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0786A - 서비스 중개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서비스 중개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0786A
KR20110060786A KR1020100081149A KR20100081149A KR20110060786A KR 20110060786 A KR20110060786 A KR 20110060786A KR 1020100081149 A KR1020100081149 A KR 1020100081149A KR 20100081149 A KR20100081149 A KR 20100081149A KR 20110060786 A KR20110060786 A KR 201100607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user
predetermined
inform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1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용
박혜원
Original Assignee
김기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용 filed Critical 김기용
Publication of KR20110060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07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ometr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Navig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 서비스를 원하는 이용자들과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제공자들을 쌍방의 위치를 중심으로 빠른 시간내에 최적으로 매칭되도록 중개하여 주는 서비스 중개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중개 방법은, a) 서비스 요청 단말로부터 고유 ID 및 서비스 요청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서비스 속성 정보 및 사용자 특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서비스 제공 단말로부터 고유 ID 및 서비스 제공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서비스 속성 정보 및 사용자 특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수신한 서비스 요청 및 제공 위치로부터의 거리나 예상 도달 소요 시간에 따라 전체 권역을 하나 이상의 권역으로 설정하고, 서비스 요청/제공 위치가 소재하는 권역 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 상대방의 서비스 속성 정보 및 사용자 특성 정보를, 상기 서비스 요청 또는 제공 단말에게 소정의 표시 특징과 갱신 주기 및 검색 기능을 갖는 소정의 전자맵으로 제공하는 단계, d) 서비스 요청 단말 또는 제공 단말로부터, 상기 전자맵 상의 특정 서비스 상대방에 대응하는 소정 부위를 터치/클릭한 신호 또는 특정 서비스 상대방에 대응하는 소정의 기호/도형/텍스트/소리/음성/광/풍압/가속/기울임/동작 입력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e) 상기 수신한 전자맵 상의 소정 부위 또는 소정의 기호/도형/텍스트/소리/음성/광/풍압/가속/기울임/동작에 대응하는 특정 서비스 상대방과 상기 서비스 요청 단말 또는 제공 단말을 매칭시키는 단계, f) 상기 매칭시킨 상호 단말에게, 매칭 성사 여부 및 상대방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매칭 결과와, 서비스 요청/제공 위치로의 접근 경로를 생성하여 소정의 전자맵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서비스 중개, 모바일 마켓 플레이스, 서비스 위치, 매칭 필터링

Description

서비스 중개 방법 및 그 시스템{A METHOD FOR INTERMEDIATING SERVICE AND A SYSTEM THEREOF }
본 발명은 특정 서비스를 원하는 이용자들과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들의 요청 내역을 접수받아 쌍방간의 위치를 토대로 가장 빠른 시간내에 상호간 최적의 니즈가 매칭될 수 있도록 서비스의 중개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각종 물품의 판매를 중개하는 온라인 마켓 플레이스가 활성화되었다. 대부분의 마켓 플레이스는 판매자와 구매자 사이의 물품 판매를 촉진하고 더 많은 거래가 성사되도록 일정한 기한을 두고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온라인 마켓 플레이스를 통하여 소비자들은 더욱 다양하고 저렴한 물품을 구매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GPS(Global Positioning Service)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LBS,Location based Service)의 등장은 새로운 서비스의 영역을 제공하고 있다. 위치 기반으로 제공되는 서비스로는 주로 차량 운행경로 안내, 휘발유 가격 비교, 친구찾기 등 네비게이션과 지인의 위치 추적 등에 주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유무선 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전자맵을 통하여 사용자가 위치한 지역의 구체적인 위치를 확인하고, 특정 희망 위치를 맵상에 표시하고, 쌍방향 통신을 지원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이 가능하게 되었다. 특히 GPS 와 결합될 경우 전자맵은 더욱 쉽게 이를 지원해 주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 등 이동 통신기기에 탑재되는 화면 터치용 LCD, LED 및 자이로스코프, 가속센서, 중력센서, 소리/음성 인식장치, 홀로그램 발생기, 광센서 등은 보다 손쉬운 입출력을 지원해 주고 있다.
본 발명은 사람의 이동이나 화물의 운반, 물품의 배송, 차량 견인, 음식 배달, 물품 수거, 긴급 AS 등 빠른 시간내에 특정 서비스가 이루어지길 원하는 이용 희망자들로부터 요청 내역을 접수받아, 서비스 제공 희망자들이 최대한 빠른 시간내에, 시간적, 공간적 낭비와 지체함 없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서비스의 요청 니즈와 제공 니즈를 매칭시켜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일정한 기한을 설정하고 거래를 하는 일반적 상거래 마켓 플레이스가 아닌, 신속하게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급성 기반의 서비스 마켓플레이스를, 사용자 니즈에 부합되도록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비스 이용자들에게 서비스 제공자들의 구체적인 특성 정보, 예를들어 서비스 평가 등급, 목적지, 기사 특성, 요금 수준, 보유 장비의 종류 등 상호 특성에 관한 정보도 제공하고, 쌍방향 통신 수단을 활용한 선택의 유연성도 제공함으로써 보다 나은 서비스를 영위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중개 방법은, a) 서비스 요청 단말로부터 고유 ID 및 서비스 요청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서비스 속성 정보 및 사용자 특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서비스 제공 단말로부터 고유 ID 및 서비스 제공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서비스 속성 정보 및 사용자 특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수신한 서비스 요청 및 제공 위치로부터의 거리나 예상 도달 소요 시간에 따라 전체 권역을 하나 이상의 권역으로 설정하고, 서비스 요청/제공 위치가 소재하는 권역 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 상대방의 서비스 속성 정보 및 사용자 특성 정보를, 상기 서비스 요청 또는 제공 단말에게 소정의 표시 특징과 갱신 주기 및 검색 기능을 갖는 소정의 전자맵으로 제공하는 단계, d) 서비스 요청 단말 또는 제공 단말로부터, 상기 전자맵 상의 특정 서비스 상대방에 대응하는 소정 부위를 터치/클릭한 신호 또는 특정 서비스 상대방에 대응하는 소정의 기호/도형/텍스트/소리/음성/광/풍압/가속/기울임/동작 입력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e) 상기 수신한 전자맵 상의 소정 부위 또는 소정의 기호/도형/텍스트/소리/음성/광/풍압/가속/기울임/동작에 대응하는 특정 서비스 상대방과 상기 서비스 요청 단말 또는 제공 단말을 매칭시키는 단계, f) 상기 매칭시킨 상호 단말에게, 매칭 성사 여부 및 상대방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매칭 결과와, 서비스 요청/제공 위치로의 접근 경로를 생성하여 소정의 전자맵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으로서 서비스 중개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소정의 서비스 속성 정보 및 사용자 특성 정보, 및 서비스 상대방을 선택한 신호, 및 매칭 결과 및 경로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서비스 요청 및 제공 위치를 포함하는 서비스 속성 정보와 사용자 특성 정보를 표시하고 소정의 표시 특징과 갱신 특징과 검색 기능을 포함하는 전자맵 지원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대방 선택 정보 또는 소정의 매칭 필터링에 기반하여 사용자와 서비스 상대방을 매칭시키는 매칭 제어부, 상기 매칭된 서비스 상대방과 사용자 단말간의 접근 경로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경로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콜센터가 지정 또는 강제하지 않아도 저변화된 유무선 인터넷 환경을 통하여 특정 서비스를 희망하는 이용자와 제공자간에 가장 빠른 시간내에 상호 시간적, 공간적 낭비를 최소화한 최적의 매칭을 중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쌍방향 통신 수단을 활용하여 서비스 이용자 또는 제공자가 상대방의 특성을 참조하여 상호 선택할 수 있어, 중개 서버나 시스템이 단순히 위치 기반으로만 중개하던 방식 및 이용자가 제공자를 선택하는 과거의 제한된 방식에서 진보하여, 이용자에게는 더욱 니즈에 부합하는 제공자의 서비스를 누리게 하고, 제공자에게는 적절한 이용자를 선택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자의 공차 여부와 상관없이 승객이나 화물을 동반하고 있는 경우에도 목적지 정보, 시급성 정도 등을 감안하여 이미 서비스 제공중인 제공자의 추가적 서비스 제공도 가능하므로 운송 효율을 증진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서비스 요청 내역이 자주 발생하였던 지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서비스 이용자 또는 제공자의 대기 시간과 운송 효율을 증진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중개 시스템의 개략적인 동작을 설명하고 있다.
서비스 이용 희망자(110)는 이동이 수반되는 특정 서비스를 이용하기를 희망하는 이용자를 의미하며, 예를들어 긴급 구난, 차량 견인, 긴급 보충 서비스, 응급환자 수송, 대리운전, 택배, 택시, 카풀, 퀵서비스, 각종 AS, 화물/서류 운반, 음식 배달, 세탁물 수거, 재활용품 수거 등의 서비스를 이용하기를 희망하는 이용자이며, 일정한 기한을 두고 여유있게 진행되는 서비스와 달리, 위치 이동과 같이 비교적 시급하고 신속한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상황의 이용자가 주로 포함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희망자(120)는 이동이 수반되는 특정 서비스를 제공 하기를 희망하는 사람 또는 사업체를 의미하며, 예를들어 긴급 구난, 차량 견인, 긴급 보충 서비스, 응급환자 수송, 대리운전, 택배, 택시, 카풀, 퀵서비스, 각종 AS, 화물/서류 운반, 음식 배달, 세탁물 수거, 재활용품 수거 등의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사람 또는 사업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용자(110)와 제공자(120)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중개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서비스 요청 내역과 서비스 제공 희망 내역을 제시 및 선택 또는 수락하게 되는데, 본 시스템 (100)과 이용자(110) 및 제공자(120)가 필요 정보를 교환하는 통신 수단(130)은 유무선 인터넷망, WiBro(Wireless Broadband), 유무선 LAN(Local Area Network), Wi-Fi(Wireless LAN), 무선 데이터통신(Wireless Data Communication), WIPI(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 VAN(Value Added Network), TRS(Trunked Radio System),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Time Division Multiplex), HSPD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F(Radio Frequency), 셀룰러 방식의 이동통신, Zigbee, 블루투스 등 기 알려진 통신 수단을 포함한다.
이용자(110)와 제공자(120)가 본 시스템(100)에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은, 개인용 컴퓨터, 서버 컴퓨터 등의 유선망을 이용하여 본 시스템(100)에 접속할 수 있고, PDA, 휴대폰, 스마트폰, 이동통신 단말, 네비게이션, 차량용 컴퓨터, 차량 탑재 단말, 무선 인터넷 단말 등의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접속할 수도 있다. 특히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본 시스템(100)에 접속할 경우에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원활하게 접속 및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본 시스템(100)에 접속하는 이용자 또는 이용자 단말 및, 제공자 또는 제공자 단말을, 이용자(110) 및 제공자(120)라고 칭하기로 하며, 상기 이용자(110) 및 제공자(120)를 통칭하여 사용자(110,120)라 칭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 '서비스 상대방'이란, 이용자에게는 제공자를, 제공자에게는 이용자를 의미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110,120)의 위치 정보는 사용자(110,120)가 전송하는 것으로서, 상기 통신 수단을 활용한 유무선 IP(Internet Protocol) 주소 기반 위치, 무선 접속장치 AP(Access Point) 주소 기반 위치, 이동통신 기지국(cell) 기반 위치 등 사용 통신 환경에 기반한 위치, 사용자가 전송하는 GPS(Global Positioning Service) 기반 위치, 또는 사용자(110,120)가 입력하는 위치 정보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GPS 기반의 위치 정보처럼 정확한 위치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예를들어 SMS(단문자메시지)나 트위터 등을 통하여 수신한 사용자의 텍스트형 위치의 경우에는 위치 텍스트에 해당하는 전자맵 상의 임의의 한 지점을 검색하여 WIPI(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 등의 모바일 플랫폼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전자맵으로 제공하여 주고 사용자로부터 정확한 위치를 재수신하거나, 인근의 임의의 한 위치를 지정하여 위치를 선정할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의 종류로서는, 긴급 구난, 차량 견인, 긴급 보충 서비스, 응급환자 수송, 대리운전, 택배, 택시, 카풀, 퀵서비스, 각종 AS, 화물/서류 운반, 음식 배달, 세탁물 수거, 재활용품 수거, 미팅 등 서비스 사용자(110,120)의 이동이 수반되는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요청 및 제공 희망 내역은, 소정의 '서비스 속성 정보'와 '사용자 특성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속성 정보'는 서비스 거래를 위한 필수 내역을 포함하는 정보로서, 예를들면 사용자(110,120)의 서비스 요청/제공 의사 발생 여부, 서비스 희망 위치, 희망 서비스의 종류(택배, 택시 등), 출발지, 경유지, 목적지, 서비스 상대방과의 거리, 서비스 상대방에게까지의 예상 도달 소요 시간, 서비스 수 락 응답 소요 시간, 이용 또는 제공 희망 시각, 이용 또는 제공 희망 인원, 동반정보(화물 소지여부, 화물 크기), 긴급 정도, 대기 시간 경과 정도, 서비스 요금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의 요청 및 제공 희망 위치는 사용자(110,120)의 위치일 수도 있으며, 별도로 희망하는 제 3의 위치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특성 정보'는 사용자(110,120)의 고유 특성에 관한 정보로서, 제공자의 특성 정보의 예를들면 제공자의 경우 제공자 단말 ID, 차량 ID, 서비스 평가 결과 등급, 브랜드, 자격의 종류/등급, 가격 수준, 보유 장비의 종류(차종 등)와 크기, 보유 장비의 성능 및 노후 정도 등급, 제공자의 언어능력, 자격, 경력, 연령, 학력, 남녀 구분, 가격 협의 가능 정도, 서비스 포인트 제공 정도, 사진, 소개 및 안내 멘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용자의 특성 정보의 예를들면 이용자 단말 ID, 서비스 이용 매너, 이용 성향(취미, 특기, 취향), 가격 지불 가능 범위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속성 정보와 사용자 특성 정보는 상호간의 니즈에 더욱 부합하는 서비스 상대방을 중개하기 위해 안출된 요소로서, 사용자의 전자맵에 소정의 표시 방법으로 구별되게 표시가 되며, 후술하는 매칭 필터링의 검색 대상이 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중개 시스템(100)의 구성에 대하여 기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중개 시스템(100)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중개 시스템(100)은 인터페이스부(210), ID 식별부 (220), 전자맵 지원부(230), 매칭 제어부(240), 경로 생성부(250), 및 데이터베이스(2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인터페이스부(210)는 서비스 중개 시스템(100)과 사용자(110,120)간의 요청 내역 또는 제공 희망 내역과 필요 정보(선택, 수락, 서비스 등급, 매칭 결과 등)를 수신 및 전송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기술한 유무선 인터넷(와이브로, 와이파이 등), 무선 데이터통신 등의 통신 환경과 연계하여 구성된다.
ID 식별부(220)는 사용자(110,120)가 본 시스템(100)에 접속할 경우 소정의 ID 확인을 수행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소정의 ID는 회원 가입시 본 시스템(100)이 소정의 규약에 의하여 부여하거나 사용자가 선택하는 ID 등 일 수 있으며, 회원이 아닐 경우 본 시스템(100)에 접속하는 통신 단말의 종류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 번호, 유무선 IP 주소, 해당 단말 고유ID, 주민등록번호, 차량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110,120)가 본 시스템(100)에 회원으로 가입하는 경우, 주 이용 서비스의 종류를 사전에 지정함으로써(예를들어 제공자(120)가 주 이용 서비스를 긴급 견인 서비스로 사전 지정해 놓는 경우), 본 시스템(100)에 접속하는 것 만으로도 해당 서비스(긴급 견인 서비스)의 제공 희망 의사가 있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어 더욱 빠르고 간편하게 본 중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110,120)가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서비스의 이용 또는 제공 의사를 표시한 후 본 시스템(100)과 접속을 끊더라도 후술하는 데이터베이스(270)에 저장되는 사용자 연락처로 서비스 상대방 검색 결과 및 매칭 결과를 알려줄 수 있다. 또한 ID 식별부(220)에서의 ID 확인을 통하여 서비스 거래 상호간의 안심 확보 효과를 제공한 다. 이러한 ID 정보는 후술하는 데이터베이스(270)의 사용자(110,120) 정보 필드(272)에 기록된다.
전자맵 지원부(230)는 사용자(110,120)가 서비스 중개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필요 정보를 요청 및 선택 또는 수락하고 상호간 매칭되는 과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사용자(110,120)의 서비스 희망 위치와 희망 내역을 LBS(Location based service) 기반으로 전자맵 상에 포지셔닝(positioning)하고 이를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전자맵 지원부(230)는 사용자 단말에서 키패드/마우스/스위치/조이스틱 인식, 감전/압전 화면터치 인식, 소리/음성 인식, 눈동자 인식, 감광 인식, 풍압 인식, 자이로스코프 센싱, 가속 센싱, 중력 센싱, 동작 인식 등의 방법으로 입력된 정보들을,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및 플랫(LCD, LED 등)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영상(2-Dimension 및 3-Dimension 포함), TTS(Text to Speech)를 포함하는 음성, 소리, 부분/전체 진동, 특정 전류/주파수 발생 등의 방법으로 표시한다.
상기 전자맵 지원부(230)는, 사용자(110,120)로부터의 요청 및 제공 희망 서비스의 발생 여부, 위치, 종류, 긴급 정도, 시간 경과 정도 등 서비스 거래에 필요한 서비스 속성 정보와 사용자 특성 정보를 소정의 전자맵 상에 표시하며, 본 발명에서는 지도형 전자맵(<도 6a>)과 텍스트형 전자맵(<도 6b>)으로 구분할 수 있다. 텍스트형 전자맵(이하 텍스트맵)이란 지도와 같은 이미지 기반 표현 방법이 아닌 텍스트 또는 텍스트열로써 사용자의 위치를 표시하고 사용자 특성과 서비스 속성 정보를 표시하는 텍스트 기반 맵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전자맵의 개념에 포함된다. 상기 전자맵의 표시 방법에 있어서, 지도형 이미지에 포함된 서비스 속성 정보와 사용자 특성 정보 내역을, 지도형 이미지의 상하좌우 혹은 지도 이미지 상에 텍스트 또는 텍스트 열로 함께 표시하는 것과 같이 이미지와 텍스트 조합 기반의 맵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전자맵 지원부(230)가 전자맵의 형태로 서비스 속성 정보와 사용자 특성을 표시하는 방법은, 사용자(110,120)가 각각의 속성/특성 정보들을 쉽게 서로 구분하고 그 내역을 사용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각각의 내역을 소정의 색상, 도형, 기호, 아이콘, 문자/문자열, 점멸, 반전, 진동, 전기적 자극, 소리(음성 포함), 음영, 홀로그램, 화면 자동 온오프, 화면 전체/부분 갱신, 팝업, 홀로그램, 문자나 기호, 도형(예를들면 동심원) 등의 크기 변화 등의 방법으로 표시한다. 또한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맵에 표시되는 서비스 상대방을 상기의 구분 표시 방법과 결합하여 더욱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상기의 표시 방법 중 화면 갱신에 있어서는, 소정의 일정한 시간마다(예를들어 10초, 30초), 또는 사용자(110,120)가 임의로 요청할 때 마다, 또는 서비스 요청/제공 내역에 추가/변경/삭제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또는 운영자의 필요시 마다 전자맵의 표시 내용을 갱신하여 표시한다.
또한 전자맵 지원부(230)는 매칭의 효율성 제고를 위하여 전체 권역을 하나 이상의 권역으로 분할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기술한 소정의 색상 등 표시 방법으로 각 권역별로 구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자맵 지원부(230)는 사용자의 검색 편의를 위하여 키워드 입력, 클릭, 드래그 앤 드롭, 직선/곡선 드래그, 화면터치 선택, 소리/음성 인식, 눈동자 인식, 동작 인식 등의 방법으로 요구 사항을 입력받아 단계별 축소/확대 보기, 지역별 영역 선택, 풀다운식 메뉴 제공 등 요청 및 제공 서비스의 종류와 상황을 검색하여 제공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상기 전자맵 지원부(230)는 일관된 사용 편의를 제공하기 위하여 초기 화면을 운영자 또는 사용자가 지정하는 소정의 일정한 축척으로 표시하거나, 검색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 상대방과 사용자 자신의 위치가 한 화면내에서 표시될 수 있도록 각 사용자에게 마다 축척을 유연하게 적용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전자맵 지원부(230)는 각 사용자에 대하여 서비스 상대방과의 거리 및 상호간의 도달 소요 예상 시간을 표시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매칭된 두 쌍방간의 접근을 위한 이동 경로를 포함하여 표시할 수 있다. 소정의 일정 거리 이내로 사용자와 서비스 상대방이 접근하였을 경우 전자맵 지원부(230)는 소정의 소리(음성 포함), 자동 화면 팝업, 진동, 전기적 자극, 화면 점멸과 같은 전술한 표시 방법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또한 전자맵 지원부(230)는 각 사용자(110,120)의 조회 요청에 응답하여, 서비스 상대방의 요청 내역이 발생하였던 지점과 발생 빈도를 시간대별, 목적지별, 이동 거리별 등 서비스 속성 정보와 사용자 특성 정보별로 소정의 표시 방법으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매칭 제어부(240)는 사용자(110,120)의 서비스 요청/제공 희망 위치를 기반으로 서비스 이용자와 서비스 제공자를 대응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매칭 제어부 (240)는 효과적인 서비스 중개를 위하여 하나 이상의 권역으로 분할하여 중개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전체 권역을 하나의 권역으로 통합하여 서비스를 중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여러 개의 권역으로 분할하여 중개할 수도 있다. 권역별로 분할할 경우에는 서비스 희망 위치로부터의 거리나 예상 도달 시간을 기준으로 분할하되, 거리는 직선 거리 및, (코너, U턴 등의 실제 도로 사정을 반영한) 루팅(routing) 생성 거리를 포함하며, 거리나 예상 도달 시간에 따라 권역을 1차, 2차, …n차 권역으로 분할하여 최근접 권역권 내에서의 매칭을 1순위로 추진하되, 권역내 제공자(120) 부재시 2차 권역으로 확대하고, 또 부재시 차광역 권역으로 같은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또한, 예를들어 제공자(120)가 이용자(110)를 선택한 경우라 하더라도 제공자(120)의 특성 정보를 참조하여 이용자(110)가 이를 거절하고 다른 차근접 제공 희망자(120)를 선택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권역을 분할함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 지역별(행정구역별, 신도시 등 지역 특성별 묶음 단위 등)로 구분하여 분할할 수도 있다.
또한 매칭 제어부(240)는 소정의 매칭 필터링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정의 매칭 필터링은 전술한 서비스 속성 정보와 사용자 특성 정보에 대하여 사용자(110,120) 또는 운영자가 지정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서비스 상대방을 선별하여 매칭을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경로생성부(250)는 매칭된 두 쌍방간의 접근을 위한 이동 경로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하나 이상의 서비스 상대방의 희망 위치까지의 루팅(routing) 거리 및 각각의 예상 도달 소요시간을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는 반경상으로의 거리는 가까워도 실제 이동 소요 시간이 더 소요되는 상황(U-턴, 반대편 차선, 강 건너 등)을 감안하여, 보다 효율적인 매칭이 중개되도록 한 구성의 하나이다.
데이터베이스(270)는 상기 기술한 사용자(110,120)의 서비스 속성 정보 및 사용자 특성 정보와, 이동통신 단말 ID, 자주 이용하는 요청/제공 서비스의 종류, POI(Point Of Interest), 차량번호, 차량 종류 등의 정보를 저장하며, 필요시 유무선 인터넷 IP/AP 등의 접속 정보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정보들은 회원 뿐 아니라 비회원의 경우에도 서비스 이용/제공 희망/실적 내역이 있는 경우에는 모두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베이스(270)내에 생성한 각 필드에 저장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270)에는 안심 확보를 위하여 사용자(110,120)의 매칭 결과 정보 뿐 아니라 매칭 요청/취소/실패 내역에 관한 정보도 함께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를 이용한 후 사용자(110,120)로부터 서비스 상대방에 대한 평가 결과(서비스 수준, 가격 수준 등)를 추가로 저장할 수 있다.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아니하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중개 시스템(100)은 상술한 데이터베이스(270)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중개 시스템(100)의 데이터베이스 관리 모듈은 오라클(Oracle), 인포믹스(Infomix), 사이베이스(Sybase), DB2와 같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이나, 겜스톤(Gemston), 오리온(Orion), O2 등과 같은 객체 지향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OODBMS)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중개 방법의 구체적인 흐름을 바람직한 일 예를 들어 단계별로 기술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중개 방법은 상술한 서비스 중개 시스템(100)에 의해 수행된다.
우선, 서비스 중개 시스템(100)은 서비스의 이용을 희망하는 이용자(110)로부터 유무선 인터넷망 등 기 알려진 통신망을 통하여 원하는 이용 요청 내역을 수신한다(S310).
또한 서비스 중개 시스템(100)은 서비스의 제공을 희망하는 제공자(120)로부터 유무선 인터넷망 등 기 알려진 통신망을 통하여 원하는 제공 희망 내역을 수신한다 (S320).
상기 이용 요청 내역 및 제공 희망 내역은 서비스 요청 또는 제공 의사, 서비스 희망위치, 상기 기술한 서비스의 종류, 출발지, 경유지, 목적지, 이용 또는 제공 희망 시각, 이용 또는 제공 희망 인원, 화물/인원 동반정보, 긴급 정도, 요청 시간 경과 정도, 예상 도달 소요시간, 상호간의 거리, 서비스 요금 등 서비스 거래를 위한 필수 내역 정보인 '서비스 속성 정보'와, 제공자의 서비스 평가 결과 등급, 브랜드, 자격의 종류/등급, 가격 수준, 보유 물품의 종류, 보유 장비의 성능 및 노후 정도 등급, 언어능력, 학력, 연령, 남녀 구분, 사진, 성향(취미, 특기, 취향), 가격 협의 가능 정도, 서비스 포인트 제공 정도, 자기 소개 멘트 등 사용자의 고유 특성에 관한 정보인 '사용자 특성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다.
이용자(110) 또는 제공자(120)가 본 시스템(100)에 접속할 때 사용자 (110,120)의 단말에 표시하는 화면은, 희망 거래 서비스의 종류를 먼저 선택하게 한 후 서비스 이용자인지 혹은 제공자인지의 여부를 선택하게 할 수도 있고, 서비스 이용자 또는 제공자 여부를 먼저 선택하게 한 후 서비스 희망 종류를 선택하게 할 수도 있다. 만약 본 시스템(100)에 있어서 서비스의 종류가 사전에 구체적으로 한정되어 있는 경우에는(예를들어 긴급 견인 전문 사이트), 본 시스템(100)에의 접속만으로도 해당 서비스(긴급 견인)의 요청 및 제공 희망 의사를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서비스 제공자(120)(예를들어 견인업체)가 본 시스템(100)에서 특정한 서비스의 종류(예를들어 긴급 견인)를 미리 지정한 경우(예를들어 회원 가입시 설정), 본 시스템(100)에의 해당 제공자(120)의 접속만으로도 해당 서비스(긴급 견인)의 제공 희망 의사를 알 수 있게 된다.
본 시스템(100)에 있어서 이용자(110)와 제공자(120)의 접속 순서는 서로 바뀌어도 무방하다.
이용자(110) 및 제공자(120)로부터 서비스 이용 요청 내역 및 제공 희망 내역을 수신한 후 본 시스템(100)은, 사용자(110,120)와 접속을 계속 유지할 수도 있고, 접속을 종료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110,120)로부터 서비스의 취소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한 접속을 종료한 후에라도 서비스 요청 및 제공 내역의 조건을 충족하는 서비스 상대방이 검색될 경우 해당 사용자에게 SMS, 알람, 자동 통보 음성, 전기적 자극, 진동, 화면 팝업, 화면 점멸, 반전, 이메일, 메신저, 특정 주파수 발생 등의 방법으로 서비스 상대방 요청 내역 및 검색 결과 또는 상대방과의 매칭 결과를 안내해 줄 수 있다. 예를들어 사용자(110,120)가 WiFi 등의 통신 접속 가능 지역을 벗어난 경우라도 재접속하였을 경우 상대방의 요청 내역을 알려줄 수도 있다. 만약 접속을 종료할 경우 서비스의 취소 의사로 간주하겠다고 사용자와 사전 약속을 한 경우에는 접속 종료를 서비스 요청/제공 취소 의사 표시로 인지할 수도 있다.
이어서 본 시스템(100)은 수신한 상기 이용자(110)의 요청 서비스 속성 정보와 이용자(110) 특성 정보를, 서비스 제공을 희망하는 제공자(120)에게 전자맵의 형태로 표시해 주며(S330), 표시 방법은 이용자(110)의 요청 서비스 속성 정보(현재 위치 또는 희망 위치, 목적지, 희망 서비스의 종류, 긴급 정도, 동반 인원수 등) 및 이용자 특성 정보(장애인 여부, 남/녀, 언어능력 등)에 따라 각각의 정보 내역을 제공자(120)가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소정의 색상, 도형, 기호, 아이콘, 문자, 문자열, 점멸, 반전, 진동, 전기적 자극, 소리(음성 포함), 음영, 홀로그램, 화면 자동 온오프, 화면 전체/부분 갱신, 팝업, 크기 변화 등의 방법으로 표시한다. 이때 상기 제공자(120)는 본 시스템(100)에 접속을 유지하고 있는 제공자일 수도 있고, 서비스 제공 의사를 표시한 후 접속을 종료했던 제공자일 수도 있다.
또한 본 시스템(100)은 제공자(120)의 서비스 제공 희망 내역을 이용자(110)에게 전자맵의 형태로 표시해 줄 수도 있으며, 이 때에는 제공자(120)의 제공 희망 서비스 속성 정보(현재 위치 또는 희망 위치, 이용자까지의 예상 도달 시간/거리 등)과 제공자 특성 정보(서비스 평가 등급, 브랜드, 자격 등급, 가격 수준, 보유 물품/장비의 성능 및 노후 정도, 언어능력, 남/녀 등)에 따라 각각의 정보 내역을 이용자(110)가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소정의 색상, 도형, 기호, 아이콘, 문자, 문 자열, 점멸, 반전, 진동, 소리(음성 포함), 음영, 홀로그램, 화면 자동 온오프, 화면 전체/부분 갱신, 팝업, 크기변화 등의 방법으로 표시한다.
또한 본 시스템(100)이 제공하는 전자맵은, 서비스 상대방을 검색하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키워드 입력, 클릭, 드래그 앤 드롭, 직선/곡선 드래그, 화면터치 선택, 눈동자 인식(눈동자의 움직임이나 깜빡거림에 대응하여 화면 변환), 자이로스코프 센싱(사용자 단말의 기울임이나 방향 전환에 대응하여 화면 변환), 가속 센싱(사용자 단말의 순간 이동이나 흔듦에 대응하여 화면 변환), 중력 센싱(사용자 단말의 중력 방향 변화에 대응하여 화면 변환), 동작 인식(사용자 단말의 특정 움직임에 대응하여 화면 변환), 풍압 센싱(입 바람의 크기나 횟수에 의하여 불필요한 정보를 배제하거나 화면 변환) 등의 방법으로 사용자로부터 요구 사항을 입력받아, 단계별 축소/확대 보기, 지역별 영역 선택, 풀다운식 메뉴 제공 등 요청 및 제공 서비스의 상황을 검색하여 제공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소정의 일정한 시간마다(예를들어 10초, 30초), 또는 사용자(이용자 또는 제공자)가 임의로 요청할 때 마다, 또는 서비스 요청 내역에 추가/변경/삭제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또는 운영자의 필요시 마다, 해당 서비스에 대한 요청 및 제공 희망 내역을 갱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의 위치를 포함한 희망 서비스 속성 정보의 표시는, 이용자(110)와 제공자(120)가 매칭될 때까지, 또는 이용자(110) 또는 제공자(120) 중 어느 한 편이 이용/제공 의사를 포기할 때 까지 하나 이상의 서비스 상대방의 전자맵 상에 표시를 유지한다. 만약 거래 쌍방간의 안전상의 위험이 있을 경우 거래의 매칭이 성사 되기 전까지는 전자맵 상의 위치를 모자이크 처리하거나, 또는 광역 표시 원형과 같이 범위를 다소 넓게 하여 표시하거나, 또는 문자 등의 방법으로 위치와 내역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의 일 예로서 지도형 이미지로 표현하는 전자맵의 경우를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거래의 안전과 거래 수수료 수취를 도모하는 경우에는, <도 4>를 참조하면, 인증을 위한 사전 ID를 별도로 부여 한 후(S410) 본 시스템(100)에의 접속을 허용(S420)할 수 있으며, 예를들어, 접속한 제공자(120)의 ID를 통하여 제공 가능한 서비스의 종류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거래 쌍방 중 어느 한 편에게만 비 인증 상태의 접속을 허용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회원 가입의 번거로운 절차를 제거함에 따라 보다 많은 접속자를 유발하는 효과가 있다. 비 인증 상태의 접속시에는, 접속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 고유 ID(전화번호, 단말기의 임시 또는 고정 ID 등) 및 접속 위치(AP/IP 주소)로써 각각의 사용자를 구분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본 시스템(100)은 전자맵 상에서 사용자(110,120)가 자신의 위치를 기반으로 서비스 상대방의 서비스 속성 정보와 사용자 특성 정보를 감안하여 상대방을 선택한 정보를 수신하고(S340), 상기 선택된 서비스 상대방과 사용자를 매칭시킨 후(S350), 매칭 결과 및 서비스 상대방 정보를 두 쌍방의 단말에게 표시 또는 전송한다(S360). 그리고 시스템(100)은 서비스 상대방 위치로의 접근 경로를 생성하여 상호의 단말에게 표시 또는 전송한다(S370).
본 시스템(100)은 전체 권역을 하나의 권역으로 통합하여 서비스 내역을 제공할 수 있으며, 보다 효율적으로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여러 개의 권역 으로 분할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전체 권역을 하나의 권역으로만 설정하였을 경우, 시스템(100)은 사용자(110,120)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나 이상의 서비스 상대방을 검색하여 사용자의 전자맵 상에 표시한다. 즉, 하나 이상의 서비스 상대방의 위치를 포함하는 서비스 속성 정보를 전자맵 상에 표시하여 주고, 상술한 검색 기능(단계별 축소/확대 등)을 통하여 상기 검색된 하나 이상의 서비스 상대방의 더욱 상세한 위치와 상대방의 특성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표시하는 축척에 있어서는, 검색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과 사용자가 한 화면에 표시되도록 축척을 유연하게 적용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위치만을 중심으로 소정 축척을 적용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권역으로 나누어 사용자(110,120)로부터 서비스 상대방을 선택한 정보를 수신하여(S340) 매칭시키는 단계(S350)의 일 예는 <도 5a>를 통하여 상세히 기술한다.
전체 권역을 여러 개의 권역으로 분할할 경우에는, 사용자(110,120)의 위치를 중심으로 직선 거리 또는 루팅(routing) 거리 또는 예상 도달 시간에 의하여 두 개 이상의 권역 즉, 1차, 2차, …n차로 권역을 분할하여 구분한다(S520).
<도 6a>는 이용자를 중심으로 제공자의 분포를 도시한 전자맵 도면이고, <도 6c>는 제공자를 중심으로 이용자의 분포를 도시한 전자맵 도면으로서, 자유로운 쌍방향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본 발명의 특성상, 쌍방 중 어느 한 편이 자유롭게 서비스 상대방을 선택할 수 있으며, 상대방은 다시 이의 수락/거절을 자유롭 게 표현할 수 있다. 예를들어 이용자(110)의 위치를 중심으로 권역을 분할하여 설명하면(<도 6a> 참조), 상기 이용자(110)의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 내인 최근접 권역을 편의상 '1차 권역' 으로 칭하며, 시스템(100)은 신속한 서비스의 중개를 위하여 1차 권역 내에서부터 상호 매칭을 중개한다. 즉, 시스템(100)은 상기 이용자(110)의 1차 권역 내에서 제공자(120)가 접속한 경우 이용자(110)의 전자맵 상에 상기 제공자(120)의 위치와 특성 정보를 상기 이용자(110)가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소정의 색상, 도형, 기호, 아이콘, 문자, 점멸, 반전, 진동, 소리(음성 포함), 음영, 홀로그램, 화면 자동 온오프, 화면 갱신, 팝업, 크기 변화 등의 방법으로 표시하며, 상기 이용자(110)가 하나의 제공자(120)를 선택할 수 있게 허용하고, 상대방을 선택한 신호가 상기 이용자(110)로부터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한다(S530). 이 때 1차 권역 내의 제공자(120)들에게도 상기 이용자(110)의 요청 발생 내역을 전자맵상에 표시하여 주고, 해당 영역내의 제공자(120)들도 상기 이용자(110)를 선택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만약 소정의 시간(예를 들어 5초)이 경과할 때까지 상호간으로부터 상대방 선택 신호 수신 부재시에는(S540), 1차를 포함한 차상위(2차) 권역으로 확대하여 차상위(2차) 권역내의 이용자(110) 및 제공자(120)도 서비스 상대방을 상호 선택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110, 120)로 부터 서비스 상대방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하며(S550), 2차 권역에도 부재시 점차 차상위로 권역을 넓혀가며 사용자(110, 120)로부터의 선택 신호를 수신한다. 제공자에게 표시되는 전자맵은, 이용자(110)가 1차 권역의 제공자(120)를 탐색하는 동안 2차 권역에 속한 제공자(120)는 상기 S540 단계의 제한 시간 동안 상기 이용자(110)를 선택할 수 없지만 1차 권 역에 제공자(120)가 부재할 경우를 대비해서 2차 권역의 제공자(120)가 미리 이용자(110)의 위치로 근접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2차 권역 내의 제공자(120)에게도 이용자(110)의 위치를 제공하여 줄 수 있으며, 이 때 2차 권역 내 제공자의 전자맵상에서 선택은 할 수 없지만 구별 편의를 위하여 1차권역내의 상기 이용자(110)를 소정의 색상, 도형, 기호 등의 방법으로 표시할 수 있다.
권역 분할 방법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루팅 생성 거리나 도달 소요시간에 따른 권역 분할방법 외에도, 특정 수의 서비스 상대방이 검색되는 거리에 따라 권역을 분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1∼2개의 서비스 상대방이 검색되는 영역을 1차 권역, 3∼ 5개의 상대방이 검색되는 영역을 2차 권역, 그 이상을 3차 권역 등으로 설정하고, 최근접 권역내에서부터 매칭을 지원할 수 있다.
제공자(120)가 이용자(110)를 선택하게 하는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맵에 있어서, 이미지 맵일 경우 이용자(110)가 위치한 특정 부위, 즉 이용자(120)의 서비스 속성 정보 또는 이용자 특성 정보를 표시한 부위를 클릭/터치하거나, 시스템(100)이 추천한 이용자(110)에 대응하는 대화 상자를 클릭/터치하거나, 시스템(100)이 이용자(110)에게 부여하는 임시 또는 고유 숫자나 문자 및 기호를 입력/선택하게 하거나, 화면 터치를 인식하는 단말의 경우 특정 제스쳐(직선/곡선 드래그)를 통하여 선택하게 할 수 있으며, 텍스트 맵일 경우 이용자(110)의 속성과 특성을 표시하는 문자/문자열을 클릭/터치하거나, 시스템(100)이 추천한 이용자(110)의 속성과 특성에 대응하는 대화 상자를 클릭/터치하거나, 시스템(100)이 이용자 별로 부여하는 고유 숫자나 문자 및 기호나 특정 제스쳐(직선/곡선 드래그)를 입력하여 선택하게 하거나, 풀다운 메뉴 등을 통하여 선택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전자맵상의 클릭/터치에 있어서는 타 상대방과의 이격 거리 등에 따라 클릭/터치의 화면상 허용 범위를 유연하게 조절하여 제공할 수 있다.
제공자(120)가 이용자(110)를 선택하게 하는 방법은 상기한 화면 터치나 키워드 입력, 클릭, 드래그 앤 드롭, 직선/곡선 드래그 입력 방법 외에도, 소리/음성 인식, 눈동자 인식, 감광 인식, 풍압 인식, 자이로스코프 센싱, 가속 센싱, 중력 센싱, 동작 인식, 레이저 인식 등 기 알려진 방법을 통하여 선택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눈동자 인식은 눈동자의 시선 위치와 깜빡거림을 이용하여 약정된 신호를 발생시키는 방법이며, 감광 인식은 광 센서를 (손을 포함한 차단막으로) 한 번 혹은 몇 번 은폐하거나 개방함으로써 약정된 신호를 발생시키고, 가속 센싱은 사용자 단말의 이동이나 진동에 따라 약정을 인식하는 방법이며, 자이로스코프 센싱은 사용자 단말의 기울임 상태를 인식하는 방법이고, 중력 센싱은 사용자 단말의 중력 방향 기울임이나 이동을 인식하는 방법이고, 동작 인식은 자이로스코프와 가속 센싱 및 중력 센싱을 조합하여 사용자 단말로 원을 그리거나 흔들거나 손목을 끄덕거리는 동작 등을 인식하는 방법이며, 레이저 인식은 기기에서 발생되는 레이저빔을 차단막으로 사전 약정된 횟수만큼 가리거나 개방함으로써 약정을 인식하는 방법이다. 상기 예는 센서의 다양한 사용 일 예로서, 기기에 탑재되는 센서 종류에 맞추어 사전 약정된 신호를 인식 또는 수신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 의사를 수신하게 된다.
제공자(120)가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이용자(110)를 선택한 신호를 전송해온 경우, 시스템(100)은 전자맵 상에서 터치/클릭된 특정 부위, 또는 선택된 숫자/문자나 기호, 소리/음성, 감광 변화, 특정 동작 등의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서비스 상대방을 추출한다. 그리고 시스템(100)은 가장 먼저 해당 이용자(110)를 선택한 신호를 전송해 온 제공자(120)를 선정하여 해당 이용자(110)와 매칭시키거나, 소정의 시간(예를들어 5초) 이내에 해당 권역내에서 상기 이용자(110)를 선택한 신호를 전송해온 제공자(120) 중 이용자(110)에게 가장 가까운 제공자(120) 또는 그 중 이용자(110)가 선택한 제공자(120)를 선정하여 매칭시킨다(S560). (상기의 매칭을 진행함에 있어서 매칭 상대방을 최종 결정하는 기준은 후술하는 소정의 매칭 필터링 기준을 준용한다.)
그런데 제공자(120)에 따라서는 브랜드나 서비스 등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시스템(100)은 이용자(110)에게 해당 제공자(120)의 기본적인 서비스 속성 정보(현재 위치, 도달 소요 시간, 목적지 등) 외에 사용자 특성 정보(브랜드, 서비스 평가 결과, 남녀 구분, 가격 정도 등)를 이용자(110)에게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S562).
서비스 속성 정보와 사용자 특성 정보는 상기와 같이 추가로 제공할 수도 있지만 이는 본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이며, 이용자가 최초 접속하는 시점에 이용자의 전자맵 상에 도형, 색상, 아이콘 등 소정의 표시 방법으로 일괄 표시함으로써 이용자의 선택 편의를 제고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후술하는 소정의 매칭 필터링을 사용자가 최초로 접속하는 시점에 적응하면, 상기와 같이 추가로 서비스 속성 정보와 사용자 특성 정보를 제공할 필요없이 곧바로 매칭 필터링을 만족 하는 상대방을 검색하여 제공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이용자(110)가 상기 제공자(120)를 이용하겠다고 수락하면(S564), 두 쌍방을 최종적으로 매칭시킨다(S570).
만약 상기 이용자(110)가 상기 제공자(120)의 이용을 수락하지 않으면(S564), 새로운 제공자(120)를 탐색하며, 기 수신한 제공 희망자(120) 중 차근접 거리 위치자 혹은 차순위 신호 전송자의 특성 정보를 이용자(110)에게 제공한다. 단계 S562∼S564의 구성은 제공자(120)의 서비스 품질을 더욱 향상하게 하고, 이용자(110)는 더욱 우수한 품질의 서비스를 영위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자유로운 쌍방향 유무선 통신망을 기반으로 하는 본 발명의 특징상 목적지 등 서비스 속성 정보의 표시가 가능하므로, 반드시 공차 상태가 아닌 상황에서도 목적지가 동일하다면 추가적인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할 수 있으므로 더욱 효율적인 이동과 수송을 도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이미 서비스 중인 제공자(120)일지라도 새로운 이용자(110)의 서비스 속성 정보(요청 위치와 목적지 등)에 포함된 목적지가 동일하다면 상기 제공자(120)도 상기 새로운 이용자(110)를 선택할 수 있도록 허용하여 추가적인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의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 예에서는, 제공자(120)의 속성 정보를 1차 매칭된 후에 이용자(110)에게 추가로 제공 또는 표시하는 것으로 기술하였으나, 다른 실시 예로써는, 이용자(110)의 최초 접속 시점에 소정 권역 이내에서 하나 이상의 제공자(120)의 서비스 속성 정보와 특성 정보를 이용자(110)의 전자맵에 소정의 색상, 도형, 기호, 아이콘, 문자, 점멸, 반전, 진동, 소리(음성 포함), 음영, 홀로그 램, 화면 자동 온오프, 화면 전체/부분 갱신, 팝업, 크기 변화, 특정 주파수 발생 등의 방법으로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한꺼번에 표시함으로써 이용자(110)가 곧바로 서비스 요청 위치 근처의 제공자(120)들 중 하나를 선택하게 하여 쌍방을 매칭시킬 수 있다. 또는 역으로 제공자(120)가 이용자(110)의 서비스 속성 정보를 참고하여 이용자(110)를 선택하게 할 수도 있다. 이 때, 선택된 서비스 상대방으로부터 수락 신호를 추가로 수신한 후에 쌍방을 매칭시킬 수도 있다.
이어서 시스템(100)은 최종적으로 매칭시킨 두 쌍방에게 중개 성사 내용과 상호간의 정보를 전송한다(S580). 이용자(110)에게 전송하는 제공자(120) 정보로서는 차량번호, 차종, 연락처(예를 들어 통신 단말 번호, 메신저 ID 등), 예상 도착시간, 이용자(110)를 중심으로 한 제공자(120)의 위치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제공자(120)에게 전송하는 이용자(110) 정보로서는 연락처(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번호), 동반 인원, 화물 여부, 제공자(120)를 중심으로 한 이용자(110)의 위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추가로 본 시스템(100)은 상기 제공자(120)와 이용자(110)간의 이동 경로를 생성하여 제공자(120) 또는 이용자(110)에게 제공하여 주며(S590), 접근을 위한 상호간의 이동에 따른 궤적을 포함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동 경로 생성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상대방의 현재 위치를 중간 경유지로 설정하고, 상대방의 희망 목적지를 최종 목적지로 하여 경로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시스템(100)은 서비스 종료 후, 즉 소정의 시간 경과 후 혹은 사용자(110, 120)로부터 서비스 이용/제공 종료 신호 수신 시점에, 사용자(110,120)로부 터 서비스 상대방에 대한 평가 결과(서비스 수준, 가격 수준, 품질 수준, 신속성 정도, 장비/물품/ 서비스 만족도, 서비스 이용 매너 등)를 추가로 전송받아 데이터베이스(270)의 각 사용자(110,120)별 특성 정보에 기록하며, 추후의 타 사용자가 이를 참조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든 접속 기록, 예를 들어 매칭의 성공 내역 뿐 아니라 매칭 실패 내역, 서비스 이용 및 제공 의사 단순 표명 내역 등의 기록은 모두 시스템(100)에 저장되도록 함으로써 만약의 상황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110,120)들의 상호 안심 증진을 도모할 수 있다.
본 서비스 중개 방법 및 시스템은, 사용자의 요구와 취향에 부합하는 서비스 상대방을 매칭시키기 위하여 소정의 매칭 필터링 기준을 설정하여 적용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즉, 원하는 상대방의 서비스 속성 정보(요청/제공 의사의 발생 여부, 위치/권역, 희망 서비스의 종류, 목적지/경유지, 응답 소요시간, 예상 도달 시간, 상대방과의 거리, 긴급 정도, 대기 시간 경과 정도, 동반 인원수 등) 및 사용자 특성 정보(서비스 평가 결과 등급, 브랜드, 자격의 종류/등급, 가격 수준, 보유 물품의 종류, 보유 장비의 성능 및 노후 정도 등급, 언어능력, 학력, 자격, 경력, 연령, 남녀 구분, 사진, 성향(취미, 특기, 취향), 가격 협의 가능 정도, 인사멘트 등)를 대상으로 소정의 매칭 필터링 기준을 사용자(110,120) 또는 운영자가 미리 설정하고, 상기 매칭 필터링 기준을 만족하는 서비스 상대방을 검색하여 상호 매칭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의 매칭 필터링은 하나 이상의 기준을 결합하여 단번에 복합 필터링 결 과를 보여주는 다중 필터링, 및 1차 필터링을 거친 데이터를 대상으로 추가적인 2차 이상의 필터링을 적용하는 순차적 필터링을 포함한다.
<도 5c>를 참조하면, 시스템(100)은 사용자(110,120)로부터 서비스 속성 정보 및 사용자 특성을 대상으로 하는 매칭 필터링 기준을 수신(S595)하고, 상기 수신한 기준을 충족하는 서비스 상대방을 검색(S596)한 후, 사용자(110,120)에게 검색 결과를 전송한다(S597).
상기 매칭 필터링 기준의 일 예로써는 이용자(110)가 '빈 포장박스를 보유한, 가장 가까이 위치한 여성 택배기사'와 같이 다중 매칭 필터링 기준을 선정하였을 경우, 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제공자(120)의 위치 및 제공자 특성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기준에 부합하는 제공자를 검색하여 해당 이용자(110)에게 추천할 수 있다. 또한 '가장 가까운 택배기사'를 검색한 결과의 리스트를 대상으로 '여성 택배기사' 및 '빈 포장박스를 보유한 기사'와 같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순차적인 추가 필터링의 제공도 가능하다.
매칭 필터링 기준의 또 다른 예는, '가장 빨리 이용자를 선택한 2km 이내의 삼성 브랜드 보유자', '영어 통역이 가능한 서비스 우수 등급의 모범택시', '최우선 응답자', '소정 시간내 응답자 중 최근접 거리의 제공자', '소정 시간내 응답자 중 최우수 서비스 등급 보유자', '특정 학교 출신의 20대 여성', '특정 회사 재직중인 20대 미혼 남성' 등 서비스 속성 정보 및 사용자 특성을 조합한 사용자의 요구 조건에 따라 이동 서비스 뿐 아니라 미팅 등 다양한 방면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중개 서비스의 제공에 있어서, 시급성을 충족시키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 을 강화하기 위하여 사용자(110,120)의 희망 내역 및 필요 정보를 (시스템(100)의 입장에서 볼 때) 소위 푸시(push)방식과 풀(pull) 방식으로 유연하게 선택하여 제공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즉, 지금까지 기술한 방법은 사용자(110,120)가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상대방을 선택하는 방식(소위 pull 방식)을 예를 들어 기술하였으나, 더욱 빠른 서비스 중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push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즉, 서비스 상대방 속성에 대한 소정의 매칭 필터링 기준을 사용자(110,120) 또는 운영자가 미리 설정하고, 상기 매칭 필터링 기준을 만족하는 이용자(110) 또는 제공자(120)를 검색하여 상호 매칭을 지원하되, 시스템(100)은 상기 매칭 필터링의 조건을 충족하는 서비스 상대방을 이용자(110) 또는 제공자(120)에게 추천하거나, 이용자(110) 또는 제공자(120)에게 서비스 요청 위치로의 이동을 추천하거나 지시할 수 있다.
예를들어 매칭 필터링의 일 예로써 단순하게 '최근접 거리'를 적용하였을 경우, <도 5b> 및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선 또는 루팅 생성 거리에 의한 가장 근접한 거리에 있는 제공자(120)를 검색(S593)하여 해당 이용자(110)에게 SMS, 메일, 메신저, 알람, 진동, 전기적 자극, 소리(음성 포함), 화면 팝업, 점멸, 반전, 크기 변화, 특정 주파수 발생 등의 표시 방법으로 추천(S594)하거나, 검색된 상대방 제공자(120)의 단말에게 상기 표시 방법으로 서비스 요청 내역을 알려 주고 서비스의 제공을 직접 지시(S596)할 수 있다. 이용자(110)에게 추천한 상기 제공자(120)를 이용자(110)가 제공자(120) 특성 정보를 참조하여 거부할 경우에는, 차근 접 거리의 제공자(120)를 검색하여 해당 이용자(110)에게 재추천한다. 검색된 제공자(120)에게 직접 이동 지시를 할 경우에도 해당 제공자(120)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이동 지시에 대한 수락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차근접 거리의 제공자(120)에게 이용자(110)의 요청 내역을 상기의 방법으로 표시하여 줄 수 있다.
상기 기술한 push 방식은 미리 상기와 같은 매칭 필터링 조건을 설정함으로써 상호간의 선택 절차를 간소화하고 보다 빠른 중개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의 필터링 조건은 상기의 pull 또는 push 방식에서 모두 활용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시스템(100) 운영자가 설정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110,120)가 지정할 수도 있다. 만약 소정 시간동안 매칭 필터링 기준을 충족하는 상대방이 검색되지 않으면 기준을 다소 완화하여 재검색을 시도할 수 있으며, 매칭 필터링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상대방에게도 사용자의 요구 조건을 상대방 전자맵에 표시하여 주고 상대방이 사용자의 요구 수준에 맞추도록 유도하고 쌍방간의 추가적인 협상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이는 상호간 자유로운 무선 인터넷 환경을 기반으로 하는 본 발명의 특징의 하나이다.
지금까지 기술한 모든 예에 있어 이용자(110)가 시스템(100)에 먼저 접속하는 사례를 예로써 기술하였으나, 이용자(110)와 제공자(120) 중 어느 한 편이라도 먼저 접속하여 서비스 요청 또는 제공 희망 내역을 전송할 수 있으며, 제공자(120)가 이용자(110)를 먼저 선택할 수도 있고, 이용자(110)가 제공자(120)를 먼저 선택할 수도 있으며, 동시에 상호간 선택도 가능하다. 또한 시스템(100) 운영자나 어플리케이션 개발자의 의지에 따라 이용자(110) 또는 제공자(120) 중 어느 한 편 만이 서비스 상대방을 선택하게 할 수도 있고, 시스템(100) 운영자나 개발자 또는 사용자(110,120)가 설정하는 소정의 매칭 필터링을 통하여 서비스 상대방을 선정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110,120)는 매칭이 완성된 이후라 할지라도 서비스 상대방의 특성 정보를 참조하여 서비스의 제공/이용을 그대로 수락하거나 거부할 수도 있다. 또한 다수의 사용자가 하나의 서비스 상대방을 중복 선택할 수도 있으며, 선택된 서비스 상대방이 그 중의 한 사용자를 수락할 수도 있다. 이는 자유로운 쌍방향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환경을 기반으로 구현되는 본 발명의 특장점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용자의 요청 내역이 발생한 빈도를 소정의 전자맵 상에 표시하여 줌으로써 제공자의 이동에 따른 소요 시간을 절약하게 하는 데에도 있다. <도 6e>는 본 발명에 따른 이용자 요청 빈도를 표시한 전자맵의 일 예이며, 과거의 요청 내역을 서비스 속성 정보와 사용자 특성 정보에 따라 차등있게 표시함으로써 제공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제공자에게 이용자의 요청 빈도를 표시해 주는 방법은, 소정의 검색 필터를 제공하여 최근 1개월간, 시간대별, 요일별, 이용 거리별 등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표시 방법은 예를들어 10km 이상을 서비스를 이용했던 이용자의 요청 발생 지점은 원형 점으로, 10km 이내 거리의 서비스를 이용했던 요청자의 요청 발생 지점은 네모로 하며, 아침 시간대의 요청 내역은 붉은 색으로, 오후 시간대의 요청 내역은 초록 색으로 하면, 여러 개의 검색 요청에 대응하여 한 화면에 모두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요청 발생 건수는 상기와 같이 개개의 아이콘으로 표시할 수도 있으며, 10개 미만의 요청 건 수, 10개 이상의 요청 건 수 등으로 그룹화하여 특정 아이콘으로 인식하기 쉽도록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 발생한 서비스 요청/제공 정보들의 발생 결과를 가공하여 부가적인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부가 정보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속성 정보와 사용자 특성 정보 및 매칭 정보 등으로부터 가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20대 남자들이 많이 요청한 지역 정보, 서비스 우수자들이 많이 대기하는 장소 등의 부가 정보를 창출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서비스 중개 방법을 이루기 위한 본 시스템(100)과 사용자 단말간에 이루어지는 정보 전송 절차의 일예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서비스 중개 시스템(100) 내에서의 각 단계에 대한 설명은 앞에서 상세히 기술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중개 방법 및 그 시스템에서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시스템의 내부 블록도이다.
컴퓨터 장치(800)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820)과 롬(ROM: Read Only Memory)(830)을 포함하는 주기억장치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81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810)는 중앙처리장치(CPU)로 불리기도 한다. 본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롬(830)은 데이터(data)와 명령(instruction)을 단방향성으로 CPU에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램(820)은 통상적으로 데이터와 명령을 양방향성으로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램(820) 및 롬(830)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어떠한 적절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Mass Storage)(840)는 양방향성으로 프로세서(810)와 연결되어 추가적인 데이터 저장 능력을 제공하며, 상기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중 어떠한 것일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 (840)는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통상적으로 주기억장치보다 속도가 느린 하드 디스크와 같은 보조기억장치이다. CD 롬(860)과 같은 특정 대용량 기억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810)는 비디오 모니터, 마우스, 키보드/키패드, 마이크로폰, 카드 판독기, 자기 또는 종이 테이프 판독기, 또는 기타 공지된 컴퓨터 입출력장치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850)와 연결된다. 마지막으로, 프로세서(81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70)를 통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하여 상기된 방법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된 장치 및 도구는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중개 방법 및 시스템은,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서버 시스템이 아닌,무선 통신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상에서도 구현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사용자 단말은, PDC(Personal Digital Cellular)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폰, CDMA-2000(1X, 3X)폰, WCDMA(Wideband CDMA)폰, 듀얼 밴드/듀얼 모드(Dual Band/Dual Mode)폰, GSM(Global Standard for Mobile)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스마트(Smart)폰,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핸드 헬드 PC(Hand-Held PC), 노트북 컴퓨터, 랩탑 컴퓨터, 네비게이션, 차량용 컴퓨터, 무선 인터넷 단말, 와이브로(WiBro) 단말기 등을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핸드 헬드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와, 개인용 컴퓨터 등을 포함하며, 유무선 인터넷망, WiBro(Wireless Broadband), WiFi 등 기 알려진 통신 수단을 통하여 최소한의 서비스 속성 정보(위치 정보, 사용자 단말 ID, 서비스의 종류 등)만을 중개 서버로부터 또는 상대방 단말로부터 직접 수신하고, 적절한 서비스 상대방을 검색하기 위한 매칭 필터링 등은 사용자 단말 상에서 구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중개 서버를 경유하지 않더라도, 서비스 상대방의 사용자 단말 ID를 미리 알고 있는 경우이거나, 서비스 상대방의 사용자 단말 ID를 모르는 경우에도 서비스 이용/제공을 위한 별도 커뮤니티 가입자간 P2P(Peer to Peer) 또는 M2M(Machine to Machine, 또는 Mobile to Mobile) 방식으로 적절한 상대방을 직접 검색할 수 있다.
<도 9>는 사용자 단말에서의 중개 방법에 따른 사용자 단말(900)의 구성도를 도시하며, 인터페이스부(910), 위치 정보 생성부(920), 정보 입력부(930), 매칭 제어부(940), 경로 생성부(950), 출력 분배부(96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인터페이스부(910)는 중개 서버와과 사용자간, 또는 다른 사용자와, 서비스 요청 내역 및 제공 희망 내역과 위치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기술한 유무선 인터넷, 와이브로, 무선 데이터통신 등의 통신 환경과 연계하여 구성된다.
정보 입력부(930)는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요청 내역과 희망 내역, 매칭 필터링 조건, 서비스 상대방을 선택/수락한 신호, 어플리케이션의 시작 및 종료 신호 등을 입력받는 수단으로서, 키패드/마우스/스위치/조이스틱을 통한 문자/기호/숫자 /도형 입력, 감전 및 압전 방식의 화면 터치 입력, 광 센서의 감광량 변화를 통한 감광 입력, 미리 약정된 자이로스코프 센싱과 중력 센싱 및 가속도 센싱을 포함하는 동작 인식을 통한 입력, 눈동자 인식을 통한 입력, 소리 및 음성 인식 기술 기반의 소리/음성 입력, 입 바람 등의 풍압에 기반한 풍압 입력 등의 기 알려진 방법으로 입력 받는다.
매칭 제어부(940)는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제공 희망 위치를 기반으로 서비스 이용자와 서비스 제공자를 대응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매칭 제어부(940)는 상대방과의 직선 또는 루팅 생성거리나 예상 도달 소요 시간을 기준으로 하나 이상의 권역으로 분할하여 매칭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매칭 제어부(940)는 소정의 매칭 필터링을 수행한다. 상기 소정의 매칭 필터링은 서비스 속성 정보(요청의 발생 여부, 희망 위치, 희망 서비스의 종류, 예상 도달 소요 시간, 상대방과의 거리 등)와 사용자 특성 정보(서비스 평가 결과 등급, 브랜드, 자격의 종류/등급, 가격 수준, 보유 물품의 종류, 보유 장비의 성능 및 노후 정도 등급, 언어능력, 학력, 연령, 남녀 구분, 취향, 가격 협의 가능 정도 등)에 대하여 사용자가 지정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서비스 상대방을 선별하여 매칭을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경로생성부(250)는 사용자가 상대방을 선택하여 매칭된 경우이거나, 상기 매칭 제어부(940)에 의하여 매칭된 경우에, 두 쌍방간의 접근을 위한 이동 경로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하나 이상의 서비스 상대방의 희망 위치까지의 루팅 거리 및 각각의 예상 도달 소요 시간을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출력 분배부(960)는 사용자에게 필요 정보를 표시하고 알려주는 수단으로서,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및 플랫(LCD, LED 등)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부, 소정의 규칙적/불규칙적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 TTS(Text to Speech) 등을 활용한 음성 및 기타 소리를 발생하는 소리 발생부, 특정 전류/주파수를 발생하는 전자기 생성부 등의 표현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출력 분배부(960)의 영상 표시부는, 사용자가 중개 서버 또는 서비스 상대방과 필요 정보를 요청 및 선택 또는 수락하고 상호간 매칭되는 과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LBS 기반으로 소정의 전자맵 상에 포지셔닝(positioning)하고 이를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소정의 전자맵은 서비스 요청 및 제공 희망 서비스의 발생 여부, 위치, 종류, 긴급 정도, 시간 경과 정도 등 서비스 거래에 필요한 서비스 속성 정보와 사용자 특성 정보를 소정의 전자맵 상에 표시하며, 전술한 바와 같은 지도형 이미지 전자맵과 텍스트형 전자맵을 포함한다.
출력 분배부(960)의 영상 표시부가 전자맵의 형태로 서비스 속성 정보와 사용자 특성을 표시하는 방법은, 각각의 속성/특성 정보들이 쉽게 서로 구분되고 특징이 쉽게 파악되도록 각각의 내역을 소정의 색상, 도형, 기호, 아이콘, 문자, 문자열, 점멸, 반전, 진동, 전기적 자극, 소리(음성 포함), 음영, 홀로그램, 화면 자동 온오프, 화면 전체/부분 갱신, 팝업, 크기 변화 등의 방법으로 표시한다. 상기의 화면 갱신 방법은 소정의 일정한 시간마다, 또는 사용자가 임의로 요청할 때 마다, 또는 서비스 요청/제공 내역에 추가/변경/삭제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또는 사용자의 설정한 주기 마다 전자맵의 표시 내용을 갱신하여 표시한다.
또한 출력 분배부(960)의 영상 표시부는 단계별 축소/확대 보기, 지역별 영역 선택, 풀다운식 메뉴 제공 등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검색 기능을 포함한다.
메모리부(970)는, 사용자와 상대방의 서비스 속성 정보, 사용자 특성 정보, 매칭 필터링기준, 매칭 결과 등의 임시 또는 지속적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하 <도 10a>를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에서의 서비스 중개 방법을 기술한다. 본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방법 또한 사용자 편의를 위하여 소정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여 스마트 폰 등에 탑재할 수 있다. 이하 기술하는 서비스 중개 방법은, 상기 전술한 중개 서버에서의 중개 방법과 유사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며 차이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사용자 단말(900)은, 서비스 이용자인지 제공자인지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S1012), 사용자의 위치 또는 서비스 희망 위치와 요청 내역(서비스 종류 등)을 중개 서버로 전송한다(S1016, S1020).
그리고 중개 서버로부터는 선택한 서비스 종류의 서비스 상대방의 사용자 단말 ID와 위치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상대방 사용자 단말 ID에게 상세한 서비스 속성 정보와 사용자 특성 정보를 요청한다(S1024). 이 때 중개 서버의 용량이 충분하다면 중개 서버로부터 상대방의 서비스 속성/사용자 특성 정보를 직접 수신할 수도 있다(<도 10b>의 S1023).
만약 중개 서버를 경유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 11a>에서와 같이, 특정 커뮤니티에 가입하는 등의 방법으로 별도 공유된 또는 별도 공지된 서비스 상대방의 사용자 단말 ID에게 직접 위치 정보를 요청하고, 수신한 위치 정보를 감안하여 일정 지역내의 하나 이상의 상대방에게 구체적인 서비스 속성 정보와 사용자 특성 정보를 요청한다. (또는 <도 11b>에서와 같이 상대방의 사용자 단말 ID에게 한 번에 위치 정보와, 서비스 속성 정보와 사용자 특성 정보를 요청할 수도 있다.)
서버 또는 상대방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상대방의 위치 정보는 GPS 좌표처럼 정확한 위치정보일 수도 있으며, AP(Access Point)에 부여된 IP 기반의 위치 정보로부터 생성되는 위치 정보일 수도 있다.
계속 이어서 설명하면, 중개 서버 또는 서비스 상대방으로부터 위치 정보와 서비스 속성 정보 및 사용자 특성 정보를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900)은, 수신한 정보를 직접 전자맵의 형태로 표시할 수도 있고(<도 10a>의 S1032), 이 때 전술한 바와 같은 매칭 필터링을 수행하여 적절한 상대방을 추출하여 표시할 수 있다(<도 10a>의 S1027 및 <도 10b>의 S1028). 이 때 매칭 필터링의 기준은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거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개발자가 설정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도 10a>와 <도 10b>의 차이는, <도 10a>은 P2P 또는 M2M 방식으로 서비스 상대방으로부터 필요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이고, <도 10b>는 중개 서버로부터 필요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이다.)
이어서 사용자 단말(900)은, 상기 검색되거나 매칭 필터링을 통하여 추출된 하나 이상의 상대방 중 하나를 선택한 정보를 입력받아 상대방의 사용자 단말 ID에게로 서비스의 요청 또는 제공 희망 의사 표시를 전송한다(S1036). 이 때 선택하는 상대방은 사용자가 상대방 속성 정보와 특성 정보를 고려하여 임의로 선택할 수도 있고, 매칭 기준에 가장 적합하는 상대방을 추출하여 자동 선택하게 할 수도 있다.
이어서 사용자 단말(900)은, 상대방으로부터 서비스 이용/제공에 대한 수락 신호와 추가정보를 수신하거나(S1040), 상대방으로부터 상기 수락 신호를 수신한 중개 서버가 쌍방을 매칭시킨 후 전송(S1038)하는 상대방의 상세 정보를 수신하고(S1040), 상대방과의 접근 경로를 생성하여 표시한다(S1044). 상기 S1038 단계는 중개 서버가 매칭 중개 서비스에 대한 중개 수수료를 수취하기 위하여 구성하는 단계이다.
이후 사용자 단말(900)은, 중개 서버로부터 상대방에 대한 서비스 이용/제공 평가 결과의 입력 요청을 받거나 소정 시간 경과 후 자동으로 평가 결과 입력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중개 서버로 전송한다(S1048). 또는 상기 평가 결과를 중개 서버가 아닌, 상대방의 사용자 단말 ID로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에 저장되게 하고, 향후의 제3의 사용자가 이를 검색하게 할 수도 있다. 이는 중개 서버의 부담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P2P 또는 M2M 방식을 활용하는 본 사용자 단말(900)의 중개 방법 특징의 하나이다.
P2P 또는 M2M 방식으로는, 상기 기술한 사례외에도 본 발명에서 지금까지 설명한 사상을적용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지금까지 기술한 서비스 중개 서버 및 사용자 단말을 통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중개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 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 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비록 몇가지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 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중개 시스템의 개략적인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중개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중개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이용자 및 제공자의 인증을 수행하는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5a는 매칭을 수행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5b는 매칭 필터링을 실행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5c는 매칭 필터링을 실행하는 다른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6a는 이용자 중심의 이미지 기반 지도형 전자맵의 일 실시예
도 6b는 이용자 중심의 텍스트 기반 전자맵의 일 실시예
도 6c는 제공자 중심의 이미지 기반 지도형 전자맵의 일 실시예
도 6d는 제공자 중심의 텍스트 기반 전자맵의 일 실시예
도 6e는 요청 내역 발생 빈도를 이미지 기반 전자맵으로 제공하는 일 실시예
도 7은 서비스 중개 시스템과 사용자 단말간의 서비스 중개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8은 본 서비스 중개 방법을 수행하는 데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장치의 내부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중개 단말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10a는 서비스 중개 단말과 중개 서버 간의 서비스 중개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10b는 서비스 중개 단말과 중개 서버 간의 중개 방법의 일부를 도시한 흐름도
도 11a는 서비스 중개 단말과 중개 서버 간의 중개 방법의 일부를 도시한 흐름도
도 11b는 서비스 중개 단말과 중개 서버 간의 중개 방법의 일부를 도시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서비스 중개 시스템 210:인터페이스부 220:ID 식별부
230:전자맵 지원부 240:매칭 제어부 250:경로 생성부
270 : 데이터베이스
900:서비스 중개 단말 910:인터페이스부 920:위치정보 생성부
930:정보 입력부 940:매칭 제어부 950:경로 생성부
960 :출력 제어부 970:메모리부

Claims (19)

  1. 하나 이상의 서비스 요청 단말과 서비스 제공 단말이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된 서비스 중개 시스템의 서비스 중개 방법에 있어서,
    a) 서비스 요청 단말로부터 고유 ID 및 서비스 요청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서비스 속성 정보 및 사용자 특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서비스 제공 단말로부터 고유 ID 및 서비스 제공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서비스 속성 정보 및 사용자 특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수신한 서비스 요청 및 제공 위치로부터의 거리나 예상 도달 소요 시간에 따라 전체 권역을 하나 이상의 권역으로 설정하고, 서비스 요청/제공 위치가 소재하는 권역 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 상대방의 서비스 속성 정보 및 사용자 특성 정보를, 상기 서비스 요청 또는 제공 단말에게 소정의 표시 특징과 갱신 주기 및 검색 기능을 갖는 소정의 전자맵으로 제공하는 단계,
    d) 서비스 요청 단말 또는 제공 단말로부터, 상기 전자맵 상의 특정 서비스 상대방에 대응하는 소정 부위를 터치/클릭한 신호 또는 특정 서비스 상대방에 대응하는 소정의 기호/도형/텍스트/소리/음성/광/풍압/가속/기울임/동작 입력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e) 상기 수신한 전자맵 상의 소정 부위 또는 소정의 기호/도형/텍스트/소리/음성/광/풍압/가속/기울임/동작에 대응하는 특정 서비스 상대방과 상기 서비스 요청 단말 또는 제공 단말을 매칭시키는 단계,
    f) 상기 매칭시킨 상호 단말에게, 매칭 성사 여부 및 상대방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매칭 결과와, 서비스 요청/제공 위치로의 접근 경로를 생성하여 소정의 전자맵으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중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a), b) 단계는,
    h) 서비스 요청 단말로부터 소정의 서비스 속성 정보와 사용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가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i) 서비스 제공 단말로부터 소정의 서비스 속성 정보와 사용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가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j) 서비스 요청 단말의 접속을 인식하여 해당 단말의 사용자 특성 정보를 사용자 정보 필드로부터 호출하고, 서비스 요청 단말로부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속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k) 서비스 제공 단말의 접속을 인식하여 해당 단말의 사용자 특성 정보를 사용자정보 필드로부터 호출하고, 서비스 제공 단말로부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속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로 대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중개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c), d), e) 단계는,
    m) 소정의 매칭 필터링을 실행하고, 상기 매칭 필터링을 충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상대방 단말을 추출하여 사용자와 상호 매칭시키고, 매칭된 상대방 단말에게 서비스의 이용/제공을 추천 또는 지시하는 단계,
    로 대체되며,
    상기 소정의 매칭 필터링은, 소정의 서비스 속성 정보 및 사용자 특성 정보를 대상으로 사용자 또는 시스템 운영자가 설정하는 하나 이상의 기준을 충족하는 서비스 상대방을 선별하는 제어임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중개 방법.
  4.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된 사용자 단말의 서비스 중개 방법에 있어서,
    p) 중개 서버 또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 상대방 단말에게, 사용자 단말 고유 ID 및 서비스 요청/제공 위치를 포함하는 서비스 요청/제공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q) 중개 서버 또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 상대방 단말로부터 소정의 서비스 속성 정보와 사용자 특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r) 중개 서버 또는 서비스 상대방 단말로부터 수신한 하나 이상의 서비스 상대방의 서비스 속성 정보와 사용자 특성 정보를, 소정의 표시 특징과 갱신 주기 및 검색 기능을 갖는 소정의 전자맵 상에 표시하는 단계,
    s) 상기 전자맵 상의 특정 서비스 상대방에 대응하는 소정 부위를 터치/클릭한 신호 또는 특정 서비스 상대방에 대응하는 소정의 기호/도형/텍스트/소리/음성/광/풍압/가속/기울임/동작 입력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 는 단계,
    t) 상기 입력된 전자맵 상의 소정 부위 또는 소정의 기호/도형/텍스트/소리/음성/광/풍압/가속/기울임/동작에 대응하는 특정 서비스 상대방과 사용자를 매칭시키는 단계,
    u) 상기 매칭시킨 서비스 상대방 단말과 사용자에게, 매칭 성사 여부 및 상대방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매칭 결과와, 서비스 요청/제공 위치로의 접근 경로를 생성하여 소정의 전자맵으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중개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t), u) 단계는,
    w) 상기 입력받은 전자맵 상의 소정 부위 또는 소정의 기호/도형/텍스트/소리/음성/광/풍압/가속/기울임/동작에 대응하는 특정 서비스 상대방을 선택한 신호를 중개 서버에게 전송하는 단계,
    x) 서비스 상대방과의 매칭 성사 여부 및 상대방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매칭 결과를 중개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로 대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중개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y) 서비스 상대방 단말 또는 중개 서버에게 소정의 서비스 속성 정보와 사용 자 특성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중개 방법.
  7.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소정의 전자맵의 표시 특징은, 서비스 상대방의 소정의 서비스 속성 정보와 사용자 특성 정보를, 소정의 색상, 도형, 기호, 문자, 텍스트 또는 텍스트 열, 아이콘, 점멸, 반전, 음영, 홀로그램, 화면 온오프, 화면 갱신, 팝업, 크기 변화, 진동, 소리, 음성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표현하는 것을 포함하며,
    소정의 전자맵의 갱신 특징은, 일정 시간마다, 또는 서비스 요청 단말 및 제공 단말이 요청한 시점마다, 또는 서비스 속성 정보 및 사용자 특성 정보의 신규,삭제,변경이 발생할 때 마다, 또는 운영자 및 사용자가 지정하는 때 마다 서비스 속성 정보 및 사용자 특성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포함하며,
    소정의 전자맵의 검색 기능 특징은, 키워드 입력, 클릭, 드래그 앤 드롭, 직선/곡선 드래그, 화면터치, 메뉴 풀다운, 소리/음성 인식, 가속 센싱, 자이로스코프 센싱, 중력 센싱, 눈동자 인식, 광 인식, 풍압 인식, 동작 인식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입력을 받아, 지역별 영역 선택, 단계별 축소/확대와 같은 이미지 기반, 또는 텍스트 기반, 또는 그 조합 기반의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중개 방법.
  8.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일정 권역내에서 소정의 매칭 필터링을 통과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상대방 단말을 검색하여 소정의 전자맵 상에 표시하여 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소정의 매칭 필터링은, 소정의 서비스 속성 정보 및 사용자 특성 정보를 대상으로 사용자 또는 시스템 운영자가 설정하는 하나 이상의 기준을 충족하는 서비스 상대방을 선별하는 제어임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중개 방법.
  9.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서비스 요청 또는 제공 단말, 및 사용자 단말 또는 서비스 상대방 단말로부터, 상대방에 대한 소정의 평가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중개 방법.
  10.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서비스 상대방 단말로부터 서비스 제공 수락 신호 또는 이용 수락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중개 방법.
  11.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서비스 요청/제공 위치가 소재하는 권역 내에 서비스 상대방이 부재할 경우, 차광역을 포함하여 서비스 상대방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중개 방법.
  12.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소정의 전자맵은, 이미지 기반 맵, 또는 텍스트 기반 맵, 또는 이미지와 텍스트 조합 기반 맵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중개 방법.
  13.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소정의 전자맵은, 운영자 또는 사용자가 지정하는 소정의 일정한 축척으로 표시하거나, 검색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 상대방과 사용자의 위치가 한 화면 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중개 방법.
  14.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소정의 전자맵은, 사용자의 조회 요청에 응답하여, 기 발생한 서비스 속성 정보 또는 사용자 특성 정보, 또는 매칭 결과, 또는 상기의 조합으로부터 부가 정보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중개 방법.
  15. 제 1항 내지 제 4항, 또는 제 6항 내지 제 8항, 또는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정의 서비스 속성 정보는,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제공 의사의 발생 여부, 서비스 희망 위치/권역, 희망 서비스의 종류, 출발지, 경유지, 목적지, 서비스 상대방과의 거리, 서비스 상대방에게의 예상 도달 소요 시간, 서비스 수락 응답 소요 시간, 이용 또는 제공 희망 시각, 이용 또는 제공 희망 인원, 동반정보, 긴급 정도 및 대기 시간 경과, 서비스 요금 등과 같은, 서비스 거래를 위한 필수 내역에 관한 정보이며,
    소정의 사용자 특성 정보는, 사용자 단말 ID, 차량 ID, 서비스 평가 등급, 브랜드, 보유 장비의 종류/크기/성능/노후도, 언어능력, 자격, 경력, 연령, 학력, 남녀 여부, 가격 협의 가능 정도, 서비스 포인트, 사진, 안내 멘트, 취향, 특기, 서비스 이용 매너 및 이용 성향 등과 같은, 사용자의 고유 특성에 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중개 방법.
  16. 제 3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소정의 매칭 필터링은 소정 권역 내 가장 빠른 응답 시간내에 선택 신호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 또는 서비스 요청/제공 위치에서 최근접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 또는 소정 시간 내 선택 신호를 전송한 단말 중 서비스 요청/제공 위치에서 최근접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 또는 소정 시간 내 선택 신호를 전송한 단말 중 최우수 평가 등급을 보유한 사용자 단말, 또는 사용자나 운영자가 설정하는 소정의 기준을 충족하는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별하는 제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중개 방법.
  17. 제 1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8.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이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된 서비스 중개 시스템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소정의 서비스 속성 정보 및 사용자 특성 정보, 및 서비스 상대방을 선택한 신호, 및 매칭 결과 및 경로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서비스 요청 및 제공 위치를 포함하는 서비스 속성 정보와 사용자 특성 정보를 표시하며, 소정의 표시 특징과 갱신 특징과 검색 기능을 포함하는 전자맵 지원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대방 선택 정보 또는 소정의 매칭 필터링에 기반하여 사용자와 서비스 상대방을 매칭시키는 매칭 제어부,
    상기 매칭된 서비스 상대방과 사용자 단말간의 상호 접근 경로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경로 생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전자맵 지원부의 표시 특징은, 서비스 상대방의 서비스 속성 정보와 사용자 특성 정보를, 소정의 색상, 도형, 기호, 문자, 텍스트 또는 텍스트 열, 아이콘, 점멸, 반전, 음영, 홀로그램, 화면 온오프, 화면 갱신, 팝업, 크기 변화, 진동, 소리, 음성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표현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전자맵 지원부의 갱신 특징은, 일정 시간마다, 또는 사용자 단말이 요청한 시점마다, 또는 서비스 속성 정보 및 사용자 특성 정보의 신규,삭제,변경이 발생할 때 마다, 또는 운영자 또는 사용자가 지정하는 때 마다 서비스 속성 정보 및 사용자 특성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전자맵 지원부의 검색 기능 특징은, 키워드 입력, 클릭, 드래그 앤 드롭, 직선/곡선 드래그, 화면터치, 메뉴 풀다운, 소리/음성 인식, 가속 센싱, 자이로스코프 센싱, 중력 센싱, 눈동자 인식, 광 인식, 풍압 인식, 동작 인식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입력을 받아, 지역별 영역 선택, 단계별 축소/확대와 같은 이미지 기반, 또는 텍스트 기반, 또는 이미지와 텍스트 조합 기반의 검색 결과를 제공하며,
    상기 소정의 매칭 필터링은, 사용자 단말이 전송한 서비스 속성 정보 및 사용자 특성 정보를 대상으로 시스템 운영자 또는 사용자가 설정하는 소정의 하나 이상의 기준을 만족하는 서비스 상대방을 선별하는 제어임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중개 시스템.
  19.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중개 서버 또는 서비스 상대방 단말과 연결된 서비스 중개 단말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 고유 ID 및 서비스 희망 위치를 포함하는 서비스 속성 정보 및 사용자 특성 정보, 및 서비스 상대방을 선택/수락한 신호, 및 매칭 결과를 송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위치정보 생성부,
    서비스 희망 위치를 포함하는 서비스 속성 정보 및 사용자 특성 정보, 및 서비스 상대방을 선택/수락한 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키패드/마우스/스 위치/조이스틱 입력부, 감전/압전 터치 입력부, 광 입력부, 풍압 입력부, 눈동자 인식부, 자이로스코프 센싱 및 가속도 센싱 및 중력 센싱을 포함하는 동작 인식부, 소리/음성 인식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정보 입력부,
    서비스 요청 및 제공 위치를 포함하는 서비스 속성 정보와 사용자 특성 정보를 표시하며, 소정의 표시 특징과 갱신 특징과 검색 기능을 포함하는 전자맵 지원부,
    중개 서버로부터 수신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상대방 선택 정보, 또는 소정의 매칭 필터링에 기반하여 사용자와 서비스 상대방을 매칭시키는 매칭 제어부,
    상기 매칭된 서비스 상대방과 사용자간의 상호 접근 경로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경로 생성부,
    사용자에게 필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및 플랫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부, 소정의 규칙적/불규칙적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 음성 및 기타 소리를 발생하는 소리 발생부, 특정 전류/주파수를 발생하는 전자기 생성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출력 분배부,
    사용자와 서비스 상대방의 서비스 속성 정보, 및 사용자 특성 정보, 및 매칭 필터링 기준, 및 매칭 결과와 같은 임시 또는 지속적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출력 분배부의 영상표시부는, 서비스 상대방의 서비스 속성 정보와 사 용자 특성 정보를 소정의 색상, 도형, 기호, 문자, 텍스트 또는 텍스트 열, 아이콘, 점멸, 반전, 음영, 홀로그램, 화면 온오프, 화면 갱신, 팝업, 크기 변화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표현 방법을 포함하며,
    상기 소정의 매칭 필터링은, 중개 서버 또는 서비스 상대방 단말이 전송한 소정의 서비스 속성 정보 및 사용자 특성 정보를 대상으로 하나 이상의 기준을 충족하는 서비스 상대방을 선별하는 제어임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중개 단말.
KR1020100081149A 2009-11-30 2010-08-19 서비스 중개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100607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16728 2009-11-30
KR1020090116728 2009-11-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0786A true KR20110060786A (ko) 2011-06-08

Family

ID=44395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1149A KR20110060786A (ko) 2009-11-30 2010-08-19 서비스 중개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60786A (ko)

Cited B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2820A2 (en) * 2011-08-05 2013-02-14 American Well Corporation Mobile applications to interface to a brokerage system
WO2013034953A1 (en) * 2011-09-06 2013-03-14 Mobile Credit Payment Pte Ltd Locating system and method for taxi drivers and passengers
WO2013133789A1 (en) * 2012-03-05 2013-09-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utomated job assignment to service providers
WO2013154220A1 (ko) * 2012-04-13 2013-10-17 Lee Ju Hyun 피투피 기반의 언어 통번역 서비스 시스템 및 피투피 기반의 언어 통번역 서비스 방법
WO2014052606A1 (en) * 2012-09-27 2014-04-03 Livingsocial, Inc. Client-based deal filtering and display
CN103946881A (zh) * 2011-11-17 2014-07-23 德国邮政股份公司 电子交易方法
KR101449554B1 (ko) * 2013-08-13 2014-10-14 윤성중 택시-콜에 이용되는 사용자단말기
KR101449550B1 (ko) * 2011-12-30 2014-10-16 윤성중 택시-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85449B1 (ko) * 2012-09-04 2015-01-23 이용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사용자 간의 협조에 의한 응급 상황 대응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50042883A (ko) * 2013-10-10 2015-04-22 주식회사 두비컴퓨팅 대리운전 및 운송 서비스 중개를 위한 자동 배차 장치 및 방법
KR101514310B1 (ko) * 2014-10-17 2015-04-28 천영진 위치기반 실시간 동시통역 시스템
KR20150061299A (ko) * 2013-11-27 2015-06-04 고은미 P2p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535012B1 (ko) * 2014-02-25 2015-07-08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와 유동 객체 간의 경로 정보 제공 방법
KR20150125798A (ko) * 2014-04-30 2015-11-10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내비게이션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578054B1 (ko) * 2015-06-02 2015-12-16 에스와이엔터프라이즈 유한책임회사 과외 조건에 기초한 온라인 강사-학생 매칭 지원 장치 및 방법
KR20160123486A (ko) * 2015-04-16 2016-10-26 김현진 차량 매매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685948B1 (ko) * 2015-11-23 2016-12-13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위치 기반 도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709193B1 (ko) * 2015-08-26 2017-02-22 씨제이대한통운 (주) 위치정보를 활용한 물품 배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00491A (ko) * 2016-06-23 2018-01-03 김성주 물품 배송 시스템
KR101867453B1 (ko) * 2017-08-23 2018-06-14 네오시스템즈(주) 강화된 동적 라우팅 기능과 상태 변화 적응성을 구비한 클라우드 허브 중심의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를 통한 화물 운송 정보의 실시간 공유 방법
KR101867456B1 (ko) * 2017-08-23 2018-06-14 네오시스템즈(주) 강화된 상태 변화 적응성 및 안정성을 구비한 클라우드 허브 중심의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를 통한 화물 운송 정보의 실시간 공유 방법
KR101875693B1 (ko) * 2018-03-29 2018-07-06 (주)모두의 서당 맞춤형 강의 정보를 제공하는 오프라인 강의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WO2018212497A1 (ko) * 2017-05-17 2018-11-22 넷마블 주식회사 게임 플레이어 매칭 방법 및 장치
KR20190032130A (ko) * 2017-09-19 2019-03-27 (주)리브릿지 지식재산 거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90032129A (ko) * 2017-09-19 2019-03-27 (주)리브릿지 지식재산 거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90058400A (ko) * 2019-05-10 2019-05-29 남궁진 위치기반 배달 서비스 방법
KR102048950B1 (ko) * 2019-06-24 2019-11-26 이종범 드론 업무 매칭 및 홍보 시스템
KR102202506B1 (ko) * 2020-02-20 2021-01-13 (주)플레이포라이프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
KR102251691B1 (ko) * 2020-07-13 2021-05-12 정대성 위치 및 아바타 정보 기반 전문가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629083B1 (ko) * 2023-05-17 2024-01-24 이용진 보험 상품과 플래너를 매칭하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Cited B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2820A3 (en) * 2011-08-05 2013-04-18 American Well Corporation Mobile applications to interface to a brokerage system
WO2013022820A2 (en) * 2011-08-05 2013-02-14 American Well Corporation Mobile applications to interface to a brokerage system
WO2013034953A1 (en) * 2011-09-06 2013-03-14 Mobile Credit Payment Pte Ltd Locating system and method for taxi drivers and passengers
CN103946881A (zh) * 2011-11-17 2014-07-23 德国邮政股份公司 电子交易方法
KR101449550B1 (ko) * 2011-12-30 2014-10-16 윤성중 택시-콜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3133789A1 (en) * 2012-03-05 2013-09-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utomated job assignment to service providers
WO2013154220A1 (ko) * 2012-04-13 2013-10-17 Lee Ju Hyun 피투피 기반의 언어 통번역 서비스 시스템 및 피투피 기반의 언어 통번역 서비스 방법
KR101485449B1 (ko) * 2012-09-04 2015-01-23 이용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사용자 간의 협조에 의한 응급 상황 대응 서비스 제공 방법
WO2014052606A1 (en) * 2012-09-27 2014-04-03 Livingsocial, Inc. Client-based deal filtering and display
US10762535B2 (en) 2012-09-27 2020-09-01 Livingsocial, Inc. Client-based deal filtering and display
KR101449554B1 (ko) * 2013-08-13 2014-10-14 윤성중 택시-콜에 이용되는 사용자단말기
KR20150042883A (ko) * 2013-10-10 2015-04-22 주식회사 두비컴퓨팅 대리운전 및 운송 서비스 중개를 위한 자동 배차 장치 및 방법
KR20150061299A (ko) * 2013-11-27 2015-06-04 고은미 P2p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535012B1 (ko) * 2014-02-25 2015-07-08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와 유동 객체 간의 경로 정보 제공 방법
KR20150125798A (ko) * 2014-04-30 2015-11-10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내비게이션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514310B1 (ko) * 2014-10-17 2015-04-28 천영진 위치기반 실시간 동시통역 시스템
KR20160123486A (ko) * 2015-04-16 2016-10-26 김현진 차량 매매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578054B1 (ko) * 2015-06-02 2015-12-16 에스와이엔터프라이즈 유한책임회사 과외 조건에 기초한 온라인 강사-학생 매칭 지원 장치 및 방법
KR101709193B1 (ko) * 2015-08-26 2017-02-22 씨제이대한통운 (주) 위치정보를 활용한 물품 배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685948B1 (ko) * 2015-11-23 2016-12-13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위치 기반 도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00491A (ko) * 2016-06-23 2018-01-03 김성주 물품 배송 시스템
WO2018212497A1 (ko) * 2017-05-17 2018-11-22 넷마블 주식회사 게임 플레이어 매칭 방법 및 장치
KR101867453B1 (ko) * 2017-08-23 2018-06-14 네오시스템즈(주) 강화된 동적 라우팅 기능과 상태 변화 적응성을 구비한 클라우드 허브 중심의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를 통한 화물 운송 정보의 실시간 공유 방법
KR101867456B1 (ko) * 2017-08-23 2018-06-14 네오시스템즈(주) 강화된 상태 변화 적응성 및 안정성을 구비한 클라우드 허브 중심의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를 통한 화물 운송 정보의 실시간 공유 방법
KR20190032130A (ko) * 2017-09-19 2019-03-27 (주)리브릿지 지식재산 거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90032129A (ko) * 2017-09-19 2019-03-27 (주)리브릿지 지식재산 거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875693B1 (ko) * 2018-03-29 2018-07-06 (주)모두의 서당 맞춤형 강의 정보를 제공하는 오프라인 강의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KR20190058400A (ko) * 2019-05-10 2019-05-29 남궁진 위치기반 배달 서비스 방법
KR102048950B1 (ko) * 2019-06-24 2019-11-26 이종범 드론 업무 매칭 및 홍보 시스템
KR102202506B1 (ko) * 2020-02-20 2021-01-13 (주)플레이포라이프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
KR102251691B1 (ko) * 2020-07-13 2021-05-12 정대성 위치 및 아바타 정보 기반 전문가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629083B1 (ko) * 2023-05-17 2024-01-24 이용진 보험 상품과 플래너를 매칭하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60786A (ko) 서비스 중개 방법 및 그 시스템
US10805449B1 (en) Screen interface for a mobile device apparatus
US9488487B2 (en) Route detection in a trip-oriented message data communications system
Wang et al. The new landscape of travel: A comprehensive analysis of smartphone apps
US11493347B2 (en) Using historical location data to improve estimates of location
US20190339833A1 (en) Location-Based Application Recommendations
US10289639B2 (en) Automatic conversation analysis and participation
KR102525029B1 (ko) 사용자에게 콘텐트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0264145B (zh) 用于提供提醒的方法、设备、系统和介质
JP2016139263A (ja) 旅行システム
US10530733B2 (en) Inferring preferences from message metadata and conversations
US11972362B2 (en) Inferred user intention notifications
Lim Designing the next generation of mobile tourism application based on situation awareness
US11847179B2 (en) Curated result finder
US20190182616A1 (en) Techniques for providing meeting location suggestions
JP2016075985A (ja) 広告出稿システム、広告出稿プログラム、広告出稿装置、広告出稿方法
Bandyopadhyay Mobile commerce
KR20200107763A (ko) 여행스케줄링 기반의 쇼퍼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JP6494970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
US10129699B1 (en) Automated tiered event display system
JP2013101125A (ja) 案内情報提供装置、プログラム、案内情報提供方法、案内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端末装置
US1176253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o notify at an appropriate timing
JP7393100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460842B2 (ja) 案内情報提供装置、プログラム、案内情報提供方法、案内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端末装置
JP5460843B2 (ja) 案内情報提供装置、プログラム、案内情報提供方法、案内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