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9375A - 한글 학습 장치 - Google Patents

한글 학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9375A
KR20130099375A KR1020120020835A KR20120020835A KR20130099375A KR 20130099375 A KR20130099375 A KR 20130099375A KR 1020120020835 A KR1020120020835 A KR 1020120020835A KR 20120020835 A KR20120020835 A KR 20120020835A KR 20130099375 A KR20130099375 A KR 20130099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user
syllables
hangul
syll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0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6063B1 (ko
Inventor
최명식
김순진
Original Assignee
최명식
김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명식, 김순진 filed Critical 최명식
Priority to KR1020120020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6063B1/ko
Publication of KR20130099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9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6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6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06F3/041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using an array of force sens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5Combinations of audio and video presentations, e.g. videotapes, videodiscs, television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글 학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터치를 통한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음절의 모음을 회전시키거나 음소를 수정하여 상기 음절을 재조합하는 재조합부; 및 재조합된 상기 음절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재조합된 상기 음절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학습자가 직접 음소를 손쉽게 변환하고, 이에 따른 소리의 차이까지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한글 제자원리의 학습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한글 학습 시스템{HANGUL LEARNING SYSTEM}
본 발명은 한글 학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글의 제자원리에 기반하여 글자와 발음에 대한 차이를 제공하는 한글 학습을 제공하는 한글 학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한글 학습은 자음과 모음이 나열되어 있는 표를 반복 암기하고, 이를 기초로 음절을 형성하는 방법을 학습하고, 음절이 조합된 단어와 그림 등을 매칭하여 암기하는 단순주입식 교육이 주를 이루었다.
이와 같이 단순암기에 기반을 둔 종래의 학습방법은 한글을 익히는 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주로 시각적 감각에만 의존하므로 학습 효율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한글은 단음절인 경우에는 정확한 발음이 가능하나, 다음절인 경우에는 발음의 변동폭이 심한 특징이 있으며, 단음절을 통한 발음학습이 선행되어야 이후 이러한 다음절에서의 발음변화의 규칙을 이해할 수 있다. 특히, 외국인 학습자의 경우 모국어의 발음특성으로 인해 한글 발음교육에 어려움이 존재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시각뿐만 아니라 청각을 함께 활용하여 한글 발음의 정확도를 높이고,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는 학습방법이 제안되었다. 예컨대, 공개번호 제10-2003-0014457호는 키보드로 눌린 한글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유아용 한글 학습기를 제안한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단순히 청각적 요소를 부가하였을 뿐, 초성, 중성, 종성의 조합을 통해 다양한 음절, 단어가 생성되는 한글의 제자원리가 반영되지 않아 학습 효과가 반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개번호 제10-2010-0124449호는 초성, 중성, 종성을 구성하는 음소를 입력받아 글자가 형성되는 과정을 제공하는 한글 학습방법을 제안하였으나, 이 역시 각 음소별 관계성을 고려하지 않은 조합원리만을 반영한 것으로 학습자가 다양하게 음소 단위를 수정하여 각각의 음소적용에 따른 차이를 인지할 수 있는 메커니즘은 존재하지 않아 한글의 제자원리를 이해하는데 제한이 있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각각의 음소를 바꾸어 적용함으로써 시각적 차이와 함께 청각적 차이를 비교하여 학습자에게 제시하고, 이를 통해 한글이 생성되는 원리와 음절의 발음차이를 더욱 확실히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한글 학습 시스템을 제안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학습자가 직접 음소를 변환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소리의 차이까지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한글의 제자원리에 기반한 한글 학습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한글 학습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터치를 통한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음절의 모음을 회전시키거나 음소를 수정하여 상기 음절을 재조합하는 재조합부; 및 재조합된 상기 음절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재조합된 상기 음절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 시스템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의 사용자의 터치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재조합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의 압력이 감지되면, 사용자가 터치한 모음을 형성하는 복수의 획 중 장획을 축으로 단획을 회전시켜 상기 음절을 재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음소의 손쉬운 변형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재조합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되는 압력의 크기 레벨에 대응하여 상기 단획의 회전량을 90도 또는 180도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의 사용자의 터치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성출력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미리 정해진 기준 이하의 압력이 유지되는 것이 감지되면,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터치하여 가리고 있는 음소 또는 획이 제외된 상기 음절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음소 적용에 따른 차이를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재조합부에서 재조합되는 음절이 한글체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음절이 한글체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음절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체계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자음과 모음을 포함하는 음소 목록을 제공하는 음소제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절은 상기 음소 목록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초성, 중성, 및 종성을 조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터치 압력에 대응하여 모음의 단획을 회전시키거나, 음소의 획을 가리는 간단한 조작으로 음소 적용에 따른 차이를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어 한글의 제자원리와 발음차이를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 학습 시스템의 블록도;
도 2 내지 도 4는 음절이 재조합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의 예;
도 5a 내지 도 5d는 센서부에서의 압력 감지에 대응하여 모음이 변화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6a 및 도 6b는 일부 음소 또는 획을 제외시켜 음성으로 출력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7은 음소목록을 기초로 음절을 조합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 예; 및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 학습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가 한글을 학습하는 일련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 예이다.
본 발명에서 기재하는 음소는 각각의 자음과 모음 단위를 의미하고, 음절은 하나의 종합된 음의 느낌을 주는 말소리의 단위를 말한다. 예컨대, '특허'라는 단어는 'ㅌ','ㅡ','ㄱ','ㅎ','ㅓ' 총 5개의 음소로 구성되고, '특', '허' 총 2개의 음절로 구성된다.
한편, 초성은 첫머리 자음, 중성은 가운데의 모음, 종성은 끝의 자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강'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초성은 'ㄱ', 중성은 'ㅏ', 종성은 'ㅇ'이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 학습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 학습 시스템은 디스플레이부(10), 재조합부(20), 음성출력부(30), 센서부(40), 체계판단부(50), 및 음소제공부(6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0)는 화면을 표시하는 출력장치와, 터치를 통한 입력이 가능한 입력장치로 겸용되는 터치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특정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부(10)는 음소, 음절, 단어, 문장 등을 포함하는 글자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글자의 조합, 수정 등을 위한 터치 입력을 받는다. 또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0)에 직접 글자를 입력할 수도 있다.
재조합부(2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된 음절의 모음을 회전시키거나 음소를 수정하여 음절을 재조합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음절이 재조합되는 모습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는 재조합부(20)에서 음절이 재조합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의 예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된 '강'이라는 음절 중에서 모음에 해당하는 'ㅏ'를 회전하고, 음절을 재조합하여 제공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터치를 이용하여 90도를 회전하면 'ㅜ'가 되어 '궁'이라는 음절로 재조합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180도 회전시 '겅', 270도 회전시에는 '공'과 같이 사용자의 터치량에 대응하여 모음을 회전하고, 회전된 모음을 적용하여 음절을 재조합하여 제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0)에서 'TURN' 버튼을 누르면, 재조합부(20)는 종전의 모음과 대칭되는 모음을 적용하여 음절을 재조합한다. 즉, 'ㅏ', 'ㅑ', 'ㅗ', 'ㅛ'와 각각 대칭되는 모음인 'ㅓ', 'ㅕ', 'ㅜ', 'ㅠ'가 적용된 음절을 제공한다. '강'이라는 음절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재조합부(20)는 모음 'ㅏ'와 대칭되는 'ㅓ'를 적용하여 '겅'으로 재조합하게 된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0)에서 'MOVING TURN' 버튼을 누르면, 재조합부(20)는 종전의 모음을 90도 회전하여 음절을 재조합한다. 즉, 'ㅏ', 'ㅑ', 'ㅗ', 'ㅛ'가 각각 90도 회전된 'ㅗ', 'ㅛ', 'ㅓ', 'ㅕ'를 적용시켜 음절을 재조합한다. 예컨대, '강'이라는 음절에서 'ㅏ'가 90도 회전된 'ㅗ'를 적용하여 '공'으로 재조합한다.
한편, 재조합부(20)는 모음의 회전뿐 아니라,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실시간으로 음소를 수정하고 음절을 재조합한다. 이때, 음소의 수정이란, 음소의 추가/삭제/변경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예컨대, '강'이라는 음절에서 초성인 'ㄱ'을 'ㄷ'로 변경하여 '당'으로 재조합하고, 여기서, 종성인 'ㅇ'을 삭제하여 '다'로 재조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음절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단어 또는 문장을 구성하는 각각의 음절에서 음소를 회전, 또는 수정하고 재조합하여 사용자가 변화에 따른 차이를 인지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나는 학교에 가다'라는 문장에서 '가다'의 '가'에 'ㅆ'을 종성으로 추가하여 '갔다'라는 과거형으로 변환하거나, 'ㄴ'을 종성으로 추가하여 '간다'라는 진행형으로 변환하여 시제에 따른 차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음성출력부(30)는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되는 음소, 음절, 단어 등을 포함하는 글자를 음성으로 출력하며, 이를 위해 음성출력장치, 예컨대 스피커를 포함한다. 음성출력부(30)는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될 수 있는 글자와 매칭되는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여 사용자로부터 음성출력을 위한 입력이 있을 때 또는 디스플레이부(10)에 글자가 표시될 때마다 자동으로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음성출력부(30)는 선택된 음소가 초성인 경우 중성 'ㅡ'를 추가하여 발음하고, 중성인 경우 초성 'ㅇ'가 추가된 발음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초성 'ㄱ'이 선택된 경우, '그'로 음성을 출력하고, 중성 'ㅓ'가 선택되면 '어'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음성출력부(30)는 재조합부(20)에서 음절이 재조합될 때마다 실시간으로 재조합된 음절을 음성으로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변경 전의 음절과 변경 후의 음절의 발음 차이를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강'이라는 음절에서 모음을 순차적으로 회전시켜 'ㅜ', 'ㅓ', 'ㅗ'로 변환시켰다면, 음성출력부(30)는 재조합된 음절, 즉, '궁', '겅', '공'을 음성으로 순서대로 출력함으로써 모음의 변화에 따른 발음의 차이를 바로 구별하도록 할 수 있다.
센서부(40)는 디스플레이부(10)에서의 사용자의 터치 압력을 감지하며, 이를 위해 압력 크기를 감지할 수 있는 압력센서를 포함한다. 센서부(40)에서 감지되는 터치 압력의 크기를 기초로 재조합부(20)는 모음을 변화시켜 음절을 재조합하고, 음성출력부(30)는 사용자에 터치로 인해 가려진 부분을 제외시켜 음성으로 출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재조합부(20) 및 음성출력부(30)의 동작을 도 5a 내지 도 5d,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5a 내지 도 5d은 센서부(40)에서 감지되는 압력에 대응한 재조합부(2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재조합부(20)는 센서부(40)에서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의 압력이 감지되면, 사용자가 터치한 모음을 구성하는 복수의 획 중 일부의 획을 회전시켜 음절을 재조합한다. 즉, 모음을 이루고 있는 획은 장획과 단획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음 'ㅏ'는 장획인 'ㅣ'와 단획인 '­'으로 구분할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0)를 소정의 압력이상으로 터치하면 센서부(40)에서 이를 감지하고, 재조합부(20)는 센서부(40)에서 감지된 결과를 기초로 사용자로부터 터치된 모음을 형성하는 복수의 획 중 단획을 장획을 축으로 회전시켜 음절을 재조합한다.
한편, 재조합부(20)는 센서부(40)에서 감지되는 터치 압력의 크기 레벨에 대응하여 단획의 회전량을 조절할 수 있다. 즉, 터치 압력의 크기 레벨을 2단계로 구분하고, 1단계에 해당하는 터치 압력이 감지되면, 재조합부(20)는 단획을 90도로 회전시키고, 2단계에 해당하는 터치 압력의 감지시 단획을 180도로 회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강'이라는 음절을 구성하는 모음 'ㅏ'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90도 회전시 'ㅣ'로 변환하여 '깅'으로 재조합하고, 180도 회전시에는 'ㅓ'가 적용된 '겅'으로 재조합된 음절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음성출력부(30)는 음절이 재조합될 때마다 '깅', '겅'을 음성으로 출력하여 모음에 따른 발음 변화를 즉각적으로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5b 내지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ㅓ', 'ㅗ', 'ㅜ'의 경우에도 모음의 단획을 회전하여 음절을 재조합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위에서 도 5a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생략하기로 한다.
도 6a 및 도 6b는 센서부(40)에서 감지되는 압력에 대응한 음성출력부(3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센서부(40)에서 미리 정해진 기준 이하의 압력이 유지되는 것이 감지되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0)를 터치하여 가리고 있는 부분이 제외된 음절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이에 관해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강' 음절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된 '강' 음절 중 종성인 'ㅇ'을 소정의 압력이하로 터치하여 가리면 음성출력부(30)는 'ㅇ'이 제외된 '가'를 음성으로 출력한다. 또한, '강'의 중성인 'ㅏ'에서 단획인 '­'을 터치로 가리면, 단획이 제외된 '깅'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이때, 사용자는 멀티 터치를 통해 복수의 음소 또는 획을 가릴 수 있고, 음성출력부(30)는 가린 부분을 모두 제외시켜 음성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예컨대, '장'에서 'ㅈ'부분의 'ㅡ' 획과 'ㅏ'의 단획을 터치로 모두 가리면, 음성출력부(30)는 '싱'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 학습 시스템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10)에서의 간단한 조작을 통해 음절을 다양하게 변화시키고, 이에 따른 발음을 즉각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한글의 제자원리 및 발음의 차이를 쉽게 습득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체계판단부(50)는 재조합부(20)에서 재조합되는 음절이 한글체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한글체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재조합된 음절이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한글체계란, 음소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음절이 한글로 성립하는지 여부를 의미한다. 예컨대, 초성에서 'ㄶ'과 같은 겹자음이 적용되면 한글체계에 맞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를 위해, 체계판단부(50)는 한글체계에 관한 목록, 맞춤법 정보를 저장하고 있고, 이를 기초로 재조합된 음절의 적합성 유무를 판단한다. 체계판단부(50)는 사용자가 재조합한 음절이 한글로 성립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경고음 또는 경고문구를 수반할 수 있으며, 단어, 문장 등의 맥락상 맞춤법에 맞는 다른 음절을 사용자에게 참고자료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음소제공부(60)는 자음과 모음을 포함하는 음소 목록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이를 기초로 음절을 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사용자가 음소 목록을 기초로 음절을 조합하는 모습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음소 목록을 기초로 음절을 조합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 예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음소제공부(60)는 초성, 중성, 종성에 적용 가능한 음소를 각각 구분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초성을 입력할 때에는 모음은 적용 불가하며, 'ㄶ'과 같은 겹자음은 한글체계에 맞지 않으므로 이들을 제외하고 초성으로 사용가능한 자음만 제공한다. 다만, 종성의 입력시에는 'ㄶ'과 같은 겹자음은 종성으로 사용가능하므로 이를 포함하여 제공하게 된다. 사용자는 음소제공부(60)에서 제공한 음소 목록에서 선택하여 음절을 조합할 수 있고, 음성출력부(30)을 통해 조합된 음절을 음성으로 들을 수 있다.
한편, 음소제공부(60)는 음소의 발음에 관한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도 있다.예컨대, 종성으로 적용가능한 음소 목록 제공시 겹자음, 이중자음의 경우, 단자음과 발음이 동일하게 되는 경우를 따로 분류한 표를 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발음을 습득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외국인인 경우를 대비하여, 음소제공부(60)에서 각각의 음소에 대응하는 외국어 발음을 함께 제공하고, 사용자가 음절을 조합한 경우에는 조합된 음절에 대한 외국어 발음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학교'라는 2음절을 조합하였다면, 각각의 음소에 대응하는 영어발음을 조합하여 'hakkyo'라는 영어 발음을 제공하게 된다. 이를 통해, 외국인이 한글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 한글 학습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 학습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가 음절을 조합하는 단계부터 회전, 수정을 통해 재조합하는 일련의 과정을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 학습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가 한글을 학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 예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0)에 제공된 음소목록 중에서 초성, 중성, 종성에 적용가능한 음소를 택하여 원하는 음절을 조합할 수 있으며, 이때, 음소제공부(60)는 한글에 생소한 사용자를 위해 자음과 모음 중 초성, 중성, 종성에 적용가능한 음소가 각각 제공되도록 하여 음소를 선택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예컨대, 초성 입력시에는 초성으로 적용 가능한 겹자음을 포함한 총 19개의 자음이 제공되도록 한다.
한편, 음절을 조합하는 방식에는 도 8과 같이 음소목록 중에서 선택하는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적용가능한 음소목록을 순차적으로 제공하고 그 중에서 사용자가 임의의 음소를 선택하도록 하거나, 자동생성된 임의의 음절이 제공될 수도 있다.
도 9와 같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0)에 터치 압력을 가하여 모음을 회전시켜 음절을 재조합할 수 있다. 모음의 회전량은 센서부(40)에서 감지되는 터치 압력의 크기에 대응하여 결정된다.
예컨대, 디스플레이부(10)에 '거인'으로 조합된 두 음절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ㅓ' 모음의 단획 '­'을 소정이상의 압력으로 터치하면, 재조합부(20)는 센서부(40)에서 인식된 압력의 크기 레벨에 대응하여 90도 또는 180도 중에서 단획의 회전량을 결정한다. 즉, 센서부(40)에서 감지하는 압력의 크기 레벨이 2단계로 구분된다고 가정할 때, 사용자가 레벨 1단계에 해당하는 압력으로 디스플레이부(10)를 터치하면, 재조합부(20)는 단획이 90도 회전된 'ㅣ'를 적용하여 '기인'으로 재조합하고, 좀 더 강하게 터치하여 레벨 2단계에 해당하는 압력으로 터치하면, 단획이 180도 회전된 'ㅏ'를 적용하여 '가인'으로 재조합한다. 이와 함께, 사용자는 재조합된 음절을 음성으로 들으면서 모음에 따른 발음의 변화를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터치로 음절의 일정부분을 가리고, 가린 일정부분을 제외한 음절을 음성으로 출력하여 실시간으로 음절에 다양한 변형을 적용하고 변형에 따른 발음의 차이를 이해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된 두 음절 '거인'에서 사용자가 'ㅓ'의 단획 '­'을 미리 결정된 압력 이하의 크기로 터치하여 가리면, 센서부(40)가 이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 음성출력부(30)는 터치로 가려진 '­'가 제외된 '기인'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자가 멀티 터치로 'ㅓ'의 단획 '­'과 'ㄴ'을 가리면, 음성출력부(30)는 '기이'를 음성으로 출력하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음절이 조합되어 단어가 형성될 때, 단어의 사전적 의미나 이에 대응되는 그림을 함께 제시하여 사용자의 한글 학습효과를 증진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정의되는 기술적 사상 및 그 균등물에 미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10 : 디스플레이부 20 : 재조합부
30 : 음성출력부 40 : 센서부
50 : 체계판단부 60 : 음소제공부

Claims (6)

  1. 한글 학습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터치를 통한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음절의 모음을 회전시키거나 음소를 수정하여 상기 음절을 재조합하는 재조합부; 및
    재조합된 상기 음절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재조합된 상기 음절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의 사용자의 터치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재조합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의 압력이 감지되면, 사용자가 터치한 모음을 형성하는 복수의 획 중 장획을 축으로 단획을 회전시켜 상기 음절을 재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되는 압력의 크기 레벨에 대응하여 상기 단획의 회전량을 90도 또는 180도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의 사용자의 터치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성출력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미리 정해진 기준 이하의 압력이 유지되는 것이 감지되면,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터치하여 가리고 있는 음소 또는 획이 제외된 상기 음절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부에서 재조합되는 음절이 한글체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음절이 한글체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음절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체계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자음과 모음을 포함하는 음소 목록을 제공하는 음소제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절은 상기 음소 목록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초성, 중성, 및 종성을 조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 시스템.
KR1020120020835A 2012-02-29 2012-02-29 한글 학습 장치 KR101326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835A KR101326063B1 (ko) 2012-02-29 2012-02-29 한글 학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835A KR101326063B1 (ko) 2012-02-29 2012-02-29 한글 학습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9375A true KR20130099375A (ko) 2013-09-06
KR101326063B1 KR101326063B1 (ko) 2013-11-07

Family

ID=49450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0835A KR101326063B1 (ko) 2012-02-29 2012-02-29 한글 학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60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80421A (zh) * 2017-10-17 2018-02-09 河北地质大学 用于思想政治教育的教学系统
KR20200045151A (ko) * 2018-10-22 2020-05-04 김현신 한글 학습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7110B1 (ko) * 2018-04-18 2020-08-24 김현신 한글 학습 장치 및 한글 학습 방법
CN111968461B (zh) * 2020-09-08 2021-02-09 山东劳动职业技术学院 一种英语教学用口型对照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5518Y1 (ko) 2002-10-16 2003-03-03 김옥식 유아용 한글 학습기
KR100587534B1 (ko) 2004-03-11 2006-06-08 유승혁 멀티미디어 한글 학습시스템 및 그 한글 학습방법
KR100707300B1 (ko) 2005-01-05 2007-04-17 김민한 유아용 문자학습기 및 그의 구동방법
KR20100024471A (ko) * 2010-02-12 2010-03-05 김정욱 터치스크린을 사용해 초성, 중성 또는 종성을 한 번에 입력하는 한글입력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80421A (zh) * 2017-10-17 2018-02-09 河北地质大学 用于思想政治教育的教学系统
KR20200045151A (ko) * 2018-10-22 2020-05-04 김현신 한글 학습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6063B1 (ko) 201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5060074A5 (ja) 音声学習支援装置、音声学習支援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の制御プログラム
US10978045B2 (en) Foreign language reading and displaying device and a method thereof, motion learning device based on foreign language rhythm detection sensor and motion learning method, electronic recording medium, and learning material
KR20180000990A (ko) 영어 파닉스 학습 장치 및 그 방법
KR102265255B1 (ko)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한글 교육 시스템
KR101326063B1 (ko) 한글 학습 장치
KR101102520B1 (ko) 한글 자모의 메트릭스 결합 관계를 기반으로 하는 시청각 한글학습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102225435B1 (ko) Stt 기반 언어구사 학습-훈련 시스템
KR20140071070A (ko) 음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발음 학습방법 및 학습장치
JP7166580B2 (ja) 言語学習方法
KR102224977B1 (ko) 아동학습용 한글 교육 방법
KR20190053584A (ko) 음성인식과 게임 콘텐츠를 활용한 언어 학습 시스템
CN107041159B (zh) 发音助手
KR101080092B1 (ko) 외국어 단어 학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 장치
US20140120502A1 (en) Language learning using electronic book
KR20100035770A (ko) 영어 학습장치 및 방법
KR20140047838A (ko) 천지인 제자원리에 기반한 한글교육 시스템
CN101777274B (zh) 听辨音记单词系统
KR20090054951A (ko) 주니어용 단어 학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단어 학습장치
KR101554619B1 (ko) 터치 스크린을 활용한 어학 학습 시스템 및 어학 학습 방법
KR101573262B1 (ko) 한글 자음 제자원리에 기반한 한글 입력 방법, 한글 입력 장치 및 한글 교육 시스템
Strik et al. Speech technology for language tutoring
Jo et al. Effective computer‐assisted pronunciation training based on phone‐sensitive word recommendation
KR20170009487A (ko) 청크 기반 언어 학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기기
TW200926085A (en) Intelligent conversion method with system for Chinese and the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IPA)
US2013014968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teaching a non-native langu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