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4471A - 터치스크린을 사용해 초성, 중성 또는 종성을 한 번에 입력하는 한글입력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을 사용해 초성, 중성 또는 종성을 한 번에 입력하는 한글입력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4471A
KR20100024471A KR1020100013484A KR20100013484A KR20100024471A KR 20100024471 A KR20100024471 A KR 20100024471A KR 1020100013484 A KR1020100013484 A KR 1020100013484A KR 20100013484 A KR20100013484 A KR 20100013484A KR 20100024471 A KR20100024471 A KR 201000244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consonant
touch
syllable
f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3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욱
Original Assignee
김정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욱 filed Critical 김정욱
Priority to KR1020100013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4471A/ko
Publication of KR20100024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44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사용해 초성, 중성 또는 종성을 한 번에 입력하는 한글입력방법은 한글의 주 자음키, 중성 모음키 및 종성 자음키의 그룹들이 각각 구분되어 있는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상기 주 자음키, 상기 중성 모음키 및 상기 종성 자음키에 대한 멀티 터치 및 멀티 드래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음절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음절을 출력창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터치스크린을 사용해 초성, 중성 또는 종성을 한 번에 입력하는 한글입력방법 및 장치{A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an initial phoneme, a medial vowel or a final phoneme of Hangul at a time using a touch screen}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갖는 전자기기에 한글을 입력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 스크린을 멀티 터치 또는 멀티 드래그하여 보다 신속하게 한글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스크린을 사용해 초성, 중성 또는 종성을 한 번에 입력하는 한글입력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전자기기(예를 들어, 휴대폰, PDA 등)에서 한글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터치스크린을 터치 또는 드래그하여 문자를 입력하게 된다.
이러한 문자 입력방식에는 크게 두가지의 방식을 사용하게 된다. 첫째 자음키와 모음키의 그룹들을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조합된 문자를 표시하는 방식이고, 두번째는 스타일러스(stylus)을 사용해 터치스크린 상에 직접 문자를 작성하여, 작성된 문자를 인식하는 방식이다.
두 번째 방식은 문자의 인식률이 높지 않음으로 인해, 정확한 한글 입력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어서, 첫 번째 방식이 많이 사용된다. 첫 번째 방식에 의해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자음과 모음에 대한 입력키를 한정된 크기의 터치스크린에 표시해야 하므로, 자음과 모음이 중복된 키로 구현되어야 하고, 또한, 입력 과정에서 터치 또는 드래그 등의 입력방식에 따른 문자 인식을 달리하도록 설계해야 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이렇게 한정된 크기의 터치스크린에 다양한 자음키와 모음키를 표시하고, 한글을 입력하도록 하기 위해서 한글의 초성, 중성 및 종성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도록 사용자에게 요구하였다. 따라서, 사용자가 한글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한글의 초성, 중성 및 종성을 순차적으로 선택해야만 하고, 해당 키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여러 번의 터치 및 드래그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한글 입력을 위한 시간이 상대적으로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원발명은 한글 입력에 있어서, 한글을 구성하는 초성, 중성 및 종성의 순차적인 선택 없이도, 멀티 터치 또는 멀티 드래그에 의해, 즉, 초성, 중성 및 종성의 동시 터치 또는 종성을 먼저 터치하는 경우에도 한글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터치스크린을 사용해 초성, 중성 또는 종성을 한 번에 입력하는 한글입력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원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사용해 초성, 중성 또는 종성을 한 번에 입력하는 한글입력방법은 한글의 주 자음키, 중성 모음키 및 종성 자음키의 그룹들이 각각 구분되어 있는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상기 주 자음키, 상기 중성 모음키 및 상기 종성 자음키에 대한 멀티 터치 및 멀티 드래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음절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음절을 출력창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성 모음에 있어서 획 추가를 위한 터치 또는 드래그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획 추가를 위한 터치 또는 드래그가 아니라면, 상기 중성 모음의 수정으로 인식하고, 인식된 모음으로 수정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종성 자음키는 대표 자음 및 첨자 자음을 갖는 다수의 자음키로 구성되어 있으며, 터치시에 상기 대표 자음이 디스플레이되고, 드래그시에 상기 첨자 자음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 자음키와 상기 중성 모음키의 멀티 터치 및 멀티 드래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음절을 추출 및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 자음키와 상기 종성 자음키의 멀티 터치 및 멀티 드래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음절을 추출 및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 자음키 및 상기 종성 자음키의 멀티 터치 또는 멀티 드래그를 감지하였을 때에, "ㅡ" 및 "ㅣ"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중성 모음을 포함하는 음절을 추출 및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 자음키, 중성 모음키 및 상기 종성 모음키에 대한 멀티 터치 또는 멀티 드래그 후에, 상기 주 자음키 및 상기 종성 자음키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터치 또는 드래그를 상기 음절의 단일 받침 또는 겹받침 종성에 대응하는 감지신호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또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원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사용해 초성, 중성 또는 종성을 한 번에 입력하는 한글입력장치는 한글의 주 자음키, 중성 모음키 및 종성 자음키의 그룹들이 각각 구분되어 있는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입력창을 통해 감지된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음절을 출력창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터치스크린; 상기 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상기 주 자음키, 상기 중성 모음키 및 상기 종성 자음키에 대한 멀티 터치 및 멀티 드래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음절을 추출하는 음절 추출부; 및 상기 입력창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음절 추출부에서 추출된 음절을 상기 출력창을 통해 상기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폰 또는 PDA 등과 같은 소형화된 전자기기에서 한글을 입력할 때에, 한글의 초성, 중성 및 종성에 대한 멀티 터치 및 멀티 드래그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신속하게 한글을 입력 및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양손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한 손만으로 멀티 터치 또는 멀티 드래그가 가능하므로, 한글입력장치에 대한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터치스크린을 사용해 초성, 중성 또는 종성을 한 번에 입력하는 한글입력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2는 한글입력장치에 구비되는 터치스크린의 외관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은 입력창의 종성 자음키에 대한 터치 또는 드래그를 유지한 상태에서, 주 자음키에 대한 터치 또는 드래그가 이루어지는 경우에, 멀티 터치 또는 멀티 드래그에 따른 대응하는 음절이 추출되는 일 예를 예시한 참고도이다.
도 4는 입력창의 주 자음키 및 종성 자음키의 멀티 터치 또는 멀티 드래그에 따라, 디폴트로 설정된 중성 모음 "ㅡ"를 포함하는 음절이 추출되는 일 예를 예시한 참고도이다.
도 5는 주 자음키의 드래그 방향에 따른 대응하는 중성 모음의 타입을 예시한 표이다.
도 6는 주 자음키의 드래그 방향에 따른 대응하는 중성 모음이 포함된 음절이 추출되는 일 예를 예시한 참고도이다.
도 7는 중성 모음키의 터치 또는 드래그 방향에 따른 대응하는 중성 모음의 타입을 예시한 표이다.
도 8은 중성 모음키의 터치 또는 드래그 방향에 따라, 획 추가 또는 중성 모음의 수정으로 각각 달리 인식한 사례를 예시한 표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터치스크린을 사용해 초성, 중성 또는 종성을 한 번에 입력하는 한글입력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도 10은 터치스크린을 사용해 초성, 중성 또는 종성을 한 번에 입력하는 한글입력방법에 대한 세부적인 플로우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사용해 초성, 중성 또는 종성을 한 번에 입력하는 한글입력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터치스크린을 사용해 초성, 중성 또는 종성을 한 번에 입력하는 한글입력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로서, 터치스크린(100), 제어부(120) 및 음절 추출부(140)로 구성된다.
여기서, 한글입력장치는 휴대폰, PDA(Persnal Digital Assistant), 네비게이션 기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ATM(Automatic Teller Machine) 등을 포함한다.
터치스크린(100)은 한글의 주 자음키, 중성 모음키 및 종성 자음키의 그룹들이 각각 구분되어 있는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입력창을 통해 감지된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음절을 출력창을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도 2는 한글입력장치에 구비되는 터치스크린의 외관을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입력창(200) 및 출력창(220)이 도시되어 있다.
입력창(200)은 다수의 초성 자음 또는 종성 자음을 입력할 수 있는 주 자음키(202), 다수의 중성 모음을 입력할 수 있는 중성 모음키(204) 및 다수의 종성 자음을 입력할 수 있는 종성 자음키(206)로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주 자음키(202)와 종성 자음키(206)가 각각 구분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주 자음키(202)는 초성 자음을 입력할 수도 있지만, 초성 자음 및 중성 모음이 입력된 후에 주 자음키(202)가 선택되는 경우에는 종성 자음의 입력으로 인식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원발명에서는 초성 자음과 종성 자음을 입력할 수 있다는 의미에서 주 자음키라고 명명한다. 주 자음키(202), 중성 모음키(204) 및 종성 자음키(206)가 각각 구분되어 있으므로, 한글의 입력에 있어서, 멀티 터치 및 멀티 드래그가 가능하다. 또한, 한 손에 의한 이러한 멀티 터치 및 멀티 드래그도 가능하다.
도 2에서는 다수의 중성 모음을 선택할 수 있는 중성 모음키(204)가 하나의 키로 구성된 것이 예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하나의 중성 모음키(204) 대신에 다수의 중성 모음 그룹으로 구성된 입력창이 디스플레이 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멀티 터치 및 멀티 드래그라는 용어는 주 자음키, 중성 모음키 및 종성 자음키가 동시에 선택되거나, 종성 자음키가 주 자음키보다 먼저 선택되는 경우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키 선택에 대해 음절 추출부가 대응하는 음절을 추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 밖에 입력창(200)은 확인키, 한/영 변환키, 메뉴 선택키 등의 부가적인 키들로 구성된다.
터치스크린(100)은 입력창(200)의 하부에 입력창(200)에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가 접촉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 수단(미도시)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감지 수단의 일 예로서 다수의 적외선 센서들을 예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적외선 센서들은 손 또는 스타일러스 같은 물체가 입력창(200)에 접촉 및 드래그되는 위치 및 방향을 감지하고, 감지한 신호를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음절 추출부(140)로 출력한다.
출력창(220)은 입력창(200)을 통해 입력된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한글의 음절이 표시되는 영역으로,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다양한 표현 형식에 대응하는 한글을 표시한다. 다양한 표현 형식은 표시되는 한글의 폰트 크기, 한글 색상 및 한글 서체 등의 형식을 포함한다.
음절 추출부(140)는 입력창(200)을 통해 입력되는 주 자음키(202), 중성 모음키(204) 및 종성 자음키(206)에 대한 멀티 터치 및 멀티 드래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음절을 추출하고, 추출한 음절에 대한 정보신호를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터치스크린(100)으로 출력한다.
음절 추출부(140)는 자음과 모음, 그리고 자음과 모음의 터치 및 드래그 방향에 대한 대응되는 코드값을 각각 저장하고 있다. 음절 추출부(140)는 주 자음키(202), 중성 모음키(204) 및 종성 자음키(206)에 대한 멀티 터치 및 멀티 드래그에 따른 감지신호를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터치스크린(100)의 감지 수단으로부터 수신한다.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음절 추출부(140)는 주 자음키(202), 중성 모음키(204) 및 종성 자음키(206)에 대한 멀티 터치 및 멀티 드래그에 따른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코드값을 기 저장되어 있는 자음과 모음의 터치 및 드래그 방향에 따른 코드값과 비교하여,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초성 자음, 중성 모음 및 종성 자음에 따른 음절을 추출한다.
음절 추출부(140)는 주 자음키(202) 및 종성 자음키(206)에 대한 멀티 터치 또는 멀티 드래그가 이루어지는 경우에, 멀티 터치 또는 멀티 드래그에 따른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음절을 추출한다. 특히, 음절 추출부(140)는 주 자음키(202)와 종성 자음키(206)에 대해 동시에 터치 또는 드래그가 이루어지는 경우나, 종성 자음키(206)에 대한 터치 또는 드래그를 유지한 상태에서, 주 자음키(202)에 대한 터치 또는 드래그가 이루어지는 경우에, 멀티 터치 또는 멀티 드래그에 따른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음절을 추출한다. 즉, 음절 추출부(140)는 주 자음키와 종성 자음키에 대한 터치 또는 드래그가 어느 것이 먼저 이루어지든지 또는 동시에 터치 또는 드래그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대응하는 음절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초성 입력을 위한 주 자음키 "ㄷ"을 선택함과 동시에 종성 입력을 위한 "ㅇ"를 선택하고, 그 후 중성 모음키 "ㅗ"를 선택하는 경우에, 이에 대응하는 음절 "동"을 추출한다. 또한, 사용자가 먼저 종성 자음키 중 "ㅇ"을 선택하고, 그 상태를 유지하면서 주 자음키 "ㄷ"을 선택한 후에, 중성 모음키 "ㅗ"를 선택하는 경우에도 이에 대응하는 음절 "동"을 추출한다. 도 3은 입력창의 종성 자음키에 대한 터치 또는 드래그를 유지한 상태에서, 주 자음키에 대한 터치 또는 드래그가 이루어지는 경우에, 멀티 터치 또는 멀티 드래그에 따른 대응하는 음절이 추출되는 일 예를 예시한 참고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먼저 종성 자음키 중 "ㄴ"을 터치한 후에 상측 방향으로 드래그 하게 되면, 음절 추출부(140)는 "ㄴ"의 첨자 자음에 해당하는 "ㄴㅎ"을 인식하고, 드래그를 유지한 상태에서, 주 자음키 "ㅇ"을 터치한 후에 우측 방향으로 드래그한 경우에는, 이에 대응하는 음절 "않"을 추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동시에 초성 자음키 및 종성 자음키를 터치 또는 드래그함으로써, 한글 입력에 걸리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종성 자음키를 먼저 선택하더라도 이에 대응하는 한글의 추출이 가능하므로, 한글입력장치에 대한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음절 추출부(140)는 주 자음키(202)와 종성 자음키(206)의 멀티 터치 또는 멀티 드래그를 감지하였을 때에, "ㅡ" 및 "ㅣ"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중성 모음을 포함하는 음절을 추출한다. 중성 모음으로서 "ㅡ" 또는 "ㅣ" 중 어느 것을 디폴트로 설정하는가는 사용 빈도가 높은 모음에 대해 설계자가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가락의 터치 또는 드래그를 통해, 주 자음키(202) 중 "ㄱ"과 종성 자음키(206) 중 "ㅁ"을 동시에 터치하는 경우에, 비록 중성 모음의 선택을 위한 중성 모음키(204)가 터치 또는 드래그되지 않았다 하더라도, 모음 "ㅡ" 또는 "ㅣ" 가 디폴트로 정해져 있어서, "금" 또는 "김"이라는 음절을 추출한다. 이후, 중성 모음키(204)를 사용해 중성 모음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금"이라는 음절이 추출된 후에 모음 선택키를 사용해, "ㅏ", 또는 "ㅓ"를 선택하게 되면, "금"이라는 음절은 "감" 또는 "검"이라는 음절로 추출된다. 도 4는 입력창의 주 자음키 및 종성 자음키의 멀티 터치 또는 멀티 드래그에 따라, 디폴트로 설정된 중성 모음 "ㅡ"를 포함하는 음절이 추출되는 일 예를 예시한 참고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가락의 터치 또는 드래그를 통해, 주 자음키(202) 중 "ㅇ"과 종성 자음키(206) 중 "ㄹ"을 멀티 터치하는 경우에, 비록 중성 모음키(204)가 터치 또는 드래그되지 않았다 하더라도, 디폴트로 설정된 중성 모음 "ㅡ"가 포함된 음절 "을"을 추출한다.
음절 추출부(140)는 주 자음키의 드래그 시에, 주 자음키의 초성 및 드래그에 대응하는 모음에 해당하는 음절을 추출한다. 도 5는 주 자음키의 드래그 방향에 따른 대응하는 중성 모음의 타입을 예시한 표이다. 예를 들어, 주 자음키 중 "ㄱ"을 터치한 상태에서 손가락을 상, 하, 좌, 우 등의 방향으로 드래그한 경우에는 "ㄱ"에 대응하는 모음을 포함하는 음절 즉 "가", "거", "고", "구" 등의 음절이 드래그 방향에 따라 추출된다. 드래그 방향이 우측 방향인 경우에 "ㅏ", 드래그 방향이 좌측 방향인 경우 "ㅓ", 드래그 방향이 상측 방향인 경우에 "ㅗ", 드래그 방향이 하측 방향인 경우에 "ㅜ"라는 모음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밖에 주 자음키(202)에 의해 선택된 초성 "ㄱ"에 대한 각각의 드래그 방향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음절 "교", "규", "갸", "겨", "과" 및 "궈"이 각각 추출된다. 이렇게 추출된 음절에서 종성 자음키(206)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되면, 그에 대응하는 음절이 최종적으로 추출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주 자음키 중 "ㄱ"을 터치한 상태에서 손가락을 우측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동시에 종성 자음키로서 "ㅁ"을 선택하는 경우에, 음절 추출부(140)는 주 자음키의 드래그 방향에 대응하여 "가"라는 음절을 인식함과 동시에, 종성에 해당하는 "ㅁ"을 인식하여 최종적으로 "감"이라는 음절을 추출한다. 도 6은 주 자음키의 드래그 방향에 따른 대응하는 중성 모음이 포함된 음절이 추출되는 일 예를 예시한 참고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주 자음키 중 "ㄱ"을 터치한 상태에서 손가락을 상측 방향으로 드래그 한후 다시 연속적으로 우측 방향으로 드래그하고, 이와 아울러 종성 자음키로서 "ㅇ"을 선택하는 경우에, 음절 추출부(140)는 주 자음키의 드래그 방향에 대응하여 "과"라는 음절을 인식함과 동시에, 종성에 해당하는 "ㅇ"을 인식하여 최종적으로 "광"이라는 음절을 추출한다.
음절 추출부(140)는 주 자음키(202)에 대해 연속해서 두번의 터치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초성 자음 중에서 큰 글자로 표시된 대표 자음이 아닌 작은 글자로 표시된 첨자 자음에 대한 감지신호로 인식하고, 이에 대응하는 자음을 추출한다. 예를 들어, 주 자음키 중 큰 글자에 해당하는 대표 자음 "ㄱ"을 연속해서 두번 터치한 경우에는 "ㄱ"이 아닌 작은 글자에 해당하는 첨자 자음로 표시된 "ㅋ"로 인식하게 되고, "ㅋ"에 대한 드래그 방향에 따라, "카", "커", "코", "쿠", "쿄", "큐", "캬", "켜", "콰" 및 "쿼"가 각각 추출된다. 이렇게 추출된 음절에서 종성 자음키(206)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되면, 그에 대응하는 음절이 최종적으로 추출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주 자음키 중 "ㄱ"을 두번 터치한 상태에서 손가락을 우측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동시에 종성 자음키로서 "ㅁ"을 선택하는 경우에, 음절 추출부(140)는 초성 자음에 해당하는 "ㅋ"의 드래그 방향에 대응하여 "카"라는 음절을 인식함과 동시에, 종성에 해당하는 "ㅁ"을 인식하여 최종적으로 "캄"이라는 음절을 추출한다.
음절 추출부(140)는 종성 자음키(206)가 큰 글자에 해당하는 대표 자음 및 작은 글자에 해당하는 첨자 자음을 갖는 다수의 자음키로 구성되어 있을 때에, 종성 자음키(206)의 터치시에는 대표 자음으로 인식하고, 종성 자음키(206)의 드래그시에는 첨자 자음으로 인식하여, 이에 대응하는 음절을 추출한다. 드래그 방향은 상측 방향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주 자음키 중 "ㄱ"을 터치한 상태에서 손가락을 우측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동시에 종성 자음키로서 "ㅁ"을 터치한 상태에서 상측 방향으로 드래그한 경우에, 음절 추출부(140)는 초성 자음에 해당하는 "ㄱ"의 드래그 방향에 대응하여 "가"라는 음절을 인식함과 동시에, 도 2의 종성 자음키 중에서 대표 자음 "ㅁ"이 아닌 첨자 자음에 해당하는 "ㅆ"을 인식하여 최종적으로 "갔"이라는 음절을 추출한다.
음절 추출부(140)는 주 자음키(202) 및 중성 모음키(204)에 대한 멀티 터치 또는 멀티 드래그 후에, 주 자음키(202) 또는 종성 자음키(204)에 대한 터치나 드래그에 대해, 종성 자음에 대응하는 감지신호로 인식한다. 사용자가 주 자음키(202) 및 중성 모음키(204)를 멀티 터치한 후에 종성 자음키(206)를 선택하면, 이에 대응하는 음절이 추출되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한편, 본 발명의 음절 추출부(140)는 초성 자음 및 중성 모음이 추출된 후에, 받침으로 사용되는 종성 자음키(206) 대신에 주 자음키(202)가 선택되더라도 주 자음키(202)에 의해 선택된 자음을 종성 자음으로 인식하여, 이에 대응하는 음절을 추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주 자음키(202) 중 "ㄱ"과 중성 모음키(206) 중 "ㅣ"을 멀티 터치한 후에, 종성 자음키(206) 대신에 주 자음키(202) 중 "ㅁ"을 선택한 경우라도, 음절 추출부(140)는 사용자의 키 선택에 대응하는 음절 "김"을 추출한다.
음절 추출부(140)는 주 자음키(202) 및 중성 모음키(204)에 대한 멀티 터치 또는 멀티 드래그 후에, 주 자음키(202) 및 종성 자음키(206) 중 어느 하나의 키에 대한 2 번의 터치 또는 드래그를 한글의 겹받침(이중받침) 종성에 대응하는 감지신호로 인식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주 자음키(202) 중 "ㅂ"과 중성 모음키(206) 중 "ㅏ"을 멀티 터치한 후에, 종성 자음키(206) 또는 주 자음키(202) 중 어느 하나의 키에 대해 "ㄹ" 과 "ㄱ"을 순차적으로 터치한 경우에, 사용자의 키 선택에 대응하는 음절 "밝"을 추출한다. 이때, 그 다음 음절을 입력할 때에는 이전 음절의 받침이 이중 받침이라는 것을 명확히 하기 위해, 스페이스를 입력하거나,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그 다음 초성을 입력함으로서, 이전 음절의 받침이 이중 받침임을 명확히 한다. 만일, 이중 받침이 있는 음절 "밝"의 입력 후에 일정시간 안에 중성 모음키(204) "ㅓ"의 터치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음절 추출부(140)는 이전 음절에 대해 이중 받침을 갖는 "밝"로 인식하는 대신 "발"로 인식하는 한편, 현재 인식되는 음절을 "거"로 인식하여 추출한다.
음절 추출부(140)는 중성 모음키(204)의 터치 횟수 또는 드래그 방향에 따라, 음절의 모음 타입을 구분하여 인식한다. 도 7은 중성 모음키(204)의 터치 또는 드래그 방향에 따른 대응하는 중성 모음의 타입을 예시한 표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절 추출부(140)는 중성 모음키(204)를 터치한 회수 또는 터치한 상태로 상, 하, 좌, 우, 상측 턴, 하측 턴, 좌측 턴, 우측 턴 등의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 이에 대응하는 음절 "ㅣ", "ㅡ", "ㅢ", "ㅗ", "ㅜ", "ㅏ", "ㅓ", "ㅛ", "ㅠ", "ㅑ", "ㅕ", "ㅘ", 및 "ㅝ"를 각각 추출한다.
또한, 음절 추출부(140)는 중성 모음키(204)의 터치 또는 드래그가 중성 모음에 대한 획 추가를 위한 터치 또는 드래그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획 추가를 위한 터치 또는 드래그가 아니라면, 중성 모음의 수정으로 인식하여 이에 대응하는 음절을 추출한다.
도 8은 중성 모음키(204)의 터치 또는 드래그 방향에 따라, 획 추가 또는 중성 모음의 수정으로 각각 달리 인식한 사례를 예시한 표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자음키(202) 및/또는 종성 자음키(206)를 통해 초성과 종성이 선택되고, 그 후, 중성 모음을 선택하기 위해 중성 모음키(204)에 대한 터치 또는 드래그가 이루어지는 경우를 예시한다. 만일, 중성 모음키(204)를 1번 터치하는 경우에는 모음 "ㅣ" 에 대한 선택으로 인식하게 되는데, 이때, 모음"ㅣ"는 주 자음키(202)에 의해 선택된 음절의 모음에 추가되는 획에 해당하는 "ㅣ"일 수도 있고, 선택된 음절의 모음 대신에 별개의 모음 "ㅣ"로의 수정이라는 것으로 인식될 수도 있다. 음절 추출부(140)는 중성 모음키(204)에 대한 터치 또는 드래그가 획 추가인지 모음에 대한 수정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서, 주 자음키(202) 및/또는 종성 자음키(206)에서 선택된 음절의 모음이 획 추가가 가능한 모음에 해당하는가 여부에 따라 판단한다.
만일, 주 자음키(202) 및 종성 자음키(206)에 의해 "감"라는 음절이 선택되고, 중성 모음키(204)에서 1번 터치에 의해 모음 "ㅣ"가 선택되었다면, 주 자음키(202) 및 종성 자음키(206)에 의해 선택된 모음 "ㅏ"와 중성 모음키(204)에 의해 선택된 모음 "ㅣ"에 의해 모음 "ㅐ"가 만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때에는, 음절 추출부(140)는 중성 모음키(204)에서 선택된 "ㅣ"를 모음에 대한 획 추가로 인식하여 이에 대응하는 음절 "갬"를 추출한다. 그러나, 주 자음키(202) 및 종성 자음키(206)에 의해 "금"이라는 음절이 선택되고, 중성 모음키(204)에서 1번 터치에 의해 모음 "ㅣ"가 선택되었다면, 이때에는, 음절 추출부(140)는 중성 모음키(204)에서 선택된 "ㅣ"를 모음에 대한 획 추가로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주 자음키(202)에 의해 선택된 음절 "금"에 대한 모음 "ㅡ"를 모음 "ㅣ"로 수정하라는 것으로 이식하여, 음절 "김"을 추출한다.
제어부(120)는 입력창(200)을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20)는 다수의 초성 자음을 입력할 수 있는 주 자음키(202), 다수의 중성 모음을 입력할 수 있는 중성 모음키(204) 및 다수의 종성 자음을 입력할 수 있는 종성 자음키(206)로 구성된 입력창(20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20)는 주 자음키(202)와 종성 자음키(206)가 각각 구분된 입력창(200)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다수의 중성 모음을 선택할 수 있는 하나의 중성 모음키(204)가 입력창(200)을 구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이러한 중성 모음키(204)가 다수의 중성 모음키의 그룹으로 구성된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제어부(120)는 입력창(200)을 구성하는 키들로서 주 자음키(202), 중성 모음키(204) 및 종성 자음키(206) 이외에 확인키, 한/영 변환키, 받침 숨김키, 메뉴 선택키 등의 키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20)는 입력창(200)에서 종성 자음키(206)의 디스플레이 숨김 기능을 제어한다. 사용자가 받침 숨김키를 터치한 경우에, 제어부(120)는 종성 자음키(206)가 입력창(200)에 디스플레이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한편, 제어부(120)는 음절 추출부(140)에서 추출된 음절을 출력창(220)을 통해 터치스크린(100)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한다. 음절 추출부(140)에서 추출된 음절에 대해, 제어부(120)는 다양한 표현 형식 즉, 한글의 폰트 크기, 한글 색상, 한글 서체 등 사용자 설정정보 또는 디폴트 설정정보에 따라, 음절 추출부(140)에서 추출된 음절을 출력창(220)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사용해 초성, 중성 또는 종성을 한 번에 입력하는 한글입력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터치스크린을 사용해 초성, 중성 또는 종성을 한 번에 입력하는 한글입력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먼저, 한글의 주 자음키, 중성 모음키 및 종성 자음키의 그룹들이 각각 구분되어 있는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한다(제300 단계). 다수의 초성 자음 또는 종성 자음을 입력할 수 있는 주 자음키, 다수의 중성 모음을 입력할 수 있는 중성 모음키 및 다수의 종성 자음을 입력할 수 있는 종성 자음키로 구성된 입력창이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주 자음키와 종성 자음키가 입력창에서 각각 구분되어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중성 모음키는 다수의 중성 모음키 그룹으로 구성된 입력창이 디스플레이 될 수도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중성 모음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 하나의 키가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그 밖에 확인키, 한/영 변환키, 메뉴 선택키 등의 부가적인 키들을 포함하는 입력창이 디스플레이된다.
제300 단계 후에, 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주 자음키, 중성 모음키 및 종성 자음키에 대한 멀티 터치 및 멀티 드래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음절을 추출한다(제302 단계). 자음과 모음, 그리고 자음과 모음의 터치 및 드래그 방향에 대한 대응되는 코드값을 각각 저장하고 있다가, 초성 자음키, 중성 모음키 및 종성 자음키에 대한 멀티 터치 및 멀티 드래그에 따른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코드값을 비교하여, 초성, 중성 및 종성에 따른 음절을 추출한다.
초성 자음키 및 종성 자음키의 멀티 터치 또는 멀티 드래그를 감지하였을 때에, "ㅡ" 및 "ㅣ"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중성 모음을 포함하는 음절을 추출한다. 중성 모음으로서 "ㅡ" 및 "ㅣ" 중 어느 하나를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초성 자음키의 드래그 시에 초성 자음키의 초성 및 드래그에 대응하는 모음에 해당하는 음절을 추출한다.
또한, 초성 자음키 및 종성 자음키에 대한 멀티 터치 또는 멀티 드래그가 이루어지는 경우에, 멀티 터치 또는 멀티 드래그에 따른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음절을 추출한다.
또한, 종성 자음키에 대한 터치 또는 드래그를 유지한 상태에서, 초성 자음키에 대한 터치 또는 드래그가 이루어지는 경우에, 멀티 터치 또는 멀티 드래그에 따른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음절을 추출한다. 즉, 초성 자음키와 종성 자음키에 대한 터치 또는 드래그가 어느 것이 먼저 이루어지든지 또는 동시에 터치 또는 드래그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이에 대응하는 음절을 추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동시에 초성 자음키 및 종성 자음키를 터치 또는 드래그함으로써, 한글 입력에 걸리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초성 자음키 및 중성 모음키에 대한 멀티 터치 또는 멀티 드래그 후에, 초성 자음키 및 종성 자음키 중 어느 하나의 터치 또는 드래그를 음절의 종성에 대응하는 감지신호로 인식한다. 초성 자음 및 중성 모음이 추출된 후에, 받침으로 사용되는 종성 자음이 종성 자음키에 의해 선택되지 않고, 초성 자음키에 의해 선택되더라도 초성 자음키에 의해 선택된 자음을 종성 자음으로 인식하여, 이에 대응하는 음절을 추출한다.
또한, 초성 자음키 및 중성 모음키에 대한 멀티 터치 또는 멀티 드래그 후에, 초성 자음키 및 종성 자음키 중 어느 하나의 키에 대한 2 번의 터치 또는 드래그를 음절의 겹받침 종성에 대응하는 감지신호로 인식하고, 이에 대응하는 음절을 추출한다.
또한, 주 자음키에 대해 연속해서 두번의 터치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초성 자음 중에서 큰 글자로 표시된 대표 자음이 아닌 작은 글자로 표시된 첨자 자음에 대한 감지신호로 인식하고, 이에 대응하는 자음을 추출한다. 또한, 종성 자음키가 큰 글자에 해당하는 대표 자음 및 작은 글자에 해당하는 첨자 자음을 갖는 다수의 자음키로 구성되어 있을 때에, 종성 자음키의 터치시에는 대표 자음으로 인식하고, 종성 자음키의 드래그시에는 첨자 자음으로 인식하여, 이에 대응하는 음절을 추출한다. 드래그 방향은 상측 방향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주 자음키 및 중성 모음키에 대한 멀티 터치 또는 멀티 드래그 후에, 주 자음키 또는 종성 자음키에 대한 터치나 드래그에 대해, 종성 자음에 대응하는 감지신호로 인식한다. 사용자가 주 자음키 및 중성 모음키를 멀티 터치한 후에 종성 자음키를 선택하면, 이에 대응하는 음절이 추출되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한편, 초성 자음 및 중성 모음이 추출된 후에, 받침으로 사용되는 종성 자음키 대신에 주 자음키가 선택되더라도 주 자음키에 의해 선택된 자음을 종성 자음으로 인식하여, 이에 대응하는 음절을 추출한다.
또한, 주 자음키 및 중성 모음키에 대한 멀티 터치 또는 멀티 드래그 후에, 주 자음키 및 종성 자음키 중 어느 하나의 키에 대한 2 번의 터치 또는 드래그를 한글의 겹받침(이중받침) 종성에 대응하는 감지신호로 인식한다. 이때, 그 다음 음절을 입력할 때에는 이전 음절의 받침이 이중 받침이라는 것을 명확히 하기 위해, 스페이스를 입력하거나,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그 다음 초성을 입력함으로서, 이전 음절의 받침이 이중 받침임을 명확히 한다. 만일, 이중 받침이 있는 음절의 입력 후에 일정시간 안에 중성 모음키에 대한 터치 또는 드래그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이전 음절에 대해 이중 받침을 갖는 음절로 인식하는 대신 단일 받침으로 된 음절로 인식하는 한편, 연속으로 입력되는 받침을 현재의 음절에 대한 초성 자음으로 인식하여 추출한다.
한편, 중성 모음키의 터치 횟수 또는 드래그 방향에 따라, 음절의 모음 종류를 구분하여 인식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성 모음키를 터치한 회수 또는 모음 선택키를 터치한 상태로 상, 하, 좌, 우, 상측 턴, 하측 턴, 좌측 턴, 우측 턴 등의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 이에 대응하는 음절을 각각 추출한다.
또한, 중성 모음키의 터치 또는 드래그가 중성 모음에 대한 획 추가를 위한 터치 또는 드래그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획 추가를 위한 터치 또는 드래그가 아니라면, 중성 모음의 수정으로 인식하여 이에 대응하는 음절을 추출한다. 전술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자음키 및/또는 종성 자음키를 통해 초성과 종성이 선택되고, 그 후, 중성 모음을 선택하기 위해 중성 모음키에 대한 터치 또는 드래그가 이루어지는 경우를 예시한다. 만일, 중성 모음키를 1번 터치하는 경우에는 모음 "ㅣ" 에 대한 선택으로 인식하게 되는데, 이때, 모음"ㅣ"는 주 자음키에 의해 선택된 음절의 모음에 추가되는 획에 해당하는 "ㅣ"일 수도 있고, 선택된 음절의 모음 대신에 별개의 모음 "ㅣ"로의 수정이라는 것으로 인식될 수도 있다. 중성 모음키에 대한 터치 또는 드래그가 획 추가인지 모음에 대한 수정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서, 주 자음키 및/또는 종성 자음키에서 선택된 음절의 모음이 획 추가가 가능한 모음에 해당하는가 여부에 따라 판단한다.
제302 단계 후에, 추출된 음절을 출력창을 통해 디스플레이한다(제304 단계). 추출된 음절은 다양한 표현 형식 즉, 한글의 폰트 크기, 한글 색상, 한글 서체 등 사용자 설정정보 또는 디폴트 설정정보에 따라, 출력창을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도 10은 터치스크린을 사용해 초성, 중성 또는 종성을 한 번에 입력하는 한글입력방법에 대한 세부적인 플로우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먼저, 문자 입력모드인가를 판단한다(제400 단계).
제400 단계에서, 문자 입력모드라고 판단되면, 주 자음키와 종성 자음키 및/또는 중성 모음키를 디스플레이한다(제402 단계). 주 자음키와 종성 자음키는 서로 구분되어 디스플레이된다. 중성 모음키는 중성 모음을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중성 모음 그룹을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지만, 중성 모음을 선택할 수 있는 하나의 키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제402 단계 후에, 주자음키, 중성 모음키, 또는 종성 자음키의 멀티 터치 및/또는 멀티 드래그가 있는가를 판단한다(제404 단계).
제404 단계에서, 주자음키, 중성 모음키 또는 종성 자음키에 대한 멀티 터치 및 멀티 드래그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것이 발생하였다면, 이러한 멀티 터치 및 멀티 드래그에 대응하는 초성, 중성 또는 종성이 포함된 음절을 디스플레이한다(제406 단계).
제406 단계 후에, 중성 모음키에 대한 터치 또는 드래그가 있는 경우에, 이러한 터치 또는 드래그가 모음 수정을 위한 입력에 해당하는가를 판단한다(제408 단계).
만일, 중성 모음키에 대한 터치 또는 드래그가 중성 모음의 수정을 위한 입력에 해당한다면, 중성 모음이 수정된 음절을 디스플레이한다(제410 단계).
그러나, 중성 모음키에 대한 터치 또는 드래그가 모음 수정을 위한 입력에 해당하지 않는다면, 이러한 중성 모음키에 대한 터치 또는 드래그가 중성 모음의 획 추가를 위한 입력에 해당하는가를 판단한다(제412 단계).
만일, 중성 모음키에 대한 터치 또는 드래그가 중성 모음의 획 추가를 위한 입력에 해당한다면, 획 추가된 중성 모음을 포함하는 음절을 디스플레이한다(제414 단계). 그러나, 중성 모음키에 대한 터치 또는 드래그가 중성 모음의 획 추가를 위한 입력에도 해당하지 않는다면, 제408 단계로 되돌아간다.
제410 단계 또는 제414 단계 후에, 종성 또는 겹받침 입력을 위한 터치 또는 드래그가 있는가를 판단한다(제416 단계). 만일, 종성 또는 겹받침 입력을 위한 터치 또는 드래그가 없다면, 새로운 문자의 입력을 위해, 제404 단계로 되돌아간다.
그러나, 종성 또는 겹받침 입력을 위한 터치 또는 드래그가 있다면, 주자음키에 대한 터치에 해당하는가를 판단한다(제418 단계).
만일, 주자음키에 대한 터치에 해당한다면, 이러한 주자음키에 의한 종성 자음과 이전 단계에서 추출된 초성 자음 및 중성 모음에 대응하는 음절을 디스플레이한다(제420 단계).
그러나, 주자음키에 대한 터치에 해당하지 않는다면, 종성 자음키에 대한 터치 또는 드래그에 해당하는가를 판단한다(제422 단계).
만일, 종성 자음키에 대한 터치 또는 드래그에 해당한다면, 종성 자음키에 의한 종성 자음과 이전 단계에서 추출된 초성 자음 및 중성 모음에 대응하는 음절을 디스플레이한다(제424 단계). 그러나, 종성 자음키에 대한 터치 또는 드래그에도 해당하지 않는다면, 제416 단계로 되돌아간다.
제420 단계 또는 제424 단계 후에, 문자 입력이 종료할 것인가를 판단한다(제426 단계). 만일, 문자 입력을 종료하는 것이 아니라면, 제404 단계로 되돌아간다.
한편, 제404 단계에서, 주자음키, 중성 모음키 또는 종성 자음키에 대한 멀티 터치 및 멀티 드래그가 발생하지 않았다면, 주 자음키 또는 중성 모음키에 대한 드래그가 있는가를 판단한다(제428 단계).
만일, 주 자음키 또는 중성 모음키에 대한 드래그가 있었다면, 주자음키 또는 중성 모음키의 드래그 방향에 대응하는 모음이 포함된 음절을 디스플레이한다(제430 단계).
그러나, 제428 단계에서, 주 자음키 또는 중성 모음키에 대한 드래그가 있지 않았다면, 주 자음키 및 중성 모음키의 터치 또는 연속 터치가 있는가를 판단한다(제432 단계). 주 자음키 및 중성 모음키의 터치 또는 연속 터치가 있지 않았다면, 제404 단계로 되돌아간다.
만일, 주 자음키 및 중성 모음키에 대한 터치 또는 연속 터치가 있었다면, 주자음키 또는 중성 모음키의 터치 또는 연속 터치에 대응하는 음절을 디스플레이한다(제434 단계).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방법발명은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코드/명령들(instructions)/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코드/명령들/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를 들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마그네틱 테이프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원 발명인 터치스크린을 사용해 초성, 중성 또는 종성을 한 번에 입력하는 한글입력방법 및 장치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터치스크린
120: 제어부
140: 음절 추출부
200: 입력창
202: 주 자음키
204: 중성 모음키
206: 종성 자음키
220: 출력창

Claims (8)

  1. 한글의 주 자음키, 중성 모음키 및 종성 자음키의 그룹들이 각각 구분되어 있는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상기 주 자음키, 상기 중성 모음키 및 상기 종성 자음키에 대한 멀티 터치 및 멀티 드래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음절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음절을 출력창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사용해 초성, 중성 또는 종성을 한 번에 입력하는 한글입력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성 모음에 대한 획 추가를 위한 터치 또는 드래그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획 추가를 위한 터치 또는 드래그가 아니라면, 상기 중성 모음의 수정으로 인식하고, 인식된 모음으로 수정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사용해 초성, 중성 또는 종성을 한 번에 입력하는 한글입력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성 자음키는 대표 자음 및 첨자 자음을 갖는 다수의 자음키로 구성되어 있으며, 터치시에 상기 대표 자음이 디스플레이되고, 드래그시에 상기 첨자 자음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사용해 초성, 중성 또는 종성을 한 번에 입력하는 한글입력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자음키와 상기 중성 모음키의 멀티 터치 및 멀티 드래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음절을 추출 및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사용해 초성, 중성 또는 종성을 한 번에 입력하는 한글입력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자음키와 상기 종성 자음키의 멀티 터치 및 멀티 드래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음절을 추출 및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사용해 초성, 중성 또는 종성을 한 번에 입력하는 한글입력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자음키 및 상기 종성 자음키의 멀티 터치 또는 멀티 드래그를 감지하였을 때에, "ㅡ" 및 "ㅣ"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중성 모음을 포함하는 음절을 추출 및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사용해 초성, 중성 또는 종성을 한 번에 입력하는 한글입력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자음키, 상기 중성 모음키 및 상기 종성 자음키에 대한 멀티 터치 또는 멀티 드래그 후에, 상기 주 자음키 및 상기 종성 자음키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터치 또는 드래그를 상기 음절의 단일 받침 또는 겹받침 종성에 대응하는 감지신호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사용해 초성, 중성 또는 종성을 한 번에 입력하는 한글입력방법.
  8. 한글의 주 자음키, 중성 모음키 및 종성 자음키의 그룹들이 각각 구분되어 있는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입력창을 통해 감지된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음절을 출력창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터치스크린;
    상기 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상기 주 자음키, 상기 중성 모음키 및 상기 종성 자음키에 대한 멀티 터치 및 멀티 드래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음절을 추출하는 음절 추출부; 및
    상기 입력창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음절 추출부에서 추출된 음절을 상기 출력창을 통해 상기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사용해 초성, 중성 또는 종성을 한 번에 입력하는 한글입력장치.
KR1020100013484A 2010-02-12 2010-02-12 터치스크린을 사용해 초성, 중성 또는 종성을 한 번에 입력하는 한글입력방법 및 장치 KR201000244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484A KR20100024471A (ko) 2010-02-12 2010-02-12 터치스크린을 사용해 초성, 중성 또는 종성을 한 번에 입력하는 한글입력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484A KR20100024471A (ko) 2010-02-12 2010-02-12 터치스크린을 사용해 초성, 중성 또는 종성을 한 번에 입력하는 한글입력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4471A true KR20100024471A (ko) 2010-03-05

Family

ID=42176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3484A KR20100024471A (ko) 2010-02-12 2010-02-12 터치스크린을 사용해 초성, 중성 또는 종성을 한 번에 입력하는 한글입력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4471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3265A (ko) * 2010-03-12 2011-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WO2011142606A2 (ko) * 2010-05-13 2011-11-17 (주)아이티버스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및 문자입력장치, 문자입력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WO2011156282A2 (en) * 2010-06-07 2011-12-15 Google Inc. Selecting alternate keyboard characters via motion input
WO2012021017A3 (en) * 2010-08-13 2012-04-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inputting characters
KR101253645B1 (ko) * 2010-05-13 2013-04-11 (주)아이티버스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및 문자입력장치, 문자입력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KR101326063B1 (ko) * 2012-02-29 2013-11-07 김순진 한글 학습 장치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22714A (ja) * 2010-03-12 2013-06-13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携帯端末機の文字入力方法及びこれをサポートする携帯端末機
CN102783124A (zh) * 2010-03-12 2012-11-14 三星电子株式会社 便携式装置中的文本输入方法和支持该方法的便携式装置
CN102783124B (zh) * 2010-03-12 2016-08-17 三星电子株式会社 便携式装置中的文本输入方法和支持该方法的便携式装置
WO2011111976A3 (en) * 2010-03-12 2012-0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xt input method in portable device and portable device supporting the same
RU2560127C2 (ru) * 2010-03-12 2015-08-20 Самсунг Электроникс Ко., Лтд. Способ ввода текста в переносном устройстве и переносное устройство, поддерживающее его
US8799779B2 (en) 2010-03-12 2014-08-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xt input method in portable device and portable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20110103265A (ko) * 2010-03-12 2011-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101253645B1 (ko) * 2010-05-13 2013-04-11 (주)아이티버스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및 문자입력장치, 문자입력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WO2011142606A2 (ko) * 2010-05-13 2011-11-17 (주)아이티버스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및 문자입력장치, 문자입력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WO2011142606A3 (ko) * 2010-05-13 2012-03-01 (주)아이티버스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및 문자입력장치, 문자입력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US8612878B2 (en) 2010-06-07 2013-12-17 Google Inc. Selecting alternate keyboard characters via motion input
WO2011156282A3 (en) * 2010-06-07 2012-04-12 Google Inc. Selecting alternate keyboard characters via motion input
WO2011156282A2 (en) * 2010-06-07 2011-12-15 Google Inc. Selecting alternate keyboard characters via motion input
WO2012021017A3 (en) * 2010-08-13 2012-04-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inputting characters
KR101326063B1 (ko) * 2012-02-29 2013-11-07 김순진 한글 학습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406578A1 (en) Handwriting-based predictive population of partial virtual keyboards
US10606474B2 (en) Touch screen finger tracing device
US9304683B2 (en) Arced or slanted soft input panels
US10936086B2 (en) System for inputting information by utilizing extension key and method thereof
KR101636705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US9360955B2 (en) Text entry for electronic devices
JP2010507861A (ja) 入力装置
KR20120107110A (ko) 데이터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113622A (ko) 입력 장치 및 문자 입력 방법
CA2390503C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gesture suggestions to enhance interpretation of user input
KR20100024471A (ko) 터치스크린을 사용해 초성, 중성 또는 종성을 한 번에 입력하는 한글입력방법 및 장치
KR101085702B1 (ko) 터치스크린의 한글 입력 방법, 기록매체
JP5977764B2 (ja) 拡張キーを利用した情報入力システム及び情報入力方法
JP2014056389A (ja) 文字認識装置、文字認識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809278B1 (ko)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506231B1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2253889B1 (ko) 패턴입력식 다국어 가상 키패드 시스템
JP2012048585A (ja) 電子文書処理装置
JP6051692B2 (ja) 文字変換装置、文字変換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384859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
KR102138095B1 (ko) 음성 명령 기반의 가상 터치 입력 장치
KR20120001946A (ko)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 단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10387031B2 (en) Generating a touch-screen output of a selected character with a selected diacritic
KR20100073677A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장치 및 방법
WO2015109468A1 (en) Functionality to reduce the amount of time it takes a device to receive and process inpu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