플런저(321)를 이동시킨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요동 유닛(10)의 회동 중심인 회동축(54)이 워크(W)의 정지 위치보다 반송 방향으로 하류측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만일 요동 유닛(10)이 회동축(112)을 가지지 않고 가동부(12)가 요동부(11)에 대해서 회동하지 않는 구성인 경우, 워크(W)에 대한 롤러(1221)의 접촉점은 도 6의 상태(ST1)에 기재된 원호 궤도(T)상을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원호 궤도(T)는, 워크(W)에 대한 롤러(1221)의 접촉점과 회동축(54)의 축심과의 거리(R)를 반경으로 하는 가상 원호이다.
워크(W)에 대한 롤러(1221)의 접촉점이 원호 궤도(T)상을 이동할 경우, 롤러(1221)가 워크(W)와 롤러(1221)가 접촉하는 접촉 위치로부터, 워크(W)와 롤러(1221)가 비접촉의 퇴피 위치까지 움직일 때 롤러(1221)(정지 장치(1))로 워크(W)를 상류측으로 약간 되밀어내게 되고, 이 되밀어내는 힘만큼 구동부(31)의 출력이 쓸데없이 필요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부(12)를 요동부(11)에 대해 회동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하였다.
도 6의 상태(ST2)는 구동부(31)를 구동하기 시작한 초기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플런저(321)가 하방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구동부(31)에 끌어들여지기 시작한다). 회동 규제 부재(40)는 연결부(322)와 걸어맞춰져 있기 때문에 플런저(321) 및 연결부(322)의 이동에 연동하여 회동 규제 부재(40)도 또 하방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플런저(321)의 이동 방향과 홈(51b)의 길이 방향이 평행하므로 회동 규제 부재(40)는 플런저(321)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회동 규제 부재(40)가 도 6의 상태(ST2)의 위치(연결 핀(113)이 연결 구멍(322)의 상단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까지 하방으로 이동하면, 회동 규제 부재(40)와 접촉 부재(114)가 걸어맞춰지지(접촉하지) 않게 되어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회동 규제 부재(40)와 접촉 부재(114)가 걸어맞춰져 있을 때의 회동 규제 부재(40)의 이동 범위를 규제 영역이라고 하고, 걸어맞춰져 있지 않을 때의 회동 규제 부재(40)의 이동 범위를 규제 해제 영역이라고 한다.
상기와 같이 연결 구멍(322d)은 장공이며, 연결 구멍(322d)과 연결 핀(113)은 헐거운 끼워맞춤이다. 그리고 장공의 길이는, 회동 규제 부재(40)가 규제 영역을 벗어날 때까지는 요동 부재(111)와 연결부(322)는 비연결 상태에 있으며, 구동부(31)로부터 요동 유닛(10)으로 회동력이 부여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회동 규제 부재(40)가 규제 해제 영역에 도달하면, 연결 핀(113)의 주면 상부가 연결 구멍(322d)의 상부에 착좌된다. 이로써 요동 부재(111)와 연결부(322)가 연결 상태가 되어 구동부(31)에서 요동 유닛(10)으로 회동력이 부여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결부(322)와 요동 부재(111)가 플런저(321) 및 회동 규제 부재(40)의 이동에 뒤처져 연결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것은, 회동 규제 부재(40)에 의한 요동 유닛(10)의 회동 규제가 해제되기 전에 구동부(31)에서 요동 유닛(10)으로 회동력이 부여되어도 소용 없게 되므로 이 상태를 회피하고자 한 것이다.
요동 유닛(10)과 연결부(322)가 연결 상태가 되고 회동 규제 부재(40)가 규제 해제 영역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플런저(321)가 하방으로 더 이동하면, 탄성 부재(33)의 가압에 대항하여 요동 유닛(10)이 반시계방향(하향)으로 회동하고, 도 7의 상태(ST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 유닛(12)이 퇴피 위치로 강하하기 시작하여, 상태(ST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퇴피 위치에 도달하여 워크의 정지가 해제된다.
요동 유닛(10)이 퇴피 위치로 회동할 때, 가동부(12)가 요동부(11)에 대해 회동하기 때문에, 요동 유닛(10)은 그 도중 부위(회동축(112))에서 구부러진다. 가동부(12)는, 규제 기구(20)에 의해 회동축(112) 둘레의 회동이 안내되고 요동부(11)에 대해 시계방향(상향)으로 회동한다. 그 결과, 요동 유닛(10)이 접촉 위치에서 퇴피 위치로 회동함에 따라 회동축(54)과 롤러(1221)의 거리가 짧아지고, 롤러(1221)와 워크(W)의 접촉점은 도 6의 원호 궤도(T)보다 내측을 이동한다.
이 상태(ST3)에서 상태(ST4)에 도달하는 동작을 더 설명하기로 한다. 요동부(11)가 회동축(54)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을 시작하고, 이로써 회동축(112)도 요동부(11)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가이드 홈(22)은 그 상부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가동 부재(121)는 핀(21)을 개재하여 도 7에서 우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 부재(121)는 가이드 홈(22)을 따라 하방향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핀(2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돌기 시작한다.
그 결과, 롤러(1221)는 시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롤러(1221)는 반송 방향의 하류측, 하방향(도 7의 우하(右下)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요동부(11)의 요동 부재(111)의 길이, 회동축(112)과 핀(21)의 거리, 롤러(1221)과 핀(21)의 거리 등에 따라서는, 가동 부재(121)가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보다, 롤러(1221)가 그 시계방향의 이동에 의해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가 일시적으로 커지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도 롤러(1221)는 끊임 없이 반송 방향으로 하류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롤러(1221)와 워크(W)의 접촉점은, 원호 궤도(T)보다 내측을 이동하여 롤러(1221)와 워크(W)의 접촉점과 회동축(54)과의 거리는 짧아진다.
다음으로 가이드 홈(22)은 그 하부가 반송 방향 하류측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다. 이로써 가동 부재(121)는 핀(21)을 사이에 두고 반송 방향 하류측으로 안내되게 된다. 따라서 롤러(1221)의 반송 방향 하류측에서 하방향의 이동이 더 촉진된다. 이들 2개의 움직임(반송 방향 하류측으로의 안내(수평 이동)와 하방향으로의 이동)를 조합함으로써 보다 원활하게 롤러(1221)를 퇴피 위치로 이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요동 유닛(10)을 접촉 위치에서 퇴피 위치로 회동시킬 때에, 가동부(12)는 하방으로 대략 곧바로 이동하고, 그 후 반송 방향 하류측에서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워크(W)를 상류측으로 되밀어내는 방향으로 이동하지는 않는다. 즉, 가동부(12)를 접촉 위치에서 퇴피 위치로 회동시킬 때에 그 회동력에 워크(W)를 상류측으로 되밀어내는 힘을 가미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정지 장치(1)의 액츄에이터(구동부(31))로서, 보다 저출력의 구동부(31) 액츄에이터를 채용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롤러(1221)와 워크(W)의 접촉점을 원호 궤도(T)보다 내측을 이동시키고, 회동축(54)과 접촉점과의 거리가 짧아지도록 롤러(1221)를 이동시킬 수 있다면, 가이드 홈(22)의 형상은 어떠한 것이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회동축(54)에 대해 연결부(322)와 요동부(11)가 연결되는 위치(연결 핀(113))를, 탄성 부재(33)가 요동부(11)에 대해 가압력을 부여하는 작용 위치(개구부(111h))보다 이격된 위치에 마련하였다. 따라서 회전축(54)에 대해 연결 핀(113)의 위치를 작용 위치보다 가깝게 마련하는 경우에 비해,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구동부(31)는 보다 저출력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도 7의 상태(ST4)로부터 구동부(31)를 비구동 상태로 하면, 탄성 부재(33)와 탄성 부재(42)의 복원력에 의해 요동부(11) 및 가동부(12)는 도 4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롤러(1221)가, 반송이 재개된 워크(W)의 저면에 접촉한 상태(상태(ST4))로부터 구동부(31)를 비구동 상태로 하면, 탄성 부재(33)와 탄성 부재(42)의 복원력에 의해 워크(W)의 통과 후 요동부(11) 및 가동부(12)는 도 4의 상태로 복귀한다(접촉 유닛(122)도 원래 상태로 돌아온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회동 규제 부재(40)를 가동부(32)의 이동에 연동시켜 이동시킴으로써 단방향으로만 구동력을 발휘하는 구동부(31)를 채용하면서, 요동 유닛(10)이 접촉 위치로부터 원치않게 회동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하거나, 요동 유닛(10)을 퇴피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어 정지 장치에 필요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정지 장치(1')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정지 장치(1')의 사시도, 도 9는 정지 장치(1')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10은 정지 장치(1')의 커버 부재(2), 역송(逆送) 방지 장치(70) 등을 떼어낸 상태의 사시도, 도 11은 정지 장치(1')의 내부 구조의 설명도이다.
정지 장치(1')는 정지 장치(1)의 변형예로서, 쇼크업소버(1225)의 배치 방법이나 요동 부재(111)나 가동 부재(121)의 구성 등이 다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정지 장치(1')의 각 구성 중 정지 장치(1)와 기능이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정지 장치(1)의 각 구성에 붙인 부호와 같은 부호를 붙였다.
정지 장치(1')는, 반송중인 워크(W)에 접촉하여 워크의 반송을 정지시키는 장치로서, 요동 유닛(10)과 규제 기구(20)와 구동 유닛(30)과 지지 부재(50)를 주요한 구성으로서 구비한다. 정지 장치(1')는, 예를 들어 롤러 컨베이어 등의 반송 장치에 마련되어 그 반송 장치상에서 반송되는 워크를 일시 정지시키기 위해 이용된다. 도 11에서 이점쇄선(L)은 반송면을 의미한다. 반송면은, 미도시된 반송 장치에서 워크가 재치되어 반송되는 위치(높이)이다.
<요동 유닛(10)>
요동 유닛(10)은, 요동부(11)와 가동부(12)를 구비하고 그 전체가 회동축(54) 둘레로 회동 가능하다.
요동부(11)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동 부재(111)를 구비한다. 요동 부재(111)는, 그 일방 단부에 축구멍(111b)을 구비한다. 축구멍(111b)에는 회동축(54)이 삽입되고 회동축(54)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요동 부재(11)는 회동 가능하다. 요동 부재(111)는, 그 타방 단부에 축구멍(111c)과 홈(111a)을 구비한다. 홈(111a)에는 후술하는 가동 부재(121)의 접속부(1211)가 삽입된다.
축구멍(111c)과 접속부(1211)의 축구멍(미도시)에는 회동축(112)이 삽입되고, 가동부(12)는 요동부(11)에 대해 회동축(112)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고 회동축(112)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다. 회동축(54)과 회동축(112)은 서로 평행하며,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축(112)은 회동축(54)보다 워크(W)의 반송 방향(동 도면의 화살표 방향)으로 상류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또 회동축(54) 및 (112)은 모두 반송면(L)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요동 부재(111)는, 또 그 일방 단부에 하방으로 돌출된 규제부(111e)를, 그 타방 단부에 하방으로 돌출된 돌출부(111d)를 각각 구비한다. 요동 부재(111)는, 그 하면으로 개구된 개구부(111h) 및 (111i)를 구비한다. 개구부(111h)는 탄성 부재(33)가 장착되는 바닥 있는 스프링 수용 구멍이다.
개구부(111i)는, 홈(111a)과 연통됨과 아울러 요동 부재(111)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개구부(111i)에는 후술하는 연결부(322)의 상단부가 삽입된다. 요동 부재(111)의 측면부에는, 그 측면 사이를 관통하는 핀 삽입 구멍(111f)이 형성되어 있고, 이 핀 삽입 구멍(111f)은 개구부(111i)와 연통됨과 아울러 연결 핀(113)이 삽입되어 있다.
돌출부(111d)의 내측 측면에는, 미도시된 장착 구멍이 요동 부재(111)의 폭방향으로 이간되어 2개 마련되어 있고, 이들 장착 구멍에는 각각 접촉 부재(114)가 고정된다. 이 접촉 부재(114)는 회동 규제 부재(40)와 접촉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요동 부재(111)와 접촉 부재(114),(114)를 별도의 부재로 하였으나, 양자를 일체로 구성해도 좋다.
가동부(12)는, 가동 부재(121)와 접촉 유닛(122)을 구비한다. 가동 부재(121)는, 도 11에서의 측면에서 보아 우상에서 좌하를 향해 경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속부(1211)와, 접속부(1211)에서 구부러져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1212)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가동 부재(121)의 수평부(1212)에는 접촉 유닛(122)이 장착되어 있다.
접속부(1211)의 단부측은, 요동 부재(111)의 홈(111a)에 삽입되는 좁은폭 부분(1211n)으로 되어 있으며 이 좁은폭 부분(1211n)은 회동축(112)이 삽입되는 축구멍(미도시)을 가진다. 접속부(1211)의 나머지 부분은 넓은폭 부분(1211w)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넓은폭 부분(1211w)의 단면(端面)이 요동 부재(111)의 돌출부(111d) 단면에 접촉함으로써 요동부(11)에 대한 가동부(12)의 회동 범위를 규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요동부(11)에 대해 가동부(12)가, 회동축(112) 둘레로 도 11의 위치를 넘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형태에서도 요동 유닛(10)의 회동축(54) 회전의 회동에 따라 요동부(11)에 대해 가동부(12)가 회동축(112) 둘레로 회동한다. 그 때 넓은폭 부분(1211w)과 돌출부(111d)에 의해 의도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가동부(12)가 회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규제 기구(20)에 의한 가동부(12)의 움직임을 보조한다.
수평부(1212)에는 접촉 유닛(122)이 탑재된다. 수평부(1212)의 단부에는 홈부(1212d)가 형성되어 있으며 접촉 유닛(122)은 이 홈부(1212d)에 삽입됨과 아울러 축(1223)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수평부(1212)에 지지되어 있다.
접촉 유닛(122)은, 워크에 접촉하는 워크 접촉부로서의 접촉면(1221)을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워크 접촉부를 접촉면(1221)으로 하였으나, 상기 제1 실시형태와 같이 롤러로 해도 좋다.
홈부(1212d)의 주위벽 일부를 구성하는 세로벽부(1212e)에는, 그 두께 방향을 관통하여 삽입통과 구멍(미도시)이 형성되어 있고 이 삽입통과 구멍에 쇼크업소버(1225)의 실린더부(외통부)가 삽입통과되어 있다. 쇼크업소버(1225)는 세로벽부(1212e)에 고정됨과 아울러 그 로드부(미도시)는 접촉 유닛(122)의 등(背)쪽에 접촉해 있다.
<지지 부재(50)>
지지 부재(50)는 L자형의 1쌍의 벽부(51),(51)와, 벽부(51),(51)의 수직부(회동축(54)측의 부분)를 접속하는 접속부(52)와, 벽부(51),(51)의 수평부(접촉 유닛(122)측의 부분)를 접속하는 접속부(53)를 일체로 구비하고, 상하로 개방된 틀을 이루고 있다.
각 벽부(51),(51)는, 회동축(54)을 지지하는 베어링 구멍(51a)을 구비한다. 이들 벽부(51),(51) 사이에 요동 부재(111)를 끼워넣은 후 회동축(54)을 삽입통과한다. 그리고 미도시된 멈춤 링을 회동축(54)의 양 단부에 걸어맞춘다. 이렇게 하여 지지 부재(50)와 요동 부재(111)가 조립되어 서로 걸어맞춰진다. 이로써 요동 유닛(10) 전체가 회동축(54)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 부재(50)에 지지된다.
각 벽부(51),(51)는, 회동 규제 부재(40)가 삽입통과되는 홈(51b), 홈(51b)을 구비한다. 홈(51b)은 상하 방향(후술하는 플런저(321)의 이동 방향과 평행)으로 연장되는 장원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벽부(51)를 그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다. 회동 규제 부재(40)는 핀형을 이루고 홈(51b),(51b)에 걸쳐 삽입통과되어 이들과 걸어맞춰져 있으며, 홈(51b)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멈춤 링(40a),(40a)은 회동 규제 부재(40)의 각 단부에 장착되어 회동 규제 부재(40)의 스토퍼로 되어 있다.
각 홈(51b) 안에는, 회동 규제 부재(40)의 양 단부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수용 부재(41) 및 그 수용 부재(41)와 홈(51b)의 바닥부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42)가 각각 마련된다.
수용 부재(41)는, 회동 규제 부재(40)와 탄성 부재(42) 사이에 개재되어 탄성 부재(42)의 가압력을 회동 규제 부재(40)에 안정적으로 전달하는 부재이다. 탄성 부재(42)는 본 실시형태의 경우, 누름 스프링(코일 스프링)이며, 수용 부재(41)를 사이에 두고 회동 규제 부재(40)를 상방향으로 상시 가압하는 것이며, 그 가압력은 탄성 부재(33)의 가압력보다 작다. 탄성 부재(42)는 코일 스프링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판스프링 등의 다른 누름 스프링 외에 다른 탄성 부재도 채용 가능하다. 각 홈(51b)의 바닥부에는 상기 제1 실시형태와 같이 구멍(51c)을 마련해도 좋다.
접속부(52)에서의 베어링 구멍(51a)의 근방 부분은 수평면을 이루고 있으며 회동 규제면(52a)을 구성하고 있다. 회동 규제면(52a)에 요동 부재(111)의 규제부(111e)가 접촉함으로써 요동 유닛(10)(요동 부재(111))이 도 11의 상태로부터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접속부(52)에서의 회동축(54)의 베어링 구멍(51a)과 홈(51b)의 중도부에는 바닥 있는 구멍(52b)이 개구되어 있다. 이 구멍(52b)은, 후술하는 탄성 부재(33)가 삽입, 장착되는 스프링 수용 구멍이다.
<규제 기구(20)>
규제 기구(20)는, 가동부(12)의 회동축(112) 둘레의 회동을 안내하기 위해 그 이동 범위를 규제하는 기구이다. 규제 기구(20)를 마련함으로써 요동 유닛(10)이 회동축(54) 둘레를 회동할 때 가동부(12)를 의도한 궤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규제 기구(20)는 핀(21)과 가이드 홈(22)을 구비한다. 핀(21)은, 가동 부재(121)의 핀 삽입 구멍(1212c)에 삽입되어 가동 부재(121)의 측면부로부터 돌출된 돌기부를 형성한다. 가이드 홈(22)은, 1쌍의 벽부(51),(51) 중 한쪽 벽부(51)에 형성된다.
핀(21)의 단부는 가이드 홈(22)에 걸어맞춰지고, 이로써 가동부(12)의 이동을 가이드 홈(22)으로 안내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핀(21)을 가동부(12)측의 걸어맞춤부로 하고 가이드 홈(22)을 벽부(51)측의 부동의 걸어맞춤부로 하였으나, 핀과 가이드 홈의 배치 부위를 반대로 해도 좋다. 무엇보다도 본 실시형태의 경우,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가이드 홈(22)과 홈(51b)을 공통의 지지 부재(50)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것은, 가이드 홈(22) 및 홈(51b)의 성형이나 양자의 위치 정밀도 면에서 유리하다.
가이드 홈(22)은, 상기 제1 실시형태와 형상이 다르며 전체적으로 반송 방향 하류측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도 11의 상태로부터 요동 유닛(10)의 요동부(11)를 회동축(54) 둘레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 가동부(12)는 비스듬하게 하방으로 대략 곧바로 이동하게 된다.
<구동 유닛(30)>
구동 유닛(30)은 요동 유닛(10)을 회동축(54) 둘레로 회동시킨다. 구동 유닛(30)은 탄성 부재(33)를 구비한다. 탄성 부재(33)는 본 실시형태의 경우, 누름 스프링(코일 스프링)이며, 요동 부재(111)의 개구부(111h)와 접속부(52)의 구멍(52b) 사이에 장전된다. 탄성 부재(33)는 요동 유닛(10)을 상방향으로 상시 가압하고, 도 11의 상태(규제부(111e)가 회동 규제면(52a)에 접촉하여 요동 부재(111)의 회동이 규제된 상태)를 유지한다. 탄성 부재(33)는 코일 스프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판스프링 등 다른 누름 스프링 외에 다른 탄성 부재도 채용 가능하다.
구동 유닛(30)은, 전동의 구동부(31)와, 구동부(31)에 의해 이동하는 가동부(32)를 구비한다. 가동부(32)는 플런저(321)와, 플런저(321)와 요동 유닛(10)을 연결하는 연결부(322)와, 연결 핀(323)을 구비한다. 구동부(31)는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케이스(60)로 둘러싸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구동부(31)와 플런저(321)는 풀 솔레노이드를 구성하고 있으며, 통형의 구동부(31)(전자석)에 대한 통전에 의해 플런저(321)를 구동부(31)의 통 안으로 끌어들이는 방향(하방향)으로만 구동력을 발휘시킨다. 즉 풀 솔레노이드는 플런저(321)를 구동부(31)의 통 안으로부터 밀어내는 방향(상방향)으로는 구동력을 발휘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풀 솔레노이드를 채용하였으나 모터등 다른 전동 구동 액츄에이터여도 좋다. 전동 구동 액츄에이터 대신에 주지의 전동 이외의 액츄에이터(예를 들면, 에어 실린더 등)를 이용해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무엇보다도 풀 솔레노이드를 채용함으로써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플런저(321)의 상단부에는, 연결부(322)의 일단부(하단부)가 걸어맞춤, 삽입되는 슬릿(오목부)(321a)이 마련되고, 플런저(321)의 상단부 주면에는 플런저(321)를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핀 삽입 구멍(321b)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322)는,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플런저(321)에 대해 연결 핀(323)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달리 연결부(322)의 도중 부위는 대략 직선형으로 되어 있다.
연결부(322)의 상부에는, 축체인 연결 핀(113)이 삽입통과되는 연결 구멍(322d)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 구멍(322d)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으로 되어 있다. 연결부(322)는, 그 상단부가 요동 부재(111)의 개구부(111i)에 삽입되고, 연결 핀(113)을 요동 부재(111)의 핀 삽입 구멍(111f)과 연결 구멍(322d)에 삽입통과함으로써 연결부(322)와 요동 부재(111)가 걸어맞춰진다. 연결 구멍(322d)이 장공이므로 연결부(322)와 요동 부재(111)는 일정한 여유를 가진 끼워맞춤(헐거운 끼워맞춤)이 된다.
연결 구멍(322d)의 하부에는 접촉부(322b)가 형성되어 있다. 접촉부(322b)는, 회동 규제 부재(40) 주면의 최상부에 접촉하여 회동 규제 부재(40)와 걸어맞춰진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연결부(322)는 상대적으로 반송 방향의 상류측에서 전동 유닛(30)과 연결되고 상대적으로 반송 방향의 하류측에서 요동 부재(111)와 연결되어 있다. 이 연결 구조에 의해, 워크와 접촉하는 접촉면(1221)의 하방에 전동 유닛(30)을 배치한 구성을 실현하였다. 그 결과, 워크와 접촉하는 접촉 부분을 직선형으로 왕복동시키는 타입의 종래의 정지 장치와 마찬가지의 장소에 구동원을 배치시키면서 회동 타입의 정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역송 방지 장치(70)>
역송 방지 장치(70)는, 지지 부재(50)의 한쪽 벽부(51)에 고정된 본체부(71)와, 본체부(71)에 대해 축(73)을 사이에 두고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접촉부(72)를 구비한다. 워크(W)의 반송을 정지할 때 워크(W)의 선단부는 접촉부(72)와 간섭하는데, 이 때 접촉부(72)는 도 8의 화살표로 도시한 방향으로 회동하여 워크(W)의 통과를 허용한다. 접촉부(72)를 통과한 워크(W)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접촉 유닛(122)의 접촉면(1221)에 접촉하여 그 반송이 정지되는데, 접촉면(1221)과 접촉한 충격으로 반송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접촉부(72)에 워크(W)의 선단 플랜지부(Weg)(도 11 참조)가 걸린다. 이로써 워크(W)의 역송을 방지할 수 있다.
<정지 장치(1')의 동작예>
정지 장치(1')의 동작은 상기 제1 실시형태의 정지 장치(1)와 마찬가지이다. 도 11은, 상기 제1 실시형태의 도 4의 상태에 대응한다. 즉, 동 도면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수평 방향으로 반송되어 온 워크(W)를 정지시키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한다. 정지 장치(1')의 요동 유닛(10)은, 접촉 유닛(122)의 접촉면(1221)이 워크(W)에 접촉하는 접촉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이 접촉 위치에서 접촉면(1221)은 워크(W)의 하면, 즉 반송면(L)보다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탄성 부재(33)는, 요동 유닛(10)에 대해 요동 유닛(10)을 접촉 위치에 위치시키는 방향(동 도면에서는 상방향이며, 요동 부재(111)의 수평 상태를 상한으로 하고 회동축(54)을 중심으로 한 시계방향)으로 가압력을 부여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접속부(52)의 회동 규제면(52a)과 요동 부재(111)의 규제부(111e)의 접촉함에 의해 요동 유닛(10)은, 도 11의 상태로부터 시계방향으로는 더 회동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 11의 상태에서는 구동부(31)는 비구동 상태에 있다. 탄성 부재(42)의 가압에 의해 회동 규제 부재(40)는 홈(51b)의 상단에 위치하고 있다. 회동 규제 부재(40)는 연결부(322)의 접촉부(322b)에 접촉하여 걸어맞춤 상태에 있다. 구동부(31)는 비구동 상태이므로 탄성 부재(42)의 가압에 의해 회동 규제 부재(40)를 사이에 두고 연결부(322) 및 플런저(321)가 이들 최상방 위치로 밀어올려져 있으며 연결 핀(113)은 연결 구멍(322d)의 최하부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탄성 부재(42)는, 회동 규제 부재(40)를 연결부(322)에 걸어맞추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부여한다.
도 11의 상태에서 워크(W)가 접촉면(1221)에 접촉하면, 워크(W)를 소정의 정지 위치에 정지시킨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접촉면(1221)을 가진 접촉 유닛(122)이 축(1223)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다. 따라서 워크(W)가 접촉면(1221)에 접촉하기 시작한 단계에서는, 워크(W)의 반송력이 요동 유닛(10) 전체를 회동시키는 방향에는 작용하지 않고, 도 12에서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 유닛(122)만이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접촉 유닛(122)의 회동에 따라 쇼크업소버(1225)의 로드부(미도시)의 선단에 가동 부재(1222)가 접촉하기 시작하므로, 쇼크업소버(1225)에 의해 워크(W)와 접촉면(1221)과의 충돌의 충격이 완충된다.
워크(W)가 접촉함으로써 워크(W)의 반송력이, 회동축(112)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가동부(12)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요동부(11)에 대해서는, 회동축(54)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이것을 회동시키는 힘이 작용한다. 즉, 가동부(12)와 요동부(11)를 굴곡시키는 힘이 작용한다.
그러나 회동 규제 부재(40)와 요동 부재(111)의 접촉 부재(114)가 접촉하여 걸어맞춤 상태가 되므로 요동부(11)의 회동이 규제된다. 또 가동부(12)도 가이드 홈(22)의 상단부와 핀(21)의 접촉함에 의해 그 회동이 규제된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동부(31)의 구동력을 이용하지 않고, 보다 확실하고 강고하게 요동부(11) 및 가동부(12)의 회동을 규제할 수 있어 워크(W)를 소정의 정지 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구동부(31)를 구동함으로써 접촉면(1221)을 워크(W)의 하면보다 하방으로 후퇴시키고, 워크(W)와 접촉면(1221)이 비접촉의 퇴피 위치로 요동 유닛(10)을 회동시켜 워크(W)가 정지 장치(1')를 통과할 수 있게 되는 경우(정지 해제 공정)에 대해 설명하는데, 상기 제1 실시형태와 같은 동작이 된다.
구동부(31)는, 탄성 부재(33)의 가압에 대항하여 요동 유닛(10)이 퇴피 위치측으로 회동하는 방향으로 플런저(321)를 이동시킨다. 도 12는, 상기 제1 실시형태 상태(ST2)에 대응한 상태를 도시한다. 즉, 도 12는 구동부(31)를 구동하기 시작한 초기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플런저(321)가 하방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구동부(31)로 끌어들여지기 시작한다). 회동 규제 부재(40)는 연결부(322)와 걸어맞춰져 있기 때문에 플런저(321) 및 연결부(322)의 이동에 연동하여 회동 규제 부재(40)도 또 하방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플런저(321)의 이동 방향과 홈(51b)의 길이 방향이 평행하므로 회동 규제 부재(40)는 플런저(321)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회동 규제 부재(40)가 도 12의 상태의 위치(연결 핀(113)이 연결 구멍(322)의 상단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까지 하방으로 이동하면, 회동 규제 부재(40)와 접촉 부재(114)가 걸어맞춰지지(접촉하지) 않게 되어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동 규제 부재(40)와 접촉 부재(114)가 걸어맞춰져 있을 때의 회동 규제 부재(40)의 이동 범위를 규제 영역이라고 하고, 걸어맞춰져 있지 않을 때의 회동 규제 부재(40)의 이동 범위를 규제 해제 영역이라고 한다.
연결 구멍(322d)은 장공이며, 연결 구멍(322d)과 연결 핀(113)은 헐거운 끼워맞춤이다. 그리고 장공의 길이는, 회동 규제 부재(40)가 규제 영역을 벗어날 때까지는 요동 부재(111)와 연결부(322)는 비연결 상태에 있으며, 구동부(31)로부터 요동 유닛(10)에 회동력이 부여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회동 규제 부재(40)가 규제 해제 영역에 도달하면, 연결 핀(113)의 주면 상부가 연결 구멍(322d)의 상부에 착좌된다. 이로써 요동 부재(111)와 연결부(322)가 연결 상태가 되어 구동부(31)로부터 요동 유닛(10)에 회동력이 부여되게 된다.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결부(322)와 요동 부재(111)가 플런저(321) 및 회동 규제 부재(40)의 이동에 뒤처져 연결 상태가 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은, 회동 규제 부재(40)에 의한 요동 유닛(10)의 회동 규제가 해제되기 전에 구동부(31)로부터 요동 유닛(10)에 회동력이 부여되어도 소용없게 되므로 이 상태를 회피하고자 한 것이다.
이후의 동작은, 상기 제1 실시형태 상태(ST3)~(ST4)와 대략 마찬가지로 된다. 즉, 요동 유닛(10)과 연결부(322)가 연결 상태가 되고 회동 규제 부재(40)가 규제 해제 영역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플런저(321)가 하방으로 더 이동하면, 탄성 부재(33)의 가압에 대항하여 요동 유닛(10)이 반시계방향(하향)으로 회동하여 접촉 유닛(12)이 퇴피 위치로 강하하기 시작하고 퇴피 위치에 도달하여 워크의 정지가 해제된다.
요동 유닛(10)이 퇴피 위치로 회동할 때, 가동부(12)가 요동부(11)에 대해 회동하기 때문에, 요동 유닛(10)은 그 도중 부위(회동축(112))에서 구부러진다. 가동부(12)는, 규제 기구(20)에 의해 회동축(112) 둘레의 회동이 안내되어 요동부(11)에 대해 시계방향(상향)으로 회동한다. 그 결과, 요동 유닛(10)이 접촉 위치에서 퇴피 위치로 회동함에 따라 회동축(54)과 접촉면(1221)의 거리가 짧아진다. 이로써 워크(W)를 상류측으로 되밀어내는 방향으로 이동하지는 않는다. 즉, 가동부(12)를 접촉 위치에서 퇴피 위치로 회동시킬 때 그 회동력에 워크(W)를 상류측으로 되밀어내는 힘을 가미할 필요는 없다.
<제3 실시형태>
상기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서는, 워크(W)의 반송 궤도의 하측에 정지 장치(1) 및 (1')를 배치한 예를 나타냈으나, 정지 장치(1) 및 (1')의 배치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워크(W)의 반송 궤도 위쪽에 마련해도 좋고, 측방에 마련해도 좋다. 어느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한다. 도 13은 정지 장치(1')를 워크(W)의 반송 궤도의 측방에 배치한 예를 도시한다. 여기에서는 정지 장치(1')를 예시하는데, 정지 장치(1)도 마찬가지이다.
도 13의 예에서는, 1쌍의 정지 장치(1')가 수평 방향으로 이간되어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도 11의 정지 장치(1')를 옆으로 쓰러뜨려 반송면(L')-(L')과 대략 같은 높이 레벨로 마주 보고 1쌍으로 배치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회동축(54)은, 그 축방향이 연직 방향을 향하도록 정지 장치(1')가 배치된다. 반송면(L')은, 워크(W)의 반송 궤도 중 워크(W)의 좌우측부가 통과하는 위치이다. 동 도면의 구성의 경우, 요동 유닛(10)은 회동축(54) 둘레로 수평면상을 요동하게 된다. 접촉 위치에서 접촉면(1221)은 반송면(L’)-(L’)영역의 내측으로 돌출되며, 퇴피 위치에서 접촉면(1221)은 반송면(L’)-(L’)영역의 외측으로 퇴피하게 된다.
<제4 실시형태>
상기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서는, 규제 기구(20)를 핀(21)과 가이드 홈(22)으로 구성하는 예를 예시하였으나, 규제 기구(20)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4는 규제 기구(20)의 다른 예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규제 기구(20A)는, 롤러(21A)를 가동부(12)측의 걸어맞춤부로 하고, 레일 부재(22A)를 벽부(51)측의 부동의 걸어맞춤부로 한 것이다. 롤러(21A)가 레일 부재(22A) 안을 구름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레일 부재(22A)의 레일 형상에 의해 가동부(12)의 회동을 안내할 수 있다. 롤러(21A)를 벽부(51)측의 부동의 걸어맞춤부로 하고, 레일 부재(22A)를 가동부(12)측의 걸어맞춤부로 해도 좋다.
규제 기구(20B)는, 슬라이드 부재(21B)를 가동부(12)측의 걸어맞춤부로 하고, 레일 부재(22B)를 벽부(51)측의 부동의 걸어맞춤부로 한 것이다. 슬라이드 부재(21B)가 레일 부재(22B) 안을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레일 부재(22A)의 레일 형상에 의해 가동부(12)의 회동을 안내할 수 있다. 슬라이드 부재(21B)를 벽부(51)측의 부동의 걸어맞춤부로 하고 레일 부재(22B)를 가동부(12)측의 걸어맞춤부로 해도 좋다.
<다른 실시형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로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를 공공연하게 하기 위해 이하의 청구범위를 첨부한다.

Claims (20)

  1. 반송중인 워크에 접촉하여 워크를 정지시키는 정지 장치에 있어서,
    반송중인 워크에 소정의 정지 위치에서 접촉하여 워크의 반송을 정지시키는 접촉 위치와, 상기 워크의 통과를 허용하는 퇴피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정지 위치보다 워크의 반송 방향으로 하류측의 제1 회동축 둘레로 회동 가능한 요동 유닛과,
    상기 요동 유닛을 회동시키는 구동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요동 유닛이,
    상기 제1 회동축 둘레로 회동 가능한 요동부와,
    상기 워크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가진 가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부는,
    상기 요동 유닛이 상기 접촉 위치로부터 상기 퇴피 위치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제1 회동축과 상기 워크 접촉부 간의 거리가 짧아지도록, 상기 제1 회동축과 평행한 제2 회동축을 통해 상기 요동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의 동작에 연동하여 이동함으로써, 상기 요동 유닛과의 걸어맞춤에 의한 상기 요동 유닛의 회동 규제와, 그 회동 규제의 해제를 행하는 회동 규제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이,
    상기 요동 유닛에 대해, 상기 접촉 위치에 위치시키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부여하는 요동 유닛용 탄성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이,
    상기 요동 유닛을 상기 퇴피 위치측으로 회동시키는 전동(電動) 구동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의 상기 제2 회동축 둘레의 회동을 안내하기 위해 그 이동 범위를 규제하는 규제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규제 기구는,
    상기 가동부에 마련된 제1 걸어맞춤부와,
    상기 제1 걸어맞춤부와 걸어맞추는 부동(不動)의 제2 걸어맞춤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요동 유닛이 상기 접촉 위치로부터 상기 퇴피 위치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가동부는 상기 요동부에 대해 상기 제2 회동축 둘레의 일방향으로 회동하고,
    상기 가동부와 상기 요동부 양쪽에, 서로 접촉함으로써, 상기 가동부가 상기 요동부에 대해 상기 일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소정 위치를 넘어 회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이,
    상기 요동 유닛에 대해, 상기 접촉 위치에 위치시키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부여하는 요동 유닛용 탄성 부재와,
    상기 요동 유닛과 연결된 연결부, 및 상기 요동 유닛이 상기 퇴피 위치측으로 회동하는 방향으로 상기 연결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가진 전동 구동 액츄에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정지 장치는 또한,
    상기 연결부의 이동에 연동하여 이동함으로써, 상기 요동 유닛과의 걸어맞춤에 의한 상기 요동 유닛의 회동 규제와, 그 회동 규제의 해제를 행하는 회동 규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회동 규제 부재가,
    상기 연결부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요동 유닛의 회동을 규제하는 규제 영역으로부터, 상기 요동 유닛의 회동을 허용하는 규제 해제 영역의 범위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요동 유닛은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축체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회동 규제 부재가 상기 규제 영역에 있는 경우는 상기 요동 유닛과 비연결 상태이며, 상기 규제 해제 영역에 있는 경우는 상기 요동 유닛과 연결 상태가 되도록, 상기 축체가 삽입통과되는 장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 장치.
  9. 정지 장치에 의해 반송중인 워크에 접촉하여 워크를 정지시키고, 그 후 워크의 정지를 해제하는 정지 해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지 장치가,
    워크에 접촉하는 워크 접촉부를 가진 요동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요동 유닛은,
    반송중인 워크에 소정의 정지 위치에서 상기 워크 접촉부가 접촉하여 워크의 반송을 정지시키는 접촉 위치와, 워크의 통과를 허용하는 퇴피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정지 위치보다 워크의 반송 방향으로 하류측의 제1 회동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며,
    상기 정지 해제 방법은,
    워크의 정지를 해제하기 위해, 상기 접촉 위치에 있는 상기 요동 유닛을 상기 제1 회동축 둘레로 상기 퇴피 위치로 회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요동 유닛이 상기 접촉 위치로부터 상기 퇴피 위치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제1 회동축과 상기 워크 접촉부 간의 거리가 짧아지도록, 상기 제1 회동축과 상기 워크 접촉부 사이의 도중 부위에서 상기 요동 유닛을 구부리는 정지 해제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 해제 방법.
  10. 반송중인 워크에 접촉하여 워크를 정지시키는 정지 장치에 있어서,
    반송중인 워크에 소정의 정지 위치에서 접촉하여 워크의 반송을 정지시키는 워크 접촉부를 가지며, 상기 워크 접촉부가 워크의 하면보다 상방으로 돌출된 접촉 위치와, 상기 워크 접촉부가 워크의 하면보다 하방으로 후퇴하여 워크의 통과를 허용하는 퇴피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정지 위치보다 워크의 반송 방향으로 하류측의 제1 회동축 둘레로 회동 가능한 요동 유닛과,
    상기 요동 유닛을 회동시키는 구동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요동 유닛이,
    상기 제1 회동축 둘레로 회동 가능한 요동부와,
    상기 워크 접촉부를 가진 가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부는,
    상기 요동 유닛이 상기 접촉 위치로부터 상기 퇴피 위치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제1 회동축과 상기 워크 접촉부 간의 거리가 짧아지도록, 상기 제1 회동축과 평행한 제2 회동축을 통해 상기 요동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이,
    상기 요동 유닛에 대해, 상기 접촉 위치에 위치시키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부여하는 요동 유닛용 탄성 부재와,
    상기 요동 유닛과 연결된 연결부 및 상기 요동 유닛이 상기 퇴피 위치측으로 회동하는 방향으로 상기 연결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가진 전동 구동 액츄에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정지 장치는 또한,
    상기 연결부의 이동에 연동하여 이동함으로써, 상기 요동 유닛과의 걸어맞춤에 의한 상기 요동 유닛의 회동 규제와, 그 회동 규제의 해제를 행하는 회동 규제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 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의 상기 제2 회동축 둘레의 회동을 안내하기 위해 그 이동 범위를 규제하는 규제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요동 유닛을 상기 제1 회동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규제 기구가,
    상기 지지 부재 및 상기 가동부의 일방에 형성된 가이드 홈과,
    상기 지지 부재 및 상기 가동부의 타방에 마련되어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된 돌기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 장치.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요동 유닛이 상기 접촉 위치로부터 상기 퇴피 위치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가동부는 상기 요동부에 대해 상기 제2 회동축 둘레의 일방향으로 회동하고,
    상기 가동부와 상기 요동부 양쪽에, 서로 접촉함으로써, 상기 가동부가 상기 요동부에 대해 상기 일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소정 위치를 넘어 회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 장치.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요동 유닛용 탄성 부재는, 상기 요동부의 소정 부위에 상기 가압력을 부여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회동축으로부터 상기 소정 부위보다 이격된 부위에서 상기 요동부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 장치.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회동 규제 부재가,
    상기 연결부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요동 유닛의 회동을 규제하는 규제 영역으로부터, 상기 요동 유닛의 회동을 허용하는 규제 해제 영역의 범위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요동 유닛은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축체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회동 규제 부재가 상기 규제 영역에 있는 경우는 상기 요동 유닛과 비연결 상태이며, 상기 규제 해제 영역에 있는 경우는 상기 요동 유닛과 연결 상태가 되도록, 상기 축체가 삽입통과되는 장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 장치.
  17.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회동 규제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에 마련한 제1 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가이드 홈을 상기 지지 부재에 형성하고 상기 돌기부를 상기 가동부에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 장치.
  18.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전동 구동 액츄에이터가 풀 솔레노이드이며,
    상기 연결부가,
    상기 풀 솔레노이드의 플런저와, 그 플런저와 상기 요동 유닛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 장치.
  19. 정지 장치에 의해 반송중인 워크에 접촉하여 워크를 정지시키고, 그 후 워크의 정지를 해제하는 정지 해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지 장치가,
    반송중인 워크에 소정의 정지 위치에서 접촉하여 워크의 반송을 정지시키는 워크 접촉부를 가지며, 상기 워크 접촉부가 워크의 하면보다 상방으로 돌출된 접촉 위치와, 상기 워크 접촉부가 워크의 하면보다 하방으로 후퇴하여 워크의 통과를 허용하는 퇴피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정지 위치보다 워크의 반송 방향으로 하류측의 제1 회동축 둘레로 회동 가능한 요동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정지 해제 방법은,
    워크의 정지를 해제하기 위해, 상기 접촉 위치에 있는 상기 요동 유닛을 상기 제1 회동축 둘레로 상기 퇴피 위치로 회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요동 유닛이 상기 접촉 위치로부터 상기 퇴피 위치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제1 회동축과 상기 워크 접촉부 간의 거리가 짧아지도록, 상기 제1 회동축과 상기 워크 접촉부 사이의 도중 부위에서 상기 요동 유닛을 구부리는 정지 해제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 해제 방법.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요동 유닛이,
    상기 제1 회동축 둘레로 회동 가능한 요동부와,
    상기 워크 접촉부를 가지며, 상기 제1 회동축과 평행한 제2 회동축을 통해 상기 요동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가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정지 해제 공정은,
    상기 요동부를 상기 제1 회동축 둘레로 하향으로 회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1 회동축과 상기 워크 접촉부 간의 거리가 짧아지도록, 상기 가동부를 상기 제2 회동축 둘레로 상향으로 회동시키고, 상기 요동 유닛을 절곡시키면서 상기 접촉 위치로부터 상기 퇴피 위치로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 해제 방법.
KR1020137022152A 2011-03-23 2012-03-22 정지 장치 및 정지 해제 방법 KR1015316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1/001692 WO2012127530A1 (ja) 2011-03-23 2011-03-23 停止装置及び停止解除方法
WOPCT/JP2011/001692 2011-03-23
PCT/JP2012/001984 WO2012127867A1 (ja) 2011-03-23 2012-03-22 停止装置及び停止解除方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7270A Division KR101644118B1 (ko) 2011-03-23 2012-03-22 정지 장치 및 정지 해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9974A true KR20130119974A (ko) 2013-11-01
KR101531631B1 KR101531631B1 (ko) 2015-06-25

Family

ID=4687873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7270A KR101644118B1 (ko) 2011-03-23 2012-03-22 정지 장치 및 정지 해제 방법
KR1020137022152A KR101531631B1 (ko) 2011-03-23 2012-03-22 정지 장치 및 정지 해제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7270A KR101644118B1 (ko) 2011-03-23 2012-03-22 정지 장치 및 정지 해제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8770383B2 (ko)
KR (2) KR101644118B1 (ko)
CN (2) CN103429512B (ko)
DE (2) DE112012007281B3 (ko)
MX (1) MX336372B (ko)
WO (2) WO201212753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75658B2 (en) 2014-02-10 2016-10-25 Hirata Corporation Stop device and auxiliary stop unit
KR20190037822A (ko) * 2017-09-29 2019-04-08 한국에스엠씨 주식회사 수직수평형 스토퍼 실린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27530A1 (ja) * 2011-03-23 2012-09-27 平田機工株式会社 停止装置及び停止解除方法
CN104203776B (zh) * 2012-03-27 2016-12-21 平田机工株式会社 停止装置及暂时停止方法
JP5865164B2 (ja) * 2012-04-16 2016-02-17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離間距離調整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搬送装置
CN103754635B (zh) * 2014-01-02 2016-04-27 河南科技大学 配合升降机使用的输送线限位装置及使用该装置的输送线
DE102014005657C5 (de) * 2014-04-17 2023-10-26 Asutec Gmbh Anschlagmodul
CN104773501B (zh) * 2015-04-01 2017-04-19 乌海市天宇高岭土高新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滚动摩擦体的挡钵器
CN105151767A (zh) * 2015-07-07 2015-12-16 大连豪森设备制造有限公司 新型电动挡停器
EP3385199A1 (de) * 2017-04-06 2018-10-10 Weforma Dämpfungstechnik GmbH Verfahren und palettenstopper zum stoppen eines stückigen guts
EP3681825A4 (en) * 2017-09-13 2021-06-16 FlexLink AB BRAKE DEVICE FOR A CONVEYOR SYSTEM
CN107826729A (zh) * 2017-12-01 2018-03-23 广西玉柴机器股份有限公司 一种防碰撞的气缸体输送滚道停止器
CN108045911A (zh) * 2017-12-15 2018-05-18 天奇自动化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活动装置
US10654650B1 (en) * 2018-12-03 2020-05-19 Uncommon Solutions, LLC Barrel rolling safety device
CN109573576B (zh) * 2018-12-10 2023-09-26 日立电梯电机(广州)有限公司 阻挡器及输送生产线
CN109399148A (zh) * 2018-12-27 2019-03-01 银河水滴科技(北京)有限公司 定位装置及运料装置
CN112299026A (zh) * 2020-09-29 2021-02-02 广东拓斯达科技股份有限公司 Pcb板分板供料机
CN113879827B (zh) * 2021-12-08 2022-03-04 苏州艾隆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传送盒体的运输装置及基于其的运输系统
CN114313954B (zh) * 2021-12-27 2023-03-24 青岛孚鼎泰智能技术有限公司 一种具有对对碰阻挡器的传送装置及其工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738384Y1 (ko) 1967-08-05 1972-11-20
US3830409A (en) * 1971-12-16 1974-08-20 Handling Systems Inc Controlling the supply of articles
JPS59156026U (ja) * 1983-04-06 1984-10-19 株式会社リコー ストツパ−装置
JPS61176118U (ko) 1985-04-23 1986-11-04
JPH0738384B2 (ja) 1986-03-18 1995-04-26 富士通株式会社 プラズマアツシング装置
JPH07105432B2 (ja) * 1986-10-09 1995-11-13 タツモ株式会社 基板の自動位置合せ装置
JPH0616233A (ja) 1991-02-15 1994-01-25 Nippon Seiki Kk 定位置停止装置
JPH0586923U (ja) * 1992-04-28 1993-11-22 前浜工業株式会社 作業台車の中間停止装置
US5211276A (en) * 1992-06-23 1993-05-18 Tekno Inc. Stop for conveyor
JP3415899B2 (ja) * 1993-12-01 2003-06-09 マツダ株式会社 搬送ラインの制御装置
JP3786451B2 (ja) * 1995-05-22 2006-06-14 Smc株式会社 ストッパシリンダのロック機構
US5676235A (en) * 1995-09-11 1997-10-14 Giddings & Lewis, Inc. Linear pallet stop
DE19543797A1 (de) * 1995-11-24 1997-05-28 Grob Gmbh & Co Kg Vorrichtung für die Steuerung einer Palette auf einer Förderbahn
ATE209080T1 (de) * 1996-04-23 2001-12-15 Woerner Helmut Anschlag, insbesondere für automatische bearbeitungs- oder fördervorrichtungen
JPH1017141A (ja) * 1996-06-27 1998-01-20 Murata Mach Ltd ストッパーユニット
JP3415425B2 (ja) * 1998-02-10 2003-06-09 Smc株式会社 ストッパシリンダ
US6119843A (en) * 1999-02-03 2000-09-19 Robinson; Brian Owen Retractable stop assembly
US6220418B1 (en) 1999-11-02 2001-04-24 Ancra International, Llc. Braking device for roller conveyor system for handling cargo
DE20315815U1 (de) * 2003-10-10 2005-02-17 Grob-Werke Burkhart Grob E.K. Vorrichtung zum Stoppen von Transportgut
JP2006076767A (ja) 2004-09-13 2006-03-23 Nippon Yusoki Co Ltd コンベア
US7111721B1 (en) * 2004-12-08 2006-09-26 Turner Michael L Stop apparatus for conveyor systems
ATE438578T1 (de) 2005-10-21 2009-08-15 Woerner Helmut Anschlag- und dämpfermodul
US7249666B1 (en) * 2006-01-19 2007-07-31 Robinson Brian O Retractable stop assembly
US7380649B2 (en) * 2006-03-24 2008-06-03 Lauyans & Company, Inc. Pallet stop for pallet load transport system
JP4161097B2 (ja) * 2006-06-21 2008-10-08 Smc株式会社 ストッパシリンダ
EP1902982B1 (de) * 2006-09-25 2008-11-19 Wörner, Helmut Anschlagmodul
DE102007062075A1 (de) * 2007-12-21 2009-06-25 Robert Bosch Gmbh Anschlagmodul, insbesondere für automatisierte Bearbeitungs- und Fördereinrichtungen
DE102007062076A1 (de) * 2007-12-21 2009-06-25 Robert Bosch Gmbh Anschlagmodul, insbesondere für automatisierte Bearbeitungs- und Fördereinrichtungen
JP2009173417A (ja) * 2008-01-25 2009-08-06 Helmut Woerner 当接モジュール
JP5415909B2 (ja) * 2009-11-10 2014-02-12 平田機工株式会社 停止装置
WO2012127530A1 (ja) * 2011-03-23 2012-09-27 平田機工株式会社 停止装置及び停止解除方法
JP5862430B2 (ja) * 2012-04-05 2016-02-16 Smc株式会社 ストッパシリン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75658B2 (en) 2014-02-10 2016-10-25 Hirata Corporation Stop device and auxiliary stop unit
KR20190037822A (ko) * 2017-09-29 2019-04-08 한국에스엠씨 주식회사 수직수평형 스토퍼 실린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2001363B4 (de) 2018-02-22
US8770383B2 (en) 2014-07-08
CN104648994A (zh) 2015-05-27
CN103429512B (zh) 2015-07-08
WO2012127530A1 (ja) 2012-09-27
KR20150038723A (ko) 2015-04-08
MX336372B (es) 2016-01-06
WO2012127867A1 (ja) 2012-09-27
DE112012001363T5 (de) 2013-12-24
KR101644118B1 (ko) 2016-07-29
KR101531631B1 (ko) 2015-06-25
US9090409B2 (en) 2015-07-28
MX2013010873A (es) 2013-10-17
US20140008179A1 (en) 2014-01-09
DE112012007281B3 (de) 2018-06-21
US20140231219A1 (en) 2014-08-21
CN104648994B (zh) 2017-04-19
CN103429512A (zh) 2013-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19974A (ko) 정지 장치 및 정지 해제 방법
KR101733415B1 (ko) 정지 장치 및 보조 정지 유닛
US9090407B2 (en) Stopping apparatus and temporary stopping method
CN106917559B (zh) 塞拉门开闭装置和塞拉门设备
US8793851B2 (en) Retainer assembling apparatus and retainer assembling method
KR101310869B1 (ko) 정지 장치
KR20130113359A (ko) 스토퍼 실린더
DE112005001897T5 (de) Variable Ventilbetätigungsvorrichtung
JP5869638B2 (ja) 停止装置及び停止解除方法
JP5698345B2 (ja) 停止装置及び停止解除方法
US11512762B2 (en) Right angle mechanical actuator for tensioner
US10851683B2 (en) Mechanically controllable valve drive
JP4900070B2 (ja) 精紡機におけるボビン搬送装置
JP7177343B2 (ja) チェーンテンショナ
US11066964B2 (en) Actuation assembly and methods of operation thereof
JP2018200962A (ja) 補助駆動装置
JP2013249643A (ja) 位置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