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8025A - 종합수배송 공유 방법 - Google Patents

종합수배송 공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8025A
KR20200088025A KR1020190004504A KR20190004504A KR20200088025A KR 20200088025 A KR20200088025 A KR 20200088025A KR 1020190004504 A KR1020190004504 A KR 1020190004504A KR 20190004504 A KR20190004504 A KR 20190004504A KR 20200088025 A KR20200088025 A KR 202000880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ort
cargo
shipping
transportation
p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4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완식
Original Assignee
정완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완식 filed Critical 정완식
Priority to KR1020190004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8025A/ko
Publication of KR20200088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80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5Relationships between shipper or supplier and carri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7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4Choice of carriers
    • G06Q10/08345Pricing
    • G06Q50/28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수배송 통합 관리 서버가, 화주 및 운송기사를 회원 가입받는 운송기사 회원가입 과정; 상기 수배송 통합 관리 서버가, 화주가 사용하는 화주 단말기로부터 운송 요청정보를 입력받는 운송 요청정보 입력 과정; 상기 수배송 통합 관리 서버가, 상기 운송 요청정보에 매칭되는 운송 권장(확정) 가격을 산출하는 운송 권장(확정) 가격 산출 과정; 상기 수배송 통합 관리 서버가, 운송 권장(확정) 가격을 상기 화주 단말기에 제공하는 운송 권장(확정) 가격 제공 과정; 상기 화주 단말기가, 상기 수배송 통합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운송 권장(확정) 가격을 표시하는 운송 권장(확정) 가격 표시 과정; 화주가 운송 권장(확정) 가격에 동의하는 경우, 상기 화주 단말기가, 화물 운송을 상기 수배송 통합 관리 서버로 의뢰하는 화물 운송 의뢰 과정; 화주로부터 운송 의뢰가 있는 경우, 상기 수배송 통합 관리 서버가, 의뢰된 화물을 운송할 운송기사를 배정하여 배정된 운송기사 단말기에 운송 지시를 하는 운송 지시 과정; 화물 운송이 완료되어 화물 인수자 단말기로부터 화물 인수 확인되는 경우, 상기 수배송 통합 관리 서버가, 미리 등록된 화주의 결제계좌 또는 금융카드를 이용하여 운송 비용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운송 비용 결제 과정; 및 상기 수배송 통합 관리 서버가, 운송기사의 운송 운임을 정산하여 지급하는 운송 운임 정산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종합수배송 공유 방법{Method for sharing total delivery taking}
본 발명은 종합수배송 공유 방법으로서, 화물을 수배송하는 종합수배송 공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의 물류운송시스템은 중앙의 데이터베이스서버에 개별 운송업체의 모든 업무자료가 입력 저장되는 정보통제형으로 설계되어, 화주가 중앙의 데이터베이스서버로 운송할 화물과 수화주를 입력하면 회원 등록된 개별 운송업체에게 운송의뢰정보를 전송시켜 운송지시하고, 개별 운송업체는 공차 대기중인 차량을 확인하여 운송의뢰한 화주의 화물을 해당 수화주에게 운송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중앙의 데이터베이스서버를 통한 종래의 물류운송시스템에서는 필수적으로 개별 운송업체의 모든 업무자료가 일괄적으로 입력 저장되어야만 하였으며, 이는 사용자 환경 및 업계 정서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요구(Needs)가 결여된 이상적 물류운송모델로서 실질적으로 물류시장 안착에 실패를 할 수 밖에 없었다.
즉, 중앙집중식 및 중앙 데이터베이스 정보통제형 시스템에 모든 개별 운송업체의 모든 업무자료가 정보 통제형으로 설계되어, 통신네트워크의 단절시나 중앙의 데이터베이스서버인 주관사업자의 정보접근권한임의 통제시에는 각각의 개별 운송업체가 전혀 대처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모든 영업정보가 주관사업자에게 공개되어 버린다는 치명적인 한계가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이와 같이 기존의 많은 주선프로그램이 있지만 화물의 종류, 대소, 양태, 성질, 시급성, 운송수단, 해외운송 등의 화물운송 전체를 커버하고 종합하여 주선하는 프로그램이 없어 화물의 특성에 따라 각각 다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10-2000-0072528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화물의 특성에 따라 각각 다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수배송 통합 관리 서버가, 화주 및 운송기사를 회원 가입받는 운송기사 회원가입 과정; 상기 수배송 통합 관리 서버가, 화주가 사용하는 화주 단말기로부터 운송 요청정보를 입력받는 운송 요청정보 입력 과정; 상기 수배송 통합 관리 서버가, 상기 운송 요청정보에 매칭되는 운송 권장(확정) 가격을 산출하는 운송 권장(확정) 가격 산출 과정; 상기 수배송 통합 관리 서버가, 운송 권장(확정) 가격을 상기 화주 단말기에 제공하는 운송 권장(확정) 가격 제공 과정; 상기 화주 단말기가, 상기 수배송 통합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운송 권장(확정) 가격을 표시하는 운송 권장(확정) 가격 표시 과정; 화주가 운송 권장(확정) 가격에 동의하는 경우, 상기 화주 단말기가, 화물 운송을 상기 수배송 통합 관리 서버로 의뢰하는 화물 운송 의뢰 과정; 화주로부터 운송 의뢰가 있는 경우, 상기 수배송 통합 관리 서버가, 의뢰된 화물을 운송할 운송기사를 배정하여 배정된 운송기사 단말기에 운송 지시를 하는 운송 지시 과정; 배정받은 운송기사가 사용하는 운송기사 단말기가, 운송의뢰 받은 화물을 인수받은 운송기사로부터 화물 인수 확인받는 화물 인수 확인 과정; 화물 운송이 완료되어 화물 인수자 단말기로부터 화물 인수 확인되는 경우, 상기 수배송 통합 관리 서버가, 미리 등록된 화주의 결제계좌 또는 금융카드를 이용하여 운송 비용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운송 비용 결제 과정; 및 상기 수배송 통합 관리 서버가, 운송기사의 운송 운임을 정산하여 지급하는 운송 운임 정산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송 권장(확정) 가격 산출 과정은, 운송 요청된 화물의 종류, 수량, 무게, 도착필요 일정, 목적지, 화물 인수자, 거리에 따라 운송 권장(확정) 가격이 산출되며, 화물을 운송하는데 필요한 운송 제한 조건이 많이 부가될수록 운송 권장(확정) 가격이 높게 산출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운송 권장(확정) 가격 산출 과정은, 화물운송 거리가 길어 수배송효율이 떨어지는 경우 중간기착지를 경유할 때의 할인된 운송 권장(확정) 가격을 산출하며, 상기 운송 권장(확정) 가격 표시 과정은, 중간기착지를 경유하여 화물이 운송되는 경우 중간기착지 경유 사실을 화주에게 알려줌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운송 권장(확정) 가격 표시 과정은, 화주의 특수 요청사항에 따란 옵션 선택 필드를 표시하며, 선택되는 옵션에 따라 운송 권장(확정) 가격이 가변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운송 지시 과정은, 운송 요청된 화물의 종류, 수량, 무게, 도착필요 일정, 목적지, 화물 인수자, 거리에 따라 운송 수단을 결정하고, 결정되는 운송 수단을 이용하여 운송하는 운송 기사를 배정할 수 있다.
상기 운송 수단을 결정하는 것은, 운송 요청된 화물의 수량 및 무게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개수 및 종류, 기준 무게에 따라, 회원으로 등록된 택시를 운송 차량으로 결정할 수 있고 그 외에도 회원으로 등록된 오토바이나 퀵서비스, 개인승용차, 무인차, 드론, 도보로 이동하는 인력배송인도 운송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화물을 받을 화물 인수자의 위치가 고정되지 않고 이동되는 경우, 상기 운송 권장(확정) 가격 산출 과정은, 화물 인수자의 최초 위치에서 화물 인수자의 이동 위치까지의 이동 거리에 따라 운송 권장(확정) 가격이 결정되며, 상기 운송 지시 과정은, 화물 인수자의 위치 정보를 운송 기사에게 실시간으로 전달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기존의 운송 프로그램은 화주 및 화물이 기업이나 대량화물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기업이나 대량화물뿐만 아니라 소량화물 및 개인화물까지 커버 가능하고 음식배달, 상점의 소량상품배달과 같은 즉시배송도 이용 가능하다.
또한 기존의 택배서비스가 중간거점이나 창고를 거쳐 최종목적지까지 가는데 비해 화물인수지로부터 목적지까지 직접, 신속한 수배송이 가능하다.
또한 수배송 운임가격 및 수수료가 수요와 공급의 시장기능에 따라 결정될 수 있어 합리적이다.
또한 소형 및 경량화물의 경우 부족한 기존의 운송주체(용달 및 택배화물차량 등)를 일부 대신할 수 있어 자원 및 에너지 절약이 가능하다.
또한 법적요건이 갖추어질 경우, 현재 분쟁중인 차량공유서비스(카풀서비스)의 피해자라 할 수 있는 택시업계에 새로운 수익원이 될 수 있어 차량공유서비스(카풀서비스)의 분쟁해결 수단이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합수배송 공유 프로그램의 개요를 도시한 그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합수배송 공유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배송 통합 관리 서버의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합수배송 공유 방법을 도시한 플로차트.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합수배송 공유 프로그램의 개요를 도시한 그림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합수배송 공유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배송 통합 관리 서버의 구성 블록도이다.
이하 설명에서, 이용주체(화주), 운송주체(실행), 취급화물(목적물)은 다음과 같다.
이용주체(화주): 개인, 단체, 일반기업, 화물운송회사 등 가입회원 전체
운송주체(실행) : 개인, 개인사업자, 택시운전자, 심부름센터, 오토바이운전자, 개인용달운전자, 이사 및 일반 화물운송 실행사 등 가입회원 전체
취급화물(목적물) : 택배화물(소형, 경량), 이사화물, 일반화물, 대형화물 및 특수화물 등 전체 화물
본 발명은, 소량, 경량화물의 경우 화물운송의 수단 및 주체를 P2P(개인 대 개인)영역까지 확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즉, 운송수단이 용달, 일반화물차 특수화물차 등 화물차 위주에서 각 개인 및 택시, 오토바이, 자가용, 무인차, 드론 등의 영역으로 확대 운영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별도의 TDSS(Total Delivery Sharing Service)를 이용하여 이용주체(화주)와 운송주체(실행)간을 중개하여, 운송될 화물에 맞는 가장 적절한 운송수단(예컨대, 택시, 화물차, 오토바이, 드론 등)을 통하여 화주로부터 고객(인수자, 목적지)에게 무사히 화물이 운송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종합수배송 공유 시스템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무선 통신망(100), 화주 단말기(200), 운송기사 단말기(300), 및 수배송 통합 관리 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무선 통신망(100)은, 화주 단말기(200), 운송기사 단말기(300), 및 수배송 통합 관리 서버(400)간에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제공한다. 이러한 유무선 통신망(100)이 무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기지국(BTS;Base Transceiver Station), 이동교환국(MSC;Mobile Switching Center), 및 홈 위치 등록기(HLR;Home Location Register)로 이루어진 무선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또한 유무선 통신망(100)이 유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네트워크 통신망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등의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화주 단말기(200)는, 화물 운송을 요청하는 이용주체인 화주(예컨대, 개인, 단체, 일반기업, 화물운송회사 등 가입회원 전체)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도면에서는 스마트폰(smart phone)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데스크탑 PC(desktop PC), 태블릿 PC(tablet PC), 슬레이트 PC(slate PC),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단말기는 상술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화주 단말기(200)는, 수배송 통합 관리 서버(400)로부터 제공받은 운송 권장(확정) 가격을 표시한다. 그리고, 수배송 통합 관리 서버(400)로부터 제시되는 운송 권장(확정) 가격에 화주가 동의하는 경우, 화물 운송을 수배송 통합 관리 서버(400)로 의뢰한다.
운송기사 단말기(300)는, 화물을 운송하는 운송기사(예컨대, 개인, 개인사업자, 택시운전자, 심부름센터, 오토바이운전자, 개인용달운전자, 이사 및 일반 화물운송 실행사 등 가입회원 전체)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스마트폰 등과 같이 위치정보서비스가 제공되는 모바일 단말기가 해당될 수 있다.
운송기사 단말기(300)는, 수배송 통합 관리 서버(400)로부터 화물 운송 의뢰가 있는 경우, 운송할 화물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그리고, 화물 운송이 목적지까지 완료된 경우 인수확인 수배송 통합 관리 서버(400)에 알려주게 된다.
수배송 통합 관리 서버(400)는,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 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언어를 통해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운영 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 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수배송 통합 관리 서버(400)는, 화주 및 운송기사를 회원 가입받으며, 화주 단말기(200)로부터 운송 요청정보를 입력받는 경우, 운송 요청정보에 매칭되는 운송 권장(확정) 가격을 산출하여, 산출된 운송 권장(확정) 가격을 화주 단말기(200)에 제공한다.
그리고 운송 권장(확정) 가격에 동의한 화주로부터 운송 의뢰가 있는 경우, 의뢰된 화물을 운송할 운송기사를 배정하여 배정된 운송기사 단말기(300)에 운송 지시를 한다. 운송기사의 배정은 확인되는 운송기사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운송의뢰 화물의 최근접지에 있는 운송기사부터 차례대로 운송수락 여부를 확인하여 운송 권장가격 범위 내에서 운송가격을 최종 확정하고 이를 화주와 운송기사에게 알려준다. 그리고, 화물운송을 배정받은 기사는 의뢰받은 화물이 있는 곳으로 이동하여 해당 화물을 확인하고 확인된 사항을 통합관리 서버에 전송하고, 화물 운송이 완료되어 화물 인수자 단말기로부터 화물 인수 확인되는 경우, 미리 등록된 화주의 결제계좌 또는 금융카드를 이용하여 운송 비용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고, 아울러, 운송기사의 운송 운임을 정산하여 지급(계좌이체)한다.
이를 위하여 수배송 통합 관리 서버(4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버 통신부(410), 회원가입 처리부(420), 운송 요청정보 처리부(430), 운송 권장(확정) 가격 제공부(440), 운송 지시부(450), 운송기사의 화물인수 확인부(460), 목적지 화물인수인의 확인부(470), 및 결제 및 정산 처리부(48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410)는, 화주 단말기(200) 및 운송기사 단말기(300)와 각각 통신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서버 통신부(410)는, 예컨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등의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회원가입 처리부(420)는, 화주 및 운송기사를 회원 가입받는다. 즉, 본 발명의 종합수배송 공유 프로그램을 이용하려는 이용주체(화주) 및 운송실행주체(운송기사)는 본 프로그램의 회원으로 가입받는다. 등록되는 회원 정보는 저장체에 암호화되어 저장되는데, 저장체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SSD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CF카드(Compact Flash Card), SD카드(Secure Digital Card), SM카드(Smart Media Card), MMC 카드(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장치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각 주체간의 수배송 거래를 보다 안전한 기록관리, 보관 및 화면구현 등의 장치가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기타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운송 요청정보 처리부(430)는, 화주가 사용하는 화주 단말기(200)로부터 운송 요청정보를 입력받는다.
운송 권장(확정) 가격 제공부(440)는, 화주의 운송 요청정보에 매칭되는 운송 권장(확정) 가격을 산출하여, 산출된 운송 권장(확정) 가격을 화주 단말기(200)에 제공한다.
운송 지시부(450)는, 화주로부터 운송 의뢰가 있는 경우, 의뢰된 화물을 운송할 운송기사를 배정하여 배정된 운송기사 단말기(300)에 운송 지시를 한다.
운송기사의 화물인수 확인부(460)는, 배정된 운송기사가 의뢰된 화물을 인수하였는지를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목적지 화물인수인의 인수확인부(470)는, 운송기사에 의해 운송된 화물이 목적지의 화물인수인에게 무사히 인수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결제 및 정산 처리부(480)는, 화물 운송이 완료되어 화물 인수자 단말기로부터 화물 인수 확인되는 경우, 미리 등록된 화주의 결제계좌 또는 금융카드를 이용하여 운송 비용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고, 운송기사의 운송 운임을 정산하여 지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합수배송 공유 방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본 발명의 종합수배송 공유 방법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주 및 운송기사를 회원 가입받는 운송기사 회원가입 과정(S10)과, 화주가 사용하는 화주 단말기(200)로부터 운송 요청정보를 입력받는 운송 요청정보 입력 과정(S20)과, 운송 요청정보에 매칭되는 운송 권장(확정) 가격을 산출하는 운송 권장(확정) 가격 산출 과정(S30)과, 운송 권장(확정) 가격을 화주 단말기(200)에 제공하는 운송 권장(확정) 가격 제공 과정(S40)과, 수배송 통합 관리 서버(400)로부터 제공받은 운송 권장(확정) 가격을 표시하는 운송 권장(확정) 가격 표시 과정(S50)과, 화주가 운송 권장(확정) 가격에 동의하는 경우, 화물 운송을 수배송 통합 관리 서버(400)로 의뢰하는 화물 운송 의뢰 과정(S60)과, 화주로부터 운송 의뢰가 있는 경우, 의뢰된 화물을 운송할 운송기사를 배정하여 배정된 운송기사 단말기(300)에 운송 지시를 하는 운송 지시 과정(S70)과, 배정받은 운송기사가 사용하는 운송기사 단말기가, 운송의뢰 받은 화물을 인수받은 운송기사로부터 화물 인수 확인받는 화물 인수 확인 과정(S80)과, 화물 운송이 완료되어 화물 인수자 단말기로부터 화물 인수 확인되는 경우, 미리 등록된 화주의 결제계좌 또는 금융카드를 이용하여 운송 비용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운송 비용 결제 과정(S90)과, 운송기사의 운송 운임을 정산하여 지급하는 운송 운임 정산 과정(S100)을 포함할 수 있다.
운송기사 회원가입 과정(S10)은, 수배송 통합 관리 서버(400)가, 화주 및 운송기사를 회원 가입받는 과정이다.
이러한 운송실행주체(운송기사)는 법적인 운송실행요건을 충족하여야 하는데, 면허 및 자격요건, 운송수단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또한 개인 및 기타 운송실행 주체는 화주의 위험을 담보할 수 있도록 보험가입 등의 조건을 충족하여야 한다. 이는 기본 법적인 관련 약관 및 정보이용등에 관한 동의 요건, 법적 환경 등을 충족하여 운송실행에 따른 법적인 문제를 사전에 차단하고 대비(자동차관리법 및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 등 참조)하기 위함이다.
운송 요청정보 입력 과정(S20)은, 수배송 통합 관리 서버(400)가, 화주가 사용하는 화주 단말기(200)로부터 운송 요청정보를 입력받는 과정이다. 즉, 각종 소,중,대형 및 기타화물의 배달 및 수배송을 필요로 하는 화주는 종합수배송 공유 프로그램에 로그인하여 배송이 필요한 화물의 종류(특히 위험화물, 불법화물, 특수화물 등에 대한 화물정보 필수 입력), 수량, 무게, 도착필요 일정, 목적지, 화물 인수자, 거리 및 기타 수배송에 필요한 운송 요청정보를 입력하고 견적을 의뢰한다. 나아가, 화주의 특수 요청사항에 대한 옵션선택 가능하도록 한다.
운송 권장(확정) 가격 산출 과정(S30)은, 수배송 통합 관리 서버(400)가, 상기 운송 요청정보에 매칭되는 운송 권장(확정) 가격을 산출하는 과정이다. 화주의 견적의뢰 즉시 프로그램상에서 주어진 조건(시간, 거리, 수량, 무게 등)에 따라 배송권장(확정) 가격을 책정하게 된다. 기존 시장가격의 80~90%내외로 책정될 수 있으며, 수배송 통합 관리 서버(400)는, 모바일 및 온라인 견적수요에 대응하는 산출능력을 보유하도록 한다.
여기서, 운송 권장(확정) 가격 산출 과정(S30)은, 운송 요청된 화물의 종류, 수량, 무게, 도착필요 일정, 목적지, 화물 인수자, 거리에 따라 운송 권장(확정) 가격이 산출되며, 화물을 운송하는데 필요한 운송 제한 조건이 많이 부가될수록 운송 권장(확정) 가격이 높게 산출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일반화물이 아닌 위험화물, 특수화물인 경우 운송 권장(확정) 가격이 높아지며, 운송 거리가 길어질수록 운송 권장(확정) 가격이 높아진다.
나아가, 운송 권장(확정) 가격 산출 과정(S30)은, 화물운송 거리가 길어 수배송효율이 떨어지는 경우 중간기착지를 경유할 때의 할인된 운송 권장(확정) 가격을 산출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인수할 위치인 운송 거리가 너무 멀리 있어 수배송 효율이 떨어지는 경우 인수 장소에 도달하기 전에 중간기착지를 경유하여 다른 화물을 배송하거나 인수하도록 하여 수배송 효율을 높이며, 이에 따라 경유하는 경우 낮은 운송 권장(확정) 가격을 산출한다. 또한 화주의 특수 요청사항에 대한 옵션선택 가능하도록 하여 그에 따른 운송 권장(확정) 가격이 산출되도록 한다.
운송 권장(확정) 가격 제공 과정(S40)은, 수배송 통합 관리 서버(400)가, 운송 권장(확정) 가격을 상기 화주 단말기(200)에 제공한다.
운송 권장(확정) 가격 표시 과정(S50)은, 화주 단말기(200)가, 상기 수배송 통합 관리 서버(400)로부터 제공받은 운송 권장(확정) 가격을 표시하는 과정이다. 운송 권장(확정) 가격 표시 과정(S50)은, 중간기착지를 경유하여 화물이 운송되는 경우 중간기착지 경유 사실을 화주에게 알려주도록 한다.
또한 운송 권장(확정) 가격 표시 과정(S50)은, 화주의 특수 요청사항에 따란 옵션 선택 필드를 표시하며, 선택되는 옵션에 따라 운송 권장(확정) 가격이 가변되도록 한다. 따라 화물 운송을 요청하는 화주는, 자신만의 옵션을 선택하여 운송 요청할 수 있게 된다.
화물 운송 의뢰 과정(S60)은, 화주가 운송 권장(확정) 가격에 동의하는 경우, 화주 단말기(200)가, 화물 운송을 수배송 통합 관리 서버(400)로 의뢰하는 과정이다. 보여주는 견적에 동의하는 화주는 실행의뢰한다.
나아가, 견적에 동의할 수 없거나 기타 상담이 필요한 경우 상담이 가능토록 콜서비스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운송 지시 과정(S70)은, 화주로부터 운송 의뢰가 있는 경우, 수배송 통합 관리 서버(400)가, 의뢰된 화물을 운송할 운송기사를 배정하여 배정된 운송기사 단말기(300)에 운송 지시를 하는 과정이다.
운송 요청된 화물의 종류, 수량, 무게, 도착필요 일정, 목적지, 화물 인수자, 거리에 따라 운송 수단을 결정하고, 결정되는 운송 수단을 이용하여 운송하는 운송 기사를 배정하는 것이다. 운송 수단을 결정하는 것은, 예를 들어, 운송 요청된 화물의 수량 및 무게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개수 및 종류, 기준 무게에 따라, 회원으로 등록된 택시를 운송 차량으로 결정할 수 있고 그 외에도 회원으로 등록된 오토바이나 퀵서비스, 개인승용차 및 도보로 이동하는 인력배송인도 운송이 가능하도록 결정한다.
또한 운송 수단을 결정하는 것은, 예를 들어, 운송 요청된 화물의 수량 및 무게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개수 및 종류, 기준 무게 등에 따라, 회원으로 등록된 택시나 오토바이 승용차, 개별 인력을 운송 수단으로 결정한다 따라서, 소형 및 경량화물의 경우 부족한 기존의 운송주체(용달 및 택배화물차량 등)를 택시 및 개인(승용차) 등이 일부 대신할 수 있어 자원 및 에너지 절약이 가능하게 된다. 법적요건이 갖추어질 경우, 현재 분쟁중인 차량공유서비스(카풀서비스)의 피해자라 할 수 있는 택시업계에 새로운 수익원이 될 수 있어 분쟁해결 수단이 될 수 있다.
참고로, 화주의 실행의뢰가 있으면 프로그램은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모바일 프로그램을 장착하고 배송 의뢰한다. 조건에 맞는 화주의 화물에 최근접한 운송실행 주체(개인 및 퀵서비스운영자, 택시 운전자, 용달 및 일반화물 차주, 운송실행사업자 등)에서부터 차례대로 연결하여 수배송 수락여부를 확인한다.
수배송실행 주체 회원으로 가입한 자로서 수배송의뢰를 받은 실행주체인 운송 기사는 수배송 운임조건 및 제반 사항을 고려하여 수배송 수락여부를 결정한다.
수배송 실행을 수락한 실행주체인 운송기사는 즉시 화주의 화물이 있는 곳으로 이동하여 화물을 확인하고 인수후, 화물인수 확인사항을 수배송 통합 관리 서버(400)에 송신한다. 수배송 통합 관리 서버(400)는 화주에게 화물인수자의 인수확인 사항을 전달하고 수배송이 완료되었음을 송신한다.
화물 인수 확인 과정(S80)은, 배정받은 운송기사가 사용하는 운송기사 단말기가, 운송의뢰 받은 화물을 인수받은 운송기사로부터 화물 인수 확인받는 과정이다. 또한 운송기사에 의해 운송된 화물이 목적지의 화물인수인에게 무사히 인수되었는지를 확인받는 과정이다.
운송 비용 결제 과정(S90)은, 화물 운송이 완료되어 화물 인수자 단말기로부터 화물 인수 확인되는 경우, 수배송 통합 관리 서버(400)가, 미리 등록된 화주의 결제계좌 또는 금융카드를 이용하여 운송 비용에 대한 결제를 수행한다.
배송실행 주체의 화물 목적지까지 수배송 실행 및 인수후 화주로부터 결제를 진행한다. 수배송 실행 주체인 운송기사는 목적지에 도착하여 화물의 인수자로부터 운송기사 단말기(300)의 화면상에서 화물인수를 확인받는다. 화물인수자의 확인이 있으면 이 내용이 수배송 통합 관리 서버(400)에 송신되고 수배송 통합 관리 서버(400)는 자동으로 견적에 기초한 금액을 지정된 화주의 계좌이체나 화주의 카드로 결제실행한다.
만약, 화물의 인수자가 있는 곳이 화물의 최종목적지가 아닌 중간 기착지인 경우에도 절차는 동일하나 사전에 화물의 수배송을 의뢰한 화주에게 중간기착지를 경유한다는 사실과 결제실행이 중간 기착지까지와 최종 목적지까지 나누어 실행됨을 미리 알린다(화물운송 거리가 길어 수배송효율이 떨어지는 경우 중간기착지를 경유하도록 프로그램 설정).
운송 운임 정산 과정(S100)은, 수배송 통합 관리 서버(400)가, 운송기사의 운송 운임을 정산하여 지급한다. 즉, 운송 비용 결제 과정(S90)을 통해 결제된 운송 비용 중에서 일부 수수료를 제외하고 미리 책정된 운송기사의 운송 운임을 정산하여 지급하는 것이다.
한편, 화물을 받을 화물 인수자의 위치가 고정되지 않고 이동되는 경우에도 운송이 가능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중요 서류를 받을 인수자가 집에 있지 않고 회사로 출근한 경우, 운송기사가 집에 방문하였으나 인수자가 없게 되어 전달 불가한 경우, 인수자가 이동한 인수자의 회사로 방문하여 서류를 전달해줄 수 있다.
이러할 경우, 운송 권장(확정) 가격 산출 과정(S30)은, 화물 인수자의 최초 위치에서 화물 인수자의 이동 위치까지의 이동 거리에 따라 운송 권장(확정) 가격이 결정되며, 운송 지시 과정(S70)은, 화물 인수자의 위치 정보를 운송 기사에게 실시간으로 전달하도록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100:유무선 통신망
200:화주 단말기
300:운송기사 단말기
400:수배송 통합 관리 서버

Claims (7)

  1. 수배송 통합 관리 서버가, 화주 및 운송기사를 회원 가입받는 운송기사 회원가입 과정;
    상기 수배송 통합 관리 서버가, 화주가 사용하는 화주 단말기로부터 운송 요청정보를 입력받는 운송 요청정보 입력 과정;
    상기 수배송 통합 관리 서버가, 상기 운송 요청정보에 매칭되는 운송 권장(확정) 가격을 산출하는 운송 권장(확정) 가격 산출 과정;
    상기 수배송 통합 관리 서버가, 운송 권장(확정) 가격을 상기 화주 단말기에 제공하는 운송 권장(확정) 가격 제공 과정;
    상기 화주 단말기가, 상기 수배송 통합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운송 권장(확정) 가격을 표시하는 운송 권장(확정) 가격 표시 과정;
    화주가 운송 권장(확정) 가격에 동의하는 경우, 상기 화주 단말기가, 화물 운송을 상기 수배송 통합 관리 서버로 의뢰하는 화물 운송 의뢰 과정;
    화주로부터 운송 의뢰가 있는 경우, 상기 수배송 통합 관리 서버가, 의뢰된 화물을 운송할 운송기사를 배정하여 배정된 운송기사 단말기에 운송 지시를 하는 운송 지시 과정;
    배정받은 운송기사가 사용하는 운송기사 단말기가, 운송의뢰 받은 화물을 인수받은 운송기사로부터 화물 인수 확인받는 화물 인수 확인 과정;
    화물 운송이 완료되어 화물 인수자 단말기로부터 화물 인수 확인되는 경우, 상기 수배송 통합 관리 서버가, 미리 등록된 화주의 결제계좌 또는 금융카드를 이용하여 운송 비용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운송 비용 결제 과정; 및
    상기 수배송 통합 관리 서버가, 운송기사의 운송 운임을 정산하여 지급하는 운송 운임 정산 과정;
    을 포함하는 종합수배송 공유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운송 권장(확정) 가격 산출 과정은,
    운송 요청된 화물의 종류, 수량, 무게, 도착필요 일정, 목적지, 화물 인수자, 거리에 따라 운송 권장(확정) 가격이 산출되며, 화물을 운송하는데 필요한 운송 제한 조건이 많이 부가될수록 운송 권장(확정) 가격이 높게 산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수배송 공유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운송 권장(확정) 가격 산출 과정은,
    화물운송 거리가 길어 수배송효율이 떨어지는 경우 중간기착지를 경유할 때의 할인된 운송 권장(확정) 가격을 산출하며,
    상기 운송 권장(확정) 가격 표시 과정은, 중간기착지를 경유하여 화물이 운송되는 경우 중간기착지 경유 사실을 화주에게 알려줌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수배송 공유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운송 권장(확정) 가격 표시 과정은,
    화주의 특수 요청사항에 따란 옵션 선택 필드를 표시하며, 선택되는 옵션에 따라 운송 권장(확정) 가격이 가변됨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수배송 공유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운송 지시 과정은,
    운송 요청된 화물의 종류, 수량, 무게, 도착필요 일정, 목적지, 화물 인수자, 거리에 따라 운송 수단을 결정하고, 결정되는 운송 수단을 이용하여 운송하는 운송 기사를 배정하는 종합수배송 공유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운송 수단을 결정하는 것은,
    운송 요청된 화물의 수량 및 무게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개수 및 종류, 기준 무게에 따라, 회원으로 등록된 택시, 오토바이, 승용차, 드론, 개별 인력 등을 운송 수단으로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수배송 공유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화물을 받을 화물 인수자의 위치가 고정되지 않고 이동되는 경우,
    상기 운송 권장(확정) 가격 산출 과정은, 화물 인수자의 최초 위치에서 화물 인수자의 이동 위치까지의 이동 거리에 따라 운송 권장(확정) 가격이 결정되며,
    상기 운송 지시 과정은, 화물 인수자의 위치 정보를 운송 기사에게 실시간으로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수배송 공유 방법.
KR1020190004504A 2019-01-14 2019-01-14 종합수배송 공유 방법 KR202000880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504A KR20200088025A (ko) 2019-01-14 2019-01-14 종합수배송 공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504A KR20200088025A (ko) 2019-01-14 2019-01-14 종합수배송 공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8025A true KR20200088025A (ko) 2020-07-22

Family

ID=71893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4504A KR20200088025A (ko) 2019-01-14 2019-01-14 종합수배송 공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802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5434A (ko) * 2020-11-13 2022-05-20 주식회사 지에스리테일 배송자 선택 방법 및 그 시스템
JP7323695B1 (ja) * 2022-11-16 2023-08-08 トラボ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528A (ko) 2000-09-07 2000-12-05 이중열 인터넷을 이용한 소량화물 콘솔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528A (ko) 2000-09-07 2000-12-05 이중열 인터넷을 이용한 소량화물 콘솔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5434A (ko) * 2020-11-13 2022-05-20 주식회사 지에스리테일 배송자 선택 방법 및 그 시스템
JP7323695B1 (ja) * 2022-11-16 2023-08-08 トラボ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51136A1 (en) Predictive analytics for transport services
US10268982B2 (en) Carrier and shipper interfacing and shipment tracking framework for efficient scheduling and transportation of cargo, with security monitoring and efficient payment to carriers
US20170061370A1 (en) Cargo handling services and systems
US20170236088A1 (en) Delivery method and system
US20200134557A1 (en) Logistical service for processing modular delivery requests
KR101859904B1 (ko) 택배 방법
US2014022939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argo transfer operations at a cargo distribution terminal
KR20140016053A (ko) 운송 매칭 시스템 및 운송 매칭 방법
CN104978641A (zh) 一种物流信息对接方法及系统
KR20130082877A (ko) 화물배차 시스템
KR102262476B1 (ko) 운송 비용 정산 시스템
US2017037226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ggregating Excess Carrier Capacity
CN109377138A (zh) 基于物联网的物流运输中实时监控管理平台及管理方法
KR20210008581A (ko) 멀티 인수 및 멀티 배송을 위한 물류 운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12330242A (zh) 货物的管理方法、装置以及存储介质
KR20200132600A (ko) 해외 배송 플랫폼 지원 시스템
KR20200088182A (ko) 화물 운송 중개 시스템
KR20200088025A (ko) 종합수배송 공유 방법
US20190073624A1 (en) Rapid Roadside Rescue System and Payment Fulfilment Platform
KR20200057304A (ko) 화물운송 중계 서비스 시스템
KR102474903B1 (ko) 수입화물 사전반출 중계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20210004393A (ko) 화물운송중개 시스템 및 방법
US202001933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shipping processes and personnel
KR101953554B1 (ko) 통관 절차를 위한 자금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10067250A (ko) 화물 정보 제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034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0203

Effective date: 20210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