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0901A - 가변되는 차량의 경로에 대한 예보 및 선택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변되는 차량의 경로에 대한 예보 및 선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0901A
KR20160120901A KR1020150050059A KR20150050059A KR20160120901A KR 20160120901 A KR20160120901 A KR 20160120901A KR 1020150050059 A KR1020150050059 A KR 1020150050059A KR 20150050059 A KR20150050059 A KR 20150050059A KR 20160120901 A KR20160120901 A KR 20160120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ute
request
unit
user terminal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0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종
Original Assignee
박병종
주식회사 메쉬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종, 주식회사 메쉬코리아 filed Critical 박병종
Priority to KR1020150050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0901A/ko
Publication of KR20160120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09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20Monitoring the location of vehicles belonging to a group, e.g. fleet of vehicles, countable or determined number of veh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20Monitoring the location of vehicles belonging to a group, e.g. fleet of vehicles, countable or determined number of vehicles
    • G08G1/202Dispatching vehicles on the basis of a location, e.g. taxi dispatching

Abstract

본 발명은, 경로가 가변되는 차량의 예측 및 알람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효과적인 운송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는 가변되는 차량의 경로에 대한 예보 및 선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통신부 및 중계망을 통하여 이용자단말과 교환하는 서버부로 구성되는 운행경로의 예보 및 선택이 가능한 시스템으로서, 이용자단말로부터 요청출발거점 및 요청목적거점을 경유하는 요청경로의 예약요청과 운행경로에 대한 변경요청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한 변경요청에 따라 대상차량의 운행경로를 변경하고 변경된 운행경로에 대한 정보를 갱신하여 관리하는 변경경로 관리부, 상기 요청경로와 현재의 운행경로의 거리에 따른 인접성과 설정값을 대비하는 인접성 판단부, 상기 인접성을 기초로 한 복수의 대상차량에 대한 각 이용자단말 별로 할당되는 우선순위를 생성하는 우선순위 판단부 및 상기 생성된 우선순위를 이용자단말의 리스트표시부에 표시하는 리스트 제공 및 갱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리스트 제공 및 갱신부는, 이용자 단말에 리스트가 표시된 이후 운행경로가 변경된 대상차량이 있는 경우 요청경로에 대한 인접성의 판단 및 우선순위의 판단에 의하여 리스트를 갱신하는 가변되는 차량의 경로에 대한 예보 및 선택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가변되는 차량의 경로에 대한 예보 및 선택 시스템{FORECAST AND SELECTION SYSTEM FOR VARIABLE PATH OF TRANSPORTING VEHICLE}
본 발명은 운송서비스와 관련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경로가 가변되는 차량의 예측 및 알람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효과적인 운송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는 가변되는 차량의 경로에 대한 예보 및 선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운송(運送)이란 사람이나 물건을 소정의 목적지까지 보내는 것을 말하는 것을 말한다.
현대사회는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사람들의 이동과 물류의 이송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다양한 운송서비스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운송서비스는 경로의 관점에서 정해진 구간을 이동하는 구간 운송과, 개별적인 이용자의 요청에 따라 설정된 목적지 까지 이동하는 자율 운송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전자의 경우는 대표적으로, 여객기, 여객선, 기차 또는 버스와 같은 운송서비스를 들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는 택시나 렌탈차량과 같은 경우를 들 수 있다.
구간 운송서비스를 제공하는 대중적이고 대표적인 버스의 경우를 살펴보면, 정해진 구간에서 각 거점인 정류장을 경유하는 시내버스와, 두 지점을 사이에 두고 비교적 빠르게 오갈 수 있는 셔틀버스로 구분해볼 수 있다.
이러한 버스의 경우 대중이 이용할 수 있어 비용이 저렴하고 그 이용절차가 단순한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정해진 목적지나 거점이 미리 지정되어 있기 때문에 각 이용자들마다 다른 목적지에 대한 수요에 정확하게 부응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며 불필요한 경로를 경유하여야 하거나 배차간격이 긴 경우 과도한 대기시간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경로의 신설, 배차간격의 단축, 소요시간의 예보, 환승서비스 등의 다양한 시도가 있으나 근본적으로 구간에 대하여 반복 운행하는 구간 운송서비스의 단점에 대한 극복은 불가능하다.
한편, 대중적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자율 운송서비스로서 택시의 경우 이용자의 요청에 의하여 즉답하여 목적지까지 가변적인 경로로 운행이 가능하므로 신속하고 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택시의 이용요금은 기본요금에 시간과 거리를 고려한 주행요금을 합산하여 계산하는 규정된 요금체계를 가지고 산정이 된다. 그런데 택시서비스의 경우는 운전자와 승객이 1:1로 매칭되어 제공되므로 대중적이지 못한 한계를 가지며 특히 거리가 멀거나 교통이 정체되는 등의 사정이 있는 경우는 과도한 이용요금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택시서비스에 있어서 비슷한 경로로 이동하고자 하는 이용자를 추가로 탑승시키는 이른바 합승의 경우 위의 대중적이지 못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려될 수도 있으나 이는 불법으로 규정되어 있다.
더욱 자율적인 운송방법으로서 단기적으로 차량을 이용하기 위하여 렌탈을 하는 서비스가 렌탈사업자에 의하여 제공되기도 한다. 이러한 렌탈서비스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장기 또는 단기 렌탈로 구분되기도 하는데, 최근에는 하루 또는 수일 정도의 단기로 렌탈을 하는 경우도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최근에는 복수의 이용자가 공동으로 차량을 이용하는 카쉐어링(car sharing) 서비스도 등장하였다. 카쉐어링은 유럽, 미국 등 해외에서 주로 이용되는 방법으로서, 회원 고객들이 포스트(Post:무인 주차 장소)의 차량을 인터넷이나 전화를 통해 예약하여 이용한 후 원래 장소에 반납하고, 이용 실적에 따라 매월 이용료를 납부하는 대여 방법이다. 이는 넓은 의미로서의 렌탈서비스로 볼 수 있다.
상기한 렌탈서비스의 경우는 운송서비스의 방법 중에서 가장 자율적인 형태로 볼 수 있으나, 이용자가 직접 운전을 하여야할 뿐만 아니라 다른 운송방식에 비하여 비용이 높고 차량의 요청과 반납이 번거로운 문제를 가진다.
상기 카쉐어링의 개선된 방법으로서 공개특허 10-2004-0049441호는 인터넷 기반의 커뮤니티 회원 관리를 통한 차량의 공동이용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도 1은 상기된 종래 차량의 공동이용 방법을 운영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러한 종래의 카쉐어링 운영시스템은 인터넷에 접속 가능한 브라우저를 내장한 개인용 컴퓨터(100), 인터넷에 접속 가능한 휴대폰(101), 차량 공동 이용의 전반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인 서버(102), 차량에 설치된 컴퓨터 및 휴대폰과 통신하는 통신 서버(104), 주행 거리와 연료량을 측정하고 메인 서버에 전송하는 차내 컴퓨터(106), 연료 정산 DB(108), 계약 DB(110), 예약 DB(111), 고객 DB(112) 및 이용 실적 DB(114)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일괄 계약자들은 계약DB를 통하여 자기의 사용시간을 각각 설정하고 기간을 나누어 사용하여 그 사용 기간만큼 비용을 계산한다는 것인데, 사실상 이는 단기 렌트의 경우와 다를 바 없고, 종래의 렌탈서비스의 단점을 그대로 가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종래의 운송체계에 대한 문제들을 극복하고 차량의 운행 과정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변수에 이용자가 적시에 대응할 수 있고 효과적인 운송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가변되는 차량의 경로에 대한 예보 및 선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통신부 및 중계망을 통하여 이용자단말과 교환하는 서버부로 구성되는 운행경로의 예보 및 선택이 가능한 시스템으로서, 이용자단말로부터 요청출발거점 및 요청목적거점을 경유하는 요청경로의 예약요청과 운행경로에 대한 변경요청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한 변경요청에 따라 대상차량의 운행경로를 변경하고 변경된 운행경로에 대한 정보를 갱신하여 관리하는 변경경로 관리부, 상기 요청경로와 현재의 운행경로의 거리에 따른 인접성과 설정값을 대비하는 인접성 판단부, 상기 인접성을 기초로 한 복수의 대상차량에 대한 각 이용자단말 별로 할당되는 우선순위를 생성하는 우선순위 판단부 및 상기 생성된 우선순위를 이용자단말의 리스트표시부에 표시하는 리스트 제공 및 갱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리스트 제공 및 갱신부는, 이용자 단말에 리스트가 표시된 이후 운행경로가 변경된 대상차량이 있는 경우 요청경로에 대한 인접성의 판단 및 우선순위의 판단에 의하여 리스트를 갱신하는 가변되는 차량의 경로에 대한 예보 및 선택 시스템을 제공한다. 따라서, 다양한 이용자의 요구에 의하여 변경되는 운행경로들을 실시간으로 반영하고 최적의 대상차량이 이용자들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으므로 비용과 시간의 절감이 가능하다.
상기 리스트 제공 및 갱신부는, 상기 우선순위 판단부에서 판단된 우선순위의 리스트에 따라 이용자 단말에 시간순으로 푸시알림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우선순위 판단부는, 요청경로가 운행경로에 대하여 높은 인접성을 가지는 경우와 운행경로가 상대적으로 짧은 경우를 높은 우선순위의 리스트로 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인접성 판단부에 의한 요청경로와 현재의 운행경로의 거리에 따른 인접성 판단은, 우선순위 판단부에 의한 우선순위의 판단에 먼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인접성 판단부는, 요청경로를 요청출발거점 및 요청목적거점을 경유하는 최단거리로서 운행경로와의 인접성을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로서, 출발지와 목적지를 셔틀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기초경로를 설정하는 기초경로 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변경경로 관리부는, 상기 기초경로상의 가상의 억세스 포인트들을 마련하고 이용자단말에 의하여 선택된 억세스 포인트를 거점으로 대상차량이 정차하도록 운행경로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리스트 제공 및 갱신부는, 하나의 이용자 단말에서 특정 대상차량이 선택된 경우 다른 이용자 단말의 리스트로서 표시된 해당 대상차량을 삭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가변되는 차량의 경로에 대한 예보 및 선택 시스템은, 종래의 렌탈서비스의 편리성과, 구간 운송서비스의 낮은 비용부담과, 자율 운송서비스의 유연한 대응의 장점을 모두 결합한 운송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으며, 특히 동시적 또는 시간차이를 둔 다수의 이용자들이 모바일단말을 통하여 즉시적으로 차량들의 운행정보를 확인하고 소정의 거점에 대한 경로의 확인이 가능하고 즉시적으로 인접성을 판단하여 가능한 리스트가 제공되어 대상차량의 선택이 가능하므로 이용자의 편리성은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이용자의 예약 요청 및 지속적으로 갱신되는 차량의 운행정보는 본 발명의 가변되는 차량의 경로에 대한 예보 및 선택 시스템에서 상시적으로 대비되고 이용자는 소정의 알림서비스를 통하여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므로 사회적인 비용과 시간의 손실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차량의 공동이용 방법을 운영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가변되는 차량의 경로에 대한 예보 및 선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서버부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2의 서버부에 대한 추가적인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라 임대차량의 운행 경로에 대한 인접성의 판단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각 후순위 이용자가 두 개의 거점을 지정하여 요청을 한 경우의 판단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어느 하나의 거점이 기초경로 상에 있는 경우 운행 경로가 판단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8은 가변되는 차량의 경로에 대한 예보 및 선택 시스템에 따라 이용자 단말에 구현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되는 차량의 경로에 대한 예보 및 선택 시스템에 의한 예보 및 선택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변되는 차량의 경로에 대한 예보 및 선택 시스템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하나의 차량에 대하여 기초경로가 설정되고, 이용자의 요청에 따라 인접성을 판단하여 변경경로로서 제공되며 후순위의 이용자에 의한 요청경로가 설정되면 인접되는 운행경로가 생성되는 경우 이를 이용자단말에 제공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가변되는 차량의 경로에 대한 예보 및 선택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운행 방식으로서 종래의 구간 운송의 개념과 같이 기초 요청에 의하여 기초경로가 설정되며 이용자에 의하여 경로가 변경될 수 있는 구성이 제시된다. 이에 따른 변경된 경로는 즉시적으로 후순위의 이용자들에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개념은 종래의 렌탈 또는 자율 운송 방식의 유동적인 경로의 설정이 가능한 이점과 구간 운송 방식의 낮은 비용 소요의 이점이 결합될 수 있는 것이면서도 택시콜과 같은 예약서비스의 장점이 추가적으로 융합되는 장점을 가지는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차량은 사람 또는 물품의 운송이 가능한 버스, 택시, 승용차, 오토바이 등의 다양한 형태를 포함하며 비행기나 선박 등 운송이 가능한 운송수단들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물품의 배송을 목적으로 하는 드론(Drone)의 경우도 본 발명의 운송차량의 개념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대상차량이란 복수의 이용자에 의하여 특정된 임대 대상인 차량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가변되는 차량의 경로에 대한 예보 및 선택 시스템은 단일의 대상차량을 기본으로 하여 설명되나 복수의 이용자 군(群)에 의한 복수의 대상차량이 일괄되어 관리될 수 있는 것임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되는 차량의 경로에 대한 예보 및 선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되는 차량의 경로에 대한 예보 및 선택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전산상의 정보를 소정의 네트워크장치인 중계망(2000)을 통하여 하나 이상의 이용자단말(2100) 및 대상차량(2110)과 정보교환을 하는 통신부(1300), 상기 통신부(1300)를 통하여 입출력되는 이용자 및 대상차량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화하여 처리하는 서버부(1100)로 이루어진다.
상기 통신부(1300)는 이용자단말(2100)로 정보를 입출력하는 웹서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300)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여 웹상에서 정보를 구현하는 서버로서 이용자의 단말기는 와이파이 또는 3G나 4G와 같은 이동통신망 등의 다양한 수단을 통하여 단말기를 통하여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데, 다만 최근에는 스마트폰이 대중화됨에 따라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하여 정보를 입출력할 수도 있고, 이메일을 통하여 접속할 수도 있음은 물론, 종래의 통신망을 이용한 SNS나 MMS를 통하여 접속할 수도 있으므로, 상기 통신부(1300)는 인터넷상의 웹을 통한 정보의 입출력을 위한 장치만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이러한 데이터의 통신을 위한 중계망(2000)은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사의 기지국 등을 포함하는 통신망을 의미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중계망(2000)을 통하여 통신부(1300)는 공급자서버(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공급자서버는 대상차량의 임대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 측에 구비되는 정보처리 서버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이용자에 의하여 이용자단말(2100)의 입력에 따라 조합 형태의 임대요청과 소정의 계약관계를 수립하면 족하므로 상기 통신부(1300)가 중계망(2000)을 통하여 공급자측에 SNS나 ARS알림 등의 방식으로 필요한 대상차량에 대한 임대요청을 수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이용자단말(2100)의 연결을 위한 중계망(2000)과 공급자서버(4000)의 연결을 위한 중계망(2000)은 분리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공급자서버와 통신부(1300)의 연결은 비개방형의 통신망에 의하여 보안처리된 상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서버부(1100)는 통신부(1300)를 통하여 별도로 구비되는 운전자서버(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기본적인 개념에서는 공급자에 의하여 대상차량이 제공되어 소정의 임대요금(m)을 징수하도록 하되 이를 분할하여 납부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다만, 별도의 운전자의 요청에 따라 운전서비스의 제공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때에는 임대 대상차량의 요청과 동시 또는 별도로 운전자의 제공에 대한 요청이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운전자서버는 운전사업자에 의하여 관리되는 정보처리수단일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모바일이나 태블릿과 같은 통신장치를 의미할 수도 있다.
이용자단말(2100)은 개인용컴퓨터, 모바일단말기나 스마트영상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모바일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한 스마트폰이나 PDA, 노트북과 같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기들을 의미하며, 스마트영상장치는 화상으로 정보를 구현할 수 있는 다양한 영상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종류의 통신수단 및 네트워크 연결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이용자단말(2100)은 위치정보를 상기 서버부(1100)에 제공할 수 있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모듈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하여 후술될 바와 같이 이용자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인근의 대상차량의 정보들을 매핑하여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후술될 바와 같은 각각의 이용자에 의한 결제액을 통한 운임의 결제 또는 정산의 처리는 서버부(1100)에 구비되는 결제 및 정산부에 의하여 진행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통신부(1300)가 소정의 모바일결제업체나 통신사의 결제서버와 같은 외부의 결제시스템인 결제서버(3000)에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상기 결제서버(3000)는 서버부(1100)에 일체화된 구성일 수 있다.
도 3은 상기된 서버부를 더욱 구체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러한 서버부(1100)는 상기 통신부(1300) 및/또는 결제서버(3000)와 함께 하나의 시스템 모듈로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각각의 서버 및 '부'들이 분리된 장치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후술할 바와 같이 서버부(1100)에서 동작되는 각각의 '부'들은 하나의 정보처리모듈에서 프로그래밍된 알고리즘을 통하여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버부(1100)는, 대상차량의 배당과 대상차량에 구비되는 GPS와 같은 위치정보확인모듈로부터 통신부(1300)를 통하여 수집된 위치정보를 데이터화하여 저장하도록 기능하는 차량 관리부(1110)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대상차량은 소정의 차량식별번호를 가질 수 있고 이러한 대상차량의 경로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는 실시간으로 차량 관리부(1110)에서 수집되어 관리될 수 있다.
이러한 차량 관리부(1110)는 대상차량에 구비되는 소정의 표시수단(미도시)을 통하여 호출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용자 또는 이용자들의 집합이 선택하여 경로 설정부(1200)에서 변경 승인된 경로나 후순위 이용자들의 요청을 운전자가 확인하도록 한다. 상기 표시수단은 운전자의 스마트폰과 같은 운전자단말(미도시)이나 네비게이션 또는 대상차량에 탑재되는 화상표시장치일 수 있다.
또한, 이용자 관리부(1120)는 각각의 이용자 단말에 대응한 이용자식별번호별로 구분하되 각 대상차량에 대응되는 이용자들의 군을 매칭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이용자 관리부(1120)는 이용자단말(2100)에 구비되는 위치정보확인모듈로부터 통신부(1300)를 통하여 수집된 위치정보를 수집하고, 후술될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이용자단말(2100)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대상차량의 목록을 제공하거나 매핑(mapping)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이용자 관리부(1120)에서의 이용자단말의 위치는 현재시점의 이용자의 위치 또는 예정된 시점의 이용자의 위치에 대하여 대상차량의 현재 위치 또는 대상차량의 예정된 경로를 대비하여 효율적인 분배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서버부(1100)는 경로 설정부(1200)를 포함하고, 상기 경로 설정부(1200)는 기초경로를 설정하며 후순위 이용자들의 요청의 적합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승인하여 기초경로에 대한 경로의 변경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로의 변경은 2회 이상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여기서 2회 이상의 경로의 변경은 복수의 후순위 이용자들에 의하여 복수의 거점이 지정된 상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기본적으로 구간을 운행하는 개념으로서 기초경로를 움직이되 이용자들의 필요에 따라 경로의 변경이 이루어지는 경우 이에 따라 미리 설정된 다른 이용자의 요청에 부응하는 경로의 발생시 알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서버부는 각 구성으로서 경로변경의 인접성 순위를 제공하고 이를 표시하도록 하며 선택의 입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능하는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서버부(1100)는 대상차량을 임대하기 위한 전체적인 임대요금과 각각의 이용자들에 대한 결제액을 관리하는 요금 산출부(1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대요금은 최초 기초경로에 의하여 결정되나 후순위 이용자들에 의하여 추가되는 거점에 의하여 변경되는 경로에 따라 변동 가능한 양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전체적인 임대요금에 대하여 하나의 대상차량에 대응되는 이용자들의 군에서 각 이용자들의 결제액 또한 이용자의 수 또는 각각의 이용자들의 이용거리, 이용자의 요청의 순위 등의 요소에 따라 변동 가능할 수 있으며, 이는 운행이 종료된 이후에 결제액에 대한 정산 또는 배당을 위하여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이용자들이 전체적인 대상차량의 임대요금에 대하여 소정의 집합단위로서 군을 형성하여 결제액의 개념을 통하여 이를 분할하여 임대함으로써 소정의 임대요금에 대한 절감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데, 이러한 분할의 개념은 소정의 기초경로에 대한 운행의 개시 이후 시간의 차이를 두고 지속적으로 발생될 수 있다. 상기 결제액은 각 이용자들의 호출시점 또는 호출에 대한 이용자 관리부(1120)에서의 승인시점 또는 경로 설정부(1200)에서의 경로 변경에 대한 판단시점 또는 탑승 및 하차시점에서 적절하게 선택되는 시점에 따라 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결제 및 정산부(1130)가 서버부(1100)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선결제의 금액은 계약자의 수가 늘어남에 따라 요금 산출부(1210)에 의하여 절감될 수 있으며 따라서 각 이용자단말(2100)에서 설정되어 이용자 관리부(1120)에 관리되는 계정에 환급되는 방식으로 정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용자의 입장에서는 결제금이 임대요금의 지분으로서 활용되고, 운행서비스의 제공과 절감되어 환급되는 정산액이 수익의 배당으로서 받아들여질 수 있다.
한편, 각 대상차량의 운행정보와 결제금 및 정산액과 이용자의 수에 대한 정보는 누적되어 데이터화되고 운행데이터베이스(122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이러한 운행데이터베이스(1220)는 누적된 데이터에 따라 효율적인 자원의 분배가 가능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각각의 이용자들이 자주 이용하거나 선호하는 구간에 대한 차량의 분배 또는 기초경로를 증가시키도록 하여 미리 수요에 대응하도록 할 수 있고, 후술될 바와 같이 각 기초경로에 대한 표준요금을 미리 설정하도록 하여 합리적인 결제금의 초기 설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표준요금은 기준시간 동안의 임대요금의 총액을, 기준시간 동안의 과거의 누적된 운행 총거리와 요청된 이용거리에 대한 해당 이용자가 요청한 거점 사이의 거리인 이용거리의 비를 곱한 값에 의하여 정해질 수 있다. 따라서, 표준요금이 과거 데이터에 기반한 대상 차량의 기준시간 동안의 누적거리를 인자로 하는 값에 영향을 받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기준시간은 일반적인 렌탈서비스를 고려하여 10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수수료의 값은 각각의 이용자에 대하여 고정된 값으로서 결정될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이 서비스를 받고자하는 거리에 비례하여 증가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는 표준요금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수수료는 운전서비스에 대한 수수료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상기된 서버부에 대한 추가적인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기초 기초경로가 설정된 이후에 후순위의 이용자들의 요청에 따라 경로의 변경이 가능한 개념이 제시되는데, 이를 위하여 기초경로 설정부(1201)는 이용자의 기초요청에 따라, 또는 차량 관리부(1110)에서 분배된 대상차량의 기초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기초경로는 설정된 출발지와 목적지의 최단구간 또는 교통상황을 반영한 최적의 운행구간일 수 있다.
이러한 기초경로 설정부(1201)는 경로 설정부(1200)의 요소로서 이루어질 수 있는데, 후술될 추가적인 구성들 또한 경로 설정부(1200)에 포함되는 구성이거나 또는 도 3과 관련하여 기술된 다른 구성에 포함되거나, 서버부(1100)에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기초경로 설정부(1201)에서의 기초경로의 설정은 이용자들의 요청이 아닌 운행데이터베이스(1220)에서 수집된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이용자들이 선호하거나 소정의 시간대에 발생되는 거점을 중심으로 효율적인 구간이 자동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경로의 변경은 후순위 이용자들의 요청에 의하여 변경경로 관리부(1202)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기초경로의 설정의 경우와는 달리 하나의 대상차량에 대한 운행경로가 이미 결정된 이후이므로 새로운 요청에 대한 추가적인 판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소정의 판단부가 후순위 이용자의 요청에 대응할 것인지에 대한 판단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판단은 인접성의 판단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인접성 판단부(1203)는 후순위의 이용자 요청에 따른 소정 시간에서의 출발거점 또는 탑승거점이 선순위의 경로에 인접되는지를 판단하는 기능을 먼저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인접성 판단부(1203)는 각 후순위 이용자들의 요청한 거점에 대한 인접성을 판별하고 이를 수치화하여 소정의 설정값과 비교할 수 있다.
우선순위 판단부(1204)는 상기 판단된 우선순위의 값 또는 이용자단말(2100)에서 우선적으로 입력된 요청에 따라 각 요청의 순위를 결정하여 선순위 경로로의 알림 여부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결정된 설정값 이상의 인접성을 가지는 선순위 경로에 대한 우선순위는 소정의 리스트로서 이용자단말(2100)에 제공되어 알림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알림은 리스트 제공 및 갱신부(1206)에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우선순위 판단부(1204)는 소정의 이용자의 경로 변경의 요청에 대하여 변경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순위를 제공하거나, 상기와 같이 이용자 단말에 소정의 알림리스트로서 제공될 수 있는 순위를 제공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우선순위 판단부(1204)는 입력부(1205)를 통하여 입력받은 이용자의 선택의 순위를 지정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여기서, 변경경로 관리부(1202)는 변경된 대상차량의 운행정보를 실시간으로 갱신하고 이를 이용자가 기설정한 예약요청에 에 의한 요청경로와 운행경로의 인접성을 인접성 판단부(1203)에서 판단받도록 한 이후에 다시 리스트 제공 및 갱신부(1206)를 통하여 이용자단말(2100)에서 표시 또는 갱신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경로의 변경이란 기초경로 또는 선순위의 이용자에 의하여 먼저 변경된 경로에서 운행 경로 자체가 변경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거점이 추가되는 경우도 포함되는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 거점이란 대상차량이 임시적으로 정차하여 이용자를 탑승 또는 하차시킬 수 있는 지점을 의미한다.
한편, 하나의 우선 입력된 요청에 대하여 인접성을 판단하고 차순위로 입력된 요청에 대하여 인접성을 판단하는 과정에서, 먼저 입력된 우선순위 및 인접성에 대한 판단이 완료되고 승인되어 변경된 경우 차순위의 인접성 판단의 기준은 변경된 경로를 기준으로 하여야 함에 유의하여야 한다. 따라서, 선순위의 경로란 후순위 요청이 개시되는 시점에서는 운행경로이며, 다음 후순위의 경우는 바로 선순위의 변경된 운행경로가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가변되는 차량의 경로에 대한 예보 및 선택 시스템에서는 소정의 리스트가 동시적으로 복수의 사용자에 제공된 경우 입력부(1205)에서 입력받은 우선순위에 따라 선순위의 선택이 완료되도록 하며, 선택된 이외의 이용자단말(2100)에서는 리스트에서 삭제되도록 갱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표시방식과 관련하여서는 아래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요금 산출부(1210)는 분할요금을 분배하고 증가된 이용자의 수에 따라 이러한 분할요금에서 정산액을 조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요금의 효율적인 징수와 정산을 위하여 요청 단계에서 표준요금이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함은 상기한 바와 같고, 이를 위하여 표준요금 산출부(1221)는 기본적인 운행경로와 각 거점 사이의 최단 경로를 고려하여 표준요금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표준요금은 기본적으로 기초경로 설정부(1201)에 대한 값을 기본인자로 삼을 수 있으며, 차량 관리부(1110)에서 판단되는 최적 또는 최단의 경로를 기초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준요금의 판단은 과거, 바람직하게는 전일의 대상차량의 지정 기간동안의 운행 총거리를 기초로하여 이러한 값과 요청된 이용거리의 합에 대한 이용거리의 비로서 결정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호출부(1211)는 운행데이터베이스(1220)로부터 과거의 대상차량의 운행 히스토리를 호출하고 표준요금 산출부(1221)에서 산출의 근거로 삼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지정기간은 특정된 대상차량의 전일의 10시간 운행 총거리로 설정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운행에 따라 가변되는 분할요금의 경우 변경요금 산출부(1222)에 의하여 산출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여기서 가변되는 분할요금이란 후순위 이용자의 증가에 따른 선순위 이용자들의 분할요금의 절감을 의미하게 된다.
이러한 변경요금 산출부(1222)는 변경경로 설정부(1202)와 연관될 수 있으며, 결제 및 정산부(1130)는 변경요금 산출부(1222)의 변경되는 분할요금의 값과, 최초 요청시의 표준요금의 값을 대비하여 각 이용자에게 정산 및 배당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요금 산출부(1210)는 운행데이터베이스(1220)로부터 과거의 운행구간과 이용자의 수에 대한 데이터를 호출하여 표준요금을 산출하도록 하는 호출부(1211)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표준요금의 산출과 관련하여 상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의 과정을 통하여 산출되는 분할요금은 결제 및 정산부(1130)의 요청에 따라 처리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결제금은 모바일 소액결제방법을 통하여 결제가 이루어지는 경우 통신사의 결제서버(3000)를 통하여 이용요금에 대한 통신요금에 부가되는 결제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결제의 방식은 미리 이용자단말(2100)에 의하여 결정되는 계좌이체, 신용카드 납부, 가상화폐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각 대상차량이나 거점에 구비되는 IC리더, RFID리더나 비콘 등에의 결제요청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기본적인 개념에 따라 차량의 운행 경로에 대한 인접성의 판단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기초경로(ℓ0)는 차량의 임대운행의 개시시 설정된 출발지(s)와 목적지(t) 사이의 최단 또는 최적 구간을 의미한다.
이러한 기초경로의 설정은 최초 임대요청을 하는 이용자 또는 이용자들의 집합의 의사결정에 의하거나, 후술될 기초경로 설정부에서 과거의 데이터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념에서 상기된 기초경로(ℓ0)는 후순위의 이용자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고, 변경되는 경로는 변경경로로서 정의된다. 여기서, 경로의 변경이란 기초경로 또는 선순위의 변경경로의 구간에서 벗어난 거점(p1, p2)으로의 노선의 변경 또는 기초경로 또는 선순위의 변경경로 구간 상에서 새로운 거점의 추가를 의미할 수 있다.
도시사항은 하나의 이용자에 의하여 이러한 기초경로(ℓ0)가 제1변경경로(ℓ1)로 변경요청되고, 다른 이용자에 의하여 기초경로(ℓ0)가 제2변경경로(ℓ2)로 변경요청된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하나의 이용자가 기초경로(ℓ0)의 설정 이후에 제1요청거점(p1)에서의 픽업 요청에 따라 인접성 판단부(1203) 및 우선순위 판단부(1204)에서 이를 승인하여 변경하도록 하는데, 이때 승인 여부는 기초경로(ℓ0)와의 인접성에 의하여 판단될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즉, 제1요청거점(p1)과 기초경로(ℓ0) 사이의 거리(d1)은 이러한 인접성 판단의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거리(d1)는 반드시 기초경로와의 최단 및 직선거리만을 의미하지는 않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대상차량의 운행시 소정의 도로를 따라 운행하기 때문에 이러한 거리는 실제 운행될 수 있는 도로의 형태와 상태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다. 이때, 신호체계나 교통량도 인접성 판단의 요소로 고려될 수 있다.
이렇게 거리(d1)을 요소로 하여 결정된 인접성의 값이 소정의 설정값보다 큰 경우 경로변경의 승인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기초경로(ℓ0)는 제1요청거점(p1)을 경유하는 제1요청경로(ℓ1)로 변경될 수 있다.
제2요청거점(p2)에 따른 제2요청경로(ℓ2)로의 변경요청 및 승인의 과정은 상기의 설명에 의하며, 이때, 제1요청거점(p1)과 기초경로(ℓ0)에 대한 거리(d1) 및 제2요청거점(p2)와 기초경로(ℓ0)에 대한 거리(d2)는 상이함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된 인접성의 설정값이 두 거리 사이에 존재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먼 제1요청은 부정되고, 가까운 제2요청에 대한 요청이 승인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인접성의 판단은 우선순위의 판단에 먼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된 설명에서는 편의상 각 후순위 이용자가 출발거점을 서로 다르게 하고 목적거점을 목적지(t)에 동일하게 요청한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일반적으로는 출발거점과 목적거점이 출발지(s) 및 목적지(t)와 상이할 것이다.
도 6은 각 이용자가 두 개의 거점을 지정하여 예약요청을 한 경우판단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하나의 후순위 이용자에 대한 제1요청은 제1요청출발거점(p1) 및 제1요청목적거점(t1)에 대한 것이며, 다른 후순위 이용자에 대한 제2요청은 제2요청출발거점(p2) 및 제1요청목적거점(t2)에 대한 것일 수 있다.
상기된 바에 따른 각각의 경로는 제1요청경로(ℓ1) 및 제2요청경로(ℓ2)일 수 있으며, 각 경로의 출발거점과 목적거점에 기초경로(ℓ0) 상에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인접성 판단부(1203)는 제1요청출발거점(p1)과 기초경로(ℓ0) 사이의 거리(d11)와 제1요청목적거점(t1)과 기초경로(ℓ0) 사이의 거리(d12)를 인자로 하여 제1요청경로(ℓ1)에 대한 인접성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요청출발거점(p2)과 기초경로(ℓ0) 사이의 거리(d21)와 제2요청목적거점(t2)과 기초경로(ℓ0) 사이의 거리(d22)를 인자로 하여 제2요청경로(ℓ2)에 대한 인접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단일의 거점의 경우와는 판단의 알고리즘의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일례로서 기초경로(ℓ0)를 일직선으로 데이터화하고 각 거점을 2차원 평면 상에 놓아 요청경로들의 면적에 대한 적분값을 통하여 인접성을 수치화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작은 적분값을 가지는 경우 인접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인접성의 판단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어느 하나의 거점이 기초경로 상에 있는 경우의 모식도이다.
실제의 경우 상기된 경우와 달리 기초경로(ℓ0)가 건물이나 소정의 위치를 블록 단위로서 구분하고 이를 감싼 형태로 도로를 따라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시사항에서 출발지(s)와 목적지(t) 사이의 기초경로(ℓ0)는 실질적으로 도로를 따라 운행할 수 있는 최단거리를 나타낸다.
이때 하나의 이용자에 의한 제1요청은 기초경로(ℓ0) 상에서 벗어난 제1요청출발거점(p1) 및 제1요청목적거점(t1)을 경유하는 제1요청경로(ℓ1)에 대한 것이며, 다른 이용자에 의한 제2요청은 기초경로(ℓ0)상에 존재하는 제2요청출발거점(p2)과 목적지(t)로부터 추가되는 거리에 대한 요청목적거점(t2)을 포함한 제2요청경로(ℓ2)일 수 있다.
여기서는 인접성 판단부(1203)에서의 인접성 판단의 가중치를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각 요청거리에 따라 추가되는 거리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할 때, 기초경로(ℓ0)의 경로상에 존재하는 거점의 관점에서는 제2요청이 제1요청에 비하여 유리하다고 볼 수 있으며, 다만 대상차량의 반환지로서의 목적지(t)의 관점을 본다면 제2요청목적거점(t2)가 목적지(t)에서 벗어난 위치에 있으므로 다시 반송되는 거리가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 경우는 추가된 거리는 실질적으로 제2요청의 경우가 더 크다고 보는 것이 합리적이며 이때에는 제1요청에 대한 승인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2요청에 대한 인접성아 상대적으로 또는 설정값보다 낮은 경우일 수 있고 이를 위한 시스템 상에서 서버부는 각각의 요청을 판단하여 대상차량에 적용될 수 없는 이용자의 요청임을 확인하고 이용자단말에서 이를 표시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판단의 과정은 다른 대상차량에 대하여 다시 반복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서버부는 복수의 대상차량들을 상기된 알고리즘에 따라 동시적이고 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각각의 이용자의 소정 시간에 요청되는 거점에의 변경가능한 운행경로를 가지는 대상차량들만을 인접도 순으로 정렬하고 필터링하여 이용자단말에 표시하도록 하며 각 이용자들의 요청에 따라 임대요금을 분배하여 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경우에 따라 기초경로(ℓ0) 상에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인 가상의 거점들을 미리 설정하여 두고, 기초 조건 상에서는 출발지(s)로부터 목적지(t)까지 셔틀(shuttle)의 방식으로서 운행이 이루어지되, 이용자들의 경로 상의 억세스 포인트를 거점으로 하는 정차의 요청이 있는 경우 이에 대한 정차를 수행할 수 있도록 경로를 변경하는 경우도 고려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기초경로 상에서 거점의 추가 역시 경로의 변경의 개념에 포함될 수 있는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때에는 경로 변경의 요청이 없는 경우 기초경로에 따라 셔틀방식으로 대상차량이 운행하도록 하며, 기초 경로상의 가상의 억세스 포인트을 거점으로 한 경로 변경의 요청이 있는 경우 인접성 판단하지 않고 요청된 거점을 경유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셔틀이란 두 지역 사이에 다른 거점을 경유하지 않고 운행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이러한 억세스 포인트는 경로 상에 존재하므로 변경경로 관리부(1202)는 선택된 거점으로서의 억세스 포인트에 대하여 대상차량(2110)이 정차하도록 하는 것으로 변경경로를 제공하게 된다.
도 8은 가변되는 차량의 경로에 대한 예보 및 선택 시스템에 따라 이용자 단말에 구현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각각의 이용자단말(2100a, 2100b)은 우선순위 판단부(1204)에서 판단된 예약요청된 구간에 대한 인접성이 높은 순으로의 운행경로 또는 이에 해당되는 대상차량 리스트를 제공하는 리스트 표시부(2101)와, 이에 대한 예상 분할요금 내지는 표준요금을 제공하는 요금 표시부(210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요금 표시부(2102)는 제공된 리스트의 대상차량들에 대해 각각의 분할요금 내지는 표준요금을 개별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리스트 표시부(2101)에는 각각의 대상차량에 대한 운행의 시간 내지는 요청출발거점에 도달하는 시간을 표시하는 시간표시부(2104)와, 이용자에 의하여 선택이 가능한 선택부(2103) 및 최종 호출작업으로서 확인이 가능한 소정의 확인부(참조번호 미표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이용자가 이용자단말(2100a)을 통하여 입력부(1205)에 요청출발거점(p1)에서 요청목적거점(t1)을 경유하는 경로의 예약입력을 한 경우, 변경경로 관리부(1202)에서 갱신된 운행경로의 정보는 실시간으로 인접성 판단부(1203)에서 인접성판단을 통해 리스트 제공 및 갱신부(1206)로부터 이용자단말(2100)에 소정의 우선순위 리스트가 실시간으로 갱신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도시된 상측으로부터 2번째의 대상차량(2110b)의 경로가 예약입력된 두 개의 요청거점을 가장 인접하게 경유할 것이므로 우선순위는 2110b, 2110c, 2110a 순으로 제1이용자에게 알림될 수 있다.
이때, 각 리스트 표시부(2101)의 항목들은 차량 고유의 식별번호나 라이센스 플레이트의 넘버를 함께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2이용자가 이용자단말(2100b)을 통하여 입력부(1205)에 요청출발거점(p2)에서 요청목적거점(t2)을 경유하는 경로의 예약입력을 한 경우, 변경경로 관리부(1202)에서 갱신된 경로정보는 실시간으로 인접성 판단부(1203)에서 인접성판단을 통해 리스트 제공 및 갱신부(1206)로부터 이용자단말(2100)에 소정의 우선순위 리스트가 실시간으로 갱신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도시된 상측으로부터 1번째 대상차량(2110a)이 양 거점을 정확하게 경유하므로 최우선순위로서 결정되고 표시될 수 있다. 이때, 3번째 대상차량(2110c)는 거점으로부터 비교적 먼 거리를 가지고 있고, 인접성이 설정값보다 낮은 것으로 보아 리스트 제공 및 갱신부(1206)가 리스트제공시 필터링하여 이를 제외한 나머지 대상차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 표시의 갱신 및 선택의 과정에서 우선순위 판단부(1204)는 이용자의 혼선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요하게 기능하는데, 우선적으로 인접도 판단에 따라 표시되는 리스트의 순위를 결정하여 도시사항과 같이 이용자단말(2100)에 제공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시간의 문제로 인하여 제1이용자 및 제2이용자가 모두 두 번째 대상차량(2110b)을 선택한 경우 선택의 우선순위에 따라 운행경로를 다시 변경경로 관리부(1202)에서 변경관리 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1이용자가 먼저 두 번째 대상차량(2110b)을 선택한 경우 리스트 제공 및 갱신부(1206)는 제2이용자의 이용자단말(2100b)에서 두 번째 대상차량(2110b)을 삭제하도록 갱신할 수 있다.
이러한 리스트 제공 및 갱신부(1206)는 연속적 또는 소정 시간의 주기로서 실시간으로 선택의 유무 변경경로의 유무와 인접성을 지속적으로 판단받아 이용자단말(2100)에 제공하도록 하며, 이러한 개념에 따라 인접성이 있는 소정의 경로를 운행하는 차량들은 시간 순으로 푸시알림의 방식을 통하여 이용자에게 알람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렇게 푸시알림 등의 알림을 통하여 해당 이용자가 이용자단말을 통하여 소정 대상차량에 대한 선택이 있는 경우, 소정의 혜택을 지급할 수도 있다.
상기 서버부는, 이벤트관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하고, 알림서비스 받은 이용자가 대상차량을 호출 선택하는 경우 요금할인, 포인트 지급, 경품의 지급을 통하여 이용에 대한 만족감을 향상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우선순위 판단부(1204)는, 유사한 인접성을 가지는 차량들이 있는 경우 운행거리가 짧은 순으로 순위를 지정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운행거리가 먼 경우에는 다른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경로가 변경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변경의 확률적인 이익을 고려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되는 차량의 경로에 대한 예보 및 선택 시스템에 의한 예보 및 선택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기초 요청에 따라 기초경로 설정부(1201)로부터의 기초경로 확정(S101)이 이루어지면, 입력부(1205)는 각각의 이용자단말(2100)로부터 수립된 예약요청을 입력받아 이의 유무를 판단(S210)하게 된다.
여기서, 예약요청이란 요청출발거점과 요청목적거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요청출발거점에 대한 시간도 함께 지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약요청이 수립된 경우 궤환적으로 복수의 대상차량들에 대하여 인접성 판단부(1203)에서 인접도의 판단(S220)을 수행하게 되며, 소정의 설정값 이상으로 인접도가 인정되는 대상차량들에 대하여 우선순위 판단부(1204)에서 순위가 설정(S410)될 수 있다.
이렇게 판단된 순위는 각 이용자의 식별코드에 해당되는 이용자단말(2100)로 리스트 제공 및 갱신부(1206)로부터 리스트로서 제공(S420)되며 이용자는 각 단말기를 통하여 요청의 입력을 할 수 있다.
입력부(1205)는 이용자의 선택에 대한 요청에 대한 유무를 판단(S430)하고 선택된 대상차량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입력 순위를 판단(S440)한 이후에 변경경로 관리부(1202)에서 경로를 변경(S450)할 수 있다.
이렇게 변경된 경로는 대상차량(2110)에 구비되는 표시장치 또는 운전자의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경로의 변경이 인정되면 리스트 제공 및 갱신부(1206)는 다시 이용자단말(2100)에 표시되는 리스트를 갱신하게 된다. 상기 과정에서 제1이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소정의 경로가 변경된 이후에도 제2이용자의 예약요청에 대한 정보와 인접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는 해당 대상차량은 제2이용자의 이용자단말(2100)에 리스트로서 잔류하게 될 것이다.
분할 또는 표준요금의 산출 및 결제와 관련하여서는 상기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결제(S120, S310)들은 통신서버를 이용한 통화요금에 합산되는 모바일 소액결제, 신용카드 결제, 계좌이체, 가상화폐 결제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이렇게 변경된 경로에 따라 추가 거점을 경유하고 운행이 계속되는 과정에서는 복수의 대상차량의 갱신되는 경로와 복수의 이용자에 대한 예약요청되는 구간에 대한 판단을 위한 상기의 과정은 궤환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변되는 차량의 경로에 대한 예보 및 선택 시스템은, 종래의 렌탈서비스의 편리성과, 구간 운송서비스의 낮은 비용부담과, 자율 운송서비스의 유연한 대응의 장점을 모두 결합한 운송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동시적 또는 시간차이를 둔 다수의 이용자들이 모바일단말을 통하여 즉시적으로 차량들의 운행정보를 확인하고 소정의 거점에 대한 경로의 확인이 가능하고 즉시적으로 인접성을 판단하여 가능한 리스트가 제공되어 대상차량의 선택이 가능하므로 이용자의 편리성은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이용자의 예약 요청 및 지속적으로 갱신되는 차량의 운행정보는 본 발명의 가변되는 차량의 경로에 대한 예보 및 선택 시스템에서 상시적으로 대비되고 이용자는 소정의 알림서비스를 통하여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므로 사회적인 비용과 시간의 손실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가변되는 차량의 경로에 대한 예보 및 선택 시스템은 반드시 렌탈 차량의 운영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택시, 버스나 대리운전과 같은 여객 또는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운송서비스 방식에 적용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100...서버부 1110...차량 관리부
1120...이용자 관리부 1130...결제 및 정산부
1200...경로 설정부 1201...기초경로 설정부
1202...변경경로 관리부 1203...인접성 판단부
1204...우선순위 판단부 1205...입력부
1206...리스트 제공 및 갱신부 1210...요금 산출부
1300...통신부 2000...중계망
2101...리스트표시부 2102...요금표시부
2103...선택부 2104...시간표시부
2100...이용자단말 2110...대상차량
3000...결제서버

Claims (7)

  1. 통신부 및 중계망을 통하여 이용자단말과 교환하는 서버부로 구성되는 운행경로의 예보 및 선택이 가능한 시스템으로서,
    이용자단말로부터 요청출발거점 및 요청목적거점을 경유하는 요청경로의 예약요청과 운행경로에 대한 변경요청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한 변경요청에 따라 대상차량의 운행경로를 변경하고 변경경로에 대한 정보를 갱신하여 관리하는 변경경로 관리부;
    상기 요청경로와 현재의 운행경로의 거리에 따른 인접성과 설정값을 대비하는 인접성 판단부;
    상기 인접성을 기초로 한 복수의 대상차량에 대한 각 이용자단말 별로 할당되는 우선순위를 생성하는 우선순위 판단부; 및
    상기 생성된 우선순위를 이용자단말의 리스트표시부에 표시하는 리스트 제공 및 갱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리스트 제공 및 갱신부는,
    이용자 단말에 리스트가 표시된 이후 운행경로가 변경된 대상차량이 있는 경우 요청경로에 대한 인접성의 판단 및 우선순위의 판단에 의하여 리스트를 갱신하는 가변되는 차량의 경로에 대한 예보 및 선택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 제공 및 갱신부는,
    상기 우선순위 판단부에서 판단된 우선순위의 리스트에 따라 이용자 단말에 시간순으로 푸시알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되는 차량의 경로에 대한 예보 및 선택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 판단부는,
    요청경로가 운행경로에 대하여 높은 인접성을 가지는 경우와 운행경로가 상대적으로 짧은 경우를 높은 우선순위의 리스트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되는 차량의 경로에 대한 예보 및 선택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성 판단부에 의한 요청경로와 현재의 운행경로의 거리에 따른 인접성 판단은, 우선순위 판단부에 의한 우선순위의 판단에 먼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되는 차량의 경로에 대한 예보 및 선택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성 판단부는,
    요청경로를 요청출발거점 및 요청목적거점을 경유하는 최단거리로서 운행경로와의 인접성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되는 차량의 경로에 대한 예보 및 선택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출발지와 목적지를 셔틀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기초경로를 설정하는 기초경로 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변경경로 관리부는, 상기 기초경로상의 가상의 억세스 포인트들을 마련하고 이용자단말에 의하여 선택된 억세스 포인트를 거점으로 대상차량이 정차하도록 운행경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되는 차량의 경로에 대한 예보 및 선택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 제공 및 갱신부는,
    하나의 이용자 단말에서 특정 대상차량이 선택된 경우 다른 이용자 단말의 리스트로서 표시된 해당 대상차량을 삭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되는 차량의 경로에 대한 예보 및 선택 시스템.
KR1020150050059A 2015-04-09 2015-04-09 가변되는 차량의 경로에 대한 예보 및 선택 시스템 KR201601209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059A KR20160120901A (ko) 2015-04-09 2015-04-09 가변되는 차량의 경로에 대한 예보 및 선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059A KR20160120901A (ko) 2015-04-09 2015-04-09 가변되는 차량의 경로에 대한 예보 및 선택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3133A Division KR101783702B1 (ko) 2017-05-22 2017-05-22 가변되는 차량의 경로에 대한 예보 및 선택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0901A true KR20160120901A (ko) 2016-10-19

Family

ID=57250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0059A KR20160120901A (ko) 2015-04-09 2015-04-09 가변되는 차량의 경로에 대한 예보 및 선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090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66645A (zh) * 2017-09-01 2018-01-09 深圳市盛路物联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装置
CN110121725A (zh) * 2016-12-30 2019-08-13 北京嘀嘀无限科技发展有限公司 用于修改请求的位置信息的方法和系统
CN110415508A (zh) * 2019-09-04 2019-11-05 广州市交通规划研究院 一种基于城市引力的区域客运交通模型构建方法
CN113287144A (zh) * 2019-03-25 2021-08-20 株式会社日立制作所 移动服务系统以及移动服务提供方法
KR102323831B1 (ko) * 2020-12-29 2021-11-08 김우영 전세버스 모객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21725A (zh) * 2016-12-30 2019-08-13 北京嘀嘀无限科技发展有限公司 用于修改请求的位置信息的方法和系统
CN107566645A (zh) * 2017-09-01 2018-01-09 深圳市盛路物联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装置
CN113287144A (zh) * 2019-03-25 2021-08-20 株式会社日立制作所 移动服务系统以及移动服务提供方法
CN110415508A (zh) * 2019-09-04 2019-11-05 广州市交通规划研究院 一种基于城市引力的区域客运交通模型构建方法
KR102323831B1 (ko) * 2020-12-29 2021-11-08 김우영 전세버스 모객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19380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a transport service for drivers and users of a geographic region
US1138635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 vehicle sharing facility
US20150032485A1 (en) Digital method For Providing Transportation Services
US20160210675A1 (en) Ordering products / services
US20120041675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ordinating Transportation Service
US20130246301A1 (en) Providing user feedback for transport services through use of mobile devices
US2016024709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 Vehicle Sharing Facility
US20130103437A1 (en) Digital method for providing transportation services related applications
KR101654201B1 (ko) 임대요금의 분배 방법 및 시스템
KR101481956B1 (ko) 주차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60120901A (ko) 가변되는 차량의 경로에 대한 예보 및 선택 시스템
JP6956810B2 (ja) シャトルサービスを管理する方法
KR20160120898A (ko) 조합 방식의 운송차량 임대시스템
WO2002006994A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 efficient transportation route
US20180075566A1 (en) System and method of calculating a price for a vehicle journey
KR101783702B1 (ko) 가변되는 차량의 경로에 대한 예보 및 선택 시스템
KR101740029B1 (ko) 구간 운송차량의 경로 가변시스템
CN113989946B (zh) 一种afc系统的移动终端
WO2018138884A1 (ja) 交通案内システム、交通案内方法、駐車場管理システム、駐車場管理方法、及び、記録媒体
KR20170023058A (ko) 조합 방식의 운송차량 임대시스템
KR20180029990A (ko) 조합 방식의 운송차량 임대시스템
KR20200001124A (ko) 택시 합승 요금산정 방법 및 택시 합승 시스템
KR102447863B1 (ko) 바우처 택시의 운행 요금을 자동으로 정산하는 방법
KR20220019956A (ko) 운송비용 우선지급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