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7700A - 국제 전자상거래에 따른 오픈 물류 수출, 수입, 국제 운송, 배송 및 반송 처리 플랫폼 - Google Patents

국제 전자상거래에 따른 오픈 물류 수출, 수입, 국제 운송, 배송 및 반송 처리 플랫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7700A
KR20170087700A KR1020160007590A KR20160007590A KR20170087700A KR 20170087700 A KR20170087700 A KR 20170087700A KR 1020160007590 A KR1020160007590 A KR 1020160007590A KR 20160007590 A KR20160007590 A KR 20160007590A KR 20170087700 A KR20170087700 A KR 20170087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ping
customs
information
goods
retu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7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3598B1 (ko
Inventor
김상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팀식스
유철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팀식스, 유철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팀식스
Priority to KR1020160007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3598B1/ko
Publication of KR20170087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7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3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3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Fina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국제 전자상거래에 따른 오픈 물류 수출, 수입, 국제 운송, 배송 및 반송 처리 플랫폼에 관한 것으로, 개인 소비자나 기업이 국제 전자상거래를 통해 상품을 구매하여 구매 상품이 출발하는 국가의 배송 출발지에서부터 세관을 통해 물품이 수출되도록 하는 물품 수출입 배송 단계, 상품을 다시 반송하고자 하는 경우에 반송 상품이 출발하는 국가의 반송 출발지에서부터 세관을 통해 물품이 다시 수출되도록 하는 물품 운임 반송 수출입 배송 단계, 및 반송 상품이 도착 국가로 도달하면 세관을 거쳐 반송 목적지로 배송되도록 하는 물품 도착지 운임 반송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물품 수출입 배송 단계는 전자상거래 상품 구매 및 상품 정보 확인 단계, 물류 플랫폼 등록 및 운임 배송 정보 EDI 확인 단계, 물류 플랫폼 등록 및 결재 정보 확인 단계, 배송 라벨 생성 및 출력 단계, 및 출발지 세관 신고 및 통관 승인 단계를 포함하는바, 국제 운송, 수출입 통관, 결제, 보관, 반송 등의 전체적인 처리 절차를 체계적으로 확립하고 구축함으로써, 기업과 기업 및 기업과 소비자들 간의 글로벌한 거래가 더욱 용이하고 안전하게 확대되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효과를 이룰 수 있다.

Description

국제 전자상거래에 따른 오픈 물류 수출, 수입, 국제 운송, 배송 및 반송 처리 플랫폼{PLATFORM FOR OPEN LOGISTICS EXPORT IMPORT INTERNATIONAL TRANSPORTATION DELIVERY AND RETURN PROCESS OF GLOBAL ELECTRONIC COMMERCE}
본 발명은 물류 배송 및 반송 처리 플랫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국제 전자상거래에 따른 국제 운송, 수출입 통관, 결제, 보관, 반송 등의 전체적인 처리 절차를 체계적으로 확립하고 구축함으로써, 기업과 기업 및 기업과 소비자들 간의 글로벌한 거래가 더욱 용이하고 안전하게 확대되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국제 전자상거래에 따른 오픈 물류 수출, 수입, 국제 운송, 배송 및 반송 처리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생활의 편리성을 추구하는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외식이나 쇼핑보다는 가정에서 간단하게 원하는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전자상거래가 점차 보편화되고 있다. 구매자가 인터넷을 통하여 구매를 완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전자 상거래 서비스 제공 업체는 다음의 몇 가지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그 중 첫번째가 인터넷상에 전자 상거래를 위한 쇼핑몰을 구축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구매한 상품의 대금에 대한 과금을 결제할 금융 시스템을 연계하는 것이며, 세번째가 상품을 공급할 업체와 제휴하며 마지막으로 구매 상품을 구매자가 원하는 장소로 배달할 물류 시스템을 구비하는 것이다.
현재 전자 상거래와 연계된 배송 시스템은 소비자의 요구사항을 완전히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는데, 이는 주로 다음과 같은 이유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기존의 배송 시스템이 소비자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이유 중 하나는 상품 주문 후 배송까지 이루어지는 절차, 예를 들어 다단계 물류 처리방식과 국가별 수출 수입 반송 통관정보 내용전달 항목 등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그 과정이 매우 복잡해서 일어나는 문제이다. 즉, 다단계 물류 처리방식과 국가별 수출 수입 반송 통관정보 내용전달 항목 등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배송 지연, 물류비 증가, 배송 오류, 반송비용 증가 및 반송이 어려워서 발생하는 문제들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또 다른 이유는 주문 후 배송까지 이루어지는 절차가 배송 업체마다 다르게 진행되어 배송까지 이루어지는 기간이 불규칙한 점이다. 특히, 국제 전자상거래에 따른 국제 운송 과정에서는 배송까지 이루어지는 기간이 더욱 불규칙하고 길어질 수밖에 없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110840호(2001년 12월 15일, 공개)에는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구매자가 원하는 배달 시간에 상품을 배달하는 물류 배송 방법 및 그에 전자 상거래 시스템이 제시되었다.
하지만,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110840호를 비롯한 종래의 전자상거래 시스템이나 물류 배송 시스템은 여전히 상품 주문 후 배송까지 이루어지는 절차가 확립되어 있지 않아 그 과정이 매우 복잡하고, 배송 절차가 배송 업체마다 다르게 진행되어 그 기간이 불안정한 문제가 여전했다. 특히, 국제 전자상거래가 이루어져 국제 운송이 수행되는 경우에는 그 운송 기간이 더욱 불규칙하고 길어짐에 따라 소비자나 기업들 간의 불만 더욱 커질 수밖에 없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110840호(2001년 12월 15일, 공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국제 전자상거래에 따른 국제 운송, 수출입 통관, 결제, 보관, 반송 등의 전체적인 처리 절차를 체계적으로 확립하고 구축함으로써, 기업과 기업 및 기업과 소비자들 간의 글로벌한 거래가 더욱 용이하고 신뢰성 있게 확대되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국제 전자상거래에 따른 오픈 물류 수출, 수입, 국제 운송, 배송 및 반송 처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국제 전자상거래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국제 운송과정에서도 판매처와 구매처 및 소비자 간의 물류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판매처 입장에서는 글로벌 거래 고객을 확대할 수 있고, 구매자 및 소비자 입장에서는 상품 구매, 결제, 배송, 반품, 반송 등의 과정을 용이하게 접하고 수행할 수 있는 국제 전자상거래에 따른 오픈 물류 수출, 수입, 국제 운송, 배송 및 반송 처리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국제 전자상거래에 따른 오픈 물류 수출, 수입, 국제 운송, 배송 및 반송 처리 플랫폼은 개인 소비자나 기업이 국제 전자상거래를 통해 상품을 구매하여 구매 상품이 출발하는 국가의 배송 출발지에서부터 세관을 통해 물품이 수출되도록 하는 물품 수출입 배송 단계, 상품을 다시 반송하고자 하는 경우에 반송 상품이 출발하는 국가의 반송 출발지에서부터 세관을 통해 물품이 다시 수출되도록 하는 물품 운임 반송 수출입 배송 단계, 및 반송 상품이 도착 국가로 도달하면 세관을 거쳐 반송 목적지로 배송되도록 하는 물품 도착지 운임 반송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물품 수출입 배송 단계는 전자상거래 상품 구매 및 상품 정보 확인 단계, 물류 플랫폼 등록 및 운임 배송 정보 EDI 확인 단계, 물류 플랫폼 등록 및 결재 정보 확인 단계, 배송 라벨 생성 및 출력 단계, 및 출발지 세관 신고 및 통관 승인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국제 전자상거래에 따른 오픈 물류 수출, 수입, 국제 운송, 배송 및 반송 처리 플랫폼에 의하면 국제 전자상거래에 따른 국제 운송, 수출입 통관, 결제, 보관, 반송 등의 전체적인 처리 절차를 체계적으로 확립하고 구축함으로써, 기업과 기업 및 기업과 소비자들 간의 글로벌한 거래가 더욱 용이하도록 하며, 정확한 정보제공(EDI)을 통하여, 체계적이며, 신속한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글로벌 전자상거래 확대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또한, 국제 전자상거래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국제 운송과정에서도 판매처와 구매처 및 소비자 간의 정확한 정보 전달을 통해 물류 배송 및 반소 등의 절차와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판매처 입장에서는 글로벌 거래 고객을 확대할 수 있고 구매자 및 소비자 입장에서는 보다 다양한 상품을 용이하게 접하고 구매할 수 있는 e-물류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국제 전자상거래 화물운송, 수출, 수입, 반송, 통관규정을 충족함으로서 국제운송, 배송 비용 및 관부과세를 절감할 수 있으며, 국내 운송, 국제 운송, 통관, 배송, 반송 물류 전 과정을 One-Stop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B2B, B2C, B2T 등의 다양한 거래 과정에서도 다양한 고객 물류 서비스 제공할 수 있으며, 소규모 Global Seller Open market 물류를 지원하고 국제적인 확장성 통한 성장동력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국제 국제 물류 서비스망을 확보하면서도 해외 구매고객 반송 프로세스 또한 확보하여 글로벌 고객 판매를 확대 효과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국제 전자상거래에 따른 오픈 물류 수출, 수입, 국제 운송, 배송 및 반송 처리 플랫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출발지에서의 물품 수출입 배송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전자상거래 상품 구매 및 상품 정보 확인 단계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물류 플랫폼 등록 및 운임 배송 정보 EDI 확인 단계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물류 플랫폼 등록 및 운임 배송 정보 EDI 확인 단계를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2의 물류 플랫폼 등록 및 결재 정보 확인 단계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2의 현지 언어 배송 라벨 생성 및 출력 단계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현지 언어 배송 라벨 생성 및 출력 단계를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도 2의 출발지 세관 신고 및 통관 승인 단계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도 1의 반송 출발지에서의 운임 반송 수출입 배송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반송 출발지에서의 전자상거래 상품 반송, 및 상품 정보 확인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반송 출발지에서의 배송 라벨 생성 및 출력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반송 출발지에서의 세관 신고 및 통관 승인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미통관시 결과 정보 관리 단계를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5는 도 1의 반송 도착지에서의 운임 반송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반송지에서의 반입 상품 확인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반송지에서의 반송 상품 통관 처리 및 EDI 확인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반송 상품 통관 처리 단계를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9는 도 15의 반송지에서의 상품 배송 및 완료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국제 전자상거래에 따른 오픈 물류 수출, 수입, 국제 운송, 배송 및 반송 처리 플랫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국제 전자상거래에 따른 물류 배송 및 반송 처리 방법은 개인 소비자나 기업이 국제 전자상거래를 통해 상품을 구매하면 구매 상품이 출발하는 국가의 배송 출발지에서부터 세관을 통해 물품이 수출되는 물품 수출입 배송 단계(SS1), 및 상품이 도착 국가로 도달하면 세관을 거쳐 도착지로 배송되도록 하는 물품 도착지 배송 단계(SS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품을 배송받은 도착지에서 상품을 다시 반송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반송 상품이 출발하는 국가의 반송 출발지에서부터 세관을 통해 물품이 다시 수출되는 물품 운임 반송 수출입 배송 단계(SS3), 및 반송 상품이 도착 국가로 도달하면 세관을 거쳐 반송 목적지(반송 도착지)로 배송되도록 하는 물품 도착지 운임 반송 단계(SS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물품 수출입 배송 단계(SS1)는 국제 전자상거래를 통해 개인 소비자나 기업이 해외 쇼핑몰이나 해외 기업의 상품을 구매하는 경우, 구매된 상품이 출발하는 국가의 배송 출발지에서부터 세관을 거쳐 항공, 선박 등의 운수 수단을 통해 개인 소비자나 기업의 국가로 수출되는 과정들을 모두 포함한다.
물품 도착지 배송 단계(SS2)는 항공, 선박 등의 운송 수단을 통해 개인 소비자나 기업의 국가로 상품이 도달하면 세관을 거쳐 배송 대행 업체 등을 통해 상품을 구매한 도착지로 배송하는 과정을 모두 포함한다.
물품 운임 반송 수출입 배송 단계(SS3)는 구매 상품을 배송받은 도착지에서 개인 소비자나 기업이 구매 상품을 다시 반송하고자 하는 경우에 수행되게 된다. 이러한 물품 운임 반송 수출입 배송 단계(SS3)는 개인 소비자나 기업이 구매 상품을 다시 반송시켰을 때, 반송 상품이 출발하는 국가의 반송 출발지에서부터 세관을 거쳐 항공, 선박 등의 운송 수단을 통해 해당 상품이 다시 수출되는 과정들을 모두 포함한다.
그리고, 물품 도착지 운임 반송 단계(SS4)는 항공, 선박 등의 운수 수단을 통해 상품이 최초 구매되어 출발했던 물품 출하지로 상품이 도달하면 세관을 거쳐 배송 대행 업체 등을 통해 상품을 구매한 반송 목적지(반송 도착지)로 배송하는 과정을 모두 포함한다.
도 2는 도 1의 출발지에서의 물품 수출입 배송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출발지에서의 물품 수출입 배송 단계는 전자상거래 상품 구매 및 상품 정보 확인 단계(ST1), 물류 플랫폼 등록 및 운임 배송 정보 EDI 확인 단계(ST2), 물류 플랫폼 등록 및 결재 정보 확인 단계(ST3), 배송 라벨 생성 및 출력 단계(ST4), 및 출발지 세관 신고 및 통관 승인 단계(ST4)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전자상거래 상품 구매 및 상품 정보 확인 단계(ST1)는 개인 소비자나 기업이 B2B, B2C, B2T 거래 등의 방식으로 전자상거래 상품을 구매하고, 그 구매 계약 및 구매 결과에 따라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 물류 플랫폼을 생성 및 송부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렇게 EDI 물류 플랫폼을 생성 및 송부되면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나 기업은 상품을 구매한 개인 소비자나 기업 또는 미리 설정된 배송 대행지로 해당 상품을 배송하게 된다.
물류 플랫폼 등록 및 운임 배송 정보 EDI 확인 단계(ST2)에서는 B2B, B2C, B2T 등의 거래 형태에 따라 운임 및 상품정보, 상품배송 배송지 정보 등을 물류플랫폼에 등록한다. 판매자는 EDI 물류 플랫폼을 구매자에게 송부 및 확인시키며, 구매 확인된 상품은 출발지나 배송 대행지의 창고로 반입된다.
물류 플랫폼 등록 및 결재 정보 확인 단계(ST3)에서는 출발지 물류 플랫폼 반입 창고 담당자가 반입 상품과 고객 추가요청 사항 및 포장 중량 등을 확인한 후 물류 플랫폼 등록을 처리한다. 그리고, 반입 정보와 배송료 결재정보 등을 SMS 문자로 송부하여 구매 고객이 물류 국제 운송 배송료(DDU(DUTY UNPAID), DDP(DUTY PAID))를 결재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때, 국제운송 배송료 등의 결재가 확인되면 반출 통관/기적 처리 준비할 수 있다.
배송 라벨 생성 및 출력 단계(ST4)는 결재가 완료된 상품에 대하여 목적지 국가별 현지 택배 배송하고 운송을 시작하게 되는데, 이때 해당 국가들 간의 국제 운송이 가능하도록 운송사별로 배송 라벨 생성 및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배송 라벨 생성 및 출력 단계(ST4)에 대해서는 이 후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세부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출발지 세관 신고 및 통관 승인 단계(ST5)에서는 도착지 배송 운송사 택배 배송 라벨을 출력하여 해당 상품에 배송 라벨 및 수출입 통관서류 부착하고, 통관 및 국가별 전자상거래 화물 수출입 통관절차에 따라 통관 내역을 구분하여 통관사나 세관에 EDI를 송부한다. 만일, 출발지 국가 세관 통관 미승인이 될 경우, 현 출발지 창고에서 통관 보류 및 관련사항 등록 처리하지만, 출발지국가 세관 통관승인 물품은 목적지 국가별 상품 BOX로 콘솔 처리한다. 이 후, 출발 국가의 물류 담당자는 물류 플랫폼에서 배송 라벨 정보 및 통관 배송 진행 정보를 출발지 고객에게 EDI 송부함으로써, 출발지 국가 세관통관 승인된 화물은 목적지 국가별 항공사 선사 창고로 반입 완료 처리되도록 한다.
도 3은 도 2의 전자상거래 상품 구매 및 상품 정보 확인 단계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전자상거래 상품 구매 및 상품 정보 확인 단계(ST1)는 글로벌 고객이 물류 플랫폼 시스템이나 소프트웨어 등의 프로그램을 통해 회원 등록할 수 있도록 하는바, 이때는 기본적으로 한글, 영어, 중국어. 일어 등의 국가별 언어를 지원하며 추가적인 언어 확장성을 지원한다.
개인 소비자나 기업이 B2B, B2C, B2T 거래 등의 방식으로 전자상거래 상품을 구매하면 그 구매 계약 및 구매 결과에 따라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 물류 플랫폼을 생성 및 송부한다. 이때, 배송 대행 계약을 체결한 B2B 고객은 B2B 고객에 대한 구매 및 상품 정보를 물류 플랫폼에 등록하며, 상품 구매 고객은 구매국가 쇼핑몰에서 전자상거래 상품을 구매하게 된다. 이때 B2B 계약 고객은 구매정보, 배송 정보를 EDI 물류 플랫폼을 송부한다.
EDI 물류 플랫폼을 생성 및 송부되면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나 기업은 상품을 구매한 개인 소비자나 기업 또는 미리 설정된 배송 대행지로 해당 상품을 배송하게 된다.
도 4는 도 2의 물류 플랫폼 등록 및 운임 배송 정보 EDI 확인 단계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물류 플랫폼 등록 및 운임 배송 정보 EDI 확인 단계(ST2)에서는 B2B, B2C, B2T 등의 거래 형태에 따라 운임 및 상품정보, 상품배송 배송지 정보 등을 EDI 물류 플랫폼에 등록한다. 이때, B2C 고객은 구매정보 및 DDU(DUTY UNPAID), DDP(DUTY PAID)를 포함한 운임 및 상품정보, 상품배송 배송지 정보 등을 물류플랫폼에 등록할 수 있으며, B2B 고객은 고객이 구매한 상품정보 및 DDU DDP를 구분한 운임 및 배송 정보를 EDI 물류 플랫폼으로 송부할 수 있다. 이에, 판매자는 EDI 물류 플랫폼을 구매자에게 송부 및 확인시키며, 구매 확인된 상품은 출발지나 배송 대행지의 창고로 반입된다.
도 5는 도 4의 물류 플랫폼 등록 및 운임 배송 정보 EDI 확인 단계를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통해 물류 플랫폼 등록 및 운임 배송 정보 EDI 확인 단계(ST2)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B2C 구매 고객은 물류플랫폼에 상품 구매가격과 운임 지불 조건, DDU DDP 조건을 선택 입력 처리한다. 그리고, 물류 담당은 상품 반입 입고 처리시 중량 측정 및 고객 요청사항 확인 시행 후 물류플랫폼에 운임 등록 처리하게 된다.
만일, DDP 조건일 경우에 물류담당은 반입된 실 상품과 사전 입력된 품목별 HS코드 및 관세율 확인한다. 또한, 물류담당은 반입된 상품과 사전 입력된 품목별 HS 코드가 상이할 경우에는 수정한 후, 구매가와 물류비용을 합계하여 관세율 적용 후 해당 관세를 물류플랫폼에 상품별 수정 등록 처리하게 된다. DDU 물류 담당의 경우는 구매자에게 수정된 운임 및 관세 결재 정보 SMS 송부 처리하고, 구매고객이 입력한 운임 지불조건 등록 정보를 조건별 조회 확인 및 처리한다.
한편, B2B 계약고객은 상품 구매 정보 및 구매고객 배송 정보를 물류 플랫폼에서 EDI 물류 플랫폼으로 송부한다. 이때는 DDU 건과 동일하게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물류 담당은 물류 플랫폼에서 B2B 계약사가 송부한 데이터 EDI를 수신 처리하고 상품 반입 후 중량 측정 및 운임 등록 처리한다. 또한 최종 중량과 운임을 B2B 계약사에 EDI 물류 플랫폼으로 송부하고 EDI 물류 플랫폼에서 B2B 계약사에 월별 결산 금액 내역서(Invoice)를 발행한다.
도 6은 도 2의 물류 플랫폼 등록 및 결재 정보 확인 단계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물류 플랫폼 등록 및 결재 정보 확인 단계(ST3)에서는 출발지 물류 플랫폼 반입 창고 담당자가 반입 상품과 고객 추가요청 사항 및 포장 중량 등을 확인한 후 물류 플랫폼 등록을 처리한다. 이때, 구매 상품은 출발지 배송 대행지 창고로 반입되고 출발지 물류 플랫폼 반입창고 담당자는 반입 상품과 고객 추가요청 사항 및 포장 중량 확인 후 물류플랫폼 등록 처리한다. 그리고, 출발지 물류담당자는 반입 정보와 배송료 결재정보 등을 SMS 문자로 송부하여 구매 고객이 물류 국제운송 배송료(DDU(DUTY UNPAID), DDP(DUTY PAID))를 결재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때, 국제운송 배송료 등의 결재가 확인되면 반출 통관/기적 처리 준비할 수 있다.
구매 고객의 입장에서는 물류 국제운송 배송료(DDU or DDP)를 결재 처리하게 되며, 이에 따라 출발지 물류플랫폼 담당자는 국제운송 배송료 결재 확인 후 반출 통관/기적 처리 준비하게 된다.
도 7은 도 2의 배송 라벨 생성 및 출력 단계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7의 배송 라벨 생성 및 출력 단계를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배송 라벨 생성 및 출력 단계(ST4)에서는 결재가 완료된 상품에 대하여 목적지 국가별 현지 택배 배송하고 운송을 시작하게 되는데, 이때 플랫폼 지원 및 해당 국가들 간의 국제 운송이 가능하도록 사전 수출입 통관 규정을 통해 운송사별로 배송 라벨 생성 및 출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배송 라벨 생성시 상품의 배송 정보에 따는 배송 국가 정보를 미리 설정된 국가 전자상거래 수출수입 통관규정 및 구매자 배송 방법 요청 정보 등과 비교하여, 순차적으로 매칭되는 결과에 따라 상품이 배송되어야 국가 및 배송 정보를 찾아낸다. 이렇게 찾아낸 국가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배송 라벨을 설정하고 배송 라벨이 프린트되어 해당상품 박스에 부착되어 출고 및 수출 통관대기하게 된다.
이 후에 물류 담당자는 물류플랫폼에서 상품 목적지 별 출고 리스트를 조회 출력 처리하고, 물류 담당은 창고에서 출고할 상품을 작업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고객의 요청이나 수출 통관국가 규정상 검사 대상 시에는 건 별로 세관통관 검사 요청후 결과(승인,보류)에 따라 플랫폼을 등록 및 출력한다.
물류 담당은 스캐너 사용하여 상품 배송 라벨의 고유 번호를 인식하면 자동으로 한 건씩 출력 되도록 처리할 수 있으나, 일괄 출력일 경우에는 사용자 조건에 맞는 입력방식(EACEL, FILE) 처리 후 일괄 등록하여 국가별 택배 운송사 배송 라벨을 자동으로 출력하도록 처리한다.
배송 라벨 출력시, 건별, 일괄 출력 관계없이 국가별 택배 배송 운송사별로 출력하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된 해당 국가별 택배 배송 운송사 배송 라벨 이미지를 찾아 적용하여 자동 처리한다. 이때, 국가나 운송사별 배송 라벨과 상품 배송 정보를 참조하여 국가별 해당 배송 라벨을 출력 처리하고 Manifest 또한 생성할 수 있다. 이 후에, 물류 담당자는 해당 배송 라벨을 목적지별로 상품에 부착하여 출하하게 된다.
도 9는 도 2의 출발지 세관 신고 및 통관 승인 단계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출발지 세관 신고 및 통관 승인 단계(ST4)에서는 도착지 배송 운송사 택배 배송 라벨을 출력하여 해당 상품에 배송 라벨 및 수출입 통관서류 부착하고, 전자상거래 화물 통관 규정에 따라서 목록 통관, 간이 통관, 일반 통관을 구분하여 통관사나 세관에 EDI를 송부한다. 즉, 출발지 물류플랫폼 창고담당자는 도착지 배송 운송사 배송 라벨을 출력하여 해당 상품에 배송 라벨 및 수출입 통관서류 부착하고, 물류 담당자는 물류 플랫폼에서 수출통관 리스트를 조회하여 목록 통관, 간이 통관, 일반 통관 내용을 구분하여 통관사나 세관에 EDI 물류 플랫폼을 송부하게 된다. 이에, 상품이 출발지 국가 세관규정 목록통관에 해당 될 경우, 현지 세관에 통관 데이터 EDI 물류 플랫폼을 송부하고, 상품이 출발지 국가 세관규정 일반통관 일 경우 통관사에 통관정보 EDI 물류 플랫폼을 송부한다.
만일, 출발지 국가 세관 통관 미승인이 될 경우, 현 출발지 창고에서 통관 보류 및 관련사항 등록 처리하지만, 출발지국가 세관 통관승인 물품은 목적지 국가별 상품 BOX로 콘솔 처리한다. 이 후, 출발 국가의 물류 담당자는 물류 플랫폼에서 배송 라벨 정보 및 통관 배송 진행 정보를 출발지 고객에게 EDI 송부함으로써, 출발지 국가 세관통관 승인된 화물은 목적지 국가별 항공사 선사 창고로 반입 완료 처리되도록 한다.
도 10은 도 1의 반송 출발지에서의 운임 반송 수출입 배송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송 출발지에서의 운임 반송 수출입 배송 단계(SS3)는 구매자가 상품의 반품 및 반송 정보를 등록하고 배송사에 전달 및 발송하여 반송 배송료를 결재함으로써 반송을 준비하는 전자상거래 상품 반송, 및 상품 정보 확인 단계(TS1), 반송 정보에 따라 반송 국가를 자동 선별하여 선별된 국가 정보에 따라 반송되는 배송 라벨을 자동으로 생성하고 출력하는 배송 라벨 생성 및 출력 단계(TS2), 및 세관 규정 통관 절차에 따라 통관 과정을 수행하고 통관 승인 여부에 따라 반송 상품을 콘솔 처리하거나 구매 고객에게 미통관 결과를 통보하는 반송 출발지 세관 신고 및 통관 승인 단계(TS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1은 도 10의 반송 출발지에서의 전자상거래 상품 반송, 및 상품 정보 확인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전자상거래 상품 반송, 및 상품 정보 확인 단계(TS1)는 구매자가 상품의 반품 및 반송 정보를 등록하고 배송사에 전달 및 발송하여 반송 배송료를 결재함으로써 반송을 준비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구매 고객이 물품 구매 수령 후 판매자 쇼핑몰에 반품 요청 후, 승인 화물 정보를 수입국 구매고객이 물류 플랫폼에서 상품 반품 정보 등록한다. 이때, 반입 택배의 배송 라벨 번호, 관세 영수증 번호 및 COPY 정보, 반송 사유 정보, 반송 국내 택배 B/L 번호 등을 등록한다.
한편, 구매고객은 반품 상품을 출발지 택배사에 전달 발송하게 되며, 출발지 물류 담당자는 반품 반입정보를 등록하게 되고, 반품정보 확인 및 중량운임을 등록 처리하여 반품 배송료 결재 문자 정보를 SMS 송부한다. 이에, 반품요청 고객은 배송료 물류플랫폼 결재 처리하는바, 출발지 물류담당은 입금 확인 후 상품 반출 및 선적 준비하게 된다.
이때, 만일 상품 수령 후 반품이 필요한 반품 요청고객은 물류 플랫폼에 이전에 미리 수령받은 배송 라벨의 고유 번호, 관세 납부 유무, 반품사유, 발송 택배 배송 라벨의 고유 번호를 물류 플랫폼 시스템에 입력 신청할 수 있다. 그리고, 물류 담당자는 물류 플랫폼에서 고객이 입력한 정보 조회 후 반품업무 진행하게 된다.
도 12는 도 10의 반송 출발지에서의 배송 라벨 생성 및 출력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배송 라벨 생성 및 출력 단계(TS2)는 반송 정보에 따라 반송 국가를 자동 선별하여 선별된 국가 정보에 따라 반송되는 배송 라벨을 자동으로 생성하고 출력하게 된다. 이때, 물류 담당자는 도착지 배송 운송사별 택배 배송 라벨을 출력 처리하고, 창고에서 상품 목적지별 택배 배송 라벨을 부착한다.
구체적으로, 배송 라벨 생성 및 출력 단계(TS2)에서는 결재가 완료된 반송 상품에 대하여 목적지 국가별 현지 택배 배송하고 운송을 시작하게 되는데, 이때 해당 국가들 간의 국제 운송이 가능하도록 운송사별로 배송 라벨 생성 및 출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배송 라벨 생성시 상품의 배송 정보에 따는 배송 국가 정보를 미리 설정된 국가 전자상거래 수출입 반송 통관규정 및 구매자 배송 방법 요청 정보들과 비교하여, 순차적으로 매칭이 되는 결과에 따라 상품이 배송되어야 국가 및 배송 정보를 찾아낸다. 이렇게 찾아낸 국가 정보는 자동으로 배송 라벨을 설정하고 프린트되어 해당상품 박스에 부착되어 출고 및 수출 통관대기 하게 된다.
이 후에 물류 담당자는 물류플랫폼에서 상품 목적지 별 출고 리스트를 조회 출력 처리하고, 물류 담당은 창고에서 출고할 상품을 작업장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배송 라벨을 건 별로 한 건씩 출력하여 배송 라벨별 상품검사를 수행한다. 이때, 수출국 반송물품 통관 규정에 따라 목록통관, 간이 통관, 일반통관, 서류 DATA 송부 또는 출력 후에 검사를 요청하여 결과(승인, 보류)에 따라 입력 및 출력한다. .
도 13은 도 10의 반송 출발지에서의 세관 신고 및 통관 승인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반송 출발지 세관 신고 및 통관 승인 단계(TS3)는 세관 규정 통관 절차에 따라 통관 과정을 수행하고 통관 승인 여부에 따라 반송 상품을 콘솔 처리하거나 구매 고객에게 미통관 결과를 통보한다.
구체적으로, 물류 담당자는 출발지 세관 목록수출통관 규정 물품을 세관 EDI물류 플랫폼에 신고하고, 출발지 세관규정 간이 통관, 일반통관 반송품일 경우 수출입 관련정보 출발지 통관사 EDI 물류 플랫폼에 전송한다. 이때, 출발지 물류담당은 출발지 통관사로 부터 수출통관 승인 결과 여부 EDI 플랫폼을 통해 확인하고, 물류 담당자는 반출 통관승인 상품에 대하여 목적지 국가별 상품 콘솔 처리한다.
반면, 미통관 처리시에는 미통관 사유를 반품요청 고객에게 전달하여, 반품요청 고객이 통관서류 보완 및 반송결정 등록 및 통보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물류 담당은 반품요청 고객 요구사항 따라 처리 진행하고, 물류 담당자는 항공사/선사 창고로 화물 반출하여 해당 항공사 선사 출발을 확인한다.
도 14는 도 13의 반송 출발지에서의 미통관시 결과 정보 관리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반송 출발지에서의 미통관시 결과 정보 관리 단계에서는 물류 담당이 반품 상품 수출 통관 처리결과 조회하여, 미통관 사유 정보 물류플랫폼 등록 및 고객통보 한다. 이에, 반품 고객은 물류 플랫폼에서 사유 확인 후 추가 정보 등록하고, 물류 담당은 고객 요청 정보 확인 후 재 업무 처리 진행하게 된다.
반품을 중단 요청한 고객에게 택배 발송 처리하게 되지만, 반송 절차를 계속 진행하는 경우에는 수출 통관 관련 정보 수정/등록한다. 이에, 물류 담당은 반품상품 반품 고객에게 반송 사항을 발송한 후 반품 출하 정보에 따른 물류 플랫폼에 등록한다. 그리고, 수정사항 확인 후 물류 플랫폼에서 통관서류 준비 후 통관사에 EDI 물류 플랫폼을 송부 처리할 수 있다.
도 15는 도 1의 반송 도착지에서의 운임 반송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도착지에서의 운임 반송 단계(SS4)는 반송 상품이 도착 국가로 도달하면 세관을 거쳐 반송 목적지(반송 도착지)로 배송되도록 하는 과정을 모두 포함한다.
이러한 도착지에서의 운임 반송 단계(SS4)는 물류 반송 정보 데이터를 EDI 물류 플랫폼으로 제공받아 운송 상품 반입 정차를 수행하고 반송지 배송 과정에서 반입 상품을 확인하는 단계(SST1), 도착지 세관 규정에 따른 통관 과정을 수행하고 반출 승인을 신청하여 통관사로부터 수입 통관 반출 승인 정보 통관사로부터 EDI 물류 플랫폼을 수신 처리하는 반송 상품 통관 처리 및 EDI 확인 단계(SST2), 및 배송정보 택배사에 EDI 물류 플랫폼을 전송 처리한 후 배송 대행사에 인수인계하여 상품을 판매처로 배송시켜 완료하는 상품 배송 및 완료단계(반송지 반송 완료, SST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6은 도 15의 반송지에서의 반입 상품 확인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6과 같이, 반송지 배송 과정에서 반입 상품을 확인하는 단계(SST1)에서 출발지 물류담당자는 도착지파트너에 M/F 데이터(Manifest Data) EDI 송부한다. 이에, 도착지 파트너는 항공사/선사에서 관련 서류(B/L) 입수하고 항공사 웹 프로그램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반송에 관련한 M/BL 서류를 항공사 선사로 부터 입수하여 항공사/선사 도착지 통관 창고로 운송 상품 반입시킨다. 이에, 도착지 물류담당은 EDI 물류 플랫폼에서 반입상품 및 데이터 건수 확인하여 Irregular 발생시 데이터 및 출발지 물류 담당자에게 재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도 17은 도 15의 반송지에서의 반송 상품 통관 처리 및 EDI 확인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송 상품 통관 처리 및 EDI 확인 단계(SST2)는 도착지 세관 규정에 따른 통관 과정을 수행하고, 반출 승인을 신청하여 통관사로부터 수입 통관 반출 승인 정보 통관사로부터 EDI 물류 플랫폼을 수신 처리한다. 이를 위해, 도착지의 물류담당은 도착지 세관규정 목록통관 적용일 경우, 통관사에 M/F 데이터 EDI 통관 신고를 하고, 도착지 세관규정 간이통관, 일반통관 품목일 경우, 수출수입 관련서류 통관사 EDI를 송부할 수 있다. 이에, 도착지 물류 담당자는 물류 플렛폼에서 M/F 데이터를 수입 통관사에 EDI 송부하며, 도착지 통관사는 M/F 데이터 EDI 수신 후 세관에 반출승인 신청한다. 그리고, 도착지 재수입 통관 결과 정보를 통관사에 EDI 전달 처리함으로써, 도착지 물류 담당자가 수입통관 반출승인 정보 통관사로 부터 EDI 수신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어, 도착지 물류 담당자는 재수입 관련서류 출력 및 Box에 서류 부착하여 다음 단계가 이루어지도록 처리한다.
도 18은 도 17의 반송 상품 통관 처리 단계를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8과 같이, 반송 상품 통관 처리 단계에서 물류 담당자는 반품 상품 수입 통관 신고 대상을 물류 플랫폼에서 조회하고 확인한다. 그리고, 간이통관, 일반통관의 경우, 반송 통관정보를 세관에 EDI 신고 처리한다. 이에, 물류 담당은 수출시의 수출등록서류(면장) 번호를 세관 시스템에서 확인하여 이메일로 통관사에 송부 처리하여, 물류담당자가 목록, 간이, 일반 반송 통관 구분하여 일반통관일 경우 통관사에 EDI 신고 처리하고, 목록통관의 경우, 물류담당은 목록 반송 통관 신고를 결제사에 EDI 신고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한편, 결재사는 물류 플랫폼으로부터 재수입 통관 정보를 EDI로 수신 처리함으로써, 물류 담당이 목록통관 신고 결과 정보를 EDI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도착지 세관에서는 창고에서 반품상품 실물검사 처리를 하게 되고, 물류담당은 통관사로부터 수입 결과 정보 EDI를 수신한다. 이때, 물류 담당은 세관시스템에서 재수입 통관서류(수입면장)을 출력하고 일반통관 대상 화물 중 미통관 처리 대상은 물류플랫폼에 미통관 사유 정보 등록 처리한다. 아울러, 물류담당은 물류플랫폼에서 재수입 통관 준비 처리하고 재수입통관 상품 반출 정보를 등록 처리한다. 또한, 재수입통관화물 관련서류를 통해 출고 준비할 수 있다.
도 19는 도 15의 반송지에서의 상품 배송 및 완료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9에 도시된 반송지에서의 상품 배송 및 완료단계(반송지 반송 완료, SST3)에서 도착지 물류 담당자는 배송정보 배송 택배사에 EDI 전송 처리한다. 그리고, 출고 정보를 배송 라벨별 물류 플랫폼에 등록하여 택배사에 상품이 인수/인계될 수 있도록 한다. 이어, 도착지 배송 택배사는 상품을 판매처에 반품 배송 완료함으로써, 배송 택배사로부터 상품배송정보 EDI 물류 플랫폼을 수신 및 등록 확인할 수 있도록 마감 처리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국제 전자상거래에 따른 물류 배송 및 반송 처리 방법에 의하면 국제 전자상거래에 따른 오픈 물류 수출, 수입, 국제 운송, 수출입 통과, 3국간 수출입 운송, 배송 및 반송 처리 플랫폼에 의하면 국제 전자상거래에 따른 국제 운송, 3국간 수출입 운송, 수출입 통관, 결제, 보관, 반송 등의 전체적인 처리 절차를 체계적으로 확립하고 구축함으로써, 기업과 기업 및 기업과 소비자들 간의 글로벌한 거래가 더욱 용이하도록 하며, 정확한 정보제공(EDI)을 통하여, 체계적이며, 신속한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글로벌 전자상거래 확대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국제 전자상거래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국제 운송과정에서도 판매처와 구매처 및 소비자 간의 정확한 정보 전달을 통해 물류 배송 및 반송 등의 절차와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판매처 입장에서는 글로벌 거래 고객 확대와 판매 객단가 상승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구매자 및 소비자 입장에서는 보다 다양한 상품을 용이하게 접하고 구매할 수 있는 e-물류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국제 전자상거래 판매, 그매 과정에서 발생되는 국제 운송, 수출, 수입, 반송, 통관규정을 충족함으로써 국제운송, 배송 비용 및 관부과세를 절감할 수 있으며, 국내 운송, 수출입 통관, 국제 운송, 통관, 배송, 반송 물류 과정을 One-Stop 제공받을 수 있다.
특히, B2B, B2C, B2T 등의 다양한 거래 과정에서도 다양한 고객 물류 서비스 제공할 수 있으며, 소규모 Global Seller Open market 물류를 지원하고 국제적인 확장성 통한 성장동력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국제 국제 물류 서비스망을 확보하면서도 해외 구매고객 반송 프로세스 또한 확보하여 글로벌 고객 판매를 확대 효과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3)

  1. 개인 소비자나 기업이 국제 전자상거래를 통해 상품을 구매하여 구매 상품이 출발하는 국가의 배송 출발지에서부터 세관을 통해 물품이 수출되도록 하는 물품 수출입 배송 단계; 상품을 다시 반송하고자 하는 경우에 반송 상품이 출발하는 국가의 반송 출발지에서부터 세관을 통해 물품이 다시 수출되도록 하는 물품 운임 반송 수출입 배송 단계; 및 반송 상품이 도착 국가로 도달하면 세관을 거쳐 반송 목적지로 배송되도록 하는 물품 도착지 운임 반송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물품 수출입 배송 단계는
    전자상거래 상품 구매 및 상품 정보 확인 단계; 물류 플랫폼 등록 및 운임 배송 정보 EDI 확인 단계; 물류 플랫폼 등록 및 결재 정보 확인 단계; 배송 라벨 생성 및 출력 단계; 및 출발지 세관 신고 및 통관 승인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하는 국제 전자상거래에 따른 오픈 물류 수출, 수입, 국제 운송, 배송 및 반송 처리 플랫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상거래 상품 구매 및 상품 정보 확인 단계는
    상기 개인 소비자나 상기 기업이 B2B, B2C, B2T 거래 등의 방식으로 전자상거래 상품을 구매하고, 구매 계약 및 구매 결과에 따라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 물류 플랫폼을 생성 및 송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EDI 물류 플랫폼 생성 및 송부사,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나 기업은 상품을 구매한 개인 소비자나 기업 또는 미리 설정된 배송 대행지로 해당 상품을 배송하도록 하는 국제 전자상거래에 따른 오픈 물류 수출, 수입, 국제 운송, 배송 및 반송 처리 플랫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류 플랫폼 등록 및 운임 배송 정보 EDI 확인 단계는
    B2B, B2C, B2T 중 적어도 하나의 거래 형태에 따라 운임 및 상품정보, 상품배송 배송지 정보 등을 물류플랫폼에 등록(EDI)하고,
    국제 전자상거래 오픈 물류 플랫폼 등록정보를 구매자에게 송부 및 확인시켜 구매 확인된 상품은 출발지나 배송 대행지의 창고로 반입되도록 하는 국제 전자상거래에 따른 오픈 물류 수출, 수입, 국제 운송, 배송 및 반송 처리 플랫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류 플랫폼 등록 및 결재 정보 확인 단계는
    출발지 물류 플랫폼 반입 창고 담당자가 반입 상품과 고객 추가요청 사항 및 포장 중량 등을 확인한 후 물류 플랫폼 등록을 처리하고,
    반입 정보와 배송료 결재정보를 SMS 문자로 송부하여 구매 고객이 물류 국제운송 배송료(DDU(DUTY UNPAID), DDP(DUTY PAID))를 결재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국제운송 배송료 등의 결재가 확인되면 반출 통관/기적 처리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국제 전자상거래에 따른 오픈 물류 수출, 수입, 국제 운송, 배송 및 반송 처리 플랫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 라벨 생성 및 출력 단계는
    배송 상품의 배송 정보 등록 결과에 따라 미리 설정된 국가 전자상거래 수출수입 통관규정 및 구매자 배송 방법 요청 정보를 비교하여, 매칭이 되는 결과에 따라 상품이 배송되어야 국가 및 배송 정보를 찾아내며,
    상기 찾아낸 국가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배송 라벨을 설정하고 국제 전자상거래 오픈 물류 플랫폼에서 배송 상품 목적지 별 출고 리스트를 조회 및 출력 처리하는 국제 전자상거래에 따른 오픈 물류 수출, 수입, 국제 운송, 배송 및 반송 처리 플랫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 라벨 생성 및 출력 단계는
    상기 배송 라벨을 건 별로 한 건씩 출력하여 배송 라벨별 상품검사를 수행하는 단계;
    배송 라벨 출력시, 건별, 일괄 출력 관계없이 국가별 택배 배송 운송사별로 출력하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된 해당 국가별 택배 배송 운송사 배송 라벨 이미지를 찾아 적용하여 자동 처리하는 단계; 및
    국가나 운송사별 배송 라벨과 상품 배송 정보를 참조하여 국가별 해당 배송 라벨을 출력 처리하여 상기 배송 라벨을 목적지별로 상품에 부착하여 출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국제 전자상거래에 따른 오픈 물류 수출, 수입, 국제 운송, 배송 및 반송 처리 플랫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발지 세관 신고 및 통관 승인 단계는
    도착지 배송 운송사 택배 배송 라벨을 출력하여 배송 상품에 배송 라벨 및 수출입 통관서류를 부착하고,
    통관 및 일반/간이 통관 내역을 구분하여 통관사나 세관에 EDI 물류 플랫폼을 송부하며,
    출발지 국가 세관 통관 미승인되면, 출발지 창고에서 통관 보류 및 관련사항 등록 처리하되, 출발지국가 세관 통관승인 물품은 목적지 국가별 상품 BOX로 콘솔 처리하고,
    상기 EDI 물류 플랫폼에서 배송 라벨 정보 및 통관 배송 진행 정보를 출발지 고객에게 EDI 송부함으로써, 출발지 국가 세관통관 승인된 화물은 목적지 국가별 항공사 선사 창고로 반입 완료 처리되도록 하는 국제 전자상거래에 따른 오픈 물류 수출, 수입, 국제 운송, 배송 및 반송 처리 플랫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임 반송 수출입 배송 단계는
    구매자가 상품의 반품 및 반송 정보를 등록하고 배송사에 전달 및 발송하여 반송 배송료를 결재함으로써 반송을 준비하는 전자상거래 상품 반송 및 상품 정보 확인 단계;
    상기 반송 정보에 따라 반송 국가를 자동 선별하여 선별된 국가 정보에 따라 반송되는 배송 라벨을 자동으로 생성하고 출력하는 배송 라벨 생성 및 출력 단계; 및
    세관 규정 통관 절차에 따라 통관 과정을 수행하고 통관 승인 여부에 따라 반송 상품을 콘솔 처리하거나 구매 고객에게 미통관 결과를 통보하는 반송 출발지 세관 신고 및 통관 승인 단계;
    를 포함하는 국제 전자상거래에 따른 오픈 물류 수출, 수입, 국제 운송, 배송 및 반송 처리 플랫폼.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상거래 상품 반송 및 상품 정보 확인 단계는
    구매 고객이 물품 구매 수령 후 판매자 쇼핑몰에 반품 요청 승인된 물품 수입국 구매고객이 물류 플랫폼에서 상품 반품 정보 등록하는 단계,
    반입 택배의 배송 라벨 번호, 관세 영수증 번호 및 COPY 정보, 반송 사유 정보, 반송 국내 택배 B/L 번호를 등록하는 단계,
    반품 상품을 출발지 택배사에 전달 발송하는 단계,
    반품 반입정보를 등록하여 반품정보 확인 및 중량운임을 등록 처리함으로써, 배송료 물류플랫폼을 결재하도록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국제 전자상거래에 따른 오픈 물류 수출, 수입, 국제 운송, 배송 및 반송 처리 플랫폼.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 라벨 생성 및 출력 단계는
    상품의 배송 정보에 따는 배송 국가 정보를 미리 설정된 국가들과 순차적으로 비교하여, 순차적으로 비교되어 매칭이되는 결과에 따라 상품이 배송되어야 할 국가의 정보를 찾아냄으로써, 찾아낸 국가 정보를 자동으로 배송 라벨에 기입하는 단계; 및
    EDI 물류플랫폼에서 상품 목적지 별 출고 리스트를 조회 출력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국제 전자상거래에 따른 오픈 물류 수출, 수입, 국제 운송, 배송 및 반송 처리 플랫폼.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출발지 세관 신고 및 통관 승인 단계는
    출발지 세관 목록수출통관 규정 물품을 세관 EDI물류 플랫폼에 신고하고, 출발지 세관규정 간이통관, 일반통관 반송품일 경우 수출입 관련정보 출발지 통관사 EDI 물류 플랫폼에 전송하는 단계;
    출발지 통관사로부터 수출통관 승인 결과 여부 EDI 플랫폼을 통해 확인하고, 반출 통관승인 상품에 대하여 목적지 국가별 상품 콘솔 처리하는 단계;
    미통관 처리시 미통관 사유를 반품요청 고객에게 전달하여 반품요청 고객이 통관서류 보완 및 반송결정 등록 및 통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국제 전자상거래에 따른 오픈 물류 수출, 수입, 국제 운송, 배송 및 반송 처리 플랫폼.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출발지 세관 신고 및 통관 승인 단계는
    반송 출발지에서의 미통관시 반품 상품 수출 통관 처리결과 조회하여 미통관 사유 정보 물류플랫폼 등록 및 고객에게 통보하는 단계;
    물류 플랫폼에서 사유 확인 후 추가 정보 등록하여 반품 요청한 고객에게 택배 발송 처리하는 단계;
    반품상품 반품 고객에게 반송 사항을 발송한 후 반품 출하 정보에 따른 물류 플랫폼에 등록하여 물류 플랫폼에서 통관서류 준비 후 통관사에 EDI 물류 플랫폼을 송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국제 전자상거래에 따른 오픈 물류 수출, 수입, 국제 운송, 배송 및 반송 처리 플랫폼.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임 반송 단계는
    물류 반송 정보 데이터를 EDI 물류 플랫폼으로 제공받아 운송 상품 반입 정차를 수행하고 반송지 배송 과정에서 반입 상품을 확인하는 단계;
    도착지 세관 규정에 따른 통관 과정을 수행하고 반출 승인을 신청하여 통관사로부터 수입 통관 반출 승인 정보 통관사로부터 EDI 물류 플랫폼을 수신 처리하는 반송 상품 통관 처리 및 EDI 확인 단계; 및
    배송정보 택배사에 EDI 물류 플랫폼을 전송 처리한 후 배송 대행사에 인수인계하여 상품을 판매처로 배송시켜 완료하는 상품 배송 및 완료단계;
    를 포함하는 국제 전자상거래에 따른 오픈 물류 수출, 수입, 국제 운송, 배송 및 반송 처리 플랫폼.
KR1020160007590A 2016-01-21 2016-01-21 국제 전자상거래에 따른 오픈 물류 수출, 수입, 국제 운송, 배송 및 반송 처리 플랫폼 KR101783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7590A KR101783598B1 (ko) 2016-01-21 2016-01-21 국제 전자상거래에 따른 오픈 물류 수출, 수입, 국제 운송, 배송 및 반송 처리 플랫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7590A KR101783598B1 (ko) 2016-01-21 2016-01-21 국제 전자상거래에 따른 오픈 물류 수출, 수입, 국제 운송, 배송 및 반송 처리 플랫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7700A true KR20170087700A (ko) 2017-07-31
KR101783598B1 KR101783598B1 (ko) 2017-11-06

Family

ID=59418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7590A KR101783598B1 (ko) 2016-01-21 2016-01-21 국제 전자상거래에 따른 오픈 물류 수출, 수입, 국제 운송, 배송 및 반송 처리 플랫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359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76877A (zh) * 2018-04-17 2018-11-09 顺丰科技有限公司 跨境业务处理方法、系统、设备、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90040846A (ko) 2017-10-11 2019-04-19 (주)플리즈 이륜차 배송대행 방법
KR20190097994A (ko) 2018-02-14 2019-08-21 오윤숙 수요 예측을 통한 글로벌 진출 화장품 기업 유통 정보 관리 플랫폼
CN110866721A (zh) * 2019-11-12 2020-03-06 德邦物流股份有限公司 跨境业务处理方法、系统、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20220071633A (ko) 2020-11-24 2022-05-31 주식회사 디버 드라이브 쓰루 방식을 적용한 물류 배송 중개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2604358B1 (ko) * 2022-10-06 2023-11-23 (주)원플러스로지스틱 통관 불가능 물품에 대한 통관 대행과 배송 처리 시스템 및 이를 실행하는 방법
KR102645566B1 (ko) * 2023-05-22 2024-03-07 엄길용 해외운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0015B1 (ko) 2020-12-02 2021-06-28 쿠팡 주식회사 물류 창고의 반출을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40003676A (ko) 2022-07-01 2024-01-09 최영철 국제 전자상거래에 따른 해외시장 맞춤용 오픈 물류 수출, 수입, 국제 항공 운송, 배송 및 자동 관리 플랫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0846A (ko) 2017-10-11 2019-04-19 (주)플리즈 이륜차 배송대행 방법
KR20190097994A (ko) 2018-02-14 2019-08-21 오윤숙 수요 예측을 통한 글로벌 진출 화장품 기업 유통 정보 관리 플랫폼
CN108776877A (zh) * 2018-04-17 2018-11-09 顺丰科技有限公司 跨境业务处理方法、系统、设备、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866721A (zh) * 2019-11-12 2020-03-06 德邦物流股份有限公司 跨境业务处理方法、系统、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20220071633A (ko) 2020-11-24 2022-05-31 주식회사 디버 드라이브 쓰루 방식을 적용한 물류 배송 중개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2604358B1 (ko) * 2022-10-06 2023-11-23 (주)원플러스로지스틱 통관 불가능 물품에 대한 통관 대행과 배송 처리 시스템 및 이를 실행하는 방법
KR102645566B1 (ko) * 2023-05-22 2024-03-07 엄길용 해외운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3598B1 (ko) 2017-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3598B1 (ko) 국제 전자상거래에 따른 오픈 물류 수출, 수입, 국제 운송, 배송 및 반송 처리 플랫폼
JP5270669B2 (ja) 小売商に輸出サービス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4526644A (ja) 荷物収集およびどこからどこへでも配送に関する電子運送システム
CN101996369A (zh) 一种订单拆分方法
KR101692271B1 (ko) 온라인 상품 무역 거래의 통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온라인 상품 무역 거래 방법
KR101859904B1 (ko) 택배 방법
GB2378544A (en) Online purchase of shipping and insurance services
JP2010529536A (ja) フルフィルメント・サービス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MXPA01013320A (es) Sistema interactivo en linea y metodo para realizar transacciones comerciales.
KR20090055096A (ko) 합포배송을 위한 통합물류시스템 및 방법
US20010027471A1 (en) Order aggregation system for international shipments
KR100836874B1 (ko) 국제무역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98267B1 (ko) 재고 쉐어링을 이용한 역직구 쇼핑몰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US11715065B1 (en) Systems and methods providing virtual distribution center inventory for localized fulfilment
KR20230015599A (ko) 국제 물류 수출 및 수입 처리 플랫폼
KR20020009843A (ko) 인터넷을 이용한 물류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20327477A1 (en) Parcel and freight shipment management system and process
JP2009230393A (ja) 予約購買の配送システムおよび予約購買の配送方法
US20200342515A1 (en) Product ordering system and method
KR101961949B1 (ko) 중계를 위한 통합 거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77779B1 (ko) 인터넷 무역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TWI441090B (zh) 店到宅配送方法及系統
US20230214763A1 (en) Method and system for building or optimizing a supply chain
KR20240014224A (ko) 해외 물류 창고 기반의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및 배송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방법
KR20010102869A (ko) 물품 배송의 핸드폰을 이용한 배송 과정 정보 서비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