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5389A - 현상 장치 - Google Patents

현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5389A
KR20130105389A KR1020130024307A KR20130024307A KR20130105389A KR 20130105389 A KR20130105389 A KR 20130105389A KR 1020130024307 A KR1020130024307 A KR 1020130024307A KR 20130024307 A KR20130024307 A KR 20130024307A KR 20130105389 A KR20130105389 A KR 201301053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conveying member
chamber
recovery chamber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4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모유키 사카마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05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53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87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 G03G15/0891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for conveying or circulating developer, e.g. augers
    • G03G15/0893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for conveying or circulating developer, e.g. augers in a closed loop within the sump of the developing devi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handling means after the developing zone and before the supply, e.g. developer recovering roll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87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 G03G15/0891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for conveying or circulating developer, e.g. aug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87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 G03G15/0889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for agitation or stirr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9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using magnetic brush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9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using magnetic brush
    • G03G15/0921Details concerning the magnetic brush roller structure, e.g. magnet configur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Magnetic Brush Develop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현상 장치는, 현상 슬리브와; 슬리브가 현상제를 담지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제1 자극 및 제2 자극을 포함하는 자석과; 슬리브로 현상제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공급 챔버와; 현상에 사용된 현상제를 회수하도록 구성되는 회수 챔버와; 공급 챔버 및 회수 챔버 내에 제공되는 제1 반송 부재 및 제2 반송 부재와; 회수 챔버 내에서의 현상제 반송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수 챔버 내에 회수된 현상제를 반송하도록 구성되는 제3 반송 부재를 포함하고, 제3 반송 부재의 중심부가 구간 아래에 배열되고 구간과 중첩되고, 구간은 제1 자극의 자속 밀도의 국부 최대 피크와 자속 밀도의 국부 최소 피크 사이의 슬리브의 표면 상에 한정된다.

Description

현상 장치{DEVELOP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전자 사진 방식 또는 정전 기록 방식을 통해 화상 담지체 상에 형성되는 정전 잠상을 현상함으로써 가시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복사기, 프린터, 기록 화상 표시 장치 및 팩시밀리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고, 화상 형성 장치는 토너 및 캐리어를 포함하는 2성분 현상제를 사용하는 현상 장치를 포함한다.
종래로부터, 전자 사진 방식 또는 정전 기록 방식을 채용한 화상 형성 장치 특히 전자 사진 방식에 의해 풀 컬러 화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는 대개 발색성 및 혼색성의 관점에서 토너 및 캐리어를 혼합함으로써 얻어지는 2성분 현상제를 사용하는 현상 장치를 포함한다.
주지된 것과 같이, 2성분 현상제를 사용한 현상 방법은 캐리어 입자 및 토너 입자의 마찰 전기 대전에 의해 토너 입자를 전기적으로 대전시키고 전기적으로 대전된 토너 입자가 정전 잠상에 정전기적으로 부착되게 함으로써 화상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2성분 현상 방식에서, 농도 면에서의 변동을 억제하면서 화상을 상당히 안정되게 제공하기 위해, 토너 대전량(이후에서, 마찰 전기로서 언급됨)을 안정시키는 것이 중요하고, 이러한 안정화를 위해, 현상 장치 내에서의 토너 농도 분포를 균등화할 것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마찰 전기는 토너 농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경향이 있고, 구체적으로, 토너 농도의 감소에 따라 절대 수치 면에서 증가되고 토너 농도의 증가에 따라 절대 수치 면에서 감소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종래의 현상 장치에서, 토너가 현상에 따라 소모되고 현상제의 토너 농도가 감소될 때에, 토너가 소모된 토너를 보상하는 양만큼 보충되고, 교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토너 농도가 일정한 수준으로 제어 및 유지된다.
그러나, 긴 시간에 걸친 사용에 따라, 현상 시에, 토너가 소모된 상태에서, 현상 슬리브로부터 현상 장치로 회수되는 현상제가 현상 장치 내의 현상제와 충분하게 혼합되지 않은 상태로 부분적으로 불균일한 토너 농도로 현상 슬리브로 재공급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토너 농도의 감소의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위에서 설명된 문제점에 대한 대책으로서, 아래에서 설명되는 것과 같이, 현상 시에, 토너의 소모에 의해 토너 농도 면에서 감소된 현상제가 현상 장치 내에서 회수된 직후에 현상 슬리브로 재공급되는 것이 방지되는 구조가 제안되었다. 구체적으로, 현상 슬리브로 현상제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공급 챔버 그리고 현상 슬리브로부터 현상제를 회수하도록 구성되는 회수 챔버를 별도로 포함하는 현상 장치가 제안되었다(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H05-333691호). 도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러한 현상 장치(101)는 현상 장치(101)의 상부 부분 내에 제공되는 공급 챔버(102) 그리고 하부 부분 내에 제공되는 회수 챔버(103)를 포함한다. 현상 장치(101)는 2개의 상부 및 하부 나사 즉 회수 챔버(103)와 공급 챔버(102) 사이에서 현상제를 순환시키기 위해 반송 방향으로 서로 반대되는 제1 반송 나사(104) 및 제2 반송 나사(105)를 추가로 포함한다. 순환되는 동안에, 현상제는 상부 공급 챔버(102)로부터 현상 슬리브(106)로 공급되고, 감광체(108)에는 현상이 적용된다. 한편, 현상의 완료 후에, 현상제는 현상 슬리브(106)로부터 하부 회수 챔버(103) 내로 회수된다. 이로써, 토너 농도 면에서 감소된 현상-후 현상제는 현상 슬리브(106)로 바로 재공급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토너 농도 면에서의 부분적인 불균일성 그리고 토너 농도의 감소의 문제점이 완화된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 장치의 사용에도, 토너 농도 면에서의 부분적인 불균일성, 토너 농도의 감소 등의 문제점은 높은 인자율(coverage rate)의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에서와 같이 토너 소모가 큰 경우에 아직 완화되지 않았다.
회수 챔버 내에서, 현상제 내에 보충되는 토너 그리고 현상 슬리브로부터 회수된 현상제가 합쳐지고, 그 다음에 교반 및 반송된다. 이와 같이, 현상제의 농도 수준이 회수 챔버 내에서의 반송 방향으로의 하류측을 향해 더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현상제의 농도 수준이 더 높아질 때에, 현상제가 회수 챔버 내에 제공되는 반송(교반) 나사에 의해 충분하게 교반되지 않은 상태로 공급 챔버로 반송된다. 이와 같이, 회수 챔버 내에서의 반송 방향으로의 하류측 상의 영역 내에 회수되는 현상제의 일부가 토너 보충이 적용되는 또 다른 현상제와 불충분하게 교반 및 혼합되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이, 이들 현상제가 서로 혼합되지 않은 상태로 공급 챔버로 전달되는 경향이 있다. 낮은 인자율의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문제점이 없다. 그러나, 토너가 높은 인자율의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에 불충분하게 교반될 때에, 현상제가 농도 면에서 균등화되지 않은 상태로 공급 챔버로 전달될 위험성이 남아 있고, 불균등한 농도 상태의 현상제가 현상 슬리브로 그대로 공급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문제점에 대한 대책으로서, 제2 반송 나사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현상제를 반송하도록 구성되는 제3 반송 나사를 회수 챔버 내의 제2 반송 나사에 추가하여 추가로 포함하는 현상 장치가 제안되었다(일본 특허 제3,127,594호). 도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3 반송 나사(107)가 제공될 때에, 현상제가 회수 챔버(103)로부터 공급 챔버(102)로 전달되는 연통 부분에 근접한 후방측 상에 정체되는 현상제의 일부가 제2 반송 나사(105)의 반송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재차 압박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현상제의 농도 수준이 균등화될 수 있고, 낙하된 현상제를 교반하는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일본 특허 제3,127,594호의 구조에서와 같이, 회수 챔버와 공급 챔버(현상 챔버) 사이의 연통 부분 내에 저류되는 현상제의 일부로부터, 제3 반송 나사측 상에서 범람되는 현상제의 일부가 제3 반송 나사에 의해 재차 압박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반송 방향으로의 하류측 상에서의 현상제의 농도 수준의 상승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고, 현상제의 농도 수준을 균등화하는 효과가 어느 정도까지 얻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일본 특허 제3,127,594호에 개시된 것과 같이, 현상제의 농도 수준이 단지 균등화되는 구조에서, 토너 농도 면에서 감소되고 회수 챔버 내에 회수된 현상제의 일부가 충분하게 교반되지 않은 상태로 공급 챔버와 연통되는 연통 부분으로 바로 반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위에서 설명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토너 농도 면에서 감소되고 회수 챔버 내에 회수된 현상제가 공급 챔버와 연통되는 연통 부분으로 반송되기 전에 토너 보충이 적용되는 현상제와 효과적으로 혼합될 것이 필요하다.
위에서 설명된 문제점의 관점에서, 본 발명은 현상제 담지체로부터 현상제를 회수하도록 구성되는 회수 챔버 내에서의 현상제 반송 방향으로의 하류측 상에서의 현상제의 농도 수준의 상승을 억제하면서 회수된 현상제 그리고 토너 보충이 적용되는 현상제를 효율적으로 교반할 수 있는 현상 장치를 제공한다.
위에서 언급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토너 및 캐리어를 포함하는 현상제를 담지하도록 구성되는 현상제 담지체와;
현상제 담지체가 현상제를 담지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자석으로서, 자석은 복수개의 자극을 포함하고, 복수개의 자극은 적어도 현상제 담지체의 내부측 상에 배열되는 제1 자극과, 현상제 담지체의 회전 방향으로의 하류측에서 제1 자극에 인접하고 제1 자극의 극성과 동일한 극성을 갖는 제2 자극을 갖는 자석과;
현상제 담지체로 현상제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공급 챔버와;
양쪽 단부 부분이 공급 챔버에 연결되는 회수 챔버로서, 현상제 담지체에 의한 현상에 사용된 현상제를 회수하도록 구성되는 회수 챔버와;
공급 챔버 내에 제공되고 공급 챔버 내의 현상제를 반송하도록 구성되는 제1 반송 부재와;
회수 챔버 내에 제공되고 회수 챔버 내의 현상제를 반송하도록 구성되는 제2 반송 부재와;
회수 챔버 내에서의 현상제 반송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수 챔버 내의 현상제를 반송하기 위해 제2 반송 부재에 대향하여 제공되는 제3 반송 부재로서, 제3 반송 부재의 회전축 주위에 제공되는 나선형 블레이드를 갖는, 제3 반송 부재를 포함하고,
제3 반송 부재는 제3 반송 부재의 회전축의 중심부가 구간 아래에서 중력 방향으로 구간과 중첩되어 배열되는 방식으로 제공되고, 구간은 제1 자극의 자속 밀도의 현상제 담지체의 법선 방향 성분의 국부 최대 피크의 위치와 자속 밀도의 현상제 담지체의 법선 방향 성분의 국부 최소 피크의 위치 사이의 현상제 담지체의 표면 상에 한정되고, 국부 최소 피크의 위치는 현상제 담지체의 회전 방향으로 국부 최대 피크의 위치의 바로 하류에 위치되는 현상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 실시예의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1은 화상 형성 장치의 구조의 설명도.
도2는 현상 장치의 설명도.
도3은 현상 장치의 설명도.
도4a는 실시예에 따른 현상 장치의 현상 슬리브 부근의 확대도.
도4b는 자속 밀도의 분포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5는 실시예에 따른 현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자속 밀도의 분포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6은 실시예에 따른 현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자속 밀도의 분포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상 장치의 중실 밀도 그리고 비교예에 따른 현상 장치의 중실 밀도의 측정 결과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8은 비교예에 따른 현상 장치의 설명도.
도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상 장치의 설명도.
도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상 장치의 설명도.
도11은 종래의 현상 장치의 설명도.
도12는 또 다른 종래의 현상 장치의 설명도.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이들 실시예에서, 토너 화상 형성을 위한 실질적인 부분만이 설명될 것이다. 필수적인 장치, 장비 및 섀시 구조가 제공됨으로써, 본 발명은 프린터, 다양한 인쇄 기계, 복사기, 팩시밀리 및 복합기 등의 다양한 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참조로 본원에 합체되어 있는)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H05-333691호 및 일본 특허 제3,127,594호에 개시된 화상 형성 장치의 일반적인 사항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고, 그 반복된 설명은 생략된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실시예 1)
(화상 형성 장치)
도1은 화상 형성 장치의 구조의 설명도이다. 도2 및 도3은 현상 장치의 설명도이다.
도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0)는 중간 전사 벨트(5)를 따라 배열되는 황색, 마젠타색, 시안색 및 흑색의 화상 형성 부분(Pa, Pb, Pc, Pd)을 포함하는 텐덤형 중간 전사 형태의 풀-컬러 프린터이다. 복수개의 화상 형성 부분이 중간 전사 매체를 따라 배열된다.
화상 형성 부분(Pa)에서, 황색 토너 화상이 감광체 드럼(1a) 상에 형성되고, 그 다음에 중간 전사 벨트(5)로 1차 전사된다. 화상 형성 부분(Pb)에서, 마젠타색 토너 화상이 감광체 드럼(1b) 상에 형성되고, 그 다음에 중간 전사 벨트(5)의 황색 토너 화상 상으로 중첩 방식으로 1차 전사된다. 화상 형성 부분(Pc, Pd)에서, 시안색 토너 화상 및 흑색 토너 화상이 각각 감광체 드럼(1c, 1d) 상에 형성되고, 또한 중첩 방식으로 중간 전사 벨트(5)로 순차적으로 1차 전사된다.
중간 전사 벨트(5) 상으로 1차 전사되는 4색 토너 화상이 2차 전사 부분으로 반송되고, 일괄적으로 기록 매체(P) 상으로 2차 전사된다. 4색 토너 화상이 2차 전사된 기록 매체(P)는 토너 화상이 그 표면에 정착되도록 정착 장치(8)에 의해 가열 및 가압되고, 그 다음에 적층 트레이(9)로 분배된다.
화상 형성 부분(Pa, Pb, Pc, Pd)은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데 사용되는 토너의 색상이 황색, 마젠타색, 시안색 및 흑색 중에서 상이하다는 점을 제외하면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다음에, 화상 형성 부분(Pa)이 설명될 것이고, 다른 화상 형성 부분(Pb, Pc, Pd)은 "b", "c" 및 "d"로써 설명 내의 참조 부호의 접미사 "a"를 교체함으로써 설명될 것이다.
화상 형성 부분(Pa)은 감광체 드럼(1a) 그리고 감광체 드럼(1a) 주위에 배열되는 코로나 대전기(2a), 노광 장치(3a), 현상 장치(4a), 1차 전사 롤러(6a) 및 클리닝 장치(7a)를 포함한다.
감광체 드럼(1a)은 알루미늄 실린더의 외주면 상에 형성되는 음 대전 극성을 갖는 감광체 층을 갖고, 300 ㎜/sec의 프로세스 속도로 화살표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된다. 코로나 대전기(2a)는 균일하게 감광체 드럼(1a)의 표면을 대전시켜 음 전위를 갖게 하기 위해 코로나 방전과 함께 대전된 입자로써 감광체 드럼(1a)을 조사한다. 노광 장치(3a)는 황색 분리 컬러 화상을 현상함으로써 얻어지는 스캐닝 라인 화상 데이터에 따라 온-오프 키잉이 적용되는 레이저 빔을 회전 거울을 사용함으로써 스캐닝하고, 감광체 드럼(1a)의 대전된 표면 상으로 화상의 정전 잠상을 기록한다.
현상 장치(4a)는 자성 캐리어 및 비자성 토너를 대전시켜 각각 양 극성 및 음 극성을 갖게 하기 위해 주 성분으로서 자성 캐리어 및 비자성 토너를 포함하는 2성분 현상제를 교반한다. 이처럼 대전된 2성분 현상제는 고정된 자극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현상 슬리브(28)에 의해 담지됨으로써 감광체 드럼(1a)에 대해 마찰된다. 그 다음에, 음 직류 전압 상에 교류 전압을 중첩시킴으로써 발생되는 진동 전압이 현상 슬리브(28)에 인가된다. 이로써, 음 극성을 갖도록 대전된 비자성 토너는 현상 슬리브(28)에 대해 양 극성을 갖도록 대전된 감광체 드럼(1a) 상의 정전 잠상 상으로 전사된다. 그 다음에, 정전 잠상에는 역전 현상(reverse development)이 적용된다.
1차 전사 롤러(6a)는 감광체 드럼(1a)과 중간 전사 벨트(5) 사이에 1차 전사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중간 전사 벨트(5)를 가압한다. 양 직류 전압이 1차 전사 롤러(6a)에 인가되고, 그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5) 상으로 감광체 드럼(1a) 상에 담지된 음 토너 화상을 1차 전사하여 1차 전사 부분을 통과한다.
클리닝 장치(7a)는 중간 전사 벨트(5) 상으로의 1차 전사가 적용되지 않은 상태로 감광체 드럼(1a) 상에 남아 있는 미전사 잔류 토너를 회수하기 위해 감광체 드럼(1a)에 대해 그 클리닝 블레이드를 마찰시킨다. 전사 벨트 클리닝 장치(10)가 기록 매체(P) 상으로의 2차 전사가 적용되지 않은 상태로 중간 전사 벨트(5) 상에 남아 있는 미전사 잔류 토너를 회수한다.
(현상 장치)
도2 및 도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현상 장치(4)는 현상 용기(22)를 포함하고, 현상 용기(22)는 자성 캐리어 및 비자성 토너를 포함하는 2성분 현상제를 현상제로서 수용한다. 나아가, 현상 용기(22)는 현상제 담지체로서의 현상 슬리브(28) 그리고 현상 슬리브(28) 상에 담지된 현상제의 자기 브러시를 규제하도록 구성되는 자기 브러시 트리밍 부재(30)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현상 용기(22)에는 감광체 드럼(1)에 대향되는 현상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개구 부분이 제공되고, 현상 슬리브(28)는 현상 슬리브(28)가 감광체 드럼(1)의 방향으로 개구 부분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방식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배열된다.
현상 슬리브(28)는 20 ㎜의 직경을 갖고, 감광체 드럼(1)은 80 ㎜의 직경을 갖는다. 나아가, 현상 슬리브(28) 및 감광체 드럼(1)이 서로 가장 근접해지는 영역에서, 대략 300 ㎛의 간극이 그 사이에 확보된다. 이러한 설정으로써, 현상 부분으로 반송된 현상제가 감광체 드럼(1)과 접촉 상태로 유지되는 상태에서, 현상이 수행될 수 있다. 현상 슬리브(28)는 알루미늄 및 스테인리스 스틸 등의 비자성 재료로 제조되고, 자기장 발생 유닛으로서의 자석 롤러(29)가 회전 불가능한 상태로 그 내부측 상에 설치된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자석 롤러(29)는 현상 부분 내의 감광체 드럼(1)에 대향으로 배열되는 현상 자극(S2)을 포함하고, 자기 브러시 트리밍 부재(30)에 대향으로 배열되는 규제 자극(N1), 규제 자극(N1)과 현상 자극(S2) 사이에 배열되는 자극(S1, N2) 그리고 회수 챔버(24)에 대향으로 배열되는 박리 자극(N3)을 추가로 포함한다.
현상 슬리브(28)는 감광체 드럼(1)에 대향되는 현상 영역 내로 자기 브러시 트리밍 부재(30)에 의한 자기 브러시 트리밍을 통해 층 두께 규제가 적용된 2성분 현상제를 담지 및 반송하기 위해 현상 시에 도2에 표시된 화살표 방향(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자기 브러시 트리밍 부재(30)(규제 블레이드)는 현상 슬리브(28)의 길이 방향으로 축을 따라 연장되는 알루미늄 판 등의 비자성 부재로 형성되고, 감광체 드럼(1)에 대한 현상 슬리브(28)의 회전 방향으로의 상류측 상에 배열된다. 자기 브러시 트리밍 부재(30)의 모서리와 현상 슬리브(28) 사이의 간극을 통해, 현상제의 토너 및 캐리어의 양쪽 모두가 현상 영역으로 보내진다. 자기 브러시 트리밍 부재(30)와 현상 슬리브(28)의 표면 사이의 간극의 조정을 통해, 현상 슬리브(28) 상에 담지된 현상제의 자기 브러시의 트리밍 정도가 규제된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결과적으로, 현상 영역 내로 반송될 현상제의 양이 조정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현상 슬리브(28) 상의 단위 면적당 현상제 코팅량이 자기 브러시 트리밍 부재(30)로써 30 ㎎/㎠로 규제된다.
현상제 슬리브(28) 상의 2성분 현상제는 현상 슬리브(28)의 회전에 따라 감광체 드럼(1)에 대향되는 현상 영역 내로 반송된다. 그 다음에, 감광체 드럼(1)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은 2성분 현상제 내에 포함된 토너로써 토너 화상으로 현상된다. 이 때에, 현상 효율, 바꿔 말하면 정전 잠상에 대한 토너 인가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직류 전압 및 교류 전압을 서로 중첩시킴으로써 발생되는 현상 바이어스 전압이 전원으로부터 현상 슬리브(28)로 인가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500 V의 직류 전압, 1,500 V의 피크-대-피크 전압(Vpp) 그리고 12 ㎑의 주파수("f")를 갖는 교류 전압이 인가된다.
현상 용기(22)의 내부측은, 도2의 도면 용지에 직각인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그 중심 부분에서 연장되는 구획 벽(27)에 의해 공급 챔버(23) 및 회수 챔버(24)로 분할된다. 현상제는 공급 챔버(23) 및 회수 챔버(24) 내에 수용된다.
공급 챔버(23) 및 회수 챔버(24) 내에, 현상제 교반 및 반송 유닛으로서 각각 작용하는 제1 반송 나사(25) 및 제2 반송 나사(26)가 각각 배열된다. 제1 반송 부재로서의 제1 반송 나사(25)는 현상 슬리브(28)의 축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축 방향을 따라 일측으로 공급 챔버(23) 내의 현상제를 반송하기 위해 도2에 표시된 화살표 방향(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 나아가, 제2 반송 부재로서의 제2 반송 나사(26)는 회수 챔버(24) 내에 제1 반송 나사(25)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제1 반송 나사(25)가 현상제를 반송하는 측면에 대향되는 측면으로 회수 챔버(24) 내의 현상제를 반송하기 위해 제1 반송 나사(25)의 방향에 역전되는 방향(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반송 나사(25) 및 제2 반송 나사(26)의 회전에 의한 반송을 통해, 현상제가 구획 벽(27)의 양쪽 단부 부분에서 개구 부분(바꿔 말하면, 연통 부분)(11, 12)을 통해 공급 챔버(23)와 회수 챔버(24) 사이에서 순환된다.
회수 챔버(24)는 제2 반송 나사(26)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인접하도록 배열되는 제3 반송 부재로서의 제3 반송 나사(31)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3 반송 나사(31)는 제2 반송 나사(26)가 현상제를 반송하는 측면에 대향되는 측면으로 현상제를 회전시키면서 반송한다. 제1 반송 나사(25), 제2 반송 나사(26) 및 제3 반송 나사(31)는 그 회전축 주위에 제공되는 나선형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나사 부재를 각각 포함한다.
그러나,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단지 제3 반송 나사(31)의 배치에 의해, 토너 농도 면에서 감소되고 회수 챔버(24) 내에 회수된 현상제가 공급 챔버(23)에 연통되는 연통 부분(11)으로 바로 반송되는 것이 반드시 방지되지는 않는다. 이것은 제3 반송 나사(31)가 종래의 구조에서와 같이 단지 반송 방향에 대향되는 측면으로 회수 챔버(24) 내의 현상제를 재차 압박하도록 구성될 때에, 토너 농도가 감소된 현상 슬리브(28)로부터 낙하된 현상제가 대향측으로 제3 반송 나사(31)에 의해 반드시 반송되지는 않기 때문이다.
위에서 언급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3 반송 나사(31)는 보다 우선적으로, 토너 농도가 감소된 현상 슬리브(28)로부터 낙하된 현상제를 교반 및 반송하도록 구성될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은 토너 농도가 감소된 현상 슬리브(28)로부터 낙하된 현상제가 제3 반송 나사(31) 상으로 정확하게 안내되고 그에 의해 제3 반송 나사(31)에 의해 보다 우선적으로 토너 농도가 감소된 현상제를 교반 및 반송하는 특징을 갖는다. 다음에, 이러한 구성의 상세한 설명이 도4a 및 도4b를 참조하여 제공될 것이다.
현상제가 현상 슬리브(28)로부터 낙하되는 위치는 현상 슬리브(28) 내부측의 자석 롤러(29)의 패턴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자석 롤러(29)의 자석 패턴이 적절하게 설정될 때에, 현상 슬리브(28)로부터 낙하된 현상제가 제3 반송 나사(31) 상으로 정확하게 안내될 수 있다.
도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자석 롤러(29)는 현상 자극(S2)에 대한 현상 슬리브(28)의 회전 방향으로의 하류측 상에 배열된 박리 자극(N3)을 포함한다. 또한, 박리 자극(N3)에 대한 하류측 상에, 박리 자극(N3)과 동일한 극성을 갖는 규제 자극(N1)이 반발 자기장을 발생시키도록 배열된다. 바꿔 말하면, 현상 슬리브(28)의 회전 방향으로, 동일한 극성을 공통적으로 갖는 제1 자극으로서의 박리 자극(N3) 그리고 제2 자극으로서의 규제 자극(N1)이 반발 자기장을 협력하여 발생시킨다.
현상 자극(S2)을 통과할 때에, 현상에 사용되어 토너 농도가 감소된 현상제는 현상 슬리브(28)의 회전에 따라 박리 자극(N3)으로 반송된다. 위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박리 자극(N3) 및 규제 자극(N1)이 서로 인접하므로, 반발 자기장이 그 사이에 발생된다. 결과적으로, 박리 자극(N3)과 규제 자극(N1) 사이의 자속 밀도가 대략 0 mT로 감소된다. 도4b는 박리 자극(N3)과 규제 자극(N1) 사이의 자속 밀도의 "r" 성분(Br)의 분포를 도시하고 있다. 자속 밀도의 "r" 성분(Br)[현상 슬리브(28)의 법선 방향으로의 성분]이 감소됨에 따라, 현상 슬리브(28)를 향해 현상제 내에 포함된 캐리어를 끌어당기는 힘이 감소된다. 따라서, 캐리어를 포함한 현상제가 박리 자극(N3)에서의 자속 밀도의 "r" 성분(Br)[현상 슬리브(28)의 법선 방향으로의 성분]의 피크 위치[국부 최대 피크(A)의 위치]를 통과할 때에 대략 낙하되기 시작한다. 또한, 그때부터, 자속 밀도가 더 낮아짐에 따라, 현상제가 계속하여 낙하되고, 거의 모든 현상제가 박리 자극(N3)과 규제 자극(N1) 사이의 자속 밀도의 "r" 성분(Br)의 국부 최소 피크(B)의 위치에 도달되기 전에 낙하된다. 반발 자기장은 박리 자극(N3)에 대해 하류측 상에서 발생되므로, 자속 밀도의 "r" 성분(Br) 및 θ 성분(Bθ)의 양쪽 모두가 감소된다. 추가로, 자속 밀도의 절대 수치[|B|=(Br2+Bθ2)1/2]는 "r" 성분(Br)에 따라 감소된다. 일반적으로, 자력이 자속 밀도의 절대 수치(|B|)의 변동(구배)에 따라 발생되고, 구체적으로, 절대 수치(|B|)가 작은 지점으로부터 절대 수치(|B|)가 큰 지점을 향해 발생된다. 절대 수치(|B|)는 "r" 성분(Br)의 국부 최소 피크(B)까지 감소가 계속되며, 그에 따라 현상 슬리브(28) 상의 접선 방향으로의 (∂|B|/∂θ에 비례하는) 자력(Fθ)이 현상 슬리브(28)의 회전 방향에 역전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그러므로, 박리 자극(N3)에서의 자속 밀도의 "r" 성분(Br)의 국부 최대 피크(A)와 "r" 성분(Br)의 국부 최소 피크(B) 사이에서, 자력이 현상 슬리브(28)의 회전 방향에 역전되는 방향으로 계속하여 작용한다. 한편, 이러한 자력이 현상제의 반송 시에 제동부로서 작용하므로, 현상제의 반송 속도가 점차로 감소된다. 이러한 영역에서, "r" 성분(Br)이 감소됨에 따라, 현상 슬리브(28)를 향해 캐리어를 끌어당기는 힘이 점차로 감소된다. 이와 같이, 반송 속도의 감소와 상승 작용하여, 박리 자극(N3)에서의 "r" 성분(Br)의 국부 최대 피크(A)와 "r" 성분(Br)의 국부 최소 피크(B) 사이에서, 현상제가 하향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직선으로 중력에 의해 낙하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현상 슬리브(28)로부터 낙하된 현상제의 토너 농도의 불균일성을 추가로 억제하기 위해, 다음이 구성이 채용된다. 본 발명에서, 제3 반송 나사(31)는 박리 자극(N3)에서의 자속 밀도의 "r" 성분(Br)의 국부 최대 피크(A)와 반발 자극들 사이의 "r" 성분(Br)의 국부 최소 피크(B) 사이의 구간에 대해 중력 방향으로 바로 하부측 상에 배열된다. 이러한 경우에, 이러한 실시예에서, 도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3 반송 나사(31)는 그 축 방향 중심부가 박리 자극(N3)에서의 자속 밀도의 "r" 성분(Br)의 국부 최대 피크(A)의 중력 방향으로의 바로 아래의 위치와 반발 자극들 사이의 "r" 성분(Br)의 국부 최소 피크(B)의 중력 방향으로의 바로 아래의 위치 사이에 위치되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이러한 배열로써, 회수된 현상제가 토너 농도가 낮은 영역을 국부적으로 포함할 때에도, 현상제가 제3 반송 나사(31)의 축 방향 중심부에 대해 양쪽 측면 내로 분배 방식으로 미리 낙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축에 대해 양쪽 측면 내로 분리된 후에, 현상제가 제3 반송 나사(31)의 블레이드의 교반 작용이 적용됨으로써 더 효과적으로 분산되고, 그에 따라 충분히 분산된 상태로 제2 반송 나사(26)로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현상 슬리브(28)로부터 낙하된 현상제는 현상제가 제3 반송 나사(31)의 축 방향 중심부에 대해 단지 어느 한쪽 측면으로 낙하되는 경우에 비해 더 효과적으로 교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토너 농도가 감소된, 회수 챔버(24) 내에 회수된 현상제가 공급 챔버(23)에 연통된 연통 부분(11)으로 바로 반송되는 것이 방지되고, 토너 농도의 불균일성이 제거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실시예에서, 도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3 반송 나사(31)는 박리 자극(N3)에서의 "r" 성분(Br)의 국부 최대 피크(A)와 반발 자극들 사이의 "r" 성분(Br)의 국부 최소 피크(B) 사이의 전체 구간이 제3 반송 나사(31)의 외경에 대응하는 범위 내에 속하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이로써, 현상 부분을 통과하여 토너 농도가 감소된 거의 모든 현상제가 제3 반송 나사(31) 상으로 낙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현상 슬리브(28)로부터 낙하된 현상제가 제3 반송 나사(31)에 의해 보다 우선적으로 제2 반송 나사(26)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반송되므로, 토너 농도가 감소된 현상제가 공급 챔버(23)에 연통된 연통 부분(11)으로 바로 반송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에서의 "국부 최소 피크"는 박리 자극(N3)과 박리 자극(N3)에 대해 하류측 상에 배열되고 박리 자극(N3)과 동일한 극성을 갖는 규제 자극(N1) 사이의 "r" 성분(Br)의 국부 최소 지점을 말한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국부 최소 지점이 단지 1개의 국부 최소 지점을 포함할 때에, 1개의 국부 최소 지점의 위치가 국부 최소 피크의 위치로서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국부 최소 지점이 2개 이상의 국부 최소 지점을 포함할 때에, 박리 자극(N3)에 가장 근접한 국부 최소 지점 바꿔 말하면 박리 자극(N3)에 대한 바로 하류측 상의 국부 최소 지점(도5)이 국부 최소 피크로서 결정된다. 이것은 현상제의 박리가 박리 자극(N3)을 통과한 후에 현상제가 도달되는 제1 국부 최소 지점에서 실질적으로 완료되기 때문이다. 한편, 일부 경우에, 자속 밀도의 "r" 성분(Br)이 현상 슬리브(28)의 표면 상의 위치에서 현저하게 작은 영역이 현상 슬리브(28)의 표면 상의 넓은 범위에 걸쳐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에, 국부 최소 지점은 모호하다. 이러한 경우에, 현상 슬리브(28)의 표면 상의 위치에서의 자속 밀도의 "r" 성분(Br)이 10 mT 이하인 박리 자극(N3)과 규제 자극(N1) 사이의 영역에서, 박리 자극(N3)에 가장 근접한 위치가 국부 최소 피크로서 특정될 수 있다(도6). 이것은 자속 밀도의 "r" 성분(Br)이 작은, 구체적으로 10 mT 이하인 영역에서 각각의 캐리어 입자에 인가될 자력이 현저하게 작고, 그에 따라 또한 중력의 작용을 고려하여 현상제의 박리가 실질적으로 완료되기 때문이다.
위에서 설명된 경우에, 박리 자극(N3)에서의 "r" 성분(Br)의 국부 최대 피크(A)의 위치 그리고 국부 최대 피크(A)의 위치에 대한 하류측 상의 "r" 성분(Br)의 국부 최소 피크(B)의 위치의 양쪽 모두가 현상 슬리브(28)의 축 방향 중심부의 높이 위치보다 중력 방향으로 낮도록 설정된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이들 위치 중에서, 현상 슬리브(28)의 축 방향 중심부의 높이 위치보다 중력 방향으로 낮도록 박리 자극(N3)에서의 "r" 성분(Br)의 국부 최대 피크(A)의 위치를 설정할 것이 필요하다. 한편, 국부 최대 피크(A)의 위치에 대한 하류측 상의 "r" 성분(Br)의 국부 최소 피크(B)의 위치는 현상 슬리브(28)의 축 방향 중심부의 높이 위치보다 중력 방향으로 높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현상제를 보유하는 힘이 박리 자극(N3)에서의 "r" 성분(Br)의 국부 최대 피크(A)의 위치와 국부 최대 피크(A)의 위치에 대한 하류측 상의 "r" 성분(Br)의 국부 최소 피크(B)의 위치 사이에서 감소될 때에도, 현상제는 현상 슬리브(28)의 일부가 현상 슬리브(28)의 축 방향 중심부 위의 영역 내의 중력 방향으로의 하부측 상에 위치되기 때문에 낙하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이러한 경우에, 현상제가 박리 자극(N3)에서의 "r" 성분(Br)의 국부 최대 피크(A)의 위치와 국부 최대 피크(A)의 위치에 대한 하류측 상의 현상 슬리브(28)의 축 방향 중심부의 높이 위치 사이의 중력 방향으로의 하부측 상의 구간 내의 위치로부터 낙하된다. 그러므로, 낙하된 현상제가 제3 반송 나사(31) 상으로 정확하게 안내되도록 제3 반송 나사(31)가 이러한 영역에 대응하여 배열될 때에, 본 발명의 장점이 얻어질 수 있다.
도7은 위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구성된 현상 장치에 의해 연속적으로 현상되는 10개의 중실 흑색 화상 중 제10 중실 흑색 화상 상의 전방, 중앙 및 후방의 3개의 위치에서의 화상 농도의 측정 결과를 도시하고 있다. 도7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화상 농도는 현상 슬리브(28)의 축 방향으로 모든 위치들에서 실질적으로 균일하였다. 도7은 또한 도8에 도시된 현상 장치에 의해 현상되는 또 다른 화상 농도의 유사한 측정 결과를 비교예로서 도시하고 있다. 또 다른 화상 농도는 또 다른 화상 농도의 불균일성이 일어난 결과로써 공급 챔버(현상 챔버)에 회수 챔버(교반 챔버)를 연통시키는 연통 부분에 근접한 후방에서 약간 감소되었다. 이것은 도8에 도시된 현상 장치(4)에서 현상 슬리브(28)로부터 박리 및 낙하된 현상제의 일부가 제3 반송 나사(31) 상으로 낙하되지 않은 상태로 제2 반송 나사(26) 상으로 바로 공급되기 때문이다. 바꿔 말하면, 현상 슬리브(28)로부터 회수된 현상제가 충분하게 교반되지 않은 상태로 공급 챔버로 바로 반송되고, 그 다음에 현상 슬리브(28)로 재공급된다.
위의 설명으로부터 이해되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구조가 채용될 때에, 현상 슬리브로부터 회수된 현상제가 충분하게 교반되지 않은 상태로 공급 챔버로 바로 더 이상 반송되지 않고, 복사가 연속적으로 수행될 때에도 화상 농도의 불균일성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위에서 설명된 예에서, 도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3 반송 나사(31)의 회전축의 중심부는 구간(AB)에 대한 중력 방향으로의 하부측 상에 설정되고, 구간(AB)의 전체 영역은 중력 방향으로 제3 반송 나사(31)의 외경에 대응하는 범위 내에 속한다. 그러나, 이들 구성 중 적어도 1개가 채용되기만 하면, 회수된 현상제가 더 높은 효율로써 교반될 수 있고, 현상제의 농도 수준이 토너 농도의 부분적인 감소를 억제하면서 균등화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제3 반송 나사(31)의 회전축의 중심부가 구간(AB)에 대한 중력 방향으로의 하부측 상의 범위 내에 속하지 않을 때에도, 적어도 전체 구간(AB)이 중력 방향으로 제3 반송 나사(31)의 외경에 대응하는 범위 내에 속하기만 하면, 본 발명의 장점이 얻어질 수 있다. 대체예에서, 전체 구간(AB)이 중력 방향으로 제3 반송 나사(31)의 외경에 대응하는 범위 내에 속하지 않을 때에도, 제3 반송 나사(31)의 회전축의 적어도 중심부가 구간(AB)에 대한 중력 방향으로의 하부측 상의 영역 내에 설정되기만 하면, 본 발명의 장점이 얻어질 수 있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실시예 2는 다음의 사항을 제외하면 위의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실시예 2의 설명에서, 실시예 1에서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에 의해 표시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실시예 2는 실시예 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지만, 실시예 2는 회수 챔버(24)의 제2 반송 나사(26)와 제3 반송 나사(31) 사이에 제공되는 돌출부(32)를 추가로 포함하는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돌출부(32)는 제2 반송 나사(26)의 하부 단부와 제3 반송 나사(31)의 하부 단부를 서로 부드럽게 연결하는 선(도9, 파선)을 넘어 돌출하도록 배열된다. 이처럼 제공된 돌출부(32)는 현상 슬리브(28)로부터 제3 반송 나사(31) 상으로 회수되는 현상제가 제2 반송 나사(26)를 향해 바로 반송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현상 슬리브(28)로부터 회수된 현상제가 제2 반송 나사(26)로 바로 반송되는 것이 더 신뢰 가능하게 방지될 수 있다.
도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러한 경우의 제3 반송 나사(31)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이것은, 현상제가 정체되는 경향이 있는 바닥면 근처에서 제3 반송 나사(31)가 제2 반송 나사(26)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제3 반송 나사(31)의 블레이드가 회전될 때에, 현상 슬리브(28)로부터 회수된 현상제가 제2 반송 나사(26)로 바로 반송되는 것이 더 신뢰 가능하게 방지되기 때문이다.
나아가, 이러한 경우에, 돌출부(32)의 높이가 제3 반송 나사(31)의 축 방향 중심부(도9, 파선)의 높이보다 낮은 것이 선호된다. 이것은 현상제가 단지 제3 반송 나사(31)의 상부 절반부로부터 제2 반송 나사(26)로 이동될 때에 제3 반송 나사(31)의 절반 이상이 현상제로써 침지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에, 현상 슬리브(28)로부터 낙하된 현상제가 제3 반송 나사(31)의 저부 부분 상의 현상제와 효과적으로 교반 및 혼합될 수 없다. 이러한 상태에서, 현상 슬리브(28)로부터 낙하된 현상제는 제3 반송 나사(31)에 의해 충분하게 교반되지 않은 상태로 단지 제3 반송 나사(31)의 상부측을 통과하면서 제2 반송 나사(26)로 공급되는 경향이 더 크다. 특히, 이러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그 축 방향 중심부에 대한 상부 절반부 내의 제3 반송 나사(31)의 블레이드가 제2 반송 나사(26)를 향해 나선형으로 회전될 때에, 위에서 설명된 문제점이 더 명확해지는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돌출부(32)의 높이는 제3 반송 나사(31)의 축 방향 중심부의 높이보다 낮은 것이 선호된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실시예 3은 실시예 3이 다음의 사항에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 상이하다는 점을 제외하면 위의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실시예 3의 설명에서, 실시예 1에서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에 의해 표시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실시예 3은 실시예 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지만, 도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실시예 3은 회전 불가능한 자석 롤러(37, 39)를 각각 포위하는 2개의 상류 및 하류 현상 슬리브(36, 38)를 포함하는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현상 장치(4)에서, 공급 챔버(23)로부터 상류 현상 슬리브(36)로 공급된 현상제는 하류 현상 슬리브(38)로 전달된다. 하류 현상 슬리브(38)로 전달된 현상제는 하류 현상 슬리브(38) 내의 자석 롤러(39)의 복수개의 자극의 반발 자극으로서의 상류 박리 자극(S5)의 "r" 성분(Br)의 국부 최대 피크(A)의 위치로부터 회수 챔버(24) 내로 박리되기 시작한다. 그 후에, 현상제의 박리가 박리 자극(S5)과 박리 자극(S5)에 대해 하류측 상에 배열되고 박리 자극(S5)과 동일한 극성을 갖는 자극(S3)에서의 "r" 성분(Br)의 국부 최소 피크(B) 사이에서 완료된다. 그러므로, 하류 현상 슬리브(38)의 박리 자극(S5)의 자속 밀도의 "r" 성분(Br)의 국부 최대 피크(A)의 위치와 반발 자극들 사이의 "r" 성분(Br)의 국부 최소 피크(B)의 위치 사이의 구간에 대해 중력 방향으로 바로 하부측 상에 제3 반송 나사(31)를 배열함으로써, 본 발명의 장점이 얻어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복수개의 현상 슬리브가 제공될 때에도, 현상제 반송 방향으로 하류측의 단부 상에 배열된 현상 슬리브에 대해 제3 반송 나사(31)를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배열함으로써, 본 발명의 장점이 얻어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경우에, 공급 챔버 및 회수 챔버는 중력 방향으로 상부 및 하부 위치에 배열되지만, 본 발명은 그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예컨대, 본 발명은 공급 챔버 및 회수 챔버가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는 구조에 또한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상제 담지체로부터 현상제를 회수하도록 구성된 회수 챔버 내에서의 현상제 반송 방향으로의 하류측 상에서의 현상제의 농도 수준의 상승을 억제하면서 회수된 현상제 그리고 토너 보충이 적용된 현상제를 효율적으로 교반하도록 구성되는 현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예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주는 모든 이러한 변형 및 등가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가장 넓은 해석과 일치되어야 한다.
N1: 규제 자극
N3: 박리 자극
S2: 현상 자극
1: 감광체 드럼
4: 현상 장치
22: 현상 용기
23: 공급 챔버
24: 회수 챔버
25: 제1 반송 나사
26: 제2 반송 나사
27: 구획 벽
28: 현상 슬리브
29: 자석 롤러
30: 자기 브러시 트리밍 부재
31: 제3 반송 나사

Claims (8)

  1. 토너 및 캐리어를 포함하는 현상제를 담지하도록 구성되는 현상제 담지체와;
    상기 현상제 담지체가 상기 현상제를 담지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자석으로서, 상기 자석은 복수개의 자극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자극은 적어도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내부측에 배열되는 제1 자극과,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회전 방향으로의 하류측에서 상기 제1 자극에 인접하고 상기 제1 자극의 극성과 동일한 극성을 갖는 제2 자극을 갖는 자석과;
    상기 현상제 담지체로 상기 현상제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공급 챔버와;
    양쪽 단부 부분이 상기 공급 챔버에 연결되는 회수 챔버로서,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의한 현상에 사용된 현상제를 회수하도록 구성되는 회수 챔버와;
    상기 공급 챔버 내에 제공되고 상기 공급 챔버 내의 현상제를 반송하도록 구성되는 제1 반송 부재와;
    상기 회수 챔버 내에 제공되고 상기 회수 챔버 내의 현상제를 반송하도록 구성되는 제2 반송 부재와;
    상기 회수 챔버 내에서의 현상제 반송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수 챔버 내의 현상제를 반송하기 위해 상기 제2 반송 부재에 대향하여 제공되는 제3 반송 부재로서, 상기 제3 반송 부재의 회전축 주위에 제공되는 나선형 블레이드를 갖는 제3 반송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반송 부재는 제3 반송 부재의 회전축의 중심부가 구간 아래에서 중력 방향으로 상기 구간과 중첩되어 배열되는 방식으로 제공되고, 상기 구간은 상기 제1 자극의 자속 밀도의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법선 방향 성분의 국부 최대 피크의 위치와, 상기 자속 밀도의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법선 방향 성분의 국부 최소 피크의 위치 사이의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표면 상에 한정되고, 상기 국부 최소 피크의 위치는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회전 방향으로 상기 국부 최대 피크의 위치의 바로 하류에 위치되는, 현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반송 부재는 상기 중력 방향으로 상기 구간의 전체 영역 아래에서 중첩되어 배열되는, 현상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송 부재와 상기 제3 반송 부재 사이의 상기 회수 챔버의 바닥면 상에 제공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현상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챔버는 상기 중력 방향으로 상기 회수 챔버 위에 제공되는, 현상 장치.
  5. 토너 및 캐리어를 포함하는 현상제를 담지하도록 구성되는 현상제 담지체와;
    상기 현상제 담지체가 상기 현상제를 담지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자석으로서, 상기 자석은 복수개의 자극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자극은 적어도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내부측에 배열되는 제1 자극과,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회전 방향으로의 하류측에서 상기 제1 자극에 인접하고 상기 제1 자극의 극성과 동일한 극성을 갖는 제2 자극을 갖는 자석과;
    상기 현상제 담지체로 상기 현상제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공급 챔버와;
    양쪽 단부 부분이 상기 공급 챔버에 연결되는 회수 챔버로서,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의한 현상에 사용된 현상제를 회수하도록 구성되는 회수 챔버와;
    상기 공급 챔버 내에 제공되고 상기 공급 챔버 내의 현상제를 반송하도록 구성되는 제1 반송 부재와;
    상기 회수 챔버 내에 제공되고 상기 회수 챔버 내의 현상제를 반송하도록 구성되는 제2 반송 부재와;
    상기 회수 챔버 내에서의 현상제 반송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수 챔버 내의 현상제를 반송하기 위해 상기 제2 반송 부재에 대향하여 제공되는 제3 반송 부재로서, 상기 제3 반송 부재의 회전축 주위에 제공되는 나선형 블레이드를 갖는 제3 반송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반송 부재는 제3 반송 부재가 구간의 전체 영역 아래에서 중력 방향으로 상기 구간과 중첩되어 배열되는 방식으로 제공되고, 상기 구간은 상기 제1 자극의 자속 밀도의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법선 방향 성분의 국부 최대 피크의 위치와, 상기 자속 밀도의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법선 방향 성분의 국부 최소 피크의 위치 사이의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표면 상에 한정되고, 상기 국부 최소 피크의 위치는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회전 방향으로 상기 국부 최대 피크의 위치의 바로 하류에 위치되는, 현상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반송 부재의 회전축의 중심부가 상기 중력 방향으로 상기 구간 아래에서 중첩되어 배열되는, 현상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송 부재와 상기 제3 반송 부재 사이의 상기 회수 챔버의 바닥면 상에 제공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현상 장치.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챔버는 상기 중력 방향으로 상기 회수 챔버 위에 제공되는, 현상 장치.
KR1020130024307A 2012-03-15 2013-03-07 현상 장치 KR201301053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58902A JP6016393B2 (ja) 2012-03-15 2012-03-15 現像装置
JPJP-P-2012-058902 2012-03-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5389A true KR20130105389A (ko) 2013-09-25

Family

ID=47750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4307A KR20130105389A (ko) 2012-03-15 2013-03-07 현상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9329523B2 (ko)
EP (1) EP2639649A3 (ko)
JP (1) JP6016393B2 (ko)
KR (1) KR20130105389A (ko)
CN (2) CN10330921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88976B2 (ja) 2013-07-31 2018-03-0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
JP6529244B2 (ja) 2013-12-03 2019-06-1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
JP6351375B2 (ja) * 2014-05-22 2018-07-04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
JP6415208B2 (ja) 2014-09-24 2018-10-3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
US9703237B2 (en) * 2014-09-25 2017-07-11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unit
JP2016066057A (ja) * 2014-09-25 2016-04-2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
JP6424860B2 (ja) * 2016-04-14 2018-11-2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現像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18146919A (ja) * 2017-03-09 2018-09-20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
JP2020095151A (ja) 2018-12-12 2020-06-1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
US10719034B1 (en) * 2019-03-20 2020-07-21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22178678A (ja) * 2021-05-20 2022-12-02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4722B2 (ja) 1992-05-28 2000-10-3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磁気ブラシ現像装置の現像剤循環装置および現像剤循環方法
JP3127594B2 (ja) 1992-08-03 2001-01-2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装置
US5659859A (en) * 1994-06-21 1997-08-19 Mita Industrial Co., Ltd. Developer agitating/conveying device
JPH11167260A (ja) * 1997-12-03 1999-06-22 Toshiba Corp 現像装置
JP2000066513A (ja) * 1998-08-18 2000-03-03 Canon Inc 現像装置及びこの現像装置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2001290368A (ja) * 2000-04-04 2001-10-19 Konica Corp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6546222B2 (en) 2000-06-08 2003-04-08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apparatus
JP2003122118A (ja) 2001-10-09 2003-04-25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3255694A (ja) 2002-02-28 2003-09-10 Canon Inc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6973281B2 (en) 2002-04-26 2005-12-06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apparatus with two developing chamber-rotatable member pairs
JP4136481B2 (ja) 2002-06-19 2008-08-20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5283685A (ja) 2004-03-26 2005-10-13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6251440A (ja) * 2005-03-11 2006-09-21 Ricoh Co Ltd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681972B2 (ja) * 2005-07-27 2011-05-11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498246B2 (ja) 2005-09-07 2010-07-0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
JP4860967B2 (ja) 2005-09-07 2012-01-2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
JP4819547B2 (ja) 2006-03-29 2011-11-24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
JP4988251B2 (ja) * 2006-06-02 2012-08-01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854532B2 (ja) 2007-01-30 2012-01-1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
JP2009139476A (ja) * 2007-12-04 2009-06-25 Ricoh Co Ltd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387980B2 (ja) 2009-02-06 2014-01-15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963717B2 (ja) 2009-09-02 2012-06-2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
JP5271872B2 (ja) 2009-10-30 2013-08-2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11242559A (ja) 2010-05-17 2011-12-01 Canon Inc 現像装置
JP5825794B2 (ja) 2011-02-03 2015-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マグネットローラ
JP2013114081A (ja) 2011-11-29 2013-06-10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309211A (zh) 2013-09-18
US9329523B2 (en) 2016-05-03
US20160062275A1 (en) 2016-03-03
JP2013190758A (ja) 2013-09-26
US20130243489A1 (en) 2013-09-19
CN103309211B (zh) 2016-03-02
CN105511241A (zh) 2016-04-20
JP6016393B2 (ja) 2016-10-26
EP2639649A2 (en) 2013-09-18
EP2639649A3 (en) 201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29523B2 (en) Developing apparatus
JP5538934B2 (ja) 画像形成装置
US8155570B2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the same
JP2005189708A (ja)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現像装置
JP2008176316A (ja) 画像形成装置
US10261444B2 (en) Developing apparatus
JP5292269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9098595A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WO2010004886A1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7043270B2 (ja) 現像装置
JP2014102341A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021122A (ja)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20190227460A1 (en) Developing device
JP3989422B2 (ja)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11150248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1191501A (ja) 現像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359494B2 (ja)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現像方法
JP2009163010A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516261B2 (ja) 電子写真記録装置
JP2021148925A (ja) 画像形成装置
JP2010054898A (ja) 画像形成装置
JP5655530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8009185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8036537A (ja) 現像装置
JP2016177113A (ja)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