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0029B1 - 구간 운송차량의 경로 가변시스템 - Google Patents

구간 운송차량의 경로 가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0029B1
KR101740029B1 KR1020150050057A KR20150050057A KR101740029B1 KR 101740029 B1 KR101740029 B1 KR 101740029B1 KR 1020150050057 A KR1020150050057 A KR 1020150050057A KR 20150050057 A KR20150050057 A KR 20150050057A KR 101740029 B1 KR101740029 B1 KR 101740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ute
request
path
unit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0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0900A (ko
Inventor
박병종
Original Assignee
박병종
주식회사 메쉬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종, 주식회사 메쉬코리아 filed Critical 박병종
Priority to KR1020150050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0029B1/ko
Publication of KR20160120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0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0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0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33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different aspects are considered when computing the route
    • G08G1/096844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different aspects are considered when computing the route where the complete route is dynamically recomputed based on new dat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33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different aspects are considered when computing the route
    • G08G1/09683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different aspects are considered when computing the route where the user preferences are taken into account or the user selects one route out of a pluralit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간을 운행하는 운송차량에서 각 이용자의 요구에 부합할 수 있도록 효율적인 경로 변경 체계를 가지는 구간 운송차량의 경로 가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통신부 및 중계망을 통하여 이용자단말과 운송차량의 경로에 대한 정보를 교환하는 서버부로 구성되는 경로 가변 시스템으로서, 하나 이상의 대상차량에 대한 할당과 대상차량의 위치정보를 수집을 수행하는 차량관리부, 하나 이상의 이용자단말로부터의 거점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고 각각의 이용자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이용자 관리부 및 기초경로를 설정하고 복수의 이용자의 요청을 판단하여 거점을 추가하여 선순위의 경로를 변경하는 경로 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로 설정부는, 출발지로부터 목적지에 이르는 최단경로에 대한 기초경로를 설정하는 기초경로 설정부와, 이용자의 요청거점의 선순위 경로에 대한 인접성을 판단하는 인접성 판단부와, 인접성이 인정된 경우 선순위의 경로를 요청거점을 경유하도록 경로를 변경하는 변경 경로 설정부로 이루어지는 구간 운송차량의 경로 가변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구간 운송차량의 경로 가변시스템{VIRIABLE PATH SYSTEM FOR SEGMENT TRANSPORTING VEHICLE}
본 발명은 운송서비스와 관련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구간을 운행하는 운송차량에서 각 이용자의 요구에 부합할 수 있도록 효율적인 경로 변경 체계를 가지는 구간 운송차량의 경로 가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운송(運送)이란 사람이나 물건을 소정의 목적지까지 보내는 것을 말하는 것을 말한다.
현대사회는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사람들의 이동과 물류의 이송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다양한 운송서비스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운송서비스는 경로의 관점에서 정해진 구간을 이동하는 구간 운송과, 개별적인 이용자의 요청에 따라 설정된 목적지 까지 이동하는 자율 운송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전자의 경우는 대표적으로, 여객기, 여객선, 기차 또는 버스와 같은 운송서비스를 들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는 택시나 렌탈차량과 같은 경우를 들 수 있다.
구간 운송서비스를 제공하는 대중적이고 대표적인 버스의 경우를 살펴보면, 정해진 구간에서 각 거점인 정류장을 경유하는 시내버스와, 두 지점을 사이에 두고 비교적 빠르게 오갈 수 있는 셔틀버스로 구분해볼 수 있다.
이러한 버스의 경우 대중이 이용할 수 있어 비용이 저렴하고 그 이용절차가 단순한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정해진 목적지나 거점이 미리 지정되어 있기 때문에 각 이용자들마다 다른 목적지에 대한 수요에 정확하게 부응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며 불필요한 경로를 경유하여야 하거나 배차간격이 긴 경우 과도한 대기시간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경로의 신설, 배차간격의 단축, 소요시간의 예보, 환승서비스 등의 다양한 시도가 있으나 근본적으로 구간에 대하여 반복 운행하는 구간 운송서비스의 단점에 대한 극복은 불가능하다.
한편, 대중적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자율 운송서비스로서 택시의 경우 이용자의 요청에 의하여 즉답하여 목적지까지 가변적인 경로로 운행이 가능하므로 신속하고 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택시의 이용요금은 기본요금에 시간과 거리를 고려한 주행요금을 합산하여 계산하는 규정된 요금체계를 가지고 산정이 된다. 그런데 택시서비스의 경우는 운전자와 승객이 1:1로 매칭되어 제공되므로 대중적이지 못한 한계를 가지며 특히 거리가 멀거나 교통이 정체되는 등의 사정이 있는 경우는 과도한 이용요금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택시서비스에 있어서 비슷한 경로로 이동하고자 하는 이용자를 추가로 탑승시키는 이른바 합승의 경우 위의 대중적이지 못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려될 수도 있으나 이는 불법으로 규정되어 있다.
더욱 자율적인 운송방법으로서 단기적으로 차량을 이용하기 위하여 렌탈을 하는 서비스가 렌탈사업자에 의하여 제공되기도 한다. 이러한 렌탈서비스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장기 또는 단기 렌탈로 구분되기도 하는데, 최근에는 하루 또는 수일 정도의 단기로 렌탈을 하는 경우도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최근에는 복수의 이용자가 공동으로 차량을 이용하는 카쉐어링(car sharing) 서비스도 등장하였다. 카쉐어링은 유럽, 미국 등 해외에서 주로 이용되는 방법으로서, 회원 고객들이 포스트(Post:무인 주차 장소)의 차량을 인터넷이나 전화를 통해 예약하여 이용한 후 원래 장소에 반납하고, 이용 실적에 따라 매월 이용료를 납부하는 대여 방법이다. 이는 넓은 의미로서의 렌탈서비스로 볼 수 있다.
상기한 렌탈서비스의 경우는 운송서비스의 방법 중에서 가장 자율적인 형태로 볼 수 있으나, 이용자가 직접 운전을 하여야할 뿐만 아니라 다른 운송방식에 비하여 비용이 높고 차량의 요청과 반납이 번거로운 문제를 가진다.
상기 카쉐어링의 개선된 방법으로서 공개특허 10-2004-0049441호는 인터넷 기반의 커뮤니티 회원 관리를 통한 차량의 공동이용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도 1은 상기된 종래 차량의 공동이용 방법을 운영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러한 종래의 카쉐어링 운영시스템은 인터넷에 접속 가능한 브라우저를 내장한 개인용 컴퓨터(100), 인터넷에 접속 가능한 휴대폰(101), 차량 공동 이용의 전반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인 서버(102), 차량에 설치된 컴퓨터 및 휴대폰과 통신하는 통신 서버(104), 주행 거리와 연료량을 측정하고 메인 서버에 전송하는 차내 컴퓨터(106), 연료 정산 DB(108), 계약 DB(110), 예약 DB(111), 고객 DB(112) 및 이용 실적 DB(114)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일괄 계약자들은 계약DB를 통하여 자기의 사용시간을 각각 설정하고 기간을 나누어 사용하여 그 사용 기간만큼 비용을 계산한다는 것인데, 사실상 이는 단기 렌트의 경우와 다를 바 없고, 종래의 렌탈서비스의 단점을 그대로 가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종래의 운송체계에 대한 문제들을 극복하고 물품이나 차량의 임대에 있어서 다수의 이용자의 관계를 조율하며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운행 구간의 조절이 가능한 구간 운송차량의 경로 가변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통신부 및 중계망을 통하여 이용자단말과 운송차량의 경로에 대한 정보를 교환하는 서버부로 구성되는 경로 가변 시스템으로서, 하나 이상의 대상차량에 대한 할당과 대상차량의 위치정보를 수집을 수행하는 차량관리부, 하나 이상의 이용자단말로부터의 거점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고 각각의 이용자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이용자 관리부 및 기초경로를 설정하고 복수의 이용자의 요청을 판단하여 거점을 추가하여 선순위의 경로를 변경하는 경로 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로 설정부는, 출발지로부터 목적지에 이르는 최단경로에 대한 기초경로를 설정하는 기초경로 설정부와, 이용자의 요청거점의 선순위 경로에 대한 인접성을 판단하는 인접성 판단부와, 인접성이 인정된 경우 선순위의 경로를 요청거점을 경유하도록 경로를 변경하는 변경 경로 설정부로 이루어지는 구간 운송차량의 경로 가변시스템을 제공한다. 따라서, 효율적이면서도 유연한 구간 운송차량의 관리가 가능하다.
상기 경로 설정부는, 경로 변경의 요청이 없는 경우 기초경로에 따라 셔틀방식으로 대상차량이 운행하도록 하며, 기초 경로상의 가상의 억세스 포인트을 거점으로 한 경로 변경의 요청이 있는 경우 인접성을 판단하지 않고 요청된 거점을 경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접성 판단부는, 요청출발거점과 요청목적거점을 경유하기 위하여 추가되는 거리를 기준으로 인접성을 판단하되, 요청목적거점이 목적지를 경유한 이후에 요청목적거점이 있는 요청경로에 대해서는 요청목적거점에 도달된 이후 목적지에 반송되는 거리를 추가하여 인접성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경로 설정부는, 이용자 단말에 의하여 입력되는 우선순위를 판단하는 우선순위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이용자에 대한 분할요금을 산정하고 분배하는 요금 산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분할요금은, 출발지로부터 목적지에 이르는 기초경로에 대한 요청출발거점으로부터 요청목적거점에 대한 요청경로의 비로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각 이용자에 대한 분할요금을 산정하고 분배하는 요금 산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요금 산출부는, 운행 데이터베이스에서 대상차량의 과거의 지정기간 동안의 총 주행거리에 대한 이력을 호출하고 이에 요청경로를 합한 값에 대한 대한 요청경로의 비로서 분할요금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간 운송차량의 경로 가변시스템은, 종래의 렌탈서비스의 편리성과, 구간 운송서비스의 낮은 비용부담과, 자율 운송서비스의 유연한 대응의 장점을 모두 결합한 운송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동시적 또는 시간차이를 둔 다수의 이용자들이 모바일단말을 통하여 즉시적으로 차량들의 운행정보를 확인하고 소정의 거점에 대한 경로의 변경의 요청을 할 수 있고 이에 즉시적으로 인접성을 판단하여 가능한 리스트가 제공되어 대상차량의 선택이 가능하므로 이용자의 편리성은 극대화된다. 또한, 종래의 수동적이고 임의적인 차량 렌탈의 서비스에서 벗어나 그 활용영역이 확대되므로 공급자측의 차량에 대한 회전율이 향상되어 수익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차량의 공동이용 방법을 운영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간 운송차량의 경로 가변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서버부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3의 경로 설정부 및 요금산출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라 임대차량의 운행 경로가 설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각 후순위 이용자가 두 개의 거점을 지정하여 변경의 요청을 한 경우의 판단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어느 하나의 거점이 기초경로 상에 있는 경우 운행 경로가 설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간 운송차량의 경로 가변시스템에 의한 경로 변경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간 운송차량의 경로 가변시스템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하나의 차량에 대하여 기초경로가 설정되고, 이용자의 요청에 따라 인접성을 판단하여 변경경로로서 제공되는 구간 운송차량의 경로 가변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복수의 이용자에 의한 공동의 결제액이 임대요금으로서 지불되는데, 운행 방식으로서 종래의 구간 운송의 개념과 같이 기초 요청에 의하여 기초경로가 설정되며 후순위의 이용자에 의하여 경로가 변경될 수 있는 구성을 제시한다. 즉, 본 발명의 개념은 종래의 렌탈 또는 자율 운송 방식의 유동적인 경로의 설정이 가능한 이점과 구간 운송 방식의 낮은 비용 소요의 이점을 결합할 수 있는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된 결제액의 총합은 임대요금으로서 상계되고 이용자의 수 및/또는 이용시간 및/또는 이용거리 및/또는 이용구간 및/또는 이용에 따른 시간차이의 요소에 따라 결제액이 개인별 또는 상호간에 가변될 수 있는데 이러한 비용분배의 효율성을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은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차량은 사람 또는 물품의 운송이 가능한 버스, 택시, 승용차, 오토바이 등의 다양한 형태를 포함하며 비행기나 선박 등 운송이 가능한 운송수단들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물품의 배송을 목적으로 하는 드론(Drone)의 경우도 본 발명의 운송차량의 개념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대상차량이란 복수의 이용자에 의하여 특정된 임대 대상인 차량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구간 운송차량의 경로 가변시스템은 단일의 대상차량을 기본으로 하여 설명되나 복수의 이용자 군(群)에 의한 복수의 대상차량이 일괄되어 관리될 수 있는 것임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간 운송차량의 경로 가변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간 운송차량의 경로 가변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전산상의 정보를 소정의 네트워크장치인 중계망(2000)을 통하여 하나 이상의 이용자단말(2100)과 정보교환을 하는 통신부(1300), 상기 통신부(1300)를 통하여 입출력되는 이용자 및 대상차량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화하여 처리하는 서버부(1100)로 이루어진다.
상기 통신부(1300)는 이용자단말(2100)로 정보를 입출력하는 웹서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300)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여 웹상에서 정보를 구현하는 서버로서 이용자의 단말기는 와이파이 또는 3G나 4G와 같은 이동통신망 등의 다양한 수단을 통하여 단말기를 통하여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데, 다만 최근에는 스마트폰이 대중화됨에 따라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하여 정보를 입출력할 수도 있고, 이메일을 통하여 접속할 수도 있음은 물론, 종래의 통신망을 이용한 SNS나 MMS를 통하여 접속할 수도 있으므로, 상기 통신부(1300)는 인터넷상의 웹을 통한 정보의 입출력을 위한 장치만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이러한 데이터의 통신을 위한 중계망(2000)은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사의 기지국 등을 포함하는 통신망을 의미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중계망(2000)을 통하여 통신부(1300)는 공급자서버(4000)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공급자서버(4000)는 대상차량의 임대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 측에 구비되는 정보처리 서버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이용자에 의하여 이용자단말(2100)의 입력에 따라 조합 형태의 임대요청과 소정의 계약관계를 수립하면 족하므로 상기 통신부(1300)가 중계망(2000)을 통하여 공급자측에 SNS나 ARS알림 등의 방식으로 필요한 대상차량에 대한 임대요청을 수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이용자단말(2100)의 연결을 위한 중계망(2000)과 공급자서버(4000)의 연결을 위한 중계망(2000)은 분리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공급자서버(4000)와 통신부(1300)의 연결은 비개방형의 통신망에 의하여 보안처리된 상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서버부(1100)는 통신부(1300)를 통하여 별도로 구비되는 운전자서버(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기본적인 개념에서는 공급자에 의하여 대상차량이 제공되어 소정의 임대요금(m)을 징수하도록 하되 이를 분할하여 납부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다만, 별도의 운전자의 요청에 따라 운전서비스의 제공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때에는 임대 대상차량의 요청과 동시 또는 별도로 운전자의 제공에 대한 요청이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운전자서버는 운전사업자에 의하여 관리되는 정보처리수단일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모바일이나 태블릿과 같은 통신장치를 의미할 수도 있다.
이용자단말(2100)은 개인용컴퓨터, 모바일단말기나 스마트영상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모바일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한 스마트폰이나 PDA, 노트북과 같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기들을 의미하며, 스마트영상장치는 화상으로 정보를 구현할 수 있는 다양한 영상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종류의 통신수단 및 네트워크 연결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이용자단말(2100)은 위치정보를 상기 서버부(1100)에 제공할 수 있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모듈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하여 후술될 바와 같이 이용자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인근의 대상차량의 정보들을 매핑하여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후술될 바와 같은 각각의 이용자에 의한 결제액을 통한 운임의 결제 또는 정산의 처리는 서버부(1100)에 구비되는 결제 및 정산부에 의하여 진행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통신부(1300)가 소정의 모바일결제업체나 통신사의 결제서버와 같은 외부의 결제시스템인 결제서버(3000)에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상기 결제서버(3000)는 서버부(1100)에 일체화된 구성일 수 있다.
도 3은 상기된 본 발명의 서버부를 더욱 구체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러한 서버부(1100)는 상기 통신부(1300) 및/또는 결제서버(3000)와 함께 하나의 시스템 모듈로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각각의 서버 및 '부'들이 분리된 장치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후술할 바와 같이 서버부(1100)에서 동작되는 각각의 '부'들은 하나의 정보처리모듈에서 프로그래밍된 알고리즘을 통하여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버부(1100)는, 대상차량의 배당과 대상차량에 구비되는 GPS와 같은 위치정보확인모듈로부터 통신부(1300)를 통하여 수집된 위치정보를 데이터화하여 저장하도록 기능하는 차량 관리부(1110)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대상차량은 소정의 차량식별번호를 가질 수 있고 이러한 대상차량의 경로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는 실시간으로 차량 관리부(1110)에서 수집되어 관리될 수 있다.
이러한 차량 관리부(1110)는 대상차량에 구비되는 소정의 표시수단(미도시)을 통하여 호출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용자 또는 이용자들의 집합이 선택하여 경로 설정부(1200)에서 변경 승인된 경로나 후순위 이용자들의 요청을 운전자가 확인하도록 한다. 상기 표시수단은 운전자의 스마트폰과 같은 운전자단말(미도시)이나 네비게이션 또는 대상차량에 탑재되는 화상표시장치일 수 있다.
또한, 이용자 관리부(1120)는 각각의 이용자 단말에 대응한 이용자식별번호별로 구분하되 각 대상차량에 대응되는 이용자들의 군을 매칭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이용자 관리부(1120)는 이용자단말(2100)에 구비되는 위치정보확인모듈로부터 통신부(1300)를 통하여 수집된 위치정보를 수집하고, 후술될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이용자단말(2100)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대상차량의 목록을 제공하거나 매핑(mapping)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이용자 관리부(1120)에서의 이용자단말의 위치는 현재시점의 이용자의 위치 또는 예정된 시점의 이용자의 위치에 대하여 대상차량의 현재 위치 또는 대상차량의 예정된 경로를 대비하여 효율적인 분배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서버부(1100)는 경로 설정부(1200)를 포함하고, 상기 경로 설정부(1200)는 기초경로를 설정하며 후순위 이용자들의 요청의 적합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승인하여 기초경로에 대한 경로의 변경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로의 변경은 2회 이상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여기서 2회 이상의 경로의 변경은 복수의 후순위 이용자들에 의하여 복수의 거점이 지정된 상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경로 설정부(1200)의 작동과 관련하여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서버부(1100)는 대상차량을 임대하기 위한 전체적인 임대요금과 각각의 이용자들에 대한 결제액을 관리하는 요금 산출부(1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대요금은 최초 기초경로에 의하여 결정되나 후순위 이용자들에 의하여 추가되는 거점에 의하여 변경되는 경로에 따라 변동 가능한 양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전체적인 임대요금에 대하여 하나의 대상차량에 대응되는 이용자들의 군에서 각 이용자들의 결제액 또한 이용자의 수 또는 각각의 이용자들의 이용거리, 이용자의 요청의 순위 등의 요소에 따라 변동 가능할 수 있으며, 이는 운행이 종료된 이후에 결제액에 대한 정산 또는 배당을 위하여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이용자들이 전체적인 대상차량의 임대요금에 대하여 소정의 집합단위로서 군을 형성하여 결제액의 개념을 통하여 이를 분할하여 임대함으로써 소정의 임대요금에 대한 절감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데, 이러한 분할의 개념은 소정의 기초경로에 대한 운행의 개시 이후 시간의 차이를 두고 지속적으로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선순위의 이용자들의 결제액은 후순위 이용자들의 탑승의 요청 또는 결제액에 따라 변동될 수 있는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 결제액은 각 이용자들의 호출시점 또는 호출에 대한 이용자 관리부(1120)에서의 승인시점 또는 경로 설정부(1200)에서의 경로 변경에 대한 판단시점 또는 탑승 및 하차시점에서 적절하게 선택되는 시점에 따라 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결제 및 정산부(1130)가 서버부(1100)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결제의 형식으로 각 이용요금을 제공하고 배당의 형식으로 저감된 이용요금에 대한 정산의 제공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결제 및 정산부(1130)에서 결제금의 결제는 각 이용자의 계약시점에 선결제의 형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함은 상기한 바와 같다. 여기서, 계약시점은 선순위의 이용자나 이용자들의 집합이 최초 임대의 요청을 제공하는 시점 또는 후순위의 이용자나 이용자들의 집합이 거점을 추가하거나 지정된 경로에서 탑승을 요청하고 이러한 요청이 승인되는 시점일 수 있다.
이러한 선결제의 금액은 계약자의 수가 늘어남에 따라 후술될 바와 같이 요금 산출부(1210)에 의하여 절감될 수 있으며 따라서 각 이용자단말(2100)에서 설정되어 이용자 관리부(1120)에 관리되는 계정에 환급되는 방식으로 정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용자의 입장에서는 결제금이 임대요금의 지분으로서 활용되고, 운행서비스의 제공과 절감되어 환급되는 정산액이 수익의 배당으로서 받아들여질 수 있다.
한편, 각 대상차량의 운행정보와 결제금 및 정산액과 이용자의 수에 대한 정보는 누적되어 데이터화되고 운행데이터베이스(122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이러한 운행데이터베이스(1220)는 누적된 데이터에 따라 효율적인 자원의 분배가 가능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각각의 이용자들이 자주 이용하거나 선호하는 구간에 대한 차량의 분배 또는 기초경로를 증가시키도록 하여 미리 수요에 대응하도록 할 수 있고, 후술될 바와 같이 각 기초경로에 대한 표준요금을 미리 설정하도록 하여 합리적인 결제금의 초기 설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표준요금은 기준시간 동안의 임대요금의 총액을 기준시간 동안의 과거의 누적된 운행 총거리에 대한 해당 이용자가 요청한 거점 사이의 거리의 비를 곱한 값일 수 있다. 따라서, 표준요금이 과거 데이터에 기반한 대상 차량의 기준시간 동안의 누적거리를 인자로 하는 값에 영향을 받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기준시간은 일반적인 렌탈서비스를 고려하여 10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수수료의 값은 각각의 이용자에 대하여 고정된 값으로서 결정될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이 서비스를 받고자하는 거리에 비례하여 증가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는 표준요금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수수료는 운전서비스에 대한 수수료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상기된 경로 설정부 및 요금 산출부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최초 기초경로가 설정된 이후에 후순위의 이용자들의 요청에 따라 경로의 변경이 가능한 개념이 제시되는데, 이를 위하여 기초경로 설정부(1201)는 이용자의 기초요청에 따라, 또는 차량 관리부(1110)에서 분배된 대상차량의 기초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기초경로는 설정된 출발지와 목적지의 최단구간 또는 교통상황을 반영한 최적의 운행구간일 수 있다.
이러한 기초요청은 단일의 이용자의 요청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은 복수의 이용자들의 공동의 결제를 통한 임대요금의 분할 부담에 있으므로 최초 선순위 이용자들이 소정의 커뮤니티를 형성하여 일시에 기초요청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이용자 관리부(1120)에서 추가적으로 최초 운행의 요청의 의사와 목표 인원이 제기된 이후에 참가되는 다른 이용자들의 요청들이 이러한 조건을 만족할 때 기초경로 설정부(1201)에서 기초경로의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기초요청을 수행하는 이용자 또는 이용자들에 대한 심리적인 비용의 부담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기초경로 설정부(1201)에서의 기초경로의 설정은 이용자들의 요청이 아닌 운행데이터베이스(1220)에서 수집된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이용자들이 선호하거나 소정의 시간대에 발생되는 거점을 중심으로 효율적인 구간이 자동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경로의 변경은 후순위 이용자들의 요청에 의하여 변경 경로 설정부(1202)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기초경로의 설정의 경우와는 달리 하나의 대상차량에 대한 운행경로가 이미 결정된 이후의 변경이므로 모든 이용자들의 요구에 부응할 수는 없다.
이를 위하여 소정의 판단부가 후순위 이용자의 요청에 대응할 것인지에 대한 판단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판단은 인접성의 판단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인접성 판단부(1203)는 후순위의 이용자 요청에 따른 소정 시간에서의 출발거점 또는 탑승거점이 선순위의 경로에 인접되는지를 판단하는 기능을 먼저 수행하도록 경로 설정부(120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접성 판단부(1203)는 각 후순위 이용자들의 요청한 거점에 대한 인접성을 판별하고 이를 수치화하여 소정의 설정값과 비교할 수 있다.
우선순위 판단부(1204)는 상기 판단된 우선순위의 값 또는 이용자단말(2100)에서 우선적으로 입력된 요청에 따라 각 요청의 순위를 결정하여 선순위 경로의 변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우선순위 판단부(1204)에서 요청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어 승인된 경우 변경 경로 설정부(1202)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경로의 변경이란 기초경로 또는 선순위의 이용자에 의하여 먼저 변경된 경로에서 운행 경로 자체가 변경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거점이 추가되는 경우도 포함되는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 거점이란 대상차량이 임시적으로 정차하여 이용자를 탑승 또는 하차시킬 수 있는 지점을 의미한다.
한편, 하나의 우선 입력된 요청에 대하여 인접성을 판단하고 차순위로 입력된 요청에 대하여 인접성을 판단하는 과정에서, 먼저 입력된 우선순위 및 인접성에 대한 판단이 완료되고 승인되어 변경된 경우 차순위의 인접성 판단의 기준은 변경된 경로를 기준으로 하여야 함에 유의하여야 한다. 따라서, 선순위의 경로란 후순위 요청이 개시되는 시점에서는 기초경로이며, 다음 후순위의 경우는 바로 선순위의 변경경로가 되는 것이다.
아래에서 요금 산출부(1210)의 더욱 구체적인 실시예를 살펴보도록 한다.
요금 산출부(1210)는 분할요금을 분배하고 증가된 이용자의 수에 따라 이러한 분할요금에서 정산액을 조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요금의 효율적인 징수와 정산을 위하여 요청 단계에서 표준요금이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함은 상기한 바와 같고, 이를 위하여 표준요금 산출부(1221)는 기본적인 운행경로와 각 거점 사이의 최단 경로를 고려하여 표준요금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표준요금은 기본적으로 기초경로 설정부(1201)에 대한 값을 기본인자로 삼을 수 있으며, 차량 관리부(1110)에서 판단되는 최적 또는 최단의 경로를 기초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준요금의 판단은 과거, 바람직하게는 전일의 대상차량의 지정 기간동안의 운행 총거리를 기초로하여 이러한 값과 요청된 이용거리의 합에 대한 이용거리의 비로서 결정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호출부(1211)는 운행데이터베이스(1220)로부터 과거의 대상차량의 운행 히스토리를 호출하고 표준요금 산출부(1221)에서 산출의 근거로 삼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지정기간은 특정된 대상차량의 전일의 10시간 운행 총거리로 설정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운행에 따라 가변되는 분할요금의 경우 변경요금 산출부(1222)에 의하여 산출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여기서 가변되는 분할요금이란 후순위 이용자의 증가에 따른 선순위 이용자들의 분할요금의 절감을 의미하게 된다.
이러한 변경요금 산출부(1222)는 변경경로 설정부(1202)와 연관될 수 있으며, 결제 및 정산부(1130)는 변경요금 산출부(1222)의 변경되는 분할요금의 값과, 최초 요청시의 표준요금의 값을 대비하여 각 이용자에게 정산 및 배당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표준요금은 과거의 대상차량의 동일 또는 유사한 운행경로에 대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요금 산출부(1210)는 운행데이터베이스(1220)로부터 과거의 운행구간과 이용자의 수에 대한 데이터를 호출하여 표준요금을 산출하도록 하는 호출부(1211)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표준요금의 산출과 관련하여 상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변경요금 산출부(1222)는 표준요금의 산출에 인자가 되는 과거 표준 이용자의 수가 미리 결정된 이후에 후순위 이용자가 이에 도달할 때까지는 정산액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이를 초과한 경우 정산액을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을 통하여 산출되는 분할요금은 결제 및 정산부(1130)의 요청에 따라 처리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결제금은 모바일 소액결제방법을 통하여 결제가 이루어지는 경우 통신사의 결제서버(3000)를 통하여 이용요금에 대한 통신요금에 부가되는 결제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결제의 방식은 미리 이용자단말(2100)에 의하여 결정되는 계좌이체, 신용카드 납부, 가상화폐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각 대상차량이나 거점에 구비되는 IC리더, RFID리더나 비콘 등에의 결제요청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기본적인 개념에 따라 임대차량의 운행 경로가 설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기초경로(ℓ0)는 차량의 임대운행의 개시시 설정된 출발지(s)와 목적지(t) 사이의 최단 또는 최적 구간을 의미한다.
이러한 기초경로의 설정은 최초 임대요청을 하는 이용자 또는 이용자들의 집합의 의사결정에 의하거나, 후술될 기초경로 설정부에서 과거의 데이터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념에서 상기된 기초경로(ℓ0)는 후순위의 이용자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고, 변경되는 경로는 변경경로로서 정의된다. 여기서, 경로의 변경이란 기초경로 또는 선순위의 변경경로의 구간에서 벗어난 거점(p1, p2)으로의 노선의 변경 또는 기초경로 또는 선순위의 변경경로 구간 상에서 새로운 거점의 추가를 의미할 수 있다.
도시사항은 하나의 후순위 이용자에 의하여 이러한 기초경로(ℓ0)가 제1변경경로(ℓ1)로 변경요청되고, 다른 후순위 이용자에 의하여 기초경로(ℓ0)가 제2변경경로(ℓ2)로 변경요청된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하나의 후순위 이용자가 기초경로(ℓ0)의 설정 이후에 제1요청거점(p1)에서의 픽업 요청에 따라 인접성 판단부(1203) 및 우선순위 판단부(1204)에서 이를 승인하여 변경하도록 하는데, 이때 승인 여부는 기초경로(ℓ0)와의 인접성에 의하여 판단될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즉, 제1요청거점(p1)과 기초경로(ℓ0) 사이의 거리(d1)은 이러한 인접성 판단의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거리(d1)는 반드시 기초경로와의 최단 및 직선거리만을 의미하지는 않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대상차량의 운행시 소정의 도로를 따라 운행하기 때문에 이러한 거리는 실제 운행될 수 있는 도로의 형태와 상태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다. 이때, 신호체계나 교통량도 인접성 판단의 요소로 고려될 수 있다.
이렇게 거리(d1)을 요소로 하여 결정된 인접성의 값이 소정의 설정값보다 큰 경우 경로변경의 승인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기초경로(ℓ0)는 제1요청거점(p1)을 경유하는 제1요청경로(ℓ1)로 변경될 수 있다.
제2요청거점(p2)에 따른 제2요청경로(ℓ2)로의 변경요청 및 승인의 과정은 상기의 설명에 의하며, 이때, 제1요청거점(p1)과 기초경로(ℓ0)에 대한 거리(d1) 및 제2요청거점(p2)와 기초경로(ℓ0)에 대한 거리(d2)는 상이함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된 인접성의 설정값이 두 거리 사이에 존재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먼 제1요청은 부정되고, 가까운 제2요청에 대한 요청이 승인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인접성의 판단은 우선순위의 판단에 먼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된 설명에서는 편의상 각 후순위 이용자가 출발거점을 서로 다르게 하고 목적거점을 목적지(t)에 동일하게 요청한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일반적으로는 출발거점과 목적거점이 출발지(s) 및 목적지(t)와 상이할 것이다.
도 6은 각 후순위 이용자가 두 개의 거점을 지정하여 변경의 요청을 한 경우판단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하나의 후순위 이용자에 대한 제1요청은 제1요청출발거점(p1) 및 제1요청목적거점(t1)에 대한 것이며, 다른 후순위 이용자에 대한 제2요청은 제2요청출발거점(p2) 및 제1요청목적거점(t2)에 대한 것일 수 있다.
상기된 바에 따른 각각의 경로는 제1요청경로(ℓ1) 및 제2요청경로(ℓ2)일 수 있으며, 각 경로의 출발거점과 목적거점에 기초경로(ℓ0) 상에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인접성 판단부(1203)는 제1요청출발거점(p1)과 기초경로(ℓ0) 사이의 거리(d11)와 제1요청목적거점(t1)과 기초경로(ℓ0) 사이의 거리(d12)를 인자로 하여 제1요청경로(ℓ1)에 대한 인접성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요청출발거점(p2)과 기초경로(ℓ0) 사이의 거리(d21)와 제2요청목적거점(t2)과 기초경로(ℓ0) 사이의 거리(d22)를 인자로 하여 제2요청경로(ℓ2)에 대한 인접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단일의 거점의 경우와는 판단의 알고리즘의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일례로서 기초경로(ℓ0)를 일직선으로 데이터화하고 각 거점을 2차원 평면 상에 놓아 요청경로들의 면적에 대한 적분값을 통하여 인접성을 수치화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작은 적분값을 가지는 경우 인접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인접성의 판단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어느 하나의 거점이 기초경로 상에 있는 경우의 모식도이다.
실제의 경우 상기된 경우와 달리 기초경로(ℓ0)가 건물이나 소정의 위치를 블록 단위로서 구분하고 이를 감싼 형태로 도로를 따라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시사항에서 출발지(s)와 목적지(t) 사이의 기초경로(ℓ0)는 실질적으로 도로를 따라 운행할 수 있는 최단거리를 나타낸다.
이때 하나의 후순위 이용자에 의한 제1요청은 기초경로(ℓ0) 상에서 벗어난 제1요청출발거점(p1) 및 제1요청목적거점(t1)를 경유하는 제1요청경로(ℓ1)에 대한 것이며, 다른 후순위 이용자에 의한 제2요청은 기초경로(ℓ0)상에 존재하는 제2요청출발거점(p2)과 목적지(t)로부터 추가되는 거리에 대한 요청목적거점(t2)을 포함한 제2요청경로(ℓ2)일 수 있다.
여기서는 인접성 판단부(1203)에서의 인접성 판단의 가중치를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각 요청거리에 따라 추가되는 거리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할 때, 기초경로(ℓ0)의 경로상에 존재하는 거점의 관점에서는 제2요청이 제1요청에 비하여 유리하다고 볼 수 있으며, 다만 대상차량의 반환지로서의 목적지(t)의 관점을 본다면 제2요청목적거점(t2)가 목적지(t)에서 벗어난 위치에 있으므로 다시 반송되는 거리가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 경우는 추가된 거리는 실질적으로 제2요청의 경우가 더 크다고 보는 것이 합리적이며 이때에는 제1요청에 대한 승인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2요청에 대한 인접도가 상대적으로 또는 설정값보다 낮은 경우일 수 있고 이를 위한 시스템 상에서 서버부는 각각의 요청을 판단하여 대상차량에 적용될 수 없는 이용자의 요청임을 확인하고 이용자단말에서 이를 표시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판단의 과정은 다른 대상차량에 대하여 다시 반복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서버부는 복수의 대상차량들을 상기된 알고리즘에 따라 동시적이고 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각각의 이용자의 소정 시간에 요청되는 거점에의 변경가능한 운행경로를 가지는 대상차량들만을 인접도 순으로 정렬하고 필터링하여 이용자단말에 표시하도록 하며 각 이용자들의 요청에 따라 임대요금을 분배하여 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경우에 따라 기초경로(ℓ0) 상에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인 가상의 거점들을 미리 설정하여 두고, 기초 조건 상에서는 출발지(s)로부터 목적지(t)까지 셔틀(shuttle)의 방식으로서 운행이 이루어지되, 이용자들의 경로 상의 억세스 포인트를 거점으로 하는 정차의 요청이 있는 경우 이에 대한 정차를 수행할 수 있도록 경로를 변경하는 경우도 고려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기초경로 상에서 거점의 추가 역시 경로의 변경의 개념에 포함될 수 있는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때에는 경로 변경의 요청이 없는 경우 기초경로에 따라 셔틀방식으로 대상차량이 운행하도록 하며, 기초 경로상의 가상의 억세스 포인트을 거점으로 한 경로 변경의 요청이 있는 경우 인접성 판단하지 않고 요청된 거점을 경유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셔틀이란 두 지역 사이에 다른 거점을 경유하지 않고 운행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구간 운송차량의 경로 가변시스템에 의하여 운송차량이 운영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최초 이용자 또는 이용자들의 집합에 의하여 초기 운행의 요청인 기초요청(S100)이 이루어지면, 차량 관리부(1110)는 공급자서버(4000)로부터 할당이 가능한 차량들을 확인하여 대상차량을 할당(S110)한다.
이에 할당된 대상차량의 임대요금에 대한 최초 이용자들의 선순위 결제(S120)가 선행되어 임대의 절차가 개시될 수 있는데, 이러한 선순위 결제(S120)의 분할요금은 임대요금 전체이거나 표준요금일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최초 이용자 또는 이용자 집합의 요청 또는 기초경로 설정부(1201)에 의하여 과거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출발지(s)와 목적지(t)가 결정되어 기초경로가 설정되고 기초경로에 대한 운행(S130)이 개시된다.
이때에는 대상차량에 공석을 보유한 상태로 최초 계약자들을 태운 상태에서 운행이 개시되는데, 이러한 최초 계약자들은 기초경로를 공유하지만, 동시에 탑승하는 경우가 아닐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탑승지 또는 하차지별로 동일한 경로에 대한 복수의 거점들을 기초경로가 포함할 수 있다.
후순위 이용자들의 탑승 또는 계약에 대한 요청(S210)이 있는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요청거점과 선순위의 경로에 대한 거리를 주요한 인자로 하는 인접도에 따라 인접성 판단부(1203)에서 변경의 여부에 대한 판단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인접도 판단(S220) 단계에서 인접성 판단부(1203)에 기설정된 설정값과 거점에 대한 인접도 값을 비교하고 설정값보다 큰 경우 계약이 승인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인접성 판단부(1203)에 의한 인접도 값이 설정값보다 작은 경우 요청의 거절(S221)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의 인접도 판단(S220)과정이 서로 다른 시간 또는 구간을 가지는 대상차량들에 대하여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고, 요청의 거절은 후순위 요청을 제공한 이용자단말(2100)에 해당 대상차량이 표시되지 않도록 하는 필터링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경로변경의 여부에 대한 판단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후순위 이용자에 의하여 추가되는 거점이 이미 선순위 이용자(들)에 의하여 설정된 거점과 동일한 경우에는 경로의 변경이 불필요하다.
여기서, 경로의 변경은 동일한 구간에서의 거점의 추가 또는 경로를 벗어나는 거점에 대한 경유의 경우를 포함할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이렇게, 인접성 판단부(1203)에서 후순위 이용자에 대한 승인이 이루어지는 경우 후순위의 결제(S310)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후순위의 후순위분할요금에 대한 의 결제는 후순위 요청(S210)의 계속적인 추가 및 이에 대한 승인에 따라 지속적으로 추가될 수 있다.
상기 결제(S120, S310)들은 통신서버를 이용한 통화요금에 합산되는 모바일 소액결제, 신용카드 결제, 계좌이체, 가상화폐 결제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후순위 결제가 이루어지고 변경 경로 설정부(1202)에서 경로의 변경(S320)이 이루어진 이후에 새롭게 요청된 추가 거점에 대한 경유(S330)가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된 결제의 순위를 보면 경로의 운행 또는 경로의 결정 전에 이루어지는 경우가 도시되었다.
경우에 따라 상기와 같은 결제는 소정의 목적지 또는 거점에 도달한 이후에 결제되는 방식이 고려될 수도 있는데, 부득이하게 선순위 이용자의 요청에 따라 기초경로가 결정되고 대상차량이 할당되었으나 탑승하지 않은 경우 또는 후순위의 요청에 따라 경로가 변경되었으나 후순위 이용자가 탑승하지 않은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대상차량은 운행을 제공하였으나 운송은 받지 못한 상태로서 공급자 또는 시스템 관리자 측에 손실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선순위 결제(S120)는 기초경로의 결정 또는 운행(S130)의 전에 이루어지고, 후순위 결제는 경로의 변경(S320)의 이전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결제액은 소정의 위약금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렇게 변경된 경로에 따라 추가 거점을 경유(S330)하고 운행이 계속되는 과정에서는 대상차량의 현재위치로부터 목적지(t) 사이에는 추가적인 후순위의 요청(S210)을 지속적으로 받아 상기의 과정을 궤환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후순위의 요청이 없거나 실질적으로 후순위의 요청을 받을 수 없는 상태인 경우 목적지 도착여부에 대한 판단(S240)을 수행하며, 차량 관리부(1110)에서 목적지에 도착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결제금 정산 및 배당(S300) 단계로서 하나의 대상차량에 대한 이용자의 서비스제공이 완료될 수 있다. 여기서, 정산을 위한 목적지는 상기된 최종 목적지(t) 만이 아니라, 중간에 경유하는 개별이용자들의 목적지인 목적거점을 의미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이용자가 조합을 구성하기 위하여 전체 임대요금에 대한 소정 지분에 결제를 먼저 수행하여 차량의 임대 또는 운송서비스의 제공을 받을 수 있는 것인바, 이용자의 수에 따라 적절한 임대요금의 징수가 가능하고 또 각 결제금의 합이 이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잔여액을 배당금으로서 다시 환급해줌으로써 조합의 기능을 완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결제금 정산 및 배당(S300)은 결제 및 정산부(1130)를 통하여 이용자가 미리 설정한 환급계좌나 가상계좌 등의 가치 충전수단으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배당액을 차감한 결제금의 합은 임대요금으로서 공급자로서 제공될 수 있는데 구간 운송차량의 경로 가변시스템의 계약 및 운영을 위한 서비스 제공자의 수수료가 추가적으로 공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구간 운송차량의 경로 가변시스템에 의하여 종래의 렌탈서비스의 편리성과, 구간 운송서비스의 낮은 비용부담과, 자율 운송서비스의 유연한 대응의 장점을 모두 결합한 운송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동시적 또는 시간차이를 둔 다수가 모바일단말을 통하여 즉시적으로 차량들의 운행정보를 확인하고 소정의 거점에 대한 경로의 변경의 요청을 할 수 있고 이에 즉시적으로 인접성을 판단하여 가능한 리스트가 제공되어 대상차량의 선택이 가능하므로 이용자의 편리성은 극대화된다.
또한, 종래의 수동적이고 임의적인 차량 렌탈의 서비스에서 벗어나 그 활용영역이 확대되므로 공급자측의 차량에 대한 회전율이 향상되어 수익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구간 운송차량의 경로 가변시스템은 반드시 렌탈 차량의 운영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택시, 버스나 대리운전과 같은 여객 또는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운송서비스 방식에 적용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100...서버부 1110...차량 관리부
1120...이용자 관리부 1130...결제 및 정산부
1200...경로 설정부 1201...기초경로 설정부
1202...변경 경로 설정부 1203...인접성 판단부
1204...우선순위 판단부 1210...요금 산출부
1211...호출부 1220...운행데이터베이스
1221...표준요금 산출부 1222...변경요금 산출부
1300...통신부 2000...중계망
2100...이용자단말 2110...대상차량
3000...결제서버 4000...공급자서버

Claims (6)

  1. 통신부 및 중계망을 통하여 이용자단말과 운송차량의 경로에 대한 정보를 교환하는 서버부로 구성되는 경로 가변 시스템으로서,
    하나 이상의 대상차량에 대한 할당과 대상차량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차량관리부;
    하나 이상의 이용자단말로부터의 거점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고 각각의 이용자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이용자 관리부; 및
    기초경로를 설정하고 복수의 이용자의 요청을 판단하여 거점을 추가하여 선순위의 경로를 변경하는 경로 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로 설정부는,
    출발지로부터 목적지에 이르는 경로에 대한 기초경로를 설정하는 기초경로 설정부와, 요청거점의 선순위 경로에 대한 인접성을 판단하는 인접성 판단부와, 인접성이 인정된 경우 선순위의 경로에 대해 요청거점을 경유하도록 경로를 변경하는 변경 경로 설정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변경 경로 설정부는,
    기초경로 및 선순위의 변경경로를 포함하는 선순위의 경로에 대하여 후순위 이용자의 요청에 따른 시간에서의 출발거점 또는 탑승거점이 인접되는지를 설정값과 비교하여 판단한 이후에 선순위 경로의 변경 여부를 판단하는 구간 운송차량의 경로 가변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설정부는,
    경로 변경의 요청이 없는 경우 기초경로에 따라 셔틀방식으로 대상차량이 운행하도록 하며, 기초 경로상의 가상의 억세스 포인트를 거점으로 한 경로 변경의 요청이 있는 경우 인접성을 판단하지 않고 요청된 거점을 경유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간 운송차량의 경로 가변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성 판단부는,
    요청출발거점과 요청목적거점을 경유하기 위하여 추가되는 거리를 기준으로 인접성을 판단하되, 요청목적거점이 목적지를 경유한 이후에 요청목적거점이 있는 요청경로에 대해서는 요청목적거점에 도달된 이후 목적지에 반송되는 거리를 추가하여 인접성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간 운송차량의 경로 가변시스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설정부는,
    이용자 단말에 의하여 입력되는 우선순위를 판단하는 우선순위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간 운송차량의 경로 가변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각 이용자에 대한 분할요금을 산정하고 분배하는 요금 산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분할요금은, 출발지로부터 목적지에 이르는 기초경로에 대한 요청출발거점으로부터 요청목적거점에 대한 요청경로의 비로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간 운송차량의 경로 가변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각 이용자에 대한 분할요금을 산정하고 분배하는 요금 산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요금 산출부는, 운행 데이터베이스에서 대상차량의 과거의 지정기간 동안의 총 주행거리에 대한 이력을 호출하고 이에 요청경로를 합한 값에 대한 요청경로의 비로서 분할요금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간 운송차량의 경로 가변시스템.
KR1020150050057A 2015-04-09 2015-04-09 구간 운송차량의 경로 가변시스템 KR101740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057A KR101740029B1 (ko) 2015-04-09 2015-04-09 구간 운송차량의 경로 가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057A KR101740029B1 (ko) 2015-04-09 2015-04-09 구간 운송차량의 경로 가변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0900A KR20160120900A (ko) 2016-10-19
KR101740029B1 true KR101740029B1 (ko) 2017-06-08

Family

ID=57250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0057A KR101740029B1 (ko) 2015-04-09 2015-04-09 구간 운송차량의 경로 가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00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97273B (zh) * 2016-09-29 2019-11-26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班车路线的处理方法及装置
KR102461947B1 (ko) * 2016-12-14 2022-11-01 김미숙 경로 기반 배송 중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471984B1 (ko) * 2020-06-18 2022-11-29 코코넛사일로(주) 하역장 상태에 기초하여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323831B1 (ko) * 2020-12-29 2021-11-08 김우영 전세버스 모객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9495A (ja) * 2000-02-16 2001-08-24 Toshiba Corp 運送方法およびシステム、受付処理システムならびにコンピュータが読取り可能な記憶媒体
JP2002042299A (ja) * 2000-07-27 2002-02-08 Toshiba Corp ショートカット・デマンドバスの運行方法、その運行システム、及びこれに用いる情報提示システム
JP2004227262A (ja) * 2003-01-22 2004-08-12 Nippon Telegraph & Telephone East Corp 即応型車両乗降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9495A (ja) * 2000-02-16 2001-08-24 Toshiba Corp 運送方法およびシステム、受付処理システムならびにコンピュータが読取り可能な記憶媒体
JP2002042299A (ja) * 2000-07-27 2002-02-08 Toshiba Corp ショートカット・デマンドバスの運行方法、その運行システム、及びこれに用いる情報提示システム
JP2004227262A (ja) * 2003-01-22 2004-08-12 Nippon Telegraph & Telephone East Corp 即応型車両乗降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0900A (ko) 2016-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19380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a transport service for drivers and users of a geographic region
US1138635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 vehicle sharing facility
KR101462034B1 (ko) 콜택시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콜택시 서비스 제공방법
KR101654201B1 (ko) 임대요금의 분배 방법 및 시스템
US1139286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 vehicle sharing facility
KR20160120898A (ko) 조합 방식의 운송차량 임대시스템
US20070073552A1 (en) On-demand transportation system
US2010015327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lobal transportation,vetting, and payment
US20150032485A1 (en) Digital method For Providing Transportation Services
CN107111792B (zh) 用于在交通网络中售检票及验票的方法和系统
US20130246301A1 (en) Providing user feedback for transport services through use of mobile devices
US20140139359A1 (en) Parking guidance system and method based on vehicle human occupancy
KR101740029B1 (ko) 구간 운송차량의 경로 가변시스템
KR20160120901A (ko) 가변되는 차량의 경로에 대한 예보 및 선택 시스템
JP2020522064A (ja) シャトルサービスを管理し、シャトルサービスの経路及びサービスを導出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80349809A1 (en) Method for transporting a plurality of objects between object-specific locations
KR101783702B1 (ko) 가변되는 차량의 경로에 대한 예보 및 선택 시스템
KR20170023058A (ko) 조합 방식의 운송차량 임대시스템
KR20180029990A (ko) 조합 방식의 운송차량 임대시스템
KR20200001124A (ko) 택시 합승 요금산정 방법 및 택시 합승 시스템
WO2020230149A1 (en) A method and system for real time multimodal multi-route transportation and travel options
KR20160136879A (ko) 발렛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 및 서버와, 이를 이용한 발렛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00017332A (ko) 택시를 이용하여 대리기사의 픽업이 가능한 택시-대리기사 매칭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2447863B1 (ko) 바우처 택시의 운행 요금을 자동으로 정산하는 방법
SG191453A1 (en) System and method for flexible and efficient public transpor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