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7601A - 용기의 충전물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용기의 충전물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7601A
KR20130087601A KR1020137016917A KR20137016917A KR20130087601A KR 20130087601 A KR20130087601 A KR 20130087601A KR 1020137016917 A KR1020137016917 A KR 1020137016917A KR 20137016917 A KR20137016917 A KR 20137016917A KR 20130087601 A KR20130087601 A KR 201300876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
annular
base end
support
annular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6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2798B1 (ko
Inventor
야스유키 시라이시
켄지 오니시
토모유키 후지타
마사토 츠지
신지 히라모토
Original Assignee
타이세이카코 카부시키가이샤
시오노기세이야쿠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세이카코 카부시키가이샤, 시오노기세이야쿠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타이세이카코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87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7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2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2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D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31B OR B31C
    • B31D5/00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B31D5/0039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for making dunnage or cushion pads
    • B31D5/0069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for making dunnage or cushion pads including forming or transforming three-dimensional material, e.g. corrugated webs or material of cellula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4Applications of resilient shock-absorbing materials, e.g. foamed plastics material, honeycomb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5/00Preserving, protecting or purifying packages or package content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55/20Embedding contents in shock-absorbing media, e.g. plastic foam, granula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means for keeping contents in position, e.g. resilien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D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31B OR B31C
    • B31D2205/00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B31D2205/0005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for making dunnage or cushion pads
    • B31D2205/0011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for making dunnage or cushion pads including particular additional operations
    • B31D2205/0017Providing stock material in a particular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D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31B OR B31C
    • B31D2205/00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B31D2205/0005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for making dunnage or cushion pads
    • B31D2205/0011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for making dunnage or cushion pads including particular additional operations
    • B31D2205/0047Feeding, guiding or shaping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D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31B OR B31C
    • B31D2205/00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B31D2205/0005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for making dunnage or cushion pads
    • B31D2205/0011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for making dunnage or cushion pads including particular additional operations
    • B31D2205/0064Stabilizing the shape of the final product, e.g. by mechanical interlo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ckage Closures (AREA)
  • Buffer Packag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Packaging Of Machine Parts And Wound Products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확하고 또한 신속하게 덩어리형 내지 구형으로 감아올릴 수 있는 용기의 충전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신축성을 갖는 통 형상의 네트를 기둥형의 지지체에 씌우는 제 1 공정과, 상기 네트의 둘레방향 다수 위치에 배치된 회동 부재에 의해서 상기 네트의 선단부를 직경 방향 바깥쪽 또는 안쪽으로 강제적으로 되감으면서 상기 회동 부재를 상기 네트의 기단측을 향하여 축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회동 부재의 회동과 축방향 이동에 의해서 네트 선단부를 전동시키면서 권회함으로써 상기 네트를 직경 방향 바깥쪽 또는 안쪽으로 다중으로 권회하여 이루어지는 환형 권회부를 형성하는 제 2 공정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용기의 충전물의 제조 방법{CONTAINER PACK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용기의 충전물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제조 방법에 적합하게 이용 가능한 통형 네트의 권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 출원인들은 고형 약제용 용기의 상부 공간에 대한 새로운 형태의 충전물 및 그 제조 장치를 개발하여, 특허문헌 1 또는 2에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40335호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276754호
이러한 제조 장치는 일단이 폐색된 통 형상의 네트를 기둥형의 지지체에 씌우고, 상기 네트의 개방단측으로부터 통 형상의 네트를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권회하여 감으로써 덩어리형(塊狀) 내지 구형(球狀)으로 감아올리는 것이다.
그러나, 시작기를 사용하여 실제로 감아올리면, 폐색된 일단부로부터 덩어리형 내지 구형의 권회부까지의 감아올려지지 않은 부분의 길이가 30 내지 50 mm 정도나 잔존하여, 장치에 의한 권회 후에 수작업으로 감아올려, 형을 정돈하는 작업이 필요하였다.
또한, 네트의 선단부를 권회하도록 안내하는 만곡부를 갖는 감아올림 부재를 지지체의 외주부에 배치한 경우, 네트의 선단부를 지지체의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향하여 가압하여 확장하면서 축방향 기단측으로 되감을 때에, 네트의 개방단이 만곡부에 걸려, 원활하고 또한 정상적으로 감아올려지지 않는 일도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이 경우, 네트는 루즈 삭스(loose socks) 모양이 될 뿐이며, 거의 덩어리형 내지 구형으로 형성시킬 수 없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정확하고 또한 신속하게 덩어리형 내지 구형으로 감아올릴 수 있는 용기의 충전물의 제조 방법 및 통형 네트의 권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의 기술적 수단을 강구하였다.
즉, 본 발명의 용기의 충전물의 제조 방법은 신축성을 갖는 통 형상의 네트를 기둥형의 지지체에 씌우는 제 1 공정과, 상기 네트의 둘레방향 다수 위치에 배치된 회동 부재에 의해서 상기 네트의 선단부를 직경 방향 바깥쪽 또는 안쪽으로 강제적으로 되감으면서 상기 회동 부재를 상기 네트의 기단측으로 향하여 축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회동 부재의 회동과 축방향 이동에 의하여 네트 선단부를 전동시키면서 권회함으로써 상기 네트를 직경 방향 바깥쪽 또는 안쪽으로 다중으로 권회하여 이루어지는 환형 권회부를 형성하는 제 2 공정을 구비한다. 이것에 의하면, 회동 부재의 회동에 의해서 네트 선단부를 강제적으로 직경 방향 바깥쪽 또는 안쪽으로 감아올리기 때문에, 권회 불량이 생기는 것을 대폭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회동 부재가 네트 선단부에 접촉하는 부분의 회전 속도와, 회동 부재의 축방향으로의 이동 속도를 조정함으로써, 환형 권회부의 권회 밀도나, 환형 권회부의 직경이나 높이 등을 제어할 수 있고, 사용하는 네트의 재질 등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형 네트를 직경 방향 바깥쪽 또는 안쪽으로 다중으로 권회하여 이루어지는 환형 권회부를 형성한 후, 상기 환형 권회부의 기단측 측부에 접촉하는 홀더에 의해서 환형 권회부를 지지하면서 환형 권회부로부터 기단측으로 돌출하는 네트를 기단측으로 상대적으로 끌어냄으로써, 환형 권회부를 조밀하게 조이는 제 3 공정을 구비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면, 환형 권회부의 사이즈나 형상을 한층 더 균일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축성을 갖는 통 형상의 네트를 기둥형의 지지체에 씌우는 제 1 공정과, 상기 네트의 둘레방향 다수 위치에 배치된 안내부재에 의해서 상기 네트의 선단부를 직경 방향 바깥쪽 또는 안쪽으로 되감으면서 상기 안내부재를 상기 네트의 기단측으로 향하여 축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네트를 직경 방향 바깥쪽 또는 안쪽으로 다중으로 권회하여 이루어지는 환형 권회부를 형성하는 제 2 공정과, 환형 권회부를 형성한 후, 상기 환형 권회부의 기단측 측부에 접촉하는 홀더에 의해서 환형 권회부를 지지하면서 환형 권회부로부터 기단측으로 돌출하는 네트를 기단측으로 상대적으로 끌어냄으로써, 환형 권회부를 조밀하게 조이는 제 3 공정을 구비하는 용기의 충전물의 제조 방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안내부재는 상기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제조 장치의 감아올림 수단과 동일한 구성으로 해도 좋고, 또한, 상기한 회동 부재에 의해 구성하여도 좋고, 상기한 회동 부재와 함께 설치하고, 상기한 회동 부재와 함께 작동하여 네트를 감아올리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홀더에 의해서 지지되는 환형 권회부는 지지체의 단부에 보유시킨 상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환형 권회부를 죌 때에 지지체 단부로부터 이탈시켜도 좋다. 또한, 환형 권회부로부터 기단측으로 돌출하는 네트의 끌어냄 조작은 상기 부분의 네트를 붙잡는 잡음부를 갖는 조임 기구에 의해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잡음부는 네트에 생기는 인장력에 따라서 네트에 대하여 미끄러짐을 생기게 하는 것이어도 좋고, 이것에 의하면 네트에 커다란 인장력이 작용하였을 때는 미끄러짐에 의해 그 이상의 끌어냄을 방지할 수 있어, 네트의 파손이나 깨짐을 방지할 수 있지만, 미끄러짐을 생기게 하지 않은 것이어도 좋다.
상기 각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제 3 공정 후, 환형 권회부로부터 기단측으로 돌출하는 네트를 축방향 소정 위치에서 절단함으로써 형성되는 네트 기단부를 고착하고, 상기 기단부를 폐색하는 제 4 공정을 더 가질 수 있다. 이것에 의하면, 길이가 긴 끈 모양의 네트를 순차 공급하면서 다수의 제품을 제조할 수 있고, 제조 라인의 자동화를 도모할 수 있어, 양산에 의한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도 있다. 또, 환형 권회부로부터 기단측으로 돌출하는 네트의 축방향 소정 위치를 고착한 후, 상기 고착 부분을 절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4 공정에서, 절단 후에 추출 척을 통하여 환형 권회부를 꺼낼 때에, 척에 고주파 등의 가열기구를 설치해 두면, 꺼내면서 네트 기단부를 고착할 수 있어, 더욱 제조 라인의 자동화를 도모할 수 있어, 양산에 의한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2 공정중, 지지체의 네트 기단측 단부 근방의 네트의 축방향 중도부를, 지지체의 네트 기단측 단부에 보유시켜 두는 것이 좋다. 이것에 의하면, 회동 부재나 안내부재에 의한 네트 감아올림의 최종 단계에서, 네트가 지지체의 단부로부터 미끄러져 떨어지는 것이 방지되고, 소정 위치까지 확실하게 감아올릴 수 있게 된다.
상기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이하의 권회 장치를 이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통형 네트의 권회 장치는 신축성을 갖는 통 형상의 네트를 씌우기 위한 기둥형의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씌워진 네트의 선단부를 직경 방향 바깥쪽 또는 안쪽으로 강제적으로 되감는 회동 부재와, 상기 회동 부재를 상기 네트의 기단측으로 향하여 축방향으로 구동하는 구동장치를 구비하고, 회동 부재의 회동과 축방향 이동에 의해서 네트 선단부를 전동시키면서 권회함으로써 상기 네트를 직경 방향 바깥쪽 또는 안쪽으로 다중으로 권회하여 이루어지는 환형 권회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지지체는 씌워진 통형 네트가 직경 방향으로 신장시킨 상태가 되는 직경을 갖는 원주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지지체는 내부가 공동이어도 좋다. 지지체는 연직으로 세워져 있거나 매달려 있어도 좋고, 또한, 수평으로 횡설(橫設)되어 있어도 좋다. 지지체는 그 일단부를 판형 내지 프레임형의 대좌(臺座)에 고정할 수 있고, 상기 지지체의 선단부로부터 통형 네트를 씌울 수 있다. 상기 지지체의 선단부(바꿔 말하면, 네트 기단측 단부)에는 선단측에 도달함에 따라서 소직경이 되는 테이퍼면 형상의 어깨부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것에 의하면 네트의 선단부를 어깨부에 의해 안내하여, 네트를 지지체에 씌우는 것이 한층 더 원활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지지체의 네트 기단측 단부 근방의 네트의 축방향 중도부를 지지체의 네트 기단측 단부에 보유하는 보유 자세와, 상기 보유를 해방하는 해방 자세로 자세 변경 가능한 홀더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자세 변경의 구체적 형태는 홀더의 평행 이동에 의한 위치 변경, 홀더의 회전, 홀더의 변형 내지 홀더의 물리적 특성의 변화, 및 이들의 조합 등, 네트의 보유와 해방의 작용을 나타내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다. 또한, 네트의 보유는 네트를 감아올릴 때에 네트가 지지체로부터 미끄러짐에 의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면 좋고, 확실하게 고정할 필요는 없다.
상기 본 발명의 권회 장치는 형성된 환형 권회부의 기단측 측부에 접촉하는 홀더와, 환형 권회부를 홀더에 의해 지지하면서 환형 권회부로부터 기단측으로 돌출하는 네트를 기단측으로 상대적으로 끌어냄으로써 환형 권회부를 조밀하게 조이는 조임 기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 상기 홀더는 상기한 네트 축방향 중도부를 해방 가능하게 보유하는 홀더와 다른 부재에 의해 구성하여도 좋고, 또한, 동일한 홀더를 공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신축성을 갖는 통 형상의 네트를 씌우기 위한 기둥형의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씌워진 네트의 선단부에 접촉하여 직경 방향 바깥쪽 또는 안쪽으로 되감도록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안내부재를 상기 네트의 기단측으로 향하여 축방향으로 구동하는 제 1 구동장치와, 안내부재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서 상기 네트를 직경 방향 바깥쪽 또는 안쪽으로 다중으로 권회하여 이루어지는 환형 권회부를 형성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형성된 환형 권회부의 기단측 측부에 접촉하는 홀더와, 환형 권회부를 홀더에 의해 지지하면서 환형 권회부로부터 기단측으로 돌출하는 네트를 기단측으로 상대적으로 끌어냄으로써 환형 권회부를 조밀하게 조이는 조임 기구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형 네트의 권회 장치로 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지지체의 네트 기단측 단부 근방의 네트의 축방향 중도부를 지지체의 네트 기단측 단부에 보유하는 보유 자세와, 상기 보유를 해방하는 해방 자세로 자세 변경 가능하여도 좋다.
상기 조임 기구는 다양한 구성으로 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네트 내부에 들어가는 웨이트와, 상기 웨이트를 수용하는 환형의 웨이트 홀더와, 상기 웨이트 홀더를 지지체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구동하는 제 2 구동장치를 구비하는 것이라도 좋다. 이것에 의하면, 웨이트와 웨이트 홀더의 사이에 끼워지는 네트가, 웨이트의 자체 무게에 의해서 여기에 붙잡히고, 제 2 구동장치를 구동함으로써 지지체에 대하여 네트 기단측으로 끌어넣을 수 있어,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하면서도 네트의 감아올림을 신속하고 또한 확실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지지체는 그 축심이 연직으로 배치되고, 웨이트는 지지체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웨이트 홀더에 대하여 지지체를 상방으로 구동하는 제 3 구동장치를 구비하고, 지지체를 상방 구동하였을 때 상기 지지체의 상단에 웨이트가 탑재되고, 상기 웨이트가 웨이트 홀더로부터 상방으로 떨어져 나가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이것에 의하면, 제 3 구동장치의 구동에 의해 필요에 따라서 웨이트에 의한 네트의 보유와 해방을 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웨이트는 그 최대 직경이 네트를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신장시키기에 충분한 크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권회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보다도 네트 기단측에서 통형 네트의 비틀림을 검지하는 비틀림 검지장치와, 상기 비틀림 검지장치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웨이트를 회전 구동함으로써 통형 네트의 비틀림을 해소시키는 비틀림 복귀 기구를 구비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면, 지지체에 네트를 씌우기 전에 네트의 비틀림을 검지장치에 의해서 검지하고, 웨이트의 회전 구동에 의해 비틀림을 시정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웨이트와 웨이트 홀더에 의해 네트를 끼우고 있을 때에 웨이트 및, 웨이트 홀더를 동일 방향으로 회전 구동함으로써 비틀림을 방지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웨이트의 회전 구동은 웨이트 홀더를 통하여 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웨이트의 최대 직경을 지지체의 외경과 거의 같게 하는 것이 좋다. 이것에 의하면, 네트가 웨이트를 통과할 때에 미리 직경이 확대됨으로써, 통형 네트의 비틀림을 지지체에 씌우기 전에 완화할 수 있어, 지지체로의 네트의 피착(被着) 상태가 더욱 양호한 것으로 된다. 이와 같이 미리 네트를 직경이 확대하도록 네트가 외주면을 통과하는 부재를 별도로 설치해도 좋다. 이러한 예비 확경부재(擴徑部材)는 네트를 지지체에 씌우기 직전의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웨이트를 설치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웨이트의 전후 어디든 예비 확경부재를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지지체와 조임 기구의 사이에서 통형 네트의 선단부를 파지(把持)하고, 그 위치로부터 지지체에 소정의 축방향 길이에 걸쳐 네트를 씌우도록 축방향으로 구동되는 캐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하나의 환형 권회부를 갖는 제품을 형성한 후, 환형 권회부로부터 돌출하는 네트 기단부를 절단하면, 네트의 개구단이 지지체와 조임 기구의 사이에 형성되지만, 이러한 개구단을 즉석으로 캐치에 의해 파지하여 지지체측으로 네트를 끌어넣음으로써 다음의 네트를 지지체에 씌울 수 있다.
조임 기구는 상기 구성 외에, 웨이트를 자체 무게가 아닌 전자석에 의한 자력을 이용하여 웨이트 홀더에 가압 또는 떨어지게 할 수 있고, 특히 지지체를 가로로 설치시켰을 때에는 자력에 의한 웨이트의 작동은 유효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체의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부를 설치하고, 상기 오목부에 상기 회동 부재의 일부를 삽입시키는 것이 좋다. 여기에서 "오목부"는 바닥이 있는 홈 및 슬릿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회동 부재를 더욱 확실하게 네트 선단부에 접촉시켜 되감을 수 있다.
또한, 회동 부재는 환형의 벨트로 이루어지는 무한 궤도대(軌道帶)이고, 상기 벨트의 둘레회전(周回) 궤도는 상기 지지체의 외주면의 직경 방향 내외에 걸쳐 있는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동 부재의 표면에는 네트 선단부에 걸리기 쉽게 하기 위해서 요철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환형 벨트에 의해 회동 부재를 구성하는 경우는 그 표면에 지그재그 모양으로 요철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지지체의 외측 표면은 원활한 것이어도 좋고, 또한, 네트를 씌울 때는 네트에 걸리거나 큰 저항을 발생하지 않지만, 지지체로부터 벗겨내는 방향으로의 네트의 지지체에 대한 축방향 이동에 대해서는 걸림이나 저항을 발생시킬 수 있는 표면 가공이나 표면 처리가 이루어져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권회 장치는 형성된 환형 권회부의 기단측에서 네트를 절단하는 네트 절단 기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절단기구는, 커터 등으로 이루어지는 기계적 절단 기구라도 좋고, 네트의 융점 이상으로 가열된 전열선에 의해 네트를 달구어서 자르는 것도 좋으며, 그 외 종래 공지의 적절한 절단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형성된 환형 권회부의 기단측에서 네트의 축방향 중도부를 용융 고화시키는 네트 용착 기구를 갖고 있어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착기구에 의한 용착 부위보다도, 상기 절단기구에 의한 절단 부위쪽이 네트 기단측이 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본 발명의 통형 네트의 권회 장치를 사용하여 네트를 직경 방향 바깥쪽 또는 안쪽으로 다중으로 권회하여 이루어지는 환형 권회부를 구비하는 용기의 충전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충전물의 제조 방법이다.
또, 통형 네트의 재질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플라스틱,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에스테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또는 나일론 등을 적용할 수 있지만, 이들의 발포체이어도 마찬가지로 이용할 수 있다. 네트의 선직경이나 소형 포장 용기내에서 고형제의 충전물에 적용하기 때문에, 직경 5m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네트의 망의 크기는 사용시에는 포장 용기내에서 압축되기 때문에 고형제가 짜임의 코로부터 빠져 나오는 경우는 없지만, 한 변이 20mm 이하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실용적이다. 또한, 짜임 코의 형상은 마름모형에 한정되지 않고, 정사각형, 직사각형, 삼각형, 육각형 또는 원형 등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본 발명에 따르면, 네트 규격의 재질(예를 들면 LDPE/L-LDPR 배합비), 짜임 코, 실(絲) 수, 절경(折徑), 연신 배율이 다른 경우라도, 회동 부재의 회전수, 각 구동장치의 구동 속도의 상관 관계에 의해서, 장치의 형을 교체(型替)하지 않고, 각 부의 조정에 의해서 통형 네트를 정확하고 또한 신속하게 덩어리형 내지 구형으로 감아올릴 수 있어, 그 사이즈나 형상을 제어할 수도 있으며, 제품의 생산성이나 수율도 향상되고, 환형 권회부를 갖는 용기의 충전물을 저가로 양산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일단이 폐색되어 있지 않고, 연속 공급되는 통 형상의 네트로부터 환형 권회부를 갖는 충전물을 양산하기 위해서 적합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네트의 권회 장치의 전체 정면도.
도 2는 상기 장치의 일부 단면 전체 측면도.
도 3은 상기 장치의 전체 배면도.
도 4는 도 2의 A-A선 화살표로 본 도면.
도 5는 2의 B-B선 화살표로 본 단면도.
도 6은 도 2의 C-C선 화살표로 본 단면도.
도 7은 상기 장치의 지지체의 확대 정면도.
도 8은 상기 확대측 측면도.
도 9는 상기 장치의 네트 피착기구 및 홀더의 확대 정면도.
도 10은 상기 장치의 확대 측면도.
도 11은 캐치를 3개 설치한 네트 피착기구의 확대 평면도.
도 12는 상기 장치의 롤러벨트 유닛의 확대 평면도.
도 13은 상기 장치의 확대 정면도.
도 14는 상기 장치의 확대 측면도.
도 15는 안내부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6은 안내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7은 안내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8은 상기 장치의 조임 기구를 도시하는 확대 정면도.
도 19는 상기 장치의 확대 측면도.
도 20은 상기 장치의 평면도.
도 21은 네트 꺼냄 장치의 평면도.
도 22는 네트 꺼냄 장치의 정면도.
도 23은 네트 꺼냄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24는 네트 꺼냄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25는 네트 꺼냄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26은 네트 꺼냄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27은 네트 꺼냄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28은 상기 장치를 사용한 용기의 충전물의 제조 공정도.
도 29는 상기 장치를 사용한 용기의 충전물의 제조 공정도.
도 30은 상기 장치를 사용하여 제조된 용기의 충전물의 모식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통형 네트의 권회 장치(1)의 전체 조직도 및 주요부 횡단면을 도시하고, 상기 장치(1)는 저면측에 캐스터(2; caster) 및 설치각(3)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4; 기대)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상에 세워지는 프레임(5)과, 내부가 공동의 원기둥형의 지지체(6)와, 네트를 지지체(6)에 씌우는 네트 피착기구(7)와, 지지체(6)에 씌워진 네트를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권회하면서 감아올리는 감아올림 기구(8)와, 홀더(9)와, 환형 권회부를 홀더(9)에 의해 지지하면서 환형 권회부로부터 기단측으로 돌출하는 네트를 기단측으로 상대적으로 끌어냄으로써 환형 권회부를 조밀하게 조이는 조임 기구(10)와, 네트를 지지체(6)에 씌우기 전에 네트의 비틀림을 검지하는 비틀림 검지장치(50)와, 비틀림 검지장치(50)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통형 네트의 비틀림을 해소시키는 비틀림 복귀 기구(60)를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5)의 상단부에는 지지아암(36)을 통하여 롤러(37)가 회전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롤러(37)는 후술하는 웨이트(40)의 상방에 위치하고, 롤형으로 권회된 네트 권체로부터 풀려나오는 네트를 안내한다.
지지체(6)의 선단부에는 도 7 및 도 8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끝이 좁아지는 형상의 어깨부(6a)를 개재하여 소직경 축부(6b)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체(6) 외주면에는 축방향 거의 전 길이에 걸쳐서 연장되는 슬릿(6c; 오목부)이 둘레방향 다수 위치(도면에 있어서 4개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슬릿(6c)을 직경 방향 내외로 통과하도록 후술하는 롤러벨트(30)가 각각 배치되어 있고, 각 롤러벨트(30: 회동 부재)의 직경 방향 내단부는 슬릿(6c) 내에 삽입하고 있다. 지지체(6)는 프레임(5)에 레일(11)을 통하여 축방향으로 왕복 동작 자유롭게 설치된 대좌(12)상에, 축심을 연직으로서 세워져 있다. 대좌(12)와 베이스 플레이트(4)의 사이에는 지지체(6)를 축방향으로 왕복 구동하는 액추에이터(15; 제 3 구동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지지체(6)의 축방향 중도부에는 기단측(도면에 있어서 하측)에 도달함에 따라서 소직경이 되는 테이퍼부(6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테이퍼부(6d)를 통하여 약간 소직경으로 이루어진 부분에서는 피착된 네트에 둘레방향의 느슨함이 생기도록 하고, 네트 선단부의 감아올림 당초에 있어서 더욱 확실하게 권회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네트 피착기구(7)는 도 9 및 도 10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5)에 레일(16)을 개재하여 지지체(6)의 축방향으로 왕복 동작 자유롭게 설치된 이동대(17)와, 상기 이동대(17)를 지지체(6)의 축방향으로 왕복 구동하는 액추에이터(18; 제 4 구동장치)와, 이동대(17)상에 설치된 복수의 캐치(19)를 갖는다.
각 캐치(19)는 직경 방향 안쪽으로 돌출된 신축 로드(20)를 직경 방향으로 왕복 동작시키는 제 1 액추에이터(21)와, 신축 로드(20)의 선단부에 장착된 제 2 액추에이터(22)와, 상기 제 2 액추에이터에 의해서 개폐 구동되는 좌우 한 쌍의 아암(23)을 구비하고, 제 1 액추에이터(21)는 이동대(17)에 고정되어 있다. 캐치(19)는 적어도 1개이면 좋지만,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경 방향 2개의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둘레방향 3개의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좋고, 4개 이상의 위치에 설치하여도 좋다.
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액추에이터(18)로서 로드리스 실린더를 사용하고 있지만, 신축 로드를 갖는 유체압 실린더나 모터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한 실시예는 지지체(6)를 안내하는 레일(11)과, 네트 피착기구(7)의 레일(16)을, 하나의 레일에 의해서 공용하고 있지만, 개별로 설치하여도 좋다.
상기 감아올림 기구(8)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5)에 레일(14)을 개재하여 지지체(6)의 축방향으로 왕복 동작 자유롭게 설치된 이동대(24)와, 상기 이동대(24)를 축방향으로 왕복 구동하는 액추에이터(25; 제 1 구동장치)와, 이동대(24)상에 설치된 4개의 롤러벨트 유닛(26)을 구비하고 있다. 각 유닛(26)은 도 12 내지 도 14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측판(27)과, 상기 측판(27)간에 회전 자유롭게 설치된 구동 롤러(28) 및 종동 롤러(29)와, 이들 구동 롤러(28)와 종동 롤러(29)에 걸쳐서 권회된 환형의 무한 궤도대로 이루어지는 롤러벨트(30: 회동 부재)와, 상기 벨트(30)의 장력을 조정하는 조정롤러(31)와, 구동 롤러(28)를 회전 구동하는 모터(32)를 구비하고 있다. 4개의 유닛(26)은 지지체(6)에 설치한 4개의 슬릿(6c)에 대응하여 각각 배치되어 있고, 종동 롤러(29)가 지지체(6) 외주면보다도 직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구동 롤러(28)가 지지체(6) 외주면보다도 직경 방향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배치함으로써, 롤러벨트(30)의 둘레회전 궤도(周回軌道)가 지지체(6)의 외주면의 직경 방향 내외에 걸치도록 하고 있다.
지지체(6)에 씌워진 네트의 선단부에 대향하는 측(도면에 있어서 상측의 주(周)회로)에서, 롤러벨트(30)는 직경 방향 내측으로부터 직경 방향 바깥쪽을 향하여 회동하도록 구동 롤러(28)에 의해서 구동됨과 동시에, 벨트(30)의 네트 선단부로의 대향면은 직경 방향 내측으로부터 바깥쪽에 도달함에 따라서 네트의 기단측(도면에 있어서 상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형성되는 환형 권회부의 형상이나 크기를 제어하기 위해서, 각 유닛(26)에, 환형 권회부의 외주부를 안내하는 안내부재(34)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안내부재(34)는 좌우측판(27)에 긴 구멍을 이용하여 설치 각도 및 설치 위치 조절 자유롭게 설치하여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안내부재(34)는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종 형상이나 곡률을 갖는 것을 교환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이로써, 네트의 재질이나 요구되는 제품의 사이즈·형상 등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홀더(9)는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네트 피착기구(7)의 이동대(17)에 액추에이터(33)를 개재하여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액추에이터(33)에 의해서 직경 방향 내외로 위치 변경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홀더(9)는 도 9 내지 도 11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경 방향에 대향하여 한 쌍 설치되어 있고, 액추에이터(33)에 의해서 쌍인 홀더(9)가 직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쌍인 홀더(9)에 의해서 지지체(6) 선단의 소직경 축부(6b)를 둘러싸고, 상기 소경 축부(6b)와의 사이에서 네트의 축방향 중도부를 보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홀더(9)를 직경 방향 바깥쪽 위치로 복귀시키면, 네트의 보유가 해방된다. 또한, 이 홀더(9)는 형성된 환형 권회부의 기단측 측부에 접촉함으로써, 후술하는 조임 공정을 행할 때에 환형 권회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 상기 캐치(19) 및 홀더(9)는 직경 방향 외단으로 이동하였을 때는 지지체(6)의 외주면보다도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퇴피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조임 기구(10)는 형성된 환형 권회부를 홀더(9)에 의해 지지하면서 환형 권회부로부터 기단측으로 돌출하는 네트를 기단측으로 상대적으로 끌어냄으로써 환형 권회부를 조밀하게 조이는 것으로서,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네트 내부에 들어가는 웨이트(40)와, 상기 웨이트(40)를 수용하는 환형의 웨이트 홀더(41)와, 상기 웨이트 홀더(41)를 지지체(6)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구동하는 액추에이터(42; 제 2 구동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웨이트(40)는 축방향 중도부가 지지체(6)와 거의 동일한 외경을 갖고, 축방향 양단에 도달함에 따라서 소직경이 되는 테이퍼면을 축방향 양측에 갖고 있다. 또한, 웨이트(40)의 지지체(6)측의 단부에는 지지체(6)의 선단부와 결합 가능한 소직경 축부(43)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웨이트 홀더(41)는 프레임(5)에 대하여 레일(44)을 개재하여 지지체(6)의 축방향으로 왕복 동작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고, 웨이트(40)의 수용면은 웨이트(40)의 테이퍼면에 합치하는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통상 시는 웨이트(40)는 웨이트 홀더(41)상에 탑재되어 있고, 웨이트(40)자체의 자체 무게에 의해서 웨이트(40)와 웨이트 홀더(41)의 사이에 네트를 고정 가능하게 하고 있다.
웨이트(40)는 지지체(6)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고, 이들의 소직경 축부(6b, 43)는 동심형으로 배치되어 있고, 웨이트 홀더(41)에 대하여 지지체(6)를 상방으로 구동함으로써, 상기 지지체(6)의 상단에 웨이트(40)가 탑재되고, 상기 웨이트(40)가 웨이트 홀더(41)로부터 상방으로 떨어져 나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웨이트(40)의 형상은 네트의 이송을 고려하여 환형(丸形)이나 방추형이라도 좋지만, 홀더(41)와의 접촉 면적이 많은 쪽이 네트를 보유하기 쉽기 때문에, 테이퍼면을 갖는 형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웨이트는 3 내지 6kg 정도의 무게가 바람직하지만, 액추에이터의 추진력에 따라서 4.5kg 정도로 할 수 있다. 또한, 웨이트는 금속제이거나, 플라스틱 용기에 물을 넣은 것이어도 좋고, 또한, 자력에 의해서 웨이트를 홀더(41)로부터 떨어뜨리게 하거나 근접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웨이트 홀더(41)는 프레임(5)에 장착하여 고정되는 본체부(41a)와, 상기 본체부(41a)에 회전 자유롭게 보유된 링형의 회동부(41b)를 구비하고, 상기 회동부(41b)의 내주면이, 웨이트(40)를 수용하는 테이퍼형의 지지면과 이루어져 있는 동시에, 상기 회동부(41b)를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 등의 구동장치(45)가 본체부(41a)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구동장치(45)와 회동부(41b)에 의해, 웨이트(40)를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네트의 비틀림을 해소시키는 비틀림 복귀 기구(60)가 구성되어 있다.
한편, 웨이트(40)의 상방(네트의 기단측)으로 네트의 비틀림을 검지하는 비틀림 검지장치(5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비틀림 검지장치(50)는 롤러(37)와 웨이트(40)와의 사이에서 네트의 폭을 검지하는 에어리어 센서(51)에 의해 주구성되고, 상기 에어리어 센서(51)에 의해 검지된 네트폭이 기준치보다도 작으면 네트에 진동이 생기고 있다고 판단 가능하다. 이러한 판단은 도시하지 않는 제어장치에 의해서 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는 에어리어 센서(51)로부터의 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입력치가 기준치보다도 작으면 구동장치(45)를 일 방향으로 소정량 회전 구동시키는 제어신호를 구동장치(45)에 출력하고, 그 후 재차 에어리어 센서(51)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네트폭이 기준치보다도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고, 작으면 구동장치(45)를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네트의 비틀림을 해소시킨다.
상기한 각 액추에이터는 전자제어장치 및 유체압 회로 등에 의해서 그 구동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권회 장치는 도 21 내지 도 27에 도시하는 제품 꺼냄 장치(7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꺼냄 장치(70)는 지지체(6)의 상방(네트 기단측)에 설치할 수 있고, 도시한 실시예의 장치에 있어서는 지지체(6)와 웨이트 홀더(41)의 사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프레임(5)에 설치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꺼냄 장치(70)는 형성된 환형 권회부(C)의 기단측에서 네트를 절단하는 네트 절단 기구, 및, 형성된 환형 권회부(C)의 기단측에서 네트의 축방향 중도부를 용융 고화시키는 네트 용착 기구로서도 기능하는 것이며, 프레임(5)에 설치 고정되는 기대(71)와, 상기 기대(71)상에 회동축(72)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회동대(73)와, 회동대(73)에 대하여 네트의 직경 방향으로 진퇴 구동 가능하게 설치된 척(74)과, 회동대(73)에 대하여 네트의 직경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 네트 절단구(75)를 구비하고 있다.
기대(71) 내부에는 회동축(72)을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 등의 구동장치(도시하지 않음)가 장착되어 있다. 회동대(73)상에는 척(74)을 네트의 직경 방향으로 진퇴 구동시키는 액추에이터(76)와, 네트 절단구(75)를 네트의 직경 방향으로 진퇴구동시키는 액추에이터(77)가 상하로 겹쳐 쌓도록 설치되어 있다. 척(74)은 좌우 한 쌍의 파지 아암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쌍의 아암을 개폐 구동시키는 액추에이터(78)가 척(74)의 베이스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아암의 적어도 내측면은 고주파에 의해 가열 가능한 금속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절단구(75)는 기판(79)에 장착된 전열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판(79)을 통하여 액추에이터(77)에 의해 진퇴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기판(79)상에는 척(74)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구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도선(80)이 설치되고, 상기 도선(80)의 일단부에 절단구(75)가 접속되어 있다. 도선(80)의 타단부, 및, 도선(80)의 타단부에는 전원 공급용 배선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배선을 통하여 고주파 전압이 도선(80) 및 절단구(75)에 인가되고, 절단구(75)가 가열된다. 또한, 상기 도선(80)은 고주파 코일로서도 작용하고, 상기 고주파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아암을 고주파 가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가열된 아암에 의해 네트를 파지하였을 때, 상기 아암에 의해서 네트를 용융시키고, 파지부분에 있어서 네트 구성 재료를 용착시키고, 그 후 아암의 냉각에 의해 또는 아암으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상기 용착부분을 고화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 아암 내측면에 가열 전극을 설치하고, 상기 가열 전극에 직접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아암 내측면을 가열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한 꺼냄 장치(70)의 동작을 설명하면, 환형 권회부(C)가 형성되어 지지체(6)의 선단부에 보유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환형 권회부(C)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네트에 척(74)을 대향시킨다. 이 때, 척(74) 및 절단구(75)는 네트로부터 멀어지도록 후퇴시켜 두고, 척(74)을 열어 놓는 동시에, 고주파 가열 등에 의해서 척(74)을 가열해 둔다. 다음에,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76)를 구동함으로써 척(74)을 네트를 향하여 전진시키고,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78)에 의해 척(74)을 닫음으로써, 환형 권회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네트를 파지하고, 상기 파지부분에 있어서 네트를 판형으로 형성한다. 이 때, 아암의 열에 의해서 네트의 파지부분이 판형으로 일체가 되도록 용착한다. 다음에,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77)를 구동함으로써 절단구(75)를 전진시키고, 척(74)에 의해 파지되어 있는 네트의 파지부분의 상방으로 네트를 절단한다. 다음에,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척(74)에 환형 권회부를 파지시킨 상태에서 회동대(73)를 회동시키고, 환형 권회부(C)를 꺼냄 위치로 이동시키고, 도 21 및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척(74)을 여는 것에 의해서, 환형 권회부(C)를 자연 낙하시키도록 되어 있다.
도 21 및 도 2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장치를 사용하여, 연속 공급되는 신축성을 갖는 통 형상의 네트(N)로부터 환형 권회부(C)를 갖는 용기의 충전물을 제조하는 공정(a 내지 h)을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우선 도 1에 도시하는 초기 상태를 공정(a)으로 나타낸다. 제조 개시 시는 수작업 등으로 웨이트(40)를 네트(N) 내에 넣고, 공정(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웨이트(40)를 웨이트 홀더(41)에 설치한다. 이 때, 웨이트 홀더(41)로부터 아래로 드리워지는 네트 선단부가, 캐치(19)보다도 약간 하방이 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장치의 구동을 개시하면, 우선, 공정(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치(19)에 의해서 네트(N)의 선단부가 파지되고, 공정(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네트(N)의 선단부가 크게 확경되고, 네트 선단 개구를 확경시킨 상태에서 캐치(19)에 의해서 하방으로 내림으로써, 공정(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체(6)에 네트(N)가 피착된다. 또, 이러한 네트(N)의 피착 공정 시, 웨이트(40)를 지지체(6)에 의해서 들어 올림으로써 웨이트 홀더(41)로부터 떨어뜨려 놓는다.
네트(N)의 피착 후, 캐치(19) 및 홀더(9)를 상한 위치로 되돌리고, 공정(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의 홀더(9)를 닫음으로써 상기 홀더(9)와 지지체(6)의 선단 소직경 축부(6b)와의 사이에서 네트(N)의 축방향 중도부를 보유하고, 네트(N)가 미끄러짐에 의해서 지지체(6)로부터 빠져 나오지 않도록 한다. 그 상태에서 감아올림 기구(8)를 작동시키고, 벨트(30)를 둘레로 회동시키면서 축방향 상방으로 이동시키면, 네트(N)의 선단부를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강제적으로 되감으면서 네트 선단부를 전동시키면서 권회함으로써, 공정(g)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네트(N)를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다중으로 권회하여 이루어지는 환형 권회부(C)가 형성된다. 상기 권회부(C)는 지지체(6) 상단의 테이퍼면에 안내되어 지지체(6)로부터 상방으로 튀어 오르려고 하지만, 홀더(9)에 의해서 상기 환형 권회부(C)를 지지체(6) 상단의 테이퍼부에 보유하고 있다.
다음에, 웨이트(40)와 함께 웨이트 홀더(41)를 상방으로 이동함으로써, 환형 권회부(C)의 기단측 측부에 접촉하는 홀더(9)에 의해서 환형 권회부(C)를 지지하면서 환형 권회부(C)로부터 기단측으로 돌출하는 네트(N)를 기단측으로 상대적으로 끌어냄으로써, 공정(h)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환형 권회부(C)를 조밀하게 죈다. 이로써 균일한 사이즈나 크기의 충전물이 얻어짐과 동시에, 조밀하게 죄고 있기 때문에, 홀더(9)에 의한 보유를 해제하더라도 권회부가 느슨해지기 힘들고, 더욱 품질의 균일화가 도모된다.
그 후, 수작업, 또는 별도로 설치한 절단·용착 장치에 의해서, 환형 권회부(C)로부터 기단측으로 돌출하는 네트(N)를 축방향 소정 위치에서 절단함으로써 형성되는 환형 권회부(C)의 네트 기단부를 고착하고, 상기 기단부를 폐색한다. 이러한 고착 공정은 상기 장치상에서 행하여도 좋고, 얻어진 환형 권회부(C)를 꺼내어 다른 장치에 의해서 행할 수도 있다. 이로써,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용기의 충전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 네트(N)를 절단한 후, 다음에 네트를 지지체(6)에 씌우기 전에, 비틀림 복귀 기구(60)에 의해서 네트의 비틀림을 해소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절하게 설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동 부재는 롤러벨트에 한정되지 않으며, 끈모양 부재, 차륜, 구(球) 등의 회전기구를 갖는 적절한 것을 채용할 수 있다.
1: 통형 네트의 권회 장치 6: 지지체
9: 홀더 30: 회동 부재(롤러벨트)
N: 통형 네트 C: 환형 권회부

Claims (5)

  1. 신축성을 갖는 통 형상의 네트를 기둥형의 지지체에 씌우는 제 1 공정과, 상기 네트의 둘레방향 다수 위치에 배치된 회동 부재에 의해서 상기 네트의 선단부를 직경 방향 바깥쪽 또는 안쪽으로 강제적으로 되감으면서 상기 회동 부재를 상기 네트의 기단측을 향하여 축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회동 부재의 회동과 축방향 이동에 의해서 네트 선단부를 전동시키면서 권회함으로써 상기 네트를 직경 방향 바깥쪽 또는 안쪽으로 다중으로 권회하여 이루어지는 환형 권회부를 형성하는 제 2 공정을 구비하는 용기의 충전물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통형 네트를 축방향 선단부로부터 축방향 기단측으로 향하여 직경 방향 바깥쪽 또는 안쪽으로 다중으로 권회하여 이루어지는 환형 권회부를 형성한 후, 상기 환형 권회부의 기단측 측부에 접촉하는 홀더에 의해서 환형 권회부를 지지하면서 환형 권회부로부터 기단측으로 돌출하는 네트를 기단측으로 상대적으로 끌어냄으로써, 환형 권회부를 조밀하게 조이는 제 3 공정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충전물의 제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제 3 공정 후, 환형 권회부로부터 기단측으로 돌출하는 네트를 축방향 소정 위치에서 절단함으로써 형성되는 네트 기단부를 고착하고, 상기 기단부를 폐색하는 제 4 공정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충전물의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공정중, 지지체의 네트 기단측 단부 근방의 네트의 축방향 중도부를, 지지체의 네트 기단측 단부에 보유시켜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충전물의 제조 방법.
  5. 통형 네트를 축방향 선단부로부터 축방향 기단측으로 향하여 직경 방향 바깥쪽 또는 안쪽으로 다중으로 권회하여 이루어지는 환형 권회부를 형성한 후, 상기 환형 권회부의 기단측 측부에 접촉하는 홀더에 의해서 환형 권회부를 지지하면서 환형 권회부로부터 기단측으로 돌출하는 네트를 기단측으로 상대적으로 끌어냄으로써, 환형 권회부를 조밀하게 조이는 제 3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충전물의 제조 방법.
KR1020137016917A 2006-03-30 2007-03-29 용기의 충전물의 제조 방법 KR1013927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96142A JP4948017B2 (ja) 2006-03-30 2006-03-30 容器の詰め物の製造方法および筒状ネットの巻回装置
JPJP-P-2006-096142 2006-03-30
PCT/JP2007/056914 WO2007116807A1 (ja) 2006-03-30 2007-03-29 容器の詰め物の製造方法および筒状ネットの巻回装置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5388A Division KR101342419B1 (ko) 2006-03-30 2008-10-17 용기의 충전물의 제조 방법 및 통형 네트의 권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7601A true KR20130087601A (ko) 2013-08-06
KR101392798B1 KR101392798B1 (ko) 2014-05-09

Family

ID=3858110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6917A KR101392798B1 (ko) 2006-03-30 2007-03-29 용기의 충전물의 제조 방법
KR1020087025388A KR101342419B1 (ko) 2006-03-30 2008-10-17 용기의 충전물의 제조 방법 및 통형 네트의 권회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5388A KR101342419B1 (ko) 2006-03-30 2008-10-17 용기의 충전물의 제조 방법 및 통형 네트의 권회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074427B2 (ko)
EP (2) EP2548814A1 (ko)
JP (1) JP4948017B2 (ko)
KR (2) KR101392798B1 (ko)
CN (1) CN101454222B (ko)
TW (2) TWI524888B (ko)
WO (1) WO20071168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44576B2 (ja) * 2008-09-10 2011-08-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CN105564746B (zh) * 2016-03-01 2017-08-29 汪龙柱 自动叠网打包一体机
US10926506B2 (en) * 2017-05-11 2021-02-23 Pregis Innovative Packaging Llc Fanfold supply cart
CN112078597B (zh) * 2020-09-01 2021-09-17 中车唐山机车车辆有限公司 双轨式道岔系统、双轨式车辆、真空管道运输系统及其运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9443A (en) * 1976-01-29 1978-08-29 Reeves Brother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convolute foam package
US6098378A (en) * 1998-10-02 2000-08-08 Wyatt; Curtis Method of packaging a single mattress to a small size to be conveniently carried
US6467239B2 (en) * 1999-09-15 2002-10-22 L&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Method of packaging spring units
US6983578B1 (en) * 2000-05-31 2006-01-10 Certainteed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bagging an item
JP5279158B2 (ja) * 2001-07-30 2013-09-04 塩野義製薬株式会社 容器用詰め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132907B2 (ja) * 2002-03-25 2008-08-13 塩野義製薬株式会社 容器の上部空間充填材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US6810643B1 (en) * 2003-04-21 2004-11-02 L&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Method of roll packing compressible materials
JP4040065B2 (ja) * 2006-01-24 2008-01-30 塩野義製薬株式会社 容器の詰め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24887B (zh) 2016-03-11
CN101454222B (zh) 2011-06-15
US20090217627A1 (en) 2009-09-03
KR20080105167A (ko) 2008-12-03
EP2000420A9 (en) 2009-04-08
TWI524888B (zh) 2016-03-11
WO2007116807A1 (ja) 2007-10-18
US8074427B2 (en) 2011-12-13
EP2000420A4 (en) 2012-03-28
EP2548814A1 (en) 2013-01-23
KR101342419B1 (ko) 2013-12-17
TW200744893A (en) 2007-12-16
KR101392798B1 (ko) 2014-05-09
JP4948017B2 (ja) 2012-06-06
TW201309278A (zh) 2013-03-01
CN101454222A (zh) 2009-06-10
JP2007269346A (ja) 2007-10-18
EP2000420A2 (en) 2008-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88322B2 (ja) 縫合糸切断システムおよび切断方法
JP6399687B2 (ja) コイルの巻線装置及びその巻線方法
KR101342419B1 (ko) 용기의 충전물의 제조 방법 및 통형 네트의 권회 장치
JP6045460B2 (ja) トロイダル巻線装置
JP5736754B2 (ja) 中空糸膜シート状物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CN108860702A (zh) 一种电源线自动捆扎设备及其捆扎方法
JP5291161B2 (ja) 容器の詰め物の製造方法および筒状ネットの巻回装置
JP2836514B2 (ja) 糸巻ボールの糸巻方法及び糸巻装置
CN215666308U (zh) 打线设备
CN105562673B (zh) 一种智能自动化锥形网制网机
CN110125319B (zh) 便于固定的拖车链加工工艺
JP2006348420A (ja) 繊維コードの結節方法及び結節装置
JP6026929B2 (ja) 電線処理装置
JP4201788B2 (ja) 合成糸のバンドル化方法及びバンドル化装置
JP2836513B2 (ja) 糸巻ボールの糸巻方法及び糸巻装置
CN113526239B (zh) 打线设备及打线方法
CN116252518A (zh) 一种编织袋及其生产工艺
KR101754967B1 (ko) 수직형 와이어의 360도 미늘형성 자동화장비
JP3488305B2 (ja) 線条体の巻付け設備
JP2021512226A (ja) 紡糸装置及び紡糸装置で紡糸巻取を行なう方法、並びに紡糸巻取装置
JP2006198513A (ja) 糸束装填装置および糸束装填方法
JPH07285520A (ja) ネット袋製造機における定寸切断装置
JPH05101961A (ja) 多層コイルの製造における絶縁フイルムテープの供給方法
JPH02231366A (ja) 糸パッケージのバンチ巻処理装置
JPH08198522A (ja) 線材巻付方法および線材巻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