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1950A - 의자 - Google Patents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1950A
KR20130111950A KR1020127032777A KR20127032777A KR20130111950A KR 20130111950 A KR20130111950 A KR 20130111950A KR 1020127032777 A KR1020127032777 A KR 1020127032777A KR 20127032777 A KR20127032777 A KR 20127032777A KR 20130111950 A KR20130111950 A KR 20130111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seat
chair
support base
back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2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마스나가
요이치로 오다
히사토 후지타
쇼이치 이자와
료 이가라시
Original Assignee
오카무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0133751A external-priority patent/JP563220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133750A external-priority patent/JP563081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133748A external-priority patent/JP557618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133752A external-priority patent/JP561613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133866A external-priority patent/JP557618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133749A external-priority patent/JP561613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133753A external-priority patent/JP562015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133747A external-priority patent/JP5567402B2/ja
Application filed by 오카무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카무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11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19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4Standing-up or sitting-down a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5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with a central column, e.g. rocking offic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6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characterised by elastic means
    • A47C1/03277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characterised by elastic means with bar or leaf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6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characterised by elastic means
    • A47C1/03283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characterised by elastic means with fluid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6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28Seat parts with tensioned springs, e.g. of flat type
    • A47C7/282Seat parts with tensioned springs, e.g. of flat type with mesh-like supports, e.g. elastomeric membra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5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bar or leaf spr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의 후부를, 좌우의 균형을 맞추어 들어올릴 수 있는 동시에 시트의 안정성이 양호하며, 더욱이 구조가 간단하고 외관이 양호한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리에 의해 지지된 지지 베이스(5)에, 시트(6)를 좌우방향을 향하는 피봇축(9)을 통해 피봇부착하고, 시트(6)의 후부가 상하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한 의자에 있어서, 시트(6)를 상방을 향해 가압하는 가압수단(12)을, 지지 베이스(5)에서의 피봇축(9)보다 하방의 부분과 시트(6)에서의 피봇축(9)보다 후방의 부분을 연결하는 탄성 신축 부재(13)와, 상기 탄성 신축 부재(13)의 양 측방에 설치된 판 스프링형상의 좌우 한 쌍의 탄성 요곡 부재(14)를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

Description

의자{CHAIR}
본 발명은, 의자, 특히 비사용상태에서는 시트의 후부가 올라가고, 착좌자가 착좌할 때는 시트가 착좌자의 둔부에 맞닿아 둔부와 함께 거의 수평위치까지 회동함으로써 착좌를 유도하며, 착좌자가 일어설 때에는 시트의 후부가 올라가 기립을 보조하도록 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의자로서는, 시트를, 의자의 하부 구성체에 대하여, 수평하게 또는 후방으로 하향 경사하는 사용위치와, 후방으로 상향 경사하는 비사용위치의 사이를 회동할 수 있도록 하여 지지하고, 상기 시트의 후부에, 등받이를, 기립 위치와 후방 경사 위치로 회동가능하도록 하여 피봇 부착하며, 상기 시트를 비사용위치를 향하여, 그리고 상기 등받이를 기립위치를 향하여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설치하고, 더욱이, 상기 시트와 등받이를, 시트가 비사용위치로부터 사용위치까지 회동하는 동안에는, 상기 등받이를 거의 수직상태로 유지하도록 연계하는 연계수단을 설치한 것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또, 링크기구와 탄성저항수단을 통해, 시트와 등받이를 상기와 마찬가지로 이동시키도록 한 것도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2 참조).
종래의 압축 스프링으로서는, 압축 코일 스프링이나 가스 스프링으로 대표되는 실린더식의 것이 있다.
또한, 리클라이닝 의자 중에는, 다리 로드의 상단에 부착한 지지 베이스(지지 아암) 전단부에, 전후 방향을 향하는 적층형상의 판 스프링의 전단부를 고정 부착하고, 이 판 스프링을 시트의 부착판에 의해 하방으로 휘게 함으로써, 시트와 일체를 이루는 등받이를 탄성저항력을 부여한 상태로 후방으로 경사지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예컨대 특허문헌 3 참조), 등받이를 전방을 향해 가압하는 가압 수단에, 지지 베이스의 후단부와 등받이의 하단부와의 사이에 설치한 가스 스프링이나, 지지 베이스에 수용한 고무 토션 스프링을 이용한 것 등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4, 5 참조).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10-104562호 일본 특허 공보 제4379538호 일본 실용신안공고공보 H5-31965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5-211244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6-87616호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의자에 있어서는 모두, 시트의 후부 또는 중간부를, 링크 기구를 통해 밀어 올리거나, 시트 전방부의 피봇축에, 토션 스프링 등의 탄성저항수단을 설치하여, 시트를 전방 경사 상태가 되도록 가압하거나 하고 있기 때문에, 시트의 후부의 좌우 방향의 안정성이 불량하고, 시트의 후부를 균형있게 들어올리기가 어려우며, 더욱이 링크 기구가 복잡하고 대형화되어 외관이 불량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의자에 있어서는 모두, 시트의 하방에 다수의 링크 기구를 설치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시트의 하방에, 이들을 수용하기 위한 큰 공간을 확보해야만 하며, 또한, 이들 링크 기구가 외부에 노출되어 의자로서의 미관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특히, 시트의 전후 방향의 중간부를, 상하 방향을 향하는 링크를 통해 밀어 올리도록 한 것에 있어서는, 시트의 하방에 상하 방향으로 큰 공간을 확보해야만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압축 코일 스프링은, 압축 하중과 동일한 방향으로 휘기 때문에, 2부재 중 한쪽이 스프링의 축선에 대하여 변위 또는 회동하면서 상대 이동하는 것에 사용하면, 스프링 좌굴(座屈)이 발생되기 쉬우므로, 다목적으로 사용하기가 어렵다.
또한, 실린더식의 압축 스프링은, 질량이 있고 또한 제조 비용이 높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 특허문헌 3에 기재되어 있는 리클라이닝 의자와 같이, 등받이의 가압 수단에 판 스프링을 사용할 경우, 등받이를 효과적으로 후방으로 경사지게 하기 위해서는, 판 스프링의 전후 치수를 크게 할 필요가 있어, 지지 베이스 및 시트의 부착판의 전후 치수도 길어진다.
또한, 등받이를 후방으로 경사지게 했을 때, 판 스프링 전체가 크게 하방으로 휘기 때문에, 판 스프링의 하방에 휨 공간을 마련할 필요가 있어, 그 만큼 지지 베이스에 대하여 시트의 높이가 높아진다.
특허문헌 4에 기재된 리클라이닝 의자에 있어서는, 등받이의 가압 수단에 가스 스프링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의자의 질량이 커지는 동시에 비용이 높아진다. 또한, 가스 스프링이, 지지 베이스의 후단부와 등받이의 하단부의 사이에, 경사 상하 방향을 향하도록 부착되어 있으므로, 시트의 후방 하방에 중후감이 있는 가스 스프링이 노출되어 외관이 불량하다.
특허문헌 5에 기재된 리클라이닝 의자는, 고가이며 질량이 있는 고무 토션 스프링이나, 이것을 지지 베이스의 내부에 장착하기 위한 각종 부재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의자의 질량이 커지는 동시에 비용도 증대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제 1의 목적은, 시트의 후부를, 좌우의 균형을 맞추어 들어올릴 수 있는 동시에, 시트의 안정성이 양호하고, 더욱이 구조가 간단하고 외관이 양호한 의자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제 2의 목적은, 시트를 상방을 향해 가압하는 가압 수단과, 시트의 하향 회동시에 등받이의 하단부를 후방으로 가압하여 이동시키는 가압 이동 로드를, 시트 하방의 상하 방향으로 좁은 공간 내에, 서로 간섭하는 일없이 좌우 방향으로 균형을 이루어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구조가 간단하고 외관이 양호한 의자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제 3의 목적은, 시트의 후부를 상방으로 가압하는 힘을 크게 할 수 있으며, 이로써 시트의 기립 지원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가압 수단을 소형화, 또한 간략화할 수 있어, 비용 절감이 가능한 의자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제 4의 목적은, 범용성이 높고, 또한 저렴하며 간단한 구조의 압축 스프링을 제공하는 것, 그리고 이러한 압축 스프링을 사용함으로써, 저렴하고 경량이며 또한 외관이 양호한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과제는 다음과 같이 하여 해결된다.
(1) 다리에 의해 지지된 지지 베이스와, 상기 지지 베이스에, 좌우 방향을 향하는 피봇축을 통해 피봇 부착되며, 후부(後部)가 상하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한 시트와, 상기 지지 베이스에 설치되며, 또한 시트에서의 상기 피봇축보다 후부를 상향 가압하는 가압 수단을 구비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가압 수단을, 상기 지지 베이스에 있어서의 피봇축보다 하방의 부분과, 시트에 있어서의 피봇축보다 후방의 부분을 연결하는 탄성 신축 부재와, 상기 탄성 신축 부재의 양 측방에 있어서, 일단(一端)이 시트의 하면에 고정 부착되고, 중간부가 탄성 요곡(撓曲)되며, 또한 타단(他端)이 상기 지지 베이스에 있어서의 피봇축보다 하방의 부분에 고정 부착된 좌우 한 쌍의 탄성 요곡 부재를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시트를 상방을 향해 가압하는 가압 수단을, 탄성 신축 부재와, 상기 탄성 신축 부재의 양 측방에 설치된 좌우 한 쌍의 탄성 요곡 부재를 구비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므로, 시트의 후부를, 좌우의 균형을 맞추어 들어올릴 수 있는 동시에, 시트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가 있다.
또한, 탄성 신축 부재와 탄성 요곡 부재를, 소형화하여 시트의 하방에 컴팩트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의자의 외관을 양호하게 할 수가 있다.
(2) 상기 (1)항에 있어서, 탄성 신축 부재의 전단부(前端部)와 탄성 요곡 부재의 하측의 전단부를, 좌우 방향을 향하는 공통의 축을 통해 지지 베이스에 피봇 부착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 베이스에 대한 탄성 신축 부재와 탄성 요곡 부재의 피봇부착작업을 간략화할 수가 있다.
(3) 상기 (1) 또는 (2)항에 있어서, 좌우의 탄성 요곡 부재를, 평면에서 볼 때 서로 후방을 향해 확대 개방되도록 설치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전단부가 지지 베이스에 피봇 부착된 시트의 후부를, 좌우 방향으로 흔들리는 일없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가 있다.
(4) 상기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탄성 요곡 부재를 판 스프링으로 하여, 그 일단부를 시트의 하면에 고정 부착하고, 또한 타단부를, 탄성 신축 부재의 전단부와 함께, 좌우 방향을 향하는 공통의 축을 통해 지지 베이스에 피봇 부착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 베이스에 대한 각 탄성 요곡 부재와 탄성 신축 부재의 피봇부착작업을 간략화할 수가 있다.
(5) 상기 (4)항에 있어서, 탄성 요곡 부재에 있어서의 후부의 측면에서 볼 때 반(半)원호형상인 탄성 요곡부의 상면을 시트의 하면에 맞닿게 하여, 시트의 하향 회동시에, 탄성 요곡 부재의 탄성 요곡부가 시트의 하면을 따라 후방으로 이행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시트의 하향 회동시에, 탄성 요곡 부재의 탄성 요곡부가, 시트의 하면을 따라 후방으로 이행함에 따라, 동일 부위에 응력이 집중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탄성 요곡 부재의 반력을 증대시킬 수가 있다.
(6) 상기 (4) 또는 (5)항에 있어서, 판 스프링이, 시트에 고정 부착된 상부 부착부로부터 후방을 향하는 상편(上片)과, 상편의 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거의 반원호형상으로 만곡되고, 또한 상단이 시트의 하면에 맞닿도록 한 탄성 요곡부와, 상기 탄성 요곡부의 하단으로부터 전방 또는 전방 하방을 향하는 하편(下片)과, 하편의 전단에 설치되며, 또한 지지 베이스에 부착되는 하부 부착부로 이루어지고, 측면에서 볼 때 전방을 향해 개구되는 U자 형상으로 탄성 요곡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판 스프링의 시트에 고정 부착된 부분으로부터, 지지 베이스에 고정 부착된 부분까지의 길이를 크게 할 수 있으므로, 판 스프링의 가동범위를 넓게 할 수 있는 동시에, 판 스프링의 구조를 간략화할 수가 있다.
또한, 시트의 하향 회동시에, 탄성 요곡부가 시트의 하면을 따라 점차 후방으로 이행하도록 탄성 변형함으로써, 판 스프링에 의한 시트의 상향 가압력은, 시트의 회동범위 중 어느 위치에 있어서도 거의 균일하게 된다.
(7) 상기 (6)항에 있어서, 하편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폭을 전방을 향해 점차 좁힌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판 스프링의 하편 주위의 공간을 넓게 할 수 있으므로, 이 공간에 다른 부품을 수용할 수가 있다.
(8) 상기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성 신축 부재를 가스 스프링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탄성 신축 부재의 구조를 간소화하고, 저렴하게 제조할 수가 있다.
(9) 상기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트의 후부에, 등받이의 하부를 좌우 방향을 향하는 지지축을 통해 피봇 부착하고, 상기 등받이를 기립 위치와 후방 경사 위치로 상기 시트에 대해 회동할 수 있도록 하여, 지지 베이스에 있어서의 피봇축보다 하방의 부분과 등받이에 있어서의 상기 지지축보다 하방의 부분을, 전후 방향을 향하는 탄성 신축이 가능한 가압 이동 로드를 통해 연결하여, 시트의 하향 회동시에 가압 이동 로드가 등받이의 하단부를 후방으로 가압 이동함으로써, 등받이를 기립 상태로 유지하고, 또한 가압 이동 로드가 탄성 수축함으로써, 시트에 대한 등받이의 후방 경사를 가능하게 하여, 상기 가압 이동 로드의 전단부를, 탄성 신축 부재의 전단부와 탄성 요곡 부재의 하측의 전단부와 함께, 좌우 방향을 향하는 공통의 축을 통해 지지 베이스에 피봇 부착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가압 수단과 가압 이동 로드의 구조를 더욱 간소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 베이스에 대한 탄성 신축 부재와 탄성 요곡 부재와 가압 이동 로드의 피봇 부착 작업을 더욱 간략화할 수가 있다.
(10) 상기 (9)항에 있어서, 가압 이동 로드를, 전단부가 상기 탄성 신축 부재의 양 측방에 있어서 지지 베이스에 고정 부착된 좌우 한 쌍의 다리편과, 양 다리편의 후단에 연장 설치된 탄성 요곡부와, 상기 탄성 신축 부재의 하방에 있어서 상기 양 다리편들을 연결하는 연결편을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시트를 상방을 향해 가압하는 가압 수단과, 시트의 하향 회동시에 등받이의 하단부를 후방으로 가압 이동시키는 가압 이동 로드를, 시트 하방의 상하 방향으로 좁은 공간 내에, 서로 간섭하는 일없이 좌우 방향으로 균형을 이루도록 설치할 수가 있다.
또한, 가압 수단과 가압 이동 로드를, 시트 하방의 상하 방향으로 좁은 공간 내에 설치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의자로서의 외관을 양호하게 할 수가 있다.
(11) 상기 (9) 또는 (10)항에 있어서, 가압 이동 로드를, 양단이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발생하도록 한 압축 스프링으로서, 양단부에 비(非)가요성의 경질부를 가지고, 또한 양 경질부 사이의 중간부에, 양단 사이에 압축력이 작용함에 따라, 서로 외측 또는 내측으로 탄성 요곡하는 한 쌍의 탄성 요곡부를 갖는 압축 스프링에 의해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가압 이동 로드의 양단 사이에 전후 방향의 압축력이 작용했을 때, 양 탄성 요곡부는, 압축 방향과 직교하는 내측 또는 외측으로 탄성 요곡하므로, 등받이가 지지 베이스에 대하여 회동하면서 상대 이동하여도, 양 탄성 요곡부가 효과적으로 탄성 요곡하여 스프링력을 발휘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압축 스프링은, 가스 스프링 등의 실린더식 압축 스프링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저렴하며 경량감이 있는 압축 스프링을 제공할 수가 있다.
(12) 상기 (11)항에 있어서, 양 탄성 요곡부를, 이들을 포함하는 평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도 탄성 요곡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압축 스프링의 신축량이 커지므로, 등받이의 하단부와 지지 베이스의 상대 이동량이 클 경우에도 대응할 수가 있다.
(13) 상기 (11) 또는 (12)항에 있어서, 양 탄성 요곡부와, 그 각 단부들을 연결하는 연결 부분이, 전체로서 폐쇄 루프 형상을 이루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탄성 요곡부를 효과적으로 탄성 요곡시켜, 큰 스프링력을 얻을 수 있으며, 또한 반복 하중에 대해서도 충분한 강도 및 내구성을 갖게 된다.
(14) 상기 (11)∼(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성 요곡부는 거의 원형의 단면형상을 이루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탄성 요곡부를, 내측이나 외측 외에, 어떠한 방향으로든 효과적으로 탄성 변형시킬 수가 있다.
(15) 상기 (11)∼(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양 탄성 요곡부를, 이들을 포함하는 평면을 따른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단면을 이루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양 탄성 요곡부가, 이들을 포함하는 평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탄성 요곡하기 쉬워지므로, 등받이의 하단부와 지지 베이스와의 상대이동량이 보다 큰 것에 대해서도 대응할 수 있다.
(16) 상기 (11)∼(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성 요곡부와 경질부를,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적으로 성형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합성 수지에 의해, 경량이면서 저렴한 압축 스프링을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고, 또한 폐쇄 루프 형상을 이루는 부분을 갖는다 하여도, 금형에 의해 간단히 성형할 수가 있다.
(17) 다리에 의해 지지된 지지 베이스와, 상기 지지 베이스에, 좌우 방향을 향하는 피봇축을 통해 피봇 부착되고, 수평하게 또는 후방으로 하향 경사하는 사용위치와, 후방으로 상향 경사하는 비사용위치의 사이를 회동할 수 있도록 한 시트와, 상기 시트의 후부에, 좌우 방향을 향하는 축을 통해 하부가 피봇 부착되어, 기립 위치와 후방 경사위치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한 등받이와, 상기 지지 베이스에 설치되며, 또한 시트에 있어서의 상기 피봇축보다 후부를 상방을 향해 가압하는 가압 수단과, 상기 지지 베이스에 있어서의 피봇축보다 하방의 부분과 등받이에 있어서의 상기 축보다 하방의 부분을 연결하여 시트의 하향 회동시에 등받이의 하단부를 후방으로 가압 이동시킴으로써, 등받이를 기립 상태로 유지하고, 또 탄성 수축함으로써, 시트에 대한 등받이의 후방 경사를 가능하게 하는, 전후 방향을 향한 탄성 신축이 가능한 가압 이동 로드를 구비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가압 수단을, 일단이 시트의 하면에 고정 부착되고, 또한 타단이 지지 베이스에 있어서의 상기 피봇축보다 하방의 부분에 고정 부착되며, 중간부가 U자 형상을 이루며 탄성 요곡하도록 한 좌우 한 쌍의 탄성 요곡 부재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여, 상기 양 탄성 요곡 부재 사이에 상기 가압 이동 로드를 설치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시트를 상방을 향해 가압하는 가압 수단과, 시트의 하향 회동시에 등받이의 하단부를 후방으로 가압 이동시키는 가압 이동 로드를, 시트 하방의 상하 방향으로 좁은 공간 내에, 서로 간섭하는 일이 없으면서 또한 좌우 방향으로 균형을 이루도록 설치할 수가 있다.
또, 가압 수단과 가압 이동 로드를, 시트 하방의 상하 방향으로 좁은 공간 내에 설치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의자로서의 외관을 양호하게 할 수가 있다.
(18) 상기 (17)항에 있어서, 압축 스프링을, 탄성 요곡부가 지지 베이스와 시트의 사이에서 좌우 방향으로 탄성 요곡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탄성 요곡부가 의자의 좌우 방향으로 탄성 요곡하므로, 지지 베이스와 시트의 사이에, 압축 스프링의 상하 방향의 휨 공간을 거의 마련할 필요가 없으며, 시트가 사용 위치에 있을 때의 높이를 낮게 설정할 수가 있다.
(19) 상기 (18)항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폭을 넓게 한 전후의 경질부를, 이들에 관통 삽입된 좌우 방향의 축을 통해 각각 지지 베이스와 등받이에 피봇 부착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전후의 경질부를 좌우 방향으로 폭이 넓도록 하였기 때문에, 압축 스프링을 지지 베이스와 등받이에 안정적으로 부착할 수 있으며, 지지 베이스와 시트의 사이에 있어서 탄성 요곡부를 좌우 방향으로 효과적으로 탄성 변형시킬 수가 있다.
또한, 압축 스프링의 전후의 단부를, 지지 베이스와 등받이에, 좌우 방향의 축을 통해 간단히 연결할 수 있다.
(20) 상기 (18) 또는 (19)항에 있어서, 시트의 하면에 좌우 방향의 축을 통해 전단부를 피봇 부착한 거의 전후 방향을 향하는 링크의 후단부에, 길이방향을 향하는 긴 구멍을 형성하고, 이 긴 구멍에, 압축 스프링의 후단부와 등받이를 연결하는 좌우 방향을 향하는 축을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끼움 결합함으로써, 시트에 대한 등받이의 회동범위를 규제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등받이의 최대 후방 경사량이 규제되는 동시에, 압축 스프링의 탄성 요곡부가 과도하게 탄성 변형하는 것이 방지되므로, 압축 스프링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21) 다리에 의해 지지된 지지 베이스와, 상기 지지 베이스에, 좌우 방향을 향하는 피봇축을 통해 전방부가 피봇 부착되어, 수평하거나 또는 후방으로 하향 경사하는 사용 위치와, 후방으로 상향 경사하는 비사용위치의 사이를 회동할 수 있도록 한 시트와, 상기 시트의 후부에, 좌우 방향을 향하는 축을 통해 하부가 피봇 부착되어, 기립 위치와 후방 경사위치로 회동 가능하도록 한 등받이와, 상기 지지 베이스에 설치되며, 또한 시트에 있어서의 상기 피봇축보다 후부를 상방을 향해 가압하는 가압 수단과, 상기 지지 베이스에 있어서의 피봇축보다 하방의 부분과 등받이에 있어서의 상기 축보다 하방의 부분을 연결하여, 시트의 하향 회동시에 등받이의 하단부를 후방으로 가압 이동시킴으로써, 등받이를 기립 상태로 유지하고, 또 탄성 수축함으로써, 시트에 대한 등받이의 후방 경사를 가능하게 하는, 전후 방향을 향하는 탄성 신축이 가능한 가압 이동 로드를 구비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가압 수단을, 상기 지지 베이스에 있어서의 피봇축보다 하방의 부분과 시트에 있어서의 상기 피봇축보다 후방의 부분에 각 단부가 연결된 전후 방향을 향하는 탄성 신축 부재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고, 또한 가압 이동 로드를, 전단부가 상기 탄성 신축 부재의 양 측방에 있어서 지지 베이스에 고정 부착된 좌우 한 쌍의 다리편과, 양 다리편의 후단에 연장 설치된 탄성 요곡부와, 상기 탄성 신축 부재의 하방에 있어서 상기 양 다리편들을 연결하는 연결편을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시트를 상방을 향해 가압하는 가압 수단과, 시트의 하향 회동시에 등받이의 하단부를 후방으로 가압 이동시키는 가압 이동 로드를, 시트 하방의 상하 방향으로 좁은 공간 내에, 서로 간섭하는 일이 없으면서 또한 좌우 방향으로 균형을 이루어 설치할 수가 있다.
더욱이, 가압 수단과 가압 이동 로드를, 시트 하방의 상하 방향으로 좁은 공간 내에 설치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의자로서의 외관을 양호하게 할 수가 있다.
(22) 다리에 의해 지지된 지지 베이스에, 시트를 좌우 방향을 향하는 피봇축을 통해 피봇 부착함으로써, 후부가 상하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지지 베이스에, 시트에 있어서의 피봇축보다 후부를 상방을 향해 가압하는 가압 수단을 설치한 의자에 있어서, 상기 가압 수단을, 시트의 하면에 일단부가 고정 부착되고, 중간부가 탄성 요곡되며, 또한 타단이 상기 지지 베이스에 있어서의 피봇축보다 하방의 부분에 고정 부착된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판 스프링에 의해, 시트의 하면에 있어서의 피봇축으로부터 떨어진 부분을 들어올릴 수 있으므로, 시트의 후부를 들어올리는 힘을 크게 할 수가 있다. 따라서, 시트의 기립 지원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판 스프링을 중간부에서 접으므로, 소형화가 가능하다. 더욱이, 가압 수단으로서 판 스프링을 이용하므로, 가압 수단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으며, 비용 절감이 가능하게 된다.
(23) 압축 스프링을, 양단이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발생하도록 한 압축 스프링으로서며, 양단부에 비가요성의 경질부를 가지며, 또한 양 경질부 사이의 중간부에, 양단 사이에 압축력이 작용함에 따라, 서로 외측 또는 내측으로 탄성 요곡하는 한 쌍의 탄성 요곡부를 갖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압축 스프링의 양단 사이에 전후 방향의 압축력이 작용했을 때, 양 탄성 요곡부는, 압축 방향과 직교하는 내측 또는 외측으로 탄성 요곡하므로, 2부재 중 한쪽이, 다른 쪽의 부재에 대하여 회동하면서 상대 이동하는 것이어도, 양 탄성 요곡부가 효과적으로 탄성 요곡하여 스프링력을 발휘할 수 있으므로, 범용성이 높다.
또한, 가스 스프링 등의 실린더식 압축 스프링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저렴하며 경량감이 있는 압축 스프링을 제공할 수가 있다.
(24) 다리에 의해 지지된 지지 베이스에 시트를 지지시키는 동시에, 등받이의 하부를 상기 지지 베이스 또는 시트의 후부에, 좌우 방향을 향하는 축을 통해 피봇 부착하여, 상기 등받이를 후방 경사가 가능하도록 한 의자에 있어서, 등받이에 있어서의 상기 축보다 하방의 부분과 상기 지지 베이스를, 청구항 23에 기재된 압축 스프링에 있어서의 양단부의 경질부를 통해 연결함으로써, 상기 압축 스프링의 탄성 요곡부가 탄성 수축함에 따라, 상기 등받이를 후방으로 경사지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가스 스프링이나 고무 토션 스프링과 같은 고가이며 구조가 복잡한 등받이 가압 수단을 이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저렴하며 경량인 의자를 제공할 수가 있다.
또한, 중후감이 있는 가스 스프링 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의자의 외관이 양호해진다.
(25) 다리에 의해 지지된 지지 베이스와, 상기 지지 베이스에, 좌우 방향을 향하는 피봇축을 통해 피봇 부착되고, 후부가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한 시트와, 상기 지지 베이스에 설치되며, 또한 시트에 있어서의 상기 피봇축보다 후부를 상방을 향해 가압하는 가압 수단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지지 베이스에 있어서의 상기 피봇축보다 하방의 부분과 등받이에 있어서의 상기 축보다 하방의 부분을, 청구항 23에 기재된 압축 스프링에 있어서의 양단부의 경질부를 통해 연결함으로써, 시트의 하향 회동시에, 상기 압축 스프링이 등받이의 하단부를 후방으로 가압 이동시켜 등받이를 기립 상태로 유지하고, 또한 상기 압축 스프링의 탄성 요곡부가 탄성 수축함으로써, 시트에 대한 등받이의 후방 경사를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상기 (24)항에 기재된 효과와 같은 효과를 거둘 수 있는 동시에, 시트가 후방으로 상향 경사하는 위치로부터, 후방으로 하향 경사하는 위치로 회동할 때까지의 사이에는, 등받이는 압축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기립 상태로 유지되어 있으므로, 착좌자가 착좌하려고 할 때에, 등이 잘못하여 후방으로 넘어갈 우려가 없어 안전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의자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비사용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그 측면도이다.
도 3은 그 사용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그 사용 상태에 있어서, 등받이를 후방으로 경사지게 했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5는 그 비사용상태의 의자에 있어서의 중앙부분을, 시트의 쿠션재를 생략하여 나타낸 중앙 종단 측면도이다.
도 6은 그 지지 베이스와 지지 베이스에 장착된 부재를 경사 상방에서 본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판 스프링의 평면도이다.
도 8은 판 스프링의 측면도이다.
도 9는 압축 스프링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압축 스프링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XI-XI선단면도이다.
도 12는 등받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등 프레임과 시트판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4는 시트판의 오목부, 끼움 결합 구멍 및 스토퍼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2의 XV-XV선 단면도이다.
도 16은 비사용상태에 있어서의 등 프레임과 시트판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종단 측면도이다.
도 17은 등받이를 후방으로 경사지게 했을 때의 등 프레임과 시트판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종단 측면도이다.
도 18은 중간 연결 로드의 끼움 결합 오목부 및 끼움 결합 부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의 XIX-XIX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의 XX-XX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의 XXI-XXI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22는 압축 스프링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23은 그 확대 측면도이다.
도 24는 도 22의 XXIV―XXIV선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25는 도 22의 압축 스프링을 구비하는 의자의 측면도이다.
도 26은 압축 스프링의 다른 변형예와, 이것을 이용한 착좌 전의 의자의 주요부에 대한 중앙 종단 확대 측면도이다.
도 27은 변형예를 나타내는 압축 스프링과 시트의 하부를 링크에 의해 연계한 연계부의 사시도이다.
도 28은 압축 스프링을 다른 의자에 장착한 변형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9는 판 스프링을 시트와 일체로 한 변형예를 나타내는 종단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의자는, 선단부에 캐스터(1)를 구비하는 방사상의 5개의 다리 로드(2)를 갖는 다리체(3)를 구비한다. 다리체(3)의 중앙에는, 가스 스프링(도시생략)을 구비하는 신축식의 다리 기둥(4)이 세워져 설치되고, 다리 기둥(4)의 상단에는, 전방을 향하는 지지 베이스(5)의 후부가 고정 부착되어 있다. 한편, 지지 베이스(5)와 다리 기둥(4)과 다리체(3)를 일체화하여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지지 베이스(5)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을 향해 확대 개방되는 평면에서 볼 때 삼각형의 얕은 접시형상을 이루는 동시에, 측면에서 볼 때 전방 상방을 향해 경사져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베이스(5)는, 전방에서 볼 때 상방을 향해 コ자 형상을 이루며, 전방으로 개구되어 있으므로, 지지 베이스(5)에 대한 부재의 부착작업시에, 측방이나 후방뿐만 아니라 전방에서도 부재나 공구 등을 삽입하기 쉽게 되어 있다.
시트(6)는, 합성수지제의 시트판(7)과, 그 상면에 부착된 착좌부재로서의 쿠션재(8)로 이루어지며, 시트판(7)의 전단 양측부를, 지지 베이스(5)의 전단 양측부에 좌우 방향을 향하는 피봇축(9)을 통해 각각 피봇 부착함으로써,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하는 착좌 전의 상태인 비사용위치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하거나 또는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하는 착좌시의 상태인 사용위치로, 피봇축(9)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이 가능하다. 그 회동범위는 대략 15도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트(6)는, 후술하는 가압수단(12)에 의해, 상시 비사용위치를 향해 상방을 향하도록 가압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6)가 비사용위치에 있을 때, 착좌자가 앉으려고 할 때에 최초로 맞닿는 초기 맞닿음부(P)가, 다리 기둥(4)의 중심선(O)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초기 맞닿음부(P)는, 시트(6)가 사용위치에 있을 때에는, 착좌자가 적정한 착좌자세로 착좌하였을 때, 그 둔부인 좌골부 부근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안정 지지부와 일치하도록 정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초기 맞닿음부(P)를, 시트(6)가 비사용위치에 있을 때, 다리 기둥(4)의 중심선(O)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해 두면, 착좌자가 비사용위치에 있는 시트(6)에 착좌할 때에, 착좌자의 둔부가 시트(6)의 초기 맞닿음부(P)에 맞닿았을 때, 의자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문제가 발생될 우려가 없다.
또한, 착좌자의 둔부가 시트(6)의 초기 맞닿음부(P)에 맞닿은 후, 시트(6)는 착좌자의 둔부와 함께, 가압수단(12)의 가압력에 저항하며 사용위치까지 회동하고, 착좌자의 둔부를 안정 지지점까지 유도하여 착좌자가 적정한 착좌자세를 신속히 취할 수 있는 동시에, 착좌자의 하중이 다리 기둥(4)보다 후방에 가해지므로, 시트(6)의 후부에 의해, 착좌자의 둔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가 있다.
비사용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의 시트(6)의 후방 상향 경사각도는 크게 하면 크게 할수록 초기 맞닿음부(P)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다리 기둥(4)에 접근하거나, 혹은 그 전방에 위치하게 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초기 맞닿음부(P)가, 다리 기둥(4)의 중심선(O)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비사용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의 시트(6)의 후방 상향 경사각도를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트판(7)의 후부 양측에는, 등받이(10)의 하부 양측보다 전방을 향하는 연장 돌출부(10a)의 전방부가, 다리 기둥(4)의 중심선(O)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하여, 좌우 방향을 향하는 지지축(11)을 통해 각각 피봇 부착되어, 등받이(1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의 상방을 향하는 기립 위치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후방 경사 위치로, 지지축(11)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등받이(10) 및 그 피봇 부착 부분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본 발명과 직접 관계되지 않으므로, 그 상세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지지 베이스(5)에는, 시트(6)의 후부를 상방을 향해 가압하는 가압수단(1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압수단(12)은, 지지 베이스(5)에 있어서의 피봇축(9)보다 하방의 부분과 시트(6)에 있어서의 피봇축(9)보다 후방의 부분을 연결하는 탄성 신축 부재(13)와, 상기 탄성 신축 부재(13)의 양 측방에 있어서, 시트(6)의 하면에 전방 상단부가 고정 부착되고, 중간부가 측면에서 볼 때 전방을 향해 개구되는 U자 형상으로 탄성 요곡되며, 또한 전방 하단부가 지지 베이스(5)에 있어서의 피봇축(9)보다 하방의 위치에 고정 부착된 좌우 한 쌍의 탄성 요곡 부재(14,14)를 구비하고 있다.
탄성 신축 부재(13)는 본 예에서는, 도 2,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단부가 지지 베이스(5)에 좌우 방향의 축(15)을 통해 피봇 부착되며, 또한 후단부가 시트(6)의 하면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중간부에 좌우 방향의 축 핀(16)을 통해 피봇 부착된, 잠금 기능이 없는 가스 스프링(17)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잠금 기능을 갖는 가스 스프링이나, 압축 코일 스프링 또는 오일 댐퍼 혹은 에어 댐퍼 등으로 할 수도 있다.
잠금 기능을 갖는 가스 스프링으로 할 경우에는, 그 잠금 해제 조작 수단을, 예컨대 팔걸이(도시생략)의 일부 등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좌우의 각 탄성 요곡 부재(14)는, 본 예에서는, 도 5∼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6)의 하면에 있어서의 양측 전방부에 멈춤 나사 등에 의해 고정 부착된 전후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의 상부 부착부(18a)와, 상기 상부 부착부(18a)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상편(18b)과, 상편(18b)의 후단으로부터 전방 하방을 향해 거의 반원호형상으로 만곡하는 탄성 요곡부(18c)와, 탄성 요곡부(18c)의 하단으로부터 전방 또는 전방 하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하편(18d)과, 하편(18d)의 전단에 설치되며, 또한 지지 베이스(5)에 부착하기 위한 하부 부착부(18e)를 갖는 합성수지제의 좌우 한 쌍의 판 스프링(18,18)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한편, 각 판 스프링(18)은 금속제로 하여도 무방하다.
좌우의 판 스프링(18,18)에 있어서의 양 하편(18d,18d)의 좌우 방향의 폭은, 전방을 향해 점차 작아지게 되어 있다. 이는, 가스 스프링(17)이나 후술하는 가압 이동 로드(23)와의 간섭을 회피하며, 시트(6) 하방의 좁은 공간 내에 이들을 집약적으로 수용하기 위함이다.
또, 좌우의 판 스프링(18,18)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양 하편(18d,18d)들이, 평면에서 볼 때 서로 후방을 향해 확대 개방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양 상편(18b,18b)들도, 평면에서 볼 때 서로 후방을 향해 확대 개방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시트(6)의 후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가 있다.
좌우의 판 스프링(18,18)에 있어서의 하부 부착부(18e,18e)는, 상기 축(15)의 양 측단부에 피봇 부착되어 있다.
축(15)은, 다음과 같이 하여 지지 베이스(5)의 전방부 상면에 고정되어 있다. 즉,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베이스(5)에 있어서의 피봇축(9)보다 하방의 전방부의 바닥면에, 좌우 방향을 향하는 오목부(5a)를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5a) 내에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한 복수의 돌출부(19)의 상면에, 상방 및 좌우 양방향으로 개구되는 U자 형상의 오목홈(20)을 각각 형성하며, 각 오목홈(20)에 축(15)을 끼움결합한 후, 각 돌출부(19)의 상면에 가압 금구(21)를, 나사(22,22)를 통해 고정 부착함으로써, 축(15)은 회동이 불가능하도록 하여(회동이 가능하도록 하여도 무방함) 지지 베이스(5)의 전단부 상면에 고정되어 있다.
가압수단(12)이, 탄성 신축 부재(13)와, 상기 탄성 신축 부재(13)의 양 측방에 설치된 좌우 한 쌍의 탄성 요곡 부재(14)를 구비하는 것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6)의 후부를, 좌우의 균형을 이루어 들어 올릴 수 있는 동시에, 시트(6)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가 있다.
또한, 탄성 신축 부재(13)와 탄성 요곡 부재(14)를 소형화하여, 시트(6)의 하방에 컴팩트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의자의 외관을 양호하게 할 수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탄성 신축 부재(13)를 가스 스프링(17)으로 하고 탄성 요곡 부재(14)를 판 스프링(18)으로 하면, 탄성 신축 부재(13) 및 탄성 요곡 부재(14)의 구조가 간소화되어,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 탄성 신축 부재(13)의 전단부와 탄성 요곡 부재(14)의 하측의 전단부를, 좌우 방향을 향하는 공통의 축(15)을 통해 지지 베이스(5)에 피봇 부착하였기 때문에,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 베이스(5)에 대한 탄성 신축 부재(13)와 탄성 요곡 부재(14)의 피봇 부착 작업을 간략화할 수 있다.
탄성 요곡 부재(14)인 판 스프링(18)에 있어서의 후부의 측면에서 볼 때 반원호형상인 탄성 요곡부(18c)의 상면은, 시트(6)의 하면에 맞닿아 있으며, 시트(6)의 하향 회동시에, 판 스프링(18)에 있어서의 상부 부착부(18a)와 하부 부착부(18e)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하편(18d)이 후방 상방으로 밀려 나와, 탄성 요곡부(18c)가 시트(6)의 하면을 따라 점차 후방으로 이행하도록 판 스프링(18)은 탄성 변형한다.
이와 같이 판 스프링(18)이 탄성 변형함에 따라, 판 스프링(18)의 동일 부위에 응력이 집중하는 것을 방지하여, 판 스프링(18)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판 스프링(18)의 반력을 증대시킬 수가 있다.
결과적으로, 판 스프링(18)의 반력은, 시트(6)를 하방을 향해 회동시킬수록 커지게 된다.
지지 베이스(5)에 있어서의 피봇축(9)보다 하방의 부분과, 등받이(10)에 있어서의 상기 지지축(11)보다 하방의 부분은, 전후 방향을 향하는 탄성 신축이 가능한 가압 이동 로드(23)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시트(6)의 비사용위치로부터 사용위치로의 하향 회동시에, 상기 가압 이동 로드(23)에 의해, 등받이(10)의 하단부가 후방으로 가압 이동되어, 등받이(10)는 기립 상태로 유지되며, 또한 가압 이동 로드(23)가 탄성 수축함에 따라 등받이(10)는, 상기 가압 이동 로드(23)의 탄성복원력에 저항하여,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으로 경사지게 할 수 있다.
도 6 및 도 9∼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압 이동 로드(23)는, 전단부가 탄성 신축 부재(13)인 가스 스프링(17)의 양 측방에 있어서, 좌우 방향의 축(15)에 의해 지지 베이스(5)에 피봇 부착된 경질인 동시에 비가요성인 좌우 한 쌍의 다리편(23a,23a)과, 양 다리편(23a,23a)의 후단에 연장 설치된 단면이 원형인 후방을 향하는 좌우 한 쌍의 탄성 요곡부(23b,23b)와, 가스 스프링(17)의 하방에 있어서 양 다리편(23a,23a)의 후단부들을 연결하는 경질인 동시에 비가요성인 연결편(23c)과, 양 탄성 요곡부(23b,23b)의 후단부들을 연결하는 경질인 동시에 비가요성인 연결부(23d)를 갖는 압축 스프링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연결편(23c)의 중앙부는, 가스 스프링(17)의 하면과 간섭하지 않도록, 하방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다. 한편, 가압 이동 로드(23)는, 예컨대 폴리아미드계의 경질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좌우의 다리편(23a,23a)의 전단부에는, 축(15)에 관통 삽입되는 좌우 방향의 축 구멍(2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단의 좌우 방향으로 폭이 넓은 연결부(23d)에도, 좌우 방향을 향하는 축 구멍(25)이 형성되며, 상기 축 구멍(25)에는, 연결부(23d)를, 등받이(10)의 하단부 전면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 전방을 향해 돌출 설치된 좌우 한 쌍의 축받이편(26)에 피봇 부착하기 위한 축 핀(27)이 관통 삽입되어 있다(도 5 참조).
좌우의 탄성 요곡부(23b,23b)는, 의자의 좌우 방향 외측을 향해 대체적으로 볼록한 원호형상으로 만곡되며, 또한 단면형상은 거의 원형으로 되어 있다.
가압 이동 로드(23)에 있어서의 좌우의 탄성 요곡부(23b,23b)와, 이들의 각 단부들을 연결하는 연결편(23c), 및 연결부(23d)에 의해, 평면에서 볼 때 거의 원형인 폐쇄 루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압 이동 로드(23)를, 양 탄성 요곡부(23b,23b)가 의자의 좌우로 나란하도록 설치하고, 지지 베이스(5)와 등받이(10)에 연결함으로써, 등받이(10)의 후방 경사시에 있어서, 탄성 요곡부(23b,23b)는 도 9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좌우 방향 외측을 향해 팽출하도록 탄성 요곡된다. 한편, 좌우의 탄성 요곡부(23b,23b)를 상기와는 반대로, 서로 내측을 향해 원호형상으로 만곡시켜, 양 탄성 요곡부(23b)가 의자의 좌우 방향 내측을 향해 탄성 요곡하도록 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의 탄성 요곡부(23b,23b)의 중간부는, 측면에서 볼 때 약간 하방을 향해 원호형상으로 만곡되어, 양 탄성 요곡부(23b)에 전후 방향의 압축 하중이 작용했을 때에, 이들 중간부가, 양 탄성 요곡부(23b)를 포함하는 평면과 직교하는 하방으로도 탄성 변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탄성 요곡부(23b)를 상기와는 반대로 상방을 향해 원호형상으로 만곡시켜도 무방하다.
가압 이동 로드(23)로서 사용한 압축 스프링은, 전후의 양단 사이에 전후 방향의 압축력이 작용했을 때에, 양 탄성 요곡부(23b,23b)는, 압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탄성 요곡되어, 2부재(지지 베이스(5)와 등받이(10)) 중 한쪽이, 상기 등받이(10)와 같이 회동하면서 상대 이동하는 것이라 하더라도, 양 탄성 요곡부(23b,23b)는 효과적으로 탄성 요곡하여 스프링력을 발휘할 수 있어 범용성이 높아지게 된다.
또, 가스 스프링 등의 실린더식의 압축 스프링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저렴하며 경량감이 있는 압축 스프링을 제공할 수가 있다.
또한, 양 탄성 요곡부(23b,23b)와, 이들의 단부들을 연결하는 전후의 경질의 연결편(23c) 및 연결부(23d)에 의해, 평면에서 볼 때 원형 또는 비원형(서로 내측으로 탄성 요곡시킬 경우 등)의 폐쇄 루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탄성 요곡부(23b)를 효과적으로 탄성 요곡시켜, 큰 스프링력을 얻을 수 있고, 또한 반복 하중에 대해서도 충분한 강도 및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 각 탄성 요곡부(23b)를 단면이 거의 원형이 되도록 하였으므로, 어느 방향으로든 효과적으로 탄성 변형시킬 수가 있다.
양 탄성 요곡부(23b)를, 이들을 포함하는 평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도 탄성 변형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전후 단부간의 상대 이동량이 커져, 등받이(10)를 크게 후방으로 경사지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압축 스프링을, 상기 실시형태의 의자에 있어서 지지 베이스(5)와 등받이(10)의 사이에 가압 이동 로드(23)로서 장착하면, 등받이(10)를 후방으로 경사지게 했을 때에, 좌우의 탄성 요곡부(23b,23b)는, 좌우 방향으로 탄성 요곡하므로, 지지 베이스(5)와 시트(6)의 사이에, 가압 이동 로드(23)의 상하 방향의 휨 공간을 거의 마련할 필요가 없어, 시트(6)가 사용 위치에 있을 때의 높이를 낮게 설정할 수가 있다.
또, 가압 이동 로드(23)로 한 압축 스프링은, 가스 스프링이나 고무 토션 스프링과 같은 등받이 가압 수단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고 저렴하므로, 의자를 경량화할 수 있는 동시에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가압 이동 로드(23)는, 전방부의 좌우 한 쌍의 다리편(23a)과, 후부의 좌우 방향으로 폭이 넓은 연결부(23d)를, 각각 좌우 방향의 축(15) 및 축 핀(27)을 통해, 지지 베이스(5)와 등받이(10)에 피봇 부착하였으므로, 이것을 안정적으로 탄성 변형시킬 수가 있다.
가압 이동 로드(23)에 있어서의 다리편(23a,23a)의 전단부를, 탄성 신축 부재(13)인 가스 스프링(17)의 전단부와, 탄성 요곡 부재(14)인 좌우의 판 스프링(18,18)의 하부 부착부(18e,18e)와 함께, 좌우 방향을 향하는 공통의 축(15)을 통해 지지 베이스(5)에 피봇 부착하였으므로, 구조를 더욱 간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 베이스(5)에 대한 탄성 신축 부재(13)와 탄성 요곡 부재(14)와 가압 이동 로드(23)의 피봇 부착 작업을 더욱 간략화할 수가 있다.
다음으로, 등받이(10)와 시트(6)의 결합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등받이(10)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폐쇄 루프 형상의 등 프레임(29)과, 상기 등 프레임(29)의 표면(29a)에 인장 설치된 업홀스터리 머티리얼(upholstery material : 30)을 구비하고 있다. 등 프레임(29) 하측 프레임부(31)는, 평면에서 볼 때 전방으로 오목해지도록 만곡함으로써, 그 좌우 양측에 상기 연장 돌출부(10a)를 형성하는 전향편(32)이 설치되어 있다.
각 전향편(32)의 내면에는, 받침대(33)를 통해, 등 프레임(29)의 내부를 향하는 비교적 짧은 돌출축(34)이 설치되어, 이것이 지지축(11)을 이루고 있다. 돌출축(34)은 받침대(33)보다 직경이 짧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돌출축(34)의 내부 공간에는, 십자(十字)형의 보강 리브(11a)와, 2개의 나사 구멍(11b,11b)이 설치되어 있다. 받침대(33)의 선단면 부근의 외주면에는 외향 돌출부(35)가 설치되고, 외향 돌출부(35)의 원주방향의 일단에는, 받침대(33)의 중심방향으로 연신(延伸)된 평면(35a)이 설치되어 있다.
또, 시트판(7)의 후측부에는, 서로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들어가는 오목 단차부(recessed step part ; 36)가 설치되어 있다. 시트판(7)의 오목 단차부(36)의 좌우 방향을 향하는 측면(36a)보다 내측의 부분에는, 두꺼운 부분(37; 厚肉部)이 설치되며, 이 두꺼운 부분(37)에 좌우 방향을 향하는 끼움 결합 구멍(38)이 형성되어 있다. 등 프레임(29)의 전향편(32)의 전방 가장자리(32a), 및 시트판(7)의 오목 단차부(36)에 있어서의 후방을 향하는 전면(36b)(도 14 참조)은, 거의 동일한 곡률반경으로 만곡 형성되어 있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 단차부(36)의 측면(36a)에는, 끼움 결합 구멍(38)과 동심이면서 끼움 결합 구멍(38)보다 직경이 큰 원호형상의 스토퍼(39)가 설치되어 있다. 스토퍼(39)의 일단부에는, 끼움 결합 구멍(38)의 중심방향에 면하는 평면(39a)과, 평면(39a)에 대하여 거의 직교하는 방향, 즉 스토퍼(39)의 접선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 리브(39b)가 설치되어 있다.
등받이(10)를 시트(6)에 연결할 경우에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축(34)의 외주에 플랜지가 부착된 슬리브(40)를 플랜지(40a)가 외측이 되도록 하여 끼워 넣고, 등받이(10)의 전향편(32)을 시트판(7)의 오목 단차부(36) 내에 삽입한다. 그리고,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축(34)을 플랜지가 부착된 슬리브(40)와 함께, 시트판(7)의 외측으로부터 끼움 결합 구멍(38)에 끼워 넣는다.
다음으로, 돌출축(34)의 단면(34c)에, 시트판(7)의 내측으로부터 끼움 결합 구멍(38)보다 직경이 큰 원판형상의 이탈방지부재(41)를 나사(42)에 의해 고정 부착한다. 이때, 두꺼운 부분(37)과 이탈방지부재(41)의 사이에, 슬라이딩 부재(43)를 끼우는 것이 좋다. 이로써, 이탈방지부재(41)는, 시트판(7)의 두꺼운 부분(37)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걸림 고정된다.
또, 등 프레임(29)의 전향편(32)을 시트판(7)의 오목 단차부(36)에 삽입했을 때에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향편(32)의 전방 가장자리(32a)와 오목 단차부(36)의 전면(36b)이 약간의 틈새를 두고 정합된다.
등받이(10)에 후방으로의 하중이 작용하지 않고 있을 때에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 프레임(29)의 돌출축(34)의 받침대(33)에 설치된 외향 돌출부(35)의 평면(35a)이, 시트판(7)에 설치된 스토퍼(39)의 평면(39a)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등받이(10)에, 착좌자에 의해 후방으로의 하중이 작용했을 때에는,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 프레임(29)이 돌출축(34)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후방으로 회동한다. 그리고, 등 프레임(29)이 허용 최대 회동각도까지 회동했을 때, 등 프레임(29)의 외향 돌출부(35)의 평면(35a)이, 시트판(7)의 스토퍼(39)의 평면(39a)에 맞닿아 등받이(10)의 회동이 정지된다.
외향 돌출부(35)가 스토퍼(39)에 맞닿았을 때의 충격 하중은, 보강 리브(39b)와 동일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스토퍼 내하중성능이 높아져 스토퍼(39)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등 프레임(29)과 시트판(7)을 결합한 후, 돌출축(34)과 끼움 결합 구멍(38)에 의한 결합부를 덮도록 하여, 시트판(7)에 쿠션재(8)를 피복한다(도 1 참조).
다음으로, 등 프레임(29)에 대한 업홀스터리 머티리얼(30)의 인장 설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받이(10)의 폐쇄 루프 형상의 등 프레임(29)에 있어서의 좌우 사이드 프레임부(44)의 사이에는, 좌우 방향을 향하는 중간 연결 로드(4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중간 연결 로드(45)는, 등 프레임(29)의 상측 프레임부(46)와 하측 프레임부(31)의 사이에 있어서, 착좌자의 허리부에 대응하는 위치,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측 프레임부(31)에 비교적 접근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하측 프레임부(31)는, 상하 방향의 폭이 크고, 또한 비교적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중간 연결 로드(45)는, 등 프레임(29)의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부(44)의 내측에 연결되며, 또한 경사 하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만곡되는 좌우의 연결 부분(47,47)과, 좌우의 연결 부분(47,47) 사이에 설치된 직선부분(48)으로 이루어져 있다. 직선부분(48)은, 좌우의 사이드 가장자리부(41,41)보다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좌우의 연결 부분(47,47)의 표면(47a)에는, 만곡면을 따라 끼움 결합 오목부(49)가 형성되어 있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끼움 결합 오목부(49) 내에는, 좌우 방향을 향하는 위치 결정용 리브(50)와, 나사 구멍(51)이 설치되어 있다.
끼움 결합 오목부(49)에는, 끼움 결합 부재(52)가 끼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끼움 결합 부재(52)의 일단부에는, 나사 부착용의 구멍(5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끼움 결합 부재(52)의 바닥면(52a)에는, 끼움 결합 오목부(49)의 위치 결정용 리브(50)에 끼움 결합되는 위치 결정용의 홈(54)이 형성되어 있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부(44)는, 그 단면 형상이 전후 방향으로 가늘고 길며 또한 후단부로부터 전단부를 향해 점차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부(44)의 중간 연결 로드(45)보다 상측의 부분에 있어서의 표면(44a) 부근의 외주면(44b)에는, 길이방향을 향하는 오목홈(55)이 외측을 향해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홈(55)은, 상측 프레임부(46)의 표면(46a) 부근의 외주면(46b)에도 형성되어 있다.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부(44)에 있어서의 오목홈(55)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단부 가장자리의 개구는,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 연결 로드(45)에 있어서의 연결 부분(48)의 끼움 결합 오목부(49) 내부를 향해 개구되어 있다.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끼움 결합 오목부(49)에 끼움 결합된 끼움 결합 부재(52)의 표면(52b)(도 18 참조) 부근의 외주면(52c)에는, 외주측으로 개구되도록 하여 오목홈(56)이 형성되어 있다. 끼움 결합 부재(52)의 오목홈(56)은, 끼움 결합 오목부(49) 내에 개구되어 있는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부(44)의 오목홈(55)(도 18 참조)에 연속되어 있다.
중간 연결 로드(45)의 직선 부분(48)은,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단면형상이 전후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직선 부분(48)의 표면(48a) 부근의 외주면(48b)측에는, 하방을 향해 돌출하는 길이방향을 향한 돌조(48c)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돌조(48c)의 이면측에, 길이방향을 향한 오목홈(5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오목홈(57)은, 직선 부분(48)과 연결 부분(47)의 경계 부근까지 연장되어 있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받이(10)의 업홀스터리 머티리얼(30)은, 메쉬재료에 의해 신축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업홀스터리 머티리얼(30)의 주변 가장자리부(30a)는 자루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안에 테두리재(58)(도 19 참조)가 삽입되어 재봉 부착되어 있다. 테두리재(58)는, 탄성을 갖는 합성 수지에 의해 가늘고 긴 평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업홀스터리 머티리얼(30)을 등 프레임(29)의 표면측에 인장 설치할 경우에는,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 연결 로드(45)의 끼움 결합 오목부(49)에 끼움 결합 부재(52)를 끼움 결합하고, 각각 나사에 의해 고정 부착한다.
다음으로, 주변 가장자리부(30a)에 테두리재(58)를 재봉 부착한 업홀스터리 머티리얼(30)을, 등 프레임(29)의 중간 연결 로드(45)보다 상측인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부(44)의 표면(44a) 측, 및 상측 프레임부(46)의 표면(46a) 측에 씌운 후, 도 19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업홀스터리 머티리얼(30)의 테두리재(58)를 적당한 힘으로 사이드 프레임부(44)의 외주면(44b) 측으로 인장한다. 그 다음에, 도 19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테두리재(58)를 오목홈(55)에 삽입한다. 마찬가지로 하여, 상측 프레임부(46)의 오목홈(55) 및 끼움 결합 부재(52)의 오목홈(56)에도 업홀스터리 머티리얼(30)의 주변 가장자리부(30a)에 있어서의 테두리재(58)를 삽입한다. 또한, 중간 연결 로드(45)의 직선 부분(48)의 오목홈(57)은, 후방을 향해 개구되어 있으므로, 업홀스터리 머티리얼(30)의 하부를 중간 연결 로드(45)의 하면을 따라 후방으로 인출한 후, 하방의 테두리재(58)를 오목홈(57)의 후방으로부터 삽입한다.
이로써, 테두리재(58)는, 업홀스터리 머티리얼(30)의 장력에 의해 등 프레임(29)의 중간 연결 로드(45)보다 상측인 사이드 프레임부(44) 및 상측 프레임부(46)의 표면측으로 인장되어, 테두리재(58)는 오목홈(55,56)에 걸림결합된다. 이로써, 업홀스터리 머티리얼(30)은 등 프레임(29)에 있어서의 상측 프레임부(46),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부(44) 및 중간 연결 로드(45)의 각각의 표면측에 인장 설치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중간 연결 로드(45)와 하측 프레임부(31)의 사이에는, 업홀스터리 머티리얼(30)이 인장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받이(10)와 시트(6)의 사이에는 전후로 연통되는 틈새(59)가 형성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한 의자는, 도 2에 나타내는 대기 상태, 즉 비사용상태에서는, 가압수단(12)의 가압력에 의해, 시트(6)의 후부가 상방으로 들어 올려져, 시트(6)는 후방으로 상향 경사하는 비사용위치에 위치하고 있으며, 등받이(10)는, 가압 이동 로드(23)의 신장에 의해, 거의 상방을 향하는 기립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착좌자가 착좌하려고 하면, 우선 착좌자의 둔부가, 상술한 바와 같이 시트(6)의 초기 맞닿음부(P)에 맞닿아, 시트(6)는 착좌자의 둔부와 함께, 가압수단(12)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도 3에 나타내는 사용위치까지 회동되고, 착좌자의 둔부를 안정 지지점까지 유도하여 착좌자는 신속하게 적정한 착좌자세를 취할 수가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착좌상태로부터, 착좌자가 등을 등받이(10)에 기대어 등을 후방으로 넘어가게 하면, 등받이(10)는, 가압 이동 로드(23)를 탄성 수축시키면서, 지지축(11)을 중심으로 하여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후방 경사위치까지 회동된다. 이러한 가압 이동 로드(23)의 탄성 수축의 초기에, 경질의 연결부(23d)가 축 핀(27)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 이동되고, 그 때의 좌우의 탄성 요곡부(23b,23b)에 있어서의 연결부(23d)에 대한 결합 부분이 약간 상하 방향으로 비틀리면서, 탄성 요곡부(23b,23b) 전체가, 도 9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좌우방향 외측을 향해 팽출하도록 탄성 요곡하는 동시에, 상하방향으로도 약간 사행(蛇行)하도록 탄성 변형한다.
착좌자가 등을 전방으로 되돌리면, 등받이(10)는, 가압 이동 로드(2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한 신장에 의해, 지지축(11)을 중심으로 하여 전방으로 회동되어, 원래의 기립위치까지 복귀된다.
도 3에 나타내는 착좌 상태로부터, 착좌자가 일어서려고 하면, 시트(6)는 탄성 신축 부재(13)와 탄성 요곡 부재(14)의 상승 작용에 의해, 비사용위치를 향해 상향 회동하도록 가압되어, 착좌자의 기립을 보조할 수 있다.
또, 본 의자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거둘 수 있다.
(a) 시트(6)의 상방으로의 가압 수단으로서 판 스프링(18)이 이용되므로, 가압 수단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으며, 비용 절감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판 스프링(18)에 의해, 시트(6)의 하면에 있어서의 피봇축(9)으로부터 떨어진 부분을 들어 올릴 수 있으므로, 시트(6)의 후부를 들어 올리는 힘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시트(6)의 기립 지원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b) 판 스프링(18)을 중간부에서 접으므로, 소형화가 가능하다. 또한, 판 스프링(18)의 시트(6)에 고정 부착된 부분으로부터, 지지 베이스(5)에 고정 부착된 부분까지의 길이를 크게 할 수 있으므로, 판 스프링(18)의 가동범위를 넓게 할 수 있는 동시에, 판 스프링(18)의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시트(6)의 하향 회동시에, 탄성 요곡부(18c)가 시트(6)의 하면을 따라 점차 후방으로 이행하도록 탄성 변형함으로써, 판 스프링(18)에 의한 시트(6)의 상향 가압력은, 시트(6)의 회동범위의 어느 위치에 있어서도 거의 균일하게 된다.
(c) 판 스프링(18)의 하편(18d)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폭을, 전방을 향해 점차 좁혔기 때문에, 판 스프링(18)의 하편(18d) 주위의 공간을 넓게 할 수 있어, 이 공간에 다른 부품을 수용할 수가 있다.
(d) 가압 수단을, 시트(6)의 하방에 설치된 좌우 한 쌍의 판 스프링(18)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였기 때문에, 좌우의 판 스프링(18,18)에 의해 시트(6)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동시에, 시트(6)의 가압력을 크게 할 수가 있다.
(e) 좌우의 판 스프링(18,18)을, 평면에서 볼 때 서로 후방을 향해 확대 개방하도록 설치하였기 때문에, 좌우의 판 스프링(18,18)에 의해, 시트(6)의 후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f) 등받이(10)의 좌우의 전향편(32,32)을 서로 확대 개방하도록 탄성 변형시키면서, 시트판(7)의 후측부의 끼움 결합 구멍(38)에, 등받이(10)의 전향편(32)의 돌출축(34)을 시트판(7)의 외측으로부터 끼움 결합하고, 돌출축(34)의 단면(34c)에, 시트판(7)의 내측으로부터 이탈방지부재(41)를 고정 부착하는 것만으로, 시트(6)와 등받이(10)를 회동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으므로, 작업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시트(6)와 등받이(10)의 걸림결합부는, 착좌부재인 쿠션재(8)에 의해 덮이므로, 외관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g)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부(44,44)에 있어서의 하측 프레임부(31)보다 상방의 부분들을, 중간 연결 로드(45)를 통해 서로 결합하였기 때문에, 등 프레임(29)의 강도를 높일 수가 있다. 또한, 중간 연결 프레임(45)과 하측 프레임부(31)의 사이에 앞뒤로 관통삽입하는 공간(59)이 형성되므로, 착좌자의 둔부 근방의 통기성을 양호하게 할 수가 있다.
도 22∼도 24는, 가압 이동 로드(23)로서 사용하는 압축 스프링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예의 압축 스프링(68)은, 상술한 가압 이동 로드(23)와 기본적인 구조는 같으며, 경질인 동시에 비가요성인 좌우 한 쌍의 다리편(68a, 68a)과, 양 다리편(68a)의 후단에 연장 설치된 좌우 한 쌍의 탄성 요곡부(68b,68b)와, 양 다리편(68a)의 후단부들을 연결하는 경질인 동시에 비가요성인 하방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는 연결편(68c)과, 양 탄성 요곡부(68b)의 후단부들을 연결하는 경질인 동시에 비가요성인 연결부(68d)로 이루어져 있다.
좌우의 탄성 요곡부(68b,68b)의 단면형상은, 이들을 포함하는 평면을 따른 방향인 의자의 좌우 방향으로 긴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며, 탄성 요곡부(68b) 전체는 편평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양 탄성 요곡부(68b)의 후부는, 측면에서 볼 때 약간 하방을 향해 원호형상으로 만곡되어, 하방으로도 비교적 크게 탄성 요곡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25는, 상기 압축 스프링(68)을 상기와 같은 의자에 장착하고, 등받이(10)를 후방으로 경사지게 했을 때의 측면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좌우의 탄성 요곡부(68b,68b)는 편평하게 되어 있고, 또한 후부를 하방을 향해 원호형상으로 만곡시키게 되어 있으므로, 양 탄성 요곡부(68b)는, 상술한 가압 이동 로드(23)에 비해, 하방으로 탄성 변형하기 쉽고, 지지 베이스(5)와 등받이(10)의 상대 이동량이 커지므로, 등받이(10)를 비교적 크게 후방으로 경사지게 할 수 있게 된다.
도 26은, 가압 이동 로드(23)로서 사용하는 압축 스프링의 다른 변형예를 구비하는 의자의 종단 측면도, 도 27은, 상기 압축 스프링과 시트의 하부 사이의 연계부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예의 압축 스프링(69)은, 경질인 동시에 비가요성인 다리편(70a)과, 다리편(70a)의 후단에 연장 설치된 평면에서 볼 때 외측을 향해 볼록한 원호형상인 탄성 요곡부(70b)와, 탄성 요곡부(70b)의 후단에 연장 설치된 경질인 동시에 비가요성인 연결부(70c)를 구비하는 좌우 한 쌍의 스프링 편(70,70)으로 이루어져 있다.
양 스프링편(70)의 다리편(70a,70a)의 전단부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이들 사이에 가스 스프링(17)의 전단부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축(15)에 의해 지지 베이스(5)에 피봇 부착되어 있다.
양 스프링편(70)의 연결부(70c, 70c)는, 이들 사이에 전후 방향을 향하는 링크(71)의 후단부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끼워 넣은 상태에서, 그 부분에 형성된 전후 방향을 향하는 긴 구멍(72)과, 양 연결부(70c)에 형성된 좌우 방향의 축 구멍(73)에 관통 삽입시킨 축 핀(74)에 의해, 등받이(10) 하부의 축받이편(26)에 피봇 부착되어 있다.
링크(71)의 전단부는, 시트판(7)의 하면에 부착된, 가스 스프링(17)의 후단부를 피봇 부착하는 부착부재(74)에, 축 핀(16)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축 핀(16)은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6)가 비사용위치에 있을 때, 긴 구멍(72)의 전단과 맞닿거나 또는 근접하며, 사용위치까지 시트(6)가 회동했을 때, 긴 구멍(72)의 후단부에 위치하게 되어 있다.
본 예의 압축 스프링(69)에 있어서의 좌우의 스프링 편(70,70)의 탄성 요곡부(70b,70b)도, 등받이(10)를 후방으로 경사지게 하면, 도 9에 나타내는 압축 스프링(23)과 마찬가지로, 좌우 방향 외측으로 탄성 변형하여 스프링력을 발휘한다.
또한, 시트(6)를 사용위치까지 회동시킨 상태에서, 등받이(10)를 후방으로 경사지게 하면, 양 탄성 요곡부(70b)가 탄성 변형함에 따라, 그 때까지 링크(71)의 긴 구멍(72)의 후단부에 위치하고 있었던 축 핀(74)이, 긴 구멍(72)의 전단과 맞닿을 때까지 전방으로 이동한다.
상기와 같은 링크(71)를 설치함으로써, 시트(6)에 대한 등받이(10)의 회동범위, 특히 최대 후방 경사량이 규제되는 동시에, 양 탄성 요곡부(70b)가 과도하게 탄성 변형하는 것이 방지되므로, 압축 스프링(69)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링크(71)를, 도 9나 도 22에 나타내는 일체 구조의 압축 스프링(23,68)을 이용한 의자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때는, 예컨대 축 핀(16,27)의 치수를 길게 하여, 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단부들을, 링크(71)를 통해 연결하면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착좌자의 기립을 지원하는 의자 외에,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받이(75)를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백 로드(76)의 전단부가 지지 베이스(77)에 회동가능하게 피봇 부착되어, 등받이(75)가 지지 베이스(77)를 중심으로 하여 후방으로 경사지도록 한 일반적인 의자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때에는, 상기 실시형태의 압축 스프링(23,68,69)의 전후의 단부를, 각각, 지지 베이스(77)의 후단과 등받이(75)의 하단부에, 압축 스프링(23,68,69)이 전후 방향을 향하도록 연결하면 된다. 한편, 도 28에 나타내는 의자 외에, 등받이가 시트의 후단부에 피봇 부착되어 있는 의자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압축 스프링(23,68,69)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의자에는, 통상적으로 등받이(29)의 가압 수단에 가스 스프링이 사용되지만, 본 발명과 같은 압축 스프링(23,68)을 사용하면, 중후감이 있는 가스 스프링이 시트의 하방으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의자의 외관이 양호해진다.
또한, 압축 스프링(23,68)은 가스 스프링에 비해 경량이며 저렴하기 때문에, 의자의 비용 및 질량이 절감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형 양태로의 실시가 가능하다.
예컨대,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질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시트판(7)의 하면에 있어서의 양측 전방부에, 판 스프링(18)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상편(18a)이 결합하도록, 시트판(7)과 판 스프링(18)을 일체로 성형하여도 무방하다. 시트판(7)에 있어서의 판 스프링(18)의 연장 설치부의 판 두께는, 상편(18a)을 일체로 성형한 분량만큼, 다른 부분보다 두께가 두꺼워져 강도가 확보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시트와 지지 베이스의 사이에 별도의 가압 수단을 설치하는 것에 비해, 부품 수 및 조립 부착을 위한 수고를 줄일 수 있어 비용적으로도 유리하게 된다.
또, 판 스프링(18)을 1개 또는 3개 이상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더욱이, 쿠션재(8) 대신에 경질의 착좌부재를 시트판(7)에 부착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10)

  1. 다리에 의해 지지된 지지 베이스와,
    상기 지지 베이스에, 좌우 방향을 향하는 피봇축을 통해 피봇 부착되며, 후부(後部)가 상하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한 시트와,
    상기 지지 베이스에 설치되며, 또한 시트에 있어서의 상기 피봇축보다 후부를 상향 가압하는 가압 수단
    을 구비하는 의자로서,
    상기 가압 수단을, 상기 지지 베이스에 있어서의 피봇축보다 하방의 부분과, 시트에 있어서의 피봇축보다 후방의 부분을 연결하는 탄성 신축 부재와, 상기 탄성 신축 부재의 양 측방에 있어서, 일단(一端)이, 시트의 하면에 고정 부착되고, 중간부가 탄성 요곡(撓曲)되며, 또한 타단(他端)이, 상기 지지 베이스에 있어서의 피봇축보다 하방인 부분에 고정 부착된 좌우 한 쌍의 탄성 요곡 부재를 구비하는 것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2. 제 1항에 있어서,
    탄성 신축 부재의 전단부(前端部)와 탄성 요곡 부재의 하측의 전단부를, 좌우 방향을 향하는 공통의 축을 통해 지지 베이스에 피봇 부착한, 의자.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좌우의 탄성 요곡 부재를, 평면에서 볼 때 서로 후방을 향해 확대 개방되도록 설치한, 의자.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탄성 요곡 부재를 판 스프링으로 하고, 그 일단부를 시트의 하면에 고정 부착하며, 또한 타단부를, 탄성 신축 부재의 전단부와 함께, 좌우 방향을 향하는 공통의 축을 통해 지지 베이스에 피봇 부착한, 의자.
  5. 제 4항에 있어서,
    탄성 요곡 부재에 있어서의 후부의 측면에서 볼 때 반(半)원호형상인 탄성 요곡부의 상면을, 시트의 하면에 맞닿게 하여, 시트의 하향 회동시에, 탄성 요곡 부재의 탄성 요곡부가 시트의 하면을 따라 후방으로 이행하도록 한, 의자.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판 스프링이, 시트에 고정 부착된 상부 부착부로부터 후방을 향하는 상편(上片)과, 상편의 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거의 반원호형상으로 만곡되고, 또한 상단이 시트의 하면에 맞닿도록 한 탄성 요곡부와, 상기 탄성 요곡부의 하단으로부터 전방 또는 전방 하방을 향하는 하편(下片)과, 하편의 전단에 설치되며, 또한 지지 베이스에 부착되는 하부 부착부로 이루어지고, 측면에서 볼 때 전방을 향해 개구되는 U자 형상으로 탄성 요곡된, 의자.
  7. 제 6항에 있어서,
    하편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폭을 전방을 향해 점차 좁힌, 의자.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성 신축 부재를 가스 스프링으로 한, 의자.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트의 후부에, 등받이의 하부를 좌우 방향을 향하는 지지축을 통해 피봇 부착하고, 상기 등받이를 기립 위치와 후방 경사 위치로 상기 시트에 대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하여, 지지 베이스에 있어서의 피봇축보다 하방의 부분과 등받이에 있어서의 상기 지지축보다 하방의 부분을, 전후 방향을 향하는 탄성 신축이 가능한 가압 이동 로드를 통해 연결하고, 시트의 하향 회동시에 가압 이동 로드가 등받이의 하단부를 후방으로 가압 이동시킴으로써, 등받이를 기립 상태로 유지하며, 또한 가압 이동 로드가 탄성 수축함으로써, 시트에 대한 등받이의 후방 경사를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가압 이동 로드의 전단부를, 탄성 신축 부재의 전단부와 탄성 요곡 부재의 하측의 전단부와 함께, 좌우 방향을 향하는 공통의 축을 통해 지지 베이스에 피봇 부착한, 의자.
  10. 제 9항에 있어서,
    가압 이동 로드를, 전단부가 상기 탄성 신축 부재의 양 측방에 있어서 지지 베이스에 고정 부착된 좌우 한 쌍의 다리편과, 양 다리편의 후단에 연장 설치된 탄성 요곡부와, 상기 탄성 신축 부재의 하방에 있어서 상기 양 다리편들을 연결하는 연결편을 구비하는 것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KR1020127032777A 2010-06-11 2011-06-09 의자 KR201301119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33751A JP5632204B2 (ja) 2010-06-11 2010-06-11 椅子
JP2010133750A JP5630810B2 (ja) 2010-06-11 2010-06-11 圧縮ばね及びそれを備える椅子
JP2010133748A JP5576186B2 (ja) 2010-06-11 2010-06-11 椅子
JPJP-P-2010-133866 2010-06-11
JPJP-P-2010-133747 2010-06-11
JPJP-P-2010-133753 2010-06-11
JP2010133752A JP5616134B2 (ja) 2010-06-11 2010-06-11 椅子
JPJP-P-2010-133748 2010-06-11
JPJP-P-2010-133752 2010-06-11
JP2010133866A JP5576187B2 (ja) 2010-06-11 2010-06-11 椅子
JP2010133749A JP5616133B2 (ja) 2010-06-11 2010-06-11 椅子
JPJP-P-2010-133751 2010-06-11
JPJP-P-2010-133750 2010-06-11
JPJP-P-2010-133749 2010-06-11
JP2010133753A JP5620158B2 (ja) 2010-06-11 2010-06-11 椅子の背凭れ
JP2010133747A JP5567402B2 (ja) 2010-06-11 2010-06-11 椅子
PCT/JP2011/063231 WO2011155557A1 (ja) 2010-06-11 2011-06-09 椅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1950A true KR20130111950A (ko) 2013-10-11

Family

ID=45098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2777A KR20130111950A (ko) 2010-06-11 2011-06-09 의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30169017A1 (ko)
EP (1) EP2580993A4 (ko)
KR (1) KR20130111950A (ko)
CN (1) CN102946762B (ko)
CA (1) CA2802187A1 (ko)
WO (1) WO20111555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75841A1 (en) 2012-01-11 2013-07-11 James W. Finck Reclining seat assembly
US11839577B2 (en) * 2012-12-20 2023-12-12 Pano Solutions Pty. Ltd. Mobile lifting system for disabled person
USD705561S1 (en) 2013-05-16 2014-05-27 Steelcase Inc. Chair
USD708466S1 (en) 2013-05-16 2014-07-08 Steelcase Inc. Chair
USD704945S1 (en) 2013-05-16 2014-05-20 Steelcase Inc. Chair
US10159350B2 (en) 2013-06-07 2018-12-25 Okamura Corporation Chair
US10259584B2 (en) * 2014-04-24 2019-04-16 B/E Aerospace, Inc. Aircraft seat with occupant weight sensing mechanism to adjust tilt-recline force
WO2015187037A1 (en) * 2014-06-06 2015-12-10 Zwaan Francis Paul A shock mitigation apparatus
GB2530297B (en) * 2014-09-18 2019-06-05 Perch Dynamic Solutions Ltd A chair back
CN106793875B (zh) * 2014-10-08 2020-11-06 雷克体育公众有限公司 折叠椅
CA2911817A1 (en) * 2014-11-11 2016-05-11 Pro-Cord S.P.A. A chair with seat and backrest movable in a synchronized way
US9883746B2 (en) * 2014-11-11 2018-02-06 Pro-Cord S.P.A. Chair with seat and backrest movable in a synchronized way
US11596235B2 (en) 2015-02-11 2023-03-07 Aaron DeJule Apparatus with weight responsive changeable adjusting characteristics
US10292498B2 (en) * 2015-02-11 2019-05-21 Aaron DeJule Apparatus with weight responsive changeable adjusting characteristics
JP6840675B2 (ja) 2015-03-14 2021-03-10 ハーマン、ミラ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Herman Miller Incorporated 椅子用の機械的組立体及びその機械的組立体を有する椅子
AU2016247797B2 (en) 2015-04-13 2019-08-01 Steelcase Inc. Seating arrangement
US10194750B2 (en) 2015-04-13 2019-02-05 Steelcase Inc. Seating arrangement
US11259637B2 (en) 2015-04-13 2022-03-01 Steelcase Inc. Seating arrangement
AT517446A1 (de) * 2015-07-09 2017-01-15 Innova Patent Gmbh Sessel für einen Sessellift
DE102016104638A1 (de) 2016-03-14 2017-09-14 Burkhard Schmitz Stuhl
CN205696722U (zh) * 2016-03-23 2016-11-23 吴耀全 一种座椅底座
CN106510268B (zh) * 2016-12-15 2022-11-15 永艺家具股份有限公司 一种便于休息的椅子
WO2018209316A1 (en) * 2017-05-12 2018-11-15 Rocking, Inc. Portable rebounding device
CA3063824C (en) * 2017-06-20 2022-10-11 Kokuyo Co., Ltd. Chair
US10383448B1 (en) 2018-03-28 2019-08-20 Haworth, Inc. Forward tilt assembly for chair seat
CN108835986A (zh) * 2018-07-04 2018-11-20 合肥欧语自动化有限公司 一种智能可按重力调节的椅子
CN109124905B (zh) * 2018-07-27 2020-11-03 泉州台商投资区集瑞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推车
DE102018219885B4 (de) * 2018-11-20 2022-02-03 Comfordy Co., Ltd. Synchronmechanik für ein Sitzmöbel und Sitzmöbel
US10780003B2 (en) 2019-01-04 2020-09-22 Haworth, Inc. Adjustable ergonomic chair
US11109683B2 (en) 2019-02-21 2021-09-07 Steelcase Inc. Body support assembly and method for the use and assembly thereof
US11357329B2 (en) 2019-12-13 2022-06-14 Steelcase Inc. Body support assembly and methods for the use and assembly thereof
US20230042761A1 (en) * 2019-12-30 2023-02-09 Inventor Group Gmbh Spring mechanism for a seating device
WO2021178206A1 (en) 2020-03-02 2021-09-10 Steelcase Inc. Body support assembly and methods for the use and assembly thereof
US11812870B2 (en) 2021-02-10 2023-11-14 Steelcase Inc. Body support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53737A (en) * 1942-09-14 1944-07-18 Lorenz Anton Chair
GB1343305A (en) * 1971-04-01 1974-01-10 Werner P G Adjustable resiliently hinged device for chairs and the like
US4380352A (en) * 1979-06-11 1983-04-19 Knoll International, Inc. Reclining chair
DE8326792U1 (de) * 1983-09-17 1984-01-05 Fromme, Heinrich, 4815 Schloß Holte-Stukenbrock Stuhl, insbesondere drehstuhl
JPH0531965Y2 (ko) 1987-01-19 1993-08-17
US4889385A (en) * 1988-03-09 1989-12-26 American Seating Company Chair seat-and-back support
JPH0520199Y2 (ko) * 1988-11-30 1993-05-26
JPH0449958Y2 (ko) * 1989-09-26 1992-11-25
DE4326609C2 (de) * 1993-08-07 1996-03-28 Taipei Design Center Duesseldo Bürodrehstuhl
IT245520Y1 (it) * 1998-07-16 2002-03-22 Beniamino Miotto Dispositivo meccanico particolarmente per la movimentazione sincronadi sedile e schienale di una sedia.
JP2001029169A (ja) * 1999-07-23 2001-02-06 Takano Co Ltd 椅子の支持装置
US6869142B2 (en) * 2002-09-12 2005-03-22 Steelcase Development Corporation Seating unit having motion control
US6752458B1 (en) * 2002-12-13 2004-06-22 Tropitone Furniture Co., Inc. Rocking chair
JP4473590B2 (ja) 2004-01-28 2010-06-02 株式会社岡村製作所 リクライニング椅子
JP4846218B2 (ja) 2004-09-22 2011-12-28 株式会社岡村製作所 リクライニング椅子における背凭れの傾動装置
JP4933153B2 (ja) * 2006-05-30 2012-05-16 タカノ株式会社 シンクロニーチルト機構
JP4379538B1 (ja) 2008-10-07 2009-12-09 沖電気工業株式会社 椅子用リンク機構、椅子
JP2010104562A (ja) 2008-10-30 2010-05-13 Okamura Corp 椅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69017A1 (en) 2013-07-04
WO2011155557A1 (ja) 2011-12-15
EP2580993A1 (en) 2013-04-17
EP2580993A4 (en) 2013-11-27
CN102946762A (zh) 2013-02-27
CA2802187A1 (en) 2011-12-15
CN102946762B (zh) 2015-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11950A (ko) 의자
JP6170428B2 (ja) 異形可撓性背もたれ付き着座構造体
US9414684B2 (en) Tilting type chair
US20200085195A1 (en) Chair
JP6527623B1 (ja) 椅子
JP4919376B2 (ja) 背もたれ付き椅子
JP5479801B2 (ja) 背凭れの支持構造
US20130300079A1 (en) Reclining loop frame stacking / swivel chair
JP5567402B2 (ja) 椅子
US11297951B2 (en) Chair whose seat swings in a front-rear direction and a left-right direction
JP4792234B2 (ja) 椅子
CA3063824C (en) Chair
KR200472419Y1 (ko) 의자
US11202509B2 (en) Chair
JP5616134B2 (ja) 椅子
JP5616133B2 (ja) 椅子
JP6777281B2 (ja) 椅子
JP5576186B2 (ja) 椅子
JP5620158B2 (ja) 椅子の背凭れ
JP5632204B2 (ja) 椅子
JP5088726B2 (ja) 椅子
JP5630810B2 (ja) 圧縮ばね及びそれを備える椅子
JP5576187B2 (ja) 椅子
JP2017169965A (ja) 椅子
JP5182739B2 (ja) 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