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2506B1 -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 - Google Patents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2506B1
KR102202506B1 KR1020200021035A KR20200021035A KR102202506B1 KR 102202506 B1 KR102202506 B1 KR 102202506B1 KR 1020200021035 A KR1020200021035 A KR 1020200021035A KR 20200021035 A KR20200021035 A KR 20200021035A KR 102202506 B1 KR102202506 B1 KR 102202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rovider
user
match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1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연
조용욱
Original Assignee
(주)플레이포라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플레이포라이프 filed Critical (주)플레이포라이프
Priority to KR1020200021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25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2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2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용자의 장애 종류에 따른 매칭 알람을 전송하고 서비스 제공 시간에 따라 연산된 반경 거리 내에 거주지가 있는 제공자를 매칭하는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장애인인 이용자와 활동 보조인인 제공자가 직접 연결하여 제공기관이 효율적으로 업무 처리가 가능하고 상기 이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고, 장애 종류에 따라서 매칭 알람을 이용자 단말기로 제공받아 장애인인 상기 이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제공자가 이용자에게 활동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인 서비스 제공 시간을 기반으로 미리 정해진 조건에 충족한 제공자를 대상으로 매칭이 이루어지므로 장애인인 상기 이용자와 활동 보조인인 상기 제공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Matching system for supporting disabled person}
본 발명은 장애인의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매칭 시스템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용자의 장애 종류에 따른 매칭 알람을 전송하고 서비스 제공 시간에 따라 연산된 반경 거리 내에 거주지가 있는 제공자를 매칭하는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장애인이란 신체 일부에 장애가 있거나 정신 능력이 원활하지 못해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 어려움이 있는 사람을 말한다. 장애인은 태어났을 때부터 장애를 가지고 있는 선천적 장애인과 후천적인 사유로 인해 태어난 이후에 장애를 갖게 된 후천적 장애인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장애인의 장애는 크게 신체적 장애와 정신적 장애로 구분할 수 있다. 신체적 장애는 지체장애, 뇌병변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 언어장애, 안면장애, 신장장애, 심장장애, 간장애, 호흡기장애, 장루장애, 뇌전증장애 등이 있고, 정신적 장애는 지적장애, 정신장애, 자폐성장애 등이 있다. 장애인의 장애 판정은 장애진단기관 및 관련 전문의의 진단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제도가 갖춰 있는 국가는 국민의 생활 안정 및 의료, 교육 등 보장을 포함하는 복지를 추구하기 위해 여러 사회복지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대한민국 장애인복지법은 2019년 7월 1일부터 장애등급제를 개편하여 장애 등급을 장애 정도로 변경하여 장애등급제를 폐지하였고, 장애 정도에 따라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지원 종합 조사를 실시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여 장애인을 위한 사회복지 서비스가 촘촘히 확산될 수 있도록 개정되었다.
장애인은 행정청에 등록되어야 법률에서 인정되는 지원을 다양하게 받을 수 있다. 즉, 장애인 또는 그의 법정 대리인 등은 상기 장애인의 장애 상태 등 여러 사항을 특별자치시장, 특별자치도지사, 시장, 군수 또는 구청장에게 등록해야한다. 이 경우, 기준에 충족되면 상기 장애인 등에게 장애인 등록증을 발급하여 상기 장애인이 국가의 복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장애인을 지원하기 위해서 행정청은 장애인 시설을 확충하고 장애인 복지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최근, 노인, 장애인, 아동 등의 계층이 다양한 사회 보장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이용권을 발급받아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는 사회서비스 전자 바우처 사업이 활성화 되어 있다. 특히, 대한민국 보건복지부는 2019년 기준으로 72조 5,148억원의 예산 중 사회서비스에 2조 3,366억원을 배정하였고, 장애인 활동지원 서비스를 포함한 14개의 사업에서 사회서비스 전자 바우처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이런 배경 하에서 장애인 복지를 위한 다양한 발명이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97096호(발명의 명칭: 시작장애인용 쇼핑 도우미 로봇, 2015.03.03.)는 시각장애인이 가지고 있는 블루투스와 마이크로폰이 내장된 리모콘과 거리값을 측정할 수 있는 블루투스 모듈, 장애물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 등을 포함하여 시각 장애인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쇼핑 도우미 로봇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29774호(발명의 명칭: 장애인 승하차 도움 시스템 및 장애인 운송방법, 2017.04.18.)는 종래의 장애인 차량용 리프트 장치와 달리 장애인과 같이 이송하고자 하는 환자가 발생되는 경우 차량거치대를 도어가 열려진 장애인 이송차량의 일측에 걸친 상태에서 장애인을 승하차 시킬 수 있는 장애인 승하차 도움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장애인을 지원하고 일자리 창출을 위한 장애인 활동 보조인 제도가 있으며, 상기 장애인 활동 보조인은 장애인이 장애로 활동하기 어려운 신체적 활동인 개인 위생 관리(목욕 등), 신체 기능 유지 및 증진, 식사 도움, 실내 이동 등을 도와주고 지원하는 자로서 장애인 활동 보조인 교육기관에서 소정의 교육을 마쳐야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종래에는, 장애인 활동 보조인이 제공기관에 활동 보조인으로 등록하고 장애인이 상기 제공기관에 활동 보조를 요청하면, 상기 제공기관이 등록된 장애인 활동 보조인을 지정하고 상기 장애인을 지원하였다. 이로 인해, 신속하게 장애인의 요구에 실질적으로 맞는 활동 보조인을 찾거나 상기 제공기관의 근무시간이 종료되면 지원 활동이 어려웠고, 복잡한 절차와 제공기관의 업무 부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양한 스마트 기술의 발전으로 서비스를 융합하여 새로운 서비스 모델 개발이 용이한 환경이 조성되었고 장애인 활동지원 서비스를 포함한 14개의 사업에서 사회서비스 전자 바우처 사업을 실시하고 있는 환경에서, 장애인과 활동 보조인이 직접 연결, 제공기관의 업무 처리 효율화 및 관리 비용의 절감을 위한 장애인 활동지원을 위한 장애인과 활동 보조인의 매칭 시스템의 개발이 절실하다.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적 배경 하에서 도출된 것으로서, 애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 있는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장애인인 이용자와 활동 보조인인 제공자가 직접 연결하여 제공기관이 효율적으로 업무 처리가 가능하고 상기 이용자의 편의성을 높인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장애인의 장애 종류에 따른 매칭 알람을 이용자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는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시간에 따라 연산된 반경 거리 내에 거주지가 있는 제공자를 매칭하는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은 데이터 베이스부, 통신부, 정보 변환부, 연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는 이용자의 거주지, 이용자의 실시간 위치, 이용자의 연령 및 이용자의 분류 장애정보를 포함하는 이용자 정보 및 제공자의 거주지, 제공자의 실시간 위치, 제공자의 주 업무지, 제공자의 연령 및 소속 제공기관 정보를 포함하는 제공자 정보를 포함하여 저장할 수 있고, 상기 통신부는 이용자 단말기가 생성한 이용자의 실시간 위치 및 분류 장애 정보를 포함하는 도움 정보, 상기 이용자 단말기가 제공자 단말기로 매칭을 요청하는 정보인 매칭 요청정보, 매칭 제공자 단말기가 생성한 상기 제공자 정보인 매칭 제공자 정보가 포함된 매칭 정보 및 상기 매칭 정보가 생성된 것을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 알리는 정보인 알람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이용자 단말기 및 상기 제공자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송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 변환부는 문자정보와 음성정보를 상호 변환시킬 수 있고, 상기 연산부는 상기 도움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매칭 요청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매칭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알람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칭 제공자 단말기는 상기 매칭 요청정보가 송신된 상기 제공자 단말기 중 매칭을 원하는 제공자인 매칭 제공자의 단말기이고, 상기 알람정보는 상기 이용자 정보에 포함된 상기 이용자의 분류 장애 정보를 토대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의 상기 매칭 요청정보는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제공자 단말기인 지정 제공자 단말기로 매칭을 요청하는 정보이며,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제공자가 상기 이용자에게 활동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인 서비스 제공 시간을 토대로 지정된 반경에 상기 제공자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공자의 거주지가 해당되는 것이고, 상기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의 연산부는, 상기 서비스 제공 시간 및 상기 지정된 반경을 연산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제공자 단말기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의 연산부는 상기 서비스 제공 시간을 상기 이용자 단말기와 상기 제공자 단말기의 위치 차이를 토대로 연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의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서비스 제공 시간 및 상기 이용자의 실시간 위치를 토대로 지정된 반경에 상기 제공자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공자의 거주지가 해당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의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서비스 제공 시간 및 이용자의 실시간 지역을 토대로 지정된 반경에 상기 상기 제공자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공자의 거주지가 해당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이용자의 실시간 지역은, 상기 이용자의 실시간 위치를 기초하여 시군구 행정 구역 단위로 구분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의 연산부는 상기 이용자의 실시간 위치를 기초하여 시군구 행정 구역 단위로 구분하여 상기 이용자의 실시간 지역을 연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은 장애인인 이용자와 활동 보조인인 제공자가 직접 연결하여 제공기관이 효율적으로 업무 처리가 가능하고 상기 이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은 장애 종류에 따라서 매칭 알람을 이용자 단말기로 제공받아 장애인인 상기 이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은 상기 제공자가 상기 이용자에게 활동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인 서비스 제공 시간을 기반으로 미리 정해진 조건에 충족한 제공자를 대상으로 매칭이 이루어지므로 장애인인 상기 이용자와 활동 보조인인 상기 제공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으로 장애인인 이용자는 필요한 활동 지원 제공자를 신속하게 찾을 수 있고, 활동 보조인인 제공자는 필요한 일자리를 복잡한 절차 없이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이 이용자 단말기, 제공자 단말기 및 제공기관 단말기 사이에서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을 수행하는 구조를 도시하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이 이용자의 실시간 위치와 서비스 제공 시간을 토대로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제공자 단말기를 검색하기 위한 지정된 반경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이 이용자의 실시간 위치에 기초한 실시간 지역 및 서비스 제공 시간을 토대로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제공자 단말기를 검색하기 위한 지정된 반경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이 이용자의 실시간 위치에 기초한 실시간 지역, 상기 실시간 지역에 등록된 제공자의 수 및 서비스 제공 시간을 토대로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제공자 단말기를 검색하기 위한 지정된 반경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통상의 기술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를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네트워크는 유선 네트워크와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인 네트워크(PAN: Personal area network), 네트워크는 근거리 네트워크(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네트워크(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네트워크(Wide area network) 등의 다양한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공지의 월드 와이드 웹(WWW: World wide web)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는 상기 열거된 네트워크에 국한되지 않고 공지의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나 공지의 전화 네트워크, 공지의 유·무선 텔레비전 네트워크를 적어도 일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의 구축형식은 공지의 다양한 구축형식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링(Ring) 형, 그물(Mesh) 형, 별(Star) 형, 트리(Tree) 형, 버스(Bus) 형, 선(Line) 형 등의 다양한 네트워크의 구축형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실시간 위치란 단말기를 사용하고 있는 이용자 또는 제공자의 현재 위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확히는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등을 통해 제공받는 좌표이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100)은 실시간 위치에 따라 구현될 수 있으므로 상기 단말기는 이동통신이 가능하고 GPS 등의 지원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GPS란 global positioning system의 약자로서, GPS 위성에서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계산하는 위성항법시스템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100)이 이용자 단말기(200), 제공자 단말기(300) 및 제공기관 단말기(400) 사이에서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을 수행하는 구조를 도시하는 예시적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1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100)은 이용자 단말기(200), 제공자 단말기(300) 및 제공기관 단말기(4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는 상기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100)을 이용하려는 장애인 또는 그의 보호자 등의 단말기로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스마트폰에 한정되지 않고 개인용 컴퓨터(PC), 태블릿 PC, 노트북, 각종 웨어러블 기기 등 다양한 종류의 기기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는 상기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100)을 통해 활동 지원자인 제공자를 매칭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100)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에 애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공자 단말기(300)는 상기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100)을 이용하려는 장애인 활동 지원자의 단말기로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스마트폰에 한정되지 않고 개인용 컴퓨터(PC), 태블릿 PC, 노트북, 각종 웨어러블 기기 등 다양한 종류의 기기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공자 단말기(300)는 상기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100)을 통해 활동을 지원할 장애인을 매칭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100) 상기 제공자 단말기(300)에 애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공기관 단말기(400)는 상기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100)을 이용하려는 장애인 관련 기관 또는 단체의 단말기로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개인용 컴퓨터(PC)에 한정되지 않고 해당 업무 담당자 또는 해당 기관 등의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각종 웨어러블 기기 등 다양한 종류의 기기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공기관 단말기(400)는 상기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100)을 통해 소속된 제공자를 관리할 수 있고 이용자의 구체적인 지원 상황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100) 상기 제공기관 단말기(400)에 애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 제공자 단말기(300) 및 제공기관 단말기(400)는 전자화된 정보의 송수신을 위하여 송수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100)은 통신부(110), 정보 변환부(120), 연산부(130) 및 데이터 베이스부(1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100)은 이용자 단말기(200), 제공자 단말기(300) 및 제공기관 단말기(400)에 애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회원가입 및 등록제도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등록제도는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이용자의 거주지, 이용자의 실시간 위치, 이용자의 연령 및 이용자의 분류 장애정보를 포함하는 이용자 정보를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100)이 수신하여 활동지원이 필요한 지 연산한 후, 활동지원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140)에 상기 이용자 정보를 등록하며 상기 제공자 단말기(300)로부터 제공자의 거주지, 제공자의 실시간 위치, 제공자의 주 업무지, 제공자의 연령 및 소속 제공기관 정보를 포함하는 제공자 정보를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100)이 수신하여 장애인 활동지원 자격이 있는지 연산한 후, 활동지원 자격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140)에 상기 이용자 정보를 등록하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활동지원이 필요한 지 연산하는 것은 상기 이용자 정보 중 이용자의 분류 장애정보를 토대로 연산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장애인 활동지원 자격이 있는지 연산하는 것은 상기 제공자 정보 중 소속 제공기관 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소속 제공기관에 상기 제공자의 필수 교육 수료 여부 및 활동 지원사 등록 여부(이는,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100)이 상기 제공기관 단말기(400)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140) 기 저장되어 있을 수 있음)를 토대로 연산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회원가입 및 등록제도를 통해 보다 신뢰성 높은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100)이 구축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10)는 전자화된 모든 형식의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신부(110)는 이용자 단말기(200)가 생성한 이용자의 실시간 위치 및 분류 장애 정보를 포함하는 도움 정보,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가 제공자 단말기(300)로 매칭을 요청하는 정보인 매칭 요청정보, 매칭 제공자 단말기가 생성한 상기 제공자 정보인 매칭 제공자 정보가 포함된 매칭 정보 및 상기 매칭 정보가 생성된 것을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로 알리는 정보인 알람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 및 상기 제공자 단말기(3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매칭 제공자 단말기는 상기 매칭 요청정보가 송신된 상기 제공자 단말기 중 매칭을 원하는 제공자인 매칭 제공자의 단말기를 의미한다.
상기 분류 장애 정보란 상기 이용자가 판정받은 장애로써, 크게 신체적 장애와 정신적 장애로 구분되며, 신체적 장애는 지체장애, 뇌병변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 언어장애, 안면장애, 신장장애, 심장장애, 간장애, 호흡기장애, 장루장애, 뇌전증장애 등이 있고, 정신적 장애는 지적장애, 정신장애, 자폐성장애 등이 있다.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100)은 상기 분류 장애 정보를 토대로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로 송신할 알람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알람정보란 매칭 요청한 이용자 단말기(200)로 상기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100)이 제공자 단말기(300)로부터 매칭 정보를 수신하였을 때, 상기 상기 이용자 정보에 포함된 상기 이용자의 분류 장애 정보를 토대로 후술할 연산부(130)에서 생성되는 정보이다. 예를 들어, 이용자 단말기(200)에서 송신되어 데이터 베이스부(140)에 저장된 이용자 정보 중 이용자의 분류 장애 정보가 시각 장애로 등록되어 있는 경우, 매칭이 이루어졌다는 사실을 상기 이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100)이 음성정보를 포함한 알림정보를 이용자 단말기(200)로 송신하고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가 상기 알림정보를 구현하면서 상기 이용자에게 매칭이 이루어졌다는 사실을 알릴 수 있다.
상기 정보 변환부(120)는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한 정보가 문자로 이루어진 문자정보 또는 음성으로 이루어진 음성정보를 음성정보 또는 문자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로 송신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정보 변환부(120)는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도움 정보가 필요에 따라서 문자정보를 음성정보로, 음성정보를 문자정보로 변환하여 후술할 연산부(130)가 알림 정보를 생성할 때 상기 변환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문자정보를 음성정보로 변환하거나 음성정보를 문자정보를 변환하는 방법은 공지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한 알고리즘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연산부(13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현된 연산 장치를 통해 컴퓨터 프로그램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산부(130)는 상기 도움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매칭 요청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매칭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알람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산부(130)는 후술할 구체적인 매칭 방법에 따라서 필요한 정보를 연산 및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140)는 전자화된 모든 형식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용자의 거주지, 이용자의 실시간 위치, 이용자의 연령 및 이용자의 분류 장애정보를 포함하는 이용자 정보 및 제공자의 거주지, 제공자의 실시간 위치, 제공자의 주 업무지, 제공자의 연령 및 소속 제공기관 정보를 포함하는 제공자 정보를 포함하는 다양한 전자화된 형식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100)은 크게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나, 상기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100)의 관리 효율성을 위해 회원가입 및 등록제도에 따라 상기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100)에 등록된 이용자, 제공자 및 제공기관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등록제도에 따라 상기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100)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140)에 각 이용자 정보, 각 제공자 정보 및 각 제공기관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이용자는 상기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100)을 통해 제공자와 매칭을 진행하기 위해서, 이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도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도움 정보는 이용자 단말기(200)가 GPS 등을 통해 얻은 이용자의 실시간 위치 및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140)에 저장된 이용자의 분류 장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한 이용자가 이용자 단말기(200)로 상기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100)을 통해 제공자와 매칭을 진행하려는 경우, 이용자의 실시간 위치로써 서울특별시 성동구 광나루로 130, 이용자의 분류 장애 정보로써 시각 장애라는 정보를 포함한 도움 정보를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에서 송신하여 상기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100)의 통신부(110)가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100)의 연산부(130)는 미리 정해진 조건에 해당하는 제공자 단말기(200)에게 이용자가 활동지원을 원하여 매칭을 요청하는 매칭 요청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부(110)는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에 만족하는 지정 제공자 단말기로 상기 매칭 요청정보를 송신한다. 이 때, 미리 정해진 조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이후, 상기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100)으로부터 상기 매칭 요청정보를 수신한 지정 제공자 단말기 중 매칭이 이루어진 매칭 제공자 단말기는 상기 매칭 제공자 단말기가 생성한 상기 제공자 정보인 매칭 제공자 정보가 포함된 매칭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100)으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100)의 통신부(110)는 상기 매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매칭 제공자는 상기 매칭 요청정보를 단말기를 통해 수신한 제공자 중에서 한 명 또는 한 단체가 될 수 있으며, 선정을 위해선 특별한 방법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매칭 제공자는 상기 매칭 요청정보를 단말기를 통해 수신한 제공자 중 가장 먼저 매칭 여부를 결정한 제공자일 수 있다. 즉, 상기 매칭 제공자 단말기는, 상기 매칭 요청정보가 송신된 상기 제공자 단말기 중 매칭을 원하는 제공자인 매칭 제공자의 단말기일 수 있다.
이후, 상기 매칭 정보를 수신한 상기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100)은 상기 연산부(130)를 통해 상기 이용자 정보에 포함된 상기 이용자의 분류 장애 정보를 토대로 알림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상기 알림정보는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용자는 자신의 장애에 따라서 제공자가 매칭되었다는 사실을 음성 또는 시각정보로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시각장애를 가진 이용자는 "매칭이 이루어졌습니다."라는 음성정보를 알림정보로 하여 제공자가 매칭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으며, 청각 장애를 가진 이용자는 스마트폰의 전등의 점멸 등의 시각정보를 알림정보로 하여 제공자가 매칭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100)의 연산부(130), 상기 매칭 요청정보 및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즉, 상기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100)이 이용자의 수요에 따라서 적합한 제공자와 매칭될 수 있도록 상기 연산부(130)가 연산한 지정된 반경(R)을 통해 제공자의 탐색 범위를 설정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100)이 이용자의 실시간 위치와 서비스 제공 시간을 토대로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제공자 단말기(200)를 검색하기 위한 지정된 반경(R)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상기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100)이 이용자의 수요에 따라 적합한 제공자와 매칭될 수 있도록 제공자의 탐색 범위를 설정하기 위해, 상기 연산부(130)는 데이터 베이스부(140)에 등록된 제공자의 거주지 등을 토대로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지 연산할 수 있고,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제공자가 상기 이용자에게 활동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인 서비스 제공 시간을 토대로 지정된 반경에 상기 제공자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공자의 거주지가 해당되는 조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140)는 각 이용자마다 상기 서비스 제공 시간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산부(130)는 상기 서비스 제공 시간을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와 상기 제공자 단말기(300)의 위치 차이를 토대로 연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 및 제공자 단말기(300)는 이동통신이 가능하고 GPS 등의 지원이 가능하다고 할 때,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와 제공자 단말기(300)는 상기 실시간 위치 정보를 상기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100)으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100)의 통신부(110)는 이를 수신한 후,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의 위치와 상기 제공자 단말기(300)의 위치 차이가 50m 이내이며 30초 이상 유지되었을 때 상기 연산부(130)는 서비스 개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개시 정보가 생성된 이후,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의 위치와 상기 제공자 단말기(300)의 위치 차이가 400m 이내라면 서비스가 계속 제공되고 있으므로 상기 서비스 개시 정보를 폐기하지 않는다. 만약,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의 위치와 상기 제공자 단말기(300)의 위치 차이가 400m 이외로 5분 이상 유지되었다면 상기 연산부(130)는 상기 서비스 개시 정보를 폐기하고 서비스 종료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연산부(130)가 서비스 개시 정보를 폐기하고 서비스 종료 정보를 생성하였다면, 상기 연산부(130)는 상기 서비스 종료 정보의 생성 시점에서 상기 서비스 개시 정보의 생성 시점의 차이를 서비스 제공 시간으로 연산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제공 시간은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140)로 저장되고, 상기 이용자가 복수 회 서비스 제공을 받는 경우, 상기 연산부(130)는 다수의 서비스 제공 시간을 평균 등으로 연산하고, 상기 평균 서비스 제공 시간을 데이터 베이스부(140)로 저장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서비스 제공 시간 및 상기 이용자의 실시간 위치를 토대로 지정된 반경(R)에 상기 제공자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공자의 거주지가 해당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평균 서비스 제공시간이 1hr인 이용자인 경우, 이용자 단말기(200)는 실시간 위치(H)를 상기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100)으로 전송하고, 상기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100)의 통신부(110)는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의 실시간 위치(H)를 수신하며, 상기 연산부(130)는 상기 평균 서비스 제공시간인 1hr와 상기 실시간 위치(H)를 토대로 지정된 반경(R)을 연산한다. 상기 지정된 반경(R)을 통해 상기 실시간 위치(H)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형으로 퍼지는 가상의 원을 그릴 수 있고, 상기 가상의 원 내에 제공자의 거주지를 등록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공자를 상기 지정 제공자로 정할 수 있다. 지정된 반경(R)을 연산은 특별한 기준은 없으며 합리적으로 지정 제공자를 선정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또한, 평균 서비스 제공시간이 5hr인 이용자인 경우, 상기 연산부(130)는 상기 방법과 마찬가지로 지정된 반경(R)을 연산하여 상기 지정 제공자를 정할 수 있다. 이 때, 시간의 효율성과 합리적인 매칭을 고려하면 평균 서비스 제공시간이 1hr일 때의 지정된 반경(R)에 비해 평균 서비스 제공시간이 5hr일 때의 지정된 반경(R)이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즉, 평균 서비스 제공시간이 클수록 지정된 반경(R)이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과거 상기 이용자가 활동지원 서비스를 제공받은 시간인 서비스 제공 시간을 토대로 변화되는 지정된 반경에 상기 제공자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공자의 거주지가 해당되는 조건을 의미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100)이 이용자의 실시간 위치에 기초한 실시간 지역 및 서비스 제공 시간을 토대로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제공자 단말기(200)를 검색하기 위한 지정된 반경(R)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서비스 제공 시간 및 이용자의 실시간 지역을 토대로 지정된 반경(R)에 상기 제공자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공자의 거주지가 해당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이용자의 실시간 지역은 상기 이용자의 실시간 위치를 기초하여 시군구 행정 구역 단위로 구분되며, 상기 연산부(130)는 상기 이용자의 실시간 위치를 기초하여 시군구 행정 구역 단위로 구분하여 상기 이용자의 실시간 지역을 연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용자 단말기(200)는 실시간 위치(H)를 상기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100)으로 전송하고, 상기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100)의 통신부(110)는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의 실시간 위치(H)를 수신하며, 상기 연산부(130)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140)에 기 저장된 위치 좌표 및 시군구 행정 구역 단위 연동 정보를 통해 상기 실시간 위치(H)의 위치 좌표에 해당하는 시군구 행정 구역 단위를 연산한다. 도 4에서, A 시에 있는 이용자의 실시간 위치(H)에 따라서 상기 연산부(130)는 서울시 광진구라는 시군구 행정 구역 단위를 연산할 수 있으며, B 시에 있는 이용자의 실시간 위치(H)에 따라서 상기 연산부(130)는 부산시 사상구라는 시군구 행정 구역 단위를 연산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연산부(130)는 상기 평균 서비스 제공시간과 상기 실시간 지역을 토대로 지정된 반경(R)을 연산한다. 이 때, 상기 연산부(130)는 상기 지정된 반경(R)을 연산하기 위해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140)에 기 저장된 시군구 행정 구역 단 당 인구 수를 이용할 수 있다. 즉, 동일한 평균 서비스 제공시간이라고 하더라도 연산된 시군구 행정 구역 단위의 인구 수에 따라 지정된 반경(R)이 상이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서울시(A 시) 광진구의 인구 수는 부산시(B 시) 사상구의 인구 수보다 많으므로 서울시(A 시) 광진구에서 평균 서비스 제공시간이 1hr인 이용자가 상기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100)을 이용하는 경우와 상기 연산부(130)가 연산한 지정된 반경(R)은 부산시(B 시) 사상구에서 평균 서비스 제공시간이 1hr인 이용자가 상기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100)을 이용하는 경우에 상기 연산부(130)가 연산한 지정된 반경(R)과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시간의 효율성과 합리적인 매칭을 고려하면 상기 실시간 지역의 인구 수가 많을수록 지정된 반경(R)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평균 서비스 제공시간이 5hr인 이용자인 경우, 상기 연산부(130)는 상기 방법과 마찬가지로 지정된 반경(R)을 연산하여 상기 지정 제공자를 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정된 반경(R)은 상기 실시간 지역을 벗어난 다른 시군구 행정 구역에 닿을 수 있고, 상기 지정 제공자를 정하기 위해서 반드시 상기 실시간 지역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100)이 이용자의 실시간 위치에 기초한 실시간 지역, 상기 실시간 지역에 등록된 제공자의 수 및 서비스 제공 시간을 토대로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제공자 단말기(200)를 검색하기 위한 지정된 반경(R)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서비스 제공 시간, 이용자의 실시간 지역 및 상기 실시간 지역에 상기 제공자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공자의 거주지가 해당되는 상기 제공자 단말기(300)의 수를 토대로 지정된 반경(R)에 상기 제공자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공자의 거주지가 해당될 수 있으며, 상기 연산부(130)는 상기 이용자의 실시간 위치를 기초하여 시군구 행정 구역 단위로 구분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140)에 기 저장된 시군구 행정 구역 별 상기 제공자 단말기(300)의 수를 토대로 상기 지정된 반경(R)을 연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용자 단말기(200)는 실시간 위치(H)를 상기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100)으로 전송하고, 상기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100)의 통신부(110)는 상기 이용자 단말기(200)의 실시간 위치(H)를 수신하며, 상기 연산부(130)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140)에 기 저장된 위치 좌표 및 시군구 행정 구역 단위 연동 정보를 통해 상기 실시간 위치(H)의 위치 좌표에 해당하는 시군구 행정 구역 단위를 연산한다. 또한, 상기 연산부(130)는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시군구 행정 구역 단위를 연산할 수 있으며, 상기 연산된 시군구 행정 구역 단위를 토대로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140)에 기 저장된 시군구 행정 구역 별 상기 제공자 단말기(300)의 수를 연산할 수 있다.
도 5에서, 부산시(B 시) 해운대구의 인구 수는 대구시(C 시) 달성군의 인구 수보다 많더라도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140)에 기 저장된 시군구 행정 구역 별 상기 제공자 단말기(300)의 수가 부산시(B 시) 해운대구는 300명이고, 대구시(C 시) 달성군은 500명으로 대구시(C 시) 달성군이 많다면, 상기 도 4에서 설명한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100)과 달리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140)에 기 저장된 시군구 행정 구역 별 상기 제공자 단말기(300)의 수가 더 많은 대구시(C 시) 달성군에 대한 지정된 반경(R)이 부산시(B 시) 해운대구에 대한 지정된 반경(R)에 비해서 더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정된 반경(R)은 상기 실시간 지역을 벗어난 다른 시군구 행정 구역에 닿을 수 있고, 상기 지정 제공자를 정하기 위해서 반드시 상기 실시간 지역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 300 : 제공자 단말기
200 : 이용자 단말기 400 : 제공기관 단말기

Claims (5)

  1. 이용자의 거주지, 이용자의 실시간 위치, 이용자의 연령 및 이용자의 분류 장애정보를 포함하는 이용자 정보 및 제공자의 거주지, 제공자의 실시간 위치, 제공자의 주 업무지, 제공자의 연령 및 소속 제공기관 정보를 포함하는 제공자 정보를 포함하여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부;
    이용자 단말기가 생성한 이용자의 실시간 위치 및 분류 장애 정보를 포함하는 도움 정보, 상기 이용자 단말기가 제공자 단말기로 매칭을 요청하는 정보인 매칭 요청정보, 매칭 제공자 단말기가 생성한 상기 제공자 정보인 매칭 제공자 정보가 포함된 매칭 정보 및 상기 매칭 정보가 생성된 것을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 알리는 정보인 알람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이용자 단말기 및 상기 제공자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송수신하는 통신부;
    문자정보와 음성정보를 상호 변환시키는 정보 변환부; 및
    상기 도움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매칭 요청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매칭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알람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며,
    상기 매칭 제공자 단말기는,
    상기 매칭 요청정보가 송신된 상기 제공자 단말기 중 매칭을 원하는 제공자인 매칭 제공자의 단말기이고,
    상기 알람정보는,
    상기 이용자 정보에 포함된 상기 이용자의 분류 장애 정보를 토대로 생성되며,
    상기 매칭 요청정보는,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제공자 단말기인 지정 제공자 단말기로 매칭을 요청하는 정보이며,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과거 상기 이용자가 활동지원 서비스를 제공받은 시간인 서비스 제공 시간을 토대로 변화되는 지정된 반경에 상기 제공자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공자의 거주지가 해당되는 것이고,
    상기 연산부는,
    상기 서비스 제공 시간 및 상기 지정된 반경을 연산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제공자 단말기 정보를 연산하며,
    상기 연산부는,
    상기 서비스 제공 시간을 상기 이용자 단말기와 상기 제공자 단말기의 위치 차이를 토대로 연산하되,
    상기 이용자가 복수 회 활동지원 서비스를 제공받은 경우,
    복수 회의 상기 서비스 제공 시간의 평균을 토대로 상기 지정된 반경을 연산하는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021035A 2020-02-20 2020-02-20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 KR102202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035A KR102202506B1 (ko) 2020-02-20 2020-02-20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035A KR102202506B1 (ko) 2020-02-20 2020-02-20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2506B1 true KR102202506B1 (ko) 2021-01-13

Family

ID=74142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1035A KR102202506B1 (ko) 2020-02-20 2020-02-20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250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0786A (ko) * 2009-11-30 2011-06-08 김기용 서비스 중개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30100873A (ko) * 2012-02-23 2013-09-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관심 공간을 이용한 공간 매칭 방법 및 장치
KR20160134414A (ko) * 2015-05-14 2016-11-23 이현민 빅데이터를 이용한 돌봄보호자와 돌봄지원자의 매칭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0786A (ko) * 2009-11-30 2011-06-08 김기용 서비스 중개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30100873A (ko) * 2012-02-23 2013-09-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관심 공간을 이용한 공간 매칭 방법 및 장치
KR20160134414A (ko) * 2015-05-14 2016-11-23 이현민 빅데이터를 이용한 돌봄보호자와 돌봄지원자의 매칭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37260B2 (en) Emergency response system
US11331242B2 (en) Travel assistance system
EP2583118B1 (en) Mapping system for irradiation protection
US10212570B1 (en) System for providing notifications to user devices
WO2018235379A1 (ja) サービス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US20230413014A1 (en) Personal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s
KR20200093167A (ko) 사회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돌봄서비스 제공시스템
CN116705267A (zh) 一种互联网医院管理系统及方法
KR102202506B1 (ko) 장애인 활동지원 매칭 시스템
JP6471551B2 (ja) 通報処理装置、通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通報処理方法
US20230385571A1 (en) Personal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s
US7181407B1 (en) Network of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CN107702707A (zh) 导航信息获取方法及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
Chang et al. Mobile social networks as quality of life technology for people with severe mental illness
KR102387709B1 (ko) 약자층을 위한 교통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KR101598466B1 (ko) 청각장애인용 안전보조시스템
Jahan et al. A wearable system for path finding to assist elderly people in an indoor environment
Mallat et al. Assist-Me-A Volunteer Mobile Emergency System to Assist Elderly People
US11844741B2 (en) Travel assistance system
WO2020031398A1 (ja) 情報処理装置、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3088500A (ja) マップ作成システム、マップ作成装置および携帯端末
Singh et al. Android Application for Security of Senior Citizens: Analysis and Implementation
Soni et al. Emergency Response App for Enhancing Location-Based Services Using Socket. io and WebRTC
Mengistu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an Autonomous Smart Stick Framework for Assisting Visually Impaired People
KR20100062523A (ko)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미아방지 시스템 및 그 시스템 이용한 서비스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