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4088A - 전자장치의 사용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장치의 사용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4088A
KR20140134088A KR1020130053798A KR20130053798A KR20140134088A KR 20140134088 A KR20140134088 A KR 20140134088A KR 1020130053798 A KR1020130053798 A KR 1020130053798A KR 20130053798 A KR20130053798 A KR 20130053798A KR 20140134088 A KR20140134088 A KR 201401340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screen
application
divided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3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석
김기범
강혁
이유진
최현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3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4088A/ko
Priority to US14/275,151 priority patent/US20140337769A1/en
Priority to CN201480027544.5A priority patent/CN105210026B/zh
Priority to AU2014266178A priority patent/AU2014266178A1/en
Priority to PCT/KR2014/004271 priority patent/WO2014185690A1/en
Priority to EP14798013.0A priority patent/EP2997448A4/en
Publication of KR20140134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40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4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for locating contacts on a surface, e.g. floor mats or touch pads
    • A63F13/2145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for locating contacts on a surface, e.g. floor mats or touch pads the surface being also a display device, e.g. touch scree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5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6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on the game controller or outside a game boot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video proj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1G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30User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전자장치의 사용 방법에 있어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화면 공유 모드가 요청되는 과정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대응되는 표시 데이터를 설정된 외부 출력 장치로의 전송을 시작하는 과정과, 전자장치의 표시화면에는 미리 설정된 입력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입력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장치의 사용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A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전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면 공유 모드 기능을 이용시의 입력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스마트 폰(Smart Phone)등과 같은 전자장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성능이 고성능화 및 다기능화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장치는 단순한 음성 통신 또는 데이터 통신 기능 이외에도 게임 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이용(예를 들어, 재생)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자장치를 이용하여 게임을 플레이하거나 사진 또는 영화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다.
그런데, 스마트 폰 또는 태블릿(Tablet)과 같은 전자장치는 휴대성으로 인해 표시화면의 크기가 한정적인 제약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표시화면이 작은 전자장치 대신에 보다 큰 표시화면을 가지는 출력장치를 통해 전자장치의 게임 플레이 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이용을 필요로 하였으며,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애플(Apple)의 에어플레이(AirPlay) 또는 삼성(Samsung)의 올쉐어 캐스트(AllShare Cast)와 같은 기능이 제공되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전자장치(예를 들어, 휴대단말기)에서 플레이하고자 하는 게임의 실행 화면을 TV와 같은 큰 표시화면을 가지는 출력장치로 출력한 후에, TV로 출력되는 실행화면을 보면서 전자장치로 게임의 플레이를 위한 조작을 입력한다.
도 1a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사용자는 출력장치(10)와 전자장치(20)와 동일한 화면이 표시되도록 요청한 후에, 게임을 플레이하기 위해 전자장치(20)를 조작(예를 들어, 터치 입력을 입력)한다. 그런데, 출력장치(10)로는 플레이중인 게임의 실행화면만이 표시되기 때문에, 게임 플레이를 위한 입력을 위해서 사용자는 전자장치(20)의 화면을 보면서 소정의 입력을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은, 게임의 플레이 화면 또는 멀티미디어 재생 화면 등이 TV와 같은 대화면의 출력장치로 출력되는 장점은 있으나, 전자장치를 계속 확인하면서(예를 들어, 주시하면서) 게임의 플레이 또는 멀티미디어 재생의 제어를 위한 입력을 입력하여야 하기 때문에, TV와 같은 대화면으로 게임의 플레이 화면 또는 멀티미디어 재생 화면을 출력하는 장점이 상쇄되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서, 전자장치의 화면을 유선 또는 무선의 형태로 출력장치(예를 들어, TV)로 출력하는 미러링(mirroring)과 같은 종래기술의 경우, 미러링 이용시에 적합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전자장치의 표시 데이터를 외부 출력 장치로 전송하여 표시하는데 최적화된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외부 출력 장치로의 표시 데이터 출력 기능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실시예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전자장치의 사용 방법에 있어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화면 공유 모드가 요청되는 과정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대응되는 표시 데이터를 설정된 외부 출력 장치로의 전송을 시작하는 과정과, 전자장치의 표시화면에는 미리 설정된 입력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입력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전자장치의 사용 장치에 있어서,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표시부와, 무선랜 모듈과,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화면 공유 모드가 요청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대응되는 표시 데이터를 상기 무선랜 모듈을 통해 설정된 외부 출력 장치로의 전송을 시작하고, 상기 표시부의 표시화면에는 미리 설정된 입력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입력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전자장치의 표시 데이터를 외부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기능에 최적화된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전자장치의 표시 데이터를 외부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기능을 보다 쉽고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라 휴대단말기를 사용할 경우에 대한 예시도.
도 1b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를 사용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
도 3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를 사용하는 과정에 대한 제1예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를 사용하는 과정에 대한 제2예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를 사용하는 과정에 대한 제3예시도.
도 4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를 사용하는 과정에 대한 제4예시도.
도 4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를 사용하는 과정에 대한 제5예시도.
도 4e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를 사용하는 과정에 대한 제6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전자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대표적으로 무게나 크기적인 측면에서 휴대가 용이한 휴대단말기를 전자장치인 것으로 가정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예로는 종래의 피처폰(feature phone)과, 바다(bada), 타이젠(Tizen), Windows(예를 들어, windows 8), iOS 및 Android 등의 운영체제로 구동되는 전자 장치(예를 들어, 스마트 폰 및 태블릿)를 열거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휴대용 컴퓨터(Notebook) 또는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또는 화상전화기 등이 될 수도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전술한 예의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전자장치(100)는 서브통신 모듈(130), 커넥터(165), 및 이어폰 연결잭(167)과 같은 외부 장치 연결부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연결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상기 전자장치(100)에 탈착되어 유선으로 연결 가능한 이어폰(Earphone), 외부 스피커(External speaker),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충전기, 크래들/도크(Cradle/Dock), DMB 안테나, 모바일 결제 관련 장치, 건강 관리 장치(혈당계 등), 게임기, 자동차 내비게이션 장치 등 다양한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장치"는 근거리 통신에 의하여 무선으로 상기 전자장치(100)에 연결될 수 있는 블루투스 통신 장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장치와 같은 근거리 통신 장치, 및 WiFi Direct 통신 장치,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장치는 다른 장치,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데스크탑 PC, 및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전자장치(100)는 제어부(110),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저장부(175), 전원공급부(180) 및 표시부(190) 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 오디오재생 모듈(142) 및 동영상재생 모듈(14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50)은 제1 카메라(151) 및 제2 카메라(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입/출력 모듈(160)은 버튼(161), 마이크(162), 스피커(163), 진동모터(164), 커넥터(165), 및 키패드(16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2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도시되지 아니함)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을 통해 전자장치(100)가 외부 장치와 연결되도록 한다. 이동통신 모듈(120)은 전자장치(100)에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가지는 휴대폰(도시되지 아니함), 스마트폰(도시되지 아니함), 태블릿PC 또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문자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를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서브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과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랜 모듈(131)만 포함하거나, 근거리통신 모듈(132)만 포함하거나 또는 무선랜 모듈(131)과 근거리통신 모듈(132)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무선랜 모듈(131)은 Wi-Fi 모듈을 포함하며 제어부(110)와의 연동을 통해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도시되지 아니함)가 설치된 장소에서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무선랜 모듈(131)은 미국전기전자학회(IEEE)의 무선랜 규격(IEEE802.11x)을 지원한다.
근거리 통신 모듈(132)은 제어부(110)와의 연동을 통해 무선 근거리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근거리 통신 모듈(132)은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모듈,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어부(110)는 무선랜 모듈(131)을 이용하여 화면 공유 모드에서 전자장치의 표시 데이터를 외부 출력 장치로 전송(출력)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 오디오재생 모듈(142) 또는 동영상재생 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통신 모듈(14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방송통신 안테나(도시되지 아니함)를 통해 방송국에서부터 송출되는 방송 신호(예, TV방송 신호, 라디오방송 신호 또는 데이터방송 신호) 및 방송부가 정보(예, EPS(Electric Program Guide) 또는 ESG(Electric Service Guide))를 수신할 수 있다. 오디오재생 모듈(142)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예, 파일 확장자가 mp3, wma, ogg 또는 wa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동영상 파일(예, 파일 확장자가 mpeg, mpg, mp4, avi, mov, 또는 mk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을 제외하고 오디오재생 모듈(142)과 동영상재생 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모듈(140)의 오디오재생 모듈(142) 또는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제어부(110)에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5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정지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151) 및 제2 카메라(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카메라(151) 또는 제2 카메라(152)는 촬영에 필요한 광량을 제공하는 보조 광원(예, 플래시(도시되지 아니함))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51)는 상기 전자장치(100) 전면에 배치되고, 제2 카메라(152)는 상기 전자장치(10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달리 취한 방식으로, 제1 카메라(151)와 제2 카메라(152)는 인접(예, 제1 카메라(151)와 제2 카메라(152)의 간격이 1 cm 보다 크고, 8 cm 보다는 작은)하게 배치되어 3차원 정지이미지 또는 3차원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GPS 모듈(155)은 지구 궤도상에 있는 복수의 GPS위성(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전파를 수신하고, GPS위성(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전자장치(100)까지 전파도달시간(Time of Arrival)을 이용하여 전자장치(100)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입/출력 모듈(160)은 복수의 버튼(161), 마이크(162), 스피커(163), 진동모터(164), 커넥터(165), 및 키패드(16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161)은 상기 전자장치(100)의 하우징의 전면, 측면 또는 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원/잠금 버튼(도시되지 아니함), 볼륨버튼(도시되지 아니함), 메뉴 버튼, 홈 버튼, 돌아가기 버튼(back button) 및 검색 버튼(16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62)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음성(voice) 또는 사운드(sound)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한다.
스피커(163)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또는 카메라 모듈(150)의 다양한 신호(예, 무선신호, 방송신호, 디지털 오디오 파일, 디지털 동영상 파일 또는 사진 촬영 등)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전자장치(100)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전자장치(100)가 수행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사운드(예, 전화 통화에 대응되는 버튼 조작음, 또는 통화 연결음)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상기 전자장치(100)의 하우징의 적절한 위치 또는 위치들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모터(164)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드에 있는 전자장치(100)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음성통화가 수신되는 경우, 진동모터(164)가 동작한다. 상기 전자장치(100)의 하우징 내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모터(164)는 터치스크린(190) 상을 터치하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 및 터치스크린(190) 상에서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응답하여 동작할 수 있다.
커넥터(165)는 상기 전자장치(100)와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전자장치(10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전자장치(100)의 저장부(175)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 전송하거나 또는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장치(100)는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전원을 입력받거나, 상기 전원소스를 이용하여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를 충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어부(110)는 커넥터(165)를 이용하여 화면 공유 모드에서 전자장치의 표시 데이터를 외부 출력 장치로 전송(출력)할 수 있다.
키패드(166)는 전자장치(100)의 제어를 위해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키패드(166)는 전자장치(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터치스크린(190)에 표시되는 가상의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장치(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는 전자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제외될 수 있다.
이어폰 연결잭(Earphone Connecting Jack, 167)에는 이어폰(도시되지 아니함)이 삽입되어 상기 전자장치(100)에 연결될 수 있다.
센서 모듈(170)은 전자장치(100)의 상태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모듈(170)은 사용자의 전자장치(100)에 대한 접근여부를 검출하는 근접센서, 전자장치(100) 주변의 빛의 양을 검출하는 조도센서(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전자장치(100)의 동작(예, 전자장치(100)의 회전, 전자장치(100)에 가해지는 가속도 또는 진동)을 검출하는 모션센서(도시되지 아니함), 지구 자기장을 이용해 방위(point of the compass)를 검출하는 지자기 센서(Geo-magnetic Sensor, 도시되지 아니함), 중력의 작용 방향을 검출하는 중력 센서(Gravity Sensor), 대기의 압력을 측정하여 고도를 검출하는 고도계(Altimeter)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에 대응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센서모듈(170)의 센서는 전자장치(100)의 성능에 따라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저장부(175)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터치스크린(190)의 동작에 대응되게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75)는 전자장치(100) 또는 제어부(11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저장부”라는 용어는 저장부(175), 제어부(110)내 롬(112) 또는 램(113)을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75)는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및 Memory Stick 등의 외장형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75)는 HDD(Hard Disk Drive) 및 SSD(Solid State Disk) 등과 같은 디스크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원공급부(18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전자장치(100)의 하우징에 배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는 전자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공급부(180)는 커넥터(165)와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외부의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전자장치(10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80)는 무선 충전 기술을 통해 외부의 전원소스로부터 무선으로 입력되는 전원을 전자장치(100)로 공급할 수도 있다.
표시부(19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로서 PMOLED 또는 AMOLED)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종 표시 정보를 출력한다. 표시부(190)는 저항막(resistive) 방식, 정전용량(capacitive) 방식, 적외선(infrared) 방식 또는 초음파(acoustic wave) 방식 등으로 구현되는 터치스크린(예를 들어, Touch Screen Panel; TSP)과 터치스크린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90)는 터치스크린 이외에도 전자유도 방식으로 사용자의 펜 입력(예를 들어, Samsung의 S펜)을 입력받을 수 있는 패널과 대응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표시부(190)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예, 통화, 데이터 전송, 방송, 사진촬영)에 대응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표시부(190)의 터치스크린은 유저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터치스크린 컨트롤러(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표시부(190)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예, 엄지를 포함하는 손가락) 또는 터치가능한 입력 수단(예, 스타일러스 펜)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터치 입력을 입력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서 터치는 표시부(예를 들어, 터치스크린)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과의 접촉에 한정되지 않고, 비접촉(예, 터치스크린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과 검출가능한 간격이 1 mm 이하)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 컨트롤러는 표시부(190)의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수신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예, X와 Y좌표)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제어부(110)는 터치스크린 컨트롤러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표시부(190)의 터치스크린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터치에 응답하여 표시부(190)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이 선택되거나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터치스크린 컨트롤러는 제어부(11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제어부(110)는 CPU(111), 전자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112) 및 전자장치(1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기억하거나, 전자장치(100)에서 수행되는 작업을 위한 기억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113)을 포함할 수 있다. CPU(111)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또는 쿼드 코어와 같이 다중 코어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CPU(111), 롬(112) 및 램(113)은 내부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 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저장부(175), 전원공급부(180) 및 표시부(19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전자장치의 사용 방법에 있어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화면 공유 모드가 요청되는 과정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대응되는 표시 데이터를 설정된 외부 출력 장치로의 전송을 시작하는 과정과, 전자장치의 표시화면에는 미리 설정된 입력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입력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의 수행과 관련된 일련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0)의 상세한 동작은 후술되는 바를 통해 기재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를 사용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를 사용하는 과정에 대한 제1예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를 사용하는 과정에 대한 제2예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를 사용하는 과정에 대한 제3예시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를 사용하는 과정에 대한 제4예시도이다. 도 4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를 사용하는 과정에 대한 제5예시도이다. 도 4e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를 사용하는 과정에 대한 제6예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술한다.
S201-S202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화면 공유 모드의 실행이 요청되는지 확인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의 사용자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에 외부 출력 장치를 선택하여 화면 공유 모드(Screen Share mode)의 실행을 요청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예를 들면, 사용자는 화면 공유 모드에서 유선(예를 들어, HDMI 케이블을 통해) 또는 무선(예를 들어, Wi-Fi 근거리 통신을 통해) 통신을 통해 전자장치(100)로부터 표시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할(표시할) 외부 출력 장치(300)를 선택한 후에 화면 공유 모드의 실행을 요청할 수 있다.
이 때, 외부 출력 장치(300)는 전자장치(100)의 표시부(190)보다 큰 화면 크기 또는 큰 해상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경우에 해당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여기서, 외부 출력 장치(300)의 예로는 TV(TeleVision), 모니터(Monitor), 노트북(NoteBook) 또는 태블릿(Tablet) 등을 열거할 수 있으며, 열거한 바에 의해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S203에서 제어부(110)는 실행된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데이터를 설정된 외부 출력 장치로의 전송을 시작하고, S204에서, 제어부(110)는 전자장치의 표시화면에는 미리 설정된 입력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미러링(Mirroring)과 같은 종래기술은 미러링이라는 용어처럼 전자장치의 전자장치의 표시화면과 외부 출력 장치의 표시화면은 동일한 내용을 표시한다. 즉, 미러링의 경우, 전자장치의 표시화면에 표시될 표시데이터가 전자장치의 표시화면에 표시되면서, 외부 출력 장치로도 전송되어 외부 출력 장치에서 표시된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화면 공유 모드(Screen Sharing mode)가 실행되면, 제어부(110)는 표시부(190)의 표시화면을 통해 표시될 표시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외부 출력 장치로 출력(또는 전송)되고, 표시부(190)를 통해서는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이후, 제어부(110)는 표시 데이터를 표시화면에 표시하지 않는 대신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90)의 표시화면을 통해서는 화면 공유 모드의 실행에 따라 미리 설정된 입력 인터페이스(410)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전술한 입력 인터페이스에 대해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입력 인터페이스는 도 4a에 도시된 410의 입력 인터페이스 또는 420의 입력 인터페이스와 같이, 전자장치의 표시화면을 미리 설정된 개수의 분할화면들로 분할한 후에, 분할화면 별로 미리 설정된 입력이 배치되는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후, 분할화면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분할화면에 대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터치 입력이 감지된 분할화면에 배치된 미리 설정된 입력으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또는 전자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여, 사용자는 제어 결과를 외부 출력 장치(300)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표시부(190)의 표시화면에 표시되는 입력 인터페이스(410)는 터치 영역(411), 포인터 영역(412), 설정(menu or preference, 413), 화면 전환(414), back(415) 등의 입력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a에서, 터치 영역(411)은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 가능한 탭(tap), 더블 탭(double tap), 플릭(flick), 드래그(drag), 드래그 앤 드랍(drag and drop), 스와이프(swipe), 멀티 스와이프(multiswipes), 핀치 줌인 (pinch zoom in), 핀치 줌 아웃(pinch zoom out), 롱터치(long touch 또는 touch and hold)등의 터치 입력을 입력할 수 있는 영역을 포함한다.
도4a의 포인터 영역(412)은 포인터(pointer)를 제어할 수 있는 영역으로, 포인터는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데이터가 전자장치(100)의 표시화면에 표시되지 않으므로, 포인터(311)는 도 4c에 도시된 310의 예와 같이 외부 출력 장치(300)에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포인터 영역(412)에 대한 터치 입력을 통해 포인터(311)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설정(413)은 전자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영역이다. 예를 들어, 설정(413)에 대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10)는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게임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설정 메뉴가 표시되거나, 전자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설정 메뉴가 표시될 수 있다.
화면 전환(414)은 표시 인터페이스와 전자장치(100)의 임의의 다른 화면으로의 전환을 요청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영역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화면 전환(414)에 대한 터치 입력을 통해서, 전자장치(100)의 표시화면에 인터페이스 대신에 홈 화면(Home Screen)으로의 전환을 요청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예로, 전자장치(100)에는 입력 인터페이스가 표시 중이고 외부 출력 장치(300)에는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데이터가 표시 중일 때, 사용자는 화면 전환(414)에 대한 터치 입력을 통해서 입력 인터페이스 대신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데이터가 전자장치(100)의 표시화면에 표시되도록 요청할 수 있다.
Back(415)는 전자장치(100)의 사용시에 어플리케이션 또는 메뉴의 화면을 전환하거나 기능을 전환하는 등에 사용되는 back 버튼(button)의 기능을 제공하는 영역이다.
또한, 도 4a에 도시된 표시 인터페이스(420)는 퀵 패널 영역(421), 터치 영역(422) 또는 포인터 영역(423)을 포함할 수 있다.
퀵 패널 영역(421, Quick Panel)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의 동작(또는 설정)을 신속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설정 버튼(또는 아이콘 등)이 배치될 수 있는 영역이다.
터치 영역(420) 및 포인터 영역(423)은 터치 영역(411) 및 포인터 영역(412)에 대한 설명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후에 화면 공유 모드가 요청되면 전자장치의 표시화면에는 미리 설정된 입력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410 또는 420)를 표시할 수 있는데, 표시되는 입력 인터페이스는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별로 미리 설정된 것이거나 사용자가 수동으로 선택된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S204에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431의 입력 인터페이스와 432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입력 인터페이스의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이용하고자 하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선택 받고, 선택된 입력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공유 실행 모드 이전 또는 이후에, 사용자는 공유 실행 모드시에 표시된 입력 인터페이스를 설정할 수 있다. 도 4d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440 내지 449 등의 입력 중에서 입력 인터페이스에 설정하고자 하는 입력(예를 들어, 440, 441, 443, 445 또는 446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예를 들어, 440, 441, 443, 445 또는 446 등)을 선택한 후에, 각 입력에 대응되는 분할화면의 크기 또한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공유 실행 모드시에 표시되는 입력 인터페이스의 분할화면의 개수, 각 분할화면의 크기 또는 각 분할화면에 설정되는 입력 등을 설정할 수 있다.
S205에서 제어부(110)는 표시된 입력 인터페이스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입력되는지 감지하고, S206에서 제어부(110)는 감지된 터치 입력에 따라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한다.
표시된 입력 인터페이스의 분할화면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분할화면에 대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10)는 터치 입력이 감지된 분할화면에 미리 설정된 입력으로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제어한다. 도 4a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사용자는 왼손으로는 터치 영역(411)을 터치하고 오른손으로는 포인터 영역(412)을 터치하는 것과 같이, 양손을 이용하여 표시된 입력 인터페이스(410)에 대한 터치 입력을 입력하여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인터 영역(412)에 대한 오른손의 터치 입력으로 포인터를 이동한 후에, 터치 영역(411)에 대한 왼손의 터치 입력으로 포인터가 위치한 지점에 대한 포인터 액션(예를 들어, 선택 또는 실행)이 요청될 수 있따.
한편,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분할화면에 대한 터치 입력으로 어플리케이션의 동작(또는 전자장치의 동작)을 제어함에 있어서, 분할화면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분할화면에 대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터치 입력이 감지된 분할화면만을 활성화하고, 터치 입력이 감지된 분할화면을 제외한 나머지 분할화면들을 비활성화한 후에, 활성화된 분할화면에 대해 입력되는 터치 입력에 따라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410의 입력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상태에서, 터치 영역(411)에 대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10)는 나머지 412 내지 415의 분할영역을 비활성화하여, 412 내지 415의 분할영역에 대한 터치입력이 불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가 전자장치(100)를 파지하여 사용함에 있어서, 왼손, 오른손 또는 양손을 이용하여 입력 인터페이스를 조작할 때, 원치 않는 입력이 입력 인터페이스로 입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화면 공유 모드는 별도의 중지 요청이 있기 전까지 S203 이후로 지속적으로 실행 중이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자장치(100)의 표시화면에 표시중인 입력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게 되면, 제어 결과(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화면)는 외부 출력 장치(300)로 출력(또는 전송)될 것이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한 제어 결과를 외부 출력 장치(300)를 통해 확인하면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어부(110)는 분할화면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분할화면에서 시작된 후에 다른 분할화면에서 종료되는 터치 입력이 입력되면, 터치 입력이 시작된 분할화면에 미리 설정된 입력으로 입력된 터치 입력에 대응되게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e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461 및 462의 분할영역에 대해서, 463 및 464의 터치 입력과 같이, 461의 분할영역에서 시작되어 462의 분할영역에서 종료되는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10)는 463 및 464의 터치 입력(예를 들어, 스와이프 또는 드래그 터치 입력)이 461의 분할영역에 대해서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10)는 461의 분할영역(예를 들어, 터치 영역)에 대해 설정된 입력(예를 들어, 터치 입력)으로 463 및 464의 터치 입력에 대응되게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며, 사용자는 제어 결과를 외부 출력 장치(300)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471 및 472의 분할영역에 대해서, 473 및 474의 터치 입력과 같이, 472의 분할영역에서 시작되어 471의 분할영역에서 종료되는 터치 입력이 감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10)는 473 및 474의 터치 입력이 472의 분할영역에 대해서 입력된 터치 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후, 472의 분할영역은 포인터 영역이므로, 제어부(110)는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에 표시중인 포인터가 473 및 474의 터치 입력이 움직임에 대응되게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사용자는 전자장치(100)의 표시화면을 확인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와 외부 출력 장치(300)의 화면 공유 모드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전자장치(100)에서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함에 있어서, 게임 어플리케이션의 표시(또는 출력)은 외부 출력 장치(300)를 이용하고, 게임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예를 들어, 게임 조작)는 전자장치(100)에 표시되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며,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으로부터 균등하게 대체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16)

  1. 전자장치의 사용 방법에 있어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화면 공유 모드가 요청되는 과정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대응되는 표시 데이터를 설정된 외부 출력 장치로의 전송을 시작하는 과정과,
    전자장치의 표시화면에는 미리 설정된 입력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입력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사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과정은,
    입력 인터페이스의 목록을 표시하여 어느 하나를 선택 받는 과정과,
    선택된 입력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사용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전자장치의 표시화면을 미리 설정된 개수의 분할화면들로 분할하는 과정과,
    상기 분할화면 별로 미리 설정된 입력을 배치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사용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분할화면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분할화면에 대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터치 입력이 감지된 분할화면에 미리 설정된 입력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사용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분할화면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분할화면에 대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터치 입력이 감지된 분할화면만을 활성화하는 과정과,
    상기 활성화된 분할화면에 대해 입력되는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활성화된 분할화면에 미리 설정된 입력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사용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화면들 중에서 상기 터치 입력이 감지된 분할화면을 제외한 나머지 분할화면들을 비활성화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사용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분할화면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분할화면에서 시작된 후에 다른 분할화면에서 종료되는 터치 입력이 입력되면, 상기 터치 입력이 시작된 분할화면에 미리 설정된 입력으로 상기 입력된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사용 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개수, 상기 분할화면 각각의 크기 또는 상기 미리 설정된 입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사용자에 설정 가능한 전자장치의 사용 방법.
  9. 전자장치의 사용 장치에 있어서,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표시부와,
    무선랜 모듈과,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화면 공유 모드가 요청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대응되는 표시 데이터를 상기 무선랜 모듈을 통해 설정된 외부 출력 장치로의 전송을 시작하고,
    상기 표시부의 표시화면에는 미리 설정된 입력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입력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사용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표시함에 있어서,
    입력 인터페이스의 목록을 표시하여 어느 하나를 선택 받고, 선택된 입력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전자장치의 사용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표시함에 있어서,
    상기 표시화면을 미리 설정된 개수의 분할화면들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화면 별로 미리 설정된 입력을 배치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전자장치의 사용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함에 있어서,
    상기 분할화면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분할화면에 대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터치 입력이 감지된 분할화면에 미리 설정된 입력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자장치의 사용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함에 있어서,
    상기 분할화면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분할화면에 대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터치 입력이 감지된 분할화면만을 활성화하고,
    상기 활성화된 분할화면에 대해 입력되는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활성화된 분할화면에 미리 설정된 입력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자장치의 사용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할화면들 중에서 상기 터치 입력이 감지된 분할화면을 제외한 나머지 분할화면들을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전자장치의 사용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함에 있어서,
    상기 분할화면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분할화면에서 시작된 후에 다른 분할화면에서 종료되는 터치 입력이 입력되면,
    상기 터치 입력이 시작된 분할화면에 미리 설정된 입력으로 상기 입력된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자장치의 사용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개수, 상기 분할화면 각각의 크기 또는 상기 미리 설정된 입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사용자에 설정 가능한 전자장치의 사용 장치.
KR1020130053798A 2013-05-13 2013-05-13 전자장치의 사용 방법 및 장치 KR20140134088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798A KR20140134088A (ko) 2013-05-13 2013-05-13 전자장치의 사용 방법 및 장치
US14/275,151 US20140337769A1 (en) 2013-05-13 2014-05-12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electronic device
CN201480027544.5A CN105210026B (zh) 2013-05-13 2014-05-13 使用电子设备的方法和装置
AU2014266178A AU2014266178A1 (en) 2013-05-13 2014-05-13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electronic device
PCT/KR2014/004271 WO2014185690A1 (en) 2013-05-13 2014-05-13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electronic device
EP14798013.0A EP2997448A4 (en) 2013-05-13 2014-05-13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798A KR20140134088A (ko) 2013-05-13 2013-05-13 전자장치의 사용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4088A true KR20140134088A (ko) 2014-11-21

Family

ID=51865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3798A KR20140134088A (ko) 2013-05-13 2013-05-13 전자장치의 사용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40337769A1 (ko)
EP (1) EP2997448A4 (ko)
KR (1) KR20140134088A (ko)
CN (1) CN105210026B (ko)
AU (1) AU2014266178A1 (ko)
WO (1) WO20141856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9056B1 (ko) * 2013-07-19 2020-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730315B1 (ko) 2015-11-05 2017-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을 공유하는 전자 기기 및 방법
US10560499B2 (en) 2015-12-31 2020-02-11 Screenbeam Inc. Displaying content from multiple devices
CN106095595B (zh) * 2016-05-26 2019-10-22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应用程序间的信息共享方法及终端
CN106385608A (zh) * 2016-09-05 2017-02-08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智能电视控制方法及装置
CN110187812B (zh) * 2019-04-28 2022-04-0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激活触摸屏的方法、电子设备及触摸通讯设备
EP4066509A1 (en) 2019-11-27 2022-10-05 Screenbeam Inc. Methods and systems for reducing latency on a collaborative platform
CN111338590A (zh) * 2020-02-19 2020-06-26 北京翼鸥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屏幕共享的发起、响应方法及互动系统
CN111343488A (zh) * 2020-02-19 2020-06-26 北京翼鸥教育科技有限公司 屏幕多方共享的发起、转发、响应、接收方法及互动系统
CN112328195B (zh) * 2020-10-10 2023-10-24 当趣网络科技(杭州)有限公司 投屏控制方法、系统、电子设备及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354850A (zh) * 1999-06-09 2002-06-19 马尔文科学解法有限公司 通信系统和方法
JP5573202B2 (ja) * 2010-01-29 2014-08-20 船井電機株式会社 携帯端末および情報表示連動システム
CN102844731A (zh) * 2010-04-19 2012-12-26 株式会社Dap实现 具备触控面板机构的便携信息处理装置及该便携信息处理装置用程序
WO2012020864A1 (ko) * 2010-08-13 2012-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20050183A1 (en) * 2010-08-27 2012-03-01 Google Inc. Switching display modes based on connection state
KR20120034297A (ko) * 2010-10-01 2012-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방법
KR101761626B1 (ko) * 2010-12-21 2017-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모드 화면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AU2011202838B2 (en) * 2010-12-21 2014-04-10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a mode screen display therein
KR20130007811A (ko) * 2011-07-11 2013-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장치와 연결된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30023415A (ko) * 2011-08-29 2013-03-08 조동혁 스마트폰과 연결하여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표시하는 외부 모니터 장치와 외부 모니터 연결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및 운영체계 혹은 프로그램
JP5137150B1 (ja) * 2012-02-23 2013-02-06 株式会社ワコム 手書き情報入力装置及び手書き情報入力装置を備えた携帯電子機器
TW201407431A (zh) * 2012-08-03 2014-02-16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可攜式裝置
US10133472B2 (en) * 2013-03-15 2018-11-20 Disney Enterprises, Inc. Gesture based video clipping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210026B (zh) 2018-09-28
CN105210026A (zh) 2015-12-30
US20140337769A1 (en) 2014-11-13
EP2997448A1 (en) 2016-03-23
WO2014185690A1 (en) 2014-11-20
AU2014266178A1 (en) 2015-12-17
EP2997448A4 (en) 201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71891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multi-windows in the electronic device
US9323446B2 (en) Apparatus including a touch screen and screen change method thereof
KR20140134088A (ko) 전자장치의 사용 방법 및 장치
KR102032449B1 (ko) 이미지 표시 방법 및 휴대 단말
KR102015347B1 (ko) 터치 디바이스를 이용한 마우스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097452B1 (ko)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967386B2 (en) Mobile device connected with external input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019219B2 (en)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multiple scree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40282204A1 (en) Key input method and apparatus using random number in virtual keyboard
EP3722933B1 (en) User interface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KR20140090330A (ko) 이미지 인식을 이용한 이미지 레이아웃 방법 및 장치
US20140281962A1 (en) Mobile device of executing action in display unchecking mod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009816B1 (ko)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US20150007036A1 (en) Electronic device for sharing question messag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US2014025892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screen image
US1014634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US20140195990A1 (en) Mobile device system providing hybrid widget and associated control
KR20140131051A (ko)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4026711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screen in a portable terminal
KR20130123794A (ko) 메모용 어플리케이션
KR2014011709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89714A (ko) 상태 바를 변경하는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385946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40089869A (ko) 스크린을 통해 표시되는 컨텐츠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