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5735B1 - 화물차를 이용한 권역기반 물류 시스템 및 분배 방법 - Google Patents

화물차를 이용한 권역기반 물류 시스템 및 분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5735B1
KR102095735B1 KR1020190058976A KR20190058976A KR102095735B1 KR 102095735 B1 KR102095735 B1 KR 102095735B1 KR 1020190058976 A KR1020190058976 A KR 1020190058976A KR 20190058976 A KR20190058976 A KR 20190058976A KR 102095735 B1 KR102095735 B1 KR 102095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delivery
area
information
volu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8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묵
Original Assignee
김성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묵 filed Critical 김성묵
Priority to KR1020190058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57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5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57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50/28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류 시스템을 개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국 각 지역의 물류 거점을 서로 능동적으로 연결하고, 최적의 물류거점 및 배송경로를 제시하는 화물차를 이용한 권역기반 물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운송 대상인 화물에 대하여 물류창고로부터 배송지까지 각 지역의 권역별 집하장을 거점으로 설정하여 최적 운송경로를 설정하여 배송 스케줄을 물류창고 및 차주에 제공하되, 특정 권역에서 집하장의 물동량을 초과하는 경우, 운송 가능량을 고려하여 배송에 참여한 화물차를 가상의 집하장으로 설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권역을 설정하고 최적 운송경로를 재설정함으로써, 배송지연을 최소화하고, 화주 및 차주의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화물차를 이용한 권역기반 물류 시스템 및 분배 방법{LOGISTICS VENDER SYSTEM USING CARGO BASED ON REGION AND DISTRIBU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물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국 각 지역의 물류 거점을 서로 능동적으로 연결하고, 최적의 물류거점 및 배송경로를 제시하는 화물차를 이용한 권역기반 물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물류는 물적 유통(Physical Distribution)을 줄인 말로 생산자로부터 소비자까지의 물(物)의 흐름을 가리킨다.
일반적으로, 유통개념은 생산자로부터 소비자에게 재화와 서비스를 이전시키고 장소와 시간·소유의 효용을 극대화하는 활동이라고 한다면, 물류는 소유의 효용을 만족시켜주는 거래를 제외한 장소와 시간의 효용을 창출하는 부분으로 정의된다고 할 수 있다. 즉, 물류는 생산된 상품을 수송·하역·보관·포장하는 과정과 유통가공이나 수송기초시설 등 물자유통 과정을 모두 포함하게 된다.
이에 따라, 물류는 수송 기초시설 등 국가기간산업활동과 관련된 부분과 기업이 자체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수송, 보관, 하역, 포장, 유통, 가공, 정보기능을 총체적으로 나타내게 된다.
이러한 물류의 운송방법에는 육상운송, 해상운송, 항공운송, 복합운송 등이 있으며, 국내의 경우 물류 운송은 주로 육상운송에 의해 이루어진다.
각 물류센터에서는 물류망의 구성을 고려하여 운송경로를 결정하고, 화물의 배송을 진행하게 되며, 이때 GIS 시스템 및 교통 지능망 시스템 등으로부터 도로 사정 등에 관한 정보와, 필요한 거점에 대한 위치, 가용 화물차 수 및 시간 제약 등에 관한 정보와, 거점 간 거리 및 이동 시간 정보, 유형 및 용량 등에 관한 차량정보와, 운송 화물의 종류 및 차량 별 적재 가능 정보와, 거리에 따른 차량별 비용에 관한 운송 비용 정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운송경로를 설정하고, 화물차주에 제공함으로써 보다 경제적인 운송방법을 제안하게 된다.
그러나, 매시간 도로 사정은 상이할 수 있고, 등록된 차주들이 파업 등을 이유로 일정시간 작업에 참여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며, 현재 물동량이 예상량보다 훨씬 적거나 많을 수 있고, 기타 여러가지 제반상황이 달라질 수 있음에 따라, 매일 가장 적절한 최적의 운송경로를 제시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라고 할 수 없다.
등록특허공보 제10-1925101호(공고일자: 2019.02.22.)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물류창고로부터 배송지까지 화물을 운송하는 데 있어서, 권역별 존재하는 집하장의 물동량 및 배송지를 기준으로 최적 운송경로를 설정하되, 초과되는 물동량에 대한 가상 거점을 제시하여 최적 운송경로를 재설정하는 데 과제가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를 이용한 권역기반 물류 시스템은 복수의 화물에 대한 배송을 요청하는 복수의 화주서버, 권역별로 구분되고, 현재 집하 가능한 물동량정보 및 최대 배송가능 권역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복수의 집하장 단말 및 상기 집하장 단말로부터 상기 물동량정보 및 권역정보를 수집하여 각 집하장을 중심으로 하여 배송지까지의 하나 이상의 최적 운송경로를 설정하고, 집하 요청된 복수의 화물을 각 집하장에 분배하는 중앙 물류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물류 관리 서버는 최적 운송경로로 설정된 모든 집하장이 물동량 한계에 도달한 경우, 상기 최적 운송경로에 참여하는 복수의 화물차 중, 어느 하나를 가상 집하장으로 설정하여 상기 최적 운송경로를 재설정할 수 있다.
상기 화주서버는, 물류창고에 입고된 하나 이상의 화물에 대한 배송을 접수받는 화물 접수부, 상기 물류창고에 입고된 화물에 대한 화물정보를 등록 및 갱신하는 화물 등록부, 상기 복수의 화물에 대한 화물정보를 저장하는 화물DB, 화물 배송 접수 내역에 따라, 각 화물의 배송지에 대한 일자별 운송량에 따른 물동량을 확정하는 물동량 판단부 및 배송 확정된 화물에 대한 배송절차의 진행을 상기 중앙 물류 관리 서버에 요청하는 배송 요청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 물류 관리 서버는, 상기 복수의 화주서버로부터 배송 요청을 실시간으로 수신 및 취합하는 배송 취합부, 상기 복수의 집하장 단말로부터 각 권역별 집하장의 위치 및 현재 입고 가능 물동량을 수집하는 권역정보 취합부, 배송 요청된 화물별 하나 이상의 집하장을 중간경로인 거점으로 설정하는 거점 설정부, 각 권역별 배송될 화물의 상기 최적 운송경로를 설정하고, 물동량을 분배하는 물동량 분배부, 각 화물의 운송 스케줄을 설정하는 스케줄링 부, 운송 스케줄에 따른 각 화물의 물류정보를 저장하는 물류DB, 상기 운송 스케줄을 포함하는 스케줄정보를 생성하는 스케줄정보 제공부 및 각 권역별 집하장의 물동량 한계에 따라, 잔여 물동량에 대하여, 현재 등록된 차주의 화물차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가상 집하장을 설정하고, 설정된 가상 집하장의 물동량을 반영하여 거점을 재설정하는 권역 재설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물차를 운행하는 차주가 소유한 복수의 차주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물류 관리 서버는 상기 차주단말로부터 물류창고로부터 화물배송에 대한 참여신청을 실시간으로 접수하는 차주 예약 접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주단말은 해당 화물차의 최대 운송 가능량을 포함하는 운송정보를 입력받는 배송량 입력부, 현재 화물차의 위치 또는 화물 입고 가능 시점에서의 지역을 입력받는 지역 입력부 및 입력된 운송정보 및 지역을 상기 중앙 물류 관리 서버에 전송하여 화물배송에 대한 참여를 신청하는 배송 참여 신청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주단말은 GPS 기반 위치정보 제공 수단을 더 포함하며, 현재 위치정보를 상기 중앙 물류 관리 서버에 제공하고, 상기 권역정보 취합부는 상기 위치정보를 권역정보로서 수집할 수 있다.
상기 권역 재설정부는, 각 권역내 배송에 참여하는 복수의 화물차에 대한 배송신청 물동량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상 집하장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를 이용한 권역기반 물류 시스템에 포함되는 중앙 물류 관리 서버에 의한 물류 분배 방법으로서, 복수의 화주서버로부터 복수의 화물에 대한 배송을 요청받는 단계, 권역별로 구분된 복수의 집하장 단말로부터 현재 집하 가능한 물동량정보 및 최대 배송가능 권역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는 단계, 상기 집하장 단말로부터 상기 물동량정보 및 권역정보를 수집하여 각 집하장을 중심으로 하여 배송지까지의 하나 이상의 최적 운송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집하 요청된 복수의 화물을 각 집하장에 분배하는 단계 및 최적 운송경로로 설정된 모든 집하장이 물동량 한계에 도달한 경우, 상기 최적 운송경로에 참여하는 복수의 화물차 중, 어느 하나를 가상 집하장으로 설정하여 상기 최적 운송경로를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운송 대상인 화물에 대하여 물류창고로부터 배송지까지 각 지역의 권역별 집하장을 거점으로 설정하여 최적 운송경로를 설정하여 배송 스케줄을 물류창고 및 차주에 제공하되, 특정 권역에서 집하장의 물동량을 초과하는 경우, 운송 가능량을 고려하여 배송에 참여한 화물차를 가상의 집하장으로 설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권역을 설정하고 최적 운송경로를 재설정함으로써, 배송지연을 최소화하고, 화주 및 차주의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를 이용한 권역기반 물류 시스템의 전체 구조에 관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를 이용한 권역기반 물류 시스템에 포함되는 화주서버의 구조에 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를 이용한 권역기반 물류 시스템에 포함되는 중앙 물류 관리 서버의 구조에 관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를 이용한 권역기반 물류 시스템에 참여하는 차주단말의 구조에 관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를 이용한 권역기반 물류 시스템에 의한 최적 운송경로의 설정방법에 관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를 이용한 권역기반 물류 시스템에 의한 최적 운송경로의 재설정방법에 관한 도면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구비" 또는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Unit)", "...서버(Server)" 및 "...시스템(System)"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실시예"라는 용어는 예시, 사례 또는 도해의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하나, 발명의 대상은 그러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및 다른 유사한 용어가 사용되고 있으나,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경우 임의의 추가적인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지 않는 개방적인 전환어(Transition word)로서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용어와 유사한 방식으로 포괄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기법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함께 구현되거나, 적합한 경우에 이들 모두의 조합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부(Unit)", "...서버(Server)" 및 "...시스템(System)" 등의 용어는 마찬가지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 즉 하드웨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시의 소프트웨어와 등가로 취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로그램에서 실행되는 각 기능은 모듈단위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물리적 메모리에 기록되거나, 둘 이상의 메모리 및 기록매체 사이에 분산되어 기록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를 이용한 권역기반 물류 시스템 및 분배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를 이용한 권역기반 물류 시스템의 전체 구조에 관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를 이용한 권역기반 물류 시스템은 복수의 화물에 대한 배송을 요청하는 복수의 화주서버(100), 권역별로 구분되고, 현재 집하 가능한 물동량정보 및 최대 배송가능 권역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복수의 집하장 단말(200), 상기 집하장 단말로부터 상기 물동량정보 및 권역정보를 수집하여 각 집하장을 중심으로 하여 배송지까지의 하나 이상의 최적 운송경로를 설정하고, 집하 요청된 복수의 화물을 각 집하장에 분배하는 중앙 물류 관리 서버(300) 및 화물차를 운행하는 차주가 소유한 복수의 차주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화주서버(100)는 물류창고에 보관된 화물의 소유주로서, 판매된 화물에 대한 배송을 요청하는 화주가 운영하는 서버장치로서, 정보통신망을 통해 중앙 물류 관리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화주는 쇼핑몰 업체로서 직접 상품 판매 쇼핑몰을 운영하거나, 혹은 창고업체로서 물류창고에 보관중인 화물을 위탁받아 관리하는 자일 수 있고, 배송건이 발생하면, 화주서버(100)는 해당 화물에 대하여 중앙 물류 관리 서버(300)에 해당 화물에 대한 배송지로의 배송을 요청할 수 있다.
집하장 단말(200)은 각 지역에 위치한 복수의 집하장에 설치되어 운영되는 단말장치이다. 여기서, 집하장은 각 지역의 교통 요충지에 위치할 수 있고, 대량의 물류를 입고 및 불출할 수 있는 창고로서, 본 발명의 시스템 운영측에서 직접 관리하거나, 혹은 각 지역의 물류센터 업체와의 계약을 통해 일정기간 시스템 운영측에서 임대하여 운영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하장은 이를 중심으로 하여 배송 가능지역을 커버리지로 하는 권역 설정의 기준이 되며, 적어도 하나의 집하장은 하나의 권역을 정의할 수 있고, 전국은 복수의 집하장으로 설정되는 복수의 권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또한, 각 집하장에는 적어도 하나의 집하장 단말(200)이 설치, 운용되며, 각 집하장 단말(200)은 정보통신망을 통해 원격지의 중앙 물류 관리 서버(300)와 연결되어 해당 집하장의 위치, 커버리지내 배송 가능 지역, 연, 월, 일별 최대 물동량, 취급 품목 등의 권역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중앙 물류 관리 서버(300)는 물류창고를 직접 운영 또는 운영대행을 통해 관리하는 서버장치로서, 물류창고 내 설치되거나, 물류창고로부터 원격지에 설치되고 물류창고 내 소정의 단말과 통신하여 물류창고의 화물 입출고 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앙 물류 관리 서버(300)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각 지역의 화주서버(100) 및 집하장 단말(200)과 통신하여 물류창고내 보관중인 화물에 대한 배송을 요청받아 배송지까지의 배송업무를 처리할 수 있고, 이를 위해, 각 지역에 위치한 집하장들을 기준으로 하여 권역을 설정하고, 그 집하장들을 거점으로 하는 최적 배송경로를 설정 및 화물차의 차주에 지시할 수 있다.
이러한 중앙 물류 관리 서버(300)로는 다수의 화주서버(100), 집하장 단말(200) 및 후술하는 차주단말(400)과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다수의 요청에 따른 배송건을 지연없이 실시간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고성능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 대용량의 저장소 및 메모리가 탑재된 엔터프라이즈급의 서버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앙 물류 관리 서버(300)는, 최적 운송경로로 설정된 모든 집하장이 물동량 한계에 도달한 경우, 최적 운송경로에 화물차 중, 어느 하나를 가상 집하장으로 설정하여 상기 최적 운송경로를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종래 GIS 시스템에 의한 지리정보 및 도로망 교통지능망에 의한 도로망 정보 등을 활용하여 운송경로를 결정하는 방식이 아닌, 등록된 각 지역의 화물차의 위치 및 그의 운행예정에 따라 화물 운송경로를 결정하는 새로운 개념이 적용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차주단말(400)은 화물차량을 운행하는 차주, 즉 배송자가 소지한 단말장치이다. 차주는 본 발명의 물류 시스템에 참여하여 화물을 배송하고자 하는 자로서, 배송하고자 하는 일자의 전일에 차주단말(400)을 통해 배송참여를 신청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차주단말(400)은 해당 차량의 일일 최대 배송 가능량 및 현재 지역을 중앙 물류 관리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고, 그로부터 배송이 확정되면, 차주는 자신의 화물차를 통해 물류창고에서 할당된 화물을 불출받고, 중앙 물류 관리 서버(300)가 지시하는 최적 운송경로에 따라 배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차주단말(400)로는 공지의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PC 등의 모바일 단말이 이용될 수 있고, 전술한 기능을 구현하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 및 실행될 수 있다.
전술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를 이용한 권역기반 물류 시스템은 각 지역을 집하장을 기준으로 하여 권역으로 분류하고, 화물 배송을 위한 운송경로를 최적화할 수 있고, 특히 물동량에 따라 가상의 집하장을 제시하여 권역을 재설정함으로써, 배송지연을 최소화하고, 차주가 최대의 운송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를 이용한 권역기반 물류 시스템의 화주서버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를 이용한 권역기반 물류 시스템에 포함되는 화주서버의 구조에 관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권역기반 물류 시스템의 화주서버(100)는, 물류창고에 입고된 하나 이상의 화물에 대한 배송을 접수받는 화물 접수부(110), 물류창고에 입고된 화물에 대한 화물정보를 등록 및 갱신하는 화물 등록부(120), 복수의 화물에 대한 화물정보를 저장하는 화물DB(130), 화물 배송 접수 내역에 따라, 각 화물의 배송지에 대한 일자별 운송량에 따른 물동량을 확정하는 물동량 판단부(140) 및 배송 확정된 화물에 대한 배송절차의 진행을 중앙 물류 관리 서버에 요청하는 배송 요청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화물 접수부(110)는, 화주가 보유 또는 관리하는 화물에 대한 배송건이 발생함에 따라, 화주의 입력에 따라 그 배송내역을 입력받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화물 접수부(110)는 화물명, 수량, 배송일자 및 배송주소 등의 정보를 화주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소정의 UI를 제공할 수 있다.
화물 등록부(120)는 중앙 물류 관리 서버와 연동하여 화주 소유의 화물을 물류창고에 등록 및 관리 할 수 있고, 화물 접수부(110)를 통해 입력된 배송건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하여 배송건을 서버에 등록할 수 있다. 등록된 배송건은 화물DB(130)에 저장될 수 있고, 등록건 별로 중앙 물류 관리 서버에 배송 요청될 수 있다.
화물DB(130)는 등록된 배송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화물DB(130)는 중앙 물류 관리 서버와 연동하여 현재 물류창고에 저장된 해당 화주 소유의 화물에 대한 종류, 보관기간 및 재고량 등의 최신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기타, 화물DB(130)에는 화주서버(100)를 운용하기 위한 설정값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물동량 판단부(140)는, 등록된 배송건에 대하여 물류창고의 재고를 확인하고, 배송지별로 배송요청 물동량을 분배 및 확정할 수 있다. 물류창고의 재고는 실시간으로 갱신되며, 물동량 판단부(140)는 화물의 최신 재고량에 따라 해당 배송지로의 배송물량을 확정한다. 이때, 일회 배송 가능 물량은 주문된 화물의 수량 및 개당 중량이 고려되어 결정될 수 있다.
배송 요청부(150)는 물동량이 확정된 배송건에 대한 배송정보를 생성하고, 중앙 물류 관리 서버에 배송을 요청할 수 있다. 배송 요청부(150)는 배송정보의 전송전 화면상에 배송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화주는 배송내역을 최종확인하고, 승인함으로써, 배송 요청 절차가 완료되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권역기반 물류 시스템의 중앙 물류 관리 서버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를 이용한 권역기반 물류 시스템에 포함되는 중앙 물류 관리 서버의 구조에 관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권역기반 물류 시스템의 중앙 물류 관리 서버(300)는, 복수의 화주서버로부터 배송 요청을 실시간으로 수신 및 취합하는 배송 취합부(310), 복수의 집하장 단말로부터 각 권역별 집하장의 위치 및 현재 입고 가능 물동량을 수집하는 권역정보 취합부(320), 배송 요청된 화물별 하나 이상의 집하장을 중간경로인 거점으로 설정하는 거점 설정부(330), 각 권역별 배송될 화물의 상기 최적 운송경로를 설정하고, 물동량을 분배하는 물동량 분배부(340), 각 화물의 운송 스케줄을 설정하는 스케줄링 부(350), 운송 스케줄에 따른 각 화물의 물류정보를 저장하는 물류DB(360), 운송 스케줄을 포함하는 스케줄정보를 생성하는 스케줄정보 제공부(370), 각 권역별 집하장의 물동량 한계에 따라, 잔여 물동량에 대하여, 현재 등록된 차주의 화물차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가상 집하장을 설정하고, 설정된 가상 집하장의 물동량을 반영하여 거점을 재설정하는 권역 재설정부(380) 및 차주단말로부터 물류창고로부터 화물배송에 대한 참여신청을 실시간으로 접수하는 차주 예약 접수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배송 취합부(310)는 원격지의 하나 이상의 화주서버로부터 배송 요청건을 수신하고, 이를 취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는 다수의 화주가 등록되어 다수의 화물이 물류창고에 등록 및 보관될 수 있고, 중앙 물류 관리 서버(300)는 관리중인 화물에 대한 배송요청에 따라 배송건을 등록하고 배송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권역정보 취합부(320)는 각 권역의 집하장 단말로부터 현재 집하된 화물의 물동량을 포함하는 권역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취합할 수 있다. 이러한 권역정보에는 집하장의 위치, 배송을 위해 입고된 하나 이상의 화물의 재고량, 추가 입고 가능한 물동량, 불출 예정일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고, 중앙 물류 관리 서버(300)는 이러한 권역정보에 기초하여 배송을 위한 최적 운송경로를 설정하게 된다.
거점 설정부(330)는 각 집하장의 위치에 따라 권역별 집하장을 배송을 위한 중간경로인 거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최적 운송경로는 하나 이상의 거점을 포함할 수 있고, 거점 설정부(330)는 이웃한 권역내 거점과, 최종 배송지를 최단 거리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거점을 설정하게 된다.
물동량 분배부(340)는 배송 등록된 복수의 배송건에 대하여 화물의 운송량을 결정하고, 각 권역별로 분배하는 역할을 한다. 익일 배송건에 대한 접수를 마감하면, 물동량 분배부(340)는 익일 모든 배송건들에 대한 운송될 화물의 총 운송량을 확정하고, 권역별로 등록된 차주의 최대 운송량을 고려하여 각각 운송량을 분배할 수 있다. 여기서, 물동량 분배부(340)는 동일 권역에 배송될 화물들이 하나의 차주에게 분배될 수 있도록 조정하며, 만약 특정 권역에 운송량이 가중되면, 이웃한 권역의 거점을 중간경로로 하여 이웃한 배송지로 화물을 운송할 수 있도록 복수의 차주에게 균등하게 분배할 수 있다.
스케줄링 부(350)는 각 운송량이 분배된 차주 즉 화물차에 대한 최적 운송경로를 생성하고, 그 경로에 따라 시간별 운행 스케줄을 결정한다. 스케줄링 부(350)는 물류창고에서부터 하나 이상의 거점, 상기 거점으로부터 배송지까지의 각 경로별 예상 이동시간을 산출하고, 이에 기초하여 최적 운송경로를 결정하며, 각 지점의 도달시간을 산출 및 취합하여 스케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케줄링 부(350)는 축적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통해 연, 월, 일별 경로별 예상 이동시간을 산출하고, 이를 스케줄정보에 반영할 수 있다.
물류DB(360)는 관리 대상인 물류창고 및 이에 보관된 화물의 종류, 양, 입고일자, 출고예상일자 등의 정보, 등록된 차주 및 화물차에 대한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물류DB(360)는 현재까지 각 이동경로별 화물차들의 이동시간을 빅데이터로서 저장할 수 있고, 이는 전술한 스케줄정보의 생성에 참조될 수 있다.
기타, 물류DB(360)에는 중앙 물류 관리 서버(300)의 운영을 위한 각종 설정값이 저장될 수 있다.
스케줄정보 제공부(370)는 물류DB(360)를 참조하여 저장된 스케줄정보를 정보통신망을 통해 화주서버에 제공함과 아울러, 익일 최초 물류창고가 개방되어 배송이 시작되기 이전에 차주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권역 재설정부(380)는 스케줄링 부(350)에 의한 최적 운송경로의 생성시, 이동경로 산출 중, 각 권역에 할당되는 화물의 총 물동량이 해당 권역의 지점 또는 이웃한 지점이 처리 가능한 물동량을 초과할 경우, 권역을 재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 시스템은 각 지역의 집하장을 기준으로 권역이 설정됨에 따라, 특정 지역에 둘 이상의 집하장이 존재하는 경우 권역 및 운송량이 분산되나, 하나의 집하장의 커버리지가 넓은 지역의 경우는 물동량의 쏠림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를 이용한 권역기반 물류 시스템에서는, 배송지가 해당 권역에 포함되지 않으나 이웃한 권역의 집하장의 물동량에 여유가 있는 경우 이웃한 권역을 최종 거점으로 하여 최적 운송경로를 재설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권역 재설정부(380)는 현지 사정에 따라 이웃한 권역에서도 물동량에 여유가 없는 경우, 등록된 화물차를 가상의 집하장으로 설정하고, 이를 거점을 설정하여 최적 운송경로를 재설정할 수 있다.
가상의 집하장으로 설정되는 화물차는 참여하고자 하는 화물차는 각 지역의 공터, 휴게소 등 연계된 장소에 설정된 시간동안 차량을 대기하고, 타 화물차에 의해 운송되는 화물을 전달받아 스케줄정보에 따라 배송지에 직접 배송을 진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상의 집하장으로 설정되는 화물은 그 부피 및 무게가 차량간 이송에 용이한 비교적 가벼운 화물로 결정될 수 있고, 또한 화물차는 차량간 화물 이송을 위한 소정의 파렛트 및 기계적 이송수단이 탑재된 차량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차량이 대기하는 연계된 장소에는 화물을 이송할 수 있는 지게차 등이 대기할 수 있다.
차주 예약 접수부(390)는 다수의 차주로부터 배송절차의 참여를 요청받을 수 있다. 이러한 차주 예약 접수부(390)는 배송가능 물동량, 시간, 배송 지역 등의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고, 이러한 정보는 중앙 물류 관리 서버(300)에 등록되어 물동량 분배부(340)에 의해 화물 분배시 참조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를 이용한 권역기반 물류 시스템의 차주단말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를 이용한 권역기반 물류 시스템에 참여하는 차주단말의 구조에 관한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각 차주단말(400)을 구성하는 구성부들은 공지의 프로그래밍 언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차주단말(400)에 탑재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하며, 읽고 쓰기가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되어 차주단말(400)에 탑재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를 이용한 권역기반 물류 시스템의 차주단말(400)은 해당 화물차의 최대 운송 가능량을 포함하는 운송정보를 입력받는 배송량 입력부(410), 현재 화물차의 위치 또는 화물 입고 가능 시점에서의 지역을 입력받는 지역 입력부(420) 및 입력된 운송정보 및 지역을 중앙 물류 관리 서버에 전송하여 화물배송에 대한 참여를 신청하는 배송 참여 신청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배송량 입력부(410)는 배송 작업에 참여하고자 하는 차주에 의해 수임하고자 하는 배송건에 대하여 운송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배송작업에 참여하고자 하는 차주는 별도의 자격이 필요하지 않으며, 신원 및 차량 등이 확인이 완료된 차주이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고, 자신이 배송 가능한 물동량, 시간, 지역 등을 직접 입력함으로써 자유롭게 배송건을 수임할 수 있다.
지역 입력부(420)는 차주로부터 화물차가 대기하는 지역, 배송을 원하는 지역 및 배송 가능 지역 등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화물차 대기 지역에 대한 정보는 전술한 가상 집하장의 설정시 활용될 수 있고, 배송 가능 지역에 대한 정보는 최적 운송경로를 설정하고, 배송지를 분배하는 데 활용될 수 있는 정보이다. 입력된 정보는 전술한 운송정보에 포함되어 중앙 물류 관리 서버에 전송되게 된다.
배송 참여 신청부(430)는 차주에 의해 운송정보 및 지역 등의 정보가 입력 완료되면, 정보통신망을 통해 중앙 물류 관리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해당 화물차의 익일 또는 이후의 배송건에 대한 참여를 신청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화물차주는 자신이 원하는 시점에 수시로 배송건을 수임할 수 있으며,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를 이용한 권역기반 물류 시스템의 최적 운송경로 및 그 재설정방법을 모식화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를 이용한 권역기반 물류 시스템에 의한 최적 운송경로의 설정방법에 관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를 이용한 권역기반 물류 시스템은 각 지역에 위치한 집하장들을 기준으로 하여 전국을 복수의 권역을 구획하고, 권역별 배송지에 대한 거점으로 설정하게 된다. 여기서, 각 집하장별 커버리지가 이웃한 권역과 상대적으로 인접한 경우 일부 영역을 중첩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례로서, A권역내 배송지에 화물을 운송하는 화물차들은 물류창고로부터 A집하장까지 화물을 운송하고, 이후 A집하장에서 배송지까지 해당 권역내 화물차들에 의해 순차적으로 운송이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일례로서 일시적으로 A권역에 대한 물류가 집중되는 경우, B권역 또는 C권역으로 운송량이 분산되어 설정될 수 있고, 이에 배송지가 A권역내 포함되는 배송건이라 하더라도 B집하장 또는 C집하장을 거점으로 운송경로가 설정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를 이용한 권역기반 물류 시스템에 의한 최적 운송경로의 재설정방법에 관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를 이용한 권역기반 물류 시스템은 참여 차주들에 대하여 물류창고부터 배송지까지 최적 운송경로를 설정하여 스케줄링을 수행하고 그 스케줄정보를 제공하여 원할한 배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에, 일반적으로 A권역내 배송지의 경우 A집하장을 거점으로 하여 가장 배송거리 및 시간이 짧은 a→b 경로로 최적 운송경로가 설정된다. 만약, 일시적으로 A집하장의 물류가 집중될 경우, A권역과 인접한 B권역의 B집하장이 거점으로 하는 경로, 즉 c→d 경로가 최적 운송경로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A,B 집하장 모두 물류가 집중되어 입고되는 화물을 처리할 수 없을 경우, 배송에 참여하는 A권역에 속하는 화물차를 가상 집하장으로 설정하고, 임시권역을 설정하며, 임시권역에 속하는 배송지에 대해서는 e→f의 경로가 최적 운송경로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A권역에 타 배송지에 대해서는 화물차들에 의해 e→g→d 경로로 최적 운송결로가 설정될 수 있다.
상기한 설명에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것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에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
100 : 화주서버 110 : 화물 접수부
120 : 화물 등록부 130 : 화물DB
140 : 물동량 판단부 150 : 배송 요청부
300 : 중앙 물류 관리 서버 310 : 배송 취합부
320 : 권역정보 수집부 330 : 거점 설정부
340 : 물동량 분배부 350 : 스케줄링부
360 : 물류DB 370 : 스케줄정보 제공부
380 : 권역 재설정부 390: 차주 예약 접수부
400 : 차주단말 410 : 배송량 입력부
420 : 지역 입력부 430 : 배송참여 신청부

Claims (8)

  1. 복수의 화물에 대한 배송을 요청하는 복수의 화주서버;
    권역별로 구분되고, 현재 집하 가능한 물동량정보 및 최대 배송가능 권역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복수의 집하장 단말; 및
    상기 집하장 단말로부터 상기 물동량정보 및 권역정보를 수집하여 각 집하장을 중심으로 하여 배송지까지의 하나 이상의 최적 운송경로를 설정하고, 집하 요청된 복수의 화물을 각 집하장에 분배하는 중앙 물류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물류 관리 서버는,
    최적 운송경로로 설정된 모든 집하장이 물동량 한계에 도달한 경우, 상기 최적 운송경로에 참여하는 복수의 화물차 중, 어느 하나를 가상 집하장으로 설정하여 상기 최적 운송경로를 재설정하는 화물차를 이용한 권역기반 물류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주서버는,
    물류창고에 입고된 하나 이상의 화물에 대한 배송을 접수받는 화물 접수부;
    상기 물류창고에 입고된 화물에 대한 화물정보를 등록 및 갱신하는 화물 등록부;
    상기 복수의 화물에 대한 화물정보를 저장하는 화물DB;
    화물 배송 접수 내역에 따라, 각 화물의 배송지에 대한 일자별 운송량에 따른 물동량을 확정하는 물동량 판단부; 및
    배송 확정된 화물에 대한 배송절차의 진행을 상기 중앙 물류 관리 서버에 요청하는 배송 요청부
    를 포함하는 화물차를 이용한 권역기반 물류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물류 관리 서버는,
    상기 복수의 화주서버로부터 배송 요청을 실시간으로 수신 및 취합하는 배송 취합부;
    상기 복수의 집하장 단말로부터 각 권역별 집하장의 위치 및 현재 입고 가능 물동량을 수집하는 권역정보 취합부;
    배송 요청된 화물별 하나 이상의 집하장을 중간경로인 거점으로 설정하는 거점 설정부;
    각 권역별 배송될 화물의 상기 최적 운송경로를 설정하고, 물동량을 분배하는 물동량 분배부;
    각 화물의 운송 스케줄을 설정하는 스케줄링 부;
    운송 스케줄에 따른 각 화물의 물류정보를 저장하는 물류DB;
    상기 운송 스케줄을 포함하는 스케줄정보를 생성하는 스케줄정보 제공부; 및
    각 권역별 집하장의 물동량 한계에 따라, 잔여 물동량에 대하여, 현재 등록된 차주의 화물차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가상 집하장을 설정하고, 설정된 가상 집하장의 물동량을 반영하여 거점을 재설정하는 권역 재설정부
    를 포함하는 화물차를 이용한 권역기반 물류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차를 운행하는 차주가 소유한 복수의 차주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물류 관리 서버는,
    상기 차주단말로부터 물류창고로부터 화물배송에 대한 참여신청을 실시간으로 접수하는 차주 예약 접수부를 포함하는 화물차를 이용한 권역 기반 물류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차주단말은
    해당 화물차의 최대 운송 가능량을 포함하는 운송정보를 입력받는 배송량 입력부;
    현재 화물차의 위치 또는 화물 입고 가능 시점에서의 지역을 입력받는 지역 입력부; 및
    입력된 운송정보 및 지역을 상기 중앙 물류 관리 서버에 전송하여 화물배송에 대한 참여를 신청하는 배송 참여 신청부
    를 포함하는 화물차를 이용한 권역기반 물류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차주단말은 GPS 기반 위치정보 제공 수단을 더 포함하며, 현재 위치정보를 상기 중앙 물류 관리 서버에 제공하고,
    상기 권역정보 취합부는,
    상기 위치정보를 권역정보로서 수집하는 화물차를 이용한 권역기반 물류 시스템.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권역 재설정부는,
    각 권역내 배송에 참여하는 복수의 화물차에 대한 배송신청 물동량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상 집하장으로 설정하는 화물차를 이용한 권역기반 물류 시스템.
  8. 청구항 1에 기재된 화물차를 이용한 권역기반 물류 시스템에 포함되는 중앙 물류 관리 서버에 의한 물류 분배 방법으로서,
    복수의 화주서버로부터 복수의 화물에 대한 배송을 요청받는 단계;
    권역별로 구분된 복수의 집하장 단말로부터 현재 집하 가능한 물동량정보 및 최대 배송가능 권역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는 단계;
    상기 집하장 단말로부터 상기 물동량정보 및 권역정보를 수집하여 각 집하장을 중심으로 하여 배송지까지의 하나 이상의 최적 운송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집하 요청된 복수의 화물을 각 집하장에 분배하는 단계; 및
    최적 운송경로로 설정된 모든 집하장이 물동량 한계에 도달한 경우, 상기 최적 운송경로에 참여하는 복수의 화물차 중, 어느 하나를 가상 집하장으로 설정하여 상기 최적 운송경로를 재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물차를 이용한 권역기반 물류 분배 방법.
KR1020190058976A 2019-05-20 2019-05-20 화물차를 이용한 권역기반 물류 시스템 및 분배 방법 KR102095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976A KR102095735B1 (ko) 2019-05-20 2019-05-20 화물차를 이용한 권역기반 물류 시스템 및 분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976A KR102095735B1 (ko) 2019-05-20 2019-05-20 화물차를 이용한 권역기반 물류 시스템 및 분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5735B1 true KR102095735B1 (ko) 2020-04-01

Family

ID=70276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8976A KR102095735B1 (ko) 2019-05-20 2019-05-20 화물차를 이용한 권역기반 물류 시스템 및 분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5735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4951B1 (ko) * 2020-10-12 2021-08-03 정선종 화물 중계 및 배차 시스템
CN114291464A (zh) * 2021-12-03 2022-04-08 中车唐山机车车辆有限公司 一种轨道车辆的仓储管理方法及系统
KR102415901B1 (ko) * 2021-10-21 2022-07-01 쿠팡 주식회사 배송 정보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102467597B1 (ko) * 2021-12-10 2022-11-16 주식회사 로지스밸리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93728B1 (ko) * 2021-10-25 2023-02-06 포트로직스 주식회사 인코텀즈 기반 수출입물류관리 장치 및 방법
CN116797144A (zh) * 2023-08-23 2023-09-22 广州淘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订单信息的物流仓库筛选方法及装置
CN117252496A (zh) * 2023-03-09 2023-12-19 江苏齐博冷链科技有限公司 分区域智慧物流协调系统
KR102668416B1 (ko) * 2021-12-07 2024-05-24 주식회사 케이티 물류를 위한 경로를 도출하는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0176A (ja) * 2002-09-13 2004-04-08 Teraoka Seiko Co Ltd 宅配システム
KR20120002911A (ko) * 2010-06-08 2012-01-09 주식회사 어가람닷컴 Rfid를 활용한 실시간택배업 시스템
KR101925101B1 (ko) 2018-05-29 2019-02-22 (주)코로넷 화물차량의 동선을 개선하는 물류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화물차량 운행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0176A (ja) * 2002-09-13 2004-04-08 Teraoka Seiko Co Ltd 宅配システム
KR20120002911A (ko) * 2010-06-08 2012-01-09 주식회사 어가람닷컴 Rfid를 활용한 실시간택배업 시스템
KR101925101B1 (ko) 2018-05-29 2019-02-22 (주)코로넷 화물차량의 동선을 개선하는 물류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화물차량 운행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4951B1 (ko) * 2020-10-12 2021-08-03 정선종 화물 중계 및 배차 시스템
KR102415901B1 (ko) * 2021-10-21 2022-07-01 쿠팡 주식회사 배송 정보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WO2023068422A1 (ko) * 2021-10-21 2023-04-27 쿠팡 주식회사 배송 정보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102493728B1 (ko) * 2021-10-25 2023-02-06 포트로직스 주식회사 인코텀즈 기반 수출입물류관리 장치 및 방법
CN114291464A (zh) * 2021-12-03 2022-04-08 中车唐山机车车辆有限公司 一种轨道车辆的仓储管理方法及系统
CN114291464B (zh) * 2021-12-03 2024-04-26 中车唐山机车车辆有限公司 一种轨道车辆的仓储管理方法及系统
KR102668416B1 (ko) * 2021-12-07 2024-05-24 주식회사 케이티 물류를 위한 경로를 도출하는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467597B1 (ko) * 2021-12-10 2022-11-16 주식회사 로지스밸리 가변 권역 기반 배차 및 상차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7252496A (zh) * 2023-03-09 2023-12-19 江苏齐博冷链科技有限公司 分区域智慧物流协调系统
CN116797144A (zh) * 2023-08-23 2023-09-22 广州淘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订单信息的物流仓库筛选方法及装置
CN116797144B (zh) * 2023-08-23 2023-11-28 广州淘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订单信息的物流仓库筛选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5735B1 (ko) 화물차를 이용한 권역기반 물류 시스템 및 분배 방법
US1144339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ioritizing trailers at receiving facility
US11961038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aborative and dynamic coordination of transportation of shipping containers
US9595018B2 (en) Switch network of containers and trailers for transportation, storage, and distribution of physical items
US20040193466A1 (en) Method and process for managing a yard
KR101754300B1 (ko) 화물운송 중개 관리시스템
US771159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irtual capacity to a provider of services
JP3416635B2 (ja) 配車計画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および配車計画システム
CN102439614B (zh) 用于收集和传播负载车辆/空车辆相关信息的系统
US201502787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Delivery Tracking Service
US2008014359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sset management and tracking capabilities
CN104102991A (zh) 货物运输过程管控实现方法、终端及系统
KR20130082877A (ko) 화물배차 시스템
KR101867456B1 (ko) 강화된 상태 변화 적응성 및 안정성을 구비한 클라우드 허브 중심의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를 통한 화물 운송 정보의 실시간 공유 방법
KR20210008581A (ko) 멀티 인수 및 멀티 배송을 위한 물류 운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45797B1 (ko) 개방형 택배 플랫폼 및 이를 이용한 택배시스템
US20220019960A1 (en) UniTOS Universal Transportation Operating System
KR101910050B1 (ko) 상태 변화 적응성 및 안전운행 요건을 구비한 클라우드 허브 중심의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를 통한 화물 운송 정보의 실시간 공유 방법
KR20170067230A (ko)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
US20200286027A1 (en) System and methods for last mile delivery of goods
KR20130127263A (ko) 화물 적재방법
Bruckmann et al. Swiss Split—a holistic approach to the distribution of containers to private sidings
JP2023006316A (ja) マッチングシステム
KR101867453B1 (ko) 강화된 동적 라우팅 기능과 상태 변화 적응성을 구비한 클라우드 허브 중심의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를 통한 화물 운송 정보의 실시간 공유 방법
KR20160016146A (ko) 물류운송을 위한 클라우드 오더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