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5306A - 반송 장해에 대응한 지폐 취급 장치 및 그 장해 복구 개시 방법 - Google Patents

반송 장해에 대응한 지폐 취급 장치 및 그 장해 복구 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5306A
KR20130115306A KR1020137015850A KR20137015850A KR20130115306A KR 20130115306 A KR20130115306 A KR 20130115306A KR 1020137015850 A KR1020137015850 A KR 1020137015850A KR 20137015850 A KR20137015850 A KR 20137015850A KR 20130115306 A KR20130115306 A KR 201301153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information
bill
unique information
bankno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5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0410B1 (ko
Inventor
유키타카 도요쿠라
준지 니시와키
도루 야스에다
요시오 호리바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15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5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0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0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26Servicing, repairing or coping with irregularities, e.g. power failure or vandalism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30Tracking or tracing valuable papers or cassett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송 장해의 발생 시에 있어서의 잔류 지폐의 취출 망각을 방지하고, 복구 시간의 단축을 도모하는 지폐 취급 장치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폐 취급 장치는, 지폐 판별부를 통과하며, 입출금구부, 일시 보관부, 지폐 수납부를 접속하는 지폐 반송로에, 반송되는 지폐의 위치 정보를 검지하는 복수의 검지 수단을 갖고, 지폐 판별부에서 판별된 금종 또는 진위에 관한 판별 정보에 의거하여 지폐를 반송시키며, 지폐의 판별 정보 및 지폐의 고유 정보와, 지폐의 위치 정보를 대응시켜서 기억부에 기억시켜, 그들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반송 장해에 대응한 지폐 취급 장치 및 그 장해 복구 개시 방법{BILL HANDLING DEVICE FOR COPING WITH TRANSPORT FAILURE AND FAILURE RECOVERY START METHOD}
본 발명은 지폐의 판별 결과에 의거하여 지폐를 반송하는 지폐 취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폐 취급 장치에서 지폐의 반송 중에 장해가 발생하여 반송로에 잔류했을 경우, 계원이 잔류한 지폐를 제거할 때에, 취출 망각이 없는 것이 복구 시간, 및 현금 장해의 관점에서 중요하다. 종래의 지폐 취급 장치는, 지폐 반송 중에 반송 장해가 발생하면 장치 내부의 장해 위치를 특정 표시하고 있었다. 특허문헌 1에는, 반송 표시기에 장치 내부의 장해 위치를 특정 표시함으로써, 계원에 의한 장해 지폐의 해제 조작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고, 그 결과, 복구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는 지폐 취급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평1-139449호 공보
종래, 장해 위치의 정보만으로는 지폐를 개별로 특정하는 정보가 없기 때문에 확실하게 지폐 제거를 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 복구 작업 후, 다시 잔류 지폐를 제거하거나, 잔류하고 있지 않은지 수색하거나 하는 등의 불필요한 조작이 필요해지고, 복구 작업 시간이 증가해버린다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제거해야 할 지폐가 육안으로 발견되지 않기 때문에 잔류 지폐를 제거하는 것을 잊어서, 장해가 발생한 거래와는 다른 거래에 있어서 잔류 지폐가 반송되거나, 그 잔류 지폐에 의하여 새로운 잼 장해가 되어, 현금 장해가 발생할 가능성도 높아진다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지폐를 받아 들이거나 또는 방출하는 입출금구부와, 지폐의 고유 정보를 판독하고, 또한, 적어도 지폐의 금종(金種) 및 진위를 판별하는 지폐 판별부와, 입금된 지폐를 일시적으로 집적하는 일시 보관부와, 입금된 지폐를 수납하거나 또는 출금을 위한 지폐를 수납하는 복수의 지폐 수납고와, 지폐 판별부를 통과하며, 입출금구부, 일시 보관부, 지폐 수납부를 접속하는 지폐 반송로와, 지폐 반송로에 설치된, 반송되는 지폐의 위치 정보를 검지하는 복수의 검지 수단과, 지폐 판별부에서 판별된 금종 또는 진위에 관한 판별 정보에 의거하여 지폐를 반송시키며, 지폐의 판별 정보 및 지폐의 고유 정보와, 지폐의 위치 정보를 대응시켜서 기억하거나 또는 기억부에 기억시키는 제어부와, 지폐의 반송 장해가 발생하여 잔류 지폐가 존재할 경우에, 지폐의 판별 정보, 지폐의 고유 정보 및 지폐의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잔류 지폐를 특정할 수 있고, 그들의 취출 망각을 방지함으로써 복구 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현금 자동 거래 장치의 외관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현금 자동 거래 장치의 제어 기구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지폐 취급 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지폐 취급 장치의 제어 기구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반송 위치의 에어리어 정보를 나타낸 도면.
도 6a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입금 계수 처리 시의 잔류 지폐 정보의 표시도.
도 6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입금 계수 처리 시의 잔류 지폐 정보의 표시 테이블.
도 7a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잔류 지폐의 미제거 시의 잔류 지폐 정보의 표시 테이블.
도 7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잔류 지폐의 일부 제거 완료의 잔류 지폐 정보의 표시 테이블.
도 8a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입금 수납 처리 시의 잔류 지폐 정보의 표시도.
도 8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입금 수납 처리 시의 잔류 지폐 정보의 표시 테이블.
도 9a는 본 실시예에 따른 출금 처리 시의 잔류 지폐 정보의 표시도.
도 9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출금 처리 시의 잔류 지폐 정보의 표시 테이블.
도 10은 실시예5에 따른 제어부의 처리 흐름도.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폐 취급 장치는, 지폐를 받아 들이거나 또는 방출하는 입출금구부와, 지폐의 고유 정보를 판독하고, 또한, 적어도 지폐의 금종 및 진위를 판별하는 지폐 판별부와, 입금된 지폐를 일시적으로 집적하는 일시 보관부와, 입금된 지폐를 수납하거나 또는 출금을 위한 지폐를 수납하는 복수의 지폐 수납고와, 지폐 판별부를 통과하며, 입출금구부, 일시 보관부, 지폐 수납부를 접속하는 지폐 반송로와, 지폐 반송로에 설치된, 반송되는 지폐의 위치 정보를 검지하는 복수의 검지 수단과, 지폐 판별부에서 판별된 금종 또는 진위에 관한 판별 정보에 의거하여 지폐를 반송시키며, 지폐의 판별 정보 및 지폐의 고유 정보와, 지폐의 위치 정보를 대응시켜서 기억하거나 또는 기억부에 기억시키는 제어부와, 지폐의 반송 장해가 발생하여 잔류 지폐가 존재할 경우에, 지폐의 판별 정보, 지폐의 고유 정보 및 지폐의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지폐의 위치 정보와, 고유 정보 등을 대응시켜서 표시함으로써, 제거해야 할 지폐가 밝혀지기 때문에, 지폐의 취출 망각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지폐의 반송 장해가 입금 계수 시에 발생했을 경우, 제어부는 입출금구부로부터 지폐 판별부까지의 반송로에 잔류한 지폐를 입출금구부로 되돌리고, 또한, 입출금구부로부터 지폐 판별부 이외의 반송로에 잔류하고 있는 지폐의 판별 정보와, 고유 정보와, 위치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미판별의 지폐가 반송로에 잔류하지 않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잔류 지폐의 취출 망각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입금 계수 시에 지폐 판별부에서 판별한 지폐의 고유 정보를, 일시 보관부에 집적된 순번대로 기억부에 기억하고, 지폐의 반송 장해가, 지폐 반각(返却) 시 또는 수납 시에 발생했을 경우로서, 일시 보관부로부터 속출(繰出)되어 반송로에 잔류한 지폐에 대해서, 지폐 판별부에서 고유 정보가 판독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입금 계수 시에 기억한 고유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납 시에 지폐 판별부에서 판별한 지폐의 고유 정보를, 지폐 수납부에 집적된 순번대로 기억부에 기억하고, 지폐의 반송 장해가 지폐 출금 시에 발생했을 경우로서, 지폐 수납부로부터 속출되어 반송로에 잔류한 지폐에 대해서, 지폐 판별부에서 고유 정보가 판독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지폐 수납 시에 기억한 고유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지폐 반각 시 또는 지폐 수납 시에 있어서 고유 정보를 취득할 수 없어도, 지폐 입금 계수 시의 고유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제거해야 할 지폐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반송 장해 발생 시에 지폐 판별부에서 지폐의 고유 정보의 일부만 판독되었을 경우에는 판독된 일부의 고유 정보를 표시하고, 표시부는, 이용자에게 잔류한 지폐를 제거하도록 촉구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검지 센서에 의하여 지폐가 일시 보관부 또는 지폐 수납부에 집적된 것을 검지하면, 집적된 지폐의 판별 정보 및 고유 정보와, 입금 순번 정보를 대응시켜서 기억부에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그 후, 일시 보관부 또는 지폐 수납부로부터 속출된 지폐의 고유 정보는, 제어부에 기억되며, 기억부로부터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지폐의 고유 정보는, 기번호(記番號)에 관한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고, 지폐 판별부는, 지폐의 금종 및 진위에 더하여, 지폐의 상태를 판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일시 보관부 및 지폐 수납부에 지폐를 집적했을 경우에는, 기억부에 지폐 정보를 기억시키고, 한편, 일시 보관부 및 지폐 수납부로부터 지폐를 속출한 경우에는, 기억부에 기억된 지폐 정보를 삭제하고 제어부에 기억시켜, 제어부에 기억시키는 데이터량을 최소한으로 함으로써, 제어부로의 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다음에, 지폐를 받아 들이거나 또는 방출하는 입출금구부와, 지폐의 고유 정보를 판독하고, 또한, 지폐의 금종 및 진위를 판별하는 지폐 판별부와, 입금된 지폐를 일시적으로 집적하는 일시 보관부와, 입금된 지폐를 수납하거나 또는 출금을 위한 지폐를 수납하는 복수의 지폐 수납고와, 지폐 판별부를 통과하며, 입출금구부, 일시 보관부, 지폐 수납부를 접속하는 지폐 반송로와, 지폐 반송로에 설치된, 반송되는 지폐의 위치 정보를 검지하는 복수의 검지 수단과, 지폐 판별부에서 판별된 금종 또는 진위에 관한 판별 정보에 의거하여, 지폐를 반송시키고, 지폐의 판별 정보 및 지폐의 고유 정보와, 지폐의 위치 정보를 대응시켜서 기억하거나 또는 기억부에 기억시키는 제어부를 갖고, 지폐의 반송 장해가 발생했을 경우, 반송로에 잔류한 지폐의 고유 정보를 기억하고, 반송로로부터 제거한 지폐를 입금 계수시켜서 지폐 판별부에 의하여 제거 지폐의 고유 정보를 판독하고, 기억한 잔류 지폐의 고유 정보와, 입금 계수시킨 제거 지폐의 고유 정보가, 일치하는 것을 계기로 복구 처리를 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지폐의 반송 장해가 발생했을 경우, 제어부는, 잔류 지폐의 유무를 판정하고, 잔류 지폐가 존재할 경우에는, 반송로에 잔류한 지폐의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시켜서 반송로에 잔류한 지폐를 제거하도록 촉구하고, 잔류한 지폐를 제거한 후에, 상기 제거한 지폐를 상기 입출금구부에 삽입하도록 촉구하고, 지폐 판별부로 반송하고, 삽입된 제거 지폐의 고유 정보와, 기억된 잔류 지폐의 고유 정보를 비교하여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잔류 지폐로서 기억된 지폐 정보와 제거 지폐의 지폐 정보를 비교하는 구성 및 비교하여 일치했을 경우에만 복구 처리를 개시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취출 망각이 없어지고, 또한, 완전히 잔류 지폐가 제거된 후에 복구 처리가 시작되기 때문에, 복구 완료까지의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지폐의 반송 장해가 입금 계수 시에 발생했을 경우, 제어부는, 입출금구부로부터 지폐 판별부까지의 반송로에 잔류한 지폐를 입출금구부로 되돌린 후에, 입출금구부로부터 상기 지폐 판별부 이외의 반송로에 잔류한 지폐의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시켜, 반송로에 잔류한 지폐를 제거하도록 촉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따른 반송 장해 시의 복구 개시 방법은, 반송 장해 발생 시에 반송로에 잔류한 지폐의 고유 정보를 기억하는 스텝과, 잔류한 지폐의 위치를 표시하여 제거하도록 촉구하는 스텝과, 제거한 지폐를 지폐 취급 장치에 삽입하도록 촉구하는 스텝과, 고유 정보가 기억된 지폐의 고유 정보와, 삽입된 지폐의 고유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를 판정하는 스텝과, 일치했을 경우에는 복구 처리를 개시시키는 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어서, 본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지폐 취급 장치의 외관도의 일례이다. 본 실시예의 현금 자동 거래 장치(101)에는, 고객의 거래 카드나 거래 명세표를 처리하는 카드 명세표 처리 기구(102)와, 통장을 처리하는 통장 처리 기구(103)와, 하우징(104)과, 거래에 필요한 정보를 이용자에게 표시 또는 이용자가 입력하거나, 혹은 계원이 확인을 위해 표시 또는 정보 입력하는 조작 표시부(105)가 설치되어 있다. 또, 현금 자동 거래 장치(101)에서는, 이용자도 계원도 같은 조작 표시부(105)를 사용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이용자와는 달리, 계원 전용의 조작 표시부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하우징(104)의 내부에는 지폐 입출금 장치(1)를 구비하고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카드 명세표 처리 기구(102), 통장 처리 기구(103), 조작 표시부(105) 및 지폐 입출금 장치(1)는 버스(110)를 통하여 본체 제어부(106)와 접속되어 있고, 본체 제어부(106)의 제어하에 필요한 동작을 행한다. 또한, 이외에, 인터페이스부(107)와, 계원 조작부(108)와, 외부 기억 장치(109)도 버스(110)로 접속되어 있고, 필요한 데이터의 교환을 행하지만,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상기 각 기구, 구성 부분은, 전원부(111)에 의하여 전력이 공급된다.
다음에, 도 3은, 현금 자동 거래 장치(101)에 탑재되는 지폐 입출금 장치(1)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의 일례이며, 도 4는 그 제어 기구를 나타낸 도면의 일례이다. 지폐 입출금 장치(1)는, 지폐를 출납하는 입출금구(2)와, 반송되는 각 지폐의 금종, 진위 혹은 상태를 판별하는 지폐 판별부(3)를 갖는다. 특히, 이 지폐 판별부(3)는, 지폐의 고유 정보(예를 들면, 지폐에 인쇄된 기번호 등이며, 지폐를 고유 또는 일의(一意)적으로 특정할 수 있는 정보를 나타냄)를 판독하는 기능 또는 수단도 갖고 있다. 또한 입금한 지폐를 거래 성립까지의 사이에 일시적으로 수납하는 일시 보관부(4)와, 지폐 입출금 장치(1)에서 취급하는 지폐가 수납되는 지폐고와, 지폐를 수납하는 지폐고와 지폐 입출금 장치(1)의 각 구성 요소를 잇고, 지폐를 반송하는 반송로(5a∼5e)와, 지폐의 통과를 검출하기 위한 반송로 센서(13a∼13i)를 갖는다. 여기에서, 지폐고는 그 역할에 따라서 분류되며, 예를 들면 지폐의 일부에 접힘 등이 생겨 있다고 판단된 리젝트 지폐 등의 출금으로서 취급하지 않는 지폐를 수납하는 입금고(6), 입금 및 출금에 맞춰서 지폐의 금종마다 수납 및 방출을 행하는 환류고(還流庫)(7∼10)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오른쪽에 입금고(6)를 구비한다. 입금된 지폐 중, 접힘 등이 생겨서 출금에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된 지폐는 입금고(6)에 수납된다. 하부 오른쪽에서 2번째부터 5번째에는 환류고(7∼10)를 구비한다. 환류고(7∼10)는 금종 별로 지폐가 수납되며, 수납된 지폐는 출금 시에 방출된다. 예를 들면 왼쪽으로부터는 10유로 지폐용, 50유로 지폐용, 100유로 지폐용, 200유로 지폐용의 환류고로 할 수 있다.
또한, 지폐 입출금 장치(1)는 기억부(11)를 구비하고 있으며, 기억부(11)는 복수의 기억 에어리어를 구비하고 있다. 우선, 제1 기억 에어리어에는 일시 보관부(4)에 일시적으로 보관된 지폐에 대해서, 제어부(12)가 결정한 지폐의 반송처로 지폐를 반송할 때에, 지폐 판별부(3)가 판별한 지폐의 고유 정보, 판별 정보(지폐의 금종, 진위 또는 상태를 판별한 정보), 입금 순번 정보(지폐의 반송 순번)를 기억한다. 한편, 제2 기억 에어리어에는, 입출금구(2)로 반송한 지폐에 대해서, 제3∼6 에어리어에는 환류고(7∼10)의 각 카세트에 수납된 지폐에 대해서, 반송할 때에 지폐 판별부(3)가 판별한 지폐의 고유 정보, 판별 정보(지폐의 금종, 진위 또는 상태를 판별한 정보), 입금 순번 정보(지폐의 반송 순번)를 각각 기억한다. 제어부(12)는 반송 센서로(13a∼13i)로부터의 지폐 검출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본체 제어부(106)와 버스(110)를 통하여 접속되며, 본체 제어부(106)로부터의 지령 및 지폐 입출금 장치(1)의 상태 검출에 따라서 지폐 입출금 장치(1)의 제어를 행하고, 지폐 입출금 장치(1)의 상태를 필요에 따라 본체 제어부로 보낸다.
도 5는, 지폐의 반송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표시도이다. 지폐 입출금 장치(1)의 지폐를 출납하는 기구 및 반송로로 분할하고, 또한 반송로를 반송로 센서(13a∼13i)로 분할한 반송 위치(501∼519)를 나타낸다. 제어부(12)는, 반송되는 지폐의 반송 위치를 반송로 센서(13a∼13i)를 사용하여 감시하고, 도 5의 대응하는 반송 위치를 제어부(12)의 내장 메모리에 기억한다.
이용자는 현금 자동 거래 장치(101)에 의하여 다양한 거래를 실행하지만, 대표적인 거래로서 입금 거래와 출금 거래를 들 수 있다. 입금 거래에서는 이용자가 입출금구(2)에 지폐를 투입하여 조작 표시부(105)에서 투입한 금액을 확인할 때, 그 금액으로 좋으면 확인(OK) 버튼을 압하하여 거래를 종료하는 경우와, 반각 버튼을 압하하여 투입한 지폐를 반각하여 종료하는 경우가 있다. 여기에서는, 도 1∼도 5를 사용하여, 입금 계수 처리, 입금 수납 처리, 입금 반각 처리라고 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출금 거래에서는 이용자가 조작 표시부(105)로부터 입력한 출금 금액에 따라, 환류고(7∼10)의 각 금종마다의 환류고로부터 소정의 매수씩 지폐를 속출하여 이용자에게 지불하는 출금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1)
실시예1로서, 입금 계수 처리에서 장해가 발생했을 경우에 대하여 기재한다. 우선, 지폐 입출금 장치(1)에서 실행되는 입금 계수 처리에 대하여 도 3∼5, 도 6 및 도 7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지폐 입출금 장치(1)의 입금 계수 처리는, 이용자에 의하여 입출금구(2)에 지폐가 투입되면, 입출금구(2)로부터 지폐를 1매씩 분리하고, 반송로(5a) 상에 반출한다. 반송로로 반송되는 각 지폐는, 지폐 판별부(3)에 의하여 그 금종이나 진위가 판별되며, 또한 당해 지폐의 고유 정보인 기번호가 판독된다. 이때 제어부(12)는, 지폐 판별부(3)의 지폐를 판별한 판별 결과인 판별 정보에 의거하여, 지폐의 반송처를 결정한다. 이 반송처의 결정에 있어서는, 지폐 판별부(3)에 의하여 진권이라고 판별된 지폐의 반송처를 환류고(7)의 운용 방법에 맞춰서 결정한다. 예를 들면, 환류고(10)에 10유로 지폐를 수납한다고 한 운용 방법에 있어서는, 지폐 판별부(3)에 의하여 지폐의 종류가 10유로라고 판별되었을 경우, 제어부(12)는, 당해 지폐의 최종 반송처를 환류고(10)로 결정하고, 최종 반송처로 반송하기 전에, 일시 보관부(4)로 반송한다. 또한, 제어부(12)는, 지폐 판별부(3)에 의하여 금종을 판별할 수 없는 지폐, 치수가 이상한 지폐, 고유 정보를 취득할 수 없는 지폐 등이라고 판별된 지폐의 반송처를, 입출금구(2)를 리젝트 스태커(14)로 하여, 최종 반송처로 결정한다. 이것은, 지폐로서 인정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이용자에게 반각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지폐 입출금 장치(1)는, 지폐 판별부(3)에 의하여 판별된 지폐 중, 금종을 판별할 수 없는, 지폐의 고유 정보가 판독되지 않거나, 취득할 수 없는 등의 지폐는 일시 보관부(4)를 통하지 않고 입출금구(2)(리젝트 스태커(14))로 반송하여 반각하지만, 그 이외의 지폐는, 일시 보관부(4)로 반송한다.
제어부(12)는, 입출금구(2)로부터 속출된 지폐가 일시 보관부(4) 또는 입출금구(2)로 반송될 때까지, 상술한 반송로 센서(13a∼13i)를 사용하여 감시한다. 입출금구(2)로부터 속출된 지폐는, 최초에 반송로 센서(13a)에서 지폐가 통과하는 것을 감시한다. 반송로 센서(13a)에서 지폐의 통과를 검출하면, 지폐의 반송 위치 정보를 기억한다. 반송 위치는 도 5의 반송로를 반송로 센서(13a∼13i)로 분할한 위치 정보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 위치(501∼519)까지 정의되어 있고, 각 반송로 센서에서 지폐의 통과를 검출할 때마다 지폐의 반송 위치 정보를 기억한다. 입금 계수 처리에 있어서, 반송로 센서(13a)에서 지폐의 통과를 검출하면, 제어부(12)는 검출한 지폐의 반송 위치 정보로서 반송 위치(502)를 기억한다. 다음에 반송로 센서(13b)에서 지폐를 통과하는 것을 감시한다. 반송로 센서(13b)에서 지폐의 통과를 검출하면, 기억하고 있었던 반송 위치 정보를 반송 위치(503)로 갱신한다. 또한, 지폐 판별부(3)에서 판별되는 것을 감시한다. 지폐 판별부(3)에 의하여 지폐가 판별되면, 지폐 판별부(3)가 판별한 지폐의 고유 정보, 판별 정보(지폐의 금종, 진위 또는 상태를 판별한 정보), 반송 위치 정보를 관련시켜 제어부(12)에서 기억하고, 지폐의 판별 정보로부터 상술한 방법으로 반송처를 결정한다.
지폐 판별부(3)가 판별한 지폐의 판별 정보로부터 결정된 반송처가 일시 보관부(4)인 경우에는, 다음에 반송로 센서(13c)에서 지폐의 통과를 감시한다. 반송로 센서(13c)에서 지폐의 통과를 검출하면 제어부(12)는, 지폐의 고유 정보, 지폐의 판별 정보와 관련시켜 기억하고 있는 반송 위치 정보를 반송 위치(504)로 갱신한다. 이어서, 일시 보관부(4)로 반송되는 것을 감시하여 반송된 것을 검출하면, 제어부(12)는 기억하고 있는 지폐의 고유 정보 및 판별 정보와, 일시 보관부(4)에 반송한 입금 순번 정보를 관련시켜, 기억부(11)의 제1 기억 에어리어에 기억하고, 제어부(12)에서 기억하고 있었던 반송한 지폐의 고유 정보, 판별 정보, 반송 위치 정보를 삭제한다. 한편, 지폐 판별부(3)가 판별한 지폐의 판별 정보로부터 결정된 반송처가 입출금부(2)인 경우에는, 반송로 센서(13d)에서 지폐의 통과를 감시한다. 반송로 센서(13d)에서 지폐의 통과를 검출하면, 제어부(12)는 지폐의 고유 정보 및 판별 정보와, 관련시켜 기억하고 있는 반송 위치 정보를 반송 위치(505)로 갱신한다. 이어서, 입출금부(2)로 반송되는 것을 감시하여 반송된 것을 검출하면, 제어부(12)는 기억하고 있는 지폐의 고유 정보 및 판별 정보와, 입출금부(2)로 반송한 입금 순번 정보를 관련시켜 기억부(11)의 제2 기억 에어리어에 기억하고, 제어부(12)에서 기억하고 있었던 반송한 지폐의 고유 정보, 판별 정보, 반송 위치 정보를 삭제한다.
다음에 입금 계수 처리에서, 지폐 반송 중에 장해가 발생하고, 반송로에 지폐가 잔류했을 경우의 장해 정보의 표시 방법에 대하여 도 6a 및 도 6b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반송 중에 장해가 발생하고, 반송로에 지폐가 잔류했을 경우, 입출금부(2)로부터 속출되어서 반송로(5a) 상에 잔류하고 있는 지폐를 입출금부(2)로 되돌리기 위해서, 반송로(5a)를 속출할 때와 역방향으로 동작시켜서 잔류한 지폐를 입출금부(2)로 반송한다. 지폐 판별부(3)에 의하여 판별된 지폐의 고유 정보 및 판별 정보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계원 등이 잔류 지폐를 제거할 때에 비교할 정보가 없음으로써 생기는 취출 망각을 막기 위함이다. 우선, 조작 표시부(105)에 반송로에 잔류한 각 지폐의 고유 정보, 판별 정보(지폐의 금종, 진위 또는 상태를 판별한 정보), 반송 위치 정보를 표시한다. 도 6a에서는 반송 위치(503∼505)에 합계 4매의 지폐가 잔류하고 있으며, 제어부(12)는 버스부(110)를 통하여, 기억하고 있었던 잔류 지폐의 정보를 본체 제어부(106)에 넘기고, 본체 제어부(106)는 조작 표시부(105)에 표시한다.
도 6b의 잔류 지폐(61)는, 지폐 판별부(3)에서 고유 정보로서 LMN678을 판독하고, 판별 정보로서, 금종에 대해서는 100유로권, 진위에 대해서는 진, 상태에 대하여 양호 상태라고 판별하고 있다. 따라서 제어부(12)는, 상술한 지폐의 반송처의 결정 방법에 따라, 일시 보관부(4)를 반송처로 결정하고 있다. 일시 보관부(4)로 반송 중에 장해가 발생하고, 반송로의 반송 위치(504)에 잔류했다. 잔류 지폐(62, 63)도 마찬가지로 반송처가 일시 보관부(4)로 결정된 지폐이며, 잔류 지폐(64)에서는, 지폐 판별부(3)는 고유 정보로서 일부분만 판독할 수 있고, 판별 정보로서, 금종에 대해서는 불명권, 진위에 대해서는 불명, 상태에 대해서는 오염 상태라고 판별하고 있다. 이용자에게 되돌리기 위해서, 반송처를 입출금부(2)로 결정하고 있으며, 입출금부(2)로 반송 중에 장해가 발생하고, 반송로의 반송 위치(505)에 잔류했다. 여기에서, 지폐 판별부(3)에서 판별된 지폐의 판별 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나, 스큐 등의 반송 상태가 나쁘거나 또는 지폐가 오염되어 있는 등으로 지폐의 고유 정보가 일부분만 판독되었을 경우에는, 판독되지 않은 문자를 “*”로 표시한다.
다음에, 계원이 조작 표시부(105)에 표시된 잔류 지폐 정보를 사용하여 잔류 지폐를 제거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 7a 및 도 7b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현금 자동 거래 장치는, 거래 중에 장해가 발생하면, 장치의 동작이 정지하여 장해 발생을 통지한다. 계원은 장해 발생 통지를 받으면, 도 7a의 조작 표시부(105)에 표시된 잔류 지폐 정보의 초기 화면을 보고 지폐의 잔류 위치를 판단한다. 그 후, 지폐의 반송 기구를 수동에 의하여 회전시켜, 반송로의 지폐를 취출하기 쉬운 장소까지 이동시켜, 반송로로부터 제거한다. 제거한 지폐의 고유 정보, 금종을 육안으로 판별하고, 조작 표시부(105)에 표시된 잔류 지폐 정보 중에서 고유 정보가 일치하는 지폐 정보가 있으면, 일치하는 잔류 지폐 정보의 「제거」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제거 완료 지폐로서 표시한다. 여기에서, 도 7b의 잔류 지폐 정보의 작업 중 화면은, 조작 표시부(105)에 표시된 이미 제거 완료의 지폐와 제거되어 있지 않은 잔류 지폐 정보를 나타내고 있고, 잔류 지폐(61, 64)는 이미 제거되고, 잔류 지폐(62, 63)는 제거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계원은, 모든 지폐의 제거 작업을 마친 후에, 조작 표시부(105)의 「확인」 버튼을 누른다. 조작 표시부(105)의 잔류 지폐 정보 중에 「제거」 버튼이 눌리지 않은 미제거의 정보가 1개라도 있는 경우에는, 조작 표시부(105)에 다시, 장해 발생 시의 정보가 되는 잔류 지폐 정보의 초기 화면을 표시하여, 계원에게 제거 작업을 행하게 한다. 모두 제거 완료된 경우에는, 본체 제어부(106)는 버스부(110)를 통하여, 제어부(12)에 대하여 잔류 정보 확인 완료를 연락한다. 제어부(12)는 연락을 받으면 기억하고 있는 잔류 지폐 정보를 모두 소거하고, 복구 처리로 이행한다. 이와 같이, 조작 표시부(105)에 표시된 모든 잔류 지폐 정보의 「제거」 버튼이 눌리지 않은 경우에는, 지폐의 취출 망각이 있다고 하여 복구할 수 없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몇 번이라도 잔류 지폐 정보를 사용한 제거 작업을 행할 수 있으므로, 지폐의 취출 망각을 방지하고, 모든 지폐를 제거한 상태에서 복구시킬 수 있다.
(실시예2)
다음에, 입금 수납 처리에서 장해가 발생했을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입금 수납 처리에 대하여 도 3, 도 4, 도 5, 도 8a 및 도 8b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 입금 수납 처리는, 조작 표시부(105)에 지폐를 계수한 결과를 나타내고, 이용자에 대하여 이용자가 입금한 입금액을 확인시킨 후에, 지폐고에 지폐를 수납할 때의 지폐 입출금 장치(1)의 처리를 나타낸다. 지폐 입출금 장치(1)는, 지폐를 일시 보관부(4)로부터 반송로(5c) 상에 지폐를 반출한다. 반송하는 지폐는 지폐 판별부(3)에 의하여 다시 판별되며, 지폐 판별부(3)에 의한 판별 정보로부터 제어부(12)가 결정한 반송처(환류고(7∼10), 입금고(6))에 지폐를 반송하고, 각 지폐고에 수납한다. 제어부(12)는, 일시 보관부(4)로부터 속출된 지폐가 환류고(7∼10) 또는 입금고(6)로 반송될 때까지, 상술한 반송로 센서(13a∼13i)를 사용하여 감시한다. 일시 보관부(4)로부터 속출된 지폐는 처음에 반송로 센서(13c)에서 지폐가 통과하는 것을 감시한다. 반송로 센서(13c)에서 지폐의 통과를 검출하면, 제어부(12)는, 기억부(11)의 제1 에어리어에 일시 보관부(4)에 보관된 지폐로서, 관련시켜 기억하고 있는 지폐의 고유 정보, 판별 정보(지폐의 금종, 진위 또는 상태를 판별한 정보), 입금 순번 정보 중에서, 입금 순번 정보가 마지막으로 되어 있는 지폐에 관한 정보를, 입금 계수 처리 시의 지폐 정보로서, 반송 위치 정보(이때는 반송 위치(503))와 관련시켜 기억한다. 그때, 기억부(11)의 제1 에어리어의 입금 순번 정보가 마지막으로 되어 있는 지폐의 정보를 삭제한다. 그리고, 반송로 센서(13b, 13a, 13e)를 순번대로 통과하는 것을 감시한다. 반송로 센서(13b)에 의하여 지폐의 통과를 검출하면, 제어부(12)가 기억하고 있는 지폐의 반송 위치 정보를 반송 위치(502)로 갱신하고, 반송로 센서(13a)에 의하여 지폐의 통과를 검출하면, 제어부(12)가 기억하고 있는 지폐의 반송 위치 정보를 반송 위치(501)로 갱신한다. 이때에 지폐 판별부(3)에서 판별이 행해지지만, 제어부(12)는 지폐 판별부(3)에 의하여 지폐가 판별된 것을 검출하면, 입금 수납 시의 지폐 정보로서, 지폐 판별부(3)가 판별한 지폐의 고유 정보 및 판별 정보(지폐의 금종, 진위 또는 상태를 판별한 정보)와, 상술한 이미 기억하고 있는 입금 계수 시의 지폐 정보(지폐의 고유 정보, 및 판별 정보)와, 반송 위치 정보(이때는 반송 위치(501))를 관련시켜 기억하고, 또한 지폐 판별부(3)가 판별한 지폐의 판별 정보로부터 상술한 방법으로 반송처를 결정한다.
다음에 반송로 센서(13e)에서 지폐의 통과를 감시한다. 반송로 센서(13e)에서 지폐의 통과를 검출하면, 기억하고 있는 반송 위치 정보를 반송 위치(506)로 갱신한다. 또한, 지폐 판별부(3)가 판별한 지폐의 판별 정보로부터 결정된 반송처가 입금고(6)인 경우에는, 입금고(6)로 지폐가 반송되는 것을 감시한다. 지폐 판별부(3)가 판별한 지폐의 판별 정보로부터 결정된 반송처가 환류고(7)인 경우에는, 다음에 반송로 센서(13f)를 감시하고, 환류고(8)인 경우에는, 반송로 센서(13f, 13g)의 순번대로 감시, 환류고(9)인 경우에는, 반송로 센서(13f, 13g, 13h)의 순번대로 감시, 환류고(10)인 경우에는, 반송로 센서(13f, 13g, 13h, 13i)의 순번대로, 지폐의 통과를 감시한다. 제어부(12)는, 반송로 센서(13f∼13i)에서 지폐의 통과를 검출하면, 기억하고 있는 지폐의 반송 위치 정보를 각각 반송 위치(507∼510)로 갱신한다. 순번대로 감시하는 반송로 센서 중, 마지막 반송로 센서에서 지폐의 통과를 검출하면, 제어부(12)는, 다음에 반송처의 환류고(7∼10)로 지폐가 반송되는 것을 감시한다. 입금고(6)로 지폐가 반송되는 것을 검출하면, 제어부(12)는, 반송된 지폐의, 기억하고 있는 입금 계수 시와 입금 수납 시의, 지폐의 고유 정보 및 판별 정보와 반송 위치 정보를 삭제한다. 한편, 환류고(7∼10)로 지폐가 반입되는 것을 검출하면, 제어부(12)는, 반송된 지폐의, 기억하고 있는 입금 수납 처리에서 지폐 판별부(3)가 판독한 지폐의 고유 정보, 지폐의 판별 정보와, 각 환류고(7∼10)로 반송한 입금 순번 정보를 관련시켜, 기억부(11)의 환류고(7∼10)에 대응하는 제3∼6 기억 에어리어에 기억하고, 제어부(12)에서 기억하고 있었던 반송된 지폐의 지폐 정보를 삭제한다.
입금 수납 처리에 있어서, 반송 중에 장해가 발생하고, 반송로에 지폐가 잔류했을 경우, 조작 표시부(105)에 잔류한 각 지폐의, 입금 계수 시와 입금 수납 시의, 고유 정보, 판별 정보(지폐의 금종, 진위 또는 상태를 판별한 정보)와, 반송 위치 정보를 표시한다. 입금 계수 시의 지폐의 고유 정보, 판별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입금 수납 시에 지폐 판별부(3)에 의한 지폐의 고유 정보나 판별 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여도, 계원 등이 잔류 지폐를 제거할 때에, 비교할 정보가 있기 때문에 취출 망각을 막을 수 있다. 다음에 입금 수납 처리에서, 지폐 반송 중에 장해가 발생하고, 반송로에 지폐가 잔류했을 경우의 장해 정보의 표시 방법에 대하여 도 8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8a에서는 입금 수납 처리에 있어서, 반송로(5a∼5e)에 합계 6매의 지폐가 잔류하고 있으며, 제어부(12)는 버스부(110)를 통하여, 본체 제어부(106)에 기억하고 있었던 잔류 지폐의 정보를 넘기고, 본체 제어부(106)는 조작 표시부(105)에 표시한다.
도 8b의 잔류 지폐(81)는, 입금 수납 처리 시에, 지폐 판별부(3)에서 고유 정보로서 ABC123을 판독하고, 판별 정보로서, 금종에 대해서는 10유로권, 진위에 대해서는 진, 상태에 대하여 양호 상태라고 판별하고 있다. 또한, 입금 계수 시에 지폐 판별부(3)가 판독한, 지폐의 고유 정보, 판별 정보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어부(12)는, 상술한 지폐의 반송처의 결정 방법에 따라, 환류고(10)를 반송처로 결정하고 있다. 그러나, 잔류 지폐(81)는, 환류고(10)로 반송 중에 장해가 발생하여 반송로의 반송 위치(510)에 잔류했다. 잔류 지폐(82)도 지폐 판별부(3)가 판독한 금종이 10유로권이었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반송처가 환류고(10)로 결정한 지폐이며, 잔류 지폐(83)는, 금종 정보가 50유로권이 되었기 때문에, 반송처를 환류고(8)로 결정한 지폐이며, 반송로(5e)에 잔류하고 있다. 잔류 지폐(84)에서는, 지폐 판별부(3)는 고유 정보로서 일부분만 판독할 수 있고, 판독되지 않은 문자는 “*”로서, 판독된 부분을 표시하고, 판별 정보로서, 금종에 대해서는 불명권, 진위에 대해서는 불명, 상태에 대해서는 찢어진 상태라고 판별하고 있으며, 금종 불명이기 때문에 반송처를 입금고(6)로 결정했다. 입금고(6)로 반송 중에 장해 발생하고, 반송로의 반송 위치(506)에 잔류했다. 잔류 지폐(85, 86)는 지폐 판별부(3)에서 판별되기 전에 장해가 발생했으므로, 입금 수납 시의 지폐의 고유 정보, 지폐의 판별 정보는 없고, 모두 불명으로 하고, 입금 계수 시에 지폐 판별부(3)가 판독한 지폐의 고유 정보, 지폐의 판별 정보(예를 들면, 잔류 지폐(85)는 고유 정보로서, KLM357, 판별 정보로서, 금종에 대해서는 100유로권, 진위에 대해서는 진, 상태에 대해서는 양호 상태)를 표시한다. 계원이 입금 수납 처리에 있어서의 잔류 지폐를 제거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실시예1과 같이 조작 표시부(105)에 표시된 잔류 지폐 정보를 사용하여 제거한다.
(실시예3)
다음에, 입금 반각 처리에서 장해가 발생했을 경우에 대하여 기재한다. 우선, 입금 반각 처리에 대하여 도 3, 도 4, 도 5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 입금 반각 처리는 조작 표시부(105)에서 표시한 입금 금액의 확인에 있어서, 반각 버튼을 압하함으로써 이용자가 입금 거래를 취소했을 때에, 일시 보관부(4)에 일시적으로 보관된 지폐를 입출금구(2)로 반각하는 지폐 입출금 장치(1)의 처리를 나타낸다.
지폐 입출금 장치(1)는, 지폐를 일시 보관부(4)로부터 반송로(5c) 상에 지폐를 반출하고, 반송처의 입출금구(2)로 지폐를 반송한다. 제어부(12)는, 일시 보관부(4)로부터 속출된 지폐가 입출금부(2)의 리젝트 스태커(14)로 반송될 때까지, 반송로 센서(13c, 13b)를 사용하여 감시한다. 일시 보관부(4)로부터 속출된 지폐는 처음에 반송로 센서(13c)에서 지폐가 통과하는 것을 감시한다. 반송로 센서(13c)에서 지폐의 통과를 검출하면, 제어부(12)는, 기억부(11)의 제1 에어리어에 관련시켜 기억되어 있는 지폐의 고유 정보, 판별 정보(지폐의 금종, 진위 또는 상태를 판별한 정보), 입금 순번 정보 중에서, 입금 순번 정보가 마지막인 정보를, 입금 계수 시의 지폐 정보로서, 반송 위치 정보(이때는 반송 위치(503))와 관련시켜 기억한다. 그때, 기억부(11)의 제1 에어리어의 입금 순번 정보가 마지막인 지폐의 정보를 삭제한다.
다음에 반송로 센서(13b)를 통과하는 것을 감시한다. 반송로 센서(13b)에 의하여 지폐의 통과를 검출하면, 제어부(12)가 기억하고 있는 지폐의 반송 위치 정보를 반송 위치(501)로 갱신한다. 여기에서, 지폐 판별부(3)에서 판별되는 것을 감시한다. 지폐 판별부(3)에 의하여 지폐가 판별된 것을 검출하면, 지폐 판별부(3)가 판별한 지폐의 고유 정보, 판별 정보(지폐의 금종, 진위 또는 상태를 판별한 정보)를 입금 반각 시의 지폐 정보로서, 이미 기억하고 있는 입금 계수 시의 지폐 정보(지폐의 고유 정보 및 판별 정보)와, 반송 위치 정보(이때는 반송 위치(501))를 관련시켜 기억한다. 다음에 입출금부(2)로, 지폐가 반송되는 것을 감시한다. 제어부(12)는, 입출금부(2)로 지폐가 반송되는 것을 검출하면, 제어부(12)는, 반입된 지폐의 기억하고 있는, 입금 반각 처리에서 지폐 판별부(3)가 판독한 지폐의 고유 정보, 지폐의 판별 정보와 입금 순번 정보를 관련시켜, 기억부(11)의 제2 기억 에어리어에 기억하고, 제어부(12)에서 기억하고 있었던 반송된 지폐의 지폐 정보를 삭제한다.
이 입금 반각 처리에 있어서, 반송 중에 장해가 발생하여 반송로에 지폐가 잔류했을 경우, 조작 표시부(105)에 잔류한 각 지폐의, 입금 계수 시와 입금 반각 시의, 고유 정보, 판별 정보(지폐의 금종, 진위 또는 상태를 판별한 정보)와, 반송 위치 정보를 표시한다. 입금 계수 시의 지폐의 고유 정보, 판별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입금 반각 시에 지폐 판별부(3)에 의한 지폐의 고유 정보나 판별 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여도, 계원 등이 잔류 지폐를 제거할 때에, 지폐의 고유 정보에 의거한 비교할 정보가 있기 때문에 취출 망각을 막을 수 있다. 입금 반각 처리에서, 지폐 반송 중에 장해가 발생하고, 반송로에 지폐가 잔류했을 경우의 장해 정보의 표시 방법에 대해서는, 실시예2와 같은 방법으로 표시한다. 계원이 입금 반각 처리에 있어서의 잔류 지폐를 제거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실시예2와 같이 조작 표시부(105)에 표시된 잔류 지폐 정보를 사용하여 제거한다.
(실시예4)
다음에, 출금 처리에서 장해가 발생했을 경우에 대하여 기재한다. 환류고(7)로부터 속출할 때의 출금 처리에 대하여 도 3∼5, 도 9a 및 도 9b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지폐 입출금 장치(1)는, 지폐를 환류고(7)로부터 반송로(5e) 상에 지폐를 반출한다. 반송로를 반송하는 지폐는 지폐 판별부(3)에 의하여 판별되며, 지폐 판별부(3)에 의한 판별 정보로부터 제어부(12)는, 출금 리젝트(이용자에게 지불하는 지폐로서 인정되지 않는) 지폐는, 반송처를 일시 보관부(4)로, 그렇지 않은 지폐는 입출금구(2)로 결정한다. 제어부(12)는, 환류고(7)로부터 속출된 지폐가 입출금구(2) 또는 일시 보관부(4)로 반송될 때까지, 상술한 반송로 센서(13a∼13j)를 사용하여 감시한다. 환류고(7)로부터 속출된 지폐는 처음에 반송로 센서(13f)에서 지폐가 통과하는 것을 감시한다. 반송로 센서(13f)에서 지폐의 통과를 검출하면, 제어부(12)는, 기억부(11)의 제3 에어리어에 환류고(7)에 보관된 지폐로서, 관련시켜 기억되어 있는 지폐의 고유 정보, 판별 정보(지폐의 금종, 진위 또는 상태를 판별한 정보), 입금 순번 정보 중에서, 입금 순번 정보가 마지막인 정보를, 입금 수납 처리 시의 지폐 정보로서, 반송 위치 정보(이때는 반송 위치(506))와 관련시켜 기억한다. 그때, 기억부(11)의 제3 에어리어의 입금 순번 정보가 마지막인 지폐의 정보를 삭제한다.
다음에 반송로 센서(13e, 13a, 13b)를 통과하는 것을 순번대로 감시한다. 반송로 센서(13e)에 의하여 지폐의 통과를 검출하면, 제어부(12)가 기억하고 있는 지폐의 반송 위치 정보를 반송 위치(501)로 갱신한다. 다음에 반송로 센서(13a)에 의하여 지폐의 통과를 검출하면, 제어부(12)가 기억하고 있는 지폐의 반송 위치 정보를 반송 위치(502)로 갱신한다. 또한, 반송로 센서(13b)에 의하여 지폐의 통과를 검출하면, 제어부(12)가 기억하고 있는 지폐의 반송 위치 정보를 반송 위치(503)로 갱신한다. 또한, 지폐 판별부(3)에서 판별되는 것을 감시한다. 지폐 판별부(3)에 의하여 지폐가 판별된 것을 검출하면, 출금 시의 지폐 정보로서, 지폐 판별부(3)가 판별한 지폐의 고유 정보, 판별 정보(지폐의 금종, 진위 또는 상태를 판별한 정보)와, 상술한 이미 기억하고 있는 입금 수납 처리 시의 지폐 정보(지폐의 고유 정보 및 판별 정보)와, 반송 위치 정보(이때는 반송 위치(503))를 관련시켜 기억하고, 또한 지폐 판별부(3)가 판별한 지폐의 판별 정보로부터 상술한 방법으로 반송처를 결정한다.
지폐 판별부(3)가 판별한 지폐의 판별 정보로부터 결정된 반송처가 입출금구(2)인 경우에는, 반송로 센서(13d)에서 지폐의 통과를 감시한다. 제어부(12)는, 반송로 센서(13d)에서 지폐의 통과를 검출하면, 기억하고 있는 지폐의 반송 위치 정보를 반송 위치(505)로 갱신한다. 반송로 센서(13d)에서 지폐의 통과를 검출하면, 제어부(12)는, 다음에 입출금구(2)로 지폐가 반입되는 것을 감시한다. 그리고, 입출금구(2)로 지폐가 반입되는 것을 검출하면, 제어부(12)는, 반송된 지폐의 기억하고 있는 출금 처리 시의 지폐의 고유 정보 및 판별 정보와 입금 순번 정보를 관련시켜, 기억부(11)의 제2 기억 에어리어에 기억하고, 제어부(12)에서 기억하고 있었던 반송된 지폐의 지폐 정보를 삭제한다. 지폐 판별부(3)가 판별한 지폐의 판별 정보로부터 결정된 반송처가 일시 보관부(4)인 경우에는, 다음에 반송로 센서(13c)에서 지폐의 통과를 감시한다. 제어부(12)는, 반송로 센서(13c)에서 지폐의 통과를 검출하면, 기억하고 있는 지폐의 반송 위치 정보를 각각 반송 위치(504)로 갱신한다. 반송로 센서(13c)에서 지폐의 통과를 검출하면, 제어부(12)는, 다음에 일시 보관부(4)로 지폐가 반송되는 것을 감시한다. 다음에 일시 보관부(4)로 지폐가 반입되는 것을 검출하면, 제어부(12)는, 반입된 지폐의 기억하고 있는 출금 처리 시의 지폐의 고유 정보 및 판별 정보와 입금 순번 정보를 관련시켜, 기억부(11)의 제1 기억 에어리어에 기억하고, 제어부(12)에서 기억하고 있었던 반송된 지폐의 지폐 정보를 삭제한다.
이 일련의 출금 처리에 있어서, 반송 중에 장해가 발생하고, 반송로에 지폐가 잔류했을 경우, 조작 표시부(105)에 잔류한 각 지폐의, 출금 시와 입금 수납 시의 고유 정보, 판별 정보(지폐의 금종, 진위 또는 상태를 판별한 정보), 반송 위치 정보를 표시한다. 입금 수납 시의 지폐의 고유 정보 및 판별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출금 시에 지폐의 고유 정보나 판별 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여도, 계원 등이 잔류 지폐를 제거할 때에, 비교할 정보가 있기 때문에 취출 망각을 막을 수 있다. 여기에서, 출금 처리에서 지폐 반송 중에 장해가 발생하여 반송로에 지폐가 잔류했을 경우의 장해 정보의 표시 방법에 대하여 도 9a 및 도 9b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9a에서는 출금 처리에 있어서, 반송로(5a∼5e)에 합계 3매의 지폐가 잔류하고 있으며, 제어부(12)는 버스부(110)를 통하여, 본체 제어부(106)에 기억하고 있었던 잔류 지폐의 정보를 넘기고, 본체 제어부(106)는 조작 표시부(105)에 표시한다.
도 9b의 잔류 지폐(91)는, 출금 처리 시에, 지폐 판별부(3)는 고유 정보로서 ACE135를 판독하고, 판별 정보로서, 금종에 대해서는 200유로권, 진위에 대해서는 진, 상태에 대하여 양호 상태라고 판별하고 있다. 또한, 입금 수납 시에 지폐 판별부(3)가 판독한, 지폐의 고유 정보 및 판별 정보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어부(12)는 상술한 지폐의 반송처의 결정 방법에 따라, 입출금부(2)를 반송처로 결정하고 있지만, 입출금부(2)로 반송 중에 장해가 발생하여 반송로의 반송 위치(505)에 잔류하고 있다. 잔류 지폐(92)는, 지폐 판별부(3)는 고유 정보로서 일부분만 판독할 수 있고, 판별 정보로서, 금종에 대해서는 불명권, 진위에 대해서는 불명, 상태에 대해서는 오염 상태라고 판별하고, 반송처를 일시 보관부(4)로 결정하고, 일시 보관부(4)로 반송 중에 장해가 발생하고, 반송로의 반송 위치(503)에 잔류했다. 잔류 지폐(93)는 지폐 판별부(3)에서 판별되기 전에 장해가 발생했으므로, 출금 시의 지폐의 고유 정보 및 판별 정보는 없으므로 불명으로 하고, 입금 수납 시에 지폐 판별부(3)가 판독한 지폐의 고유 정보로서, PRT579, 판별 정보로서, 금종에 대해서는 200유로권, 진위에 대해서는 진, 상태에 대해서는 양호 상태를 표시한다. 계원이 출금 처리에 있어서의 잔류 지폐를 제거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실시예1과 같이 조작 표시부(105)에 표시된 잔류 지폐 정보를 사용하여 제거한다.
(실시예5)
다음에, 잔류 지폐 지폐 정보와 제거한 지폐의 정보를 비교하고, 그 정보가 일치했을 경우에만 복구시키는 지폐 입출금 장치에 대하여 도 10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실시예1과 같이 입금 계수 처리, 입금 반각 처리, 입금 수납 처리, 출금 처리에서, 지폐 판별부(3)에서 판별한 지폐의 고유 정보를 제어부(12)가 기억한다. 그리고, 반송 중에 장해가 발생하고, 반송로에 지폐가 잔류했을 경우, 제어부(12)는 반송로에 잔류하고 있는 지폐의 고유 정보를 기억한 상태에서, 지폐 입출금 장치는 이용자에 의한 입금이나 출금 등의 통상의 거래를 정지한다(스텝 1001). 그때에, 취급 중지의 취지를 조작 표시부에 표시해도 된다. 그리고, 반송로에 잔류하고 있는 지폐가 없을 경우에는, 계속하여 복구 처리로 이행한다(스텝 1006). 한편, 반송로에 잔류하고 있는 지폐가 있을 경우에는(스텝 1002), 제어부에서 잔류 지폐의 고유 정보, 판별 정보 등의 지폐 정보를 기억하고, 조작 표시부에 잔류 지폐의 위치를 표시시키고(스텝 1003), 조작 표시부에 의하여 잔류 지폐의 위치를 확인한 계원 등에 잔류 지폐를 제거시킨다. 그리고, 조작 표시부 등을 이용하여, 그 제거 지폐를 입출금부(2)에 투입하도록 지시를 한다(스텝 1004). 제거 지폐가 삽입되면, 통상의 거래를 실시할 수 있는 상태로 복구시키기 위하여 입금 계수 처리가 행해진다. 그때, 지폐 판별부에서 판독한 고유 정보 중에, 장해 발생 시에 제어부가 기억하고 있는 반송로에 잔류한 지폐의 고유 정보가 모두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제어부(12)에서 판정한다(스텝 1005). 여기에서, 잔류 지폐의 고유 정보가 모두 포함되어 있으면, 복구 처리로 이행한다(스텝 1006). 한편, 상기 잔류 지폐의 고유 정보가 모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잔류 지폐가 존재한다고 판단하여 통상 거래의 정지를 유지하고, 또한, 다시 조작 표시부에 잔류 지폐의 위치를 표시시켜서 잔류 지폐를 제거하도록 촉구하는 구성이 된다(스텝 1003).
이와 같이, 복구용 입금 계수 처리에서 지폐를 모두 제거한 것을 확인할 수 없을 경우에는 지폐의 취출 망각이 있다고 하여 복구할 수 없는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지폐가 잔류하고 있을 경우에는 몇 번이라도 복구용 입금 계수 처리를 행할 수 있으므로, 지폐의 취출 망각을 방지하고, 모든 지폐를 제거한 상태에서 복구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1…지폐 취급 장치, 2…입출금구, 3…지폐 판별부, 4…일시 보관부, 5a∼5e…반송로, 6…입금고, 7∼10…환류고, 11…기억부, 12…제어부, 13a∼13i…반송로 센서

Claims (14)

  1. 지폐를 받아 들이거나 또는 방출하는 입출금구부와,
    지폐의 고유 정보를 판독하고, 또한, 적어도 지폐의 금종 및 진위를 판별하는 지폐 판별부와,
    입금된 지폐를 일시적으로 집적하는 일시 보관부와,
    입금된 지폐를 수납하거나 또는 출금을 위한 지폐를 수납하는 복수의 지폐 수납고와,
    상기 지폐 판별부를 통과하며, 상기 입출금구부, 상기 일시 보관부, 상기 지폐 수납부를 접속하는 지폐 반송로와,
    상기 지폐 반송로에 설치된, 반송되는 지폐의 위치 정보를 검지하는 복수의 검지 수단과,
    상기 지폐 판별부에서 판별된 금종 또는 진위에 관한 판별 정보에 의거하여, 지폐를 반송시키며, 상기 지폐의 판별 정보 및 상기 지폐의 고유 정보와, 상기 지폐의 위치 정보를 대응시켜서 기억하거나 또는 기억부에 기억시키는 제어부와,
    지폐의 반송 장해가 발생하여 잔류 지폐가 존재할 경우에, 상기 지폐의 판별 정보, 상기 지폐의 고유 정보 및 상기 지폐의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취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의 반송 장해가, 입금 계수 시에 발생했을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출금구부로부터 상기 지폐 판별부까지의 반송로에 잔류한 지폐를 상기 입출금구부로 되돌리고, 또한, 상기 입출금구부로부터 상기 지폐 판별부 이외의 반송로에 잔류하고 있는 지폐의 판별 정보와, 고유 정보와, 위치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취급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입금 계수 시에 상기 지폐 판별부에서 판별한 지폐의 고유 정보를, 상기 일시 보관부에 집적된 순서대로 상기 기억부에 기억하고,
    상기 지폐의 반송 장해가, 지폐 반각(返却) 시 또는 수납 시에 발생했을 경우이며,
    상기 일시 보관부로부터 속출(繰出)되어 반송로에 잔류한 지폐에 대해서, 상기 지폐 판별부에서 고유 정보가 판독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입금 계수 시에 기억한 고유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취급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수납 시에 상기 지폐 판별부에서 판별한 지폐의 고유 정보를, 상기 지폐 수납부에 집적된 순서대로 상기 기억부에 기억하고,
    상기 지폐의 반송 장해가, 지폐 출금 시에 발생했을 경우이며,
    상기 지폐 수납부로부터 속출되어 반송로에 잔류한 지폐에 대해서, 상기 지폐 판별부에서 고유 정보가 판독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지폐 수납 시에 기억한 고유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취급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반송 장해 발생 시에 상기 지폐 판별부에서 지폐의 고유 정보의 일부만 판독되었을 경우에는 판독된 일부의 고유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취급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이용자에게 잔류한 지폐를 제거하도록 촉구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취급 장치.
  7.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지 센서에 의하여 지폐가 상기 일시 보관부 또는 상기 지폐 수납부에 집적된 것을 검지하면, 상기 집적된 지폐의 판별 정보 및 고유 정보와, 입금 순번 정보를 대응시켜서 상기 기억부에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취급 장치.
  8.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일시 보관부 또는 상기 지폐 수납부로부터 속출된 지폐의 고유 정보는, 상기 제어부에 기억되며, 상기 기억부로부터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취급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의 고유 정보는, 기번호(記番號)에 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취급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판별부는, 지폐의 금종 및 진위에 더하여, 지폐의 상태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취급 장치.
  11. 지폐를 받아 들이거나 또는 방출하는 입출금구부와,
    지폐의 고유 정보를 판독하고, 또한, 지폐의 금종 및 진위를 판별하는 지폐 판별부와,
    입금된 지폐를 일시적으로 집적하는 일시 보관부와,
    입금된 지폐를 수납하거나 또는 출금을 위한 지폐를 수납하는 복수의 지폐 수납고와,
    상기 지폐 판별부를 통과하며, 상기 입출금구부, 상기 일시 보관부, 상기 지폐 수납부를 접속하는 지폐 반송로와,
    상기 지폐 반송로에 설치된, 반송되는 지폐의 위치 정보를 검지하는 복수의 검지 수단과,
    상기 지폐 판별부에서 판별된 금종 또는 진위에 관한 판별 정보에 의거하여, 지폐를 반송시키며, 상기 지폐의 판별 정보 및 상기 지폐의 고유 정보와, 상기 지폐의 위치 정보를 대응시켜서 기억하거나 또는 기억부에 기억시키는 제어부를 갖고,
    지폐의 반송 장해가 발생했을 경우,
    반송로에 잔류한 지폐의 고유 정보를 기억하고, 상기 반송로로부터 제거한 지폐를 입금 계수시켜서 상기 지폐 판별부에 의하여 제거 지폐의 고유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기억한 잔류 지폐의 고유 정보와, 상기 입금 계수시킨 제거 지폐의 고유 정보가, 일치하는 것을 계기로 복구 처리를 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취급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의 반송 장해가 발생했을 경우,
    상기 제어부는, 잔류 지폐의 유무를 판정하고,
    잔류 지폐가 존재할 경우에는, 반송로에 잔류한 지폐의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시켜서 상기 반송로에 잔류한 지폐를 제거하도록 촉구하고,
    잔류한 지폐를 제거한 후에, 상기 제거한 지폐를 상기 입출금구부에 삽입하도록 촉구하고,
    상기 지폐 판별부로 반송하고,
    삽입된 제거 지폐의 고유 정보와, 상기 기억된 잔류 지폐의 고유 정보를 비교하여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취급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의 반송 장해가, 입금 계수 시에 발생했을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출금구부로부터 상기 지폐 판별부까지의 반송로에 잔류한 지폐를 상기 입출금구부로 되돌린 후에, 상기 입출금구부로부터 상기 지폐 판별부 이외의 반송로에 잔류한 지폐의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시켜, 상기 반송로에 잔류한 지폐를 제거하도록 촉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취급 장치.
  14. 지폐 취급 장치에 있어서의 반송 장해 시의 복구 개시 방법으로서,
    반송 장해 발생 시에 반송로에 잔류한 지폐의 고유 정보를 기억하는 스텝과,
    상기 잔류한 지폐의 위치를 표시하여 제거하도록 촉구하는 스텝과,
    상기 제거한 지폐를 지폐 취급 장치에 삽입하도록 촉구하는 스텝과,
    상기 고유 정보가 기억된 지폐의 고유 정보와, 상기 삽입된 지폐의 고유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를 판정하는 스텝과,
    일치했을 경우에는 복구 처리를 개시시키는 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장해 시의 복구 개시 방법.
KR1020137015850A 2011-01-05 2011-12-05 반송 장해에 대응한 지폐 취급 장치 및 그 장해 복구 개시 방법 KR1014704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00304A JP5568485B2 (ja) 2011-01-05 2011-01-05 搬送障害に対応した紙幣取扱装置及びその障害復旧開始方法
JPJP-P-2011-000304 2011-01-05
PCT/JP2011/006782 WO2012093438A1 (ja) 2011-01-05 2011-12-05 搬送障害に対応した紙幣取扱装置及びその障害復旧開始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5306A true KR20130115306A (ko) 2013-10-21
KR101470410B1 KR101470410B1 (ko) 2014-12-08

Family

ID=46457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5850A KR101470410B1 (ko) 2011-01-05 2011-12-05 반송 장해에 대응한 지폐 취급 장치 및 그 장해 복구 개시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568485B2 (ko)
KR (1) KR101470410B1 (ko)
CN (1) CN102592356B (ko)
WO (1) WO201209343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9379B1 (ko) * 2014-06-30 2016-01-04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금융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53910B2 (ja) * 2012-09-04 2016-02-09 沖電気工業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WO2014064776A1 (ja) * 2012-10-24 2014-05-01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仕分け装置及び紙葉類管理システム
JP6162393B2 (ja) * 2012-12-04 2017-07-12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幣処理装置
JP6302900B2 (ja) * 2013-05-31 2018-03-28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取扱装置及び紙葉類取扱機構
KR101450620B1 (ko) 2013-06-03 2014-10-14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금융기기의 시재 관리 방법 및 장치
CN104044950B (zh) * 2014-04-11 2017-05-10 上海古鳌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纸张类集积装置
KR101599617B1 (ko) * 2014-06-30 2016-03-03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금융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CN105374114B (zh) * 2014-08-27 2017-12-12 日立金融设备系统(深圳)有限公司 货币处理装置及其管理方法、以及货币处理系统
JP6464658B2 (ja) * 2014-10-24 2019-02-06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幣取引装置
CN105184965A (zh) * 2015-08-25 2015-12-23 上海古鳌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纸币处理装置
CN107993334B (zh) * 2016-10-25 2020-03-27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一种检测纸币卷钞带过紧的方法及系统
CN108510641B (zh) * 2017-02-23 2020-10-27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纸币处理装置的纸币滞留检测方法及装置
JP6347870B2 (ja) * 2017-06-15 2018-06-27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幣処理装置
JP7138397B2 (ja) 2018-06-27 2022-09-16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葉類処理装置および紙葉類処理方法
CN113096302B (zh) * 2020-01-09 2023-02-28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钞箱计数控制方法、装置和金融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110400A (ko) * 1973-02-19 1974-10-21
JPH01139449A (ja) * 1987-11-21 1989-05-31 Omron Tateisi Electron Co 紙幣入出金処理装置の搬送表示器
JPH07109054A (ja) * 1993-10-15 1995-04-25 Hitachi Ltd 紙葉類取扱い装置
JP3874207B2 (ja) * 1996-03-28 2007-01-31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入出金システム
JP3599924B2 (ja) * 1996-11-08 2004-12-08 日本信号株式会社 紙幣処理装置
JP2005001837A (ja) * 2003-06-12 2005-01-06 Toshiba Corp 紙葉類処理装置
US7886914B2 (en) * 2005-12-01 2011-02-15 Glory Ltd. Received banknote processing apparatus
JP2007280118A (ja) * 2006-04-07 2007-10-25 Toshiba Corp 紙葉類処理装置、および紙葉類処理方法
JP4929883B2 (ja) * 2006-07-11 2012-05-09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復旧ナビゲーション機能を備える自動取引装置
JP5087957B2 (ja) * 2007-03-05 2012-12-05 沖電気工業株式会社 自動取引装置
JP5156439B2 (ja) * 2008-03-12 2013-03-06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及び現金自動取引装置
JP5183270B2 (ja) * 2008-03-31 2013-04-17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取扱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9379B1 (ko) * 2014-06-30 2016-01-04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금융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0410B1 (ko) 2014-12-08
WO2012093438A1 (ja) 2012-07-12
CN102592356A (zh) 2012-07-18
JP5568485B2 (ja) 2014-08-06
CN102592356B (zh) 2014-10-15
JP2012141863A (ja) 2012-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0410B1 (ko) 반송 장해에 대응한 지폐 취급 장치 및 그 장해 복구 개시 방법
JP5332515B2 (ja) 自動取引装置
JP5087957B2 (ja) 自動取引装置
JP5322770B2 (ja) 紙幣処理装置
WO2015049733A1 (ja) 紙幣取扱装置
JP2011059744A (ja) 現金自動取引装置
JP2010272024A (ja) 自動取引装置
JP5178012B2 (ja) 自動取引装置
JP2016004355A (ja) 貨幣処理機、貨幣処理システムおよび貨幣処理方法
WO2015068525A1 (ja) 自動取引装置及び自動取引システム
JP5251743B2 (ja) 自動取引装置
JP2008077194A (ja) 現金入出金機
JP5630521B2 (ja) 自動取引装置
JP2013080372A (ja) 紙幣処理装置、紙幣処理方法、及び紙幣処理プログラム
JP2512026B2 (ja) 自動取引装置
JP6708001B2 (ja) 自動取引装置
WO2018038204A1 (ja) 貨幣処理装置
JP5604829B2 (ja) 現金処理装置
JP2019021058A (ja) 貨幣処理システム、釣銭機、金銭登録機及び貨幣処理方法
JP4121630B2 (ja) 紙幣処理装置
JP2018032290A (ja) 貨幣処理装置、貨幣処理システム、及び、貨幣処理方法
JP5760140B2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JP6716860B2 (ja) 現金処理装置
JP2016110171A (ja) 紙幣取扱装置
JP6264094B2 (ja) 現金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