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3130A - 지폐 입출금 장치 - Google Patents

지폐 입출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3130A
KR20130093130A KR1020137012764A KR20137012764A KR20130093130A KR 20130093130 A KR20130093130 A KR 20130093130A KR 1020137012764 A KR1020137012764 A KR 1020137012764A KR 20137012764 A KR20137012764 A KR 20137012764A KR 20130093130 A KR20130093130 A KR 20130093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bill
deposit
withdrawal
convey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2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7715B1 (ko
Inventor
가즈시 요시다
리이치 가토
류이치 오노모토
가츠요시 후나이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0258543A external-priority patent/JP551335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258539A external-priority patent/JP556844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258533A external-priority patent/JP551334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258546A external-priority patent/JP5462134B2/ja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93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3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7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7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50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Pile Receiver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지폐 입출금 장치(1)는 지폐를 반송하는 반송로를 짧게 할 수 있어, 소형화나 간소화를 실현할 수 있다.
지폐 입출금 장치(1)는 입금부(10), 지폐가 정상인 정상 지폐인지 여부를 식별하는 지폐 식별부(20) 및 출금부(30)를 갖는 상부 지폐 처리 기구(1U)와, 지폐를 수납하는 리사이클고(40)를 갖는 하부 지폐 수납 기구(1L)와, 장전 회수고(50)를 갖는 전방부 지폐 수납 기구(1F)와, 반송로를 구성하는 반송 기구(60)와,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부 지폐 처리 기구(1U), 하부 지폐 수납 기구(1L), 전방부 지폐 수납 기구(1F)는, 각 기구 사이에 있어서의 반송 기구의 반송로에서 분리 가능하게 유닛화되어 있고, 상부 지폐 처리 기구(1U)로부터 하부 지폐 수납 기구(1L)로, 하부 지폐 수납 기구(1L)로부터 전방부 지폐 수납 기구(1F)로 쌍방향으로 반송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지폐 입출금 장치 {BILL DEPOSIT/WITHDRAWAL DEVICE}
본 발명은 금융 기관 등에서 사용되는 지폐를 취급하는 지폐 입출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지폐 입출금 장치는, 이용자에 의해 투입된 지폐를 처리를 위해서 1매씩 조출(繰出)하는 입금부와, 투입된 지폐를 식별하는 지폐 식별부와, 입금된 지폐를 일시적으로 수납하는 일시 보관고와, 입금된 지폐를 수납하는 입금고와, 입금된 지폐를 출금 지폐로서 사용하기 위하여 수납해 두는 리사이클고와, 장치로부터 출금되지 않는 지폐를 수납해 두는 리젝트고와, 리사이클고에 지폐를 장전하거나 리사이클고로부터 지폐를 회수하거나 할 때에 지폐를 수납하는 장전 회수고와, 상술한 각 기구 사이에서 지폐를 반송하는 반송 기구를 구비하고, 이들을 조합함으로써 구성되어 있고, 각각의 기구 배치나 반송 기구의 구성 등은, 장치의 사용 조건이나 사용 편의성 등에 의해 다양한 구성의 것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순환식 지폐 입출금기에서는, 기체의 상면에 지폐 입금구와 지폐 출금구를 배치하고, 입금 처리 또는 출금 처리의 진행 상황을 고객측에서도 확인 가능하게 하고, 또한 기체의 전방측에 입금 지폐의 일시 보관고를 배치하여 입금 지폐를 일괄하여 일시적으로 보류하도록 하여, 입금 비승인 시에는 일시 보관고의 전방면 도어를 개방하여 일시 보관고 내의 지폐를 일괄적으로 취출할 수 있도록 하여 일시적으로 수납된 지폐의 반환을 신속하면서도 또한 쉽게 하고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지폐 입출금기는 지폐를 접수하여 입금 처리하는 입금부와, 입금된 지폐를 반환/도입용으로 일시 집적 보관하는 일시 보류부와, 출금 처리에 있어서 집적된 지폐를 취출할 수 있는 출금부를 갖는 지폐 입출금기이며, 하나의 지폐 집적부를 설치하여, 이 지폐 집적부 내에 지폐 집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획 부재를 배치하고, 이 구획 부재를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을 설치하여, 구획 부재에 의해 구획된 한쪽을 입금부로 하고, 다른 쪽을 지폐의 일시 보류부와 출금 처리에 집적된 지폐를 취출하는 출금부로서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고 있다.
지폐 처리 업무의 기계화 보급에 수반하여, 지폐의 입출금 장치에는 종래의 기능이나 성능을 유지하면서, 보다 소형화, 저비용화, 사용 편의성 향상 실현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또한, 기계화 범위의 확대에 수반하여 입출금 장치도 다양화하고 있어, 취급하는 지폐나 종이 매체의 다양화 대응, 다양한 매체 처리에 대한 신뢰성 향상, 이용자의 조작성 향상에 대한 입출금구의 배치나 전후면 조작, 시큐리티 향상에 관한 금고 하우징, 업무 환경에 맞춘 레이아웃에 관한 장치의 모듈 구조화 등의 다양한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범용성이 높은 지폐 입출금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입금된 지폐를 출금 지폐로서 사용하는 리사이클 타입의 지폐 입출금 장치에서는, 입출금구, 지폐 식별부, 지폐 일시 보관고, 지폐 리사이클고, 리젝트고 및 이들의 기구 사이에서 지폐를 반송하는 반송 기구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지만, 이들의 각 기구를 효율적으로 조합하여, 고객의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장치의 실현이 도모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지폐의 입출금 장치의 다양화뿐만 아니라, 소형화나 저비용화에 대한 요구가 점점 높아져 오고 있어, 종래의 기능 성능을 유지하면서 다양한 제품 형태와 소형 저비용화를 실현할 수 있는 범용적인 지폐 입출금 장치의 실현이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종래 기술은, 지폐 입출금 장치를 구성하는 종래부터의 기구 요소인 입금구, 출금구, 식별 기구, 일시 보관고, 리사이클고 등을 사용한다고 하는 기본적인 컨셉트를 유지하면서 반송 기구의 정역회전화나 집적 기구의 공용화 등으로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고 있어, 장치의 근본적인 소형화나 간소화에 대해서는 충분하지 않았다. 또한, 지폐 입출금 장치에 대해서, 지폐의 리사이클고 등에 수납되는 지폐가 다량일 경우에는, 시큐리티를 높이는 구성도 요구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4560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7-72973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근거로 하여, 지폐 처리 기구의 내부 반송로를 짧게 할 수 있어, 장치의 소형화나 간소화를 실현한 지폐 입출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이하의 형태 또는 적용예로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적용예 1]
적용예 1은, 지폐의 입출금 처리를 행하는 지폐 입출금 장치이며,
입금하는 지폐를 투입하는 입금부와, 지폐가 정상인 정상 지폐인지 혹은 정상 지폐가 아닌 리젝트되는 리젝트 지폐인지를 식별하는 지폐 식별부와, 출금하는 지폐를 집적하는 출금부를 갖는 지폐 처리 기구와,
입금한 지폐 및 출금하는 지폐를 수납하는 제1 지폐 수납고를 갖는 제1 지폐 수납 기구와,
지폐를 수납하는 제2 지폐 수납고를 갖는 제2 지폐 수납 기구와,
상기 지폐 처리 기구, 상기 제1 및 제2 지폐 수납 기구의 각각 내부를 접속하는 동시에, 상기 지폐 처리 기구와 제1 및 제2 지폐 수납 기구 사이에서 지폐를 반송하는 반송로를 갖는 반송 기구와,
상기 지폐 처리 기구, 상기 제1 및 제2 지폐 수납 기구를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지폐 식별부에 의해 식별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반송 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폐 처리 기구, 상기 제1 지폐 수납 기구 및 제2 지폐 수납 기구는, 분리 가능하게 유닛화되어 있고,
상기 반송 기구는 상기 제어부에 의한 제어에 의해, 적어도 상기 지폐 처리 기구로부터 상기 제1 지폐 수납고로 지폐를 반송하고, 상기 제1 지폐 수납고로부터 조출된 지폐를 상기 제2 지폐 수납고로 반송하고, 상기 제2 지폐 수납고로부터 조출된 지폐를 상기 제1 지폐 수납고로 반송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적용예 1에 관련된 지폐 입출금 장치에 있어서, 지폐는, 지폐 처리 기구, 제1 지폐 수납 기구의 제1 지폐 수납고, 제2 지폐 수납 기구의 제2 지폐 수납고 사이를,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 반송 기구로 반송됨으로써, 입금 처리, 출금 처리, 지폐의 장전 회수 처리 등이 행해진다. 이때, 지폐 처리 기구의 지폐 식별부는 입금부로부터 투입된 지폐 외에, 제1 지폐 수납고나 제2 지폐 수납고로부터 조출되는 지폐도, 정상 지폐인지 리젝트 지폐인지를 식별하므로, 각각의 지폐 수납고에 수납되어 있는 지폐를 식별한 상태로 관리할 수 있다. 즉, 상기 지폐 처리 기구, 상기 제1 지폐 수납 기구 및 제2 지폐 수납 기구는 상기 각 기구 사이에 있어서의 상기 반송 기구의 반송로에서 분리 가능하게 유닛화해도, 제1 및 제2 지폐 수납고에 수납되는 지폐가 식별된 상태로 관리되므로, 종래의 지폐 처리 장치에 탑재되어 있는 것과 같은, 지폐 처리 기구의 내부에 지폐를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지폐 수납고를 폐지할 수 있고, 따라서, 지폐 처리 기구의 내부의 반송로를 짧게 할 수 있어, 장치의 소형화나 간소화, 저비용화가 가능하다.
또한, 지폐 처리 기구, 제1 및 제2 지폐 수납 기구는, 각각이 유닛화되어 있으므로, 그들의 배치 자유도가 높아져, 반송로나 연결부의 배치를 적절하게 취함으로써, 구성의 간략화 외에, 스페이스의 유효 이용을 도모할 수 있다.
[적용예 2]
적용예 2에 있어서의 지폐 처리 기구는, 상기 지폐 처리 기구는 상기 입금부에 지폐를 투입하고, 또한 상기 출금부로부터 지폐를 취출하는 측을 조작측으로 했을 때에, 상기 지폐 식별부를 상기 조작측과 반대측에 배치하고, 상기 제1 지폐 수납 기구는 상기 지폐 처리 기구의 하방에 배치하고, 상기 제2 지폐 수납 기구는 상기 지폐 처리 기구의 하방이며 상기 제1 지폐 수납 기구에 대하여 상기 조작측에 배치한 구성이다. 이러한 배치를 취함으로써, 지폐 처리 기구의 입금부 및 출금부에 대하여 지폐를 취급하는 조작측을 담당자와 대면측에 배치하여 입금이나 출금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제1 지폐 수납 기구의 제1 지폐 수납고를, 제2 지폐 수납 기구의 제2 지폐 수납고보다 지폐를 대량으로 취급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에 있어서, 조작측에 배치된 제2 지폐 수납 기구에 의해, 제1 지폐 처리 기구에 액세스하는 것을 번거롭게 하도록 블록하고 있으므로, 시큐리티를 높일 수 있다.
[적용예 3]
적용예 3은, 상기 지폐 처리 기구와 제1 지폐 수납 기구 사이의 반송로의 연결부는, 상기 지폐 처리 기구의 하면에 배치하고, 상기 지폐 처리 기구와 제2 지폐 수납 기구 사이의 반송로의 연결부는, 상기 제1 지폐 반송 기구의 하면이며 상기 조작측에 배치한 구성이다. 이 구성에 의해, 반송로를 짧게 하는 배치를 취할 수 있다.
[적용예 4]
적용예 4에 있어서, 상기 입금부에 투입된 지폐를 상기 지폐 식별부를 거쳐 상기 제1 지폐 수납고로 반송하는 입금 처리와, 입금된 지폐를 상기 제1 지폐 수납고로부터 상기 지폐 처리 기구로 복귀시키는 출금 처리와, 상기 제1 지폐 수납고와 제2 지폐 수납고 사이에서 지폐를 반송하는 장전 회수 처리를 전환하여 실행하는 구성을 취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예를 들어 고객으로부터 입금 의뢰를 담당자가 처리하기 위한 지폐 입출금 장치, 즉 소위 텔러머신에 있어서, 입금된 지폐를, 입금된 지폐로 그대로 반환하지 않고, 제1 지폐 수납고로부터 조출하여 제2 지폐 수납고로 반송하여 반환하는 등의 다양한 사용이 가능하다.
[적용예 5, 6]
적용예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금부에 투입된 지폐를 상기 지폐 식별부를 거쳐 상기 제2 지폐 수납고로 반송하여 제2 지폐 수납고에서 일시 보관하고, 입금 확인의 명령이 있었을 때에 상기 제2 지폐 수납고에 일시 보관되어 있는 지폐를, 상기 제1 지폐 처리 기구의 반송하는 입금 처리와, 상기 제1 지폐 수납고와 제2 지폐 수납고 사이에서 지폐를 반송하는 장전 회수 처리를 전환하여 실행하는 구성이다. 이 구성에 의해, 제2 지폐 수납고는 제1 지폐 수납고와의 사이에서 지폐를 반송하는 장전 회수 처리로 이용하는 외에, 입금부에 투입된 지폐를 반환용의 지폐로서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보관고로서 이용하는 입금 처리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2 지폐 수납고에 보관된 지폐는 입금의 취소 명령이 있었을 때에, 제2 지폐 수납고로부터 그대로 취출하는 구성으로 하는 외에, 제2 지폐 수납고에 일시 보관되어 있는 지폐를 상기 출금부로 반송할 수도 있다.
[적용예 7, 8, 9]
적용예 7에 있어서, 상기 제1 지폐 수납 기구는 상기 제1 지폐 수납고를 복수 갖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금부 또는 상기 제2 지폐 수납고로부터 조출되는 지폐를 상기 지폐 식별부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의해 정상 지폐인지 리젝트 지폐인지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지폐 수납고로 각각 나누어서 반송하는 구성이다. 또한, 적용예 8에 있어서, 상기 제2 지폐 수납 기구는 상기 제2 지폐 수납고를 복수 갖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금부 또는 상기 제1 지폐 수납고로부터 조출되는 지폐를 상기 지폐 식별부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의해 정상 지폐인지 리젝트 지폐인지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복수의 제2 지폐 수납고로 각각 나누어서 반송하는 구성이다. 또한, 적용예 9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지폐 수납고로부터 조출되는 지폐를, 상기 지폐 식별부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의해 정상 지폐인지 리젝트 지폐인지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출금부 또는 상기 제2 지폐 수납고로 각각 나누어서 반송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지폐 수납 기구에 있어서의 지폐 수납고는 복수 구비하여, 그들의 지폐 수납고를 지폐 식별부의 식별 결과에 따라서 나눔으로써, 다른 기능으로 하거나, 나아가 출금부에도 반송처를 설정함으로써 다양한 사용법을 취할 수 있다.
[적용예 10]
적용예 10은 지폐의 입출금 처리를 행하는 지폐 입출금 장치이며,
입금되는 지폐가 투입되는 입금부와, 지폐가 정상인 정상 지폐인지 정상 지폐가 아닌 리젝트되는 리젝트 지폐인지를 식별하는 지폐 식별부와, 출금하는 지폐를 집적하는 출금부를 갖는 지폐 처리 기구와,
입금된 지폐 및 출금하는 지폐를 수납하는 제1 지폐 수납고를 갖는 제1 지폐 수납 기구와,
지폐를 수납하는 제2 지폐 수납고를 갖는 제2 지폐 수납 기구와,
상기 지폐 처리 기구, 상기 제1 및 제2 지폐 수납 기구의 각각 내부를 접속하는 동시에, 상기 지폐 처리 기구와 제1 및 제2 지폐 수납 기구 사이에서 지폐를 반송하는 반송로를 갖는 반송 기구와,
상기 지폐 처리 기구, 상기 제1 및 제2 지폐 수납 기구를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지폐 식별부에 의해 식별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반송 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지폐 수납 기구는 상기 제1 지폐 수납고를 수납하는 수납 하우징과, 상기 수납 하우징에 개폐 가능하며 상기 제1 지폐 수납고의 지폐를 취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개폐부와, 상기 개폐부를 로크하기 위한 로크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로크 기구는 상기 로크 기구를 해제하여 개폐부를 개방하기 위한 기구가 상기 제2 지폐 수납 기구 내의 제2 지폐 수납고에 액세스하는 것보다 엄격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적용예 10에 관련된 지폐 입출금 장치에 있어서, 지폐는, 지폐 처리 기구, 제1 지폐 수납 기구의 제1 지폐 수납고, 제2 지폐 수납 기구의 제2 지폐 수납고 사이를,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 반송 기구로 반송됨으로써, 입금 처리, 출금 처리, 지폐의 장전 회수 처리 등이 행해진다. 또한, 제1 지폐 수납 기구의 제1 지폐 수납고는 수납 하우징에 수납되어, 수납 하우징에 개폐 가능한 개폐부에 설치한 로크 기구를 해제함으로써, 지폐를 담당자가 취급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로크 기구는 상기 로크 기구를 해제하여 개폐부를 개방하기 위한 기구가 상기 제2 지폐 수납 기구 내의 제2 지폐 수납고에 액세스하는 것보다 엄격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시큐리티를 높일 수 있다.
[적용예 11]
적용예 11은, 상기 지폐 처리 기구, 상기 제1 지폐 수납 기구 및 제2 지폐 수납 기구는, 상기 각 기구 사이에 있어서의 상기 반송 기구의 반송로에서 분리 가능하게 유닛화되어 있는 구성이다. 이 구성에 의해, 각 기구의 배치 자유도가 높아져, 반송로나 연결부의 배치를 적절하게 취함으로써, 구성의 간략화 외에, 스페이스의 유효 이용을 도모할 수 있다.
[적용예 12]
적용예 12에 있어서, 상기 지폐 처리 기구는 상기 입금부에 지폐를 투입하고, 또한 상기 출금부로부터 지폐를 취출하는 측을 조작측으로 했을 때에, 상기 지폐 식별부를 상기 조작측과 반대측에 배치하고, 상기 제1 지폐 수납 기구는 상기 지폐 처리 기구의 하방에 배치하고, 상기 제2 지폐 수납 기구는 상기 지폐 처리 기구의 하방이며 상기 제1 지폐 수납 기구에 대하여 상기 조작측에 배치한 구성이다. 이러한 배치를 취함으로써, 지폐 처리 기구의 입금부 및 출금부에 대하여 지폐를 취급하는 조작측을 담당자와 대면측에 배치하여 입금이나 출금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제1 지폐 수납 기구의 제1 지폐 수납고를, 제2 지폐 수납 기구의 제2 지폐 수납고보다 지폐를 대량으로 취급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에 있어서, 조작측에 제2 지폐 수납 기구가 배치되고, 제1 지폐 처리 기구에 액세스를 번거롭게 하도록 블록하고 있으므로, 시큐리티를 높일 수 있다.
[적용예 13]
적용예 13은 상기 지폐 처리 기구와 제1 지폐 수납 기구 사이의 반송로의 연결부는, 상기 지폐 처리 기구의 하면에 배치하고, 상기 지폐 처리 기구와 제2 지폐 수납 기구 사이의 반송로의 연결부는, 상기 제1 지폐 반송 기구의 하면이며 상기 조작측에 배치한 구성이다. 이 구성에 의해, 반송로를 짧게 하는 배치로 할 수 있다.
[적용예 14]
적용예 14는 지폐의 입출금 처리를 행하는 지폐 입출금 장치이며,
입금되는 지폐가 투입되는 입금부와,
지폐가 정상인 정상 지폐인지 정상 지폐가 아닌 리젝트되는 리젝트 지폐인지를 식별하는 지폐 식별부와,
출금하는 지폐를 집적하는 출금부와,
입금된 지폐나 출금하는 지폐를 수납하는 지폐 수납고와,
상기 입금부, 지폐 식별부, 출금부 및 지폐 수납고와의 사이에서 지폐를 반송하는 반송로를 갖는 반송 기구와,
상기 반송로에 설치되어, 상기 반송로를 통과하는 지폐의 화상 정보를 취득하는 화상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지폐의 화상 정보를 통지하는 통지 수단과,
상기 입금부, 지폐 식별부, 출금부, 반송 기구 및 화상 정보 취득 수단을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지폐 식별부에 의해 식별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반송 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폐 수납고를 향하여 반송되는 지폐의 화상 정보와, 상기 지폐 수납고로부터 조출된 지폐의 화상 정보를 상기 화상 정보 취득 수단으로부터 취득하여, 상기 통지 수단에 상기 양쪽 지폐의 화상 정보를 통지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적용예 14에 관련된 지폐 입출금 장치에 있어서, 지폐는, 입금부, 지폐 식별부, 출금부 및 지폐 수납고 사이를,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 반송 기구로 반송됨으로써, 입금 처리, 출금 처리, 지폐의 장전 회수 처리 등이 행해진다. 또한, 제어부는 입금 처리 시에, 지폐가 지폐 수납고를 향하여 반송될 때에 화상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지폐의 화상 정보가 취득되고, 또한 지폐 수납고로부터 조출되어 반송될 때에 지폐의 화상 정보가 취득되어, 통지 수단에 의해 양쪽의 화상 정보가 통지된다. 이렇게 통지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지폐 수납고에 수납되는 지폐 및 지폐 수납고로부터 조출되는 지폐가 동일한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입금 처리 시에, 입금부로부터 지폐 수납고에 지폐를 수납한 후에, 지폐 수납고로부터 지폐를 복귀시킬 경우에, 입금한 지폐와 출금하는 지폐와의 일치 등의 거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거래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게다가, 입금 처리 시에, 일시적으로 입금 지폐를 보관하기 위한 보관고가 불필요해져, 지폐 입출금 장치의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적용예 15]
적용예 15에 있어서, 통지 수단은 상기 양쪽 지폐의 화상 정보를 비교하여 표시하는 정보 표시부인 구성이다. 통지 수단으로서, 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수단에 의하면, 시각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통지 수단으로서, 화상 정보를 비교하여 담당자 등의 통지 가능한 수단이면, 음성 등의 다른 수단을 취할 수도 있다.
[적용예 16, 17]
적용예 16, 17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양쪽 지폐의 화상 정보를 비교하여, 양쪽 지폐의 화상 정보가 일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그 취지를 상기 통지 수단에 통지시키는 구성이다. 이 구성에 의해, 양쪽 지폐의 화상 정보의 일치를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화상의 일치는 화상의 패턴 인식이나 지폐에 부여되어 있는 고유의 기 번호의 대조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적용예 18]
적용예 18에 있어서, 상기 지폐 수납고는 상기 입금부로부터 반송된 지폐를 수납하는 제1 지폐 수납고와, 상기 제1 지폐 수납고에 반송로를 거쳐 접속된 제2 지폐 수납고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양쪽 지폐의 화상 정보를 비교하여, 양쪽 지폐의 화상 정보가 일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1 지폐 수납고로부터 조출된 지폐를 상기 제2 지폐 수납고로 반송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제1 지폐 수납고로 보내진 입금된 지폐를, 조출할 때에, 화상 정보의 일치를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을 때에 제2 지폐 수납고로 반송함으로써, 그 일치되고 있지 않은 지폐를 확실하게 보관할 수 있다.
[적용예 19]
적용예 19는, 또한 지폐를 처리하고 있는 시각, 상기 지폐 입출금 장치의 주위의 화상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화상 정보에 맞추어, 화상 정보 채취 수단으로부터의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지폐의 화상 정보 외에, 그 거래 상태, 또는 그 장치를 취급하고 있는 담당자나 고객의 모습을 포함하는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으므로, 거래의 안전성을 한층 높일 수 있다.
[적용예 20]
적용예 20은 지폐의 입출금 처리를 행하는 지폐 입출금 장치이며,
입금하는 지폐를 투입하는 입금부와, 지폐가 정상인 정상 지폐인지 정상 지폐가 아닌 리젝트되는 리젝트 지폐인지를 식별하는 지폐 식별부와, 출금하는 지폐를 집적하는 출금부를 갖는 지폐 처리 기구와,
입금한 지폐 및 출금하는 지폐를 수납하는 제1 지폐 수납고를 갖는 제1 지폐 수납 기구와,
지폐를 수납하는 제2 지폐 수납고를 갖는 제2 지폐 수납 기구와,
상기 지폐 처리 기구, 상기 제1 및 제2 지폐 수납 기구의 각각 내부를 접속하는 동시에, 상기 지폐 처리 기구와 제1 및 제2 지폐 수납 기구 사이에서 지폐를 반송하는 반송로를 갖는 반송 기구와,
상기 지폐 처리 기구, 상기 제1 및 제2 지폐 수납 기구를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지폐 식별부에 의해 식별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반송 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반송 기구는,
상기 제1 지폐 수납고와 상기 제2 지폐 수납고에서 쌍방향으로 지폐를 반송 가능하며, 또한 상기 지폐 식별부를 배치하고, 상기 제1 지폐 수납고와 상기 지폐 식별부를 접속하는 제1 주 반송부 및 상기 지폐 식별부와 상기 제2 지폐 수납고를 접속하는 제2 주 반송부를 갖는 주 반송로와,
상기 입금부로부터 상기 제2 주 반송부로 일방향으로 지폐를 반송 가능한 제1 부 반송부와, 상기 출금부로 상기 제2 주 반송부에 접속하는 제2 부 반송부를 갖는 부 반송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금부로부터 상기 제1 부 반송부, 상기 제1 주 반송부를 거쳐 상기 제1 지폐 수납고로 지폐를 반송하고, 상기 제1 지폐 수납고와 상기 제2 지폐 수납고 사이에서 상기 주 반송로를 거쳐 지폐를 반송하고, 상기 주 반송로로부터 반송된 지폐를 상기 제2 부 반송부를 거쳐 상기 출금부로 반송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적용예 20에 관련된 지폐 입출금 장치에 있어서, 지폐는 제1 지폐 수납고와 제2 지폐 수납고 사이를, 주 반송로를 구성하는 제1 주 반송부 및 제2 주 반송부에서 쌍방향으로 반송되고, 또한 입금부로부터 부 반송로의 제1 부 반송부를 거쳐 제2 주 반송부로 반송되고, 제2 주 반송부로부터 출금부로 반송됨으로써, 입금 처리, 출금 처리, 지폐의 장전 회수 처리 등이 행해진다. 이때, 지폐 식별부는 입금부로부터 투입된 지폐 외에, 제1 지폐 수납고나 제2 지폐 수납고로부터 조출되는 지폐도, 정상 지폐인지 리젝트 지폐인지를 식별하므로, 각각의 지폐 수납고에 수납되어 있는 지폐를 식별한 상태로 관리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지폐 수납고에 수납되는 지폐는 지폐 식별부에서 식별된 상태로 관리되므로, 종래의 지폐 처리 장치에 탑재되어 있는 것과 같은, 지폐 처리 기구의 내부에 지폐를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지폐 수납고를 폐지할 수 있고, 따라서, 지폐 처리 기구의 내부 반송로를 짧게 할 수 있어, 장치의 소형화나 간소화, 저비용화가 가능하다.
[적용예 21]
적용예 21에 있어서, 상기 반송 기구는 상기 제1 주 반송부로부터 분기하고, 상기 제2 지폐 수납고로 지폐를 반송 가능하게 접속된 제3 부 반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지폐가 지폐 식별부에 의한 식별된 결과를 기초로 하여 리젝트 지폐라고 식별되었을 때에, 상기 제3 부 반송부 및 제2 주 반송부를 거쳐 상기 제2 지폐 수납고로 반송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입금부로부터 투입된 지폐가 리젝트 지폐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제2 지폐 수납고로 반송되므로, 제2 지폐 수납고를, 지폐의 일시 보관고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적용예 22]
적용예 2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지폐 수납고로부터 조출되는 지폐를, 상기 제2 주 반송부, 제2 부 반송부를 통하여 상기 출금부로 반송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제2 지폐 수납고에 일시적으로 보관된 지폐를 출금부로 직접 반송할 수 있어, 반송로를 짧게 할 수 있고, 장치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지폐 입출금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지폐 입출금 장치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상부 지폐 처리 기구의 구성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4는 상부 지폐 처리 기구 내의 반송 기구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5는 지폐 입출금 장치의 반송 기구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관한 하부 지폐 수납 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방부 지폐 수납 기구의 구성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8은 지폐 입출금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9는 지폐의 장전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지폐 입출금 장치에 의한 지폐의 장전 처리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입금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지폐 입출금 장치의 입금 처리에 있어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지폐 입출금 장치의 입금 처리에 있어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4는 취소 반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지폐 입출금 장치에 의한 취소 반환 처리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6은 정보 표시부에 표시되는 지폐 정보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7은 출금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8은 지폐 입출금 장치의 출금 처리에 있어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이어지는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0은 지폐 입출금 장치에 의한 지폐의 회수 처리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취소 반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2는 취소 반환 시에 이상 처리된 지폐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지폐 입출금 장치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기구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5는 게이트 기구의 전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6은 장전 회수고를 일시 보관고로서 설정하는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7은 입금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8은 지폐의 취소 반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9는 지폐 입출금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3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방부 지폐 수납 기구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3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방부 지폐 수납 기구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3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방부 지폐 수납 기구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3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방부 지폐 수납 기구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A. 제1 실시예
(1) 지폐 입출금 장치(1)의 개략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지폐 입출금 장치(1)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지폐 입출금 장치(1)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지폐 입출금 장치(1)는 은행 등의 금융 기관에 의해 관리되어, 고객에 대응하는 담당자(은행원 등)의 조작에 따라서 각종 거래를 행하기 위한 장치이다.
지폐 입출금 장치(1)는 지폐의 입출금구 등이 있는 상부 지폐 처리 기구(1U) (지폐 처리 기구)와, 지폐가 수납되는 리사이클고(제1 지폐 수납고) 등이 있는 하부 지폐 수납 기구(1L)(제1 지폐 수납 기구)와, 하부 지폐 수납 기구(1L)를 수납하는 금고 하우징(1S)과, 상부 지폐 처리 기구(1U)와 하부 지폐 수납 기구(1L) 사이에 연결되어 지폐의 반송을 행하는 연결 반송 기구(1Tu)와, 리사이클고로부터 회수되는 지폐나 리사이클고에 장전하는 지폐를 수납하는 장전 회수고(제2 지폐 수납고)를 갖는 전방부 지폐 수납 기구(1F)(제2 지폐 수납 기구)와, 지폐 처리의 제어를 행하는 단말기 제어부(1C)와, 지폐 입출금 장치 전체의 제어 명령 신호를 발신하는 상위 제어부(100)와, 담당자에 대하여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 표시부(1D) (통지 수단)와, 담당자가 조작에 필요한 입력을 행하는 정보 입력부(1I)와, 정보 송신을 행하는 통신망(111, 112)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하부 지폐 수납 기구(1L)는 상부 지폐 처리 기구(1U)의 하방에, 전방부 지폐 수납 기구(1F)는 하부 지폐 수납 기구(1L)의 전방부에 부착되는 구조로 되어 있고, 이로 인해 상부 지폐 처리 기구(1U)는, 이러한 부착 구성을 가능하게 하는 레이아웃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지폐의 입출금구가 배치되어서 담당자가 이들에 액세스하는 방향을 조작측, 즉 전방으로 하고 있다. 상부 지폐 처리 기구(1U), 하부 지폐 수납 기구(1L) 및 전방부 지폐 수납 기구(1F)는, 분할 가능해지도록 유닛화되어 있고, 그들 기구는 지폐를 반송 가능한 반송 기구를 거쳐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지폐 처리 기구(1U)와 하부 지폐 처리 기구(1L) 사이에는, 하부 지폐 처리 기구(1L)가 금고 하우징(1S) 내부에 내장되어 있으므로 연결 반송 기구(1Tu)가, 또한 상부 지폐 처리 기구(1U)와 전방부 지폐 처리 기구(1F) 사이에도 연결 반송 기구(1Tf)가 설치되어 있지만, 이들의 연결 반송 기구는, 예를 들어 하부 지폐 처리 기구(1L)가 금고 하우징(1S)에 내장되지 않은 구성에 있어서는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2) 지폐 입출금 장치(1)의 구성
이하, 지폐 입출금 장치(1)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2)-1 상부 지폐 처리 기구(1U)의 구성
도 3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상부 지폐 처리 기구(1U)의 구성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상부 지폐 처리 기구(1U)는, 담당자와의 지폐 수수에 필요한 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입금부(10)와, 지폐 식별부(20)와, 출금부(30)와, 반송 기구(60)의 일부와, 게이트 기구의 일부를 구비하고 있다.
입금부(10)는 담당자가 지폐를 투입함으로써 상기 지폐를 기구의 내부로 반송하기 위한 기구이며, 지폐 조출 기구(11)를 구비하고 있다. 지폐 조출 기구(11)는 지폐를 수납 적재하여 상방으로 가압하는 가압 기구(11L)와, 픽업 롤러(11P), 피드 롤러(11F) 및 게이트 롤러(11G)를 구비하고 있다. 입금부(10)의 구성에 의해, 투입된 지폐는 가압 기구(11L)와 픽업 롤러(11P)로 가압되어서 픽업 롤러(11P)와 게이트 롤러(11G) 사이로 보내지고, 다시 픽업 롤러(11P), 피드 롤러(11F), 게이트 롤러(11G)에 의해 1매씩 분리되어 입금부(10) 밖으로 조출된다.
지폐 식별부(20)는 지폐를 반송하는 반송로(21)와, 이 반송로(21)에서 반송되는 지폐의 진위나 금종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나 지폐의 화상 정보를 취득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센서는, 지폐의 매수를 검출하는 통과 검지 센서(22)와, 지폐의 진위나 금종을 판별하는 금종 판별 센서(23)와, 지폐의 화상을 도입하는 카메라(24)(화상 정보 취득 수단)를 구비하고, 이들의 검출 신호가 단말기 제어부(1C)나 상위 제어부(100)로 전달되어, 미리 정해진 방법으로 지폐 처리나 지폐 입출금 장치(1)의 각 처리에 활용된다. 출금부(30)는 담당자가 지폐를 수취하는 곳으로, 입금부(10)의 하방 또한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4는 상부 지폐 처리 기구(1U) 내의 반송 기구(60)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5는 지폐 입출금 장치(1)의 반송 기구(60)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4 및 도 5에 있어서, 반송 기구(60)는 입금부(10), 출금부(30), 하부 지폐 수납 기구(1L) 및 전방부 지폐 수납 기구(1F) 사이에서 지폐를 반송하기 위한 기구이며, 도시되지 않은 기어나 벨트를 거쳐 단일의 구동원(액추에이터) 또는 복수의 구동원을 사용하여 구동된다.
상부 지폐 처리 기구(1U) 내의 반송로는, 제1 분기 합류부(61), 지폐 식별부(20), 제2 분기 합류부(62), 제3 분기 합류부(63), 제4 분기 합류부(64)를 기준으로 하면, 반송로(60A 내지 60I)의 9 경로로 나눌 수 있다. 즉, 반송로(60A)는 입금부(10)와 제1 분기 합류부(61)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반송로(60B)는 제1 분기 합류부(61)와 지폐 식별부(20)의 반송로(21)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반송로(60C)는 반송로(21)와 제2 분기 합류부(6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반송로(60D)는 제2 분기 합류부(62)와 하부 지폐 수납 기구(1L)와의 연결 기구인 연결 반송 기구(1Tu) 내의 반송로(60J)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반송로(60E)는 제2 분기 합류부(62)와 제3 분기 합류부(63)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반송로(60F)는 제3 분기 합류부(63)와 제4 분기 합류부(64)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반송로(60G)는 제4 분기 합류부(64)와 전방부 지폐 수납 기구(1F)와의 연결 기구인 연결 반송 기구(1Tf)(연결부)의 반송로(60K)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반송로(60H)는 제4 분기 합류부(64)와 출금부(3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반송로(60I)는 제3 분기 합류부(63)와 제1 분기 합류부(61)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내지 제4 분기 합류부(61 내지 64)에서는, 복수의 반송로가 분기 또는 합류되고 있어, 지폐의 반송처가 전환되는 게이트 기구(71, 72, 73, 74)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반송 기구(60)는, 지폐를 쌍방향으로 반송 가능한 쌍방향 반송부와, 일방향밖에 반송하지 않는 일방향 반송로를 구비하고 있다. 쌍방향 반송로로서, 지폐 식별부(20)를 기준으로 하면, 반송로(60C, 60D, 60J)를 포함하는 제1 주 반송부와, 반송로(60B, 60I, 60F, 60G, 60K)를 포함하는 제2 주 반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주 반송로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일방향 반송로로서, 입금부(10)로부터 제1 분기 합류부(61)까지의 제1 부 반송부와, 제4 분기 합류부(64)로부터 출금부(30)까지의 제2 부 반송부를 갖는 부 반송로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일방향 반송로로서, 제2 분기 합류부(62)로부터 제3 분기 합류부(63)에 접속된 제3 부 반송부가 배치되어 있다.
(2)-2 하부 지폐 수납 기구(1L) 및 연결 반송 기구(1Tu)의 구성
도 6은 본 실시예에 관한 하부 지폐 수납 기구(1L)의 구성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하부 지폐 수납 기구(1L)는 금고 하우징(1S)에 내장되어, 연결 반송 기구(1Tu)를 거쳐 상부 지폐 처리 기구(1U)에 접속되어 있고, 상부 지폐 처리 기구(1U)와의 사이에서 지폐를 쌍방향으로 반송하는 동시에 지폐를 수납하고 있다. 하부 지폐 수납 기구(1L)는 리사이클고(40)와, 리사이클고(40)(제1 지폐 수납고)의 상부에 배치된 하부 반송 기구 유닛(1LT)을 구비하고 있다. 금고 하우징(1S)은 리사이클고(40)를 둘러싸는 수납 하우징(1Sa)과, 수납 하우징(1Sa)의 전방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개방함으로써, 리사이클고(40)에 액세스 가능한 개폐부(1Sb)와, 개폐부(1Sb)를 개폐 가능하게 로크하는 로크 기구(1Sc)를 구비하고 있다. 로크 기구(1Sc)는, 예를 들어 다이얼식이나 특정한 개폐 정보를 기억한 카드를 사용함으로써 개폐 가능하여, 특정인만이 개폐 가능해지도록 시큐리티를 높이고 있다.
리사이클고(40)는 지폐를 보관하기 위한 금고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5개의 리사이클고(40A 내지 40E)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이들은 거의 동일한 구성이다. 여기서, 리사이클고(40) 중 4개의 리사이클고(40A 내지 40D)는, 입금된 지폐를 출금하는 지폐고로서, 또한 다루는 지폐의 종류를 다르게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리사이클고(40A 내지 40D)는, 10000엔, 5000엔, 2000엔, 1000엔에 각각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리사이클고(40) 중 1개의 리사이클고(40E)는, 출금 지폐로서 사용되지 않는 비환류 지폐를 수납하는 지폐고로서 사용할 수 있다. 리사이클고(40A 내지 40E)는 동일한 구성이므로, 리사이클고(40A)를 대표하여 설명한다. 리사이클고(40A)는, 지폐를 적재하는 동시에 승강하는 승강판(40a)과, 피드 롤러(40b)와, 게이트 롤러(40c)와, 가이드판(40d)을 구비하고 있고, 피드 롤러(40b)의 구동에 의해 지폐를 쌍방향으로 반송한다.
하부 반송 기구 유닛(1LT)은 연결 반송 기구(1Tu)를 거쳐 상부 지폐 처리 기구(1U)와의 사이에서 지폐를 쌍방향으로 반송하는 기구이며, 반송로(60L)와, 반송로(60L)를 따라 복수 배치되어 지폐의 반송 방향을 전환하는 게이트 기구(75)(75a, 75b, 75c, 75d)를 구비하고 있고, 게이트 기구(75)의 전환에 의해 리사이클고(40A 내지 40E)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지폐를 반출·반입하는 것이다.
연결 반송 기구(1Tu)는, 상부 지폐 처리 기구(1U)의 하면에 있어서 금고 하우징(1S)의 상부 개구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부 지폐 처리 기구(1U)와 하부 지폐 수납 기구(1L)와의 사이에서 지폐를 반송하는 기구이며, 상부 지폐 처리 기구(1U)의 반송로(60D)와 하부 지폐 수납 기구(1L)의 반송로(60L)의 양쪽에 연결하는 반송로(60J)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 반송 기구(1Tu)는, 반송 롤러를 구비하고 있고, 이 반송 롤러는 금고 하우징(1S)의 상면에 개방된 개구부에 있어서, 지폐가 통과하기 위한 길이와, 이 개구부로 반송되어 온 지폐를 끼움 지지하여 지폐를 반송하는 반송 롤러의 폭의 크기를 갖고 있다. 각 반송 기구의 구동원은, 상부 지폐 처리 기구(1U)의 반송 기구와 하부 지폐 수납 기구(1L)의 반송 기구를 따로따로 설치해도 되지만, 다른 구동원을 기어에 의해 전달하도록 하여 단일 구동원을 사용해도 된다.
(2)-3 전방부 지폐 수납 기구(1F) 및 연결 반송 기구(1Tf)의 구성
도 7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방부 지폐 수납 기구(1F)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전방부 지폐 수납 기구(1F)는, 반송로(60M)와, 장전 회수고(50)와, 이들을 수납하는 수납 하우징(1Fa)을 구비하고 있다. 장전 회수고(50)는, 상술한 리사이클고(40A)와 마찬가지의 구성이며, 승강판(50a)과, 집적 분리 기구(50F)를 구비하고 있다. 집적 분리 기구(50F)는 피드 롤러(50b), 게이트 롤러(50c), 가이드판(50d)을 구비하고 있고, 반송로(60M)를 거쳐 상부 지폐 처리 기구(1U)로 지폐를 반송한다. 수납 하우징(1Fa)은 장전 회수고(50)를 둘러싸, 수납 하우징(1Fa)의 전방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개폐부(1Fb)와, 개폐부(1Fb)를 개폐 가능하게 로크하는 로크 기구(1Fc)를 구비하고 있다. 로크 기구(1Fc)는, 담당자 등에 의해 신속히 액세스 가능한 구성이다. 연결 반송 기구(1Tf)는, 상술한 연결 반송 기구(1Tu)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상부 지폐 처리 기구(1U)의 하면 전방에 설치되어, 롤러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 반송로(60K)를 구비하고, 상부 지폐 처리 기구(1U)와 전방부 지폐 수납 기구(1F) 사이에서 지폐를 쌍방향으로 반송하는 기구이다.
(2)-4 제어부의 구성
도 8은 지폐 입출금 장치(1)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제어부는 지폐 입출금 장치(1)의 입금부(10) 등의 각 기구를 제어하는 단말기 제어부(1C)와, 단말기 제어부(1C)에 통신망(110)을 거쳐 접속되어 데이터나 데이터를 송수함으로써 지폐 입출금 장치(1)를 제어하는 상위 제어부(100)를 구비하고 있다. 단말기 제어부(1C)는 입금부(10), 지폐 식별부(20), 출금부(30), 리사이클고(40), 장전 회수고(50), 반송 기구(60), 게이트 기구(71 내지 75)의 각 기구를 제어하는 동시에, 이들을 제어하기 위하여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받는다. 센서로서, 상술한 통과 검지 센서(22) 외에, 연결 반송 기구(1Tu, 1Tf) 부근에 지폐 통과 검지 센서(25U, 25L, 26U, 26F)가 배치되어 있고, 상부 지폐 처리 기구(1U)와 하부 지폐 처리 기구(1L) 및 상부 지폐 처리 기구(1U)와 전방부 지폐 수납 기구(1F)와의 연결부에서 지폐 잼 등의 이상을 검출함으로써 반송 상태를 감시하고 있다.
또한, 상위 제어부(100)에는 지폐 입출금 장치(1)를 취급하는 담당자가 거래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정보 입력부(1I)나, 거래의 상태나 결과를 담당자에게 표시하는 정보 표시부(1D)가 통신망(112)을 거쳐 접속되어 있다. 담당자는, 정보 입력부(1I)로부터의 입력 동작이나 정보 표시부(1D)에 나타내는 정보에 의해 지폐 입출금 장치(1)의 조작이나 지폐 입출금 장치(1)에서 취득된 거래 정보나 장치의 상태 등의 확인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지폐 입출금 장치(1)의 외벽 또는 그 주연에 외부 카메라(120)(도 1)가 설치되어 있고, 거래의 상태를 감시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또한 지폐 입출금 장치(1)의 내부에는 거래의 시각을 표시하기 위한 시계가 내장되어 있다. 상위 제어부(100)는, 이들 정보를 지폐의 정보 등과 함께, 정보 표시부(1D)에 표시함으로써 지폐의 처리 상태를 감시하고 있다.
지폐 입출금 장치(1)의 제어부는, 입금 처리 등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초로 하여, 반송 기구(60)나 반송로(21)의 액추에이터(모터)를 구동하여 소정의 반송 방향으로 지폐를 반송하는 동시에, 각 분기·합류부에 설치된 모든 게이트 기구(71 내지 75)를 솔레노이드로 구동하여 반송로를 전환함으로써, 각 처리를 실행하는 동시에, 이들의 처리에 관한 정보를 정보 표시부(1D)에 표시한다.
(3) 지폐 취급 처리
지폐 입출금 장치(1)에 의해 실행되는 각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처리는, 조작의 책임을 담당하는 담당자가, 상기 담당자의 인식 코드를 정보 입력부(1I)로부터 입력함으로써, 처리와의 관련지음을 행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들의 정보가 정보 표시부(1D)에 표시된다.
(3)-1 지폐의 장전 처리
도 9는 지폐의 장전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10은 지폐 입출금 장치(1)에 의한 지폐의 장전 처리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본 처리는, 담당자가 전방부 지폐 수납 기구(1F)의 장전 회수고(50)에 지폐를 수납하고, 정보 입력부(1I)로부터 장전 동작 개시의 입력을 행함으로써 실행된다. 도 9의 스텝에서, 장전 회수고(50)에 수납된 지폐는 상부 지폐 처리 기구(1U)를 통하여 리사이클고(40)로 반송된다. 즉, 도 10에 도시한 장전 회수고(50)에 장전한 지폐는, 피드 롤러(50b), 게이트 롤러(50c)에 의해 반송로(60M), 연결 반송 기구(1Tf)의 반송로(60K)로 조출되고, 다시 상부 지폐 처리 기구(1U)로 반송된다. 그리고 게이트 기구(74, 73, 71)의 전환에 의해, 지폐는 반송로(60K)로부터 반송로(60G, 60F, 60I, 60B)를 지나, 지폐 식별부(20)로 이송된다. 스텝 S106에서, 지폐 식별부(20)는 반송로(21)를 통과하는 지폐를 식별한다. 즉, 지폐 식별부(20)는 통과 검지 센서(22)에 의해 지폐의 매수를 판별하고, 카메라(24)에 의해 지폐의 화상을 도입하여, 금종 판별 센서(23)에 의해 지폐의 진위나 금종 등의 정보를 취득한다. 이들 정보는, 도 8에 도시한 단말기 제어부(1C) 및 상위 제어부(100)로 송신되어서 처리된다. 계속되는 스텝 S108에서, 지폐 식별부(20)로부터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지폐가 정상 지폐인지 리젝트 지폐인지가 판정된다. 즉, 지폐가 복수 매 쌓여 있는 경우나, 오염 등에 의해 정상인 지폐로 여겨지지 않을 경우에 리젝트 지폐라 판정된다. 스텝 S108에서, 정상 지폐라고 판정되면 스텝 S110으로 진행되고, 지폐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지폐 수납 기구(1L)의 리사이클고(40A 내지 40D)의 금종에 대응하여 반송된다. 즉, 지폐는 반송로(21)로부터 반송로(60C)를 통해, 제2 분기 합류부(62)로 이송된다. 제2 분기 합류부(62)의 게이트 기구(72)는 연결 반송 기구(1Tu)측으로 전환되고 있으므로, 반송로(60D), 연결 반송 기구(1Tu)의 반송로(60J)를 거쳐 하부 지폐 수납 기구(1L)로 반송된다. 그리고 게이트 기구(75)의 전환에 의해, 지폐는 리사이클고(40A 내지 40D) 중 어느 하나로 반송된다. 한편, 스텝 S108에서, 지폐가 리젝트 지폐라고 판정되면, 스텝 S112으로 진행되어, 도 10의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게이트 기구(75)의 전환에 의해, 리사이클고(40E)로 반송된다. 즉, 리사이클고(40)에 장전되는 지폐가, 환류되지 않은 지폐이거나, 복수 매 조출되고 있거나, 사행하거나 하여 지폐 판별부에 의해 정상적으로 지폐의 정보가 판독되지 않은 경우에는, 리사이클고(40E)로 반송된다.
계속되는, 스텝 S114에서, 전방부 지폐 수납 기구(1F)로부터 상부 지폐 처리 기구(1U)로, 또는 상부 지폐 처리 기구(1U)로부터 하부 지폐 수납 기구(1L)로 나가는 지폐의 매수나 타이밍이, 지폐 통과 검지 센서(26F, 26U, 25U, 25L)로부터 검출 신호에 의해 지폐가 정상적으로 반송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 스텝 S116에서 이상 처리가 된다. 즉, 정보 표시부(1D)에 반송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는 취지가 표시되고, 그 이상 내용에 대응한 처리가 취해진다. 그리고 스텝 S118에서 모든 지폐의 장전이 정상적으로 종료되었다고 판정되었을 때에 본 처리가 종료된다.
(3)-2 입금 처리
(a) 입금 반송 처리
도 11은 입금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12 및 도 13은 지폐 입출금 장치(1)의 입금 처리에 있어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1의 스텝 S122에서, 담당자가 정보 입력부(1I)로부터 입금 조작의 선택을 행하여, 입금부(10)에 지폐가 투입되면, 스텝 S124로 진행한다. 스텝 S124에서는, 투입된 지폐가 입금부(10)로부터 지폐 식별부(20)로 반송된다. 즉,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금부(10)의 지폐는 지폐 조출 기구(11)를 구성하는 픽업 롤러(11P), 피드 롤러(11F), 게이트 롤러(11G)에 의해 1매씩 반송로(60A)로 조출되고, 또한 제1 분기 합류부(61)에 있어서의 게이트 기구(71) 및 반송로(60B)에 의해, 지폐 식별부(20) 내부의 반송로(21)로 반송된다. 계속되는 스텝 S126에서, 지폐 식별부(20)가 상술한 바와 같이 지폐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취득하고, 이들의 정보는, 도 2에 도시한 단말기 제어부(1C)나 상위 제어부(100) 등으로 송신되어서 처리된다. 계속되는 스텝 S128에서, 지폐 식별부(20)로부터의 각 센서 신호를 기초로 한 상위 제어부(100)의 처리 결과에 의해, 지폐가 정상 지폐인지 리젝트 지폐인지가 판정된다. 스텝 S128에서, 정상 지폐라고 판정되면 스텝 S130으로 진행하고, 지폐가 하부 지폐 수납 기구(1L)의 리사이클고(40)로 반송된다. 이 스텝 S130에서는, 지폐는 금종 판별 센서(23)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기초로 하여, 금종에 대응한 리사이클고(40A 내지 40D)로 분별하여 반송된다. 즉,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폐 식별부(20)로부터 이송되는 지폐는 반송로(60C)를 통해, 제2 분기 합류부(62)로 이송된다. 이때, 제2 분기 합류부(62)의 게이트 기구(72)는 연결 반송 기구(1Tu)측으로 전환되고 있으므로, 지폐는 반송로(60D), 연결 반송 기구(1Tu)의 반송로(60J)를 거쳐 하부 지폐 수납 기구(1L)로 반송된다. 그리고 게이트 기구(75)의 전환에 의해, 지폐는 리사이클고(40A 내지 40D) 중 어느 하나로 반송된다. 또한, 환류되지 않는 지폐로서, 예를 들어 2000엔짜리 지폐가 입금부(10)에 투입되고 있는 경우에는, 도 12의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지폐 식별부(20)에서 취득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판별된 금종 결과에 의해, 리사이클고(40E)로 반송된다.
한편, 스텝 S128에서, 지폐가 리젝트 지폐라고 판정되면, 스텝 S132로 진행되어, 지폐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 기구(72, 73, 74)가 전환되어, 반송로(60E, 60F, 60H)를 통해 출금부(30)로 반송된다.
계속되는 스텝 S134에서, 출금부(30)에 지폐가 있는지의 여부 판정이 되어, 지폐가 없다고 판정되면, 스텝 S136에서, 정상 지폐로서 리사이클고(40A 내지 40D)에 집적된 금액을 정보 표시부(1D)에 표시한다. 이 표시에 의해, 표시된 금액이 입금부(10)에 입금한 금액과 동일한지의 확인을 구한다. 스텝 S140에서, 입금된 금액이 정상이라고 확인되어, 정보 입력부(1I)로부터 그 취지의 입력이 있으면, 입금 처리가 종료된다.
한편, 스텝 S134에서, 출금부(30)에 지폐가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138에서, 그 취지의 정보 표시부(1D)에 경보 표시를 하고, 또는 경고음을 발생하여, 리젝트 지폐를 취출하는 것을 담당자에게 재촉한다. 이에 의해, 담당자는 리젝트 지폐의 유무를 알 수 있다. 리젝트 지폐가 있는 경우, 다시 지폐를 입금부(10)로 투입하는 등의 처리가 행해진다. 스텝 S140에서, 담당자에 의해, 금액이 맞지 않다는 등과 같은 이유로, 취소 처리가 선택되어, 그 취지가 정보 입력부(1I)로부터 입력되었을 때에는 스텝 S142에서, 취소 반환 처리가 실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입금 처리가 종료된다.
(b) 입금 취소 반환 처리
도 14는 취소 반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15는 지폐 입출금 장치(1)에 의한 취소 반환 처리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예를 들어, 창구 이용자로부터의 의뢰에 의해, 담당자가 입금 조작을 그만둘 경우에 정보 입력부(1I)로부터 취소 반환 조작을 행하면, 취소 반환 처리(도 11의 스텝 S142)가 실행된다. 우선, 도 14의 스텝 S152에서, 리사이클고[40(40A 내지 40E)]로부터 지폐가 1매씩 입금된 금액분만큼 조출된다. 도 15에 있어서, 조출된 지폐는 게이트 기구(75, 72, 71, 73, 74)의 전환에 의해, 반송로(60L, 60J, 60D, 60C)를 거쳐 지폐 식별부(20)로 반송된다. 또한, 지폐 식별부(20)로부터 지폐는 반송로(21, 60B, 60I, 60F, 60H)를 통해, 출금부(30)를 향해 반송된다.
계속되는 스텝 S154에서, 지폐가 지폐 식별부(20)를 통과하고 있을 때에, 통과 검지 센서(22), 금종 판별 센서(23), 지폐의 화상을 도입하는 카메라(24)에 의해, 지폐의 정보가 도입되어, 단말기 제어부(1C)나 상위 제어부(100) 등으로 송신된다. 계속되는 스텝 S158에서, 리사이클고(40A)로부터 조출된 지폐의 정보가, 입금 시의 지폐의 정보에 일치하고 있는지가 비교된다. 즉, 지폐에는 지폐의 고유 번호를 나타내는 기 번호가 부여되어 있지만, 지폐의 화상 정보로부터 기 번호를 추출하고, 조출된 지폐와 입금 시의 지폐와의 기 번호가 비교된다. 그리고 스텝 S160에서, 지폐의 정보가 일치하고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즉, 취소 반환 동작 시에 리사이클고[40(40A 내지 40D)]로부터 조출되는 지폐에, 지폐가 복수 매 조출되고 있거나, 지폐가 사행하거나 하여 지폐 식별부(20)에서 정상적으로 지폐의 정보가 판독되지 않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면, 모두 그 거래 시에 입금된 지폐로 되어 있을 것이다. 따라서, 스텝 S160에서, 이상 없음이라 긍정 판정된 경우에는, 다음 스텝 S166으로 진행되고, 한편, 이상 있음이라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164에서 이상 신호를 발생하고, 스텝 S166으로 진행된다.
계속되는 스텝 S166에서, 스텝 S152에서 지정한 입금된 지폐의 모든 매수를 반송 확인을 실행하고, 지폐의 매수만큼 모두 반송한 것을 확인할 때까지, 스텝 S152로 복귀된다. 그리고 스텝 S168에서, 이상 신호의 발생 유무가 판정된다. 스텝 S164에서 발생한 이상 신호가 없을 경우에는, 본 처리를 종료한다. 이 처리에 의해, 담당자는 지정된 금액의 지폐를 출금부(30)에서 수취할 수 있고, 즉 입금한 지폐를 복귀시킬 수 있다.
입금된 지폐와 취소 반환된 지폐가 일치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서, 그 거래 시에 입금된 지폐와 취소 반환 시에 출금부(30)로 반송된 지폐에 관한 정보를 정보 표시부(1D)에 표시해도 된다. 도 16의 (A)는 정보 표시부(1D)에 표시되는 지폐에 관한 정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표시되는 정보는, 처리된 순서에 의해 자동으로 할당되는 데이터 넘버(401), 해당하는 지폐의 처리 작업 ID(402), 해당하는 처리 작업 사이에 상위 제어부(100)에 내장된 도시되지 않은 클록 수단에 의해 계측된 시각 정보(403), 해당하는 지폐의 화상 정보(404), 해당하는 지폐의 처리 작업 사이에 외부 카메라(120)에 의해 촬영된 화상 정보(405)이다. 그리고 이들 5종류의 정보가 하나의 세트로 되어 있다. 이들 정보는, 도시되지 않은 통신선을 거쳐 상위 제어부(100) 내에 설치된 도시되지 않은 정보 수납부에 자동으로 보존되고 있어, 예를 들어 정보 입력부(1I)로부터의 담당자의 입력에 의해 정보 표시 장치(1D)에 표시하는 명령 신호를 접수한 경우에 담당자로부터 지정된 해당하는 처리 작업에 관한 정보를 정보 표시부(1D)에 표시된다. 여기서, 데이터 넘버(401)은 처리되는 일자 등에 의해 시스템으로부터 자동으로 부여되는 넘버이며, 지폐의 처리 작업 ID(402)는, 각 처리 작업에 있어서 지폐 식별부(20)를 통과한 지폐의 순으로 자동으로 부여되는 ID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입금된 지폐의 순서와 취소 반환되는 지폐의 순서는 반대가 되므로, 도 16의 (A)의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응하는 지폐의 시각 정보는 반대의 정보가 된다. 담당자는, 정보 표시부(1D)에 나타내는 지폐의 화상 정보로부터 판독할 수 있는 지폐의 금종이나 기 번호, 나아가 지폐가 처리된 시각 정보나 외부 카메라의 화상 정보 등의 정보로부터 입금된 지폐와 취소 반환된 지폐가 동일한 것이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고객으로부터의 요구가 있을 경우에는 이들의 정보를 개시할 수 있어, 고객의 납득을 얻을 수도 있다.
한편, 스텝 S168에서 이상 신호가 있었다고 판정된 경우, 예를 들어 입금한 지폐와 리사이클고(40)로부터 출금한 지폐의 기 번호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정보 표시부(1D)에 표시되는 정보는 도 16의 (B)에 나타나게 된다. 도 16의 (B)에서는, 반환되는 지폐의 최초의 것이 겹쳐서 조출된 경우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는, 입금된 지폐가, 마지막으로 지폐 식별부(20)로 반송된 지폐가 취소 반환 시에 최초로 지폐 식별부(20)로 반송되는 지폐가 된다. 그러나 2매 동시에 조출되었으므로, 취소 반환 시에 지폐 식별부(20)로 반송되는 지폐의 정보는, 입금 시에 반송된 대응해야 할 지폐의 정보와는 어긋난 정보가 표시된다. 그리고 취소 반환된 마지막 지폐는, 다른 입금 처리 시에 입금된 지폐가 반환 지폐로서 표시되고 있다. 한편, 취소 반환의 표시 정보에는 스텝 S160에 있어서의 비교 처리에 있어서 검출된 「복수 매 반송」이나 「기 번호 불일치」등의 검출 결과가, 데이터 넘버(401), 해당하는 지폐의 처리 작업 ID(402), 해당하는 처리 작업 사이에 클록 수단에 의해 계측된 시각 정보(403), 해당하는 지폐의 화상 정보(404), 해당하는 지폐의 처리 작업 사이에 외부 카메라(120)에 의해 촬영된 화상 정보(405)와 함께, 스텝 S164에서 발생되는 이상 신호와 하나가 되어 이상 정보(406)로서 표시되고 있다. 담당자는 이들의 정보로부터, 어떤 지폐가 그 입금 시에 있어서 입금된 지폐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의 확인 결과를 이용하여 출금부(30)로 반환된 지폐를 대조시켜, 해당하는 지폐만을 취소 반환해야 할 지폐로서 추출한다. 이 경우에도 고객으로부터의 요청에 의해 이들의 정보를 개시하는 경우가 있어도 된다. 또한, 이때에 취소 반환으로 해야 할 것이 아닌 지폐는 담당자에 의해 입금부(10)로 투입되고, 다시 장치 내에 수납된다. 이때에는 담당자는 그 지폐가 입금된 것이 아닌, 다른 거래 처리 시의 지폐의 처리인 것을 장치에 알리는 코드를 정보 입력부(1I)로부터 입력 후, 처리를 행한다. 이상 정보로서는, 상술한 「복수 매 반송」 외에, 예를 들어 지폐가 사행하거나 하여 지폐 식별부(20)에서 정상적으로 지폐의 정보가 판독되지 않은 경우에 「지폐 금종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없음」등의 이상 내용에 의해 그 후, 담당자가 입금 지폐와 취소 반환해야 할 지폐를 합치시킬 수 있는 유익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담당자는, 이러한 이상 표시를 보는 것에 의해, 출금부(30)로 복귀된 지폐가 입금 지폐와 불일치한 것을 인식할 수 있고, 나아가 정보 표시부(1D)에 표시되는 입금 시에 채취된 지폐 화상 정보와 취소 반환 시에 장해 발생 전까지 카메라(24)를 통과한 지폐의 화상 정보를 참고하면서, 담당자는 반송 기구(60)나 리사이클고(40)에 잔류되어 있는 지폐를 포함하여 대조시킴으로써 입금된 지폐가 현물인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상의 원인이 취소 반환 시에 반송 잼 등의 장해가 발생하여 장치를 기동할 수 없는 상태 등을 알 수 있다. 이때, 외부 카메라로 촬영된 화상도 표시되므로, 이들의 시간이나 장치 부근의 상태, 그 장치를 취급하고 있는 담당자나 고객의 상태 등의 다른 정보와 맞추어 표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표시되는 정보의 신빙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이상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데이터로서는, 상술한 각 데이터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어, 예를 들어 지폐의 기 번호의 표시 및 일치·불일치의 정보, 지폐 전체의 화상 정보 등을 적절히 선택하고, 또한 지폐나 거래 상태에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적절히 첨가해도 된다.
(3)-3 출금 처리
다음에 출금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출금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18 및 도 19는 지폐 입출금 장치(1)의 출금 처리에 있어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7의 스텝 S202에서, 담당자가 정보 입력부(1I)로부터 출금 조작의 선택을 행하고, 또한 출금 금액을 정보 입력부(1I)로부터 입력하면, 스텝 S204에서, 입력 금액에 대응하여, 지폐가 리사이클고[40(40A 내지 40D)]로부터 지정된 매수만큼 차례로 조출되어, 지폐 식별부(20)로 반송된다. 즉,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사이클고[40(40A 내지 40D)]로부터 조출된 지폐는 반송로(60L, 60J, 60D, 60C)를 거쳐 지폐 식별부(20)로 반송된다. 이때, 게이트 기구(72)는 지폐를 반송로(60C)로 반송하는 방향으로 전환하고 있다. 계속되는 스텝 S206에서는, 입금 처리와 마찬가지로, 지폐 식별부(20)에 의해 입금 처리와 마찬가지로 지폐가 식별되어, 단말기 제어부(1C) 및 상위 제어부(100)로 신호가 이송된다.
계속되는 스텝 S208에서, 지폐가 정상적으로 반송되고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스텝 S210으로 진행되어, 지폐는 출금부(30)로 반송된다. 즉,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폐가 반송로(21)로부터 반송로(60B, 60I, 60F, 60H)를 통해 출금부(30)로 반송된다. 이때, 게이트 기구(71, 73, 74)는, 각각 전환되고 있다.
한편, 스텝 S208에서, 지폐가 정상이 아니라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스텝 S212로 진행되어, 지폐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부 지폐 수납 기구(1F)의 장전 회수고(50)로 반송된다. 이때, 게이트 기구(74)는 장전 회수고(50)로 반송이라 판단된 지폐가 반송되어 온 타이밍에서 상기 지폐를 반송로(60G)로 반송하도록 전환된다. 계속되는 스텝 S214에서, 출금 금액이 스텝 S202에서 입력된 금액만큼 반송되고 있지 않을 때, 즉 출금되는 지폐에 장전 회수고(50)로 반송되는 지폐가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204로 복귀되여, 상기 지폐와 동일한 금종의 지폐를 같은 매수만큼 추가하여 조출한다. 그리고 스텝 S214에서 출금 금액이 출금부(30)로 모두 반송되었을 때에는 스텝 S216로 진행하여, 출금부(30)의 도어를 개방하고, 또한 스텝 S218에서 모든 지폐가 취출되었을 때에, 출금 처리를 종료하고, 한편 지폐가 취출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스텝 S220에서 취출 잊음 처리를 한다. 취출 잊음 처리는, 정보 표시부(1D)에 표시하거나, 경고음을 내는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3)-4 지폐의 회수 처리
도 20은 지폐 입출금 장치(1)에 의한 지폐의 회수 처리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회수 처리는, 기본적으로는 지폐의 장전 동작의 반대이다. 즉, 지폐의 회수 프로그램에 의해, 해당하는 리사이클고(40)로부터 지폐가 1매씩 조출되어, 하부 지폐 수납 기구의 반송로(60L), 연결 반송 기구(1Tu)의 반송로(60J), 또한 상부 지폐 처리 기구(1U)의 반송로(60D, 60C)를 지나 지폐 식별부(20)로 반송되고, 또한 반송로(21, 60B, 60I, 60F, 60G)를 지나 전방부 지폐 수납 기구(1F)로 반송되어, 장전 회수고(50)로 회수된다. 이때, 회수 동작의 경우에는 환류하지 않는 지폐를 수납한 리사이클고(40E)로부터도 조출되어 지폐가 회수된다. 또한, 지폐 식별부(20)에 의해, 지폐가 리젝트 지폐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출금부(30)로 반송한다. 담당자는, 이렇게 회수 처리 시에 출금부(30)로 반송된 지폐를, 일단, 수작업으로 다른 보관고 등으로 옮기고, 이 지폐의 금액이나 금종 등의 정보를 입력하면, 담당자가 책임을 지는 최종의 금액 정보는, 지폐 입출금 장치(1)로 관리할 수 있다.
(4) 실시예의 작용·효과
상기 실시예의 구성에 의해, 상술한 효과 외에, 이하의 효과를 발휘한다.
(4)-1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폐 입출금 장치(1)는 지폐를 다량으로 장전한 하부 지폐 수납 기구(1L)의 상부에, 담당자가 조작하기 위한 상부 지폐 처리 기구(1U)를 적재하고, 하부 지폐 수납 기구(1L)의 전방이며 담당자측에 전방부 지폐 수납 기구(1F)를 배치하고 있으므로, 담당자에 의한 상부 지폐 처리 기구(1U)에 의한 입출금 등의 현금을 직접 취급하는 작업이 용이한 동시에, 하부 지폐 수납 기구(1L)가 전방부 지폐 수납 기구(1F)로 블록되어서 담당자가 석세스하기가 쉽지 않아, 시큐리티를 높일 수 있다.
(4)-2 금고 하우징(1S)은, 대량의 지폐를 장전한 하부 지폐 수납 기구(1L)를 수납하여 시큐리티를 높이고 있다. 한편, 소량의 지폐나 일시적인 지폐의 장전을 위해서밖에 사용하지 않는 전방부 지폐 수납 기구(1F)는 금고 하우징(1S)에 내장되어 있지 않으므로, 전방부 지폐 수납 기구(1F)에의 액세스가 용이하여, 조작성이 우수하다. 즉, 시큐리티와 조작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
(4)-3 상부 지폐 처리 기구(1U)는, 입금부(10) 및 출금부(30)가 담당자에 대면한 위치에 배치되어, 지폐 식별부(20)가 입금부(10) 및 지폐 식별부(20)의 안쪽, 즉 담당자와 떨어져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담당자의 조작성과 구성의 콤팩트화를 양립시키고 있다.
(4)-4 상부 지폐 처리 기구(1U), 하부 지폐 수납 기구(1L) 및 전방부 지폐 수납 기구(1F)와의 사이에서 지폐를 반송하는 반송 기구는, 상부 지폐 처리 기구(1U)의 하면 중앙부에서 하부 지폐 수납 기구(1L)에 접속되고, 상부 지폐 처리 기구(1U)의 전방부에서 전방부 지폐 수납 기구(1F)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지폐의 반송로가 짧아져,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4)-5 종래의 지폐 입출금 장치(1)에서는, 입금 처리 시에 취소 반환이 발생한 경우에, 지폐의 현물 반환을 위해서, 일시 보관고를 설치하고 있지만, 본 실시예에 관한 지폐 입출금 장치(1)는 담당자가 직접 취급하여, 고객으로부터 현금을 수취했을 때에, 거래가 성립되고 있는 것에 착안하여, 입금 처리 시에, 입금된 지폐를 일시적으로 보관하기 위한 일시 보관고를 폐지함으로써, 상부 지폐 처리 기구(1U) 등의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어,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4)-6 입금 처리에 있어서의 일시적 보관고를 설치하지 않아도, 리사이클고(40)로부터 지폐의 반환을 행하기 때문에, 입금 처리 시의 반환 처리에 지장이 없다.
(4)-7 입금 처리 시에, 리사이클고(40)로부터 지폐의 반환을 행할 경우에,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환 지폐가 입금 지폐에 일치하고 있는지의 판정을 행하여, 일치하고 있을 경우에는 그대로 현물 지폐의 반환을 행하고, 일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불일치하다는 취지의 경고 등을 행하기 때문에, 거래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5) 다른 실시예
(5)-1 도 2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취소 반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취소 반환 처리는, 전방부 지폐 수납 기구(1F) 내의 장전 회수고(50)를 사용하여, 리사이클고(40)로부터 출금부(30)로 반송하는 도중에 이상이 있을 경우에 장전 회수고(50)에 일시적으로 보관하여, 다시 지폐의 식별을 하고나서 리사이클고(40)로 복귀시키는 구성에 특징을 갖는다. 즉, 취소 반환 조작의 입력 후에, 리사이클고(40)로부터 지폐가 1매씩 지폐 식별부(20)로 조출되어(스텝 S242), 반송 이상이 없을 때(스텝 S244), 지폐 식별부(20)에 의해 지폐의 정보가 도입되고(스텝 S246), 다시 지폐의 기 번호 등이 비교된다(스텝 S248). 계속되는 스텝 S250의 판정에 의해, 입금 처리의 경우와 취소 반환의 경우의 대응해야 할 지폐에 있어서, 예를 들어 지폐의 기 번호 등과 같은 지폐의 정보가 일치하고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일치하고 있으면, 출금부(30)로 반송되어서 이상 신호 없음을 발생하고, 한편,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장전 회수고(50)로 반송되어, 이상 신호를 발생한다. 입금 지폐가 모두 반송되었을 경우에는(스텝 S260), 장전 회수고(50)에 지폐가 있는지에 대하여 판정되고(스텝 S262), 긍정 판정인 경우에는 도 1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지폐의 정보가 표시되어(스텝 S264), 취소 이상 처리가 실행된다(스텝 S266).
도 22는 취소 반환 시에 이상 처리된 지폐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스텝 S270에서, 장전 회수고(50)에 일시 보관되어 있는 지폐는 지폐 식별부(20)를 거쳐 리사이클고(40)로 복귀된다. 이때, 반송 이상이 없을 경우에는(스텝 S272), 지폐 식별부(20)에 의해 지폐의 정보를 취득하고(스텝 S274), 또한 반환 지폐가 입금 지폐와 비교된다(스텝 S276). 그리고 스텝 S278에서, 장전 회수고(50)에 보관되어 있던 지폐가, 입금 지폐에 일치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판정하고(스텝 S278), 일치하고 있을 경우에는 입금 시 일치 신호를 발생시킨다(스텝 S280). 일치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다시 취소 반환한 지폐에 일치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판정한다(스텝 S282). S282의 판정으로 일치하고 있을 때에는, 취소 반환 시 일치 신호를 발생시킨다(스텝 S284). 그리고 모든 지폐의 반송을 종료한 후에(스텝 S288), 적어도 1매는 입금 시 일치 신호가 있을 경우, 즉 리사이클고(40)로부터 장전 회수고(50)로 복귀시키는 지폐가, 적어도 1매 입금 시에 있어서의 지폐와 일치할 경우에는(스텝 S290), 다시 취소 반환의 동작을 행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킨다(스텝 S292). 이에 의해, 장전 회수고(50)로부터 리사이클고(40)로 복귀된 지폐가 적어도 1매 입금 지폐와 일치하는 지폐가 검출되었을 때에는 지폐의 입금 시의 반환 처리를 다시, 행할 수 있어, 입금 지폐의 취소 반환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동작 시에도 앞선 도 16의 (A), 도 16의 (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정보 표시부(1D)에 지폐 식별부를 통과한 지폐의 화상 정보 등을 표시시키도록 해도 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담당자가 입금 시에 투입된 지폐의 현물을 식별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5)-2 도 9에서 설명한 장전 처리는, 취급하는 지폐의 매수가 적은 경우에는, 입금 처리와 마찬가지로, 즉 입금부(10)에 지폐를 투입하여, 정보 입력부(1I)로부터 장전 명령을 입력함으로써, 리사이클고(40)로 반송하는 방법을 취해도 된다. 또한, 회수 처리는 지폐가 소액인 경우에는 출금 처리와 마찬가지로, 즉 정보 입력부(1I)로부터 회수 명령을 입력함으로써, 리사이클고(40)로부터 출금부(30)로 지폐를 반송하는 처리라도 된다.
B. 제2 실시예
(1) 지폐 입출금 장치(1B)의 구성
본 실시예는, 전방부 지폐 수납 기구(1F)의 장전 회수고(50)에 2개의 기능, 즉 지폐의 장전 처리 외에, 입금 처리 시에 있어서의 지폐를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일시 보관고로서 이용하는 구성에 특징을 갖는다. 도 23은 지폐 입출금 장치(1B)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지폐 입출금 장치(1B)는, 제1 실시예와 거의 마찬가지인 구성이지만, 게이트 기구(74B)가, 장전 회수고(50)로부터 출금부(30)로도 지폐를 직접 반송 가능하게, 3 방향 전환 기구를 사용하고 있는 구성이 다르다.
도 24는 게이트 기구(74B)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4에 있어서, 게이트 기구(74B)는 반송로(60G)로부터 반송로(60H)로의 일방향 반송 모드(도 24)와, 반송로(60F)와 반송로(60G) 사이의 쌍방향 반송 모드[도 25의 (A)]와, 반송로(60F)로부터 반송로(60H)로의 일방향 반송 모드[도 25의 (B)]를 전환하는 구성이다. 즉, 게이트 기구(74B)는, く자형의 게이트 수단(81)과, 이 게이트 수단(81)이 고정 부착되어 있는 제1 회전축 수단(82)과, 이 제1 회전축 수단(82)에 고정 부착된 브래킷(83)과, 이 브래킷(83)의 일부에 부착된 제1 핀(84)과, 이 제1 핀(84)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움직이는 제1 링크 수단(85)과, 이 제1 링크 수단(85)에 연결 부착된 상기 게이트 수단(81)을 구동하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 구동 수단(86)과, 상기 브래킷(83)의 일부에 그 일단부가 부착된 스프링 수단(87)과, 상기 브래킷(83)의 일부에 접촉하도록 부착한 정지 부재(88)와, 이 정지 부재가 회전하기 위한 제2 회전축 수단(89)과, 이 제2 회전축 수단(89)의 일부에 부착한 제2 핀(90)과, 이 제2 핀(9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움직이는 제2 링크 수단(91)과, 이 제2 링크 수단(91)에 연결 부착되어 정지 부재(88)를 구동하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2 구동 수단(92)과, 상기 정지 부재(88)의 일부에 그 일단부가 부착된 스프링 수단(93)과, く자형의 게이트 수단(81)과 축방향으로 상자 형상으로 배치된 고정 게이트 수단(94)을 구비하고 있다.
이 게이트 기구(74B)의 구성에 의해, 3개의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즉, 도 24에 있어서, 게이트 기구(74B)는 제1 및 제2 구동 수단(86, 92)을 비여자로 한 경우에는, 스프링 수단(87, 93)의 가압력에 의해, 반송로(60G)로부터 반송로(60H)로 지폐가 반송되는 위치가 된다. 또한, 도 25의 (A)에 있어서, 게이트 기구(74B)는 제1 구동 수단(86)을 여자하고, 제2 구동 수단(92)을 비여자로 하면, 제1 링크 수단(85)을 거쳐 게이트 수단(81)이 도 24의 상태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반송로(60F)와 반송로(60G) 사이 쌍방향으로 지폐가 반송되는 위치가 된다. 또한, 도 25의 (B)에 있어서, 게이트 기구(74B)는 제2 구동 수단(92)을 여자하고, 제1 구동 수단(86)을 비여자로 하면, 정지 부재(88)가 게이트 수단(81)에 있어서, 게이트 수단(81)이 도 24의 상태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반송로(60F)로부터 반송로(60H)를 따라 지폐가 반송되는 위치가 된다.
(2) 입금 처리
지폐 입출금 장치(1B)에 의한 입금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처리는, 입금 처리 시에, 장전 회수고(50)를 일시 보관고로서 이용하는 설정이 행해진다. 도 26은 일시 보관고의 설정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6에 있어서, 스텝 S302에서, 담당자가 정보 입력부(1I)에 의해, 전방부 지폐 수납 기구(1F)의 장전 회수고(50)를 일시적인 지폐의 보관고로 하기 위한 설정 화면이 표시된다. 계속되는 스텝 S304에서, 담당자가 정보 입력부(1I)로부터 입금 조작의 선택을 행하면, 스텝 S306에서, 입력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일시 보관고로 하는지 여부의 판정이 실행되어, 긍정 판정인 경우에는 스텝 S308에서, 장전 회수고(50)를 일시적인 지폐 보관고로서 운용하는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한편 부정 판정인 경우에는 스텝 S310에서, 제1 실시예와 같은 통상 처리를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도 27 및 도 28은 입금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입금 처리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1의 입금 처리에 대하여 입금부(10)에 투입된 지폐의 반송처가, 리사이클고(40) 대신에 장전 회수고(50)로 이송하기 위해서, 스텝 S330의 처리가 주로 다르다. 즉, 입금 명령(스텝 S322), 입금부(10)로부터 지폐 식별부(20)로의 지폐의 반송(스텝 S324), 지폐 식별부(20)에 의한 지폐의 정보 취득(스텝 S328)을 거친 후에, 지폐가 정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해(스텝 S328), 지폐가 정상일 경우에는 스텝 S330으로 진행한다. 스텝 S330에서는,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 기구(72)가 반송로(60C)로부터 반송로(60E)로, 또한 게이트 기구(74B)가 전방부 지폐 수납 기구(1F)로 지폐를 반송하도록 전환된다. 이에 의해, 지폐는 반송로(60E, 60F, 60G)를 거쳐 전방부 지폐 수납 기구(1F)로 반송되어, 장전 회수고(50)에 수납된다. 한편, 스텝 S328에서, 지폐가 리젝트 지폐라고 판정되면, 스텝 S332로 진행되어,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출금부(30)로 반송된다.
계속되는 스텝 S334에서, 출금부(30)에 지폐가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되어, 지폐가 있을 경우에는 스텝 S336에서 리젝트 처리, 즉 담당자에게 경고를 보내어 다시 입금부(10)로의 지폐 투입을 재촉한다. 또한, 스텝 S334에서, 출금부(30)에 지폐가 없을 경우에는, 스텝 S338에서 입금액의 표시를 확인하기 위한 표시가 된다. 스텝 S340에서, 담당자의 입력에 의해, 지폐의 확인이 되었을 경우에는, 스텝 S342에서 지폐의 장전 처리가 실행된다. 지폐의 장전 처리는, 도 9에서 설명한 장전 회수고(50)로부터 리사이클고(40)로 지폐를 반송하는 처리이다.
한편, 스텝 S340에서, 부정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350에서, 장전 회수고(50)로부터 출금부(30)로 지폐를 복귀시키는 취소 반환 처리가 실행된다. 도 28은 지폐의 취소 반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스텝 S352에서,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 기구(74B)가 반송로(60G)로부터 반송로(60H)로 지폐를 출금부(30)로 반환 가능하게 전환된다. 계속되는 스텝 S354에서, 일시 보관고로서 대신하고 있는 장전 회수고(50)에 수납되어 있는 지폐를, 반송로(60M, 60K, 60G, 60H)를 거쳐 지폐를 출금부(30)로 반송한다. 스텝 356에서, 장전 회수고(50)로 지폐가 모두 조출되었다고 판정되었을 때에, 스텝 S358로 진행한다. 그리고 스텝 S358에서 취소 동작이 정상적으로 행해지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360에서 경보 등의 이상 처리를 실행한다. 이에 의해, 장전 회수고(50)에 일시적으로 보관된 지폐는 출금부(30)로 복귀된다. 이렇게 출금부(30)로 복귀된 지폐는 담당자에 의해 취출되어서, 고객에게 반환하거나, 다시 입금 처리를 실행하게 된다.
(3) 실시예의 작용·효과
상기 실시예의 구성에 의해, 제1 실시예의 작용·효과 외에, 이하의 효과를 발휘한다.
(3)-1 본 실시예에서는, 지폐 입출금 장치(1B)에 의하면, 전방부 지폐 수납 기구(1F)의 장전 회수고(50)로서, 본래적인 사용 외에, 반송 기구(60)의 전환 제어에 의해, 입금 처리 시의 일시 보관고로서도 이용하고 있으므로, 종래의 일시 보관고가 상부 지폐 처리 기구(1U)에 있는 경우의 입금 처리의 방식을 유지하면서도 구성을 간단하게 하여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3)-2 입금 처리 시에, 일시 보관고로서 사용된 장전 회수고(50)의 지폐는 리사이클고(40)에 수납되지 않고, 게이트 기구(74)를 거쳐 직접 출금부(30)로 이송되므로, 거래 취소 시에, 입금과 동일한 지폐를 복귀시킬 수 있다.
C.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형태에 있어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변형도 가능하다.
(1) 도 30 내지 도 3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방부 지폐 처리 기구의 변형예를 각각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30에 있어서, 전방부 지폐 수납 기구(1F-A)는, 장전 회수고(150)와, 장전 회수고(150)로 지폐를 쌍방향으로 반송하기 위한 집적 분리 기구(150F)와, 장전 회수고(150)의 상방에 리젝트고(152)를 구비하고 있다. 리젝트고(152)의 전방면측, 즉 조작측에는 개폐 도어(154)가 배치되어 있다. 개폐 도어(154)는 로크 기구의 로크를 해제함으로써 리젝트고(152)에 액세스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담당자는 입금 처리 시에, 출금부로 리젝트 지폐가 반송되었을 때에, 수작업으로 리젝트 지폐를 취출하고, 로크 기구의 로크를 해제하여 개폐 도어(154)를 열어, 리젝트 지폐를 리젝트고(152)에 직접 수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수작업으로 확인한 지폐의 금액이나 금종 등의 정보를 정보 입력부로부터 입력하고 상위 제어부로 송신하면, 담당자가 책임을 지는 금액 정보는 지폐 입출금 장치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도 31의 전방부 지폐 수납 기구(1F-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 기구(150F-B)의 구성으로서, 장전 회수고(150-B)로 지폐를 반입하는 일방향의 반송로만으로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지폐의 조출에 필요한 기구가 불필요해지므로, 전방부 지폐 수납 기구의 간소화, 소형화, 경량화, 저비용화가 가능하다.
(2) 도 32에 있어서, 전방부 지폐 수납 기구(1F-C)는, 장전 회수고(150-C)와, 장전 회수고(150-C)와 분리 가능한 집적 분리 기구(150F-C)를 구비하고 있다. 집적 분리 기구(150F-C)는 장전 회수고(150-C)와 분리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장전 회수고(150-C)만을 전방부 지폐 수납 기구(1F)로부터 취출 가능하다. 또한, 전방부 지폐 수납 기구(1F-C)의 전방면에는, 개폐 도어(154-C)가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담당자가 장전이나 회수하는 지폐는 개폐 도어(154-C)를 여는 것에 의해, 장전 회수고(150-C) 전체를 대출이나 반입을 할 수 있게 된다. 이 장전 회수고(150-C)는 집적 분리 기구(150F-C)가 일체로 되어 있지 않으므로, 소형화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고, 게다가 운반이 용이해진다.
(3) 도 33에 있어서, 전방부 지폐 수납 기구(1F-D)는, 장전 회수고(150-D)와, 장전 회수고(150-D)의 상방에 배치된 리젝트고(154-D)와, 장전 회수고(150-D) 및 리젝트고(154-D)로 각각 지폐를 반송하는 반송로(60M)와, 외부로부터 수작업으로 취급 가능한 리젝트고(152-D)와, 반송로(60M)를 구비하고 있다. 반송로(60M)에는, 장전 회수고(150-D)와 리젝트고(154-D)에 지폐의 반송처를 전환하는 게이트 기구(70F)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장전 회수고(150-D)에는, 지폐를 조출하기 위한 지폐 조출 기구(150-Da)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장전 회수고(150-D)는 반송로(60M)에 대하여 지폐를 쌍방향으로 반송 가능하고, 한편 리젝트고(154-D)는 지폐를 수납하는 방향으로만 반송 가능하다.
전방부 지폐 수납 기구(1F-D)의 구성에 의해, 출금 처리 시에 반송된 지폐가 복수 매 쌓여 있는 경우나, 오염 등으로 정상 지폐라 인식되지 않은 지폐를 리젝트고(154-D)로 반송할 수 있어, 장전 회수고(150-D)를 일시 보관고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한 번 리젝트된 지폐를 리사이클고로 다시 반송하여 수납하는 일 없이, 리젝트고(154-D)에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리젝트고(152-D)는, 전술한 것과 동일하게, 입금 처리 시에 출금부로 리젝트 지폐가 반송되었을 때에, 담당자가 수작업으로 리젝트 지폐를 취출하고, 로크 기구의 로크를 해제하여 개폐 도어(154)를 열어, 리젝트 지폐를 리젝트고(152)에 직접 수납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수작업으로 확인한 지폐의 금액이나 금종 등의 정보를 정보 입력부로부터 입력하고 상위 제어부로 송신하면, 담당자가 책임을 지는 금액 정보는 지폐 입출금 장치로 관리할 수 있다.
1 : 지폐 입출금 장치
1B : 지폐 입출금 장치
1C : 단말기 제어부
1D : 정보 표시부
1F : 전방부 지폐 수납 기구
1F-A : 전방부 지폐 수납 기구
1F-B : 전방부 지폐 수납 기구
1F-C : 전방부 지폐 수납 기구
1F-D : 전방부 지폐 수납 기구
1Fa : 수납 하우징
1Fb : 개폐부
1Fc : 로크 기구
1I : 정보 입력부
1L : 하부 지폐 수납 기구
1LT : 하부 반송 기구 유닛
1S : 금고 하우징
1Sa : 수납 하우징
1Sb : 개폐부
1Sc : 로크 기구
1Tu, 1Tf : 연결 반송 기구
1U : 상부 지폐 처리 기구
10 : 입금부
11 : 지폐 조출 기구
11F : 피드 롤러
11G : 게이트 롤러
11L : 가압 기구
11P : 픽업 롤러
20 : 지폐 식별부
21 : 반송로
22 : 통과 검지 센서
23 : 금종 판별 센서
24 : 카메라
25U, 25L, 26U, 26F : 지폐 통과 검지 센서
30 : 출금부
40, 40A 내지 40E : 리사이클고
40a : 승강판
40b : 피드 롤러
40c : 게이트 롤러
40d : 가이드판
50 : 장전 회수고
50F : 집적 분리 기구
50a : 승강판
50b : 피드 롤러
50c : 게이트 롤러
50d : 가이드판
60 : 반송 기구
60A 내지 60M : 반송로
61 내지 64 : 제1 내지 제4 분기 합류부
71 내지 75 : 게이트 기구
81 : 게이트 수단
82 : 제1 회전축 수단
83 : 브래킷
84 : 제1 핀
85 : 제1 링크 수단
86, 92 : 제1 및 제2 구동 수단
87, 93 : 스프링 수단
88 : 정지 부재
89 : 제2 회전축 수단
90 : 제2 핀
91 : 제2 링크 수단
94 : 고정 게이트 수단
100 : 상위 제어부
110 : 통신망
111, 112 : 통신망
120 : 외부 카메라
150 : 장전 회수고
150-B : 장전 회수고
150-C : 장전 회수고
150-D : 장전 회수고
150-Da : 지폐 조출 기구
150F : 집적 분리 기구
150F-B : 반송 기구
150F-C : 집적 분리 기구
152 : 리젝트고
152-D : 리젝트고
154 : 개폐 도어
154-C : 개폐 도어
154-D : 리젝트고

Claims (23)

  1. 지폐의 입출금 처리를 행하는 지폐 입출금 장치이며,
    입금하는 지폐를 투입하는 입금부와, 지폐가 정상인 정상 지폐인지 정상 지폐가 아닌 리젝트되는 리젝트 지폐인지를 식별하는 지폐 식별부와, 출금하는 지폐를 집적하는 출금부를 갖는 지폐 처리 기구와,
    입금한 지폐 및 출금하는 지폐를 수납하는 제1 지폐 수납고를 갖는 제1 지폐 수납 기구와,
    지폐를 수납하는 제2 지폐 수납고를 갖는 제2 지폐 수납 기구와,
    상기 지폐 처리 기구, 상기 제1 및 제2 지폐 수납 기구의 각각 내부를 접속하는 동시에, 상기 지폐 처리 기구와 제1 및 제2 지폐 수납 기구 사이에서 지폐를 반송하는 반송로를 갖는 반송 기구와,
    상기 지폐 처리 기구, 상기 제1 및 제2 지폐 수납 기구를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지폐 식별부에 의해 식별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반송 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폐 처리 기구, 상기 제1 지폐 수납 기구 및 제2 지폐 수납 기구는, 분리 가능하게 유닛화되어 있고,
    상기 반송 기구는 상기 제어부에 의한 제어에 의해, 적어도 상기 지폐 처리 기구로부터 상기 제1 지폐 수납고로 지폐를 반송하고, 상기 제1 지폐 수납고로부터 조출된 지폐를 상기 제2 지폐 수납고로 반송하고, 상기 제2 지폐 수납고로부터 조출된 지폐를 상기 제1 지폐 수납고로 반송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입출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처리 기구는 상기 입금부에 지폐를 투입하고, 또한 상기 출금부로부터 지폐를 취출하는 측을 조작측으로 했을 때에, 상기 지폐 식별부를 상기 조작측과 반대측에 배치하고,
    상기 제1 지폐 수납 기구는 상기 지폐 처리 기구의 하방에 배치하고,
    상기 제2 지폐 수납 기구는 상기 지폐 처리 기구의 하방이며 상기 제1 지폐 수납 기구에 대하여 상기 조작측에 배치한, 지폐 입출금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처리 기구와 제1 지폐 수납 기구 사이의 반송로의 연결부는, 상기 지폐 처리 기구의 하면에 배치하고,
    상기 지폐 처리 기구와 제2 지폐 수납 기구 사이의 반송로의 연결부는, 상기 제1 지폐 반송 기구의 하면이며 상기 조작측에 배치한, 지폐 입출금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금부에 투입된 지폐를 상기 지폐 식별부를 거쳐 상기 제1 지폐 수납고로 반송하는 입금 처리와,
    입금된 지폐를 상기 제1 지폐 수납고로부터 상기 지폐 처리 기구로 복귀시키는 출금 처리와,
    상기 제1 지폐 수납고와 제2 지폐 수납고 사이에서 지폐를 반송하는 장전 회수 처리를 전환하여 실행하는, 지폐 입출금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금부에 투입된 지폐를 상기 지폐 식별부를 거쳐 상기 제2 지폐 수납고로 반송하여 제2 지폐 수납고에서 일시 보관하고, 입금 확인의 명령이 있었을 때에 상기 제2 지폐 수납고에 일시 보관되어 있는 지폐를, 상기 제1 지폐 수납고로 반송하는 입금 처리와,
    상기 제1 지폐 수납고와 제2 지폐 수납고 사이에서 지폐를 반송하는 장전 회수 처리를 전환하여 실행하는, 지폐 입출금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금 처리에 의해, 입금의 취소 명령이 있었을 때에 상기 제2 지폐 수납고에 일시 보관되어 있는 지폐를 상기 출금부로 반송하는, 지폐 입출금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폐 수납 기구는 상기 제1 지폐 수납고를 복수 갖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금부 또는 상기 제2 지폐 수납고로부터 조출되는 지폐를 상기 지폐 식별부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의해 정상 지폐인지 리젝트 지폐인지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지폐 수납고로 각각 나누어서 반송하는, 지폐 입출금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폐 수납 기구는 상기 제2 지폐 수납고를 복수 갖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금부 또는 상기 제1 지폐 수납고로부터 조출되는 지폐를 상기 지폐 식별부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의해 정상 지폐인지 리젝트 지폐인지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복수의 제2 지폐 수납고로 각각 나누어서 반송하는, 지폐 입출금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지폐 수납고로부터 조출되는 지폐를, 상기 지폐 식별부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의해 정상 지폐인지 리젝트 지폐인지를 식별하여, 상기 식별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출금부 또는 상기 제2 지폐 수납고로 각각 나누어서 반송하는, 지폐 입출금 장치.
  10. 지폐의 입출금 처리를 행하는 지폐 입출금 장치이며,
    입금되는 지폐가 투입되는 입금부와, 지폐가 정상인 정상 지폐인지 정상 지폐가 아닌 리젝트되는 리젝트 지폐인지를 식별하는 지폐 식별부와, 출금하는 지폐를 집적하는 출금부를 갖는 지폐 처리 기구와,
    입금된 지폐 및 출금하는 지폐를 수납하는 제1 지폐 수납고를 갖는 제1 지폐 수납 기구와,
    지폐를 수납하는 제2 지폐 수납고를 갖는 제2 지폐 수납 기구와,
    상기 지폐 처리 기구, 상기 제1 및 제2 지폐 수납 기구의 각각 내부를 접속하는 동시에, 상기 지폐 처리 기구와 제1 및 제2 지폐 수납 기구 사이에서 지폐를 반송하는 반송로를 갖는 반송 기구와,
    상기 지폐 처리 기구, 상기 제1 및 제2 지폐 수납 기구를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지폐 식별부에 의해 식별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반송 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지폐 수납 기구는 상기 제1 지폐 수납고를 수납하는 수납 하우징과, 상기 수납 하우징에 개폐 가능하며 상기 제1 지폐 수납고의 지폐를 취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개폐부와, 상기 개폐부를 로크하기 위한 로크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로크 기구는 상기 로크 기구를 해제하여 개폐부를 개방하기 위한 기구가 상기 제2 지폐 수납 기구 내의 제2 지폐 수납고에 액세스하는 것보다 엄격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입출금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처리 기구, 상기 제1 지폐 수납 기구 및 제2 지폐 수납 기구는 상기 각 기구 사이에 있어서의 상기 반송 기구의 반송로에서 분리 가능하게 유닛화되어 있는, 지폐 입출금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처리 기구는 상기 입금부에 지폐를 투입하고, 또한 상기 출금부로부터 지폐를 취출하는 측을 조작측으로 했을 때에, 상기 지폐 식별부를 상기 조작측과 반대측에 배치하고,
    상기 제1 지폐 수납 기구는 상기 지폐 처리 기구의 하방에 배치하고,
    상기 제2 지폐 수납 기구는 상기 지폐 처리 기구의 하방이며 상기 제1 지폐 수납 기구에 대하여 상기 조작측에 배치한, 지폐 입출금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처리 기구와 제1 지폐 수납 기구 사이의 반송로의 연결부는, 상기 지폐 처리 기구의 하면에 배치하고,
    상기 지폐 처리 기구와 제2 지폐 수납 기구 사이의 반송로의 연결부는, 상기 제1 지폐 반송 기구의 하면이며 상기 조작측에 배치한, 지폐 입출금 장치.
  14. 지폐의 입출금 처리를 행하는 지폐 입출금 장치이며,
    입금되는 지폐가 투입되는 입금부와,
    지폐가 정상인 정상 지폐인지 정상 지폐가 아닌 리젝트되는 리젝트 지폐인지를 식별하는 지폐 식별부와,
    출금하는 지폐를 집적하는 출금부와,
    입금된 지폐나 출금하는 지폐를 수납하는 지폐 수납고와,
    상기 입금부, 지폐 식별부, 출금부 및 지폐 수납고와의 사이에서 지폐를 반송하는 반송로를 갖는 반송 기구와,
    상기 반송로에 설치되어, 상기 반송로를 통과하는 지폐의 화상 정보를 취득하는 화상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지폐의 화상 정보를 통지하는 통지 수단과,
    상기 입금부, 지폐 식별부, 출금부, 반송 기구 및 화상 정보 취득 수단을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지폐 식별부에 의해 식별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반송 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폐 수납고를 향하여 반송되는 지폐의 화상 정보와, 상기 지폐 수납고로부터 조출된 지폐의 화상 정보를 상기 화상 정보 취득 수단으로부터 취득하여, 상기 통지 수단에 상기 양쪽 지폐의 화상 정보를 통지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입출금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수단은 상기 양쪽 지폐의 화상 정보를 비교하여 표시하는 정보 표시부인, 지폐 입출금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양쪽 지폐의 화상 정보를 비교하여, 양쪽 지폐의 화상 정보가 일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그 취지를 상기 통지 수단에 통지시키는, 지폐 입출금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되는 지폐의 화상 정보는, 지폐 고유의 번호인 기 번호인, 지폐 입출금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수납고는 상기 입금부로부터 반송된 지폐를 수납하는 제1 지폐 수납고와, 상기 제1 지폐 수납고에 반송로를 거쳐 접속된 제2 지폐 수납고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양쪽 지폐의 화상 정보를 비교하여, 양쪽 지폐의 화상 정보가 일치하고 있는 경우에 출금부로 반송하고, 양쪽 지폐의 화상 정보가 일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1 지폐 수납고로부터 조출된 지폐를 상기 제2 지폐 수납고로 반송하도록 구성한, 지폐 입출금 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또한, 지폐를 처리하고 있는 시각, 상기 지폐 입출금 장치 주위의 화상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화상 정보에 맞추어, 상기 화상 정보 채취 수단으로부터의 정보를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하도록 구성한, 지폐 입출금 장치.
  20. 지폐의 입출금 처리를 행하는 지폐 입출금 장치이며,
    입금하는 지폐를 투입하는 입금부와, 지폐가 정상인 정상 지폐인지 정상 지폐가 아닌 리젝트되는 리젝트 지폐인지를 식별하는 지폐 식별부와, 출금하는 지폐를 집적하는 출금부를 갖는 지폐 처리 기구와,
    입금한 지폐 및 출금하는 지폐를 수납하는 제1 지폐 수납고를 갖는 제1 지폐 수납 기구와,
    지폐를 수납하는 제2 지폐 수납고를 갖는 제2 지폐 수납 기구와,
    상기 지폐 처리 기구, 상기 제1 및 제2 지폐 수납 기구의 각각 내부를 접속하는 동시에, 상기 지폐 처리 기구와 제1 및 제2 지폐 수납 기구 사이에서 지폐를 반송하는 반송로를 갖는 반송 기구와,
    상기 지폐 처리 기구, 상기 제1 및 제2 지폐 수납 기구를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지폐 식별부에 의해 식별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반송 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반송 기구는,
    상기 제1 지폐 수납고와 상기 제2 지폐 수납고에서 쌍방향으로 지폐를 반송 가능하고, 상기 제1 지폐 수납고와 상기 지폐 식별부를 접속하는 제1 주 반송부와, 상기 지폐 식별부와 상기 제2 지폐 수납고를 접속하는 제2 주 반송부를 갖는 주 반송로와,
    상기 입금부로부터 상기 제2 주 반송부로 일방향으로 지폐를 반송 가능한 제1 부 반송부와, 상기 제2 주 반송부로부터 상기 출금부로 일방향으로 지폐를 반송 가능한 제2 부 반송부를 갖는 부 반송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금부에 투입된 지폐를, 상기 제1 부 반송부, 제2 주 반송부의 일부이며 상기 지폐 식별부까지의 반송부 및 상기 제1 주 반송부를 거쳐 상기 제1 지폐 수납고로 반송하는 동시에 상기 지폐 식별부에서 지폐를 식별하는 입금 처리와,
    상기 제1 지폐 수납고와 상기 제2 지폐 수납고 사이에서 상기 주 반송로를 거쳐 지폐를 반송하는 동시에 상기 지폐 식별부에서 지폐를 식별하는 장전 회수 처리와,
    상기 주 반송로에서 반송되고 있는 지폐를 상기 제2 부 반송부를 거쳐 상기 출금부로 반송하는 출금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입출금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금 처리 시에, 상기 제1 지폐 수납고로부터 조출된 지폐를 상기 지폐 식별부에 의해 식별하고나서 상기 출금부로 반송하는, 지폐 입출금 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기구는 상기 제1 주 반송부로부터 분기하고, 상기 제2 지폐 수납고로 지폐를 반송 가능하게 접속된 제3 부 반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금 처리 시에, 상기 입금부에 투입된 지폐가 상기 지폐 식별부에 의해 리젝트 지폐라고 식별되었을 때에, 상기 제3 부 반송부 및 제2 주 반송부를 거쳐 상기 제2 지폐 수납고로 반송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지폐 입출금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기구는 상기 제2 주 반송부와 상기 제2 부 반송부와의 분기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지폐 수납고와 상기 출금부를 접속하는 게이트 기구를 갖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지폐 수납고로부터 조출되는 지폐를, 상기 게이트 기구를 거쳐 상기 출금부로 반송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지폐 입출금 장치.
KR1020137012764A 2010-11-19 2011-10-20 지폐 입출금 장치 KR1014677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58543A JP5513350B2 (ja) 2010-11-19 2010-11-19 紙幣入出金装置
JPJP-P-2010-258546 2010-11-19
JPJP-P-2010-258533 2010-11-19
JPJP-P-2010-258539 2010-11-19
JP2010258539A JP5568448B2 (ja) 2010-11-19 2010-11-19 紙幣入出金装置
JP2010258533A JP5513349B2 (ja) 2010-11-19 2010-11-19 紙幣入出金装置
JPJP-P-2010-258543 2010-11-19
JP2010258546A JP5462134B2 (ja) 2010-11-19 2010-11-19 紙幣入出金装置
PCT/JP2011/005874 WO2012066730A1 (ja) 2010-11-19 2011-10-20 紙幣入出金装置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6238A Division KR101479459B1 (ko) 2010-11-19 2011-10-20 지폐 입출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3130A true KR20130093130A (ko) 2013-08-21
KR101467715B1 KR101467715B1 (ko) 2014-12-01

Family

ID=4608368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2764A KR101467715B1 (ko) 2010-11-19 2011-10-20 지폐 입출금 장치
KR1020147026238A KR101479459B1 (ko) 2010-11-19 2011-10-20 지폐 입출금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6238A KR101479459B1 (ko) 2010-11-19 2011-10-20 지폐 입출금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2) KR101467715B1 (ko)
CN (7) CN106228676B (ko)
RU (2) RU2564506C1 (ko)
WO (1) WO20120667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49688B2 (ja) * 2012-06-18 2015-07-15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
JP5870008B2 (ja) * 2012-11-21 2016-02-24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
JP2014232446A (ja) * 2013-05-29 2014-12-11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現金処理装置
JP6088453B2 (ja) * 2014-02-21 2017-03-01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紙幣取扱い装置及び紙幣取扱いシステム
CN103955995B (zh) * 2014-05-04 2016-08-24 上海古鳌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纸币收纳库及纸币处理装置
CN104008598A (zh) * 2014-05-04 2014-08-27 昆山古鳌电子机械有限公司 一种纸币出入款装置及纸币出入款装置控制方法
CN104008602B (zh) * 2014-05-26 2017-12-19 昆山古鳌电子机械有限公司 Atm机用纸币管理装置
JP6189797B2 (ja) * 2014-06-27 2017-08-30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
KR101719765B1 (ko) * 2015-02-13 2017-04-0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 및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로 게이트장치
KR101665613B1 (ko) * 2015-02-27 2016-10-12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EP3172725B1 (en) * 2015-06-16 2019-05-22 Diebold Nixdorf, Incorporated Automated banking machine cassette and cassette module
CN105336037A (zh) * 2015-11-13 2016-02-17 昆山古鳌电子机械有限公司 一种纸币出入币装置
JP2019148838A (ja) * 2016-07-06 2019-09-05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処理装置及び方法
CN108573564B (zh) * 2017-03-13 2021-08-24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纸币处理装置及纸币处理方法
EP3598402B1 (en) * 2017-03-15 2023-06-14 Glory Ltd. Banknote processing apparatus
CN110326031A (zh) * 2017-04-24 2019-10-11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自助存取款机
CN107146322B (zh) * 2017-05-04 2019-12-10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纸币走钞的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2022061533A (ja) * 2020-10-07 2022-04-19 グローリー株式会社 媒体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22425B2 (ja) * 2000-08-30 2007-05-30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幣入金処理機
JP3600825B2 (ja) * 2002-08-28 2004-12-15 グローリー工業株式会社 循環式貨幣処理装置
JP4559697B2 (ja) * 2002-10-24 2010-10-13 グローリー株式会社 循環式紙幣入出金機
RU2315360C1 (ru) * 2003-10-17 2008-01-20 Дайболд, Инкорпорейтед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ый банковский аппарат выдачи наличных денег с разборкой стопок и подтверждением подлинности банкнот
JP4408373B2 (ja) * 2004-01-23 2010-02-03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入出金装置
TWI290307B (en) * 2004-06-01 2007-11-21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Bill depositing/dispensing apparatus
JP4545575B2 (ja) * 2004-12-14 2010-09-15 ローレル機械株式会社 紙幣取込装置
JP2007004653A (ja) * 2005-06-27 2007-01-11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現金自動取引装置
US7886914B2 (en) * 2005-12-01 2011-02-15 Glory Ltd. Received banknote processing apparatus
JP5042559B2 (ja) * 2006-08-10 2012-10-03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取扱装置
JP5089138B2 (ja) * 2006-11-09 2012-12-05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
JP2008134863A (ja) * 2006-11-29 2008-06-12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窓口用紙幣入出金機
JP5096042B2 (ja) * 2007-05-29 2012-12-12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取扱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178146B2 (ja) * 2007-10-30 2013-04-10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
KR101184119B1 (ko) * 2008-09-18 2012-09-1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입출금장치
JP5335389B2 (ja) * 2008-11-29 2013-11-06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取扱装置
JP5250457B2 (ja) * 2009-03-13 2013-07-31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鑑別装置、紙葉類取扱装置、現金自動取引装置及び異常検出方法
US8540068B2 (en) * 2009-03-23 2013-09-24 Glory Ltd. Money handling machine
JP5507103B2 (ja) * 2009-03-23 2014-05-28 グローリー株式会社 貨幣処理機
JP5247578B2 (ja) * 2009-04-27 2013-07-24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処理装置
CN101833660A (zh) * 2010-01-20 2010-09-15 上海古鳌电子机械有限公司 一种纸币清分机的号码识别系统及其控制方法
CN101833815A (zh) * 2010-01-20 2010-09-15 上海古鳌电子机械有限公司 一种纸币清分机的图像识别系统及其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542667A (zh) 2012-07-04
CN102842172A (zh) 2012-12-26
CN102542667B (zh) 2015-05-06
CN102842171B (zh) 2014-12-24
WO2012066730A1 (ja) 2012-05-24
CN103871158A (zh) 2014-06-18
KR101479459B1 (ko) 2015-01-05
CN102842171A (zh) 2012-12-26
CN102842176B (zh) 2015-07-29
CN103871157A (zh) 2014-06-18
RU2534932C1 (ru) 2014-12-10
CN102842176A (zh) 2012-12-26
CN106228676B (zh) 2020-06-30
CN102842172B (zh) 2015-05-20
KR20140130491A (ko) 2014-11-10
CN103871158B (zh) 2016-09-07
RU2564506C1 (ru) 2015-10-10
CN103871157B (zh) 2016-06-01
KR101467715B1 (ko) 2014-12-01
CN106228676A (zh) 2016-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93130A (ko) 지폐 입출금 장치
KR100453153B1 (ko) 현금자동거래장치 및 집중관리시스템
CN109564712B (zh) 货币处理装置及货币处理方法
US8851367B2 (en) Money processing device
JP5513349B2 (ja) 紙幣入出金装置
JP5462134B2 (ja) 紙幣入出金装置
WO2010049968A1 (ja) 貨幣処理装置
WO2013146114A1 (ja) 紙幣処理装置
KR20110069699A (ko) 지폐 취급 장치
JP3986855B2 (ja) 紙幣入出金機
JP6740776B2 (ja) 媒体処理装置
JP5568448B2 (ja) 紙幣入出金装置
US20070062782A1 (en) Paper money input and output device
JP5688480B2 (ja) 紙幣入出金装置
JP5513350B2 (ja) 紙幣入出金装置
JP5807075B2 (ja) 紙幣入出金装置
JP2007026014A (ja) 紙葉類搬送機構
JP6000582B2 (ja) 有価媒体処理装置
JP4860221B2 (ja) 紙幣入出金機
JP2018081665A (ja) 紙葉類処理装置
WO2018084049A1 (ja) 貨幣処理機および貨幣処理方法
JPH0240784A (ja) 自動入出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