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7046A - 이차 전지 모듈 - Google Patents

이차 전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7046A
KR20130097046A KR1020120069374A KR20120069374A KR20130097046A KR 20130097046 A KR20130097046 A KR 20130097046A KR 1020120069374 A KR1020120069374 A KR 1020120069374A KR 20120069374 A KR20120069374 A KR 20120069374A KR 20130097046 A KR20130097046 A KR 201300970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unit
unit cell
battery module
secondary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9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중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097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70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2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6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4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 H01M50/566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by welding, soldering or braz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69Constructional details of 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detecting conditions inside cells or batteries, e.g. details of voltage sens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셀의 전기적 특성 검출이 가능한 이차 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례로, 적어도 제1단위 셀 및 제2단위 셀을 포함하고, 각 단위 셀은 제1전극과 제2전극을 갖는 다수의 단위 셀; 및 상기 제1단위 셀의 제1전극과 상기 제2단위 셀의 제1전극 및 제2전극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는 센싱 부재를 수용하고 상기 센싱 부재가 연결되는 버스 바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모듈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이차 전지 모듈{Secondary battery module}
본 발명은 이차 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차 전지 모듈은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단위 셀로 이루어진다. 상기 단위 셀은 양극판 및 음극판의 사이에 절연체인 세퍼레이터(separator)를 개재하여 형성된 전극 조립체와, 전해액이 케이스에 내장되고, 전극 단자가 형성된 캡 조립체가 케이스의 개구부를 밀봉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은 단위 셀의 전기적 특성 검출이 가능한 이차 전지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은 적어도 제1단위 셀 및 제2단위 셀을 포함하고, 각 단위 셀은 제1전극과 제2전극을 갖는 다수의 단위 셀; 및 상기 제1단위 셀의 제1전극과 상기 제2단위 셀의 제1전극 및 제2전극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는 센싱 부재를 수용하고 상기 센싱 부재가 연결되는 버스 바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부는 홈 또는 관통홀일 수 있다.
상기 버스 바는 상기 제1단위 셀의 제1전극과 상기 제2단위 셀의 제1전극 및 제2전극 중 어느 하나 사이에 연장되는 장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장측면의 사이에 홈 또는 관통홀이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스 바는 상기 제1단위 셀의 제1전극과 상기 제2단위 셀의 제1전극 및 제2전극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고, 상기 버스 바가 상기 제1단위 셀의 제1전극과 상기 제2단위 셀의 제1전극 및 제2전극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는 상기 각 고정부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은 적어도 제1단위 셀 및 제2단위 셀을 포함하고, 각 단위 셀은 제1전극과 제2전극을 갖는 다수의 단위 셀; 상기 제1단위 셀의 제1전극과 상기 제2단위 셀의 제1전극 및 제2전극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삽입부를 포함하는 버스 바; 및 상기 삽입부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버스 바에 연결되는 센싱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센싱 부재는 프레스-핏 연결(press-fit connection)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프레스-핏 연결 방식은 상기 센싱 부재와 상기 버스 바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센싱 부재는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삽입부에 결합되고, 상기 삽입부의 내측벽에 압착 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삽입부는 상기 삽입부의 내측벽에 형성된 홈을 포함하고, 상기 홈은 상기 감지부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는 홈 또는 관통홀일 수 있다.
상기 센싱 부재는 탄성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변형전 상태로부터 압착된 상태로 눌러지고,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삽입부의 폭보다 큰 변형전 상태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센싱 부재는 타원, 원 또는 다각형 형상인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싱 부재는 타원형으로 형성된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타원의 장지름이 상기 삽입부의 폭 보다 크고, 상기 감지부가 상기 삽입부에 삽입될 때, 상기 타원의 장지름이 상기 삽입부의 내측벽에 의해 압착될 수 있다.
상기 센싱 부재는 타원형으로 형성된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타원의 단지름이 상기 삽입부의 폭 보다 크고, 상기 감지부가 상기 삽입부에 삽입될 때, 상기 타원의 단지름이 상기 삽입부의 내측벽에 의해 압착될 수 있다.
상기 센싱 부재는 삼각형으로 형성된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삼각형의 밑변의 길이가 상기 삽입부의 폭 보다 크고, 상기 감지부가 상기 삽입부에 삽입될 때, 상기 삼각형의 밑변이 상기 삽입부의 내측벽에 의해 압착될 수 있다.
상기 버스 바는 상기 제1단위 셀의 제1전극과 상기 제2단위 셀의 제1전극 및 제2전극 중 어느 하나 사이에 연장된 장측면을 갖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장측면 사이를 연장하는 홈 또는 관통홀이며, 상기 센싱 부재의 삽입 방향은 상기 장측면의 하나에 직각일 수 있다.
상기 버스 바는 상기 제1단위 셀의 제1전극과 상기 제2단위 셀의 제1전극 및 제2전극 중 어느 하나 사이에 연장되는 장측면 및 상기 장측면 사이에 연장된 상면과 하면을 갖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일 수 있다.
상기 버스 바는 상기 제1단위 셀의 제1전극과 상기 제2단위 셀의 제1전극 및 제2전극 중 어느 하나 사이에 연장되는 장측면 및 상기 장측면 사이에 연장된 상면과 하면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상면을 관통하며, 상기 센싱 부재는 상기 삽입부가 상기 상면을 관통하는 상기 삽입부로 삽입되며, 상기 버스 바의 하면에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삽입부에 일직선으로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이차 전지 모듈은 상기 이차 전지 모듈의 상태를 모니터 하기 위하여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상기 센싱 부재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센싱 부재는 상기 버스 바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센싱 부재센싱 부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은 관통홀 또는 홈이 형성된 버스 바에 센싱 부재가 직접 연결되어 단위전지의 전기적 특성 검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지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차 전지 모듈은 관통홀 또는 홈이 형성된 버스 바에 센싱 부재가 직접 연결되어 체결에 필요한 부품을 감소시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이차 전지 모듈의 무게를 감소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차 전지 모듈은 버스 바에 센싱 부재를 프레스 핏 연결(press-fit connection) 방법으로 연결함으로써, 이차 전지 모듈의 조립 공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작업 능률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2영역에서 센싱 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1의 버스 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에서 A-A'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센싱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b는 센싱 부재가 버스 바에 결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 3b에서 B-B'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에 대응되도록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서 단위전지의 전기적 특성 검출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7a은 도 3a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7a에서 C-C'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b는 센싱 부재가 버스 바에 결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 7a에서 C-C'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에 대응되도록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a는 도 3a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b는 도 9a에서 D-D'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b는 센싱 부재가 버스 바에 결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 9a에서 D-D'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에 대응되도록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4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4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싱 부재와 버스 바 사이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2영역에서 센싱 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100)는 단위전지(110), 버스 바(120), 센싱 부재(130) 및 제어부(140, 도 6 참조)를 포함한다. 여기서, 센싱 부재(130)는 버스 바(120)와 제어부(1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이차 전지 모듈(100)은 적어도 2개 이상의 단위전지(110, 110-1, 110-2)가 버스 바(120)를 통하여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상기 단위전지(110)는 일측에 개구가 형성된 케이스(111)와 상기 케이스(111)의 개구에 결합되는 캡 플레이트(112) 및 상기 캡 플레이트(112)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1전극단자(113)와 제2전극단자(11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위전지(110)가 각형인 것으로 설명하지만, 상기 케이스(111)의 형상이 원통형, 파우치형 또는 그 이외의 형상일 수도 있다.
상기 캡 플레이트(112)는 제1밀봉부재(115), 제2밀봉부재(116), 안전벤트(117) 및 마개(118)를 포함한다.
상기 제1밀봉부재(115)는 캡 플레이트(112)와 제1전극단자(113)의 사이를 밀봉한다. 상기 제1밀봉부재(115)는 캡 플레이트(112)와 제1전극단자(113)가 절연되도록 가스켓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밀봉부재(115)는 캡 플레이트(112)와 제1전극단자(113)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도체의 연결판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밀봉부재(116)는 캡 플레이트(112)와 제2전극단자(114)의 사이를 밀봉한다. 상기 제2밀봉부재(116)는 캡 플레이트(112)와 제2전극단자(114)가 절연되도록 절연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전벤트(117)는 단위전지(110)의 내부 압력이 상승될 때 개방된다.
상기 마개(118)는 단위전지(110)의 전해액 주입구를 밀봉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버스 바(120)는 장측변(121)과 단측변(122)을 포함하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버스 바(120)는 2개 이상이 나열된 단위전지(110, 110-1, 110-2)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제1접합면(123) 및 제2접합면(124)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스 바(120)는 제1단위전지(110)의 제1전극단자(113)와 제2단위전지(110-1)의 제2전극단자(114)가 엇갈리게 배치된 상태에서, 제1단위전지(110)의 제1전극단자(113)와 제2단위전지(110-1)의 제2전극단자(114)를 덮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1단위전지(110)의 제1전극단자(113)는 버스 바(120)의 제1접합면(123)과 용접으로 고정된다. 상기 제2단위전지(110-1)의 제2전극단자(114)는 상기 버스 바(120)의 제2접합면(124)과 용접으로 고정된다. 상기 버스 바(120)는 재질이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러한 재질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상기 센싱 부재(130)는 상기 버스 바(120)(예를 들면,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버스 바(120)에 형성된 관통홀 또는 홈에 프레스 핏 연결 방식으로)에 직접 연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별도의 고정 부재(예를 들면, 넛트, 스크류/넛트 조립체, 크림프 핏팅(crimp fitting))가 생략될 수 있고, 따라서 제조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의 무게를 낮출 수 있다. 더욱이, 센싱 부재(130)는 조립 공정이 편리해지도록 프레스-핏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버스 바(120)에 연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작업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더욱이, 각 단위 셀(110)의 단자(113,114)에 상기 버스 바(120)가 용접될 경우, 상기 센싱 부재(130)는 상기 웰딩 공정이 완료된 이후 상기 버스 바(12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버스 바(120)는 결합부(125)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125)는 제1접합면(123)과 제2접합면(124) 사이에 위치된 장측변(121)에 센싱 부재(130)가 삽입되도록 삽입부(126)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125)는 상기 제1,2접합면(123,124)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센싱 부재(130)는 상기 버스 바(120)의 장측변(121)에 대략 직각인 방향으로 상기 결합부(125)에 결합된다. 상기 삽입부(126)는 지름(R1)이 센싱 부재(130)의 검출부(132)의 폭보다는 좁게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부(126)에는 센싱 부재(130)의 검출부(132)가 프레스 핏(press-fit) 방법으로 고정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센싱 부재(130)는 케이블(131)을 포함할 수 있고, 이것은 절연체로 감싸인 도전성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싱 부재(130)는 감지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132)는 연결부(133), 탄성 고정부(134) 및 홀(135)을 포함한다.
상기 감지부(132)는 상기 단위 셀(110)의 특성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감지부(132)는 상기 버스 바(120)의 전압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132)는 프레스-핏 연결 방식으로 상기 버스 바(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131)은 전기적 신호를 상기 제어부(14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신호는 예를 들면 버스 바(120) 즉, 단위 셀의 전압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 모듈(100)을 포함하는 파워 시스템은 상기 파워 시스템의 동작 조절을 위해 감지된 전압을 사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감지부(132)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감지부(132)는 써모커플(thermocouple), 저항-온도 감지기와 같은 온도 센서일 수 있고, 또한 배터리 모듈(100)을 포함하는 파워 시스템은 온도를 모니터링하고, 파워 시스템의 동작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온도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센싱 부재(130)의 감지부(132)가 프레스-핏 방법(예를 들면, 간섭 결합(interference fit)으로 삽입부(126)에 결합될 수 있도록, 버스 바(120) 중 삽입부(126)의 직경(R1)은 센싱 부재(130) 중 감지부(132)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감지부(132)는 상기 삽입부(126)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삽입부(125)의 내측벽과 함께 프레스-핏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감지부(132)가 분리 및 재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감지부(132)가 착탈 가능하게 상기 삽입부(126)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버스 바(120)의 삽입부(126)는 버스 바(120)의 일측의 장측변(121)에서 타측의 장측변까지, 즉 단측변의 방향으로 연장된 관통홀일 수 있다.
상기 삽입부(126)는 제1보강부(127) 및 제2보강부(128)을 포함한다. 상기 제1보강부(127) 및 제2보강부(128)는 삽입부(126)의 외측으로 두께를 증가시켜 버스 바(120)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부(126)는 버스 바(120)의 일측의 장측변(121)에서 버스 바(120)의 중심을 향하는 일부분에서 마감되는 홈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홈이 감지부(132)를 수용할 수 있도록 버스 바(120)의 폭을 가로질러 버스 바(12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은 개방 영역의 결합부(125)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검출부(132)는 연결부(133), 탄성 고정부(134) 및 탄성홀(135)을 포함한다. 상기 검출부(132)는 삽입부(126)에 프레스 핏(press-fit) 방법으로 삽입 고정되어, 삽입부(126)의 둘레와 검출부(132)의 일부분이 접촉된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검출부(132)는 단위전지(110)의 전기적 특성(예를 들면, 전압)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33)는 케이블(131)과 탄성 고정부(134)를 연결한다. 상기 연결부(133)는 탄성 고정부(134)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33)의 폭은 삽입부(126)의 지름(R1)과 같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133)의 폭은 삽입부(126)의 직경(R1)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연결부(133)는 삽입부(126)의 삽입공간에 따라 프레스 핏(press-fit) 방법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132)의 탄성 고정부(134)는 변형전 상태로부터 변형후 상태로 압착되어 상기 삽입부(126)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탄성 고정부(134)는 상기 삽입부(26)의 직경(R1)보다 큰 변형전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탄성 고정부(134)는 중심에 형성된 탄성홀(135)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 고정부(134)는 타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탄성홀(135)은 탄성 고정부(134)와 동일한 타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 고정부(134)는 타원의 장지름이 케이블(131)에서 연장된 가상선 상에 위치되고, 타원의 단지름이 탄성 고정부(134)의 폭(W1)으로 형성된다. 상기 센싱 부재(130)는 탄성 고정부(134) 및 배선의 재질이 구리로 형성될 수 있으나, 탄성 고정부(134) 및 배선의 재질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a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 고정부(134)는 프레스 핏(press-fit) 방법으로 삽입부(126)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탄성 고정부(134)의 폭(W1)은 삽입부(126)의 지름(R1) 보다 넓게 형성된다. 이 경우, 삽입부(126)의 지름(R1)은 탄성홀(135)의 단지름과 대응될 수 있다. 상기 탄성 고정부(134)가 삽입부(126)에 프레스 핏(press-fit) 방법으로 삽입될 때, 상기 탄성 고정부(134)의 폭(W1)은 삽입부(126)의 지름(R1)만큼 압착된다.
상기 탄성 고정부(134)는 프레스 핏(press-fit) 방법으로 삽입부(126)에 압착 고정되므로, 이차 전지 모듈(100)의 조립 공정이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작업 능률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차 전지 모듈(100)은 체결에 필요한 부품을 감소시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무게를 감소 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40)에는 버스 바(120)에 고정된 센싱 부재(130)가 연결된다. 상기 센싱 부재(130)는 상기 버스 바(120)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140)는 센싱 부재(130)에서 측정된 단위 셀(110)의 신호(예를 들면, 전압)에 기초하여 이차 전지 모듈(100)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40)는 전압 검출 회로, 온도 검출 회로 및 제어회로를 포함하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이차 전지 모듈(100)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충전 상태, 이차 전지 모듈(100)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방전 상태, 이차 전지 모듈(100)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냉각 상태 등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40)는 충전 또는 방전의 시작 또는 중단, 또는 그것의 변화, 또는 냉각의 시작 또는 중단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버스 바(22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a은 버스 바(22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7a에서 C-C'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b는 센싱 부재(130)가 버스 바(220)에 결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 7a에서 C-C'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에 대응되도록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버스 바(220)는 장측변(221)과 단측변(222)을 포함하는 판 형상의 중심에 삽입부(226)가 형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삽입부(226)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버스 바(220)는 도 3a 및 3b와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삽입부(226)는 버스 바(220)를 관통하는 관통홀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226)는 버스 바(220)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는 경우에 버스 바(220)의 두께보다 짧게 형성된 홈(블라인드 홀(blind hole))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센싱 부재(130)는 탄성 고정부(134)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탄성 고정부(134)에 홀(13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226)의 지름(R2)은 탄성 고정부(134)의 폭(W1)보다 좁게 형성된다.
도 8a 내지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 고정부(134)는 프레스 핏(press-fit) 방법으로 삽입부(226)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탄성 고정부(134)의 폭(W1)은 삽입부(226)의 지름(R2) 보다 넓게 형성된다. 이 경우, 삽입부(226)의 지름(R2)은 탄성홀(135)의 지름과 대응될 수 있다. 상기 탄성 고정부(134)가 삽입부(226)에 프레스 핏(press-fit) 방법으로 삽입될 때, 상기 탄성 고정부(134)의 폭(W1)은 삽입부(226)의 지름(R2)만큼 압착된다.
상기 탄성 고정부(134)는 프레스 핏(press-fit) 방법으로 삽입부(226)에 압착 고정되므로, 이차 전지 모듈(100)의 조립 공정이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작업 능률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차 전지 모듈(100)은 체결에 필요한 부품을 감소시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무게를 감소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버스 바(32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a는 버스 바(32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b는 도 9a에서 D-D'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b는 센싱 부재(130)가 버스 바(320)에 결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 9a에서 D-D'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에 대응되도록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버스 바(320)는 장측변(321)과 단측변(322)을 포함하는 판 형상의 중심에 삽입부(326)가 형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삽입부(326)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버스 바(320)는 도 3a 및 3b와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삽입부(326)는 연장부(327)를 더 포함하여 형성된다. 예를 들어, 보스(boss)가 상기 버스 바(320)에 제공될 수 있고, 상기 보스는 상기 삽입부(326)에 정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스는 상기 탄성 고정부(134)가 결합되는 결합 영역의 반대 영역인 버스 바(320)의 일측면상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327)는 삽입부(326)의 관통홀 또는 홈의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다. 상기 연장부(327)는 버스 바(320)의 하부측면에서 단위전지(110)의 캡 플레이트(112) 상부 사이의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326)는 연장부(327)를 관통하는 관통홀일 수도 있으며, 연장부(327)의 내부에서 마감되는 홈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삽입부(326)의 지름(R3)은 탄성 고정부(134)의 폭(W1)보다 좁게 형성된다.
도 10a 내지 도 10b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 고정부(134)는 프레스 핏(press-fit) 방법으로 삽입부(326)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탄성 고정부(134)의 폭(W1)은 삽입부(326)의 지름(R3) 보다 넓게 형성된다. 이 경우, 삽입부(326)의 지름(R3)은 탄성홀(135)의 지름과 대응될 수 있다. 상기 탄성 고정부(134)가 삽입부(326)에 프레스 핏(press-fit) 방법으로 삽입될 때, 상기 탄성 고정부(134)의 폭(W1)은 삽입부(326)의 지름(R3)만큼 압착된다.
상기 탄성 고정부(134)는 프레스 핏(press-fit) 방법으로 삽입부(326)에 압착 고정되므로, 이차 전지 모듈(100)의 조립 공정이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작업 능률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차 전지 모듈(100)은 체결에 필요한 부품을 감소시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무게를 감소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센싱 부재(23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센싱 부재(23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센싱 부재(230)는 검출부(232)가 타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타원의 장지름은 검출부(232)의 폭(W2)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검출부(232)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센싱 부재(230)는 도 4와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검출부(232)는 연결부(233), 탄성 고정부(234) 및 탄성홀(235)을 포함한다. 상기 검출부(232)는 삽입부(126)에 프레스 핏(press-fit) 방법으로 삽입 고정된다.
상기 탄성 고정부(234)는 단지름이 케이블(231)에서 연장된 가상선 상에 위치되고, 장지름이 탄성 고정부(234)의 폭(W2)으로 형성된다. 상기 탄성 고정부(234)는 장지름과 단지름이 동일한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탄성 고정부(234)의 폭(W2)은 삽입부(126)의 지름(R1) 보다 넓게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탄성홀(235)은 탄성 고정부(234)와 동일한 타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탄성 고정부(234)는 외측면이 프레스 핏(press-fit) 방법으로 삽입부(126)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프레스 핏(press-fit) 방법으로 탄성 고정부(234)와 삽입부(126)가 고정되므로, 이차 전지 모듈(100)의 조립 공정이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작업 능률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차 전지 모듈(100)은 체결에 필요한 부품을 감소시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무게를 감소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센싱 부재(33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센싱 부재(33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센싱 부재(330)는 검출부(332)가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검출부(332)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센싱 부재(330)는 도 4와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검출부(332)는 삼각형인 것으로 한정하였으나,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검출부(332)는 연결부(333), 탄성 고정부(334) 및 탄성홀(335)을 포함한다. 상기 검출부(332)는 삽입부(126)에 프레스 핏(press-fit) 방법으로 삽입 고정된다.
상기 탄성 고정부(334)는 삼각형의 일면이 탄성 고정부(334)의 폭(W3)이 된다. 상기 탄성 고정부(334)의 폭(W3)은 삽입부(126)의 지름(R1) 보다 넓게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탄성홀(335)은 탄성 고정부(334)와 동일한 삼각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탄성 고정부(334)는 외측면이 프레스 핏(press-fit)으로 삽입부(126)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프레스 핏(press-fit) 방법으로 탄성 고정부(334)와 삽입부(126)가 고정되므로, 이차 전지 모듈(100)의 조립 공정이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작업 능률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차 전지 모듈(100)은 체결에 필요한 부품을 감소시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무게를 감소 시킬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싱 부재와 버스 바 사이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126)는 감지부(132)를 수용할 수 있도록 홈(129)을 포함한다. 상기 홈(129) 및 탄성 고정부(134)는 상기 감지부(132)가 상기 버스 바(120)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멈춤쇠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이차 전지 모듈
110, 110-1, 110-2: 단위전지
111: 케이스 112: 캡 플레이트
113: 제1전극단자 114: 제2전극단자
117: 안전벤트 118: 마개
120: 버스 바 125: 결합부
130, 130-1: 센싱 부재 140: 제어부

Claims (20)

  1. 적어도 제1단위 셀 및 제2단위 셀을 포함하고, 각 단위 셀은 제1전극과 제2전극을 갖는 다수의 단위 셀; 및
    상기 제1단위 셀의 제1전극과 상기 제2단위 셀의 제1전극 및 제2전극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는 센싱 부재를 수용하고 상기 센싱 부재가 연결되는 버스 바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홈 또는 관통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바는 상기 제1단위 셀의 제1전극과 상기 제2단위 셀의 제1전극 및 제2전극 중 어느 하나 사이에 연장되는 장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장측면의 사이에 형성된 홈 또는 관통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바는 상기 제1단위 셀의 제1전극과 상기 제2단위 셀의 제1전극 및 제2전극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고, 상기 버스 바가 상기 제1단위 셀의 제1전극과 상기 제2단위 셀의 제1전극 및 제2전극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는 상기 각 고정부에서 서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모듈.
  5. 적어도 제1단위 셀 및 제2단위 셀을 포함하고, 각 단위 셀은 제1전극과 제2전극을 갖는 다수의 단위 셀;
    상기 제1단위 셀의 제1전극과 상기 제2단위 셀의 제1전극 및 제2전극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삽입부를 포함하는 버스 바; 및
    상기 삽입부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버스 바에 연결되는 센싱 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부재는 프레스-핏 연결(press-fit connection) 방식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핏 연결 방식은 상기 센싱 부재와 상기 버스 바를 전기적으로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모듈.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부재는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삽입부에 결합되고, 상기 삽입부의 내측벽에 압착 결합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삽입부의 내측벽에 형성된 홈을 포함하고, 상기 홈은 상기 감지부를 수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모듈.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홈 또는 관통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모듈.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부재는 탄성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변형전 상태로부터 압착된 상태로 눌러지고,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삽입부의 폭보다 큰 변형전 상태의 폭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모듈.
  1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부재는 타원, 원 또는 다각형 형상인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모듈.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부재는 타원형으로 형성된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타원의 장지름이 상기 삽입부의 폭 보다 크고, 상기 감지부가 상기 삽입부에 삽입될 때, 상기 타원의 장지름이 상기 삽입부의 내벽에 의해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모듈.
  1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부재는 타원형으로 형성된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타원의 단지름이 상기 삽입부의 폭 보다 크고, 상기 감지부가 상기 삽입부에 삽입될 때, 상기 타원의 단지름이 상기 삽입부의 내벽에 의해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모듈.
  1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부재는 삼각형으로 형성된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삼각형의 밑변의 길이가 상기 삽입부의 폭 보다 크고, 상기 감지부가 상기 삽입부에 삽입될 때, 상기 삼각형의 밑변이 상기 삽입부의 내벽에 의해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모듈.
  1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바는 상기 제1단위 셀의 제1전극과 상기 제2단위 셀의 제1전극 및 제2전극 중 어느 하나 사이에 연장된 장측면을 갖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장측면 사이를 연장하는 홈 또는 관통홀이며,
    상기 센싱 부재의 삽입 방향은 상기 장측면의 하나에 직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모듈.
  1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바는 상기 제1단위 셀의 제1전극과 상기 제2단위 셀의 제1전극 및 제2전극 중 어느 하나 사이에 연장되는 장측면 및 상기 장측면 사이에 연장된 상면과 하면을 갖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모듈.
  1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바는 상기 제1단위 셀의 제1전극과 상기 제2단위 셀의 제1전극 및 제2전극 중 어느 하나 사이에 연장되는 장측면 및 상기 장측면 사이에 연장된 상면과 하면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상면을 관통하며, 상기 센싱 부재는 상기 삽입부가 상기 상면을 관통하는 상기 삽입부로 삽입되며,
    상기 버스 바의 하면에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삽입부에 일직선으로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모듈.
  1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 전지 모듈은 상기 이차 전지 모듈의 상태를 모니터 하기 위하여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상기 센싱 부재의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모듈.
  2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부재는 상기 버스 바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모듈.
KR1020120069374A 2012-02-23 2012-06-27 이차 전지 모듈 KR201300970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602315P 2012-02-23 2012-02-23
US61/602,315 2012-02-23
US13/531,877 2012-06-25
US13/531,877 US8802275B2 (en) 2012-02-23 2012-06-25 Battery modu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7046A true KR20130097046A (ko) 2013-09-02

Family

ID=46506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9374A KR20130097046A (ko) 2012-02-23 2012-06-27 이차 전지 모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802275B2 (ko)
EP (1) EP2631967A1 (ko)
JP (1) JP2013175432A (ko)
KR (1) KR20130097046A (ko)
CN (1) CN10329632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0511A (ko) * 2013-12-17 2015-06-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직접 연결 방식의 전압 센싱부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116B1 (ko) * 2011-12-01 2016-10-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센싱부재가 마련된 배터리 모듈
JP6227569B2 (ja) * 2013-02-06 2017-11-08 三洋電機株式会社 バッテリシステム
US9583798B2 (en) 2013-10-17 2017-02-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lectric vehicle battery thermocouple
DE102014215849A1 (de) * 2014-08-11 2016-02-11 Robert Bosch Gmbh Steuerung und/oder Regelung für eine wenigstens zwei elektrisch in Reihe zueinander schaltbare Batteriezellen aufweisende Sekundärbatterie
JP6233654B2 (ja) * 2014-11-25 2017-11-2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配線モジュール
JP6191882B2 (ja) 2014-12-05 2017-09-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密閉型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345101B2 (ja) * 2014-12-17 2018-06-20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蓄電モジュール
EP3425694B1 (en) * 2016-03-02 2021-12-29 Contemporary Amperex Technology Co., Limited Battery module
JP6581959B2 (ja) 2016-12-19 2019-09-25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用導体モジュール
EP3346524A1 (en) * 2017-01-09 2018-07-11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with thermocouple unit
KR20190130927A (ko) * 2018-05-15 2019-11-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US11431040B2 (en) * 2018-08-31 2022-08-30 Purdue Research Foundation Arrangement for lithium-ion battery thermal events prediction, prevention, and control
CN109301146B (zh) * 2018-10-26 2021-10-15 蚌埠金实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新能源电池的铝排及其成型方法
CN112151897B (zh) * 2019-06-28 2022-03-29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模组
KR20210016825A (ko) * 2019-08-05 2021-02-17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정 막대를 구비한 배터리 팩, 이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및 자동차
JP7369002B2 (ja) * 2019-10-11 2023-10-25 カワサキモータース株式会社 電池パック
KR20210156089A (ko) * 2020-06-17 2021-12-2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버스바와 전압 센싱부재의 연결구조로서 비용접 방식 구조가 적용된 배터리 모듈
KR20210156088A (ko) * 2020-06-17 2021-12-2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버스바 연결용 솔더 핀을 구비한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N112599933B (zh) * 2020-12-17 2022-03-18 合肥国轩高科动力能源有限公司 锂电池的多卷芯并联装配方法
JP7467394B2 (ja) 2021-07-27 2024-04-15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スバーモジュール、電池モジュール、及び、リユース電池モジュール製造方法
WO2023004766A1 (zh) * 2021-07-30 2023-02-02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用电设备和电池的制备方法
CN217134619U (zh) * 2022-04-11 2022-08-05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防撕裂采样结构、电池及用电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67009B2 (ja) * 2005-12-14 2011-09-07 日立ビークルエナジー株式会社 組電池
DE102006055086B3 (de) * 2006-11-21 2008-06-19 Tyco Electronics Amp Gmbh Einpressstift für elektrische Kontakte aus Drahtmaterial
JP2009206195A (ja) * 2008-02-26 2009-09-10 Hitachi Ltd 配線基板
JP2010182441A (ja) * 2009-02-03 2010-08-19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電圧検知回路と電池セルとの接続構造
JP2010238516A (ja) * 2009-03-31 2010-10-21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電池モジュール
JP5144582B2 (ja) 2009-04-23 2013-02-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電装置の漏液伝達抑制構造
JP5453912B2 (ja) 2009-05-13 2014-03-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の接続構造
JP5443495B2 (ja) * 2009-08-18 2014-03-19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源装置及び電池接続体
US9105911B2 (en) 2009-12-28 2015-08-11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US20110177379A1 (en) 2010-03-25 2011-07-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attery assembly
US8628875B2 (en) * 2010-04-16 2014-01-14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with multi-level connector
JP5715766B2 (ja) * 2010-04-22 2015-05-13 矢崎総業株式会社 配線材の接続構造
JP2011258413A (ja) * 2010-06-09 2011-12-22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電池接続アセンブリ
JP2012013564A (ja) * 2010-07-01 2012-01-19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温度センサの取付構造
DE102010031380B4 (de) 2010-07-15 2019-05-02 Elringklinger Ag Zellverbinder und elektrochemische Vorrichtung
JP2012084319A (ja) * 2010-10-08 2012-04-26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組電池用バスバー及びバスバーモジュール
KR101201748B1 (ko) * 2010-11-05 2012-11-15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전지 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0511A (ko) * 2013-12-17 2015-06-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직접 연결 방식의 전압 센싱부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31967A1 (en) 2013-08-28
CN103296321A (zh) 2013-09-11
JP2013175432A (ja) 2013-09-05
US20130224564A1 (en) 2013-08-29
US8802275B2 (en) 2014-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97046A (ko) 이차 전지 모듈
KR101130294B1 (ko) 이차 전지
KR101689215B1 (ko) 이차전지
KR101217071B1 (ko) 이차 전지
JP5502760B2 (ja) 複数の個別セルを備えたバッテリ
KR101330615B1 (ko) 이차 전지
JP5227434B2 (ja) 2次電池
EP2395576A1 (en) Rechargeable battery comprising a fuse
EP2648246A1 (en) Secondary battery
US9065112B2 (en) Secondary battery module with short-circuit protector
KR20140064487A (ko) 이차 전지 모듈
US9553340B2 (en) Rechargeable battery module
KR20150099193A (ko) 이차 전지 모듈
US20140272520A1 (en) Battery module
KR20140094207A (ko) 전지 모듈
KR101698767B1 (ko) 이차전지
KR101771088B1 (ko) 캡 플레이트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
US20120015242A1 (en) Battery with improved terminals
KR20140065956A (ko) 이차 전지
JP5926090B2 (ja) 電圧検出用端子の接続構造
KR101223517B1 (ko) 이차 전지
KR20070081559A (ko) 억지끼움 결합 방식의 리벳을 이용한 무용접 방식의 전지팩
JP6334893B2 (ja) 二次電池
KR20180001063A (ko) 이차 전지
KR20170022175A (ko)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