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5566B1 - 해외운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해외운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5566B1
KR102645566B1 KR1020230065557A KR20230065557A KR102645566B1 KR 102645566 B1 KR102645566 B1 KR 102645566B1 KR 1020230065557 A KR1020230065557 A KR 1020230065557A KR 20230065557 A KR20230065557 A KR 20230065557A KR 102645566 B1 KR102645566 B1 KR 102645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ortation
international
logistics
import
overse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5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길용
Original Assignee
엄길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길용 filed Critical 엄길용
Priority to KR1020230065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55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5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5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1Overseas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5Needs-based resource requirements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4Billing or invoi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40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ultimedia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해외운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국제운송, 수출입대행 및 국제특송 중 적어도 하나를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 국제운송, 수출입대행 및 국제특송 중 적어도 하나를 담당하는 담당자 단말 및 항공, 해상, 3자 무역 및 3PL(Third-Party Logistics)을 포함하는 국제운송, 수입대행 및 수출대행을 포함하는 수출입대행, E-커머스 기반 통관절차를 진행하는 국제특송을 포함하는 업무 프로세스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구축부, 사용자 단말에서 국제운송, 수출입대행 및 국제특송 중 적어도 하나를 요청하는 경우 담당자 단말을 지정하는 지정부, 사용자 단말의 국제운송, 수출입대행 및 국제특송에 따른 업무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진행부를 포함하는 해외운송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해외운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INTERNATIONAL FREIGHT SERVICE}
본 발명은 해외운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국제운송, 수출입대행 및 국제특송의 업무 프로세스를 원스톱으로 진행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한국 기업은 한정된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주요한 핵심역량 부문에 자원을 전략적으로 집중시키고 비핵심역량 부문은 전문 업체에 맡기는 아웃소싱 전략을 취하고 있는데, 비핵심역량인 물류활동을 아웃소싱함으로써 물류비용은 절감하고 제조 및 서비스 품질을 개선하는 성과를 얻고 있다. 국가 간 거래가 점차 증가하고 한국의 대외 무역의존도 역시 높아짐에 따라, 운송주선업자로서의 기능이 있는 3PL(Third-Party Logistics) 업체의 역할이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있고, 3PL에서 더 나아가 E-커머스에서 CS까지 담당하는 풀필먼트(Fulfillment)까지 확장되고 있다. 이때, 물류정책기본법에 따른 물류란 재화가 공급자로부터 조달 및 생산되어 수요자에게 전달되거나 소비자로부터 회수되어 폐기될 때까지 이루어지는 운송, 보관, 하역 등과 이에 부가되어 가치를 창출하는 가공,조립,분류,수리,포장,상표부착,판매,정보통신 등을 말하고, 물류 아웃소싱은 기업의 물류기능을 외부의 물류 전문기업에게 위탁하는 것을 의미한다. 물류 아웃소싱의 형태는 운송에 필요한 기본적인 수송, 배송 및 보관의 형태로 출발하여 그 영역이 점차 포장, 유통가공,수출입관리,마케팅의 영역까지 확대되고 있다.
이때, 3PL을 이용하는 회원 간을 매칭하거나 픽업부터 해외물류까지의 과정을 공동구매하는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2342602호(2021년12월22일 공고) 및 한국공개특허 제2022-0167949호(2022년12월22일 공개)에는, 해외물류서버로부터 소재지, 가격 및 배송방식을 포함한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소재지, 제품의 종류, 수량 및 무게, 배송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한 후, 사용자 및 해외물류사를 매칭하는 구성과, 픽업부터 해외배송까지 배송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각 제품을 카테고리별로 분류한 후 공동으로 해외배송하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
다만, 전자의 경우 해외 물류사와 국내 제조사 간을 매칭해주는 구성일 뿐이고, 후자의 경우에도 물류를 모아서 한 번에 배송시키는 공동구매의 구성을 개시할 뿐이다. 한국 기업의 해외진출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해외에 진출한 대부분의 기업들이 진출 후 물류부문에 있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해외에 진출한 한국 기업 대부분이 현지 전문물류서비스의 부재로 현지시장개척이나 확장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현지 3PL 업체를 이용할 때 한국업체에 특화된 전문적인 물류 서비스를 제공받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에, 최적의 서비스를 갖춘 맞춤별 해외물류파트너를 선정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국제운송분야에서 항공, 해상, 트럭 및 철도 운송과 창고보관, 재고관리 및 운송과 같은 물류체계를 관리 및 지원할 수 있고, 국제운송에서는 삼국간 무역인 중계무역, 3PL 뿐만 아니라 풀필먼트까지, 또 수출입대행을 위한 절차를 원스톱으로 제공할 수 있고, 국제특송을 위한 관세절차를 지원해주는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글로벌 포워딩 및 한국계 포워딩과의 제휴를 통해 최적의 서비스를 갖춘 맞춤별 해외물류파트너를 선정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국제운송분야에서 항공, 해상, 트럭 및 철도 운송과 창고보관, 재고관리 및 운송과 같은 물류체계를 관리 및 지원할 수 있고, 국제운송에서는 삼국간 무역인 중계무역, 3PL 뿐만 아니라 풀필먼트까지, 또 수출입대행을 위한 절차를 원스톱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국제특송을 위한 관세절차를 지원해줄 수 있는, 해외운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국제운송, 수출입대행 및 국제특송 중 적어도 하나를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 국제운송, 수출입대행 및 국제특송 중 적어도 하나를 담당하는 담당자 단말 및 항공, 해상, 3자 무역 및 3PL(Third-Party Logistics)을 포함하는 국제운송, 수입대행 및 수출대행을 포함하는 수출입대행, E-커머스 기반 통관절차를 진행하는 국제특송을 포함하는 업무 프로세스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구축부, 사용자 단말에서 국제운송, 수출입대행 및 국제특송 중 적어도 하나를 요청하는 경우 담당자 단말을 지정하는 지정부, 사용자 단말의 국제운송, 수출입대행 및 국제특송에 따른 업무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진행부를 포함하는 해외운송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글로벌 포워딩 및 한국계 포워딩과의 제휴를 통해 최적의 서비스를 갖춘 맞춤별 해외물류파트너를 선정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국제운송분야에서 항공, 해상, 트럭 및 철도 운송과 창고보관, 재고관리 및 운송과 같은 물류체계를 관리 및 지원할 수 있고, 국제운송에서는 삼국간 무역인 중계무역, 3PL 뿐만 아니라 풀필먼트까지, 또 수출입대행을 위한 절차를 원스톱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국제특송을 위한 관세절차를 지원해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외운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해외운송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외운송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외운송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외운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해외운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해외운송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담당자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해외운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해외운송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해외운송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담당자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담당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해외운송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해외운송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국제운송, 수출입대행 및 국제특송 중 적어도 하나를 요청하는 클라이언트의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해외운송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해외운송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해외운송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국제운송, 수출입대행 및 국제특송의 업무 프로세스를 구축하고, 사용자 단말(100)의 업무요청에 담당자 단말(400)의 담당자를 배정하며, 각 업무에 따른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해외운송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담당자 단말(400)은, 해외운송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국제운송, 수출입대행 및 국제특송 중 적어도 하나의 업무를 담당하는 담당자의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담당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담당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담당자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해외운송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외운송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해외운송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구축부(310), 지정부(320), 진행부(330), 통관자동화부(340), 매칭부(350), 수요예측부(360), DB부(370), 트래킹부(380), 재고관리부(390), 창고관리부(391), 질의응답부(393), 완료보고부(395) 및 대행부(397)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외운송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담당자 단말(400)로 해외운송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담당자 단말(400)은, 해외운송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담당자 단말(4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설명하기 이전에, 도 2에서 설명된 내용의 기본개념을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된 개념은 도 2에서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국제물류주선업>
Forwarder 또는 Freight Forwarder의 사전적인 의미는 화물 운송을 위탁한 고객을 대리하여 위탁한 화물을 수출입 통관, 입출고, 집화, 환적 또는 배달 등의 물류서비스를 제공하여 고객이 요청한 목적지까지 안전하고 신속히 운송하는 자로 정의되어 있다. 즉, 국제물류주선업자는 자가 소유의 운송수단 및 운송 시설을 직접적으로 소유하지 않지만, 다수의 고객으로부터 운송의뢰 받은 화물을 복합운송, 물류시설, 국내외 파트너 계약 후 화물의 운송대리인 입장으로 최초에 요청한 목적지까지 안내한 총 운송 기일 내 운송을 진행하는 자를 말한다. 또한, 화물 운송과정에서 운송대리인의 권한으로 복합운송증권 발행이 가능하며, 상호 간 운송조건에 따라 무역조건별 운송책임의 직·간접적인 주체가 되기도 한다.
이러한 국제복합운송업은 다수의 운송업체가 참여하는 운송방식 이라는 관점에서 국제통운송(International Through Transport)의 일종이지만 동종 운송수단의 결합방식인 단순 통운송과는 다르고, 국제복합운송은 전술한 정의에 비추어 볼 때 국제간의 운송(2 개 국간의 운송), 복합운송계약의 체결, 국제복합운송인에 의한 전구간의 책임인수, 운송수단의 이종다양성을 충족해야 하므로 총 운송 구간을 단순히 두 번 이상 반복하는 통 운송과는 구별되어야 한다. 한국 상법에는 운송주선인이란 자기 명의로 물건운송의 주선을 영업으로 하는 자(제114조)로 규정한 것과 같이, 자기명의로 물건운송의 주선을 영업으로 함으로써 상인이 되며(제4조, 제46조 12호), 물건운송인인 이상 육상, 해상, 운송 또는 3 종류의 통운송의 어느 것이든 불문한다고 규정되어 있다. 최근 포워더는 MTO 또는 NVOCC와 거의 구분없이 동의어로 사용되고 있다.
<국제주선업의 기능>
국제물류주선업은 시대에 따라 화주의 대리인 자격으로 운송수단을 이용하여 운송 시 발생하는 관련업무를 대행해 주는 전통적인 기능이 있고, 복합운송시스템 및 자가 소유의 운송설비·시설 등을 이용하여 SCM(Supply Chain Management) 관점에서 주체자로 진행되는 현대적인 기능으로 구분할 수 있다. 물류시장에서 Freight Forwarder라고 영어로 표현하며 고객의 요청으로 인수된 수출입화물을 목적지에 지정된 수하인에게 배송하는 전과정에서 복합운송 및 시설을 이용하는 운송의 총 책임자로 주체적인 업무를 전담한다. 결과적으로 Freight Forwarder는 수출화물의 유형에 따라 전체적인 복합운송을 계획하고, 타인 소유의 물류시설 및 장비를 계약하며, 항공기 및 선복의 예약, 수출입 서류작업, 보험 가입, 발생 실비 및 운임의 선납, 창고보관 및 포장 등 국제운송 전체적인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물류 서비스에 직접적인 업무에 관여를 한다. 그 중에서도 국제물류주선업의 가장 핵심적인 기능은 운송화물을 출발지에서 시작하여 최종 국가의 목적지까지 과정 상의 모든 제반 업무 부분을 책임지고 대행하는 것이다.
최근 복합운송 및 필요시 물류컨설팅, 물류시스템을 제공하는 등 국제물류주선업자의 업무가 다양화 되고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국제물류주선업자의 다양한 업무는 이하 표 1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업무 내용
컨설팅 기능 특수화물, 중량물, 일반화물 등 화물별 운송특성에 대한 최적의 운송모드 선정을 포함하여 전체적인 운송컨설팅으로 비용·일정에 대한 최적화된 국제운송을 결정할 수 있게 도움을 준다.
운송계약의 체결 고객을 대신해 국제물류주선업자 자격으로 운송예약을 한다. 화물특성에 따라 항공사, 선사에 예약 후 선적을 하게 된다.
서류작성 국제운송 진행시 필요한 선적서류(통관서류, 원산지증명서, 보험 증권, 선적 지시서, EDI 전송 등) 작성 시 해당 국가별 차이점에 대한 조언을 주고, 서류작성에 직·간접적인 도움을 준다.
통관지원 국제운송에서 가장 중요한 수출입 절차 중 하나이며 주요공항이나 항만에 계약된 관세사를 통해 통관에 관련된 일체업무를 대행한다.
입체지불 국제물류주선업자가 업무진행시 고객을 대신 하여 모든 비용을 입체지불 한다. 비용은 국제운송 절차에서 사용되는 물류시설·운송수단에 대한 모든 비용이며 모든 비용은 국제주선업자에게 일괄적으로 지급하여 업무절차를 간소화 시켜 준다.
창고보관 필요시 소량 화물(LCL)의 통합 및 분배의 업무지원을 하며, 자가 창고 소유 및 임대창고 보관을 통하여 원활한 항공 및 선박 선적업무를 지원 한다.
보험가입 다양한 화물 및 운송모드를 기준으로 화물에 대한 직접 보험가입, 운송모드에 대한 보험 등을 가입하여, 화물사고 발생 시 적의조치 할 수 있다.
집화·분배 운송일정을 고려하여 화물의 집화 및 분배 서비스를 들 수 있다. 또한 필요시 화물의 혼재서비스 등, 국내외 파트너쉽을 이용하여 처리된다.
기타업무 필요시 국제물류주선업자의 해외 네트워크를 통한 정보구득, 상황확인, 수금 등 수출입 관련된 전반적인 부가서비스도 필요시 제공한다.
<중계무역>
중계무역(Intermediary Trade)은 일반적인 국제무역거래와는 확연한 차이가 있는 거래이다. 3 국 이상의 거래 당사자가 개입되어 수출과 수입이 연계되어 움직이기 때문에 삼자무역이라고도 하며, 그에 따른 상품과 관련 서류의 이동, 대금결제 등이 얽히는 복잡한 거래이다. 이러한 거래를 통하여 관련 당사자들 모두가 궁극적인 이득이 발생하기에 계약이 체결되어 진행되고 그러한 이득은 1 국의 국민경제 발전에도 많은 기여를 하게되므로 관련 국가에서 법령으로 그러한 거래를 규정하고 있다. 중계무역은 국제무역거래의 발전에 따라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하나는, 다국적기업이 여러 국가를 거쳐서 하나의 완제품을 만들어내기 위하여 원재료, 가공, 완제품 생산의 단계를 거치는 중계무역의 형태가 있고, 다른 하나는 생산시설을 보유하지 않은 채 공급업체로부터 제품을 공급받아서 외국의 수입자에게 이를 인도해 주고 중계차익을 취득하는 고유의 중계무역으로 구분된다.
후자의 중계무역은 상품의 흐름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는데, 먼저 해외의 물품 제조국가에서 수입자에게 직접 운송되는 거래형태와 중계업자가 속한국가의 보세구역을 거쳐서 수입자에게 운송되는 거래 형태가있다. 요즘은 이 두 거래형태 중에서 물품 제조국가에서 수입국으로 직항으로 운송하는 형태의 중계무역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중계업자의 업무 간소화 및 비용절감과 관련이 있다. 실제로 한국의 보세구역을 거쳐서 수입국으로 운송하는 경우 중계무역업자가 세관에 반입신고를 하여 허가를 받아야 반입을 할수 있으며, 수입국으로 반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세관을 통해서 반송절차를 거쳐야 하는 등 실로 그 과정이 복잡하다. 이는 관세법상 반입·반송신고라고 되어 있지만, 진행절차는 수입·수출신고절차와 비슷하기 때문에, 중계업자는 반입신고를 하고 향후 화물이 국외로 반출될 때는 다시 반송신고를 하여야 한다.
신용장통일규칙(Uniform Customs and Practice forDocumentary Credits, 2007 Revision, ICC Publication No. 600, UCP 600)인 UCP 600 제38조 양도조항에서는 중계업자가 기본적으로 중계차액을 취득할 수 있도록 원 신용장의 양도조건 변경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으며, 물품공급자가 발행한 송장 및 환어음을 중계업자의 것으로 대체할 수 있도록 서류대체권을 인정하고 있다. 기타 신용장에서 요구하는 서류의 경우 신용장에서 별도로규정하지 않는 한 송화인(Shipper)은 신용장 상의 수익자(Beneficiary)가 될 필요는 없다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송장과 환어음 이외의 서류상에 물품공급자 또는 중계업자가 송화인으로 기재되지 않고 제3자가 기재된 운송서류를 제시함으로써 물품공급자의 명칭이 수입자에게 노출되는 위험을 제거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중계차익을 획득하고자 하는 중계업자는 자신이물품공급자와 맺은 공급계약내용(공급금액, 물품공급자 명칭 등)이 수입자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야하며 또한 반대로 수입자와 맺은 계약내용(계약금액, 수입자의 명칭등)이 물품공급자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계무역 거래의 핵심 내용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구축부(310)는, 항공, 해상, 3자 무역 및 3PL(Third-Party Logistics)을 포함하는 국제운송, 수입대행 및 수출대행을 포함하는 수출입대행, E-커머스 기반 통관절차를 진행하는 국제특송을 포함하는 업무 프로세스를 데이터베이스화 할 수 있다. 도 4b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은 [국제운송], [수출입대행] 및 [국제특송]을 진행하는데, 각 업무에 따른 업무 프로세스를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지정부(32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국제운송, 수출입대행 및 국제특송 중 적어도 하나를 요청하는 경우 담당자 단말(400)을 지정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국제운송, 수출입대행 및 국제특송 중 적어도 하나를 요청할 수 있다. 담당자 단말(400)은, 국제운송, 수출입대행 및 국제특송 중 적어도 하나를 담당할 수 있다.
진행부(330)는, 사용자 단말(100)의 국제운송, 수출입대행 및 국제특송에 따른 업무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통관자동화부(340)는, 국제특송의 업무 프로세스를, 국제특송의 물품 내 포함된 인보이스(Invoice)를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로 인식한 후, 인식된 인보이스 내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중 기 설정된 관세 데이터를 기 구축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 추출하고, 인공지능 알고리즘이 추출한 관세 데이터를 기 구축된 로봇 프로세스 자동화(Robotic Process Automation: RPA)가 기 지정된 관세 시스템에 입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인보이스 내의 텍스트는 OCR로 인식을 하지만, OCR로 인식을 한 텍스트가 모두 관세 데이터로 이용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 개체명 인식을 한 후 관세 데이터에 사용되는 데이터만 골라내야 한다. 하지만, 인보이스 양식이 모두 다르고 사용하는 용어도 각 업체마다 차이가 존재할 수 있으므로, 이를 빅데이터로 수집 및 구축한 후 표준코드에 따라 매핑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할 수 있다. 라벨러를 고용할 수도 있고, 각 직원이 매핑한 자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표준코드]-[용어]와 같은 형식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렇게 데이터셋이 구축되면, OCR로 읽어낸 [용어]를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질의로 입력하고 [표준코드]를 토출하도록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학습 및 검증한 후, 가장 정확도가 높은 알고리즘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고리즘으로 세팅할 수 있다. 이 과정이 끝나면, [OCR]-[AI]를 거쳐 관세신고에 필요한 항목만이 추출되고, 용어가 서로 다른 것에 관계없이 표준코드로 출력되므로 각 관세 데이터를 RPA가 관세 시스템에 넣을 준비가 완료된다.
<RPA>
동일한 행위가 반복되는 경우, 특히 관세신고 및 통관절차와 같이 그 프로세스가 정형화된 단계가 많은 경우,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RPA는, 사람이 수행하던 정형화 및 규칙적이고 반복적인 업무 프로세스를, 소프트웨어 로봇을 이용하여 자동화하는 것으로,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사람을 대신하여 소프트웨어 로봇이 수행하도록 자동화하는 것을 의미하며, 반복적인 업무들을 대신해 미리 정해진 프로세스에 따라 처리하는 소프트웨어 기술이다. RPA는 AI와 결합을 통해 IPA(Intelligent Process Automation)로 진화할 수 있는데, IPA는 명확한 규칙 또는 정형화된 규칙(Regular Expression)의 업무에 특화되어 있는 RPA 기술이 AI 인지기술이 결합되어, 스스로 판단하며 업무수행이 가능하다. 이와 더불어 딥러닝, 머신러닝을 이용하여 자연어 처리 능력을 갖추는 경우, 사람이 처리하던 반복적인 업무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업무를 대체할 수 있다. IPA는 워크 플로우를 재정의하여 최종 관리자의의 행동을 유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예를 들어, 단순한 작업을 반복적으로 하는 경우는 RPA를 이용하여 진행을 하지만, 비즈니스 로직이 조금 복잡해지거나 관리자와 상호작용을 필요로 하게 되는 경우 RPA는 한계를 보인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상술한 IPA를 사용할 수 있다.
<RPA 모델링>
업무확인이나 업무요청, 자동화 프로세스 및 담당자 단말(400)의 응답 데이터를 매핑하여 플로우 데이터셋(Flow DataSet)을 수집하고, 업무확인이나 업무요청이 질의(Query)로 입력되는 경우 응대, 자동화 프로세스 및 응답 데이터의 플로우가 자동으로 진행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학습 및 검증함으로써 모델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B-C-D-E]로 진행되는 업무 플로우가 존재한다고 가정하자. RPA를 구동하기 위해 [A-B-C-D-E]와 같은 시나리오를 추출 및 구축하고 케이스를 설계하고 이를 레코딩하는 경우, 상당히 많은 공수와 시간을 소요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시나리오와 케이스를 분석하고 설계하는 단계에서 소모되는 공수와 시간을 줄이고, 실제 담당자의 패턴을 기반으로 실질적인 시나리오 및 케이스를 설계하는 것을 자동화하는 모델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분석 스크립트가 설치된 웹 서비스, 데이터를 수집하는 메시지큐(Message Queue) 시스템, 로그(Log)를 분석하는 로그 분석 시스템, UI(User Interface) 관리도구 및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시스템 프로세스는 6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첫째, 설치 단계이다. 최초 UI 관리를 위한 대상 서비스에 분석 스크립트를 설치한다. 둘째, 분석 단계로 담당자 단말(400)에서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웹 로그를 메시지큐 시스템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메시지큐 시스템에서는 대량으로 수집되는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DB에 저장하고 로그 분석 시스템에서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분석한다. 셋째, 웹 로그분석에 대한 대시보드를 통해 조회할 수 있다. 넷째, 설계 단계로 우선 분석으로 추출된 데이터를 이용해서 테스트 시나리오 케이스를 자동화 설계하고 설계된 테스트 시나리오와 케이스를 수정하는 테일러링 과정이 있다. 목록 작성이 완료되면 목록과 동일하게 테스트 케이스를 레코딩한다. 다섯째, 수행 단계로 매일 등록된 시나리오에 대해 테스트를 수행한다. 여섯째, 테스트 수행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대시보드를 출력하는 단계이다. 물론, 상술한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시나리오 및 케이스를 구축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RPA의 자동화 프로세스를 위해서는 관리자가 반복해서 사용하는 플로우를 우선 추출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RPA 도구의 녹화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데, 사용자의 동선을 Mouse Listener와 Keyboard Listener를 통해 좌표값, 이미지, 키보드 입력값을 데이터화하여 엑셀 파일로 저장한다. 저장된 엑셀파일을 실행하면 자동으로 마우스 움직임과 키보드 입력값이 실행된다. 또한, 해당 기능은 파일명 값의 유무로 기존 녹화 파일을 실행하거나 새로 파일을 녹화하도록 설정된다. 또, Matplotlib로 시각화하여, 관리자가 지정한 비대칭 데이터를 변환 방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작업인 비대칭 데이터 변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Log Transform, Square Transform, Box-Cox Transform 중 가장 정규분포에 가까운 변환 방법으로 데이터 행이 변환되어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 모델의 성능 향상을 위해 IQR(Interquartile Range) 방식을 이용해 이상치(Outlier) 데이터를 제거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하여, RPA에서 비대칭 데이터 변환, 이상치 처리를 통해 데이터를 시각화하고 양질의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녹화 기능으로 RPA 도구에서 자동화 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
매칭부(350)는, 국제운송을 위한 해외물류 파트너사를 선정할 때,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인적인프라, 기업평판, 물류서비스, 관계자산 및 한국계 파트너사를 포함하는 선정요인을 입력받은 후, 해외물류 파트너사의 선정에 대한 의사결정을 위한 계층화 분석 방법(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하 표 2와 같은 선정요인이 존재하는 경우, 이에 대한 각 사용자의 특성 및 선호도를 파악하여 파트너사 선정 및 매칭을 수행해줄 수 있다.
선정요인 구성항목
관계자산 학연관계, 혈연관계, 지연관계, 사적관계, 정치적관계
기업평판 인지도, 회사규모, WorldWide Network 운영여부, 창고보유여부, 장비보유여부, IT 운영능력
인적인프라 높은 업무이해도, 원활한 의사소통, 위기관리능력, 높은 책임감, 높은 전문성
물류서비스 항공운임, 해상운임, Ex-Work 비용, FOB 비용, 컨테이너 확보능력
현지로컬포워더 업무책임감, 업무처리, 위기관리능력, 클레임&손실에 대한 해결능력, 전문성, 원활한 의사소통
한국계포워더 책임감, 업무처리능력, 위기관리능력, 클레임&손실처리에 대한 해결능력, 원활한 의사소통, 전문성, 합리적 운임 및 비용제공
이때, 해외운송의뢰를 하는 사용자를 각 그룹별로 나누고, 각 그룹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파트너사 선정요인은 무엇이 있는지에 대한 데이터를 누적하고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위하여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를 진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국제운송 중 항공운송을 의뢰하는 경우라면, 한국소재 수출입업을 하는 기업이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선정요인은 무엇인지, 해외진출 수출입업을 하는 기업이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선정요인은 무엇인지, 한국소재 3PL 업체가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선정요인은 무엇인지, 해외진출 3PL 업체가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선정요인은 무엇인지, 또 전문가 그룹이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선정요인은 무엇인지 등을 선정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해외진출 수출입업을 하는 기업 그룹에 속한다면, 이에 따른 우선순위를 도출하여 파트너사를 선택할 때 우선순위를 두어 추출할 수 있고, 사용자가 한국소재 수출입업을 하는 기업 그룹에 속한다면, 역시 이에 따른 우선순위를 도출하여 제조사를 선택할 때 우선순위를 두어 추출할 수 있다. 물론, 카테고리는 상술한 것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 업종 또는 그 이외의 분류자에 따라 카테고리를 나눌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AHP는 요인들 간의 쌍대비교(Pairwise Comparison)를 통해 평가자의 지식, 경험 및 직관을 포착하여 대안들 사이에서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이후 이론의 명확성과 적용의 간편성, 범용성이라는 특징으로 인해 의사결정 분야에서 널리 응용되어 왔다. 분석에서는 상위 계층에 있는 요소들에 기여하는 하위계층 요소들을 쌍대 비교하여 행렬을 작성한다. 여기서, 서로 다른 수치 척도를 사용하여 실제 거리와 상대적 거리감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는 조사를 통해 1 내지 9 점 사이의 척도가 실제치에 가장 근접한 결과를 나타냄을 확인한 이후, 주로 9 점 척도를 이용해왔다. 그리하여 작성된 쌍대비교행렬 A는 수학식 1과 같이 행렬의 대각을 중심으로 역수의 형태를 취한다.
Figure 112023056350873-pat00001
여기서 aij는 wi/wj(i,j=1,…, n)이고, wi는 요소 i의 중요도이며, aij=1/aji, aii=1, ∀i에 대해서이다. 행렬을 구성하는 요소 aij는 수익창출 기여요인 i와 j간의 상대적 중요도를 나타내는데, 비교 대상이 되는 요소들 간 상대적인 중요도 wi와 wj의 비율로 구성된다. 위 행렬의 모든 요소를 나타내면 수학식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23056350873-pat00002
수학식 2는 선형대수론의 고유치 문제(EigenValue Method)와 같아진다. 그런데 평가자가 정확한 선호도 w를 모르기 때문에 실제적으로는 행렬 A를 A′으로 가정하고, 수학식 3으로 추정치 w′을 추정하여 계층마다 정규화된 우선순위 벡터(Priority Vector)를 산출한다.
Figure 112023056350873-pat00003
여기서 λmax는 행렬 A′의 가장 큰 고유치이다. 추가로 수학식 4와 같이 일관성비율(Consistency Ratio, CR)을 구하여 응답의 일관성 정도를 검증한다.
Figure 112023056350873-pat00004
여기서, RI는 난수지수(Random Index)이다.
마지막으로 각 계층에서의 가중치를 종합하여 종합적인 중요도 벡터를 산출하고, 이후 다수 평가자의 평가치를 통합한다. 통합을 위한 여러 방법이 제안되었는데 어느 방법을 사용하여도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수학식 5와 같이 각자의 쌍대비교행렬을 계산하여 최대 고유치에 해당하는 고유벡터를 구한 다음, 항목별로 평가자들의 고유벡터 값들을 산술평균하여 통합된 가중치를 구할 수 있다. 다만, 이 방법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Figure 112023056350873-pat00005
상술한 AHP를 표 1에 따른 선정요인 및 구성요소에 적용하는 경우, 각 사용자(클라이언트) 그룹별로 어떠한 부분을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어떤 구성요소를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파트너사를 선정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고, 사용자가 우선순위를 지정하지 않더라도 사용자 그룹에 맞는 파트너사를 선정 및 매칭해줄 수 있게 된다.
수요예측부(360)는, 국제운송을 위한 3PL 및 풀필먼트(Fullfillment) 서비스를 제공할 때, 국제운송의 물류수요를 예측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일반적인 시계열 데이터 분석 모델은 패턴을 보이는 데이터에는 어느 정도 균일한 품질 결과를 보여주지만, 다양한 판매채널을 통한 주문 유입, 수익증대를 위한 수시 이벤트 발생으로 인한 주문 변화등이 심한 풀필먼트 서비스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에, 딥러닝 및 머신러닝 기반의 수요예측모델을 이용할 수 있다.
<회귀 모델>
Lasso는 예측 변수들 간 다중공선성 문제와 과적합을 방지하기 위해 L1 정규화를 사용하고 L1 정규화를 통해 자동으로 중요한 변수들을 선택, 나머지 가중치들은 0으로 만드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변수가 많을 때 그 중 일부의 변수가 중요한 경우 좋은 성능을 자랑하기도 한다. 이에 반해, Ridge는 예측 변수 간 다중공선성 문제와 과적합을 방지하기 위해 L2 정규화를 사용한다. 불필요한 변수의 계수를 0으로 만드는 Lasso와 달리, 계수를 0에 가깝게 감소하며 예측 변수들의 중요도가 전체적으로 비슷할 때 좋은 성능을 자랑한다.
<DNN>
DNN(Deep Neural Network)는 연속형 및 범주형 변수에 상관없이 모두 분석 가능하며 입력 변수들 간의 비선형 조합이 가능하다. 또한 데이터양이 많아지면 성능이 계속 좋아진다는 특징이 있다. RNN(Recurrent Neural Networks)은 Input 변수에 순서나 시간 정보가 내재되어 있을 때 강점을 보이며, Input과 Output의 길이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수요예측모델>
수요예측을 통해 불확실성을 줄여나가는 것은 경영상 매우 중요한 이슈로 제기되고 있다. 비교적 시장 점유율이 견고하게 유지되는 제조산업과는 달리 물류 서비스 산업은 매우 빠른 속도로 시장이 성장하고 변화하기 때문에, 시장 환경의 변화를 반영하여 정확한 수요예측에 기반한 적절한 물류 서비스 공급을 위한 운송 및 인력 공급 계획을 수립하여 운용하여야 한다. 물류 서비스 업계를 위해 추세 요소, 계절 요소, 각국 정세 등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분석하고, 영향 효과를 산출하여 물류 서비스 산업을 위한 수요예측 시스템에 반영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특히 각 국가의 국가 간 규제, 기상효과, 명절효과, 환율 등 수요를 크게 변화시키는 중요 영향요소에 의한 수요 변동을 수요예측에 이용할 수 있다.
DB부(370)는, 국제운송, 수출입대행 및 국제특송의 업무 프로세스별로, 관세 및 통관절차를 데이터베이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f와 같이 수출입대행의 업무 프로세스를 정의할 수 있고, 국제특송의 절차도 저장할 수 있으며, 도 4i 내지 도 4l과 같이 수입식품 절차를 저장할 수도 있고, 도 4m 및 도 4n과 같이 용어 및 각 단계를 누가 진행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트래킹부(380)는, 국제운송, 수출입대행 및 국제특송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기관 서버와 연동하여, 국제운송, 수출입대행 및 국제특송의 진행상황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한 후 대시보드(DashBoard)에 시각화하여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요청한 국제운송, 수출입대행 및 국제특송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해외운송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실시간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국, 중국, 일본 등 동북아 물류 선진국들을 중심으로 LOGINK(National Transport & Logistics Public Information Platform), COLINS(Container Logistics Information Service), TradeNET and TradeXchange, NEAL-NET, ASEAN Single Window, 국가관세종합정보망(UNI-PASS), uTradeHub(Ubiquitous Trade Hub) 등의 물류정보시스템의 구축과 이를 이용한 정보축적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유라시아 물류망의 발전에 따라 국가 간 복합운송의 활성화 및 국제 협력 등이 활발해 지기 위해서는 국가별로 구축되어 있는 정보시스템들을 상호 연계하기 위해, UNESCAP과 같은 국제기구에서도 유라시아 교통물류정보 제공시스템의 구축을 시도하고 있다.
<한국 국제물류시스템>
한국은 세계적인 수준의 ICT 기술을 바탕으로 물류, 항만운영, 위험물 관리, 정보제공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국제물류정보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주요 국내 국제물류정보시스템으로는 국가관세종합정보망(UNI-PASS), uTradeHub(Ubiquitous Trade Hub), 항만운영정보시스템(Port-MIS), 해운항만물류정보센터(SP-IDC), 글로벌 컨테이너 추적시스템(GCTS), 위험물컨테이너관리시스템, 검수정보공동활용시스템(CROSS), 항만물류정보공동활용시스템(POSS), 철도운영정보시스템(XROIS)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대표적인 국제물류정보시스템으로는 관세청에서 운영 중인 UNI-PASS와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무역협회의 주도로 구축한 uTradeHub가 있다. 국가관세종합정보망인 UNI-PASS는 수출입통관, 화물관리, 화물추적정보시스템 등을 제공하는 전자통관시스템으로 모바일 환경을 지원하는 4세대 전자통관시스템으로까지 발전했다.
UNI-PASS는 수출입통관시스템, 화물관리시스템, 화물추적정보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출입 통관 시스템은 신고서 접수 및 심사, 심사 및 검사기준 관리, 통관현황조회 등의 기능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입통관시스템은 화물시스템 및 환급시스템과 연계되어 있는데 화물관리시스템은 입항, 하역, 운송, 반입, 통관, 반출 등 일련의 화물흐름 전 과정을 전자문서에 의해 신속히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화물추적정보시스템은 화물(B/L)별로 입항에서 통관까지 일련의 화물흐름 전 과정에 걸쳐 이동단계별 화물 진행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uTradeHub는 무역업무의 효율적 수행을 위해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무역협회의 주도로 전자무역서비스 구축사업을 통해 구축된 국가전자무역 허브시스템이다. uTradeHub는 시장조사기관, 신용평가기관, 금융기관, 관세청, 선사/항공사 등 무역절차 전반에 이해관계를 가지고 있는 유관기관이 모두 연계되어 있다. 무역업체는 온라인을 통해 마케팅, 외환, 통관, 물류, 결제까지 모든 무역업무 프로세스를 원스톱으로 처리할 수 있다. 한국 외 근접 국가의 각 국제물류시스템을 정리하면 이하 표 2와 같다. 이러한 국제물류시스템과 연동시켜 사용자의 화물이 어디에 있는지 어떠한 상태에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물론, 연동가능한 국제물류시스템은 이하 표 3에 나열된 것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시스템명 시스템구성 요약
중국 LOGINK -National portal, management system, data exchange server, information service query server -Information hub for public and private system,
-Government, consigners, logistics companies are sharing information through LOGINK, the online platform
China E-Port -E-governement applications, application support platform, network-based platform, security support platform -Government built to prevent illegal acts such as smuggling, customs evasion
-Public-private cooperative governance
일본 COLINS -Information sharing system, logistics information database -Sharing container logistics information such as schedule, transported cargo volume, on internet and mobile environment
NACCS -Customer procedures, port rpocedures, trade control, animal quarantine, quarantine, food quarantine -Consolidation of Air-NACCS and Sea-NACCS
-Import and export freight information, customs, tax services
싱가포르 TradeNET & TradeXchange -ACCESS Return, Data@Source, eFreight, Electronic Certificate, Marine Cargo Insurance, Permit Return, Title Registry, Trade Permit Preparation, Trade Finance -Single window of Information' for Singapore's logistics. The system directly links the system of the small business to global logistics company
PortNet -Online ordering of port services, Customers' work process modules, Fulfillment facilitation, Track and trace, Financial Functions -Operated by PSA(Singapore Port Authority)
-Comprehensive port operation system including online order, container tracking, electronic document and DB
러시아 JSC Russian
Railways system
-Automated Traffic Control System,electronic consignment note, Automated information system
for paperless cargo transport
-“Automated System of the centralized preparation and registration of the transport documents”, “Automated control system for freight railway transport”, “Automated System of the Border control Stations Management
동북아 NEAL-NET -Data exchange (documents transfer from one company to another the in supply chain), business status query -NEAL-NET sharing information on vessel in/out port and container location information in real-time by linking Korea (SP-IDC), China (LOGINK) and Japan (COLLINS) systems
ASEAN Single
Window
-Customs declaration/duty, permit approval, payment, manifest/vessel/flight/handling info, commercial document -Information network for liberal imports and exports among AEC countries (Singapore, Vietnam, Malaysia, Myanmar, Philippines, Indonesia, Cambodia, Brunei, Laos etc.)
다만, 국가별 CIQ(Customs, Immigration, Quarantine) 제도가 표준화되지 못하고 있고, 제도적으로도 복잡하기 때문에 표준정보를 구축하거나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자체적인 표준체계를 구축하여 국가별로 상이한 제도, 문서, 정보의 표준화 및 연계를 위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류정보에 대한 기준정보(HS 코드 등)의 표준화 및 매핑을 수행할 수 있다. 통관 및 운송관련 문서의 정보연계를 통해 각 국가별 통관 및 운송을 위한 법령서식의 연계 DB를 구축할 수도 있다. 또, 물류 프로세스의 전주기 지원으로 입항-하역-통관-운송 등 물류 프로세스 전 주기에 대한 정보화 지원을 통한 편의성을 제고하고, 각 국가에서 운영하고 있는 정보시스템과의 연계를 통한 정보 교류를 수행할 수 있다. 이로부터 화물(B/L)별 입항에서 통관, 내륙운송, 국가 간 환적까지 화물운송에 대한 추적관리가 가능하며, 화주 및 무역업체에게 해당 화물운송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각 국가별 CIQ 제도 및 요구서식 등 정보제공을 통해 각국을 대상으로 한 무역업체의 진출 확대도 지원 할 수 있다.
재고관리부(39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국제운송 또는 수출입대행을 요청한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화물에 대한 재고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의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 SKU(Stock Keeping Unit) 및 재고현황을 실시간으로 동기화할 수 있다. 이때, SKU를 이용하여 국가별 및 지역별로 동종 브랜드를 취급하는 유통사에게 SKU를 추천해줄 수도 있다. 협업필터링 등 추천 방법의 대상이 개인의 영역이었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유통사에 SKU 추천을 할 수도 있다. 이때, 각 유통사별로 확대적용하기 위해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적용하는 추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각 유통사별 취급품목별 구매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유통사별 유사성(Similarity)을 계산하고, 각 유통사의 SKU별 판매이력에 따라 협업 필터링을 하여 최종적으로 각 유통사에 개별적으로 SKU를 추천하는 방식과, 유통사 프로파일 데이터를 활용하여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 및 군집 분석(Clustering)을 통하여 유통사를 N 개의 군집으로 분류한 뒤, 각 군집 내에서 협업 필터링을 적용한 하이브리드 필터링 방식의 추천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각 유통사가 최근접 이웃으로부터 추천받은 SKU 목록 중 일부는 어떤 유통사에서는 일회성으로 판매된 상품인 경우도 있고, 베스트셀러 상품인 경우도 있는데 유통사의 창고나 납품하는 매장이 한정적이라는 제약을 고려하여 모든 SKU를 추천할 수 없는 바, 추천 대상의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하여 판매 실적을 합하여 판매 수량의 합이 높은 순으로 N 개를 한정한 후 추천대상목록을 만들 수 있다.
<유통사 프로파일 기반 군집>
주성분 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은 서로 연관되어 있는 데이터들을 표현하는데 매우 효율적인 통계적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주성분 분석의 기본적인 아이디어는 다차원의 데이터셋을 원래의 데이터의 다양함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저차원으로 줄이는 것이다. 이 분석은 동일한 척도로 측정되고 서로 상관관계가 높은 항목들로 구성된 하위 집합을 가질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이 경우에 주성분 분석은 전체 원시데이터(Raw Data) 집합에서 설명력을 가지고 있는 원시변수를 가중치를 이용하여 선형 조합한 소수의 변수들을 생성시키는데 이렇게 차원 축소된 변수들을 가지고 원시데이터를 표현하여 직관적으로 데이터의 분포를 파악할 수 있다. 주성분 분석의 절차를 공식화하면 이하 수학식 6과 같다.
Figure 112023056350873-pat00006
p 개의 원시변수들을 X1, X2, ..., Xp로 표기한다고 하면, 주성분 분석을 통해 새로운 변수의 집합으로서 원시변수로부터 이 변수의 평균값을 차감한 값들의 가중평균값인 Z1, Z2,..., Zp를 찾는다. 여기서, Z의 각 쌍은 상관계수가 0이다. Z의 분산의 크기에 따라서, 즉 Z1은 가장 큰 분산을 가지고, Zp는 가장 작은 분산을 가지는 순서로 Z 값의 순위를 매긴 후 가중치 ai,j를 계산한 다음, 주성분 점수를 계산한다.
K-평균 군집화(Clustering)는, 군집화를 위한 비지도 학습(Unsupervised Learning) 알고리즘 중 하나이다. 사전에 정해진 어떤 수의 군집을 통해서 주어진 데이터 집합을 분류하는 간단하고 쉬운 방법이다. K-Means 군집화 알고리즘은 사례들을 K개의 초기 군집으로 나누는 것으로 시작한다. 그 다음 단계는 군집의 중심에서 각각의 관찰치까지의 거리 합을 최소화하기 위해 군집을 수정한다. 군집의 수정은 각 레코드를 이전 군집의 중심점에서 가장 가까운 거리의 다른 중심점에 속하는 군집에 재할당하는 것이다. 군집의 수정을 통해 이전보다 더 작은 거리 합을 제시하는 새로운 군집이 만들어진다. 새로운 군집들의 평균값들이 다시 계산되고, 그 다음에는 거리의 감소가 매우 작아질 때까지 이러한 절차가 반복된다. 데이터 이외에 군집의 수 K를 입력 값으로 받으며, 이때 K를 시드 포인트(Seed Point)라고 한다. 시드 포인트는 임의로 선택되며 바람직한 군집 구조에 관한 해당 영역의 지식들이 시드 포인트를 선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K-Means 군집화 알고리즘 수행 과정은 우선, 임의로 K개의 데이터를 선택하여 최초 중심을 정한다. 매 단계에서 각 레코드는 가장 가까운 중심을 가진 군집에 할당된다. 레코드가 빠지거나 추가되면 군집의 중심을 다시 계산하고, 두 번째 단계를 반복한다. 새롭게 구한 군집의 중심을 바탕으로 각각의 레코드에 대하여 가장 가까이 있는 중심을 찾는다. 군집 사이에 더 이상 레코드를 이동하는 것이 군집의 분산을 증가시킨다면, 군집화를 멈춘다. 군집화를 수행한 후 군집별로 이루어지는 최근접 이웃 유통사 선정 및 취급 SKU 추천 과정은 협업 필터링 과정과 동일하다. 이때, 협업 필터링은 공지기술이므로 생략하기로 하고 이하 표 4로 그 설명을 대신한다.
분류 장점 단점
협업 필터링
(Collaborative Filtering)
-다양한 형태의 정보에 적용 가능함
-도메인 지식이 필요치 않음
-시간이 지날수록 추천 결과에 대한 품질이 향상됨
-충분한 트랜잭션 데이터 필요함(희박성)
-사용자 및 아이템 규모가 클수록 많은 연산량이 요구됨(확장성)
내용 기반
(Content-Based)
-추천 대상의 속성 및 이용자의 성향 반영이 가능함
-시간이 지날수록 추천 결과에 대한 품질이 향상됨
-신규 이용자 문제
-계산의 복잡성
-충분한 트랜잭션 데이터 필요함
인구 통계 기반
(Demographic)
-다양한 형태의 정보에 적용 가능함
-구축이 용이함
-충분한 트랜잭션 데이터 필요함인구 통계학적 정보 반드시 필요
효용 기반
(Utility-Based)
-선호도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함
-데이터 희박성 문제로부터 자유로움
-아이템 자체 외의 정보 포함 가능(제품 보증 기간, 운송 스케줄 등)
-어떤 항목에 얼마 만큼의 가중치로 효용을 느끼는지에 대한 사용자 별 정보가 필수로 요구됨
지식 기반
(Knowledge-Based)
-가벼운 탐색(Casual Exploration) 시 유용함 -지식 공학 필요
창고관리부(391)는, 3PL, 보세창고 및 일반창고를 포함한 창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창고 관리 시스템(Warehouse Management System)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창고 관리 시스템보다 한 단계 위의 시스템이 풀필먼트 시스템인데, 이를 이용함으로써 창고 관리 시스템을 대체할 수도 있다. 풀필먼트 서비스는 본 발명의 플랫폼에서 사용자 단말(100)의 기업 대신 주문에 맞춰 상품을 피킹(Picking)하고 포장한 뒤 배송까지 진행하는 서비스이다. 즉, 최종 소비자가 주문을 완료한 이후 주문한 상품을 받아보기 전까지의 전 과정인, 주문수집, 상품관리, 입고, 출고, 재고관리, 배송, 교환 및 환불, CS 확인 등을 풀필먼트 솔루션(Fulfillment Solution)을 통해 일괄처리하는 서비스로, 일반적인 3PL(Third-Party Logistics) 서비스, 즉 단순 입고 및 출고 작업과 재고관리와는 확연히 다른 서비스이다. 또, 물류사들이 이용하던 WMS(Warehouse Management System)와 풀필먼트 솔루션의 차이도 여기에 있다. WMS는 단순히 입·출고관리, 재고관리를 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이지만, 풀필먼트 솔루션은 수많은 데이터 연결을 위해 상품등록, 입고관리, 입고신청, 주문관리, 주문매칭, 재고관리, 정산관리 등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풀필먼트 서비스>
풀필먼트 서비스를 위하여, 주문관리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이커머스 판매처와의 연동을 통해 주문이 수집되어야 한다. 풀필먼트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화주사들(이커머스 판매자)은 서로 다른 다수의 쇼핑몰에서 매일 고객 주문이 발생하고, 해당 정보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택배사의 송장을 출력한다. 화주사들의 주문이 수십 건이라면 수동으로 처리가 가능하겠지만, 그 규모에 따라 하루 평균 수만에서 수십만 건의 주문을 처리해야 하는데 이를 수동으로 처리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 만에서 수 십 만 건의 주문을 자동으로 수집가능한 주문관리 기능이 풀필먼트 솔루션에 구축될 수 있다. 일반적인 3PL처럼 고객사가 별도로 3PL 담당자에게 전화로 요청하거나, 엑셀로 작업 요청서를 만들어서 전달하는 게 아니라 풀필먼트 솔루션을 통해서 알아서 처리가 되어야 한다. 추가적으로, 이커머스 주문은 소비자의 의사에 따라 실시간으로 주문이 변경되거나 취소될 수 있다. 그러므로 최초 주문수집 이후에도 실시간으로 주문의 상태값을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이 풀필먼트 솔루션에 구축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오전 10시에 접수된 주문이 소비자의 의사로 오후 2시에 취소가 되었을 경우, 해당 주문은 취소가 되었기 때문에 소비자에게 배송이 되면 안 된다. 하지만 이러한 실시간 주문 상태값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에는 결과적으로 오배송으로 이어질 수 있기에, 풀필먼트 솔루션과 이커머스 판매처 간 실시간 주문연동은 매우 중요한 기능이다.
둘째, 다품종 소량의 SKU(Stock Keeping Unit) 관리 기능이다. 풀필먼트를 이용하는 고객사들의 특징은 다품종 소량의 SKU를 운영한다는 것인데, 3PL은 주로 LE(Large Enterprise) 화주사들이 이용하였고, 풀필먼트의 경우는 주로 SME(Small and Medium Enterprise) 화주사들이 이용하는 추세이다. LE와 SME의 큰 차이 중 하나는 취급하는 상품의 SKU에 있는데, 일반적으로 LE는 소품종 다량의 SKU를 주로 취급하지만 SME는 다품종 소량의 SKU를 취급한다. SME는 일반적으로 개인사업자나 소규모 쇼핑몰의 형태인데, 이들의 특징은 다수의 품목을 소량 사입하여 온라인에 판매하는 것이다. 따라서 SME에 풀필먼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다품종 소량의 SKU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이 필요하다. 추가적으로, 수집한 주문의 상품과 풀필먼트 솔루션상 관리하는 상품을 매칭할 수 있어야 한다. 이커머스 판매자는 동일한 상품을 다수의 판매 채널에 각기 다른 상품명으로 판매를 한다. 소비자가 주문한 상품이 올바르게 배송이 되기 위해서는 풀필먼트 솔루션에 배송상품을 매칭할 수 있는 상품매칭 관리 기능도 함께 포함될 수 있다.
셋째, 화주사 관리 기능이다. WMS에도 물류를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은 있지만 화주사를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은 없다. 풀필먼트는 다수의 화주사를 각각 다른 방식으로 관리해야 하기 때문에 각각의 화주사를 관리할 수 있는 고객사 관리 기능이 필요하다. 화주사는 풀필먼트 솔루션을 통해 물류관리에 필요한 정보, 예를 들어, 입고내역, 출고내역, 재고 현황, 정산내역, 반품신청, 알람기능, CS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3PL 업체들은 사용하는 WMS에 정산내역 확인 기능이 없어서 물류비 정산을 작업 건당 얼마로 협의하여 합리적이지 않은 정산이 이루어졌지만, 풀필먼트는 풀필먼트 솔루션에서 실시간으로 정산내역을 간단하게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화주사가 주문자별로 택배비, 작업비, 부자재비 등 각 작업의 카테고리 금액이 얼마나 발생되었는지, 합리적인 정산인지 아닌지 확인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물류센터에 남아있는 재고가 일정 수치 이상으로 떨어지면 추가 입고를 요청하는 알람 기능 등을 통해 화주사가 안정적으로 재고를 유지할 수 있게 편의성을 제공한다. 이처럼 풀필먼트 솔루션은 화주사에 단순 창고관리시스템 이상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질의응답부(393)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질의가 수신되는 경우, 담당자 단말(400)로 전달한 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 응답하도록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질의가 처리될 때까지 담당자에게 리마인드를 보내고 질의응답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함으로써, 담당자가 실수로 빠뜨려 응답하지 않거나 모르고 있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완료보고부(395)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국제운송 또는 수출입대행을 신청한 경우, 국내에 존재하는 화물의 현위치를 사용자 단말(100)에서 조회하도록 기사 단말의 위치를 공유하고, 해외에 존재하는 기사 단말의 위치를 해외 파트너사 단말로부터 공유받아 기 설정된 수화주의 위치와 동일한 경우 배달 증명(Proof of Delivery: POD)을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POD는 화물인수증명서인데, 목적국의 Final Destination으로 화물을 수입자가 정상적으로 인수했다는 사실을 입증하기 위해 발행을 요청하는 경우가 존재한다. 이를 미리 파악한 후 사용자 단말(100)로 안내해줌으로써 사용자의 화물이 해외에 잘 도착했는지, 반대로 해외 셀러의 화물이 국내에 잘 도착했는지 등을 거래 상대방에게 알려줄 수 있도록 한다.
대행부(397)는, 수출입대행의 업무 프로세스를, 해외 바이어 또는 해외 셀러(Seller)의 아이템, 단가 및 무역조건을 포함하는 협의를 진행한 후, 대금결제를 확인하고 해외 바이어 또는 해외 셀러와 구매여부를 최종승인하고, 수출서류나 수입서류를 생성 및 저장하며, 제품을 출고한 후 도어투도어(Door-to-Door) 서비스를 진행하여 해외 바이어 또는 국내 바이어에 배송을 진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는 도 4f와 같을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해외운송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업무 프로세스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b) 통관 자동화를 위한 OCR, AI 및 RPA를 구축할 수 있다. 또, (c) 해외 파트너사 선정을 위한 의사결정을 돕기 위한 선정요인을 추출하고, AHP를 통해 빠른 의사결정을 유도하고, (d)와 같은 수요예측으로 사용자가 제조사인 경우 발주 예측을 통해 리드타임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 도 3b의 (a)와 같이 각국의 관세, 세법 및 통관절차 등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b)와 같이 각국 국제통관시스템과 연계하여 화물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 및 실시간 보고를 제공하며, (c)와 같이 3PL 및 풀필먼트를 제공할 수 있고, (d)와 같이 POD 자동발송으로 번거로운 절차를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p는 본 출원인((주)올타코리아)의 홈페이지를 스크린캡쳐한 도면으로, 도 4b와 같은 업무영역을 가지고 있으며, 도 4c에서 ALLTA KOREA를 클릭하면, 도 4d와 같이 사용자(고객사) 또는 직원 로그인 화면으로 이동하고 관련 의뢰 및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ERP를 제공한다. 도 4e와 같은 국제특송, 도 4f와 같은 수출입대행, 도 4g와 같은 국제특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고, 도 4p와 같은 조직이 존재하며, 도 4h와 같은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도 4i 내지 도 4l과 같이 수입식품에 특화되어 있으며 도 4m 내지 도 4n과 같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도 4o와 같이 업무문의가 있는 경우 담당자를 지정하여 질의에 응답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해외운송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해외운송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해외운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를 참조하면, 해외운송 서비스 제공 서버는, 항공, 해상, 3자 무역 및 3PL(Third-Party Logistics)을 포함하는 국제운송, 수입대행 및 수출대행을 포함하는 수출입대행, E-커머스 기반 통관절차를 진행하는 국제특송을 포함하는 업무 프로세스를 데이터베이스화한다(S5100).
그리고, 해외운송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서 국제운송, 수출입대행 및 국제특송 중 적어도 하나를 요청하는 경우 담당자 단말을 지정하고(S5200), 사용자 단말의 국제운송, 수출입대행 및 국제특송에 따른 업무 프로세스를 진행한다(S5300).
상술한 단계들(S5100~S53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3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5의 해외운송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해외운송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해외운송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외운송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외운송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1)

  1. 수입 또는 수출 화물에 대해서 국제운송, 수출입대행 및 국제특송을 포함하는 물류서비스를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물류서비스를 담당하는 담당자 단말; 및
    상기 물류서비스에 대한 업무 프로세스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구축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물류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 담당자 단말을 지정하는 지정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물류서비스 요청에 따른 업무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진행부, 상기 물류서비스를 위한 화물 내 포함된 인보이스(Invoice)를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로 인식한 후, 인식된 인보이스 내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중 기 설정된 표준코드에 대응하는 관세 데이터를 기 구축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 추출하고, 상기 인공지능 알고리즘이 추출한 표준코드에 대응하는 관세 데이터를 기 구축된 로봇 프로세스 자동화(Robotic Process Automation: RPA)가 기 지정된 관세 시스템에 입력하도록 설정하는 통관자동화부, 상기 국제운송을 위한 해외물류 파트너사를 선정할 때,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적인프라, 기업평판, 물류서비스, 관계자산 및 한국계 파트너사를 포함하는 선정요인을 입력받은 후, 상기 해외물류 파트너사의 선정에 대한 의사결정을 위한 계층화 분석 방법(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을 진행하는 매칭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질의가 수신되는 경우, 담당자가 실수로 빠뜨려 응답하지 않거나 모르고 있는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서 질의가 처리될 때까지 상기 담당자 단말로 전달한 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 응답하도록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질의응답부, 상기 국제운송을 위한 3PL 및 풀필먼트(Fullfillment) 서비스를 제공할 때, 상기 국제운송의 물류수요를 예측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수요예측부, 상기 국제운송, 수출입대행 및 국제특송의 업무 프로세스별로 처리 절차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DB부, 상기 국제운송, 수출입대행 및 국제특송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기관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국제운송, 수출입대행 및 국제특송의 진행상황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한 후 대시보드(DashBoard)에 시각화하여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요청한 국제운송, 수출입대행 및 국제특송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해외운송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실시간 공유하는 트래킹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국제운송 또는 수출입대행을 요청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물에 대한 재고관리를 수행하는 재고관리부, 창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풀필먼트 서비스를 이용하는 창고관리부를 포함하는 해외운송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매칭부는,
    해외운송의뢰를 하는 사용자를 각 그룹별로 나누고, 각 그룹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파트너사 선정요인은 무엇이 있는지에 대한 데이터를 누적하고, 각 사용자 그룹별로 어떠한 부분을 중요하게 생각하는지에 대한 정보와 어떤 구성요소를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파트너사를 선정해야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사용자가 우선순위를 선정하지 않더라도 추출된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 그룹에 맞는 파트너사를 선정 및 매칭하며,
    상기 통관자동화부는,
    상기 로봇 프로세스 자동화를 구동하기 위해 시나리오를 추출 및 구축하고 케이스를 설계하고 설계된 케이스를 레코딩하는데 소요되는 공수와 시간을 줄이고 실제 담당자의 패턴을 기반으로 실질적인 시나리오 및 케이스를 자동 설계하기 위해서, 최초 UI 관리를 위한 대상 서비스에 분석 스크립트를 설치하고, 상기 담당자 단말에서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웹 로그를 메시지큐 시스템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면, 상기 메시지큐 시스템에서 대량으로 수집되는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DB에 저장하고 로그 분석 시스템에서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분석하고, 웹 로그분석에 대한 대시보드를 통해 조회하고, 분석으로 추출된 데이터를 이용해서 테스트 시나리오 케이스를 자동화 설계하고 설계된 테스트 시나리오와 케이스를 수정하고, 목록 작성이 완료되면 목록과 동일하게 테스트 케이스를 레코딩하고, 매일 등록된 시나리오에 대해 테스트를 수행하고, 테스트 수행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대시보드를 출력하며,
    상기 수요예측부는,
    각 국가의 국가 간 규제, 기상효과, 명절효과 및 환율에 의한 수요 변동을 근거로 상기 국제운송의 물류수요를 예측하며,
    상기 재고관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 SKU(Stock Keeping Unit) 및 재고현황을 실시간으로 동기화하고, 각 유통사별 취급품목별 구매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유통사별 유사성(Similarity)을 계산하고, 각 유통사의 SKU별 판매이력에 따라 협업 필터링을 하여 최종적으로 각 유통사에 개별적으로 SKU를 추천하는 방식과, 유통사 프로파일 데이터를 활용하여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 및 군집 분석(Clustering)을 통하여 유통사를 N 개의 군집으로 분류한 뒤, 각 군집 내에서 협업 필터링을 적용한 하이브리드 필터링 방식을 근거로, 상기 SKU를 이용하여 국가별 및 지역별로 동종 브랜드를 취급하는 유통사에게 SKU를 추천하며,
    상기 창고관리부는,
    이커머스 판매처와의 연동을 통해 주문을 수집하는 주문관리 기능과, 다품종 소량의 SKU 관리 기능과, 다수의 화주사를 각각 다른 방식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화주사 관리 기능을 포함하는 상기 풀필먼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외운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230065557A 2023-05-22 2023-05-22 해외운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645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5557A KR102645566B1 (ko) 2023-05-22 2023-05-22 해외운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5557A KR102645566B1 (ko) 2023-05-22 2023-05-22 해외운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5566B1 true KR102645566B1 (ko) 2024-03-07

Family

ID=90271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5557A KR102645566B1 (ko) 2023-05-22 2023-05-22 해외운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556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7700A (ko) * 2016-01-21 2017-07-31 주식회사 팀식스 국제 전자상거래에 따른 오픈 물류 수출, 수입, 국제 운송, 배송 및 반송 처리 플랫폼
KR20200132600A (ko) * 2019-05-17 2020-11-25 온쉬핑 주식회사 해외 배송 플랫폼 지원 시스템
KR20220084217A (ko) * 2020-12-13 2022-06-21 김해진 Ocr과 rpa를 이용한 수출입 통관 자동 신고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32324A (ko) * 2021-03-23 2022-09-30 신민호 모바일을 이용한 다자간 수입 물류 정보 공유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7700A (ko) * 2016-01-21 2017-07-31 주식회사 팀식스 국제 전자상거래에 따른 오픈 물류 수출, 수입, 국제 운송, 배송 및 반송 처리 플랫폼
KR20200132600A (ko) * 2019-05-17 2020-11-25 온쉬핑 주식회사 해외 배송 플랫폼 지원 시스템
KR20220084217A (ko) * 2020-12-13 2022-06-21 김해진 Ocr과 rpa를 이용한 수출입 통관 자동 신고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32324A (ko) * 2021-03-23 2022-09-30 신민호 모바일을 이용한 다자간 수입 물류 정보 공유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eoffrion et al. Multicommodity distribution system design by Benders decomposition
Olorunniwo et al. Information sharing and collaboration practices in reverse logistics
Gavirneni et al. Value of information in capacitated supply chains
Gunasekaran et al. Developing an e-logistics system: a case study
Zennaro et al. Implementing E-commerce from logistic perspective: Literature review and methodological framework
Ge et al. Research on the maturity of big data management capability of intelligent manufacturing enterprise
Chakravarty Supply chain transformation
Krmac Intelligent value chain networks: business intelligence and other ICT tools and technologies in supply/demand chains
US20140129269A1 (en) Forecasting Business Entity Characteristics Based on Planning Infrastructure
Liotine Shaping the next generation pharmaceutical supply chain control tower with autonomous intelligence
JP6301326B2 (ja) サービスアセットマネジメントシステム及び方法
Kong et al. An advanced order batching approach for automated sequential auctions with forecasting and postponement
KR102645566B1 (ko) 해외운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Moldagulova et al. Application of big data in logistics
Titiyal et al. E-fulfillment across product type: a review of literature (2000–2020)
Nemati et al. Impact of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in supply chain management
Davenport et al. The new industrial engineering: Information technology and business process redesign
Suratos et al. Fuzzy AHP signifies criteria influencing third party logistics selection in outsourcing decisions of freight forwarding company
Ivanov et al. Processes, systems, and models
Belay AfCFTA and African Air Cargo: Evaluating Effects and Proposing Seamless Logistics Solutions, with a Case Study of Ethiopian Airlines
KR102498215B1 (ko) 글로벌 온라인 무역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608849B1 (ko) 고객사 데이터의 정확도 향상을 위한 cad 프로그램 판매영업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608848B1 (ko) 수요예측이 가능한 cad 프로그램 판매영업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Jones Logistics in Global Supply Chain Engineering
KUMAR IMPACT OF INFORMATION TECHNOLOGY IN SUPPLY CHAIN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