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7050A - 자필 정보 입력 장치 및 자필 정보 입력 장치를 구비한 휴대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자필 정보 입력 장치 및 자필 정보 입력 장치를 구비한 휴대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7050A
KR20130097050A KR1020120097371A KR20120097371A KR20130097050A KR 20130097050 A KR20130097050 A KR 20130097050A KR 1020120097371 A KR1020120097371 A KR 1020120097371A KR 20120097371 A KR20120097371 A KR 20120097371A KR 20130097050 A KR20130097050 A KR 201300970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or
information
area
information input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7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6347B1 (ko
Inventor
조셉 슬라이거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무
Publication of KR20130097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7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6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6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7Position sensing using the local deformation of sensor ce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electromagnet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4Multi-touch detection in digitiser, i.e. details about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a plurality of touching locations, e.g. multiple fingers or pen and fing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6Multi-sensing digitiser, i.e. digitiser using at least two different sensing technologies 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e.g. for detecting pen and finger, for saving power or for improving position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Abstract

[과제] 외부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으로부터 눈을 떼지 않고, 필요에 따라서 자필 정보에 대한 처리가 할당된 조작자의 조작 내용을 시인 가능하게 한다.
[해결 수단] 표시 장치를 구비한 정보 처리 장치에 접속되는 자필 정보 입력 장치이다. 지시체의 조작에 대응한 자필 정보의 입력을 행하는 자필 정보 입력 영역과, 지시체의 조작에 의해 입력되는 자필 정보에 대한 처리가 할당된 복수의 조작자가 배설된 기능 배설 영역을 구비하고 있다. 자필 정보 입력 장치와 정보 처리 장치가 서로 독립적으로 배치되거나, 또는 동일한 하우징에 수납되고, 협동하는 것에 의해, 기능 배설 영역에 배설된 어느 조작자가 소정 시간 계속해서 조작된 것에 대응해서, 조작자 배설 정보가 표시 장치에 표시하는 것과 아울러, 조작자 배설 정보는 조작된 조작자와 조작된 조작자 이외의 조작자가 서로 시각적으로 식별 가능하게 표시 장치에 표시된다.

Description

자필 정보 입력 장치 및 자필 정보 입력 장치를 구비한 휴대 전자 기기{HANDWRITTEN INFORMATION INPUTTING DEVICE AND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HANDWRITTEN INFORMATION INPUTTING DEVICE}
본 발명은 자필 정보의 처리에 관한 소정의 기능이 할당된 복수의 조작자를 구비함과 아울러, 표시 장치와 접속되는 정보 처리 장치, 또는 표시 화면을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와 접속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자필 정보 입력 장치, 및 자필 정보 입력 장치를 구비한 휴대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디지타이저나 타블렛 장치로 불리는 자필 정보 입력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자필 정보 입력 장치는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일본 특개 2011-22661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표시 화면을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 예를 들어 표시 장치에 접속된, 또는 표시 장치를 구비하는 컴퓨터에 접속되어서 사용되는 좌표 입력 장치이다. 이 자필 정보 입력 장치는 2차원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평면 상에서, 펜 형상의 위치 지시기(이하, 전자 펜)이나 손가락 등으로 대표되는 지시체(指示體)에 의해 지시 입력이 이루어지면, 그 지시 입력의 위치 좌표를 검출하고, 그 위치 좌표를 정보 처리 장치에 공급한다. 정보 처리 장치는 자필 정보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한, 지시체에 의한 지시 입력에 기초한 위치 좌표로부터, 전자 펜이나 손가락 등의 지시체에 의한 자필 입력에 대응한 화상 정보를 생성하고, 그 화상 정보를 표시 장치의 화면에 표시한다.
이런 종류의 자필 정보 입력 장치로는 표시 장치의 화면에 표시된, 자필 입력에 의해 작성된 화상을,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키거나 확대/축소시키거나 스크롤 시키거나 또는 묘화(描畵) 화상의 표시색을 변경하는 등의 여러 가지 처리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조작자로서, 조작 버튼 또는 조작용 아이콘을 구비하는 것이 있다.
종래, 이런 종류의 자필 정보 입력 장치의 조작자는 상기의 여러 가지 처리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해서 자필 정보 입력 장치의 외부 표시 장치의 화면을 응시하고 있던 상태로부터, 자필 정보 입력 장치에 시선을 옮기는고, 자필 정보 입력 장치의 조작 버튼을 확인하여 조작하고, 그 조작 버튼에 할당되어 있는 기능을 기동하도록 하고 있다.
그렇지만, 자필 정보 입력 장치의 조작자는 소정의 처리 기능을 기동시키기 위해서 조작 버튼을 조작하는 경우에, 외부 표시 장치의 화면을 응시하고 있던 상태로부터, 자필 정보 입력 장치에 시선을 옮기는 것이 번거롭고, 입력 작업이 비효율적으로 된다.
그런데 특허 문헌 2(일본 특개 2010-88069호 공보)에는 리모콘 송신 장치와 표시 화면을 가지는 전자 기기 본체로 이루어지는 전자 장치로서, 리모콘 송신 장치의 조작 키의 표면에 터치 센서를 마련하고, 그 터치 센서에 의해 조작 키가 터치되고 있을 때, 전자 기기 본체는 그 조작 키에 할당되어 있는 기능에 관한 문자등을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즉, 이 특허 문헌 2에 있어서, 리모콘 송신 장치는 조작 키가 터치된 것을 터치 센서에 의해 검출하면, 그 조작 키가 터치된 것을 원격 조정 신호로서 즉시 전자 기기 본체에 송출한다. 한편, 전자 기기 본체는 그 원격 조정 신호를 수신하면, 터치된 조작 키가 어느 것인지를 판별 하고, 그 판별한 조작 키에 할당되어 있는 기능을 인식하고, 그 기능을 화면에 표시시켜서, 사용자에 알린다.
[선행 기술문헌]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11-22661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개 2010-88069호 공보
일반적으로, 조작자는 리모콘 송신 장치에 복수개의 조작 키가 배열되어 있는 경우, 각 조작 키가 그 조작 키 배열의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기억하고, 그 기억으로부터 원하는 조작 키를 찾아 조작하는 일이 많다. 특히, 조작 대상 기기의 조작에 익숙한 조작자이면, 조작 키 배열을 알 수 있으면, 이른바 블라인드 터치(blind touch)도 가능하게 된다.
그렇지만, 특허 문헌 2의 발명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터치한 조작 키에 할당된 처리 기능을 알리는 문자를 표시 화면에 표시할 뿐, 조작 키 배열은 화면에 표시되지 않는다. 즉, 특허 문헌 2의 발명의 경우에는, 조작 키에 터치하면, 그 조작 키에 할당되어 있는 처리 기능이 표시되므로, 터치한 조작 키에 할당되어 있는 처리 기능은 화면 상에서 확인할 수 있어도, 터치한 조작 키가 조작 키 배열의 어느 위치에 있는지는 판별할 수 없다.
이 때문에, 터치한 조작 키가 원하는 처리 기능을 위한 조작 키가 아닌 경우에는. 조작 키 배열 상태가 화면 상에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원하는 조작 키를 탐색하는 손이나 단서가 없고, 암운(闇雲)에 근방의 다른 조작 키에 터치하고, 그 조작 키에 할당되어 있는 처리 기능을 화면에 표시시킬 수 밖에 없다. 그래서 실제적으로는 그러한 암운한 터치를 피하기 위해, 조작자는 터치한 조작 키가 원하는 처리 기능의 조작 키가 아닌 경우에는, 표시 화면으로부터 시선을 리모콘 송신 장치의 조작 키 배열로 옮기고, 원하는 조작 키의 위치를 찾아, 조작 키에 터치하고, 시선을 다시 표시 화면에 응시하여 그 조작 키에 할당되어 있는 처리 기능을 화면에서 확인하도록 해야 한다. 이 때문에, 특허 문헌 2의 발명에 있어서도, 표시 화면을 응시한 채로 원하는 처리 기능을 할당되어 있는 조작 키를 확인하여 조작하는 것은 곤란하여, 키 조작이 비효율적으로 될 우려가 있었다.
또, 특허 문헌 2의 발명에 있어서, 조작 키는 리모콘 송신 장치를 위해 마련된 조작 키이기 때문에, 조작 키에 사용자가 터치하면, 표시 화면에 즉석으로 그 조작 키에 할당되어 있는 처리 기능을 알리는 문자 등이 표시되어 버린다.
이에 대해서, 타블렛 장치 등의 경우에, 조작 버튼을 조작해서 지시하는 처리 기능은 자필 정보의 입력 처리를 보조하는 것이며, 자필 정보의 표시 화상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사용자가 필요로 할 때만 화면에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잘못해서 조작 버튼에 접해 버린 경우, 또는 조작 버튼 배열 및 각각의 조작 버튼의 기능에 대해서 익숙한 경우 등에는 기능의 화면 표시가 행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점을 감안하여, 외부 표시 장치의 화면으로부터 눈을 떼지 않고 조작자의 용이한 조작을 가능하게 한 자필 정보 입력 장치로서, 자필 정보에 대한 처리가 할당된 조작자의 조작 내용을 필요에 따라서 시인 가능하게 하는 자필 정보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표시 장치를 구비한 정보 처리 장치에 접속된 자필 정보 입력 장치로서, 상기 자필 정보 입력 장치는 지시체의 조작에 대응한 자필 정보의 입력을 행하는 자필 정보 입력 영역과, 상기 자필 정보 입력 영역에서 상기 지시체의 조작에 의해 입력되는 자필 정보에 대한 처치가 할당된 복수의 조작자가 배설(配設)된 기능 배설 영역을 구비하고 있는 것과 아울러, 상기 자필 정보 입력 장치와 상기 정보 처리 장치가 협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기능 배설 영역에 배설된 어느 조작자가 소정 시간 계속해서 조작된 것에 대응해서, 상기 기능 배설 영역에 배설된 상기 복수 조작자의 조작자 배설 정보가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됨과 아울러, 상기 복수 조작자의 상기 조작자 배설 정보는 상기 조작된 조작자와 상기 조작된 조작자 이외의 조작자가 서로 시각적으로 식별 가능하도록,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필 정보 입력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자필 정보 입력 장치에 있어서는 자필 정보에 대한 처리가 할당된 복수의 조작자 중 어느 것이 소정 시간 계속해서 조작되면, 기능 배설 영역에 배설된 복수의 조작자에 대한 조작자 배설 정보가 외부 표시 장치의 화면에 표시된다. 그리고 그 표시 화면에 있어서는 조작된 조작자와, 조작된 조작자 이외의 조작자가 서로 시각적으로 식별 가능하도록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기능 배설 영역에 배설된 복수 조작자의 조작자 배설 정보가 표시 화면에 표시되기 때문에, 조작된 조작자가 그 조작자 배열 중 어느 조작자인지를 사용자는 표시 화면에 의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고, 또한 조작된 조작자가 사용자가 원하는 조작자가 아니었다고 해도 원하는 조작자를 그 표시 화면으로부터 눈을 떼는 일 없이, 조작자 배설 정보로부터 용이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외부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으로부터 눈을 옮기는 일 없이, 외부 표시 장치의 화면에 표시된 화상을 응시하는 것에 의해, 자신이 원하는 조작자를 인식할 수 있고, 자필 정보 입력에 필요한 처리 기능을 기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조작자에 대한 조작이 소정 시간 계속된 것이 검출된 경우에, 복수 조작자의 조작자 배설 정보가 외부 표시 장치의 화면에 표시된다. 즉, 단시간의 조작자 조작에서 표시 화면에 조작자 배설 정보를 표시해 버리면, 부주의나 잘못해서 조작자를 조작한 경우에 불필요한 표시가 행해지게 되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기능 배설 영역에 배설된 복수 조작자로의 명확한 조작 의지를 반영시키고, 조작자 배설 정보를 표시 화면에 표시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조작자 배설 정보가 비교적 넓은 표시 영역을 차지해서 표시되는 경우에도, 표시 화면에 불필요하게 그 조작자 배설 정보가 표시되지 않도록 되므로, 표시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주된 자필 정보의 화상이 보기 힘들어지는 등의 악영향을 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으로부터 눈을 떼지 않고, 자필 정보에 대한 처리를 위한 조작자의 조작이 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자필 정보의 화상이 보기 힘들어지는 상태를 회피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 기기의 실시 형태의 외관의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로.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 기기의 실시 형태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 기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조작자의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 기기의 실시 형태의 회로부의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 기기의 실시 형태의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 기기의 실시 형태의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 기기의 실시 형태가 화상 정보를 공급한 외부 표시 장치의 화면에 있어서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 기기의 실시 형태가 화상 정보를 공급한 외부 표시 장치의 화면에 있어서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 기기의 다른 실시 형태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 기기의 다른 실시 형태의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 기기의 다른 실시 형태의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 기기의 다른 실시 형태에서 사용되는 센서부의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 기기의 다른 실시 형태의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 기기의 다른 실시 형태의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 기기의 다른 실시 형태의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실시 형태]
본 발명에 의한 자필 정보 입력 장치의 제1 실시 형태는 문자를 쓰거나 그림을 그리기 위한, 전자 펜이나 손가락 등의 지시체를 사용하여 자필 입력이 가능한 타블렛 장치의 경우이다.
도 1은 이 실시 형태의 자필 정보 입력 장치의 예로서의 타블렛 장치(1)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타블렛 장치(1)의 하우징은 전체적으로 얇은 판형상의 외형을 구비하고, 상케이스(1a)와 하케이스(도시는 생략)로 이루어진다. 도 1은 상케이스(1a)를 위로부터 본 도면이다. 이 상케이스(1a)의 표면에는 지시체를 구성하는 전자 펜(위치 지시기)에 의한 자필 조작 입력을 검출하는 자필 정보 입력 영역(2)과, 조작 스위치부(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조작 스위치부(3)는 기능 배설 영역을 구성하는 것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수개의 조작자가 도시한 바대로 배열되어 있다.
이 예의 타블렛 장치(1)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장치(101)와 접속되어 있는 정보 처리 장치의 예로서의 퍼스널 컴퓨터(이하, PC로 함; 100)와 접속되어 사용된다. PC(100)에는 타블렛 장치(1)와 협동하여, 표시 장치(101)의 표시 화면(101D)에 표시하는 화상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미리 인스톨된다. 도 2의 예에 있어서, 타블렛 장치(1)는 PC(100)에 대해서 무선 접속되어 있고, PC(100)에 접속된 표시 장치(101)의 표시 화면(101D)에, 타블렛 장치(1)의 자필 정보 입력 영역(2)에 있어서 전자 펜이나 손가락 등의 지시체를 조작해서 입력되어 문자나 그림이 표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타블렛 장치(1)와 PC(100)의 무선 접속은 이 예에서 Bluetooth(등록상표) 규격이 사용되고 있다. 타블렛 장치(1)는 무선 접속용의 소정 버튼(도시는 생략)이 조작되면, Bluetooth 규격에 의한 무선 접속 가능한 PC(100)를 탐색하고, 그러한 PC(100)가 발견됐을 때에는 서로 접속을 위한 처리(페어링(pairing) 처리라고 함)를 행하여 서로 무선 통신 가능 상태로 한다. 또한, PC(100)는 PC(100)에 접속되어 있는 표시 장치(101)의 표시 화면(101D)의 애스펙트비(aspect ratio)가 4:3인지 16:9인지를, 표시 장치(101)로부터 취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판별하고, 기억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PC(100)는 타블렛 장치(1)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펜이나 손가락 등의 지시체로 묘화한 문자나 그림의 화상 정보를, 애스펙트비가 예를 들어 4:3 상태에서 생성한다. 그리고 PC(100)는 표시 장치(101)의 표시 화면(101D)의 애스펙트비가 4:3일 때에, 그 생성한 화상 정보를 그대로 표시 장치(101)에 공급하도록 하고, 표시 장치(101)의 표시 화면(101D)의 애스펙트비가 16:9일 때에는 4:3 화상의 좌우에 검은 테두리를 부여한 필러 박스(pillar box)(또는 사이드 패널) 형식의 화상 정보로서 공급하도록 한다.
또한, 타블렛 장치(1)와 PC(100)의 무선 접속은 Bluetooth 규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WiFi(등록상표;wireless fidelity)나 그외의 무선 접속 방식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타블렛 장치(1)와 PC(100)는 케이블에 의해 유선 접속하도록 해도 물론 좋다. 또는 PC(100)와 표시 장치(101)의 사이가 무선 접속되는 것과 아울러, PC(100)와 타블렛 장치(1)가 동일한 하우징에 수납되어 통합된 1개의 장치로서 구성되도록 해도 좋다.
이 예의 타블렛 장치(1)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필 정보 입력 영역(2)에 있어서 전자 펜(10)에 의한 위치 지시를 검출할 수 있음과 아울러, 손가락(11)에 의한 위치 지시도 또한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이를 위하여 도시는 생략하지만, 자필 정보 입력 영역(2)의 하부의 하우징 내에는 전자 펜(10)에 의한 지시 입력을 검출하기 위한 전자 유도 방식의 센서부와, 손가락(11)에 의한 지시 입력을 검출하기 위한 정전 용량 방식의 센서부가 마련되어 있다.
전자 유도 방식의 센서부의 구성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특허 문헌(일본 특개 2009-3796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어서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하지만, 예를 들어 X축 방향 루프 코일 그룹과 Y축 방향 루프 코일 그룹이 형성되어 있는 센서 기판(도시는 생략)을 구비하고, 전자 펜(10)에 의해 지시 조작된 (X, Y) 좌표 위치에 대응하는 출력 신호를 송출한다.
또, 정전 용량 방식의 센서부의 구성에 대해서도, 예를 들어 특허 문헌(일본 특개 2011-3035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어서 잘 알려져 있으므로,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하지만, 신호 송신용의 복수 도체와 신호 수신용의 복수 도체가 서로 교차한 매트릭스 구성의 도체 패턴에 있어서, 손가락이 근접 또는 접촉한 신호 송신용의 도체와 신호 수신용의 도체 사이의 정전 용량의 변화에 대응해서 변화하는 수신 신호의 레벨을 검출하고, 손가락에 의해 지시된 (X, Y) 좌표 위치에 대응하는 출력 신호를 송출한다.
이들 정전 용량 방식의 센서부와 전자 유도 방식의 센서부는 자필 정보 입력 영역(2)의 입력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중첩되어서 마련되어 있다. 이 경우에, 통상은 전자 유도 방식의 센서부 위에, 정전 용량 방식의 센서부가 겹쳐지고, 그 위에 자필 정보 입력 영역(2)의 입력면이 배설된다.
그리고 이 제1 실시 형태의 전자 기기로서의 타블렛 장치에 있어서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스위치부(3)가 타블렛 장치(1)의 상케이스(1a)의 자필 정보 입력 영역(2)의 측방부에 마련되어 있다. 이 조작 스위치부(3)는 이 예에서 전자 펜(10) 등의 지시체에 의해 문자나 그림을 그릴 때의 보조적인 처리 기능의 동작 제어를 행하기 위한, 복수개의 조작 스위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 예에서, 조작 스위치는 조작자로서, 타블렛 장치(1)의 조작을 지시하기 위한 제어를 위해서도 사용된다. 이 예에서는 조작 스위치부(3)의 중앙부에 배설된 원 형상의 조작 영역(3R)을 포함하는, 9개의 조작자가 종 방향에 일렬로 늘어서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이 예에서 조작 스위치부(3)에는 각 조작자를 구성하는 조작 영역(3A, 3B, 3C, 3D, 3E, 3F, 3G, 3H 및 3R)이 형성되어 있다. 조작 영역(3A ~ 3H)은 4각 형상의 조작 영역을 구비하고, 조작 영역(3R)은 원 형상의 조작 영역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조작 스위치부(3)에 있어서는 원 형상의 조작 영역(3R)을 종 방향 배열의 중심으로 하여, 상방에 4개의 조작 영역(3A ~ 3D), 그 하방에 4개의 조작 영역(3E ~ 3H)이 순차로 늘어선 조작자 배열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실시 형태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조작 영역(3A ~ 3H 및 3R)의 각각을 사용자가 손가락(11)으로 터치하면, 정전 용량 방식으로 그 터치를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조작 영역(3A ~ 3H 및 3R)의 각각은 사용자가 손가락(11)으로 프레스하는 것에 의해 타블렛 장치(1)의 하우징의 내부 방향으로 휘는 편의(偏倚)에 의해,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있는 조작 스위치 회로 기판 상에 마련되어 있는 푸쉬 스위치가 누름 조작되고, 스위치 동작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푸쉬 스위치도 조작 영역(3A ~ 3H 및 3R)과 동일하게 조작자를 구성한다.
또한, 원 형상의 조작 영역(3R)은 중심 조작 영역(3Ra)과, 중심 조작 영역(3Ra)의 주위에 위치하는 링 형상의 터치휠 조작 영역(3Rb)으로 이루어진다. 원 형상의 조작 영역(3R)에 관련해서 마련된 푸쉬 스위치는 중심 조작 영역(3Ra)의 하부만이 아니라, 터치휠 영역(3Rb)의, 도 1에 있어서 삼각 마크로 표시되는 상하 좌우의 위치로서, 터치휠 영역(3Rb)의 하면측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터치휠 조작 영역(3Rb)을 원주 방향으로 덧쓰는 조작을 검출할 수 있도록, 그 하면측에는 도시를 생략하지만, 회전 조작을 검출하는 회전 위치 검출 센서가 추가로 마련되어 있다.
조작 스위치부(3)는 상케이스(1a)와는 별개의 부품으로 되어 있는 조작판부(30)과, 이 조작판부(30)의 하면측의, 타블렛 장치(1)의 하우징 내에 마련되어 있는 조작 스위치 회로 기판(이하, 회로 기판으로 간략하게 칭함)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조작 영역(3A ~ 3H 및 3R)은 조작판부(30)에 마련되어 있다. 조작 영역(3A ~ 3H 및 3R)의 각각은 조작 영역(3R)의 형상이 원 형상으로 되어 있는 점이 조작 영역(3A ~ 3H)과 다른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구성이 되어 있다. 그래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조작 영역(3B)을 조작자의 예로서 그 구성예에 대해서 설명을 한다.
도 3은 조작자로서의 조작 영역(3B)의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A)는 조작 영역(3B)에 있어서 조작판부(30)의 일부를 하우징 내로부터 본 도면, 도 3(B)는 조작 영역(3B)의 하측의 회로 기판을 나타내는 도면, 도 3(C)는 도 1의 X-X선 단면도이다.
조작판부(30)는 예를 들어 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 3(A)에 나타내는 판형상 부재(31)와, 이 판형상 부재(31)의 조작판부(30)의 표면(30a)측 및 측부를 덮는 보호 시트 부재(32)(도 3(C) 참조)로 이루어진다.
도 3(B) 및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4)의 조작 영역(3B)에 대향하는 면(4a)에는 조작판부(30)의 조작 영역(3B)에 대응해서 대향하도록, 정전 용량 방식의 센서부를 구성하는 터치 검출 전극(6B)이 도체 패턴으로서 인쇄 형성되어 있다.
터치 검출 전극(6B)은 인접하는 다른 터치 검출 전극(6A, 6C)과 서로 전기적으로 비접속이 되도록, 회로 기판(4) 상에 있어서 서로 이격한 도체 패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터치 검출 전극(6B)은 도시를 생략한 쓰루홀을 통하여 회로 기판(4)의 면(4a)과는 반대측인 면(4b)에 형성된 도체 패턴을 통하여, 후술하는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검출 회로(IC(Integrated Circuit;집적 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또, 회로 기판(4)의, 터치 검출 전극(6B)의 거의 중앙 위치에는 도체 패턴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61B)이 마련되어 있고, 이 영역(61B)에, 푸쉬 스위치(5B)가 배치되어 있다. 푸쉬 스위치(5B)는 도 3(B),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부에 드러내고, 프레스에 응동(應動)하는 가동부(51B)를 구비한다. 푸쉬 스위치(5B)는 이 가동부(51B)가 눌려지면, 스위치 상태를 전환한다.
또, 이 실시 형태의 푸쉬 스위치(5B)는 그 최외주(最外周) 부분에 금속 프레임(52B)을 구비하고 있고, 이 금속 프레임(52B)도 터치 검출 전극(6B)의 일부로서 사용하기 때문에, 이 푸쉬 스위치(5B)의 어스 단자(53B)를 어스 도체가 아니라, 터치 검출 전극(6B)에 납땜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푸쉬 스위치(5B)의 스위치 단자는 이 영역(61B) 내에 있어서, 회로 기판(4)에 배설된 배선(도시는 생략)에 납땜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회로 기판(4)의 면(4b)측에는 푸쉬 스위치(5B)의 온ㆍ오프 상태를 검출하는 스위치 상태 검출 회로(IC)가 마련되어 있고, 푸쉬 스위치(5B)는 상기의 배선을 통하여 스위치상태 검출 회로에 접속된다.
또한, 이 예에서, 푸쉬 스위치(5B)는 예를 들어 파나소닉 일렉트로 디바이스주식회사제의 품번 EVPAA102K의 스위치(푸쉬 스위치)가 전자 부품(완성 부품)으로서 사용된다. 이 푸쉬 스위치는 외형 치수가 종×횡×높이=3.5mm×2.9mm×1.7mm이며, 소형으로 되어 있다.
또한, 회로 기판(4)의 면(4a) 상에는 터치 검출 전극(6B)을 포함하는 복수의 터치 검출 전극을 둘러싸도록 도체 패턴으로 이루어진 접지 전극(6GNDa)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접지 전극(6GNDa)에 의해, 터치 검출 전극(6B)에 있어서의 터치 검출이 보다 안정적으로 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회로 기판(4)의 이면(4b)에는 이 예에서 거의 전면(全面)에 걸쳐서, 도체 패턴으로 이루어진 접지 전극(6GNDb)(도 3(C)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판형상 부재(31)에는 조작 영역(3B)에 대응하는 크기의 관통 구멍(310B)이 형성되어 있다. 도 3(C)에는 조작 영역(3A 및 3C)에 대응하는 관통 구멍(310A 및 310C)도 나타나 있다.
보호 시트 부재(32)는 판형상 부재(31)의 상면에, 각 관통 구멍(310A, 310B, 310C,ㆍㆍㆍ)을 덮도록 접착재에 의해 접착된다. 보호 시트 부재(32)는 이 예에서 공기 및 판형상 부재(31)보다 유전율이 큰 유전성 탄성체인, 예를 들어 유전체 고무로 이루어지는 시트 부재로 구성된다.
따라서 조작판부(30)에 있어서, 판형상 부재(31)의 관통 구멍(310B)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 즉 조작 영역(3B)은 보호 시트 부재(32)만이 존재하는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조작판부(30)의 표면(30a)측으로부터, 사용자가 조작 영역(3B)을 손가락(11)으로 누르면, 보호 시트 부재(32)는 판형상 부재(31)의 관통 구멍(310B)을 관통하여 타블렛 장치(1)의 하우징 내부측으로 휘도록 편의된다.
이 경우,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형상 부재(31)의 이면(31b)측에는 관통 구멍(310B)의 주부(周部)에, 소정의 높이 h1의 환형상 리브(311B)가 직립(稙立)되어서 형성되어 있다. 이 환형상 리브(311B)는 조작 영역(3B)을 인접 배치된 조작 영역(3A)이나 조작 영역(3C)으로부터 분리하는 역할과, 회로 기판(4)과 조작판부(30)를 높이 h1에서 이간(離間)시키기 위한 스페이서의 역할을 가진다. 도 3(C)에 있어서는 조작 영역(3B)에 인접하는 조작 영역(3A, 3C)의 관통 구멍(310A, 310C)의 주부에 직립되어서 형성되어 있는 환형상 리브(311A, 311C)도 나타나 있다.
또한, 이 예에 있어서, 유전성 탄성체로 이루어진 보호 시트 부재(32)의, 판형상 부재(31)의 관통 구멍(310B)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예를 들어 조작 영역(3B)의 윤곽 형상을 따라서 형성되고, 리브(321B)가 배치되어 있다. 이 리브(321B)의 높이 h2는 판형상 부재(31)의 이면의 측(側)에 형성되어 있는 환형상 리브(311B)의 높이 h1보다 낮게, h1>h2로 선정되어 있다.
이 리브(321B)의 존재에 의해, 유전성 탄성체로 이루어진 보호 시트(32)와 터치 검출 전극(6B)의 거리가 실질적으로 작아지므로, 푸쉬 스위치(5B)의 주부의 터치 검출 전극(6B) 사이의 공기층의 두께가 얇아지고, 조작 영역(3B)에 있어서의 유전율이 조작판부(30)의 조작 영역 이외 영역의 유전율보다 커진다. 이에 의해, 후술하는 터치 검출 전극(6B)과 조작 영역(3B)에 터치하는 사용자의 손가락(11)과의 사이의 정전 용량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터치 조작의 검출 감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3(C)에 있어서는 조작 영역(3B)에 인접하는 조작 영역(3A, 3C)에 있어서의 보호 시트 부재(32)에 형성된 리브(321A, 321C)도 나타나 있다.
또한, 보호 시트 부재(32)에 형성되어 있는 유전체 부재(321B)의 중앙에는 푸쉬 스위치(5B)의 가동부(51B)를 확실하게 프레스하기 위한 돌부(突部; 322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실시 형태에서, 조작판부(30)는 그 각 조작 영역(3A ~ 3H 및 3R) 각각의 중심 위치가 회로 기판(4)의 터치 검출 전극(6A ~ 6H 및 6R) 각각의 중심 위치에 대응하도록 위치 결정되고, 회로 기판(4)에 대해서 중첩 배치되고, 양자가 결합되어, 조작 스위치부(3)가 구성된다.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11)이 조작 영역(3B)의 보호 시트 부재(32)의 표면을 가볍게 터치한 상태일 때에, 푸쉬 스위치(5B)의 가동부(51B)는 눌려지지 않은 상태에 있다. 그러나, 이 때에, 도 4에 나타나는 각각의 터치 검출 전극(6A ~ 6R)이 접속되어 있는 터치 검출 회로에 있어서, 손가락(11)이 조작 영역(30B)에 터치했음이 검출된다. 도 3(C)에서는 푸쉬 스위치(5B)의 금속 프레임(52B)가 어스 단자(53B)를 통하여 터치 검출 전극(6B)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그 금속 프레임(52B)의 부분도 손가락(11)의 터치를 검출하기 위한 전극의 일부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손가락(11)으로 조작 영역(30B)을 터치하면, 그 터치를 감도 좋게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도 3(C)의 상태로부터, 사용자가 조작 영역(3B)을 손가락(11)으로 프레스하면, 유전성 탄성체로서의 유전체 고무로 이루어진 보호 시트 부재(32)가 휘고, 푸쉬 스위치(5B)의 가동부(51B)를 누른다. 그러면, 푸쉬 스위치(5B) 내에 있어서는 가동부(51B)에 의해 스위치를 구성하는 일방의 돔형상의 전극(54B)이 하방으로 휘고, 스위치의 타방의 전극(55B)에 접속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 상태로부터 손가락(11)에 의한 프레스를 제거하면, 스위치의 일방의 돔형상 전극(54B)이 원래대로 복귀하고, 타방의 전극(55B)과의 접속이 해제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이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 영역(3B)을 손가락(11)으로 터치하면, 터치 검출 전극(6B)에 의해 그 터치가 검출된다. 그리고 추가로, 손가락(11)으로 조작 영역(3B)을 프레스하면, 푸쉬 스위치(5B)의 스위치 상태가 전환됨으로써, 그 누름 조작이 검출된다. 다른 조작 영역(3A, 3C ~ 3H 및 3R)에 대해서도 모두 동일하게 손가락(11)의 터치 조작 및 누름 조작을 검출할 수 있다.
이 실시 형태의 타블렛 장치(1)에 있어서, 조작 영역(3A ~ 3H 및 3R) 각각의 누름 조작은 자필 정보 입력 영역(2)으로의 지시체에 의한 지시 입력에 관련하는 여러 가지의 기능에 할당되어 있다. 사용자는 다수의 기능 중에서 자신이 사용하는 기능을 선택하고, 각 조작 영역(3A ~ 3H 및 3R) 각각의 누름 조작에 할당할 수 있다. 이 조작 영역(3A ~ 3H 및 3R) 각각의 누름 조작에 대한 기능의 할당은 미리 행해 두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각 조작 영역(3A ~ 3H 및 3R) 각각의 누름 조작에 할당할 수 있는 기능으로는 타블렛 장치(1)에 있어서, 설정 메뉴 표시, 각종 모드의 전환, 하나 전으로 돌아오는 지시, 디스플레이 화면 상의 문자나 그림의 확대, 축소, 이동, 회전, 스크롤 등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실시 형태의 타블렛 장치(1)는 사용자가 자필 정보 입력 영역(2)에 손가락(11)이나 전자 펜(10) 등의 지시체에 의해 위치 지시 입력을 행하면, 그 지시 입력 위치를 검출하고, 그 검출 좌표를 PC(100)에 보낸다. PC(100)는 이 타블렛 장치(1)로부터 수취한 검출 좌표에 기초하여 자필 입력 정보에 대응한 화상 정보를 생성하고, 그 생성한 화상 정보를 표시 장치(101)의 표시 화면(101D)에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 장치(101)의 표시 화면(101D)에 표시된 화상을 보면서, 타블렛 장치(1)의 자필 정보 입력 영역(2)에 있어서 지시체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원하는 묘화 입력을 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기능 배설 영역을 구성하는 조작 영역(3A ~ 3H 및 3R)의 어느 조작자를 조작해도 조작 영역(3A ~ 3H 및 3R) 각각의 누름 조작에 할당된 원하는 기능을 표시 장치(101)의 표시 화면(101D)에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표시 장치(101)의 표시 화면(101D)으로부터 시선을 옮기는 일 없이 원하는 누름 조작으로 실행되는 처리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에, 이 제1 실시 형태의 전자 기기로서의 타블렛 장치(1)의 내부 회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제1 실시 형태의 타블렛 장치(1)는 터치 검출 회로(7)와, 푸쉬 스위치의 누름 상태를 검출하는 스위치 상태 검출 회로(8)와, 전자 유도분식의 센서부(91)와, 전자 유도 방식의 센서부(91)로의 지시체로서의 전자 펜(10)에 위치 지시 입력을 검출하는 위치 검출 회로(92)와, 정전 용량 방식의 센서부(93)와, 정전 용량 방식의 센서부(93)로의 지시체로서의 손가락(11)에 의한 위치 지시 입력을 검출하는 위치 검출 회로(94)와, PC(100) 등의 정보 처리 장치와 무선 접속하기 위한 무선 접속 회로(95)와, 제어 회로(90)를 구비한다. 제어 회로(90)에는 터치 검출 회로(7), 스위치 상태 검출 회로(8), 위치 검출 회로(92, 94), 무선 접속 회로(95)의 각각이 접속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 접속 회로(95)는 이 예에서 PC(100) 등의 정보 처리 장치와, 예를 들어 Bluetooth 규격의 무선 접속을 하기 위한 회로이다. 도시를 생략한 소정의 버튼 조작에 따라서 제어 회로(90)는 이 무선 접속 회로(95)를 동작시키고, Bluetooth 규격의 무선 접속이 가능한 기기의 탐색을 행하게 한다. 그리고 무선 접속 회로(95)는 무선 접속이 가능한 정보 처리 장치를 검출하면, 이 정보 처리 장치와의 사이에 무선 접속을 행한다.
전자 유도 방식의 센서부(91)에서는 전자 펜(10)에 의한 지시 입력을 검출한다. 그리고 이 센서부(91)에서 검출된 전자 펜(10)에 의한 지시 입력은 위치 검출 회로(92)에 공급되고, 그 지시된 위치의 좌표값이 검출된다. 그리고 위치 검출 회로(92)는 검출한 좌표값을 제어 회로(90)에 공급한다. 제어 회로(90)는 수취한 좌표값을, 무선 접속 회로(95)를 통하여 무선 접속된 PC(100)에 송신한다.
또, 정전 용량 방식의 센서부(93)에서는 손가락(11)에 의한 지시 입력을 검출한다. 그리고 이 센서부(93)에서 검출된 손가락(11)에 의한 지시 입력은 위치 검출 회로(94)에 공급되고, 그 지시된 위치의 좌표값이 검출된다. 그리고 위치 검출 회로(94)는 검출한 좌표값을 제어 회로(90)에 공급한다. 제어 회로(90)는 수취한 좌표값을 PC(100)에, 무선 접속 회로(95)를 통하여 송신한다.
PC(100)는 화상 정보 생성 회로(110)를 예컨대 소프트웨어로 실현되는 기능으로서 구비하고 있고, 이 화상 정보 생성 회로(110)는 좌표값과 그 좌표값이 수신됐을 시각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펜(10)이나 손가락(11) 등의 지시체에 의한 지시 입력에 따른 궤적 등의 화상을 생성한다. 이 경우에, PC(100)는 미리, 접속되어 있는 표시 장치(101)의 애스펙트비를 표시 장치(101)와의 통신에 의해 판별하고, 그 애스펙트비를 기억하고 있다. 그리고 PC(100)는 화상 정보 생성 회로(110)에, 전자 펜(10) 등의 지시체에 의한 지시 입력에 따른 궤적 등의 화상으로서, 예를 들어 1개의 화상 표시 규격으로 되어, 애스펙트비가 4:3의 화상을 생성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PC(100)는 생성한 화상 정보를 표시 장치(101)에 공급하고, 그 표시 화면(101D)에 표시시키도록 한다.
터치 검출 회로(7)는 터치 검출 전극(6A ~ 6H 및 6R)의 각각에 대응하는 조작 영역(3A ~ 3H 및 3R)으로의 손가락(11)의 터치를 정전 용량 방식으로 검출하기 위한 터치 검출 회로부(7A ~ 7H 및 7R)(이하, 터치 검출 회로부(7A ~ 7R)라고 함. 이하 동일)를 구비한다. 이들 터치 검출 회로부(7A ~ 7R)의 각각은 완전히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지시체 검출 제어 회로(71)와 송신 신호 공급 회로(72)와 수신 앰프(73)와 수신 레벨 검출 회로(74)를 구비한다.
터치 검출 회로부(7A ~ 7R)의 각각에 있어서, 지시체 검출 제어 회로(71)의 제어 지시에 따라서, 송신 신호 공급 회로(72)는 예를 들어 소정 주파수의 교류 신호로 이루어진 송신 신호를 출력한다. 이 송신 신호는 터치 검출 전극(6A ~ 6R)의 각각에 공급된다. 또, 이 송신 신호는 수신 앰프(73)를 통하여 수신 레벨 검출 회로(74)에 입력된다.
조작 영역(3A ~ 3R)의 각각에 관하여, 사용자의 손가락(11)이 터치되고 있지 않을 때에, 수신 레벨 검출 회로(74)의 입력 신호는 송신 신호의 신호 레벨에 따른 소정 레벨 En의 신호가 되고, 수신 레벨 검출 회로(74)는 그 소정 레벨 En을 검출하고, 지시체 검출 제어 회로(71)에 출력한다.
한편, 조작 영역(3A ~ 3R)의 각각에 관하여, 사용자의 손가락(11)이 터치되면, 터치 검출 전극(6A ~ 6R)에 공급된 송신 신호의 일부가, 손가락(11)과 손가락(11)으로 터치된 터치 검출 전극(6A ~ 6R)과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정전 용량에 의해 인체를 통하여, 그라운드(접지)에 흐른다. 이 때문에, 손가락(11)이 터치 전극에 터치하면, 수신 레벨검출 회로(74)의 입력 신호의 레벨은 손가락(11)이 터치하고 있지 않을 때에 비교해서 낮은 레벨 Es로 변화한다. 따라서 수신 레벨 검출 회로(74)는 이 낮은 레벨 Es로의 신호 전화를 검출하고, 지시체 검출 제어 회로(71)에 출력한다.
지시체 검출 제어 회로(71)는 미리 정한 문턱값 레벨 Eth(En>Eth>Es)와, 수신 레벨 검출 회로(74)로부터의 레벨 출력을 비교하여, 이 문턱값 레벨 Eth보다 수신 레벨 검출 회로(74)로부터의 레벨 출력이 낮아졌을 때에는 조작 영역(3A ~ 3R)에 대해서 사용자의 손가락(11)이 터치된 것으로 검출하고, 그렇지 않을 때에는 손가락(11)이 조작 영역에 터치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 검출하고, 그 검출 출력을 출력한다.
그리고 터치 검출 회로부(7A ~ 7R)의 각각은 지시체 검출 제어 회로(71)의 검출 출력을, 조작 영역(3A ~ 3R)의 각각에 대한 터치 검출 출력(TA ~ TR)으로서 제어 회로(90)에 출력한다.
또한, 터치 검출 회로부(7A ~ 7R) 각각의 송신 신호 공급 회로(72)로부터의 송신 신호가 동일한 주파수의 신호인 경우에는, 터치 검출 회로부(7A ~ 7R)의 송신 신호 공급 회로(72)로부터의 송신 신호의 출력 타이밍이 겹치지 않도록 시분할로 각각의 송신 신호 공급회로(72)로부터의 송신 신호를 공급하도록 한다. 또, 터치 검출 회로부(7A ~ 7R)의 송신 신호 공급 회로(72)로부터의 송신 신호로서, 서로 다른 주파수의 신호로 하거나, 다른 부호의 신호로 하는 것에 의해, 터치 검출 회로부(7A ~ 7R)의 송신 신호 공급 회로(72)로부터의 각 송신 신호를 동시에 공급할 수도 있다.
또, 회로 기판(4) 상에 배치된 푸쉬 스위치(5A ~ 5R) 각각의 스위치 출력 신호는 스위치 상태 검출 회로(8)에 공급된다. 스위치 상태 검출 회로(8)에서는 푸쉬 스위치(5A ~ 5R) 중 어느 것이 손가락(11)으로 눌려져서, 스위치 상태가 전환됐을 때, 그 눌려진 푸쉬 스위치를 식별하는 정보를 제어 회로(90)에 공급한다. 스위치 상태 검출 회로(8)는 푸쉬 스위치(5A ~ 5R)의 복수개가 동시에 눌려졌을 때에도, 그 눌려진 푸쉬 스위치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 회로(90)는 터치 검출 회로(7)로부터 수취한 터치 검출 출력(TA ~ TR)과 스위치 상태 검출 회로(8)로부터 수취한, 눌려진 푸쉬 스위치를 식별하는 정보를 무선 접속 회로(95)를 통하여 PC(100)에 송신한다.
PC(100)는 타블렛 장치(1)로부터, 터치 검출 출력(TA ~ TR)과, 눌려진 푸쉬 스위치를 식별하는 정보를 수신했을 때에, 예를 들어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플로차트에 따른 처리를 행한다.
즉, 도 5 및 도 6에 있어서, PC(100)는 먼저 터치 검출 출력(TA ~ TR)을 감시하고, 조작 영역(3A ~ 3R) 중 어느 것에 손가락(11)이 터치됐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1). 이 단계 S1에서, 조작 영역(3A ~ 3R) 중 어느 것에도 터치되지 않았다고 판별했을 때에, PC(100)는 다른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2).
또, 단계 S1에서, 조작 영역(3A ~ 3R) 중 어느 것이 터치됐다고 판별했을 때에, PC(100)는 그 터치로부터 소정 시간 T1, 예를 들어 T1=500msec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3). 이 단계 S3에서, 소정 시간 T1가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별했을 때에, PC(100)는 터치가 계속해서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고(단계 S4), 터치가 계속되지 않은 것, 즉 조작 영역(3A ~ 3R) 중 어느 것으로부터 손가락(11)이 떨어진 것을 판별했을 때에는 사용자에 의한 하등의 의사가 있는 터치가 아니라고 하고, 아무것도 하지 않고 처리를 단계 S1로 되돌린다.
또, 단계 S4에서, 터치가 계속해서 있다고 판별했을 때에, PC(100)는 터치되고 있는 조작 영역 바로 아래의 푸쉬 스위치가 눌려졌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5). 이 단계 S5에서, 푸쉬 스위치가 눌려지지는 않았다고 판별했을 때에, PC(100)는 처리를 단계 S3으로 되돌아 가서, 터치로부터의 소정 시간 T1의 경과를 감시한다. 또, 단계 S5에서, 푸쉬 스위치가 눌려졌다고 판별했을 때에, PC(100)는 눌려진 푸쉬 스위치에 대응하는 조작 영역에 할당되어 있는 기능을 기동하고, 그 기능의 처리 루틴으로 이행한다(단계 S6).
또, 단계 S3에서, 터치로부터 소정 시간 T1가 경과했다고 판별했을 때에, PC(100)는 화상 정보 생성 회로(110)에, 조작 스위치부(3)의 조작 스위치 배열을 나타내는 화상 정보(조작자 배설 정보)와, 자필 정보 입력 영역(2)에서의 지시 입력에 따라서 생성한 화상 정보를 합성한 화상 정보를 생성시키고, 생성된 화상 정보를 표시 장치(101)에 공급하여, 그 표시 화면(101D)에 표시시키도록 한다(단계 S7).
이 경우, 조작자 배설 정보는 도 7(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타블렛 장치(1)의 기능 배설 영역인 조작 스위치부(3)의 복수 조작 영역(3A ~ 3H 및 3R) 및 그 배열 상태를 용이하게 상기하는 것이 가능한 화상 정보로서, 또한 이 예에서는 각 조작 영역(3A ~ 3R)에 할당된 기능의 문자 표시를 수반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경우에, 표시 화면(101D)에 표시되는 조작자 배설 정보에 있어서는 터치된 조작 영역이 선택 중인 것을 판별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표시색을 다르게 하거나 또는 표시 휘도를 다르게 한 선택 중 표시도 함께 행한다.
즉, PC(100)의 화상 생성 회로(110)는 기억하고 있는 표시 장치(101)의 표시 화면(101D)의 애스펙트비가 4:3일 때는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필 정보 입력 영역(2)에서의 지시 입력에 따라서 생성한 입력 화상(Px)(애스펙트비는 4:3)에, 조작자 배설 정보의 화상(IDX)을 오버레이 표시하도록 한 화상 정보를 생성한다. 이 경우에, 입력 화상(Px)에 오버레이 표시되는 조작자 배설 정보의 화상(IDX)은 조작자 배설 정보로서 명시적으로 표시되는 부분 이외의 영역 부분은 투명하게 됨으로써,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력 화상(Px)은 표시 화면(101D)에 있어서 시인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로 하고 있다.
또, 화상 정보 생성 회로(110)는 기억하고 있는 표시 장치(101)의 표시 화면(101D)의 애스펙트비가 16:9일 때는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필 정보 입력 영역(2)에서의 지시 입력에 따라서 생성한 입력 화상(Px)(애스펙트비는 4:3)의 화상 정보는 화상(Px)을 표시 화면(101D)의 우측의 영역(Ap)에 표시하고, 표시 화면(101D)의 좌측의 영역을 검은 테두리 영역(Abl)으로 한다. 그리고 화상 정보 생성 회로(110)는 조작자 배설 정보의 화상(IDX)을 표시 화면(101D)의 좌측의 검은 테두리 영역(Abl)에 표시하도록 생성하고, 입력 화상(Px)의 화상 정보와 합성한다. 따라서 이 도 7(B)의 경우에, 입력 화상(Px)과 조작자 배설 정보의 화상(IDX)은 겹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조작자 배설 정보의 화상(IDX)이 표시 화면(101D)에 표시되어도, 사용자는 조작자 배설 정보의 화상(IDX)에 방해받는 일 없이, 입력 화상(Px)의 전체를 항상 확실하게 관시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A) 및 (B) 중 어느 경우에도, 조작자 배설 정보의 화상(IDX)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소정 시간 T1 이상 계속해서 터치한 조작 영역, 이 예에서는 「Shift」라고 하는 기능이 할당된 조작 영역(3E)에 대응해서 표시 화면(101D)에 표시되는 부분은 예를 들어 굵은 테두리로 나타내는, 다른 것과 다른 색으로 표시되는 점멸시키는 다른 것보다 약간 크게 표시하는 등의 구별 표시가 행해지고, 그 조작 영역이 선택 중인 것이 사용자에 알려진다. 도 7의 예에서는 조작 영역(3E)에 대응하는 직사각형 테두리 표시 부분이 굵은 테두리로 나타나는 것에 의해, 조작 영역(3E)이 선택 중인 것이 알려지고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표시 장치(101)의 표시 화면(101D)에 조작자 배설 정보의 화상(IDX)이 표시되어 있을 때, PC(100)는 조작 스위치부(3)의 다른 조작 영역이 터치됐는지의 여부를 감시한다(단계 S8). 그리고 이 단계 S8에서, 조작 스위치부(3)의 다른 조작 영역이 터치됐다고 판별했을 때에, PC(100)는 전술한 구별 표시를, 새롭게 터치된 다른 조작 영역에 대응하는 표시 부분으로 이동시키고, 그 다른조작 영역이 선택 중인 것을 알리도록 한다(단계 S9). 그리고 PC(100)는 처리를 단계 S8로 되돌린다.
또, 단계 S8에서, 조작 스위치부(3)의 다른 조작 영역이 터치되고 있지 않았다고 판별했을 때에, PC(100)는 터치되고 있는 조작 영역의 터치가 계속해서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도 6의 단계 S11). 이 단계 S11에서, 터치가 계속해서 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터치되고 있는 조작 영역 바로 아래의 푸쉬 스위치가 눌려졌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12).
단계 S12에서, 푸쉬 스위치가 눌려졌다고 판별했을 때에, PC(100)는 표시 장치(101)로의 조작자 배설 정보의 화상(IDX)의 송출을 정지하고(단계 S13), 그 후 눌려진 푸쉬 스위치에 할당되어 있는 기능을 기동하고, 그 기능의 처리 루틴으로 이행한다(단계 S14).
또, 단계 S12에서, 푸쉬 스위치가 눌려지지는 않았다고 판별했을 때에, PC(100)는 조작 영역으로의 마지막 터치 검출로부터 소정 시간 T3, 예를 들어 T3=3초가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감시하고(단계 S15), 소정 시간 T3가 경과하고 있지 않았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처리를 단계 S11로 되돌린다. 또, 단계 S15에서, 조작 영역으로의 터치로부터 소정 시간 T3, 경과했다고 판별했을 때에, PC(100)는 화상 정보 생성 회로(110)에 대해서 조작자 배설 정보의 화상(IDX)의 생성 정지를 지시하고, 조작자 배설 정보의 화상(IDX)의 표시 장치(101)로의 송출을 정지하도록 한다(단계 S16). 그리고 PC(100)는 처리를 단계 S1로 되돌아 가서, 이 단계 S1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또, 단계 S11에서, 터치가 계속해서 있지 않고, 손가락(11)이 조작 영역으로부터 떨어졌다고 판별했을 때에, PC(100)는 손가락(11)이 조작 영역으로부터 떨어졌을(터치 소멸) 때로부터, 소정 시간 T2, 예를 들어 T2=800msec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17). 이 단계 S17에서, 소정 시간 T2는 경과하고 있지 않았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단계 S18에서, 조작 영역(3A ~ 3R) 중 어느 것에 손가락(11)이 터치됐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고(단계 S18), 조작 영역(3A ~ 3R)의 중 어느 것에도 손가락(11)이 터치되고 있지 않았다고 판별했을 때에, PC(100)는 처리를 단계 S17로 되돌린다.
또한, 단계 S17에서, 손가락(11)이 조작 영역으로부터 떨어졌을(터치 소멸) 때로부터, 소정 시간 T2가 경과했다고 판별했을 때에, PC(100)는 처리를 단계 S16으로 이행시키고, 화상 정보 생성 회로(110)에 대해서 조작자 배설 정보의 화상(IDX)의 생성 정지를 지시하고, 조작자 배설 정보의 화상(IDX)의 표시 장치(101)로의 송출을 정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PC(100)는 처리를 단계 S1로 되돌아 가서, 이 단계 S1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또, 단계 S18에서, 조작 영역(3A ~ 3R) 중 어느 것에 손가락(11)이 터치됐다고 판별했을 때에, PC(100)는 처리를 단계 S7로 되돌린다.
또한, 단계 S6 및 단계 S14에 있어서 실행되는 기능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자필 정보 입력 영역(2)에서 지시체에 의한 자필 정보의 입력에 관련하는 기능이다. 예를 들어 단계 S12에서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능 「ctrl」이 할당된 조작 영역(3F) 바로 아래의 푸쉬 스위치가 손가락(11)으로 눌려지고, 단계 S14에서 그 기능이 실행됐을 때에는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표시 화면(101D)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Px)을 확대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단계 S12에서, 기능 「Rotation」이 할당된 조작 영역(3R)(도 1)의 중심 조작 영역(3Rb) 바로 아래의 푸쉬 스위치가 눌려지고, 단계 S14에서 그 기능이 실행됐을 때에는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화면(101D)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Px)을 예컨대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조작 영역(3R)의 터치휠 조작 영역(3Ra)은 다른 조작 영역의 하부의 푸쉬 스위치가 눌려져서 거기에 할당된 처리 기능이 기동하고 있을 때의 선택 변경용의 조작자로서도 사용된다. 예를 들어, 프레스 조작에 의해 기동되는 처리에 대응해서 터치휠 조작 영역(3Ra)의 조작을 행하는 것에 의해, 표시 화면(101D)에 표시되는 자필 정보의 표시색의 변경, 묘선(描線) 굵기의 변경, 회전, 이동, 확대, 축소의 각각에 대해, 색교체, 선폭 변경, 회전량 지정, 이동량 지정, 확대 사이즈 지정, 축소 사이즈 지정이 행해지게 된다.
또, 조작 영역(3R)의 터치휠 조작 영역(3Ra)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에 있어서 삼각으로 표시되는 마크 위치에 대응한 복수의 푸쉬 스위치가 마련되어 있고, 자필 정보 입력 영역의 묘화 화상(Px)의 회전 지시를 할 때에, 예를 들어 상향되거나 또는 하향된 삼각 마크 위치를 눌렀을 때에는 화상(Px)을 제1 회전축인 수평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킬 수 있고, 좌 또는 우 방향의 삼각 마크 위치를 눌렀을 때에는 화상(Px)을 제1 회전축과는 다른 제2 회전축인 수직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의 효과]
이상과 같이 하여, 이 제1 실시 형태의 전자 기기로서의 타블렛 장치(1)에 있어서는 조작 스위치부(3)에 마련된 복수개 조작 영역(3A ~ 3R) 중 어느 것이 사용자에 의해 그 명시적인 의지가 반영되는, 소정 시간 T1 이상 계속해서 터치가 행해지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스위치부(3)에 마련된 복수개의 조작 영역(3A ~ 3R)에 대응한 조작자 배설 정보의 화상(IDX)이 외부의 표시 장치(101)의 표시 화면(101D)에 표시된다. 그리고 이 조작자 배설 정보의 화상(IDX)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터치하고 있는 조작 영역을 다른 조작 영역과 구별하는 표시를 하는 것에 의해, 그 조작 영역이 선택 중인 것이 나타난다.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 화면(101D)에 표시되어 있는 조작자 배설 정보의 화상(IDX)에 의해, 타블렛 장치(1)의 조작 스위치부(3)를 조작할 때에 조작 스위치부(3)에 시선을 이동시키는 것이 필요하게 되지 않고, 이에 의해 조작성이 높고, 효율이 좋은 정보 입력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사용자는 예를 들어 자필 정보 입력 영역(2)에서 전자 펜(10)에 의해 자필 정보를 입력하여 소정의 선화 등을 그리고 그 선화의 화상(Px)이 표시된 표시 화면(101D)으로부터 시선을 옮기는 일 없이, 손가락(11)으로 조작 스위치부(3)에 마련된 원하는 조작 영역을 확인할 수 있다. 또, 선택된 조작 영역에 할당된 처리 기능을 실행할 때에, 지시체에 의해 입력되거나 또는 입력되는 자필 정보에 대해서 행해지는 처리의 내용을 표시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실시 형태에서, 조작자 배설 정보의 화상(IDX)에 있어서는 조작 영역의 각각에 할당되어 있는 처리 기능을 나타내는 문자가 표시되므로, 기동하려고 하는 처리 기능을 표시 화면(101D)에서 확인하면서 사용자는 조작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 화면(101D)으로부터 시선을 떼어 놓는 일 없이, 자필 정보 입력 영역(2)에서 지시체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예를 들어 화상(Px)을 그리면서, 그 화상(Px)에 대한 소정의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표시 화면(101D)으로부터 시선을 떼어 놓는 일 없이, 조작 스위치부(3)의 조작 영역(3A ~ 3H 및 3R)을 왼손(오른손)의 손가락(11)으로 조작하면서, 오른손(왼손)에 가진 전자 펜(10)으로 자필 정보 입력 영역(2)으로의 자필 정보의 입력 조작을 하는 것에 의해 화상(Px)에 대한 입력 작업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작자 배설 정보의 화상(IDX)에는 각각의 조작 영역에 할당되어 있는 기능을 알리기 위한 문자가 표시되므로, 타블렛 장치(1)의 조작에 서투른 사용자이어도 각 조작 영역에 할당되어 있는 기능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 이 실시 형태에서는 타블렛 장치(1)의 조작 스위치부(3)에 마련된 조작 영역 중 어느 것을 소정 시간 T1보다 짧은 시간 터치한 것만으로는 조작자 배설 정보의 화상(IDX)이 표시 화면(101D)에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조작자 배설 정보의 화상(IDX)을 표시시키도록 하는 조작자의 의도가 없을 때이거나 또는 잘못해서 조작 영역을 짧은 시간 터치했다고 해도 조작자 배설 정보의 화상이 표시되는 일은 없기 때문에, 쓸모없는 화상이 표시되는 것에 의한 번거로움이 없다.
또한, 표시 장치(101)의 표시 화면(101D)의 애스펙트비가 제1 애스펙트비인 4:3과는 다른 제2 애스펙트비인 16:9인 경우에는, 자필 입력에 의한 화상(Px)과 겹치지 않는 표시 영역에, 조작자 배설 정보의 화상(IDX)을 표시하도록 했으므로, 사용자는 항상, 조작자 배설 정보의 화상(IDX)에 방해받는 일 없이, 자필 입력에 의한 화상(Px)의 입력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 조작자 배설 정보의 화상(IDX)은 일단 표시 화면에 표시되면, 조작 영역으로의 터치가 소멸됐다고 해도 소정 시간 T2 동안에는 계속해서 표시되므로,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리하다.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 대해서, 화상 정보 생성 회로(110)는 PC(100)에 인스톨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처리로서 예시했지만 하드웨어에 의해서도 처리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 타블렛 장치(1)가 화상 정보 생성 회로(110)의 기능을 하드웨어 처리 또는 프로그램에 의한 소프트웨어 처리로서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서, 조작 영역(3A ~ 3H 및 3R)의 각각에 대한 터치는 정전 용량 방식으로 검출하도록 했지만, 전자 유도 방식이나 저항막 방식으로 그 터치를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좋다.
[제2 실시 형태]
상술한 제1 실시 형태는 자필 정보 입력 장치가 표시 화면을 가지지 않는 타블렛 장치인 경우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표시 화면을 가짐과 동시에, 자필 정보 입력 장치의 기능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 특히 휴대 전자 기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휴대 정보 단말은 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EL(Electro Luminescence)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화면을 가지지만, 표시 화면이 소형이기 때문에, 표시 내용이 시인하기 어렵거나, 또는 표시 화면 상에서의 조작이 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그러한 휴대 정보 단말에 있어서, 자필 정보 입력 장치의 기능을 실행하려고 할 때에 적합하다.
이하에 설명하는 제2 실시 형태는 이런 종류의 소형 표시 화면을 가지는 휴대 전자 기기에 관하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9는 이 제2 실시 형태의 전자 기기의 예로서 휴대 전자 기기인 휴대 전화 단말(200)과, 외부 표시 장치로서 휴대 전화 단말(200)과 무선 접속되는 표시 장치(300)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제2 실시 형태의 휴대 전자 기기의 예로서의 휴대 전화 단말(200)은 이른바 스마트 폰으로 불리는 고기능 통신 단말로 되어 있다. 도 10은 이 휴대 전화 단말(200)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한, 이 제2 실시 형태의 전자 기기의 예로서의 휴대 전화 단말(200)은 정보 처리 장치의 기능을 내장하여 구비함과 아울러, 자필 정보 입력 장치의 기능과 외부 표시 장치의 접속 기능도 내장하는 것이다.
즉, 휴대 전화 단말(200)은 시스템 버스(201)에 대해서, 예를 들어 마이크로 컴퓨터로 이루어진 제어 회로(210), 메모리(202), 통신 회로(203),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204), 터치 패널 인터페이스(205A), 센서 패널 인터페이스(205B), 표시 화상 생성 회로(206), 무선 접속 회로(207A, 207B), 무선 접속 확인 회로(208), 의 각각이 접속되어서 구성되어 있다.
메모리(202)는 휴대 전화 단말(200)의 전화 통신을 위한 프로그램, 후술하는 손가락(221)에 의한 지시 조작을 검출하기 위한 터치 패널(212A)이나 전자 펜(220)에 의한 지시 조작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 패널(212B)과, 손가락(221)이나 전자 펜(220)에 의한 위치의 지시 조작을 검출하기 위한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212A)이나 전자 유도 방식의 센서 패널(212B)로부터의 지시 입력에 대한 검출 처리를 행하는 프로그램, 무선 접속 회로(207A, 207B)에서의 외부 표시 장치와의 사이와의 무선 접속 및 무선 통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외의 응용 프로그램을 격납하고 있음과 아울러, 여러 가지 데이터의 격납 영역을 구비하고 있다.
제어 회로(210)는 이 메모리(202)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 중 소정의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소프트웨어 처리를 행하는 것에 의해, 기술한 정보 처리 장치의 기능을 실행한다. 그리고 이 제어 회로(210)의 소프트웨어 처리와, 터치 패널 인터페이스(205A), 센서 패널 인터페이스(205B), 터치 패널(212A) 및 센서 패널(212B)에 의해, 기술한 자필 정보 입력 장치의 기능을 행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 회로(210)의 소프트웨어 처리와, 무선 접속 회로(207A, 207B) 및 무선 접속 확인 회로(208)에 의해 접속 회로의 기능을 완수하도록 하고 있다.
안테나를 가지는 통신 회로(203)는 휴대 전화 통신을 행하기 위한 회로이다. 디스프레이 인터페이스(204)에는 예를 들어 LCD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211)가 접속되어 있다. 터치 패널 인터페이스(205A)에는 이 예에서 정전 용량 방식의 투명 터치 패널(212A)이 접속되어 있다. 또, 센서 패널 인터페이스(205B)에는 전자 유도 방식의 센서 패널(212B)이 접속되어 있다.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212A)과 전자 유도 방식의 센서 패널(212B)은 디스플레이(211)에 중첩되어서 배설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모니터 장치, 프로젝터 장치, TV 수상 장치 등 디스플레이(211)의 표시 화면(211D)의 어느 장소에 있어서도 지시체로서의 손가락(221)에 의한 지시 조작을 검출할 수 있도록, 표시 화면(211D)의 측에 정전 용량 방식의 투명 터치 패널(212A)이 중첩 배치되어 있다. 또, 전자 유도 방식의 센서 패널(212B)에 관해서도 표시 화면(211D)의 어느 장소에 있어서도 전자 펜(220)에 의한 지시 조작이 검출할 수 있도록 중첩 배치되어 있다. 전자 유도 방식의 센서 패널(212B)은 일반적으로 표시 화면(211D)과는 반대인 측에 배설되지만, 센서 패널(212B)을 ITO막 등의 투명 전극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투명 터치 패널(212A)과 표시 화면(211D)의 사이에 중첩 배치시킬 수도 있다.
이 예에 있어서, 전자 유도 방식의 센서 패널(212B)은 디스플레이(211)의 표시 화면(211D)의 배면측(하측)에 배설되고,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212A)은 디스플레이(211)의 표시 화면(211D)의 측(상측)에 배설되어 있다. 또한, 정전 용량방식의 터치 패널(212A)은 주지(周知)한 바와 같이 투명 기판에 ITO막 등의 투명 전극이 배설되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 표시 화상 생성 회로(206)는 디스플레이(211)에 표시하는 화상 정보를 생성한다. 또, 무선 접속 회로(207A, 207B)는 표시 화상 생성 회로(206)에 의해 생성된 화상 정보를 디스플레이(211)에 표시하기 위한 무선 신호를 생성한다. 이 표시 화상 생성 회로(206)는 메모리(202)에 격납되는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제어 회로(210)가 실행하는 소프트웨어 처리 기능부의 구성으로 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무선 접속 회로(207A)는 휴대 전화 단말의 하우징 내에 안테나를 구비한 예를 들어 Bluetooth 규격의 무선 통신 기능부이며, 또 무선 접속 회로(206B)도 또한 하우징 내에 안테나를 구비한, 예를 들어 WiFi(등록상표)에 의한 무선 통신 기능부이다. 이 예에서, 휴대 전화 단말(200)은 무선 접속 회로는 2개 구비하도록 했지만, 3개 이상 구비하도록 해도 좋다.
무선 접속 회로(207A) 및 무선 접속 회로(207B) 중 어느 무선 접속 회로가 사용되는지는 외부의 표시 장치(300)가 어느 것에 대응하는 무선 접속 회로를 구비하고 있는지에 따른다.
무선 접속 확인 회로(208)는 무선 접속 회로(207A) 및 무선 접속 회로(207B)를 사용하여 탐색하는 것에 의해, 외부의 표시 장치(300)가 어느 전송 규격에 대응하는 무선 접속 회로를 구비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회로이다. 휴대 전화 단말(200)의 사용자는 외부의 표시 장치(300)로의 화상 송신을 기도하는 경우에는, 미리 소정의 조작을 터치 패널(212A) 또는 센서 패널(212B)에서 행하는 것에 의해, 무선 접속 확인 회로(208)를 기동시키고, 외부 표시 장치(300)와의 무선 통신에 대한 페어링의 설정 등록을 행한다. 또한, 이 무선 접속 확인 회로(208)의 기능은 메모리(202)에 격납되는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제어 회로(210)가 실행하는 소프트웨어 처리 기능부의 구성으로 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도 11은 이 무선 접속 확인 회로(208)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에 대한 페어링의 설정 등록 처리를 위한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즉, 제어 회로(210)는 무선 접속 회로(207A 또는 207B)에 의해 무선 접속하여 화상 정보를 송출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탐색하고(단계 S21), 그러한 표시 장치가 외부 표시 장치로서 존재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22). 단계 S22에서, 해당하는 표시 장치가 존재하고 있지 않았다고 판별했을 때에, 제어 회로(210)는 그 취지를 표시 화면(211D)에 표시하고(단계 S23), 이 처리 루틴을 종료한다.
또, 단계 S22에서, 해당하는 표시 장치가 존재하면 판별했을 때에, 제어 회로(210)는 그 일람을 표시 화면(211D)에 표시한다(단계 S24). 이 경우, 해당하는 표시 장치가 1대일 때는 일람에는 그 1대의 표시 장치만이 표시된다.
그리고 제어 회로(210)는 그 일람으로부터 사용자에 의한 사용하는 표시 장치의 선택을 접수하고(단계 S25), 그 선택된 표시 장치와의 무선 접속을 위한 무선 접속 회로를 등록한다(단계 S26). 그리고 이 처리 루틴을 종료한다. 또한, 표시 장치가 1대인 경우에, 단계 S25로의 처리는 선택의 확정 조작의 접수가 된다.
이 예의 휴대 전화 단말(200)은 메모리(202)에 격납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하나로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내에 공진 회로를 구비한 전자 펜(220)이나 손가락(221) 등을 지시체로서 사용하여, 표시 화면(211D) 상에서 자필 정보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한 자필 정보 입력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하고 있다.
이 자필 정보 입력 어플리케이션에 있어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211)의 표시 화면(211D)은 점선 230의 좌측의 비교적 좁은 영역이 기능 배설 영역(231)으로 하고, 점선 230의 우측의 비교적 넓은 영역이 자필 정보 입력 영역(232)으로 하여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자필 정보 입력 어플리케이션에 있어서, 기능 배설 영역(231)에는 자필 입력 정보에 대한 여러 가지의 처리 기능이 할당된 아이콘(233A, 233B, 233C)이 표시 화면(211D)에 배열되어 표시된다. 이 경우에, 할당되는 자필 입력 정보에 대한 처리 기능으로서는 예를 들어 자필 입력한 화상 정보의 표시색의 변경, 묘선 굵기의 변경, 회전, 이동, 확대, 축소, 선의 종별 등이 있다.
또한, 도 9의 예에서는 3개 종류의 처리 기능을 3개의 아이콘(233A, 233B, 233C)의 각각에 할당한 예를 나타냈지만, 할당하는 처리 기능의 수에 따른 아이콘의 수는 임의인 것은 물론이다.
이들 아이콘(233A, 233B, 233C)은 사용자에 조작되는 대상으로 한 조작자를 구성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손가락(221)이나 전자 펜(220) 등의 지시체에 의해, 와 등의 아이콘(233A, 233B, 233C)이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212A) 상에서 조작되면, 제어 회로(210)는 아이콘(233A, 233B, 233C)에 대한 조작을 판별하고, 그 판별 결과에 따른 처리를 실행한다. 이 경우에, 이 예에서는 아이콘(233A, 233B, 233C)에 대한 조작 형상으로서, 제1 제스쳐와 제2 제스쳐가 정의되어 있다.
제1 제스쳐는 아이콘(233A, 233B, 233C) 중 어느 것으로의 터치 상태가 소정 시간 계속해서 제스쳐 조작으로 된다. 제어 회로(210)는 이 제1 제스쳐를 검출하면, 기능 배설 영역(231)에 배설되어 있는 아이콘(233A, 233B, 233C)의 배열 화상으로 이루어진 조작자 배설 정보와, 자필 정보 입력 영역(232)에 그려져 있는 자필 입력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 정보를 생성하고, 외부의 표시 장치(300)에 공급하도록 동작한다. 외부의 표시 장치(300)의 표시 화면(300D)에는 조작자 배설 정보의 화상(IDXa)과 자필 입력 화상(Pxa)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된다. 즉, 이 예에서, 제어 회로(210)는 디스플레이(211)의 표시 화면(211D)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의 정보를 외부의 표시 장치(300)에 공급하고, 그 표시 화면(300D)에 표시시키도록 한다.
또한, 소정 시간 T1 이상 계속해서 터치됐을 때에, 외부의 표시 장치(300)에, 조작자 배설 정보를 공급하도록 하는 조작자는 자필 정보의 처리에 관한 기능이 할당된 조작자, 즉 기능 배설 영역(231)에 배설되어 있는 아이콘(233A, 233B, 233C)만이 대상으로 되고, 휴대 전화 단말(200)의 하우징에 마련된 그외의 조작 버튼, 예를 들어 푸쉬 버튼 등으로 구성되는, 이른바 홈 버튼 등의 조작자는 본 발명의 조작자 배설 정보를 구성하는 조작자에 해당하는 것이 아니라, 대상 밖이 되는 조작자이다.
또, 제2 제스쳐는 조작자로서의 아이콘(233A, 233B, 233C) 중 어느 것으로의, 제1 제스쳐와는 다른 제스쳐이며, 적절하게는 더블 탭핑(double-tapping) 조작이 된다. 기능 배설 영역(231)에 배설되어 있는 아이콘(233A, 233B, 233C)에는 각각 자필 입력 정보를 위한 처리 기능을 할당되어 있고, 제어 회로(210)는 이 제2 제스쳐를 검출하면, 기능 배설 영역(231)에 배설되어 있는 아이콘(233A, 233B, 233C) 중, 이 제2 제스쳐가 검출된 아이콘에 대응한 처리 기능을 기동시킨다.
또한, 처리 기능을 기동시키는 제2 제스쳐로서의 더블 탭핑 조작은 일례이며, 제1 제스쳐와 구별 가능하고, 기동을 의미하는 제스쳐 조작이면, 더블 터치 탭핑 조작 이외의 다른 제스쳐 조작이어도 좋다.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212A)이나 전자 유도 방식의 센서 패널(212B) 및, 표시 화면(211D) 상에 있어서의 전자 펜(220)이나 손가락(221) 등의 지시체에 의해 지시된 위치를 검출하고, 그 검출한 지시 위치 정보를 제어 회로(210)에 공급한다. 제어 회로(210)는 수취한 지시 위치 정보로부터, 그것이 기능 배설 영역(231)에 있어서의 지시 입력인지, 자필 정보 입력 영역(232)에 있어서의 지시 입력인지를 인식하고, 각각의 조작 영역에 따른 처리를, 메모리(202)에 격납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행한다. 또, 제어 회로(210)는 전자 펜(220)이나 손가락(221) 등의 지시체에 의한 지시 입력의 시간적 상황을 판단하는 것에 의해, 제1 제스쳐인지 제2 제스쳐인지를 판단하도록 한다.
이 경우, 전자 유도 방식의 센서 패널(212B)은 예를 들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전자 유도 방식의 센서 패널(212B)과 함께 사용하는 지시체로서의 전자 펜(220)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220L)과, 이 코일(220L)에 병렬로 접속되는 컨덴서(220C)로 구성되는 공진 회로를 내장하고 있다.
이 센서 패널(212B)은 X축 방향 루프 코일 그룹(241X)과, Y축 방향 루프 코일 그룹(241Y)이 도시를 생략한 배선 기판 각각의 면에 배치되는 것과 아울러, 각 루프 코일 그룹(241X, 241Y)은 서로 중첩되어서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각 루프코일 그룹(241X, 241Y)은 각각 복수개의 직사각형의 루프 코일로 이루어져 있고, 이 예에서는 X축 방향으로 n개, Y축 방향으로 m개의 루프 코일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루프 코일 그룹(241X, 241Y)은 자필 정보 입력 영역(232)에서만이 아니라 기능 배설 영역(231)에까지 배설되고, 기능 배설 영역(231)을 포함하는 표시 화면(211D)의 전체를 검출 영역으로서 커버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센서 패널(212B)에는 센서 회로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 센서 회로부는 선택 회로(251), 발진기(252), 전류 드라이버(253), 송수신 전환 회로(254), 수신 앰프(255), 검파 회로(256), 로패스 필터(257), 샘플 홀드 회로(258), A/D(Analog to Digital) 변환 회로(259) 및 처리 제어부(250)를 구비하고 있다.
X축 방향 루프 코일 그룹(241X) 및 Y축 방향 루프 코일 그룹(241Y)은 선택 회로(251)에 접속된다. 이 선택 회로(251)는 2개 루프 코일 그룹(241X, 241Y) 중 하나의 루프 코일을 처리 제어부(250)로부터의 제어 지시에 따라서 순차 선택한다.
발진기(252)는 주파수 f0의 교류 신호를 발생한다. 이 교류 신호는 전류 드라이버(253)에 공급되어서 전류로 변환된 후에, 송수신 전환 회로(254)에 송출된다. 송수신 전환 회로(254)는 처리 제어부(250)의 제어에 의해, 선택 회로(251)에 의해 선택된 루프 코일이 접속되는 접속처(송신측 단자(T), 수신측 단자(R))를, 소정 시간마다 전환한다. 송신측 단자(T)에는 전류 드라이버(253)가, 수신측 단자(R)에는 수신 앰프(255)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송신 시에는 송수신 전환 회로(254)의 송신측 단자(T)를 통하여, 전류드라이버(253)로부터의 교류 신호가, 선택 회로(251)에서 선택되어 있는 루프 코일에 공급한다. 또, 수신 시에, 선택 회로(251)에서 선택된 루프 코일에 발생하는 유도 전압은 선택 회로(251) 및 송수신 전환 회로(254)의 수신측 단자(R)를 통하여 수신 앰프(255)에 공급되어 증폭되고, 검파 회로(256)에 송출된다.
검파 회로(256)에 의해 검파된 신호는 저역 필터(257) 및 샘플 홀드 회로(258)를 통하여 A/D 변환 회로(259)에 공급된다. A/D 변환 회로(259)에서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처리 제어부(250)에 공급한다.
처리 제어부(250)는 위치 검출을 위해 제어를 행한다. 즉, 처리 제어부(250)는 선택 회로(251)에 있어서 루프 코일의 선택, 송수신 전환 회로(254)로의 신호 전환 제어, 샘플 홀드 회로(258)의 타이밍 등을 제어한다.
처리 제어부(250)는 송수신 전환 회로(254)를 송신측 단자(T)에 접속하도록 전환하는 것에 의해, X축 방향 루프 코일 그룹(241X) 또는 Y축 방향 루프 코일 그룹(241Y) 중에서, 선택 회로(251)에서 선택되어 있는 루프 코일을 통전 제어하여 전자파를 송출되게 한다. 지시체로서의 전자 펜(220)의 공진 회로는 이 루프 코일로부터 송출된 전자파를 수취하고, 에너지를 축적한다.
다음에, 처리 제어부(250)는 송수신 전환 회로(254)를 수신측 단자(R)에 접속하도록 전환한다. 그러면, X축 방향 루프 코일 그룹(241X) 및 Y축 방향 루프 코일 그룹(241Y)의 각 루프 코일에는 전자 펜(220)으로부터 송신되는 전자파에 의해 유도 전압이 발생한다. 처리 제어부(250)는 이 각 루프 코일에 발생한 유도 전압의 전압값의 레벨에 기초하여, 표시 화면(211D)에 있어서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의 지시 위치의 좌표값을 산출한다. 그리고 처리 제어부(250)는 산출한 좌표값의 정보를, 센서 패널 인터페이스(205B) 및 시스템 버스(201)를 통하여 제어 회로(210)에 공급한다.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212A)은 제1 실시 형태의 자필 정보 입력 영역(2)에 있어서의 것과 동일하게, 예를 들어 특허 문헌(일본 특개 2011-3035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는 센서의 구성으로 되지만, 이 경우에 전자 유도 방식의 센서 패널(212B)과 동일하게, X축 방향의 복수개 전극과 Y축 방향의 복수개 전극이 표시 화면(211D)의 전체에 걸쳐서 마련된 것으로 된다. 그리고 제어 회로(210)는 터치 패널(212A)로부터의 위치 좌표 출력에 기초하여, 그것이 기능 배설 영역(231)에 있어서의 지시 입력인지, 자필 정보 입력 영역(232)에 있어서의 지시 입력인지를 인식하고, 각각의 영역에 따른 처리를, 메모리(202)에 격납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행한다.
따라서 이 제2 실시 형태의 전자 기기의 예로서의 휴대 전화 단말(200)에 있어서는 자필 정보 입력 영역(232)에서 자필 정보의 입력을 전자 펜(220)을 사용하거나, 또는 손가락(221)을 사용하여 행할 수 있다. 동일하게 하여, 기능 배설 영역(231)에 있어서 조작자의 검출 및 이 기능 배설 영역(231) 각각의 조작자가 할당된 처리를 전자 펜(220)을 사용하거나, 또는 손가락(221)을 사용하여 행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자필 정보 입력 영역(232)에 있어서도, 기능 배설 영역(231)에 있어서도, 전자 펜(220)으로 손가락(221) 각각의 조작을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전자 펜(220) 및 손가락(221)의 어느 지시체에 의해서도 자필 정보 입력 영역(232)에서 자필 정보의 입력을 행하거나, 기능 배설 영역(231)에서의 조작자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전자 펜(220)으로 손가락(221)을 동시에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자필 정보 입력 영역(232)에서 이들 지시체의 각각을 사용하여 자필 정보의 입력을 행하거나 기능 배설 영역(231)에 있어서도 이들 지시체를 각각 사용하여 조작자의 조작을 행할 수도 있다.
다음에, 상술한 자필 입력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있어서, 제어 회로(210)에서의 처리 동작예를, 도 13 ~ 도 15의 플로차트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어 회로(210)는 터치 패널(212A) 및 센서 패널(212B)의 좌표 출력을 감시하고, 손가락(221) 또는 전자 펜(220) 등의 지시체에 의해, 표시 화면(211D)으로의 터치를 검출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고(단계 S101), 터치를 검출하고 있지 않으면, 단계 S101로 돌아와서, 터치의 감시를 계속한다.
단계 S101에서, 지시체에 의한 터치를 검출했다고 판별했을 때에, 제어 회로(210)는 터치된 것이 기능 배설 영역에 있는 조작자로서의 아이콘(233A, 233B, 233C) 중 어느 것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102). 이 단계 S102에서, 터치된 것이 기능 배설 영역(231)의 아이콘(233A, 233B, 233C) 중 어느 것이 아니라고 판별했을 때에, 제어 회로(210)는 그 검출된 터치 조작에 따른 처리를 행한다(단계 S103). 제어 회로(210)는 이 단계 S103에서, 예를 들어 자필 정보 입력 영역(232)에서의 자필 정보의 입력을 접수하고, 그 화상 정보를 생성하고, 그 생성한 화상 정보에 의해, 디스플레이(211)의 표시 화면(211D)에 자필 입력 화상을 표시하는 처리 등을 행한다.
단계 S102에서, 터치된 것은 기능 배설 영역(231)의 아이콘(233A, 233B, 233C) 중 어느 것이라고 판별했을 때에, 제어 회로(210)는 무선 접속 확인 회로(208)를 기동하고, 무선 접속 가능한 외부 표시 장치가 존재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104).
이 단계 S104에서, 외부 표시 장치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별했을 때에, 제어 회로(210)는 외부 표시 장치에 대해서 화상 정보를 송신하는 것에 관한 처리 이외에, 그 터치된 아이콘에 할당된 처리 기능에 관한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105).
또, 단계 S104에서, 무선 접속 가능한 외부 표시 장치가 존재한다고 판별했을 때에, 제어 회로(210)는 이 무선 접속 가능한 외부 표시 장치와 페어링 가능한 무선 접속 회로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106). 이 단계 S106에서, 페어링 가능한 무선 접속 회로가 없다고 판별했을 때에, 제어 회로(210)는 외부 표시 장치에 대해서 화상 정보를 송신하는 것에 관한 처리 이외에, 그 터치된 아이콘에 할당된 처리 기능에 관한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107).
그리고 단계 S106에서, 페어링 가능한 무선 접속 회로가 있다고 판별했을 때에, 제어 회로(210)는 단계 S102에서 검출된 아이콘으로의 터치로부터 소정 시간 T1가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도 14의 단계 S111). 즉, 제어 회로(210)는 이 단계 S111에서는 제1 제스쳐 조작이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이 단계 S111에서, 소정 시간 T1이 경과하고 있지 않았다고 판별했을 때에, 제어 회로(210)는 단계 S102에서 검출된 아이콘으로의 터치가 계속해서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112). 단계 S112에서, 단계 S102에서 검출된 아이콘으로의 터치가 계속해서 있지 않은, 즉 터치가 해제됐다고 판별했을 때에, 제어 회로(210)는 처리를 단계 S101로 되돌린다.
또, 단계 S112에서, 단계 S102에서 검출된 조작자로서의 아이콘으로의 터치가 계속해서 있다고 판별했을 때에, 제어 회로(210)는 그 아이콘에 대해서 더블 탭핑 조작, 즉 제2 제스쳐 조작이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113). 이 단계 S113에서, 조작자로서의 아이콘에 대해서 더블 탭핑 조작이 이루어졌다고 판별했을 때에, 제어 회로(210)는 그 아이콘에 할당된 처리 기능을 기동하고, 실행한다(단계 S114). 이 단계 S114에서 제어 회로(210)는 아이콘에 할당된 자필 정보에 대한 처리, 예를 들어 표시색의 변경, 묘선의 굵기나 종별의 변경, 묘화 화상의 회전, 이동, 확대, 축소 등의 처리를 행한다.
또, 단계 S111에서, 소정 시간 T1가 경과한, 즉 제1 제스쳐 조작이 이루어졌다고 판별했을 때에, 제어 회로(210)는 기능 배설 영역(231)에 배설되어 있는 아이콘(233A, 233B, 233C)의 화상으로 이루어진 조작자 배설 정보의 화상(IDXa)과, 자필 정보 입력 영역(232)에 그려져 있는 자필 화상(Pxa)을 포함하는 화상 정보를, 페어링되어 있는 무선 접속 회로(207A 또는 207B)를 통해서, 외부 표시 장치(300)에 공급한다(단계 S115). 이 때, 기능 배설 영역(231)에 배설되어 있는 아이콘(233A, 233B, 233C)의 화상으로 이루어진 조작자 배설 정보로서는 터치되고 있는 아이콘이 굵은 테두리로 나타나는, 다른 아이콘과는 다른 표시색으로 나타나는 등에 의해, 다른 아이콘과는 구별되어서 그 아이콘(조작자)이 선택 중인 것이 표시된다. 그리고 제어 회로(210)는 이 제2 실시 형태에서, 제1 실시 형태와는 달리, 일단 외부 표시 장치(300)에 화상 정보를 보내기 시작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의 명시의 지시가 없는 한, 소정 시간 경과해도 그 화상 정보의 외부 표시 장치(300)로의 공급은 계속된다.
또한, 이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도시는 생략했지만, 휴대 전화 단말(200)은 미리 무선 접속한 외부 표시 장치(300)의 표시 화면(300D)의 애스펙트비를 인식하고, 애스펙트비가 4:3일 때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자 배설 정보의 화상(IDXa)이 자필 입력 화상(Pxa)에 중첩되는 형태로 표시되지만, 애스펙트비가 16:9일 때에,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자 배설 정보의 화상(IDXa)은 자필 입력 화상(Pxa)의 표시 영역 이외의 검은 테두리 영역에 표시하도록 하고, 양 화상이 겹치지 않도록 되는 것이다.
다음에, 제어 회로(210)는 기능 배설 영역(231) 중의 다른 아이콘이 터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116). 이 단계 S116에서, 기능 배설 영역(231) 중의 다른 아이콘이 터치됐다고 판별했을 때에, 제어 회로(210)는 터치된 다른 아이콘이 선택된 것을 나타내는 화상 정보를 생성하고, 그 화상 정보를 표시 화면(211D)에 표시하기 위해, 그 화상 정보를 페어링되어 있는 무선 접속 회로를 통하여 외부 표시 장치(300)에 송출한다(단계 S117). 그 후, 제어 회로(210)는 처리를 단계 S116으로 되돌아 가서, 이 단계 S116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단계 S116에서, 기능 배설 영역(231) 중의 다른 아이콘은 터치되고 있지 않았다고 판별했을 때에, 제어 회로(210)는 터치 중인 아이콘이 더블 탭핑 조작(제2 제스쳐 조작)됐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고(단계 S118), 더블 탭핑 조작되지 않았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처리를 단계 S116으로 되돌린다.
단계 S118에서, 터치 중인 아이콘이 더블 탭핑 조작됐다고 판별했을 때에, 제어 회로(210)는 그 아이콘에 할당된 처리 기능을 기동한다(단계 S119).
그리고 제어 회로(210)는 표시 화면(211D)에 있어서의 조작 지시 입력을 접수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고(도 15의 단계 S121), 조작 지시 입력을 접수하지 않았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처리를 단계 S116으로 되돌아 가서, 이 단계 S116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단계 S121에서, 조작 지시 입력을 접수했다고 판별했을 때에, 제어 회로(210)는 그 조작 지시 입력은 외부 표시 장치(300)로의 표시 종료 지시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122). 이 단계 S122에서, 조작 지시 입력은 외부 표시 장치(300)로의 표시 종료 지시는 아니라고 판별했을 때에, 제어 회로(210)는 그 조작 지시 입력에 따른 처리를, 자필 정보 입력 영역(232)에 표시되어 있는 묘화 정보에 대해서 실행하여, 그 화상 정보를 생성하고, 그 화상 정보를 표시 화면(211D)에 표시하기 위해, 그 화상 정보를 외부 표시 장치(300)에, 무선 접속 회로를 통하여 송출한다(단계 S123).
또, 단계 S122에서, 조작 지시 입력은 외부 표시 장치(300)로의 표시 종료 지시로 판별했을 때에, 제어 회로(210)는 외부 표시 장치(300)로의 화상 정보의 송출을 정지한다(단계 S124).
이상과 같이 하여, 이 제2 실시 형태의 전자 기기에서는 휴대 전화 단말이 구비하는 표시 화면 상에서의 자필 정보 입력을, 이 휴대 전화 단말이 구비하는 표시 화면보다 큰 외부의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을 사용하여 행할 수 있다. 그 경우에, 이 휴대 전화 단말이 구비하는 표시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복수의 아이콘으로 이루어진 조작자 배설 정보도 외부의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고, 각 아이콘의 선택 조작도 마치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에 있어서 행하는 것과 동일하게 행할 수 있고, 사용자는 외부의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으로부터 시선을 떼어 놓는 일 없이, 자필 입력 처리를 행할 수 있다.
[그외의 실시 형태 또는 변형예]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기능 배설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조작자 중 어느 것이 소정 시간 T1 이상 계속해서 터치됐을 때에, 외부의 표시 장치에 조작자 배설 정보의 화상을 표시하도록 했지만, 기능 배설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조작자 중, 미리 정해진 특정의 조작자가 소정 시간 T1 이상 계속해서 터치됐을 때에, 외부의 표시 장치에 조작자 배설 정보를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 대해서, 자필 정보 입력 장치로서의 타블렛 장치(1)는 PC(100)에 접속되고, PC(100)에서는 타블렛 장치(1)로부터의 지시체 위치 및 조작 지시의 정보에 기초한, 외부 표시 장치에 표시해야 할 화상 정보를 생성, 및 외부의 표시 장치에 화상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 또는 유선에 의한 접속 처리 등의 정보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와 같은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 장치의 기능을 구비하는 노트북 컴퓨터와 타블렛 장치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한 구성이어도 좋다.
또, 외부의 표시 장치가 PC와 동일하게 정보 처리 장치로서의 기능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타블렛 장치와 외부 표시 장치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접속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로서의 기능은 타블렛 장치(1)로부터의 지시체 위치 및 조작 지시의 정보에 기초한 정보 처리를 행하는 것이고, 이른바 CPU와 메모리와 CPU를 동작시키기 위한 소프트웨어로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타블렛 장치에 정보 처리 장치를 조립하는 것에 의해, 정보 처리 장치를 구비한 타블렛 장치와 외부 표시 장치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접속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 제2 실시 형태의 전자 기기는 휴대 전화 단말인 경우였지만, 본 발명에 의한 전자 기기는 휴대 전화 단말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 표시 장치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접속 가능하여, 자필 정보 입력 기능을 구비할 수 있는 기기이면, 어떠한 휴대 전자 기기이어도 좋다.
1ㆍㆍㆍ타블렛 장치,
3ㆍㆍㆍ조작 스위치부,
3A ~ 3H 및 3Rㆍㆍㆍ조작 영역,
4ㆍㆍㆍ회로 기판,
5A ~ 5H 및 5Rㆍㆍㆍ푸쉬 스위치,
6A ~ 6H 및 6Rㆍㆍㆍ터치 검출 전극,
100ㆍㆍㆍPC,
101, 300ㆍㆍㆍ표시 장치,
IDX, IDXaㆍㆍㆍ조작자 배설 정보의 화상,
Px, Pxaㆍㆍㆍ자필 입력된 화상

Claims (25)

  1. 표시 장치를 구비한 정보 처리 장치에 접속된 자필 정보 입력 장치로서,
    상기 자필 정보 입력 장치는 지시체(指示體)의 조작에 대응한 자필 정보의 입력을 행하는 자필 정보 입력 영역과, 상기 자필 정보 입력 영역에서 상기 지시체의 조작에 의해 입력되는 자필 정보에 대한 처치가 할당된 복수의 조작자가 배설(配設)된 기능 배설 영역을 구비하고 있는 것과 아울러,
    상기 자필 정보 입력 장치와 상기 정보 처리 장치가 협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기능 배설 영역에 배설된 어느 조작자가 소정 시간 계속해서 조작된 것에 대응해서, 상기 기능 배설 영역에 배설된 상기 복수 조작자의 조작자 배설 정보가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됨과 아울러, 상기 복수 조작자의 상기 조작자 배설 정보는 상기 조작된 조작자와 상기 조작된 조작자 이외의 조작자가 서로 시각적으로 식별 가능하도록,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필 정보 입력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자는 터치 조작과 프레스 조작이 입력 가능으로 되어 있고, 상기 기능 배설 영역에 배설된 상기 복수 조작자의 상기 조작자 배설 정보는 상기 조작자에 대한 터치 조작이 상기 소정 시간 계속해서 행해진 것에 대응해서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필 정보 입력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작자에 대한 상기 프레스 조작이 상기 소정 시간 내에 행해진 경우에, 상기 기능 배설 영역에 배설된 상기 복수 조작자의 상기 조작자 배설 정보는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필 정보 입력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작자에 의한 상기 프레스 조작의 입력은 상기 터치 조작이 행해진 상기 조작자를 프레스하는 것에 의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필 정보 입력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작자가 할당된, 상기 지시체의 조작에 의해 입력되는 자필 정보에 대한 상기 처리는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상기 자필 정보의 표시색의 변경, 묘선(描線) 굵기의 변경, 회전, 이동, 확대, 축소 중의 하나이며, 상기 처리는 상기 프레스 조작에 의해 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필 정보 입력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기능 배설 영역에는, 추가로, 회전을 지시하는 터치휠 조작자가 배설되어 있고, 상기 프레스 조작에 의해 기동되는 처리에 대응해서, 상기 터치휠 조작자의 조작을 행하는 것에 의해,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상기 자필 정보의 표시색의 변경, 묘선 굵기의 변경, 회전, 이동, 확대, 축소의 각각에 대해, 색 교체, 선폭, 회전량, 이동량, 확대 사이즈, 축소 사이즈를 지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필 정보 입력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자는 제1 터치 제스쳐와 상기 제1 터치 제스쳐와는 다른 제2 터치 제스쳐가 입력 가능으로 되어 있고, 상기 기능 배설 영역에 배설된 상기 복수 조작자의 상기 조작자 배설 정보는 상기 조작자에 대해서 상기 제1 터치 제스쳐가 소정 시간 계속해서 행해진 것에 대응해서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필 정보 입력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조작자에 대한 제1 터치 제스쳐는 상기 조작자로의 터치 상태가 상기 소정 시간 계속해서 조작된 제스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필 정보 입력 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조작자에 할당된, 상기 지시체의 조작에 의해 입력되는 자필 정보에 대한 상기 처리는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상기 자필 정보의 표시색의 변경, 묘선 굵기의 변경, 회전, 이동, 확대, 축소 중의 하나이며, 상기 처리는 상기 제2 터치 제스쳐에 의해 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필 정보 입력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제스쳐는 상기 조작자에 대해서 연속하여 2번 터치하는 조작인 더블 탭핑 제스쳐(double-tapping gestur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필 정보 입력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능 배설 영역에 배설된 상기 복수 조작자로의 조작은 정전 용량 방식의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필 정보 입력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필 정보 입력 영역에는 정전 용량 방식의 센서가 배설되어 있고, 상기 자필 정보 입력 영역에서 행해지는 상기 지시체의 조작에 대응한 자필 정보의 입력은 상기 정전 용량 방식의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필 정보 입력 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시체에는 공진 회로를 구비하는 것과 아울러, 상기 자필 정보 입력 장치에는 루프 코일이 배설되어 있고, 상기 자필 정보 입력 영역에서 행해지는 상기 지시체의 조작에 대응한 자필 정보의 입력은 상기 지시체에 마련된 상기 공진 회로와 상기 루프 코일 사이에서의 전자(電磁) 결합 작용에 기초하여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필 정보 입력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루프 코일은 상기 지시체의 조작이 상기 기능 배설 영역에서 검출 가능하도록 배설되어 있고, 상기 지시체에 의한 상기 기능 배설 영역에 배설된 상기 복수의 조작자에 대한 조작이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필 정보 입력 장치.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상기 복수 조작자의 상기 조작자 배설 정보는 상기 지시체의 조작에 대응해서 입력된 상기 자필 정보가 표시되는 영역의 근방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필 정보 입력 장치.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상기 복수 조작자의 상기 조작자 배설 정보는 상기 지시체의 조작에 대응해서 입력된 상기 자필 정보가 표시되는 영역에 중첩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필 정보 입력 장치.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능 배설 영역에 배설된 복수의 조작자를 구성하는 각각의 조작자에는 조작자의 조작에 대응해서, 상기 복수 조작자의 상기 조작자 배설 정보를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는 공통의 처리와, 상기 조작자에 할당된 고유의 처리를 하도록, 복수의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필 정보 입력 장치.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 조작자의 각각에는 상기 자필 정보 입력 영역에서 상기 지시체의 조작에 의해 입력되는 자필 정보에 대한 복수의 처리가 선택 가능하게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필 정보 입력 장치.
  19. 자필 정보 입력 장치와 정보 처리 장치를 구비하고, 외부 표시 장치와 접속되는 휴대 전자 기기로서,
    상기 자필 정보 입력 장치는 지시체의 조작에 대응한 자필 정보의 입력을 행하는 자필 정보 입력 영역과, 상기 자필 정보 입력 영역에서 상기 지시체의 조작에 의해 입력되는 자필 정보에 대한 처치가 할당된 복수의 조작자가 배설된 기능 배설 영역을 구비하고 있는 것과 아울러,
    상기 자필 정보 입력 장치와 상기 정보 처리 장치가 협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기능 배설 영역에 배설된 어느 조작자가 소정 시간 계속해서 조작된 것에 대응해서, 상기 기능 배설 영역에 배설된 상기 복수 조작자의 조작자 배설 정보가, 상기 조작된 조작자와 상기 조작된 조작자 이외의 조작자가 서로 시각적으로 식별 가능하게 상기 외부 표시 장치에서 표시되도록, 상기 복수 조작자의 상기 조작자 배설 정보를 상기 외부 표시 장치에서 표시시키기 위한 화상을 생성하는 것과 아울러, 상기 휴대 전자 기기로부터 이간(離間)해서 배치된 상기 외부 표시 장치와 무선 접속하여 상기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무선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휴대 전자 기기에 구비된 상기 자필 정보 입력 장치에는 추가로 표시 장치가 중첩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조작자가 배설된 상기 기능 배치 영역이 상기 추가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자필 정보 입력 장치는 상기 추가 표시 장치의 전면(前面)의 측(側), 배면의 측, 및 각각의 면의 측으로부터 선택된 1개의 중첩 배치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22.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추가 표시 장치에 표시된 상기 기능 배치 영역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조작자는 아이콘으로서 표시되어 조작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23.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는 상기 자필 정보 입력 장치로부터 공급된 상기 자필 정보 입력 영역에서 입력된 자필 정보와, 상기 기능 배치 영역에 배설된 상기 조작자의 조작에 대응한 처리를 행하여 상기 외부 표시 장치에서 표시시키기 위한 화상 생성 회로와, 상기 외부 표시 장치와 무선 접속하기 위한 무선 접속 회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는 상기 외부 표시 장치와의 무선 접속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무선 접속 확인 회로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접속 확인 회로에 의해 상기 외부 표시 장치와의 무선 접속이 가능하다고 확인된 경우에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외부 표시 장치의 화면 애스펙트비(aspect ratio)의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외부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상기 지시체의 조작에 대응해서 입력된 상기 자필 정보가 표시되는 영역에 대한 상기 복수 조작자의 상기 조작자 배설 정보의 표시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화상 생성 회로에서 상기 외부 표시 장치에서 표시해야 할 화상이 생성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KR1020120097371A 2012-02-23 2012-09-03 자필 정보 입력 장치 및 자필 정보 입력 장치를 구비한 휴대 전자 기기 KR1020563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36910 2012-02-23
JP2012036910A JP5137150B1 (ja) 2012-02-23 2012-02-23 手書き情報入力装置及び手書き情報入力装置を備えた携帯電子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7050A true KR20130097050A (ko) 2013-09-02
KR102056347B1 KR102056347B1 (ko) 2019-12-16

Family

ID=47603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7371A KR102056347B1 (ko) 2012-02-23 2012-09-03 자필 정보 입력 장치 및 자필 정보 입력 장치를 구비한 휴대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9377947B2 (ko)
EP (1) EP2631771B1 (ko)
JP (1) JP5137150B1 (ko)
KR (1) KR102056347B1 (ko)
CN (1) CN103294121B (ko)
IL (1) IL221321B (ko)
TW (1) TWI55044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6343A (ko) * 2016-12-27 2018-07-05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무 자필 정보 처리 장치, 자필 정보 처리 방법 및 자필 정보 처리용 프로그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32450A (ja) * 2012-08-01 2014-02-20 Sony Corp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9360997B2 (en) * 2012-08-29 2016-06-07 Apple Inc. Content presentation and interaction across multiple displays
TWI637312B (zh) * 2012-09-19 2018-10-01 三星電子股份有限公司 用於在透明顯示裝置顯示資訊的方法、顯示裝置及電腦可讀記錄媒體
KR101984592B1 (ko) * 2013-01-04 2019-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AU349925S (en) * 2013-01-09 2013-07-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for an electronic device
KR20140134088A (ko) * 2013-05-13 2014-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의 사용 방법 및 장치
JP5819892B2 (ja) * 2013-08-21 2015-11-24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電子ペンで入力する座標入力装置を備える電子機器、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WO2015030461A1 (en) 2013-08-26 2015-03-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device and method for creating handwriting content
WO2015030795A1 (en) * 2013-08-30 2015-03-05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ouch input association
US20150121314A1 (en) * 2013-10-24 2015-04-30 Jens Bombolowsky Two-finger gestures
JPWO2015097892A1 (ja) 2013-12-27 2017-03-23 パイオニア株式会社 端末装置、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及びキャリブレーションプログラム
US20150241984A1 (en) * 2014-02-24 2015-08-27 Yair ITZHAIK Methods and Devices for Natural Human Interfaces and for Man Machine and Machine to Machine Activities
JP6546778B2 (ja) * 2014-05-08 2019-07-17 新益先創科技股▲分▼有限公司 接触検知キーパッド制御装置
JPWO2015182222A1 (ja) 2014-05-27 2017-06-01 株式会社ワコム 指示体検出装置及びその信号処理方法
CN106416012B (zh) 2014-06-02 2019-08-27 谐波传动系统有限公司 旋转致动器
KR20160023298A (ko) * 2014-08-22 201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102318024B1 (ko) 2014-11-12 2021-10-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EP3258352B1 (en) * 2015-02-09 2019-05-08 Wacom Co., Ltd.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system, sensor controller, and stylus
US10126861B2 (en) * 2015-05-08 2018-11-13 Synaptics Incorporated Force sensor substrate
USD810745S1 (en) * 2015-09-07 2018-02-20 Shenzhen Huion Animation Technology Co., LTD Graphic tablet
US10216405B2 (en) * 2015-10-24 2019-02-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esenting control interface based on multi-input command
EP3179341B1 (en) * 2015-12-11 2022-07-27 Vestel Elektronik Sanayi ve Ticaret A.S. Method and device for sensing pressure applied to a screen with at least one sensor means
US10846475B2 (en) * 2015-12-23 2020-11-24 Beijing Xinmei Hutong Technology Co., Ltd. Emoji input method and device thereof
CN109074174A (zh) 2016-02-25 2018-12-21 头脑魔法株式会社 输入辅助装置及绘图系统
CN112969216A (zh) * 2016-03-22 2021-06-15 华为技术有限公司 限制应用程序使用的方法和终端
USD864196S1 (en) * 2016-09-13 2019-10-22 Shenzhen Huion Animation Technology Co. Ltd. Graphic tablet
JP1582028S (ko) * 2016-10-28 2017-07-24
JP7012485B2 (ja) * 2016-12-27 2022-01-28 株式会社ワコム 画像情報処理装置および画像情報処理方法
CN106843539B (zh) * 2017-01-03 2020-12-18 深圳市绘王动漫科技有限公司 无线无源手写输入系统
JP1594139S (ko) * 2017-05-15 2018-01-09
JP1591662S (ko) * 2017-07-07 2018-11-19
USD861686S1 (en) * 2017-11-27 2019-10-01 Hanvon Ugee Technology Co., Ltd. Graphics tablet
CN111090351B (zh) * 2018-10-24 2023-08-18 义隆电子股份有限公司 触控系统、其输入装置、及其信号传送方法
JP2020091617A (ja) * 2018-12-05 2020-06-1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6867366B2 (ja) * 2018-12-27 2021-04-28 ファナック株式会社 押しボタン状シート及びタッチパネル
CN111142674B (zh) * 2019-12-31 2021-09-1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及电子设备
KR20210115796A (ko) 2020-03-16 2021-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인터렉션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
CN113360011A (zh) * 2021-06-10 2021-09-07 Tcl通讯(宁波)有限公司 触控笔优化方法、系统、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0929A (en) * 1991-07-29 1993-10-05 Conference Communications, Inc. Interactive overlay-driven computer display system
JPH05158449A (ja) * 1991-12-05 1993-06-25 Nec Corp 制御コンソールの制御指示入力装置
US5995101A (en) * 1997-10-29 1999-11-30 Adobe Systems Incorporated Multi-level tool tip
US6337698B1 (en) * 1998-11-20 2002-01-08 Microsoft Corporation Pen-based interface for a notepad computer
JP2002259060A (ja) * 2001-02-15 2002-09-13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複数の入力デバイスを備えた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入力システム、デバイス管理プログラム、デバイス設定プログラム、ダブルクリック伝達方法、および記憶媒体
KR100474724B1 (ko) * 2001-08-04 2005-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장치 및 그 장치에 외부디스플레이기기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법
GB0213237D0 (en) * 2002-06-07 2002-07-17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Input system
US7164410B2 (en) 2003-07-28 2007-01-16 Sig G. Kupka Manipulating an on-screen object using zones surrounding the object
US7401300B2 (en) * 2004-01-09 2008-07-15 Nokia Corporation Adaptive user interface input device
JP2007074402A (ja) * 2005-09-07 2007-03-22 Fujifilm Corp 表示装置、表示操作装置、処理装置、撮影装置、および表示方法
JP2007249670A (ja) * 2006-03-16 2007-09-27 Wacom Co Ltd 位置指示器、位置検出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
US20070146351A1 (en) * 2005-12-12 2007-06-28 Yuji Katsurahira Position input device and computer system
CN101089781A (zh) * 2006-06-16 2007-12-19 胡有文 一种设有手写板的多功能电脑键盘
JP4972782B2 (ja) 2007-06-22 2012-07-11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検出装置
WO2009082377A1 (en) 2007-12-26 2009-07-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ouch wheel zoom and pan
EP2141574B1 (en) 2008-07-01 2017-09-2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using proximity sens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JP4770904B2 (ja) 2008-10-03 2011-09-14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電子機器における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295008B2 (ja) 2009-06-18 2013-09-18 株式会社ワコム 指示体検出装置
US20100328261A1 (en) * 2009-06-24 2010-12-30 Woolley Richard D Capacitive touchpad capable of operating in a single surface tracking mode and a button mode with reduced surface tracking capability
JP5270482B2 (ja) 2009-07-13 2013-08-21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検出装置及びセンサユニット
US8601394B2 (en) 2009-11-06 2013-12-03 Bose Corporation Graphical user interface user customization
TWI490734B (zh) 2009-11-23 2015-07-01 Htc Corp 動態調整手寫輸入之等待時間的方法、電子設備及其相關電腦程式產品
US20120019488A1 (en) * 2009-12-14 2012-01-26 Mccarthy John P Stylus for a touchscreen display
JP5427070B2 (ja) * 2010-03-05 2014-02-26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検出装置
US20120050183A1 (en) * 2010-08-27 2012-03-01 Google Inc. Switching display modes based on connection stat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6343A (ko) * 2016-12-27 2018-07-05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무 자필 정보 처리 장치, 자필 정보 처리 방법 및 자필 정보 처리용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222238A1 (en) 2013-08-29
EP2631771A2 (en) 2013-08-28
US9377947B2 (en) 2016-06-28
CN103294121A (zh) 2013-09-11
EP2631771B1 (en) 2018-10-31
TWI550441B (zh) 2016-09-21
TW201335798A (zh) 2013-09-01
US9880734B2 (en) 2018-01-30
KR102056347B1 (ko) 2019-12-16
JP2013171544A (ja) 2013-09-02
US20150253982A1 (en) 2015-09-10
JP5137150B1 (ja) 2013-02-06
EP2631771A3 (en) 2014-11-05
IL221321B (en) 2019-03-31
CN103294121B (zh) 2018-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6347B1 (ko) 자필 정보 입력 장치 및 자필 정보 입력 장치를 구비한 휴대 전자 기기
US1094262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EP2921947B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display panel
US20130038549A1 (en) Input device for touch screen and touch screen system having the same
JP2019521462A (ja) 複合ヒューマンインターフェースが備えられた電子機器
JP2013131087A (ja) 表示装置
JP2012084137A (ja) 携帯電子機器、画面制御方法および画面制御プログラム
KR20090118872A (ko)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장치의 표시 정보 편집 방법
JP2004355606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2123363A5 (ko)
JP2014016743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4775459B2 (ja) 電子機器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2008225541A (ja) 入力装置および情報機器
JP2014182429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13114645A (ja) 小型情報機器
JP4123277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
KR20110034137A (ko)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장치의 입력 제어 방법
WO2014014278A1 (ko) 터치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 및 영상 장치
JP4383683B2 (ja) 入力装置
EP2541383B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US10955962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that switches a touch panel between an independent mode and a dual input mode
JP2011164953A (ja) 携帯用電子機器及び表示制御方法
JP2011041057A (ja) 遠隔制御システム、遠隔制御方法
US20110001716A1 (en) Key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21043301A (ja)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