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2600A - 해외 배송 플랫폼 지원 시스템 - Google Patents

해외 배송 플랫폼 지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2600A
KR20200132600A KR1020190058390A KR20190058390A KR20200132600A KR 20200132600 A KR20200132600 A KR 20200132600A KR 1020190058390 A KR1020190058390 A KR 1020190058390A KR 20190058390 A KR20190058390 A KR 20190058390A KR 20200132600 A KR20200132600 A KR 20200132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ivery
information
overseas
user
compan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8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진
Original Assignee
온쉬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온쉬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온쉬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8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2600A/ko
Publication of KR20200132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26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1Overseas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5Needs-based resource requirements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해외 배송 플랫폼 지원 시스템에 대해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외 배송 플랫폼 지원 시스템은 사용자가 인터넷 사이트나 응용프로그램에 접속해서 해외 배송을 요청하고 해외 배송 요청 정보를 기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인터넷 통신 단말기기, 국제 전자상거래에 따른 오픈 물류 수출, 수입, 국제 운송, 배송 및 반송 처리 절차가 수행되도록 지원하는 복수의 배송사 서버, 및 인터넷 사이트나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해외 배송 요청 정보를 접수 받고 해외 배송 요청 정보에 기초해서 복수의 배송사 중 어느 하나의 배송사를 선택하며, 선택된 배송사 서버와 상기 사용자의 해외 배송 요청 정보를 공유하는 배송 지원 서버를 포함하는바, 고객 만족도를 높이면서도 해외 배송이 안전하게 수행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Description

해외 배송 플랫폼 지원 시스템{SYSTEM FOR OVERSEAS DELIVERY PLATFORM ASSISTANCE}
본 발명은 국제 운송 및 배송 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해외 배송을 요청한 고객의 요구 사항에 부합하는 국제 운송 대행 배송사를 선택하여 연계시킴으로써, 고객 만족도를 높이면서도 해외 배송이 안전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지원 가능한 해외 배송 플랫폼 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인터넷 등과 같은 온라인 접속 환경이 널리 보급 및 확충되면서 온라인 전자상거래가 일반화되었다. 이처럼, 국제 물류 배송 환경의 발전으로 인하여 국제적인 온라인 전자상거래 또한 그 이용률이 크게 증가하는 추세이다.
국내에서의 온라인 전자상거래로서 국제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는, 국제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 쇼핑몰은 민간특송업체나 우체국의 EMS(Express Mail Service) 또는 항공소포 서비스를 이용하여 전자상거래 상품을 해외로 배송를 예로 들 수 있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 개인이나 기업이 해외 배송을 요청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민간특송업체나 우체국 또는 항공소포 서비스 업체 등의 특정 배송사와 계약을 체결한 후 해외 배송을 요청해야 했다. 이처럼, 종래에는 해외 배송을 요청하기 위해 개인이나 기업 관계자가 직접 배송사에 접수하고, 방문 계약 등을 수행해야 했기 때문에 그 절차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계약 조건이 까다로워서 배송사들과의 계약 체결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개인이나 기업체의 해외 배송 요청 시에는 배송비 감액률 기준에 따라 배송비를 감액 받을 수 있는데, 해외 배송 건수가 적은 개인이나 중소기업들은 감액률 기준에 미달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배송비를 감액 받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해외 배송 요청 시에는 개인이나 기업체의 배송 물품을 배송사에 인계해야 하는데, 배송사에서는 배송 물량이나 배송 지역 등의 여건에 따라 해당 물품을 인수해가는 픽업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픽업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는 개인이나 기업체에서 직접 배송사의 물품 인계 장소로 방문해서 해당 물품을 인계해야 하기 때문에 그 불편함은 더욱 가중될 수 밖에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해외 배송을 원하는 고객의 니즈 및 요구 사항들을 파악하고, 고객의 니즈와 요구 사항에 알맞게 국제 운송 대행 배송사를 선택해서 연계시킬 수 있는 해외 배송 플랫폼 지원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국제 운송 절차를 대행하는 배송사와는 별도로 고객과 배송사 간에 택배 등의 픽업 서비스가 연계될 수 있도록 지원 가능한 해외 배송 플랫폼 지원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해외 배송 건수에 상관없이 미리 설정 및 계약 현황에 따른 감액률로 고객들이 감액 받을 수 있도록 지원 가능한 해외 배송 플랫폼 지원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외 배송 플랫폼 지원 시스템은 사용자가 인터넷 사이트나 응용프로그램에 접속해서 해외 배송을 요청하고 해외 배송 요청 정보를 기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인터넷 통신 단말기기, 국제 전자상거래에 따른 오픈 물류 수출, 수입, 국제 운송, 배송 및 반송 처리 절차가 수행되도록 지원하는 복수의 배송사 서버, 및 인터넷 사이트나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해외 배송 요청 정보를 접수받고 해외 배송 요청 정보에 기초해서 복수의 배송사 중 어느 하나의 배송사를 선택하며, 선택된 배송사 서버와 상기 사용자의 해외 배송 요청 정보를 공유하는 배송 지원 서버를 포함해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배송 지원 서버는 해외 배송이 필요한 사용자가 인터넷 통신 단말기기를 이용해서 인터넷 사이트나 응용프로그램에 접속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응용프로그램 지원부, 인터넷 사이트나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해외 배송 요청 정보를 수신 및 저장하고, 사용자가 우선 순위를 설정해서 배송 기간, 배송료, 픽업 서비스 필요 사항을 포함한 요구 사항을 기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접수 지원부, 및 복수의 배송사 서버로부터 각각 설정된 거리 및 국가간 배송료 정보, 배송 물품 무게에 따른 배송료 부가 정보, 거리 및 국가간 배송 기간 정보, 택배 등의 픽업 서비스 연계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해서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배송사 정보 수집부를 포함해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외 배송 플랫폼 지원 시스템은 해외 배송을 원하는 고객의 니즈를 파악해서 고객의 니즈에 알맞게 국제 운송 절차를 대행하는 배송사를 선택해서 연계시키는 바, 고객 만족도를 높이고 글로벌한 거래가 쉽고 안전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고객의 니즈에 알맞게 픽업 서비스가 연계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고객 만족도를 높이면서도 글로벌한 거래가 쉽고 안전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해외 배송 건수에 상관없이 미리 설정 및 계약 현황에 따른 감액률로 고객들이 감액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고객 만족도와 서비스 이용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만일, 고객이 직접 배송사와 계약한 사항이 있는 경우에는 고객이 계약한 감액률과 해외 배송 플랫폼에 따른 감액률 중 더욱 높은 감액률을 고객이 선택해서 적용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고객 만족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외 배송 플랫폼 지원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송 지원 서버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해외 배송 플랫폼 지원 시스템의 해외 배송 지원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응용프로그램 지원부를 통해 지원되는 해외 배송 접수 화면 중 주소 입력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응용프로그램 지원부를 통해 지원되는 해외 배송 접수 화면 중 배송할 포장 정보 입력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응용프로그램 지원부를 통해 지원되는 해외 배송 접수 화면 중 배송할 물품 정보 입력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응용프로그램 지원부를 통해 지원되는 사용자의 배송지 확인 지원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응용프로그램 지원부를 통해 지원되는 배송사 선택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응용프로그램 지원부를 통해 지원되는 배송 추적 정보 표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배송 접수 및 배송의 진행/완료 등의 배송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외 배송 플랫폼 지원 시스템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외 배송 플랫폼 지원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해외 배송 플랫폼 지원 시스템은 사용자가 인터넷 사이트나 응용프로그램에 접속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인터넷 통신 단말기기(100), 복수의 배송사별로 구축된 복수의 배송사 서버(400_1 내지 400_n), 및 복수의 배송사 중 하나의 배송사를 선택해서 해당 배송사와 사용자의 해외 배송 정보를 연계시키는 배송 지원 서버(3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인터넷 통신 단말기기(100)는 사용자가 인터넷 사이트나 응용프로그램에 접속해서 해외 배송을 신청 및 접수하고, 해외 배송 요청 정보를 기입할 수 있도록 지원 가능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이동통신기기, 또는 노트북 등의 개인 PC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특정 물품의 해외 배송이 필요한 경우, 인터넷 통신 단말기기(100)를 통해 배송 지원 서버(300)에서 운용하는 인터넷 사이트나 응용프로그램에 접속하고, 로그인 과정 수행 후에 해외 배송을 접수하며 해외 배송 요청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여기서, 기입될 수 있는 해외 배송 요청 정보는 물품 출발지와 도착지 국가 및 주소 정보, 수령인 및 발신인 연락처 정보, 물품의 대략적인 무게 정보, 물품 정보(또는 분류 정보), 특정 배송사에 설정된 개별적인 배송사 감액률 정보, 추정 배송료 정보, 출발지와 배송사 간의 물품 픽업 서비스 필요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인터넷 사이트나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해외 배송 요청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우선순위의 목록에 배송 기간, 배송료, 픽업 서비스 필요 사항 등의 요구 사항을 순서대로 추가 기입할 수 있다.
복수의 배송사 서버(400_1 내지 400_n)는 국제 전자상거래에 따른 오픈 물류 수출, 수입, 국제 운송, 배송 및 반송 처리 절차가 수행되도록 지원하는 배송사들에 각각 구축된 서버나 컴퓨터 등이 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의 배송사 서버(400_1 내지 400_n)는 국제 전자상거래에 따른 물류 운송 대행을 수행하는 민간특송업체나 우체국 및 항공소포 서비스 업체들에 각각 구축된 서버나 컴퓨터 등이 될 수 있다.
각각의 배송사 서버(400_1 내지 400_n)는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인터넷 사이트나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해외 배송 요청 사항을 접수받아 국제 전자상거래에 따른 오픈 물류 운송 사업을 수행하기도 한다.
배송 지원 서버(300)의 운용 업체와 각 배송사와의 계약 체결 사항에 따라, 각각의 배송사 서버(400_1 내지 400_n)는 자체적으로 미리 결정된 거리 및 국가간 배송료 정보, 배송 물품의 무게에 따른 배송료 부가 정보, 거리 및 국가간의 배송 기간 정보(배송 소요 기간 정보), 택배나 소포 등의 픽업 서비스 연계 정보, 배송 물류 현황 정보, 물품별 배송 추적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배송 지원 서버(300)와 공유한다. 이는, 배송 지원 서버(300) 운용 업체와 각 배송사와의 계약 체결 사항에 따라 각각의 배송사별로 다르거나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송 지원 서버(300)는 각각의 배송사 서버(400_1 내지 400_n)를 통해서 수신되는 각각의 배송사별 배송료 정보, 무게 별 배송료 부가 정보, 배송 기간 정보, 픽업 서비스 연계 정보, 배송 물류 현황 정보, 물품별 배송 추적 정보를 수집하고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한편으로, 배송 지원 서버(300)는 인터넷 사이트나 응용프로그램을 운용함으로써, 해외 배송이 필요한 사용자가 인터넷 통신 단말기기(100)를 이용해서 인터넷 사이트나 응용프로그램에 접속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그리고, 배송 지원 서버(300)는 인터넷 사이트나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로그인 정보와 해외 배송 요청 정보를 접수 받고, 접수 받은 해외 배송 요청 정보를 분석한다. 이때, 배송 지원 서버(300)는 사용자가 우선 순위를 감안해서 기입한 요구 사항, 즉 배송 기간, 배송료, 픽업 서비스 필요 사항 등의 변수들에 따라 해외 배송 요청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송 지원 서버(300)는 접수 받은 해외 배송 요청 정보들과 데이터베이스화된 배송사들의 배송료 정보, 무게 별 배송료 부가 정보, 배송 기간 정보, 픽업 서비스 연계 정보, 배송 물류 현황 정보, 물품별 배송 추적 정보를 순서대로 비교 분석한다. 이에, 배송 지원 서버(300)는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사용자가 해외 배송하고자 하는 물품의 무게 정보, 무게에 따른 배송비 부과 정보, 배송 출발지와 도착지 정보, 사용자에 대한 배송사별 감액률 정보, 배송사별 감액률이 적용된 배송비 정보, 배송 지원 서버(300)와 각 배송사 간의 계약에 따른 감액률이 적용된 배송비 정보, 배송사별 배송 기간 예측 정보, 배송 출발지에 따른 배송사별 픽업 서비스 연계 정보 등을 배송사 별로 산출한다.
이와 같이, 배송 지원 서버(300)는 사용자가 기입한 우선순위의 요구 사항에 대응되도록 배송비 부과 정보, 배송비 정보, 배송 기간 예측 정보, 픽업 서비스 연계 정보 등을 분석해서, 사용자 요구 사항에 가장 적합한 배송사와 배송사별 지원 서비스를 자동으로 선택한다. 또한, 배송 지원 서버(300)는 자동으로 선택된 배송사 선택 정보를 포함해 다음 순위로 고려된 다른 배송사 정보들을 사용자가 인터넷 사이트나 응용 프로그램 화면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배송 지원 서버(300)는 사용자가 기입한 우선순위의 요구 사항에 대응되도록 분석된 배송비 부과 정보, 배송비 정보, 배송 기간 예측 정보, 픽업 서비스 연계 정보 등을 사용자가 확인하고 배송사를 최종 결정할 수 있도록 인터넷 사이트나 응용 프로그램 화면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이어, 배송 지원 서버(300)는 최종 선택된 배송사의 배송사 서버(400_1)와 사용자의 해외 배송 요청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픽업 서비스와 해외 배송이 수행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때, 배송 지원 서버(300)는 최종 선택된 배송사의 라벨 포맷에 맞게 운송장을 자동 생성하여 사용자가 확인 및 출력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이때는, 최종 선택된 배송사의 오픈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정보를 공유해서 운송장을 자동 생성하고, 사용자가 확인 및 출력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배송사와 연계 지정된 픽업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지원 및 모니터한다.
배송 지원 서버(300)는 각각의 배송사 서버(400_1 내지 400_n)로부터 택배나 소포 등의 픽업 서비스 연계 정보, 배송 물류 현황 정보(예를 들어, 해당 배송사의 배송 물류량과 물류 운송 현황 정보), 물품별 배송 추적 정보, 및 물품의 무게에 따른 배송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제공 받는다. 이에, 배송 지원 서버(300)는 배송 물류 현황 정보, 물품별 배송 추적 정보 등을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조회 및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배송 완료 확인 후에는 해당 배송사와 배송비를 결산한다.
한편으로, 배송 지원 서버(300)는 배송 중 발생할 수 있는 도난, 분실, 파손에 대한 보험 서비스 연계 기능이 옵션으로 적용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는 배송 중 일어날 수 있는 사고에 대비하여 배송 보험 가입이 가능한 부분으로서, 전문 보험사와의 라이센스 계약을 통해 제공 또는 지원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송 지원 서버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해외 배송 플랫폼 지원 시스템의 해외 배송 지원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배송 지원 서버(300)는 응용프로그램 지원부(301), 접수 지원부(302), 비용 계산부(303), 배송 시간 산출부(304), 배송사 선택부(305), 배송사 정보 수집부(306), 배송 정보 수집부(307), 데이터베이스(308), 픽업 지원부(309)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응용프로그램 지원부(301)는 해외 배송이 필요한 사용자가 인터넷 통신 단말기기(100)를 이용해서 인터넷 사이트나 응용프로그램에 접속하고, 해외 배송 접수 화면을 통해 해외 배송을 요청 및 접수할 수 있도록 인터넷 사이트와 응용프로그램을 운용한다.
도 2와 함께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특정 물품의 해외 배송이 필요한 경우, 인터넷 통신 단말기기(100)를 통해 배송 지원 서버(300)에서 지원되는 인터넷 사이트나 응용프로그램에 접속할 수 있다. 그리고, 인터넷 사이트나 응용프로그램의 초기 화면에서 로그인 과정 수행 후에, 해외 배송 접수 화면을 통해 해외 배송 요청 정보를 접수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응용프로그램 지원부를 통해 지원되는 해외 배송 접수 화면 중 주소 입력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해외 배송 접수 화면 중 배송할 포장 정보 입력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6은 해외 배송 접수 화면 중 배송할 물품 정보 입력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비롯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인터넷 사이트나 응용프로그램을 통한 해외 배송 요청 정보 접수 절차는 주소(address) 정보 입력, 배송할 포장 정보(package) 입력, 배송할 물품 정보(customs) 입력 절차를 포함한다. 이렇게 해외 배송 요청 정보 접수되면 배송사(carrier)가 선택되고, 수출신고(예를 들어, https://www.goglobal.co.kr/index.jsp?sso=ok 등의 유니패스 OPEN API) 등의 진행 절차가 수행된다. 수출신고 시에는 고객 편의를 위해 관세청 유니패스 OPEN API와 연동으로 수출 신고가 진행되도록 하는 서비스 또한 지원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인터넷 사이트나 응용프로그램을 통한 해외 배송 요청 정보 접수 시에는 물품 출발지와 도착지 국가 및 주소 정보, 수령인 및 발신인 연락처 정보 등을 기입하도록 한다.
이어, 도 5 및 도 6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접수 지원부(302)는 물품 출발지와 도착지 국가 및 주소 정보, 수령인 및 발신인 연락처 정보 등을 수신하여 배송 접수를 지원한다. 사용자가 입력한 물품의 대략적인 무게 정보, 배송할 물품 정보(또는 분류 정보), 배송할 포장 정보, 출발지와 배송사 간의 물품 픽업 서비스 필요 정보 등은 추후 결정되는 배송사와 공유한다. 특정 배송사와 설정된 추정 배송료 정보, 배송사 감액률 정보 등은 배송사가 선택된 후에 응용 프로그램 화면을 통해 공유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접수 지원부(302)는 인터넷 사이트나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가 해외 배송 요청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우선순위로 요구 사항을 순차적으로 기입할 수 있도록 기입 화면을 제공한다.
이에, 접수 지원부(302)는 인터넷 사이트나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해외 배송 요청 정보를 수신 및 저장하고, 사용자가 우선순위 목록에 맞춰서 기입한 요구 사항을 저장한다. 사용자가 기입한 요구 사항에 대한 정보들은 비용 계산부(303), 배송 시간 산출부(304), 및 배송사 선택부(305)와 공유한다.
도 7은 응용프로그램 지원부를 통해 지원되는 사용자의 배송지 확인 지원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접수 지원부(302)와 배송사 선택부(305)는 배송 전 사용자의 배송지 확인할 수 있는 배송지 확인 기능(Address Verification)을 제공 하기도 한다.
그리고, 고객 편의를 위해 https://www.goglobal.co.kr/index.jsp?sso=ok 등의 유니패스 OPEN API와 연동으로 수출 신고가 진행되도록 하는 서비스 또한 지원 가능하다.
한편으로, 배송사 정보 수집부(306)는 복수의 배송사 서버(400_1 내지 400_n)로부터 각각 설정된 거리 및 국가간 배송료 정보, 배송 물품 무게에 따른 배송료 부가 정보, 거리 및 국가간 배송 기간 정보(또는, 배송 소요 기간 예측 정보), 택배 등의 픽업 서비스 연계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해서 데이터베이스(308)화하고 저장한다.
이에, 비용 계산부(303)는 사용자가 기입한 배송 요청 정보의 물품 무게 정보, 출발지와 도착지 정보, 거리 정보, 픽업 서비스 신청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각각의 배송사별로 자체 결정된 거리 및 국가간 배송료 정보와 배송 물품 무게에 따른 배송료 부가 정보와 각각 비교한다.
구체적으로, 비용 계산부(303)는 접수 받은 해외 배송 요청 정보를 대응시켜서, 데이터베이스화된 배송사들의 배송료 정보, 무게 별 배송료 부가 정보, 배송 기간 정보, 픽업 서비스 연계 정보, 배송 물류 현황 정보, 물품별 배송 추적 정보를 비교 분석한다. 이때, 비용 계산부(303)는 그 비교 결과에 따라 물품의 무게 정보, 무게에 따른 배송비 부과 정보, 배송 출발지와 도착지 정보, 사용자에 대한 배송사별 감액률 정보, 배송사별 감액률이 적용된 배송비 정보, 배송 지원 서버(300)와 각 배송사 간의 계약에 따른 감액률이 적용된 배송비 정보를 각각 감안해서 배송 비용을 각각의 배송사별로 계산 및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된 배송사별 배송 비용 목록을 배송사 선택부(305)와 공유한다.
배송 시간 산출부(304)는 사용자가 기입한 배송 요청 정보의 물품 무게 정보, 출발지와 도착지 정보, 거리 정보, 픽업 서비스 신청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각각의 배송사별로 공유된 픽업 서비스 연계 정보, 배송 물류 현황 정보, 물품별 배송 추적 정보와 각각 매칭시켜서 비교한다. 그리고, 각각의 배송사별로 배송 예정 기간을 계산 및 산출해서 산출된 배송사별 배송 예측 기간을 배송사 선택부(305)와 공유한다.
배송사 선택부(305)는 사용자가 우선 순위를 감안해서 기입한 배송 요청 기간, 배송료, 픽업 서비스 필요 사항 등에 기초해서 우선순위의 요청 사항 목록에 가장 근접한 배송사를 선택하고, 차 순위의 배송사 목록을 설정한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응용프로그램 지원부를 통해 지원되는 배송사 선택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배송사 선택부(305)는 접수받은 해외 배송 요청 정보와 데이터베이스화된 배송사들의 배송료 정보, 무게별 배송료 부가 정보, 배송 기간 정보, 픽업 서비스 연계 정보, 배송 물류 현황 정보, 물품별 배송 추적 정보를 비교 분석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기입한 우선순위의 요구 사항에 대응되도록 배송비 부과 정보, 배송비 정보, 배송 기간 예측 정보, 픽업 서비스 연계 정보 등을 분석해서 가장 적합한 배송사를 자동으로 추천한다.
그리고, 배송사 선택부(305)는 자동으로 선택된 배송사 선택 정보를 포함해 다음 순위로 고려된 다른 배송사 정보들을 사용자가 인터넷 사이트나 응용 프로그램 화면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배송 지원 서버(300)는 사용자가 기입한 우선순위의 요구 사항에 대응되도록 분석된 배송비 부과 정보, 배송비 정보, 배송 기간 예측 정보, 픽업 서비스 연계 정보 등을 사용자가 확인하고, 최종 결정할 수 있도록 인터넷 사이트나 응용 프로그램 화면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배송 정보 수집부(307)는 복수의 배송사 서버(400_1 내지 400_n)로부터 각각 배송 물류 현황 정보, 물품별 배송 추적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해서 데이터베이스(308)에 저장하고, 인터넷 사이트나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공유한다.
이에, 배송 정보 수집부(307)는 최종 선택된 배송사의 배송사 서버(400_1)와 사용자의 해외 배송 요청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픽업 서비스와 해외 배송 절차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모니터한다. 이때, 배송 정보 수집부(307)는 최종 선택된 배송사의 라벨 포맷에 맞게 운송장을 자동 생성하여 사용자가 확인 및 출력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때는, 해당 배송사의 오픈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정보를 공유해서 운송장을 자동 생성하고, 사용자가 확인 및 출력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도 있다. 그리고, 해당 배송사와 연계 지정된 픽업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지원 및 모니터한다.
사용자는 인터넷 사이트나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해당 배송사와 연계 지정된 픽업 서비스의 수행 상황을 실시간으로 조회 및 확인할 수 있다.
픽업 지원부(309)는 택배 또는 소포 등의 픽업 서비스 연계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해외 배송 물품이 해당 배송사로 픽업되도록 지원하며, 픽업 과정을 추적해서 사용자가 픽업 과정을 확인할 수 있도록 인터넷 사이트나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공유한다.
도 9는 응용프로그램 지원부를 통해 지원되는 배송 추적 정보 표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0은 배송 접수 및 배송의 진행/완료 등의 배송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픽업 지원부(309)는 각각의 배송사 서버(400_1 내지 400_n)로부터 택배 등의 픽업 서비스 연계 정보, 배송 물류 현황 정보, 물품별 배송 추적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제공 받는바, 배송 물류 현황 정보, 물품별 배송 추적 정보 등을 사용자가 조회 및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배송 완료 확인 후에는 해당 배송사와 배송비를 결산할 수 있다.
또한, 도 10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응용 프로그램의 배송 정보 조회 및 지원 화면을 통해 배송 물류 현황 정보(예를 들어, 해당 배송사의 배송 물류량과 물류 운송 현황 정보)를 확인하거나, 실시간 배송 추적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으로, 픽업 지원부(309)는 고객이나 프로그램 사용자가 각각의 배송사 서버(400_1 내지 400_n)별로 서비스되는 무게별 배송 정보(예를 들어, 무게별 배송 요금, 배송 추적 정보, 무게별 리미트 정보)등을 조회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에 따른 본 발명의 해외 배송 플랫폼 지원 시스템으로는 해외 배송을 원하는 고객의 우선순위 요구 사항들을 파악해서 고객의 요구 사항들에 알맞게 국제 운송 절차를 대행하는 배송사를 선택해서 연계시키는 바, 고객 만족도를 높이고 글로벌 한 거래가 쉽고 안전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해외 배송 플랫폼 지원 시스템으로는 고객의 요구 사항에 알맞게 택배 등의 픽업 서비스가 연계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고객 만족도를 높이면서도 글로벌 한 거래가 용이하고 안전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해외 배송 플랫폼 지원 시스템으로는 해외 배송 건수에 상관없이 미리 설정 및 계약 현황에 따른 감액률로 고객들이 감액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고객 만족도와 서비스 이용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인터넷 통신 단말기기
300: 배송 지원 서버
301: 응용프로그램 지원부
302: 접수 지원부
302: 비용 계산부
304: 배송 시간 산출부
305: 배송사 선택부
306: 배송사 정보 수집부
307: 배송 정보 수집부
308: 데이터베이스
309: 픽업 지원부
400_1 내지 400n: 복수의 배송사 서버

Claims (7)

  1. 사용자가 인터넷 사이트나 응용프로그램에 접속해서 해외 배송을 요청하고 해외 배송 요청 정보를 기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인터넷 통신 단말기기;
    국제 전자상거래에 따른 오픈 물류 수출, 수입, 국제 운송, 배송 및 반송 처리 절차가 수행되도록 지원하는 복수의 배송사 서버; 및
    상기 인터넷 사이트나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해외 배송 요청 정보를 접수받고 상기 해외 배송 요청 정보에 기초해서 복수의 배송사 중 어느 하나의 배송사를 선택하며, 상기 선택된 배송사 서버와 상기 사용자의 해외 배송 요청 정보를 공유하는 배송 지원 서버를 포함하는,
    해외 배송 플랫폼 지원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배송사 서버는
    미리 설정된 계약 상황에 따라 자체 결정된 거리 및 국가간 배송료 정보, 배송 물품 무게에 따른 배송료 부가 정보, 거리 및 국가간 배송 기간 정보, 픽업 서비스 연계 정보, 배송 물류 현황 정보, 물품별 배송 추적 정보를 실시간으로 상기 배송 지원 서버와 공유하는,
    해외 배송 플랫폼 지원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 지원 서버는
    해외 배송이 필요한 사용자가 상기 인터넷 통신 단말기기를 이용해서 상기 인터넷 사이트나 응용프로그램에 접속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응용프로그램 지원부;
    상기 인터넷 사이트나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해외 배송 요청 정보를 수신 및 저장하고, 사용자가 우선 순위를 설정해서 배송 기간, 배송료, 픽업 서비스 필요 사항을 포함한 요구 사항을 기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접수 지원부; 및
    상기 복수의 배송사 서버로부터 각각 설정된 거리 및 국가간 배송료 정보, 배송 물품 무게에 따른 배송료 부가 정보, 거리 및 국가간 배송 기간 정보, 택배 등의 픽업 서비스 연계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해서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배송사 정보 수집부를 포함하는,
    해외 배송 플랫폼 지원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 지원 서버는
    상기 사용자가 기입한 배송 요청 정보의 물품 무게 정보, 출발지와 도착지 정보, 거리 정보, 픽업 서비스 신청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상기 각각의 배송사 별로 자체 결정된 거리 및 국가간 배송료 정보와 배송 물품 무게에 따른 배송료 부가 정보와 각각 비교해서 상기 각 배송사별로 배송 비용을 산출하는 비용 계산부;
    상기 사용자가 기입한 배송 요청 정보의 물품 무게 정보, 출발지와 도착지 정보, 거리 정보, 픽업 서비스 신청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상기 각각의 배송사 별로 공유된 픽업 서비스 연계 정보, 배송 물류 현황 정보, 물품별 배송 추적 정보와 각각 비교해서 상기 각 배송사별로 배송 예정 기간을 산출하는 배송 시간 산출부; 및
    상기 사용자가 우선 순위를 감안해서 기입한 배송 요청 기간, 배송료, 픽업 서비스 필요 사항에 기초해서 배송사를 우선순위의 배송사를 선택하고 차 순위로 배송사 목록을 설정하는 배송사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해외 배송 플랫폼 지원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사 선택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기입된 해외 배송 요청 정보와 상기 각 배송사들의 배송료 정보, 무게별 배송료 부가 정보, 배송 기간 정보, 픽업 서비스 연계 정보, 배송 물류 현황 정보, 물품별 배송 추적 정보를 비교하고,
    사용자가 기입한 우선 순위의 요구 사항에 대응되도록 배송비 부과 정보, 배송비 정보, 배송 기간 예측 정보, 픽업 서비스 연계 정보를 분석해서 가장 매칭 결과가 근접한 배송사를 자동으로 선택하는,
    해외 배송 플랫폼 지원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사 선택부는
    상기 사용자가 기입한 우선 순위의 요구 사항에 대응되도록 분석된 배송비 부과 정보, 배송비 정보, 배송 기간 예측 정보, 픽업 서비스 연계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하고, 최종 결정할 수 있도록 상기 인터넷 사이트나 응용 프로그램 화면으로 표시하는,
    해외 배송 플랫폼 지원 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 지원 서버는
    상기 복수의 배송사 서버로부터 각각 배송 물류 현황 정보, 물품별 배송 추적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인터넷 사이트나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공유하는 배송 정보 수집부; 및
    상기 픽업 서비스 연계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해외 배송 물품이 해당 배송사로 픽업되도록 지원하며, 픽업 과정을 추적해서 사용자가 픽업 과정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인터넷 사이트나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공유하는 픽업 지원부를 더 포함하는,
    해외 배송 플랫폼 지원 시스템.

KR1020190058390A 2019-05-17 2019-05-17 해외 배송 플랫폼 지원 시스템 KR202001326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390A KR20200132600A (ko) 2019-05-17 2019-05-17 해외 배송 플랫폼 지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390A KR20200132600A (ko) 2019-05-17 2019-05-17 해외 배송 플랫폼 지원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2600A true KR20200132600A (ko) 2020-11-25

Family

ID=73645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8390A KR20200132600A (ko) 2019-05-17 2019-05-17 해외 배송 플랫폼 지원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260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64560B1 (ja) * 2022-10-28 2023-04-25 株式会社ネオ・ウィング 配送料見積装置
KR102604358B1 (ko) * 2022-10-06 2023-11-23 (주)원플러스로지스틱 통관 불가능 물품에 대한 통관 대행과 배송 처리 시스템 및 이를 실행하는 방법
KR102617074B1 (ko) * 2023-07-31 2023-12-27 주식회사 폴로클럽 의류 품목별 판매량 데이터 처리를 기반으로 하는 생산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645566B1 (ko) * 2023-05-22 2024-03-07 엄길용 해외운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4358B1 (ko) * 2022-10-06 2023-11-23 (주)원플러스로지스틱 통관 불가능 물품에 대한 통관 대행과 배송 처리 시스템 및 이를 실행하는 방법
JP7264560B1 (ja) * 2022-10-28 2023-04-25 株式会社ネオ・ウィング 配送料見積装置
KR102645566B1 (ko) * 2023-05-22 2024-03-07 엄길용 해외운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617074B1 (ko) * 2023-07-31 2023-12-27 주식회사 폴로클럽 의류 품목별 판매량 데이터 처리를 기반으로 하는 생산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32600A (ko) 해외 배송 플랫폼 지원 시스템
US20180096416A1 (en) Virtual resource transfer method, client device, application server, and system
US8918341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national merchandise return service
US10445814B2 (en) International e-Commerce system
US20140279440A1 (en) Export preparation and support system and method
US2016029263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Sending of Items
US20230252580A1 (en) Risk relationship resource allocation servicing system and method
US10579955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multi-carrier/multi-channel/multi-national shipping
KR102577624B1 (ko) 상거래 시스템, 관리 서버 및 프로그램
KR101883694B1 (ko) 수출입통관 및 정산 자동화 시스템
Wang Transportation-enabled urban services: A brief discussion
WO2003014988A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al time pricing based on variables
US20120323766A1 (en) Method for recycling scrap
KR20200088025A (ko) 종합수배송 공유 방법
JP7070944B2 (ja) 情報処理装置
CN113706255A (zh) 业务订单生成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CN113379523A (zh) 账单生成方法、装置、介质及电子设备
JP6212236B1 (ja) 配送管理方法、配送管理サーバ、配送管理サーバプログラム及び配送管理システム
KR20210119768A (ko) B2b 정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US11741495B2 (en) Device for managing promotion work for product that manufacturer desires to sell, and program executed on said device
CN117273862A (zh) 订单处理方法和装置
JP2018180825A (ja) 配送管理方法、配送管理サーバ、配送管理サーバプログラム及び配送管理システム
KR20230089835A (ko) 물류 및 통관 업무 통합 처리 시스템
CN113778579A (zh) 用于产品信息入库的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2023122610A (ja) 支援システム、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