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2961Y1 - 유수분리 육류 조리장치 - Google Patents

유수분리 육류 조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2961Y1
KR200412961Y1 KR2020060002176U KR20060002176U KR200412961Y1 KR 200412961 Y1 KR200412961 Y1 KR 200412961Y1 KR 2020060002176 U KR2020060002176 U KR 2020060002176U KR 20060002176 U KR20060002176 U KR 20060002176U KR 200412961 Y1 KR200412961 Y1 KR 2004129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r
infrared radiation
drum
oil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21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백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미
Priority to KR20200600021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29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29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29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7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rotating drums or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45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motor-driven food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리공간이 저온가열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밀폐 원적외선 복사 공간으로 구성되어 전열을 이용하면서도 조리물이 마치 진흙가마 속에서 조리되는 것처럼 표면과 내부가 동시에 익혀지며 또한 원적외선 방사드럼을 회동시켜 육류 깊숙이 내재하고 있던 지방질 등의 유해물질까지 배출시키고 육즙은 회수 재투입되어 맛과 풍미를 향상시키고 건강에 유익한 육류 조리물을 얻도록 하는 유수분리 육류 조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조리물이 거치되며 주연부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원적외선 방사물질로 이루어지는 원적외선 방사드럼, 상기 원적외선 방사드럼을 내부에 수용하는 외부드럼, 상기 원적외선 방사드럼에 열기를 방사하기 위한 발열수단, 상기 외부드럼 외측에 구비되는 단열수단, 상기 원적외선 방사드럼을 회동시키는 구동수단, 상기 외부드럼의 일측과 호스로 연통되는 유수분리수단, 상기 유수분리수단으로부터 추출되는 육즙을 조리물에 분무하는 육즙회수수단, 상기 유수분리수단으로부터 배출되는 지방이 저장되는 기름받이, 상기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외부드럼 내부의 과압력을 감지 해제하기 위한 안전밸브 및 상기 외부드럼을 밀폐하는 도어가 개구부에 구비된 케이싱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수분리 육류 조리장치{ADIPOSE AND WATER CENTRIFUGATION COOKING APPARATUS OF MEAT}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내부 구성을 보이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 고안의 유수분리 육류 조리장치
10: 원적외선 방사드럼 11: 통공 13: 조리물 거치대
20: 외부드럼 31: 발열수단 33: 단열수단
40: 육즙회수수단 43: 육즙탱크 45: 분사노즐
50: 구동수단 60: 유수분리수단 64: 기름받이
70: 제어부 80: 케이싱 81: 도어
본 고안은 육류의 조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조리공간이 저온가열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밀폐 원적외선 복사 공간으로 구성되어 전열을 이용하면서도 조리물이 마치 진흙가마 속에서 조리되는 것처럼 표면과 내부가 동시에 익혀지며 또한 원적외선 방사드럼을 회동시켜 육류 깊숙이 내재하고 있던 지방질 등의 유해물질까지 배출시키고 육즙은 회수 재투입되어 맛과 풍미를 향상시키고 건강에 유익한 육류 조리물을 얻도록 하는 유수분리 육류 조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류요리는 여러가지 조리방법이 이용되고 있지만 그 중에서도 구이로 조리하는 바베큐식 요리가 가장 선호되고 있다.
종래 기술의 육류조리장치는 육류의 표면에서부터 가열되어 열기가 점차 내부로 확산되면서 전체가 익어지도록 하는 직접 가열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직접구이방식은 조리 육류의 속은 아직 익지 않았는데 표면은 타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대부분의 육류에는 지방 등과 같이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포함되어 있고, 이러한 물질이 과다 섭취될 경우에는 혈중 콜레스테롤이 혈관에 침착하여 동맥경화증을 일으키고, 비만 및 성인병을 유발하며, 특히 탄 음식이 암의 원인이 된다는 점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표면부터 익기 시작하는 종래 기술에 의하여 조리된 육류는 표면이 타는 문제점과 함께 내부 깊숙이 포함되었던 지방 등이 그대로 잔류되어 인체에 유해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육류가 타는 것도 나쁘지만 양념과 지방이 뒤섞여 타는 것은 더욱 나쁘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대안으로서 본 출원인은 실용신안 등록 제0302084호로서 조리공간이 원적외선 방사물질로 이루어지는 원적외선 방사부스와 원적외선 방사몸체 상에 발열체가 구비된 발열수단과 멸균 및 공기순환수단이 구비되어 저온가열상태를 유지하는 밀폐 원적외선 복사 공간으로 구성되는 육류의 저온 조리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전열을 이용하면서도 조리물이 마치 진흙가마 속에서 조리되는 것처럼 원적외선에 의하여 저온으로 서서히 숙성 익힘이 이루어지며 표면과 내부가 동시에 익혀지고 이에 따라 육류 조리물 속에 내재하고 있던 지방질 등의 유해물질이 최대한 배출되는 효과가 있었다.
그런데 본 출원인에 의한 상기 선출원 기술은 육류 깊숙이 포함되어 있는 지방 및 유해물질의 배출 제거에 한계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조리공간이 저온가열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밀폐 원적외선 복사 공간으로 구성되어 전열을 이용하면서도 조리물이 마치 진흙가마 속에서 조리되는 것처럼 표면과 내부가 동시에 익혀지고, 또한 원적외선 방사드럼을 회동시켜 육류 깊숙이 내재하고 있던 지방질 등의 유해물질까지 배출시키고 육즙은 회수 재투입되어 맛과 풍미를 향상시키고 건강에 유익한 육류 조리물을 얻도록 하는 유수 분리 육류 조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에 따른 유수분리 육류 조리장치는,
조리물이 거치되며 주연부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원적외선 방사물질로 이루어지는 원적외선 방사드럼, 상기 원적외선 방사드럼을 내부에 수용하는 외부드럼, 상기 원적외선 방사드럼에 열기를 방사하기 위한 발열수단, 상기 외부드럼 외측에 구비되는 단열수단, 상기 원적외선 방사드럼을 회동시키는 구동수단, 상기 외부드럼의 일측과 호스로 연통되는 유수분리수단, 상기 유수분리수단으로부터 추출되는 육즙을 조리물에 분무하는 육즙회수수단, 상기 유수분리수단으로부터 배출되는 지방이 저장되는 기름받이, 상기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외부드럼 내부의 과압력을 감지 해제하기 위한 안전밸브 및 상기 외부드럼을 밀폐하는 도어가 개구부에 구비된 케이싱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육류의 저온 조리장치에 대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이는 개략적으로 보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내부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육류의 저온 조리장치(1)는 조리물이 거치되며 주연부에 다수의 통공(11)이 형성되고 원적외선 방사물질 로 이루어지는 원적외선 방사드럼(10), 상기 원적외선 방사드럼(10)을 내부에 수용하는 외부드럼(20), 상기 원적외선 방사드럼(10)에 열기를 방사하기 위한 발열수단(31), 상기 외부드럼(20) 외측에 구비되는 단열수단(33), 상기 원적외선 방사드럼(10)을 회동시키는 구동수단(50), 상기 외부드럼(20)의 일측과 호스로 연통되는 유수분리수단(60), 상기 유수분리수단(60)으로부터 추출되는 육즙을 조리물에 분무하는 육즙회수수단(40), 상기 유수분리수단(60)으로부터 배출되는 지방이 저장되는 기름받이(64), 상기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제어부(70), 상기 외부드럼(20) 내부의 과압력을 감지 해제하기 위한 안전밸브(35) 및 상기 외부드럼(20)을 밀폐하는 도어(81)가 개구부에 구비된 케이싱(8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원적외선 방사물질은 다양한 소재를 채택할 수 있으며 세라믹재가 바람직하다.
상기 원적외선 방사드럼(10)은 원적외선 방사물질로 코팅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원적외선 방사드럼(10)은 내부에 조리물 거치대(13)가 부여될 수 있다. 상기 조리물 거치대(13)는 원적외선 방사드럼(10) 내부를 구획분할하는 망형태로 형성되고 원적외선 방사물질이 코팅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열수단(31)은 전도성물질로 되는 발열페인트 또는 면상발열체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발열페인트는 원적외선 방사드럼(10) 외표면에 코팅되어 상기 통공(11)을 가리지 않으면서 원적외선 방사드럼을 가열시킨다.
또한, 상기 유수분리수단(60)은 상기 외부드럼(20)의 하방과 호스(h)로 연결되고, 상부에 지방배출호스(63)가 연결되며 하부에 육즙배출호스(65)가 연결되는 유수분리통(61)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육즙회수수단(40)은 상기 유수분리수단(60)에서 펌프(41)를 통하여 인양된 육즙을 여과 저장하기 위하여 필터(42)가 구비되는 육즙탱크(43), 상기 육즙탱크(43)와 호스(h)로 연결되고 원적외선 방사드럼(10)의 중심에 설치되며 분사공(45a)이 다수 형성되는 분사노즐(45)을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원적외선 방사드럼(10)은 수평으로 눕혀져 배치됨이 바람직하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원적외선 방사드럼 내부는 76℃ ∼ 99℃의 저온가열 상태가 유지되도록 설정된다.
상기 구동수단(50)은 감속모터(51)가 상기 원적외선 방사드럼(10)에 직접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안전밸브(35)는 이중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70)는 기기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것으로 특히 드럼 내의 온도가 설정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온도감지센서(72)와 연계되어 발열수단(31)을 제어하며 콘트롤패널(21)에는 스위칭부, 온도표시부, 압력표시부, 타이머 등이 구비된다. 미설명 부호 '83'은 육즙탱크 개폐구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지닌 본 고안에 따른 유수분리 육류 조리장치(1)의 작용상태를 살펴 본다.
원적외선은 복사, 침투력, 공명, 흡수 등의 특성이 있으며, 피사체에는 열이 복사, 대류의 형태로 전달되어 내외부를 균일하게 가열하고, 공기를 음이온화하여 냄새를 제거하는 탈취기능과 살균 및 부패방지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원적외선 방사물질로 이루어진 원적외선 방사드럼(10) 외측으로부터 발열수단(31)의 열기가 가해짐으로써 조리물에 원적외선이 직접 복사되어 흡수된다.
본 고안은 원적외선이 조리물인 육류에 집중적으로 복사되도록 구성되고, 특히 76℃ ∼ 99℃의 저온가열 상태가 유지되도록 설정됨으로써 원적외선이 조리물 깊숙이 침투되어 조리 육류는 맛을 향상시켜주는 숙성이 이루어짐과 아울러 표면과 내부가 동시에 서서히 골고루 익혀지고 냄새는 제거된다.
본 고안의 동작상태를 살펴보면,
먼저, 상기 조리물 거치대(30)에 조리물인 육류를 배치시키고 도어(81)를 닫아 밀폐시킨 후 온도 및 시간을 설정한 다음 제어부 콘트롤패널(71)의 스위치를 이용하여 전원을 인가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70)에 의하여 발열수단(31)이 발열되면서 원적외선 방사물질로 된 원적외선 방사드럼(10)에 열이 전도되어 원적외선이 조리물로 복사된다.
본 고안의 특징은 원적외선에 의하여 저온가열상태가 유지되는 밀폐공간에서 조리 육류가 서서히 표면과 속이 동시에 익혀지는 것임으로 충분한 시간을 주어야 한다.
이와 같이 저온가열 밀폐상태가 장시간 유지됨으로 조리 육류의 맛의 품질을 향상시켜주는 숙성 익힘이 이루어지며, 조리공간 내의 공기가 가열되어 공기팽창에 따른 압력이 상승되면서 조리물에 압력을 가하게 되므로 조리물이 익혀지는 과정에서 조리물 내에 함유하고 있던 지방질, 유해단백질 등의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배출되는 동시에 육류에 함유되었던 육즙도 일부 빠져나오게 된다.
조리물로부터 빠져나온 지방과 육즙은 상기 외부드럼(20)의 하방에 위치하는 유수분리수단(60)으로 유입되고 비중차에 의하여 지방은 육즙 위로 떠올라 층을 이루며 분리된다.
그리고 유수분리통(61)의 상부와 연통되는 지방배출호스(63)를 통하여 지방은 기름받이(64)로 모아지고 하부와 연통되는 육즙배출호스(65) 및 펌프(41)를 통하여 육즙은 상기 육즙탱크(43)에 저장된다. 이때 상기 육즙탱크 입구에는 필터(42)가 설치되어 찌꺼기를 걸러주며, 육즙탱크에는 예컨대 과일즙과 같은 첨가물이나 양념을 추가로 저장 혼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리물 육류가 충분히 익혀진 다음 구동수단(50)을 가동시켜 원적외선 방사드럼(10)을 회동시킨다. 이에 따라 조리물인 육류에 원심력이 작용하여 그 깊숙이 잔존하고 있던 지방이 조리물로부터 빠져나와 원적외선 방사드럼의 통공(11)을 통하여 유수분리통(61)으로 유입되고 상기 육즙회수수단의 분사노즐(45)을 통하여 육즙 또는 첨가물이 가미된 육즙은 조리물로 분무되어 재투입된다.
상기 원적외선 방사드럼(10)의 구동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지방의 원심분리 제거는 조리물의 특성이나 양에 따라 구동시간을 조정설정하여 조리물에 함유되는 지방의 잔존율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육류에 포함된 성인병 등을 유발하는 지방질 등의 유해물질을 모두 배출시키면서 육즙은 재투입하여 맛의 품질이 현저히 향상되고, 몸에 좋은 건강 요리를 얻도록 하는 것이다.
만일, 가열도중에 조리공간 내의 압력상태가 설정 압력 이상으로 상승될 경우에는 상기 이중 안전밸브(35)가 자동으로 열려 과압상태를 해제토록 하여 안전성이 확보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조리공간이 원적외선 방사물질로 이루어지는 원적외선 방사드럼에 전기 발열수단(31)이 부여되고, 저온가열상태가 유지되는 밀폐 원적외선 복사 공간으로 구성되어 조리물이 마치 진흙가마 속에서 조리되는 것처럼 저온 원적외선에 의하여 숙성 익힘이 이루어짐과 아울러 표면과 내부가 동시에 익혀지고 이후 원적외선 방사드럼을 회동시켜 육류 깊숙이 내재하고 있던 지방질 등의 유해물질까지 최대한 배출되며, 육류의 맛을 느끼게 하는 육즙은 재투입 보존되어 맛의 품질이 현저히 향상되고 건강에 유익한 조리물을 얻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계획적인 수급패턴을 갖는 전문요식업소 등에서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육류의 저온 조리장치는 조리공간이 원적외선 방사물질로 이루어지는 저온가열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밀폐 원적외선 복사 공간으로 구성되어 전열을 이용하면서도 조리물이 마치 진흙가마 속에서 조리되는 것처럼 숙성 및 표면과 내부가 동시에 익혀지며 또한 원적외선 방사드럼을 회동시켜 육류 깊숙이 내재하고 있던 지방질 등의 유해물질까지 배출시키고 육즙은 회수 재투입되어 맛과 풍미를 향상시키고 건강에 유익한 육류 조리물을 얻을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조리물이 거치되며 주연부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원적외선 방사물질로 이루어지는 원적외선 방사드럼(10), 상기 원적외선 방사드럼(10)을 내부에 수용하는 외부드럼(20), 상기 원적외선 방사드럼(10)에 열기를 방사하기 위한 발열수단(31), 상기 외부드럼(20) 외측에 구비되는 단열수단(33), 상기 원적외선 방사드럼(10)을 회동시키는 구동수단(50), 상기 외부드럼(20)의 일측과 호스로 연통되는 유수분리수단(60), 상기 유수분리수단(60)으로부터 추출되는 육즙을 조리물에 분무하는 육즙회수수단(40), 상기 유수분리수단(60)으로부터 배출되는 지방이 저장되는 기름받이(64), 상기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제어부(70), 상기 외부드럼(20) 내부의 과압력을 감지 해제하기 위한 안전밸브(35) 및 상기 외부드럼(20)을 밀폐하는 도어(81)가 개구부에 구비된 케이싱(8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 육류 조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 방사드럼(10)은 원적외선 방사물질로 코팅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 육류 조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 방사드럼(10)은 내부에 조리물 거치대(13)가 부여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 육류 조리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수단(31)은 발열페인트 또는 면상발열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 육류 조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수분리수단(60)은 상기 외부드럼(20)의 하방과 호스로 연결되고, 상부에 지방배출호스(63)가 연결되며 하부에 육즙배출호스(65)가 연결되는 유수분리통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 육류 조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육즙회수수단(40)은 상기 유수분리수단(60)에서 펌프(41)를 통하여 인양된 육즙을 여과 저장하기 위하여 필터(42)가 구비되는 육즙탱크(43), 상기 육즙탱크(43)와 호스(h)로 연결되고 원적외선 방사드럼(10)의 중심에 설치되며 분사공 (45a)이 다수 형성되는 분사노즐(45)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 육류 조리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 방사드럼(10)은 수평으로 눕혀져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 육류 조리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 방사드럼(10)은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 육류 조리장치.
KR2020060002176U 2006-01-24 2006-01-24 유수분리 육류 조리장치 KR2004129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176U KR200412961Y1 (ko) 2006-01-24 2006-01-24 유수분리 육류 조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176U KR200412961Y1 (ko) 2006-01-24 2006-01-24 유수분리 육류 조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2961Y1 true KR200412961Y1 (ko) 2006-04-05

Family

ID=41763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2176U KR200412961Y1 (ko) 2006-01-24 2006-01-24 유수분리 육류 조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296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536B1 (ko) * 2017-11-01 2019-03-06 이승주 관람차형 화덕구이기
CN115054108A (zh) * 2019-12-31 2022-09-16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及其滤油控制方法和控制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536B1 (ko) * 2017-11-01 2019-03-06 이승주 관람차형 화덕구이기
CN115054108A (zh) * 2019-12-31 2022-09-16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及其滤油控制方法和控制装置
CN115054108B (zh) * 2019-12-31 2024-03-01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及其滤油控制方法和控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1691B2 (en) No waste cooking oven with multiple cooking functions
CN108402891A (zh) 一种食物烹饪方法及其烹饪器具
KR101120397B1 (ko) 가열조리기와 비타민 c를 증가시키는 조리 방법
JP3662582B2 (ja) 低圧調理方法
CN105166960A (zh) 一种即食盐焗猪腰的加工方法
CN105795883B (zh) 一种炒菜机的炒菜方法
KR200412961Y1 (ko) 유수분리 육류 조리장치
CN1981559A (zh) 烹调大蒜的装置和方法
KR20080098998A (ko) 오징어 구이기
KR101343854B1 (ko) 회전식 구이장치
CN209047900U (zh) 锅具组件及微波厨具
KR200318952Y1 (ko) 양면 후라이팬
KR100240301B1 (ko) 육류 토굴구이 장치
KR101008435B1 (ko) 오리 구이방법
RU234289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KR101018466B1 (ko) 연소열이 균등순환되는 바베큐장치
KR200302084Y1 (ko) 육류의 저온 조리장치
KR100603181B1 (ko) 스팀발생 전기 닭구이 장치.
KR100458443B1 (ko) 단호박 영양밥의 제조방법
KR200361849Y1 (ko) 스팀발생 전기 닭구이 장치
KR20020038883A (ko) 압력식 구이방법 및 구이장치
CN211380812U (zh) 一种牛肉加工用蒸煮装置
KR200230566Y1 (ko) 훈제 바베큐용 구이기계
KR200271751Y1 (ko) 장어 구이기
KR20040037530A (ko) 육류의 저온 조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