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1949B1 - 중계를 위한 통합 거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중계를 위한 통합 거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1949B1
KR101961949B1 KR1020180108691A KR20180108691A KR101961949B1 KR 101961949 B1 KR101961949 B1 KR 101961949B1 KR 1020180108691 A KR1020180108691 A KR 1020180108691A KR 20180108691 A KR20180108691 A KR 20180108691A KR 101961949 B1 KR101961949 B1 KR 101961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es
internal
slip
transaction
cl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8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원
Original Assignee
김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원 filed Critical 김광원
Priority to KR1020180108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19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1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1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12Accou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4Billing or invoi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echnology Law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사와 같은 중계처와 지사와 같은 내부 매출처가 구매처와 거래함에 따른 전표를 관리하는 중계를 위한 통합 거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개시하며, 중계 클라이언트에서 판매 정보에 대응하여 판매 전표 및 견적서를 생성하며, 중계 클라이언트와 내부 매출 클라이언트 간의 내부 거래를 위해 출고 확인 정보에 대응하여 내부 매입 전표 및 내부 내출 전표를 생성하고, 구매처와 외부 거래를 위해 출고 확인 정보에 따라 판매 정보에 대응하는 외부 매출 전표를 생성한다.

Description

중계를 위한 통합 거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INTEGRATED TRANSACTION SERVICES SYSTEM FOR TRANSIT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통합 거래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서, 본사와 같은 중계처와 지사와 같은 내부 매출처가 구매처와 거래함에 따른 전표를 관리하는 중계를 위한 통합 거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내부 거래 관계를 갖는 본사와 지사와 같은 매출처들은 구매처에 대해 본사의 중계를 통해 물품을 판매하기 위한 견적을 진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본사는 중계처라 지칭할 수 있고, 지사는 내부 매출처라 지칭할 수 있다.
중계처가 내부 매출처에서 판매할 물품에 대해 견적하고 출고지를 내부 매출처로 지정하는 경우, 내부 매출처는 창고에서 물품을 출고하고 중계처와 매입 및 매출에 관한 회계 처리를 요구할 수 있다.
중계처와 구매처가 계약하는 물품의 판매 단가와 중계처와 내부 매출처가 내부 거래를 위하여 계약하는 물품의 내부 거래 단가가 상이할 수 있다.
상기한 경우, 중계처는 구매처에 대한 외부 거래에 대한 회계 처리와 내부 매출처에 대한 내부 거래에 대한 회계 처리를 연동하여 일괄적으로 처리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내부 거래 관계를 갖는 중계처와 내부 판매처 간의 내부 거래에 대한 손쉬운 회계 처리와 중계처와 구매처 간의 외부 거래에 대한 손쉬운 회계 처리가 가능하고, 내부 거래와 외부 거래가 연동됨으로써 관련 전표가 일괄 처리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 거래 관계의 내부 매출처를 갖는 중계처의 중계를 통한 판매가 있는 경우, 중계처와 구매처의 외부 거래와 중계처와 내부 매출처 간의 내부 거래에 대응하여 손쉬운 회계 처리가 가능하고, 내부 거래와 외부 거래가 연동됨으로써 관련 전표가 일괄 처리될 수 있는 중계를 위한 통합 거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 매출처가 독립 사업자인 경우 회계의 투명성을 확보하면서 전표를 쉽게 처리할 수 있는 중계를 위한 통합 거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중계를 위한 통합 거래 서비스 시스템은, 중계처에서 운영하는 중계 클라이언트; 내부 매출처에서 운영하는 내부 매출 클라이언트; 및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중계 클라이언트 및 상기 내부 매출 클라이언트에 외부 거래 및 내부 거래를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각각 제공하고, 상기 중계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하여 입력되는 판매 정보에 대응하여 판매 전표 및 견적서를 생성하며, 상기 중계 클라이언트와 상기 내부 매출 클라이언트 간의 상기 내부 거래를 위해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하여 입력되는 출고 확인 정보에 대응하여 내부 매입 전표 및 내부 매출 전표를 생성하고, 구매처와 상기 외부 거래를 위해 상기 출고 확인 정보에 따라 상기 판매 정보에 대응하는 외부 매출 전표를 생성하는 통합 거래 서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중계를 위한 통합 거래 서비스 방법은, 내부 매출처의 내부 매출 클라이언트로부터 판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판매 요청에 대응하여 출고지, 판매량 및 판매 단가를 포함하는 판매 정보에 대응하는 판매 전표와 견적서를 생성하여 중계처의 중계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견적서의 생성에 대응하는 판매 통보를 상기 내부 매출 클라이언트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도착지인 상기 내부 매출 클라이언트로부터 출고 확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출고 확인 정보가 수신되면, 구매처와 외부 거래를 위하여, 상기 판매 정보의 상기 판매량과 판매 단가를 적용한 외부 매출 전표를 생성하며 상기 중계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내부 매출처와 상기 중계처 간의 내부 거래를 위하여, 상기 출고 확인 정보에 대응하는 출고량과 미리 설정된 내부 거래 단가를 적용한 내부 매입 전표와 내부 매출 전표를 생성하고, 상기 내부 매입 전표를 상기 내부 매출 클라이언트로 제공하고, 상기 내부 매출 전표를 상기 중계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중계를 위한 통합 거래 서비스 방법은, 중계처의 중계 클라이언트로부터 중계처 및 내부 매출처 중 적어도 하나를 출고지로 하고 판매량 및 판매 단가를 포함하는 판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판매 정보에 대응하는 판매 전표와 견적서를 생성하여 상기 중계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견적서의 생성에 대응하는 판매 통보를 출고지로 지정된 상기 내부 매출처의 상기 내부 매출 클라이언트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출고지 별로 출고 확인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출고 확인 정보를 제공한 상기 내부 매출처와 내부 거래를 위하여, 상기 출고 확인 정보에 대응하는 출고량과 미리 설정된 내부 거래 단가를 적용한 내부 매입 전표와 내부 매출 전표를 생성하고, 상기 내부 매입 전표를 상기 출고 확인 정보를 제공한 상기 내부 매출 클라이언트로 제공하고 모든 상기 출고지의 상기 내부 매출 전표를 상기 중계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단계; 그리고, 모든 상기 출고지의 상기 내부 거래를 종료한 후 상기 외부 거래를 위하여, 상기 판매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판매량과 상기 판매 단가를 적용한 외부 매출 전표를 생성하여 상기 중계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내부 거래 관계의 내부 매출처를 갖는 중계처의 중계에 의한 판매가 있는 경우, 중계처와 구매처 간의 외부 거래와 중계처와 내부 매출처 간의 내부 거래를 구분하여 회계 처리를 위한 전표를 원활히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내부 거래와 외부 거래가 연동됨으로써 관련 전표가 일괄처리될 수 있어서 회계 처리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계처와 내부 매출처 간의 판매 관리가 용이하고, 출고가 진행된 경우 그에 대응한 외부 거래를 위한 외부 매출 전표의 발행과 내부 거래를 위한 내부 매출 전표 및 내부 매입 전표를 일괄 처리함으로써 전표 관리와 회계 처리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계처와 같이 내부 매출처가 독립 사업자인 경우 회계의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고, 전표를 쉽게 처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중계를 위한 통합 거래 서비스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도 1의 통합 거래 서버의 일예를 나타내는 상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중계를 위한 통합 거래 서비스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중계를 위한 통합 거래 서비스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1과 같이 중계를 위한 통합 거래 서비스 시스템 구현을 위하여 통합 거래 서버(10), 중계 클라이언트(20) 및 내부 매출 클라이언트들(32, 34)을 포함한다. 내부 매출 클라이언트는 두 개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내부 클라이언트 그룹(30)으로 통칭할 수 있다.
통합 거래 서버(10)는 중계처에서 운영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인터넷 기반의 통신망을 통하여 중계 클라이언트(20) 및 내부 매출 클라이언트(32, 34)와 양방향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중계 클라이언트(20)도 중계처에서 통합 거래 서버(10)와 별도의 운영되는 것이며 중계처의 매입과 매출을 담당하는 담당자가 관리하는 단말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내부 매출 클라이언트들(32, 34)은 중계처와 내부 거래 관계를 갖는 내부 매출처에서 운영되는 것이며 내부 매출처의 매입과 매출을 담당하는 담당자가 관리하는 단말로 이해될 수 있다. 후술하는 설명에서, 내부 매출 클라이언트(32)는 내부 매출처A에서 운영되는 것이고, 내부 매출 클라이언트(34)는 내부 매출처B에서 운영되는 것이다.
상기한 기재에서, 단말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인터넷 기반 온라인 통신이 가능한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또는 모바일 단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중계처와 내부 매출처는 통상적으로 본사와 지점(또는 지사)과 같은 별도의 사업체로 이해될 수 있으며, 통합 판매를 위한 상호 약정된 내부 거래 관계를 갖는다. 상기한 내부 거래 관계는 판매 단가와 중계비를 포함한 내부 거래 단가로 중계처와 내부 매출처가 내부 매입 및 내부 매출 관계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
내부 거래 관계에서, 내부 매출처는 중계처를 통하여 판매를 요청하는 주체이며, 자신이 판매 요청한 물품의 출고지로 지정될 수 있고, 자신의 창고에 출고된 물품의 내부 거래를 위한 내부 매입 전표의 발행 대상이다. 그리고, 중계처는 내부 매출처에서 요청된 판매량 또는 자신과 내부 매출처의 판매량을 통합하여 구매처에 견적하는 주체이며, 물품의 출고지로 지정될 수 있고, 전체 판매량의 외부 거래를 위한 외부 매출 전표의 발행 대상이며, 내부 매출처의 창고에서 출고된 물품의 내부 거래를 위한 내부 매출 전표의 발생 대상이다.
도 1에서, 통합 거래 서버(10)는 통신망을 통하여 중계 클라이언트(20) 및 내부 매출 클라이언트들(32, 34)에 외부 거래 및 내부 거래의 처리를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각각 제공한다.
중계 클라이언트(20)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하여 판매 정보와 출고 확인 정보를 입력하며, 내부 매출 클라이언트들(32, 34)은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하여 판매 통보를 확인하고, 출고 확인 정보를 입력한다.
통합 거래 서버(10)는 중계 클라이언트(20)에서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하여 입력되는 판매 정보에 대응하여 판매 전표 및 견적서를 생성하며, 중계 클라이언트(20)와 내부 매출 클라이언트(32, 34) 간의 내부 거래를 위해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하여 입력되는 출고 확인 정보에 대응하여 내부 매출 전표 및 내부 내입 전표를 생성하고, 구매처와 외부 거래를 위해 출고 확인 정보에 따라 판매 정보에 대응하는 외부 매출 전표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통합 거래 서버(10)는 도 2와 같이 인터페이스 제공부(100), 메인 프로세서(110), 데이터베이스(120), 외부 거래 프로세서(130), 견적 처리부(132), 외부 매출 처리부(134), 내부 거래 프로세서(140), 내부 거래 룰 세팅부(142), 내부 매출 처리부(144), 내부 매입 처리부(146) 및 물류 관리 프로세서(15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제공부(100)는 통신망을 통하여 중계 클라이언트(20) 및 내부 매출 클라이언트들(32, 34)에 각각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한다. 인터페이스 화면은 HTML 코딩과 같은 방법으로 정해진 양식에 정보의 표시 및 정보의 입력을 위한 영역들 및 기능 수행을 위한 버턴들이 형성된 통상적인 웹 페이지들의 집합으로 이해될 수 있다.
외부 거래 프로세서(130)는 판매 전표, 견적서 및 외부 매출 전표를 생성하는 프로세서로 이해될 수 있고, 내부 거래 프로세서(140)는 내부 매출 전표 및 내부 매입 전표를 생성하는 프로세서로 이해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110)는 인터페이스 화면 즉 인터페이스 제공부(100)를 통하여 중계 클라이언트(20)의 판매 정보와 중계 클라이언트(20) 및 내부 매출 클라이언트들(32, 34)의 출고 확인 정보를 수신한다.
메인 프로세서(110)는 외부 거래 프로세서(130)에 판매 정보에 대응하는 판매 전표 및 견적서의 생성을 의뢰한 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프로세서(110)는 내부 거래 프로세서(140)에 출고 확인 정보에 대응하는 내부 매출 전표 및 내부 매입 전표의 생성을 의뢰한 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로세서(110)는 내부 거래 프로세서(140) 별 출고 확인 정보에 따라 외부 거래 프로세서(130)에 판매 정보에 대응하는 외부 매출 전표의 생성을 각각 의뢰한 후 수신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110)는 상기한 판매 전표, 견적서, 외부 매출 전표 및 내부 매출 전표를 중계 클라이언트(20)에 제공하고, 내부 매입 전표를 내부 매출 클라이언트(32, 34)에 제공하며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120)는 구매처, 중계처 및 내부 매출처를 구분할 수 있도록 판매 정보, 판매 전표, 견적서, 출고 정보, 내부 매입 전표, 내부 매출 전표 및 재고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 관리 구조를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외부 거래 프로세서(130)는 메인 프로세서(110)에서 제공되는 판매 정보에 대응하여 판매 전표와 견적서를 생성하여 메인 프로세서(110)에 제공하고, 메인 프로세서(110)에서 제공되는 출고 정보에 대응하여 외부 매출 전표를 생성하여 메인 프로세서(110)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외부 거래 프로세서(130)는 견적 처리부(132) 및 외부 매출 처리부(134)와 인터페이스되도록 구성된다. 외부 거래 프로세서(130)는 견적 처리부(132)로부터 판매 정보에 대응하는 판매 전표 및 견적서의 생성을 위한 폼을 제공받고, 외부 매출 처리부(134)로부터 외부 매출 전표의 생성을 위한 폼을 제공받는다. 외부 거래 프로세서(130)는 견적 처리부(132) 및 외부 매출 처리부(134)에서 제공되는 폼에 메인 프로세서(110)에서 제공되는 판매 정보에 포함되는 항목 별 값들을 매칭함으로써 판매 전표, 견적서 및 외부 매출 전표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판매 정보는 구매처, 물품 정보, 전체 판매량, 출고지로 지정될 수 있는 중계처 및 내부 매출처 별 판매량, 출고지, 판매 단가 및 판매 총액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편, 내부 거래 프로세서(140)는 내부 거래 룰 세팅부(142), 내부 매출 처리부(144) 및 내부 매입 처리부(146)와 인터페이스 되도록 구성된다. 내부 거래 프로세서(140)는 내부 매출 처리부(144)로부터 출고 확인 정보에 대응하는 내부 매출 전표의 생성을 위한 폼을 제공받고, 내부 매입 처리부(146)로부터 출고 확인 정보에 대응하는 내부 매입 전표의 생성을 위한 폼을 제공받는다. 그리고, 내부 거래 프로세서(140)는 내부 거래 룰 세팅부(142)로부터 판매 전표의 판매 단가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내부 거래 단가를 제공받는다. 내부 거래 프로세서(140)는 내부 매출 처리부(144) 및 내부 매입 처리부(146)에서 제공되는 폼에 메인 프로세서(110)에서 제공되는 출고 확인 정보와 내부 거래 룰 세팅붐(142)에서 제공되는 내부 거래 단가를 매칭함으로써 내부 매출 전표 및 내부 매입 전표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출고 확인 정보는 구매처, 판매 정보, 출고지, 출고지의 출고량(판매량)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거래 룰 세팅부(142)는 내부 거래 프로세서(140)로부터 물품 정보를 확인하고 물품 정보에 해당하는 내부 거래 단가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물류 관리 프로세서(150)는 중계처와 내부 매출처의 창고들의 재고 관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물류 관리 프로세서(150)는 메인 프로세서(110)로부터 판매 정보를 확인하고, 판매 정보의 출고지에 대하여 창고의 재고보다 해당 판매량이 큰 경우 연계 창고 정보를 포함하는 판매 조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연계 창고 정보는 해당 판매량을 수용할 수 있는 다른 창고의 정보를 의미한다. 그리고, 물류 관리 프로세서(150)는 메인 프로세서로부터 출고 확인 정보를 확인하고, 출고 확인 정보에 대응하여 출고량을 해당 창고의 재고에서 차감하는 재고 조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도 1 및 도 2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중계를 위한 통합 거래 서비스 시스템은 개별 판매 또는 통합 판매를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개별 판매는 내부 매출처가 중계처에 판매를 요청함으로써 중계처가 견적하는 프로세스를 의미하고, 통합 판매는 중계처와 내부 매출처에서 필요한 전체 판매량을 중계처가 자체적으로 견적하는 프로세스를 의미한다.
먼저, 개별 판매를 위하여, 통합 거래 서버(10)는 예시적으로 특정한 내부 매출 클라이언트(32)를 운영하는 내부 매출처A로부터 판매 요청을 수신하고, 판매 요청에 대응하며 출고지, 판매량 및 판매 단가를 포함하는 판매 정보에 대응하는 판매 전표와 견적서를 생성하여 중계 클라이언트(20)로 제공하며, 견적서의 생성에 대응하는 판매 통보를 내부 매출 클라이언트(32)에 제공한다. 그 후, 견적에 대응한 출고가 이루어지면, 통합 거래 서버(10)는 출고지인 내부 매출처A의 출고 확인이 완료된 후, 외부 거래를 위하여, 출고 확인 정보에 따라 판매 정보의 판매량과 판매 단가를 적용한 외부 매출 전표를 생성하며 중계 클라이언트(20)로 제공한다. 그리고, 통합 거래 서버(10)는 내부 거래를 위하여, 출고 확인 정보에 대응하는 출고량과 미리 설정된 내부 거래 단가를 적용한 내부 매입 전표와 내부 매출 전표를 생성하고, 내부 매입 전표를 내부 매출 클라이언트(32)로 제공하고, 내부 매출 전표를 중계 클라이언트(20)로 제공한다.
상기한 개별 판매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개별 판매의 경우, 내부 매출처A가 중계처에 판매를 요청하고, 중계처가 내부 매출처A의 요청에 대응하여 판매를 중계한다.
이를 위하여, 내부 매출처A는 내부 매출 클라이언트(32)를 통하여 판매를 중계처에 요청한다. 즉, 내부 매출처A의 담당자는 인터페이스 제공부(100)가 내부 매출 클라이언트(32)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하여 판매할 물품, 판매량(X개) 및 출고지 등 판매 정보를 구성하기 위한 항목을 선택하여 입력하고 판매 요청을 진행한다(S5).
그 결과, 메인 프로세서(110)는 내부 매출 클라이언트(32)에서 전송되는 판매 요청을 수신하고(S10), 판매 요청에 대응하여 출고지, 판매량 및 판매 단가를 포함하는 판매 정보에 대응하는 판매 전표와 견적서를 생성한다. 판매 전표와 견적서는 메인 프로세서(110)가 외부 거래 프로세서(130)에 의뢰한 후 수신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110)는 판매 전표와 견적서를 중계처의 중계 클라이언트(20)로 제공하며 내부 매출처A의 내부 매출 클라이언트(32)에 견적서의 생성에 대응하는 판매 통보를 제공한다(S12).
내부 매출처A는 판매 통보시 전달된 내용 즉 견적서의 내용으로 판매를 확인할 수 있다(S14).
그리고, 중계처는 견적서를 구매처에 우편, 전자 메일이나 팩시밀리와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송부할 수 있고, 구매처는 견적서를 접수한 후 발주를 진행할 수 있다.
구매처는 X개 발주한 물품은 판매 요청한 출고지 즉 내부 매출처A의 창고로 로부터 출고될 수 있다.
내부 매출처A는 출고된 물품과 출고량을 확인한 후 견적서와 물품 및 출고량이 일치하는 경우 내부 매출 클라이언트(32)를 통하여 출고 확인 정보를 입력하여 출고 확인을 수행한다(S20). 출고 확인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매처, 물품 정보, 출고지, 출고지의 출고량(판매량)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110)는 출고지인 내부 매출 클라이언트(32)에서 입력된 출고 확인 정보를 수신되면, 구매처와 외부 거래를 위하여, 판매 정보의 판매량과 판매 단가를 적용한 외부 매출 전표를 생성하며 중계 클라이언트(20)로 제공한다(S30). 이때, 외부 매출 전표는 메인 프로세서(110)가 외부 거래 프로세서(130)에 의뢰한 후 수신할 수 있으며, 판매 전표가 외부 매출 전표로 전환될 수 있다.
이때, 구매처는 외부 매출 전표에 대응하는 외부 매매에 대한 회계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로세서(110)는 상기한 외부 거래와 더불어 내부 거래를 일괄 처리할 수 있다.
즉, 메인 프로세서(110)는 내부 매출처와 중계처 간의 내부 거래를 위하여, 출고 확인 정보에 대응하는 출고량과 미리 설정된 내부 거래 단가를 적용한 내부 매입 전표와 내부 매출 전표를 생성하고, 내부 매입 전표를 내부 매출 클라이언트(32)로 제공하고, 내부 매출 전표를 중계 클라이언트(20)로 제공할 수 있다(S40, S42). 내부 매입 전표와 내부 매출 전표는 메인 프로세서(110)가 내부 거래 프로세서(140)에 의뢰한 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내부 매입 전표 및 내부 매출 전표는 내부 거래 프로세서(140)에서 판매 단가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내부 거래 단가를 적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 거래 및 외부 거래가 종료된 후, 물류 관리 프로세서(150)에 의해 내부 매출처A의 창고에 대한 재고 업데이트(S50)를 위한 재고 관리가 진행될 수 있다. 이때, 재고 조정은 출고 확인 정보에 대응하여 출고량을 해당 창고의 재고에서 차감하는 것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물류 관리 프로세서(150)는 판매 전표 및 견적서의 생성을 위한 판매 정보를 메인 프로세서(110)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물류 관리 프로세서(150)는 출고지인 내부 매출처A의 창고의 재고보다 해당 판매량이 초과하는 경우 연계 창고 정보를 포함하는 판매 조정 정보를 메인 프로세서(110)를 통하여 중계처의 중계 클라이언트(20)와 내부 매출처A의 내부 매출 클라이언트(32)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개별 판매에 대응하여 중계처와 구매처 간의 외부 거래와 중계처와 내부 매출처 간의 내부 거래를 구분하여 회계 처리하고, 내부 거래와 외부 거래가 연동됨으로써 관련 전표가 일괄처리될 수 있어서 회계 처리가 용이하다.
한편, 통합 판매를 위하여, 통합 거래 서버(10)는 중계 클라이언트(20)로부터 중계처 및 내부 매출처 중 적어도 하나를 출고지로 하고 판매량 및 판매 단가를 포함하는 판매 정보를 수신하고, 판매 정보에 대응하는 판매 전표와 견적서를 생성하여 중계 클라이언트(20)로 제공하며, 견적서의 생성에 대응하는 판매 통보를 출고지로 지정된 내부 매출처의 내부 매출 클라이언트(32, 34)에 제공한다. 그 후, 통합 거래 서버(10)는 출고 확인이 완료된 내부 매출처에 대한 내부 거래를 위하여, 출고 확인 정보에 대응하는 출고량과 미리 설정된 내부 거래 단가를 적용한 내부 매입 전표와 내부 매출 전표를 생성하고, 내부 매입 전표를 출고 확인 정보를 제공한 내부 매출 클라이언트(32, 34)로 제공하며, 모든 출고지의 내부 매출 전표를 중계 클라이언트(20)로 제공한다. 그리고, 통합 거래 서버(10)는 모든 출고지의 내부 거래를 종료한 후 외부 거래를 위하여, 판매 정보에 대응하는 판매량과 판매 단가를 적용한 외부 매출 전표를 생성하여 중계 클라이언트(20)로 제공한다.
상기한 통합 판매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통합 판매의 경우, 중계처가 자신과 내부 매출처에서 필요한 전체 판매량에 대해 자체적으로 판매를 진행한다.
이를 위하여, 중계처는 중계 클라이언트(20)를 통하여 판매를 진행한다. 즉, 중계처의 담당자는 인터페이스 제공부(100)가 중계 클라이언트(20)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하여 판매할 물품, 판매량(X개) 및 출고지 등 판매 정보를 구성하기 위한 항목을 선택하여 입력한다. 이때, X개의 판매량은 X1개의 중계처의 판매량, X2개의 내부 매출처A의 판매량, X3개의 내부 매출처B의 판매량을 합한 전체 판매량으로 이해될 수 있다. 판매 정보는 출고지 별 판매량을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메인 프로세서(110)는 중계 클라이언트(20)에서 전송되는 판매 정보를 수신하고, 판매 정보에 대응하는 판매 전표와 견적서를 생성하여 중계 클라이언트(20)로 제공한다(S60). 판매 전표와 견적서는 메인 프로세서(110)가 외부 거래 프로세서(130)에 의뢰한 후 수신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110)는 내부 매츨처A의 내부 매출 클라이언트(32)와 내부 매출처B의 내부 매출 클라이언트(34)에 견적서의 생성에 대응하는 판매 통보를 제공한다(S62)
내부 매출처A 및 내부 매출처B는 견적서의 내용으로 판매를 확인할 수 있다(S64, S66).
그리고, 중계처는 견적서를 구매처에 우편, 전자 메일이나 팩시밀리와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송부할 수 있고, 구매처는 견적서를 접수한 후 발주를 진행할 수 있다.
X1개의 물품은 출고지인 중계처의 창고로부터 출고되고, X2개의 물품은 출고지인 내부 매출처A의 창고로부터 출고되고, X3개의 물품은 출고지인 내부 매출처B의 창고로부터 출고된다.
중계처, 내부 매출처A 및 내부 매출처B는 출고된 물품과 출고량을 확인한 후 견적서와 물품 및 출고량이 일치하는 경우 중계 클라이언트(20) 및 내부 매입 클라이언트들(32, 34)를 통하여 출고 확인 정보를 입력하여 출고 확인을 수행한다(S68, S70, S72). 출고 확인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매처, 판매 정보, 출고지, 출고지의 출고량(판매량)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110)는 출고지 별로 출고 확인 정보가 수신되면, 출고 확인 정보를 제공한 내부 매출처들과 내부 거래를 위하여, 출고 확인 정보에 대응하는 출고량과 미리 설정된 내부 거래 단가를 적용한 내부 매입 전표와 내부 매출 전표를 생성한다(S80 ~ S86). 내부 매입 전표와 내부 매출 전표는 메인 프로세서(110)가 내부 거래 프로세서(140)에 의뢰한 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내부 매입 전표 및 내부 매출 전표는 내부 거래 프로세서(140)에서 판매 단가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내부 거래 단가를 적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110)는 내부 매입 전표를 출고 확인 정보를 제공한 내부 매출 클라이언트(32, 34)로 제공하며, 모든 출고지의 내부 매출 전표를 중계 클라이언트(20)로 제공한다.
메인 프로세서(110)는 상기와 같이 모든 상기 출고지의 내부 거래를 종료한 후 외부 거래를 위한 프로세스를 진행한다. 즉, 메인 프로세서(110)는 판매 정보에 대응하는 판매량(전체 판매량)과 판매 단가를 적용한 외부 매출 전표를 생성하여 중계 클라이언트(20)로 제공한다(S90). 외부 매출 전표는 메인 프로세서(110)가 외부 거래 프로세서(130)에 의뢰한 후 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 거래 및 외부 거래가 종료된 후, 물류 관리 프로세서(150)에 의해 출고지인 중계처, 내부 매출처A 및 내부 매출처B의 창고들에 대한 재고 업데이트(S94~S98)를 위한 재고 관리가 진행될 수 있다. 이때, 재고 조정은 출고 확인 정보에 대응하여 출고량을 해당 창고의 재고에서 차감하는 것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통합 판매에 대응하여 중계처와 구매처 간의 외부 거래와 중계처와 내부 매출처 간의 내부 거래를 구분하여 회계 처리하고, 내부 거래와 외부 거래가 연동됨으로써 관련 전표가 일괄처리될 수 있어서 회계 처리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중계처와 같이 내부 매출처가 독립 사업자인 경우 회계의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고, 전표를 쉽게 처리할 수 있다.

Claims (15)

  1. 중계처에서 운영하는 중계 클라이언트;
    내부 매출처에서 운영하는 내부 매출 클라이언트; 및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중계 클라이언트와 구매처 간의 외부 거래 및 상기 중계 클라이언트와 상기 내부 매출 클라이언트 간의 내부 거래를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각각 제공하고, 상기 중계 클라이언트 및 상기 내부 매출 클라이언트를 통하여 출고지 별 판매량을 포함하는 판매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하여 입력되는 상기 판매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중계처와 상기 내부 매출처에서 필요한 전체 판매량에 대한 통합 판매를 위한 판매 전표 및 견적서를 상기 외부 거래를 위하여 생성하며,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하여 입력되는 출고 확인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내부 거래를 위한 내부 매입 전표 및 내부 매출 전표를 생성하고, 상기 출고 확인 정보에 따라 상기 판매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통합 판매를 위한 상기 판매 전표와 상기 견적서의 판매량과 판매 단가를 적용한 상기 외부 거래를 위한 외부 매출 전표를 생성하는 통합 거래 서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를 위한 통합 거래 서비스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거래 서버는,
    상기 중계 클라이언트 및 상기 내부 매출 클라이언트에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
    상기 판매 전표, 상기 견적서 및 상기 외부 매출 전표를 생성하는 외부 거래 프로세서; 및
    상기 내부 매입 전표 및 상기 내부 매출 전표를 생성하는 내부 거래 프로세서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하여 상기 판매 정보와 상기 출고 확인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외부 거래 프로세서에 상기 판매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판매 전표 및 상기 견적서의 생성을 의뢰한 후 수신하고, 상기 내부 거래 프로세서에 상기 출고 확인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내부 매입 전표 및 상기 내부 매출 전표의 생성을 의뢰한 후 수신하고, 상기 출고 확인 정보에 따라 상기 외부 거래 프로세서에 상기 판매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외부 매출 전표의 생성을 각각 의뢰한 후 수신하며, 상기 판매 전표, 상기 견적서, 상기 외부 매출 전표 및 상기 내부 매입 전표를 상기 중계 클라이언트에 제공하고, 상기 내부 매입 전표를 상기 내부 매출 클라이언트에 제공하는 메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중계를 위한 통합 거래 서비스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거래 서버는 상기 내부 거래 프로세서와 연동되며 상기 판매 전표의 판매 단가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내부 거래 단가를 상기 내부 거래 프로세서에 제공하는 내부 거래 룰 세팅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내부 거래 프로세서는 상기 내부 거래 단가를 적용한 상기 내부 매출 전표 및 상기 내부 매입 전표를 생성하는 중계를 위한 통합 거래 서비스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거래 서버는 상기 중계처와 상기 내부 매출처의 창고들의 재고 관리를 수행하는 물류 관리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물류 관리 프로세서는 상기 판매 정보의 출고지에 대하여 창고의 재고보다 해당 판매량이 초과하는 경우 연계 창고 정보를 포함하는 판매 조정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출고 확인 정보에 대응하여 출고량을 해당 창고의 재고에서 차감하는 재고 조정을 수행하는 중계를 위한 통합 거래 서비스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거래 서버는,
    상기 내부 매출 클라이언트로부터 판매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판매 요청에 대응하며 출고지, 판매량 및 판매 단가를 포함하는 상기 판매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판매 전표와 상기 견적서를 생성하여 상기 중계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며,
    상기 견적서의 생성에 대응하는 판매 통보를 상기 내부 매출 클라이언트에 제공하고;
    상기 출고지인 상기 내부 매출처의 출고 확인이 완료되면, 상기 외부 거래를 위하여, 상기 출고 확인 정보에 따라 상기 판매 정보의 상기 판매량과 판매 단가를 적용한 상기 외부 매출 전표를 생성하며 상기 중계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며; 그리고,
    상기 내부 거래를 위하여, 상기 출고 확인 정보에 대응하는 출고량과 미리 설정된 내부 거래 단가를 적용한 상기 내부 매입 전표와 상기 내부 매출 전표를 생성하고, 상기 내부 매입 전표를 상기 내부 매출 클라이언트로 제공하고, 상기 내부 매출 전표를 상기 중계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중계를 위한 통합 거래 서비스 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거래 서버는,
    상기 중계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중계처 및 상기 내부 매출처를 출고지로 하고 상기 판매량 및 상기 판매 단가를 포함하는 판매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판매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중계처와 상기 내부 매출처에서 필요한 상기 전체 판매량에 대한 상기 통합 판매를 위한 상기 판매 전표와 상기 견적서를 생성하여 상기 중계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며,
    상기 견적서의 생성에 대응하는 판매 통보를 출고지로 지정된 상기 내부 매출처의 상기 내부 매출 클라이언트에 제공하고;
    출고 확인이 완료된 상기 내부 매출처에 대한 상기 내부 거래를 위하여, 상기 출고 확인 정보에 대응하는 출고량과 미리 설정된 내부 거래 단가를 적용한 상기 내부 매입 전표와 상기 내부 매출 전표를 생성하고, 상기 내부 매입 전표를 상기 출고 확인 정보를 제공한 상기 내부 매출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며, 모든 출고지의 상기 내부 매출 전표를 상기 중계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며; 그리고,
    모든 출고지의 상기 내부 거래를 종료한 후 상기 외부 거래를 위하여, 상기 판매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통합 판매를 위한 상기 판매 전표와 상기 견적서의 상기 판매량과 상기 판매 단가를 적용한 상기 외부 매출 전표를 생성하여 상기 중계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중계를 위한 통합 거래 서비스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중계처에서 운영하는 중계 클라이언트 및 내부 매출처에서 운영하는 내부 매출 클라이언트와 통신망을 통하여 통신하는 통합 거래 서버의 통합 거래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중계 클라이언트와 구매처 간의 외부 거래 및 상기 중계 클라이언트와 상기 내부 매출 클라이언트 간의 내부 거래를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통합 거래 서버가 상기 중계 클라이언트 및 상기 내부 매출 클라이언트를 통하여 상기 중계처 및 상기 내부 매출처를 출고지로 하고 판매량 및 판매 단가를 포함하는 판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합 거래 서버가 상기 판매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중계처와 상기 내부 매출처에서 필요한 전체 판매량에 대한 통합 판매를 위한 판매 전표와 견적서를 상기 외부 거래를 위하여 생성하여 상기 중계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통합 거래 서버가 상기 견적서의 생성에 대응하는 판매 통보를 출고지로 지정된 상기 내부 매출처의 상기 내부 매출 클라이언트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통합 거래 서버가 상기 출고지 별로 출고 확인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출고 확인 정보를 제공한 상기 내부 매출처와 상기 내부 거래를 위하여, 상기 출고 확인 정보에 대응하는 출고량과 미리 설정된 내부 거래 단가를 적용한 내부 매입 전표와 내부 매출 전표를 생성하고, 상기 내부 매입 전표를 상기 출고 확인 정보를 제공한 상기 내부 매출 클라이언트로 제공하고 모든 상기 출고지의 상기 내부 매출 전표를 상기 중계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통합 거래 서버가 모든 상기 출고지의 상기 내부 거래를 종료한 후 상기 외부 거래를 위하여, 상기 판매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통합 판매를 위한 상기 판매 전표와 상기 견적서의 상기 판매량과 상기 판매 단가를 적용한 외부 매출 전표를 생성하여 상기 중계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를 위한 통합 거래 서비스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거래 서버의 메인 프로세서가 상기 출고지에 해당하는 상기 내부 매출 클라이언트로 제공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하여 상기 출고 확인 정보를 수신하며; 그리고,
    상기 메인 프로세서와 연동되는 상기 통합 거래 서버의 내부 거래 프로세서가 상기 출고 확인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내부 매입 전표 및 상기 내부 매출 전표를 생성하는; 중계를 위한 통합 거래 서비스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거래 프로세서가 상기 내부 매출 전표 및 상기 내부 매입 전표를 상기 판매 전표의 판매 단가를 기준으로 내부 거래 룰 정보에 의해서 미리 설정된 내부 거래 단가를 이용하여 생성하는; 중계 처리를 위한 통합 거래 서비스 방법.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거래 서버의 메인 프로세서가 상기 중계 클라이언트와 상기 내부 매출 클라이언트에 제공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하여 상기 판매 정보 및 상기 출고 확인 정보를 수신하며; 그리고,
    상기 메인 프로세서와 연동되는 상기 통합 거래 서버의 외부 거래 프로세서가 상기 판매 정보에 대응한 상기 판매 전표, 상기 견적서 및 상기 외부 매출 전표의 생성을 수행하는; 중계를 위한 통합 거래 서비스 방법.
  15.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거래 서버가 상기 중계처와 상기 내부 매출처의 창고들의 재고 관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재고 관리는 상기 판매 정보의 출고지에 대하여 창고의 재고보다 해당 판매량이 초과하는 경우 연계 창고 정보를 포함하는 판매 조정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출고 확인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중계처와 상기 내부 매출처의 상기 창고들에 대한 재고 조정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중계를 위한 통합 거래 서비스 방법.
KR1020180108691A 2018-09-12 2018-09-12 중계를 위한 통합 거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61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691A KR101961949B1 (ko) 2018-09-12 2018-09-12 중계를 위한 통합 거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691A KR101961949B1 (ko) 2018-09-12 2018-09-12 중계를 위한 통합 거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1949B1 true KR101961949B1 (ko) 2019-07-17

Family

ID=67512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8691A KR101961949B1 (ko) 2018-09-12 2018-09-12 중계를 위한 통합 거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194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3318A (ko) * 2000-12-02 2002-06-10 구자홍 물품 거래 관리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운영 방법
KR20150040895A (ko) * 2012-07-31 2015-04-15 요시미쯔 가기와다 거래 관리 시스템 및 거래 관리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3318A (ko) * 2000-12-02 2002-06-10 구자홍 물품 거래 관리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운영 방법
KR20150040895A (ko) * 2012-07-31 2015-04-15 요시미쯔 가기와다 거래 관리 시스템 및 거래 관리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87854B2 (ja) 電子取引支援方法
JP3948429B2 (ja) 価格改訂方法及び価格改訂支援システム
KR101872403B1 (ko) 거래 관리 시스템 및 거래 관리 프로그램
KR100875520B1 (ko) 고객정보유출 방지를 위한 인터넷 사이트를 통한 상품 주문처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KR20170087700A (ko) 국제 전자상거래에 따른 오픈 물류 수출, 수입, 국제 운송, 배송 및 반송 처리 플랫폼
KR20170017446A (ko) 분할구매 기능이 적용된 역경매 방식의 자재구매 시스템
KR20170021161A (ko) 업체 신용등급 산출기능이 적용된 역경매 방식의 자재구매 시스템
KR20230150909A (ko) 이알피 연계형 전자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1503694A (ja) 付加注文書式を用いてオンラインオープンマーケットで商品取引の多様性をサポートする電子商取引方法及びシステム
KR101961949B1 (ko) 중계를 위한 통합 거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37328B1 (ko) 소셜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한 실시간 물류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200073934A (ko) 원자재 오픈마켓 서비스 제공방법
KR101961948B1 (ko) 중계를 위한 통합 거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87423B1 (ko) 통합구매프로세스를 진행하는 전자구매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220104488A (ko) 건축자재 수급 시스템
KR20000054487A (ko) 견적서를 이용한 물품구매방법 및 시스템
KR101046602B1 (ko) 사업자 간의 유통 절차 관리 시스템
KR20150091746A (ko) 기업 간 거래 정보 공유 및 중개 시스템 운용 방법
JP7315990B1 (ja) メーカー処分品販売システム
JP2002352118A (ja) 電子商取引システム
KR101908912B1 (ko) B2b 전용 글로벌 무역지원 플랫폼을 가지는 거래물량 전환 가능 수출 비즈니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
JP2002140568A (ja) 産業車両の販売方法とそれに用いる販売システム
JP2001283032A (ja) 商取引支援システム
JP2019061581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010074124A (ko) 웹사이트 체인을 이용한 공동구매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