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0995A - 차량용 글랜스 라이트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글랜스 라이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0995A
KR20130110995A KR1020120033405A KR20120033405A KR20130110995A KR 20130110995 A KR20130110995 A KR 20130110995A KR 1020120033405 A KR1020120033405 A KR 1020120033405A KR 20120033405 A KR20120033405 A KR 20120033405A KR 20130110995 A KR20130110995 A KR 201301109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light
glan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3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1656B1 (ko
Inventor
권대우
박문수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3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1656B1/ko
Priority to EP12165382.8A priority patent/EP2644430B1/en
Priority to JP2012099895A priority patent/JP5597670B2/ja
Priority to CN201210128595.XA priority patent/CN103359118B/zh
Priority to US13/458,969 priority patent/US9201504B2/en
Publication of KR20130110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0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1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1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1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9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information is handled, e.g. showing information on plural displays or prioritising information according to driv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8Information management
    • B60K2360/186Displaying information according to relevancy
    • B60K2360/1868Displaying information according to relevancy according to driving situ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33Illumination features
    • B60K2360/331Electroluminescent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33Illumination features
    • B60K2360/334Projec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운전자에 의하여 조작 가능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와, 차량 운행의 차량 안전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감지 정보를 감지하는 차량 감지부와, 차량 운행의 안전을 판단하는 안전 기준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기준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입력부, 상기 차량 감지부 및 상기 저장부와 연결되고, 상기 차량 감지부의 상기 차량 감지 정보 및 상기 저장부의 상기 차량 기준 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에게 차량 운행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와, 및 차량의 운전자 시야 범위 내로 운전자의 운행 전방 주의 시야 범위 외곽에 배치되어 운전자의 전방 주의력을 유지하되 빛의 정보를 직관 인지하도록, 상기 차량 운행 정보에 대응하는 빛을 출력하도록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글랜스 라이트 제어 신호에 따라 빛을 출력하는 글랜스 라이트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글랜스 라이트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글랜스 라이트 장치{VEHICULAR GLANCE LIGH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차량의 운행 정보를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고 배경 화면으로서 출력하는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단순한 운송 수단을 넘어 다양한 편의 시설이 제공되는 종합적인 일상 편의 장치로 활용되고 있다. 종래의 자동차에는 차량의 운행 정보, 예를 들어 차량의 안전에 관한 정보 내지 차량의 공조 유니트 등의 편의 시설의 작동 상태를 운전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되었다.
특히, 차량의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문자 내지 아이콘 타입의 정보 출력하는 LCD 디스플레이와 같은 전장 장치들이 제공되고 있다. 또한, 운전자의 전방 주의력 분산을 줄이기 위하여 차량의 윈드 쉴드에 직접 문자 내지 아이콘의 정보를 표시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도 생산 내지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궁극적으로 정보 제공을 위하여 세분화된 문자 내지 아이콘의 표시를 이루어 운전자로 하여금 직접적인 주시를 요한다. 이러한 운전자의 주의력 요구를 문자 내지 아이콘의 인식의 경우 상당한 시간이 요구된다. 즉, 시각적인 인식하고, 이를 뇌내에서 정보로서 인지하는 과정에는 상당한 시간이 요구되며, 특히 차량의 고속 주행의 경우 수 초의 주의력 분산은 차량 안전에 상당한 위험 요소로 작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운전자의 전방 주의력 분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량 운행에 필수적이거나 최소화된 차량 운행 정보를 운전자의 주의력을 요하지 않고 시각적으로 배경으로 인식되도록 하여 시선 분산을 방지하되 신속한 정보 전달을 통한 운전자 주의 기능을 포함하도록, 차량 운행 정보를 배경 화면으로서의 빛으로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차량용 글랜스 라이트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 운전자에 의하여 조작 가능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와, 차량 운행의 차량 안전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감지 정보를 감지하는 차량 감지부와, 차량 운행의 안전을 판단하는 안전 기준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기준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입력부, 상기 차량 감지부 및 상기 저장부와 연결되고, 상기 차량 감지부의 상기 차량 감지 정보 및 상기 저장부의 상기 차량 기준 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에게 차량 운행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와, 및 차량의 운전자 시야 범위 내로 운전자의 운행 전방 주의 시야 범위 외곽에 배치되어 운전자의 전방 주의력을 유지하되 빛의 정보를 직관 인지하도록, 상기 차량 운행 정보에 대응하는 빛을 출력하도록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글랜스 라이트 제어 신호에 따라 빛을 출력하는 글랜스 라이트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글랜스 라이트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차량용 글랜스 라이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 감지부는 차량 실내 온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감지 정보는 차량 실내 온도를 포함하는 차량 공조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글랜스 라이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 감지부는 차량의 주행 중 전방 차량 간격 거리를 감지하는 차량 전방 거리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안전 정보는, 상기 차량 전방 거리 센서로부터의 전방 차량 거리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글랜스 라이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 감지부는 차량의 주행 중 차선 상태를 감지하는 차선 감지 영상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안전 정보는, 상기 차선 감지 영상 센서로부터의 차선 감지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글랜스 라이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 감지부는 차량의 측면 사각 지대에 장애물 여부 및 장애물과의 상대 속도를 감지하는 사각 지대 장애물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안전 정보는, 상기 사각 지대 장애물 감지 센서로부터의 차량 측면 사각 지대에서의 장애물 정보 및 장애물 상대 속도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글랜스 라이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글랜스 라이트부는: 차량의 대시 보드에 배치되는 프론트 이너 글랜스 라이트와, 차량의 전방 필러에 배치되는 사이드 이너 글랜스 라이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글랜스 라이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글랜스 라이트부는: 차량의 사이드 뷰 미러의 운전자를 향한 단부에 배치되는 사이드 뷰 글랜스 라이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글랜스 라이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글랜스 라이트부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의 스티어링 휠 림에 배치되는 스티어링 휠 림 글랜스 라이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차량 운전자에 의하여 조작 가능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와, 차량 운행의 차량 안전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감지 정보를 감지하는 차량 감지부와, 차량 운행의 안전을 판단하는 안전 기준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기준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입력부, 상기 차량 감지부 및 상기 저장부와 연결되고, 상기 차량 감지부의 상기 차량 감지 정보 및 상기 저장부의 상기 차량 기준 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에게 차량 운행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와, 및 차량의 운전자 시야 범위 내로 운전자의 운행 전방 주의 시야 범위 외곽에 배치되어 운전자의 전방 주의력을 유지하되 빛의 정보를 직관 인지하도록, 상기 차량 운행 정보에 대응하는 빛을 출력하도록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글랜스 라이트 제어 신호에 따라 빛을 출력하는 글랜스 라이트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글랜스 라이트 장치를 제공하는 제공 단계와, 상기 제어부의 감지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감지부가 차량 안전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감지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 단계와, 상기 감지부의 차량 감지 정보와 상기 저장부의 차량 기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글랜스 라이트부를 통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할 차량 운행 정보에 따른 출력 모드를 설정하는 모드 설정 단계와, 상기 모드 설정 단계에서 설정된 출력 모드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글랜스 라이트부로 글랜스 라이트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모드 실행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글랜스 라이트 장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차량용 글랜스 라이트 장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설정 단계는: 상기 감지 단계에서의 차량 감지 정보를 처리하여 차량 감지 정보의 변화를 추출하는 감지 정보 처리 단계와, 상기 감지 정보 처리 단계에서 추출된 차량 감지 정보의 변화 중 차량 안전 정보 변화 여부를 판단하는 안전 감지 변화 판단 단계와, 상기 안전 감지 변화 판단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출력 모드를 안전 모드와 편의 모드 중 선택하는 모드 선택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글랜스 라이트 장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 감지부에는 차량의 주행 중 전방 차량 간격 거리를 감지하는 차량 전방 거리 센서, 차량의 주행 중 차선 상태를 감지하는 차선 감지 영상 센서 및 차량의 측면 사각 지대에 장애물 여부 및 장애물과의 상대 속도를 감지하는 사각 지대 장애물 감지 센서, 그리고 차량의 스티어링 휠의 회전 각도를 감지하는 조향각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차량 안전 정보는 상기 차량 전방 거리 센서로부터의 전방 차량 거리 정보, 상기 차선 감지 영상 센서로부터의 차선 감지 정보, 상기 사각 지대 장애물 감지 센서로부터의 차량 측면 사각 지대에서의 장애물 정보 및 장애물 상대 속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 모드는, 차량의 차간 거리의 안전 여부를 경고하는 크루즈 경고, 차량 주행중 차선 이탈 여부를 경고하는 차선 이탈 경고, 및 차량의 측면에서의 장애물 여부와 해당 장애물과의 상대 속도를 경고하는 사각 지대 영역 경고 모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글랜스 라이트 장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 사전 설정 저장되는 상기 차량 기준 정보는, 전방 차량과의 최소 안전 거리(dmax), 차량의 조향 여부를 판단하는 최소 조향 각도와, 상기 차량 감지 정보에 대응하여 사전 설정된 빛의 색상 정보 내지 주기 정보를 포함하는 사전 설정 글랜스 라이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차량 거리 정보와 최소 안전 거리를 비교하는 차간 거리 비교 단계와, 상기 차간 거리 비교 단계에서, 상기 전방 차량 거리 정보가 상기 최소 안전 거리 이상인 경우, 차량의 스티어링 휠의 조향 각도와 상기 최소 조향 각도를 비교하고 차량의 턴 인디케이터의 신호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조향 의도 판단 단계와, 상기 조향 의도 단계에서, 상기 조향 각도가 상기 최소 조향 각도 이상이고 차량의 턴 인디케이터의 작동 방향으로 조향된 경우, 차량의 조향 방향 측면에서의 장애물 여부를 판단하는 사각 지대 영역 장애물 판단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글랜스 라이트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글랜스 라이트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은, 차량의 운행에 관련된 차량 운행 정보를 운전자의 시야 범위에서의 배경 화면으로서의 빛의 출력을 이루어 운전자의 전방 주의력을 분산 내지 저해하지 않고 신속한 인지를 가능하게 하여 운전자의 주행시 대응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글랜스 라이트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은, 운전자의 집중 시야 범위 밖에 위치하는 글랜스 라이트부를 통하여 배경 화면으로서의 빛의 색상 내지 출력 주기를 통하여 시각적 인지를 통하여 전방 주의력을 저해하지 않고 신속하게 대응하도록 할 수 있고, 글랜스 라이트부는 콘솔 글랜스 라이트 내지 프론트/사이드 이너 글랜스 라이트를 통하여 배경 화면으로서의 빛의 정보와 함게 배향 정보를 포함하도록 하여 운전자에게 신속한 대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글랜스 라이트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은, 운전자의 집중 시야 범위 밖에 위치하는 글랜스 라이트부를 통하여 배경 화면으로서의 빛의 색상 내지 출력 주기를 통하여 시각적 인지를 통하여 전방 주의력을 저해하지 않고 신속하게 대응하도록 할 수 있고, 글랜스 라이트부는 사이드 뷰 미러 글랜스 라이트를 통하여 단순 경보를 넘어, 사각 지대 영역을 포함하는 측면 영역에서의 상대 차량 존재 내지 상대 속도 정보 내지 긴급 정도를 취득하도록 하여 운전자에게 신속한 대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글랜스 라이트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은, 운전자의 집중 시야 범위 밖에 위치하는 글랜스 라이트부를 통하여 배경 화면으로서의 빛의 색상 내지 출력 주기를 통하여 시각적 인지를 통하여 전방 주의력을 저해하지 않고 신속하게 대응하도록 할 수 있고, 글랜스 라이트부의 각각의 작동 모드에 대한 제어 과정을 통하여 크루즈 경고, 차선 이탈 경고, 사각 지대 장애물 경고 등과 같은 차량 안전 정보 제공과 더불어, 차량의 운행시 차량의 공조 장치 내지 네비게이션 장치 등과의 연동으로 편의 모드를 실행을 통한 운전자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글랜스 라이트 장치의 개략적인 선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글랜스 라이트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 선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글랜스 라이트 장치의 글랜스 라이트부에 대한 개략적인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글랜스 라이트 장치의 프론트 이너 글랜스 라이트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글랜스 라이트 장치의 사이드 이너 글랜스 라이트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글랜스 라이트 장치의 사이드 뷰 미러 글랜스 라이트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글랜스 라이트 장치의 사이드 뷰 미러 글랜스 라이트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상태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글랜스 라이트 장치의 사이드 뷰 미러 글랜스 라이트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상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글랜스 라이트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글랜스 라이트 장치의 스티어링 휠 림 글랜스 라이트의 개략적인 상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글랜스 라이트 장치의 스티어링 휠 림 글랜스 라이트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차량용 글랜스 라이트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글랜스 라이트 장치(10)는 차량에 장착되어 운전자로 하여금 현재 차량의 운행에 대한 차량 안전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감지 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에게 차량 운행의 안전한 주행 내기 편의성을 제공하는 차량 운행 정보를 빛으로서 제공한다.
차량용 글랜스 라이트 장치(10)는 입력부(200)와 차량 감지부(100)와, 저장부(30)와, 제어부(20)와, 글랜스 라이트부(300)를 포함하는데, 차량용 글랜스 라이트 장치(10)는 입력부(200) 내지 차량 감지부(100)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운전자에게 차량 운행 정보를 제공한다.
입력부(200)는 차량 운전자에 의하여 조작 가능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데, 본 실시예에서 입력부(200)는 차량의 센터 페시아(도 3 참조)에 배치되는 유니트 콘솔 타입으로 구현되나 입력부(200)는 차량 스티어링 휠에 배치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200)는 콘솔 하우징(201)을 구비하는데, 각각의 세부적인 입력부(200)는 콘솔 하우징(201)에 가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로터리 스위치 타입으로 구현되는 로터리 스위치(210)와 푸시 버튼 타입의 버튼 스위치(220)를 포함하는데, 입력부(200)는 운전자의 조작 입력을 통하여 제어부로 소정의 입력 신호를 제공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로터리 스위치(210)의 하부에는 엔코더 타입의 각도 센서가 배치되고 운전자 등에 의하여 인가되는 로터리 스위치(210)의 로터리 노브의 회동 상태는 로터리 스위치(210)를 통하여 제어부(20)로 전달될 수 있다. 버튼 스위치(220)는 푸시 스위치 타입의 택트 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다. 로터리 스위치 및/내지 버튼 스위치(220)의 전기적 신호의 변화는 입력부 내지 글랜스 라이트부의 일부가 배치되는 콘솔 타입의 차량용 글랜스 라이트 장치(10)를 통하여 제어부(20)로 전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로터리 스위치는 콘솔 하우징(201)의 내부에 전기 모터를 구비하여 소정의 햅틱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로터리 스위치 및 버튼 스위치 등의 입력부를 통하여 운전자의 조작 선택에 의한 작동 신호는 하기되는 제어부(20)를 통하여 각각의 작동 유니트(50)로 전달된다. 작동 유니트(50)는 공조 유니트(51)와 네비게이션 유니트(53) 등과 같이 차량에 구비되는 각종 편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감지부(100)는 차량 운행의 차량 안전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감지 정보를 감지한다. 차량 감지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 감지부(110)와 주행 감지부(120)와 편의 감지부(130)를 포함하는데, 안전 감지부(110)는 차량 주행의 안전과 관련된 차량 안전 정보의 차량 감지 정보를 취득하고, 주행 감지부(120)는 차량 운행의 주행 정보의 차량 감지 정보를 취득하고, 편의 감지부(130)는 차량 관련 편의 장치 등의 활용을 위한 차량 감지 정보를 취득한다.
안전 감지부(110)는 차량 전방 거리 센서(111)와, 차선 감지 영상 센서(113)와 사각 지대 장애물 거리 센서(115)를 포함한다. 차량 전방 거리 센서(111)는 차량 주행시 전방에서 주행하는 상대 차량과의 상대 거리를 감지하는데, 차량 전방 거리 센서(111)는 레이저 센서 내지 초음파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차선 감지 영상 센서(113)는 차량의 사이드 뷰 미러(미도시)의 하단 내지 차량의 측면에 배치되어 차량의 주행시 도로 노면 영상, 즉 차량 주행시 차선을 포함하는 도로 노면 영상을 취득하는데, CCD 카메라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각 지대 장애물 거리 센서(115)는 차량의 측면 내지 측후방에 배치되어 운전자에 의하여 시각적 인지가 어려운 사각 지대 영역에서의 장애물, 즉 상대 차량의 존재 여부 및 상대 차량과의 상대 거리 내지 상대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사각 지대 장애물 거리 센서(115)는 레이저 센서 내지 초음파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주행 감지부(120)는 차량의 주행에 관련된 차량 감지 정보를 취득하는 차량 감지부로서, 주행 감지부(120)는 차속 센서(121) 및 조향각 센서(123) 내지 차량의 엔진의 크랭크 포지션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주행 감지부의 차속 센서(121) 내지 크랭크 포지션 센서(미도시)를 통하여 차량의 주행 여부 내지 차량의 차속을 감지할 수 있다. 조향각 센서(123)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 연결되어 운전자에 의한 차량의 스티어링 휠의 회전 각도 내지 회전 속도를 감지하여 현재 운전자에 의하여 조향된 조향 각도 내지 조향 여부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편의 감지부(130)는 차량의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상태 내지 입력을 감지하는 차량 감지부로서, 편의 감지부(130)는 차량 공조 유니트와 연계되는 온도 센서(131) 및 차량의 절대 위치를 감지하는 GPS 센서(133)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센서(131)는 차량의 실내 온도를 감지하여 공조 유니트(51)의 제어시 활용 가능하고, GPS 센서(133)는 차량의 절대 위치를 감지하여 네비게이션 유니트(53)와 같은 작동 유니트의 작동 실행시 활용 가능한 차량 감지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저장부(30)는 하기되는 제어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차량 감지부(100)를 통하여 감지되는 차량 감지 정보를 통한 현재 차량의 안전 내지 편의 작동을 위하여 현재 차량의 상태 내지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한 차량 운행 정보를 신속하게 빛으로 전달할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차량 기준 정보를 사전 설정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30)는 상기한 바와 같은 콘솔 타입의 차량용 글랜스 라이트 장치의 내부에 내장 배치될 수도 있고, 이격되어 차량의 다른 구성에 배치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제어부(20)는 저장부(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입력부(200), 차량 감지부(100) 등과도 연결되어, 차량 감지부(100)의 차량 감지 정보 및 저장부(30)의 차량 기준 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에게 빛으로서 전달하여야 할 차량 운행 정보 생성 여부 판단 및 생성을 담당한다.
글랜스 라이트부(300)는 제어부(20)를 통하여 입력되는 차량 운행 정보에 따라 소정의 빛을 출력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집중적인 주시가 아닌 배경 화면으로서의 빛의 변화를 통하여 운전자가 운전에 필요한 안전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운행 정보를 제공하여, 운전자의 전방 주의력을 분산시키지 않고 신속한 대응을 가능하게 하여 운전자의 안전 운전을 도모하고 신속한 조작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글랜스 라이트부(300)는 빛의 출력을 통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차량 운행 정보를 신속하고 직관적으로 인지하도록 함에 목적이 있으며, 이는 운전자의 전방 주의력을 저해하지 않는 배경 화면으로서의 빛의 출력이라는 점에서 글랜스 라이트부(300)의 배치 위치는 도 3에 도시된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종래의 헤드업 디스플레이 내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한 빛의 출력은 문자 정보 내지 특정 상황에 대한 아이콘을 표시하는 점에서 운전자의 정보 인식 과정에서 상당한 주의력이 요구됨으로써 운전자의 전방 주의력 상실 시간이 상당하여 안전 사고 발생 가능성이 상당하다는 문제점이 수반되나, 본 발명에 따른 글랜스 라이트부(300)를 포함하는 차량용 글랜스 라이트 장치는 운전자가 주시하는 시야 범위에서의 빛의 출력 색상 내지 빛의 출력 패턴(시간 내지 주기) 등의 변화를 통한 출력을 이루어 운전자에게 배경 화면으로서의 빛의 전달을 이룸으로써 운전자에게 별도의 집중 시간을 요구하지 않아 차량 운행 중 전방 주의력 상실 가능성을 방지 내지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도 3에는 운전자가 운전석에 착석하는 경우 차량 운행을 위하여 차량 윈드 쉴드 글래스(windshield glass)를 통하여 전방 도로를 주시하는 경우의 운전자의 시야 범위가 도시된다. 운전자의 시야 범위는 전방 시야 배경 범위(Aw), 사이드 시야 범위(ASL,ASR), 전방 시야 배경 교차 범위(AD) 및 전방 집중 시야 범위(AR)를 포함하는데, 전방 시야 배경 범위(Aw)는 전방 시야 배경 교차 범위(AD)의 외곽에 배치되고, 전방 시야 배경 교차 범위(AD)는 전방 집중 시야 범위(AR)에 포함된다. 전방 집중 시야 범위(AR)는 운전자가 차량 주행하는 경우 전방 차량 내지 전방 노면 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상당한 주의력을 갖고 집중하는 영역을 나타내고, 전방 시야 배경 교차 범위(AD) 및 전방 시야 배경 범위(Aw)는 운전자가 차량 주행하는 경우 배경 화면과 같은 흐릿한 영상으로 뇌내 인식되는데, 선명도는 전방 시야 배경 범위(Aw)에서의 영상보다 전방 시야 배경 교차 범위(AD)에서의 영상이 보다 선명한다.
또한, 전방 시야 배경 범위(Aw)의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좌측 사이드 시야 범위(ASL) 및 우측 사이드 시야 범위(ASR)는 운전자의 좌우측의 각각의 영역에 대한 시야 범위로서 운전자가 차선을 바꾸거나 사이드뷰 미러(4)를 통하여 해당 측면의 영상을 인지하기 위하여 시야를 측면 이동시키는 경우 인지하게 되는 영역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글랜스 라이트부(300)는 콘솔 글랜스 라이트(310)와, 프론트 이너 글랜스 라이트(320)와, 사이드 이너 글랜스 라이트(330)와, 사이드뷰 글랜스 라이트(34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콘솔 글랜스 라이트(310)는 전방 시야 배경 범위(Aw)에, 프론트 이너 글랜스 라이트(320) 및 사이드 이너 글랜스 라이트(330;330L,330R)는 전방 시야 배경 교차 범위(AD)에, 그리고 사이드뷰 글랜스 라이트(340)는 사이드 시야 범위(ASL,ASR)에 배치되는 구성을 취하여 운전자가 각각의 글랜스 라이트부(300)로 주의력을 집중하지 않더라도 운전자는 글랜스 라이트부(300)를 통하여 출력되는 빛의 출력 패턴 내지 색상을 통하여 차량의 운행 주의력을 분산시키지 않고 운행에 필요한 차량 운행 정보를 신속하게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솔 글랜스 라이트(31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솔 하우징(201)에 장착되는 로터리 스위치(210)의 외주에 배치될 수 있는데, 콘솔 글랜스 라이트(310)는 전방 시야 배경 범위(Aw)에 배치될 수 있다. 콘솔 글랜스 라이트(310)는 콘솔 글랜스 라이트 소스(미도시)와 콘솔 글랜스 라이트 가이드(미도시)를 포함하는데, 콘솔 글랜스 라이트 소스는 LED와 같은 광원으로 구현되고, 콘솔 글랜스 라이트 가이드는 링 타입의 도광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콘솔 글랜스 라이트 소스는 콘솔 하우징(201)의 내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미도시)에 배치되어 제어부로부터의 전기적 신호에 따라 소정의 빛을 출력할 수 있고, 콘솔 글랜스 라이트 소스로부터 출력되는 빛은 콘솔 글랜스 라이트 가이드를 통하여 외부로 출력되어 차량 운행 정보를 운전자로 하여금 시각적으로 인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콘솔 글랜스 라이트 소스는 센터 페시아 등에 배치되는 콘솔 하우징(201)에 배치되는 구성을 도시하였으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스티어링 휠(2)에 배치되는 스티어링 휠 콘솔 글랜스 라이트(310a)의 구성을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프론트 이너 글랜스 라이트(320) 및 사이드 이너 글랜스 라이트(330)는 운전자가 전방을 바라보는 경우 전방 시야 배경 교차 범위(AD)에 배치되어 전방 시야 배경 범위(Aw)에 배치되는 콘솔 글랜스 라이트(310)로부터 출력되는 빛보다는 보다 선명하게 인식할 수 있다. 프론트 이너 글랜스 라이트(320) 및 사이드 이너 글랜스 라이트(330)는 차량의 대시 보드(dashboard) 및 전방 필러(pillar)에 배치된다. 프론트 이너 글랜스 라이트(3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대시 보드에 배치되는데, 프론트 이너 글랜스 라이트(320)는 전방 시야 배경 교차 범위(AD)에 배치된다. 프론트 이너 글랜스 라이트(320)는 LED 등의 광원을 포함하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이너 글랜스 라이트(320)의 일예가 도 4에 도시된다.
프론트 이너 글랜스 라이트(320)는 프론트 이너 글랜스 라이트 커버(321)와 프론트 이너 글랜스 라이트 베이스(323)와 프론트 이너 글랜스 기판(327) 및 프론트 이너 글랜스 라이트 소스(329)를 포함한다. 프론트 이너 글랜스 라이트 커버(321)의 적어도 일부는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차량의 대시 보드(2)에 형성되는 대시 보드 장착부(2a)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프론트 이너 글랜스 라이트 커버(321)와 프론트 이너 글랜스 라이트 베이스(323)는 체결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프론트 이너 글랜스 기판(327)이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LED로 구현되는 프론트 이너 글랜스 라이트 소스(329)가 프론트 이너 글랜스 기판(327)의 일면 상에 배치되어 프론트 이너 글랜스 라이트 커버(321)를 향하여배치되는데, 프론트 이너 글랜스 라이트 베이스(323)에는 프론트 이너 글랜스 라이트 베이스 격벽(325)이 배치되어 프론트 이너 글랜스 라이트 기판(327)의 안정적인 지지 및 강성을 보강하고, 프론트 이너 글랜스 라이트 베이스 커넥터(324)를 통하여 외부 전기 장치와 전기적 소통을 이룰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프론트 이너 글랜스 라이트 소스(329)는 LED로 구현되는데, 사양에 따라 다른 광원이 배치될 수도 있으나 내구성 및 극한 환경 상에서의 안정적인 가동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차량의 특성상 LED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프론트 이너 글랜스 라이트 커버(321)는 프론트 이너 글랜스 라이트 소스(329)로부터 출력되는 빛의 조사 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구성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프론트 이너 글랜스 라이트 커버(321)에는 프론트 이너 글랜스 라이트 커버 투과부(322)가 구비되는데, 프론트 이너 글랜스 라이트 커버 투과부(322)는 커버 투과 전방 경사부(322a)와 커버 투과 전방 배면부(322b)를 포함한다. 커버 투과 전방 경사부(322a)는 경사면이 도면 부호 A인 차량의 전방, 즉 윈드 쉴드 글래스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커버 투과 전방 배면부(322b)는 차량의 대시 보드가 이루는 평면에 대하여 거의 45도 이상의 각도를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취하여 프론트 이너 글랜스 라이트 소스(329)로부터 출사되는 빛은 커버 투과 전방 경사부(322a)를 투과하여 조사됨으로써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고 운전자로 하여금 운전자 시야 상에서의 배경 화면 위치에서의 빛의 출력을 통한 차량 운행 정보 인식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커버 투과 전방 배면부(322b)는 프론트 이너 글랜스 기판(327)에 배치되는 프론트 이너 글랜스 라이트 소스(329)로부터 출력되는 빛에 대하여 빛의 입사면이 소정의 둔각을 이룸으로써 프론트 이너 글랜스 라이트 소스로부터 입사되는 빛의 상당 부분이 전반사되거나 또는 차단되어 외부로 출력되는 빛의 투과율이 상당히 낮게 형성됨으로써 운전자의 시야로 직사되는 빛을 감소 내지 차단시켜 운전자 시야 방해를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 명시되지는 않았으나 커버 투과 전방 경사부(322a)의 표면에는 미세 패턴이 형성되어 프론트 이너 글랜스 라이트 소스(329)로부터 출사되는 빛이 원활하게 외부로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프론트 이너 글랜스 라이트 소스(329)로부터 출력되는 빛은 상당부분 커버 투과 전방 경사부(322a)를 통하여 출사되고 커버 투과 전방 배면부(322b)를 통한 빛의 출사는 상당 부분 저지 내지 차단되어 운전자의 시야로의 직접적인 빛의 전달을 방지하여 운전 전방 집중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즉, LED와 같은 자발광 소자의 특성상 빛의 직진성이 강하여 운전자의 눈으로 직접 조사되는 빛이 전달되는 경우 운전자의 시야 방해를 유발하여 안전 사고 발생 가능성이 제기될 수 있는바, 프론트 이너 그랜스 라이트 소스(329)로부터 출력되는 빛은 커버 투과 전방 경사부(322a)를 통하여 차량의 전방의 윈드 쉴드 글래스를 향하여 출력되더라도 운전자의 시야 범위에서의 전반적인 빛의 출력 상태를 배경 화면으로서 인지 가능하다.
한편, 사이드 이너 글랜스 라이트(330)는 차량의 전방 필러(3)에 배치된다. 사이드 이너 글랜스 라이트(330)는 프론트 이너 글랜스 라이트(320)와 유사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사이드 이너 글랜스 라이트(330)는 사이드 이너 글랜스 라이트 커버(331)와 사이드 이너 글랜스 라이트 베이스(333)와 사이드 이너 글랜스 기판(337)와 사이드 이너 글랜스 라이트 가이드(336) 및 사이드 이너 글랜스 라이트 소스(339)를 포함한다. 사이드 이너 글랜스 라이트 커버(331)의 적어도 일부는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차량의 전방 필러(pillar, 3)에 형성되는 필러 장착부(3a)를 통하여 차량의 실내 측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사이드 이너 글랜스 라이트 커버(331)와 사이드 이너 글랜스 라이트 베이스(333)는 체결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사이드 이너 글랜스 라이트 베이스(333)의 일면에는 리브(335)가 형성되어 사이드 이너 글랜스 라이트 가이드(336)를 지지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사이드 이너 글랜스 기판(337)이 커버 및 베이스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LED로 구현되는 사이드 이너 글랜스 라이트 소스(339)가 사이드 이너 글랜스 기판(337)의 일면 상에 배치되어 사이드 이너 글랜스 라이트 가이드(336)를 향하여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사이드 이너 글랜스 라이트 소스(339)는 LED로 구현되는데, 사양에 따라 다른 광원이 배치될 수도 있으나 내구성 및 극한 환경 상에서의 안정적인 가동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차량의 특성상 LED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이드 이너 글랜스 라이트 소스(339)로부터 출사되는 빛은 사이드 이너 글랜스 라이트 가이드(336)를 통하여 전달되고 사이드 이너 글랜스 라이트 커버(331)를 통하여 운전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사이드 이너 글랜스 라이트 가이드(336)의 일면에는 돌기 내지 요홈과 같은 라이트 가이드 패턴(336a)이 형성되어 이를 통한 빛의 출사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프론트 이너 그랠ㄴ스 라이트 커버의 경우와 동일하게, 운전자를 향한 직접적인 조사로 인한 시야 저해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사이드 이너 글랜스 라이트 커버(331)는 사이드 이너 글랜스 라이트 소스(339)로부터 출력되는 빛의 조사 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구성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게, 사이드 이너 글랜스 라이트 커버(331)에는 사이드 이너 글랜스 라이트 커버 투과부(332)가 구비되는데, 사이드 이너 글랜스 라이트 커버 투과부(332)는 커버 투과 전방 경사부(332a)와 커버 투과 전방 배면부(332b)를 포함한다. 커버 투과 전방 경사부(332a)는 경사면이 도면 부호 B인 차량의 전방, 즉 윈드 쉴드 글래스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커버 투과 전방 배면부(332b)는 차량의 대시 보드가 이루는 평면에 대하여 거의 45도 이상의 각도를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취하여 사이드 이너 글랜스 라이트 소스(339)로부터 출사되는 빛은 커버 투과 전방 경사부(332a)를 투과하여 조사됨으로써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고 운전자로 하여금 운전자 시야 상에서의 배경 화면 위치에서의 빛의 출력을 통한 차량 운행 정보 인식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커버 투과 전방 배면부(332b)는 사이드 이너 글랜스 기판(337)에 배치되는 사이드 이너 글랜스 라이트 소스(339)로부터 출력되는 빛에 대하여 빛의 입사면이 소정의 둔각을 이룸으로써 사이드 이너 글랜스 라이트 소스로부터 입사되는 빛의 상당 부분이 전반사되거나 또는 차단되어 외부로 출력되는 빛의 투과율이 상당히 낮게 형성됨으로써 운전자의 시야로 직사되는 빛을 감소 내지 차단시켜 운전자 시야 방해를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 명시되지는 않았으나 커버 투과 전방 경사부(332a)의 표면에는 미세 패턴이 형성되어 사이드 이너 글랜스 라이트 소스(339)로부터 출사되는 빛이 원활하게 외부로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사이드 이너 글랜스 라이트 소스(339)로부터 출력되는 빛은 상당부분 커버 투과 전방 경사부(332a)를 통하여 출사되고 커버 투과 전방 배면부(332b)를 통한 빛의 출사는 상당 부분 저지 내지 차단되어 운전자의 시야로의 직접적인 빛의 전달을 방지하여 운전 전방 집중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즉, LED와 같은 자발광 소자의 특성상 빛의 직진성이 강하여 운전자의 눈으로 직접 조사되는 빛이 전달되는 경우 운전자의 시야 방해를 유발하여 안전 사고 발생 가능성이 제기될 수 있는바, 사이드 이너 그랜스 라이트 소스(339)로부터 출력되는 빛은 커버 투과 전방 경사부(332a)를 통하여 차량의 전방의 윈드 쉴드 글래스를 향하여 출력되더라도 운전자의 시야 범위에서의 전반적인 빛의 출력 상태를 배경 화면으로서 인지 가능하다.
또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글랜스 라이트부(300)는 사이드 뷰 글랜스 라이트(34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사이드 뷰 글랜스 라이트(340)는 차량의 사이드 뷰 미러(4)에 배치되는데, 사이드 뷰 글랜스 라이트(340)는 차량의 사이드 뷰 미러(4)의 운전자를 향한 단부에 배치되어 운전자가 측면 주행 상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선을 사이드 뷰 미러(4) 측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의 사이드 시야 범위(ASL,ASR) 내에 존재하도록 배치된다. 도 6에는 차량의 사이드 뷰 미러(4)가 도시되는데, 사이드 뷰 미러(4)의 전방에는 차량의 주행 방향을 알리기 위한 턴 시그널을 출력하는 턴 인디케이터(5)가 배치될 수 있다. 사이드 뷰 미러(4)는 뷰 미러(6)가 배치되는데, 본 발명의 사이드 뷰 글랜스 라이트(340)는 사이드 뷰 미러(4)의 하단에 배치된다.
사이드 뷰 글랜스 라이트(340)는 사이드 뷰 미러(4)의 하단에 형성되는 뷰 미러 하단부(4a)에 장착된다. 사이드 뷰 글랜스 라이트(340)는 사이드 뷰 글랜스 라이트 커버(341)와 사이드 뷰 글랜스 라이트 베이스(343)와 사이드 뷰 글랜스 기판(345)와 사이드 뷰 글랜스 라이트 가이드(347)와 사이드 뷰 글랜스 라이트 소스(349)를 포함한다. 사이드 뷰 글랜스 기판(345)은 사이드 뷰 글랜스 라이트 커버(341)와 사이드 뷰 글랜스 라이트 베이스(343)가 이루는 공간에 배치되는데, 사이드 뷰 글랜스 라이트 베이스(343)에 형성되는 커넥터를 통하여 사이드 뷰 글랜스 기판(345)은 외부 전기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사이드 뷰 글랜스 기판(345)의 일면 상에 하나 이상의 사이드 뷰 글랜스 라이트 소스(349)가 배치된다. 사이드 뷰 글랜스 라이트 소스(349)와 사이드 뷰 글랜스 라이트 커버(341) 사이에는 사이드 뷰 글랜스 라이트 소스(349)로부터 출력되는 빛은 안정적으로 출력시키는 도광 재료로 형성되는 사이드 뷰 글랜스 라이트 가이드(347)가 배치된다. 사이드 뷰 글랜스 라이트 가이드(347)는 앞서 사이드 이너 글랜스 라이트 가이드에 기술된 바와 같이 표면에 미세 돌기와 같은 패턴이 형성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사이드 뷰 글랜스 라이트(340)는 조립된 후, 사이드 뷰 미러(4)의 하단에 형성되는 뷰 미러 하단부(4a)에 장착되는데, 이의 동작 상태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할 수 있다. 즉, 운전자가 일 방향으로 조향하고자 스티어링 휠을 회동시켜 발생하는 조향 각도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신호를 이용하거나 또는 차량에 장착되는 턴 시그널 램프를 가동시키는 경우, 해당 측면에 배치되는 사각 지대 장애물 감지 센서는 조향 방향으로의 사각 지대 영역 내에 장애물로서의 상대 차량의 존재 내지 상대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사각 지대에서의 장애물 정보 및 장애물 상대 속도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안전 정보로서의 차량 감지 정보는 제어부(20)로 전달되고, 제어부(20)는 저장부(30)에 저장되는 차량 기준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의 차량 운행 정보를 사이드 뷰 글랜스 라이트에 전달하여 빛의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의 실시예에서 사이드 뷰 글랜스 라이트 소스는 다섯 개가 배치되는데, 사이드 뷰 글랜스 라이트 소스의 점등은 해당 조향 방향에서의 사각 지대 영역 내 장애물로서의 상대 차량이 존재하는 것을 의미하고, 차량에 가까운 쪽은 상대 차량과의 상대 속도가 큰 것을 그리고 차량으로부터 먼 쪽은 상대 차량과의 상대 속도가 작은 것을 의미하는 구성을 취한다. 이 경우, 개개의 사이드 뷰 글랜스 라이트 소스의 색상을 상이하게 하는 구성을 취하여 상대 속도가 큰 경우 적색 계열로 그리고, 상대 속도가 작은 경우 청색 계열의 빛을 출력하도록 하여 긴급도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앞서 기술된 사이드 뷰 글랜스 라이트 소스를 통한 상대 속도의 표현은 출력되는 사이드 뷰 글랜스 라이트 소스의 차량과의 근접 위치로 표현하였으나, 점등되는 사이드 뷰 글랜스 라이트 소스의 점등 개수로 표현될 수도 있는 등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사이드 뷰 글랜스 라이트 소스는 LED로 구현되었으나, 경우에 따라 다른 라이트 소스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이한 색상을 표현할 수 있는 면발광 형태의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dode)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면발광 타입의 사이드 뷰 글랜스 라이트 소스를 통하여 운전자에게 직관적인 신속한 배경화면으로서의 빛의 출력을 허용하여 운전자의 측면 안전 사고 발생 가능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사이드 뷰 글랜스 라이트의 배치 위치는 사이드 뷰 미러의 하단으로 기술되었으나,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이드 뷰 미러(6)를 둘러싸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고, 사이드 뷰 미러(6)의 일부 테두리를 둘러싸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때, 사이드 뷰 글랜스 라이트에 구비되는 사이드 뷰 글랜스 라이트 가이드는 광섬유 형태로 구현되어 일단에서 LED로 구현되는 사이드 뷰 글랜스 라이트 소스로부터 출력되는 빛이 광섬유 형태의 사이드 뷰 글랜스 라이트 가이드로 전달되어 출력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이때, 사이드 뷰 글랜스 라이트 가이드의 표면에는 상기 도 5에 언급된 바와 같이 표면에 복수 개의 미세 돌기와 같은 패턴이 형성되는 구조를 취하여 빛의 보다 원활한 출사를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 차량 감지부는 제어부로 차량 감지 신호를 전달하고 제어부는 단일 구조로 도시되었으나, 제어부가 복수 개가 구비되고 개개의 모듈형 구조에 개별 탑재되는 모듈형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즉, 차량의 주행시 전방 차량과의 안전 거리를 감지하는 크루즈 기능을 담당하는 전방 차간 거리 센서로부터 차량 감지 신호로서의 전방 차량 거리 정보를 입력받고 전방 차량 간격 판단을 통하여 안전 경보를 출력하도록 크루즈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크루즈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하는 크루즈 모듈(미도시), 차선 상태를 감지하는 차선 감지 영상 센서로부터 차선 감지 정보를 입력받아 차선 이탈 경보를 판단하여 안전 경보를 출력하도록 차선 이탈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차선 이탈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하는 차선 이탈 제어 모듈(미도시), 사각 지대 장애물 여부 및 상대 속도를 감지하는 사각 지대 장애물 감지 센서로부터 사각 지대 장애물 정보를 입력받아 사각 지대 추돌 위험을 경보하는 안전 경보를 출력하도록 사각 지대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사각 지대 제어 모듈(미도시)을 개별적으로 구비하고, 각각의 크루즈 모듈, 차선 이탈 제어 모듈, 사각 지대 제어 모듈이 통합 형태의 제어부로 차량 감지 신호 내지 차량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판단된 소정의 신호를 전달하여 통합 형태의 제어부가 글랜스 라이트부로 운전자에게 빛의 형태로 차량 운행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글랜스 라이트 장치(10)의 제어 방법은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글랜스 라이트 장치(10)의 방법은 제공 단계(S10), 감지 단계(S20), 모드 설정 단계(S30), 모드 실행 단계(S40)를 포함한다. 제공 단계(S10)에서 상기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글랜스 라이트 장치(10)가 제공되는데,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상기한 차량용 글랜스 라이트 장치(10)에 대한 기술로 대체한다. 차량용 글랜스 라이트 장치(10)가 제공된 후 감지 단계(S20)에서 제어부(20)는 차량 감지부(100)를 통하여 감지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차량 감지부(100)에서 감지되는 차량 감지 정보를 입력받는다. 차량 감지 정보는 차량의 안전에 관한 차량 안전 정보를 포함한다. 차량 안전 정보는 전방 차량과의 차간 거리, 사각 지대 영역 내 장애물의 존재 내지 장애물과의 상대 속도 내지 차량 주행시 차선의 이탈 정보를 포함하고, 차량 감지 정보는 차량 안전 정보 이외 차량의 공조 유니트를 가동시키기 위한 차량 실내 온도 정보, 차량의 주행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나타내기 위한 네비게이션 유니트에 사용되는 GPS 정보 등을 포함한다.
감지 단계(S20)가 실행된 후 , 제어부(20)는 모드 판단 단계(S30)를 실행하는데, 모드 판단 단계(S30)는 감지 단계(S20)에서 감지된 차량 감지 정보와 저장부(30)에 저장되는 차량 기준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차량용 글랜스 라이트 장치를 통하여 빛으로 출력되어야 할 차량 운행 정보의 출력 모드를 판단하고 설정한다. 모드 설정 단계(S30)는 감지 정보 처리 단계(S31)와 안전 감지 변화 판단 단계(S33)와 모드 선택 단계(S35)를 포함한다. 감지 정보 처리 단계(S31)에서 제어부(20)는 감지 단계(S20)에서 감지된 차량 감지 정보의 변화를 추출한다. 제어부(20)는 차량 전방 거리 센서, 차선 감지 영상 센서 및 사각 지대 장애물 감지 센서 등의 차량 감지부로부터의 차량 감지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차량의 전방에서의 상대 차량과의 전방 거리, 차량 주행의 도로 노면에서의 차선 확인, 및 사각 지대 내 장애물의 존재 및 상대 속도를 산출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감지 정보 처리 단계(S31)는 차간 거리 연산 단계(S311), 차선 영상 추출 단계(S313), 사각 지대 영역 장애물 존재 및 상대 속도 산출 단계(S315)를 포함한다. 차간 거리 연산 단게(S311)에서 제어부(20)는 차량 전방 거리 센서로부터의 감지 신호를 신호처리하고 연산부(40)로 하여금 연산하는 연산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전방 차량과의 상대 거리를 연산 추출한다. 차선 영상 추출 단계(S313)에서 차선 감지 영상 센서부터 출력되는 영상 정보를 신호 처리하고 이로부터 차선 정보를 추출한다. 사각 지대 영역 장애물 존재 및 상대 속도 산출 단계(S315)에서 제어부(20)는 사각 지대 장애물 감지 센서의 감지 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사각 지대 영역 내 상대 차량의 존재 및 상대 차량과의 상대 속도를 산출한다. 거리 센서로부터의 거리 내지 상대 속도 산출 및 영상 센서로부터의 영상 처리 등은 공지된 사항인바 본 실시예에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감지 정보 처리 단계(S31)가 실행된 후, 제어부(20)는 안전 감지 판단 단계(S33)를 실행한다. 즉, 감지되고 신호처리된 각각의 차량 감지 정보 중 차량 안전과 관련된 차량 안전 정보가, 차량 기준 정보 대비하여 운전자에게 차량 운행 정보로서의 안전 경고를 필요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단계 S31에서 신호처리된 차량 안전 정보를 저장부(30)에 저장된 차량 기준 정보와 비교하여 안전 정보와 관련된 항목 중 하나라도 안전 경고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 제어부(20)는 현재 실행되어야 할 작동 모드를 안전 모드르 판단 설정하고(SS5), 반대로 차량 안전 정보 중 하나라도 차량 기준 정보 대비 안전 경고가 필요없다고 판단된 경우 제어부(20)는 실행되어야 할 작동 모드를 편의 모드로 판단하여 소정의 작동 모드를 설정(S36)하는 모드 선택 단계(S34)를 실행한다.
단계 S34에서 제어부(20)가 현재 작동하여 선택된 모드를 편의 모드라고 판단한 경우(S36), 제어부(20)가 입력부(20)를 통하여 입력되는 운전자의 조작 상태에 따른 편의 모드를 실행한다. 이때, 편의 모드 실행을 위한 글랜스 라이트부로부터 출력되는 빛에 대한 정보는 저장부(30)에 사전 설정 저장되는데, 이러한 빛에 대한 정보는 저장부(30)에 사전 설정 글랜스 라이트 정보로 저장된다. 즉, 사전 설정 글랜스 라이트 정보는, 차량의 실내 온도에 대응하여 운전자에게 반대되는 시각적 인지를 형성하도록 설정된 색상 정보 내지 네비게이션 유니트의 작동시 선행하는 교차로에서의 진행되어야 하는 방향으로의 빛의 출력 내지 차량 속도 영역 정보에 대한 빛의 출력 기능 등 편의 기능에 대한 차량 운행 정보를 빛의 형태로 출력하기 위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전 설정 글랜스 라이트 정보는, 차량 공조 유니트와 연계되는 경우 현재 차량 실내의 온도가 높은 경우 운전자에게 시원한 느낌을 제공하도록 청색 계열의 빛을 출력하도록 현재 차량 실내와는 다른 시각적 느낌을 제공하도록 설정된 색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전 설정 글랜스 라이트 정보는, 네비게이션 유니트와 연계되는 경우 도로 주행 경로 상 앞서 다가올 교차로에서의 차량의 주행 방향을 표시하기 위한 색상 내지 출력 주기를 포함하는 색상 및 주기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고, 차량의 주행 속도 정보, GPS 정보 및 저장부에 저장되는 네비게이션 맵 상의 도로 속도 제한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에서의 차량의 주행 속도가 도로 속도 제한 정보를 기준으로 초과하는 경우, 도로 속도 제한 정보이하의 속도이되 근접한 속도 영역에 배치되는 경우, 도로 속도 제한 정보보다 훨씬 작은 속도 영역에 배치되는 경우에 대하여 운전자에게 시각적 경고를 실행하기 위한 색상 내지 출력 주기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단계 S34에서 제어부(20)가 현재 작동하여 선택된 모드를 안전 모드로 설정한 경우(S35), 제어부(20)는 세부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즉, 안전 모드의 세부 모드로는 전방 차량과의 거리를 경고하는 크루즈 경고 모드, 차량 주행 중 차선 이탈 여부를 경고하는 차선 이탈 경고 모드 및 차량의 측면에서의 장애물 여부 및 해당 장애물과의 상대 속도를 경고하는 사각 지대 영역 경고 모드를 포함한다. 안전 모드 설정 단계(S35)는 세부 모드 판단 단계(S351)와 세부 모드 설정 단계(S353)을 포함하는데, 세부 모드 판단 단계(S351)는 차간 거리 비교 단계(S3511)와 조향각 비교 단계(S3513)와 사각 지대 영역 장애물 판단 단계(S3515)를 포함한다. 저장부(30)에 저장되는 차량 기준 정보는 전방 차량과의 최소 안전 거리를 나타내는 최소 안전 거리(dmax), 차량의 조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최소 조향 각도(θ)를 포함하고, 차량 감지 정보에 대응하여 사전 설정된 빛의 색상 정보 내지 주기 정보를 포함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배경 화면으로부터 인지되는 빛의 색상 내지 주기를 통하여 현재 차량의 운행 정보에 관하여 출력되는 작동 모드가 어느 것인지를 용이하게 인지하고 현재 차량의 운행 정보를 통하여 신속한 차량 주행 대응을 이루도록 하는 사전 설정 글랜스 라이트 정보를 포함한다.
차간 거리 비교 단계(S3511)에서 제어부(20)는 차량 전방 거리 센서(111)에서 감지된 전방 차량 거리 정보(d)와 최소 안전 거리(dmax)를 비교한다. 단계 S3511에서 제어부(20)가 전방 차량 거리 정보(d)가 최소 안전 거리(dmax) 미만이라고 판단한 경우, 제어부(20)는 제어 흐름을 단계 S3513으로 진행하고 반면 제어부(20)가 전방 차량 거리 정보(d)가 최소 안전 거리(dmax) 이상이라고 판단한 경우, 제어부(20)는 세부 안전 모드를 크루즈 경고 모드로 설정하는 크루즈 경고 모드 설정 단계(S3535)를 실행한다.
단계 S3511에서 제어부(20)가 전방 차량 거리 정보(d)가 최소 안전 거리(dmax) 미만이라고 판단한 경우, 제어부(20)는 조향 의도 판단 단계(S3513)을 실행한다. 단계 S3513에서 제어부(200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의 조향 각도(θ)와 최소 조향 각도(θmin)를 비교하고 턴 인디케이터(5)의 온(ON) 상태 여부를 판단하여 운전자의 조향 의도를 판단한다(S3513). 단계 S3513를 통하여 제어부(20)는 현재 차량의 스티어링 휠의 조향이 운전자의 조향 의도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데, 단계 S3513에서 제어부(20)가 차량의 스티어링 휠의 조향 각도(θ)가 최소 조향 각도(θmin)보다 크고 턴 인디케이터(5)의 작동 상태가 ON 상태인 경우 제어부(20)는 운전자의 조향 의도가 명확하게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제어 흐름을 단계 S3515로 전달한다. 반면, 단계 S3513에서 제어부(20)가 차량의 스티어링 휠의 조향 각도(θ)가 최소 조향 각도(θmin)이하이거나 턴 인디케이터(5)의 작동 상태가 ON 상태가 아닌 경우 제어부(20)는 운전자의 조향 의도가 명확하게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고 제어 흐름을 단계 S3533으로 전달하여 세부 모드 설정 단계(S353)에서 세부 모들 차선 이탈 경고 모드로 설정하는 차선 이탈 경고 모드 설정 단계(S3533)를 실행하여 후속적으로 모드 실행 단계(S40) 시 차선 감지 영상 센서로부터의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차선 이탈이 발생한 경우 사전 설정 글랜스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안전 경고를 실행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3513에서 제어부(20)가 차량의 스티어링 휠의 조향 각도(θ)가 최소 조향 각도(θmin)보다 크고 턴 인디케이터(5)의 작동 상태가 ON 상태라고 판단한 경우, 제어부(20)는 사각 지대 영역 장애물 판단 단계(S3515)를 실행한다. 제어부(20)는 사각 지대 영역 장애물 판단 단계(S3515)에서 조향 각도 센서로부터의 산출된 조향 방향으로의 사각 지대 영역 내 장애물, 즉 상대 차량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사각 지대 영역이라 함은, 운전자의 시야가 가려지는 영역, 즉, 차량의 필러(pillar) 등에 의하여 운전자의 시야에서 가려지는 영역 내지 사이드 뷰 미러를 통하여 시각 확인이 곤란한 측면 영역을 지칭하한, 본 실시예에서 기술된 사각 지대 영역은, 경우에 따라서는 차량의 측면 내지 측면 후방 영역 내지 측면 전방 영역을 포함하는 것으로, 운전자에 의하여 사이드 뷰 미러(6)를 통하여 인지 가능한 차량의 측면 영역도 포함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단계 S3515에서 제어부(20)가 사각 지대 영역을 포함하는 측면 영역에 상대 차량이 존재한다고 판단한 경우, 제어부(20)는 제어 흐름을 S3531로 전달하여 실행되어야 할 세부 안전 모드를 사각 영역 경고 모드로 설정하는 사각 영역 경고 모드 설정 단계(S3531)을 실행하고, 단계 S3515에서 제어부(20)가 사각 지대 영역을 포함하는 측면 영역에 상대 차량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 제어 흐름을 단계 S20으로 진행하여 감지 단계를 반복한다.
이와 같은 제어 흐름을 통하여 세부 안전 모드 설정 단계(S353)에서 각각의 세부 안전 모드가 설정된 후, 제어부(20)는 저장부(30)에 저장된 사전 설정 글랜스 라이트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의 세부 안전 모드에 대한 빛의 출력 기능을 실행하여 운전자에게 차량 운행 정보를 제공한다.
그런 후, 제어부(20)는 모드 실행 단계(S40)에서 세부 안전 모드 내지 편의 모드 중 각각 선택된 소정의 작동 모드를 실행하여, 필요시 콘솔 글랜스 라이트, 프론트/사이드 이너 글랜스 라이트, 사이드 뷰 글랜스 라이트를 모두 내지 선택적으로 가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 글랜스 라이트부는 콘솔 하우징, 스티어링 휠의 중앙부위, 대시 보드 및 전방 필러 내지 사이드 뷰 미러에 배치되는 구성을 일실시예들로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의 글랜스 라이트부는 스티어링 휠의 림(8)에 배치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즉, 도 17 및 도 18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스티어링 휠 림 글랜스 라이트(350)가 배치되는데, 스티어링 휠 림 글랜스 라이트(350)는 단수 개가 구비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대시 보드/전방 필러에 배치되는 프론트 이너 글랜스 라이트/사이드 이너 글랜스 라이트의 구조와 유사하게 3개가 배치되어 각각이 차량 운행 정보를 빛으로 출력하는 경우 안전 경고의 배향을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스티어링 휠 림 글랜스 라이트(350)는 스티어링 휠 림(8)에 연결 내지 일체로 형성되는 빛의 투과가 가능한 림 커버(351)가 배치되고 림 커버(351)는 중앙에 내부 공간(3511)을 형성한다. 림 커버(351)의 내부 공간(3511)에는 다른 구성요소들이 배치되는데, 스티어링 휠 림 글랜스 라이트(350)는 스티어링 휠 림 글랜스 라이트 가이드(355), 스티어링 휠 림 글랜스 라이트 코어(353), 스티어링 휠 림 글랜스 기판(358), 스티어링 휠 림 글랜스 라이트 소스(359)를 포함한다. 림 커버(351)는 적어도 운전자를 향한 일면에 빛의 출사를 가능하도록 반투명 내지 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티어링 휠 림 글랜스 라이트 코어(353)는 내부 공간(3511)에 삽입 고정되는데, 스티어링 휠 림 글랜스 라이트 코어(353)는 스티어링 휠 림 글랜스 라이트 가이드(355) 및 스티어링 휠 림 글랜스 기판(358)을 위치 고정시킨다. 스티어링 휠 림 글랜스 라이트 코어(353)의 내부에는 코어 공간(3535)가 형성되고 코어 공간(3535)의 내주에는 코어 기판 장착부(3537)이 형성된다. 코어 기판 장착부(3537)에 스티어링 휠 림 글랜스 기판(358)이 장착된다. 스티어링 휠 림 글랜스 기판(358)은 배선(미도시)을 통하여 제어부(20) 등의 외부 전기 장치와 연결된다. 스티어링 휠 림 글랜스 라이트(359)는 스티어링 휠 림 글랜스 기판(358)의 일면 상에 배치된다. 스티어링 휠 림 글랜스 라이트(359)로부터 출사되는 빛은 스티어링 휠 림 글랜스 라이트 가이드(355)를 통하여 외부로 출력되는데, 스티어링 휠 림 글랜스 라이트 가이드(355)는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고, 가요성 평판 구조를 형성하여 스티어링 휠 림 글랜스 라이트 코어(353)에 장착 삽입되는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스티어링 휠 림 글랜스 라이트 가이드(355)의 일단(357)은 스티어링 휠 림 글랜스 라이트 코어(353)의 코어 측면 관통구(3531)을 통하여 삽입 장착되고 코어 공간(3535)에 삽입된다. 코어 공간(3535)에 삽입된 스티어링 휠 림 글랜스 라이트 가이드(355)의 일단은 코어 라이트 가이드(3571)에 장착된다. 코어 라이트 가이드(3571)은 코어 라이트 가이드 장착부(3573)을 구비하고 코어 라이트 가이드 장착부(3573)은 스티어링 휠 림 글랜스 기판(358)에 형성된 림 글랜스 기판 장착부(3581)에 삽입 장착된다. 코어 라이트 가이드는 도광 재료로 형성되는데, 스티어링 휠 림 라이트 소스(359)의 상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스티어링 휠 림 라이트 소스(359)에서 출사되는 빛은 코어 라이트 가이드(3571) 및 스티어링 휠 림 그랜스 라이트 가이드(355)를 거쳐 외부로 출력된다. 스티어링 휠 림 라이트 가이드(355)의 일면에는 미세 돌기와 같은 미세 패턴이 형성되어 일단(357)을 통하여 전달되는 스티어링 휠 림 라이트 소스(359)로부터 출력되는 빛이 외부로 원활하게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티어링 휠 림 글랜스 라이트(350)는 세 개가 배치되어 스티어링 휠의 중립 상태를 기준으로 전방, 좌우측을 표시하여 배향성을 나타내도록 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이러한 배향성은 스티어링 휠의 조향에 따라 조정될 수 도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조향각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조향각도를 연산하여 현재 차량 스티어링 휠의 회전 각도를 연산할 수 있고 연산된 각도로부터 현재 스티어링 휠의 회전 상태를 파악 가능하므로, 차량 스티어링 휠이 180도 회전한 경우 좌우 배향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출력되는 빛은 반전되어 180도 회전된 상태에 대응하여 출력되도록 선택될 수도 있다. 즉, 중립 상태에서 전방 배향은 도면 부호 350c로 나타내는 스티어링 휠 림 글랜스 라이트가, 우측 배향은 도면 부호 350R로, 그리고 좌측 배향은 도면 부호 350L로 지시되는 스티어링 휠 림 글랜스 라이트가 출력하는 경우, 스티어링 휠이 180도 회전한 경우, 좌측 및 우측 배향을 나타내는 각각의 스티어링 휠 림 글랜스 라이트는 350R 및 350L로 지시되는 라이트가 각각 담당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배향의 변화는 차량이 저속 운행하는 경우 해당되며, 고속 주행의 경우 스티어링 휠의 회전 범위는 상당히 작기 때문에 이와 같은 배향의 변화가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이러한 배향의 변화가 운전자에게 혼동을 일으킬 수도 있으므로 차량의 스티어링 휠이 회전 상태에 있는 경우 내지는 설정되는 최소 회전 각도 범위를 넘어 회전이 이루어지는 경우 이와 같은 배향 표시를 차단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들로,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에서, 차량의 차선 이탈 경고, 크루즈 경고, 내지 사각 지대 장애물 경고 등의 기능과 연동하는 것으로 기술되었으나, 차량 운전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운전자 상태 모니터링 기능 등과 연계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차량의 운행 정보를 운전자의 시야 범위에서의 배경 화면에서의 빛의 형태로 구현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10...차량용 글랜스 라이트 장치 20...제어부
30...저장부 40...연산부
100... 차량용 감지부 200...입력부
300...글랜스 라이트부

Claims (12)

  1. 차량 운전자에 의하여 조작 가능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와,
    차량 운행의 차량 안전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감지 정보를 감지하는 차량 감지부와,
    차량 운행의 안전을 판단하는 안전 기준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기준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입력부, 상기 차량 감지부 및 상기 저장부와 연결되고, 상기 차량 감지부의 상기 차량 감지 정보 및 상기 저장부의 상기 차량 기준 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에게 차량 운행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와, 및
    차량의 운전자 시야 범위 내로 운전자의 운행 전방 주의 시야 범위 외곽에 배치되어 운전자의 전방 주의력을 유지하되 빛의 정보를 직관 인지하도록, 상기 차량 운행 정보에 대응하는 빛을 출력하도록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글랜스 라이트 제어 신호에 따라 빛을 출력하는 글랜스 라이트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글랜스 라이트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감지부는 차량 실내 온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감지 정보는 차량 실내 온도를 포함하는 차량 공조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글랜스 라이트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감지부는 차량의 주행 중 전방 차량 간격 거리를 감지하는 차량 전방 거리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안전 정보는, 상기 차량 전방 거리 센서로부터의 전방 차량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글랜스 라이트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감지부는 차량의 주행 중 차선 상태를 감지하는 차선 감지 영상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안전 정보는, 상기 차선 감지 영상 센서로부터의 차선 감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글랜스 라이트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감지부는 차량의 측면 사각 지대에 장애물 여부 및 장애물과의 상대 속도를 감지하는 사각 지대 장애물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안전 정보는, 상기 사각 지대 장애물 감지 센서로부터의 차량 측면 사각 지대에서의 장애물 정보 및 장애물 상대 속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글랜스 라이트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글랜스 라이트부는:
    차량의 대시 보드에 배치되는 프론트 이너 글랜스 라이트와,
    차량의 전방 필러에 배치되는 사이드 이너 글랜스 라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글랜스 라이트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글랜스 라이트부는:
    차량의 사이드 뷰 미러의 운전자를 향한 단부에 배치되는 사이드 뷰 글랜스 라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글랜스 라이트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글랜스 라이트부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의 스티어링 휠 림에 배치되는 스티어링 휠 림 글랜스 라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글랜스 라이트 장치.
  9. 차량 운전자에 의하여 조작 가능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와, 차량 운행의 차량 안전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감지 정보를 감지하는 차량 감지부와, 차량 운행의 안전을 판단하는 안전 기준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기준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입력부, 상기 차량 감지부 및 상기 저장부와 연결되고, 상기 차량 감지부의 상기 차량 감지 정보 및 상기 저장부의 상기 차량 기준 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에게 차량 운행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와, 및 차량의 운전자 시야 범위 내로 운전자의 운행 전방 주의 시야 범위 외곽에 배치되어 운전자의 전방 주의력을 유지하되 빛의 정보를 직관 인지하도록, 상기 차량 운행 정보에 대응하는 빛을 출력하도록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글랜스 라이트 제어 신호에 따라 빛을 출력하는 글랜스 라이트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글랜스 라이트 장치를 제공하는 제공 단계와,
    상기 제어부의 감지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감지부가 차량 안전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감지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 단계와,
    상기 감지부의 차량 감지 정보와 상기 저장부의 차량 기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글랜스 라이트부를 통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할 차량 운행 정보에 따른 출력 모드를 설정하는 모드 설정 단계와,
    상기 모드 설정 단계에서 설정된 출력 모드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글랜스 라이트부로 글랜스 라이트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모드 실행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글랜스 라이트 장치 제어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설정 단계는:
    상기 감지 단계에서의 차량 감지 정보를 처리하여 차량 감지 정보의 변화를 추출하는 감지 정보 처리 단계와,
    상기 감지 정보 처리 단계에서 추출된 차량 감지 정보의 변화 중 차량 안전 정보 변화 여부를 판단하는 안전 감지 변화 판단 단계와,
    상기 안전 감지 변화 판단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출력 모드를 안전 모드와 편의 모드 중 선택하는 모드 선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글랜스 라이트 장치 제어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감지부에는 차량의 주행 중 전방 차량 간격 거리를 감지하는 차량 전방 거리 센서, 차량의 주행 중 차선 상태를 감지하는 차선 감지 영상 센서 및 차량의 측면 사각 지대에 장애물 여부 및 장애물과의 상대 속도를 감지하는 사각 지대 장애물 감지 센서, 그리고 차량의 스티어링 휠의 회전 각도를 감지하는 조향각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차량 안전 정보는 상기 차량 전방 거리 센서로부터의 전방 차량 거리 정보, 상기 차선 감지 영상 센서로부터의 차선 감지 정보, 상기 사각 지대 장애물 감지 센서로부터의 차량 측면 사각 지대에서의 장애물 정보 및 장애물 상대 속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 모드는, 차량의 차간 거리의 안전 여부를 경고하는 크루즈 경고, 차량 주행중 차선 이탈 여부를 경고하는 차선 이탈 경고, 및 차량의 측면에서의 장애물 여부와 해당 장애물과의 상대 속도를 경고하는 사각 지대 영역 경고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글랜스 라이트 장치 제어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 사전 설정 저장되는 상기 차량 기준 정보는, 전방 차량과의 최소 안전 거리(dmax), 차량의 조향 여부를 판단하는 최소 조향 각도와, 상기 차량 감지 정보에 대응하여 사전 설정된 빛의 색상 정보 내지 주기 정보를 포함하는 사전 설정 글랜스 라이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차량 거리 정보와 최소 안전 거리를 비교하는 차간 거리 비교 단계와,
    상기 차간 거리 비교 단계에서, 상기 전방 차량 거리 정보가 상기 최소 안전 거리 이상인 경우, 차량의 스티어링 휠의 조향 각도와 상기 최소 조향 각도를 비교하고 차량의 턴 인디케이터의 신호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조향 의도 판단 단계와,
    상기 조향 의도 단계에서, 상기 조향 각도가 상기 최소 조향 각도 이상이고 차량의 턴 인디케이터의 작동 방향으로 조향된 경우, 차량의 조향 방향 측면에서의 장애물 여부를 판단하는 사각 지대 영역 장애물 판단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글랜스 라이트 장치 제어 방법.
KR1020120033405A 2007-11-29 2012-03-30 차량용 글랜스 라이트 장치 KR101351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3405A KR101351656B1 (ko) 2012-03-30 2012-03-30 차량용 글랜스 라이트 장치
EP12165382.8A EP2644430B1 (en) 2012-03-30 2012-04-24 Vehicular glance light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12099895A JP5597670B2 (ja) 2012-03-30 2012-04-25 車両用グランスライト装置及びこの制御方法
CN201210128595.XA CN103359118B (zh) 2012-03-30 2012-04-27 车辆瞥视光设备和用于控制该车辆瞥视光设备的方法
US13/458,969 US9201504B2 (en) 2007-11-29 2012-04-27 Vehicular glance light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3405A KR101351656B1 (ko) 2012-03-30 2012-03-30 차량용 글랜스 라이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0995A true KR20130110995A (ko) 2013-10-10
KR101351656B1 KR101351656B1 (ko) 2014-01-16

Family

ID=46026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3405A KR101351656B1 (ko) 2007-11-29 2012-03-30 차량용 글랜스 라이트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644430B1 (ko)
JP (1) JP5597670B2 (ko)
KR (1) KR101351656B1 (ko)
CN (1) CN10335911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31936B2 (ja) * 2014-04-25 2017-11-15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警告システム
KR101942793B1 (ko) * 2015-07-03 2019-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운전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CN109689432A (zh) * 2016-05-21 2019-04-26 Jst本弗蒙斯有限公司 用于车辆灯具的方法和设备
CN107856668B (zh) * 2017-09-22 2020-09-22 江西博能上饶客车有限公司 一种车辆转向自动防护系统及方法
EP3493178B1 (en) * 2017-12-01 2024-03-06 Veoneer Sweden AB Driver attentiveness detection method and device
EP3863873A4 (en) * 2018-10-12 2022-06-29 Indigo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to adjust a reactive system based on a sensory input and vehicles incorporating same
KR20200057891A (ko) * 2018-11-16 2020-05-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주행 보조 제어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JP7133644B2 (ja) 2018-11-26 2022-09-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構造
FR3093963B1 (fr) * 2019-03-22 2021-02-12 Psa Automobiles Sa Dispositif d’info-divertissement pour un véhicul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42118A (ja) * 1989-03-15 1990-09-26 Hitachi Ltd 車載用情報表示装置
US7209221B2 (en) * 1994-05-23 2007-04-24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Method for obtaining and displaying information about objects in a vehicular blind spot
US5786772A (en) * 1996-03-22 1998-07-28 Donnelly Corporation Vehicle blind spot detection display system
US6894606B2 (en) * 2000-11-22 2005-05-17 Fred Forbes Vehicular black box monitoring system
US6907328B2 (en) * 2003-06-10 2005-06-14 Motorola, Inc. Switch apparatus for a driver information interface
DE202006019996U1 (de) * 2005-01-19 2007-08-23 Takata-Petri Ag Lenkradbaugruppe für ein Kraftfahrzeug
US7987030B2 (en) 2005-05-25 2011-07-2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le illumination system and method
JP4810953B2 (ja) * 2005-10-07 2011-11-0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死角映像表示装置
JP2007168727A (ja) * 2005-12-26 2007-07-05 Aisin Aw Co Ltd 運転支援装置、運転支援システムおよび運転支援プログラム
JP2008269580A (ja) 2007-03-29 2008-11-06 Denso Corp 車両用情報提供装置
JP2008273376A (ja) 2007-04-27 2008-11-13 Denso Corp 車両用表示装置
KR100922695B1 (ko) * 2007-11-29 2009-10-20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센세이션 시스템
US8358279B2 (en) * 2007-11-29 2013-01-22 Daesung Electric Co., Ltd Sensation system
US8631893B2 (en) * 2009-11-16 2014-01-21 Michael M. Van Schoiack Driver drowsiness detection and ver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8633810B2 (en) * 2009-11-19 2014-01-21 Robert Bosch Gmbh Rear-view multi-functional camera system
WO2011108091A1 (ja) * 2010-03-03 2011-09-09 株式会社 東芝 車載用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KR101223406B1 (ko) * 2010-07-15 2013-01-1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영상 실내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597670B2 (ja) 2014-10-01
EP2644430A1 (en) 2013-10-02
EP2644430B1 (en) 2017-08-09
CN103359118A (zh) 2013-10-23
JP2013214267A (ja) 2013-10-17
CN103359118B (zh) 2017-03-01
KR101351656B1 (ko) 201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1656B1 (ko) 차량용 글랜스 라이트 장치
US9201504B2 (en) Vehicular glance light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3979002B2 (ja) コンピュータの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用システム及び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提供方法
US8841998B2 (en) On-vehicle display device
KR102067667B1 (ko) 항법 시스템 및 항법 방법
KR102051606B1 (ko) 차량용 전자장치
US10795155B2 (en) Projectio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JP5588764B2 (ja) 車載機器操作装置
US20130038712A1 (en) Devi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the windscreen of an automobile
US20180203517A1 (en) Method and operator control system for operating at least one function in a vehicle
WO2016047061A1 (ja) 情報提示装置
CN109561277B (zh) 监视系统
JP2016060252A (ja) 車載表示装置
KR102097966B1 (ko) 차량 주행 제어 시스템 및 차량 주행 제어 방법
JP6313271B2 (ja) 車両用運転支援装置
JP6435611B2 (ja) 車両用警告装置および車両用警告ユニット
JP2018185641A (ja) 車両用情報提供装置
US11001207B2 (en) Lever switch for vehicle with function assigned to operation
CN112590809A (zh) 车载界面装置和车辆
JP2015048043A (ja) 運転支援装置
JP7298456B2 (ja) 車両用表示制御装置、車両用表示制御方法、及び車両用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2018073380A (ja) 車両用情報提供装置
JP2018069999A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