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7453B1 - 강화된 동적 라우팅 기능과 상태 변화 적응성을 구비한 클라우드 허브 중심의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를 통한 화물 운송 정보의 실시간 공유 방법 - Google Patents

강화된 동적 라우팅 기능과 상태 변화 적응성을 구비한 클라우드 허브 중심의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를 통한 화물 운송 정보의 실시간 공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7453B1
KR101867453B1 KR1020170106762A KR20170106762A KR101867453B1 KR 101867453 B1 KR101867453 B1 KR 101867453B1 KR 1020170106762 A KR1020170106762 A KR 1020170106762A KR 20170106762 A KR20170106762 A KR 20170106762A KR 101867453 B1 KR101867453 B1 KR 101867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transportation
information
terminal
dynam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6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봉현
Original Assignee
네오시스템즈(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오시스템즈(주) filed Critical 네오시스템즈(주)
Priority to KR1020170106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74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7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7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5Relationships between shipper or supplier and carri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라우드 허브 중심의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를 통한 화물 운송 정보의 실시간 공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클라우드 허브를 중심으로 구성되는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를 활용하여 커뮤니티 내의 화물 정보 등을 화물운송체계를 구성하는 구성원이 되는 화주, 주선사업자, 운송업자, 화물차 기사 등이 실시간으로 상호 공유하여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화물 운송 차량의 배차 효율을 향상시키고 배차 공정성을 제고하면서 실시간으로 변화되는 상태 변화에 대한 적응성을 높이도록 하는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를 통한 화물 운송 정보의 실시간 공유 방법으로서 강화된 동적 라우팅 기능을 구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강화된 동적 라우팅 기능과 상태 변화 적응성을 구비한 클라우드 허브 중심의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를 통한 화물 운송 정보의 실시간 공유 방법 {Real-time Sharing Method of Cargo Transportation Information through Cargo Information Sharing Community centered on Cloud Hub with the Enforced Dynamic Routing and State Change Adaptability}
본 발명은 클라우드 허브 중심의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를 통한 화물 운송 정보의 실시간 공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클라우드 허브를 중심으로 구성되는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를 활용하여 커뮤니티 내의 화물 정보 등을 화물운송체계를 구성하는 구성원이 되는 화주, 주선사업자, 운송업자, 화물차 기사 등이 실시간으로 상호 공유하여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화물 운송 차량의 배차 효율을 향상시키고 배차 공정성을 제고하면서 실시간으로 변화되는 상태 변화에 대한 적응성을 높이도록 하는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를 통한 화물 운송 정보의 실시간 공유 방법으로서 강화된 동적 라우팅 기능을 구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의 화물운송체계는 화물운송을 의뢰하고자 하는 화주가 직업 화물운송회사나 개인화물 운송업자에게 화물운송을 의뢰한 후 운송료를 지불하거나 화주가 화물운송 주선사업자에게 화물운송을 위탁하고, 주선사업자는 운송업자에게 화물운송을 의뢰하면서 그에 대한 거래가 성립되면 차주로부터 주선수수료를 받고 운송업자는 화주에게 운송료를 받는 원시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짐이 일반적이었다.
한편, 현실적으로 개별 화물운송회사에서 화주의 요구를 모두 충족시킬 수 있을 만큼 운송차량을 충분히 보유하고 있지 못하고 있으며, 주선사업자 역시 자체 보유한 차주정보가 부족하여 화주가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지역으로 화물운송 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하기가 어려운 현실이다.
이로 인해, 현재의 화물운송체계로는 시장성이 있는 지역에만 국한하여 화물운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고,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모되는 운송에는 과다한 운송료를 요구하거나 심지어 사정이 여의치 않을 경우 제때에 화물접수 내지는 화물운송이 이루어지기가 어려운 실정에 있다.
또한, 같은 업종의 다른 주선사업자에게 화물운송을 재의뢰함으로써 화물운송의 다단계 현상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화물운송의 다단계로 인해 추가로 발생하는 주선수수료의 부담을 화주나 차주에게 전가시킴으로써 화주에게는 운송료의 상승을 그리고 차주에게는 운송료의 삭감을 강압적으로 요구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화물운송과 관련된 시스템은 화주, 수화주, 운송업자 및 주선사업자(주선소)가 단말기 등의 정보기기를 통해 서로 간의 정보를 이용해 화물의 주선 및 운송을 편리하게 하는 것이며, 현재 국내에는 전국24시콜(www.15887924.com), 전국특송(www.jktg.com) 등의 사이트를 이용한 회사가 주를 이루고 있는데, 이러한 회사들은 단순히 물류에 대한 정보만을 나열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기에 화물 정보의 능동적인 실시간 공유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화물운송과 관련된 종래기술로서는 등록특허 제10-0324400호(2002. 02. 16)에 개시되어 있는 물류운송정보의 처리방법이 있다.
상기 등록 특허에는 물류운송정보를 온라인 상에서 처리하기 위한 물류넷서버를 통한 온라인상에서의 물류운송정보의 처리방법에 있어서, 물류넷서버에 접속한 화주의 단말기로부터 화물의 배송의뢰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상기 물류넷서버의 데이터베이스 풀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물류넷서버의 데이터베이스 풀에 접속하여 배송의뢰접수한 주선소의 단말기로부터 배송의뢰접수확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주선소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배송의뢰접수확인 정보에 따라 상기 화주의 단말기로 배송의뢰접수를 통보하는 단계와; 상기 물류넷서버에 등록된 각 차량의 공차정보를 검색하여 배송할 차량을 선택한 주선소의 단말기로부터 해당 차량에 대한 운송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주선소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운송지시 정보를 해당 차량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 의해 수신한 운송지시 정보에 따라 화주로부터 화물을 인수받아 이를 배송한 차량으로부터 화물을 인수한 수화주의 단말기로부터 인수확인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물류넷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인수확인정보를 검색하여 배송확인한 주선소의 단말기로부터 배송에 대한 대금청구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화주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인수확인정보와 상기 주선소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대금청구정보를 상기 화주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운송정보의 처리방법이 제안되어 있는데, 그러나 이러한 등록 특허 제10-0324400호에서 제안된 처리 방법에 따르면 공차인 경우에만 배송할 차량으로 선택함으로써 짧은 시간 하차가 이루어져 공차가 될 수 있고 지역적으로 가까운 경우에도 배차를 받지 못하는 불합리한 점이 있었다.
또한, 임의로 운송할 차량을 배차함으로써 화주의 입장에서는 신뢰할 수 없는 운송업자가 할당되는 경우를 피하기 어려우며, 또한 운송업자는 운송하기가 꺼려지는 성질의 화물이나 화주의 화물에 대해서도 반강제적으로 운송을 강요당하고, 배송비 역시 임의로 책정되어 화주에게 절대적으로 유리한 구조가 생길 수 있으며, 배송이 완료된 뒤 화주가 배송비에 대한 지급을 늦추거나 지급을 하지 않아도 운송업자의 시간적인 부담과 소송에 따른 부담 등으로 배송비를 늦게 받거나 받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서버의 경우 단순히 화물의 중계 역할만을 하면서도 높은 수수료를 운송업자로부터 받음으로써 운송업자들의 불만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개량 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1525173호(2015.06.02.)가 제안되기도 하였는데, 이에 따른 화물운송 시스템은 첨부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 운송을 위해 운송을 의뢰하는 화주 단말기(20)와, 화주와 계약에 의해 운송을 의뢰하고 운송업자에게 운송을 지시하는 주선사업자 단말기(30) 및 메인서버(10)와, 상기 메인서버(10)를 통해 의뢰된 운송을 선택하여 수행하고 수화주(50)에게 인수확인서를 받는 운송업자 단말기(40)를 포함하는 화물운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버(10)는 운송업자 단말기(40)로부터 인수확인서와 세금계산서를 받은 뒤 일정 시간 내에 운송료를 운송업자나 주선사업자에게 선결제하여 주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이에 따르면 메인서버(10)는 화주가 제시한 정보를 바탕으로 현재 운송업자의 상태 즉, 배송중인지 아닌지를 파악하고, 운송업자의 위치, 화물의 종류, 차량의 종류, 차고지 등의 정보를 고려하여 가장 적합한 운송업자를 다수 선정하여 선정된 운송업자에게 통보하게 되고, 선정된 운송업자는 운송업자 단말기(40)를 통하여 통보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화주에 가서 화물을 실은 뒤 수화주(화물 수령인) 쪽으로의 화물을 운송하게 되고, 운송업자는 화물을 상차한 뒤 차량의 위치 및 운행정보를 실시간으로 메인서버에 제공하게 되는데, 이는 운송업자가 가지고 있는 단말기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화주나 수화주는 운송업자 단말기(40)를 통해 업로드된 차량의 위치나 운행정보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어 현재 화물의 위치나 화물의 도착시간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개량 기술의 경우에도 단순한 화물 이동 경로 중심의 정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치고 있기에, 물류서비스의 이용 주체인 화주와 물류업계 종사자인 창고업체, 운송주선사, 화물차량 운전자 등이 각자가 필요로 하는 특성화된 물류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특정 서비스와 연결된 관계자들 상호간의 직접적인 직접적인 소통이 가능한 네트워크 연결을 제공하는 커뮤니티를 제공하지는 못하고 있기에 커뮤니케이션의 단절로 인한 업무 지연, 불필요한 추가 비용의 발생의 문제점이 해소되기 어려우며, 화물 정보(오더)의 공유, 차량 수배, 화물 추적을 위해 몇 단계를 거쳐야 하는 불편함도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다.
아울러 유대와 신뢰를 중시하는 업계의 특성을 고려할 때 물류 관계자들 간의 원활한 정보 공유와 기존 거래를 통해 쌓아온 인맥의 활용을 통한 시너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물류 관리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음은 매우 아쉬운 문제로 남겨져 있는데, 예컨대 화주 입장에서 과거 이용 경험에 비추어서 신뢰할 수 있고 선호도가 높은 운송업자나 화물차 운송 기사가 있는 경우에도 기존의 시스템에서는 이들을 단골이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간편하게 선택하여 화물 정보를 먼저 알려줄 수 있는 수단이 특별히 없어서 만족 가능성이 높은 거래 상대방에 손쉽게 접근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개량 기술의 경우 뿐만 아니라 계층적인 권역별 배차 계획을 수립하는 방안을 개시한 공개특허 제10-2016-0070699호 (2016.06.20.)에 따른 종래 기술(첨부 도면 도 1 참조)에 따르더라도 단순한 화물 이동 경로 중심의 정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치고 있기에, 예컨대 1차적인 운송 스케쥴이 확립된 이후에 새로운 택배 수집 요청과 같은 화물 운송 요청이 있는 경우에 화물 배송/수집 경로 상에 운행 중이던 운송 차량(택배 배송/수집 차량)의 현재 위치/미래 위치에 기반하여 운행 경로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동적 라우팅을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점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 도 2a 및 도 2b를 통하여 예시된 공개특허 제10-2016-0071202호 (2016.06.21.)와 같은 종래 기술을 통하여 공개된 바와 같이 최근 들어서 일반화되어 이용되는 물류 시스템에서는 화물 위치 추적 시스템을 구현함에 있어서 GPS 위치 정보 등을 활용하여 화물을 운송하는 화물차의 실시간 위치 추적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지만, 화물 운송이 종료될 미래 시점에서 새로운 화물 정보를 사전에 입수하고 이를 이용할 수 있는 최적화된 수단이 없어서 우송 시스템 전체의 효율을 상승시키는데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나아가, GPS 위치 정보 등을 활용하여 화물/승객을 운송하는 화물차/택시의 실시간 위치 추적 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물류/승객 시스템에서 활용하여 동적 라우팅을 제공하고자 하더라도 단순한 현재 상태의 GPS 위치 정보만으로는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교통 상황 변화나, 새로운 운송 요청이 요구된 미래 시간에 발생할 교통 제한 상황 등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확대 금지선과 같은 제한 요소를 고려하면서 새로운 운송 수요에 중첩을 회피하는 최적화된 동적 라우팅을 제공할 수 있는 별도의 대응 방안이 없기에 배송 효율을 최대화하기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미래 시간을 기준으로 새로운 택배 수집 요청과 같은 화물 운송 요청이 있는 경우에 화물 배송/수집 경로 상에 운행 중이던 운송 차량(택배 배송/수집 차량)의 미래 위치(신규 화물 운송 요청의 처리 수용이 가능한 위치)에 기반하여 운행 경로(라우팅 경로)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는 동적 라우팅을 제공함에 있어서, 새로운 화물 운송 요청이 발생한 지점을 포함한 설정 범위 내의 권역에 속하는 다수의 운송 차량(택배 배송/수집 차량) 중에서 특정 소수의 운송 차량(택배 배송/수집 차량)이 이러한 새로운 화물 운송 요청을 계속적으로 확보하여 라우팅 경로를 동적으로 변경하는 것을 자주 허용하게 한다면, 특정 소수의 운송 차량(택배 배송/수집 차량)이 수행 중인 후속 운송 스케쥴의 빈번한 변경으로 인하여 후속 운송 스케쥴에 배속된 화주의 불만 사항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아울러 유대와 신뢰를 중시하는 화물 운송 업계에서 시스템의 신뢰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특허문헌 01] 등록특허 제10-0324400호 (2002.02.16.) [특허문헌 02] 등록특허 제10-1525173호 (2015.06.02.) [특허문헌 03] 공개특허 제10-2016-0070699호 (2016.06.20.) [특허문헌 04] 공개특허 제10-2016-0071202호 (2016.06.21.)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화물 운송 차량 배차 시스템 및 배차 방법이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순한 화물 이동 경로 중심의 정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치고 않고, 물류서비스의 이용 주체들 각자가 필요로 하는 특성화된 물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특정 서비스와 연결된 관계자들 상호간의 직접적인 소통이 가능한 네트워크 연결이 가능한 화물 정보 공유 커뮤니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유대와 신뢰를 중시하는 업계의 특성을 고려할 때 물류 관계자들 간의 원활한 정보 공유와 기존 거래를 통해 쌓아온 인맥의 활용을 통한 시너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물류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며, 화물차의 실시간 위치 추적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기존의 화물 운송이 종료되는 미래 시점에서 새로운 화물 정보를 사전에 입수하고 이를 화물 정보 공유 커뮤니티 구성원들이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최적화된 수단을 제공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아울러 GPS 위치 정보 등을 활용하여 화물을 운송하는 화물차의 실시간 위치 추적 정보를 물류 시스템에서 활용하여 새로운 화물 운송 요청에 대응한 동적 라우팅을 제공하면서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교통 상황 변화 등에 기초하여 확대 금지선과 같은 제한 요소를 고려하여 새로운 운송 수요에 최적화된 동적 라우팅을 제공할 수 있는 별도의 대응 수단을 제공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나아가 새로운 화물 운송 요청이 발생한 지점을 포함한 설정 범위 내의 권역에 속하는 다수의 운송 차량(택배 배송/수집 차량) 중에서 특정 소수의 운송 차량(택배 배송/수집 차량)이 이러한 새로운 화물 운송 요청을 계속적으로 확보하는 것을 금지할 수 있거나 신규 화물 운송 요청의 편성을 위한 운송 스케쥴의 동적 변경에 의하여 유발되는 후속 운송 스케쥴의 딜레이 타임을 고려하여 신규 화물 운송 접수 및 동적 라우팅 변경의 허용/차단을 판정하는 별도의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추가적인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클라우드 허브 중심의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를 통한 화물 운송 정보의 실시간 공유 방법에 있어서,
물류서비스의 이용 주체인 화주와 물류업계 구성원(창고업체, 운송주선사, 화물차량 운전자 등)들이 각자의 단말기를 통하여 각자가 필요로 하는 특성화된 물류 정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며 상호간의 직접적인 소통이 가능한 네트워크 연결을 포함한 다수개의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가 클라우드 허브를 통하여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다수개의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 중에서 특정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 구성원의 단말기를 통하여 입력되는 물류 정보가 클라우드 허브를 구성하는 물류 정보 관리 서버를 통하여 그 구성원이 속한 특정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에 속한 구성원들의 단말기에 전송되는 단계와;
구성원들의 단말기에 전송된 물류 정보가 특정 구성원 단말기에 의해 선택되어 물류 정보 관리 서버에서 운송 스케쥴이 성립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그리고
상기 특정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는,
현재 시간 기준으로 화주(화물)의 위치, 운송사 권역, 및 화물차의 현재 위치의 소권역, 중권역, 대권역으로 확대되는 스캔 범위에서의 공통점(GPS 정보의 공통점: 근접성)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실시간(real-time) 동적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 및
현재 시간으로부터 일정 시간 이후의 미래 시간을 기준으로 화주(화물)의 위치, 운송사 권역, 및 화물차의 장래 위치의 소권역, 중권역, 대권역으로 확대되는 스캔 범위에서의 공통점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미래시간(future-time) 동적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그리고
상기 실시간(real-time) 동적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가 생성될 때, 현재 시간 기준으로 화주(화물)의 위치, 운송사 권역, 및 화물차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성립되는 1차 운송 스케쥴을 구성하는 라우팅 경로가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교통 상황 변화나 지리적 여건을 포함한 제한 조건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제1 확대 금지선과 같은 제한 요소를 교차하여 넘어가지 않도록 구성되고,
상기 미래시간(future-time) 동적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가 생성될 때, 신규 화물 운송 요청의 처리가 가능한 미래 시간 기준으로 화주(화물)의 위치, 운송사 권역, 및 화물차의 미래 위치에 기초하여 수정 성립되는 2차 운송 스케쥴을 구성하는 수정 라우팅 경로가 미래 시간으로 발생하는 것이 예측되는 교통 상황 변화나 지리적 여건을 포함한 제한 조건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제2 확대 금지선과 같은 제한 요소를 교차하여 넘어가지 않도록 구성되며,
신규 화물 운송 요청에 의해 상기 미래시간(future-time) 동적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가 생성된 후 2차 운송 스케쥴이 수정 성립되기 이전에, 화물 운송 요청의 물류 정보가 미래시간 동적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에 속한 구성원들의 단말기로 전송되어 특정 화물차 단말기가 신규 화물 운송 접수하기 위한 요청을 하는 경우, 신규 화물 운송 접수 요청을 우선적으로 발송한 화물차 단말기 ID의 현재 DB 서버(물류 정보 관리 서버에 부속된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존재하는 과거 설정 기간(예: 지난 1주일 또는 1개월) 이내에 누적된 유효한 신규 화물 동적 접수 리스트의 개수와 해당 화물차 단말기 ID의 신규 화물 동적 접수 허용 횟수를 조회하여,
(a) 설정 기간 이내에 누적된 유효한 신규 화물 동적 접수 리스트의 개수가 해당 화물차 단말기 ID의 신규 화물 동적 접수 허용 횟수 미만인 경우에는, 현재 동적 라우팅 과다 사용 상태에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여, 현재 우선적으로 신규 화물 운송 접수 요청을 발송한 해당 화물차 단말기 ID에 대하여 신규 화물 운송 접수 및 동적 라우팅 변경을 허용하고, 그리고
(b) 설정 기간 이내에 누적된 유효한 신규 화물 동적 접수 리스트의 개수가 해당 화물차 단말기 ID의 신규 화물 동적 접수 허용 횟수 이상인 경우에는, 현재 동적 라우팅 과다 사용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정하며, 현재 우선적으로 신규 화물 운송 접수 요청을 발송한 해당 화물차 단말기 ID에 대하여 추가 처리 조건에 따라서 신규 화물 운송 접수 및 동적 라우팅 변경을 허용할 것인지 또는 차단할 것인지를 결정하고, 현재 우선적으로 신규 화물 운송 접수 요청을 발송한 해당 화물차 단말기 ID에 대하여 신규 화물 운송 접수 및 동적 라우팅 변경을 불허하는 경우, 추후 접속된 화물차 단말기 ID의 신규 화물 운송 접수 요청을 처리하며, 그리고
상기 구성원들의 단말기에 전송된 물류 정보가 특정 구성원 단말기에 의해 선택되어 물류 정보 관리 서버에서 운송 스케쥴이 성립되는 단계에서 성립되는 운송 스케쥴에도 상기 제한 요소를 넘어서 교차하면서 확대되는 라우팅 경로를 설정하는 운송 스케쥴이 포함되지 않도록 동적 라우팅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된 동적 라우팅 기능과 상태 변화 적응성을 구비한 클라우드 허브 중심의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를 통한 화물 운송 정보의 실시간 공유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는 커뮤니티 구성원의 단말기를 통한 지인 초대 기능에 의해 영역이 확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를 형성하는 각 구성원의 단말기에 나타나는 다른 구성원의 식별 정보(ID 등)에는 단골 표시 정보가 나타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예컨대 화물차 기사(화물차)가 공차 상태에서 현재 시간으로 현재 위치에서 인접한 영역에서 발생하는 화물 운송 정보를 권역을 확장하면서 스캔하여 자동적으로 생성되는 실시간(real-time) 동적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를 통하여 전달 받아서 이를 선택하여 운송 스케쥴이 성립되도록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물차의 실시간 위치에 따른 간편한 운송 물류 시스템을 형성하는 효과를 제공하며, 또한 구성원 상호간의 직접적인 소통이 가능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하여 유대와 신뢰를 중시하는 물류 관계자들 간의 원활한 정보 공유가 가능하도록 하며, 기존 거래를 통해 쌓아온 인맥(예컨대, 단골 고객 정보)의 활용을 통한 시너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면서, 아울러 권역 확장 스캔 과정에서 확보되는 화물 운송 요청을 반영하여 성립되는 운송 스케쥴에서의 라우팅 경로가 교통 상황 변화나 지리적 여건을 포함한 제한 조건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확대 금지선과 같은 제한 요소를 교차하여 넘어서 확대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새로운 운송 수요와 현실 환경에 최적화된 동적 라우팅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나아가, 현재 시간으로부터 일정 시간 이후의 미래 시간을 기준으로 신규 화물 운송이 요청된 화주(화물)의 위치, 운송사 권역, 및 화물차의 장래 위치의 소권역, 중권역, 대권역으로 확대되는 스캔 범위에서의 공통점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미래시간(future-time) 동적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를 통하여 화물 운송이 종료되는 (또는 화물 운송 스케쥴 진행 중인) 미래 시점에서 발생하는 새로운 화물 정보를 화물 정보 공유 커뮤니티 구성원들이 사전에 입수하여 이를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여 운송 시스템 전체의 효율을 상승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특히 미래 시점에서 발생하는 새로운 화물 정보를 반영하여 수정되는 운송 스케쥴에서도 이에 따라 수정되는 라우팅 경로가 미래 시간에 예측되는 교통 상황 변화나 지리적 여건을 포함한 제한 조건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확대 금지선과 같은 제한 요소를 교차하여 넘어서 확대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새로운 화물 운송 요청에 의한 운송 수요와 현실 환경에 최적화된 동적 라우팅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새로운 화물 운송 요청이 발생한 지점을 포함한 설정 범위 내의 권역에 속하는 다수의 운송 차량(택배 배송/수집 차량) 중에서 우선적으로 신규 화물 운송 접수를 요청한 화물차의 동적 라우팅 과다 사용 상태 확인하여 신규 화물 운송 접수 및 동적 라우팅 변경을 허용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특정 소수의 운송 차량(택배 배송/수집 차량)이 이러한 새로운 화물 운송 요청을 계속적으로 확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특정 소수의 운송 차량(택배 배송/수집 차량)이 수행 중인 후속 운송 스케쥴의 빈번한 변경으로 인하여 후속 운송 스케쥴에 배속된 화주의 불만 사항이 발생할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하며, 유대와 신뢰를 중시하는 화물 운송 업계에서 시스템의 신뢰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계층적인 권역별 배차 계획을 수립하는 방안을 개시한 도면.
도 2a 및 도 2b는 종래 기술에 따른 GPS 위치 정보를 활용한 화물 위치 추적 시스템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클라우드 허브 중심의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를 통한 화물 운송 정보의 실시간 공유 방법이 진행되는 상태를 도시한 순서도로서, 실시간(real-time) 동적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가 생성되는 상태(S110a)와 그리고 미래시간(future-time) 동적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가 생성되는 상태(S110b: 괄호 내부)를 함께 도시한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도 4에 도시된 실시간(real-time) 동적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와 미래시간(future-time) 동적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를 형성하는 각각의 과정에서의 권역 확장 스캔 과정에서 확보된 운송 요청들을 포함하는 라우팅 경로를 설정하면서 운송 스케쥴을 수립하거나 수정할 때 라우팅 졍로가 교통 상황 변화나 지리적 여건을 포함한 제한 조건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확대 금지선과 같은 제한 요소를 교차하여 넘어서 확대되지 않도록 하는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작동 상태도.
도 6은 미래시간(future-time) 동적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 내에서 신규 화물 운송 요청이 처리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7은 신규 운송 요청 접수/허용에 의한 동적 라우팅 변경에 의해 유발되는 추후 운송 스케쥴의 딜레이 타임 발생 상황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클라우드 허브 중심의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를 통한 화물 운송 정보의 실시간 공유 방법이 진행되는 상태를 도시한 순서도로서, 정적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가 지인 초대 기능을 통하여 확장되는 상태를 함께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강화된 동적 라우팅 기능과 상태 변화 적응성을 구비한 클라우드 허브 중심의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를 통한 화물 운송 정보의 실시간 공유 방법에 있어서,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류서비스의 이용 주체인 화주(발송(發送)화주, 수신(受信)화주)와 물류업계 구성원(창고업체, 운송주선사, 화물차량 운전자 등)들이 각자의 단말기(110, 120)를 통하여 각자가 필요로 하는 특성화된 물류 정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며 상호간의 직접적인 소통이 가능한 네트워크 연결을 포함한 다수개의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100a, 100b)가 클라우드 허브(100)를 통하여 제공하는 단계(S100)와;
상기 다수개의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100a, 100b) 중에서 특정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100a 또는 100b) 구성원의 단말기를 통하여 입력되는 물류 정보가 클라우드 허브(100)를 구성하는 물류 정보 관리 서버(130)를 통하여 그 구성원이 속한 특정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100a 또는 100b)에 속한 구성원들의 단말기에 전송되는 단계(S200)와;
구성원들의 단말기에 전송된 물류 정보가 특정 구성원 단말기에 의해 선택되어 물류 정보 관리 서버(130)에서 운송 스케쥴이 성립되는 단계(S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특정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100a 또는 100b)는,
현재 시간 기준으로 화주(화물)의 위치, 운송사 권역, 및 화물차의 현재 위치의 소권역, 중권역, 대권역으로 확대되는 스캔 범위에서의 공통점(GPS 정보의 공통점: 근접성)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실시간(real-time) 동적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100a); 및
현재 시간으로부터 일정 시간 이후의 미래 시간을 기준으로 화주(화물)의 위치, 운송사 권역, 및 화물차의 장래 위치의 소권역, 중권역, 대권역으로 확대되는 스캔 범위에서의 공통점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미래시간(future-time) 동적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10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예컨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차가 실시간(09:00) 출발 위치가 되는 "Pr0" 중심의 실시간(real-time) 동적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100a)를 통하여 확보된 운송 요청(Pr1, Pr2, Pr3, Pr4, Pr5, Pr6)들을 포함하는 라우팅 경로(R1)를 설정하면서 1차 운송 스케쥴을 수립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실시간(real-time) 동적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100a)가 생성될 때, 현재 시간 기준으로 화주(화물)의 위치, 운송사 권역, 및 화물차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성립되는 1차 운송 스케쥴을 구성하는 라우팅 경로(R1, R1A)가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교통 상황 변화나 지리적 여건을 포함한 제한 조건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제1 확대 금지선(도 5a의 'K1': 예컨대 지리적 여건을 포함한 제한 조건)과 같은 제한 요소를 교차(라우팅 경로 'R1'은 'K1'을 교차)하여 넘어가지 않도록 구성(S110a)되고, 따라서 운송 요청(Pr1, Pr2, Pr3, Pr4, Pr5, Pr6)들 중에서 라우팅 경로 'R1'이 제1 확대 금지선 'K1'을 교차하여 넘어가도록 하는 'Pr5'의 운송 요청을 제외한 리우팅 경로(R1A) 및 이에 따른 1차 운송 스케쥴이 성립하게 된다.
화물 운송이 개시되면 일정 시간 경과된 이후(예컨대, 도 5b의 Real Time ~ 10:30), 화물차 운송자 단말기에서 주로 작동되는 커뮤니티는 추가적인 신규 화물 운송 요청(Pf1, Pf2)의 운송 정보 취득을 위하여 화물 중간 배송지인 "김해국제공항(Pr4) 지역" 중심의 미래시간(future-time: 12:10) 동적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100b)로 전환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미래시간(future-time) 동적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100b)가 생성(예컨대, Real Time ~ 10:30에 생성)될 때, 신규 화물 운송 요청(예컨대, 도 5b의 Pf1, Pf2)의 처리가 가능한 미래 시간 기준(예컨대, Future Time ~ 12:10)으로 화주(화물)의 위치, 운송사 권역, 및 화물차의 미래 위치(예컨대, Future Time ~ 12:10에 기초한 위치: 'Pr4')에 기초하여 수정 성립되는 2차 운송 스케쥴을 구성하는 수정 라우팅 경로(R2, R2A)가 미래 시간으로 발생하는 것이 예측되는 교통 상황 변화나 지리적 여건을 포함한 제한 조건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제2 확대 금지선(도 5b의 'K2': 예측되는 교통 상황 변화 여건을 포함한 제한 조건)과 같은 제한 요소를 교차(수정 라우팅 경로 'R2'는 'K2'을 교차)하여 넘어가지 않도록 구성(S110b)되는데, 따라서 신규 운송 요청(Pf1 및 Pf2)들 중에서 수정 라우팅 경로 'R2'가 제2 확대 금지선 'K2'을 교차하여 넘어가도록 하는 'Pf2'의 신규 운송 요청을 제외한 라우팅 경로(R2A) 및 이에 따른 2차 운송 스케쥴이 성립하게 된다.
한편으로, 신규 화물 운송 요청(Pf1 및 Pf2)(S1100)에 의해 상기 미래시간(future-time) 동적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가 생성(S1200)된 후 2차 운송 스케쥴이 수정 성립되기 이전에, 화물 운송 요청의 물류 정보가 미래시간 동적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에 속한 구성원들의 단말기로 전송(S2000)되어 특정 화물차 단말기가 신규 화물 운송 접수하기 위한 요청을 하는 경우, 신규 화물 운송 접수 요청을 우선적으로 발송한 화물차 단말기 ID의 현재 DB 서버(물류 정보 관리 서버(130)에 부속된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존재하는 과거 설정 기간(예: 지난 1주일 또는 1개월) 이내에 누적된 유효한 신규 화물 동적 접수 리스트의 개수와 해당 화물차 단말기 ID의 신규 화물 동적 접수 허용 횟수를 조회하여,
(a) 설정 기간 이내에 누적된 유효한 신규 화물 동적 접수 리스트의 개수가 해당 화물차 단말기 ID의 신규 화물 동적 접수 허용 횟수 미만인 경우에는, 현재 동적 라우팅 과다 사용 상태에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S3200; 'No' 판정)하여, 현재 우선적으로 신규 화물 운송 접수 요청을 발송한 해당 화물차 단말기 ID에 대하여 신규 화물 운송 접수 및 동적 라우팅 변경을 허용(S3300a)하고, 그리고
(b) 설정 기간 이내에 누적된 유효한 신규 화물 동적 접수 리스트의 개수가 해당 화물차 단말기 ID의 신규 화물 동적 접수 허용 횟수 이상인 경우에는, 현재 동적 라우팅 과다 사용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정하며(S3200; 'Yes' 판정), 현재 우선적으로 신규 화물 운송 접수 요청을 발송한 해당 화물차 단말기 ID에 대하여 추가 처리 조건(운송 딜레이 타임 누적치의 과다)에 따라서 신규 화물 운송 접수 및 동적 라우팅 변경을 허용할 것인지 또는 차단할 것인지를 결정(S3200a)하고, 현재 우선적으로 신규 화물 운송 접수 요청을 발송한 해당 화물차 단말기 ID에 대하여 신규 화물 운송 접수 및 동적 라우팅 변경을 불허(S3300b)하는 경우, 추후 접속된 화물차 단말기 ID의 신규 화물 운송 접수 요청을 처리하며, 그리고
상기 구성원들의 단말기에 전송된 물류 정보가 특정 구성원 단말기에 의해 선택되어 물류 정보 관리 서버에서 운송 스케쥴이 성립되는 단계(S300)에서 성립되는 운송 스케쥴에도 상기 제한 요소를 넘어서 확대된 운송 스케쥴이 포함되지 않도록 동적 라우팅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허브 중심의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를 통한 화물 운송 정보의 실시간 공유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b) 단계에서의 추가 처리 조건(운송 딜레이 타임 누적치의 과다)에 따른 신규 화물 운송 접수 및 동적 라우팅 변경의 허용/차단 여부 판정은 다음의 프로세스에 따라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b1) 해당 화물차 단말기 ID의 신규 화물 동적 접수 허용(도 7의 'T3' 시각의 신규 운송 요청을 운송 스케쥴에 수정 반영하도록 동적 라우팅 변경)에 따라 유발된 후속 운송 스케쥴('T2' 시각 운송 요청의 변경 스케쥴)의 딜레이 타임(예컨대 도 5a의 'Pr6'의 "14:00" → 신규 화물 운송 요청(Pf1 및 Pf2)을 포함 → 도 5b의 'Pr6'의 "14:40"으로 딜레이 타임 40분) 또는 설정 기간 누적 딜레이 타임(도 7 참조: DB 서버에 저장)이 설정 한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신규 화물 운송 접수 요청을 발송한 해당 화물차 단말기 ID에 대하여 신규 화물 운송 접수 및 동적 라우팅 변경을 불허(S3300b)하고, 그리고
(b2) 해당 화물차 단말기 ID의 신규 화물 동적 접수 허용에 따라 유발된 후속 운송 스케쥴의 딜레이 타임 및 설정 기간 누적 딜레이 타임(DB 서버에 저장)이 설정 한계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신규 화물 운송 접수 요청을 발송한 해당 화물차 단말기 ID에 대하여 신규 화물 운송 접수 및 동적 라우팅 변경을 허용(S3300a)하도록 설정된다.
아울러 상기 (a) 단계 또는 (b2) 단계를 통하여 신규 화물 운송 접수 및 동적 라우팅 변경을 허용(S3300a)하게 되면, 허용된 화물차 단말기 ID에 대하여 신규 화물 운송 계획을 포함한 동적 라우팅을 수행하여 운송 스케쥴 업데이트를 수행(S3400)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의 미래시간(future-time) 동적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100b)는 예컨대 구성원의 단말기에 장착된 GPS 모듈로부터 얻어지는 실시간 위치 정보나 화물차 또는 화물에 설치되는 실시간 위치 추적(Cargo Track or Trace) 장치들을 통하여 얻어지는 실시간 위치 정보와 하차 목표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예컨대 (일부) 화물의 운송이 1차적으로 종료되는 미래 시점(화물 종류, 중량 등의 화물 정보 등에 기초하여 계산되는 화물 하차 시간을 포함하여 예상되는 미래 시점; 추가적인 신규 화물 운송의 처리 수용이 가능한 시점)에서 근접한 위치에서 소권역, 중권역, 대권역으로 확대되는 스캔 범위에서의 공통점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미래시간(future-time) 동적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100b)에서 수용 가능한 새로운 화물 정보를 사전에 입수하고 이를 화물 정보 공유 커뮤니티 구성원들이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게 되는데, 도 5b에 예시된 바와 같이 권역 확장 스캔 과정에서 포함되는 새로운 운송 요청을 포함하여 새로운 라우팅 경로(R2A)를 설정하여 2차 운송 스케쥴을 수정 성립할 때 새로운 라우팅 경로(R2A)가 미래 시간에 예측되는 교통 상황 변화나 지리적 여건을 포함한 제한 조건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제2 확대 금지선(K2)과 같은 제한 요소를 교차하여 넘어서 설정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그 범위 내에서 새로운 운송 수요와 현실 환경에 최적화된 동적 라우팅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100a, 100b)는 커뮤니티 구성원의 단말기를 통한 지인 초대 기능에 의해 그 영역이 확장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100a, 100b)를 형성하는 각 구성원의 단말기에 나타나는 다른 구성원의 식별 정보에 단골 설정 항목 및 단골 표시 정보가 추가적으로 설정되어 나타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설정 기간 동안에 각각의 구성원이 속하게된 상기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100a, 100b)의 다른 구성원들 중에서 단골 표시 정보를 포함한 구성원들을 네트워크 연결 상태로 추출하여 설정 기준에 따른 범위에 속하는 구성원들로 형성되는 정적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100c)를 생성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컨대 클라우드 허브 중심의 특정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에 1차적으로 편입된 구성원(예컨대 화물차 기사)가 약 6개월 정도의 설정 기간 동안에 물류 업무를 수행하면서 실시간으로 변화되는 동적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100a, 100b)에 함께 속하게 되었던 다른 구성원들의 평가를 수행하도록 하여 그 결과가 클라우드 허브(100)를 형성하는 물류 정보 관리 서버(130)에 전달되도록 설정하게 되는 경우에는, 물류 정보 관리 서버(130)는 다양한 구성원들의 평가 데이터를 통합하여 네트워크 연결로 추출함으로써 설정 기준에 따른 범위에 공통적으로 속하는 구성원(지역, 화물 종류, 서비스 종류 등의 공통성을 가진 구성원)들로 형성되는 정적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100c)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며, 이와 같은 작업을 통하여 만들어지는 정적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100c)가 구성원 상호간의 직접적이고 상시적인 정보 소통 채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특히 유대와 신뢰를 중시하는 물류 관계자들 간의 원활한 정보 공유(예컨대, 단골 고객 정보의 공유)가 가능하도록 한다.
물론, 앞서 설명한 동적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100a, 100b)와 같이 상기 정적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100c)의 경우에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뮤니티 구성원의 단말기를 통한 지인 초대 기능에 의해 그 영역이 확장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수행되는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를 통한 화물 운송 정보의 실시간 공유 방법은 구성원이 가진 스마트폰이나 PDA 등의 단말기에 설치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이나 PC등의 단말기에서 구현되는 인터넷 접속 웹페이지를 통하여 물류 정보(운송 오더)의 등록에서부터, 상차(픽업), 이송, 하차까지의 모든 데이터를 수집, 처리, 전송, 및 물류 정보 관리 서버(130)를 통한 클라우드 허브 내의 공유 관계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운송을 의뢰하면서 필요한 정보로는 화물의 종류, 무게, 수량, 상차지, 하차지, 작업시간 등이 필요할 수 있으며, 한 번 입력된 화주에 대한 화물정보는 물류 정보 관리 서버(130)에 저장하여 필요할 때마다 화주가 불러서 재사용할 수 있다.
운송 주선자는 화물 주선을 주된 업으로 하는 사업자로서 화주의 화물을 운송업자에게 분배해주는 역할을 수행하며, 화물차량 운전자(운송업자)는 실제 화물을 운송하는 자로서 물류 정보 관리 서버(130)에 회원으로 가입할 때 차량정보, 차고지 등의 기본정보를 기입하여 회원으로 등록이 되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따라서 운송 주문 등의 정보를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100a, 100b, 100c)에 소속된 자신의 단말기(110, 120)로 실시간으로 공유하면서 받아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운송 스케쥴이 성립된 이후에, 화물차량 운전자(운송업자)에 의해 화물이 운송된 뒤에는 수화주에서 인수확인서를 화물차량 운전자(운송업자)에게 주게 되는데, 상기 인수확인서는 단말기를 통한 파일 형태로 보낼 수도 있고 고전적인 방법에 의해 출력된 출력물일 수도 있다. 상기 인수확인서를 받은 화물차량 운전자(운송업자)는 화주와 물류 정보 관리 서버(130) 쪽으로 상기 인수확인서를 보내는데, 만약 화물차량 운전자(운송업자)가 물류 정보 관리 서버(130) 쪽으로만 인수확인서를 보냈을 경우 상기 물류 정보 관리 서버(130)는 화주 쪽으로 이를 재발송하며, 세금계산서는 화물차량 운전자(운송업자)가 운송료에 대해 화주나 운송 주선자에게 발행하는 것으로서 화물차량 운전자(운송업자) 단말기를 통해 물류 정보 관리 서버(130) 쪽으로 온라인으로 보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수확인서와 세금계산서를 받은 물류 정보 관리 서버(130)는 일정한 기간 사이에 화물차량 운전자(운송업자)에게 수수료를 제외한 운송료를 결제하여 주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들의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비록 실시예에 제시되지 않았지만 첨부된 청구항의 기재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본 발명에 대한 부분 개조나 개량이 가능하며, 이들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함은 너무나 자명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클라우드 허브
110, 120: 단말기
130: 물류 정보 관리 서버
100a; 실시간 동적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
100b; 미래시간 동적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
K1, K2: 확대 금지선
100c: 정적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

Claims (6)

  1. 클라우드 허브 중심의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를 통한 화물 운송 정보의 실시간 공유 방법에 있어서,
    물류서비스의 이용 주체인 화주와 물류업계 구성원들이 각자의 단말기(110, 120)를 통하여 각자가 필요로 하는 특성화된 물류 정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며 상호간의 직접적인 소통이 가능한 네트워크 연결을 포함한 다수개의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100a, 100b)가 클라우드 허브(100)를 통하여 제공하는 단계(S100)와;
    상기 다수개의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100a, 100b) 중에서 특정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100a 또는 100b) 구성원의 단말기를 통하여 입력되는 물류 정보가 클라우드 허브(100)를 구성하는 물류 정보 관리 서버(130)를 통하여 그 구성원이 속한 특정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100a 또는 100b)에 속한 구성원들의 단말기에 전송되는 단계(S200)와;
    구성원들의 단말기에 전송된 물류 정보가 특정 구성원 단말기에 의해 선택되어 물류 정보 관리 서버(130)에서 운송 스케쥴이 성립되는 단계(S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그리고
    상기 특정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는,
    현재 시간 기준으로 화주(화물)의 위치, 운송사 권역, 및 화물차의 현재 위치의 소권역, 중권역, 대권역으로 확대되는 스캔 범위에서의 공통점(GPS 정보의 공통점: 근접성)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실시간(real-time) 동적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100a); 및
    현재 시간으로부터 일정 시간 이후의 미래 시간을 기준으로 화주(화물)의 위치, 운송사 권역, 및 화물차의 장래 위치의 소권역, 중권역, 대권역으로 확대되는 스캔 범위에서의 공통점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미래시간(future-time) 동적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10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그리고
    상기 실시간(real-time) 동적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100a)가 생성될 때, 현재 시간 기준으로 화주(화물)의 위치, 운송사 권역, 및 화물차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성립되는 1차 운송 스케쥴을 구성하는 라우팅 경로(R1A)가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교통 상황 변화나 지리적 여건을 포함한 제한 조건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제한 요소로서 제1 확대 금지선(도 5a의 'K1')을 교차하여 넘어가지 않도록 구성(S110a)되고,
    상기 미래시간(future-time) 동적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100b)가 생성될 때, 신규 화물 운송 요청의 처리가 가능한 미래 시간 기준으로 화주(화물)의 위치, 운송사 권역, 및 화물차의 미래 위치에 기초하여 수정 성립되는 2차 운송 스케쥴을 구성하는 수정 라우팅 경로(R2A)가 미래 시간으로 발생하는 것이 예측되는 교통 상황 변화나 지리적 여건을 포함한 제한 조건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제한 요소로서 제2 확대 금지선(도 5b의 'K2')을 교차하여 넘어가지 않도록 구성(S110b)되며,
    신규 화물 운송 요청(S1100)에 의해 상기 미래시간(future-time) 동적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가 생성(S1200)된 후 2차 운송 스케쥴이 수정 성립되기 이전에, 화물 운송 요청의 물류 정보가 미래시간 동적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에 속한 구성원들의 단말기로 전송(S2000)되어 특정 화물차 단말기가 신규 화물 운송 접수하기 위한 요청을 하는 경우, 신규 화물 운송 접수 요청을 우선적으로 발송한 화물차 단말기 ID의 현재 DB 서버에 존재하는 과거 설정 기간 이내에 누적된 유효한 신규 화물 동적 접수 리스트의 개수와 해당 화물차 단말기 ID의 신규 화물 동적 접수 허용 횟수를 조회하여,
    (a) 설정 기간 이내에 누적된 유효한 신규 화물 동적 접수 리스트의 개수가 해당 화물차 단말기 ID의 신규 화물 동적 접수 허용 횟수 미만인 경우에는, 현재 동적 라우팅 과다 사용 상태에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S3200; 'No' 판정)하여, 현재 우선적으로 신규 화물 운송 접수 요청을 발송한 해당 화물차 단말기 ID에 대하여 신규 화물 운송 접수 및 동적 라우팅 변경을 허용(S3300a)하고, 그리고
    (b) 설정 기간 이내에 누적된 유효한 신규 화물 동적 접수 리스트의 개수가 해당 화물차 단말기 ID의 신규 화물 동적 접수 허용 횟수 이상인 경우에는, 현재 동적 라우팅 과다 사용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정하며(S3200; 'Yes' 판정), 현재 우선적으로 신규 화물 운송 접수 요청을 발송한 해당 화물차 단말기 ID에 대하여 추가 처리 조건에 따라서 신규 화물 운송 접수 및 동적 라우팅 변경을 허용할 것인지 또는 차단할 것인지를 결정(S3200a)하고, 현재 우선적으로 신규 화물 운송 접수 요청을 발송한 해당 화물차 단말기 ID에 대하여 신규 화물 운송 접수 및 동적 라우팅 변경을 불허(S3300b)하는 경우, 추후 접속된 화물차 단말기 ID의 신규 화물 운송 접수 요청을 처리하며, 그리고
    구성원들의 단말기에 전송된 물류 정보가 특정 구성원 단말기에 의해 선택되어 물류 정보 관리 서버에서 운송 스케쥴이 성립되는 상기 단계(S300)에서 성립되는 운송 스케쥴에도 상기 제한 요소를 넘어서 확대된 운송 스케쥴이 포함되지 않도록 동적 라우팅이 제공되며, 그리고
    상기 (b) 단계에서의 추가 처리 조건은 운송 딜레이 타임 누적치의 과다에 따른 신규 화물 운송 접수 및 동적 라우팅 변경의 허용/차단 여부 판정 과정으로 이루어지고, 그리고 신규 화물 운송 접수 및 동적 라우팅 변경의 허용/차단 여부 판정 과정은
    (b1) 해당 화물차 단말기 ID의 신규 화물 동적 접수 허용에 따라 유발된 후속 운송 스케쥴의 딜레이 타임 또는 설정 기간 누적 딜레이 타임이 설정 한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신규 화물 운송 접수 요청을 발송한 해당 화물차 단말기 ID에 대하여 신규 화물 운송 접수 및 동적 라우팅 변경을 불허(S3300b)하고, 그리고
    (b2) 해당 화물차 단말기 ID의 신규 화물 동적 접수 허용에 따라 유발된 후속 운송 스케쥴의 딜레이 타임 및 설정 기간 누적 딜레이 타임이 설정 한계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신규 화물 운송 접수 요청을 발송한 해당 화물차 단말기 ID에 대하여 신규 화물 운송 접수 및 동적 라우팅 변경을 허용(3300a)하도록 설정되고, 그리고
    상기 (a) 단계 또는 (b2) 단계를 통하여 신규 화물 운송 접수 및 동적 라우팅 변경을 허용(S3300a)하게 되면, 허용된 화물차 단말기 ID에 대하여 신규 화물 운송 계획을 포함한 동적 라우팅을 수행하여 운송 스케쥴 업데이트를 수행(S3400)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된 동적 라우팅 기능과 상태 변화 적응성을 구비한 클라우드 허브 중심의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를 통한 화물 운송 정보의 실시간 공유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70106762A 2017-08-23 2017-08-23 강화된 동적 라우팅 기능과 상태 변화 적응성을 구비한 클라우드 허브 중심의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를 통한 화물 운송 정보의 실시간 공유 방법 KR101867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762A KR101867453B1 (ko) 2017-08-23 2017-08-23 강화된 동적 라우팅 기능과 상태 변화 적응성을 구비한 클라우드 허브 중심의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를 통한 화물 운송 정보의 실시간 공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762A KR101867453B1 (ko) 2017-08-23 2017-08-23 강화된 동적 라우팅 기능과 상태 변화 적응성을 구비한 클라우드 허브 중심의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를 통한 화물 운송 정보의 실시간 공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7453B1 true KR101867453B1 (ko) 2018-06-14

Family

ID=62629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6762A KR101867453B1 (ko) 2017-08-23 2017-08-23 강화된 동적 라우팅 기능과 상태 변화 적응성을 구비한 클라우드 허브 중심의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를 통한 화물 운송 정보의 실시간 공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74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96724A (zh) * 2018-07-09 2020-01-17 宝沃汽车(中国)有限公司 共享后备箱的控制方法、装置和车辆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4400B1 (ko) 2000-03-17 2002-02-16 민경욱 물류운송정보의 처리방법
KR20110060786A (ko) * 2009-11-30 2011-06-08 김기용 서비스 중개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30082774A (ko) * 2011-12-19 2013-07-22 주식회사 한국무역정보통신 화주중심의 물류거점 최적화시스템
KR20130082877A (ko) * 2011-12-21 2013-07-22 (주)트리포스 화물배차 시스템
KR101525173B1 (ko) 2014-01-10 2015-06-02 정인태 화물운송 시스템
JP2016071202A (ja) 2014-09-30 2016-05-0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レンズフード装置
JP2016070699A (ja) 2014-09-26 2016-05-0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印刷物の測定位置決定方法及び装置並びに測定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4400B1 (ko) 2000-03-17 2002-02-16 민경욱 물류운송정보의 처리방법
KR20110060786A (ko) * 2009-11-30 2011-06-08 김기용 서비스 중개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30082774A (ko) * 2011-12-19 2013-07-22 주식회사 한국무역정보통신 화주중심의 물류거점 최적화시스템
KR20130082877A (ko) * 2011-12-21 2013-07-22 (주)트리포스 화물배차 시스템
KR101525173B1 (ko) 2014-01-10 2015-06-02 정인태 화물운송 시스템
JP2016070699A (ja) 2014-09-26 2016-05-0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印刷物の測定位置決定方法及び装置並びに測定方法
JP2016071202A (ja) 2014-09-30 2016-05-0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レンズフード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96724A (zh) * 2018-07-09 2020-01-17 宝沃汽车(中国)有限公司 共享后备箱的控制方法、装置和车辆
CN110696724B (zh) * 2018-07-09 2021-05-14 宝沃汽车(中国)有限公司 共享后备箱的控制方法、装置和车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0045B1 (ko) 동적 라우팅 기능 및 안전운행 요건을 구비한 클라우드 허브 중심의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를 통한 화물 운송 정보의 실시간 공유 방법
KR101867456B1 (ko) 강화된 상태 변화 적응성 및 안정성을 구비한 클라우드 허브 중심의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를 통한 화물 운송 정보의 실시간 공유 방법
CN106815702A (zh) 一种智能公路运输调度管理方法
CN108985679A (zh) 物流平台管理方法及系统
US20200134557A1 (en) Logistical service for processing modular delivery requests
CN104102991A (zh) 货物运输过程管控实现方法、终端及系统
US20030014286A1 (en) Search and retrieval system of transportation-related flexibly defined paths
US20130103437A1 (en) Digital method for providing transportation services related applications
KR102095735B1 (ko) 화물차를 이용한 권역기반 물류 시스템 및 분배 방법
US20150032485A1 (en) Digital method For Providing Transportation Services
CN105069593A (zh) 基于社会闲散资源的物流整合运送方法及系统
US20140108663A1 (en) Control system for real-time complex resource allocation
KR20140016053A (ko) 운송 매칭 시스템 및 운송 매칭 방법
Jacobsson et al. Access management in intermodal freight transportation: An explorative study of information attributes, actors, resources and activities
US2019025150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freight transportation
KR101525173B1 (ko) 화물운송 시스템
KR101910050B1 (ko) 상태 변화 적응성 및 안전운행 요건을 구비한 클라우드 허브 중심의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를 통한 화물 운송 정보의 실시간 공유 방법
KR102045797B1 (ko) 개방형 택배 플랫폼 및 이를 이용한 택배시스템
Naumov et al. Model of the Delivery Routes Forming Process as a Service Provided by Forwarding Companies
Taniguchi et al. Concepts of an integrated platform for innovative city logistics with urban consolidation centers and transshipment points
Cheng et al. Integrated people-and-goods transportation systems: from a literature review to a general framework for future research
Lan et al. Two-echelon dispatching problem with mobile satellites in city logistics
KR20160120901A (ko) 가변되는 차량의 경로에 대한 예보 및 선택 시스템
CN113971506A (zh) 基于大数据的整车物流信息智能管理平台
KR101867453B1 (ko) 강화된 동적 라우팅 기능과 상태 변화 적응성을 구비한 클라우드 허브 중심의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를 통한 화물 운송 정보의 실시간 공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