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2877A - 화물배차 시스템 - Google Patents

화물배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2877A
KR20130082877A KR1020110139297A KR20110139297A KR20130082877A KR 20130082877 A KR20130082877 A KR 20130082877A KR 1020110139297 A KR1020110139297 A KR 1020110139297A KR 20110139297 A KR20110139297 A KR 20110139297A KR 20130082877 A KR20130082877 A KR 201300828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argo
freight
terminal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9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호
Original Assignee
(주)트리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트리포스 filed Critical (주)트리포스
Priority to KR1020110139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2877A/ko
Publication of KR20130082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28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3Track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배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 자세하게는 운송될 화물을 소유한 화주, 화물을 운송할 차를 소유한 차주, 차주와 화주를 연결하는 주선사가 동시에 이용하여 보다 효율적인 화물의 배차를 가능하게 하는 화물배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의 목적은 화주, 차주, 주선사가 동시에 이용하는 화물 운송 시스템에 있어서, 적재가능한 화물 또는 차량정보만을 표시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높은 화물배차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화물의 출발일시, 도착일시, 출발지, 도착지, 수량, 무게 및 부피정보를 포함하는 화물정보를 송수신하는 화물정보 관리부(110), 차량의 위치, 적재가능 무게 및 부피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정보를 송수신하는 차량정보 관리부(120), 및 사용자의 배차요청에 따라 상기 화물 및 차량을 배차하고 배차정보를 송수신하는 배차관리부(130)를 포함하는 화물배차 서버(100), 상기 화물배차 서버(100)와 통신하여, 상기 화물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차량정보를 수신한 후 하나의 차량정보를 선택하여 배차요청을 하면 상기 배차정보를 수신하는 화주 단말기(210), 상기 화물배차 서버(100)와 통신하여, 상기 차량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화물정보를 수신한 후 하나의 화물정보를 선택하여 배차요청을 하면 상기 배차정보를 수신하는 차주 단말기(310), 상기 화물배차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화물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차량정보를 수신한 후 하나의 차량정보를 선택하여 배차요청을 하거나, 상기 차량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화물정보를 수신한 후 하나의 화물정보를 선택하여 배차요청을 하면 상기 배차정보를 수신하는 주선사 단말기(310)를 포함하며, 상기 화물정보 관리부(110)는 상기 차주 단말기(310) 또는 주선사 단말기(410)로부터 수신한 상기 차량정보를 분석하여 적재가능한 화물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차량 관리부(120)는 상기 화주 단말기(210) 또는 주선사 단말기(410)로부터 수신한 화물정보를 분석하여 적재가능한 차량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배차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적재가능한 화물 또는 차량정보만을 표시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높은 화물배차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물배차 시스템 {Freight Allocation System}
본 발명은 화물배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 자세하게는 운송될 화물을 소유한 화주, 화물을 운송할 차를 소유한 차주, 차주와 화주를 연결하는 주선사가 동시에 이용하여 보다 효율적인 화물의 배차를 가능하게 하는 화물배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화물운송은 화물운송을 의뢰하고자 하는 화주가 직업 화물운송회사나 개인화물 운송업자에게 화물운송을 의뢰한 후 운송료를 지불하는 직접 거래방식으로 진행 되었으나, 화물운송회사에서 화주의 요구를 모두 충족시킬 수 있을 만큼 운송차량을 충분히 보유하고 있지 못하고 있어 화주가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지역으로 화물운송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화주가 화물운송 주선사업자에게 화물운송을 위탁하면 주선사업자는 운송업자에게 화물 운송을 의뢰하고 그에 대한 거래가 성립되면 주선사업자는 차주로부터 주선수수료를 받고, 운송업자는 화주에게 운송료를 받는 간접 거래방식이 대두 되었으나, 주선사업자 역시 자체 보유한 차주정보가 부족하여 화주가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지역으로 화물운송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이로 인해, 현재의 화물운송체계로는 시장성이 있는 지역에만 국한하여 화물운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고,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모되는 운송에는 과다한 운송료를 요구하거나 최악의 경우에는 화물운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같은 업종의 다른 주선사업자에게 화물운송을 재의뢰함으로써 화물운송의 다단계 현상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화물운송의 다단계로 인해 추가로 발생하는 주선수수료의 부담을 화주나 차주에게 전가 시킴으로써 화주에게는 운송료의 상승을 차주에게는 운송료의 삭감을 요구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차주는 화물정보를 구하기 위해 복수의 주선사업자에게 요청하거나 빈차로 장거리를 옮겨다녀야 하기 때문에 실제 화물을 운송하는 시간보다 화물정보를 구하고 이동하는데 많은 시간을 소비하게 되어 결국 화물의 적재율이 떨어지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도로 기존의 화물운송 시스템은 중앙서버에 화주, 차주 및 주선사를 접속하게 하고 화물정보 및 공차정보를 입력하면 해당정보를 각각의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단순한 방식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기존의 화물운송 시스템은 단순히 화주, 차주, 주선사를 한곳에 모아 정보의 양을 늘리는 기능을 수행할 뿐 근본적인 화물운송의 효율화에는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의 목적은 화주, 차주, 주선사가 동시에 이용하는 화물 운송 시스템에 있어서, 적재가능한 화물 또는 차량정보만을 표시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높은 화물배차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권역간 이동되는 화물 정보를 취합하여 차주가 상기 화물을 운송한 후에 다시 원래 권역으로 돌아올 수 있는 화물 운송루트를 생성해 주는 화물배차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물의 부피 및 무게정보를 관리하여 하나의 화물을 다수의 차량을 배차하거나, 다수의 화물을 하나의 차량에 배차할 수 있는 화물배차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물(또는 화주) 및 차량(또는 차주)의 등급을 관리하여 사용자에게 최적의 차량 및 화물을 선택할 수 있게 해주는 화물배차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물의 출발일시, 도착일시, 출발지, 도착지, 수량, 무게 및 부피정보를 포함하는 화물정보를 송수신하는 화물정보 관리부; 차량의 위치, 적재가능 무게 및 부피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정보를 송수신하는 차량정보 관리부; 및 사용자의 배차요청에 따라 상기 화물 및 차량을 배차하고 배차정보를 송수신하는 배차관리부;를 포함하는 화물배차 서버; 상기 화물배차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화물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차량정보를 수신한 후 하나의 차량정보를 선택하여 배차요청을 하면 상기 배차정보를 수신하는 화주 단말기; 상기 화물배차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차량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화물정보를 수신한 후 하나의 화물정보를 선택하여 배차요청을 하면 상기 배차정보를 수신하는 차주 단말기; 상기 화물배차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화물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차량정보를 수신한 후 하나의 차량정보를 선택하여 배차요청을 하거나, 상기 차량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화물정보를 수신한 후 하나의 화물정보를 선택하여 배차요청을 하면 상기 배차정보를 수신하는 주선사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화물정보 관리부는 상기 차주 단말기 또는 주선사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차량정보를 분석하여 적재가능한 화물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차량 관리부는 상기 화주 단말기 또는 주선사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화물정보를 분석하여 적재가능한 차량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배차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화물배차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배차 관리부는 상기 화주 단말기 또는 주선사 단말기가 상기 화물정보에 대한 배차요청을 하면 상기 차주 단말기에 상기 배차요청을 전달하며, 상기 차주 단말기가 배차승인을 한 경우에만 상기 화물 및 차량을 배차하고, 상기 차주 단말기 또는 주선사 단말기가 상기 차량정보에 대한 배차요청을 하면 상기 화주 단말기에 상기 배차요청을 전달하며, 상기 화주 단말기가 배차승인을 한 경우에만 상기 화물 및 차량을 배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배차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화물배차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화물정보 관리부는 상기 화물정보의 출발지 및 도착지를 이용하여 배송경로를 생성하고, 상기 배송경로가 전부 또는 일부 중복되는 두 개 이상의 화물정보 중에 출발일시와 도착일시가 소정의 시간 내에 포함되는 화물정보를 동시에 배차 가능한 화물정보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배차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화물배차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화물정보는 상기 출발지 및 도착지의 권역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화물정보 관리부는 상기 차주 단말기의 권역에서 다른 권역으로 이동이 필요한 제 1 화물정보 및 상기 제 1 화물정보의 도착지와 같은 권역에서 출발하고 도착지가 상기 차주 단말기의 권역인 제 2 화물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제1 화물정보의 도착일시와 상기 제2 화물정보의 출발일시가 소정의 시간 내에 포함되는 화물정보를 권역간 왕복 가능한 화물정보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배차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화물배차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화물정보 관리부는 상기 화물정보 중에서 화물의 분리적재가 가능한 화물정보를 추출하고, 배차되지 않은 화물차량에 적재 가능한 크기로 나눈 후, 분리 배송 가능한 화물정보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배차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화물배차 시스템에 있어서,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또는 무선전화망을 통하여 위치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차주 단말기에 전송하는 위치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배차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화물배차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 관리부는 화물차량의 상기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상기 차량 정보 중 배차가 완료되었지만 적재 여유가 있는 화물차량 정보를 추출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배차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화물배차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화물배차 서버는 배송완료 횟수, 배송실패율, 배송화물의 파손여부, 비용지급여부를 고려하여 사용자의 등급을 관리하는 사용자 등급 관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차주 단말기, 화주 단말기 및 주선사 단말기로 화물정보 또는 차량정보를 송신할 때 상기 사용자 등급을 포함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배차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적재가능한 화물 또는 차량정보만을 표시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높은 화물배차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권역간 이동되는 화물 정보를 취합하여 차주가 상기 화물을 운송한 후에 다시 원래 권역으로 돌아올 수 있는 화물 운송루트를 생성해 주는 화물배차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물의 부피 및 무게정보를 관리하여 하나의 화물을 다수의 차량을 배차하거나, 다수의 화물을 하나의 차량에 배차할 수 있는 화물배차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물(또는 화주) 및 차량(또는 차주)의 등급을 관리하여 사용자에게 최적의 차량 및 화물을 선택할 수 있게 해주는 화물배차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화물배차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물배차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물배차 서버를 나타낸 도면
도4는 기존의 권역내에서 배송을 하는 차량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권역간 왕복 가능한 화물정보를 배차받아 화물을 배송하는 차량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 제공장치를 포함하는 화물배차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7은 일부만 적재한 화물차량의 적재정보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화물의 출발일시, 도착일시, 출발지, 도착지, 수량, 무게 및 부피정보를 포함하는 화물정보를 송수신하는 화물정보 관리부(110), 차량의 위치, 적재가능 무게 및 부피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정보를 송수신하는 차량정보 관리부(120), 및 사용자의 배차요청에 따라 상기 화물 및 차량을 배차하고 배차정보를 송수신하는 배차관리부(130)를 포함하는 화물배차 서버(100), 상기 화물배차 서버(100)와 통신하여, 상기 화물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차량정보를 수신한 후 하나의 차량정보를 선택하여 배차요청을 하면 상기 배차정보를 수신하는 화주 단말기(210), 상기 화물배차 서버(100)와 통신하여, 상기 차량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화물정보를 수신한 후 하나의 화물정보를 선택하여 배차요청을 하면 상기 배차정보를 수신하는 차주 단말기(310), 상기 화물배차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화물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차량정보를 수신한 후 하나의 차량정보를 선택하여 배차요청을 하거나, 상기 차량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화물정보를 수신한 후 하나의 화물정보를 선택하여 배차요청을 하면 상기 배차정보를 수신하는 주선사 단말기(310)를 포함하며, 상기 화물정보 관리부(110)는 상기 차주 단말기(310) 또는 주선사 단말기(410)로부터 수신한 상기 차량정보를 분석하여 적재가능한 화물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차량 관리부(120)는 상기 화주 단말기(210) 또는 주선사 단말기(410)로부터 수신한 화물정보를 분석하여 적재가능한 차량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배차 시스템을 제공한다.
기존의 화물배차 시스템은 화물정보, 차량정보를 일괄적으로 나열하거나, 단순하게 화물정보와 차량정보를 구분해서, 화주(200)의 요청시에는 배차가능한 차량정보를 나열하고, 차주(300)의 요청시에는 운송가능한 화물정보를 나열하는 데에 그치고 있어서 실질적으로 배차시에 중요한 화물의 크기(부피), 무게, 특성(깨지는 물건인지 등) 등을 고려한 실제적인 배차는 결국 주선사(400)에 의해서 결정되는 문제가 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실시예의 화물배차 시스템은 차량정보 및 화물정보를 분석하여 화주(200)에게는 화주의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차량정보만을 보여주고, 차주(300)에게는 배송가능한 화물정보만을 보여줌으로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주선사(400)는 본실시예의 화물배차 시스템에 제공하는 정보에 따라서 화주(200) 또는 차주(300)가 될 수 있으므로 본 시스템을 활용하면 보다 효율적인 주선업무를 수행 할 수 있다.
화물정보 관리부(11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화물의 출발일시, 도착일시, 출발지, 도착지, 수량, 무게 및 부피정보 등을 포함하는 화물정보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사용자는 화물정보가 필요한 차주(300) 또는 주선사(400)가 된다. 주선사(400)의 차량에는 주선사 보유차량(401)과 주선사 가입 차주(403)의 차량이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차량들을 반드시 구분할 필요없고 주선사(400) 소속차량으로 일괄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서 주선사는 기존의 주선사 가입 차주(403)를 본 발명의 화물배차 시스템에 빼앗기지 않고, 주선사 가입 차주(403)는 별도의 가입절차 없이 편리하게 본 발명의 화물배차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으며, 중복가입으로 인한 문제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화물정보 관리부(110)는 차주 단말기(310) 또는 주선사 단말기(410)로부터 수신한 차량정보를 화물정보 DB(160)의 화물정보와 비교분석하여 해당 차량의 적재량에 맞는 화물정보들을 차주 단말기(310) 또는 주선사 단말기(410)로 송신한다. 이 때 수신된 차량정보는 차량정보 DB(150)에 저장되어 다른 사용자의 요청을 처리할 때 이용된다.
본 발명의 화주 단말기(210), 차주 단말기(310), 주선사 단말기(410)는 본 발명의 화물시스템에 최적화된 개별의 단말기일 수도 있고, 현재 많이 사용하고 있는 PDA(Personal Data Assistant)에 각각 화주용 소프트웨어, 차주용 소프트웨어, 주선사용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거나 통합 소프트웨어를 설치한 후 아이디를 발급하여 권한을 관리하는 방식으로 운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들은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차량 설치형 컴퓨터, 태블릿 PC, 스마트 패드, 스마트폰 등 상술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지능형 기기를 포함하며, 상기 지능형 기기에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는 방식으로 운영될 수 있다. 사용자의 로그인 및 아이디의 권한관리는 네트워크 서버 클라이언트를 기반으로 하는 시스템에서 널리 사용되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본 명세서에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차량정보 관리부(12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차량의 위치, 적재가능 무게 및 부피정보 등을 포함하는 차량정보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사용자는 차량정보가 필요한 화주(200) 또는 주선사(400)가 된다. 차량정보 관리부(120)는 상기 화주 단말기(210) 또는 주선사 단말기(410)로부터 수신한 화물정보를 차량정보 DB(150)의 차량정보와 비교분석하여 해당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차량의 차량정보들을 화주 단말기(210) 또는 주선사 단말기(410)로 송신한다. 이 때 수신된 화물정보는 화물정보 DB(160)에 저장되어 다른 사용자의 요청을 처리할 때 이용된다.
배차관리부(130)는 사용자의 배차요청에 따라 상기 화물 및 차량을 배차하고 배차정보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하는데, 이하 사용자가 화주(200)일 경우와 차주(300)일 경우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주선사(400)는 화주(200)와 차주(300)의 모든 경우에 해당하므로 이하 주선사(400)의 경우는 따로 설명하지 않더라도 화주(200)와 차주(300)의 작동방식 통해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다.
먼저 화주(200)의 경우를 살펴보면, 화주(200)는 화주 단말기(210)를 이용하여 배송이 필요한 화물정보를 화물배차 서버(100)에 송신한다. 화물배차 서버(100)는 이를 화물정보 관리부(110)에 전송하고, 화물정보 관리부(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적재 가능한 차량정보를 화주 단말기(210)에 송신한다. 화주(200)는 수신된 차량정보 중에 하나를 선택하여 배차요청을 하면, 배차요청을 수신한 배차 관리부(130)는 대항 화물을 해당 차량에 배차하고 배차정보를 해당 차량의 차주 단말기(310)에송신한다. 이 때 배차된 화물정보 및 차량정보는 중복배차를 방지하기 위해서 차량정보 DB(150) 및 화물정보 DB(160)로부터 각각 삭제되며, 차후의 관리를 위해서 배차정보 DB(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배차 관리부(130)는 상기 배차요청을 수신하고 이를 다시 해당 차량의 차주 단말기(310)에 배차요청 신호를 전달하여 배차승인을 받는 과정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차주(300)는 해당 화물의 배송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차주(300)의 경우를 살펴보면, 차주(300)는 차주 단말기(310)를 이용하여 배차가 가능한 차량정보를 화물배차 서버(100)에 송신한다. 화물배차 서버(100)는 이를 차량정보 관리부(120)에 전송하고, 차량정보 관리부(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배송 가능한 화물정보를 차량 단말기(310)에 송신한다. 차주(300)는 수신된 화물정보 중에 하나를 선택하여 배차요청을 하면, 배차요청을 수신한 배차 관리부(130)는 이를 해당 차량을 해당 화물에 배차하고 배차정보를 해당 화물의 화주 단말기(210)에 송신한다. 마찬가지로 배차된 화물정보 및 차량정보는 중복배차를 방지하기 위해서 차량정보 DB(150) 및 화물정보 DB(160)로부터 각각 삭제되며, 차후의 관리를 위해서 배차정보 DB(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배차 관리부(130)는 상기 배차요청을 수신하고 이를 다시 해당 차량의 화주 단말기(210)에 배차요청 신호를 전달하여 배차승인을 받는 과정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화주(300)는 해당 차량의 화물배송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주선사(400)의 경우는 제공하는 정보가 화물정보일 경우에는 화주(200)의 경우와 같이 작동하며, 제공하는 정보가 차량정보일 경우에는 차주(300)의 경우와 같이 작동한다. 주선사(400)는 다른 주선사(400)와 한쪽은 화주(200), 다른 한쪽은 차주(300)로서 본 발명의 화물배차 시스템을 이용하여 배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물정보 관리부(130)는 상기 화물정보의 출발지 및 도착지를 이용하여 배송경로를 생성하고, 상기 배송경로가 전부 또는 일부 중복되는 두 개 이상의 화물정보 중에 출발일시와 도착일시가 소정의 시간 내에 포함되는 화물정보를 동시에 배차 가능한 화물정보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배차 시스템을 제공한다.
기존의 화물배차 시스템은 화물과 차량을 1:1로 배차하는 것에 그치고 있어, 차량에 적재공간이 남아 있어도 이에 추가로 화물을 적재하는 방법이 없다. 본실시예의 화물정보 관리부(130)는 화물정보를 분석하여 각각의 화물의 배송경로를 생성하고 배송경로가 일부 또는 전부 중복되는 화물정보를 찾아내고, 해당하는 각각의 화물정보의 출발일시와 도착일시를 비교하여 동시에 화물배송이 가능하다면, 이를 동시에 배차 가능한 화물정보로 생성하여 화물정보 DB(160)에 저장한다. 이는 한 곳에서 배송경로가 겹치는 두 개 이상의 화물을 적재하는 것은 물론 A-B-C-D의 배송경로 상에서 A지점에서 화물1을 적재하고 B지점에서 화물2를 추가적재한 후 C지점에 화물1을 배송하고 D지점에 화물2를 배송하는 것과 같은 기존의 시스템에서는 할 수 없었던 효율적인 배차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동시에 배차 가능한 화물정보가 배차되었을 경우, 동시에 배차 가능한 화물정보는 물론 해당하는 각각의 화물정보도 화물정보 DB(160)에서 삭제하여야 중복배차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물정보는 화물의 출발지 및 도착지의 권역정보를 포함하며, 화물정보 관리부(130)는 상기 차주 단말기(310)의 권역에서 다른 권역으로 이동이 필요한 제 1 화물정보 및 상기 제 1 화물정보의 도착지와 같은 권역에서 출발하고 도착지가 상기 차주 단말기(310)의 권역인 제 2 화물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제1 화물정보의 도착일시와 상기 제2 화물정보의 출발일시가 소정의 시간 내에 포함되는 화물정보를 권역간 왕복 가능한 화물정보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배차 시스템을 제공한다.
기존의 화물배차 시스템은 근본적으로 권역별로 나누어져 있거나, 권역간의 화물정보를 포함한다 하더라도 일방의 화물정보만을 표시하기 때문에 갈때는 화물을 싣고 가더라도 돌아올 때는 빈차로 와야하는 비효율이 문제가 되며, 이러한 문제 때문에 권역간의 화물배송을 기피하게 되고 배송비용이 비싸게 책정되는 문제가 있다.
본실시예의 화물정보 관리부(130)는 차주 단말기(310)가 위치한 권역에서 타 권역으로 배송이 필요한 화물과 해당 타 권역에서 차주 단말기(310)가 위치한 권역으로 배송이 필요한 화물중에 배송 시간을 맞출 수 있는 화물을 하나의 권역간 왕복 가능한 화물정보로 생성하여 화물정보 DB(160)에 저장한다. 이러한 기능을 통하여 기존에는 비효율적으로 운영되던 권역간의 화물배송을 획기적으로 효율화 시킬 수 있다. 권역간 왕복 가능한 화물정보가 배차된 경우 배차된 권역간 왕복 가능한 화물정보는 물론 해당하는 각각의 화물정보도 화물정보 DB(160)에서 삭제하여야 중복배차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물정보 관리부(130)는 화물정보 중에서 화물의 분리적재가 가능한 화물정보를 추출하고, 배차되지 않은 화물차량에 적재 가능한 크기로 나눈 후, 분리 배송 가능한 화물정보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배차 시스템을 제공한다.
기존의 화물배차 시스템은 분리배송이 가능한 화물의 경우에도 일괄적으로 하나의 화물로 처리되기 때문에 모든 화물을 한번에 배송할 수 있는 적재용량이 큰 차량을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이를 배송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사과 50박스를 부산에서 서울로 배송한다고 하면, 실제로는 작은 차량에 25박스씩 나누어 배송할 수 있음에도 50박스를 한꺼번에 배송할 수 있는 차량만이 해당 화물을 배차받을 수 있는 것이다. 본실시예의 화물정보 관리부(130)는 화물정보 중에서 화물의 분리적재가 가능한 화물정보를 추출하고, 배차되지 않은 화물차량에 적재 가능한 크기로 나눈 후, 분리 배송 가능한 화물정보로 생성하여 화물정보 DB(160)에 저장한다. 이렇게 생성된 분리 배송 가능한 화물정보는 각각 다른 차량에 배차가 가능하여 화물배차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분리 배송 가능한 화물정보가 배차된 경우 분리 배송 가능한 화물정보는 물론 해당하는 원래의 화물정보도 화물정보 DB(160)에서 삭제하여야 중복배차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또는 무선전화망을 통하여 위치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차주 단말기에 전송하는 위치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배차 시스템을 제공한다.
기존의 화물배차 시스템은 화물을 배차받고 이동하는 차량의 이동상태를 차주와 직접 통화하거나, 차주가 입력한 위치정보에 의존하여 파악하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본실시예의 위치정보 제공부(320) GPS 또는 무선전화망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차주의 위치를 파악하여 화주의 요청이 있을 때 이를 화주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주 단말기(210), 차주 단말기(310), 주선사 단말기(410)는 스마트폰일 수 있으며, 상기 스마트폰이 무선전화망에 접속하는 경우 접속한 중계기의 정보를 수신하여 현재 스마트폰이 위치한 지역을 개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을 이용하여 GPS를 장착하지 않은 일반 스마트폰 단말기에서도 실시간으로 차량의 위치정보를 화물배차 서버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화물배차 서버(100)는 배송완료 횟수, 배송실패율, 배송화물의 파손여부, 비용지급여부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등급을 관리하는 사용자 등급 관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차주 단말기(310), 화주 단말기(210) 및 주선사 단말기(410)로 화물정보 또는 차량정보를 송신할 때 상기 사용자 등급을 포함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배차 시스템을 제공한다.
화물차량의 차주(300)는 보통 차량 한대를 운영하는 개별사업자로 매우 영세한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차량의 정보만 보고 고가의 중요화물을 배차요청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화주(200)는 직접 주선사(400)에게 여러 조건을 고려한 배차를 요청하고 있으나 실제로 많은 배송사고가 일어나고 있다. 본실시예는 이러한 문제를 화물배차 시스템에서 직접 관리하여, 실적에 의한 정확한 사용자 등급을 설정할 수 있다. 차주(300)의 경우에는 배송완료 횟수, 배송실패율, 배송화물의 파손여부, 화주의 클레임 횟수 등을 고려하여 점수를 가감 또는 차감하는 방식으로 사용자 등급을 설정할 수 있고, 화주(200)의 경우에는 비용지급 여부, 연체 정보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 등급을 설정할 수 있다. 주선사(400)의 경우에는 다수의 화주(200) 및 차주(300)를 가지고 있으나 결국 이는 해당 주선사(400)의 화물 및 차량으로 취급되므로 상술한 방법으로 종합적으로 주선사(400)의 사용자 등급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다.
100: 화물배차 서버
110: 화물정보 관리부
120: 차량정보 관리부
130: 배차 관리부
140: 사용자 등급 관리부
150: 차량정보 DB
160: 화물정보 DB
200: 화주
210: 화주 단말기
300: 차주
310: 차주 단말기
400: 주선사
401: 주선사 보유 차량
402: 주선사 가입 화주
403: 주선사 가입 차주
410: 주선사 단말기
510: 적재된 화물 정보
520: 여유공간 정보

Claims (8)

  1. 화물의 출발일시, 도착일시, 출발지, 도착지, 수량, 무게 및 부피정보를 포함하는 화물정보를 송수신하는 화물정보 관리부; 차량의 위치, 적재가능 무게 및 부피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정보를 송수신하는 차량정보 관리부; 및 사용자의 배차요청에 따라 상기 화물 및 차량을 배차하고 배차정보를 송수신하는 배차관리부;를 포함하는 화물배차 서버;
    상기 화물배차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화물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차량정보를 수신한 후 하나의 차량정보를 선택하여 배차요청을 하면 상기 배차정보를 수신하는 화주 단말기;
    상기 화물배차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차량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화물정보를 수신한 후 하나의 화물정보를 선택하여 배차요청을 하면 상기 배차정보를 수신하는 차주 단말기;
    상기 화물배차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화물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차량정보를 수신한 후 하나의 차량정보를 선택하여 배차요청을 하거나, 상기 차량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화물정보를 수신한 후 하나의 화물정보를 선택하여 배차요청을 하면 상기 배차정보를 수신하는 주선사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화물정보 관리부는 상기 차주 단말기 또는 주선사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차량정보를 분석하여 적재가능한 화물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차량 관리부는 상기 화주 단말기 또는 주선사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화물정보를 분석하여 적재가능한 차량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배차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차 관리부는 상기 화주 단말기 또는 주선사 단말기가 상기 화물정보에 대한 배차요청을 하면 상기 차주 단말기에 상기 배차요청을 전달하며, 상기 차주 단말기가 배차승인을 한 경우에만 상기 화물 및 차량을 배차하고, 상기 차주 단말기 또는 주선사 단말기가 상기 차량정보에 대한 배차요청을 하면 상기 화주 단말기에 상기 배차요청을 전달하며, 상기 화주 단말기가 배차승인을 한 경우에만 상기 화물 및 차량을 배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배차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정보 관리부는 상기 화물정보의 출발지 및 도착지를 이용하여 배송경로를 생성하고, 상기 배송경로가 전부 또는 일부 중복되는 두 개 이상의 화물정보 중에 출발일시와 도착일시가 소정의 시간 내에 포함되는 화물정보를 동시에 배차 가능한 화물정보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배차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정보는 상기 출발지 및 도착지의 권역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화물정보 관리부는 상기 차주 단말기의 권역에서 다른 권역으로 이동이 필요한 제 1 화물정보 및 상기 제 1 화물정보의 도착지와 같은 권역에서 출발하고 도착지가 상기 차주 단말기의 권역인 제 2 화물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제1 화물정보의 도착일시와 상기 제2 화물정보의 출발일시가 소정의 시간 내에 포함되는 화물정보를 권역간 왕복 가능한 화물정보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배차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정보 관리부는 상기 화물정보 중에서 화물의 분리적재가 가능한 화물정보를 추출하고, 배차되지 않은 화물차량에 적재 가능한 크기로 나눈 후, 분리 배송 가능한 화물정보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배차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또는 무선전화망을 통하여 위치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차주 단말기에 전송하는 위치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배차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관리부는 화물차량의 상기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상기 차량 정보 중 배차가 완료되었지만 적재 여유가 있는 화물차량 정보를 추출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배차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배차 서버는 배송완료 횟수, 배송실패율, 배송화물의 파손여부, 비용지급여부를 고려하여 사용자의 등급을 관리하는 사용자 등급 관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차주 단말기, 화주 단말기 및 주선사 단말기로 화물정보 또는 차량정보를 송신할 때 상기 사용자 등급을 포함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배차 시스템.
KR1020110139297A 2011-12-21 2011-12-21 화물배차 시스템 KR201300828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297A KR20130082877A (ko) 2011-12-21 2011-12-21 화물배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297A KR20130082877A (ko) 2011-12-21 2011-12-21 화물배차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2877A true KR20130082877A (ko) 2013-07-22

Family

ID=48994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9297A KR20130082877A (ko) 2011-12-21 2011-12-21 화물배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82877A (ko)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659B1 (ko) * 2013-10-04 2014-08-05 김지홍 화물운송 정보 중계 방법
CN106530834A (zh) * 2016-12-29 2017-03-22 武汉七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行为管理系统及管理方法
KR101867456B1 (ko) * 2017-08-23 2018-06-14 네오시스템즈(주) 강화된 상태 변화 적응성 및 안정성을 구비한 클라우드 허브 중심의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를 통한 화물 운송 정보의 실시간 공유 방법
KR101867453B1 (ko) * 2017-08-23 2018-06-14 네오시스템즈(주) 강화된 동적 라우팅 기능과 상태 변화 적응성을 구비한 클라우드 허브 중심의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를 통한 화물 운송 정보의 실시간 공유 방법
KR101992414B1 (ko) 2019-02-19 2019-06-24 정승범 화물운송비 견적 자동 산출시스템 및 방법
KR101992828B1 (ko) 2019-02-19 2019-06-25 정승범 유사경로 내 효율적 운송 가능한 화물배차시스템 및 방법
KR102081555B1 (ko) * 2019-12-04 2020-02-25 최현빈 화물배차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233216B1 (ko) * 2020-04-29 2021-03-29 주식회사 에코엑스랩 화물 운송 관리 시스템
KR20210078125A (ko) * 2019-12-18 2021-06-28 (주)코머신 수출 물류 견적 서버 및 그 방법
KR102314598B1 (ko) * 2021-03-19 2021-10-20 주식회사 대왕 화물 운송 계약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24121B1 (ko) * 2021-05-24 2021-11-11 금파콜트럭공차정보 주식회사 스마트 배차를 이용한 화물 운송 주선 플랫폼 시스템
KR102366324B1 (ko) * 2021-05-25 2022-02-23 안성찬 지능형 스마트 화물 운송 관리 시스템
KR102421352B1 (ko) * 2021-05-10 2022-07-15 로드윈휴먼 주식회사 인사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물류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497560B1 (ko) 2022-07-14 2023-02-08 주식회사 펜타콜 인공지능 기반 물류 중개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499177B1 (ko) * 2022-06-27 2023-02-13 복로지스 주식회사 인공지능 기반 화주 및 차주 매칭 자동화 방법
KR20230063816A (ko) * 2021-11-02 2023-05-09 김지연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한 화물 배차 시스템 및 방법
KR102537303B1 (ko) * 2022-10-17 2023-05-30 유병헌 지게차와 화물차를 연계하는 원터치 호출 및 추적 시스템 및 지게차와 화물차를 연계하는 원터치 호출 및 추적 방법
KR102559674B1 (ko) * 2023-01-11 2023-07-26 (주)에이치에스엘엔씨 수출 수입 물류를 위한 창고 입출고, 컨테이너 운송 및 주문 처리 자동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581676B1 (ko) * 2023-05-03 2023-09-22 이상구 덤프트럭 운반관리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659B1 (ko) * 2013-10-04 2014-08-05 김지홍 화물운송 정보 중계 방법
CN106530834A (zh) * 2016-12-29 2017-03-22 武汉七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行为管理系统及管理方法
KR101867456B1 (ko) * 2017-08-23 2018-06-14 네오시스템즈(주) 강화된 상태 변화 적응성 및 안정성을 구비한 클라우드 허브 중심의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를 통한 화물 운송 정보의 실시간 공유 방법
KR101867453B1 (ko) * 2017-08-23 2018-06-14 네오시스템즈(주) 강화된 동적 라우팅 기능과 상태 변화 적응성을 구비한 클라우드 허브 중심의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를 통한 화물 운송 정보의 실시간 공유 방법
KR101992414B1 (ko) 2019-02-19 2019-06-24 정승범 화물운송비 견적 자동 산출시스템 및 방법
KR101992828B1 (ko) 2019-02-19 2019-06-25 정승범 유사경로 내 효율적 운송 가능한 화물배차시스템 및 방법
KR102081555B1 (ko) * 2019-12-04 2020-02-25 최현빈 화물배차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10078125A (ko) * 2019-12-18 2021-06-28 (주)코머신 수출 물류 견적 서버 및 그 방법
WO2021221315A1 (ko) * 2020-04-29 2021-11-04 주식회사 에코엑스랩 화물 운송 관리 시스템
KR102233216B1 (ko) * 2020-04-29 2021-03-29 주식회사 에코엑스랩 화물 운송 관리 시스템
KR102314598B1 (ko) * 2021-03-19 2021-10-20 주식회사 대왕 화물 운송 계약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21352B1 (ko) * 2021-05-10 2022-07-15 로드윈휴먼 주식회사 인사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물류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324121B1 (ko) * 2021-05-24 2021-11-11 금파콜트럭공차정보 주식회사 스마트 배차를 이용한 화물 운송 주선 플랫폼 시스템
KR102366324B1 (ko) * 2021-05-25 2022-02-23 안성찬 지능형 스마트 화물 운송 관리 시스템
WO2022250251A1 (ko) * 2021-05-25 2022-12-01 안성찬 지능형 스마트 화물 운송 관리 시스템
KR20230063816A (ko) * 2021-11-02 2023-05-09 김지연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한 화물 배차 시스템 및 방법
KR102499177B1 (ko) * 2022-06-27 2023-02-13 복로지스 주식회사 인공지능 기반 화주 및 차주 매칭 자동화 방법
KR102497560B1 (ko) 2022-07-14 2023-02-08 주식회사 펜타콜 인공지능 기반 물류 중개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537303B1 (ko) * 2022-10-17 2023-05-30 유병헌 지게차와 화물차를 연계하는 원터치 호출 및 추적 시스템 및 지게차와 화물차를 연계하는 원터치 호출 및 추적 방법
KR102559674B1 (ko) * 2023-01-11 2023-07-26 (주)에이치에스엘엔씨 수출 수입 물류를 위한 창고 입출고, 컨테이너 운송 및 주문 처리 자동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581676B1 (ko) * 2023-05-03 2023-09-22 이상구 덤프트럭 운반관리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82877A (ko) 화물배차 시스템
US8095304B2 (en) Cargo tracking and visibility system and method
JP3416635B2 (ja) 配車計画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および配車計画システム
KR101754300B1 (ko) 화물운송 중개 관리시스템
CN108985679A (zh) 物流平台管理方法及系统
KR102095735B1 (ko) 화물차를 이용한 권역기반 물류 시스템 및 분배 방법
US20120209787A1 (en) Computerized system and method for matching freight vehicles and loads
KR101052247B1 (ko) 물류 배송을 위한 배차 방법, 서버 및 시스템
KR101867456B1 (ko) 강화된 상태 변화 적응성 및 안정성을 구비한 클라우드 허브 중심의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를 통한 화물 운송 정보의 실시간 공유 방법
KR102435722B1 (ko) 항공 화물 배송을 위한 스마트 화물 차량 배차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KR20210008581A (ko) 멀티 인수 및 멀티 배송을 위한 물류 운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70067230A (ko)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
KR20130109824A (ko) 배차시스템 및 배차방법
KR20200088025A (ko) 종합수배송 공유 방법
JP2020187620A (ja) 物流管理システム、物流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2193450A (ja) 輸送貨物の物流制御方法および物流制御システム
KR20210123440A (ko) 모바일을 이용한 국제물류 중계 시스템
WO2003094065A1 (fr) Dispositif de gestion de transport
KR20100049433A (ko) 공차 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공차 제공 방법
JP2023006316A (ja) マッチングシステム
JP2002024349A (ja) 物流業務支援システム、物流業務支援方法、及び物流業務支援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020071174A (ko) 물류운송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JP2002304447A (ja) 輸送管理装置、輸送管理システム、輸送管理方法及び記憶媒体
KR20020005516A (ko) 화물운송 자동배차 방법 및 그 장치
KR102447123B1 (ko) 인공지능 기반의 복화배차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