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2718A - 사스마타 - Google Patents

사스마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2718A
KR20130112718A KR1020127033189A KR20127033189A KR20130112718A KR 20130112718 A KR20130112718 A KR 20130112718A KR 1020127033189 A KR1020127033189 A KR 1020127033189A KR 20127033189 A KR20127033189 A KR 20127033189A KR 20130112718 A KR20130112718 A KR 20130112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locking
bag
lock
slid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3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7689B1 (ko
Inventor
미츠야 우치다
아키오 사이토
몬페이 무기쿠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프롭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프롭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프롭프
Publication of KR20130112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2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7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7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15/00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nunchakus, throwing kn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15/00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nunchakus, throwing knives
    • F41B15/02Batons; Truncheons; Sticks; Shillelagh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15/00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nunchakus, throwing knives
    • F41B15/02Batons; Truncheons; Sticks; Shillelaghs
    • F41B15/022Batons; Truncheons; Sticks; Shillelaghs of telescopic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폐 가능한 암을 닫아서 상대를 구속하는 구성에서도, 구속 대상자를 구속하기 전에 구속 대상자에 의해 암이 닫혀지는 일이 없는 사스마타를 제공하는 것이다.
소정의 회전운동 위치까지 열린 각 암(30)의 닫히는 방향으로의 회전운동을 규제하는 제 1 락 기구와, 밀어붙임 부재(50)를 샤프트(20)에 대해 소정 위치까지 밀어넣음으로써, 제 1 락 기구의 락을 해제하는 제 1 락 해제 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대(B)에 의해 각 암(30)이 잡혀 닫혀지는 일이 없어, 각 암(30)의 사이에 상대(B)를 위치시킬 때까지 각 암(30)을 연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암(30)의 사이에 상대(B)를 위치시키기 전에, 상대(B)에 의해 각 암(30)이 닫혀져 상대(B)를 구속할 수 없게 되는 일이 없어, 폭한 등의 상대(B)를 제압하는 경우에 매우 유리하다.

Description

사스마타{SASUMATA MAN-CATCHER FORK}
본 발명은 주로 학교 기타 각종 시설의 방범 또는 경비용 도구로서 이용되는 사스마타(sasumata man-catcher fork)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사스마타로는 양단측이 좌우 방향을 향하여 두 갈래 형상으로 연장되는 암을 긴 자루의 선단에 부착하고, 폭한(暴漢)이나 범인을 붙잡을 때, 자루을 파지하여 사스마타 본체를 상대의 몸체에 밀어붙임으로써, 저항하는 상대를 제압하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그런데, 상기 사스마타는 충분한 훈련을 받은 경찰관이나 경비원 등에 의해 사용되는 경우가 많지만, 근래에는 학교 등의 일반 시설에 방범용으로서 배비되는 일이 증가하고 있다. 그렇지만, 암을 상대에게 밀어붙이는 것만으로는 놓치기 쉽고, 또한 취급에 익숙하지 않은 학교 교직원이나 일반인은 저항하는 상대를 효과적으로 제압하는 것이 곤란했다.
그래서, 자루의 선단측에 부착된 개폐 가능한 한 쌍의 암에 의해 상대를 구속하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이 사스마타는 자루에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자유롭게 설치된 슬라이딩 부재와, 자루의 선단측과 각 암을 연결하는 링크를 구비하고, 암을 연 상태에서 슬라이딩 부재의 선단측을 상대에게 밀어붙이면, 슬라이딩 부재가 자루에 대해 후퇴하는 동시에, 암이 링크 및 슬라이딩 부재에 연동하여 내측으로 닫히고, 닫힌 암에 의해 상대를 구속하도록 되어 있다. 또, 암이 닫히면 락 기구에 의해 암이 열리는 방향으로의 회전운동이 규제되어 구속된 상대가 암을 열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 2006-242537호 공보 실용신안등록 제3118735호 공보
그렇지만, 전술과 같이 암을 개폐시키도록 한 사스마타에서는 슬라이딩 부재의 선단측을 상대에게 밀어붙이지 않아도, 암을 직접 잡아 닫을 수도 있다. 이 때문에 열린 암의 사이에 상대를 위치시키기 전에 상대에게 암이 잡혀서 닫혀져 버리면, 암은 락 기구에 의해 닫힌 상태로 락이 되기 때문에, 암에 의해 상대를 구속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개폐 가능한 암을 닫아서 상대를 구속하는 구성에 있어서도 구속 대상자를 구속하기 전에 구속 대상자에 의해 암이 닫혀지는 일이 없는 사스마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자가 파지하는 자루와, 자루에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자유롭게 설치된 슬라이딩 부재와, 일단을 슬라이딩 부재에 회전운동 자유롭게 연결된 한 쌍의 암과, 자루의 선단측과 각 암을 연결하는 링크를 구비하고, 슬라이딩 부재의 선단측을 구속 대상자에게 밀어붙이면, 슬라이딩 부재가 자루에 대해 이동하는 동시에, 각 암이 링크 및 슬라이딩 부재에 연동하여 닫히도록 한 사스마타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선단측에 축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설치되고, 구속 대상자에게의 밀어붙임 방향으로 부세(付勢)된 밀어붙임 부재와, 소정의 회전운동 위치까지 열린 각 암의 닫히는 방향으로의 회전운동을 규제하는 제 1 락 기구와, 밀어붙임 부재를 슬라이딩 부재에 대해 소정 위치까지 밀어넣음으로써 제 1 락 기구의 락을 해제하는 제 1 락 해제 기구와, 임의의 위치까지 닫힌 각 암의 열리는 방향으로의 회전운동을 규제하는 제 2 락 기구와, 소정의 조작에 의해 제 2 락 기구의 락을 해제하는 제 2 락 해제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각 암을 소정의 회전운동 위치까지 열면, 제 1 락 기구에 의해 각 암의 닫히는 방향으로의 회전운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구속 대상자에게 각 암이 잡혀 닫혀지는 일이 없다. 또, 밀어붙임 부재를 구속 대상자에게 밀어붙임으로써 밀어붙임 부재를 슬라이딩 부재에 대해 소정 위치까지 밀어넣으면, 제 1 락 해제 기구에 의해 제 1 락 기구의 락이 해제되고, 각 암이 닫혀서 구속 대상자가 구속된다. 그때, 제 2 락 기구에 의해 각 암의 열리는 방향으로의 회전운동이 규제되므로, 구속자는 각 암을 열 수 없다. 또, 제 2 락 해제 기구를 조작함으로써, 제 2 락 해제 기구에 의해 제 2 락 기구의 락이 해제되어 각 암을 여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사스마타에 따르면, 구속 대상자에게 각 암이 잡혀 닫혀지는 일이 없기 때문에, 각 암의 사이에 구속 대상자를 위치시킬 때까지 각 암을 연 상태로 홀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암의 사이에 구속 대상자를 위치시키기 전에, 구속 대상자에 의해 각 암이 닫혀져서 구속 대상자를 구속할 수 없게 되는 일이 없어, 폭한 등의 구속 대상자를 제압하는 경우에 매우 유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사스마타의 정면도.
도 2는 사스마타의 측면도.
도 3은 사스마타의 주요부 사시도.
도 4는 밀어붙임 부재의 정면도.
도 5는 제 2 락 기구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
도 6은 제 2 락 기구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
도 7은 제 2 락 해제 기구의 주요부 사시도.
도 8은 사스마타의 주요부 측면 단면도.
도 9는 사스마타의 동작을 나타내는 주요부 측면 단면도.
도 10은 사스마타의 동작을 나타내는 주요부 측면 단면도.
도 11은 사스마타의 주요부 측면 단면도.
도 12는 사스마타의 동작을 나타내는 주요부 측면 단면도.
도 13은 사스마타의 동작을 나타내는 주요부 측면 단면도.
도 14는 사스마타의 동작을 나타내는 주요부 측면 단면도.
도 15는 사스마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6은 사스마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7은 사스마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8은 사스마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동일 도면에 나타내는 사스마타(1)는 사용자(A)가 파지하는 자루(10)와, 자루(10)에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자유롭게 설치된 슬라이딩 부재로서의 샤프트(20)와, 일단을 샤프트(20)에 회전운동 자유롭게 연결한 만곡형상의 한 쌍의 암(30)과, 자루(10)의 선단측과 각 암(30)을 연결하는 한 쌍의 링크(40)와, 샤프트(20)의 선단측에 축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설치된 밀어붙임 부재(50)와, 소정의 회전운동 위치까지 열린 각 암(30)의 닫히는 방향으로의 회전운동을 규제하는 제 1 락 기구(60)와, 밀어붙임 부재(50)를 샤프트(20)에 대해 소정 위치까지 밀어넣음으로써 제 1 락 기구(60)의 락을 해제하는 제 1 락 해제 기구(70)와, 임의의 위치까지 닫힌 각 암(4)의 열리는 방향으로의 회전운동을 규제하는 제 2 락 기구(80)와, 소정의 조작에 의해 제 2 락 기구(80)의 락을 해제하는 제 2 락 해제 기구(90)를 구비하고 있다.
자루(10)는 원통형상의 금속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면 1700mm 정도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자루(10)의 기단측에는 그립(11)이 설치되고, 그립(11)은 자루(10)의 외주면에 피착된 원통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샤프트(20)는 외형 치수가 자루(10)의 내경보다 작은 각통형상의 금속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자루(10) 내로 슬라이딩 자유롭게 삽입되어 있다.
각 암(30)은 금속 파이프를 만곡시킴으로써 형성되고, 그 기단측은 샤프트(20)의 선단측에 회전운동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각 암(30)의 기단측은 샤프트(20)를 사이로 하여 샤프트(20)의 지름 방향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샤프트(20)를 지름 방향으로 관통하는 한 개의 나사(31)에 의해 회전운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각 링크(40)는 직선형상으로 연장되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그 일단측은 자루(10)의 선단측에 회전운동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각 링크(40)의 일단측은 자루(10)를 사이로 하여 자루(10)의 지름 방향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자루(10)의 지름 방향 일단측과 타단측에 부착된 나사(41)에 의해 각각 회전운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또, 링크(40)의 타단측은 다른 나사(42)에 의해 암(30)의 기단측에 회전운동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 링크(40)와 암(30)의 연결 위치는 샤프트(20)와 암(30)의 연결 위치에 대해 소정 거리만큼 암(30)의 선단측에 위치하고 있다.
밀어붙임 부재(50)는 외경이 샤프트(20)의 내형 치수보다 작은 금속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샤프트(20) 내로 슬라이딩 자유롭게 삽입되어 있다. 밀어붙임 부재(50)의 선단측에는 좌우 방향에 걸쳐 연장되는 누름부(51)가 설치되고, 누름부(51)는 밀어붙임 부재(50)의 선단으로부터 양측으로 만곡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밀어붙임 부재(50)의 외주면에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긴 구멍(52)이 지름 방향에 대향하도록 설치되고, 각 긴 구멍(52)에는 각 암(30)의 나사(31)가 삽입 통과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밀어붙임 부재(50)는 긴 구멍(52)의 길이만큼 샤프트(20)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되어 있다. 또, 밀어붙임 부재(50) 내에는 코일형상의 스프링(53)이 설치되고, 스프링(53)에 의해 밀어붙임 부재(50)가 선단측에 부세되어 있다. 이 경우, 스프링(53)의 일단은 밀어붙임 부재(50) 내에 고정되고, 그 타단은 나사(31)에 압접하고 있다.
제 1 락 기구(60)는 샤프트(20) 내에 설치된 걸림부재(61)와, 한쪽 링크(40)의 나사(41)로 구성되고, 나사(41)는 걸림부재(61)에 걸리는 걸림부를 이룬다. 걸림부재(61)는 탄성변형 가능한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그 일단은 샤프트(20) 내에 고정되어 있다. 걸림부재(61)의 타단측에는 돌기(62)가 설치되고, 돌기(62)는 샤프트(20)의 둘레면에 설치된 구멍(21)으로부터 샤프트(20)의 외측(자루(10)의 내부)으로 돌출하도록 되어 있다. 또, 걸림부재(61)의 타단측은 샤프트(20)의 내주면에 밀어붙여져 있고, 이에 따라 돌기(62)가 구멍(21)으로부터 돌출한 상태로 홀딩되어 있다. 즉, 제 1 락 기구(60)에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멍(21)으로부터 돌출한 돌기(62)가 나사(41)의 두부(頭部)에 걸림으로써, 자루(10)의 기단측으로의 샤프트(20)의 이동이 규제되고, 각 암(30)의 닫히는 방향으로의 회전운동이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제 1 락 해제 기구(70)는 밀어붙임 부재(50)의 기단측에 설치된 맞닿음부(71)로 이루어지고, 밀어붙임 부재(50)가 샤프트(20)에 대해 소정 위치까지 밀어넣어지면, 밀어붙임 부재(50)의 맞닿음부(71)가 제 1 락 기구(60)의 걸림부재(61)에 맞닿아 걸림부재(61)를 변위시키도록 되어 있다.
제 1 락 해제 기구(70)에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맞닿음부(71)의 맞닿음에 의해 걸림부재(61)가 변위하면, 돌기(62)가 구멍(21) 내로 몰입하고, 돌기(62)와 나사(41)의 걸림이 해제되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락 기구(60)의 락이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제 2 락 기구(80)는 샤프트(20)의 기단에 고정된 제 1 락 부재(81)와, 자루(10) 내에 고정된 제 2 락 부재(82)와, 제 1 락 부재(81)에 설치된 걸림부재(83)와, 제 2 락 부재(82)에 설치된 다수의 걸림부(84)로 이루어지고, 제 1 락 부재(81)는 제 2 락 부재(82) 내에 슬라이딩 자유롭게 삽입되어 있다. 제 1 락 부재(81)는 폭방향 양측이 직각으로 굴곡하도록 형성되고, 제 2 락 부재(82)는 각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재(83)는 폭방향 양측이 직각으로 굴곡하도록 형성되고, 제 1 락 부재(81)의 양측면에 지축(83a)을 통하여 회전운동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이 경우, 걸림부재(83)는 지축(83a)에 부착된 코일형상의 스프링(83b)에 의해 제 1 락 부재(81)의 외측에 회전 운동하도록 부세되어 있다. 각 걸림부(84)는 자루(10) 및 샤프트(20)의 축방향으로 배열되고, 제 2 락 부재(82)의 내면에 고정된 제 3 락 부재(85)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각 걸림부(84)는 자루(10) 및 샤프트(20)의 축방향 한쪽에서만 걸림부재(83)가 걸리는 산형의 돌기로 이루어진다. 즉, 제 1 락 부재(81)가 제 2 락 부재(82) 내에 배치되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림부재(83)가 스프링(84)에 의해 제 3 락 부재(85)에 압접하고, 어느 쪽인가 하나의 걸림부(84)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제 2 락 기구(80)에서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샤프트(20)가 자루(10)의 기단측(축방향 다른쪽)으로 이동하면, 걸림부재(83)가 스프링(83b)에 저항하여 걸림부(84)를 넘도록 변위하면서 제 3 락 부재(85) 상을 임의의 위치까지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 자루(10)의 선단측(축방향 한쪽)으로의 샤프트(20)의 이동에 대해서는 걸림부재(83)가 걸림부(84)에 걸리고, 동일 방향으로의 샤프트(20)의 이동이 규제되며, 각 암(4)의 열리는 방향으로의 회전운동이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제 2 락 해제 기구(90)는 제 2 락 기구(80)의 걸림부재(83)와 각 걸림부(84)의 사이에 삽입 가능한 걸림 해제 부재(91)와, 걸림 해제 부재(91)를 자루(10)의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작부(92)로 이루어진다. 걸림 해제 부재(91)는 서로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막대형상 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선단은 첨예하게 형성되어 있다. 조작부(92)는 손가락으로 파지 가능한 원주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자루(10)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자루(10)의 둘레면에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12)이 설치되어 있고, 조작부(92)는 막대형상의 연결 부재(92a)를 통하여 걸림 해제 부재(91)의 기단측에 연결되어 있다. 조작부(92)는 스프링(93)에 의해 자루(10)의 기단측에 부세되어 있고, 조작부(92)를 자루(10)의 선단측을 향하여 이동하면, 조작부(92)가 스프링(93)에 의해 자루(10)의 기단측으로 되돌아오도록 되어 있다. 스프링(93)은 일단이 조작부(92)에 연결되고, 타단이 자루(10)의 기단측에 연결되어 있다. 또, 자루(10)의 외측에는 긴 구멍(12)을 덮는 커버 부재(94)가 설치되어 있다. 커버 부재(94)는 자루(10)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자유롭게 설치된 원통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연결 부재(92a)는 커버 부재(93)의 둘레면에 설치된 구멍(94a)에 삽입 통과되어 있다. 이 경우, 조작부(92)를 긴 구멍(12)을 따라 이동시키면, 커버 부재(94)도 조작부(92)와 함께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제 2 락 해제 기구(90)에서는 조작부(92)를 긴 구멍(12)을 따라 자루(10)의 선단측(축방향 한쪽)으로 이동하면,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림 해제 부재(91)가 걸림부재(83)와 걸림부(84)의 사이에 삽입되어 걸림부재(83)와 걸림부(84)의 걸림이 해제되고,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락 기구(80)의 락이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사스마타(1)에 있어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암(30)을 소정 위치까지 엶으로써, 제 1 락 기구(60)에 의해 각 암(30)이 열린 상태로 락이 된다. 여기에서, 예를 들면 학교 등의 시설에 침입한 폭한 등의 상대(B)를 제압하고자 하는 경우,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A)는 자루(10)가 대략 수평이 되도록 잡고 자세를 취한다. 다음으로,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암(30)의 사이에 구속 대상자로서의 상대(B)를 위치시키는 동시에, 밀어붙임 부재(50)의 누름부(51)를 상대(B)에게 밀어붙임으로써, 도면 중 탈색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밀어붙임 부재(50)에 샤프트(20)측으로의 누름력을 가한다. 이에 따라, 밀어붙임 부재(50)가 샤프트(20) 내로 밀어 넣어지고, 제 1 락 해제 기구(70)에 의해 제 1 락 기구(60)의 락이 해제된다. 제 1 락 기구(60)의 락이 해제되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샤프트(20)가 자루(10)의 기단측을 향하여 이동하고,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암(30)이 상대(B)를 감싸도록 닫힌다. 그때, 제 2 락 기구(80)에 의해 각 암(30)이 닫힌 상태에서 락이 되므로, 상대(B)는 각 암(30)을 열지 못하고, 각 암(30)에 의해 상대(B)가 구속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A)는 상대(B)를 붙잡을 수도 있지만, 그대로 방치하고 도망쳐도 좋다. 그 경우, 상대(B)에게는 사스마타(1)가 붙은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사용자(A)를 뒤쫓으려고 해도 사스마타(1)가 방해되어, 사용자(A)가 상대(B)로부터 도망치기 쉬워진다.
한편, 열린 각 암(30)의 사이에 상대(B)를 위치시키기 전에,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대(B)에게 각 암(30)이 잡힌 경우라도, 각 암(30)은 제 1 락 기구(60)에 의해 열린 상태로 락되어 있기 때문에, 밀어붙임 부재(50)를 밀어넣지 않는한, 도면 중 탈색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대(B)가 각 암(30)을 잡고 닫을 수는 없다. 이에 따라, 상대(B)에 의해 각 암(30)이 닫혀져서 상대(B)를 구속할 수 없게 되는 일은 없다.
또, 닫힌 각 암(30)을 연 상태로 되돌리는 경우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락 해제 기구(90)의 조작부(92)를 자루(10)의 선단측을 향하여 이동시키면, 제 2 락 기구(80)의 락이 해제되고,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샤프트(20)가 이동하여,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암(30)이 소정의 회전운동 위치까지 열린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사스마타에 따르면, 소정의 회전운동 위치까지 열린 각 암(30)의 닫히는 방향으로의 회전운동을 규제하는 제 1 락 기구(60)와, 밀어붙임 부재(50)를 샤프트(20)에 대해 소정 위치까지 밀어넣음으로써 제 1 락 기구(60)의 락을 해제하는 제 1 락 해제 기구(70)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대(B)에 의해 각 암(30)이 잡혀 닫혀지는 일이 없고, 각 암(30)의 사이에 상대(B)를 위치시킬 때까지 각 암(30)을 연 상태로 홀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암(30)의 사이에 상대(B)를 위치시키기 전에, 상대(B)에 의해 각 암(30)이 닫혀져 상대(B)를 구속할 수 없게 되는 일이 없어, 폭한 등의 상대(B)를 제압하는 경우에 매우 유리하다.
또, 각 암(30)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대(B)에게 밀어붙임 부재(50)를 밀어 붙여서 각 암(30)을 닫으면, 제 2 락 기구(80)에 의해 각 암(30)이 열리는 방향으로의 회전운동이 규제되므로, 상대(B)는 각 암(30)을 열 수 없고, 각 암(30)에 의해 상대(B)를 강고하게 구속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락 기구(80)는 샤프트(20)의 축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걸림부(84)를 갖고 있으므로, 걸림부재(83)와 걸림부(84)의 걸림 위치의 간격을 세세하게 다단계로 할 수 있고, 상대(B)의 체형이나 체격에 따라 각 암(30)을 느슴함 없이 상대(B)에게 압착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92)의 조작에 의해 제 2 락 기구(80)의 락을 해제하는 제 2 락 해제 기구(90)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면 사스마타(1)의 사용 훈련시에 훈련 상대를 각 암(30)으로 구속한 후, 제 2 락 해제 기구(90)에 의해 신속하게 각 암(30)의 락을 해제할 수 있어 사스마타(1)의 사용 훈련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조작부(92)를 이동시키기 위한 긴 구멍(12)을 자루(10)의 외주면에 설치한 커버 부재(94)에 의해 덮도록 했으므로, 외부의 쓰레기 등의 이물이 긴 구멍(12)으로부터 자루(10)의 내부로 침입하는 일이 없어, 이물의 침입에 의한 동작 불량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1: 사스마타 10: 자루
20: 샤프트 30: 암
40: 링크 50: 밀어붙임 부재
60: 제 1 락 기구 61: 걸림부재
70: 제 1 락 해제 기구 80: 제 2 락 기구
83: 걸림부재 84: 걸림부
90: 제 2 락 해제 기구 92: 조작부 94: 커버 부재

Claims (7)

  1. 사용자가 파지하는 자루와, 자루에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자유롭게 설치된 슬라이딩 부재와, 일단을 슬라이딩 부재에 회전운동 자유롭게 연결된 한 쌍의 암과, 자루의 선단측과 각 암을 연결하는 링크를 구비하고, 슬라이딩 부재의 선단측을 구속 대상자에게 밀어붙이면, 슬라이딩 부재가 자루에 대해 이동하는 동시에, 각 암이 링크 및 슬라이딩 부재에 연동하여 닫히도록 한 사스마타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선단측에 축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설치되고, 구속 대상자에게의 밀어붙임 방향으로 부세된 밀어붙임 부재와,
    소정의 회전운동 위치까지 열린 각 암의 닫히는 방향으로의 회전운동을 규제하는 제 1 락 기구와,
    밀어붙임 부재를 슬라이딩 부재에 대해 소정 위치까지 밀어넣음으로써 제 1 락 기구의 락을 해제하는 제 1 락 해제 기구와,
    임의의 위치까지 닫힌 각 암의 열리는 방향으로의 회전운동을 규제하는 제 2 락 기구와,
    소정의 조작에 의해 제 2 락 기구의 락을 해제하는 제 2 락 해제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스마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락 기구는 자루 및 슬라이딩 부재의 한쪽에 설치된 걸림부재와, 자루 및 슬라이딩 부재의 다른쪽에 설치된 걸림부를 갖고, 각 암의 열리는 방향으로의 회전운동에 의해 슬라이딩 부재가 자루에 대해 축방향의 소정 위치까지 슬라이딩하면, 걸림부재가 걸림부에 걸려, 각 암의 닫히는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부재의 이동이 규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스마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락 해제 기구는 밀어붙임 부재에 설치된 맞닿음부를 갖고, 밀어붙임 부재가 슬라이딩 부재에 대해 소정 위치까지 밀어넣어지면, 맞닿음부가 제 1 락 기구의 걸림부재에 맞닿아 걸림부재와 걸림부의 걸림이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스마타.
  4.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락 기구는 자루 및 슬라이딩 부재의 한쪽에 고정된 걸림부재와, 자루 및 슬라이딩 부재의 다른쪽에 축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걸림부를 갖고, 각 암의 닫히는 방향으로의 회전운동에 의해 슬라이딩 부재가 자루에 대해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 걸림부재가 걸림부에 걸려 각 암이 열리는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부재의 이동이 규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스마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락 해제 기구는 제 2 락 기구의 걸림부재와 걸림부의 사이에 삽입 가능한 걸림 해제 부재와, 걸림 해제 부재를 자루의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작부를 갖고, 조작부를 자루의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걸림 해제 부재가 걸림부재와 걸림부의 사이에 삽입되어, 걸림부재와 걸림부의 걸림이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스마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가 자루에 설치한 긴 구멍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스마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자루의 긴 구멍을 덮는 커버 부재를 구비하고,
    커버 부재가 조작부와 함께 자루를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스마타.
KR1020127033189A 2010-07-16 2010-07-16 사스마타 KR1016776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0/062107 WO2012008052A1 (ja) 2010-07-16 2010-07-16 刺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2718A true KR20130112718A (ko) 2013-10-14
KR101677689B1 KR101677689B1 (ko) 2016-11-18

Family

ID=45469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3189A KR101677689B1 (ko) 2010-07-16 2010-07-16 사스마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487308B2 (ko)
KR (1) KR101677689B1 (ko)
CN (1) CN102971601A (ko)
WO (1) WO20120080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94694A (zh) * 2013-02-20 2014-08-20 梁劲根 一种抓抱装置
JP6362903B2 (ja) * 2014-04-02 2018-07-25 株式会社プロップ 刺股
CN104329986B (zh) * 2014-10-27 2016-04-20 祝兰香 一种警用擒拿安保装置
JP6426113B2 (ja) 2016-02-26 2018-11-2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風車レセプタの検査方法
SE541408C2 (en) * 2017-04-13 2019-09-24 Berserk Attack repellent device
CN111043903B (zh) * 2020-02-24 2020-09-01 南京溧水高新创业投资管理有限公司 一种可调节的安保钢叉
CN114018092B (zh) * 2021-11-02 2022-06-10 江苏警官学院 一种抓捕叉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3715A (ja) * 2002-05-31 2004-01-08 Shigeru Sakate 逮捕刺す股
JP3118735U (ja) 2005-11-21 2006-02-02 辰雄 樋口 刺股
JP2006242537A (ja) 2005-03-07 2006-09-14 Yutaka Miyai 刺股
JP2006277703A (ja) * 2005-03-25 2006-10-12 Hideaki Irisawa 緊急警報付き棒状防御器具
JP2007032864A (ja) * 2005-07-22 2007-02-08 Prop:Kk 刺股
JP2007333367A (ja) * 2006-06-19 2007-12-27 Masabumi Sawada 刺股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3715A (ja) * 2002-05-31 2004-01-08 Shigeru Sakate 逮捕刺す股
JP2006242537A (ja) 2005-03-07 2006-09-14 Yutaka Miyai 刺股
JP2006277703A (ja) * 2005-03-25 2006-10-12 Hideaki Irisawa 緊急警報付き棒状防御器具
JP2007032864A (ja) * 2005-07-22 2007-02-08 Prop:Kk 刺股
JP3118735U (ja) 2005-11-21 2006-02-02 辰雄 樋口 刺股
JP2007333367A (ja) * 2006-06-19 2007-12-27 Masabumi Sawada 刺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7689B1 (ko) 2016-11-18
JP5487308B2 (ja) 2014-05-07
CN102971601A (zh) 2013-03-13
WO2012008052A1 (ja) 2012-01-19
JPWO2012008052A1 (ja) 2013-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12718A (ko) 사스마타
US8365558B2 (en) Safety handcuffs designed to facilitate the handcuffing of an individual
JP4915878B2 (ja) 刺股型開閉可能な身体拘束具
JP4000165B2 (ja) 開閉式捕獲器
ES2302314T3 (es) Mosqueton de bloqueo automatico.
US10731384B2 (en) Handcuff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ATE483878T1 (de) Haubenschloss
US6748773B2 (en) Lock
US9038426B2 (en) Locking restraint device
US8307495B1 (en) Door cylinder
JP5298302B2 (ja) ドアチェック装置
JP6362903B2 (ja) 刺股
JP4974306B2 (ja) 開閉可能な身体拘束具
JP2006308266A (ja) 刺股
JP5301887B2 (ja) 身体捕捉具
JP5545894B2 (ja) 開閉式身体拘束具
JP2011117163A (ja) ドアチェック装置
JP3105333U (ja) 異常者防犯具
US6672310B1 (en) Self activated restraining device
JP5487121B2 (ja) 刺股型開閉可能な身体拘束具
JP2011117165A (ja) ドアチェック装置
JP2013134050A (ja) 自縛機能を有する刺股
JP2007333367A (ja) 刺股
JP2007333367A5 (ko)
GB2469491A (en) Fastening device with operating member that is substantially inoperably by an animal's mou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