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9243A - 다이오드 구조를 포함하는 반도체 구조 및 반도체 장치 및 그의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다이오드 구조를 포함하는 반도체 구조 및 반도체 장치 및 그의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9243A
KR20130109243A KR1020137023022A KR20137023022A KR20130109243A KR 20130109243 A KR20130109243 A KR 20130109243A KR 1020137023022 A KR1020137023022 A KR 1020137023022A KR 20137023022 A KR20137023022 A KR 20137023022A KR 20130109243 A KR20130109243 A KR 201301092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conductive material
forming
graphite
dielectric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3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9194B1 (ko
Inventor
제이뎁 고스와미
Original Assignee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인크. filed Critical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인크.
Publication of KR20130109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9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9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9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63/00Resistance change memory devices, e.g. resistive RAM [ReRAM] devices
    • H10B63/20Resistance change memory devices, e.g. resistive RAM [ReRAM] devices comprising selection components having two electrodes, e.g. diodes
    • H10B63/22Resistance change memory devices, e.g. resistive RAM [ReRAM] devices comprising selection components having two electrodes, e.g. diodes of the metal-insulator-metal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8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only by variation of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one or more of the electrodes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scillated or switched
    • H01L29/861Di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63/00Resistance change memory devices, e.g. resistive RAM [ReRAM] devices
    • H10B63/80Arrangements comprising multiple bistable or multi-stable switching components of the same type on a plane parallel to the substrate, e.g. cross-point arr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01L27/1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 H01L27/1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including bipolar components
    • H01L27/1021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including bipolar components including diode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저항 랜덤 액세스 메모리(RRAM)와 같은 메모리 셀들 및 메모리 어레이들에 사용되는 다이오드 구조들을 형성하는 방법들이 개시된다. 방법들은 흑연 재료(예를 들어, 그래핀)를 전도성 재료 상에 화학 흡착함으로써 제 1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낮은 k 유전체 재료는 제 1 전극 위에 놓이는 유전체 재료 내의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는 제 1 전극의 표면들에 걸쳐 형성된 다음에, 높은 k 유전체 재료를 낮은 k 유전체 재료에 걸쳐 형성할 수 있다. 개구부의 나머지 부분은 제 2 전극을 형성하기 위해 다른 전도성 재료로 충전될 수 있다. 최종 다이오드 구조의 제 1 및 제 2 전극들은 상이한 일 함수들을 갖고, 따라서 낮은 열 버짓, 낮은 접촉 저항, 높은 순바이어스 전류 및 낮은 역바이어스 전류를 제공한다. 그러한 다이오드 구조를 포함하는 메모리 셀 및 메모리 어레이가 또한 개시된다.

Description

다이오드 구조를 포함하는 반도체 구조 및 반도체 장치 및 그의 형성 방법{SEMICONDUCTOR STRUCTURE AND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A DIODE STRUCTURE AND METHODS OF FORMING SAME}
본 출원은 "SEMICONDUCTOR STRUCTURE AND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A DIODE STRUCTURE AND METHODS OF FORMING SAME"에 대한 2011년 2월 7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일련 번호 제13/022,233호의 출원일의 이득을 주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반도체 메모리에 사용되는 다이오드 구조들을 형성하는 방법들에 관한 것이고, 게다가 그러한 다이오드 구조들을 포함하는 반도체 구조들 및 장치들에 관한 것이다.
저항 랜덤 액세스 메모리들(RRAM들)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소위 "가변 저항 재료들"의 저항 특성들의 변화를 이용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들이다. 그러한 가변 저항 재료들(예를 들어, 전이 금속 산화물들 또는 상 변화 재료들)은 특정 전압에서 비교적 상당히 변화하는 저항을 갖는다. 특정 전압이 가변 저항 재료에 인가될 때, 가변 저항 재료의 저항이 감소하며, 이는 소위 "온" 상태로 지칭된다. 리셋 전압이 가변 저항 재료에 인가될 때, 가변 저항 재료의 저항이 증가하며, 이는 소위 "오프" 상태로 지칭된다. 종래의 RRAM들 중에서, 크로스 포인트 RRAM은 비교적 간단한 셀 구조 및 비교적 높은 밀도를 갖는다.
종래의 크로스 포인트 RRAM은 복수의 실질적으로 병렬 워드 라인들 및 복수의 실질적으로 병렬 비트 라인들을 포함하며, 비트 라인들은 워드 라인들과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열된다. 소위 "크로스 포인트"는 워드 라인들 및 비트 라인들의 교차점에서 형성된다. 메모리 저항기는 각각의 크로스 포인트에서 워드 라인들과 비트 라인들 사이에 배치된다. 메모리 저항기는 예를 들어 메모리 요소를 포함하는 층 및 비오믹(non-ohmic) 소자(예를 들어, 금속-절연체-금속(MIM) 소자)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크로스 포인트 메모리 아키텍처는 높은 소자 밀도를 제공하지만, 그것은 실질적인 누설 전류를 겪어서, 전력 손실을 증가시키고 감지 마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전도성 라인들(즉, 워드 라인들 및 비트 라인들)과 연관되는 기생 저항은 출력 신호의 저하 및 어레이 크기의 제한들을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이오드 구조를 포함하는 반도체 구조 및 반도체 장치 및 그의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다이오드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그러한 방법은 흑연 재료를 전도성 재료에 걸쳐 형성하는 단계, 흑연 재료의 적어도 일부를 전도성 재료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하여 제 1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유전체 재료를 제 1 전극에 걸쳐 형성하는 단계, 유전체 재료의 일부를 제거하여 제 1 전극의 표면을 노출하는 개구부(opening)를 형성하는 단계, 낮은 k 유전체 재료를 개구부의 표면들에 걸쳐 형성하는 단계, 높은 k 유전체 재료를 낮은 k 유전체 재료에 걸쳐 형성하는 단계, 및 개구부의 나머지 부분을 다른 전도성 재료로 충전하여 제 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를 형성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그러한 방법은 복수의 다이오드 구조들을 형성하는 단계, 복수의 저항기들을 형성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전도성 라인을 복수의 저항기들에 걸쳐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다이오드 구조들은 흑연 재료의 적어도 일부를 전도성 재료에 화학 흡착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 1 전극을 형성하고, 유전체 재료를 적어도 하나의 제 1 전극에 걸쳐 형성하고, 낮은 k 유전체 재료를 적어도 하나의 제 1 전극 위에 놓이는 유전체 재료 내의 복수의 개구부들에 형성하고, 높은 k 유전체 재료를 복수의 개구부들에 형성하며, 다른 전도성 재료를 복수의 개구부들에 형성하여 복수의 제 2 전극들을 형성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저항기는 복수의 제 2 전극들 중 하나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반도체 구조를 포함한다. 반도체 구조는 전도성 재료 상에 화학 흡착되는 흑연 재료를 포함하는 제 1 전극, 제 1 전극 위에 놓이는 낮은 k 유전체 재료 및 낮은 k 유전체와 제 2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높은 k 유전체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를 포함한다. 반도체 장치는 복수의 제 1 전도성 라인들과 제 2 전도성 라인들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메모리 셀들을 포함하며, 복수의 메모리 셀들 각각은 다이오드 구조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저항기를 포함한다. 다이오드 구조는 전도성 재료 및 흑연 재료를 포함하는 제 1 전극, 제 1 전극 위에 놓이는 낮은 k 유전체 재료 및 높은 k 유전체 재료 및 높은 k 유전체 재료 위에 놓이는 제 2 전극을 포함한다. 흑연 재료는 전도성 재료와 낮은 k 유전체 재료 사이의 계면에 위치된다.
도 1 내지 도 7은 반도체 구조의 부분 단면도들이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다이오드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을 예시하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이오드 구조의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9a 및 도 9b는 종래의 다이오드 구조(도 9a)를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이오드 구조의 실시예(도 9b)와 비교하는 밴드 구조들의 개략도들이고;
도 10은 복수의 메모리 셀들로 형성되는 크로스 포인트 메모리 어레이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며, 각각의 메모리 셀은 도 8에 도시된 다이오드 구조의 실시예를 포함한다.
다이오드 구조(diode structure)들을 형성하는 방법들이 개시되고, 마찬가지로 그러한 다이오드 구조들을 포함하는 메모리 셀들 및 메모리 어레이(array)들이 개시된다. 흑연 재료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을 갖는 다이오드 구조들이 형성될 수 있다. 그래핀(graphene)과 같은 흑연 재료는 전도성 재료 단독의 일 함수(work function)와 비교하여 실질적으로 감소된 일 함수를 갖는 재료를 형성하기 위해 전도성 재료와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그래핀"이라는 용어는 2차원 육방 격자로 배열되는 탄소 원자들의 단층 필름을 의미하고 포함한다. 흑연 재료는 낮은 k 유전체 재료와 적어도 하나의 전극의 전도성 재료 사이에 계면(interface)을 형성할 수 있다. 흑연 재료 및 전도성 재료로 형성되는 재료는 종래의 전극 재료들(즉, 금속들)과 비교하여 낮은 일 함수를 가지므로, 다이오드 구조는 금속 전극들을 포함하는 종래의 다이오드 구조들과 비교하여 실질적으로 증가된 순바이어스 전류 및 실질적으로 감소된 역바이어스 전류를 가질 수 있다. 게다가, 흑연 재료 및 전도성 재료로 형성되는 재료는 다이오드 구조에 실질적으로 감소된 접촉 저항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이오드 구조들은 예를 들어 크로스 포인트 저항 랜덤 액세스 메모리(RRAM, cross point 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 장치들 및 크로스 포인트 상 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PCRAM, cross point phase change random access memory)와 같은 고밀도 메모리 장치들에서 스위칭 요소들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크로스 포인트"라는 용어는 제 1 전도성 라인(line) 및 제 2 전도성 라인이 서로 교차하는 위치를 의미하고 포함한다. 메모리 어레이들을 지칭할 때, "크로스 포인트"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수직의 전도성 라인 세트들 사이의 교차점들에 있는 메모리 셀들과 함께 전도성 라인 세트들을 포함하는 메모리 어레이를 의미하고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완전한 설명을 제공하기 위해 재료 타입들 및 처리 조건들과 같은 특정 상세들을 제공한다. 그러나, 당해 기술에서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 특정 상세들을 이용하는 것 없이 실시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실제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산업에 이용되는 종래의 반도체 제조 기술들과 함께 실시될 수 있다. 게다가, 아래에 제공되는 설명은 반도체 장치를 제조하는 완전한 프로세스 흐름을 형성하지 않는다. 아래에 설명되는 반도체 구조들은 완전한 반도체 장치를 형성하지 않는다.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그의 프로세스 행위들 및 구조들은 아래에 상세히 설명된다. 반도체 구조들로부터 완전한 반도체 장치를 형성하는 부가 행위들은 종래의 제조 기술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은 다이오드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의 실시예들을 예시하는 반도체 구조(100)의 간략한 부분 단면도들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반도체 구조(100)는 기판(102) 위에 놓이는 전도성 재료(예를 들어, 워드 라인(104)과 같은 전도성 라인) 위에 놓이는 흑연 재료(10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기판"이라는 용어는 부가 재료들이 형성되는 베이스 재료 또는 구성을 의미하고 포함한다. 기판은 반도체 기판, 지지 구조 상의 베이스 반도체 재료, 하나 이상의 재료들을 갖는 금속 전극 또는 반도체 기판, 그 위에 형성되는 구조들 또는 영역들일 수 있다. 기판(102)은 반전도성 재료 층을 포함하는 종래의 실리콘 기판 또는 다른 벌크 기판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벌크 기판"이라는 용어는 실리콘 웨이퍼들뿐만 아니라, SOS(silicon-on-sapphire) 기판들 및 SOG(silicon-on-glass) 기판들과 같은 SOI(silicon-on-insulator) 기판들, 베이스 반도체 파운데이션 상의 실리콘의 에피택셜 층들, 및 다른 반도체 또는 실리콘-게르마늄, 게르마늄, 갈륨 비소, 질화 갈륨, 또는 인화 인듐과 같은 광전자 재료들을 의미하고 포함한다. 기판(102)은 도핑되거나 도핑되지 않을 수 있다.
워드 라인(word line)(104)은 예를 들어 전도성 재료를 기판(102) 내의 트렌치(trench)에 형성하고 화학적 기계적 연마(CMP, chemical-mechanical polishing) 프로세스와 같은 종래의 연마 평탄화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기판(102) 위에 놓이는 전도성 재료의 일부들을 제거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워드 라인(104)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도성 재료는 화학적 기상 증착(CVD, chemical vapor deposition) 프로세스, 원자 층 증착(ALD, atomic layer deposition) 프로세스 또는 물리적 기상 증착(PVD, physical vapor deposition) 프로세스와 같은 종래의 증착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기판(102)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워드 라인(104)은 니켈(Ni), 코발트(Co), 팔라듐(Pd), 텅스텐(W), 또는 백금(Pt)과 같은 금속, 또는 질화티탄(titanium nitride)(TiN)과 같은 금속 함유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흑연 재료(106)는 고배향 열분해 흑연(HOPG)의 CVD 프로세스 또는 기계적 박리와 같은 종래의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워드 라인(104)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워드 라인(104) 상의 흑연 재료(106)의 촉매 성장은 탄소 함유 전구체(precursor) 및 금속 워드 라인(104)을 촉매로서 이용하는 CVD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러한 CVD 프로세스는 비교적 낮은 온도들(즉, 대략 1000℃ 미만의 온도들)에서 수행될 수 있다. 워드 라인(104)이 니켈로 형성되고 흑연 재료(106)가 그래핀으로 형성되는 실시예들에서, 그래핀을 금속에 걸쳐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화학적 증착 프로세스는 니켈을 대략 600℃와 대략 700℃ 사이의 온도, 및 특히 대략 650℃로 탄소 함유 전구체에 노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탄소 함유 전구체는 예를 들어 아세틸렌(C2H2), 에틸렌(C2H4), 또는 메탄(CH4)일 수 있다. 워드 라인(104)에 대한 탄소 함유 전구체의 노출 시간은 워드 라인(104) 상의 흑연 재료(106)의 두께를 제어하기 위해 변화될 수 있다. 워드 라인(104)이 니켈로 형성되고 흑연 재료(106)가 그래핀으로 형성되는 실시예들에서, 노출 시간은 원하는 수의 그래핀 단층들을 형성하기 위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흑연 재료(106)는 단일 그래핀 단층을 포함할 수 있다. 흑연 재료(106)는 워드 라인(104)의 전도성 재료와 비교하여 실질적으로 감소된 일 함수를 가질 수 있다. 비제한적 예로서, 흑연 재료(106)는 대략 4.6 eV 미만의 일 함수를 가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흑연 재료(106) 및 워드 라인(104)의 전도성 재료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흑연/전도성 재료(108)는 흑연 재료(106)의 증착(deposition) 동안(도 1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음) 및/또는 흑연 재료(106)의 증착 후에 수행되는 선택적 어닐링(annealing) 프로세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닐링 프로세스는 흑연/전도성 재료(108)를 형성하기 위해 도 1의 반도체 구조(100)를 대략 400℃와 대략 800℃ 사이의 온도, 및 특히 대략 600℃에 노출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증착 프로세스 및/또는 선택적 어닐링 프로세스 동안, 흑연/전도성 재료(108)는 워드 라인(104)의 전도성 재료 및 흑연 재료(106)의 교차 확산에 의해, 또는 흑연 재료(106)를 워드 라인(104)의 전도성 재료 상에 화학 흡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화학 흡착하다", "화학 흡착된" 및 "화학 흡착하는"이라는 용어들은 재료를 다른 재료의 표면 상에 화학적으로 접합하는 것을 의미하고 포함한다. 흑연 재료(106)가 그래핀으로 형성되고 워드 라인(104)이 니켈과 같은 금속으로 형성되는 실시예들에서, 그래핀은 금속 상에 화학 흡착하여 그래핀-금속 재료를 흑연/전도성 재료(108)로 형성할 수 있다. 그래핀과 금속 사이의 상호 작용들로 인해, 그래핀-금속 재료는 그래핀 및 금속의 혼합 특성들 또는 성질들을 나타낼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흑연/전도성 재료(108)는 워드 라인(104)의 전도성 재료로 도핑되는 흑연 재료(106)를 포함할 수 있거나, 흑연 재료(106) 및 워드 라인(104)의 전도성 재료의 화학적 복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증착 프로세스 및/또는 어닐링 프로세스 동안, 흑연 재료(106)는 흑연/전도성 재료(108)를 형성하기 위해 워드 라인(104)의 전도성 재료와 실질적으로 완전히 혼합될 수 있거나, 흑연 재료(106)의 일부(파선들로 도시됨)는 흑연/전도성 재료(108)에 걸쳐 남아 있을 수 있다.
흑연/전도성 재료(108)는 종래의 전극 재료들(예를 들어, 니켈, 코발트, 팔라듐, 텅스텐, 백금, 및 질화티탄)과 비교하여 실질적으로 감소된 일 함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흑연/전도성 재료(108)의 일 함수는 대략 5 eV 미만일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워드 라인(104)은 니켈로 형성될 수 있고 흑연 재료(106)는 그래핀으로 형성될 수 있고 증착 프로세스 및/또는 어닐링 프로세스 동안 형성되는 흑연/전도성 재료(108)는 그래핀-니켈 재료일 수 있다. 그래핀-니켈 재료는 그래핀 및 니켈의 복합체를 포함할 수 있고 대략 3.7 eV의 일 함수를 가질 수 있다. 흑연/전도성 재료(108)(예를 들어, 그래핀-니켈 재료)는 설명되는 바와 같이, 종래의 금속 전극 재료들과 비교하여 실질적으로 감소된 일 함수 및 저항을 갖는 다이오드 구조의 제 1 전극(120)(도 8 참조)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유전체 재료(110)는 흑연/전도성 재료(108), 또는 존재한다면 흑연 재료(106)의 나머지 부분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유전체 재료(110)는 질화실리콘과 같은 질화물, 또는 산화실리콘과 같은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유전체 재료(110)는 물리적 기상 증착(PVD) 프로세스 또는 화학적 기상 증착(CVD) 프로세스와 같은 종래의 기상 증착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흑연/전도성 재료(108)의 노출된 표면들에 걸쳐 및 노출된 표면들과 접촉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opening)(112)는 흑연/전도성 재료(108)의 표면, 또는 존재한다면 흑연 재료(106)의 나머지 부분의 표면을 노출하기 위해 유전체 재료(110)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112)는 예를 들어 집적 회로 제조의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종래의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 기술들(예를 들어, 마스킹(masking) 및 에칭(etching))을 사용하여 유전체 재료(110)의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유전체 재료(110)가 질화실리콘으로 형성되는 실시예들에서, 개구부(112)가 형성되는 유전체 재료(110)의 영역 위에 놓이는 애퍼처를 갖는 이산화실리콘 마스크(도시되지 않음)는 유전체 재료(110)에 걸쳐 형성될 수 있고 인산(H3P04) 용액은 대략 180℃의 온도로 유전체 재료(110)에 도입될 수 있어 개구부(112)를 형성한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개구부(112)는 도 4의 평면에 종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개구부(112)는 예를 들어 대략 1:1과 대략 20:1 사이, 및 특히 대략 5:1과 대략 10:1 사이의 종횡비를 가질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낮은 k 유전체 재료(114)는 반도체 구조(100)의 표면들(즉, 유전체 재료(110), 흑연/전도성 재료(108)의 노출된 표면들, 또는 존재한다면 흑연 재료(106)의 나머지 부분)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낮은 k 유전체 재료(114)는 유전체 재료(110) 및 흑연/전도성 재료(108), 또는 존재한다면 흑연 재료(106)의 노출된 표면들에 걸쳐 및 노출된 표면들과 접촉하여 이산화실리콘(Si02)과 같은 유전체 재료를 증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낮은 k 유전체 재료(114)는 물리적 기상 증착(PVD) 프로세스 또는 화학적 기상 증착(CVD) 프로세스와 같은 종래의 기상 증착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대략 0.5 nm와 대략 3 nm 사이, 및 특히 대략 1 nm와 대략 2 nm 사이의 두께를 갖는 낮은 k 유전체 재료(114)가 형성될 수 있다. 낮은 k 유전체 재료(114)는 낮은 k 유전체 재료(114)가 개구부(112)의 일부를 충전하지 않은 상태에서 개구부(112)에 의해 노출되는 유전체 재료(110) 및 흑연/전도성 재료(108), 또는 존재한다면 흑연 재료(106)의 표면들이 정렬되도록 실질적으로 부합적으로 증착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은 k 유전체 재료(116)는 낮은 k 유전체 재료(114)의 노출된 표면들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높은 k 유전체 재료(116)는 이산화하프늄(Hf02), 산화티탄(Ti02), 산화지르코늄(Zr02), 산화니켈(예를 들어, Ni203) 또는 산화아연(ZnO)과 같은 전이 금속 산화물 재료를 낮은 k 유전체 재료(114)에 증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높은 k 유전체 재료(116)는 물리적 기상 증착(PVD) 프로세스 또는 화학적 기상 증착(CVD) 프로세스와 같은 종래의 기상 증착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대략 5 nm 미만, 및 특히 대략 1 nm와 대략 2 nm 사이의 두께를 높은 k 유전체 재료(116)가 형성될 수 있다. 높은 k 유전체 재료(116)는 개구부(112)의 일부가 충전되지 않은 채 남아 있도록 낮은 k 유전체 재료(114)의 표면들에 걸쳐 실질적으로 부합적으로 증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전도성 재료(118)는 높은 k 유전체 재료(116)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전도성 재료(118)는 니켈(Ni), 코발트(Co), 팔라듐(Pd), 텅스텐(W), 백금(Pt), 질화티탄(TiN) 또는 그의 합금들과 같은 금속을 개구부(112)에서 증착함으로써 형성된다. 전도성 재료(118)는 화학적 기상 증착 프로세스, 물리적 기상 증착 프로세스 또는 물리적 증착 프로세스와 같은 종래의 증착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전도성 재료(118)는 흑연/전도성 재료(108)와 비교하여 실질적으로 증가된 일 함수를 가질 수 있다. 비제한적 예로서, 개구부(112)의 나머지 부분(즉, 충전되지 않은 부분)을 실질적으로 충전하기에 충분한 두께를 갖는 전도성 재료(118)가 형성될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대략 1 nm와 대략 10 nm 사이의 두께, 및 특히 대략 5 nm를 갖는 전도성 재료(118)가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반도체 구조(100)의 노출된 표면은 유전체 재료(110) 위에 놓이는 낮은 k 유전체 재료(114), 높은 k 유전체 재료(116) 및 전도성 재료(118) 각각의 일부들을 제거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전극(122)을 포함하는 다이오드 구조(101)를 형성하기 위해 연마 평탄화 프로세스(예를 들어, 화학적 기계적 연마(CMP) 프로세스 또는 기계적 연마 프로세스)와 같은 재료 제거 프로세스를 받을 수 있다. 재료 제거 프로세스는 다이오드 구조(101)를 형성하기 위해 종래의 화학적 기계적 연마 장치 및 재료들(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낮은 k 유전체 재료(114), 높은 k 유전체 재료(116) 및 전도성 재료(118))의 제거를 가능하게 하는 슬러리(slurry)를 사용하여 수행되는 화학적 기계적 연마 프로세스일 수 있다. 유전체 재료(110) 위에 놓이는 낮은 k 유전체 재료(114), 높은 k 유전체 재료(116) 및 전도성 재료(118) 각각의 일부들을 제거한 후, 다이오드 구조(101)의 표면은 실질적으로 평면일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다이오드 구조(101)에서, 흑연/전도성 재료(108)는 워드 라인(104)과 낮은 k 유전체 재료(114) 사이에 계면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다이오드 구조(101)는 제 2 전극(122)과 상이한 일 함수를 갖는 제 1 전극(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전극(120)의 일 함수와 제 2 전극(122)의 일 함수 사이의 차이는 대략 1 eV보다 클 수 있다. 제 1 전극(120)은 워드 라인(104), 흑연/전도성 재료(108), 및 존재한다면 흑연 재료(106)를 포함할 수 있다. 비제한적 예로서, 제 1 전극(120)의 흑연/전도성 재료(108)는 제 2 전극(122)의 일 함수와 비교하여 실질적으로 감소된 일 함수를 가질 수 있다. 제 1 전극(120)의 흑연/전도성 재료(108)가 그래핀 및 니켈(즉, 그래핀-니켈 재료)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제 2 전극(122)이 니켈을 포함하는 실시예들에서, 그래핀-니켈 재료는 대략 3.7 eV의 일 함수를 가질 수 있고 니켈은 대략 5.01 eV의 일 함수를 가질 수 있다. 흑연/전도성 재료(108)의 존재는 제 2 전극(122)과 비교하여 제 1 전극(120)에 실질적으로 감소된 일 함수를 제공한다. 제 1 전극(120)의 일 함수는 실질적으로 제 2 전극(122)의 일 함수 미만이므로, 다이오드 구조(101)는 종래의 다이오드 구조들과 비교하여 감소된 열 버짓(budget) 및 접촉 저항, 증가된 순바이어스 전류 및 감소된 역바이어스 전류를 가질 수 있다. 종래의 다이오드 구조들은 폴리실리콘을 사용하여 형성되며, 이는 도펀트들을 그 안에서 활성화시키기 위해 높은 온도 어닐(예를 들어, 대략 1000℃의 온도들에 노출)을 필요로 한다. 폴리실리콘이 사용되지 않으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다이오드 구조를 형성하는 낮은 열 버짓을 제공한다.
도 9a 및 도 9b 각각을 참조하면, 종래의 다이오드 구조(201) 및 본 발명의 다이오드 구조(101)의 실시예의 밴드 구조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9a에 도시된 종래의 다이오드 구조(201)는 질화티탄 전극들(220, 222) 및 질화티탄 전극들(220, 222) 사이에 배치되는 낮은 k 유전체 재료(214) 및 높은 k 유전체 재료(216)를 포함한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다이오드 구조(201)의 질화티탄 전극들(220, 222) 각각의 순바이어스 방식에 대한 장벽 높이(φf) 및 역바이어스 방식에 대한 장벽 높이(φr)는 대략 4.6 eV이다. 도 9b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이오드 구조(101)의 실시예는 낮은 k 유전체 재료(114)와 워드 라인(104)의 니켈 사이의 계면에 있는 그래핀-니켈 재료(흑연/전도성 재료(108))를 포함하는 제 1 전극(120), 니켈 제 2 전극(122) 및 낮은 k 유전체 재료(114)와 제 2 전극(122) 사이의 높은 k 유전체 재료(116)를 포함한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핀-니켈 재료(흑연/전도성 재료(108))는 대략 3.7 eV의 일 함수를 갖고 니켈 제 2 전극(122)은 대략 5 eV의 일 함수를 갖는다. 따라서, 다이오드 구조(101)는 종래의 다이오드 구조(201)(도 9a)와 비교하여 실질적으로 감소된 순방향 장벽 높이를 갖는다. 실질적으로 감소된 순 장벽 높이(φf)로 인해, 다이오드 구조(101)(도 9b)는 종래의 다이오드 구조(201)(도 9a)와 비교하여 실질적으로 증가된 순바이어스 전류를 나타낸다. 실질적으로 증가된 역 장벽 높이(φr)로 인해, 다이오드 구조(101)(도 9b)는 또한 종래의 다이오드 구조(201)(도 9a)와 비교하여 실질적으로 감소된 역바이어스 전류를 나타낸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다이오드-하나의-저항기(1D-1R) 메모리 셀들(302)의 복수의 레벨들(L1, L2)을 포함하는 크로스 포인트 메모리 어레이(300)가 형성될 수 있다. 메모리 셀들(302) 각각은 저항기(304)와 직렬로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은 다이오드 구조(101)를 포함할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메모리 셀들(302)은 제 1 방향(X) 및 제 2 방향(Y)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행들로 배열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크로스 포인트 메모리 어레이(300)는 3개의(3) 행들을 제 1 방향(X) 및 3개의(3) 제 2 방향(Y)으로 포함한다. 그러나, 크로스 포인트 메모리 어레이(300)는 임의의 수의 행들을 제 1 방향(X) 및 제 2 방향(Y)으로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제 1 방향(X)으로 정렬되는 메모리 셀들(302)의 행들은 실질적으로 제 2 방향(Y)으로 정렬되는 메모리 셀들(302)의 행들과 수직이다.
크로스 포인트 메모리 어레이(300)를 형성하기 위해, 복수의 다이오드 구조들(101)은 도 1 내지 도 8에 대해 상술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이오드 구조들(101) 중 하나 이상의 제 1 전극들(120)은 단일 워드 라인(104)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저항기(304)는 예를 들어 다이오드 구조들(101) 각각의 제 2 전극(도시되지 않음)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저항 재료를 증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전도성 라인들(306)은 워드 라인들(104)과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저항기들(304) 중 하나 이상에 걸쳐 및 하나 이상과 접촉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메모리 셀들(302)은 워드 라인들(104) 중 하나와 전도성 라인들(306) 중 하나 사이에 각각 배치되며, 이는 크로스 포인트 메모리 어레이(300)를 형성하기 위해 워드 라인(104)과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치된다. 크로스 포인트 메모리 어레이(300)의 동작 동안, 다이오드 구조들(101)은 불필요한 누설 전류 경로들을 이웃하는 메모리 셀들(302)을 통해 차단할 수 있다. 워드 라인(104) 및/또는 전도성 라인(306)은 메모리 셀들(302)로부터 정보의 판독을 가능하게 하거나 메모리 셀들(302)에 정보의 기록을 가능하게 하는 선택 트랜지스터(도시되지 않음)와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이오드 구조(101)의 제 1 전극(120)과 제 2 전극(122)(도 8) 사이의 일 함수의 차이(예를 들어, 대략 1 eV보다 큼)는 실질적으로 증가된 순바이어스 전류 및 실질적으로 감소된 역바이어스 전류를 제공한다. 게다가, 제 1 전극(120)의 흑연/전도성 재료(108)(도 8)(예를 들어, 그래핀-니켈 재료)는 크로스 포인트 메모리 어레이(300)의 동작을 사용하여 개선된 열 안정성 및 실질적으로 감소된 접촉 저항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다양한 수정들 및 대안적인 형태들을 허용할지라도, 특정 실시예들은 예로서 도면들에 도시되었고 본 명세서에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개시되는 특정 형태들에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오히려, 본 발명은 이하의 첨부된 청구항들 및 그들의 법적 등가물들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수정들, 등가물들, 및 대안들을 커버하는 것이다.

Claims (20)

  1. 다이오드(diode)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흑연 재료를 전도성 재료에 걸쳐 형성하는 단계;
    상기 흑연 재료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전도성 재료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하여 제 1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유전체 재료를 상기 제 1 전극에 걸쳐 형성하는 단계;
    상기 유전체 재료의 일부를 제거하여 상기 제 1 전극의 표면을 노출하는 개구부(opening)를 형성하는 단계;
    낮은 k 유전체 재료를 상기 개구부의 표면들에 걸쳐 형성하는 단계;
    높은 k 유전체 재료를 상기 낮은 k 유전체 재료에 걸쳐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개구부의 나머지 부분을 다른 전도성 재료로 충전하여 제 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흑연 재료를 전도성 재료에 걸쳐 형성하는 단계는 그래핀(graphene)을 상기 전도성 재료에 걸쳐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흑연 재료를 전도성 재료에 걸쳐 형성하는 단계는 흑연 재료를 니켈, 코발트, 팔라듐(palladium), 텅스텐, 백금, 및 질화티탄(titanium nitride) 중 적어도 하나에 걸쳐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흑연 재료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전도성 재료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하여 제 1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흑연 재료를 상기 전도성 재료에 걸쳐 동시에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흑연 재료를 전도성 재료에 걸쳐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전도성 재료를 대략 600℃와 대략 650℃ 사이의 온도에서 탄소 함유 전구체에 노출하여 상기 흑연 재료 및 상기 전도성 재료를 포함하는 상기 제 1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흑연 재료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전도성 재료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하여 제 1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흑연 재료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전도성 재료의 적어도 일부를 대략 600℃와 대략 700℃ 사이의 온도에서 노출하여 상기 제 1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재료의 일부를 제거하여 상기 제 1 전극의 표면을 노출하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유전체 재료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여 그래핀 및 니켈을 포함하는 재료의 표면을 노출하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재료의 일부를 제거하여 상기 제 1 전극의 표면을 노출하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유전체 재료의 일부를 제거하여 상기 흑연 재료 및 상기 전도성 재료를 포함하는 재료 위에 놓이는 상기 흑연 재료의 표면을 노출하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흑연 재료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전도성 재료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하여 제 1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는 그래핀을 상기 전도성 재료 상에 화학 흡착하여 상기 제 1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그래핀을 상기 전도성 재료 상에 화학 흡착하여 상기 제 1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전도성 재료를 대략 700℃ 미만의 온도에서 탄소 함유 전구체에 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반도체 장치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다이오드 구조들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흑연 재료의 적어도 일부를 전도성 재료에 화학 흡착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 1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유전체 재료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전극에 걸쳐 형성하는 단계;
    낮은 k 유전체 재료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전극 위에 놓이는 상기 유전체 재료 내의 복수의 개구부들에 형성하는 단계;
    높은 k 유전체 재료를 상기 복수의 개구부들에 형성하는 단계; 및
    다른 전도성 재료를 상기 복수의 개구부들에 형성하여 복수의 제 2 전극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다이오드 구조들을 형성하는 단계;
    복수의 저항기(resistor)들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각각의 저항기는 상기 복수의 제 2 전극들 중 하나에 인접하는 상기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전도성 라인을 상기 복수의 저항기들에 걸쳐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흑연 재료의 적어도 일부를 전도성 재료에 화학 흡착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 1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는 그래핀을 그 위에 화학 흡착하기 위해 탄소 함유 전구체(precursor)를 상기 전도성 재료에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탄소 함유 전구체를 상기 전도성 재료에 도입하는 단계는 아세틸렌, 에틸렌, 및 메탄 중 적어도 하나를 대략 700℃ 미만의 온도에서 상기 전도성 재료에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흑연 재료의 적어도 일부를 전도성 재료에 화학 흡착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 1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흑연 재료를 기본 전도성 재료에 걸쳐 증착하는 단계; 및
    상기 흑연 재료 및 상기 전도성 재료를 어닐링(annealing)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반도체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제 1 전도성 라인과 적어도 하나의 제 2 전도성 라인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셀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셀은 다이오드 구조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저항기를 포함하고, 상기 다이오드 구조는,
    전도성 재료 상에 화학 흡착된 흑연 재료를 포함하는 제 1 전극;
    상기 제 1 전극 위에 놓인 낮은 k 유전체 재료; 및
    상기 낮은 k 유전체와 제 2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높은 k 유전체 재료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흑연 재료는 상기 전도성 재료와 상기 낮은 k 유전체 재료 사이의 계면에 위치되는, 반도체 장치.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흑연 재료는 그래핀을 포함하는, 반도체 구조.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의 일 함수는 상기 제 2 전극의 일 함수보다 더 낮은, 반도체 구조.
  19.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의 일 함수와 상기 제 2 전극의 일 함수 사이의 차이는 대략 1 eV 이상인, 반도체 장치.
  20.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은 대략 5 eV 미만의 일 함수를 갖는, 반도체 구조.
KR1020137023022A 2011-02-07 2012-01-31 다이오드 구조를 포함하는 반도체 구조 및 반도체 장치 및 그의 형성 방법 KR1013891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022,233 2011-02-07
US13/022,233 US8431923B2 (en) 2011-02-07 2011-02-07 Semiconductor structure and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a diode structure and methods of forming same
PCT/US2012/023266 WO2012109051A2 (en) 2011-02-07 2012-01-31 Semiconductor structure and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a diode structure and methods of forming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9243A true KR20130109243A (ko) 2013-10-07
KR101389194B1 KR101389194B1 (ko) 2014-04-24

Family

ID=46600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3022A KR101389194B1 (ko) 2011-02-07 2012-01-31 다이오드 구조를 포함하는 반도체 구조 및 반도체 장치 및 그의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431923B2 (ko)
KR (1) KR101389194B1 (ko)
CN (1) CN103460384B (ko)
SG (1) SG192658A1 (ko)
TW (1) TWI484642B (ko)
WO (1) WO201210905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35141B1 (en) * 2004-11-17 2006-04-25 Spansion Llc Diode array architecture for addressing nanoscale resistive memory arrays
US9202945B2 (en) * 2011-12-23 2015-12-01 Nokia Technologies Oy Graphene-based MIM diode and associated methods
US8680511B2 (en) * 2012-02-09 2014-03-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Bilayer gate dielectric with low equivalent oxide thickness for graphene devices
JP5910294B2 (ja) * 2012-05-10 2016-04-27 富士通株式会社 電子装置及び積層構造体の製造方法
TWI467767B (zh) * 2012-12-07 2015-01-01 Univ Nat Taiwan 石墨烯電晶體
US9231202B2 (en) * 2013-06-19 2016-01-05 Intel Corporation Thermal-disturb mitigation in dual-deck cross-point memories
CN103515535A (zh) * 2013-10-10 2014-01-15 中国科学院苏州纳米技术与纳米仿生研究所 相变存储器接触电极的制备方法及相变存储器接触电极
KR20150081202A (ko) 2014-01-03 2015-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그래핀층 상에 형성된 물질층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체 및 그래핀층 상에 물질층을 형성하는 방법
CN103824938A (zh) * 2014-03-03 2014-05-28 南京大学 一种阻变存储器结构及其制备方法
CN103915328B (zh) * 2014-03-05 2017-01-04 复旦大学 利用石墨烯带电在石墨烯上生长高k介质的方法
KR102216543B1 (ko) 2014-06-16 2021-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그래핀-금속 접합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그래핀-금속 접합 구조체를 구비하는 반도체 소자
US9634245B2 (en) * 2015-01-09 2017-04-25 Micron Technology, Inc. Structures incorporating and methods of forming metal lines including carbon
US9865798B2 (en) 2015-02-24 2018-01-09 Qualcomm Incorporated Electrode structure for resistive memory device
CN104810476A (zh) 2015-05-07 2015-07-29 中国科学院微电子研究所 非挥发性阻变存储器件及其制备方法
CN109560104A (zh) * 2018-12-20 2019-04-02 上海集成电路研发中心有限公司 一种相变存储器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570B1 (ko) 2006-10-20 2008-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크로스 포인트 메모리용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CN101192513A (zh) * 2006-11-28 2008-06-04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金属-绝缘体-金属电容器及其制造方法
FR2910686B1 (fr) * 2006-12-20 2009-04-03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Dispositif de memorisation a structure multi-niveaux
US20090095985A1 (en) 2007-10-10 2009-04-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layer electrode, cross point memory arr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1442105B (zh) * 2007-11-21 2010-06-09 中国科学院化学研究所 一种有机场效应晶体管及其专用源漏电极与制备方法
KR20090081153A (ko) 2008-01-23 2009-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저항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WO2009126846A1 (en) 2008-04-11 2009-10-15 Sandisk 3D, Llc Damascene integration methods for graphitic films in three-dimensional memories and memories formed therefrom
US8569730B2 (en) 2008-07-08 2013-10-29 Sandisk 3D Llc Carbon-based interface layer for a memory device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US7733685B2 (en) * 2008-07-09 2010-06-08 Sandisk 3D Llc Cross point memory cell with distributed diodes and method of making same
WO2010048408A2 (en) * 2008-10-23 2010-04-29 Sandisk 3D, Llc Carbon-based memory elements exhibiting reduced delamination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CN101740570B (zh) * 2008-11-26 2011-06-15 中国科学院微电子研究所 互补型金属氧化物半导体晶体管器件及其制作方法
US8673703B2 (en) * 2009-11-17 2014-03-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abrication of graphene nanoelectronic devices on SOI structures
CN101834206B (zh) * 2010-04-12 2012-10-10 清华大学 半导体器件结构及其形成方法
US8344358B2 (en) * 2010-09-07 2013-01-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Graphene transistor with a self-aligned gate
US8361853B2 (en) * 2010-10-12 2013-01-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Graphene nanoribbons, method of fabrication and their use in electronic devices
US8476617B2 (en) * 2011-02-18 2013-07-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Graphene-containing semiconductor structures and devices on a silicon carbide substrate having a defined miscut ang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460384A (zh) 2013-12-18
WO2012109051A2 (en) 2012-08-16
KR101389194B1 (ko) 2014-04-24
WO2012109051A3 (en) 2012-11-22
TWI484642B (zh) 2015-05-11
SG192658A1 (en) 2013-09-30
US8431923B2 (en) 2013-04-30
CN103460384B (zh) 2015-06-17
TW201240102A (en) 2012-10-01
US20120199807A1 (en) 2012-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9194B1 (ko) 다이오드 구조를 포함하는 반도체 구조 및 반도체 장치 및 그의 형성 방법
US10424732B2 (en) Fin selector with gated RRAM
TWI317128B (en) A nonvolatile memory cell,a monolithic three dimensional memory array,and a method for forming,setting and resetting a nonvolatile memory cell and associated conductors
JP5788274B2 (ja) 抵抗変化型不揮発記憶装置、半導体装置及び抵抗変化型不揮発記憶装置の製造方法
US8153488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nonvolatile storage device
US20140322862A1 (en) Method of making a 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 device with metal-doped resistive switching layer
US20110001110A1 (en) Resistance change e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8133758B2 (en) Method of fabricating phase-change memory device having TiC layer
US8264866B2 (en)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2483704B1 (ko)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00428A (ko) 저항 가변 메모리 셀 구조들 및 방법들
CN110739394A (zh) 用于提高选择器装置的结晶温度的多层结构
JP2013541204A (ja) ナノスケールスイッチングデバイス
JP2011071380A (ja) 半導体メモリ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10009545A (ko) 금속 탄화 전극을 갖는 반도체장치의 형성방법 및 관련된 반도체장치
US20140295639A1 (en) Field focusing features in a reram cell
US20130193402A1 (en) Phase-change random access memor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00137627A (ko) 다공성 산화막 속에 형성된 나노와이어 네트워크 단원계 상변화층을 갖는 상변화 메모리 및 형성 방법
KR101069723B1 (ko) 고집적 상변화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99962A (ko) 크로스-포인트 어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29578B1 (ko) 라인형 메모리 및 그 형성 방법
KR101595488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형성 방법
TWI398974B (zh) 具有單晶矽在矽化物上之積體電路元件及其製造方法
US11444243B2 (en) Electronic devices comprising metal oxide materials and related methods and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