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3581A - 리셉터클 및 커넥터 - Google Patents

리셉터클 및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3581A
KR20130103581A KR1020137016817A KR20137016817A KR20130103581A KR 20130103581 A KR20130103581 A KR 20130103581A KR 1020137016817 A KR1020137016817 A KR 1020137016817A KR 20137016817 A KR20137016817 A KR 20137016817A KR 20130103581 A KR20130103581 A KR 201301035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ing member
plug
spring
receptacle
axis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6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0023B1 (ko
Inventor
치카라 우라타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30103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3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0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00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19Mechanical fixtures for holding or positioning the elements relative to each other in the couplings; Alignment methods for the elements, e.g. measuring or observing methods especially used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3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two latching arms

Abstract

플러그와의 끼워 맞추는 힘이 강하면서, 저배화 가능한 리셉터클 및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플러그(10)는 직사각형상을 이루고 있다. 본체(21)에는, 변(k~n)에 의해 둘러싸여, 플러그(10)가 장착되는 개구(O)가 마련되어 있다. 유지 부재(70~73)는 변(m,n)의 양단에 위치하여, 플러그(10)를 고정한다. 스프링 단자(23a,23b)는 플러그(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윗쪽으로부터 보면, 턴백 부분을 가지는 U자상을 이루고 있다. 턴백 부분의 선단은 변(m)보다도 개구(O)의 외측에 위치하고, 접촉부(90a,90b)는 윗쪽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개구(O) 내에 위치하고 있다. 고정부(92a,92b)는 윗쪽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변(k)보다도 개구(O)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스프링 단자(23a,23b)에 있어서, 유지 부재(71,73)와 대향하고 있는 부분은 유지 부재(71,7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다.

Description

리셉터클 및 커넥터{RECEPTACLE AND CONNECTOR}
본 발명은 리셉터클 및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광파이버에 의해 신호를 전송할 때에 사용되는 리셉터클 및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커넥터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도 12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커넥터(500)의 외관 사시도(斜視圖)이다.
커넥터(500)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착탈 자유로운 플러그측 커넥터(520) 및 리셉터클측 커넥터(540), 전기 배선(550) 및 IC 드라이버(56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플러그측 커넥터(520)는 광파이버(502)의 일단(一端)에 마련되어 있다. 리셉터클측 커넥터(540)는 기판(503)에 실장되어 있다. 전기 배선(550)은 리셉터클측 커넥터(540)와, IC 드라이버(560)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IC 드라이버(560)는 광파이버(502)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회로이다.
이상과 같은 커넥터(500)에 있어서는, 플러그와 리셉터클의 끼워 맞추는 힘(mating force)을 강하게 하면서, 저배화를 도모하고자 하는 요망이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6-30868호
그리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플러그와의 끼워 맞추는 힘이 강하면서, 저배화 가능한 리셉터클 및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른 리셉터클은, 광파이버의 일단에 마련되고, 윗쪽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직사각형상을 이루고 있는 플러그가 장착되는 리셉터클로서,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플러그가 윗쪽으로부터 장착되는 개구(開口)이며, 윗쪽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제1의 변, 제2의 변, 제3의 변 및 제4의 변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직사각형상의 개구가 마련되어 있는 본체와, 서로 평행한 상기 제3의 변 및 상기 제4의 변의 양단에 위치하면서, 상기 플러그를 고정하는 제1의 유지 부재, 제2의 유지 부재, 제3의 유지 부재 및 제4의 유지 부재와, 상기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의 스프링 단자로서, 윗쪽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턴백부(turn back portion)를 가지는 U자상을 이루고 있는 제1의 스프링 단자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턴백부의 선단은, 상기 제3의 변보다도 상기 개구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의 스프링 단자의 일단은, 윗쪽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개구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1의 스프링 단자의 타단은, 윗쪽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제1의 변보다도 상기 개구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의 스프링 단자에 있어서, 윗쪽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제1의 스프링 단자로부터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상기 제1의 유지 부재와 대향하고 있는 부분은, 상기 제1의 유지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른 커넥터는, 상기 리셉터클과, 상기 리셉터클의 윗쪽으로부터 장착되는 플러그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플러그와의 끼워 맞추는 힘이 강하면서, 저배화 가능한 리셉터클 및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커넥터로부터 플러그를 분리한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플러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체 및 전기 회로부가 회로 기판에 실장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리셉터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리셉터클을 이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7은 커넥터가 사용된 송수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8(a)는 플러그와 리셉터클이 플러그의 네 모퉁이에서 끼워 맞춰져 있을 경우의 끼워 맞추는 힘의 설명에 사용하는 도면이다. 도 8(b)는 플러그와 리셉터클이 플러그의 네 모퉁이 이외에서 끼워 맞춰져 있을 경우의 끼워 맞추는 힘의 설명에 사용하는 도면이다.
도 9는 플러그를 리셉터클로부터 꽂고 뽑을(insert and remove) 때에 사용하는 도구의 선단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플러그를 리셉터클로부터 꽂고 뽑을 때에 사용하는 도구의 선단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그 외의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가 사용된 송수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2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커넥터의 외관 사시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및 커넥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커넥터의 개략 구성)
우선,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른 리셉터클을 포함한 커넥터의 개략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1)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커넥터(1)로부터 플러그(10)를 분리한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플러그(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체(21) 및 전기 회로부(30)가 회로 기판(40)에 실장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1)는 플러그(10), 리셉터클(20), 전기 회로부(30) 및 회로 기판(40)을 포함하고 있다. 플러그(10)는 광파이버(50)의 일단에 마련되어 있고,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 또는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한다. 이하에서는, 광파이버(50)가 연장되어 있는 방향을 x축 방향으로 정의하고, 상하 방향을 z축 방향으로 정의하며, x축 방향 및 z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y축 방향으로 정의한다. x축 방향, y축 방향 및 z축 방향은 서로 직교하고 있다.
회로 기판(40)은 표면 및 내부에 전기 회로를 가지고 있고,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y 평면에 평행한 실장면(43)을 가지고 있다. 또한 회로 기판(40)의 실장면(43)에는 구멍(41)이 마련되어 있다. 구멍(41)은, 실장면(43)에 있어서, y축 방향의 정방향측의 변 근방 및 y축 방향의 부방향측의 변 근방에 서로 대향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회로 기판(40)에는, 리셉터클(20) 및 전기 회로부(30)가 x축 방향의 정방향측으로부터 부방향측을 향해 이 순서대로 나열되도록 실장되어 있다.
광파이버(50)는 피복(52) 및 심선(芯線;core wire)(5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심선(54)은 유리 또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코어 및 클래드(clad)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피복(52)은 UV, 불소, 실리콘 수지 중 어느 하나이며, 심선(54)을 피복하고 있다. 광파이버(50)의 x축 방향의 부방향측의 단부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복(52)이 제거되어 심선(54)이 노출되어 있다.
플러그(10)는 z축 방향의 정방향측(윗쪽)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직사각형상을 이루고 있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전 변환 소자(12), 탑재부(13), 페룰(ferrule)(17) 및 금속 부재(18)를 가지고 있다. 광전 변환 소자(12)는 포토 다이오드나 VCSEL 등의 반도체 소자이다.
탑재부(13)는 기판(11), 봉지 수지(15), 외부 단자(16a,16b), 단자부(19a,19b) 및 비아(V1,V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기판(11)은 직방체상을 이루고 있는 수지 기판이다. 기판(11)의 x축 방향의 정방향측의 측면상에는,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광전 변환 소자(12)가 실장되어 있다.
외부 단자(16a,16b)는, 기판(11)의 x축 방향의 부방향측의 측면에 y축 방향의 정방향측으로부터 부방향측을 향해 이 순서대로 나열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단자부(19a,19b)는, 기판(11)의 x축 방향의 정방향측의 측면에 y축 방향의 정방향측으로부터 부방향측을 향해 이 순서대로 나열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외부 단자(16a)와 단자부(19a)는 대향하고 있고, 비아(V1)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외부 단자(16b)와 단자부(19b)는 대향하고 있고, 비아(V2)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단자부(19a)상에는 광전 변환 소자(12)가 실장되어 있다. 또한 단자부(19b)와 광전 변환 소자(12)는 와이어(X)를 사용하여 와이어 본딩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봉지 수지(15)는 투명한 수지로 이루어지고, 기판(11)에 실장된 광전 변환 소자(12)를 봉지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광전 변환 소자(12)는 탑재부(13)에 매립되어 있다.
페룰(17)은 직방체상을 이룬 수지 부재이다. 페룰(17)은, 심선(54)과 광전 변환 소자(12)를 대향시킨 상태로 광파이버(50)와 탑재부(13)를 고정하고 있다. 페룰(17)에는 오목부(A) 및 홀(H)이 마련되어 있다. 오목부(A)는 페룰(17)의 x축 방향의 부방향측의 측면이 움푹 패임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오목부(A)에는 봉지 수지(15)가 끼워 넣어져, 탑재부(13)가 페룰(17)에 고정된다. 홀(H)은 원기둥상을 이룬 공동(空洞)이며, 페룰(17)의 x축 방향의 정방향측의 측면으로부터 x축 방향의 부방향측으로 연장되어, 오목부(A)로 관통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심선(54)이 홀(H)에 x축 방향의 정방향측으로부터 삽입됨으로써, 광전 변환 소자(12)와 광파이버(50)는 대향하여, 광학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금속 부재(18)는 광전 변환 소자(12)를 z축 방향의 정방향측으로부터 덮도록 마련되어 있다. 금속 부재(18)는 탑재부(13) 및 페룰(17)의 z축 방향의 정방향측의 면과 y축 방향의 정방향측의 측면 및 y축 방향의 부방향측의 측면을 덮고 있다. 또한 금속 부재(18)에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80,81,82,83)가 마련되어 있다. 오목부(80) 및 오목부(81)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 부재(18)의 y축 방향의 정방향측의 측면이 움푹 패임으로써 마련되어 있다. 오목부(80)는 오목부(81)보다도 x축 방향의 정방향측에 마련되어 있다. 오목부(82) 및 오목부(83)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 부재(18)의 y축 방향의 부방향측의 측면이 움푹 패임으로써 마련되어 있다. 오목부(82)는 오목부(83)보다도 x축 방향의 정방향측에 마련되어 있다.
전기 회로부(30)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20)의 본체(21)의 x축 방향의 부방향측에 있어서 회로 기판(40)의 실장면(43)에 실장되고, 플러그(10)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를 처리한다. 전기 회로부(30)는 회로 소자(31), 금속 캡(33) 및 수지부(35)를 가지고 있다. 회로 소자(31)는, 회로 기판(40)의 실장면(43)에 실장되어 있는 칩형의 전자부품이며, 광전 변환 소자(12)를 구동시키기 위한 소자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로 소자(31)는 수지부(35)에 의해 봉지되어 있다. 금속 캡(33)은 수지부(35)에 의해 봉지된 회로 소자(31)를 덮는 캡이다. 금속 캡(33)은 z축 방향의 정방향측, y축 방향의 정방향측 및 y축 방향의 부방향측으로부터 수지부(35)를 덮고 있다. 다음으로, 리셉터클(2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리셉터클의 구성)
도 5는 리셉터클(2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리셉터클(20)을 이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리셉터클(20)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21), 스프링 단자(23a,23b), 절연부(25), 고정 부재(29) 및 유지 부재(70~73)를 포함하고 있고, 회로 기판(40)상에 실장되어 있다. 리셉터클(20)에는 플러그(10)가 z축 방향의 정방향측(윗쪽)으로부터 장착된다. 본체(21), 고정 부재(29) 및 유지 부재(70~73)는 1장의 금속판이 절곡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본체(21)는 플러그(10)가 장착되는 하우징이다. 본체(21)에는, z축 방향의 정방향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직사각형상을 이루고, 플러그(10)가 z축 방향의 정방향측(윗쪽)으로부터 장착되는 개구(O)가 마련되어 있다. 본체(21)는 플러그(10)의 주위를 둘러싼 형상(즉 口자형)을 이루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개구(O)는 변(k,l,m,n)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개구(O)에 있어서, y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변 중, x축 방향의 부방향측의 변이 변(k)이며, x축 방향의 정방향측의 변이 변(l)이다. 또한 x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변 중, y축 방향의 정방향측의 변이 변(m)이며, y축 방향의 부방향측의 변이 변(n)이다. 변(k)과 변(l), 변(m)과 변(n)은 서로 평행하다.
본체(21)는 口자형의 1장의 금속판이 절곡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금속판의 x축 방향의 정방향측의 변, y축 방향의 정방향측의 변의 중앙 부분 및 y축 방향의 부방향측의 변의 중앙 부분이 z축 방향의 부방향측을 향해 절곡됨으로써, 본체(21)는 구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21)에 있어서, 변(m)의 양단에는, 개구(O)로부터 y축 방향의 정방향측(외측)을 향해 움푹 패이도록 컷아웃(cutouts)(A,B)이 마련되어 있다. 컷아웃(A)은 컷아웃(B)보다도 x축 방향의 정방향측에 위치하고 있다. 컷아웃(A,B)은 각각 변(m)으로부터 y축 방향의 정방향측으로 갈수록(멀어짐), x축 방향(변(m)이 연장되어 있는 방향)의 폭이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고 있다. 본체(21)에 있어서, 변(n)의 양단에는, 개구(O)로부터 y축 방향의 부방향측(외측)을 향해 움푹 패이도록 컷아웃(C,D)이 마련되어 있다. 컷아웃(C)은 컷아웃(D)보다도 x축 방향의 정방향측에 위치하고 있다. 컷아웃(C,D)은 각각 변(n)으로부터 y축 방향의 부방향측으로 갈수록(멀어짐), x축 방향(변(n)이 연장되어 있는 방향)의 폭이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고 있다.
고정 부재(29)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21)의 y축 방향의 정방향측의 변 및 y축 방향의 부방향측의 변에 있어서 x축 방향의 부방향측의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고정 부재(29)는, z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40)의 구멍(41)에 압입(壓入)된다. 이것에 의해, 리셉터클(20)은 회로 기판(40)에 실장되어 있다. 이때, 고정 부재(29)는 고정 기판(40) 내의 그라운드 도체에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본체(21)는 그라운드 전위로 유지된다.
유지 부재(70,71)는, 변(m)의 양단에 위치하고, 플러그(10)를 고정하는 스프링 부재이다. 유지 부재(70)는 유지 부재(71)보다도 x축 방향의 정방향측에 위치하고 있다. 여기서, 유지 부재(70,71)의 y축 방향의 부방향측의 단부를 단부(70a,71a)로 하고, y축 방향의 정방향측의 단부를 단부(70b,71b)로 한다. 단부(70a,71a)(타단)는 z축 방향의 정방향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개구(O) 내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단부(70a)는 컷아웃(A) 내에 위치하고 있고, 단부(71a)는 컷아웃(B) 내에 위치하고 있다. 단부(70b,71b)(일단)는 본체(21)와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유지 부재(70,71)는, x축 방향(변(m)이 연장되어 있는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U자상을 이루고 있다. 단부(70a,71a)에 있어서의 x축 방향(변(m)이 연장되어 있는 방향)의 폭은, 단부(70b,71b)에 있어서의 x축 방향(변(m)이 연장되어 있는 방향)의 폭보다도 좁게 되어 있다. 즉, 유지 부재(70,71)는 선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고 있다.
유지 부재(72,73)는, 변(n)의 양단에 위치하고, 플러그(10)를 고정하는 스프링 부재이다. 유지 부재(72)는 유지 부재(73)보다도 x축 방향의 정방향측에 위치하고 있다. 여기서, 유지 부재(72,73)의 y축 방향의 정방향측의 단부를 단부(72a,73a)로 하고, y축 방향의 부방향측의 단부를 단부(72b,73b)(도시하지 않음)로 한다. 단부(72a,73a)(타단)는, z축 방향의 정방향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개구(O) 내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단부(72a)는 컷아웃(C) 내에 위치하고 있고, 단부(73a)는 컷아웃(D) 내에 위치하고 있다. 단부(72b,73b)(일단)는 본체(21)와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유지 부재(72,73)는 x축 방향(변(n)이 연장되어 있는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U자상을 이루고 있다. 단부(72a,73a)에 있어서의 x축 방향(변(n)이 연장되어 있는 방향)의 폭은, 단부(72b,73b)에 있어서의 x축 방향(변(n)이 연장되어 있는 방향)의 폭보다도 좁게 되어 있다. 즉, 유지 부재(72,73)는 선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고 있다.
스프링 단자(23a,23b)는 플러그(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신호용의 단자이다. 이하에, 스프링 단자(23a,23b)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스프링 단자(23a)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부(90a), 스프링부(91a) 및 고정부(92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스프링부(91a)는 접촉부(90a)와 고정부(92a)를 접속하고, z축 방향의 정방향측(윗쪽)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턴백부를 가지는 U자상의 판 스프링이다. 구체적으로는, 스프링부(91a)는, 유지 부재(71)보다도 x축 방향의 부방향측에 위치하고 있고,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 부재(93a,94a) 및 턴백부(95a)를 가지고 있다. 스프링 부재(93a,94a)는 동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는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프링 부재(93a,94a)는, y축 방향의 중점 부근에 있어서, x축 방향의 부방향측으로 절곡된 "く"자상을 이루고, z축 방향의 정방향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y축 방향의 정방향측으로 갈수록, x축 방향의 부방향측으로 구부러져 있다. 스프링 부재(93a)는, 스프링 부재(94a)보다도 x축 방향의 정방향측에 위치하고 있고, 이것에 의해, 스프링 부재(93a)(스프링 단자(23a)에 있어서, 유지 부재(71)와 대향하고 있는 부분)는, z축 방향의 정방향측(윗쪽)으로부터 보았을 때, 유지 부재(71)의 x축 방향의 부방향측에 있어서, 유지 부재(71)(스프링 단자(23a)로부터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유지 부재)와 대향하고 있고, 유지 부재(7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다. 턴백부(95a)는 원호상(圓弧狀)을 이루고 있고, 스프링 부재(93a)와 스프링 부재(94a)를 접속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턴백부(95a)는 스프링 부재(93a,94a)의 y축 방향의 정방향측의 단부끼리를 접속하고 있다.
스프링 단자(23b)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부(90b), 스프링부(91b) 및 고정부(92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스프링부(91b)는 접촉부(90b)와 고정부(92b)를 접속하고, z축 방향의 정방향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턴백부를 가지는 U자상의 판 스프링이다. 구체적으로는, 스프링부(91b)는 유지 부재(73)보다도 x축 방향의 부방향측에 위치하고 있고,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 부재(93b,94b) 및 턴백부(95b)를 가지고 있다. 스프링 부재(93b,94b)는 동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는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프링 부재(93b,94b)는, y축 방향의 중점 부근에 있어서, x축 방향의 부방향측으로 절곡된 "く"자상을 이루고, z축 방향의 정방향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y축 방향의 부방향측으로 갈수록, x축 방향의 부방향측으로 구부러져 있다. 스프링 부재(93b)는 스프링 부재(94b)보다도 x축 방향의 정방향측에 위치하고 있고, 이것에 의해, 스프링 부재(93b)는, 유지 부재(73)의 x축 방향의 부방향측에 있어서, 유지 부재(73)와 대향하고 있고, 유지 부재(7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다. 턴백부(95b)는 원호상을 이루고 있고, 스프링 부재(93b)와 스프링 부재(94b)를 접속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턴백부(95b)는 스프링 부재(93b,94b)의 y축 방향의 부방향측의 단부끼리를 접속하고 있다.
접촉부(90a,90b)는 스프링 단자(23a,23b)의 단부 중 x축 방향의 정방향측에 위치하고 있는 단부(일단)이다. 접촉부(90a)는, 스프링 부재(93a)에 있어서, y축 방향의 부방향측이면서, z축 방향의 정방향측(턴백부(95a)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쪽)의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접촉부(90b)는, 스프링 부재(93b)에 있어서, y축 방향의 정방향측이면서, z축 방향의 정방향측(턴백부(95b)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쪽)의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접촉부(90a,90b)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z축 방향의 정방향측(윗쪽)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개구(O) 내에 위치하고 있다. 접촉부(90a,90b)는, y축 방향의 정방향측(변(k)이 연장되어 있는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역(逆)U자상을 이루도록 절곡되고, 스프링부(91a,91b)의 x축 방향의 정방향측에 인출되어 있다. 접촉부(90a,90b)는 플러그(10)의 x축 방향의 부방향측의 측면에 접촉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접촉부(90a,90b)는 각각 플러그(10)의 외부 단자(16a,16b)와 접촉하고 있다. 여기서, 접촉부(90a,90b)는 각각 스프링부(91a,91b)의 x축 방향의 정방향측의 단부와의 이루는 각도가 약 45°가 되도록 기울어져 있다.
고정부(92a,92b)는, 스프링 단자(23a,23b)의 단부 중 x축 방향의 부방향측에 위치하고 있는 단부(타단)이며, x축 방향의 부방향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고정부(92a,92b)는, z축 방향의 정방향측(윗쪽)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변(k)보다도 개구(O)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고정부(92a)는, 스프링 부재(94a)에 있어서 y축 방향의 부방향측이면서, z축 방향의 부방향측(턴백부(95a)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쪽)의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고정부(92b)는, 스프링 부재(94b)에 있어서 y축 방향의 정방향측이면서, z축 방향의 부방향측의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고정부(92a,92b)는, 리셉터클(20)의 실장시에, 회로 기판(40)의 랜드(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외부 단자로서 기능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스프링 단자(23a,23b)는, z축 방향의 정방향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턴백부(95a,95b)를 가지는 U자상을 이루고 있다. 스프링 단자(23a)는 U자상의 턴백부(95a)가 y축 방향의 정방향측을 향하고 있고, 턴백부(95a)의 선단은 변(m)보다도 y축 방향의 정방향측(개구(O)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스프링 단자(23b)는 U자상의 턴백부(95b)가 y축 방향의 부방향측을 향하고 있고, 턴백부(95b)의 선단은 변(n)보다도 y축 방향의 부방향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스프링 단자(23a)와 스프링 단자(23b)는 x축(광파이버(50)가 연장되어 있는 방향)에 대하여 선대칭이 되고 있다. 그리고, 스프링 단자(23a,23b)는 접촉부(90a,90b)가 외부 단자(16a,16b)와 접촉하고, 고정부(92a,92b)가 회로 기판(40)의 랜드에 접속됨으로써, 플러그(10)와 회로 기판(40) 사이의 신호의 전송을 중계하는 단자로서 기능하고 있다.
절연부(25)는 직방체상을 이루고, 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절연부(25)는 스프링 단자(23a,23b)와 일체 성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스프링 단자(23a,23b)는 본체(21)와 전기적으로 접속하지 않도록 본체(21)에 고정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절연부(25)의 y축 방향의 정방향측의 측면 및 y축 방향의 부방향측의 측면으로부터, 스프링부(91a) 및 스프링부(91b)가 인출되고, 절연부(25)의 배면으로부터, 고정부(92a,92b)가 인출되어 있다. 그리고, 절연부(25)는, 절연부(25)의 상면(28)에 있어서 본체(21)에 고정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리셉터클(20)에는, 플러그(10)가 z축 방향의 정방향측으로부터 끼워 넣어진다. 이때,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 부재(70~73)는 각각 오목부(80~83)에 걸어 맞춘다. 또한 스프링 단자(23a,23b)와 외부 단자(16a,16b)는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플러그(10)는 스프링 단자(23a,23b)에 의해 x축 방향의 정방향측으로 밀린다. 이들에 의해, 플러그(10)는 리셉터클(20)에 고정된다.
도 7은 커넥터(1)가 사용된 송수신 시스템(100)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파이버(50)의 양단에 수신용 커넥터(1a) 및 송신용 커넥터(1b)가 각각 마련된다. 그리고, 수신용 커넥터(1a)는 수신용 회로 기판(40a) 및 포토 다이오드(12a)를 포함하고 있다. 송신용 커넥터(1b)는 송신용 회로 기판(40b) 및 VCSEL(12b)을 포함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광파이버(50)를 통해, 송신용 커넥터(1b)로부터 수신용 커넥터(1a)로 신호가 전송된다.
(효과)
리셉터클(20)에 의하면, 유지 부재(70~73)에 의해 플러그(10)가 리셉터클(2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플러그(10)와 리셉터클(20)의 끼워 맞추는 힘을 강하게 할 수 있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8(a)는 플러그(10)와 리셉터클(20)이 플러그(10)의 네 모퉁이에서 끼워 맞춰져 있을 경우의 끼워 맞추는 힘의 설명에 사용하는 도면이다. 도 8(b)는 플러그(210)와 리셉터클(220)이 플러그(210)의 네 모퉁이 이외에서 끼워 맞춰져 있을 경우의 끼워 맞추는 힘의 설명에 사용하는 도면이다.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10)와 리셉터클(20)이 플러그(10)의 네 모퉁이에서 끼워 맞춰져 있을 경우, 및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210)와 리셉터클(220)이 플러그(210)의 x축 방향의 부방향측의 단부의 2군데 및 플러그(210)의 x축 방향의 정방향측의 단부 이외의 2군데에서 끼워 맞춰져 있을 경우에 대하여, 광파이버(50,250)를 z축 방향의 정방향측으로 당겼을 때의 플러그(10,250)의 빠지기 쉬움을 비교한다. 광파이버(50)를 z축 방향의 정방향측으로 당길 때, 지점이 되는 것은, 플러그(10,210)의 x축 방향의 부방향측의 단부의 지점(S)이다. 여기서, F1은 광파이버(50,250)를 z축 방향의 정방향측으로 당기는 힘, F2는 끼워 맞춤에 의해 플러그(10,210)에 가해지는 힘이다. L1은 광파이버(50,250)에 있어서 힘이 가해지는 점으로부터 지점(S)까지의 길이, L2는 리셉터클(20)의 x축 방향의 정방향측의 단부에 있어서 플러그(10)와 리셉터클(20)이 끼워 맞춰져 있는 점으로부터 지점(S)까지의 길이이다. L3은 리셉터클(220)의 x축 방향의 부방향측의 단부 이외에 있어서, 플러그(210)와 리셉터클(220)이 끼워 맞춰져 있는 점으로부터 지점(S)까지의 길이이다. M1은 지점(S)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회전에 작용하는 힘의 모멘트이며, M2는 지점(S)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회전에 작용하는 힘의 모멘트이다.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파이버(50)를 z축 방향의 정방향측으로 F1의 힘으로 당겼을 때, 지점(S)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회전에 작용하는 힘의 모멘트는 F1L1이다. 이때, 플러그(10)와 리셉터클(20)이 끼워 맞춰져 있음으로써, 지점(S)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 회전에 작용하는 힘의 모멘트는 F2L2이다. 그러므로, 지점(S)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회전에 작용하는 힘의 모멘트는 식(1)과 같이 된다.
M1=F1L1-F2L2…(1)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파이버(250)를 z축 방향의 정방향측으로 F1의 힘으로 당겼을 때, 지점(S)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회전에 작용하는 힘의 모멘트는 F1L1이며, 도 8(a)의 경우와 같다. 이때, 플러그(210)와 리셉터클(220)이 끼워 맞춰져 있음으로써, 지점(S)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 회전에 작용하는 힘의 모멘트는 F2L3이다. 그러므로, 지점(S)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회전에 작용하는 힘의 모멘트는 식(2)와 같이 된다.
M2=F1L1-F2L3…(2)
여기서, 도 8(a) 및 도 8(b)로부터, L2>L3이 성립하고 있기 때문에, 식(1)과 식(2)를 비교하면 M1<M2가 된다. 그 때문에,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10)와 리셉터클(20)이 네 모퉁이에서 끼워 맞춰져 있는 경우 쪽이, 리셉터클로부터 플러그가 빠지고자 하는 모멘트가 작다. 즉, 플러그(10) 쪽이 플러그(210)보다도 리셉터클로부터 빠지기 어렵고, 플러그(10)와 리셉터클(20)의 끼워 맞추는 힘이 강하다.
또한 리셉터클(20)에 의하면, 플러그(10)와 리셉터클(20)을 플러그(10)의 네 모퉁이에 있어서 끼워 맞추고, 끼워 맞추는 힘을 증가시켰을 경우에도, 커넥터(1)의 저배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지 부재(70~73)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20)의 개구(O)의 네 모퉁이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스프링 단자(23a,23b)가 z축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U자상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을 경우는, 유지 부재(71,73)와 스프링 단자(23a,23b)는 접촉해 버린다. 이것을 피하기 위해, 스프링 단자(23a,23b)를 y축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역U자상을 이루도록 배치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리셉터클(20)이 z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가 길어져 버려, 리셉터클(20)의 저배화를 도모할 수 없다.
그리하여, 스프링 단자(23a,23b)는 이하에 설명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스프링 부재(93a,93b)는, y축 방향의 중점 부근에 있어서, x축 방향의 부방향측으로 절곡된 "く"자상을 이루고 있다. 즉, 스프링 부재(93a)는, z축 방향의 정방향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y축 방향의 정방향측으로 갈수록, x축 방향의 부방향측으로 구부러져 있다. 마찬가지로, 스프링 부재(93b)는, z축 방향의 정방향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y축 방향의 부방향측으로 갈수록, x축 방향의 부방향측으로 구부러져 있다. 이것에 의해, 스프링 단자(23a,23b) 중, 스프링 단자(23a,23b)로부터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유지 부재(71,73)와 대향하고 있는 스프링 부재(93a,93b)는, 상기 유지 부재(71,7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다. 그 결과, 스프링 부재(93a,93b)가 유지 부재(71,73)와 접촉하는 것이 억제되어, 리셉터클(20)의 저배화가 도모된다.
또한 스프링 단자(23a,23b)의 U자상의 턴백 부분의 선단은 각각 변(m) 또는 변(n)보다도 y축 방향의 정방향측 또는 y축 방향의 부방향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스프링부(91a,91b)의 길이를 충분히 길게 할 수 있고, 스프링 단자(23a,23b)는 크게 변위되어도 소성(塑性) 변형하기 어렵다. 즉, 스프링 단자(23a,23b)에 있어서 높은 스프링성을 얻을 수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21)에 컷아웃(A~D)을 마련함으로써, 유지 부재(70~73)의 단부(70a,71a,72a,73a)와 본체(21)가 통상은 접촉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컷아웃(A~D)은,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z축 방향의 정방향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각각 변(m,n)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x축 방향의 폭이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것에 의해, 리셉터클(20)에서는, 컷아웃(A~D)이 직사각형상인 경우와 비교하여, 본체(21)의 면적이 커지므로, 본체(21)의 강도가 높아진다.
유지 부재(70~73)의 단부(70a,71a,72a,73a)에 있어서의 x축 방향의 폭은, 단부(70b,71b,72b,73b)에 있어서의 x축 방향의 폭보다도 짧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컷아웃(A~D)의 면적이 작아도 유지 부재(70~73)가 컷아웃(A~D)에 끼워지는 것이 가능해진다.
유지 부재(70~73)는 본체(21)에 접속되어 있는 단부(70b,71b,72b,73b)를 기점으로 한 훅(hooks) 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 때문에, 유지 부재(70~73)는 스프링으로서 기능하는 부분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크게 변위되어도 소성 변형하기 어렵다. 즉, 높은 스프링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 부재(70~73)에 있어서, 단부(70a~73a)는 크게 변위하고자 하면 본체(21)에 닿아 버린다. 그 때문에, 유지 부재(70~73)는 소성 변형할 정도로 크게 변위하지 않는다.
접촉부(90a,90b)에 의해, 플러그(10)를 x축 방향의 정방향측으로 밀어 넣음으로써, 본체(21)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접촉부(90a,90b)의 선단은 각각 스프링 부재(93a,93b)와의 이루는 각도가 약 45°가 되도록 기울어져 있다. 그 때문에, 접촉부(90a,90b)는 기계적으로 플러그(10)를 끌어들일 수 있다.
접촉부(90a,90b)는, 스프링 부재(93a,93b)가 휨으로써 x축 방향으로 변위한다. 여기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부(90a,90b)의 x축 방향의 부방향측에는 절연부(25)가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접촉부(90a,90b)는 크게 변위하고자 하면 절연부(25)에 닿아 버린다. 그러므로, 접촉부(90a,90b)는 소성 변형할 정도로 크게 변위하지 않는다.
리셉터클(20)에 있어서,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부재(29)는 구멍(41)에 압입되어 있다. 그 때문에, 플러그(10)를 리셉터클(20)로부터 꽂고 뽑을 때, 플러그(10)를 z축 방향의 정방향측으로 끌어올림으로써, 리셉터클(20)에 z축 방향의 정방향측으로 응력이 가해져도, 리셉터클(20)은 회로 기판(40)에 확실하게 실장되어 있기 때문에 회로 기판(40)으로부터 빠지지 않는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21)가 플러그(10)를 둘러싸고 있기 때문에, 플러그(10)가 리셉터클(20)로부터 빠지기 어려워져, 플러그(10)와 리셉터클(20)의 끼워 맞추는 힘을 강하게 할 수 있다.
도 9는 플러그(10)를 리셉터클(20)로부터 꽂고 뽑을 때에 사용하는 도구(E)의 선단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플러그(10)를 리셉터클(20)로부터 꽂고 뽑을 때에 사용하는 도구(E)의 선단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에서는, 이해하기 쉽도록 플러그(10)의 금속 부재(18)만을 도시하고 있다. 커넥터(1)에 있어서는, 도구(E)를 사용하여, 플러그(10)를 리셉터클(20)로부터 꽂고 뽑기 때문에, 꽂고 뽑을 때에 광파이버(50) 등에 손을 댈 필요가 없어진다. 광파이버(50)에 대한 응력을 완화할 수 있으므로, 광파이버(50)에 부담을 끼치지 않고, 단선 등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L자형의 도구(E)의 볼록부(B3,B4)를, 컷아웃(M,N)으로부터 금속 부재(18)의 오목부(U,V)(도 2 및 도 3 참조)에 끼워 넣고, 볼록부(B1,B2)에서 금속 부재(18)를 z축 방향의 정방향측으로부터 눌러 넣음으로써, 플러그(10)를 리셉터클(20)로부터 꽂고 뽑는다. 플러그(10)를 리셉터클(20)에 삽입할 때는, 도구(E)로 플러그(10)를 끼워 본체(21)의 z축 방향의 정방향측으로부터 끼워 넣는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컷아웃(M,N)을 통해, 플러그(10)와 리셉터클(20)의 끼워 맞춤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끼워 맞춤 작업의 효율이 좋아진다.
또한 금속 캡(33)과 금속 부재(18)와 본체(21)는 그라운드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동 전위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커넥터(1) 전체는 외부로부터의 노이즈가 차단되어, 커넥터(1)는 실드(shield)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실드 효과에 의해, 회로 소자(31)의 내(耐)ESD성 및 내EMC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 전기 인터페이스의 내EMC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금속 부재(18) 및 본체(21)는 금속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각각 회로 기판(40)의 그라운드 도체(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정전기에 의한 대전류는 금속 부재(18), 본체(21) 및 회로 기판(40)의 그라운드 도체를 통해 그라운드에 유도되게 된다.
플러그(1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제의 유지 부재(70~73)를 통해 리셉터클(20)에 접촉하고 있다. 그 때문에, 플러그(10)와 유지 부재(70~73) 사이에 마모가 발생하기 어렵고, 플러그(10) 및 유지 부재(70~73)의 형상 편차에 의한 접촉성의 치우침을 방지할 수 있다.
플러그(10)와 리셉터클(20)은, 금속 부재(18)와 본체(21)가 끼워 맞춰짐으로써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끼워 맞춤시의 클릭감이 강하여, 끼워 맞춰진 것을 소리와 감촉으로 실감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형태)
이상과 같이 구성된 리셉터클(20) 및 커넥터(1)는 상기 실시형태에 나타낸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리셉터클(20) 및 커넥터(1)는 그 요지의 범위 내에 있어서 변경 가능하다. 도 11은 그 밖의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1)가 사용된 송수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100a)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신용 커넥터(1a), 송신용 커넥터(1b)에는 SERDES 장치(99)가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SERDES 장치(99)는 회로 기판(40)에 실장되어 있다. SERDES 장치(99)는 시리얼 신호를 패럴렐 신호로 변환하고, 패럴렐 신호를 시리얼 신호로 변환한다. 이것에 의해, 구동 회로와 SERDES 회로의 간격이 좁아지기 때문에 광전송 특성이 향상한다.
커넥터(1)에 있어서, 금속 캡(33)과 본체(21)는 일체로 되어 있어도 된다. 이것에 의해, 커넥터(1) 전체의 내ESD성, 내EMC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부품 수가 적어짐으로써 비용 삭감을 도모할 수 있고, 제작시의 저공수화(低工數化)에 의해 제작 시간이 단축된다.
리셉터클(20)에 있어서는, 유지 부재는 4개 마련되어 있는데, 유지 부재는 5개 이상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복수 개소에서 플러그(10)와 리셉터클(20)이 끼워 맞춰지기 때문에, 끼워 맞추는 힘을 보다 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유지 부재와 본체(21)가 접촉하지 않도록, 본체(21)에 복수의 컷아웃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리셉터클(20)에 있어서는 스프링 단자는 2개 마련되어 있는데, 스프링 단자는 하나뿐이어도 된다. 하나의 스프링 단자여도, 그 양단에 접촉부 및 고정부를 가지고 있으면, 외부 단자(16a,16b)나 회로 기판(40)의 랜드(도시하지 않음)와 접속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회로 소자(31)는 플러그(10) 내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이것에 의해, 회로 기판(40)에 회로부를 마련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전송 특성이 향상하여,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플러그(10)에 탑재되는 광파이버(50) 및 광전 변환 소자(12)는 복수개 있어도 된다. 이것에 의해 전송 용량을 늘릴 수 있다. 또한 광파이버(50) 및 광전 변환 소자(12)는 어레이화되어 있어도 된다.
광파이버(50)는 석영 파이버 뿐 아니라, 유기 광도파로나 POF(Plastic Optical Fiber)여도 된다. 용도에 맞추어 이들의 광전송로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리셉터클 및 커넥터에 유용하고, 특히 플러그와의 끼워 맞추는 힘이 강하면서, 저배화 가능한 점에 있어서 뛰어나다.
1: 커넥터 10: 플러그
12: 광전 변환 소자 13: 탑재부
15: 봉지 수지 16a, 16b: 외부 단자
17: 페룰 18: 금속 부재
19a, 19b: 단자부 20: 리셉터클
21: 본체 23a, 23b: 스프링 단자
25: 절연부 29: 고정 부재
30: 전기 회로부 31: 회로 소자
33: 금속 캡 40: 회로 기판
41: 구멍 43: 실장면
50: 광파이버 52: 피복
54: 심선 70~73: 유지 부재
80~83: 오목부 100: 송수신 시스템

Claims (11)

  1. 광파이버의 일단(一端)에 마련되고, 윗쪽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직사각형상을 이루고 있는 플러그가 장착되는 리셉터클(receptacle)로서,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플러그가 윗쪽으로부터 장착되는 개구(開口)이며, 윗쪽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제1의 변, 제2의 변, 제3의 변 및 제4의 변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직사각형상의 개구가 마련되어 있는 본체와,
    서로 평행한 상기 제3의 변 및 상기 제4의 변의 양단에 위치하면서, 상기 플러그를 고정하는 제1의 유지 부재, 제2의 유지 부재, 제3의 유지 부재 및 제4의 유지 부재와,
    상기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의 스프링 단자이며, 윗쪽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턴백부(turn back portion)를 가지는 U자상을 이루고 있는 제1의 스프링 단자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턴백부의 선단(先端)은 상기 제3의 변보다도 상기 개구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의 스프링 단자의 일단은 윗쪽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개구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1의 스프링 단자의 타단(他端)은 윗쪽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제1의 변보다도 상기 개구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의 스프링 단자에 있어서, 윗쪽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제1의 스프링 단자로부터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상기 제1의 유지 부재와 대향하고 있는 부분은, 상기 제1의 유지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유지 부재, 상기 제2의 유지 부재, 상기 제3의 유지 부재 및 상기 제4의 유지 부재는, 상기 제3의 변 또는 상기 제4의 변이 연장되는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U자상을 이루고 있고,
    상기 제1의 유지 부재, 상기 제2의 유지 부재, 상기 제3의 유지 부재 및 상기 제4의 유지 부재의 일단은 상기 본체에 접속되며,
    상기 제1의 유지 부재, 상기 제2의 유지 부재, 상기 제3의 유지 부재 및 상기 제4의 유지 부재의 타단은 상기 개구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있어서, 상기 제3의 변 또는 상기 제4의 변에는 상기 개구로부터 외측을 향해 움푹 패여 있는 4개의 컷아웃(cutouts)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1의 유지 부재, 상기 제2의 유지 부재, 상기 제3의 유지 부재 및 상기 제4의 유지 부재의 타단은 상기 컷아웃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컷아웃에서는, 상기 제3의 변 및 상기 제4의 변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상기 제3의 변 및 상기 제4의 변이 연장되어 있는 방향의 폭이 좁아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유지 부재, 상기 제2의 유지 부재, 상기 제3의 유지 부재 및 상기 제4의 유지 부재의 타단에 있어서, 상기 제3의 변 또는 상기 제4의 변이 연장되어 있는 방향의 폭은, 상기 제1의 유지 부재, 상기 제2의 유지 부재, 상기 제3의 유지 부재 및 상기 제4의 유지 부재의 일단에 있어서 상기 제3의 변 또는 상기 제4의 변이 연장되어 있는 방향의 폭에 비해 좁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제1의 스프링 단자를 상기 본체에 고정하는 절연 부재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스프링 단자는,
    상기 제1의 스프링 단자로부터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상기 제1의 유지 부재와 대향하고 있는 제1의 스프링 부재와,
    윗쪽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제1의 스프링 부재와 동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는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제2의 스프링 부재와,
    상기 제1의 스프링 부재와 상기 제2의 스프링 부재를 접속하는 턴백부와,
    상기 제2의 스프링 부재의 단부 중, 상기 턴백부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쪽의 단부에 접속되어, 외부 단자로서 기능하는 고정부와,
    상기 제1의 스프링 부재의 단부 중, 상기 턴백부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쪽의 단부에 접속되어, 상기 플러그에 접촉하는 접촉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스프링 단자의 일단은, 상기 제1의 변이 연장되어 있는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역(逆)U자상을 이루고, 상기 플러그에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윗쪽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제1의 스프링 단자와, 광파이버가 연장되어 있는 방향에 대하여 선대칭으로 구성되어 있는 제2의 스프링 단자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리셉터클과,
    상기 리셉터클의 윗쪽으로부터 장착되는 플러그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에는 상기 제1의 유지 부재, 상기 제2의 유지 부재, 상기 제3의 유지 부재 및 상기 제4의 유지 부재가 걸어 맞춰지는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37016817A 2010-12-28 2011-09-28 리셉터클 및 커넥터 KR1014400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91981 2010-12-28
JPJP-P-2010-291981 2010-12-28
PCT/JP2011/072240 WO2012090561A1 (ja) 2010-12-28 2011-09-28 レセプタクル及び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3581A true KR20130103581A (ko) 2013-09-23
KR101440023B1 KR101440023B1 (ko) 2014-09-12

Family

ID=46382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6817A KR101440023B1 (ko) 2010-12-28 2011-09-28 리셉터클 및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30279857A1 (ko)
EP (1) EP2660935A4 (ko)
JP (2) JP5454705B2 (ko)
KR (1) KR101440023B1 (ko)
CN (1) CN103229361A (ko)
WO (1) WO20120905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82237B2 (ja) * 2010-11-05 2014-01-0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ネクタ
JP5963086B2 (ja) * 2012-11-01 2016-08-0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光電気変換装置
JP7076410B2 (ja) 2019-08-02 2022-05-2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JP7076411B2 (ja) 2019-08-02 2022-05-2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CN112379493B (zh) * 2021-01-07 2022-03-22 深圳蓝集科技有限公司 一种光模块安装单位以及光模块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4337Y2 (ja) * 1993-09-01 2000-05-08 ケル株式会社 電気接続装置
JP2001257041A (ja) * 2000-03-13 2001-09-21 D D K Ltd 電気コネクタ
JP4238187B2 (ja) * 2004-07-21 2009-03-1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光電気複合型コネクタ及びそれを用いた基板
JP4446930B2 (ja) * 2005-05-24 2010-04-0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光電気複合型コネクタ
JP4889243B2 (ja) * 2005-06-09 2012-03-07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コネクタ装置
JP2007280702A (ja) * 2006-04-05 2007-10-25 Yokowo Co Ltd コネクタ
WO2008015862A1 (fr) * 2006-07-31 2008-02-07 Mitsumi Electric Co., Ltd. Connecteur permettant de connecter un composant électronique
JP4936874B2 (ja) * 2006-12-19 2012-05-23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コネクタ端子及びコネクタ
CN101431191B (zh) * 2007-11-09 2010-10-27 长盛科技股份有限公司 电连接器
JP2009277410A (ja) * 2008-05-13 2009-11-26 Molex Inc コネクタ
JP5391820B2 (ja) * 2009-05-15 2014-01-1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光電気複合型コネクタ
JP2010267512A (ja) * 2009-05-15 2010-11-25 Hirose Electric Co Ltd 光電気複合型コネクタ
JP5410872B2 (ja) * 2009-07-27 2014-02-05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ハイブリッドコネクタ
JP5351005B2 (ja) * 2009-12-22 2013-11-27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60935A1 (en) 2013-11-06
JP5454705B2 (ja) 2014-03-26
JPWO2012090561A1 (ja) 2014-06-05
KR101440023B1 (ko) 2014-09-12
CN103229361A (zh) 2013-07-31
EP2660935A4 (en) 2014-12-10
US20130279857A1 (en) 2013-10-24
WO2012090561A1 (ja) 2012-07-05
JP2014096377A (ja) 2014-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94668B2 (ja) コネクタ
JP5382237B2 (ja) コネクタ
JP4964218B2 (ja) 光電気変換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光電気複合型コネクタ
KR101440023B1 (ko) 리셉터클 및 커넥터
JP5556905B2 (ja) コネクタ
KR20090009727A (ko) 전기 커넥터
CA2709390C (en) Optical connector having a combined pin lock and grounding member
TWI487217B (zh) 光電子模組連接器系統,使用此系統之方法及光電子模組連接器系統套組
JP2013004437A (ja) 基板実装部品及び基板実装部品製造方法
JP2019140014A (ja) 電気コネクタ
CN111133353B (zh) 光学连接器装置
EP2040104B1 (en) Optical transceiver module with improved noise reduction
JP2018113197A (ja) 基板実装用のコネクタ
CN111864434B (zh) 电连接器及其制造方法
CN112018568B (zh) 连接器
JP5445984B2 (ja) 光電気変換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光電気複合型コネクタ
KR20190061888A (ko) 고속 신호 전송용 커넥터
CN111108421B (zh) 光学连接器装置
JP2016225242A (ja) 光電気変換装置及び接続装置
JPH04104111A (ja) 光コネクタ
WO2007069296A1 (ja) 光導波路用コネクタプラ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