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2389A -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 - Google Patents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2389A
KR20130092389A KR1020127028648A KR20127028648A KR20130092389A KR 20130092389 A KR20130092389 A KR 20130092389A KR 1020127028648 A KR1020127028648 A KR 1020127028648A KR 20127028648 A KR20127028648 A KR 20127028648A KR 20130092389 A KR20130092389 A KR 201300923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ch
holding
sticking
holding part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8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8823B1 (ko
Inventor
노리유키 사사다
마사유키 나가노
다츠아키 사카이
가츠야 츠치다
Original Assignee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92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2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8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8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5/00Auxiliary appliances for wound dressings; Dispensing containers for dressings or bandages
    • A61F15/005Bandage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61F13/00085Accessories for dressings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the application on the skin, e.g. single hand handling facil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59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release liner covering the skin adher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73Adhesive bandages for winding around limb, trunk or head, e.g. cohes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Cosmetics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첩부제를 주름 없이 환부에 첩부할 수 있고, 또, 첩부제의 박리 시트를 용이하게 벗길 수 있는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 이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는, 첩부제 (16) 가 재치되어 유지되는 첩부제 유지부를 갖는 판상체를 구비하는 것이며, 첩부제 유지부가, 평탄상과 산형 사이에서 접어 구부림 가능하게 되어 있고, 첩부제 유지부가 산형으로 접어 구부러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 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산형으로 접어 구부러진 첩부제 유지부에 첩부제를 얹어놓은 경우, 산형의 능선 부분에서 박리 시트의 절단선이 밀려, 그 박리가 용이해진다. 또, 이 때, 첩부제의 지지체는 첩부제 유지부로 유지되기 때문에 주름지는 일도 없다.

Description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DEVICE TO AID IN APPLYING TRANSDERMAL PATCHES}
본 발명은, 첩부제를 원하는 부위에 첩부할 때에 사용하는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어깨결림, 요통, 근육통, 근육 피로, 관절통 등의 개선을 목적으로 한 다양한 첩부제가 유통되고 있다. 이들 첩부제는, 통상적으로 지지체와, 그 지지체의 일방면에 형성된 약효 성분을 함유하는 점착제층과, 점착층제의 표면에 박리 가능하게 부착된 박리 시트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시에는, 박리 시트를 점착제층으로부터 벗겨 점착제층을 노출시키고, 첩부 부위에 첩부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첩부제는, 일반적으로 유연하여 취급하기 어렵고, 주름지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종래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 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기구는, 사용될 첩부제보다 큰 면을 갖는 지지판과, 이 지지판의 표면에 형성된, 첩부제를 박리 가능하게 일시적으로 유지하는 임시 고정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이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는, 첩부제의 점착층 (약제층) 이 잘못해서 손 등에 붙지 않도록, 점착제층을 일시적으로 커버하는 보호재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를 사용하는 경우, 먼저 보호재를 지지판의 표면으로부터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고, 이어서 임시 고정 수단 상에 첩부제를 임시 고정하고, 보호재를 원래의 위치로 되돌려 첩부제의 점착재층을 커버한다. 그리고, 이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를 피부의 원하는 부위에 배치한 후, 보호재를 첩부제로부터 떼어내고, 지지판을 누름으로써, 첩부제를 피부에 첩부하는 것이다.
이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에 의하면, 지지판에 고정된 임시 고정 수단 상에 첩부제를 펼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고, 또, 첩부 작업 중에 첩부제가 접어 구부러짐으로써 첩부제의 점착면끼리가 부분적으로 접착되어 버린다는 문제도 방지할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89657호
그런데, 특허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종래의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에 있어서는, 첩부제를 임시 고정 수단에 놓을 때, 미리 박리 시트를 벗겨 두거나, 혹은, 박리 시트를 벗기지 않고 첩부제를 임시 고정 수단에 임시 고정한 후, 박리 시트를 벗기는 것으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박리 시트를 벗기고 나서 첩부제를 임시 고정 수단 상에 놓으면, 첩부제는 주름진 상태로 임시 고정될 우려가 있다. 그러한 경우, 첩부제는 환부에 주름진 채로 첩부되게 된다. 또, 보호재가 첩부제를 임시 고정 수단 상에 놓을 때의 방해가 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첩부제를 임시 고정 수단에 의해 임시 고정한 후에 박리 시트를 벗기는 것으로 하면, 그 때에 보호재가 방해가 되는 경우가 있어, 박리 시트를 벗기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첩부제를 첩부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한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는, 첩부제가 재치 (載置) 되어 유지되는 첩부제 유지부를 갖는 판상체를 구비하는 것으로, 첩부제 유지부가, 평탄상과 산형 사이에서 접어 구부림 가능하게 되어 있고, 첩부제 유지부가 산형으로 접어 구부러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 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는, 박리 시트의 중앙부에 절단선 (약화선) 을 갖는 첩부제에 특히 유효하다. 즉, 산형으로 접어 구부러진 첩부제 유지부에 첩부제를 얹어놓은 경우, 산형의 능선 부분에서 박리 시트의 절단선이 밀려, 그 박리가 용이해진다. 또, 이 때, 첩부제의 지지체는 첩부제 유지부로 유지되므로, 주름지는 경우도 없다.
또, 판상체의 양측에는, 당해 판상체를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그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첩부제 유지부가 산형으로 접어 구부러졌을 때, 양측의 손잡이부가 어느 면 상에 재치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는, 손잡이부를 테이블의 평면에 둘 수 있기 때문에, 첩부제 유지부가 안정되어, 첩부제의 박리 시트의 박리가 보다 한층 용이해지기 때문이다.
유지 수단으로서는, 산형으로 접어 구부러진 첩부제 유지부의 일방의 경사면, 또는 이 경사면과 동일측의 손잡이부에 형성된 걸어맞춤부와, 첩부제 유지부의 타방의 경사면, 또는 이 타방의 경사면과 동일측의 손잡이부에 형성된,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추어지는 피걸어맞춤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고려된다.
다른 유지 수단으로서는, 첩부제 유지부의 배면측에 형성된 마그넷과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있어, 첩부제 유지부가 접어 구부러졌을 때에, 마그넷이 자성체에 자착 (磁着) 됨으로써 첩부제 유지부의 산형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유지 수단으로서는, 첩부제 유지부의 배면측에 형성된 걸어맞춤편과 피걸어맞춤편으로 이루어지는 면파스너가 고려되어, 첩부제 유지부가 접어 구부러졌을 때, 걸어맞춤편이 상기 피걸어맞춤편에 걸어맞추어져 첩부제 유지부의 산형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유지 수단에 의해 산형으로 유지된 상기 첩부제 유지부에 있어서의 1 쌍의 경사면이 서로 이루는 각도는 0 도 ∼ 120 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는, 첩부제 유지부에 재치된 첩부제를 임시 고정하기 위한 임시 고정 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임시 고정 수단은, 첩부제 유지부의 표면에 발생하는 정전기에 의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첩부제의 지지체가 포제 (布製) 또는 부직포제인 경우에 있어서는, 임시 고정 수단은, 표면에 다수의 기모 (起毛) 를 갖는 천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것 이어도 된다. 기모가 지지체와 얽혀, 이것을 임시 고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동일한 작용을 발휘하는 것으로서, 면파스너에 있어서의 훅상 돌기를 다수 갖는 걸어맞춤편도 임시 고정 수단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첩부제 유지부가 산형으로 접어 구부러졌을 때, 당해 첩부제 유지부에 형성되는 능선 부분은 대략 평탄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여기서, 대략 평탄하다는 것은, 완전하게 평탄하게 되어 있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약간 만곡한 것도 포함하는 의미이다. 능선 부분이 대략 평탄하게 되어 있는 경우, 박리 시트의 중앙부에 절단선 (약화선을 포함한다) 을 갖는 첩부제가 특히 유효하게 사용된다. 즉, 능선 부분과 좌우의 경사면의 각 모서리부에 의해 박리 시트의 각 절단선의 주변을 누름으로써, 박리 시트의 박리가 용이해진다.
또한, 사용되는 첩부제가, 그 중앙부에 2 개의 파형 내지는 곡선의 절단선 (약화선을 포함한다) 을 갖는 것인 경우, 대략 평탄한 능선 부분의 폭은 2 개의 절단선 간격의 최대치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첩부제 유지부의 배면측에 안감 바대 패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이 경우, 안감 바대 패드가 첩부제 유지부의 보강판으로서 기능한다. 또, 안감 바대 패드가 탄성을 가지고 있는 경우, 이 안감 바대 패드를 벽면에 첩부한 상태로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를 사용하면, 안감 바대 패드가 쿠션이 되어, 사용자에게 있어 쾌적하게 첩부제를 첩부할 수 있다.
또, 첩부제 유지부에, 첩부제의 박리 시트의 박리를 조장하기 위해 이것을 가압하는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를 사용한 경우, 첩부제를 주름 없이 피부에 첩부할 수 있고, 또, 박리 시트의 박리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를 나타내는 평면도로, 접어 구부리기 전의 평탄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도 1 의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의 접어 구부린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a) 는, 도 1 의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의 접어 구부린 상태를 나타내는 상방에서의 사시도이고, (b) 는 하방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4(a) ∼ (e) 는, 본 발명에 의한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에 적합한 첩부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는, 첩부제를 첩부제 유지부에 얹어놓았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은, 도 1 의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를 사용하여 첩부제를 첩부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 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의 일변형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 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의 다수의 변형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10(a) 는, 도 9 에 나타내는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를 상방에서 본 사시도, (b) 는 접어 구부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c) 는 수납·운반용으로 컴팩트하게 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 은, 첩부제를 첩부제 유지부에 얹어놓았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 는, 도 9 의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를 사용하여 첩부제를 첩부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 은,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의 다수의 변형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 (10) 를 나타내는 평면도로, 접어 구부리기 전의 평탄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도 3 의 (a) 및 도 3 의 (b) 는, 도 1 의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 (10) 의 접어 구부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각각 측면도, 상방에서의 사시도, 하방에서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시한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 (10) 는, 주로 도 4 의 (a) ∼ (e)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박리 시트 (12) 의 중앙부가 1 개 또는 2 개의 절단선 (약화선) (14) 을 따라 절단되는 타입의 첩부제 (16) 에 사용되는 것으로 한다.
도 1 ∼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 (10) 는, 좁다란 직사각형의 판상체 (20) 로 구성되어 있다. 이 판상체 (20) 의 중앙부 (도 1 에 있어서, 판상체 (20) 의 단변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2 개의 일점 쇄선 (22) 으로 끼워지는 영역) 는, 첩부제 (16) 가 재치되어 유지되는 부분 (첩부제 유지부) (24) 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첩부제 (16) 가 재치되는 첩부제 유지부 (24) 의 면을 표면이라고 부르고, 그 반대측의 면을 배면이라고 부른다.
첩부제 유지부 (24) 의 좌우의 각 측에는 손잡이부 (26) 가 연달아 형성되어 있다. 즉, 도 1 에 있어서, 각 일점 쇄선 (22) 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이 손잡이부 (26) 로 되어 있다. 손잡이부 (26) 에는 개구 (28) 가 형성되어, 이 개구 (28) 에 손가락끝을 삽입함으로써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 (10) 를 파지하여 취급할 수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일점 쇄선 (22) 은 접는 선으로, 이 접는 선 (22) 을 따라 각 손잡이부 (26) 를, 그 표면이 첩부제 유지부 (24) 의 표면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접어 구부릴 수 있다. 즉, 판상체 (20) 를 표면측에서 본 상태에서, 접는 선 (22) 을 따라 골접기할 수 있다. 또, 첩부제 유지부 (24) 의 중앙부에는, 접는 선 (22) 과 평행한 2 개의 접는 선 (도 1 에 있어서 2 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선) (30) 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접는 선 (30) 을 따라 첩부제 유지부 (24) 를 손잡이부 (26) 와는 반대 방향으로 접어 구부릴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들 접는 선 (22, 30) 을 따라 판상체 (20) 를 접어 구부리면, 도 2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형태로 되어, 좌우의 손잡이부 (26) 는 대략 동일면이 되고, 첩부제 유지부 (24) 는 그곳으로부터 돌출된 산형이 된다.
판상체 (20) 가 접어 구부러졌을 때에 첩부제 유지부 (24) 에 형성되는 좌우의 경사면 (32) 이 서로 이루는 각도 (도 2 의 θ), 및, 접는 선 (30, 30) 사이에 형성되는 대략 평탄한 능선 부분 (34) 의 폭 (도 2 의 D) 은, 사용되는 첩부제 (16) 의 치수나, 박리 시트 (12) 에 형성되는 절단선 (14) 의 타입 등에 따라 적절히 정해지는 것인데, 이것에 대해서는 후술의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도시 실시형태에서는, 첩부제 유지부 (24) 의 접는 선 (30) 에는 W 자형 내지는 파형의 잘린 곳 (36) 이 형성되어 있어, 첩부제 유지부 (24) 를 접어 구부렸을 때, 이 잘린 곳 (36) 에 의해, 상방으로 돌출하는 돌기부 (38) 와, 좌우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기부 (40) 가 형성된다. 이 돌기부 (38, 40) 의 기능에 대해서도 후술한다.
또한,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 (10) 는, 산형으로 접어 구부러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 유지 수단은, 도 1 에 있어서, 첩부제 유지부 (24) 의 우측에 형성된 플랩 (42) 을 가지며, 이 플랩 (42) 은, 우측의 손잡이부 (26) 의 개구 (28) 내에 연장되어 있다. 이 플랩 (42) 의 선단은 훅상으로 되어 있다. 이 훅상 선단 부분 (걸어맞춤부) (44) 은, 판상체 (20) 를 접어 구부렸을 때, 접는 선 (22) 을 따라 손잡이부 (26) 와는 반대 방향으로 접어 구부러지고, 타방의 접는 선 (22) 을 따라, 첩부제 유지부 (24) 의 좌측 부분 (32) 에 형성된 삽입부 (피걸어맞춤부) (46) 에 삽입되어 거기에 걸 수 있다. 이로써, 도 2 및 도 3 에 나타내는 산형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훅상 선단 부분 (44) 에 경사부 (48) 를 형성함으로써, 좌우의 손잡이부 (26) 를 상반되는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훅상 선단 부분 (44) 은 삽입부 (46) 로부터 빠져나갈 수 있어, 판상체 (20) 를 산형에서 평탄상으로 용이하게 되돌릴 수 있다.
판상체 (20) 의 치수는, 사용되는 첩부제 (16) 의 치수 등에 따라 적절히 정해지는 것인데, 첩부제 유지부 (24) 는 적어도 첩부제 (16) 보다 크게 되어 있다. 또, 판상체 (20) 의 전체 길이는, 양 손을 허리에서 뒤로 돌린 상태에서 좌우의 손잡이부 (26) 를 잡을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적어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상체 (20) 의 구성 재료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첩부제 유지부 (24) 상에 재치된 첩부제 (16) 에 피부가 가압되는 점에서, 어느 정도의 부드러움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다. 그 한편,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 (10) 의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경성 (硬性) 을 필요로 하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판상체 (20) 의 기재로서는 경질 우레탄, 폴리염화비닐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등이 바람직하다. 그 밖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고무 (엘라스토머), 고무제 스펀지, 합성 수지 (엘라스토머를 제외한다), 합성 수지제 스펀지, 종이, 플라스틱, 금속 등을 사용할 수도 있고, 그들을 층으로 하여 조합할 수도 있다. 또, 이 기재의 표면은 대전되기 쉬운 재료가 노출되거나, 혹은, 대전되기 쉬운 재료에 의해 피막 처리가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첩부제 (16) 의 지지체 (18) 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경우에는, 정전기의 작용에 의해 첩부제 (16) 를 첩부제 유지부 (24) 상에서 임시 고정할 수 있다. 또, 정전기의 작용 이외의 임시 고정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어, 첩부제 유지부 (24) 의 표면에 점착제층 (점착제를 도포한 것 외에, 양면 테이프의 편면의 점착제층을 포함한다) 을 형성한 것이어도 된다. 물론, 이 점착제층은 재박리성인 것이어도 된다. 또한, 정전기의 작용 이외의 임시 고정 수단으로서는, 첩부제 (16) 의 지지체 (18) 가 천이나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기모를 갖는 재료나 플리스나 펠트, 혹은, 면파스너의 일방 (훅상 돌기를 다수 갖는 걸어맞춤편) 등이 고려되고, 이들은 지지체 (18) 와 얽힘으로써 첩부제 (16) 를 임시 고정할 수 있다. 또, 양복 브러시 등에서 사용되는 파일 직물도, 기모를 갖는 재료와 동일하게 사용된다. 또한, 파일 직물의 파일은 일방향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파일 직물을 복수매 준비하고, 파일의 경사 방향이 상이하도록 하여 이들 파일 직물을 첩부제 유지부 (24) 의 표면에 첩부함으로써, 보다 한층 첩부제 (16) 에 대한 유지력이 증가한다.
또한, 판상체 (20) 의 표면 또는 배면에 표장, 상품 설명, 그 밖의 무늬 (도안) 등이 프린트되거나 해도 된다. 또, 판상체 (20) 의 외주연이나 개구 (28) 의 내주연을 피치가 짧은 파형 형상으로 해도 된다.
다음으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 (10) 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 (10) 를 도 1 의 평탄 상태로부터 도 2 및 도 3 에 나타내는 산형 상태로 접어 구부려, 플랩 (42) 의 훅상 선단 부분 (44) 을 삽입부 (46) 에 삽입하고, 그 상태로 유지시킨다. 이 때, 좌우의 손잡이부 (26) 는 실질적으로 동일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테이블 등의 평면 상에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 (10) 를 안정적인 상태로 재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첩부제 (16) 를, 그 지지체 (18) 가 하향이 되도록 하여 산형의 첩부제 유지부 (24) 에 놓는다. 도 5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첩부제 (16) 는, 도 4 의 (e) 에 나타내는 타입으로, 박리 시트 (12) 가 2 개의 파형의 절단선 (14) 을 갖는 것으로 되어 있고, 이러한 첩부제 (16) 의 경우, 박리 시트 (12) 의 절단선 (14, 14) 간의 중간 박리 시트 (12a) 가 첩부제 유지부 (24) 의 대략 평탄한 능선 부분 (34) 에 접하도록 첩부제 (16) 를 첩부제 유지부 (24) 에 놓는다.
이어서, 첩부제 (16) 의 좌우를 하방으로 약간 잡아당기면서, 첩부제 (16) 의 지지체 (18) 전체를 첩부제 유지부 (24) 의 표면에 밀착시킨다. 이 때, 첩부제 유지부 (24) 의 능선 부분 (34) 이 첩부제 (16) 의 배면을 가압함과 함께, 능선 부분 (34) 에 형성된 돌기부 (38, 40) 도 첩부제의 배면, 특히 박리 시트 (12) 의 절단선 (14) 의 주변을 국소적으로 가압하고, 그 결과로서 박리 시트 (12) 가 지지체 (18) 상의 점착제층으로부터 들뜨려고 하여, 절단선 (14) 의 주변의 일부가 박리되고, 실제로 박리되어 있지 않아도 박리되기 쉬운 상태가 된다. 이 점에서, 능선 부분 (34) 의 폭, 돌기부 (38, 40) 의 위치는, 사용되는 첩부제 (16) 에 따라 적절히 설정되는 것은 이해될 것이다.
계속해서, 사용자는 박리 시트 (12) 를 벗겨 간다. 도 5 에서는, 먼저 중간 박리 시트 (12a) 로부터 벗기고 있는데, 벗기는 방식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좌우의 박리 시트 (12b, 12c) 로부터 벗기기 시작해도 된다. 이 박리 작업 중, 첩부제 (16) 의 지지체 (18) 는 첩부제 유지부 (24) 상에 정전기의 작용에 의해 임시 고정되어 있고, 또,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 (10) 자체가 산형을 유지하고 또한 손잡이부 (26) 에 의해 안정적으로 테이블 등에 놓여져 있기 때문에, 첩부제 (16) 는 첩부제 유지부 (24) 로부터 어긋나는 경우는 없어, 첩부제 (16) 에 주름지는 일은 없다.
이 후, 삽입부 (46) 로부터 플랩 (42) 의 훅상 선단 부분 (44) 을 빼내고, 좌우의 손잡이부 (26) 를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당겨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 (10) 를 평탄 상태로 되돌린다. 그리고, 사용자의 등에 첩부제 (16) 를 첩부하는 경우에는,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형태로 사용자는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 (10) 를 들고, 이것을 등으로 끌어당김으로써 첩부제 (16) 는 사용자에게 첩부된다. 이 동안, 첩부제 (16) 는 첩부제 유지부 (24) 상에서 주름이 없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첩부된 상태도 주름 없이 깨끗한 것이 된다. 또, 정전기의 작용에 의한 첩부제 (16) 의 임시 고정은, 점착제층의 인체에 대한 부착력보다 약하기 때문에, 첩부제 (16) 가 사용자의 등에 눌러붙여진 후에는,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 (10) 를 등에서 떼어 놓는 것만으로, 첩부제 (16) 는 사용자의 등에 그대로 남게 된다.
또한, 첩부제 (16) 를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 (10) 에 얹어놓기 전에 중간 박리 시트 (12a) 를 벗기고, 그 상태에서 첩부제 (16) 를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 (10) 에 얹어놓은 후, 좌우의 박리 시트 (12b, 12c) 를 벗긴다는 순서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좌우의 박리 시트 (12b, 12c) 의 박리 전에, 첩부제 (16) 의 좌우를 잡아당기면서 첩부제 (16) 전체를 첩부제 유지부 (24) 의 표면에 밀착시킬 수 있으므로, 주름이 첩부제 (16) 에 잡히는 경우는 없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어, 돌기부 (38, 40) 를 일절 형성하지 않는 형태이거나, 혹은, 일방의 돌기부만 (예를 들어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의 돌기부 (40) 를 형성하지 않는 형태) 으로서도, 첩부제 유지부 (24) 가 산형으로 됨으로써, 첩부제 (16) 의 박리 시트 (12) 를 용이하게 벗길 수 있다. 또, 도 7 의 구성에서는, 능선 부분 (34) 에 펠트 (49) 가 부착되어 있다. 이 펠트 (49) 에 의해, 첩부제 (16) 를 얹어놓을 때, 미끄러져 위치 어긋남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 첩부제 (16) 를 피부에 댈 때의 쿠션이 된다.
또, 도 8 의 (a) ∼ (j)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부의 형상, 손잡이부에 형성되는 개구의 형상, 첩부제 유지부를 산형으로 접어 구부렸을 때에 형성되는 돌기부의 형상이나 수 등은 여러 가지 고려된다.
첩부제 유지부에 있어서의 능선 부분의 폭도,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협폭으로부터 광폭까지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또한, 능선 부분은 완전히 평탄할 필요는 없고, 약간 만곡된 것이어도 되고, 도 8 의 (j)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이 실질적으로 없는 직선상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 8 의 (j) 와 같은 형태에 있어서는,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지만, 예를 들어 도 4 의 (a) 나 (b) 와 같은 박리 시트 (12) 의 절단선 (14) 이 1 개인 것에 대해 박리 시트 (12) 의 박리를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 도 8 의 (k)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 (10) 가 산형으로 접어 구부러진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유지 수단으로서, 첩부제 유지부의 좌우 각 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좁다란 걸어맞춤부 (50) 의 선단끼리를 걸어맞춤시키는 형태 등도 고려된다. 이 경우, 일방의 걸어맞춤부를, 타방의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추어지는 피걸어맞춤부로서 취급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걸어맞춤부와 피걸어맞춤부가 형성되는 지점은, 첩부제 유지부의 좌우의 경사면 및/또는 좌우의 손잡이부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판상체 (20) 의 일부를 손잡이부 (26) 로서 사용하고 있는데, 첩부제 유지부 (24) 에 접속한 끈 형상체인 것 (도시 생략) 을 사용하는 것도 고려된다. 또, 손잡이부를 첩부제 유지부에 대해 접어 구부릴 수 없는 형태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게다가 또, 능선 부분에 전술한 바와 같은 펠트 외에, 플리스, 기모를 갖는 기모 포재, 혹은, 면파스너의 일방의, 다수의 훅상 돌기를 갖는 걸어맞춤편 등을 첩부해도 된다. 이 경우, 능선 부분 상에서의 첩부제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어, 첩부제의 첩부를 보다 한층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첩부제의 지지체의 종류에 따라서는, 능선 부분 상의 펠트 등에 의한 임시 고정의 효과도 얻어진다.
도 9 ∼ 도 12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 (100) 를 나타내고 있고, 도 9 는 그 배면도, 도 10 의 (a) 는 도 9 에 나타내는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를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10 의 (b) 는 접어 구부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 의 (c) 는 수납·운반용으로 컴팩트하게 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 은 첩부제로부터 박리 시트를 벗기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 는 첩부제를 첩부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 (100) 는, 기본적으로는 상기 서술한 제 1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중복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의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한 점으로서는, 먼저, 첩부제 유지부 (24) 의 배면에 안감 바대 패드 (110) 를 첩착 (貼着) 한 점이다. 안감 바대 패드 (110) 는, 첩부제 유지부 (24) 의 능선 부분 (34) 보다 좌우의 외측 영역에 각각 첩착되어 있다.
안감 바대 패드 (110) 의 구성 재료는, 약간의 탄력성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경질 우레탄, 합성 수지제 스펀지, 고무 (엘라스토머), 고무제 스펀지, 합성 수지 (엘라스토머를 제외한다), 합성 수지 또는 고무를 소재로 하는 발포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발포체의 소재도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어, 천연 고무, 합성 고무, 폴리우레탄,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스티렌, 폴리염화비닐, 페놀 수지, 우레아 수지, 에폭시 수지 등이 사용되고,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2 매의 안감 바대 패드 (110) 는, 첩부제 유지부 (24) 가 도 10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어 구부러졌을 때, 그 배면끼리 접한다. 이 배면끼리 접한 상태에서는, 첩부제 유지부 (24) 의 좌우의 면은 대략 평행하게 되고, 첩부제 유지부 (24) 는 손잡이부 (26) 에 대해 대략 직각으로 돌출하게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도 10 의 (b) 에 나타내는 돌출 상태도 산형으로 부르고 있다. 또, 배면끼리 접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유지 수단으로서 일방의 안감 바대 패드 (110) 의 배면에는 마그넷 (바람직하게는 판상의 마그넷) (120) 이 부착되고, 타방의 안감 바대 패드 (110) 의 배면에는 이 마그넷 (120) 에 자착되는 자성체 (122) (바람직하게는 판상인 것) 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이 자성체 (122) 는 마그넷이어도 된다.
또, 제 2 실시형태는, 능선 부분 (34) 을 획정하기 위한 접는 선이 없는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와는 상이하다. 이 때문에, 첩부제 유지부 (24) 를 도 10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어 구부리면, 능선 부분 (34) 의 단면은 완만한 원호상이 되고, 또, 제 1 실시형태에서와 같은 돌기부도 여기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한, 이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첩부제 유지부 (24) 전체에, 표면이 다수의 기모로 이루어지는 기모 포재 (130) 가 첩부되어 있다. 따라서, 이 기모 포재의 기모가 천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첩부제 (16) 의 지지체 (18) 와 서로 얽혀, 이것을 임시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기모 포재 (130) 대신에 플리스나 펠트 등을 사용해도 동일한 작용을 발휘하는 것을 알고 있고, 또, 면파스너를 구성하는, 다수의 훅상 돌기를 갖는 걸어맞춤편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양복 브러시 등에서 사용되는 파일 직물도 동일하게 사용된다. 제 1 실시형태에 관해서 기술한 바와 같이, 파일 직물의 파일은 일방향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파일 직물을 복수매 준비하고, 파일의 경사 방향이 상이하도록 하여 이들 파일 직물을 첩부제 유지부 (24) 의 표면에 첩부한 경우에는, 보다 한층 첩부제 (16) 에 대한 유지력이 증가한다.
또,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손잡이부 (26) 의 길이가, 첩부제 유지부 (24) 의 절반의 길이보다 길게 되어 있다. 이로써,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 (100) 를 도 10 의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어 구부림으로써, 컴팩트한 형상으로 할 수 있어 수납이나 운반 등에 편리하게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있어서,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 (100) 의 사용 방법은, 기본적으로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 (10) 와 동일하다. 즉, 사용시에는, 먼저, 도 10 의 (b) 에 나타내는 접어 구부린 상태로 한다. 이 때, 접어 구부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 수단으로서 마그넷 (120) 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첩부제 유지부 (24) 를 접어 구부린 것만으로, 그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계속해서,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첩부제 (16) 를 첩부제 유지부 (24) 에 얹어놓으면, 기모 포재 (130) 에 의해 첩부제 (16) 는 임시 고정된다. 또, 첩부제 유지부 (24) 의 능선 부분 (34) 의 위치에 첩부제 (16) 의 박리 시트 (12) 의 절단선 (14) 을 맞춤으로써, 박리 시트 (12) 는 배면측으로부터 능선 부분 (34) 에 가압되고,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부가 박리되어, 박리 시트 (12) 의 박리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박리 시트 (12) 를 모두 첩부제 (16) 로부터 박리했다면, 사용자는 도 6 과 동일한 형태로 환부에 첩부제 (16) 를 첩부할 수 있다. 첩부제 (16) 를 첩부제 유지부 (24) 에 얹어놓고 나서 환부에 붙일 때까지의 동안에, 첩부제 (16) 의 지지체 (18) 는 첩부제 유지부 (24) 상에 주름을 형성하지 않고 유지되기 때문에, 환부에도 주름 없이 첩부제 (16) 를 첩부할 수 있는 것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또한, 안감 바대 패드 (110) 는 첩부제 유지부 (24) 를 보강하는 기능이 있기 때문에, 판상체 (20) 가 비교적 휘기 쉬운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도, 첩부제 (16) 의 첩부에 필요한 강성을 첩부제 유지부 (24) 에 부여할 수 있다. 또, 기모 포재 (130) 가 첩부제 유지부 (24) 와 첩부제 (16) 사이에 있기 때문에, 이 기모 포재 (130) 가 쿠션의 역할을 하여, 사용자에게 불쾌감이나 통증을 주는 것을 회피 내지는 경감할 수 있다.
또,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첩부제 유지부 (24) 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 수단으로서 마그넷 (120) 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장고의 문과 같은 자성 벽면 (140) 에 부착시킬 수 있어 손을 사용하지 않고 첩부제 (16) 를 첩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첩부 양태에서는, 안감 바대 패드 (110) 가 쿠션으로서 기능하게 되어, 이것에 의해서도, 사용자에게 불쾌감이나 통증을 주는 것을 회피 내지는 경감할 수 있다.
이상, 제 2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는데, 이것도 도시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첩부제 유지부 (24) 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 수단으로서 마그넷 (120) 을 사용하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마그넷 대신에 면파스너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예를 들어, 부호 120 의 위치에, 훅상 돌기를 갖는 걸어맞춤편을 배치하고, 부호 122 의 위치에, 루프상 돌기를 갖는 피걸어맞춤편을 배치하는 것이 될 것이다. 또, 유지 수단으로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플랩과 같은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유지 수단으로서는, 편면이 재박리성으로 되어 있는 점착 테이프를, 재박리성 점착면이 노출되도록 하여 판상체 (20) 의 배면에 첩부한 것이 고려된다. 이 재박리성의 점착 테이프를 사용한 경우, 형상 유지뿐만 아니라,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 (100) 를 비자성의 벽면에 반복하여 첩부할 수 있다.
또, 도 13 의 (a) ∼ (h)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부의 형상, 손잡이부에 형성되는 개구의 형상, 임시 고정 수단으로서의 기모 포재 등의 분할 배치나 그 형상, 안감 바대 패드의 두께 등, 여러 가지의 변형 형태가 고려된다. 또한, 도 13 의 (f) 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돌기부를 형성해도 된다. 또, 도 13 의 (g) 및 (h) 는, 임시 고정 수단으로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정전기의 작용을 이용한 것이다.
물론, 도 1 ∼ 도 13 에 나타내는 구성은, 도 4 의 (a) ∼ (e) 에 나타내는 타입의 첩부제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타입의 첩부제에도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절단선이 없는 박리 시트를 갖는 첩부제이어도, 첩부제 유지부로 유지되어 있는 경우, 박리 시트의 주위에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보호재와 같은 박리 작업의 장해가 되는 부재가 없기 때문에, 종래 구성보다 박리 시트의 박리가 용이하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실시예 1
다음으로, 첩부제 유지부에 형성되는 1 쌍의 경사면이 서로 이루는 각도와 첩부제의 박리 시트의 박리 용이성과의 관계를 조사한 실험 결과에 대해 기술한다.
이 실험에서는, 6 종류의 첩부제를 준비했다.
첩부제 A 는, 세로 14 ㎝, 가로 20 ㎝ 이고, 도 4 의 (a) 와 같은, 박리 시트의 중앙에 1 개의 직선상의 절단선이 들어간 것,
첩부제 B 는, 세로 10 ㎝, 가로 14 ㎝ 이고, 도 4 의 (a) 와 같은, 박리 시트의 중앙에 1 개의 직선상의 절단선이 들어간 것,
첩부제 C 는, 세로 7 ㎝, 가로 10 ㎝ 이고, 도 4 의 (b) 와 같은, 박리 시트의 중앙에 1 개의 파형의 절단선이 들어간 것,
첩부제 D 는, 세로 10 ㎝, 가로 14 ㎝ 이고, 도 4 의 (c) 와 같은, 박리 시트의 중앙에 2 개의 곡선의 절단선이 들어간 것,
첩부제 E 는, 세로 7 ㎝, 가로 14 ㎝ 이고, 도 4 의 (e) 와 같은, 박리 시트의 중앙에 2 개의 파형의 절단선이 들어간 것,
첩부제 F 는, 세로 7 ㎝, 가로 10 ㎝ 이고, 도 4 의 (e) 와 같은, 박리 시트의 중앙에 2 개의 파형의 절단선이 들어간 것이다.
또,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로서 도 2 ∼ 도 3 에 나타내는 형태의 것을 사용했다.
이 실험 결과는 다음의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이 표에 있어서, 각도는 도 2 의 θ 에 상당하는 부분의 각도이다. 또, 표 중의 기호는 박리 시트의 박리 용이성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 는 매우 용이, ○ 는 용이, △ 는 조금 용이, × 는 용이하지 않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Figure pct00001
이 표 1 로부터, 1 쌍의 경사면이 서로 이루는 각도는 0 ∼ 120 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 0 ∼ 100 도가 보다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0 ∼ 90 도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또, 첩부제 유지부를 접어 구부린 경우에 형성되는 능선 부분의 폭을 변경하여 첩부제의 박리 시트의 박리 용이성을 평가했다.
이 평가 실험에서 사용한 첩부제는 상기의 6 종류의 첩부제 A ∼ F 이다.
또,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로서 도 9 ∼ 도 12 에 나타내는 형태인 것으로, 능선 부분의 폭이 1 ㎝, 2 ㎝, 3 ㎝, 4 ㎝, 5 ㎝, 6 ㎝ 인 6 종류를 준비했다. 폭이 0 ㎝ 인 것으로서는, 상기의 표 1 에 있어서의 0 도인 경우의 실험 결과를 원용했다. 또, 능선 부분은 완전히 평탄하게 되는 것을 사용했다.
또한, 표 중의 기호는 표 1 과 동일하다.
Figure pct00002
상기 결과를 보면, 1 개의 절단선이 들어간 첩부제에 대해서는, 첩부제 전체 가로폭의 0 % ∼ 35 % 의 길이의 능선 부분의 경우에는, 박리가 용이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첩부제 전체의 가로폭의 35 % 를 넘은 경우에는, 첩부제의 좌우 부분을 파지하기 어려워지고, 또, 첩부제 유지부의 경사면에 첩부제를 임시 고정하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또, 첩부제의 중앙부에 2 개의 파형 내지는 곡선의 절단선이 들어간 첩부제에 대해서는, 그 중간 박리 시트의 폭 (절단선간의 간격) 의 최대치보다 작은 능선 부분의 폭인 경우에 박리가 용이해지고, 그 이상에서는 박리의 용이성이 저해되어 있다. 따라서, 능선 부분의 폭은 중간 박리 시트의 폭의 최대치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점에서, 첩부제가 대형이고, 중간 박리 시트의 폭이 예를 들어 10 ㎝ 이면, 능선 부분의 폭도 1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한 것은 이해될 것이다.
10, 100 :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
12 : 박리 시트
14 : 절단선 (약화선)
16 : 첩부제
18 : 지지체
20 : 판상체
22 : 접는 선
24 : 첩부제 유지부
26 : 손잡이부
28 : 개구
30 : 접는 선
32 : 경사면
34 : 능선 부분
36 : 잘린 곳
38, 40 : 돌기부
42 : 플랩
44 : 훅상 선단 부분 (유지 수단, 걸어맞춤부)
46 : 삽입부 (유지 수단, 피걸어맞춤부)
110 : 안감 바대 패드
120 : 마그넷 (유지 수단)
122 : 자성체 (유지 수단)
130 : 기모 포재 (임시 고정 수단)
140 : 자성 벽면

Claims (17)

  1. 첩부제를 첩부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한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로서,
    첩부제가 재치 (載置) 되어 유지되는 첩부제 유지부를 갖는 판상체를 구비하고,
    상기 첩부제 유지부가, 평탄상과 산형 사이에서 접어 구부림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첩부제 유지부가 산형으로 접어 구부러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 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체의 양측에는, 당해 판상체를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첩부제 유지부가 산형으로 접어 구부러졌을 때, 양측의 상기 손잡이부가 어느 면 상에 재치 가능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수단이, 산형으로 접어 구부러진 상기 첩부제 유지부의 일방의 경사면에, 또는 이 경사면과 동일측의 상기 손잡이부에 형성된 걸어맞춤부와, 상기 첩부제 유지부의 타방의 경사면에, 또는 이 타방의 경사면과 동일측의 상기 손잡이부에 형성된, 상기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추어지는 피걸어맞춤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수단이, 상기 첩부제 유지부의 배면측에 형성된 마그넷과 자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첩부제 유지부가 접어 구부러졌을 때에, 상기 마그넷이 상기 자성체에 자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수단이, 상기 첩부제 유지부의 배면측에 형성된 걸어맞춤편과 피걸어맞춤편으로 이루어지는 면파스너이고, 상기 첩부제 유지부가 접어 구부러졌을 때에, 상기 걸어맞춤편이 상기 피걸어맞춤편에 걸어맞추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수단에 의해 산형으로 유지된 상기 첩부제 유지부에 있어서의 1 쌍의 경사면이 서로 이루는 각도가 0 도 ∼ 120 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첩부제 유지부에 재치된 첩부제를 임시 고정하기 위한 임시 고정 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고정 수단이, 상기 첩부제 유지부의 표면에 발생하는 정전기에 의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
  10. 제 8 항에 있어서,
    첩부제의 지지체가 포제 또는 부직포제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임시 고정 수단이, 표면에 다수의 기모를 갖는 천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
  11. 제 8 항에 있어서,
    첩부제의 지지체가 포제 또는 부직포제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임시 고정 수단이, 면파스너에 있어서의 훅상 돌기를 다수 갖는 걸어맞춤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첩부제 유지부가 산형으로 접어 구부러졌을 때, 당해 첩부제 유지부에 형성되는 능선 부분이 대략 평탄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
  13. 제 12 항에 있어서,
    당해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에 사용되는 첩부제가, 그 중앙부에 2 개의 파형 내지는 곡선의 절단선을 갖는 것인 경우, 상기 대략 평탄한 능선 부분의 폭은 상기 2 개의 절단선 간격의 최대치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첩부제 유지부의 배면측에 안감 바대 패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안감 바대 패드가, 상기 첩부제 유지부의 보강판으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안감 바대 패드가, 탄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첩부제 유지부에, 첩부제의 박리 시트의 박리를 조장하기 위해 이것을 가압하는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
KR1020127028648A 2010-04-30 2011-04-25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 KR1017788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05750 2010-04-30
JP2010105750 2010-04-30
PCT/JP2011/060076 WO2011136183A1 (ja) 2010-04-30 2011-04-25 貼付剤貼付用補助器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2389A true KR20130092389A (ko) 2013-08-20
KR101778823B1 KR101778823B1 (ko) 2017-09-14

Family

ID=44861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8648A KR101778823B1 (ko) 2010-04-30 2011-04-25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442112B2 (ko)
KR (1) KR101778823B1 (ko)
CN (1) CN102858288B (ko)
TW (1) TW201206514A (ko)
WO (1) WO20111361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19025A (ja) * 2011-12-09 2013-06-17 St Luke's International Hospital 湿布セット、貼付け器および湿布
TWI558387B (zh) * 2012-07-18 2016-11-21 宏正自動科技股份有限公司 自助式貼布機
JP5442086B1 (ja) * 2012-09-28 2014-03-12 久光製薬株式会社 貼付剤貼付用補助器具
JP5940969B2 (ja) * 2012-12-04 2016-06-29 忠男 武富 湿布貼り補助具
JP5605887B1 (ja) * 2014-05-01 2014-10-15 千鶴子 坂口 湿布薬貼付補助具
JP6170606B2 (ja) * 2016-11-21 2017-07-26 香織 浅川 剥離フィルム付き貼付剤の貼付用補助具
JPWO2018167988A1 (ja) * 2017-03-15 2020-01-16 株式会社テクセルジャパン 貼付剤のシート状貼付け補助具、及びそれを用いた貼付剤の貼り付け方法
JP6434119B1 (ja) * 2017-12-27 2018-12-05 久光製薬株式会社 貼付剤貼付用補助具
JP2020005513A (ja) * 2018-07-03 2020-01-16 株式会社トクヤマ 保護パッチ貼着補助具及びこれを使用した保護パッチ貼着方法
WO2021132573A1 (ja) * 2019-12-27 2021-07-01 大塚テクノ株式会社 電極パッド装着用補助器具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07061A (ja) * 1987-11-07 1989-08-21 Haruo Yoshida 救急絆創膏
JPH02189147A (ja) * 1989-01-17 1990-07-25 Haruo Yoshida 救急絆創膏
JP4398158B2 (ja) * 2002-10-03 2010-01-13 久光製薬株式会社 貼付剤
WO2004082672A1 (ja) * 2003-03-18 2004-09-30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非ステロイド系消炎鎮痛剤含有貼付剤
JP2004283535A (ja) * 2003-03-24 2004-10-14 Yoshinori Ota 貼付用治療器及び貼付用治療器の貼付補助具
JP2005218754A (ja) * 2004-02-09 2005-08-18 Teikoku Seiyaku Co Ltd 貼付剤貼付用補助具
JP4896434B2 (ja) * 2005-06-06 2012-03-14 凸版印刷株式会社 しわ伸ばしシート貼り付け器具
JP2008035934A (ja) 2006-08-02 2008-02-21 Yuutoku Yakuhin Kogyo Kk 貼付剤貼付用補助具
JP2008061688A (ja) 2006-09-05 2008-03-21 Kazuko Wachi 貼付材
JP2015009136A (ja) 2013-07-01 2015-01-19 英人 丘田 貼付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442112B2 (ja) 2014-03-12
CN102858288A (zh) 2013-01-02
TW201206514A (en) 2012-02-16
KR101778823B1 (ko) 2017-09-14
WO2011136183A1 (ja) 2011-11-03
CN102858288B (zh) 2015-09-30
TWI562795B (ko) 2016-12-21
JPWO2011136183A1 (ja) 2013-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92389A (ko) 첩부제 첩부용 보조 기구
JP2693200B2 (ja) 使い捨て衣類
JPS587722B2 (ja) おむつ
US5742969A (en) Disposal compact apparatus for removing lint from clothing
JP7257205B2 (ja) 管状体固定具
JP5776027B2 (ja) 巻き爪パッド
JP3955354B2 (ja) 貼付シートの貼付用補助具、それを製造するための型紙、及びそれを用いた貼付シートの貼付方法
JP5204949B2 (ja) シート貼り付け器具とこれを用いたキット
JP5693874B2 (ja) 貼付剤貼付用補助器具
JP3107535U (ja) 貼り薬貼付器
JP4712500B2 (ja) ストッキング補修器具
JP2003153938A (ja) 粘着シート
JP2004089657A (ja) 貼付け剤用貼付け具
JP6434119B1 (ja) 貼付剤貼付用補助具
JP4582725B1 (ja) 粘着テープおよび粘着テープ貼付補助具
JP6434120B1 (ja) 貼付剤貼付用補助具
JPS63724Y2 (ko)
JP2001299809A (ja) 医療用貼付材
JP3005546U (ja) 埃取りクリーナー
JP2512129Y2 (ja) テ―プファスナ―
JP3185700U (ja) 仮止め具
JP3086869U (ja) フロアマット
JP2000342510A (ja) 洋服のほこり取り
JP2587491Y2 (ja) 医療用テープ
JP2008012191A (ja) パッドの貼り付け補助具及びパ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