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3605A - 겹판 스프링용 사이렌서 - Google Patents

겹판 스프링용 사이렌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3605A
KR20130093605A KR1020137004140A KR20137004140A KR20130093605A KR 20130093605 A KR20130093605 A KR 20130093605A KR 1020137004140 A KR1020137004140 A KR 1020137004140A KR 20137004140 A KR20137004140 A KR 20137004140A KR 20130093605 A KR20130093605 A KR 20130093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f spring
layer
silencer
slid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4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1770B1 (ko
Inventor
준이치 야노
나오시 사토
노리토시 사카이데
Original Assignee
니혼 하츠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하츠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하츠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93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3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1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1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18Leaf springs
    • F16F1/20Leaf springs with layers, e.g. anti-friction layers, or with rollers between the lea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3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springs of different kinds
    • B60G11/34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springs of different kinds including leaf springs
    • B60G11/38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springs of different kinds including leaf springs and also rubber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1Leaf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8/00Type of springs or dampers
    • F16F2238/02Springs
    • F16F2238/022Springs leaf-like, e.g. of thin, planar-like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rings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돌기부의 강도 향상 및 이상음 발생 방지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어, 제조의 용이화 및 구조의 단순화에 따른 부품 점수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겹판 스프링용 사이렌서를 제공한다. 사이렌서(1)는, 도 1의 겹판 스프링(100)의 판 스프링(101, 102)의 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사이렌서(1)는, 일체 성형된 고정층(11) 및 슬라이딩층(21)으로 이루어지는 2층 구조를 갖는다. 고정층(11)은, 선단부에 걸어맞춤부(13)가 형성된 돌기부(12)를 갖는다. 고정측 판 스프링(101)에 고정되는 고정층(11)은, 슬라이딩층(21)보다도 인장 강도가 크다. 슬라이딩측 판 스프링(102)에 맞닿는 슬라이딩층(21)은 고정층(11)보다도 경도가 낮다. 고정층(11)의 돌기부(12)는 전단력에 대해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슬라이딩층(21)에서는, 이상음이 발생하기 어려워 슬라이딩측 판 스프링(102)의 단부의 하중 전달부가 편향 접촉했을 때에도, 이상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겹판 스프링용 사이렌서{SILENCER FOR A MULTI-LEAF SPRING}
본 발명은, 겹판 스프링용 사이렌서에 관한 것이며, 특히, 각종 특성의 향상을 위한 사이렌서 구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량용 현가(懸架)에 사용되는 겹판 스프링에서는, 복수의 판 스프링이 겹쳐지고, 이들 판 스프링을 협지하는 U볼트가, 예를 들어 길이 방향 중앙부의 상측에서 장착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길이 방향 중앙부에서 판 스프링간에 스페이서가 설치되고, 예를 들면 최상측의 판 스프링과 U볼트 사이에는 패드가 설치되어 있다. 겹판 스프링에서는, 최하측의 판 스프링의 하측에 배치된 액슬에 U볼트의 양단부가 체결된다.
이러한 겹판 스프링에서는, 판 스프링끼리의 길이 방향 양단부 사이에 사이렌서가 설치되어 있다. 사이렌서는, 판 스프링끼리의 슬라이딩에 의한 이상음 발생의 방지를 위해서 이용된다. 사이렌서에서는, 판 스프링에 대향하는 면의 한쪽에 돌기부가 형성되고, 돌기부가 판 스프링의 구멍부에 고정된다. 이에 의해, 사이렌서가 판 스프링(고정측 판 스프링)에 고정된다.
이러한 사이렌서에는 다음과 같은 특성이 요구된다. 즉, 돌기부는 고정측 판 스프링으로부터 전단력을 받기 때문에 충분한 강도가 필요하다. 또, 사이렌서의 다른쪽 면(돌기부가 형성된 면과는 반대측 면)은, 판 스프링(슬라이딩측 판 스프링)과 슬라이딩하기 때문에, 내마모성이 필요하게 됨과 더불어 판 스프링과의 슬라이딩에 의한 이상음 발생 방지가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배경으로, 돌기부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예를 들면 고무 성형체로이루어지는 사이렌서의 내부에 보강 금구를 설치하는 기술(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이 제안되어 있다. 한편, 이상음 발생 방지를 위해서, 판 스프링 사이에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2개의 사이렌서를 겹침으로써, 사이렌서끼리를 슬라이딩시키는 기술(예를 들어 특허 문헌 2)을 이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일본국 특허 공개 2007-247754호 공보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 평 6-65634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의 기술에서는, 보강 금구를 별도 부품으로서 사이렌서 내부에 설치할 필요가 있음과 더불어 제조 공정이 복잡해진다. 또, 특허 문헌 2의 기술에서는, 판 스프링 사이에 2개의 사이렌서를 설치하기 때문에, 부품 점수가 많아진다. 또, 돌기부의 강도 향상 및 이상음 발생 방지의 양립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문제가 함께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돌기부의 강도 향상 및 이상음 발생 방지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 제조의 용이화 및 구조의 단순화에 따른 부품 점수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겹판 스프링용 사이렌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자는, 겹판 스프링용 사이렌서의 구조에 대해서 검토한 결과, 인접하는 층을 상이한 재질 혹은 동등한 재질로 하여 각각의 경도를 바꿈으로써 형성되는 다층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제조의 용이화 및 구조의 단순화에 따른 부품 점수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
여기서, 겹판 스프링용 사이렌서의 재질에 대해서, 인장 강도가 작은 재질을 이용한 경우 전단력에 대한 강도가 불충분하나, 인장 강도가 큰 재질을 이용한 경우 전단력에 대해 강도가 충분하므로 파단을 방지할 수 있다. 경도가 높은 재질을 이용한 경우, 경도가 높기 때문에 이상음이 발생하기 쉽고, 특히, 판 스프링의 단부의 하중 전달부가 편향 접촉했을 때 이상음 발생의 우려가 커지지만, 경도가 낮은 재질을 이용한 경우, 이상음이 발생하기 어렵기 때문에 판 스프링의 단부의 하중 전달부가 편향 접촉했을 때에도 이상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자가 제안하는 다층 구조에 있어서 재질의 특성을 고려한 결과, 다층 구조에서의 돌기부가 형성되는 한쪽의 최외층의 인장 강도를 크게 설정하고, 다층 구조에서의 판 스프링과 슬라이딩하는 다른쪽의 최외층의 경도를 낮게 설정함으로써, 돌기부의 강도 향상 및 이상음 발생 방지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음을 찾아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겹판 스프링용 사이렌서는, 인접하는 층이 일체 성형된 다층 구조를 갖고, 다층 구조의 한쪽의 최외층에 돌기부가 형성되고, 한쪽의 최외층은 다른쪽의 최외층보다도 인장 강도가 크며, 다른쪽의 최외층은 한쪽의 최외층보다도 경도가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겹판 스프링용 사이렌서는, 인장 강도 및 경도를 상기한 바와 같이 설정한 최외층을 갖는 다층 구조를 가지므로, 겹판 스프링의 판 스프링 사이에 배치하는 경우, 한쪽의 최외층을 고정측 판 스프링에 대해 돌기부에 의해 고정함과 더불어, 다른쪽의 최외층은, 슬라이딩측 판 스프링측에 배치함으로써, 돌기부의 강도 향상에 따른 파단 방지 및 이상음 발생 방지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다. 이 효과는, 보강 금구를 이용하거나 사이렌서를 복수 준비하거나 하지 않고 얻을 수 있다. 또, 다층 구조는, 인접하는 층의 일체 성형에 의해 얻어지므로, 접착제를 이용할 필요가 없다. 그 결과, 제조의 용이화 및 구조의 단순화에 따른 부품 점수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겹판 스프링용 사이렌서는, 여러 가지 구성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외층들 사이에는, 이들 최외층보다 압축 탄성률이 큰 층이 설치되어 있는 양태를 이용할 수 있다. 겹판 스프링에서는, 사이렌서가 배치되는 단부에서, 인접하는 판 스프링끼리의 곡률 반경이 상이하므로, 판 스프링의 길이 방향에서 판 스프링끼리의 간격이 상이한 경우가 있다(예를 들면, 겹판 스프링의 길이 방향 외측을 향함에 따라서, 판 스프링끼리의 간격이 커진다). 상기 양태에서는, 최외층보다도 압축 탄성률이 큰 층이, 슬라이딩측 판 스프링으로부터의 가압에 따라 탄성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다른쪽의 최외층 전체가 슬라이딩측 판 스프링에 접촉할 수 있어, 그 결과 편향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한쪽의 최외층은, 다른쪽의 최외층보다도 내마모성이 큰 양태를 이용할 수 있다. 슬라이딩측 판 스프링과 맞닿는 다른쪽의 최외층의 재질로서 고무를 이용한 경우, 슬라이딩에 의한 마모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에 반해 상기 양태에서는, 가령 겹판 스프링용 사이렌서가 보증 주행거리를 넘게 사용되어 다른쪽의 최외층이 마멸한 경우라도, 다른쪽의 최외층보다도 내마모성이 높은 한쪽의 최외층이 존재하므로 사이렌서로서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다층 구조의 외형 형상은 정방형인 양태를 이용할 수 있다. 이 양태에서는, 판 스프링에 대한 접촉 면적을 크게 할 수 있어서, 판 스프링에 대한 면압을 낮게 설정할 수 있어, 그 결과, 판 스프링과의 슬라이딩에 의한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또, 다른쪽의 최외층의 표면은 테이퍼 형상을 이루고 있는 양태를 이용할 수 있다. 이 양태에서는, 판 스프링끼리의 간격이 넓어짐에 따라, 다른쪽의 최외층의 표면을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겹판 스프링의 길이 방향 외측을 향함에 따라서, 판 스프링끼리의 간격이 커지는 경우, 다른쪽의 최외층의 테이퍼 형상의 두꺼운 쪽을 판 스프링의 길이 방향 외측에 위치시킴으로써 편향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겹판 스프링용 사이렌서에 의하면, 돌기부의 강도 향상 및 이상음 발생 방지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 제조의 용이화 및 구조의 단순화에 따른 부품 점수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겹판 스프링용 사이렌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며, 겹판 스프링의 판 스프링 사이에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겹판 스프링용 사이렌서의 구성을 나타내며, (A)는 측면도, (B)는 확대 측단면도, (C)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겹판 스프링용 사이렌서의 변형예를 나타내며, (A)는 측면도, (B)는 겹판 스프링의 판 스프링 사이에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겹판 스프링용 사이렌서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며,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겹판 스프링용 사이렌서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겹판 스프링용 사이렌서의 2색 성형으로 사용되는 성형기의 일례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겹판 스프링용 사이렌서(1)(이하, 사이렌서(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며, 겹판 스프링(100)의 판 스프링(101, 102) 사이에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사이렌서(1)의 구성을 나타내고, (A)는 측면도, (B)는 확대 측단면도, (C)는 평면도이다. 도 2(B)는, 도 2(C)의 1B-1B선의 측단면도이다. 겹판 스프링(100)은, 일반적인 겹판 스프링이며, 도 1에서는, 겹판 스프링(100)의 좌단부만을 나타내고 있다. 사이렌서(1)는, 겹판 스프링(100)의 판 스프링(101, 102)의 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도 2(C)는, 사이렌서(1)의 돌기부(12)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사이렌서(1)는, 예를 들어 서로 재질이 상이한 고정층(11)(한쪽의 최외층)과 슬라이딩층(21)(다른쪽의 최외층)을 갖는 2층 구조이다. 고정측 층(11)은 돌기부(12)를 갖고, 돌기부(12)는 선단부에 걸어맞춤부(13)를 갖고 있다. 고정층(11)과 슬라이딩층(21)은 일체 성형된 것이다. 돌기부(12)는 예를 들면 대략 원주 형상을 이루고, 걸어맞춤부(13)는 예를 들면 대략 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다.
걸어맞춤부(13)에는, 한 쌍의 절결부(13A)가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부(13)의 외주면은 슬라이딩층(21)측을 향함에 따라서 확경하는 테이퍼 형상을 이루고, 걸어맞춤부(13)의 슬라이딩층(21)의 단부에는, 플랜지부(13B)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13B)의 직경은, 돌기부(12)가 삽입되는 고정측 판 스프링(101)의 구멍부의 직경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걸어맞춤부(13)는, 테이퍼 형상을 이룸과 더불어, 절결부(13A)에 의해 내측으로의 변형이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측 판 스프링(101)의 구멍부로의 돌기부(12)의 삽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걸어맞춤부(13)는, 고정측 판 스프링(101)의 구멍부를 통과한 후,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오고, 그 구멍부보다도 큰 직경을 갖는 플랜지부(13B)가, 고정측 판 스프링(101)의 표면에 걸어맞춰진다. 이에 의해, 고정층(11)은 고정측 판 스프링(101)에 고정된다. 슬라이딩층(21)은, 슬라이딩측 판 스프링(102)에 배치된다.
고정측 판 스프링(101)에 고정되는 고정층(11)은 슬라이딩층(21)보다도 인장 강도가 크다. 슬라이딩측 판 스프링(102)에 맞닿는 슬라이딩층(21)은 고정층(11)보다도 경도가 낮다. 이에 의해, 고정층(11)의 돌기부(12)는 전단력에 대해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또, 슬라이딩층(21)에서는, 이상음이 발생하기 어렵고, 슬라이딩측 판 스프링(102)의 단부의 하중 전달부가 편향 접촉했을 때에도, 이상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특성을 만족하는 고정층(11)의 재질로는, 예를 들면 열가소성 폴리에테르계 엘라스토머(예를 들면 경도(D경도)는 64D, 인장 강도는 55MPa, 인장 신장률은 350%, 마모 감량은 70mg(H22輪)나, 폴리아세탈계 수지(예를 들면 경도(HRM 경도)는 80HRM, 인장 강도는 66MPa, 인장 신장률은 60%, 마모 감량은 14mg(D1044))를 이용할 수 있다. 슬라이딩층(21)의 재질로는, 예를 들면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예를 들면 경도(A경도)는 80A, 인장 강도는 45MPa, 인장 신장률은 600%, 마모 감량은 15mg(H22輪))나, 열가소성 올레핀계 엘라스토머(예를 들면 경도(A경도)는 70A, 인장 강도는 6MPa, 인장 신장률은 700%)를 이용할 수 있다.
고정층(11)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2mm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딩층(21)은, 겹판 스프링(100)의 사용시, 슬라이딩측 판 스프링(102)과 슬라이딩해 마모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슬라이딩층(21)의 두께는 고정층(11)의 두께보다도 두껍게 설정하고, 이 경우, 슬라이딩층(21)의 두께는 가능한 한 두껍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층(11)은, 슬라이딩층(21)보다도 내마모성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가령 사이렌서(1)가 보증 주행거리를 초과해 사용되어 슬라이딩층(21)이 마멸한 경우라도, 고정층(11)이 존재하므로 사이렌서로서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사이렌서(1)는 예를 들면 2색 성형에 의해 제조된다. 도 6은, 2색 성형에서사용되는 성형기(110)의 일례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측단면도이다. 성형기(110)는, 1차 성형용 금형(120)과 2차 성형용 금형(130)을 구비하고 있다. 1차 성형용 금형(120)은 슬라이딩층(21)을 형성하기 위한 형이며, 상형(121)과 하형(112)으로 구성된다. 2차 성형용 금형(130)은 돌기부(12)를 갖는 고정층(11)을 형성하기 위한 형이며, 상형(131)과 하형(112)으로 구성된다.
상형(121)은, 1차 성형용 사출 장치(도시 생략)에 부착됨과 더불어 주입구(121A)를 갖고 있다. 주입구(121A)는, 1차 성형용 사출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슬라이딩층의 재료를 캐비티 내에 주입하기 위한 개구이다. 상형(131)은, 2차 성형용 사출 장치(도시 생략)에 부착됨과 더불어 주입구(131A)를 갖고 있다. 주입구(131A)는, 2차 성형용 사출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고정층의 재료를 캐비티 내에 주입하기 위한 개구이다. 상형(121, 131)은 수직 방향(도면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하형(112, 112)은, 회전축(S) 둘레로 회전 가능한 로터리 테이블(111) 상에 고정되어 있다. 하형(112, 112)은, 로터리 테이블(111)의 회전에 의해 1차 성형용 금형(120) 및 2차 성형용 금형(130)에서 번갈아 사용되는 공통 금형이다. 또한 도 6에서는, 사이렌서(1)에 대응하는 형상(특히, 돌기부(12)의 걸어맞춤부(13)에 대응하는 부분의 형상)은 간략화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6의 실선은 형체(型締)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며, 파선은 형개(型開) 상태에 있는 상형(121, 131)을 나타내고 있다.
2색 성형에서는, 우선, 1차 성형용 금형(120) 및 2차 성형용 금형(130)의 형체를 행하여, 캐비티를 형성한다. 이어서, 1차 성형용 금형(120)에 있어서, 슬라이딩층의 재료를 재료 주입구(121A)로부터 캐비티 내에 주입하고, 그 재료를 고체화시켜 슬라이딩층(21)을 형성한다. 계속해서, 1차 성형용 금형(120) 및 2차 성형용 금형(130)의 형개를 행하고, 로터리 테이블(111)을 회전축(S) 둘레로 회전시켜 슬라이딩층(21)이 형성된 하형(112)을 2차 성형용 금형(130)의 위치에 배치하고, 빈 하형(112)을 1차 성형용 금형(120)의 위치에 배치한다.
계속해서, 1차 성형용 금형(120) 및 2차 성형용 금형(130)의 형체를 행하고, 캐비티를 형성한다. 이어서, 2차 성형용 금형(130)에 있어서, 고정층의 재료를 재료 주입구(131A)로부터 캐비티 내에 주입하고, 그 재료를 고체화시켜 돌기부(12)를 갖는 고정층(11)을 형성한다. 이에 의해, 2차 성형용 금형(130)에서는, 걸어맞춤부(13)를 갖는 돌기부(12), 고정층(11) 및 슬라이딩층(21)이 일체 성형된 사이렌서(1)가 얻어진다. 한편, 1차 성형용 금형(120)에 있어서도 상기 주입과 동시기에, 슬라이딩층의 재료를 재료 주입구(121A)로부터 캐비티 내에 주입하고, 그 재료를 고체화시켜 슬라이딩층(21)을 형성한다. 다음에, 1차 성형용 금형(120) 및 2차 성형용 금형(130)의 형개를 행하고, 2차 성형용 금형(130)으로부터 사이렌서(1)를 취출한다.
이어서, 로터리 테이블(111)을 회전축(S) 둘레로 회전시켜, 슬라이딩층(21)이 형성된 하형(112)을 2차 성형용 금형(130)의 위치에 배치하고, 빈 하형(112)을 1차 성형용 금형(120)의 위치에 배치하고, 그 이후에, 상기와 같은 공정을 반복함으로써, 사이렌서(1)가 순차적으로 얻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겹판 스프링(100)의 판 스프링(101, 102) 사이에 배치하는 경우, 인장 강도가 큰 고정층(11)을 돌기부(12)에 의해 고정측 판 스프링(101)에 고정함과 더불어, 경도가 낮은 슬라이딩층(21)을 슬라이딩측 판 스프링(102)측에 배치함으로써, 돌기부(12)의 강도 향상에 의한 파단 방지 및 이상음 발생 방지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다. 이 효과는, 보강 금구를 이용하거나 사이렌서를 복수 준비하거나 하지 않고 얻을 수 있다. 또, 2층 구조는, 고정층(11)과 슬라이딩층(21)의 일체 성형에 의해 얻어지기 때문에 접착제를 이용할 필요가 없다. 그 결과, 제조의 용이화 및 구조의 단순화에 따른 부품 점수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다층 구조로서 2층 구조를 이용했는데 필요에 따라 이종 재질을 이용하여 3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다층 구조를 이용해도 된다. 이 경우, 다색 성형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3(A)에 나타낸 사이렌서(1A)에서는, 고정층(11)과 슬라이딩층(12) 사이에 편향 접촉 방지층(31)을 형성하고 있다. 편향 접촉 방지층(31)은, 고정층(11) 및 슬라이딩층(21)보다도 압축 탄성률이 크게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겹판 스프링(100)의 길이 방향 외측을 향함에 따라, 판 스프링(101, 102)끼리의 간격이 커지는 경우, 편향 접촉 방지층(31)이 슬라이딩측 판 스프링(102)로부터의 가압에 따라 탄성변형할 수 있기 때문에, 슬라이딩층(21) 전체가 슬라이딩측 판 스프링(102)에 접촉할 수 있어, 그 결과 편향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다층 구조의 단면 형상은, 원형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4(A), (B)에 나타낸 사이렌서(1B)에서는, 외형 형상이 정방형을 이루고 있다. 이 양태에서는, 슬라이딩측 판 스프링(102)으로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슬라이딩측 판 스프링(102)에 대한 면압을 낮게 설정할 수 있어, 그 결과 판 스프링과의 슬라이딩에 의한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사이렌서(1B)에서는, 돌기부(12)의 외형 형상은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돌기부(12)의 직사각형 형상의 길이 방향(L)이 겹판 스프링(100)의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기부(12)의 코너부는 곡면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기부(12)에는 걸어맞춤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도 5에 나타낸 사이렌서(1C)에서는, 슬라이딩층(21)의 두께가 일단부에서 타단부를 향함에 따라 두꺼워지도록 슬라이딩층(21)의 표면이 테이퍼 형상을 이루고 있다. 예를 들면, 겹판 스프링(100)의 길이 방향 외측을 향함에 따라, 판 스프링(101, 102)끼리의 간격이 커지는 경우, 슬라이딩층(21)의 두꺼운 쪽을 슬라이딩측 판 스프링(102)의 길이 방향 외측에 위치시킴으로써 편향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슬라이딩층(21)이 두꺼운 쪽에 있어서의 고정층(11)측의 단부(21A)를, 그 표면이 고정층(11)의 표면과 동일 평면을 구성하도록 형성해도 된다. 고정층(11)과 슬라이딩층(21)을 상이한 색으로 설정함으로써, 단부(21A)가 슬라이딩층(21)의 두꺼운 쪽을 나타내는 위치 결정으로서 기능한다. 또, 슬라이딩층(21)의 두꺼운 쪽을 나타내는 수법으로는, 돌기부(12)의 걸어맞춤부(13)의 절결부(13A)의 형성 위치를 궁리하여, 절결부(13A)의 형성 위치를 위치 결정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1, 1A~1C:사이렌서
11:고정층(한쪽의 최외층)
12:돌기부
13:걸어맞춤부
13A:절결부
13B:플랜지부
21:슬라이딩층(다른쪽의 최외층)
100:겹판 스프링
101:고정측 판 스프링
102:슬라이딩측 판 스프링

Claims (6)

  1. 인접하는 층이 일체 성형된 다층 구조를 갖고,
    상기 다층 구조의 한쪽의 최외층에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한쪽의 최외층은, 다른쪽의 최외층보다도 인장 강도가 크고,
    상기 다른쪽의 최외층은, 상기 한쪽의 최외층보다도 경도가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겹판 스프링용 사이렌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최외층들 사이에는, 상기 최외층보다도 압축 탄성률이 큰 층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겹판 스프링용 사이렌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최외층은, 다른쪽의 최외층보다도 내마모성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겹판 스프링용 사이렌서.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구조의 외형 형상은 정방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겹판 스프링용 사이렌서.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쪽의 최외층의 표면은 테이퍼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겹판 스프링용 사이렌서.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색 성형에 의해 일체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겹판 스프링용 사이렌서.
KR1020137004140A 2010-07-26 2011-07-04 겹판 스프링용 사이렌서 KR1017717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67340A JP5476247B2 (ja) 2010-07-26 2010-07-26 重ね板ばね用サイレンサ
JPJP-P-2010-167340 2010-07-26
PCT/JP2011/065298 WO2012014635A1 (ja) 2010-07-26 2011-07-04 重ね板ばね用サイレン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3605A true KR20130093605A (ko) 2013-08-22
KR101771770B1 KR101771770B1 (ko) 2017-08-25

Family

ID=45529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4140A KR101771770B1 (ko) 2010-07-26 2011-07-04 겹판 스프링용 사이렌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285004B2 (ko)
EP (1) EP2600025B1 (ko)
JP (1) JP5476247B2 (ko)
KR (1) KR101771770B1 (ko)
CN (1) CN103003592B (ko)
BR (1) BR112013001958B1 (ko)
ES (1) ES2748516T3 (ko)
MX (1) MX341320B (ko)
MY (1) MY161779A (ko)
WO (1) WO2012014635A1 (ko)
ZA (1) ZA20130014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2092A (ko) * 2018-04-19 2019-10-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 포켓형 스페이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94430B2 (ja) * 2011-12-22 2016-03-30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重ね板ばね用サイレンサおよび重ね板ばね
JP2013167269A (ja) * 2012-02-14 2013-08-29 Chuo Spring Co Ltd 重ね板ばね用サイレンサおよび重ね板ばね
US20160159183A1 (en) * 2014-12-05 2016-06-0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oise reduction for rear suspension leaf spring with tip insert - round head
EP3591700A1 (en) 2018-07-02 2020-01-08 Thomson Licensing Image sensor comprising a color splitter with two different refractive indexes, and different height
KR20210063735A (ko) * 2019-11-25 2021-06-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상용 차량용 리프스프링의 사일렌서
CN111927911A (zh) * 2020-06-24 2020-11-13 东风汽车底盘系统有限公司 一种钢板弹簧用垫片结构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482A (en) * 1931-05-04 1935-09-17 Eugene T Pedranti Axle shim
US2346092A (en) * 1940-07-29 1944-04-04 Spring Perch Co Inc Vehicle spring
US2663563A (en) * 1947-04-25 1953-12-22 John W Watson Leaf spring end spacer and cushioning device
US2708111A (en) * 1953-10-09 1955-05-10 Chrysler Corp Spring leaf interliner
US3195876A (en) * 1959-10-26 1965-07-20 Ford Motor Co Spring mounting
DE1208559B (de) * 1964-05-02 1966-01-05 Hoesch Ag Federpaket, bestehend aus durch Abstandshalter getrennten Federblaettern
DE2321190B2 (de) * 1973-04-26 1978-12-07 Stahlwerke Brueninghaus Gmbh, 5840 Schwerte Parabelfeder
FR2526110B2 (fr) * 1982-02-19 1986-10-24 Allevard Ind Sa Ressorts a lames paraboliques comportant des dispositifs amortisseurs
JPH03219128A (ja) 1990-01-23 1991-09-26 Hino Motors Ltd 重ね板ばね用サイレンサ
JPH062724A (ja) * 1992-06-19 1994-01-11 Hino Motors Ltd 重ね板バネ
JP2627126B2 (ja) 1992-08-21 1997-07-02 新日本製鐵株式会社 制振性の優れた高強度鋼の製造方法
JPH0665634U (ja) 1993-02-24 1994-09-16 三菱製鋼株式会社 サイレンサを有する重ね板ばね
JP2869702B2 (ja) * 1995-03-29 1999-03-10 ニチアス株式会社 拘束型制振材
US5706559A (en) * 1996-10-18 1998-01-13 Eaton Corporation Leaf spring tip insert
US6958567B2 (en) * 1998-04-22 2005-10-25 Virginia Tech Intellectual Properties, Inc. Active/passive distributed absorber for vibration and sound radiation control
JP3528648B2 (ja) * 1998-12-28 2004-05-17 三菱ふそうトラック・バス株式会社 重ね板ばね
AU5409801A (en) * 2000-06-27 2002-01-03 William Mackie Douglas Park Spring silencer
US6311960B1 (en) * 2000-07-12 2001-11-06 Oxford Suspension, Inc. Leaf spring tip insert with semi-liquid or thermally deformable retention pin
JP4275978B2 (ja) * 2003-04-08 2009-06-10 東洋鋼鈑株式会社 硬軟積層材および硬軟積層材を用いた部品
CN2715964Y (zh) * 2003-08-27 2005-08-10 孙耀清 多工位行星式注射成形中心
JP2007247754A (ja) * 2006-03-15 2007-09-27 Tokai Rubber Ind Ltd リーフスプリング用サイレンサ
JP5084539B2 (ja) * 2008-02-06 2012-11-28 中央発條株式会社 重ね板ばね用のサイレンサーおよびそのサイレンサーを用いた重ね板ばね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2092A (ko) * 2018-04-19 2019-10-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 포켓형 스페이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1770B1 (ko) 2017-08-25
ES2748516T3 (es) 2020-03-17
MY161779A (en) 2017-05-15
MX341320B (es) 2016-08-15
BR112013001958B1 (pt) 2021-11-03
US9285004B2 (en) 2016-03-15
WO2012014635A1 (ja) 2012-02-02
EP2600025A1 (en) 2013-06-05
JP2012026533A (ja) 2012-02-09
MX2013000556A (es) 2013-04-29
EP2600025B1 (en) 2019-08-07
JP5476247B2 (ja) 2014-04-23
ZA201300148B (en) 2014-03-26
CN103003592A (zh) 2013-03-27
CN103003592B (zh) 2015-08-19
BR112013001958A2 (pt) 2021-04-13
EP2600025A4 (en) 2015-04-22
US20130099434A1 (en) 2013-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93605A (ko) 겹판 스프링용 사이렌서
JP6043582B2 (ja) 非空気入りタイヤ
JP5879089B2 (ja) 非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
JP6061625B2 (ja) 非空気入りタイヤ
EP2258962B1 (en) Thrust slide bearing
WO2014061809A1 (ja) 非空気入りタイヤ
JP2014125079A (ja) 非空気入りタイヤ
WO2012032874A1 (ja) 空気ばね
JP2014125081A (ja) 非空気入りタイヤ
KR20110043660A (ko) 스태빌라이저 장치
WO2016084512A1 (ja) 非空気入りタイヤ
JP4346084B2 (ja) タイヤ成型用金型
JPWO2015072183A1 (ja) 非空気入りタイヤ
CN111059189A (zh) 轴弹簧
JP5914409B2 (ja) 非空気入りタイヤ及び非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
CN108930741A (zh) 一种可调节刚度的橡胶垫及刚度调节方法
JP2014213789A (ja) 非空気入りタイヤ
JP5474368B2 (ja) タイヤの製造方法、及び、金型
JP2013212836A (ja) 非空気入りタイヤ
JP6434284B2 (ja) 空気入りタイヤ
CN112901718A (zh) 新型橡胶球铰、转向架及轨道车辆
JP6522936B2 (ja) 非空気入りタイヤ
JP2013163520A (ja) 非空気入りタイヤ
JP5309056B2 (ja) 緩衝装置
JP4854766B2 (ja) タイヤ成型用金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