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5245A - 이동대차들을 구비한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대차들을 구비한 이송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95245A KR20130095245A KR1020137000434A KR20137000434A KR20130095245A KR 20130095245 A KR20130095245 A KR 20130095245A KR 1020137000434 A KR1020137000434 A KR 1020137000434A KR 20137000434 A KR20137000434 A KR 20137000434A KR 20130095245 A KR20130095245 A KR 2013009524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rticulated
- members
- trolley
- mobile
- bal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2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load-carriers suspended from overhead traction chai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8—Chains or like traction elements; Connections between traction elements and load-carriers
- B65G17/385—Chains or like traction elements; Connections between traction elements and load-carriers adapted to follow three-dimensionally curved path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14—Endless driving elements extending parallel to belt or chai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415—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 B65G2812/0261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 B65G2812/0262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and pivotally mounted
- B65G2812/0263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and pivotally mounted for bulk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415—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 B65G2812/0261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 B65G2812/0267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792—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the load-carriers being connected pivotally to the traction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415—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 B65G2812/0261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 B65G2812/0267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792—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the load-carriers being connected pivotally to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811—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the load-carriers being connected pivotally to the traction means guided at least partially along a vertical or incline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 Chain Conveyers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품들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 장치(01)에 관한 것으로, 2개 이상의 이동대차 부재들(16, 17)로 이루어진 이동대차 장치(15)가 가이드 트랙(03)을 따라 변위될 수 있고, 여기서 가이드 트랙(03)의 설계상 굉장한 공간적 자유가 가능하게 된다. 본원의 이동대차 장치(15)는 구동부에 의해 당기는 방식 및 미는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적절한 장치들에 의해, 상품들은 개별 이동대차 부재들(16, 17)에 의해 이송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특히 펠릿형 제품들을 운반하기 위한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운반은 청구범위 제1항의 전제부에 기재된 바와 같은 가이드 트랙 상에 배치되는 이동대차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송 장치들의 매우 다양한 실시예들이 종래 기술에 알려져 있다. 본원의 경우, 이송 장치는 이동대차들이 가이드 트랙들을 따라 변위 가능한 유형의 실시예들에 관련된다. 이와 관련하여, 가이드 트랙은 일반적으로 직선형 또는 곡선형 프로파일 레일들로 구성되며, 그 위에 이동대차들이 롤링하고/롤링하거나 슬라이딩하도록 장착된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예시적인 실시예는 하중이 매달리는 이동체가 프로파일 레일 상에 배치되는 오버헤드 컨베이어이다. 결과적으로, 하중들을 가이드 트랙을 따라 간단하게 운반할 수 있다.
복수의 하중들의 동시 이동이 가능할 수 있도록, 서로 결합될 수 있는 이동대차들의 사용이 알려져 있다. 결과적으로, 하나의 단일한 이동대차가 구동될 때, 수 개의 이동대차들이 함께 운반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이송 장치의 예가 문헌 DE 199 17 806 A1호에 나타나 있다. 본원에 설명된 경우는 오버헤드 운반 장치 방식의 이송 장치로, 운반 대차들이 주행 레일 상에서 변위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이와 관련하여, 각 운반 대차는 연결 스트럿을 구비하되, 그 양단부 각각에는 한 쌍의 롤러가 장착되며, 상기 한 쌍의 롤러는 이후 대응하는 주행 레일을 둘러싼다. 결과적으로, 운반 대차는 주행 레일을 따라 자유롭게 변위 가능하다. 종래 기술에서, 이러한 오버헤드 컨베이어의 경우 연결 스트럿은 주행 레일 아래에 평행하게 놓이도록 위치한다. 운반될 하중이 이후 연결 레일 상에 적절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복수의 운반 대차들을 결합시키기 위해, 각 운반 대차의 양단부에 후크 형상의 결합 부재를 구비한 결합구가 존재하며, 제1 운반 대차의 후크와 제2 운반 대차의 후크를 대응하는 방식으로 맞물리게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운반 대차가 당겨질 때, 결합된 운반 대차들 모두가 끌려가게 된다.
상기 해결방안의 특별한 이점은, 개별 운반 대차들을 유연하며 간단하게 서로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아래로 당기는 하중에 반하는 수직 상향 이동에 의해, 운반 대차 상에서 결합구들을 서로 걸거나 풀기만 하면 된다.
그러나, 전술한 해결방안의 문제점은, 한편으론, 전방의 운반 대차의 동시 운반을 위해, 운반 대차 상에 전단력을 제한 없이 가할 수 없다는 것이다. 한편으론, 그 이유는 후크 형상의 결합 장치들에 의한 비대칭 결합 때문이다. 그로 인해, 전단력이 개별 운반 대차들 상에 비균일하게 도입된다. 다른 한편으론, 결합구들이 주행 레일로부터 소정의 간격에 위치한다는 것이 단점이다. 결과적으로, 이는 개별 운반 대차들이 특히 주행 레일 커브의 진행 중에 자신들의 수직 매달림 위치로부터 이탈될 수 있게 한다. 이런 점에서, 제시된 실시예는 당기는 방식의 운반에 유리하고, 미는 방식의 운반에 덜 유리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 개별 운반 대차들을 위한 자동 구동이 어렵게 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그 이유는 특히 자동 구동을 위한 적절한 적용점이 없기 때문이다. 기껏해야, 연결 스트럿과 롤러들 간의 연결부에서 수직 스트럿을 활용하여, 포크형 구동부에 의해 최전방 운반 대차 상에 당기는 이동을 가하는 것을 생각해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주지의 해결방안들과 달리, 가이드 트랙의 전개에 대한 더 큰 유연성을 획득하며, 이와 관련하여, 동시에, 개별 이동대차들 또는 이동대차군들을 자동 구동 방식으로 운반할 수 있는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들은 종속항들의 목적이다.
일반적인 이송 장치는 특히 펠릿형 제품들, 특히 약학 제품들을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관련하여, 펠릿형 제품들은 벌크 상품(bulk goods)에만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유형일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액체 제품이 해당 용기 내에서 운반된다면, 액체 제품들의 운반 역시 가능하다. 이런 점에서, 이송 장치는 분리 가능하게 운반될 수 있는 모든 유형의 제품들의 운반에 관련된다.
이와 관련하여, 일반적인 이송 장치는 가이드 트랙, 및 상기 가이드 트랙 상에 배치되는 이동대차 장치를 구비한다. 또한, 이송 장치는 이동대차 장치가 구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관련하여, 구동 유형은 본질적으로 중요하지 않다. 적어도, 이동대차 장치는 운반될 제품 또는 이와 관련하여 사용된 제품 캐리어를 고려함 없이 그 자체로 구동될 수 있다고 여겨진다. 특히, 이는 수동 구동이 아닌 자동 또는 전기 구동의 사용을 가리킨다. 이는 이동대차 장치가 구동부에 의해 운행을 시작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관련하여, 이동대차 장치는 2개 이상의 이동대차 부재들을 구비하되, 각각의 이동대차 부재는 이후 연결 스트럿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 스트럿의 제1 단부에는 하나 이상의 이동체가 배치된다. 이와 관련하여, 이동체는 슬라이딩 또는 롤링 방식으로 가이드 트랙 내에서 변위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이동대차 장치는 이동체에 의해 가이드 트랙 상에서 가이드된다. 이와 관련하여, 일반적인 이송 장치의 필수적인 특징은, 2개 이상의 이동대차 부재들이 하나의 이동대차 장치를 형성하되, 하나의 이동대차 장치를 다른 이동대차 장치의 존재와 무관하게 가이드 트랙 내부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다시 말하면, 이송 장치의 상기 실시예는 연속 이송 체인을 사용하는 이송 장치와 근본적으로 구별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이제, 이동체가 제1 관절연결형 부재를 구비하며 연결 스트럿의 제2 부재가 제2 관절연결형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관련하여, 제1 이동대차 부재의 제1 관절연결형 부재 및 제2 이동대차 부재의 제2 관절연결형 부재는 관절연결 방식으로 서로 연결 가능하다고 여겨진다. 이런 점에서, 이동대차 장치는 제1 및 제2 관절연결형 부재의 결합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2개 이상의 이동대차 부재들을 구비한다.
특히, 관절연결형 연결의 설계 시에, (이동대차 장치의 최종 이동대차 부재를 제외한) 이동대차 장치의 각 이동대차 부재가 각각의 경우 하나의 이동체만을 필요로 하도록, 개별 이동대차 부재들의 위치의 안정화가 이루어진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이런 점에서, 이동대차 부재의 제1 단부에서의 위치는 이동대차 부재의 이동체에 의해 결정되고, 제2 단부에서의 위치는 관절연결형 연결을 통한 결합에 의해 후행 이동대차 부재의 이동체의 위치에 의해 결정된다. 다시 말하면, 각 이동대차 부재는 자신의 차례에 단지 하나의 이동체만을 구비하면 된다. 가이드 트랙에 대한 개별 이동대차 부재들의 위치는 결과적으로 2개의 이동체들(각각의 이동대차 부재 및 후행 이동대차 부재의 이동체들) 및 연결 스트럿의 확장에 의해 결정된다. 이런 점에서, 각 이동대차 부재의 안정된 위치를 제공하며, 연결 스트럿을 가이드 트랙과 평행하도록 유리하게 정렬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송 장치는 이중 연결 스트럿을 구비한 하나 이상의 이중 이동대차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이중 연결 스트럿의 양단부에는 하나 이상의 이동체가 배치된다. 가능한 최단 이동대차 장치를 고려할 때, 이는 결과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은 하나의 단일 정규 이동대차 부재, 및 하나의 단일 이중 이동대차 부재를 구비한다. 다른 정규 이동대차 부재에 대응하는 이중 이동대차 부재의 경우, 다시 한번, 하나 이상의 이동체에 제1 관절연결형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1 관절연결형 부재는 다른 정규 이동대차 부재의 제2 관절연결형 부재에 관절연결 방식으로 연결 가능하다.
이동대차 장치의 개방-단부형 길이의 결과로, 모든 연관된 이동대차 부재들의 안정된 위치를 보장하기 위한 유리한 해결방안이 요구된다. 상기 해결방안은, 정규 이동대차 부재가 이동대차 장치의 제1 단부에 배치되며, 그 단일 이동체가 동시에 이동대차 장치의 상기 단부에 위치한다는 점에서, 단부들에 위치하는 2개의 이동대차 부재들에 관하여 특히 유리하게 구현된다. 양측에 이동체들을 구비한 이중 이동대차 부재는 대조적으로 이동대차 장치의 타 단에 배치된다. 결과적으로, 이는 하나의 이동체가 각각의 경우 이동대차 장치의 양단부에 배치되도록 보장한다. 동시에, 각 이동대차 부재가 이격된 2개의 이동체들에 의해 가이드 트랙 상에 장착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정규 이동대차 부재들은 단지 하나의 이동체를 구비하며, 이중 이동대차 부재만이 2개의 이동체들을 구비하여 제2 단부에 위치한다.
이중 이동대차 부재의 양 이동체들이 각각의 경우 양측에 제1 관절연결형 부재를 구비할 때 특히 유리하다. 결과적으로, 이동대차 장치 내부에서 이중 이동대차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정규 이동대차 부재들은 양측에서 반대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동체가 각각의 경우 이동대차 장치의 양단부에 위치하도록 보장된다.
이와 관련하여, 이중 이동대차 부재가 대칭으로 구현될 때, 특히 2개의 동일한 이동체들이 이중 연결 스트럿의 양측에 배치될 때 특히 유리하며, 결과적으로 제조 비용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연결 이동대차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 경우, 연결 이동대차 부재는 각각의 경우 연결 스트럿의 양측에 제2 관절연결형 부재를 구비한다. 결과적으로, 2개의 정규 또는 이중 이동대차 부재들을 각각의 이동체들을 통해 제1 관절연결형 부재들에 결합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특히 작동 중 이동대차 장치의 구성의 변화와 관련하여 상당한 유연성을 달성한다.
본 발명에서 기재된 바와 같은 제2 실시예에서는, 이런 점에서, 이송 장치가 2개의 이중 이동대차 부재들 및 개재된 연결 이동대차 부재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이동대차 장치에 의해 형성된다. 각 이중 이동대차 부재 및 연결 이동대차 부재의 개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이동대차 장치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를 참조하는 것 외에 다른 설명이 필요하지 않다.
전술한 변형예들 중 어느 변형예를 본 발명에서 기재된 바와 같은 실시예로 선택하였는지와 무관하게, 이동대차 장치는 모두 하나 이상의, 특히 정확하게는 하나의 이동체를 구비하며, 이보다 적은 연결 스트럿들이 존재한다. 그 이유는 이동대차 장치의 양단부가 이동체들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동체는 반드시 이동대차 장치의 기하학적 단부인 것은 아니다. 이동대차 부재들이 각각의 경우 하나의 이동체를 구비한 정규 이동대차 부재이거나 이중 이동대차 부재일 수 있는 실시예에 따라, 예컨대 연결 부재의 일부가 이동대차 장치의 단부들에서 이동체를 지나 연장되는 것이 용인될 수 있으며 가능하다. 본원에서의 관련점은, 이동대차 장치의 단부에서 이동체들만이 가이드 트랙에 접경하며, 이동대차 부재들의 다른 구성요소 부분들은 접경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가이드 트랙에 대한 이동대차 부재들의 소정의 위치를 형성하기 위해, 이동체가 외주 상에 배치되는 3개 이상의, 특히 4개의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롤러들을 구비할 때 특히 유리하다. 롤러들의 사용으로 인해, 가이드 트랙을 따라 롤링 이동이 구현된다. 이는 결과적으로 가이드 트랙을 따른 이동대차 장치의 저마모 저에너지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관련하여, 3개, 특히 4개의 롤러들의 사용은 3차원 전개와 무관하게 가이드 트랙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이동체들의 위치결정 및 그에 따른 이동대차 부재들의 위치결정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관련하여, 하나 이상의 롤러가 이동체 상에 탄성 장착될 때 특히 유리하다. 특히 4개의 롤러들을 사용할 때, 2개의 롤러들을 탄성 장착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는 가이드 트랙의 축에 대한 반경방향 유연성에 관련된다. 결과적으로, 모든 롤러들이 유극 없이 가이드 트랙 내에 끼워맞춤되어, 존재하는 모든 공차를 보상할 수 있도록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이동체와 가이드 트랙 간의 제어되지 않은 덜컥거림이 탄성 베어링 장치에 의해 방지된다.
가이드 트랙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 트랙이 트랙 전개에 따라 수개의 세그먼트들로 형성될 때 특히 유리하다. 결과적으로, 예컨대, 수평 및 수직 정렬 트랙 전개들에 대해 상이한 각도들로, 표준화된 트랙 커브들을 제공할 수 있다.
가이드 트랙 세그먼트들을 연결하기 위해, 다시 한번, 별개의 세그먼트 연결부들을 이용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이와 관련하여, 세그먼트 연결구 절반부가 세그먼트의 양단부에 장착된다.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방식으로 구현된다. 이와 관련하여, 세그먼트 연결구 절반부들을 연결함으로써, 세그먼트들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또한, 세그먼트의 일 단에서 세그먼트 연결구 절반부가 트랙 세그먼트를 지나 돌출되며, 타 단에서 트랙 세그먼트가 세그먼트 연결구 절반부를 지나 돌출되는 방식으로, 세그먼트 연결구 절반부들을 장착할 때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돌출된 트랙 세그먼트가 이런 점에서 2개의 연결 트랙 세그먼트들을 둘러싸는 돌출된 세그먼트 연결구 절반부 내로 밀림으로써, 트랙 세그먼트들 간의 평면 전이(flush transition)가 보장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개별 이동대차 장치들 또는 하나 이상의 이동대차 장치의 사용에 의해, 트랙의 전개 내에 지점들을 구비하는 것이 추가로 가능해진다. 결과적으로, 분기들이 가이드 트랙의 전개 내에 제공될 수 있고, 이동대차가 요건에 따라 상이한 트랙 분기들의 상이한 장소들로 유도될 수 있다. 이동대차 장치를 포함한 트랙 부분의 반전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일 지점이 트랙 전개 내에서 레일점 또는 교환 가능한 지점 세그먼트와 유사한 방식으로 사용될 때 유리하다. 결과적으로, 소정의 트랙 분기들까지 배정된 트랙 전개 내에서 이동대차 장치를 조종하기 위해서는, 지점들의 위치만 변경하면 되고, 이와 관련하여, 이동대차 장치는 지점을 경유하여 하나의 선행 트랙 구역에서 후행 트랙 구역까지 유동식으로 상기 지점을 통해 진행된다.
가이드 트랙을 전개하기 위한 매우 다양한 가능성들이 있지만, 가이드 트랙이 실질적으로 전장에 걸쳐 슬롯팅되는 가이드 레일 형태로 구현될 때 특히 유리하다. 이와 관련하여, 이동대차 장치의 이동체들이 실질적으로 가이드 트랙 내부에 배치된다. 이와 관련하여, 가이드 트랙이 원형 횡단면을 가지는지, 직사각형 횡단면을 가지는지 등은 본질적으로 중요하지 않다. 적어도 이동체는 가이드 트랙의 상기 횡단면 내부에 위치하고, 슬라이딩 또는 롤링면을 통해 가이드 트랙 중 내부를 향하는 면과 접경한다.
이와 관련하여, 특히, 연결 스트럿이 또한 가이드 트랙 내부에서 이동체들 사이에 위치한다고 여겨진다. 이런 점에서, 필연적으로, 관절연결형 부재들이 또한 가이드 트랙의 횡단면 내부에 놓인다. 이동체들 또는 관절연결형 부재들 및 연결 스트럿에 대한 가이드 트랙의 상기 배치는 특히 유연하면서 동시에 안정되게 동작하는 실시예를 형성한다. 이와 관련하여, 관절연결형 연결부가 결과적으로 트랙 전개와 무관하게 균일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 트랙의 중심점에 인접한 피벗점을 구비할 때 특히 유리하다. 또한, 결과적으로 가이드 트랙에 대해 중앙에 놓이는 힘전달점이 이동대차 장치의 안정된 위치를 개선한다.
특히 유리하게 하중을 수용하기 위해, 하중 캐리어가 하나 이상의 이동대차 부재 상에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이동대차 부재의 종방향 중심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치된다. 이와 관련하여, 하중 캐리어는 가이드 레일의 슬롯을 통해 상기 가이드 레일 밖으로 돌출된다. 이런 점에서, 이동체와 연결 스트럿과 관절연결형 부재들을 구비한 이동대차 부재는 가이드 레일의 횡단면 내부에 위치하지만, 이와 관련하여 하중 캐리어는 가이드 트랙 밖으로 돌출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하중 캐리어가 어떤 유형인지는 본질적으로 중요하지 않다. 중요한 것은, 운반될 제품이 적절한 장치들에 의해 하중 캐리어 상에서 운반될 수 있다는 점이다.
하중 캐리어가 이동체에 통합되거나 그 위에 체결될 때 특히 유리하다. 결과적으로 유연성을 상실함 없이 제조를 단순화한다. 다부품 이동체의 경우, 하중 캐리어는 유리하게는 제1 구성요소 상에 체결되며, 연결 스트럿이 또한 상기 제1 구성요소에 연결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하중 캐리어를 연결 스트럿에 연결할 수도 있다. 그러나, 연결 스트럿과 이동체 간의 플러그-인 연결부의 경우, 발생된 하중들도 적어도 대부분이 상기 플러그-인 연결부를 통해 전달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가이드 부재가 하중 캐리어 상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를 통해 하중 캐리어가 가이드 레일의 슬롯 내에서 가이드될 때 특히 유리하다. 결과적으로, 가이드 트랙에 대한 이동대차 부재의 회전 위치는 동시에 하중 캐리어에 의해 설정된다. 간단한 경우에, 이는 슬롯의 폭에 맞도록 선택된 크기를 가진 가이드 부재의 슬라이딩 가이드일 수 있다. 특히 유리한 실시예에서, 롤링하도록 장착되는 가이드 부재가 이런 목적을 위해 선택된다. 각각의 경우, 슬롯 내부에 가이드 부재를 배정하면, 하중 캐리어 및 결과적으로 동시에 이동대차 부재가 가이드 트랙의 종축에 대해 회전 한정 위치를 취하도록 보장된다. 결과적으로, 하중 캐리어의 위치 또는 이동대차 부재의 위치는 아래로 당기는 하중의 중량에 달린 것이 아니라, 상기 위치는 소정의 방식으로 사전 결정된다. 이는 예컨대 하중 캐리어가 정확히 수직으로 매달리지 않아야 하거나 또는 나선형 트랙 전개가 구현되어야 할 때 특히 유리하다.
다양한 제품들을 유연하게 운반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쉘형 또는 바스켓형 제품 캐리어들이 사용될 때 특히 유리하며, 상기 캐리어들은 이후 이동대차 부재의 하나 이상의 하중 캐리어 상에 체결된다. 결과적으로, 다양한 제품들을 제품 캐리어 내부에서 운반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품 캐리어가 하나 이상의 관절연결형 스트럿을 통해 하중 캐리어에 연결될 때 특히 유리하다. 이와 관련하여, 관절연결형 스트럿과 제품 캐리어 간의 피벗 이동이 가능해져야 한다. 이런 점에서, 제품 운반이 예컨대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면으로 만곡되는 트랙 가이드를 선택할 수 있고, 바스켓형 제품 캐리어는 항상 수평면으로 피벗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운반될 제품은 추락 없이 제품 캐리어 내에서 안전하게 이송될 수 있다.
반전을 위해, 가장 간단한 경우에, 관절연결형 스트럿을 하중 캐리어에 고정 연결하거나, 이를 구성요소로서 구현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품 캐리어의 피벗 성능을 위해 요구되는 가이드 트랙에 대한 간격을 구현한다. 그러나, 신속작동 폐쇄 연결부에 의한 관절연결형 스트럿과 하중 캐리어 간의 연결이 특히 바람직하다. 신속작동 폐쇄부에 의해, 관절연결형 연결부를 구비한 제품 캐리어를 신속하고 유연하게 교환할 수 있고, 실제 요건에 따라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신속작동 폐쇄부에 의해 이를 장착할 수 있다.
그러나, 하중 분배의 개선을 위해, 하나의 제품 캐리어가 각각의 경우 하나의 이동대차 장치의 2개의 하중 캐리어들에 연결될 때 특히 유리하다. 이와 관련하여, 제품 캐리어들과 2개의 하중 캐리어들 간의 연결이 각각의 경우 관절연결형 스트럿들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와 관련하여, 하중 캐리어와 관절연결형 스트럿 간의 피벗 가능한 연결 및 관절연결형 스트럿과 제품 캐리어 간의 피벗 가능한 연결 모두가 필요하다. 이런 점에서, 신속작동 폐쇄부가 유리하게는 신속작동 폐쇄 관절연결형 연결부를 형성하도록 연장된다. 수직면 내에 만곡된 트랙 전개를 구현하는 것은, 가이드 트랙에 대해 수직으로 놓인 수평 피벗축을 중심으로 하는 피벗 성능을 가진 조인트를 필요로 한다. 수평면 내의 만곡된 트랙 전개는 가이드 트랙에 대해 수직으로 놓인 수직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성능을 관절연결형 연결부에서 필요로 한다. 양 관절연결형 이동들을 결합시킴으로써 가이드 트랙의 3차원 전개가 결과적으로 가능해지고, 그럼에도 제품 캐리어의 안정되고 안전한 위치를 보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장치의 적용 가능성이 회전 성능에 의한 제품 캐리어의 하나의 진전에 의해 추가로 개선된다. 이와 관련하여, 제품 캐리어는 수평 회전축을 가진 피벗 베어링을 수용한다. 동시에, 상기 회전축은 관절연결형 스트럿들의 연결부에서 회전축일 수 있다. 상기 유리한 실시예에서, 제품 캐리어는 예컨대 캐리어 피벗 레버에 의해 적어도 연장되고, 그에 따라 외부 피벗 메커니즘이 캐리어 피벗 레버와 협력할 수 있고, 제품 캐리어를 회전축을 중심으로 피벗시키며, 결과적으로 예컨대 제품 캐리어의 내용물을 비운다.
본 발명의 필수적인 양상은 자동 구동을 허용하는 것이지만, 본 출원의 전제 조건은 아니다. 이와 관련하여, 또한, 전단력이 개별 이동대차 부재들 간의 관절연결형 연결에 의해 하나의 이동대차 부재로부터 전방의 이동대차 부재로 전달 가능할 때 특히 유리하다(당기는 힘이 일반적으로 문제를 입증하진 않는다). 결과적으로, 이송 장치의 적용 가능성이 종래 기술에 비해 상기 실시예에 의해 분명히 개선된다. 특히, 새로이 형성된 실시예에 의해, 기계적 구동의 사용은 이동대차 장치가 구동점을 통과할 때 모든 이동대차 부재들이 구동 가능할 수 있다는 점에서 현저히 단순화되며, 그에 따라 본질적으로 당기는 힘이 관절연결형 연결부들의 맞물림 부분에 존재하고 전단력으로 변화된다.
관절연결형 연결에 의해 2개의 이동대차 부재들을 결합시킴으로써, 이동대차 장치의 위치상 안정된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2개의 관절연결형 부재들이 실질적으로 서로를 향한 상대 이동을 방지하고 단지 피벗 이동만을 허용할 때, 다시 말하면, 단지 피벗 성능에 필요한 유극만이 존재할 때, 특히 유리하다. 결과적으로, 이동대차 장치의 이동은 미는 힘에 의해 선택적으로 또는 당기는 힘에 대해 비제한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일반적으로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당기는 이동 또는 미는 이동은 전체 이동대차 장치를 따로 당기거나 같이 밀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이동대차 장치의 이동에서의 분명히 개선된 균일성을 획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결과적으로, 이동대차 장치가 동시에 2개의 구동점들에서 들어올려질 때 역시 문제가 되지 않는다. 전체 이동대차 장치의 불변하는 길이로 인해, 2개의 지점들에서의 균일한 구동은 일정한 이동 패턴을 가져온다. 대조적으로, 같이 밀린 이동대차 장치가 이후 제2 구동부에 의해 파지된 경우 길이가 당겨지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압축 이동에 진입하는 일이 종래 기술에서 쉽게 일어날 수 있고, 이러한 압축 이동은 이후 트랙 이동으로부터의 이탈(breakout)을 초래할 수 있다.
축방향 힘과 함께 추가로 반경방향 힘이 하나의 이동대차 부재로부터 다른 이동대차 부재로 관절연결형 연결부 내부에서 전달되도록 관절연결형 연결부가 구현될 때 특히 유리하다. 결과적으로, 제품들을 운반하는 데에 필요한 장치의 전개가 상당히 단순화된다. 관절연결형 부재들 내의 반경방향 지지를 통해, 가이드 트랙에 대한 작동 오프셋 및 제품들의 운반에 의해 이동대차 부재들의 경우에 발생하는 힘은 가이드 트랙으로부터의 이탈을 초래하지 않는다.
이와 관련하여, 관절연결형 연결부의 중심점이 가이드 트랙과 이동체들 사이에 접촉된 가이드면들에 대해 가능한 한 작은 간격일 때 특히 유리하다. 상기 배치는 만곡된 전개가 있는 경우에도 가이드 트랙을 따른 이동대차 장치 또는 개별 이동대차 부재들의 광범위하게 균일한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커브들의 전개 내에서 전달될 당기는 힘과 미는 힘은 가이드 트랙으로부터의 간격에서 가이드 트랙의 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놓이는 힘들을 전혀 초래하지 않거나 단지 약소하게 초래한다. 가이드 트랙으로부터 이격된 결합 연결부들을 구비한 종래 기술에 알려진 장치들의 경우에, 대조적으로, 특히 미는 이동의 경우 또는 3차원 트랙 전개의 경우 불안정한 이동을 가져온다. 이런 점에서, 종래 기술에 알려진 실시예들은 바람직하게는 간단한 3차원 이동 패턴의 경우에 당기는 이동에만 적합하다.
이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관절연결형 연결부의 중심점이 가이드 트랙의 중심축 또는 각 이동체의 중심축 상에 또는 내에 배치될 때 특히 유리하다. 결과적으로, 관절연결형 연결부는 가이드 트랙 내부에 위치하며, 이는 먼저 가이드 트랙이 그 축을 따라 트위스트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결과적으로, 예컨대, 이동대차 장치의 나선형 이동이 가이드 트랙을 따라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이동 패턴들은 종래 기술에서 거의 배제되어 있다.
수평면과 수직면 모두에서 특히 만곡된 전개를 가진 설계에서 가이드 트랙의 전개를 가능한 한 유연하게 만들기 위해, 그리고 축방향 힘과 반경방향 힘 모두를 전달하기 위해, 관절연결형 연결부가 볼 연결부로 구현될 때 특히 유리하다. 이와 관련하여, 이동체의 제1 관절연결형 부재는 볼 수용 수단에 의해 형성되고, 연결 스트럿의 반대 단부에 배치되는 제2 관절연결형 부재는 관절연결형 볼로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관절연결형 부재에 의해 연결된 2개의 이동대차 부재들 사이에서, 2개의 연결된 이동대차 부재들을 서로를 향해 피벗시키고/피벗시키거나 회전시킬 수 있고, 동시에 축방향 및 반경방향 위치결정을 보장한다. 상기 실시예는 가이드 트랙의 전개에 대해 특히 많은 양의 자유를 생성한다. 결과적으로, 다른 경우엔 가능하지 않을 트랙 전개가 가능하다.
볼 수용 수단은 볼 컵 및 하나 이상의 볼 슬리브 부분을 구비한 다수의 부품들로 형성될 때 특히 유리하게 구현된다. 이와 관련하여, 연결 스트럿이 탈착식 또는 고정형 또는 일체형으로 장착되는 제1 구성요소, 및 하나 이상의 제2 구성요소를 구비한 이동체 구성의 다부품 방식이 요구된다. 볼 컵은 제1 구성요소와 연관되어야 하고, 볼 슬리브 부분은 제2 구성요소와 연관되어야 하며, 볼 컵 또는 볼 슬리브 부분은 각각의 경우 각 구성요소의 구성요소 부분들이거나, 또는 다른 별개의 구성요소에 의해 이들에 연결될 수 있다.
유리한 설계에서, 제1 구성요소는 이동체 절반부를 형성하고, 제2 구성요소는 이동체 쿼터부를 형성하며, 이후 제2 구성요소는 2배로 존재하고, 이런 점에서 또한 이동체 절반부를 형성한다.
볼 조인트를 형성하는 특히 유리한 제1 변형예에서, 제1 및 제2 구성요소 간 또는 볼 컵과 볼 슬리브 부분 간의 분할면은 이동대차 부재의 종방향 중심축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롤러들의 베어링 장치가 또한 제1 및 제2 구성요소 간의 분할면 내로 배치될 때 특히 유리하다. 이는, 제2 구성요소가 제1 구성요소 상에 장착될 때, 동시에 제2 관절연결형 볼이 들어올려지며 롤러들이 고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볼 조인트의 형성 시에, 볼 컵이 각각의 경우 관절연결 방식으로 연결될 인접한 이동대차의 제2 관절연결형 부재로서 관절연결형 볼에 대한 실질적인 단부면 접촉면을 형성할 때 유리하다. 볼 슬리브 부분은 관절연결형 볼을 둘러싸고, 그로 인해 제1 구성요소에 연결된다. 이런 점에서, 볼 컵 및 볼 슬리브 부분을 통해 제1 및 제2 구성요소에 의해 관절연결형 볼을 둘러쌈으로써, 제1 및 제2 관절연결형 부재 간의 볼 조인트 연결을 형성한다.
공차를 보상하기 위해 그리고 볼 조인트 연결 내의 유극을 방지하기 위해, 볼 컵이 제1 구성요소 내에 탄성 장착될 때 특히 유리하다. 이런 점에서, 볼 컵이 별개의 구성요소로서 제1 구성요소 상에 배치되는 것이 명백하다. 이런 점에서, 볼 컵이 설치 위치에서 유지되도록 보장되는 한, 제1 구성요소와 볼 컵 간의 직접 연결은 필요하지 않다. 이는 볼 컵이 제1 구성요소 내에 지지된 스프링 부재에 의해 후행 이동대차 부재의 관절연결형 볼에 압착된다는 점에서 동시에 유리하게 보장된다. 이와 관련하여, 볼 컵이 제1 구성요소 상의 가이드 내에 구성요소로서 장착되고, 결과적으로 관절연결형 볼의 방향으로 들어올려지는 이동성만을 가질 때 유리하다.
볼 조인트 연결을 위한 설계상의 제2 변형예에서, 분할면은 이동대차 부재의 종방향 중심축에서 볼 컵과 볼 슬리브 부분 사이에 배치된다. 다시 말하면, 연결 스트럿에 연결된 제1 구성요소와 제2 구성요소 간의 분할은 가이드 트랙에 평행하게 이루어진다. 이는, 결과적으로, 제2 구성요소가 후행 이동대차 부분의 관절연결형 볼을 둘러싸기만 하면 되고, (가능하긴 하지만) 어떤 다른 추가 기능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결과적으로, 관절연결형 볼을 볼 컵 내에 삽입하고, 볼 슬리브 부분을 가지고 그 위에 제2 구성요소를 배치 및 체결함으로써, 제2 구성요소를 매우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고, 이동대차 부재들 간의 연결을 매우 간단하게 개선한다.
이와 관련하여, 이동대차 부재의 종방향 중심축은, 가이드 트랙과 실질적으로 평행하며, 이동체와 연결 스트럿과 관절연결형 부재들에 의해 형성된 유닛을 통해 중앙에 진행되는 라인을 가리킨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축은 체적 중심점 또는 전단점을 통해 정확하게 진행될 필요가 없다.
양 설계상 변형예들에서, 볼 조인트 연결이 유리하게 형성되며, 제1 관절연결형 부재가 2개의 볼 쉘 부분들을 결합함으로써 형성되고, 볼 형상의 제2 관절연결형 부재가 포함된다. 이는 유극 없는 관절연결형 연결을 형성하되, 필요한 피벗 성능을 보장하고, 그럼에도 축방향 및 반경방향 힘을 전달할 수 있다.
이송 장치, 특히 이동대차 장치의 전개에 대해 가능한 한 많은 유연성을 생성하기 위해, 이동대차 및/또는 제2 관절연결형 부재가 연결 스트럿에 특히 탈착 가능하게 체결될 때 특히 유리하다. 한편으론, 상기 전개는 이동체의 제2 구성요소가 제2 관절연결형 부재 또는 관절연결형 볼 후방에서 둘러싸는 방식으로 볼 슬리브 부분을 가지고 배치되고, 다른 한편으론, 이동체의 제1 구성요소에 연결되는 실시예를 가능하게 한다.
필수적인 점은 제한된 종류의 부품들에 기반하여 이송 장치의 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특히, 이는 예컨대 연결 스트럿의 길이 또는 이동대차 부재의 길이에 대해 유연한 실시예들이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결 스트럿들 또는 구성요소들의 작은 변화에 의해, 이동체의 설계에 의한 다양한 하중, 연결 스트럿들의 길이에 의한 가이드 트랙들의 다양한 커브 반경, 제품 캐리어들의 대응하는 선택 및 이동대차 부재들로의 연결에 의한 상이한 제품들과 같은 실시예들의 큰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응용상 큰 변화를 가능하게 한 것과 더불어, 제조 비용상의 이점을 달성한다.
또한, 연결 스트럿이 서로 연결 가능한 2개 이상의 연결부 부재들을 구비할 때 유리하다. 이와 관련하여, 이러한 변화 역시 이동대차 부재들의 실시예에 대한 유연성을 달성한다. 이와 관련하여, 예컨대, 제1 연결부 부재를 이동체에 고정형 또는 일체형으로 연결하고, 제2 연결부 부재를 제2 관절연결형 부재로서 관절연결형 볼에 고정형 또는 일체형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동대차 부재들의 유연한 분리가 결과적으로 연결 스트럿 내부에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은 탈착 가능한 연결의 고정이 신속작동 폐쇄부에 의해 또는 바람직하게는 잠금 연결부에 의해 이루어질 때 특히 유리하다. 결과적으로, 한편으론, 개별 구성요소들을 결합함으로써, 이동대차 장치의 조립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론, 이동대차 장치의 변경이 탈착 가능한 연결의 분리에 의해 추가 비용 없이도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이송 장치 내부의 변경 요건에 유연하게 반응할 수 있다.
구동부를 구현하기 위해, 가이드 트랙에 맞물리는 하나 이상의 마찰 벨트 구동부 또는 마찰 휠 구동부가 배치될 때 유리하다. 이와 관련하여, 구동면들이 이동대차 부재들 상에 필요한 경우 구비된다. 마찰 벨트 구동부 또는 마찰 휠 구동부의 구동 부재들은 이와 관련하여 마찰 구동에 의해 필요한 힘의 이동(force transference)을 초래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당기기도 하고 밀기도 하는 이동이 이동대차 장치에 대해 가능하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가이드 트랙에 맞물리는 하나 이상의 톱니형 벨트 구동부 또는 톱니형 휠 구동부가 배치될 때 구동부의 구현에 유리하다. 이와 관련하여, 대응하는 구동면들이 또한 이동대차 부재들 상에 구비되어야 한다. 톱니형 벨트 구동부 또는 톱니형 휠 구동부의 구동 부재들은 이와 관련하여 톱니형 구동에 의해 필요한 힘의 이동을 초래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당기기도 하고 밀기도 하는 이동이 이동대차 장치에 대해 가능하다.
가이드 트랙 내부에서 이동대차 장치의 베어링 장치의 추가적인 하중을 피하기 위해, 2개의 마찰 벨트 구동부들 또는 마찰 휠 구동부들 또는 톱니형 벨트 구동부들 또는 톱니형 휠 구동부들이 가이드 트랙에 대해 대칭 배치되도록 구비될 때 특히 유리하다. 구동부들의 대향 배치는 이동대차 부재들 상에 구동부에 의해 초래되는 횡방향 힘을 본질적으로 제거한다. 이와 관련하여, 2개의 구동부들에 의해 한정된 구동면이 이동대차 부재들 또는 가이드 트랙의 종방향 중심축과 정렬되도록 배치될 때 특히 유리하다.
특히 길이에 대한 가이드 트랙의 전개에 따라 상이한 개수의 구동부들이 필요하거나 적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관련하여, 때때로 개별 구동부 또는 개별 구동부쌍을 구비하면 충분할 수 있다. 복수의 구동부쌍들을 사용해야 할 수도 있다. 이런 점에서, 상기 개수는 한편으론 가이드 트랙의 길이에 따라 조절되고, 추가로 개별 이동대차 장치들의 개수와 길이에 따라 그리고 가이드 트랙의 기하학적 전개에 따라 조절된다.
2개 이상의 독립적으로 제어 가능한 구동부들의 사용이 특히 유리하며, 그 결과로 이동대차 장치가 가이드 트랙의 전개에 걸쳐 상이한 속도로 가속되거나 제동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런 점에서, 예컨대, 긴 직선형 범위보다 커브 상에서 더 낮은 속도를 선택할 수 있다.
마찰 벨트 구동부 또는 마찰 휠 구동부/톱니형 벨트 구동부 또는 톱니형 휠 구동부로부터 개별 이동대차 부재들 상으로 필요한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마찰 벨트 또는 마찰 휠/톱니형 벨트 구동부 또는 톱니형 휠 구동부가 가이드 트랙에 대해 수직으로 구동 부재로서 탄성 장착될 때 특히 유리하다. 이런 점에서, 탄성력이 구동점에 인가될 수 있고, 필요한 마찰력 또는 톱니들의 보다 견고한 맞물림이 보장될 수 있다.
이런 목적을 위해, 구동 부재들의 구동면들이 마찰 벨트 구동부 또는 마찰 휠 구동부의 경우 키홈(keyway)들로서 구현되는 것이 유리하다.
톱니형 벨트 구동부 또는 톱니형 휠 구동부의 사용 시에, 하나의 톱니형 로드 부분이 연결 스트럿 상에 배치될 때 특히 유리하다. 이는 결과적으로 이동대차 장치가 톱니형 벨트 구동부 또는 톱니형 휠 구동부에 의해 (제한될지라도) 소정의 경로에 걸쳐 추진되도록 보장한다. 또한, 연결 스트럿의 톱니형 로드 부분이 이동체 상에서 계속될 때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방안을 명확히 하기 위해, 특히 유리한 실시예가 아래와 같은 첨부 도면들에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 1은 이동대차 장치(15) 및 2개의 제품 캐리어들(61)을 구비한 이송 장치(01)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이송 장치(01)를 위한 가이드 트랙(03)의 예시적인 전개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이송 장치(01)를 위한 예시적인 이동대차 장치(15)를 도시한다.
도 4는 이송 장치(01)를 위한 이동대차 장치(15)의 이동대차 부재(16)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이동대차 부재(16)의 다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은 이동대차 부재(16)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1에 따른 실시예를 위한 가이드 레일(05) 내의 이동대차 부재(16)를 중심축의 종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을 도시한다.
도 8은 이중 이동대차 부재(17)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9는 8각형 프로파일(105)을 가진 이송 장치(101)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3개의 롤러들(222)을 구비한 이송 장치(201)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수평 직선형 트랙 부분(09a)을 구비한 이송 장치(01)의 부분 수직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수직 트랙 커브(09d)를 구비한 이송 장치(01)의 부분 수직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수평 트랙 커브(09c)를 구비한 이송 장치(01)의 부분 수평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응용에서 이동대차 장치들(15)의 구동을 위한 구동 장치(51)를 도시한다.
도 15는 도 14를 보완하는 구동 장치(51)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도 1에 따른 실시예의 개별 레일 세그먼트들(09)을 연결하기 위한 세그먼트 연결구들(10)에 대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은 이동대차 장치(15) 및 2개의 제품 캐리어들(61)을 구비한 이송 장치(01)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이송 장치(01)를 위한 가이드 트랙(03)의 예시적인 전개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이송 장치(01)를 위한 예시적인 이동대차 장치(15)를 도시한다.
도 4는 이송 장치(01)를 위한 이동대차 장치(15)의 이동대차 부재(16)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이동대차 부재(16)의 다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은 이동대차 부재(16)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1에 따른 실시예를 위한 가이드 레일(05) 내의 이동대차 부재(16)를 중심축의 종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을 도시한다.
도 8은 이중 이동대차 부재(17)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9는 8각형 프로파일(105)을 가진 이송 장치(101)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3개의 롤러들(222)을 구비한 이송 장치(201)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수평 직선형 트랙 부분(09a)을 구비한 이송 장치(01)의 부분 수직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수직 트랙 커브(09d)를 구비한 이송 장치(01)의 부분 수직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수평 트랙 커브(09c)를 구비한 이송 장치(01)의 부분 수평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응용에서 이동대차 장치들(15)의 구동을 위한 구동 장치(51)를 도시한다.
도 15는 도 14를 보완하는 구동 장치(51)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도 1에 따른 실시예의 개별 레일 세그먼트들(09)을 연결하기 위한 세그먼트 연결구들(10)에 대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장치(01)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와 관련하여, 명확함을 위해 전체 이송 장치(01)의 단지 일 부분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부분은 가이드 트랙(03)이 수평에서 수직으로 변화되는 코너 영역이다. 수평 트랙 부분(09a), 수직 트랙 커브(09c), 및 수직 직선형 트랙 부분(09b)을 구비한 가이드 트랙(03) 또는 가이드 레일(05)의 상이한 세그먼트들(09)을 확인할 수 있다. 가이드 트랙(03)은 양측에서 대응하는 방식으로 계속된다. 이동대차 장치(15, 미도시)는 가이드 트랙(03) 내에 장착되도록 위치한다. 하중 캐리어들(45)은 아래로 또는 수직 부분에서 우측으로, 상기 이동대차 장치(15)로부터 가이드 트랙(03) 밖으로 돌출된다. 이와 관련하여, 도면은 예컨대 제품 캐리어(61)가 어떻게 장착되는지를 보여준다. 신속작동 폐쇄 관절연결형 연결부(64)가 각각의 경우 2개의 이격된 하중 캐리어들(45) 상에 장착된다. 제1 관절연결형 스트럿(62) 및 제2 관절연결형 스트럿(63)이 이후 상기 신속작동 폐쇄 관절연결형 연결부에 연결된다. 이와 관련하여, 양 관절연결형 스트럿들(62, 63)은 각각의 경우 브래킷 형태로 구현된다. 또한, 관절연결형 스트럿들(62, 63)은 이후 제품 캐리어(61) 상에 관절연결 방식으로 장착된다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두 상이한 위치에서 확인할 수 있는 제품 캐리어(61)는 관절연결형 스트럿들(62, 63) 상에서 자유롭게 피벗할 수 있고, 각각의 경우 수평 상태를 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품 캐리어(61) 내의 제품들의 안전한 운반을 보장한다. 제품 캐리어(61)에 연결된 캐리어 피벗 레버(65)를 또한 확인할 수 있고, 상기 캐리어 피벗 레버에 의해, 제품 캐리어(61)의 내용물이 예컨대 연결 링크 가이드 또는 대응하는 구동부를 통해 피벗될 수 있다.
도 2는 예로서 가이드 트랙(03)의 가능한 전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와 관련하여, 이송 장치(01) 내에 사용된 가이드 레일(05)은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수평 부분들(09a) 및 수평 커브 부분들(09c)뿐만 아니라 수직 직선형 부분들(09b) 또는 경사지게 연장된 부분들 또는 수직 커브 부분들(09d)을 포함하는 수 개의 레일 세그먼트들(09)을 구비한다. 또한, 슬롯형 세그먼트 피스(09e)가 하부 좌측에 도시된 영역에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세그먼트(09e)는 이동대차 장치(15)의 공급 이동을 위한 대응하는 구동 장치(51)의 장착을 위해 사용된다.
도 3에서는 이제 이동대차 장치(15)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확인할 수 있다. 본원의 경우, 상기 이동대차 장치는 5개의 정규 이동대차 부재들(16)과, 좌측에 도시된 단부의 하나의 이중 이동대차 부재(17)로 구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각각의 정규 이동대차 부재(16)는 외주 상에 4개의 롤러들(22)이 분산된 이동체(21)를 구비한다. 대조적으로, 가이드 트랙(03) 내부에서의 이동대차 장치(15)의 안정성을 위해, 이중 이동대차 부재는 2개의 이동체들(21)을 구비한다. 또한, 개별 이동대차 부재들(16, 17) 간의 관절연결형 연결에 의한 이동대차 장치(15)의 이동성 또는 가능한 3차원 전개를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볼 수용 수단의 형태로 이동체(21) 내에 존재하는 제1 관절연결형 부재(26)를 (이동대차 장치(15)의 전단부에서) 확인할 수 있고, 이동대차 장치(15)의 구동을 위한 톱니형 로드들(43)을 모든 이동대차 부재들(16, 17)의 양측에서 확인할 수 있다. 가이드 롤러(46)가 위치하는 하중 캐리어(45)가 각 이동대차 부재(16, 17) 상에 존재한다. 이동대차 장치(15)가 가이드 트랙(03) 내부에서 이동대차 부재들(16, 17)을 가지고 어떻게 놓이는지가 명백하며, 이와 관련하여, 단지 하중 캐리어들(45)만이 가이드 레일(05) 밖으로 돌출된다.
도 4는 이송 장치(01)를 위한 이동대차 부재(16)의 유리한 실시예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먼저 이동체(21)와 연결 스트럿(35)과 제2 관절연결형 부재 또는 관절연결형 볼(37)을 구비한 이동대차 부재(16)의 기본 설계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이동체(21)가 다수의 부품들로 이루어지며, 이와 관련하여 제1 구성요소 또는 이동체 절반부(28) 및 2배의 제2 구성요소 또는 각각의 경우 이동체 쿼터부(32.1, 32.2)로 형성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볼 슬리브 형태의 제1 관절연결형 부재(26)는 부착식으로 이동체 내부에 도시된다. 추가로, 상기 롤러들(22)이 도시되는데, 하부 롤러들은 고정 롤러들(23.1, 23.2)을 형성하고(‘고정’은 회전축에 관한 것임을 주목한다), 상부 롤러들은 탄성 장착 롤러들(24.1, 24.2)로 구현된다. 이런 설계에서, 탄성 베어링 장치는, 가이드 트랙(03)과 접경 시에 롤러들(24)이 로딩될 때, 롤러들(24)이 이동대차 부재(16)의 종방향 중심축(19) 방향으로 편향될 수 있다는 사실에 관련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탄성 베어링 장치는 예컨대 반드시 압축 스프링 등의 장치일 필요가 없고, 베어링 위치에서의 탄성 유연성으로도 충분하다. 가장 간단한 경우에, 실제 롤러들의 탄성 실시예에 의해 유연성을 구현하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다. 또한, 이동대차 부재(16)의 양측에 배치되며, 각각의 경우 연결 스트럿과 이동체 절반부와 이동체 쿼터부 상의 3부품 부분들(43a, 43b, 43c)로 구성된 톱니형 로드(43)를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이동대차 부재(16)의 다른 사시도를 도시한다. 이와 관련하여, 유리하게, 가이드 롤러(46)가 장착된 하중 캐리어(45)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하중 캐리어(45)는 이동체(21) 아래에 배치되며, 이동체(21)에 고정 연결된다.
이동대차 부재(16)의 모듈식 설계는 도 6에서 특히 유리하게 명백하다. 제2 관절연결형 부재 또는 관절연결형 볼(37)이 연결된 연결 스트럿(35)의 단일부품 실시예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연결 스트럿(35)이 양측에 톱니형 로드 부분(43a)을 구비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동체(21)와 관련하여, 연결 스트럿(35)은 플러그-인 연결의 베이스(39a)를 구비한다. 아울러, 잠금 연결을 위한 리세스들(40a)이 플러그-인 연결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보완하는 방식으로, 이동체 또는 이동체 절반부(28)의 제1 구성요소는 플러그-인 연결을 위한 슬리브(39b)를 구비한다. 또한, 이동체 절반부(28)의 양측에서는, 탄성 장착된 잠금 볼트(41)가 잠금 연결을 위해 수용 수단(40a) 내에 장착된다. 결과적으로, 이동체(21)와 연결 스트럿 간의 유리하고 간단한 연결이 명백하다. 이런 점에서, 이동체(21) 상에 연결 스트럿(25)을 조립하기 위해 플러그 및 잠금 동작만이 필요하다. 이동체 절반부(28) 및 2개의 이동체 쿼터부들(32.1, 32.2)을 구비한 이동체의 다부품 설계를 유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동체 쿼터부들(32.1, 32.2)은 각각 볼 슬리브 부분(33.1, 33.2; 미도시)을 구비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공된 볼 컵(29)은 이런 목적을 위해 제1 구성요소 또는 이동체 절반부(28) 내부에서 스프링 부재(30)에 의해 탄성 장착된다. 결과적으로, 이동체(21)가 결합될 때, 제1 관절연결형 부재(26)가 형성되고, 후행 이동대차 부재의 제2 관절연결형 부재 또는 관절연결형 볼(37)이 둘러싸이는 것이 명백하다. 관절연결형 연결부 내부의 유극은 스프링 부재(30)에 의해 제거된다.
이런 실시예의 경우, 이동체 절반부(28)와 이동체 쿼터부들(32) 간의 분할면에 축이 있는 롤러들(22)의 배치가 또한 유리하다. 이런 점에서, 이동체 쿼터부들(32)이 이동체 절반부(28) 상에 조립되어 후행 이동대차 부재의 관절연결형 볼(37)을 둘러쌀 때, 롤러들(22)이 동시에 장착된다. 제1 구성요소 또는 이동체 절반부(28) 및 제2 구성요소 또는 이동체 쿼터부들(32) 간의 분할면은 기하학적 평면일 필요가 없으며, 관절연결형 볼(37)이 제1 관절연결형 부재(26) 내에 수용된 상태로 이동체(21)가 조립될 때 롤러들이 동시에 장착되도록 보장되는 한, 상기 분할면은 숄더들과 갭들을 가질 수 있음을 고려할 수 있다.
가이드 트랙 또는 가이드 레일(05) 내부에서 이동대차 장치 또는 이동대차 부재(16)의 위치를 명확히 하기 위해, 도 7은 가이드 레일(05) 내부의 정규 이동대차 부재(16)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가이드 횡단면(06) 내부에서 이동체(21)에 의한 이동대차 부재(16)의 베어링 장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2개의 고정 롤러들(23a, 23b) 및 2개의 탄성 장착 롤러들(24a, 24b)이 가이드 레일(05) 내부에서 롤링한다. 이동대차 장치(16)의 제2 관절연결형 부재로서 관절연결형 볼(37)이 중심에 위치한다. 또한, 하중 캐리어(45)가 슬롯(07)의 영역에서 가이드 레일(05)을 어떻게 관통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베어링 장치의 개선을 위해 그리고 슬라이딩 마찰을 피하기 위해, 가이드 롤러(46)는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하중 캐리어(45) 상에 부착된다. 종방향 중심축(19)을 중심으로 한 이동대차 부재(16)의 회전 위치가 슬롯(07) 내부에 배정된 가이드 롤러(46)에 의해 어떻게 한정되는지가 명백하다.
도 8은 이송 장치(01) 내부의 보완 부재로서 이중 이동대차 부재(17)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이중 이동대차 부재는 정규 이동대차 부재(16)와 본질적으로 유사한 설계를 가진다. 이런 점에서, 대응하는 롤러들(22) 및 제1 관절연결형 부재(26.1)를 구비한 제1 이동체(21.1)가 또한 제1 측에 있다. 이중 연결 스트럿(36)이 동일한 유형의 플러그-인 연결부(39.1)로 상기 제1 이동체에 연결된다. 상기 이중 연결 스트럿은 정규 연결 스트럿(35)과 같이 톱니형 로드 부분(43a)을 구비한다. 이동대차 부재(16)의 정규 실시예와 대조적으로, 상기 이중 이동대차 부재(17)의 경우에는 이제 제2 이동체(21.2)가 제2 단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2 이동체는 유리하게는 제1 이동체(21.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구현되며, 동일한 플러그-인 연결부(39.2)로 이중 연결 스트럿(36)에 연결된다. 이와 관련하여, 본질적으로 불충분한 점은, 단지 하나의 이동체(21.2)만 하중 캐리어(45)를 포함하고, 대조적으로 다른 이동체(21.1)는 하중 캐리어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도 9는 예로서 이송 장치(101)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송 장치(01)의 실시예와 대조적으로, 이와 관련하여, 가이드 트랙은 8각형 가이드 레일(105)을 구비한다. 또한, 이송 장치(01)의 실시예의 경우에서와 같이, 이동체(121)는 가이드 레일(105)의 가이드 횡단면(106) 내부에 위치하며, 4개의 롤러들(122)을 통해 각각의 가이드면들과 접경한다. 또한, 가이드 레일(105)의 슬롯(107)을 통해 아래로 연장된 하중 캐리어(145)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이동체(221)가 내부에 배치되는 원형 가이드 레일(205)을 구비한 이송 장치(201)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가 다시 한번 도 10에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이 경우, 이동체(221)는 3개의 롤러들(222)을 구비한다. 또한, 이동체 하부(228)로서 제1 구송요소를 구비한 이동체(221) 및 이동체 상부(232)인 제2 구성요소 간의 대안적인 분할부가 예로서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상기 부분들은 하부의 볼 컵(229) 및 상부의 볼 슬리브 부분(233)에 의해 후행 이동대차 부재의 관절연결형 볼(237) 또는 제2 관절연결형 부재를 둘러싼다. 아울러, 가이드 롤러(246)를 구비한 하중 캐리어(245)가 다시 한번 개략적으로 도시되는데, 상기 가이드 롤러는 하중 캐리어(245) 상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이와 관련하여 가이드 레일의 슬롯(207) 내부에 지지되며, 결과적으로 이동대차 부재의 회전 위치를 사전 결정한다.
또한, 이동체(221)가 가이드 레일(205)에 의해 형성된 가이드 횡단면(206) 내부에 놓인다는 것이 예로서 개략적으로 도시되며, 가이드 레일의 중심축(205)으로서 가이드 레일(205) 또는 가이드 횡단면(206)의 중심점은 각각의 이동대차 부재 또는 이동체(221)의 종방향 중심축(219) 또는 중심점 위에 놓인다. 이런 점에서, 가이드 레일의 중심축(208)의 중심점은 이동대차 부재의 종방향 중심축(219)과 정렬될 필요가 없다. 그러나, 트랙 가이드 및 균일한 전개와 관련하여, 이동대차 부재의 종방향 중심축(219)이 가이드 레일의 중심축(208)과 광범위하게 정렬될 때 특히 이점이 있다.
도 11은 예로서 이송 장치(01)의 수평 부분의 수직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가이드 트랙(03)을 형성하는 수평 트랙 부분(09a) 또는 가이드 레일(05)을 먼저 확인할 수 있다. 개략적으로 도시된 이동대차 부재들(16)을 구비한 이동대차 장치(15)가 상기 가이드 트랙 내부에 놓인다. 이와 관련하여, 이동체들(21) 및 연결 스트럿들(35)을 가지고 서로 배정된 이동대차 부재들(16)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동대차 부재(16)의 관절연결형 볼(37)이 볼 컵(29) 및 볼 슬리브 부분(33)을 구비한 후행 이동대차 부재(16)의 관절연결형 부재(26)에 의해 어떻게 둘러싸이는지 확인할 수 있다. 하중 캐리어(45)가 돌출되는 슬롯(07)이 가이드 레일(05)의 하부에 있다. 상기 하중 캐리어는 가이드 롤러(46)에 의해 슬롯(07) 내부에서 가이드된다. 신속작동 폐쇄 관절연결형 연결부(64)가 하중 캐리어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64)는 일 측에 신속작동 폐쇄부를 구비하고, 타측에 회전과 피벗 모두를 가능하게 하는 다중 가동 조인트를 구비한다. 제1 이동대차 부재(16)의 경우, 제1 관절연결형 스트럿(62)이 신속작동 폐쇄 관절연결형 연결부(64) 아래에 연결되고, 다른 이동대차 부재(16)의 경우, 제2 관절연결형 스트럿(63)이 신속작동 폐쇄 관절연결형 연결부(64) 아래에 연결된다. 상기 관절연결형 스트럿들(62, 63)은 이후 실제 제품 캐리어(61)에 관절연결 방식 또는 피벗 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된다. 이런 점에서, 3차원 트랙 이동으로 인해, 제품 캐리어(61)는 항상 수평으로 유지되도록 자유롭게 매달리게 된다. 관절연결형 스트럿들(62, 63)의 전방에 위치되지만 제품 캐리어(61)에 고정 연결되는 유리한 캐리어 피벗 레버(65)가 상기 실시예를 보완한다. 이와 관련하여, 레버 작동은 편심 구동을 구현하거나, 또는 대안으로 연결 트랙 가이드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연결 트랙 가이드에 의해 제품 캐리어(61)는 제어된 방식으로 피벗되고, 결과적으로 뒤집어진다. 그에 따라, 제품 캐리어(61) 내에 위치하는 물질을 비울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도 12는 수직 트랙 커브 부분(09d)을 구비한 이송 장치(01)의 일부를 관통하는 수직 단면도를 도시한다. 특히, 개별 이동대차 부재들(16)의 서로에 대한 피벗팅, 및 각각의 신속작동 폐쇄 관절연결형 연결부들(64)에 대한 제1 및 제2 관절연결형 스트럿(62, 63)의 피벗팅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품 캐리어(61)가 3차원 트랙 전개 내의 위치와 무관하게 수평으로 유지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3은 이번엔 이송 장치(01)의 부분 수평 단면도를 다시 한번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와 관련하여, 먼저 다시 한번, 수평 트랙 커브 부분(09c)을 구비한 가이드 레일(05)의 전개를 확인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05)의 슬롯(07)은 개략적으로 도시된 이동대차 장치(15) 아래에 위치한다. 개별 레일 세그먼트들(09) 간의 연결은 세그먼트 연결구(10)에 의해 구현된다. 이와 관련하여, 세그먼트 연결구 절반부(10a 또는 10b)가 각각의 경우 트랙 부분(09a 또는 09c)의 양단부에 장착된다. 레일 세그먼트들(09)을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세그먼트 연결구 절반부들(10a 또는 10b)이 함께 나사결합된다. 또한, 양측에 톱니형 로드들(43)을 구비한 연결 스트럿(35)의 전개와, 플러그-인 연결부(39) 및 잠금 연결부(40)에 의한 이동체(21)로의 연결을 상기 단면도에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예에서 또한 이중 이동대차 부재(17)를 이용할 가능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이중 이동대차 부재는 이동대차 장치(15)의 전개 내에 위치한다. 이런 점에서, 정규 이동대차 부재들(16)이 반대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양측에 연결된다. 가장 간단한 경우에, 이중 이동대차 부재(17)의 배치는 이동대차 장치(15)의 시작 또는 말미에서 선택된다.
도 14는 예로서 가이드 레일(05) 내부에서 이동대차 장치(15)의 구동을 위한 구동 장치(5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예에서 상기 구동 장치는 가이드 레일(05)의 일 측 또는 가이드 레일(05)의 구동 세그먼트(09e)의 일 측에 톱니형 벨트 구동부(52)를 구비한다. 상기 톱니형 벨트 구동부는 이후 기어 모터(53)에 의해 구동된다. 이와 관련하여, 톱니형 벨트 구동부(52)는 2개의 가이드 롤러들(55)에 의해 가이드되는 톱니형 벨트(54, 톱니없이 개략 도시됨)를 포함한다. 접촉 롤러들(56a 또는 56b)에 의해, 톱니형 벨트는 개별 이동대차 부재들 상의 톱니형 로드(43)에 압착되고 맞물리게 된다.
도 14를 보완하는 도 15는 구동 장치(51)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개별 이동대차 부재들(16)을 구비한 이동대차 장치(15)를 가이드 레일 또는 구동 세그먼트(09e)의 중앙에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이동대차 장치의 외부 톱니형 로드들(43)은 구동 장치(51)의 이동을 위해 대응하는 구동면을 형성한다. 이와 관련하여, 톱니형 벨트 구동부(52)의 경우, 톱니형 벨트(54)가 접촉 롤러들(56a, 56b)에 의해 톱니형 로드들(43)에 압착된다. 이와 관련하여, 접촉 롤러들(56a, 56b)은 탄성 장착된다.
도 16a 내지 도 16c는 예로서 개별 레일 세그먼트들(09)을 연결하기 위한 가능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예에서, 이는 세그먼트 연결구들(10)에 의해 실시된다. 상기 세그먼트 연결구들은 이후 2개의 세그먼트 연결구 절반부들(10a, 10b)을 포함한다. 각각의 경우, 하나의 세그먼트 연결구 절반부(10a 또는 10b)는 레일 세그먼트(09.1 또는 09.2)의 각 단부에 사전 조립된다. 이와 관련하여, 세그먼트 연결구 절반부(10a 또는 10b)는 가이드 레일(05)을 둘러싼다. 레일 세그먼트(09.2)의 단부에서 세그먼트 연결구 절반부(10b)가 오프셋된 결과로, 레일 세그먼트들(09.1, 09.2)이 서로 정밀하게 정렬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관련하여, 세그먼트 연결구 절반부(10a)는 레일 세그먼트(09.1) 위로 돌출되고, 조립을 위해 세그먼트 연결구 절반부(10b) 내로 삽입된다. 2개의 세그먼트 연결구 절반부들 간의 실제 연결은 레일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나사 연결부들에 의해 이루어진다. 결과적으로, 정렬 오차를 발생시킴 없이 견고한 연결을 간단하게 달성한다.
또한, 세그먼트 연결구들(10)을 골조 등에 부착식으로 체결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세그먼트 연결구들(10)은 그 위에 평평한 스크류-온 표면(level screw-on surface)이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이런 목적을 위해 특히 유리하게 구비된다.
01 이송 장치
03 가이드 트랙
05 가이드 레일
06 가이드 횡단면
07 가이드 레일의 슬롯
08 중심축 가이드 레일
09 레일 세그먼트들
09a 수평 트랙 부분
09b 수직 트랙 부분
09c 수평 트랙 커브
09d 수직 트랙 커브
09e 구동 세그먼트
10 세그먼트 연결구
10a 세그먼트 연결구 절반부
10b 세그먼트 연결구 절반부
15 이동대차 장치
16 이동대차 부재
17 이중 이동대차 부재
19 종방향 중심축
21 이동체
22 롤러
23 고정 롤러
24 탄성 장착 롤러
26 제1 관절연결형 부재
28 이동체/이동체 절반부의 제1 구성요소
29 볼 컵
30 스프링 부재
32 이동체/이동체 쿼터부의 제2 구성요소
33 볼 슬리브 부분
35 연결 스트럿
36 이중 연결 스트럿
37 제2 관절연결형 부재/관절연결형 볼
39 플러그-인 연결부 - 이동체에 대한 연결 스트럿
40 잠금 연결부 - 이동체에 대한 연결 스트럿
41 탄성 장착 잠금 볼트
43 톱니형 로드
43a 연결 스트럿 상의 톱니형 로드 부분
43b 이동체 절반부 상의 톱니형 로드 부분
43c 이동체 쿼터부 상의 톱니형 로드 부분
45 하중 캐리어
46 가이드 롤러
51 구동 장치
52 톱니형 벨트 구동부
53 기어 모터
54 톱니형 벨트
55 가이드 롤러들
56 접촉 롤러들
61 제품 캐리어
62 제1 관절연결형 스트럿
63 제2 관절연결형 스트럿
64 신속작동 폐쇄 관절연결형 연결부
65 캐리어 피벗 레버
101, 201 이송 장치
105, 205 가이드 레일
106, 206 가이드 횡단면
107, 207 가이드 레일의 슬롯
208 중심축 가이드 레일
219 종방향 중심축
121, 221 이동체
122, 222 롤러들
228 이동체/이동체 하부의 제1 구성요소
229 볼 컵
232 이동체/이동체 상부의 제2 구성요소
233 볼 슬리브 부분
237 제2 관절연결형 부재/관절연결형 볼
145, 245 하중 캐리어
246 가이드 롤러
03 가이드 트랙
05 가이드 레일
06 가이드 횡단면
07 가이드 레일의 슬롯
08 중심축 가이드 레일
09 레일 세그먼트들
09a 수평 트랙 부분
09b 수직 트랙 부분
09c 수평 트랙 커브
09d 수직 트랙 커브
09e 구동 세그먼트
10 세그먼트 연결구
10a 세그먼트 연결구 절반부
10b 세그먼트 연결구 절반부
15 이동대차 장치
16 이동대차 부재
17 이중 이동대차 부재
19 종방향 중심축
21 이동체
22 롤러
23 고정 롤러
24 탄성 장착 롤러
26 제1 관절연결형 부재
28 이동체/이동체 절반부의 제1 구성요소
29 볼 컵
30 스프링 부재
32 이동체/이동체 쿼터부의 제2 구성요소
33 볼 슬리브 부분
35 연결 스트럿
36 이중 연결 스트럿
37 제2 관절연결형 부재/관절연결형 볼
39 플러그-인 연결부 - 이동체에 대한 연결 스트럿
40 잠금 연결부 - 이동체에 대한 연결 스트럿
41 탄성 장착 잠금 볼트
43 톱니형 로드
43a 연결 스트럿 상의 톱니형 로드 부분
43b 이동체 절반부 상의 톱니형 로드 부분
43c 이동체 쿼터부 상의 톱니형 로드 부분
45 하중 캐리어
46 가이드 롤러
51 구동 장치
52 톱니형 벨트 구동부
53 기어 모터
54 톱니형 벨트
55 가이드 롤러들
56 접촉 롤러들
61 제품 캐리어
62 제1 관절연결형 스트럿
63 제2 관절연결형 스트럿
64 신속작동 폐쇄 관절연결형 연결부
65 캐리어 피벗 레버
101, 201 이송 장치
105, 205 가이드 레일
106, 206 가이드 횡단면
107, 207 가이드 레일의 슬롯
208 중심축 가이드 레일
219 종방향 중심축
121, 221 이동체
122, 222 롤러들
228 이동체/이동체 하부의 제1 구성요소
229 볼 컵
232 이동체/이동체 상부의 제2 구성요소
233 볼 슬리브 부분
237 제2 관절연결형 부재/관절연결형 볼
145, 245 하중 캐리어
246 가이드 롤러
Claims (21)
- 특히 펠릿형 제품들, 특히 약학 제품들을 운반하기 위한 이송 장치(01, 101, 201)로, 상기 이송 장치는 가이드 트랙(03), 및 상기 가이드 트랙(03) 상에 배치되는 구동 가능한 이동대차 장치(15)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대차 장치는 각각 연결 스트럿(35, 36)을 구비한 2개 이상의 이동대차 부재들(16, 17)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스트럿의 제1 단부에는 가이드 트랙(03)을 따라 슬라이딩 또는 롤링 방식으로 가이드되는 하나 이상의 이동체(21, 121, 221)가 배치되는 이송 장치에 있어서,
이동체(21, 121, 221)는 제1 관절연결형 부재(26)를 구비하고, 연결 스트럿(35)의 제2 단부는 제2 관절연결형 부재(37)를 구비하며, 2개의 이동대차 부재들(16, 17) 중 첫 번째 이동대차 부재의 제1 관절연결형 부재(26), 및 2개의 이동대차 부재들(16) 중 두 번째 이동대차 부재의 제2 관절연결형 부재(37)는 관절연결 방식으로 서로 연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장치(01, 101, 201). -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이중 이동대차 부재(17)가 연결 스트럿(36)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 스트럿의 양 단부에는 하나 이상의 이동체(21, 121, 221)가 배치되며, 하나 이상의 이동체(21, 121, 221)는 다른 이동대차 부재(16)의 제2 관절연결형 부재(37)에 관절연결 방식으로 연결 가능한 제1 관절연결형 부재(2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장치(01, 101, 201). - 제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연결 이동대차 부재가 연결 스트럿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 스트럿의 양 단부에는 제2 관절연결형 부재(37)가 배치되며, 상기 제2 관절연결형 부재들은 2개의 다른 이동대차 부재들(16, 17)의 제1 관절연결형 부재들(26)에 연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장치(01, 101, 201). - 특히 펠릿형 제품들, 특히 약학 제품들을 운반하기 위한 이송 장치(01, 101, 201)로, 상기 이송 장치는 가이드 트랙(03), 및 상기 가이드 트랙(03) 상에 배치되는 구동 가능한 이동대차 장치(15)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대차 장치는 각각 연결 스트럿(35, 36)을 구비한 2개 이상의 이동대차 부재들(16, 17)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스트럿의 제1 단부에는 가이드 트랙(03)을 따라 슬라이딩 또는 롤링 방식으로 가이드되는 하나 이상의 이동체(21, 121, 221)가 배치되는 이송 장치에 있어서,
2개 이상의 이동대차 부재들은, 연결 스트럿(36)의 양 단부에, 각각 제1 관절연결형 부재(26)를 구비한 이동체(21, 121, 221)를 포함하는 이중 이동대차 부재들(17)로 구현되며, 이동대차 장치(15)는 연결 스트럿의 양 단부에 제2 관절연결형 부재(37)를 구비한 하나 이상의 연결 이동대차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고, 이중 이동대차 부재(17)의 제1 관절연결형 부재(26)는 연결 이동대차 부재의 제2 관절연결형 부재(37)에 관절연결 방식으로 연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장치(01, 101, 201).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동체(21, 121, 221)는 외주 상에 배치되는 3개 이상의, 특히 4개의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롤러들(22, 23, 24, 122, 22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장치(01, 101, 201). - 제5항에 있어서,
롤러들 중 적어도 하나의 롤러(24)는 이동체(21, 121, 221) 상에 탄성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장치(01, 101, 201).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이드 트랙(03)은 실질적으로 전장에 걸쳐 슬롯팅되는 가이드 레일(05, 105, 205) 형태로 구현되고, 이동대차 장치(15)는 가이드 레일(05, 105, 205) 내부에서 이동체들(21, 121, 221) 및 연결 스트럿들(35, 36)을 가지고 배치되며, 하나 이상의 이동대차 부재(16, 17)는 하나 이상의 하중 캐리어(45, 145, 245)를 구비하되, 상기 하중 캐리어는 특히 이동대차 부재(16, 17)의 종방향 중심축(19, 219)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치되며, 슬롯(07, 107, 207)을 통해 가이드 레일(05, 105, 205) 밖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장치(01, 101, 201). - 제7항에 있어서,
가이드 부재가 하중 캐리어(45, 145, 245) 상에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 부재를 통해 하중 캐리어(45, 145, 245)는 가이드 레일(05, 105, 205)의 슬롯(07, 107, 207) 내에서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장치(01, 101, 201). -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쉘형 또는 바스켓형의 제품 캐리어(61)가 하나 이상의 이동대차 부재(16, 17)의 하중 캐리어(45) 상에 체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장치(01). - 제9항에 있어서,
제품 캐리어(61)는 2개의 관절연결형 스트럿들(62, 63)을 통해 이동대차 장치(15)의 각 하중 캐리어(45)에 연결되어, 관절연결형 스트럿들(62, 63)의 관절연결형 연결이 하중 캐리어(45)와 관절연결형 스트럿(62, 63) 간의 피벗 이동, 및 관절연결형 스트럿(62, 63)과 제품 캐리어(61) 간의 피벗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장치(01). -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동체(21, 121, 221)의 제1 관절연결형 부재(26)는 볼 수용 수단으로 구현되고, 제2 관절연결형 부재(37, 237)는 관절연결형 볼로 구현되며, 2개의 관절연결형 부재들(26, 37, 237)은 2개의 연결된 이동대차 부재들(16, 17)이 서로를 향해 피벗하고/피벗하거나 회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볼-소켓 조인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장치(01, 101, 201). - 제11항에 있어서,
볼 수용 수단은 볼 컵(29, 229) 및 하나 이상의 볼 슬리브 부분(33, 233)에 의해 형성되고, 볼 컵(29, 229)은 이동체(21, 121, 221), 특히 연결 스트럿(35, 36) 측에 배치된 이동체 절반부의 제1 구성요소(28, 228) 내에 배치되며, 볼 슬리브 부분(33, 233)은 이동체(21, 121, 221), 특히 이동체 쿼터부의 제2 구성요소(32, 232)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장치(01, 101, 201). - 제12항에 있어서,
제1 구성요소(28)와 제2 구성요소(32) 간 또는 볼 컵(29)과 볼 슬리브 부분(33) 간의 분할면은 이동대차 부재(16, 17)의 종방향 중심축(19)에 대해 수직으로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장치(01). -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볼 컵(29)은 인접한 이동대차 부재(16)의 관절연결형 볼(37)이 각각의 경우 관절연결 방식으로 연결되는 접촉면 형태로 실질적으로 전단부에 구현되고, 볼 슬리브 부분(33)은 제1 구성요소(28)에 체결되어 관절연결형 볼(37)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장치(01). -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볼 컵(29)은 제1 구성요소(28) 내에 탄성 장착되며, 후행 이동대차 부재(16)의 관절연결형 볼(37) 상에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장치(01). - 제12항에 있어서,
제1 구성요소(228)와 제2 구성요소(232) 간 또는 볼 컵(229)과 볼 슬리브 부분(233) 간의 분할면은 이동대차 부재의 종방향 중심축(219)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장치(201). -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동체(21) 및/또는 제2 관절연결형 부재(37)는 특히 신속작동 폐쇄부 또는 바람직하게는 잠금 연결부(40)에 의해 연결 스트럿(35, 36)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장치(01). -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마찰 벨트 구동부 또는 마찰 휠 구동부가 가이드 트랙(03)에 맞물리고, 상기 구동부의 구동 부재들은 이동대차 부재들 상에 배치된 구동면들을 통해 이동대차 장치의 마찰 구동을 초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장치. -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톱니형 벨트 구동부(52) 또는 톱니형 휠 구동부가 가이드 트랙(03)에 맞물리고, 상기 구동부의 구동 부재들(54)은 이동대차 부재들(16, 17) 상에 배치된 구동면들(43)을 통해 이동대차 장치(15)의 톱니형 구동을 초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장치(01). -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가이드 트랙(03)에 대해 대칭 배치되는 2개 이상의 구동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장치. - 제18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마찰 벨트 또는 마찰 휠 또는 톱니형 벨트(54) 또는 톱니형 휠은 가이드 트랙(03)에 대해 수직으로 탄성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장치(01).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02010023062 | 2010-06-08 | ||
DE102010023062.6 | 2010-06-08 | ||
PCT/DE2011/000245 WO2011153974A1 (de) | 2010-06-08 | 2011-03-10 | Transportvorrichtung mit laufwage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95245A true KR20130095245A (ko) | 2013-08-27 |
KR101887710B1 KR101887710B1 (ko) | 2018-08-10 |
Family
ID=44260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7000434A KR101887710B1 (ko) | 2010-06-08 | 2011-03-10 | 이동대차들을 구비한 이송 장치 |
Country Status (12)
Country | Link |
---|---|
US (1) | US9027740B2 (ko) |
EP (1) | EP2512958B1 (ko) |
JP (1) | JP5967777B2 (ko) |
KR (1) | KR101887710B1 (ko) |
CN (1) | CN102933473B (ko) |
CA (1) | CA2801621C (ko) |
DE (1) | DE202011003760U1 (ko) |
DK (1) | DK2512958T3 (ko) |
ES (1) | ES2422209T3 (ko) |
PL (1) | PL2512958T3 (ko) |
PT (1) | PT2512958E (ko) |
WO (1) | WO2011153974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43675A (ko) * | 2014-04-09 | 2016-12-14 | 마렐 스토크 폴트리 프로세싱 비.브이. | 도살 제품을 계량하기 위한 디바이스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892618B2 (en) * | 2013-08-09 | 2018-02-13 | Mobile Aspects, Inc. | Signal emitting member attachment system and arrangement |
CH709389A1 (de) * | 2014-03-18 | 2015-09-30 | Ferag Ag | 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Bremsen von Förderwagen einer Fördervorrichtung. |
US9925572B2 (en) | 2015-07-10 | 2018-03-27 | NGL Solids Solutions, LLC | Devices, systems, and processes for cleaning the interiors of frac tanks |
US9656308B2 (en) | 2015-07-10 | 2017-05-23 | NGL Solids Solutions, LLC | Systems and processes for cleaning tanker truck interiors |
US10589287B2 (en) | 2015-07-10 | 2020-03-17 | NGL Solids Solutions, LLC | Systems and methods for oil field solid waste processing for re-injection |
CH712191A1 (de) * | 2016-03-04 | 2017-09-15 | Wrh Walter Reist Holding Ag | Fördereinrichtung mit einer Förderkette sowie mit einer Mehrzahl von an der Förderkette angebrachten Fördergutbehältern. |
CN109069937A (zh) | 2016-04-20 | 2018-12-21 | 米耶公司 | 配置成穿过非直线管状件段信件的自动重力辅助机动化赛车 |
CN106185290B (zh) * | 2016-08-25 | 2018-05-01 | 浙江海悦自动化机械股份有限公司 | 一种轨道平顺多通道极板出料装置 |
JP1585854S (ko) * | 2017-03-15 | 2017-09-11 | ||
US10335700B2 (en) | 2017-10-03 | 2019-07-02 | Dongguan Silverlit Toys Co., Ltd | Tube racer track system |
JP6911787B2 (ja) * | 2018-02-09 | 2021-07-28 | 株式会社ダイフク | 搬送設備 |
CN109292366A (zh) * | 2018-10-24 | 2019-02-01 | 湖北汉唐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 智能悬挂系统 |
US11911732B2 (en) | 2020-04-03 | 2024-02-27 | Nublu Innovations, Llc | Oilfield deep well processing and injection facility and methods |
CN112644964B (zh) * | 2020-12-29 | 2022-05-10 | 天津皓轮自行车有限公司 | 一种轮胎配套安装流水生产线 |
CN113955456B (zh) * | 2021-09-14 | 2023-07-25 | 承德金龙输送机制造有限公司 | 一种悬挂输送系统轨道分流道岔机构 |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5115511A (en) * | 1979-02-28 | 1980-09-05 | Shin Meiwa Ind Co Ltd | Baggage conveying installation |
JPS57120749A (en) * | 1980-06-06 | 1982-07-27 | Ferag Ag | Universal link chain |
JPH0342367A (ja) * | 1989-07-10 | 1991-02-22 | Daifuku Co Ltd | 可動体の搬送設備 |
JPH0746829Y2 (ja) * | 1989-11-15 | 1995-10-25 | 株式会社ニフコ | 継手具 |
JPH0948344A (ja) * | 1995-08-10 | 1997-02-18 | Daifuku Co Ltd | 搬送設備 |
JP2001501715A (ja) * | 1996-10-07 | 2001-02-06 | ザクセンリング アウトモービルテヒニク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 ボールジョイント |
JP2001253522A (ja) * | 2000-03-15 | 2001-09-18 | Sumitomo Chem Co Ltd |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搬送装置 |
JP2002080117A (ja) * | 2000-09-05 | 2002-03-19 | Yamakyu Chain Co Ltd | 搬送用チェーンの連結構造 |
JP2005201383A (ja) * | 2004-01-16 | 2005-07-28 | Hitachi Metals Techno Ltd | 制震用油圧ダンパ |
JP2006232545A (ja) * | 2005-02-23 | 2006-09-07 | Akeshi Yamamoto | 物品搬送コンベヤ |
Family Cites Families (2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51868C (ko) | ||||
GB636355A (en) | 1940-10-28 | 1950-04-26 | Eugene Everett Landahl | Overhead conveyor |
DE738491C (de) * | 1941-04-22 | 1943-08-18 | Stotz Ag A | Laufrollensatz, insbesondere fuer Kreis- und Schaukelfoerderer |
US2646160A (en) * | 1949-11-07 | 1953-07-21 | Edward N Michna | Universal link conveyer chain |
DE945014C (de) * | 1952-07-05 | 1956-06-28 | Konrad Grebe | Foerderband mit Quertraegern |
FR1130690A (fr) | 1955-03-02 | 1957-02-08 | Teleflex Prod Ltd | Perfectionnements aux transporteurs à chaine sans fin |
US3269525A (en) * | 1964-07-14 | 1966-08-30 | Drahtwerk C S Schmidt Ag | Ball-jointed link chain |
DE1254529B (de) | 1964-09-10 | 1967-11-16 | Konrad Grebe | Foerderer mit mittlerem Zugstrang |
US3250379A (en) * | 1964-09-29 | 1966-05-10 | John M Leach | Tubular conveyors |
US3382992A (en) * | 1966-08-17 | 1968-05-14 | C & M Ind Associates Inc | Material transporting and discharging system |
JPS4817186B1 (ko) * | 1969-03-29 | 1973-05-28 | ||
CH538065A (de) * | 1971-04-30 | 1973-06-15 | Reist Walter | Gliederkette |
US3744618A (en) * | 1971-05-26 | 1973-07-10 | M Monne | Chain conveyors |
DE2203495A1 (de) | 1972-01-26 | 1973-08-02 | Babcock & Wilcox Ag | Antrieb von in gleitkanaelen bewegten gelenkketten fuer foerdereinrichtungen |
CH588647A5 (ko) * | 1975-07-28 | 1977-06-15 | Ferag Ag | |
US4513857A (en) * | 1982-08-04 | 1985-04-30 | Leach John M | Conveyor linkage |
US4638906A (en) * | 1985-11-19 | 1987-01-27 | Harris Graphics Corporation | Conveyor assembly |
US4838410A (en) * | 1987-06-11 | 1989-06-13 | Refac International, Limited | Chain and chain track for rotating conveyor bucket |
JP3187623B2 (ja) | 1993-10-25 | 2001-07-11 | 村田機械株式会社 | 天井搬送装置 |
US5411133A (en) * | 1994-02-07 | 1995-05-02 | Lyndhurst; Richard | Newsprint conveyor link assembly |
DK0928275T3 (da) * | 1996-09-25 | 2000-10-23 | Ipt Weinfelden Ag | Kraftoverføringsmiddel til overføring af trykkræfter |
DE19917806A1 (de) | 1999-04-20 | 2000-10-26 | Franz Gaertner | Selbsttätige Transportvorrichtung für eine Hängefördervorrichtung |
US7086525B2 (en) | 1999-09-23 | 2006-08-08 | Stewart Systems, Inc. | Conveyor for continuous proofing and baking apparatus |
US6257397B1 (en) * | 1999-09-23 | 2001-07-10 | Sasib North America, Inc. | Conveyor for continuous proofing and baking apparatus |
ATE366704T1 (de) * | 2004-01-21 | 2007-08-15 | Mueller Martini Holding Ag | Transportorgan mit einer gliederkette und klammern |
US7025656B2 (en) * | 2004-05-31 | 2006-04-11 | Robert J Bailey | Toy tube vehicle racer apparatus |
WO2008092287A2 (de) | 2007-02-01 | 2008-08-07 | Wrh Walter Reist Holding Ag | Fördersystem, fördereinheit und glied |
JP3137917U (ja) | 2007-10-01 | 2007-12-13 | 西研グラフィックス株式会社 | 自在チェーンの連結リンク |
-
2011
- 2011-03-10 WO PCT/DE2011/000245 patent/WO2011153974A1/de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1-03-10 JP JP2013513550A patent/JP5967777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1-03-10 DE DE202011003760U patent/DE202011003760U1/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11-03-10 CN CN201180027874.0A patent/CN102933473B/zh active Active
- 2011-03-10 EP EP11719150.2A patent/EP2512958B1/de active Active
- 2011-03-10 ES ES11719150T patent/ES2422209T3/es active Active
- 2011-03-10 CA CA2801621A patent/CA2801621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1-03-10 US US13/701,836 patent/US9027740B2/en active Active
- 2011-03-10 KR KR1020137000434A patent/KR10188771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1-03-10 DK DK11719150.2T patent/DK2512958T3/da active
- 2011-03-10 PL PL11719150T patent/PL2512958T3/pl unknown
- 2011-03-10 PT PT117191502T patent/PT2512958E/pt unknown
Patent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5115511A (en) * | 1979-02-28 | 1980-09-05 | Shin Meiwa Ind Co Ltd | Baggage conveying installation |
JPS57120749A (en) * | 1980-06-06 | 1982-07-27 | Ferag Ag | Universal link chain |
JPH0342367A (ja) * | 1989-07-10 | 1991-02-22 | Daifuku Co Ltd | 可動体の搬送設備 |
JPH0746829Y2 (ja) * | 1989-11-15 | 1995-10-25 | 株式会社ニフコ | 継手具 |
JPH0948344A (ja) * | 1995-08-10 | 1997-02-18 | Daifuku Co Ltd | 搬送設備 |
JP2001501715A (ja) * | 1996-10-07 | 2001-02-06 | ザクセンリング アウトモービルテヒニク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 ボールジョイント |
JP2001253522A (ja) * | 2000-03-15 | 2001-09-18 | Sumitomo Chem Co Ltd |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搬送装置 |
JP2002080117A (ja) * | 2000-09-05 | 2002-03-19 | Yamakyu Chain Co Ltd | 搬送用チェーンの連結構造 |
JP2005201383A (ja) * | 2004-01-16 | 2005-07-28 | Hitachi Metals Techno Ltd | 制震用油圧ダンパ |
JP2006232545A (ja) * | 2005-02-23 | 2006-09-07 | Akeshi Yamamoto | 物品搬送コンベヤ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43675A (ko) * | 2014-04-09 | 2016-12-14 | 마렐 스토크 폴트리 프로세싱 비.브이. | 도살 제품을 계량하기 위한 디바이스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A2801621C (en) | 2018-02-20 |
WO2011153974A1 (de) | 2011-12-15 |
EP2512958A1 (de) | 2012-10-24 |
US9027740B2 (en) | 2015-05-12 |
DK2512958T3 (da) | 2013-07-22 |
CA2801621A1 (en) | 2011-12-15 |
US20130140142A1 (en) | 2013-06-06 |
PT2512958E (pt) | 2013-07-25 |
EP2512958B1 (de) | 2013-05-01 |
ES2422209T3 (es) | 2013-09-09 |
CN102933473A (zh) | 2013-02-13 |
DE202011003760U1 (de) | 2011-09-07 |
PL2512958T3 (pl) | 2013-09-30 |
KR101887710B1 (ko) | 2018-08-10 |
CN102933473B (zh) | 2016-01-06 |
JP2013531594A (ja) | 2013-08-08 |
JP5967777B2 (ja) | 2016-08-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30095245A (ko) | 이동대차들을 구비한 이송 장치 | |
CN107074448B (zh) | 活动架、运送系统和方法 | |
CN102910427B (zh) | 输送机装置 | |
JP2002529344A (ja) | ナックル駆動型リンク式コンベアベルト・システム | |
JP2009517306A (ja) | 一体型ローラーを有するコンベアプレート | |
US10421612B1 (en) | Slat for a conveyor | |
US5983803A (en) | Article transport assembly | |
SI3126190T1 (en) | A train trailer for trailers having a carrier frame for the material transport cart | |
US6502687B1 (en) | Separating conveyor for the transfer of unit loads | |
ZA200504062B (en) | Installation for sequentially transporting objectsin a goods handling line, in particular for the automotive industry. | |
US7987963B2 (en) | Container for transporting piece goods, particularly pieces of luggage | |
JP2013107731A (ja) | コンベア装置 | |
CN106660566B (zh) | 用于运输装置的驱动小车以及运输系统 | |
JP4867493B2 (ja) | コンベア装置 | |
JP2001507660A (ja) | 貨物用の容器を空にするための傾倒装置 | |
JP2000007145A (ja) | 搬送装置におけるストッパ操作装置 | |
JP7564188B2 (ja) | 有軌道台車 | |
US4352328A (en) | Coupling assembly for overhead rail materials-transport system | |
JP3551715B2 (ja) | 搬送設備 | |
JPH11322041A (ja) | 台車搬送装置 | |
CN117682274A (zh) | 用于载物筐运输装置的载物筐支承和稳定系统 | |
JP2002193096A (ja) | 搬送装置 | |
MX2008006722A (en) | Conveyor plate withintegrated roller | |
JPH03276864A (ja) | 台車使用の搬送設備 | |
JP2004168462A (ja) | 搬送設備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