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9193B1 - 위치정보를 활용한 물품 배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위치정보를 활용한 물품 배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9193B1
KR101709193B1 KR1020150120426A KR20150120426A KR101709193B1 KR 101709193 B1 KR101709193 B1 KR 101709193B1 KR 1020150120426 A KR1020150120426 A KR 1020150120426A KR 20150120426 A KR20150120426 A KR 20150120426A KR 101709193 B1 KR101709193 B1 KR 101709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ivery
information
terminal device
route
cust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0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현
김정민
이강기
이용안
정대엽
조성찬
최연지
Original Assignee
씨제이대한통운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대한통운 (주) filed Critical 씨제이대한통운 (주)
Priority to KR1020150120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91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9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9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3Trac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5Relationships between shipper or supplier and carriers
    • G06Q10/08355Routing methods
    • G06Q50/28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정보를 활용한 물품 배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배송자 단말장치가 특정 구역에 진입한 경우, 특정 구역의 배송 물품 정보를 근거로 최적 배송 경로를 설정하고, 그 최적 배송 경로를 배송자 단말장치로 전송한다.

Description

위치정보를 활용한 물품 배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ARTICLE DELIVERY SERVICE USING POSITION}
본 발명은 위치정보를 활용한 물품 배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송자 단말장치가 특정 구역에 진입한 경우, 그 특정 구역의 최적 배송 경로를 배송자 단말장치로 전송하여, 배송자가 물품을 빠르게 배송하도록 하는 위치정보를 활용한 물품 배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택배 서비스란 개인화물 또는 기업화물의 송화인이 화주로부터 주로 소형 및 소량 화물의 수송을 의뢰받아 화물의 접수로부터 포장, 수송, 및 배달에 이르기까지 일체의 수송서비스를 말한다. 최근 몇 년 사이 이런 택배 서비스를 제공하는 화물운송이나 퀵서비스를 포함한 택배 업체들이 급증하였고, 택배 서비스 시장 또한 단기간에 급성장하였다. 이처럼 택배 서비스가 급성장하게 된 이유 중 하나는 홈 쇼핑 및 인터넷 쇼핑의 사용자가 급증하면서 택배 물량이 과거에 비해 크게 늘어났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런 택배 서비스를 이용하다 보면 물품 배송이 지연된다거나 손상 또는 분실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피해액도 크지 않고 피해에 따른 보상 절차 또한 복잡하여 그 피해를 모두 택배 서비스 사용자가 떠안는 경우가 적지 않다.
한편, 최근에는 위치 추적모듈(GPS)과 휴대 전화망, 무선 데이터망 또는 위성망을 연결하여 주기적으로 차량 및 화물의 운송 위치를 알려주는 시스템이 운용 중에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배송 서비스 시스템은 대부분 배송 차량에 대한 위치추적을 하고 있으나 배송 물품에 대해서는 실시간 추적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즉, 배송자는 배송 물품을 고객에게 인도 후 배송장에 서명을 받고 나서 이를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본사에 보고해야 하므로 배송의 효율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본사에서는 배송장을 별도로 관리해야 하므로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배송 차량에 대한 실시간 위치 추적은 가능하나 배송 물품에 대한 배송 처리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단점으로 인해 고객의 불만을 야기하는 문제점을 초래하였다.
또한, 배송자가 본인이 원하는 경로를 마음대로 설정하여 물품을 배송함으로써, 물품 배송을 빠르게 할 수 없었다.
선행기술1: 한국공개특허 제2014-0099789호: 대화형 택배 시스템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배송자들이 특정 주소지에 물품을 배송할 때 배송 차량을 어느 지점에 세우고 어떠한 길로 걸어가야 빠르고 편리하게 갈 수 있는지 알 수 있도록 하는 최적 배송 경로를 제공하여, 어느 지역에 어떠한 배송자가 배치되더라도 수월하고 빠르게 물품을 배송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정보를 활용한 물품 배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송자들이 해당 지역을 벗어나는 경우, 그 지역의 고객들에게 배송 완료 메시지를 자동으로 발송하여, 배송자들의 업무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위치정보를 활용한 물품 배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객 각각에게 배송 완료 정보를 제공할 시 감성상용구를 포함하는 배송 관련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정보를 활용한 물품 배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기술적 과제가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중앙 서버가 물품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배송자 단말장치가 특정 구역에 진입한 경우, 특정 구역의 배송 물품 정보를 근거로 최적 배송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설정된 최적 배송 경로를 상기 배송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정보를 활용한 물품 배송 서비스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위치정보를 활용한 물품 배송 서비스 방법은, 상기 (a) 단계 이전에, 배송 물품 정보, 각 물품을 배송할 배송자 정보를 등록받는 단계, 상기 배송자에게 할당된 배송 물품 정보를 상기 배송자 단말장치로 전송하고, 배송자 정보를 포함하는 배송 안내 정보를 해당 고객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송 안내정보는 배송자 성명, 사진, 연락처, 방문예정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정보를 활용한 물품 배송 서비스 방법은 상기 (b) 단계 이후, 상기 배송자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특정 구역에서의 미배송 물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배송자 단말장치가 상기 특정 구역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특정 구역의 고객중에서 상기 미배송 물품 정보를 제외한 고객 단말장치로 배송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위치정보를 활용한 물품 배송 서비스 방법은 상기 (b) 단계 이후, 해당 물품을 배송하는 배송자의 위치정보를 해당 고객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위치정보를 활용한 물품 배송 서비스 방법은 상기 (b) 단계 이후, 상기 배송자 단말장치의 현재 위치가 상기 최적 배송 경로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최적 배송 경로를 이탈하는 경우 새로운 최적 배송 경로를 설정하여 경로 이탈 경보 메시지와 함께 상기 배송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단계는, 상기 배송자 단말장치로부터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위치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위치 관련 정보를 근거로 특정 구역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특정 구역에 진입한 경우, 상기 특정 구역의 배송 물품 정보 또는 이전에 상기 특정 구역에 간 배송자들의 배송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최적 배송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최적 배송 경로를 지도정보에 매칭하여 상기 배송자 단말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특정 구역의 고객으로부터 받은 메시지, 고객 부재시 물품 보관 장소에 대한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고객 부재시 물품 보관 장소, 해당 특정 구역의 고객으로부터 받은 메시지를 상기 최적 배송 경로와 함께 상기 배송자 단말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배송자 단말장치가 물품 배송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현재 위치를 측정하여 중앙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중앙 서버로부터 해당 특정 구역의 배송 물품 정보 및 최적 배송 경로가 표시된 지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지도정보에서 특정 배송지와 매칭된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특정 배송지에 설정된 배송 관련 요구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정보를 활용한 물품 배송 서비스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위치정보를 활용한 물품 배송 서비스 방법은 상기 (c) 단계 이후, 상기 특정 구역의 마지막 배송지까지 배송 완료 여부 정보가 입력된 경우, 상기 특정 구역에서의 미배송 물품 정보를 상기 중앙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현재 위치를 측정하여 중앙 서버로 전송하는 배송자 단말장치, 상기 배송자 단말장치의 현재 위치가 특정 구역에 진입한 경우, 상기 특정 구역의 배송 물품 정보를 근거로 최적 배송 경로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최적 배송 경로를 포함하는 특이정보를 상기 배송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중앙 서버, 상기 중앙 서버로부터 배송 안내 정보 또는 배송자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고객 단말장치를 포함하는 위치정보를 활용한 물품 배송 서비스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중앙 서버는 배송 물품 정보 및 각 물품을 배송할 배송자 정보가 등록되면, 해당 배송자에게 할당된 배송 물품 정보를 상기 배송자 단말장치로 전송하고, 배송자 정보를 포함하는 배송 안내 정보를 상기 고객 단말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배송자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특정 구역에서의 미배송 물품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배송자 단말장치가 상기 특정 구역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특정 구역의 고객중에서 상기 미배송 물품 정보를 제외한 고객 단말장치로 배송 완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배송자 단말장치가 상기 특정 구역에 진입한 경우, 상기 특정 구역의 고객 단말장치로 배송자 위치 안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특정 구역의 배송 물품 정보 또는 이전에 상기 특정 구역에 간 배송자들의 배송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최적 배송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배송자 단말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 상기 배송자 단말장치가 특정 구역에 진입한 경우, 해당 특정 구역의 배송 물품 정보를 근거로 최적 배송 경로를 설정하고, 설정된 최적 배송 경로를 포함하는 특이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배송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배송 지원 서비스부를 포함하는 중앙 서버가 제공된다.
상기 중앙 서버는 배송 물품 정보 및 각 물품을 배송할 배송자 정보가 등록되면, 해당 배송자에게 할당된 배송 물품 정보를 상기 배송자 단말장치로 전송하고, 배송자 정보를 포함하는 배송 안내 정보를 상기 고객 단말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등록 처리부는 상기 고객 단말장치로부터 새로운 배송 관련 요구 정보가 수신된 경우, 그 배송 관련 요구 정보를 해당 고객의 배송 물품 정보와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배송 지원 서비스부는, 상기 배송자 단말장치의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위치 관련 정보를 근거로 특정 구역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특정 구역 진입 판단모듈, 상기 특정 구역의 배송 물품 정보 또는 이전에 상기 특정 구역에 간 배송자들의 배송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최적 배송 경로를 설정하는 최적 배송 경로 설정 모듈, 상기 최적 배송 경로를 상기 배송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정보 제공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배송자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특정 구역에서의 미배송 물품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배송자 단말장치가 상기 특정 구역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특정 구역의 고객중에서 상기 미배송 물품 정보를 제외한 고객 단말장치로 배송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는 배송 완료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다르면, 통신부, 배송 관리 앱이 저장된 저장부, 상기 배송 관리 앱이 실행된 경우, 로그인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를 판단하고, 판단된 사용자에 따라 다르게 동작하는 배송 관리 앱 서비스부를 포함하되, 상기 배송 관리 앱 서비스부는, 로그인 정보를 근거로 해당 사용자가 배송자 또는 고객인지를 판단하는 인증모듈, 상기 인증모듈의 판단결과 배송자인 경우, 단말장치의 현재 위치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중앙 서버로 전송하고, 중앙 서버로부터 해당 특정 구역의 최적 배송 경로를 포함하는 특이정보를 수신하는 배송자용 모듈, 상기 인증모듈의 판단결과 고객인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중앙 서버로부터 배송 안내 정보 또는 배송자 위치 안내 정보를 수신하는 고객용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송자용 모듈은 상기 특정 구역에서의 미배송 물품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중앙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 살핀 상기 '위치정보를 활용한 물품 배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은,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된 뒤에 전자 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거나, 프로그램 다운로드 관리 장치(서버 등)를 통해 배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송자들이 특정 주소지에 물품을 배송할 때 배송 차량을 어느 지점에 세우고 어떠한 길로 걸어가야 빠르고 편리하게 갈 수 있는지 알 수 있도록 하는 최적 배송 경로를 제공함으로써, 어느 지역에 어떠한 배송자가 배치되더라도 수월하고 빠르게 물품을 배송할 수 있다.
또한, 배송자들이 해당 지역을 벗어나기만 하면 그 지역의 고객들에게 배송 완료 메시지를 자동으로 발송함으로써, 배송자들은 배송 완료 건마다 별도로 메시지를 보내지 않아도 되고, 이로 인해 배송시간을 단축하여 배송 횟수를 늘리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배송 관련 앱이 탑재된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배송자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배송시간을 미리 예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시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즉 사용자가 배송시간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없을 때에는 근거리 외출도 하지 못한 채 택배를 무작정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를 활용한 물품 배송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앙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배송 지원 서비스부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송자의 위치정보를 활용한 물품 배송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객의 물품 배송 서비스를 위한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송자의 위치정보를 활용한 물품 배송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를 활용한 물품 배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표현되는 각 구성부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예일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구성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부는 순전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구성만으로 구현될 수도 있지만, 동일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둘 이상의 구성부들이 함께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를 활용한 물품 배송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위치 정보를 이용한 물품 배송 서비스 시스템은 중앙서버(100), 배송자 단말장치(200A), 고객 단말장치(200B)를 포함하며, 이들은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중앙서버(100)는 배송자 단말장치(200A)가 특정 구역에 진입한 경우, 배송자가 해당 특정 구역에서 배송해야 하는 물품 정보를 근거로 최적 배송 경로를 설정하고, 그 최적 배송 경로를 포함하는 특이정보를 배송자 단말장치(200A)로 전송한다. 이때, 중앙서버(100)는 이전에 특정 구역에 간 배송자들의 배송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최적 배송 경로를 설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특이정보는 최적 배송 경로, 부재시 물품 보관 장소, 특정 구역의 고객이 전송한 메시지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배송 물품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배송 물품 정보는 각 배송 물품에 대한 고객 이름, 주소, 연락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중앙서버(100)는 배송자들이 특정 주소지에 물품을 배송할 때 배송 차량을 어느 지점에 세우고 어떠한 길로 걸어가야 빠르고 편리하게 갈 수 있는지 알 수 있도록 하는 최적 배송 경로를 제공함으로써, 어느 지역에 어떠한 배송자가 배치되더라도 수월하고 빠르게 물품을 배송할 수 있다.
중앙 서버(100)는 배송자 단말장치(200A)가 특정 구역에 진입한 경우, 배송자 위치 안내 정보를 그 특정 구역의 고객 단말장치(200B)로 전송한다. 여기서, 배송자 위치 안내 정보는 배송자의 현재 위치, 배송자의 배송 경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 서버(100)는 배송자 단말장치(200A)로부터 특정 구역의 미배송 물품 정보를 수신하고, 배송자가 특정 구역을 벗어나는 경우, 그 특정 구역의 고객중에서 상기 미배송 물품 정보를 제외한 고객의 단말장치(200B)로 배송 완료 메시지를 일괄 전송한다. 이때, 배송 완료 메시지는 감성 상용구를 포함할 수 있다. 미배송 물품 정보는 해당 특정 구역에서 배송되지 못한 물품 정보일 수 있다. 이처럼 중앙 서버(100)는 배송자들이 해당 특정 구역을 벗어나기만 하면 자동으로 그 구역의 고객들에게 배송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기 때문에, 배송자가 배송 완료 건마다 별도로 메시지를 보내지 않아도 되고, 이로 인해 배송시간을 단축하여 배송 횟수를 늘릴 수 있다.
중앙 서버(100)는 각 배송회사에 설치된 서버, 또는 복수의 배송회사를 통합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다.
한편, 중앙 서버(100)는 단일의 연산 장치로 구현되거나 둘 이상의 연산 장치가 서로 연결된 집합 장치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중앙 서버(100)는, 단일의 서버로 구현되거나 둘 이상의 서버가 연결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중앙 서버(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기로 한다.
배송자 단말장치(200A)는 물품을 고객에게 배송하는 배송자가 보유한 단말기로, GPS 등 위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기능이 있는 단말기일 수 있으며, 기 설정된 일정 주기 또는 실시간으로 현재 위치를 측정하여 중앙 서버(100)로 전송한다.
배송자 단말장치(200A)는 중앙 서버(100)로부터 배송 물품 정보, 해당 특정 구역의 특이정보를 수신한다.
고객 단말장치(200B)는 배송 물품을 수신하는 수취인이 보유한 단말기로, 중앙 서버(100)로부터 배송 안내 정보와 배송자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배송 안내 정보는 배송자 성명, 사진, 연락처, 방문예정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배송자 위치 정보는 배송자의 현재 위치, 배송 경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고객은 수신된 배송 안내 정보 또는 배송자 위치 정보를 통해 물품이 언제 도착할 것인지를 쉽게 알 수 있다.
한편, 배송자 단말장치(200A)와 고객 단말장치(200B)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PDA 등의 전자 장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연산 동작과 데이터 송수신 동작이 가능한 다양한 전자 장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송자 단말장치(200A)와 고객 단말장치(200B)는 기능이 상이할 뿐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이러한 단말장치(2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앙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배송 지원 서비스부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중앙서버(100)는 통신부(110), 데이터베이스(120), 등록 처리부(130), 배송 지원 서비스부(140), 배송 완료 처리부(15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다양한 전자 장치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특히, 통신부(110)는 둘 이상의 단말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배송 물품 정보, 배송자 위치정보, 특정 구역의 특이정보, 미배송 물품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10)는, 다양한 유선 통신 모듈 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양한 무선 또는 유선 통신 규격을 통해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ITU, IEEE, ISO, IEC 등에서 규정하는 다양한 표준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표준 통신 모듈 이외에도 다양한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20)에는 배송 물품 정보, 배송자 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다. 배송 물품 정보는 배송 의뢰된 물품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품목, 송장번호, 수취인의 이름, 연락처, 주소, 발신자의 이름, 전화번호, 주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배송자 정보는 배송자의 이름, 사진, 연락처, 차량정보, 배송 물품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20)에는 특정 지역에서 물품을 배송한 배송자들의 배송 경로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배송 경로 정보는 배송지, 차량 주차 위치, 차량 주차 위치에서 배송지까지의 도보경로 및 도보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배송 경로 정보는 추후, 동일 지역에 물품 배송 예정인 배송자들에게 최적의 배송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등록 처리부(130)는 회원 배송사 서버로부터 배송 물품의 송장번호 및 고객 연락처를 포함하는 배송 물품 정보, 물품을 배송할 배송자의 프로필 정보를 포함하는 배송자 정보를 전송받아 데이터베이스(120)에 등록한다. 배송 물품 정보는 각 배송 물품을 식별할 수 있는 배송사명, 송장번호, 고객 연락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송장번호로 확인 가능한 발송자 정보, 도착지 정보, 물품 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배송자 정보는 배송자의 사진, 소속 회사, 성명, 경력 등의 프로필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배송자의 차량번호, 연락처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회원 배송사 서버는 배송해야 할 물품에 대하여 배송자를 배정하고, 배송 물품에 대한 배송 물품 정보와 배정된 배송자에 대한 배송자 정보를 중앙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중앙 서버(100)는 배송 물품 정보와 배송자 정보를 전송받아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한다.
등록 처리부(130)는 배송 물품 정보와 배송자 정보가 등록되면, 배송자에게 할당된 배송 물품 정보를 배송자 단말장치로 전송하고, 배송자 정보를 포함하는 배송 안내 정보를 해당 고객 단말장치로 전송한다. 배송 안내 정보는 배송자 성명, 사진, 연락처, 방문예정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등록 처리부(130)는 고객 단말장치로부터 새로운 배송 관련 요구 정보가 수신된 경우, 그 배송 관련 요구 정보를 해당 고객의 배송 물품 정보와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120)에 등록할 수 있다. 즉, 배송 안내 정보를 수신한 고객은 부재시 보관장소, 배송지 변경 등의 배송 관련 요구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고객 단말장치는 입력된 배송 관련 요구 정보를 중앙 서버(100)로 전송하고, 등록 처리부(130)는 고객의 배송 관련 요구 정보를 해당 배송 물품 정보와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120)에 등록할 수 있다.
배송 지원 서비스부(140)는 배송자 단말장치가 특정 구역에 진입한 경우, 해당 특정 구역의 배송 물품 정보를 근거로 최적 배송 경로를 설정하고, 설정된 최적 배송 경로를 포함하는 특이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배송자 단말장치로 전송한다. 즉, 배송 지원 서비스부(140)는 배송자 단말장치가 특정 구역에 진입하면, 그 특정구역에서부터 배송지까지 가장 빠르게 갈 수 있는 최적 배송 경로를 설정하여 배송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배송 지원 서비스부(140)는 다른 배송자가 동일 배송지에 배송을 한 이력이 있다면, 그 배송자의 차량 주차 위치, 배송지까지의 도보경로 및 도보시간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배송 경로를 생성해두었다가 배송자 차량의 주차위치, 그 주차위치에서 배송지까지의 최적의 도보 경로를 제공한다.
이러한 배송 지원 서비스부(140)에 대해 도 3을 참조하면, 배송 지원 서비스부(140)는 특정 구역 진입 판단모듈(142), 최적 배송 경로 설정 모듈(144), 정보 제공 모듈(146)을 포함한다.
특정 구역 진입 판단모듈(142)은 배송자 단말장치로부터 위치관련정보가 수신되면, 그 위치관련정보를 근거로 해당 배송자가 물품 배송 예정인 특정 구역에 진입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위치관련정보는 배송자 단말장치의 위치, 이동속도, 이동거리, 정지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고, 특정 구역 진입 판단모듈(142)는 위치 관련 정보를 근거로 차량 이동중, 도보중, 특정 구역 진입중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이동속도가 차량 평균 속도만큼 빠르면 차량 이동중, 배송자 평균 도보 속도만큼 느리면 도보중, 속도가 점차 느려지다가 일시 정지되면 특정구역 진입중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차량의 이동속도와 배송자의 도보 속도는 다르므로, 차량 이동중, 도보중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위치 관련 정보가 배송자 단말장치의 실시간 위치만을 포함하는 경우, 특정 구역 진입 판단모듈(142)은 실시간 위치를 근거로 이동속도, 이동거리, 정지시간 등을 측정할 수 있고, 측정된 정보를 근거로 특정 구역 진입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특정 구역진입 판단모듈(142)은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배송자 단말장치로부터 위치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지만, 배송자 단말장치의 위치를 직접 측정하여 위치 관련 정보를 측정할 수도 있다.
최적 배송 경로 설정 모듈(144)은 해당 배송자가 특정 구역에 진입한 경우, 그 특정 구역의 배송 물품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20)로부터 획득하고, 획득된 배송 물품 정보를 근거로 최적 배송 경로를 설정한다.
이하, 최적 배송 경로 설정 모듈(144)이 최적 배송 경로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최적 배송 경로 설정 모듈(144)은 이전에 그 특정 구역에 간 배송자들의 배송 경로 정보를 활용하여 최적 배송 경로를 설정한다. 이때, 최적 배송 경로 설정 모듈(144)는 동일 구역에서 물품을 배송한 배송자들이 이용한 도보경로의 도보시간, 이용 횟수가 많은 도보경로 등을 이용하여 최적 배송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이처럼 최적 배송 경로 설정 모듈(144)은 특정 구역에 물품 배송을 할 때, 어느 지점에서 하차하여 어떠한 도보경로를 이용하는지에 대해, 특정 구역에 물건을 배송한 다른 배송자들의 배송 경로를 근거로 최적 배송 경로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배송자1, 배송자2, 배송자3가 a빌딩에 배송을 갔는데, 배송자1은 A도보경로로 4분의 도보시간 소요, 배송자2는 B도보경로로 5분의 도보시간 소요, 배송자3은 C도보경로로 6분의 도보시간이 소요된 경우, 배송자1의 A도보경로가 최적 배송 경로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5명의 배송자가 동일한 a빌딩에 배송을 갔는데, 4명이 D도보경로를 이용하고, 1명이 E도보경로를 이용했다면, D도보경로가 최적배송 경로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최적 배송 경로 설정 모듈(144)은 배송 물품의 배송지와 해당 물품을 배송할 배송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최적의 배송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배송자의 위치와 가까운 배송지 순으로 최적 배송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최적 배송 경로는 배송자가 배송 차량에서 하차 후 도보로 배송지들을 찾아갈 때 최적의 도보 경로로, 배송자가 특정 배송지에 물품을 배송할 때 배송 차량을 어느 지점에 세우고 어떠한 길로 걸어가야 빠르고 편하게 갈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어느 지역에 어떠한 배송자가 배치되더라도 수월하고 빠르게 물품을 배송할 수 있다.
정보 제공 모듈(146)은 최적 배송 경로 설정 모듈(144)에서 설정된 최적 배송 경로를 통신부(110)를 통해 해당 배송자 단말장치로 전송한다. 이때, 정보 제공 모듈(146)은 최적 배송 경로를 지도정보에 매칭하여 배송자 단말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정보 제공 모듈(146)은 해당 특정 구역의 고객으로부터 받은 메시지, 고객 부재시 물품 보관 장소에 대한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고객 부재시 물품 보관 장소, 해당 특정 구역의 고객으로부터 받은 메시지 등을 데이터베이스(120)로부터 획득하여 최적 배송 경로와 함께 해당 배송자 단말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정보 제공 모듈(146)은 배송 물품 정보, 최적 배송 경로, 부재시 물품 보관 장소, 특정 구역의 고객이 전송한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지도정보에 매칭하여 배송자 단말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 모듈(146)은 배송자의 위치정보를 해당 고객 단말장치로 전송할 수 있으며, 고객 단말장치에는 배송자의 위치정보가 지도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정보 제공 모듈(146)은 배송자의 위치 정보와 함께 배송 경로 정보, 방문예정시간, 배송자의 성명, 사진, 연락처 등을 고객 단말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정보 제공 모듈(146)은 배송자의 보호를 위해 위치정보 등을 포함하는 배송자 위치 안내 정보를 암호화하여 전송할 수 있다.
정보 제공 모듈(146)은 배송자의 위치와 배송 물품의 배송지가 일치하면, 고객 단말장치로 배송자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중지할 수 있다. 즉, 배송자의 위치 정보가 배송지 정보와 일치한다는 것은 배송 물품의 배송이 처리되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물품의 배송이 완료된 이후 지속적으로 배송자의 위치를 고객에게 알려주는 것은 불필요한 정보 제공일뿐 아니라, 배송자의 정보 유출이 될 수도 있으므로, 배송 완료 시에는 배송자 위치 정보의 전송을 중지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 모듈(146)은 배송자의 현재 위치를 체크하여 배송자가 최적 배송 경로를 따라 배송하고 있는지를 판단하고, 배송자가 최적 배송 경로를 이탈하는 경우 이탈 경보 메시지를 화면상에 표출시키고, 새로운 배송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배송 지원 서비스부(140)는 고객 단말장치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배송자 단말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는 고객의 요청에 의해 처리될 수 있으며, 고객이 외출 중이거나 배송자와 가까운 곳에 있을 때 자신의 위치를 알려 줌으로써, 배송 물품을 직접 수령하도록 할 수 있다. 배송자는 고객의 메시지와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배송지와 다른 곳에 위치한 고객에게 안전하게 배송 물품을 배송할 수 있으며, 고객의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배송 완료 처리부(150)는 배송자 단말장치로부터 해당 특정 구역의 미배송 물품 정보를 수신하고, 배송자가 상기 특정 구역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특정 구역의 고객중에서 미배송 물품 정보를 제외한 고객 단말장치로 배송 완료 메시지를 전송한다. 즉, 배송 완료 처리부(150)는 배송자가 특정구역을 떠나기 전에 배송자 단말장치를 통해 배송이 완료되지 못한 물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은 뒤, 배송자가 그 특정 구역을 떠날 때 배송 완료가 되지 못한 물품의 고객을 제외한 나머지 고객들에게 자동으로 물품 배송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배송 완료 처리부(150)는 배송 완료하지 못한 물품에 대한 고객의 단말장치로 미배송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배송 완료 메시지와 미배송 메시지는 감성 상용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송 완료 처리부(150)는 물품의 배송이 완료되면, 고객 단말장치에 전송한 배송자 정보 및 위치 정보가 고객 단말장치에서 삭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배송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배송자가 예기치 못한 위험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미 제공된 배송자 정보 및 위치 정보도 삭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등록 처리부(130), 배송 지원 서비스부(140), 배송 완료 처리부(150) 각각은 컴퓨팅 장치상에서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각각 구현될 수 있다. 이처럼 등록 처리부(130), 배송 지원 서비스부(140), 배송 완료 처리부(150)는 물리적으로 독립된 각각의 구성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고, 하나의 프로세서 내에서 기능적으로 구분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160)는 통신부(110), 데이터베이스(120), 등록 처리부(130), 배송 지원 서비스부(140), 배송 완료 처리부(150)를 포함하는 중앙 서버(100)의 다양한 구성부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어부(160)는 적어도 하나의 연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연산 장치는 범용적인 중앙연산장치(CPU), 특정 목적에 적합하게 구현된 프로그래머블 디바이스 소자(CPLD, FPGA), 주문형 반도체 연산장치(ASIC) 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칩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장치(200)는 통신부(210), 입력부(220), 디스플레이부(230), 저장부(240), 배송 관리 앱 서비스부(250), 제어부(26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다양한 전자 장치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10)는 단말 장치(200), 중앙 서버와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입력부(22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입력부(220)는, 특히 배송 완료 여부, 배송 관련 요구 정보를 입력받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220)는, 키패드, 터치 패널 등의 입력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입력 장치 이외에도 다양한 입력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220)는 디스플레이부(230)와 일체를 이루는 터치 스크린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30)는 단말장치(20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구성이다. 디스플레이부(230)는 최적 배송 경로, 특정 구역의 특이정보, 배송자 위치 안내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230)는 LCD, LED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240)는 단말장치(200)의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저장부(240)는 배송 관리 앱, UI를 구현하기 위한 데이터, 통신부(210)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 입력부(220)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240)는 다양한 종류의 메모리 소자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배송 관리 앱 서비스부(250)는 사용자의 종류(배송자 또는 고객)에 따라 다르게 동작한다. 즉, 배송 관리 앱 서비스부(250)는 사용자가 배송자인 경우 배송자용 모듈로 동작하고, 고객인 경우 고객용 모듈로 동작한다.
이러한 배송 관리 앱 서비스부(250)는 인증모듈(252), 배송자용 모듈(254), 고객용 모듈(256)을 포함한다.
인증모듈(252)은 저장부(240)에 저장된 배송 관리 앱이 실행되면, 로그인 정보를 근거로 해당 사용자가 배송자 또는 고객인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로그인 정보는 단말 식별정보, ID/비밀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증모듈(252)의 판단결과 해당 사용자가 배송자인 경우, 배송자용 모듈(254)이 동작하고, 고객인 경우 고객용 모듈(256)이 동작한다.
배송자용 모듈(254)은 단말장치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여 통신부(210)를 통해 중앙 서버로 전송하고, 중앙 서버로부터 해당 특정 구역의 배송 물품정보, 해당 특정 구역의 특이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배송자용 모듈(254)은 GPS 방식, 기지국 방식 등의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단말장치의 현재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배송자용 모듈(254)는 현재 위치만을 중앙서버로 전송할 수도 있지만, 실시간으로 측정된 위치를 근거로 이동속도, 이동거리, 정지시간 등을 산출하여 현재 위치와 함께 중앙 서버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배송자용 모듈(254)은 중앙 서버로부터 최적 배송 경로가 수신되면, 최적 배송 경로를 지도상에 표시하여 디스플레이부(230)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배송자는 디스플레이된 최적 배송 경로를 보고 배송 경로를 변경할 수 있다. 즉, 배송자용 모듈(254)은 배송 경로 변경 메뉴 항목을 제공하며, 배송 경로 변경 메뉴 항목을 클릭하여 최적 배송 경로를 원하는 배송 경로로 변경할 수 있다. 배송자가 배송 경로 변경 메뉴 항목을 클릭하면, 화면상에 현재 설정된 최적 배송 경로를 갖는 지도가 디스플레이되고, 그 지도상에 배송 위치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그러므로, 배송자는 배송 위치 아이콘을 지도상의 원하는 위치로 옮긴 후 완료 명령을 내리면 배송 경로가 다시 설정된다.
배송자용 모듈(254)은 배송 물품 정보, 최적 배송 경로, 부재시 물품 보관 장소, 특정 구역의 고객이 전송한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지도상에 표시하여 디스플레이부(230)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최적 배송 경로에는 물품을 배송할 배송지들이 표시되어 있고, 각 배송지들에는 배송 물품이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고객으로부터 받은 배송 관련 요구 정보가 존재하는 배송지의 경우, 해당 배송지에는 배송 관련 요구 정보의 존재를 나타내는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배송자가 특정 배송지의 아이콘을 선택하면, 그 배송지에 설정된 배송 관련 요구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배송자용 모듈(254)은 배송자의 현재 위치를 체크하여 배송자가 배송 경로에 따라 배송하고 있는지를 판단하고, 배송 경로를 이탈하는 경우 이탈 경보 메시지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고, 새로운 경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배송자용 모듈(254)은 해당 특정 구역에서의 미배송 물품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중앙 서버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배송자용 모듈(254)은 실시간으로 측정된 위치를 근거로 이동속도, 이동거리, 정지시간 등을 산출하고, 산출된 정보를 근거로 해당 배송자가 물품 배송 예정인 특정 구역에 진입하였는지를 판단한다. 그 판단결과, 특정 구역에 진입한 경우, 배송자용 모듈(254)은 해당 특정 구역의 배송 물품 정보를 근거로 최적 배송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배송자용 모듈(254)는 이전에 그 특정 구역에 간 배송자들의 배송 경로 정보를 활용하여 최적 배송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그런 후, 배송자용 모듈(254)은 설정된 최적 배송 경로를 화면상에 지도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해당 특정 구역에 부재시 물품 보관 장소, 특정 구역의 고객이 전송한 메시지 등이 존재하는 경우, 배송자용 모듈은 그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고객용 모듈(256)은 물품을 발송 또는 수신하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동작한다.
고객용 모듈(256)은 중앙 서버로부터 배송 안내 정보가 수신되면, 그 배송 안내 정보를 가공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배송 안내 정보는 배송자 이름, 사진, 연락처, 배송 예정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배송 안내 정보는 배송 관련 요구 정보 입력 명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객은 배송 관련 요구 정보 입력 명령을 선택하여, 부재시 보관장소, 배송지 변경 등을 포함하는 배송 관련 요구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고객용 모듈(256)은 입력된 배송 관련 요구 정보를 중앙 서버로 전송한다.
고객용 모듈(256)은 중앙 서버로부터 배송자 위치 안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고객용 모듈(256)은 외출 중이거나 배송자와 가까운 곳에 있을 때 자신의 위치를 중앙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배송 물품을 직접 수령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배송 관리 앱 서비스부(250)는 컴퓨팅 장치상에서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각각 구현될 수 있다. 이처럼 배송 관리 앱 서비스부(250)는 물리적으로 독립된 각각의 구성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고, 하나의 프로세서 내에서 기능적으로 구분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260)는 통신부(210), 입력부(220), 디스플레이부(230), 저장부(240), 배송 관리 앱 서비스부(250)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200)의 다양한 구성부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어부(260)는 적어도 하나의 연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연산 장치는 범용적인 중앙연산장치(CPU), 특정 목적에 적합하게 구현된 프로그래머블 디바이스 소자(CPLD, FPGA), 주문형 반도체 연산장치(ASIC) 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칩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송자의 위치정보를 활용한 물품 배송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중앙서버는 배송 물품 정보, 각 물품을 배송할 배송자 정보가 등록되면(S502), 배송자에게 할당된 배송 물품 정보를 배송자 단말장치로 전송한다(S504).
S504가 수행되면, 배송자 단말장치는 현재 위치를 측정하여 중앙 서버로 전송하고(S506), 중앙 서버는 배송자 단말장치의 위치 이동을 근거로 물품 배송 예정인 특정 구역에 도착하였는지를 판단한다(S508).
S508 판단결과, 특정 구역에 도착한 경우, 중앙 서버는 해당 특정 구역의 배송 물품 정보를 획득하고(S510), 획득된 배송 물품 정보를 근거로 최적 배송 경로를 설정한다(S512). 이때, 중앙 서버는 이전에 그 특정 구역에 간 배송자들이 이용했던 도보경로 및 도보시간, 이용 횟수가 많은 도보경로 등을 이용하여 최적 배송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그런 후, 중앙 서버는 설정된 최적 배송 경로를 포함하는 특정 구역의 특이정보를 배송자 단말장치로 전송한다(S514). 특이정보는 최종 배송 경로를 포함할 수 있고, 부재시 물품 보관 장소, 상기 특정 구역의 고객이 전송한 메시지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배송자 단말장치는 배송 관리 앱을 통해 특이정보의 수신을 알리고(S516), 배송자의 선택에 의해 특이정보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S518). 이때, 최적 배송 경로를 포함하는 특이정보는 지도형태로 디스플레이되고, 최적 배송 경로상에 배송지들이 표시된다. 배송자들이 이동함에 따라 지도상에 표시된 배송지들중에서 접근 또는 현재 배송지에는 현재 배송지임을 의미하는 표식이 표시될 수 있고, 다음 배송지에는 다음 배송지를 의미하는 표식이 표시될 수 있다.
배송자는 최적 배송 경로를 따라 해당 배송지에 해당 물품을 배송하고, 배송 완료 여부 정보를 입력한다(S520). 즉, 배송자는 배송 완료된 물품의 경우 배송 완료를 입력하거나, 방문하였으나 배송되지 못한 물품의 경우 미배송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배송자는 지도상에 표시된 배송지에서 바로 배송 완료 여부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물품을 받은 고객으로부터 수신한 서명으로 배송 완료 여부 정보를 대신할 수도 있다. 배송자 단말장치는 배송 완료된 배송지(또는 물품)의 경우 배송 완료를 표시하고, 방문하였으나 배송되지 못한 배송지(또는 물품)의 경우 미배송을 표시, 배송 예정인 배송지(또는 물품)의 경우, 배송 예정을 표시할 수 있다.
배송자 단말장치는 특정 구역의 마지막 배송지까지 배송 완료 여부 정보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한다(S522).
S522의 판단결과, 마지막 배송지까지 배송 완료 여부 정보가 입력되었으면, 배송자 단말장치는 미배송 물품 정보를 중앙서버로 전송한다(S524). 이때, 배송자 단말장치는 배송 완료 물품 정보를 중앙서버로 전송할 수도 있다.
중앙 서버는 특정 구역의 고객중에서 상기 미배송 물품 정보를 제외한 고객 단말장치로 배송 완료 메시지를 전송한다(S526).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객의 물품 배송 서비스를 위한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중앙서버는 배송 물품 정보, 각 물품을 배송할 배송자 정보가 등록되면(S602), 배송자 정보를 포함하는 배송 안내 정보를 고객 단말장치로 전송한다(S604). 배송 안내 정보는 배송자 이름, 사진, 연락처, 배송 예정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배송 안내 정보는 배송 관련 요구 정보 입력 명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객은 배송 관련 요구 정보 입력 명령을 선택하여, 부재시 보관장소, 배송지 변경 등을 포함하는 배송 관련 요구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고객 단말장치는 배송 관련 요구 정보가 입력되면(S606), 입력된 배송 관련 요구 정보를 중앙 서버로 전송한다(S608).
중앙 서버는 고객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배송 관련 요구 정보를 해당 배송 물품 정보와 매칭시켜 저장한다(S610).
그런 후, 중앙 서버는 배송자가 특정 구역에 진입하면(S612), 배송자 위치 안내 정보를 고객 단말장치로 전송한다(S614).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송자의 위치정보를 활용한 물품 배송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중앙서버는 배송 물품 정보, 각 물품을 배송할 배송자 정보가 등록되면(S702), 배송자에게 할당된 배송 물품 정보를 배송자 단말장치로 전송한다(S704).
S704가 수행되면, 배송자 단말장치는 현재 위치를 측정하고(S706), 측정된 위치를 근거로 이동속도, 이동거리, 정지시간 등을 산출하여, 배송자가 물품 배송 예정인 특정 구역에 진입하였는지를 판단한다(S708).
S708 판단결과, 특정 구역에 진입한 경우, 배송자 단말장치는 해당 특정 구역의 배송 물품 정보를 획득하고(S710), 획득된 배송 물품 정보를 근거로 최적 배송 경로를 설정한다(S712). 이때, 배송자 단말장치는 이전에 그 특정 구역에 간 배송자들이 이용했던 도보경로 및 도보시간, 이용 횟수가 많은 도보경로 등을 이용하여 최적 배송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배송자 단말장치는 최적 배송 경로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S714). 이때, 최적 배송 경로는 지도형태로 디스플레이되고, 최적 배송 경로상에 배송지들이 표시된다. 또한, 해당 특정 구역에 부재시 물품 보관 장소, 특정 구역의 고객이 전송한 메시지 등이 존재하는 경우, 배송자 단말장치는 그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배송자는 최적 배송 경로를 따라 해당 배송지에 해당 물품을 배송하고, 배송 완료 여부 정보를 입력하면(S716), 배송자 단말장치는 특정 구역의 마지막 배송지까지 배송 완료 여부 정보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한다(S718).
S718의 판단결과, 마지막 배송지까지 배송 완료 여부 정보가 입력되었으면, 배송자 단말장치는 미배송 물품 정보를 중앙서버로 전송한다(S720). 이때, 배송자 단말장치는 배송 완료 물품 정보를 중앙서버로 전송할 수도 있다.
중앙 서버는 특정 구역의 고객중에서 상기 미배송 물품 정보를 제외한 고객 단말로 배송 완료 메시지를 전송한다(S722).
이러한 위치정보를 활용한 물품 배송 서비스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위치정보를 활용한 물품 배송 서비스 방법에 관한 프로그램은 전자장치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전자장치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그 범위를 제한해놓은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순서도들은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가장 바람직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도시된 순차적인 순서에 불과하며, 다른 추가적인 단계들이 제공되거나, 일부 단계가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기술적 특징과 이를 실행하는 구현물은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 등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기술적 특징을 실행하는 구현물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또는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에 관한 모듈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버"나 "시스템"이라 함은 예를 들어, 프로세서, 컴퓨터 또는 다중 프로세서나 컴퓨터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모든 기구, 장치 및 기계를 모두 포함한다. 처리 시스템은, 하드웨어에 부가하여 예를 들어, 프로세서 펌웨어를 구성하는 코드,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운영 제체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 등 요청 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환경을 형성하는 모든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스크립트 또는 코드 등으로 알려진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파일 되거나 해석된 언어 또는 선험적,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또는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시스템과 위치정보를 활용한 물품 배송 서비스 방법은 하드웨어 또는 특정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적합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하드웨어는 개인용 컴퓨터, 이동통신 단말기 등과 같은 범용 컴퓨터 디바이스와 기업형 특정 컴퓨터 디바이스를 모두 포함하며, 컴퓨터 디바이스는 메모리,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콘트롤러,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집적 회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프로그래머블 어레이 조직 등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기술한 컴퓨터 소프트웨어, 명령어, 코드 등은 판독 가능한 디바이스에 의해 저장 또는 접근될 수 있으며, 여기서 판독 가능한 디바이스는 일정 시간 간격 동안 컴퓨팅하는데 사용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구비하는 컴퓨터 컴포넌트, RAM 또는 ROM과 같은 반도체 스토리지, 광디스크와 같은 영구적인 스토리지, 하드 디스크, 테이프, 드럼 등과 같은 대용량 스토리지, CD 또는 DVD와 같은 광 스토리지, 플래시 메모리, 플로피 디스크, 자기 테이프, 페이퍼 테이프, 독립형 RAM 디스크, 컴퓨터로부터 착탈 가능한 대용량 스토리지와 동적 메모리, 정적 메모리, 가변 스토리지, 클라우드와 같은 네트워크 접속형 스토리지 등과 같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명령어와 코드 등은 SQL, dBase 등과 같은 데이터 지향 언어, C, Objective C, C++, 어셈블리 등과 같은 시스템 언어, Java, NET 등과 같은 아키텍처 언어, PHP, Ruby, Perl, Python 등과 같은 애플리케이션 언어 등과 같은 언어들을 모두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진 언어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매체"는 프로그램 실행을 위해 명령어를 프로세서로 제공하는데 기여하는 모든 매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스토리지 디바이스, 광디스크, 자기 디스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매체, 동적 메모리 등과 같은 휘발성 매체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축 케이블, 구리 와이어, 광섬유 등과 같은 전송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블록도와 순서도에 포함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실행하는 구성들은 상기 구성들 사이의 논리적인 경계를 의미한다.
그러나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도시된 구성들과 그 기능들은 독립형 소프트웨어 모듈, 모놀리식 소프트웨어 구조, 코드, 서비스 및 이들을 조합한 형태로 실행되며,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 명령어 등을 실행할 수 있는 프로세서를 구비한 컴퓨터에서 실행 가능한 매체에 저장되어 그 기능들이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모든 실시 예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과 그에 대한 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하기는 하나, 이러한 기술적 특징을 구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특정 배열이 분명하게 언급되지 않는 한, 단순히 추론되어서는 안된다. 즉, 이상에서 기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이 존재할 수 있으며, 그러한 실시 예들이 본 발명과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보유하면서 일부 변형될 수 있으므로, 이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또한, 순서도의 경우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가장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것으로서, 도시된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반드시 실행되어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반드시 실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 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의해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실시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중앙서버 110, 210 : 통신부
120 : 데이터베이스 130 : 등록 처리부
140 : 배송 지원 서비스부 142 : 특정 구역 진입 판단모듈
144 : 최적 배송 경로 설정 모듈 146 : 정보 제공 모듈
150 : 배송 완료 처리부 200 : 단말장치
220 : 입력부 230 : 디스플레이부
240 : 저장부 250 : 배송 관리 앱 서비스부
252 : 인증모듈 254 : 배송자용 모듈
256 : 고객용 모듈

Claims (23)

  1. 중앙 서버가 물품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배송자 단말장치의 현재 위치, 이동속도, 이동거리, 정지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치관련정보를 근거로 차량 이동, 도보, 특정 구역 진입 중 현재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배송자 단말장치가 특정 구역에 진입한 경우, 특정 구역의 배송 물품 정보를 근거로 최적 배송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설정된 최적 배송 경로를 지도정보에 매칭하여 상기 배송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특정 구역의 고객으로부터 받은 메시지, 고객 부재시 물품 보관 장소, 배송지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배송 관련 요구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배송 관련 요구 정보를 상기 지도정보의 해당 배송지와 매칭시켜 상기 배송자 단말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최적 배송 경로는 차량 주차 위치, 차량 주차 위치에서 배송지까지의 도보경로를 포함하고, 이전에 상기 특정 구역에 간 배송자들의 차량 주차 위치, 배송지까지의 도보경로 및 도보시간을 고려하여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를 활용한 물품 배송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배송 물품 정보, 각 물품을 배송할 배송자 정보를 등록받는 단계; 및
    상기 배송자에게 할당된 배송 물품 정보를 상기 배송자 단말장치로 전송하고, 배송자 정보를 포함하는 배송 안내 정보를 해당 고객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위치정보를 활용한 물품 배송 서비스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 안내정보는 배송자 성명, 사진, 연락처, 방문예정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를 활용한 물품 배송 서비스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후,
    상기 배송자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특정 구역에서의 미배송 물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배송자 단말장치가 상기 특정 구역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특정 구역의 고객중에서 상기 미배송 물품 정보를 제외한 고객 단말장치로 배송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위치정보를 활용한 물품 배송 서비스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후,
    해당 물품을 배송하는 배송자의 위치정보를 해당 고객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위치정보를 활용한 물품 배송 서비스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후,
    상기 배송자 단말장치의 현재 위치가 상기 최적 배송 경로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최적 배송 경로를 이탈하는 경우 새로운 최적 배송 경로를 설정하여 경로 이탈 경보 메시지와 함께 상기 배송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위치정보를 활용한 물품 배송 서비스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배송자 단말장치가 물품 배송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현재 위치를 측정하여 중앙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중앙 서버로부터 해당 특정 구역의 배송 물품 정보 및 최적 배송 경로가 표시된 지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c) 상기 지도정보에서 특정 배송지와 매칭된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특정 배송지에 설정된 배송 관련 요구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중앙 서버가 차량 이동 중, 도보중, 특정 구역 진입 중인지의 현재 상태를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현재 위치를 근거로 이동속도, 이동거리, 정지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여 상기 현재 위치와 함께 상기 중앙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최적 배송 경로는 차량 주차 위치, 차량 주차 위치에서 배송지까지의 도보경로를 포함하고, 이전에 상기 특정 구역에 간 배송자들의 차량 주차 위치, 배송지까지의 도보경로 및 도보시간을 고려하여 설정된 것이며,
    상기 지도정보에는 고객으로부터 받은 메시지, 고객 부재시 물품 보관 장소, 배송지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배송 관련 요구 정보가 해당 배송지의 아이콘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를 활용한 물품 배송 서비스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
    상기 특정 구역의 마지막 배송지까지 배송 완료 여부 정보가 입력된 경우, 상기 특정 구역에서의 미배송 물품 정보를 상기 중앙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위치정보를 활용한 물품 배송 서비스 방법.
  12. 현재 위치를 측정하여 중앙 서버로 전송하는 배송자 단말장치;
    상기 배송자 단말장치의 현재 위치, 이동속도, 이동거리, 정지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치관련정보를 근거로 차량 이동, 도보, 특정 구역 진입 중 현재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배송자 단말장치의 현재 위치가 특정 구역에 진입한 경우, 상기 특정 구역의 배송 물품 정보를 근거로 최적 배송 경로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최적 배송 경로를 포함하는 특이정보를 지도정보에 매칭하여 상기 배송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중앙 서버;및
    상기 중앙 서버로부터 배송 안내 정보 또는 배송자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고객 단말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특정 구역의 고객으로부터 받은 메시지, 고객 부재시 물품 보관 장소, 배송지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배송 관련 요구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배송 관련 요구 정보를 상기 지도정보의 해당 배송지와 매칭시켜 상기 배송자 단말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최적 배송 경로는 차량 주차 위치, 차량 주차 위치에서 배송지까지의 도보경로를 포함하고, 이전에 상기 특정 구역에 간 배송자들의 차량 주차 위치, 배송지까지의 도보경로 및 도보시간을 고려하여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를 활용한 물품 배송 서비스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서버는 배송 물품 정보 및 각 물품을 배송할 배송자 정보가 등록되면, 해당 배송자에게 할당된 배송 물품 정보를 상기 배송자 단말장치로 전송하고, 배송자 정보를 포함하는 배송 안내 정보를 상기 고객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를 활용한 물품 배송 서비스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배송자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특정 구역에서의 미배송 물품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배송자 단말장치가 상기 특정 구역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특정 구역의 고객중에서 상기 미배송 물품 정보를 제외한 고객 단말장치로 배송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를 활용한 물품 배송 서비스 시스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배송자 단말장치가 상기 특정 구역에 진입한 경우, 상기 특정 구역의 고객 단말장치로 배송자 위치 안내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를 활용한 물품 배송 서비스 시스템.


  16. 삭제
  17. 배송자 단말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 및
    상기 배송자 단말장치의 현재 위치, 이동속도, 이동거리, 정지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치관련정보를 근거로 차량 이동, 도보, 특정 구역 진입 중 현재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배송자 단말장치가 특정 구역에 진입한 경우, 해당 특정 구역의 배송 물품 정보를 근거로 최적 배송 경로를 설정하고, 설정된 최적 배송 경로를 포함하는 특이정보를 지도정보에 매칭하여 통신부를 통해 배송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배송 지원 서비스부;를 포함하되,
    상기 배송 지원 서비스부는, 상기 특정 구역의 고객으로부터 받은 메시지, 고객 부재시 물품 보관 장소, 배송지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배송 관련 요구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배송 관련 요구 정보를 상기 지도정보의 해당 배송지와 매칭시켜 상기 배송자 단말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최적 배송 경로는 차량 주차 위치, 차량 주차 위치에서 배송지까지의 도보경로를 포함하고, 이전에 상기 특정 구역에 간 배송자들의 차량 주차 위치, 배송지까지의 도보경로 및 도보시간을 고려하여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서버.
  18. 제17항에 있어서,
    배송 물품 정보 및 각 물품을 배송할 배송자 정보가 등록되면, 해당 배송자에게 할당된 배송 물품 정보를 상기 배송자 단말장치로 전송하고, 배송자 정보를 포함하는 배송 안내 정보를 고객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등록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중앙 서버.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처리부는 상기 고객 단말장치로부터 새로운 배송 관련 요구 정보가 수신된 경우, 그 배송 관련 요구 정보를 해당 고객의 배송 물품 정보와 매칭시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서버.


  20. 삭제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자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특정 구역에서의 미배송 물품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배송자 단말장치가 상기 특정 구역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특정 구역의 고객중에서 상기 미배송 물품 정보를 제외한 고객 단말장치로 배송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는 배송 완료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중앙 서버.


  22. 삭제
  23. 삭제
KR1020150120426A 2015-08-26 2015-08-26 위치정보를 활용한 물품 배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709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0426A KR101709193B1 (ko) 2015-08-26 2015-08-26 위치정보를 활용한 물품 배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0426A KR101709193B1 (ko) 2015-08-26 2015-08-26 위치정보를 활용한 물품 배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9193B1 true KR101709193B1 (ko) 2017-02-22

Family

ID=58314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0426A KR101709193B1 (ko) 2015-08-26 2015-08-26 위치정보를 활용한 물품 배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9193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79339A (zh) * 2016-11-29 2017-05-31 捷开通讯(深圳)有限公司 一种智能快递方法及系统
KR101880040B1 (ko) * 2017-03-07 2018-07-19 (주)리드콜 전자지도를 활용한 그래픽 방식의 배송구역 설정을 통한 배송여부 판별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933073B1 (ko) * 2017-11-06 2018-12-27 씨제이대한통운(주) 배송 정보 제공 방법 및 서버
JP2019004207A (ja) * 2017-06-12 2019-01-10 ネオス株式会社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およびインターホンプログラム
KR101972376B1 (ko) * 2018-01-23 2019-04-25 주식회사 프레시코드 신선식품 배송경로 결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KR20190074636A (ko) 2017-12-20 2019-06-28 이서진 자전거 이동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KR20200032322A (ko) * 2018-09-18 2020-03-26 (주)플리즈 경로 안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102160199B1 (ko) * 2020-05-19 2020-09-25 이채령 지도 기반의 배송 관리 서비스를 실행시키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서버
KR20200112266A (ko) * 2019-03-21 2020-10-05 씨제이대한통운 (주) 배송 서비스 시스템
WO2021210758A1 (ko) * 2020-04-17 2021-10-21 주식회사 메쉬코리아 무선 단말을 통한 주차 위치 결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와 무선 단말
KR102532533B1 (ko) * 2022-11-21 2023-05-15 주식회사 공감파트너스 클라우드 기반 배달 대행 정보 처리 관제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WO2024014596A1 (ko) * 2022-07-13 2024-01-18 쿠팡 주식회사 배송 관련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9095A (ko) * 2003-10-23 2005-04-29 한명국 우편물 도착예보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35906A (ko) * 2006-10-20 2008-04-24 홍석표 위치추적을 이용한 물류배송시스템
KR20110060786A (ko) * 2009-11-30 2011-06-08 김기용 서비스 중개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40099789A (ko) 2013-02-04 2014-08-13 박중제 대화형 택배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9095A (ko) * 2003-10-23 2005-04-29 한명국 우편물 도착예보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35906A (ko) * 2006-10-20 2008-04-24 홍석표 위치추적을 이용한 물류배송시스템
KR20110060786A (ko) * 2009-11-30 2011-06-08 김기용 서비스 중개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40099789A (ko) 2013-02-04 2014-08-13 박중제 대화형 택배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79339A (zh) * 2016-11-29 2017-05-31 捷开通讯(深圳)有限公司 一种智能快递方法及系统
KR101880040B1 (ko) * 2017-03-07 2018-07-19 (주)리드콜 전자지도를 활용한 그래픽 방식의 배송구역 설정을 통한 배송여부 판별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2019004207A (ja) * 2017-06-12 2019-01-10 ネオス株式会社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およびインターホンプログラム
KR101933073B1 (ko) * 2017-11-06 2018-12-27 씨제이대한통운(주) 배송 정보 제공 방법 및 서버
WO2019088742A1 (en) * 2017-11-06 2019-05-09 Cj Logistics Corporation Delivery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and server
KR20190074636A (ko) 2017-12-20 2019-06-28 이서진 자전거 이동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KR101972376B1 (ko) * 2018-01-23 2019-04-25 주식회사 프레시코드 신선식품 배송경로 결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KR102141915B1 (ko) 2018-09-18 2020-08-06 (주)피엘지 경로 안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20200032322A (ko) * 2018-09-18 2020-03-26 (주)플리즈 경로 안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20200112266A (ko) * 2019-03-21 2020-10-05 씨제이대한통운 (주) 배송 서비스 시스템
KR102240997B1 (ko) * 2019-03-21 2021-04-16 씨제이대한통운 (주) 배송 서비스 시스템
WO2021210758A1 (ko) * 2020-04-17 2021-10-21 주식회사 메쉬코리아 무선 단말을 통한 주차 위치 결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와 무선 단말
KR20210128716A (ko) * 2020-04-17 2021-10-27 주식회사 메쉬코리아 무선 단말을 통한 주차 위치 결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와 무선 단말
KR102388145B1 (ko) * 2020-04-17 2022-04-19 주식회사 메쉬코리아 무선 단말을 통한 주차 위치 결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와 무선 단말
KR102160199B1 (ko) * 2020-05-19 2020-09-25 이채령 지도 기반의 배송 관리 서비스를 실행시키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서버
WO2024014596A1 (ko) * 2022-07-13 2024-01-18 쿠팡 주식회사 배송 관련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KR102532533B1 (ko) * 2022-11-21 2023-05-15 주식회사 공감파트너스 클라우드 기반 배달 대행 정보 처리 관제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9193B1 (ko) 위치정보를 활용한 물품 배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10638297B2 (en) Determining service provider performance with ranged transmissions
US20210019699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uav) delivery with drop beacon
US20160350837A1 (en) Intelligent delivery queuing
KR101955527B1 (ko) 배송기사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12017344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delivery flexibility and communication
US201402792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Order Processing Using Customer Location Information
KR102240997B1 (ko) 배송 서비스 시스템
US11055654B2 (en) Packet delivery management
KR101933073B1 (ko) 배송 정보 제공 방법 및 서버
JP2019074926A (ja) 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管理装置、無人運転装置およびサーバ
KR20140023013A (ko) 택배서비스 운용방법 및 택배시스템
KR20140114804A (ko) 택배서비스 운용방법 및 택배시스템
KR20170050227A (ko) 사용자 연결형 배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WO2015182200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提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9008028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delivery
WO2017210292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generating delivery destinations, times and routes
KR20120026410A (ko) 택배위치추적 서비스 방법 및 서버
KR20200112265A (ko) 배송 서비스 시스템
KR20150028479A (ko) 지하철을 이용한 물품 배송 시스템
KR101796147B1 (ko) 무인 접수기의 물품 집하 대행 서비스를 통한 무인 우편/택배 서비스 방법 및 이의 시스템
US2018033031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Updating Stored Lists Based on Contemporaneous Location Data Associated with Client Devices
KR20200016314A (ko) 방문 택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200342525A1 (en) Third party carrier management
KR20140148184A (ko) 위치 정보를 이용한 안심 택배 정보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