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8800A - 전압 조정기 - Google Patents

전압 조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8800A
KR20130088800A KR1020130010357A KR20130010357A KR20130088800A KR 20130088800 A KR20130088800 A KR 20130088800A KR 1020130010357 A KR1020130010357 A KR 1020130010357A KR 20130010357 A KR20130010357 A KR 20130010357A KR 20130088800 A KR20130088800 A KR 201300888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voltage
output
overcurrent protection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0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7630B1 (ko
Inventor
가오루 사카구치
데루오 스즈키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88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8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7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7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5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 G05F1/565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sensing a condition of the system or its load in addition to means responsive to deviations in the output of the system, e.g. current, voltage, power facto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5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 G05F1/565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sensing a condition of the system or its load in addition to means responsive to deviations in the output of the system, e.g. current, voltage, power factor
    • G05F1/569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sensing a condition of the system or its load in addition to means responsive to deviations in the output of the system, e.g. current, voltage, power factor for protection
    • G05F1/573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sensing a condition of the system or its load in addition to means responsive to deviations in the output of the system, e.g. current, voltage, power factor for protection with overcurrent detector
    • G05F1/5735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sensing a condition of the system or its load in addition to means responsive to deviations in the output of the system, e.g. current, voltage, power factor for protection with overcurrent detector with foldback current limit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5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 G05F1/565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sensing a condition of the system or its load in addition to means responsive to deviations in the output of the system, e.g. current, voltage, power factor
    • G05F1/569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sensing a condition of the system or its load in addition to means responsive to deviations in the output of the system, e.g. current, voltage, power factor for protection
    • G05F1/573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sensing a condition of the system or its load in addition to means responsive to deviations in the output of the system, e.g. current, voltage, power factor for protection with overcurrent detec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H02H9/025Current limitation using field effect transisto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5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5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 G05F1/565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sensing a condition of the system or its load in addition to means responsive to deviations in the output of the system, e.g. current, voltage, power factor
    • G05F1/569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sensing a condition of the system or its load in addition to means responsive to deviations in the output of the system, e.g. current, voltage, power factor for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25Arrangements for modifying reference values, feedback values or error values in the control loop of a conver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inuous-Control Power Sources That Use Transistors (AREA)

Abstract

(과제) 출력 전압 가변형 전압 조정기에 있어서, 출력 전압의 설정값이 클 때라도 과전류 보호 동작시의 발열을 작게 할 수 있는 전압 조정기를 제공하는 것.
(해결 수단) 트리밍 신호 생성 회로가 출력하는 트리밍 신호로 분압 회로의 저항이 트리밍됨으로써, 출력 전압이 변경 가능한 출력 전압 가변형 전압 조정기로서, 트리밍 신호에 의해 フ 자형 과전류 보호 회로의 제한 전압이 변경되도록 구성하였다.

Description

전압 조정기{VOLTAGE REGULATOR}
본 발명은, 과전류 보호 회로를 구비한 출력 전압 가변형 전압 조정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출력 전압 가변형 전압 조정기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0 은 종래의 출력 전압 가변형 전압 조정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종래의 출력 전압 가변형 전압 조정기는, 그라운드 단자 (100) 와, 전원 단자 (101) 와, 출력 단자 (102) 와, 외부 제어 단자 (103) 와, 앰프 (104) 와, 출력 트랜지스터 (105) 와, 분압 회로 (106) 와, 기준 전압원 (107) 과, 수하형 과전류 보호 회로 (108) 와, フ 자형 과전류 보호 회로 (109) 와, 트리밍 신호 생성 회로 (110) 를 구비하고 있다.
종래의 출력 전압 가변형 전압 조정기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출력 단자 (102) 의 출력 전압 (Vout) 이 소정 전압보다 높으면, 즉 분압 회로 (106) 의 분압 전압 (Vfb) 이 기준 전압 (Vref) 보다 높으면 앰프 (104) 의 출력 전압이 높아진다. 출력 트랜지스터 (105) 의 게이트 전압이 높아지므로, 출력 트랜지스터 (105) 는 오프되고, 출력 전압 (Vout) 은 낮아진다. 또, 출력 전압 (Vout) 이 소정 전압보다 낮으면, 상기와 같이 출력 전압 (Vout) 은 높아진다. 즉, 전압 조정기의 출력 전압 (Vout) 은 소정 전압으로 일정하게 유지된다.
여기서, 외부 제어 단자 (103) 로부터 입력되는 전기 신호 (CONT) 에 따라 트리밍 신호 생성 회로 (110) 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φ1, φ2, φ3) 는, 각각 분압 회로 (106) 내의 저항 (151, 152, 153) 에 병렬로 접속된 MOS 스위치의 게이트에 입력된다. 그로 인해, 전기 신호 (CONT) 에 의해 분압 회로 (106) 의 분압비를 조정할 수 있다.
전압 조정기의 출력 전압 (Vout) 은 기준 전압 (Vref) 과 분압 회로 (106) 의 분압비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출력 전압 (Vout) 을 외부 제어 단자 (103) 에 입력하는 신호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도 10 에서는, 저항 (151, 152, 153) 에 병렬로 접속된 스위치에 의해 출력 전압 가변형의 레귤레이터를 실현하고 있지만, 저항의 수나 스위치의 수, 스위치의 종류, 스위치를 접속하는 저항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특허문헌 1 참조).
다음으로, 종래의 전압 조정기의 과전류 보호 회로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과전류 보호 회로는, 수하형 과전류 보호 회로와 フ 자형 과전류 보호 회로로 나누어진다. 종래의 과전류 보호 회로에서는, 수하형과 フ 자형 모두 출력 트랜지스터 (105) 에 흐르는 출력 전류 (Iout) 를 검출하고, 출력 트랜지스터 (105) 의 게이트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일정 이상의 출력 전류가 흐르지 않게 동작한다.
도 11 은, 수하형 과전류 보호 회로와 フ 자형 과전류 보호 회로를 병용한 경우의 출력 전압 - 출력 전류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수하형 과전류 보호 회로는 출력 전류 (Iout) 를 일정한 최대 전류 (Im) 로 제한하기 때문에, 최대 전류 (Im) 이상의 전류를 흐르게 하려고 한 경우에 출력 전류 (Iout) 를 일정하게 유지한 채로 출력 전압 (Vout) 을 낮춤으로써, 전압 조정기의 부하에 발생하는 열손실을 작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한편, フ 자형 과전류 보호 회로는, 출력 전압 (Vout) 이 제한 전압 (Vfo) 이하가 되면 출력 전압 (Vout) 의 감소와 비례하여 출력 전류 (Iout) 를 작게 한다. 즉, 출력 전압 (Vout) 이 0V 에 있어서, 출력 전류 (Iout) 를 일정 단락 전류 (Is) 로 고정한다. フ 자형 과전류 보호 회로는 전압 조정기에서 발생하는 열손실을 더욱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최대 전류 (Im) 나 단락 전류 (Is), 제한 전압 (Vfo) 은 회로의 내부에 있어서 미리 설정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2005-293067호
그러나, 종래의 과전류 보호 회로를 구비한 출력 전압 가변형 전압 조정기에서는, 출력 전압 (Vout) 이 최대로 설정되었을 때, 수하형 과전류 보호 회로 동작시의 손실이 커져 버린다.
전압 조정기의 전력 손실 (P) 은, 전원 단자의 입력 전압 (Vin) 으로 하면,
P = (Vin - Vout) × Iout … (1)
로 주어지므로, 입력 전압 (Vin) 과 출력 전압 (Vout) 의 전압차가 클 때에 손실이 최대가 된다. 즉, 수하형 과전류 보호 동작으로부터 フ 자형 과전류 보호 회로의 동작으로 전환되는 도 11 의 (Iout, Vout) = (Im, Vfo) 에 있어서 손실이 최대가 된다. 출력 전압 (Vout) 의 설정치가 클수록, 입력 전압 (Vin) 은 클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출력 전압 (Vout) 의 설정이 클수록 (Iout, Vout) = (Im, Vfo) 에서의 손실은 커서, 과전류 보호 회로가 동작 중이라도 회로의 파괴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져, 회로가 간편하고, 또한 과전류 보호 동작시의 손실을 작게함으로써 더욱 안전성을 높인 출력 전압 가변형 전압 조정기를 제공한다.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수하형과 フ 자형의 과전류 보호 회로를 구비한 출력 전압 가변형 전압 조정기에 있어서, 분압 회로에 입력하는 트리밍 신호에 기초한 신호를 フ 자형 과전류 보호 회로의 제한 전압 (Vfo) 및 단락 전류 (Is) 를 결정하는 가변 저항 회로에 입력하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출력 전압 가변형 전압 조정기에서는, 출력 전압 (Vout) 의 설정치에 맞춰 フ 자형 과전류 보호 회로가 동작하는 전압과 전류를 설정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출력 전압 (Vout) 의 설정치가 클 때, 제한 전압 (Vfo) 을 크게, 단락 전류 (Is) 를 작게 설정함으로써, 전압 조정기의 최대 전류 (Im) 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과전류 보호 회로 동작시에 가장 손실이 커지는 조건에서도 손실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출력 전압 가변형 전압 조정기의 분압 회로에 입력하는 신호를 유용함으로써, 회로 규모를 크게 하지 않고 복수의 출력 전압 설정에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면적 효율에 있어서도 실용성이 높다.
도 1 은, 본 발명의 출력 전압 가변형 전압 조정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 는, 제 1 실시형태의 출력 전압 가변형 전압 조정기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 은, 제 1 실시형태의 출력 전압 가변형 전압 조정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4 는, 제 1 실시형태의 출력 전압 가변형 전압 조정기의 가변 저항의 회로도이다.
도 5 는, 제 1 실시형태의 출력 전압 가변형 전압 조정기의 출력 전압 - 출력 전류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제 2 실시형태의 출력 전압 가변형 전압 조정기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7 은, 제 2 실시형태의 출력 전압 가변형 전압 조정기의 출력 전압 - 출력 전류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은, 제 3 실시형태의 출력 전압 가변형 전압 조정기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9 는, 본 실시형태의 출력 전압 가변형 전압 조정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0 은, 종래의 출력 전압 가변형 전압 조정기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1 은, 종래의 출력 전압 가변형 전압 조정기의 출력 전압 - 출력 전류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출력 전압 가변형 전압 조정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출력 전압 가변형 전압 조정기는, 외부 제어 단자 (103) 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트리밍 신호 생성 회로 (110) 가 변환한 트리밍 신호에 의해, 분압 회로 (106) 의 가변 저항 (141) 과 가변 저항 (142) 을 트리밍함과 함께, フ 자형 과전류 보호 회로 (109) 의 제한 전압 (Vfo) 을 전환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출력 전압 가변형 전압 조정기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2 는, 제 1 실시형태의 출력 전압 가변형 전압 조정기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제 1 실시형태의 출력 전압 가변형 전압 조정기는, 앰프 (104) 와, 출력 트랜지스터 (105) 와, 분압 회로 (106) 와, 기준 전압원 (107) 과, 수하형 과전류 보호 회로 (108) 와, フ 자형 과전류 보호 회로 (109a) 와, 트리밍 신호 생성 회로 (110) 를 구비하고 있다.
フ 자형 과전류 보호 회로 (109a) 는, 출력 전류의 센스 트랜지스터 (121) 와, 가변 저항 회로 (111) 와, NMOS 트랜지스터 (122) 와, 저항 (155) 과, PMOS 트랜지스터 (123) 를 구비하고 있다.
앰프 (104) 는, 반전 입력 단자에 기준 전압원 (107) 의 출력을 접속하고, 비반전 입력 단자에 분압 회로 (106) 의 출력 단자를 접속하고, 출력 단자는 수하형 과전류 보호 회로 (108), フ 자형 과전류 보호 회로 (109a) 및 출력 트랜지스터 (105) 의 게이트에 접속한다. 출력 트랜지스터 (105) 는 소스에 전원 단자 (101) 를 접속하고, 드레인에 출력 단자 (102) 를 접속한다. 분압 회로 (106) 는, 출력 단자 (102) 와 그라운드 단자 (100) 사이에 접속되고, 가변 저항 (141) 과 가변 저항 (142) 의 접속점을 앰프 (104) 의 비반전 입력 단자에 접속한다. 트리밍 신호 생성 회로 (110) 의 입력은 외부 제어 단자 (103) 에 접속하고, 출력은 분압 회로 (106) 및 フ 자형 과전류 보호 회로 (109a) 에 접속한다.
센스 트랜지스터 (121) 는 소스를 전원 단자 (101) 에, 드레인을 NMOS 트랜지스터 (122) 의 게이트에 접속한다. 가변 저항 회로 (111) 는, 일방의 단자를 NMOS 트랜지스터 (122) 의 게이트에 접속하고, 타방의 단자를 그라운드 단자 (100) 에 접속한다. NMOS 트랜지스터 (122) 는, 소스를 출력 단자 (102) 에 접속하고, 드레인을 PMOS 트랜지스터 (123) 의 게이트 및 저항 (155) 의 일방의 단자에 접속한다. 저항 (155) 의 타방의 단자는 전원 단자 (101) 에 접속한다. PMOS 트랜지스터 (123) 는 소스를 전원 단자 (101) 에, 드레인을 출력 트랜지스터 (105) 의 게이트에 접속한다.
다음으로, 제 1 실시형태의 전압 조정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출력 단자 (102) 에 접속되는 부하가 증대되면, 출력 트랜지스터 (105) 에 흐르는 전류 (Iout) 가 증대된다. 전류 (Iout) 가 증대되고, 일정한 최대 전류 (Im) 에 도달하면, 수하형 과전류 보호 회로 (108) 가 동작하여 출력 전압 (Vout) 을 저하시킨다. 이 때, 출력 트랜지스터 (105) 와, 커런트 미러 접속한 센스 트랜지스터 (121) 에 Im 에 비례한 전류가 흘러 가변 저항 회로 (111) 의 양단에 일정한 전압 (Vm) 이 발생한다. 출력 전압 (Vout) 이 일정한 제한 전압 (Vfo) 까지 저하되고, NMOS 트랜지스터 (122) 의 게이트·소스간 전압이 역치 전압을 초과하면, フ 자형 과전류 보호 기능이 동작한다. NMOS 트랜지스터 (122) 는 ON 으로 되어 저항 (155) 에 전류가 흐르고, 저항 (155) 의 양단에 전압이 발생한다. 그러면, PMOS 트랜지스터 (123) 가 ON 으로 되어 출력 트랜지스터 (105) 의 게이트·소스간 전압을 작게 함으로써 출력 전류 (Iout) 는 작아져, 출력 전압 - 출력 전류 특성은 フ 자를 그린다. 제한 전압 (Vfo) 및 출력 전압 (Vout) 이 0V 로 저하되었을 때의 출력 전류, 즉 단락 전류 (Is) 는 가변 저항 회로 (111) 의 저항값에 따라 결정된다.
또, 제 1 실시형태의 전압 조정기는, 다음과 같이 하여 フ 자형 과전류 보호 회로 (109a) 의 제한 전압 (Vfo) 을 전환한다.
분압 회로 (106) 는, 트리밍 신호 생성 회로 (110) 가 출력하는 트리밍 신호를 받아, 가변 저항 (141) 과 가변 저항 (142) 의 양방, 또는 어느 하나의 저항값을 트리밍 함으로써 분압비를 설정한다. 분압 회로 (106) 의 분압비는 전압 조정기의 출력 전압 (Vout) 을 결정한다. フ 자형 과전류 보호 회로 (109a) 는, 트리밍 신호 생성 회로 (110) 가 출력하는 트리밍 신호를 받아, 가변 저항 회로 (111) 의 저항값을 트리밍함으로써 분압비를 설정한다. 그리고, フ 자형 과전류 보호 기능이 동작을 개시하는 제한 전압 (Vfo) 과 단락 전류 (Is) 를 결정한다. 즉, 트리밍 신호 생성 회로 (110) 가 출력하는 트리밍 신호에 의해, 출력 전압 (Vout) 과 フ 자형 과전류 보호 회로의 제한 전압 (Vfo) 과 단락 전류 (Is) 는 연동하여 제어될 수 있다.
도 3 은, 본 실시형태의 출력 전압 가변형 전압 조정기의 가변 저항 회로 (111, 141 및 142) 의 구체예의 일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트리밍 신호 생성 회로 (110) 가 출력하는 트리밍 신호 (φ1, φ2, φ3) 는, 분압 회로 내 (106a) 의 저항 (151, 152, 153) 에 각각 병렬로 접속된 MOS 스위치의 게이트와, 가변 저항 회로 (111a) 의 저항 (156, 157, 158) 에 각각 병렬로 접속된 M0S 스위치의 게이트에 입력된다.
도 3 의 회로의 특징은, 가변 저항 회로 (111a) 와 분압 회로 (106a) 의 저항값을 동일한 트리밍 신호로 바꾸고 있는 점이다. 예를 들어, 트리밍 신호 (φ1) 가 Low 전압을 출력하고 있을 때, 분압 회로 (106a) 의 저항 (151) 에 병렬인 MOS 스위치가 OFF 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저항 (151) 에 전류가 흘러 분압 회로 (106a) 에 있어서의 저항 (154) 이 차지하는 분압비가 작아져, 출력 전압 (Vout) 은 커진다. 한편, フ 자형 과전류 보호 회로 (109a) 의 가변 저항 회로 (111a) 의 저항 (156) 에 병렬로 접속된 MOS 스위치가 동시에 OFF 로 되어 있어, 가변 저항 회로 (111a) 의 저항값은 그만큼 크기 때문에, NMOS 트랜지스터 (122) 의 게이트의 전압은 높아진다. NMOS 트랜지스터 (122) 의 게이트 전압이 높은 경우, フ 자형 과전류 보호 동작이 개시되는 제한 전압 (Vfo) 은 커지기 때문에, 출력 전압 설정이 크기 때문에 전원 전압 (Vin) 이 커져, 레귤레이터 내부에서 발생하는 전력 손실이 커지는 바를, 제한 전압 (Vfo) 을 크게 함으로써 상쇄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가변 저항 회로 (111a) 의 저항값이 큰 정도만큼 단락 전류 (Is) 는 작아진다. 따라서, 단락시의 손실도 작아져, 레귤레이터로서 발열에 따른 위험성은 저하된다.
또한, 도 3 에 있어서는, 분압 회로 (106a) 및 가변 저항 회로 (111a) 를, 저항과 M0S 스위치를 병렬로 접속하고, M0S 스위치의 게이트를 트리밍 신호 생성 회로의 출력에 접속하고, 저항과 스위치의 조합을 3 세트로 구성하고 있는데, 저항의 수나 스위치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가변 저항 회로는 도 4 에 나타내는 회로여도 된다. 도 4 의 가변 저항 회로는, 분압 회로 (106) 의 가변 저항 (141, 142) 및 과전류 보호 회로 (109a) 의 가변 저항 회로 (111) 에 적용된다. M0S 스위치를 직렬로 접속하지 않음으로써, 스위치의 ON 저항이 최소로 1 개밖에 저항값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저항값의 정밀도가 높아져, 출력 전압 및 과전류 보호 회로의 제한 전압 (Vfo) 및 단락 전류 (Is) 의 정밀도를 높이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5 는, 본 실시형태의 전압 조정기의 출력 전압 - 출력 전류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압 조정기의 낮은 출력 전압 설정 (Vout2) 의 조건에 있어서, 전력 손실이 가장 큰 것은 식 (1) 로부터 알 수 있듯이 (Iout, Vout) = (Im, Vfo2) 일 때이다. 한편, 높은 출력 전압 설정 (Vout1) 의 조건에 있어서, 전력 손실이 가장 큰 것은 (Iout, Vout) = (Im, Vfo1) 일 때이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구성하면 제한 전압의 관계는 Vfo2 < Vfo1 이 되기 때문에, 높은 출력 전압의 조건에 있어서도 종래와 같이 전력 손실은 커지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전압 조정기를 사용함으로써, 손실로 인한 발열을 작게 하고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6 은, 제 2 실시형태의 출력 전압 가변형 전압 조정기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6 의 フ 자형 과전류 보호 회로 (109b) 에 관해서 설명한다. フ 자형 과전류 보호 회로 (109b) 이외에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도 6 의 フ 자형 과전류 보호 회로 (109b) 는 NMOS 트랜지스터 (122) 와 저항 (155) 대신에 앰프 (116) 를 구비하고 있다. 앰프 (116) 는, 반전 입력 단자는 센스 트랜지스터 (121) 의 드레인에 접속되고, 비반전 입력 단자는 앰프 (104) 의 비반전 입력 단자에 접속되며, 출력 단자는 PMOS 트랜지스터 (123) 의 게이트에 접속된다.
여기서, 앰프 (116) 는 유한의 오프셋 전압 (Voff) 을 갖고, 가변 저항 회로 (111) 의 저항값과는 관계없이 오프셋 전압 (Voff) 에 따라 단락 전류 (Is) 가 결정된다. 제한 전압 (Vfof) 은 가변 저항 회로 (111) 의 저항값으로 결정된다.
도 7 은, 제 2 실시형태의 전압 조정기의 출력 전압 - 출력 전류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높은 출력 전압 (Vout1) 과 낮은 출력 전압 (Vout2) 각각에 있어서, 단락 전류 (Is) 는 변화하지 않고, 제한 전압 (Vfo) 만이 변화한다. 즉, 단락 전류 (Is) 는 트리밍 신호 생성 회로 (110) 의 출력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따라서, 출력 전압 (Vout) 이 높아짐에 따라 단락 전류 (Is) 가 작아지기 때문에 전압 조정기의 내기동 불량에 대하여 효과가 얻어진다.
여기서, 앰프 (116) 의 비반전 입력 단자를 출력 단자 (102) 또는 분압 회로 (106) 에서 생성되는 다른 출력 단자에 접속해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제 3 실시형태>
도 8 은, 제 3 실시형태의 전압 조정기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8 의 フ 자형 과전류 보호 회로 (109c) 에 관해서 설명한다. フ 자형 과전류 보호 회로 (109c) 이외에는 다른 실시형태의 전압 조정기와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의 フ 자형 과전류 보호 회로 (109c) 는, NMOS 트랜지스터 (122) 와 저항 (155) 대신에, 앰프 (117, 118) 와, 가변 저항 회로 (111b) 와, NMOS 트랜지스터 (124) 를 구비하고 있다.
앰프 (117) 는, 비반전 입력 단자는 앰프 (104) 의 비반전 입력 단자에 접속되고, 반전 입력 단자는 NMOS 트랜지스터 (124) 의 소스와 가변 저항 회로 (111a) 의 일방의 단자에 접속되고, 출력 단자는 NMOS 트랜지스터 (124) 의 게이트에 접속된다. NMOS 트랜지스터 (124) 는, 드레인은 센스 트랜지스터 (121) 의 드레인과, 앰프 (118) 의 반전 입력 단자와, 가변 저항 회로 (111b) 의 일방의 단자에 접속된다. 가변 저항 회로 (111b) 의 타방의 단자는 그라운드 단자 (100) 에 접속된다. 앰프 (118) 는, 비반전 입력 단자는 기준 전압원 (107) 의 출력에 접속되고, 출력 단자는 PMOS 트랜지스터 (123) 의 게이트에 접속된다. 트리밍 신호 생성 회로 (11O) 는, 출력 단자는 가변 저항 회로 (111a, 111b) 에 접속된다.
フ 자형 과전류 보호 회로 (109c) 는, 제한 전압 (Vfo) 을 가변 저항 회로 (111a, 111b) 의 저항값으로 제어하고, 단락 전류 (Is) 를 가변 저항 회로 (111b) 의 저항값으로 제어한다. 따라서, 제한 전압 (Vfo) 과 단락 전류 (Is) 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그로 인해, フ 자형 과전류 보호 회로의 출력 전압 - 출력 전류 특성의 기울기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여기서, 앰프 (117) 는, 비반전 입력 단자를 출력 단자 (102) 또는 분압 회로 (106) 에서 생성되는 다른 출력 단자에 접속해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출력 전압 가변형 전압 조정기에 의하면, 출력 전압 (Vout) 의 설정값이 클 때에 제한 전압 (Vfo) 을 크게 설정함으로써, 전압 조정기의 최대 전류 (Im) 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과전류 보호 회로 동작시에 가장 손실이 커지는 조건에서도 손실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설명에 있어서, 트리밍 신호 생성 회로 (110) 의 입력 단자에 외부 제어 단자 (103) 가 접속된 예에 관해서 설명했는데,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불휘발성 메모리 (112) 를 구비해도 된다.
출력 전압 (Vout) 및 フ 자형 과전류 보호 회로의 제한 전압 (Vfo) 및 단락 전류 (Is) 를 결정하는 제어 정보를 불휘발성 메모리 (112) 에 미리 기록함으로써,전원 투입시에 매회 제어 정보를 입력할 필요가 없어지는 효과가 얻어진다.
100 … 그라운드 단자
101 … 전원 단자
102 … 출력 단자
103 … 외부 제어 단자
104 … 앰프
105 … 출력 트랜지스터
106 … 분압 회로
107 … 기준 전압원
108 … 수하형 과전류 보호 회로
109 … フ 자형 과전류 보호 회로
110 … 트리밍 신호 생성 회로
111 … 가변 저항 회로
112 … 불휘발성 메모리

Claims (6)

  1. 출력 트랜지스터와, 상기 출력 트랜지스터가 출력 단자에 출력하는 출력 전압을 분압하는 분압 회로와, 상기 분압 회로가 출력하는 분압 전압과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출력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앰프와, 수하형 과전류 보호 회로와, フ 자형 과전류 보호 회로와, 트리밍 신호 생성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트리밍 신호 생성 회로가 출력하는 트리밍 신호에 의해 분압 회로의 저항이 트리밍됨으로써, 출력 전압이 변경 가능한 전압 조정기로서,
    상기 트리밍 신호에 의해 상기 フ 자형 과전류 보호 회로의 제한 전압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조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フ 자형 과전류 보호 회로는, 게이트 단자가 상기 앰프의 출력에 접속된 센스 트랜지스터와, 일단이 상기 센스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접속된 가변 저항 회로와, 상기 가변 저항 회로에 발생하는 전압에 따라 상기 출력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트리밍 신호에 의해 상기 가변 저항 회로의 저항값이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조정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フ 자형 과전류 보호 회로는, 게이트 단자가 상기 앰프의 출력에 접속된 센스 트랜지스터와, 일단이 상기 센스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접속된 가변 저항 회로와, 상기 가변 저항 회로에 발생하는 전압과 상기 분압 전압의 차이에 따라 상기 출력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트리밍 신호에 의해 상기 가변 저항 회로의 저항값이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조정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フ 자형 과전류 보호 회로는, 앰프에 의해 상기 가변 저항 회로에 발생하는 전압과 상기 분압 전압의 차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조정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フ 자형 과전류 보호 회로는, 게이트 단자가 상기 앰프의 출력에 접속된 센스 트랜지스터와, 드레인이 상기 센스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접속된 제 2 트랜지스터와, 일단이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소스에 접속된 제 1 가변 저항 회로와, 상기 제 1 가변 저항 회로에 발생하는 전압과 상기 분압 전압의 차이에 따라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를 제어하는 제 1 앰프와, 일단이 상기 센스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접속된 제 2 가변 저항 회로와, 상기 제 2 가변 저항 회로에 발생하는 전압과 상기 기준 전압의 차이에 따라 상기 출력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를 제어하는 제 2 앰프를 구비하고,
    상기 트리밍 신호에 의해 상기 제 1 가변 저항 회로와 상기 제 2 가변 저항 회로의 저항값이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조정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밍 신호 생성 회로에 입력되는 트리밍 데이터는 불휘발성 기억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조정기.
KR1020130010357A 2012-01-31 2013-01-30 전압 조정기 KR1020076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18668A JP5950591B2 (ja) 2012-01-31 2012-01-31 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
JPJP-P-2012-018668 2012-01-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8800A true KR20130088800A (ko) 2013-08-08
KR102007630B1 KR102007630B1 (ko) 2019-08-06

Family

ID=48836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0357A KR102007630B1 (ko) 2012-01-31 2013-01-30 전압 조정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459641B2 (ko)
JP (1) JP5950591B2 (ko)
KR (1) KR102007630B1 (ko)
CN (1) CN103226370B (ko)
TW (1) TW20134733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72006A4 (en) * 2017-12-11 2020-12-02 Lg Chem, Ltd. SHORT-CIRCUIT PREVENTION DEVICE AND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10165B2 (ja) * 2013-09-30 2019-05-08 ラピス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オペアンプ
CN103488224B (zh) * 2013-10-10 2015-03-25 中国科学院上海高等研究院 基于比值来调节数字电位器的方法、系统及电路
CN104749413A (zh) * 2013-12-31 2015-07-01 北京北方微电子基地设备工艺研究中心有限责任公司 静电卡盘电源的电流检测装置和电流检测方法
US9871390B2 (en) * 2014-09-02 2018-01-16 Silergy Corp. Battery protection integrated circuit applied to battery charging/discharging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resistances of voltage divider of battery protection integrated circuit
JP6520102B2 (ja) * 2014-12-17 2019-05-29 富士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電流制限方法
JP6506133B2 (ja) * 2015-08-10 2019-04-24 エイブリック株式会社 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
US10394259B2 (en) * 2015-08-28 2019-08-27 Stmicroelectronics S.R.L. Current limiting electronic fuse circuit
CN105491726B (zh) * 2016-01-05 2017-05-10 杰华特微电子(杭州)有限公司 一种自适应电流控制电路
JP6624979B2 (ja) * 2016-03-15 2019-12-25 エイブリック株式会社 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
CN105869592B (zh) * 2016-06-01 2018-09-07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以及切角电路
EP3273320B1 (en) 2016-07-19 2019-09-18 NXP USA, Inc. Tunable voltage regulator circuit
JP6957892B2 (ja) * 2016-08-02 2021-11-02 富士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特性評価方法
CN108073213A (zh) 2016-11-17 2018-05-25 成都华为技术有限公司 单板电源电压在线调整电路
JP6971129B2 (ja) * 2017-11-15 2021-11-24 新日本無線株式会社 電流センスアンプ回路及び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CN110045778B (zh) 2018-01-16 2020-07-31 智原科技股份有限公司 电压产生装置及其校准方法
CN110058631B (zh) * 2018-01-18 2022-07-29 恩智浦美国有限公司 具有前馈电路的电压调节器
JP7008523B2 (ja) * 2018-02-05 2022-01-25 エイブリック株式会社 過電流制限回路、過電流制限方法及び電源回路
JP7065660B2 (ja) * 2018-03-22 2022-05-12 エイブリック株式会社 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
JP7031983B2 (ja) * 2018-03-27 2022-03-08 エイブリック株式会社 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
CN108539979B (zh) * 2018-05-02 2020-11-17 成都芯源系统有限公司 直流变换器及电压直流变换方法
US11698653B2 (en) * 2019-07-23 2023-07-11 Arm Limited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a biasing current
US11392155B2 (en) * 2019-08-09 2022-07-19 Analog Devices International Unlimited Company Low power voltage generator circuit
CN113009956B (zh) * 2019-12-19 2022-05-27 圣邦微电子(北京)股份有限公司 一种低压差线性稳压器及其控制电路
CN114460994A (zh) * 2020-11-09 2022-05-10 扬智科技股份有限公司 电压调整器
CN114460991A (zh) * 2020-11-09 2022-05-10 扬智科技股份有限公司 电压调整装置及其模式切换检测电路
US11894094B1 (en) * 2022-10-14 2024-02-06 Nanya Technology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3067A (ja) 2004-03-31 2005-10-20 Seiko Instruments Inc 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
JP2008193761A (ja) * 2007-02-01 2008-08-21 Seiko Instruments Inc 過電流保護回路および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
JP2009087293A (ja) * 2007-10-03 2009-04-23 Nec Electronics Corp 安定化電源回路
KR20090088807A (ko) * 2008-02-15 2009-08-20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전압 조정기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72350A (en) * 1979-11-19 1981-06-16 Advantest Corp Variable current source
JPH09297623A (ja) * 1996-05-08 1997-11-18 Toyo Commun Equip Co Ltd 電圧/電流レギュレータ回路
US6016245A (en) * 1998-03-13 2000-01-18 Intel Corporation Voltage overshoot protection circuit
JP2003216252A (ja) * 2001-11-15 2003-07-31 Seiko Instruments Inc 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
JP3782726B2 (ja) * 2001-12-13 2006-06-07 株式会社リコー 過電流保護回路
JP4353826B2 (ja) * 2004-02-26 2009-10-28 株式会社リコー 定電圧回路
WO2006016456A1 (ja) * 2004-08-10 2006-02-16 Rohm Co., Ltd 回路の保護方法、保護回路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電源装置
JP4616067B2 (ja) * 2005-04-28 2011-01-19 株式会社リコー 定電圧電源回路
US7239557B2 (en) * 2005-06-17 2007-07-03 Micron Technology, Inc. Program method with optimized voltage level for flash memory
US7501801B2 (en) * 2005-06-30 2009-03-10 Potentia Semiconductor Inc. Power supply output voltage trimming
JP4758731B2 (ja) * 2005-11-11 2011-08-31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定電圧電源回路
US7911191B2 (en) * 2006-08-14 2011-03-22 Infineon Technologies Ag Drop-out voltage monitoring method and apparatus
JP2008117176A (ja) * 2006-11-06 2008-05-22 Seiko Instruments Inc 電圧制御回路
US8086355B1 (en) * 2007-02-28 2011-12-27 Global Embedded Technologies, Inc. Method, a system, a computer-readable medium, and a power controlling apparatus for applying and distributing power
JP2008276611A (ja) * 2007-05-01 2008-11-13 Nec Electronics Corp 過電流保護回路
US8174251B2 (en) * 2007-09-13 2012-05-08 Freescale Semiconductor, Inc. Series regulator with over current protection circuit
US7705579B1 (en) * 2008-01-14 2010-04-27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faster unloading of transient response in a synchronous buck switching regulator
KR100967028B1 (ko) * 2008-06-03 2010-06-30 삼성전기주식회사 전류원을 이용한 소프트 스타트를 갖는 레귤레이터
JP5407510B2 (ja) * 2008-08-29 2014-02-05 株式会社リコー 定電圧回路装置
US7619402B1 (en) * 2008-09-26 2009-11-17 Hong Kong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 Ltd. Low dropout voltage regulator with programmable on-chip output voltage for mixed signal embedded applications
JP5287191B2 (ja) * 2008-12-03 2013-09-11 株式会社リコー ヒステリシス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及びその動作制御方法
TWI381169B (zh) * 2009-01-14 2013-01-01 Prolific Technology Inc 電壓穩壓電路
JP5580608B2 (ja) * 2009-02-23 2014-08-27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
US8169202B2 (en) * 2009-02-25 2012-05-01 Mediatek Inc. Low dropout regulators
JP2010286953A (ja) * 2009-06-10 2010-12-24 Mitsumi Electric Co Ltd 電源制御用半導体集積回路
US8754620B2 (en) * 2009-07-03 2014-06-17 Stmicroelectronics International N.V. Voltage regulator
JP5558964B2 (ja) * 2009-09-30 2014-07-23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
TWI427455B (zh) * 2011-01-04 2014-02-21 Faraday Tech Corp 電壓調整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3067A (ja) 2004-03-31 2005-10-20 Seiko Instruments Inc 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
JP2008193761A (ja) * 2007-02-01 2008-08-21 Seiko Instruments Inc 過電流保護回路および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
JP2009087293A (ja) * 2007-10-03 2009-04-23 Nec Electronics Corp 安定化電源回路
KR20090088807A (ko) * 2008-02-15 2009-08-20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전압 조정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72006A4 (en) * 2017-12-11 2020-12-02 Lg Chem, Ltd. SHORT-CIRCUIT PREVENTION DEVICE AND METHOD
US11269018B2 (en) 2017-12-11 2022-03-08 Lg Energy Solution,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short circu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226370A (zh) 2013-07-31
JP5950591B2 (ja) 2016-07-13
CN103226370B (zh) 2016-06-15
KR102007630B1 (ko) 2019-08-06
JP2013156926A (ja) 2013-08-15
TW201347336A (zh) 2013-11-16
US9459641B2 (en) 2016-10-04
US20130193939A1 (en) 2013-08-01
TWI562494B (ko) 2016-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7630B1 (ko) 전압 조정기
KR101435238B1 (ko) 볼티지 레귤레이터
KR101012566B1 (ko) 전압 레귤레이터
JP5516320B2 (ja) レギュレータ用半導体集積回路
KR101618612B1 (ko) 전압 조정기
US8680828B2 (en) Voltage regulator
KR101109308B1 (ko) 전압 레귤레이터
KR102187403B1 (ko) 볼티지 레귤레이터
US9891643B2 (en) Circuit to improve load transient behavior of voltage regulators and load switches
US9645593B2 (en) Voltage regulator
EP1947544A1 (en) Voltage regulator and method for voltage regulation
US20130049721A1 (en) Linear Regulator and Control Circuit Thereof
KR20170018772A (ko) 볼티지 레귤레이터
KR20140110792A (ko) 정전압 회로
KR20120089205A (ko) 전압 조정기
TW201013355A (en) Low drop out regulator with fast current limit
CN104423408A (zh) 稳压器
KR102390730B1 (ko) 과전류 보호 회로 및 전압 레귤레이터
US10761549B2 (en) Voltage sensing mechanism to minimize short-to-ground current for low drop-out and bypass mode regulators
KR102195982B1 (ko) 볼티지 레귤레이터
CN203422692U (zh) 一种低压差线性稳压器及其软启动电路
JP2019164800A (ja) 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
WO2023084948A1 (ja) 過電流保護回路、電源装置
JP5410305B2 (ja) 電源回路
KR101319827B1 (ko) 전류 제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