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9869A - 스크린을 통해 표시되는 컨텐츠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단말기 - Google Patents

스크린을 통해 표시되는 컨텐츠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9869A
KR20140089869A KR1020130001827A KR20130001827A KR20140089869A KR 20140089869 A KR20140089869 A KR 20140089869A KR 1020130001827 A KR1020130001827 A KR 1020130001827A KR 20130001827 A KR20130001827 A KR 20130001827A KR 20140089869 A KR20140089869 A KR 201400898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s
screen
thumbnails
mobile terminal
prio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1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완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1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9869A/ko
Publication of KR20140089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98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사용성 증대를 위하여 다수의 컨텐츠들을 사용자의 편이대로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스크린을 통해 표시되는 컨텐츠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단말기를 제공한다. 모바일 단말기는, 핀치 줌 동작을 위한 제1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경우, 최우선 이미지에 제1우선객체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최우선 이미지에 상기 제1우선객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제1우선객체가 포함된 제1이미지들을 추출하는 제어부와, 상기 최우선 이미지 및 상기 제1이미지들 각각에 대응하는 썸네일들이 제1기준값의 개수만큼 포함된 제1화면을 표시하는 스크린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크린을 통해 표시되는 컨텐츠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단말기{METHOD FOR CONTROLLING CONTENTS DISPLAYED ON TOUCH SCREEN AND MOBILE TERMINAL THEREFOR}
본 발명은 스크린을 통해 표시되는 컨텐츠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사용성 증대를 위하여 다수의 컨텐츠들을 사용자의 편이대로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스크린을 통해 표시되는 컨텐츠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모바일 단말기 보급률의 급속한 증가로 모바일 단말기는 현대인의 생활 필수품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모바일 단말기는 고유의 음성 통화 서비스뿐만 아니라 각종 데이터 전송 서비스와 다양한 부가 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기능상 멀티미디어 통신기기로 변모하고 있다. 특히나 최근에는 사용자가 직접 표시되고 있는 화면을 보면서 특정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기반의 모바일 단말기가 사용자들에게 선호되고 있다.
사용자는 스크린을 통해 표시되는 다수의 컨텐츠들(예를 들어, 썸네일)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거나 또는 하나의 컨텐츠 중에서도 특정 부분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 내에 저장된 이미지들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는 이미지들 각각에 대응하는 썸네일들을 나열하여 표시한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썸네일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선택된 썸네일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스크린 상에 표시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스크린에 배열된 다수 개의 썸네일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원하는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으며, 또한 원하는 이미지를 확대하여 표시하도록 모바일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성 증대를 위하여 다수의 컨텐츠들을 사용자의 편이대로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스크린을 통해 표시되는 컨텐츠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을 통해 표시되는 컨텐츠를 제어하는 모바일 단말기는, 핀치 줌 동작을 위한 제1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경우, 최우선 이미지에 제1우선객체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최우선 이미지에 상기 제1우선객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제1우선객체가 포함된 제1이미지들을 추출하는 제어부와, 상기 최우선 이미지 및 상기 제1이미지들 각각에 대응하는 썸네일들이 제1기준값의 개수만큼 포함된 제1화면을 표시하는 스크린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을 통해 표시되는 컨텐츠를 제어하는 방법은, 핀치 줌 동작을 위한 제1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경우, 최우선 이미지에 제1우선객체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최우선 이미지에 상기 제1우선객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제1우선객체가 포함된 제1이미지들을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최우선 이미지 및 상기 제1이미지들 각각에 대응하는 썸네일들을 제1기준값만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성 증대를 위하여 다수의 컨텐츠들을 사용자의 편이대로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스크린을 통해 표시되는 컨텐츠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단말기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제어부(110), 저장부(175), 스크린(190)을 포함하며,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 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 모듈(153),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전원 공급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CPU(111), 모바일 단말기(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112) 및 모바일 단말기(1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기억하거나, 모바일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작업을 위한 기억 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113)을 포함할 수 있다. CPU(111)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또는 쿼드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CPU(111), 롬(112) 및 램(113)은 내부 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 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 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저장부(175), 전원공급부(180), 스크린(190) 및 스크린 컨트롤러(195)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0)는 스크린(190) 또는 스크린 컨트롤러(195)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스크린(190)을 통해 표시되고 있는 각종 컨텐츠들 또는 상기 컨텐츠들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0)는 저장부(175)에 저장되어 있는 다수개의 이미지들 각각에 대응하는 썸네일을 생성하여 상기 저장부(175)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이미지 표시 또는 편집을 위한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어부(110)는 저장부(175)에 저장되어 있는 다수개의 이미지들을 표시하거나 편집할 수 있으며 이미지들 각각에 대응하는 썸네일들을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제어부(110)는 저장부(175)에 저장되어 있던 이미지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대응하는 썸네일들을 스크린(190)을 통해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110)는 썸네일들 각각에 지정된 우선 순위를 확인하고, 우선 순위가 높은 이미지의 썸네일부터 우선 순위가 낮은 이미지의 썸네일의 순으로 썸네일들을 배열하여 표시하도록 모바일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썸네일들의 배열이 완료되면, 제어부(110)는 제1사용자 입력으로서 핀치 줌을 위한 입력이 사용자로부터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핀치 줌(pinch zoom)" 동작은, 사용자의 펼쳐져 서로 떨어져 있던 두 개의 손가락이 스크린(190) 위에서 오무려짐으로써 닿거나 또는 사용자의 오무려져 서로 닿아 있던 두 개의 손가락이 스크린(190) 위에서 펼쳐져 서로 떨어짐으로써 스크린(190)에 표시되고 있던 컨텐츠가 줌 인 또는 줌 아웃되는 것을 가리킨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핀치 줌" 동작을 줌 아웃에 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100)의 핀치 줌 동작은 스크린(190)을 통해 표시되는 컨텐츠, 예를 들어 썸네일의 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핀치 줌 동작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해당 핀치 줌 동작을 수행할 때마다 모바일 단말기(100)의 스크린(190)에 표시되는 컨텐츠들은 줌 아웃되어 컨텐츠들의 수가 늘어날 수 있다.
핀치 줌 동작을 위한 제1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제어부(110)는 제1기준값(예를 들어, 8개) 만큼의 썸네일들만을 표시하도록 스크린(190) 또는 스크린 컨트롤러(195)를 제어할 수 있다.
핀치 줌 동작을 위한 제1사용자 입력이 입력되면, 제어부(110)는 스크린(190) 또는 스크린 컨트롤러(195)를 제어하여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이미지(이하, '최우선 이미지')에 제1우선 객체(예를 들어, '사람 1')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최우선 이미지에 제1우선 객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10)는 제1우선 객체가 포함된 제1이미지들(예를 들어, '사람 1'이 포함된 제1이미지들)을 저장부(175)로부터 추출한다. 상기 제1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서, 제어부(110)는 최우선 이미지 및 제1이미지들 각각에 대응하는 썸네일들을 표시하도록 스크린(190) 및 스크린 컨트롤러(195)를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우선 순위에 따라 추출된 이미지들 각각에 대응하는 썸네일들이, 해당 우선 순위에 따라 배열되어 표시되는 것이 본 실시예에서의 핀치 줌 동작이다.
예를 들어, 스크린(190)은, 제1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서 '사람 1'이 각각 포함된 8개 제1이미지들에 대응하는 8개의 썸네일들을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8개의 썸네일들은, 상기 최우선 이미지에 대응하는 썸네일부터 그 외의 썸네일의 순서대로 스크린(190)에 표시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이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상기의 제1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제1이미지들 각각에 대응하는 썸네일들이 표시된 화면을 '제1화면'이라 하기로 한다.
최우선 이미지에 제1우선 객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최우선 이미지에 포함된 제2우선 객체가 포함된 제2이미지들(예를 들어, 최우선 이미지 외의 '장소 1'이 포함된 이미지들)을 저장부(175)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제1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서, 제어부(110)는 최우선 이미지 및 상기 제2이미지들 각각에 대응하는 썸네일들을 표시하도록 스크린(190) 및 스크린 컨트롤러(195)를 제어한다.
상기 제1화면이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 제어부(110)는 핀치 줌을 위한 제2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핀치 줌 동작을 위한 제2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제어부(110)는 제2기준값(예를 들어, 16개) 만큼의 썸네일만을 표시하도록 스크린(190) 또는 스크린 컨트롤러(195)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2기준값은 제1기준값보다 크다.
핀치 줌 동작을 위한 제2사용자 입력이 입력되면, 제어부(110)는 스크린(190) 또는 스크린 컨트롤러(195)를 제어하여 제1우선 객체(예를 들어, '사람 1')가 포함되어 있는 제1이미지들 중 상기 제1화면에 표시되고 있지 않은 제1이미지들을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최우선 이미지에 대응하는 썸네일, 제1화면에 표시되었던 썸네일들 및 상기 제1화면에 표시되고 있지 않았던 제1이미지들 각각에 대응하는 썸네일들을 표시하도록 스크린(190) 또는 스크린 컨트롤러(195)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75)에 '사람 1'을 포함한 제1이미지가 20개라고 가정한다. 제1사용자 입력에 의한 제1화면에는 20개의 제1이미지들 중 8개의 제1이미지들 각각에 대응하는 썸네일들만이 표시된다. 이때 제2사용자 입력이 입력되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제1화면에 표시된 썸네일들 각각에 대응하는 이미지들 외의 제1이미지들을 추출한다. 그에 따라 제2화면에는 최우선 이미지에 대응하는 썸네일을 포함한 16개의 제1이미지들 각각에 대응하는 썸네일들이 표시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핀치 줌 동작을 위한 제2사용자 입력이 입력되었을 때, 제어부(110)는 제1우선 객체를 포함한 이미지가 제2기준값보다 적은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2기준값보다 적은 경우, 제어부(110)는 최우선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들 중 제2우선객체(예를 들어, '장소 1')가 포함되어 있는 제2이미지들을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최우선 이미지, 제1이미지들 및 제2이미지들 각각에 대응하는 썸네일들을 표시하도록 스크린(190) 및 스크린 컨트롤러(195)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75)에 '사람 1'을 포함한 제1이미지들이 10개라고 가정한다. 제1사용자 입력에 의한 제1화면에는 10개의 제1이미지들 중 8개의 제1이미지들 각각에 대응하는 썸네일들이 표시된다. 제1화면이 표시되던 중 제2사용자 입력이 입력되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제1화면에 표시된 썸네일들 각각에 대응하는 이미지들 외의 제1이미지들로서 2개의 제1이미지들을 더 추출한다. 그러나 제2화면에는 16개의 썸네일이 표시되어야 하므로 썸네일들의 수가 모자라게 된다. 그에 따라 제어부(110)는 최우선 이미지 외에 제2우선객체(예를 들어, '장소 1')가 포함된 제2이미지들을 추가적으로 추출한다. 그에 따라 제2화면에는 최우선 이미지를 포함한 10개의 제1이미지들, 상기 최우선 이미지를 제외한 6개의 제2이미지들 각각에 대응하는 썸네일들이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2사용자 입력이 입력되면, 제어부(110)는 제1이미지의 잔여 여부와 상관없이 제2이미지들을 추출하고, 상기 제2이미지들 각각에 대응하는 썸네일들을 제2화면에 표시하도록 스크린(190) 및 스크린 컨트롤러(195)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제3사용자 입력에 따른 제3화면, 제4사용자 입력에 따른 제4화면, ... , 제N사용자 입력에 따른 제N화면이 스크린(190)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입/출력 모듈(160)을 제어하여 핀치 줌 아웃 동작시에 이미지들을 추출하는 기준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우선 순위에 따른 객체(예를 들어, 제1우선객체, 제2우선객체, 제3우선객체, ... , 제N우선객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추출된 이미지들 각각에 대응하는 썸네일들을 정렬함에 있어 적용될 수 있는 우선 순위를 입/출력 모듈(160)을 통해 입력받을 수 있다.
입/출력 모듈(160)은 마이크(162)를 포함하며, 복수의 버튼(161), 스피커(163) 진동 모터(164), 커넥터(165) 및 키패드(166)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버튼(161)은 모바일 단말기(100)의 하우징의 전면, 측면 또는 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원/잠금 버튼(160a), 볼륨 버튼(미도시), 메뉴 버튼(161b), 홈 버튼(161a), 돌아가기 버튼(back button)(161c) 및 검색 버튼(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버튼(161)은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버튼(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버튼(161)은 적어도 하나의 우선객체 또는 우선객체들 각각의 우선권 순위를 지정하기 위한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62)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음성(voice) 또는 사운드(sound)를 입력받고, 상기 음성 또는 사운드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한다.
스피커(163)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또는 카메라 모듈(150)의 다양한 신호(예를 들어, 무선신호, 방송신호, 디지털 오디오 파일, 디지털 동영상 파일 또는 사진 촬영 등)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모바일 단말기(100)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모바일 단말기(100)가 수행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사운드(예를 들어, 전화 통화에 대응되는 버튼 조작음, 또는 통화 연결음)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하우징의 적절한 위치 또는 위치들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 모터(164)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기(100)가 진동 모드이고, 다른 장치(미도시)로부터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로 음성통화가 수신되는 경우, 진동 모터(164)가 동작한다. 이러한 진동 모터(164)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하우징 내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 모터(164)는 스크린(190), 그 중에서도 터치 스크린의 특정 지점을 터치하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 및 스크린(190) 상에서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응답하여 동작할 수 있다.
커넥터(165)는 모바일 단말기(100)와 외부 장치(미도시) 또는 전원 소스(미도시)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이용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100)의 저장부(175)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 장치(미도시)로 전송하거나 또는 외부 장치(미도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100)는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전원 소스(미도시)로부터 전원을 입력받거나, 상기 전원 소스를 이용하여 배터리(미도시)를 충전할 수 있다.
키패드(166)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제어를 위해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키패드(166)는 모바일 단말기(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미도시) 또는 스크린(190)에 표시되는 가상의 키패드(미도시)를 포함한다. 모바일 단말기(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미도시)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제외될 수 있다.
이어폰 연결잭(Earphone Connecting Jack, 167)에는 이어폰(미도시)이 삽입되어 모바일 단말기(100)에 연결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5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제1카메라(151) 및 제2카메라(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카메라(151) 또는 제2카메라(152)는 촬영에 필요한 광량을 제공하는 보조 광원(예를 들어 플래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카메라(151)는 모바일 단말기(100) 전면에 배치되고, 제2카메라(152)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1카메라(151)와 제2카메라(152)는 인접(예를 들어, 제1카메라(151)와 제2카메라(152)의 간격이 8cm 이하인)하게 배치되어 3차원 정지이미지 도는 3차원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저장부(175)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 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터치스크린(190)의 동작에 대응되게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75)는 모바일 단말기(100) 또는 제어부(11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라는 용어는 저장부(175), 제어부(110) 내의 롬(112), 램(113) 또는 모바일 단말기(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미도시)(예, SD 카드, 메모리 스틱)을 포함한다. 저장부(175)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및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75)에는 제1기준값, 제2기준값을 저장될 수 있으며, 제1우선객체, 제2우선객체, 제3우선객체, ... , 제N우선객체 각각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가 마이크(162)를 통해 선택 텍스트에 대응하는 음성을 입력하면, 상기 마이크(162)는 상기 음성을 이용하여 음성 신호를 생성한다.
터치 스크린의 형태로 구현된 스크린(190)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예를 들어, 통화, 데이터 전송, 방송, 사진촬영)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스크린(19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스크린 컨트롤러(195)로 전송할 수 있다. 스크린(190)은 사용자의 신체(예를 들어, 엄지를 포함하는 손가락)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터치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스크린(190)은 적어도 하나의 터치 중에서, 하나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을 입력받을 수 있다. 스크린(190)은 입력되는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스크린 컨트롤러(195)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제1사용자 입력, 제2사용자 입력, 제3사용자 입력, ..., 제N사용자 입력은 모두 터치의 형태로 모바일 단말기(100)에 입력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터치는 스크린(190)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과의 접촉에 한정되지 않고, 비접촉(예, 스크린(190))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과 검출 가능한 간격이 1mm 이하)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190)에서 검출 가능한 간격은 모바일 단말기(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스크린(190)은 예를 들어, 저항막(resistive) 방식, 정전용량(capacitive) 방식, 적외선(infrared) 방식 또는 초음파(acoustic wave)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20)은 제어부(110)의 제어하에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미도시)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100)가 외부 장치와 연결되도록 한다. 이때 모바일 단말기(100)와 외부 장치는 이동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20)은 모바일 단말기(100)에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가지는 휴대폰(미도시), 스마트폰(미도시), 태블릿 PC 또는 다른 장치(미도시)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문자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를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서브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과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랜 모듈(131)만 포함하거나, 근거리통신 모듈(132)만 포함할 수 있으며, 무선랜 모듈(131)과 근거리통신 모듈(132)을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무선랜 모듈(13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미도시)가 설치된 장소에서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무선랜 모듈(131)은 모바일 단말기(100)의 무선 인터넷 연결을 지원한다. 무선랜 모듈(131)은 미국전기전자학회(IEEE)의 무선랜 규격(IEEE802.11x)을 지원한다.
근거리통신 모듈(132)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100)와 화상형성장치(미도시) 사이에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방식은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Direct)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 오디오재생 모듈(142) 또는 동영상재생 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통신 모듈(14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방송통신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방송국에서부터 송출되는 방송 신호(예를 들어, TV방송 신호, 라디오방송 신호 또는 데이터방송 신호) 및 방송부가 정보(예를 들어 EPS(Electric Program Guide) 또는 ESG(Electric Service Guide))를 수신할 수 있다.
오디오재생 모듈(142)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예를 들어, 파일 확장자가 mp3, wma, ogg 또는 wa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동영상 파일(예를 들어, 파일 확장자가 mpeg, mpg, mp4, avi, mov, 또는 mk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방송통신 모듈(141), 오디오재생 모듈(142), 동영상재생 모듈(143)을 모두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모듈(140)을 도시하고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모듈(140)은 오디오재생 모듈(142) 및 동영상재생 모듈(143)만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모듈(140)의 오디오재생 모듈(142) 또는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제어부(110)에 포함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GPS 모듈(155)은 지구 궤도상에 있는 복수의 GPS 위성(미도시)에서부터 전파를 수신하고, GPS 위성(미도시)에서부터 모바일 단말기(100)까지 전파 도달 시간(Time of Arrival)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100)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 모듈(150)에 의하여 촬영된 이미지는, 해당 촬영이 이루어진 장소에 대한 위치값과 함께 모바일 단말기(100)에 저장될 수 있다. GPS 모듈(155)은 촬영 때마다 모바일 단말기(100)의 위치를 위치값으로서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상기 촬영이 이루어진 날짜 및 시각, 상기 위치값 등을 촬영된 이미지에 대응시켜 저장부(175)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저장된 이미지의 촬영 날짜, 시각 및 위치값 등이 썸네일들을 배열하는 우선 객체가 될 수 있다.
센서 모듈(170)은 모바일 단말기(100)의 상태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센서 모듈(170)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100)에 대한 접근 여부를 검출하는 근접 센서(미도시), 모바일 단말기(100) 주변의 빛의 양을 검출하는 조도 센서(미도시), 모바일 단말기(100)의 동작(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기(100)의 회전, 모바일 단말기(100)에 가해지는 가속도 또는 진동)을 검출하는 모션 센서(미도시), 지구 자기장을 이용해 방위(point of the compass)를 검출하는 지자기 센서(Geo-magnetic Sensor)(미도시), 중력의 작용 방향을 검출하는 중력 센서(Gravity Sensor), 대기의 압력을 측정하여 고도를 측정하는 고도계(Altimet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에 대응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0)의 센서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성능에 따라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센서 모듈(170)은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 센서는 스크린(190)과 근접한 일정 범위를 통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움직임(예를 들어, 사용자 손가락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예를 들어, 스크린(190)이 정전 용량 방식으로 구현되었다면, 근접 센서로 구현된 센서 모듈(170)은 상기 스크린(190)의 일정 범위(예를 들어, 스크린(190)으로부터 10cm 높이 이내)에서 발생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8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100)의 하우징에 배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미도시)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미도시)는 모바일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공급부(180)는 커넥터(165)와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외부의 전원소스(미도시)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모바일 단말기(10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80)는 무선 충전 기술을 통해 외부의 전원소스로부터 무선으로 입력되는 전원을 모바일 단말기(100)로 공급할 수도 있다.
스크린 컨트롤러(195)는 스크린(190)를 통해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 예를 들어 터치 입력를 디지털 신호(예를 들어, X와 Y좌표)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제어부(110)는 스크린 컨트롤러(195)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스크린(19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스크린(190)에 표시된 단축 아이콘(미도시)이 선택되게 하거나 또는 단축 아이콘(미도시)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또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 컨트롤러(195)는 제어부(11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100)는 서브통신 모듈(130), 커넥터(165) 및 이어폰 연결잭(167)과 같은 외부 장치 연결부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모바일 단말기(100)에 탈착되어 유선으로 연결 가능한 이어폰(Earphone), 외부 스피커(External speaker),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충전기, 크래들/도크(Cradle/Dock), DMB 안테나, 모바일 결제 관련 장치, 건강 관리 장치(혈당계 등), 게임기, 자동차 내비게이션 장치 등 다양한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는 근거리 통신에 의하여 무선으로 모바일 단말기(100)에 연결될 수 있는 블루투스 통신 장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장치와 같은 근거리 통신 장치 및 WiFi Direct 통신 장치,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는 다른 장치,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데스크탑 PC 및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를 제어하는 방법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를 제어하는 방법은 제어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상기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프로그램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기설정된 컨텐츠 보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컨텐츠 보호 방법에 필요한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요청 또는 자동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상기 송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또는 변형예가 있을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모바일 단말기 110: 제어부
120: 이동통신 모듈 130: 서브통신 모듈
131: 무선랜 모듈 132: 근거리통신 모듈
140: 멀티미디어 모듈 141: 방송통신 모듈
142: 오디오재생 모듈 143: 동영상 모듈
150: 카메라 모듈 151: 제1카메라
152: 제2카메라 153: GPS 모듈
160: 입/출력 모듈 161: 버튼
162: 버튼 163: 마이크
164: 스피커 165: 커넥터
166: 키패드 167: 이어폰 연결잭
170: 센서 모듈 175: 저장부
180: 전원공급부 190: 스크린
195: 스크린 컨트롤러

Claims (13)

  1. 스크린을 통해 표시되는 컨텐츠를 제어하는 모바일 단말기에 있어서,
    핀치 줌 동작을 위한 제1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경우, 최우선 이미지에 제1우선객체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최우선 이미지에 상기 제1우선객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제1우선객체가 포함된 제1이미지들을 추출하는 제어부와,
    상기 최우선 이미지 및 상기 제1이미지들 각각에 대응하는 썸네일들이 제1기준값의 개수만큼 포함된 제1화면을 표시하는 스크린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우선 이미지에 상기 제1우선객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2우선객체가 포함된 제2이미지들을 추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우선 이미지 및 상기 제1이미지들의 갯수가 상기 제1기준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기준값 미만인 경우 제2우선객체가 포함된 제2이미지들을 추출하여 썸네일들로 변환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상기 최우선 이미지, 상기 제1이미지들 및 상기 제2이미지들 각각에 대응하는 썸네일들을 상기 제1화면으로서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화면에 상기 최우선 이미지, 상기 제1이미지들, 상기 제2이미지들 각각에 대응하는 썸네일의 순으로 상기 제1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스크린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핀치 줌 동작을 위한 제2사용자 입력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2사용자 입력이 입력된 경우, 상기 제1이미지들 중 상기 제1화면에 포함된 썸네일에 대응하는 제1이미지 외의 제1이미지들을 추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기준값에, 상기 제1화면에 포함된 썸네일들에 대응하는 제1이미지들 외의 제1이미지들의 수를 더한 값이 제2기준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2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최우선 이미지, 상기 제1화면에 포함된 썸네일들에 대응하는 제1이미지들, 상기 제1화면에 포함된 썸네일들에 대응하는 제1이미지들 외의 제1이미지들 각각에 대응하는 썸네일들이, 상기 제2기준값만큼 포함된 제2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스크린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기준값 미만인 경우, 제2우선객체가 포함된 제2이미지들을 추출하여 썸네일들로 변환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상기 최우선 이미지, 상기 제1화면에 포함된 썸네일들에 대응하는 제1이미지들, 상기 제1화면에 포함된 썸네일들에 대응하는 제1이미지들 외의 제1이미지들, 상기 제2이미지들 각각에 대응하는 썸네일들을 상기 제2화면으로서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핀치 줌 동작을 위한 제2사용자 입력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2사용자 입력이 입력된 경우 제2우선객체가 포함된 제2이미지들을 추출하여 썸네일들로 변환하고,
    상기 최우선 이미지, 상기 제1이미지들 및 상기 제2이미지들 각각에 썸네일들이 제2기준값만큼 포함된 제2화면을 표시하도록 스크린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11.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화면에 상기 최우선 이미지, 상기 제1화면에 포함된 썸네일들에 대응하는 제1이미지들, 상기 제1화면에 포함된 썸네일들에 대응하는 제1이미지들 외의 제1이미지들, 상기 제2이미지들 각각에 대응하는 썸네일의 순으로 상기 제2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스크린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12. 스크린을 통해 표시되는 컨텐츠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핀치 줌 동작을 위한 제1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경우, 최우선 이미지에 제1우선객체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최우선 이미지에 상기 제1우선객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제1우선객체가 포함된 제1이미지들을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최우선 이미지 및 상기 제1이미지들 각각에 대응하는 썸네일들을 제1기준값만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핀치 줌 동작을 위한 제2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제2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경우, 제2우선객체가 포함된 제2이미지들을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최우선 이미지, 상기 제이미지들 및 상기 제2이미지들 각각에 대응하는 썸네일들을 제2기준값만큼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KR1020130001827A 2013-01-07 2013-01-07 스크린을 통해 표시되는 컨텐츠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단말기 KR201400898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1827A KR20140089869A (ko) 2013-01-07 2013-01-07 스크린을 통해 표시되는 컨텐츠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1827A KR20140089869A (ko) 2013-01-07 2013-01-07 스크린을 통해 표시되는 컨텐츠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9869A true KR20140089869A (ko) 2014-07-16

Family

ID=51737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1827A KR20140089869A (ko) 2013-01-07 2013-01-07 스크린을 통해 표시되는 컨텐츠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986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20476B2 (en) Electronic apparatus displaying representative inform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51908B1 (ko)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 장치 및 방법
EP275306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aying out image using image recognition
US9971484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executing one or more objects based on the relationships of the objects
US9967386B2 (en) Mobile device connected with external input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4014369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through proximity touch input
KR20140111088A (ko) 문지르기 제스처를 검출하여 미리보기를 제공하는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37848A (ko) 배터리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과 사용자 단말
KR102145577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장치
US20140282204A1 (en) Key input method and apparatus using random number in virtual keyboard
KR20140000572A (ko) 모바일 장치에서의 메뉴 표시 장치 및 방법
AU201426617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electronic device
US20140281962A1 (en) Mobile device of executing action in display unchecking mod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40141383A (ko) 협동 촬영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86815B1 (ko) 컨텐츠 스크랩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US966616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screen
US1014634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KR20150001891A (ko) 질문 메시지를 공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9189313B (zh) 移动装置及其控制方法
KR20140110646A (ko)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에서 화면 표시 방법
KR20130123794A (ko) 메모용 어플리케이션
KR20150026110A (ko) 아이콘들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단말기
KR20140102905A (ko) 스크린을 통해 표시되는 컨텐츠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113032A (ko) 휴대단말기의 표시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40111864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알람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