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5902A - 회전식 구이장치 - Google Patents

회전식 구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5902A
KR20130115902A KR1020120038683A KR20120038683A KR20130115902A KR 20130115902 A KR20130115902 A KR 20130115902A KR 1020120038683 A KR1020120038683 A KR 1020120038683A KR 20120038683 A KR20120038683 A KR 20120038683A KR 20130115902 A KR20130115902 A KR 201301159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chamber
contact
rotating
rotating pl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8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3854B1 (ko
Inventor
오규영
김태흥
Original Assignee
(주)두존
김태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두존, 김태흥 filed Critical (주)두존
Priority to KR1020120038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3854B1/ko
Publication of KR20130115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5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3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3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6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horizontal turn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닭이나 오리 등의 고기를 회전시키면서 골고루 익힐 수 있는 회전식 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접촉에 의해 자전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며, 복수의 조리실을 세로방향으로 상하로 구비하여 선택에 따라 필요한 양만큼만 조리할 수 있으며 조리실을 보온공간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회전식 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구이장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조리실(20)이 세로방향으로 구비되는 본체(30); 상기 본체(30)의 내부에 세로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각각의 조리실(20)을 관통하는 회전축(12); 상기 회전축(12)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14); 상기 조리실(20)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12)에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축(12)에 결합되는 회전판(16); 상기 회전판(16)의 주변부에 원주방향으로 복수개 구비되어 상기 회전판(16)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회전판(16)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위에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44)가 놓이는 자전판(40); 상기 회전판(16)과 함께 회전하는 상기 자전판(40)의 측면을 접촉하도록 상기 조리실(20) 일 측에 고정되어 접촉에 의해 상기 회전판(16)과 함께 회전하는 상기 자전판(40)을 소정각도 회전시키는 접촉부(50); 상기 각각의 조리실(20)에 구비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장치(60); 및 상기 구동부(14)의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각각의 조리실(20)에 구비된 상기 발열장치(60)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컨트롤러(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회전식 구이장치{ROTARY TYPED ROASTING DEVICE}
본 발명은 닭이나 오리 등의 고기를 회전시키면서 골고루 익힐 수 있는 회전식 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접촉에 의해 자전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며, 복수의 조리실을 세로방향으로 상하로 구비하여 선택에 따라 필요한 양만큼만 조리할 수 있으며 조리실을 보온공간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회전식 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닭은 예로부터 많은 사람들이 애용하고 있는 영양식품으로, 닭고기는 단백질 함량 및 필수지방산 함량이 높고 지방 함량이 낮으며 다른 육류에 비해 칼로리도 낮아 우수한 건강식품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닭고기는 다양한 요리방법이 개발되어 어린이를 비롯한 남녀노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의 입맛을 충족시키고 있다.
닭을 이용한 가장 대표적인 음식으로는 치킨이 있으며, 이러한 치킨 요리는 닭을 절단한 후 반죽된 튀김 가루에 묻혀 가열된 기름에 튀기는 방법에 의하여 조리되는데, 예를 들어 후라이드 치킨의 조리 방법으로는 물반죽을 육계의 표면에 입히고 기름에 튀기는 방법, 물반죽 대신에 파우더를 육계 표면에 입히고 기름에 튀기는 방법, 물반죽을 육계 표면에 입히고 그 위에 추가로 파우더를 입힌 후 기름에 튀기는 방법 등이 있다. 이러한 후라이드 치킨은 표면의 파우더나 물반죽 부분이 조리 후 바삭하게 씹히는 감을 지지는 동시에 내부의 육질이 촉촉한 감촉을 유지하게 되어 많은 사람들이 즐겨 찾는 음식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후라이트 치킨은 기름에 튀겨 조리된다는 점에서 비만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최근에는 기름에 튀기는 조리방법 대신 오븐 등의 구이장치에 오랜 시간 동안 익혀 닭고기에 함유된 지방을 줄일 수 있는 조리방법이 많이 애용되고 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이 닭고기 등을 익힐 수 있는 구이장치가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구이장치의 종래기술로서 한국공개공보 제10-2009-0025786호의 "회전식 구이장치"에는 닭고기 등을 골고루 익힐 수 있도록 공전과 자전을 이용한 구성이 개시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 개시된 "회전식 구이장치"는 공전과 자전을 위한 구성이 매우 복잡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이 구이장치를 이용한 치킨의 조리방법은 시간이 많이 걸리기 때문에 한번에 많은 양의 치킨을 익힐 수 있도록 용량이 큰 구이장치가 주로 이용되어 왔지만, 이와 같이 한번에 많은 양의 치킨을 조리하면 그것이 식지 않도록 보관하여야 한다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며, 적은 양의 치킨을 조리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도 용량이 큰 구이장치 전체를 작동시켜야 한다는 점에서 불필요한 전력낭비가 초래되는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동네 치킨 가게에서는 소형의 구이장치가 주로 이용되고 있지만, 소형의 구이장치의 경우에는 한번에 조리되는 치킨의 양이 많지 않아 주문시마다 새롭게 조리하여야 하기 때문에 주문 후 조리된 치킨이 나오기까지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손님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간단한 구성으로 공전과 자전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여 닭, 오리 등의 고기를 골고루 익힐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회전식 구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소량의 고기를 익힐 수 있는 조리실을 복수개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조리실을 작동시킴으로써 전력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회전식 구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조리실을 세로방향으로 상하로 구비되도록 하여 작동되지 않는 조리실이 일정한 온도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조리된 고기의 보온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회전식 구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구이장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조리실(20)이 세로방향으로 구비되는 본체(30); 상기 본체(30)의 내부에 세로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각각의 조리실(20)을 관통하는 회전축(12); 상기 회전축(12)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14); 상기 조리실(20)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12)에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축(12)에 결합되는 회전판(16); 상기 회전판(16)의 주변부에 원주방향으로 복수개 구비되어 상기 회전판(16)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회전판(16)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위에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44)가 놓이는 자전판(40); 상기 회전판(16)과 함께 회전하는 상기 자전판(40)의 측면을 접촉하도록 상기 조리실(20) 일 측에 고정되어 접촉에 의해 상기 회전판(16)과 함께 회전하는 상기 자전판(40)을 소정각도 회전시키는 접촉부(50); 상기 각각의 조리실(20)에 구비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장치(60); 및 상기 구동부(14)의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각각의 조리실(20)에 구비된 상기 발열장치(60)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컨트롤러(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구이장치는 조리실 일측에 회전판과 함께 공전하는 자전판을 접촉에 의해 소정각도 자전시키는 접촉부를 구비하여 간단한 구성으로 공전과 자전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닭고기, 오리 등의 고기가 골고루 익혀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구이장치는 자전판과 접촉부의 접촉이 효과적으로 일어날 수 있도록 접촉부의 위치를 쉽게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자전판의 자전이 원활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구이장치는 소량의 고기를 익힐 수 있는 조리실을 복수개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조리실을 작동시킴으로써 전력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구이장치는 복수의 조리실을 세로방향으로 상하로 구비되도록 하여 작동되지 않는 조리실이 작동되는 조리실로부터 열기를 공급받아 일정한 온도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작동되지 않는 조리실을 조리된 고기의 보온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구이장치는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장치로 근적외선 램프를 이용하고, 이러한 근적외선 램프를 조리실의 마주보는 양 측면에 가로방향으로 복수개 배치하고 근적외선 램프에서 발생된 열을 조리실의 중심부로 반사시키는 반사판을 모서리에 비스듬히 구비시킴으로써 고기에 열이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하여 닭고기, 오리 등의 고기를 더욱 신속하고 균일하게 익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구이장치는 본체 상부에 구비된 배기통로의 상면을 비스듬하게 구비시킴으로써 별도의 팬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도 조리실 내부에서 발생한 연기 등을 효과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회전식 구이장치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회전식 구이장치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판과 자전판의 결합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촉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조리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절개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조리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이 여러 가지 수정 및 변형을 허용하면서도, 그 특정 실시 예들이 도면들로 예시되어 나타내어지며,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을 개시된 특별한 형태로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오히려 본 발명은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사상과 합치되는 모든 수정, 균등 및 대용을 포함한다.
한편, 첨부 도면에서, 두께 및 크기는 명세서의 명확성을 위해 과장되어진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도면에 도시된 상대적인 크기나 두께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접촉에 의해 자전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닭이나 오리 등의 고기가 골고루 익혀질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복수의 조리실을 세로방향으로 상하로 구비하여 선택에 따라 필요한 양만큼만 조리할 수 있으며 조리실을 보온공간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회전식 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회전식 구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회전식 구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회전식 구이장치(10)는 조리실(20)이 구비되는 본체(30), 회전축(12), 구동부(14), 회전판(16), 자전판(40), 접촉부(50), 발열장치(60), 컨트롤러(70)를 포함한다.
상기 조리실(20)은 닭고기, 오리 등의 고기가 익혀지는 독립된 공간으로서, 본체(30)에 세로방향으로 상하로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조리실(20)은 본체(30)의 최하단에 구비되는 하부조리실(21)과, 본체(30)의 최상단에 구비되는 상부조리실(22)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이 2단으로 구성되는 것과 달리 상기 하부조리실(21)과 상부조리실(22) 사이에 별도의 중간조리실을 더 구비하여 3단 또는 4단으로도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회전축(12)은 하부조리실(21)과 상부조리실(22)을 관통하도록 본체(30)의 세로방향으로 수직하게 구비되며, 상기 구동부(14)는 회전축(12)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본체(2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4)에는 회전축(12)을 회전시킬 수 있는 모터(15)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구동부(14)에 대한 상세한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회전판(16)은 닭고기, 오리 등의 고기 즉, 음식물을 공전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회전축(12)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12)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판(16)은 상기 각각의 조리실(20) 하부에 즉, 하부조리실(21)과 상부조리실(22)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판(16)은 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그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자전판(40)은 위에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44)가 놓이는 구성으로서, 회전판(16)의 주변부에 원주방향으로 복수 개 구비되어 상기 회전판(16)과 함께 회전한다. 즉, 상기 자전판(40)은 회전판(16) 위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회전판(16)과 함께 공전한다. 또한, 상기 자전판(40)은 그 자체로 회전하도록 즉, 자전하도록 회전판(16)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접촉부(50)는 간단한 구성으로 자전판(40)을 자전시키는 구성으로서, 회전판(16)과 함께 회전하는 자전판(40)의 측면을 접촉하도록 상기 조리실(20)의 일 측에 고정되며, 접촉에 의해 상기 회전판(16)과 함께 회전하는 상기 자전판(40)을 소정각도 회전시킨다.
상기 발열장치(60)는 상기 각각의 조리실(20)에 수용된 닭고기, 오리 등의 고기를 익힐 수 있도록 상기 각각의 조리실(20)에 구비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구성으로서, 상기 각각의 조리실(20) 측면에 예를 들어, 하부조리실(21)과 상부조리실(22) 각각의 측면에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열장치(60)는 근적외선 램프 또는 가스식 발열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근적외선 램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콘트롤러(70)는 구동부(14)의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각각의 조리실(20) 즉, 하부조리실(21)과 상부조리실(22) 각각에 구비된 발열장치(60)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본체(30)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콘트롤러(70)에는 구동부(14)에 구비된 모터(15)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회전속도조절버튼(71)과, 상기 각각의 조리실(20)의 작동을 위한 조작부, 예를 들어 하부조리실 작동조작부(72)와 상부조리실 작동조작부(73)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각각의 하부조리실작동조작부(72)와 상부조리실작동조작부(73) 각각에는 온도조절부, 타이머설정부, 표시부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조리실(20) 일측에는 각각의 조리실(2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23)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컨트롤러(70)는 상기 온도센서(23)의 감지에 따라 상기 각각의 조리실(20)에 구비된 발열장치(60)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각각의 조리실(20) 내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30)의 상부 일측에는 조리실(20) 내부에서 발생된 연기 등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3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30)의 전면부에는 상기 각각의 조리실(20)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 예를 들어 하부전면도어(32) 및 상부전면도어(33)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30)의 후면부에는 상기 각각의 조리실(20)을 동시에 개폐하며 외부에서 내부가 보이도록 투명하게 구비되는 하나의 후면도어(34)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판과 자전판의 결합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촉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자전판(40)에는 회전판(19)에 구비된 홈(17) 또는 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41)와, 상기 결합부(41) 상방으로 연장되어 내부에 음식물(11) 또는 음식물(11)이 놓인 용기(44)가 수용되는 공간(45)이 형성되는 수용부(42)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용부(42)는 접촉부(50)에 접촉되는 측면(43)을 가지는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자전판(4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일어나도록 하기 위한 베어링(18)이 상기 자전판(40)과 회전판(16) 사이, 예를 들어 회전판(16)의 상부와 수용부(42)의 하부 사이 또는 홈(17)의 내측면과 결합부(41)의 외측면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50)는 조리실(20)의 소정위치에 고정되는 지지부재(51)와, 상기 지지부재(52)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어 수용부(42)의 측면(43)에 접촉되는 접촉부재(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51)의 다른 일측에는 조리실(20)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홀(24)에 나사체결로 고정되기 위한 체결홀(53)이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홀(24)과 체결홀(5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방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결합홀(24)과 체결홀(53)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장방형의 형상으로 길게 형성되면, 상기 지지부재(51)의 고정위치를 쉽게 변경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구이장치(10)는 자전판(40)과 접촉부(50)의 접촉에 의해 자전판(40)을 소정각도 회전시키는 구성으로서, 자전판(40)의 효과적인 회전을 위해서는 수용부(42)의 측면(43)과 접촉부재(52)가 원활하게 접촉되도록 할 필요가 있으며, 따라서 상기 결합홀(24)과 체결홀(5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장방형의 형상으로 길게 형성하면, 수용부(42)의 측면(43)과 접촉부재(52)가 원활하게 접촉되도록 상기 지지부재(51)의 위치를 쉽게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부재(51)의 일측 단부의 결합면(54)에는 접촉부재(52)가 결합되는 결합홈(55)이 구비되며, 상기 접촉부재(52)에는 상기 결합홈(55)에 끼워져 걸림되는 걸림부(56)와, 수용부(42)의 측면(43)에 접촉되는 접촉면(57)이 구비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도시 않지만 상기 결합홈(55)에는 상기 걸림부(56)가 끼워져 걸림되는 걸림턱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접촉면(57)에는 접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다수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재(52)는 접촉에 의해 자전판(40)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으며, 지지부재(51)에 쉽게 탈부착될 수 있도록 신축성 있는 고무재질, 특히 내열성 있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접촉부재(52)의 내부에는 신축성을 제공하여 지지부재(51)에 결합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공간부(5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51)의 결합면(54)과 접촉부재(52)는 대략 평평한 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대략 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수용부(42)의 측면(43)과 접촉부재(52)의 접촉이 원활하게 발생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결합면(54)과 상기 접촉부재(52)의 접촉면(57)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내측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면(54)이 내측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면 신축성 있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접촉부재(52)는 상기 결합면(54)에 결합됨과 동시에 자연스럽게 접촉면(57)이 내측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접촉부재(52)의 접촉면(57)이 내측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면 결합면(54)의 형상과 무관하게 상기 접촉면(57)은 내측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각각의 조리실(20)의 하부에 구비된 회전판(16) 중 상기 각각의 조리실(20) 사이에 위치하는 회전판(19)은 상기 각각의 조리실(20)의 하부의 일부를 이루도록 구비되되, 상기 회전판(19)과 함께 조리실(20)의 하부를 이루는 하부플레이트(25)와 소정의 틈(26)이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부조리실(22)의 하부에 구비되는 회전판(19)은 상기 상부조리실(22) 하부의 일부를 이루도록 구비되되, 상부조리실(22)의 하부플레이트(25)와 소정의 틈(26)이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구이장치(10)는 조리실(20)이 본체(30)에 세로방향으로 상하로 복수개 구비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의 양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리실(20)을 작동시킬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조리실(20) 간에 열기가 연통될 수 있도록 틈이 형성되면 작동되는 조리실(20)의 열기가 작동되지 않는 조리실(20)의 열기로 공급될 수 있어서, 상기 작동되지 않는 조리실(20)을 조리된 음식물을 적당한 온도 이상으로 보온 저장할 수 있는 보온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하부조리실(21)이 작동되는 경우에는 하부조리실(21) 내부의 열기가 회전판(19)과 하부플레이트(25)와 사이에 형성된 틈(26)으로 상부조리실(22) 내부로 열기가 공급되게 되며, 그에 따라 상기 상부조리실(22)은 내부에 구비된 발열장치(60)를 별도로 작동하지 않고도 소정의 온도 이상으로 유지될 수 있어서 보온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실시 예에서와 같이 상기 조리실(20)이 상하로 하부조리실(21)과 상부조리실(22)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하부조리실(21)은 구이전용조리실로, 상부조리실(22)은 구이 겸용 보온공간 조리실로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조리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절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조리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각각의 조리실(20)에 구비되는 근적외선 램프(60)는 상기 각각의 조리실(20)의 마주보는 양 측면에 가로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각각의 조리실(20)의 모서리에는 상기 근적외선 램프(60)에서 발생된 열을 중심부로 반사시키는 반사판(27)이 비스듬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30)의 수평 단면은 대략 사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전면과 후면에는 조리실(20)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33,34)가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근적외선 램프(60)는 양 측면에 구비되는데, 이때 상기 근적외선 램프(60)는 양 측면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되어 공전과 자전을 하는 음식물에 열을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대략 사각형의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조리실(20)의 각각의 모서리에는 반사판(27)이 비스듬하게 구비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와 같이 상기 근적외선 램프(60)를 조리실(20)의 마주보는 양 측면에 가로방향으로 다수개 배치하고, 상기 조리실(20)의 모서리에 반산판(27)을 비스듬히 구비하면, 조리실(20)의 대략 중심부 영역에서 공전과 자전을 하는 음식물에 열이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어서 더욱 신속하고 균일하게 익혀질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고,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출부는 본체(3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는 배출구(31)와, 상기 본체(3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구(31)에 연통되는 배출통로(35)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각각의 조리실(20) 중 최상단에 구비되는 조리실, 예를 들어 상부조리실(22)의 상면에는 배출통로(35)에 연통되는 배기구(37)와, 상기 배기구(37)를 개폐하는 개폐부(38)가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배출통로(35)의 상면(36)은 상기 배기구(37)로부터 상기 배출구(31) 방향으로 상방으로 경사짐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별도의 팬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도 조리실(20) 내부에서 발생한 연기 등을 효과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접촉에 의해 자전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며, 복수의 조리실을 세로방향을 상하로 구비하여 선택에 따라 필요한 양만큼만 조리할 수 있으며 조리실을 보온공간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회전식 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실시 형태는 다양한 형태로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변경 가능한 모든 형태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 회전식 구이장치 12 : 회전축
14 : 구동부 16 : 회전판
20 : 조리실 30 : 본체
40 : 자전판 50 : 접촉부
60 : 발열장치 70 : 컨트롤러

Claims (10)

  1. 적어도 2개 이상의 조리실(20)이 세로방향으로 구비되는 본체(30);
    상기 본체(30)의 내부에 세로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각각의 조리실(20)을 관통하는 회전축(12);
    상기 회전축(12)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14);
    상기 조리실(20)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12)에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축(12)에 결합되는 회전판(16);
    상기 회전판(16)의 주변부에 원주방향으로 복수개 구비되어 상기 회전판(16)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회전판(16)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위에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44)가 놓이는 자전판(40);
    상기 회전판(16)과 함께 회전하는 상기 자전판(40)의 측면을 접촉하도록 상기 조리실(20) 일 측에 고정되어 접촉에 의해 상기 회전판(16)과 함께 회전하는 상기 자전판(40)을 소정각도 회전시키는 접촉부(50);
    상기 각각의 조리실(20)에 구비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장치(60); 및
    상기 구동부(14)의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각각의 조리실(20)에 구비된 상기 발열장치(60)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컨트롤러(70);를 포함하는 회전식 구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전판(40)에는 상기 회전판(16)에 구비된 홈 또는 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41)와, 상기 결합부(41) 상방으로 연장되어 내부에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놓인 용기(44)가 수용되는 공간(45)이 형성되며 상기 접촉부(50)에 접촉되는 측면(43)을 가지는 수용부(42)가 구비되고,
    상기 접촉부(50)는 상기 조리실(20)의 소정위치에 고정되는 지지부재(51)와, 상기 지지부재(51)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부(42)의 측면(43)에 접촉되는 접촉부재(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구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51)의 다른 일측에는 상기 조리실(20)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홀(24)에 나사체결로 고정되기 위한 체결홀(53)이 구비되며,
    상기 결합홀(24)과 상기 체결홀(5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방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구이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51)의 일측 단부의 결합면(54)에는 상기 접촉부재(52)가 결합되는 결합홈(55)이 구비되며,
    상기 접촉부재(52)에는 상기 결합홈(55)에 끼워져 걸림되는 걸림부(56)와, 상기 수용부(42)의 측면(43)에 접촉되는 접촉면(57)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구이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42)는 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부재(51)의 결합면(54)과 상기 접촉부재(52)의 접촉면(57)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내측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구이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재(52)는 내열성 있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촉부재(52)의 내부에는 공간부(59)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구이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조리실(20)의 하부에 구비된 회전판(16) 중 상기 각각의 조리실(20) 사이에 위치하는 회전판(19)은, 상기 각각의 조리실(20)의 하부의 일부를 이루도록 구비되되 상기 회전판(19)과 함께 상기 조리실(20)의 하부를 이루는 하부플레이트(25)와 사이에 소정의 틈(26)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구이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장치(60)는 상기 조리실(20)의 마주보는 양 측면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근적외선 램프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리실(20) 내부의 모서리에는 상기 근적외선 램프에서 발생된 열을 중심부로 반사시키는 반사판(27)이 비스듬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구이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30)의 전면부에는 상기 각각의 조리실을 개폐하는 전면도어(32,33)가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본체(30)의 후면부에는 상기 모든 조리실(20)을 한번에 개폐하며 외부에서 내부가 보이도록 투명하게 구비되는 하나의 후면도어(3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구이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30)의 상부 일측에는 배기구(31)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30)의 상부에는 상기 배기구(31)에 연통되는 배기통로(35)가 구비되고,
    상기 조리실(20) 중 최상단에 구비되는 조리실(22)의 상면에는 상기 배기통로(35)에 연통되는 배출구(37)와, 상기 배출구(37)를 개폐하는 개폐부(38)가 구비되고,
    상기 배기통로(35)의 상면(36)은 상기 배기구(31)로부터 상기 배출구(37) 방향으로 하방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구이장치.
KR1020120038683A 2012-04-13 2012-04-13 회전식 구이장치 KR101343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683A KR101343854B1 (ko) 2012-04-13 2012-04-13 회전식 구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683A KR101343854B1 (ko) 2012-04-13 2012-04-13 회전식 구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5902A true KR20130115902A (ko) 2013-10-22
KR101343854B1 KR101343854B1 (ko) 2013-12-20

Family

ID=49635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8683A KR101343854B1 (ko) 2012-04-13 2012-04-13 회전식 구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38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87103A (zh) * 2015-06-08 2015-09-09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烤箱及其状态指示电路
KR102442687B1 (ko) * 2021-04-13 2022-09-08 주식회사 삼일하이테크 회전식 고기 구이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236Y1 (ko) 1999-10-07 2000-03-15 손적수 육류구이장치
KR200354168Y1 (ko) 2004-03-17 2004-06-29 신현덕 다단회전식 곡물 구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87103A (zh) * 2015-06-08 2015-09-09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烤箱及其状态指示电路
KR102442687B1 (ko) * 2021-04-13 2022-09-08 주식회사 삼일하이테크 회전식 고기 구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3854B1 (ko) 2013-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41607B (zh) Heating conditioner and the addition of spinach, radish, chrysanthemum and other greenish yellow or light yellow vegetables, vitamin C conditioning method
US20180125293A1 (en) Air frying systems and methods
KR20100074539A (ko) 참숯 가마 형 오리 구이장치 및 그를 이용한 조리방법
KR101303685B1 (ko) 열풍 가열식 로스터
KR20120103012A (ko) 자동으로 작동되는 꼬치구이기
KR101343854B1 (ko) 회전식 구이장치
KR200489004Y1 (ko) 회전식 구이기
KR200451873Y1 (ko) 고기구이 겸용 황토가마 조리기
KR102175579B1 (ko) 다기능 에어 프라이어
KR200439439Y1 (ko) 다기능 식품조리기
KR200433042Y1 (ko) 숯불구이기
KR101568760B1 (ko) 훈연 바비큐 구이장치
KR200419588Y1 (ko) 석쇠장착형 회전식 고기구이기
KR200372636Y1 (ko) 바비큐 구이 장치
KR100606462B1 (ko) 고기구이기
KR101294369B1 (ko) 음식물 조리 장치
KR200412961Y1 (ko) 유수분리 육류 조리장치
KR100940547B1 (ko) 음식물 조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0375308Y1 (ko) 고기구이기
KR100950183B1 (ko) 간접열을 이용한 균일 가열이 이루어지게 한 구이장치
KR200324756Y1 (ko) 2중 밀폐식 식품구이장치
KR200271751Y1 (ko) 장어 구이기
KR200230566Y1 (ko) 훈제 바베큐용 구이기계
CN212415522U (zh) 一种顶置分离式空气炸锅
US20220104655A1 (en) Waffle Ma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