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8125A - 수출 물류 견적 서버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수출 물류 견적 서버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8125A
KR20210078125A KR1020190169873A KR20190169873A KR20210078125A KR 20210078125 A KR20210078125 A KR 20210078125A KR 1020190169873 A KR1020190169873 A KR 1020190169873A KR 20190169873 A KR20190169873 A KR 20190169873A KR 20210078125 A KR20210078125 A KR 20210078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ort logistics
cost
export
machine
logisti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9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1385B1 (ko
Inventor
박은철
Original Assignee
(주)코머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머신 filed Critical (주)코머신
Priority to KR1020190169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1385B1/ko
Publication of KR20210078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8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1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1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1Overseas transac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상 수출 물류 견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수출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수출하고자 하는 기계에 대한 수출 물류 정보 및 포워딩 업체 장치로부터 수신된 수출 물류 비용의 산출을 위한 비용 기준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수출 물류 정보 및 상기 비용 기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수출 물류 비용을 자동으로 계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출자 장치로부터 수출 물류 견적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수출 물류 정보의 입력 요청을 위한 수출 물류 정보 입력폼을 생성하여 상기 수출자 장치에 제공하고, 상기 수출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수출 물류 정보 중 상기 기계의 길이, 폭 및 높이에 기초하여 부피 측정 단위인 CBM으로 환산하여 CBM이 기 설정된 기준 미만인 경우, 상기 기계를 소량화물로 판단하여 복수의 수출자의 화물을 하나의 컨테이너에 함께 적재하는 LCL 운송 방식을 적용하여, 상기 수출 물류 비용을 자동으로 계산하여 상기 포워딩 업체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포워딩 업체 장치는 상기 수출 물류 비용을 기초로 수출 물류 견적을 작성하여 상기 수출자 장치로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수출 물류 견적을 제공할 수 있는 수출 물류 견적 서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출 물류 견적 서버 및 그 방법{SERVER AND METHOD FOR ESTIMATING OF EXPORT LOGISTICS}
본 발명은 수출 물류 견적 서버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출 물류의 해상 운송 시 발생되는 물류 비용을 자동으로 계산하여 보다 빠른 견적 제공이 가능한 수출 물류 견적 서버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해외에 제품을 수출하는 수출 업체들은 수출 물류와 관련된 제반 업무를 자체적으로 처리하기 보다는 포워딩 업체를 통해 처리하고 있다. 포워딩 업체는 수출 물류를 수출 업체로부터 인계 받아 운송해주는 업무를 비롯해, 통관 등의 수출 물류 업무를 종합적으로 대행해주는 물류 서비스 업체이다.
대부분의 포워딩 업체는 수출 업체로부터 수출 물류 견적 요청이 오면, 물류 비용을 수기로 계산하여 견적을 작성한 후, 이메일로 전송한다.
또한, 정확한 해상 물류 비용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수출 물품에 대한 세부적인 정보들이 필요하고, 수출되는 국가의 법령에 따라 여러 부대 비용들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포워딩 업체는 통상적으로 수출 업체들에게 이러한 정보들을 요청하며, 해상 물류 비용에 대한 최종 견적을 받기 위해서는 수출 업체들은 포워딩 업체와 메일 또는 전화를 통해 최소 2~3 차례 교신이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수출 품목이 기계 장치인 경우, 수출 업체들은 수출 업무에 익숙치 않으므로, 수출품을 배송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또한, 기계의 경우, 동일한 물품이 대량으로 수출되는 품목이 아니어서 기계 수출을 위해서는 매번 포워딩 업체와 여러번 통신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또한, 이러한 절차상의 번거로움으로 인해 대부분의 수출 업체들은 기존에 거래하던 포워딩 업체와 거래를 지속하는 경우가 많고, 해상 물류 비용을 직접적으로 비교하는 것도 쉽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수출 업체들은 해상 운송 시의 견적을 보다 빠르게 받을 수 있고, 복잡한 물류 체계 및 물류 비용에 대한 정보를 선주 및 포워딩 업체로부터 보다 투명하게 제공받고자 하는 요구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 10-2000-00036575호 "인터넷을 이용한 화물의 운임결정 중개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수출 물류 견적 작성에 필요한 수출 물류 정보를 빠짐없이 수신하여 포워딩 업체로 제공할 수 있는 수출 물류 견적 서버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자동으로 계산된 수출 물류 비용을 포워딩 업체에 제공하여 보다 편리하게 수출 물류 견적 작성이 가능한 수출 물류 견적 서버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수출 물류 비용을 자동으로 계산하여 수출 물류의 예상 견적을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는 수출 물류 견적 서버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수출 물류 견적 서버는 수출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수출하고자 하는 기계에 대한 수출 물류 정보 및 포워딩 업체 장치로부터 수신된 수출 물류 비용의 산출을 위한 비용 기준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수출 물류 정보 및 상기 비용 기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수출 물류 비용을 자동으로 계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출자 장치로부터 수출 물류 견적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수출 물류 정보의 입력 요청을 위한 수출 물류 정보 입력폼을 생성하고, 상기 수출자 장치에 상기 수출 물류 정보 입력폼을 제공하고, 상기 수출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수출 물류 정보 중 상기 기계의 길이, 폭 및 높이에 기초하여 부피 측정 단위인 CBM으로 환산하고, 환산된 CBM이 기 설정된 기준 미만인 경우, 상기 기계를 소량화물로 판단하고 복수의 수출자의 화물을 하나의 컨테이너에 함께 적재하는 LCL 운송 방식을 적용하여, 상기 수출 물류 비용을 자동으로 계산하고, 자동으로 계산된 상기 수출 물류 비용 및 상기 수출 물류 정보를 상기 포워딩 업체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수출 물류 정보 및 상기 수출 물류 비용에 기초하여 상기 포워딩 업체 장치로부터 작성된 수출 물류 견적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수출 물류 견적을 상기 수출자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용 기준 정보 중 상기 수출 물류 비용의 산출을 위한 필수 입력 항목을 포함하여 수출 물류 정보 입력폼을 생성하고, 상기 수출 물류 정보 입력폼은 상기 수출 물류 비용의 산출을 위한 상기 필수 입력 항목으로 상기 기계에 대한 중량, 길이, 폭, 높이, 픽업 지역, 픽업 예상 날짜, 도착 국가, 도착 항구, 보험, 수출 포장 필요, 위험물 제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계에 대한 상기 CBM 또는 상기 중량을 기초로 상기 수출 물류 비용을 자동으로 계산하고, 상기 수출 물류 비용은 상기 픽업 지역에 따른 운송 거리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계산된 내륙 운송비, 상기 도착 국가 및 도착 항구에 따라 자동으로 계산된 해상 운송비, 및 상기 도착 국가 및 도착 항구, 보험 여부, 수출 포장 여부 필요 여부 및 위험물 제품 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계산된 복수의 부대 비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계를 상기 픽업 지역에서 출발 항구까지 내륙 운송하는 경우, 상기 기계에 대한 상기 CBM 또는 상기 중량에 따라, 상기 기계를 운송할 트럭의 종류를 결정하고, 운송 거리에 비례하는 내륙 운송비를 자동으로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계의 상기 CBM을 기초로 1CBM 당 중량이 1톤 미만인 경우, 상기 기계를 중량에 비해 CBM이 큰 용적화물로 판단하고, 상기 CBM을 기준으로 상기 해상 운송비를 자동으로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계의 상기 CBM을 기초로 1CBM 당 중량이 1톤 이상인 경우, 상기 기계를 CBM에 비해 중량이 큰 중량화물로 판단하고, 상기 중량을 기준으로 해상 운송비를 자동으로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대 비용 중 상기 기계에 대한 상기 CBM 또는 상기 중량에 따라 차등 부과되는 터미널 화물 처리비, 부두 사용료 및 혼재화물작업료를 자동으로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출자 장치가 상기 도착 항구를 특정 국가의 항구로 선택하는 경우, 상기 특정 국가의 항구에서 발생되는 고유 부대 비용을 추가로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출자 장치로부터 상기 기계의 분해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분해가 가능한 경우, 분해 가능한 각 부분의 중량, 길이, 폭 및 높이에 따라, 트럭의 종류를 결정하여 내륙 운송비를 자동으로 계산하고, 상기 분해 가능한 각 부분에 대한 상기 CBM 또는 상기 중량을 기초로, 용적화물인지 중량화물인지 판단하여, 상기 해상 운송비 및 상기 부대 비용을 자동으로 계산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수출 물류 견적 방법은 포워딩 업체 장치로부터 수출 물류 비용의 산출을 위한 비용 기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출자 장치로부터 수출 물류 견적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출자 장치로부터 수출 물류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수출 물류 정보 입력폼을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수출 물류 정보 입력폼을 상기 수출자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수출 물류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상기 수출 물류 정보 중 길이, 폭 및 높이에 기초하여 부피 측정 단위인 CBM으로 환산하는 단계, 상기 CBM이 기 설정된 기준 미만인 경우, 소량화물로 판단하여 복수의 수출자의 화물을 하나의 컨테이너에 함께 적재하는 LCL 운송 방식을 적용하여, 상기 수출 물류 비용을 자동으로 계산하는 단계, 자동으로 계산된 수출 물류 비용 및 상기 수출 물류 정보를 상기 포워딩 업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수출 물류 정보 및 상기 수출 물류 비용에 기초하여 상기 포워딩 업체 장치로부터 작성된 수출 물류 견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출 물류 견적을 상기 수출자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수출 물류 견적 서버는 수출 물류 정보 입력폼 생성하여 수출자에게 제공하므로 수출 물류 견적 작성에 필요한 수출 물류 정보를 빠짐없이 포워딩 업체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수출 물류 견적 서버는 수출자로부터 수신된 수출 물류 정보를 기초로 수출 물류 비용을 자동으로 계산하여 포워딩 업체에 제공하므로, 포워딩 업체는 보다 편리하게 수출 물류 견적 작성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수출 물류 견적 서버는 수출자로부터 수신된 수출 물류 정보를 기초로 수출 물류 비용을 자동으로 계산하므로, 수출 물류의 예상 견적을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 수출 물류 견적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출 물류 견적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출 물류 정보 입력폼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출 물류 견적 제공 방법에 있어서, 수출 물류 비용을 계산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출 물류 견적 제공 방법에 있어서, 수출 물류 비용을 계산하는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출 물류 견적 제공 방법에 있어서, 수출 물류 비용을 계산하는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해상 수출 물류 견적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개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가 다양한 실시 예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송신, 수신, 수집, 추출, 업로드 또는 갱신한다”는 의미는 정보 또는 데이터를 직접 송신, 수신, 수집, 추출, 업로드 또는 갱신하거나 다른 중계 서버를 통해 간접적으로 송신, 수신, 수집, 추출, 업로드 또는 갱신한다는 의미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 수출 물류 견적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 수출 물류 견적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해상 수출 물류 견적 시스템은 수출 물류에 대한 견적 요청을 처리한다. 구체적으로, 해상 수출 물류 견적 시스템은 수출 물류 견적 서버(300)를 통해 수출자 장치(100)와 포워딩 업체 장치(200) 간의 수출 물류 견적 산출을 위한 전반적인 동작들을 처리하고, 수출 물류 견적과 관련된 정보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 수출 물류 견적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수출되는 물품이 아닌 기계 또는 부품의 수출 물류에 관한 물류 거래 절차를 자동으로 중개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수출자”는 해외로 기계 및 부품을 수출하는 업체이거나 해외 수출 유통 업체일 수 있고, “포워딩 업체”는 기계 및 부품을 수출자로부터 인계 받아 수출자가 원하는 위치까지 운송해주는 택배, 운송, 통관 등의 업무를 종합적으로 서비스하는 업체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계 및 기계 부품은 완제품 및 기계를 구성하는 작은 부품에 이르기까지 모든 분야의 기계 관련 제품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술한 기계 관련 제품들을 모두 “기계”로 통칭하기로 한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 수출 물류 견적 시스템은 수출자 장치(100), 포워딩 업체 장치(200), 수출 물류 견적 서버(3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상 수출 물류 견적 시스템을 구성하는 수출자 장치(100), 포워딩 업체 장치(200), 수출 물류 견적 서버(300)는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출 물류 견적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수출자 장치(100)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포워딩 업체 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장치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무선 네트워크 및 유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또는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일 수 있다.
수출자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수출자가 사용하는 장치일 수 있고, 포워딩 업체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포워딩 업체가 사용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이때, 수출자 장치(100) 및 포워딩 업체 장치(200)는 해상 수출 물류 견적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거나, 해상 수출 물류 견적 시스템이 설치된 장치일 수 있다.
수출자 장치(100) 및 포워딩 업체 장치(200)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전화기(mobile phone), 영상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 (desktop PC), 랩탑 PC(laptop PC),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 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serv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수출자는 수출자 장치(100)를 통해 해상 수출 물류 견적 시스템에 접속하여 수출하고자 하는 기계에 대한 수출 물류 견적을 요청할 수 있고, 포워딩 업체 장치(200)로부터 작성된 수출 물류 견적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수출자는 수출자 장치(100)를 통해 수출하고자 하는 기계에 대한 수출 물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수출 물류 정보는 수출 물류 견적을 작성하는데 필요한 수출 물류(즉, 기계)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이때, 입력된 수출 물류 정보는 수출 물류 견적 서버(300)로 전송될 수 있다.
포워딩 업체는 포워딩 업체 장치(200)를 통해 해상 수출 물류 견적 시스템에 접속하여 수출 물류 견적 요청을 수신할 수 있고, 수출자 장치(100)로부터 입력된 수출 물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포워딩 업체는 포워딩 업체 장치(200)를 통해 수출 물류 견적을 작성할 수 있다. 이때, 작성된 수출 물류 견적은 수출 물류 견적 서버(300)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출 물류 견적 서버(300)는 해상 수출 물류 견적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서버일 수 있다. 수출 물류 견적 서버(300)는 수출 물류 견적을 제공하기 위한 각종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출 물류 견적 서버(300)는 수출자 장치(100)로부터 수출 물류에 대한 견적 요청이 있는 경우, 수출 물류 정보의 입력을 위한 수출 물류 정보 입력폼을 생성하고, 수출 물류 정보 입력폼을 수출자 장치(100)로 제공한다. 또한, 수출자 장치(100)로부터 수출 물류 정보가 수신되면, 이에 기초하여 수출 물류 비용을 자동으로 계산하고, 자동 계산된 수출 물류 비용을 포워딩 업체 장치(200)로 전송한다. 포워딩 업체 장치(200)가 자동으로 계산된 수출 물류 비용에 기초하여 수출 물류 견적을 작성하면, 수출 물류 견적 서버(300)는 수출자 장치(100)로 수출 물류 견적을 제공함으로써, 수출 물류에 대한 견적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
특히, 수출 물류 견적 서버(300)는 수출 물류 견적 작성에 필요한 수출 물류 정보가 누락없이 수출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될 수 있도록 수출자 장치(100)에 수출 물류 정보 입력 요청을 위한 수출 물류 정보 입력폼을 생성하여 이를 수출자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수출 물류 견적 서버(300)는 포워딩 업체 장치(200)로부터 수출 물류 비용을 자동으로 계산하기 위한 비용 기준 정보를 수신하고, 수출자 장치(100)로 제공된 수출 물류 정보 입력폼을 통해 수출 물류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기초로 수출 물류 비용을 자동으로 계산하고, 포워딩 업체 장치(200)가 수출 물류 견적을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계산된 수출 물류 비용을 포워딩 업체 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
수출 물류 견적 서버(300)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이동 전화기,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 데스크탑 PC, 랩탑 PC, 넷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서버, PDA, PMP,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 또는 웨어러블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출 물류 견적 서버(300)는 제어부(310), 데이터베이스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320)는 제어부(310)가 수출자 장치(100)와 포워딩 업체 장치(200) 간 수출 물류 견적을 송수신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모든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320)는 수출 물류 견적 서버(300)의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수출 물류 견적 서버(300)와 분리된 별도의 저장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320)는 예를 들면, SSD(solid state drive), 하드디스크(hard disk drive), 카드 타입의 메모리(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 및 이에 대한 식별 가능한 물리적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저장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부(320)는 수출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기계의 수출 물류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포워딩 업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비용 기준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320)는 제어부(310)를 통해 자동으로 계산된 수출 물류 비용을 저장하고, 자동으로 계산된 수출 물류 비용을 기초로 포워딩 업체 장치(200)로부터 작성된 수출 물류 견적을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10)는 수출 물류 견적 서버(300)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310)는 수출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수출 물류 견적 요청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각종 동작 및 정보들을 관리하고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10)는 데이터베이스부(320)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기초로 포워딩 업체들의 수출 물류 견적 서비스와 관련된 동작 및 정보들을 전반적인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 (CP)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는 수출 물류 견적 서버(300)의 적어도 하나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수출 물류 견적 서버(300)의 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다양한 구성요소를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10)는 수출자 장치(100)로부터 기계에 대한 수출 물류 견적 요청이 수신되면, 해당 기계에 대한 수출 물류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수출 물류 정보 입력폼을 생성할 수 있다.
“수출 물류 정보”는 수출하고자 하는 기계에 대한 수출 물류 견적을 작성하기 위해 필요한 필수 정보들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기계에 대한 중량, 치수(길이, 폭, 높이), 픽업(pickup) 지역, 픽업 예상 날짜, 도착 국가, 도착 항구, 보험 여부, 수출 포장 필요 여부, 위험물 제품 여부 등일 수 있다.
제어부(310)는 수출 물류 견적을 작성하기 위해 필요한 필수 정보들을 필수 입력 항목으로 설정하여 수출 물류 정보 입력폼을 생성하고, 생성된 수출 물류 정보 입력폼을 수출자 장치(100)로 제공하여 수출자 장치(100)로부터 수출 물류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수출 물류 정보 입력폼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10)는 포워딩 업체의 수출 물류 견적 작성을 용이하게 하고, 수출 업체에게 객관적인 예상 수출 물류 비용을 제공하도록 수출 물류 비용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수출 물류 견적”은 수출 물류 비용을 종합적으로 산출하여 포워딩 업체가 포워딩 업체 장치(200)을 통해 최종 작성한 것으로, 수출자가 기계를 해외로 수출하기 위한 과정에서 발생되는 운송비, 통관비 등 다양한 물류 비용들을 비용 기준 정보에 따라 항목별로 계산하여 수출 물류 비용을 수출자 장치(100)로 청구하거나 안내하는 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수출 물류 비용”은 수출하고자 하는 기계에 대한 해상 물류에 소요되는 예상 비용으로서, 수출하고자 하는 기계를 픽업(pickup), 즉, 기계를 인계하여 출발 항구로 운송하는 내륙 운송비, 출발 항구에서 선박을 통해 도착 항구까지 운송하는 해상 운송비 등의 항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수출 물류 비용은 내륙 운송비 및 해상 운송비를 제외한 터미널 이용료, 서류 발급비, 부두 사용료, 화물 혼재 작업료, 수출 면장, 통관 수수료, 컨테이너 봉인비용 등을 포함하는 부대 비용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부(310)는 수출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수출 물류 정보 및 포워딩 업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비용 기준 정보에 기초하여 수출 물류 비용을 자동으로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10)는 기계의 중량, 길이, 폭, 높이가 수출자 장치(100)로부터 입력되는 경우, 비용 기준 정보에 기초하여 기계의 중량, 길이, 폭, 높이를 통해 산출되는 수출 물류 비용의 항목들을 계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10)는 수출 물류 정보 및 비용 기준 정보에 기초하여 수출 물류 비용의 “내륙 운송비” 항목을 자동으로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10)는 기계의 중량, 길이, 폭, 높이, 트럭의 종류, 컨테이너 및 트레일러 사용 여부, 운송 거리, 운송 환경을 기초로 내륙 운송비를 계산할 수 있다. 동일한 중량의 기계를 1톤트럭으로 운송하는 경우와 5톤트럭으로 운송하는 경우는 동일한 거리를 운송한다고 하더라도 내륙 운송비가 다를 수 있다. 내륙 운송비 산출 방법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에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제어부(310)는 수출 물류 정보 및 비용 기준 정보에 기초하여 수출 물류 비용의 “해상 운송비” 항목을 자동으로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10)는 수출하고자 하는 기계의 중량, 길이, 폭, 높이를 및 도착 항구에 따라 해상 운송비를 차등 계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10)는 수출하고자 하는 기계의 길이, 폭, 높이를 CBM으로 환산하여, CBM이 기 설정된 기준 미만인 경우, LCL(Less than Container Load : 혼재화물) 운송 방식을 적용하고, 도착 항구에 따라 기계의 CBM 또는 중량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하여 해상 운송비를 산출할 수 있다. LCL 및 해상 운송비 산출 방법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에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제어부(310)는 수출 물류 정보 및 비용 기준 정보에 기초하여 수출 물류 비용의 “부대 비용” 항목을 자동으로 계산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부대 비용” 항목은 포워딩 업체 장치(200)로부터 수신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부대 비용” 항목은 포워딩 업체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부대 비용 산출 방법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에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10)는 자동으로 계산된 수출 물류 비용을 포워딩 업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수출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수출 물류 정보를 포워딩 업체 장치(200)로 전송하고, 포워딩 업체 장치(200)로부터 작성된 수출 물류 견적을 수신하는 경우, 수출자 장치(100)로 수출 물류 견적을 제공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수출 물류 견적”은 포워딩 업체 장치(200)를 통해 최종적으로 작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출 물류 견적 서버(300)는 자동으로 계산된 수출 물류 비용 및 수출 물류 정보를 제어부(310)로부터 수신한 이후, 자동으로 계산된 수출 물류 비용 항목 및 수출 물류 정보를 기초로 수출 물류 견적을 작성하고, 작성된 수출 물류 견적을 수출 물류 견적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은, 도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출 물류 견적 제공 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출 물류 견적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출 물류 정보 입력폼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출 물류 견적 제공 방법에 있어서, 수출 물류 비용을 계산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출 물류 견적 서버(300)는 포워딩 업체 장치(200)로부터 수출 물류 비용 산출을 위한 비용 기준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부(320)에 저장(S201)한다.
“비용 기준 정보”는 수출 물류 비용을 산출하기 위한 포워딩 업체들의 비용 산출 기준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비용 산출 기준은 수출 물류 비용을 구성하는 각 항목에 대한 계산식 및 계산식의 계수, 변수들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출 물류 비용이 해상 운송비, 내륙 운송비 및 부대 비용으로 구성되는 경우, 비용 산출 기준은 해상 운송비, 내륙 운송비 및 부대 비용을 산출하는 각 계산식과 계산에 필요한 계수 및 변수를 포함할 수 있다.
포워딩 업체 장치(200)는 수출 물류 견적 서버(300)에 접속하여, 각각의 수출 물류 비용에 대한 비용 기준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10)는 포워딩 업체마다 상이한 비용 기준 정보를 포워딩 업체 장치(200)로부터 각각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부(320)에 저장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어부(310)는 비용 기준 정보를 포워딩 업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수출 물류 견적들에 기초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상 운송비를 결정하는 특정 계수가 관련 법령이 바뀜으로써, 변경되었다면, 제어부(310)는 포워딩 업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가장 최근 수출 물류 견적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계수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310)는 비용 기준 정보의 업데이트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인공지능 기반의 결정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출 물류 견적 서버(300)는 수출자 장치(100)로 부터 수출 물류 견적 요청을 수신(S202)한다.
수출자는 수출자 장치(100)를 통해 수출 물류 견적 서버(300)에 접속하여, 수출하고자 하는 기계에 대한 수출 물류 견적을 요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출자 장치(100)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해상 수출 물류 견적 시스템에 접속하여, 수출자 장치(100)를 통해 견적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견적 요청 명령어를 제어부(310)로 전송하도록 구현된 버튼을 수출자 장치(100)가 클릭하거나, 터치하는 동작을 통해 견적 요청이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문자, 메신저, 챗봇 등의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동작을 통해 수출 물류 견적을 요청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후, 수출 물류 견적 서버(300)는 수출 물류 정보 입력폼을 생성(S203)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수출 물류 정보는 수출하고자 하는 기계에 대한 수출 물류 견적을 작성하기 위해 필요한 필수 정보들을 의미할 수 있다. 즉, 포워딩 업체 장치(200)가 수출 물류 비용 산출을 위한 필수 입력 항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해상 운송비의 경우, 도착 항구에 따라 기계의 CBM 또는 중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비용이 산출되므로, 수출 물류 정보는 도착 항구에 관한 정보일 수 있고, 기계의 CBM 또는 중량에 관한 직접적인 정보이거나, CBM을 환산할 수 있는 기계의 치수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수출자 장치(100)로부터 수출 물류 견적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310)는 상술한 필수 입력 항목들이 입력될 수 있는 입력 수단을 포함하는 수출 물류 정보 입력폼을 생성할 수 있다. 수출 물류 정보 입력폼의 일 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을 참조하여 수출 물류 정보 입력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수출 물류 정보 입력폼은 수출 물류 비용 산출을 위한 필수 입력 항목을 포함한다.
수출 물류 정보 입력폼은 발송물 정보 입력부(311), 픽업 정보 입력부(312), 픽업 날짜 입력부(313), 도착 지점 입력부(314), 기타 조건 입력부(31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수출 물류 정보 입력폼을 구성하는 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수출 물류 정보 입력폼은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발송물 정보 입력부(311)는 수출 물류 비용을 자동으로 계산하기 위한 필수 입력 항목으로 운송 방식, 수량, 치수, 중량을 포함할 수 있다.
“운송 방식”은 수출하고자 하는 기계가 LCL(Less than Container Load: 혼재화물) 또는 FCL(Full Container Load: 만재화물)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는 항목일 수 있다. LCL(Less than Container Load: 혼재화물) 운송 방식은 컨테이너 1대에 하나의 수출자의 화물만 적재되는 FCL(Full Container Load: 만재화물) 운송 방식과 달리 컨테이너 1대를 복수의 수출자의 화물들을 혼재하여 적재하는 운송 방식을 의미한다.
“수량”은 기계의 총 중량, 총 부피를 산출하기 위해 입력되는 항목일 수 있다. “치수”는 기계의 부피, 즉, CBM을 환산하기 위한 정보가 입력되는 항목일 수 있다. “중량”은 기계의 무게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는 항목일 수 있다.
여기서, CBM은 화물의 부피를 나타내는 단위로, 세제곱미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해상 물류의 경우, 1CBM은 100cm x 100cm x 100cm이고, 1CBM당 기준 중량은 1톤일 수 있다. 해상 운송비를 계산할 때, FCL의 경우 컨테이너 당 운송비가 결정되지만, LCL의 경우 부피 또는 중량 중 큰 것을 기준으로 운송비가 결정될 수도 있다.
픽업 정보 입력부(312)는 수출 물류 비용을 자동으로 계산하기 위한 필수 입력 항목으로 픽업 지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픽업 정보 입력부(312)는 픽업 시 연락가능한 담당자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픽업 지역”은 포워딩 업체가 수출자로부터 기계를 인계하기 위한 정보가 입력되는 항목으로, 픽업 지역과 출발 항구 간의 운송 거리를 측정하여 내륙 운송비를 산출하기 위한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담당자 정보”는 수출자가 기계를 인계하기 위해 연락 가능한 정보가 입력되는 항목일 수 있다.
픽업 날짜 입력부(313)는 수출 물류 비용을 자동으로 계산하기 위한 필수 입력 항목으로 픽업 예상 날짜를 포함할 수 있다.
“픽업 예상 날짜”는 내륙 운송비의 변동 값을 산출하기 위한 부가 정보가 입력되는 항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픽업 예상 날짜에 입력된 정보는 수출 물류 비용의 항목 중 내륙 운송비를 산출하기 위한 변수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도착 지점 입력부(314)는 수출 물류 비용을 자동으로 계산하기 위한 필수 입력 항목으로 도착 국가 및 도착 항구를 포함할 수 있다.
“도착 국가” 및 “도착 항구”는 수출하고자 하는 기계의 도착 지점 정보가 입력되는 항목일 수 있다. 도착 국가 및 도착 항구에 입력된 정보는 해상 운송비를 산출하기 위한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특정 국가의 항구에서 발생되는 부대 비용 산출을 위한 정보로 사용될 수도 있다.
기타 조건 입력부(315)는 수출 물류 비용을 자동으로 계산하기 위한 필수 입력 항목으로 보험, 수출 포장 필요, 위험물 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보험”, “수출 포장 필요”, “위험물 제품”은 부대 비용 산출을 위한 정보가 입력되는 항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출자 장치(100)가 “보험”을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310)는 보험료를 부대 비용으로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수출자 장치(100)가 “수출 포장 필요”를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310)는 수출 포장비를 부대 비용으로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수출자 장치(100)가 “위험물 제품”을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310)는 위험물 운송에 따른 할증료를 부대 비용으로 추가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이후, 수출 물류 견적 서버(300)는 수출자 장치(100)로 수출 물류 정보 입력폼을 제공(S204)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10)는 수출자 장치(100)로 수출 물류 정보 입력폼을 제공할 수 있다. 수출자 장치(100)가 수출 물류 견적을 요청하면 수출 물류 정보 입력폼이 수출자 장치(100)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즉, 수출자 장치(100)가 수출 물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으로 변경되거나, 팝업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후, 수출 물류 견적 서버(300)는 수출자 장치(100)가 수출 물류 정보 입력폼을 통해 입력한 수출 물류 정보를 수신(S205)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출 물류 정보는 수출자 장치(100)가 수출 물류 정보 입력폼을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10)는 입력된 수출 물류 정보를 수신하고,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데이터베이스부(320)에 저장할 수 있다.
수출자 장치(100)는 수출 물류 입력폼의 발송물 정보 입력부(311)를 통해 수출하고자 하는 기계의 수치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계의 운송 방식, 수량, 길이, 폭, 높이, 중량을 입력할 수 있다.
운송 방식은 수출자 장치(100)가 입력할 수도 있고, 수출자 장치(100)가 입력한 기계의 중량, 수량, 길이, 폭, 높이에 따라 제어부(310)가 결정할 수도 있다. 이때, 제어부(310)는 수출자 장치(100)가 입력한 수치를 기초로, 총 수량, 총 CBM 및 총 중량을 자동으로 계산할 수도 있다.
또한, 수출자 장치(100)는 수출 물류 입력폼의 픽업 정보 입력부(312), 픽업 날짜 입력부(313), 도착 지점 입력부(314), 기타 조건 입력부(315)를 통해 픽업 지역, 픽업 예상 날짜, 도착 국가 및 항구 등 필수 입력 항목들을 입력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310)는 수출 물류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수출 물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수출 물류 비용을 자동으로 계산(S206)한다.
제어부(310)는 수출자 장치(100)로부터 수출 물류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수출 물류 정보 및 포워딩 업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비용 기준 정보를 기초로 수출 물류 비용을 자동으로 계산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수출 물류 비용”은 수출하고자 하는 기계에 대한 해상 물류에 소요되는 예상 비용으로 내륙 운송비 및 해상 운송비를 포함할 수 있다. 내륙 운송비 및 해상 운송비는 제어부(310)를 통해 기계의 CBM 또는 중량을 기준으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10)는 내륙 운송시 기계의 CBM 및 중량, 트럭의 종류, 컨테이너 사용 여부, 운송 거리 등에 따라 내륙 운송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10)는 해상 운송시 기계의 CBM 또는 중량, 도착 항구에 따라 해상 운송비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제어부(310)는 수출하고자 하는 기계의 CBM과 도착 지점에 따라 수출 물류 비용을 자동으로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출 물류 견적 제공 방법에 있어서 수출 물류 비용을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제어부(310)는 수출 물류 정보 입력폼을 통해 수신한 수출 물류 정보를 기초로 수출자 장치(100)가 수출하고자 하는 기계에 대한 길이, 폭 및 높이에 기초하여 CBM을 환산(S401)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310)는 길이 100cm x 폭 100cm x 높이200cm를 갖는 기계의 CBM을 2로 환산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310)는 기계의 CBM 또는 중량에 기초하여 기계를 픽업할 트럭의 종류를 결정(S402)한다.
제어부(310)는 환산된 기계의 CBM 또는 중량에 따라 적재 및 운송 가능한 트럭의 종류(예: 1톤 트럭, 2.5톤 트럭, 5톤 트럭)를 판단하고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트럭은 컨테이너를 적재하지 않고, 별도의 적재공간을 갖는 차량일 수 있다. 트럭이 적재할 수 있는 화물의 CBM은 트럭의 제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1톤 트럭의 경우, 적재공간이 폭 160cm X 길이 280cm이고, 적재 공간의 높이는 지상으로부터 75cm 떨어져 있다고 가정했을 때, 도로법상 화물 적재 시 높이는 350cm이내여야 하므로, 160cm X 280cm X 275cm을 CBM으로 환산한 11.88CBM의 화물을 최대로 적재할 수 있다. 한편, 트럭 앞에 붙은 톤수는 적재 가능한 적정 중량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출자 장치(100)가 입력한 수출 물류 정보 중 기계 1대의 CBM이 7이고, 중량이 2.5톤이라고 가정했을 때, 이 경우, 제어부(310)는 1톤 트럭으로 해당 기계를 운송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판단할 수 있고, 2.5톤 트럭 또는 5톤 트럭을 통해 운송할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만약, 동일한 기계 2대를 운송하는 경우, 제어부(310)는 2.5톤 트럭으로는 운송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고, 5톤 트럭을 통해 운송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트럭의 종류를 결정하거나, 수출자 장치(100)로 트럭의 종류를 선택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310)는 픽업 지역에서 출발 항구까지의 운송 거리에 비례하여 내륙 운송비를 자동으로 계산(S403)한다.
내륙 운송비는 수출하고자 하는 기계의 최초 운송이 시작되는 지역, 즉, 픽업(pickup) 지역에서 출발 항구까지의 내륙 구간에서 발생되는 운송비를 의미한다. 내륙 운송은 트럭 등 운송 장비를 통해 도로로 운송하는 도로 운송, 기차를 통해 철도로 운송하는 철도 운송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로 운송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10)는 기계를 운송할 트럭의 종류, 이동 거리에 따라 내륙 운송비를 자동으로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10)는 트럭의 종류가 결정되면 픽업 지역에서 출발 항구까지 내륙 운송 거리에 비례하여 내륙 운송비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식 1과 같이, 기계의 CBM에 따라 트럭의 종류가 결정될 수 있고, 픽업 지역에 따른 운송 거리가 결정될 수 있다.
[수식 1]
내륙 운송비 = A · B
수식 1에서 A는 기계의 CBM에 따라 결정된 트럭의 종류에 따른 운송 거리 당 기본 운임이고, B는 픽업 지역에서 출발 항구 간 운송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10)는 수출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수출 물류 정보 중 픽업 정보를 통해 험로 포함 여부, 픽업 예상 날짜를 통해 장마철, 명절, 연말연시, 공휴일, 심야 운행 여부 등을 더 고려하여 내륙 운송비를 계산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310)는 기계의 CBM이 10미만인 경우, 기계의 운송 방식을 LCL 운송 방식으로 결정(S404)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10)는 해상 운송 시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운송 방식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10)는 기계의 CBM이 10미만인 경우, LCL 운송 방식이 유리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10)는 CBM이 10미만인 소량화물의 경우, FCL운송 방식으로 진행하는 것보다 LCL 운송 방식으로 진행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반면, CBM이 10이상인 대량화물의 경우, LCL 운송 방식으로 진행하게 되면 1CBM 당 해상 운송비가 산출되어, 컨테이너 당 해상 운송비를 산출하는 FCL 운송 방식보다 해상 운송비가 비싸질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310)는 CBM이 10 이상인 경우에는 FCL 운송 방식으로 진행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운송 방식의 유불리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10CBM을 기준으로 설명한 것은 예시에 불과하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선사, 포워딩 업체 등 사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이후, 제어부(310)는 1CBM 당 기계의 중량이 1톤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S405)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10)는 결정된 LCL 운송 방식에 따라 운임톤(R/T: Revenue ton)을 결정하기 위해 1CBM 당 기계의 중량이 1톤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운임톤은 화물의 기본 운임을 산출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제어부(310)는 CBM 또는 중량 중 큰 것을 운임톤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CBM 및 중량의 분기점은 1CBM 당 1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해상 운송 시 제어부(310)는 1CBM 당 중량이 1톤 이상인 기계는 용적에 비해 중량이 큰 중량화물(Weight Cargo)로 분류하고, 중량톤(MT: Metric ton)을 운임톤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반면, 제어부(310)는 1CBM 당 중량이 1톤 미만인 화물은 중량에 비해 용적(=부피)이 큰 용적화물(Measurement Cargo)로 분류하고, 용적톤(Measurement ton)을 운임톤으로 결정할 수 있다.
중량톤(MT: Metric ton)은 화물의 중량을 나타내는 단위로 중량화물의 기본 운임은 중량톤을 기준으로 결정될 수 있다.
용적톤(Measurement ton)은 화물의 용적을 나타내는 단위로 용적화물의 기본 운임은 용적톤을 기준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후, 제어부(310)는 운임톤(용적톤, 중량톤)을 적용하여 도착 항구에 따른 해상 운송비를 자동으로 계산(S406, S407)한다.
해상 운송비는 수출하고자 하는 기계를 출발 항구에서 도착 항구까지 운송할 때 발생하는 운송비이다. 즉, 해상 구간에서의 운송비를 의미할 수 있다. 해상 운송은 통상적으로 기계를 컨테이너에 적재하여 컨테이너선을 통해 운송할 수 있다. 또는, 포장하지 않은 채로 벌크선을 통해 운송되기도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컨테이너에 기계를 적재해서 운송하는 방법, 상세하게는 LCL 운송 방식을 통한 해상 운송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10)는 기계의 CBM 또는 중량을 기준으로 운임톤을 결정하고, 운임톤을 적용하여 도착 항구에 따라, 해상 운송비를 자동으로 계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10)는 포워딩 업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비용 기준 정보를 기초로 운임톤 및 도착 항구에 따른 해상 운송비를 자동으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해상 운송비는 예상 선적 일자 등 변동 값을 고려하여 산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수식 2와 같이, 기계의 CBM 또는 중량에 따라 운임톤이 결정될 수 있고, 도착 항구에 따라 해상 운송비가 계산될 수 있다. 또한, 예상 선적 일자 등 변동 값을 고려하여 해상 운송비가 결정될 수 있다.
[수식 2]
해상 운송비 = C · D + C · D · E
수식 2에서 C는 기계의 CBM또는 중량에 따라 결정된 운임톤에 따른 기본 운임이고, D는 출발 항구 및 도착 항구 간 운임계수이고, E는 예상 선적 일자에 따라 결정된 변동률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BM이 9이고, 중량이 3톤인 기계의 경우, 제어부(310)는 1CBM 당 중량이 1톤 미만이므로, 기계를 용적화물(Measurement Cargo)로 분류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10)는 용적톤, 즉, 기계의 CBM을 기초로 기본 운임을 계산할 수 있고, 도착 항구에 따라 해상 운송비를 자동으로 계산할 수 있다.
또한, CBM이 2.5이고 중량이 3톤인 기계의 경우, 제어부(310)는 1CBM당 중량이 1톤 이상이므로, 기계를 중량화물(Weight Cargo)로 분류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10)는 중량톤, 즉, 기계의 중량을 기초로 기본 운임을 계산할 수 있고, 도착 항구에 따라 해상 운송비를 자동으로 계산할 수 있다.
다시 도2를 참조하면, 이후, 수출 물류 견적 서버(300)는 자동으로 계산된 수출 물류 비용 및 수출 물류 정보를 전송(S207)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10)는 포워딩 업체 장치(200)로 자동으로 계산된 수출 물류 비용 및 수출자 장치(100)로부터 입력된 수출 물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자동으로 계산된 수출 물류 비용은 제어부(310)를 통해 계산된 내륙 운송비 및 해상 운송비를 포함할 수 있다. 수출자 장치(100)로부터 입력된 수출 물류 정보는 자동으로 계산된 수출 물류 비용의 산출 근거로써 함께 포워딩 업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포워딩 업체 장치(200)는 자동으로 계산된 수출 물류 비용 및 수출 물류 정보를 확인(S208)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포워딩 업체 장치(200)는 제어부(310)로부터 자동으로 계산된 수출 물류 비용 및 수출자 장치(100)로부터 입력된 수출 물류 정보를 수신하고, 제어부(310)로부터 자동으로 계산된 수출 물류 비용을 포워딩 업체의 자체 비용 기준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포워딩 업체는 포워딩 업체 장치(200)를 통해 제어부(310)가 자동으로 계산한 수출 물류 비용이 정확한지 확인할 수 있다.
포워딩 업체 장치(200)는 자동으로 계산된 수출 물류 비용의 확인 결과에 따라 수출 물류 비용을 수정하거나, 포워딩 업체의 비용 기준 정보를 갱신하여 수출 물류 견적 서버(300)에 등록할 수도 있다.
이후, 포워딩 업체 장치(200)는 수출 물류 견적을 작성(S209)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포워딩 업체 장치(200)는 자동으로 계산된 수출 물류 비용의 이상 유무를 확인한 후, 자동으로 계산된 수출 물류 비용을 포함하여 최종적으로 수출 물류 견적을 작성할 수 있다.
또한, 포워딩 업체 장치(200)는 추가적으로 발생되는 비용이 있는 경우, 해당 항목을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이후, 수출 물류 견적 서버(300)는 포워딩 업체 장치(200)를 통해 작성된 수출 물류 견적을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부(320)에 저장(S210)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10)는 수출 물류 견적이 포워딩 업체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면, 수출 물류 견적을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데이터베이스부(320)에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베이스부(320)에 저장된 수출 물류 견적들은 추후 수출자 장치(100)로부터 동일한 물품에 대한 수출 물류 견적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다시 활용될 수 있다. 이에, 포워딩 업체는 동일한 물품에 대한 수출 물류 견적 작성에 대한 반복 업무를 감소시킬 수 있고, 수출 물류 견적 처리에 대한 효율성이 제고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화 된 수출 물류 견적을 기간별, 수출 지역별로 통계 분석함으로써, 수출 기간 및 지역에 따른 예상 물류 비용 변화율을 수출자 장치(100) 및 포워딩 업체 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출자는 기간별 또는 수출 지역별 예상 물류 비용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고, 포워딩 업체는 수출 물류 비용의 변화율을 용이하게 파악하여 적절한 서비스 제공 비용을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수출 물류 견적 서버(300)는 수출 물류 견적을 수출자 장치(100)로 제공(S211)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10)는 포워딩 업체 장치(200)로부터 최종적으로 작성된 수출 물류 견적을 수출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수출자 장치(100)는 한 번의 수출 물류 견적 요청을 통해 복수의 포워딩 업체 장치(200)로부터 복수의 수출 물류 견적을 제공받을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출 물류 견적 서버(300)는 포워딩 업체 장치(200)로부터 수출 물류 비용 산출을 위한 비용 기준 정보를 수신하고, 수출자 장치(100)로부터 수출 물류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기초로 수출 물류 비용을 자동으로 계산할 수 있다.
종래에 수출 물류 견적 작성 방법은 견적 요청이 있을 때마다 포워딩 업체가 수출 물류 비용을 수기로 계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수출 물류 견적 서버(300)에 따르면, 포워딩 업체는 자동으로 계산된 수출 물류 비용을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수출 물류 비용을 수기로 계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줄어들 수 있다.
즉, 수출 물류 견적 서버(300)가 수출 물류 비용을 자동으로 계산하여 포워딩 업체 장치(200)에 제공하는 구성을 통해 수출 물류 견적 작성 방법을 개선할 수 있으므로, 포워딩 업체는 수출 물류 견적을 빠르고 편리하게 작성할 수 있다. 따라서, 포워딩 업체의 수출 물류 업무의 효율성은 증가할 수 있으며, 견적 작성 시간을 줄일 수 있으므로 신속한 물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출 물류 견적 서버(300)는 수출 물류 정보에 기초하여, 수출하고자 하는 기계의 수출 물류 비용 산출을 위한 운임톤(용적톤, 중량톤)을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다.
LCL 운송 방식은 화물의 용적(=부피) 또는 중량 중 큰 것을 기준으로 수출 물류 비용이 계산되므로, 종래에 수출 물류 견적 작성 방법은 포워딩 업체가 수출자로부터 제공된 화물의 용적 또는 중량에 대한 수치를 기준으로 운임톤을 수기로 결정하고, 수출 물류 비용도 수기로 계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수출 물류 견적 서버(300)가 수출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수출 물류 정보에 기초하여 운임톤을 자동으로 결정하고, 자동으로 결정된 운임톤에 기초하여 수출 물류 비용을 자동으로 계산하는 구성을 통해, 정확하고 신속하게 수출 물류 비용을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포워딩 업체 장치(200)는 LCL 운송 방식으로 화물을 수출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빠르고 편리하게 수출 물류 견적을 작성할 수 있으므로, 수출 물류 견적 작성에 대한 업무 로드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출 물류 견적 서버(300)는 수출자 장치(100)로 수출 물류 정보 입력폼을 제공할 수 있다. 수출 물류 정보 입력폼은 포워딩 업체가 수출 물류 견적 작성을 작성하기 위한 필수 정보를 필수 입력 항목으로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수출자 장치(100)가 수출 물류 견적 요청 시 필수 입력 항목을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고, 포워딩 업체 장치(200)는 수출 물류 견적 작성을 위해 필요한 필수 입력 항목들을 빠짐없이 제공받을 수 있다.
종래에 수출 물류 견적 제공 방법은 포워딩 업체가 수출 물류 견적을 수출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적어도 2~3차례 교신이 필요했다. 또한, 수출자는 수출 물류 견적 작성에 필요한 필수 정보를 쉽게 알 수 없으므로, 견적 요청 시 필수 정보들이 누락되어 재요청하는 등의 교신이 증가하여 불필요한 시간이 소요되는 등 수출자 및 포워딩 업체 모두에게 업무 부담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의 수출 물류 견적 서버(300)는 수출자 장치(100)로 수출 물류 정보 입력폼을 제공함으로써 수출 물류 견적 작성을 위해 필요한 필수 정보들이 누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상술한 종래의 수출 물류 견적 제공 방법을 개선할 수 있으므로, 수출자 및 포워딩 업체 간의 효율적인 수출 물류 업무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수출 물류 견적 서버(300)는 수출자 장치(100)가 수출 물류 정보 입력폼을 통해 입력한 수출 물류 정보 및 수출 물류 견적 요청을 복수의 포워딩 업체로 전송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포워딩 업체로부터 동시에 견적을 받을 수 있으므로, 수출자는 효율적인 운송비 선택이 가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출 물류 견적 제공 방법에 있어서 수출 물류 비용을 계산하는 다른 예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출 물류 견적 제공 방법에 있어서, 수출 물류 비용을 계산하는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출 물류 견적 제공 방법에 있어서 수출 물류 비용을 계산하는 다른 예는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출 물류 견적 제공 방법에 있어서, 수출 물류 비용을 계산하는 일 예와 비교하여, 운임톤(R/T: Revenue ton)에 따른 부대 비용을 자동으로 계산하고, 도착 항구에 따라 고유 부대 비용을 추가로 계산(S508, S509)하는 단계를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이에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310)는 운임톤(용적톤, 중량톤)에 따른 부대 비용을 자동으로 계산하고, 도착 항구에 따라 고유 부대 비용을 추가로 계산(S508, S509)한다.
부대 비용은 내륙 운송비 및 해상 운송비를 제외한 수출 물류 운송 시 발생되는 모든 비용들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터미널 이용료(THC: Terminal Handling Charge), 서류 발급비(DOC), 부두 사용료(WHARFAGE), 혼재화물작업료(CFS Charge), 수출 면장, 통관수수료(견적서 가격의 0.2%), 컨테이너 봉인비용(Seal Charge) 등일 수 있다. 또한, 특정 국가의 항구에서 발생되는 고유한 비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10)는 운임톤에 따라 산출되는 부대 비용을 자동으로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운임톤 또는 도착 항구와 상관없이 부과되는 부대 비용을 자동으로 계산할 수도 있다. 또한, 특정 국가의 항구에서 발생되는 고유 부대 비용을 자동으로 계산할 수도 있다.
제어부(310)는 수출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수출 물류 정보 및 포워딩 업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비용 기준 정보를 기초로 하여 자동으로 계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운임톤에 따라 부과되는 부대 비용의 경우, 제어부(310)는 수출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수출 물류 정보 중 기계의 중량, 길이 폭, 높이에 따라 결정된 운임톤에 기초하여 포워딩 업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비용 기준 정보를 기초로 운임톤에 따라 차등 부과되는 부대 비용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10)는 터미널 이용료(THC: Terminal Handling Charge), 부두 사용료(WHARFAGE), 혼재화물작업료(CFS Charge)는 운임톤에 따라 자동으로 계산할 수 있다.
운임톤 또는 도착 항구와 상관없이 부과되는 부대 비용의 경우, 제어부(310)는 포워딩 업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비용 기준 정보를 기초로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10)는 서류 발급비(DOC), 수출 면장, 통관수수료(견적서 가격의 0.2%), 컨테이너 봉인비용(Seal Charge) 등을 비용 기준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계산할 수 있다.
또한, 특정 국가의 항구에서 발생되는 고유 부대 비용의 경우, 수출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수출 물류 정보 중 도착 항구에 기초하여, 추가로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착 국가를 “미국”으로 선택하고, 도착 항구를 미국 내 항구로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310)는 도착지화물인도비용(DDC: Destination Delivery Charge), 적하목록 사전 신고비용(AMS FEE: Automotive Manifest Systems)을 추가로 계산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310)는 수식 3과 같이, 내륙 운송비, 해상 운송비, 부대 비용을 모두 합산하여, 해상 물류에 소요되는 예상 비용을 계산할 수 있다. 즉, 수출 물류 비용을 자동으로 계산할 수 있다.
[수식 3]
수출 물류 비용 = A · B + (C · D + C · D · E) + F + G
수식 3에서 F는 부대 비용이고, G는 보험료를 의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출 물류 견적 제공 방법에 있어서, 수출 물류 비용을 계산하는 다른 예에 따르면, 수출 물류 견적 서버(300)는 수출 물류 비용 항목으로 내륙 운송비를 및 해상 운송비를 자동으로 계산하고, 부대 비용 더 계산할 수 있으므로, 수출 물류의 예상 견적을 보다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종래에 수출 물류 견적 작성 방법은 견적 요청이 있을 때마다 포워딩 업체가 수출 물류 비용을 수기로 계산해야 했다. 특히, 부대 비용의 경우, 내륙 운송비 및 해상 운송비에 비해 산출 항목이 많고, 다양한 변수들로 인해 견적 요청이 많을 경우, 업무 부담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있었다.
반면, 본 발명의 수출 물류 견적 서버(300)에 의하면, 부대 비용을 자동으로 계산하므로, 상술한 종래의 수출 물류 견적 제공 방법을 개선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수출 물류 견적 작성이 가능하고, 보다 효율적인 수출 물류 업무가 가능할 수 있다.
다음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출 물류 견적 제공 방법에 있어서 수출 물류 비용을 계산하는 또 다른 예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출 물류 견적 제공 방법에 있어서, 수출 물류 비용을 계산하는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출 물류 견적 제공 방법에 있어서 수출 물류 비용을 계산하는 또 다른 예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출 물류 견적 제공 방법에 있어서, 수출 물류 비용을 계산하는 다른 예와 비교하여, 수출하고자 하는 기계의 분해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S601)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과, 기계를 분해한 후/분해하기 전에 대한 차이일 뿐, 내륙 운송비, 해상 운송비 및 부대 비용을 계산하여 수출 물류 비용을 자동으로 계산하는 방법은 동일하다. 이에 중복되는 단계들(S603 내지 S609)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310)는 수출자 장치(100)로부터 수출하고자 하는 기계의 분해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S601)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10)는 수출자 장치(100)로부터 수출하고자 하는 기계의 분해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즉, 제어부(310)는 수출 물류 정보 입력폼을 제공하고, 수출 물류 정보 입력폼의 발송물 정보 입력부(311)을 통해 기계의 분해 가능 여부를 더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출 물류 정보 입력폼을 통한 수출자 장치(100)의 수출 물류 정보 입력에 기초하여, 기계의 중량, 길이, 폭, 높이가 특정 종류의 트럭에 적재 가능한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310)는 수출자 장치(100)에게 기계의 분해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를 선택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10)는 분해 전 기계의 중량이 5톤이고, 폭 200cm X 길이 500cm X 높이 300cm인 기계의 경우, 5톤 트럭은 중량 기준을 충족하지만, 기계의 높이가 높이 제한인 350cm을 초과할 수 있으므로, 도로 운행에 제약이 있다고 판단하고, 5톤 트럭은 적재가 불가능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10)는 수출자 장치(100)로 기계의 분해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기계가 분해 가능한 경우, 제어부(310)는 분해된 기계의 각 부분에 대한 중량, 길이, 폭, 높이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한편, 수출자 장치(100)는 발송물 정보 입력부(311)의 “발송물 추가하기” 기능을 통해 분해된 기계의 각 부분에 대한 중량, 길이, 폭, 높이를 입력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310)는 기계가 분해 가능한 경우, 분해된 기계의 각 부분에 대한 중량, 길이, 폭, 높이를 기초로 CBM을 환산(S602)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10)는 수출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기계의 각 부분에 대한 길이, 폭, 높이를 기초로 CBM을 각각 환산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310)는 내륙 운송 시 각 부분들의 CBM 또는 중량에 기초하여 분해된 기계를 픽업할 트럭의 종류를 결정(S603)한다.
제어부(310)는 분해된 기계의 CBM 또는 중량에 따라 적재 가능한 트럭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310)는 픽업 지역에서 출발 항구까지의 운송 거리에 비례하여 내륙 운송비를 자동으로 계산(S604)한다.
제어부(310)는 상술한 수식1과 같이, 내륙 운송비를 자동으로 계산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310)는 분해된 기계의 CBM이 10미만인 경우, 기계의 운송 방식을 LCL운송 방식으로 결정(S605)하고, 1CBM 당 기계의 중량이 1톤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S606)한다. 즉, 제어부(310)는 결정된 LCL 운송 방식에 따라 해상 운송 시 기계의 기본 운임을 산출하기 위해 운임톤(R/T: Revenue ton)을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310)는 운임톤(용적톤, 중량톤)을 적용하여 도착 항구에 따른 해상 운송비를 자동으로 계산(S607, S608)한다.
제어부(310)는 운임톤이 용적톤으로 결정된 경우, 분해된 기계의 각 부분들에 대한 총 용적, 즉, CBM을 기초로 계산된 기본 운임에 기초하여 도착 항구에 따라, 해상 운송비를 자동으로 계산하고, 운임톤이 중량톤으로 결정된 경우, 분해된 기계의 각 부분들에 대한 총 중량을 기초로 계산된 기본 운임에 기초하여 도착 항구에 따라, 해상 운송비를 자동으로 계산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수식2과 같이, 해상 운송비를 자동으로 계산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310)는 운임톤(용적톤, 중량톤)에 따른 부대 비용을 자동으로 계산하고, 도착 항구에 따라 고유 부대 비용을 추가로 계산(S609, S610)한다.
마찬가지로, 제어부(310)는 용적톤 또는 중량톤을 기준으로, 도착 항구에 따라, 부대 비용 및 고유 부대 비용을 자동으로 계산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310)는 상술한 수식 3과 같이, 내륙 운송비, 해상 운송비 및 부대 비용을 합산하여 수출 물류 비용을 자동으로 계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출 물류 견적 제공 방법에 있어서, 수출 물류 비용을 계산하는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수출 물류 견적 서버(300)는 수출 물류 정보 입력폼을 통해 수출자 장치(100)로부터 수출하고자 하는 기계의 분해 가능 여부를 더 수신할 수 있다.
즉, 수출 물류 견적 서버(300)는 수출 물류 정보 입력폼을 수출자 장치(100)로 제공하여 수출하고자 하는 기계에 대한 중량. 길이, 폭 높이를 수신하고, 수신된 중량, 길이 폭, 높이에 따라 해당 기계가 트럭(예: 1톤 트럭, 2.5톤 트럭, 5톤 트럭)에 적재 가능한 규격인지 판단할 수 있다.
종래의 수출 물류 서비스는 해상 운송시 수출하고자 하는 기계가 특정 종류의 트럭에 적재가 불가능한 규격인 경우, 수출자의 기계의 대한 상세한 정보를 더 요구하지 않은 채로 더 큰 트럭으로 변경하도록 요구하거나, 컨테이너를 사용하여 트레일러로 운송하도록 요구하는 등 불필요한 운송비가 추가로 발생되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의 수출 물류 견적 서버(300)는 수출 물류 정보 입력폼을 통해 입력된 기계의 중량, 길이 폭, 높이가 특정 종류의 트럭에 적재 가능한 규격인지 판단하고, 적재가 불가능한 규격인 경우, 기계의 분해를 통해 기계의 중량, 길이 폭,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분산시키도록 제안함으로써, 수출자의 기계를 운송하기에 가장 적합한 종류의 트럭을 매칭시켜 수출자에게 수출 물류 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수출자 장치 200: 포워딩 업체 장치
300: 수출 물류 견적 서버 310: 제어부
320: 데이터베이스부

Claims (10)

  1. 수출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수출하고자 하는 기계에 대한 수출 물류 정보 및 포워딩 업체 장치로부터 수신된 수출 물류 비용의 산출을 위한 비용 기준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수출 물류 정보 및 상기 비용 기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수출 물류 비용을 자동으로 계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출자 장치로부터 수출 물류 견적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수출 물류 정보의 입력 요청을 위한 수출 물류 정보 입력폼을 생성하고,
    상기 수출자 장치에 상기 수출 물류 정보 입력폼을 제공하고,
    상기 수출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수출 물류 정보 중 상기 기계의 길이, 폭 및 높이에 기초하여 부피 측정 단위인 CBM으로 환산하고,
    환산된 CBM이 기 설정된 기준 미만인 경우, 상기 기계를 소량화물로 판단하고 복수의 수출자의 화물을 하나의 컨테이너에 함께 적재하는 LCL 운송 방식을 적용하여, 상기 수출 물류 비용을 자동으로 계산하고,
    자동으로 계산된 상기 수출 물류 비용 및 상기 수출 물류 정보를 상기 포워딩 업체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수출 물류 정보 및 상기 수출 물류 비용에 기초하여 상기 포워딩 업체 장치로부터 작성된 수출 물류 견적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수출 물류 견적을 상기 수출자 장치로 제공하는, 수출 물류 견적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용 기준 정보 중 상기 수출 물류 비용의 산출을 위한 필수 입력 항목을 포함하여 수출 물류 정보 입력폼을 생성하고,
    상기 수출 물류 정보 입력폼은,
    상기 수출 물류 비용의 산출을 위한 상기 필수 입력 항목으로 상기 기계에 대한 중량, 길이, 폭, 높이, 픽업 지역, 픽업 예상 날짜, 도착 국가, 도착 항구, 보험, 수출 포장 필요, 위험물 제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수출 물류 견적 서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계에 대한 상기 CBM 또는 상기 중량을 기초로 상기 수출 물류 비용을 자동으로 계산하고,
    상기 수출 물류 비용은,
    상기 픽업 지역에 따른 운송 거리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계산된 내륙 운송비, 상기 도착 국가 및 도착 항구에 따라 자동으로 계산된 해상 운송비, 및 상기 도착 국가 및 도착 항구, 보험 여부, 수출 포장 여부 필요 여부 및 위험물 제품 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계산된 복수의 부대 비용을 포함하는, 해상 수출 물류 견적 서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계를 상기 픽업 지역에서 출발 항구까지 내륙 운송하는 경우, 상기 기계에 대한 상기 CBM 또는 상기 중량에 따라, 상기 기계를 운송할 트럭의 종류를 결정하고, 운송 거리에 비례하는 내륙 운송비를 자동으로 계산하는, 수출 물류 견적 서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계의 상기 CBM을 기초로 1CBM 당 중량이 1톤 미만인 경우, 상기 기계를 중량에 비해 CBM이 큰 용적화물로 판단하고, 상기 CBM을 기준으로 상기 해상 운송비를 자동으로 계산하는, 수출 물류 견적 서버.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계의 상기 CBM을 기초로 1CBM 당 중량이 1톤 이상인 경우, 상기 기계를 CBM에 비해 중량이 큰 중량화물로 판단하고, 상기 중량을 기준으로 해상 운송비를 자동으로 계산하는, 수출 물류 견적 서버.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대 비용 중 상기 기계에 대한 상기 CBM 또는 상기 중량에 따라 차등 부과되는 터미널 화물 처리비, 부두 사용료 및 혼재화물작업료를 자동으로 계산하는, 수출 물류 견적 서버.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출자 장치가 상기 도착 항구를 특정 국가의 항구로 선택하는 경우, 상기 특정 국가의 항구에서 발생되는 고유 부대 비용을 추가로 계산하는, 수출 물류 견적 서버.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출자 장치로부터 상기 기계의 분해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분해가 가능한 경우, 분해 가능한 각 부분의 중량, 길이, 폭 및 높이에 따라, 트럭의 종류를 결정하여 내륙 운송비를 자동으로 계산하고,
    상기 분해 가능한 각 부분에 대한 상기 CBM 또는 상기 중량을 기초로, 용적화물인지 중량화물인지 판단하여, 상기 해상 운송비 및 상기 부대 비용을 자동으로 계산하는, 수출 물류 견적 서버.
  10. 포워딩 업체 장치로부터 수출 물류 비용의 산출을 위한 비용 기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출자 장치로부터 수출 물류 견적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출자 장치로부터 수출 물류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수출 물류 정보 입력폼을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수출 물류 정보 입력폼을 상기 수출자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수출 물류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상기 수출 물류 정보 중 길이, 폭 및 높이에 기초하여 부피 측정 단위인 CBM으로 환산하는 단계;
    상기 CBM이 기 설정된 기준 미만인 경우, 소량화물로 판단하여 복수의 수출자의 화물을 하나의 컨테이너에 함께 적재하는 LCL 운송 방식을 적용하여, 상기 수출 물류 비용을 자동으로 계산하는 단계;
    자동으로 계산된 수출 물류 비용 및 상기 수출 물류 정보를 상기 포워딩 업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수출 물류 정보 및 상기 수출 물류 비용에 기초하여 상기 포워딩 업체 장치로부터 작성된 수출 물류 견적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출 물류 견적을 상기 수출자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출 물류 견적 방법.
KR1020190169873A 2019-12-18 2019-12-18 수출 물류 견적 서버 및 그 방법 KR102361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873A KR102361385B1 (ko) 2019-12-18 2019-12-18 수출 물류 견적 서버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873A KR102361385B1 (ko) 2019-12-18 2019-12-18 수출 물류 견적 서버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8125A true KR20210078125A (ko) 2021-06-28
KR102361385B1 KR102361385B1 (ko) 2022-02-10

Family

ID=76607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9873A KR102361385B1 (ko) 2019-12-18 2019-12-18 수출 물류 견적 서버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138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6575A (ko) 2000-03-22 2000-07-05 전태환 인터넷을 이용한 화물의 운임결정 중개서비스 시스템
KR20130082877A (ko) * 2011-12-21 2013-07-22 (주)트리포스 화물배차 시스템
KR20140033722A (ko) * 2012-09-10 2014-03-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운송 운임 결정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44309A (ko) * 2017-10-20 2019-04-30 (주)지앤비쉬핑 포워딩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0786B1 (ko) * 2018-12-18 2019-08-14 주식회사 오토위니 자동차 상품 운임비 산출 장치와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6575A (ko) 2000-03-22 2000-07-05 전태환 인터넷을 이용한 화물의 운임결정 중개서비스 시스템
KR20130082877A (ko) * 2011-12-21 2013-07-22 (주)트리포스 화물배차 시스템
KR20140033722A (ko) * 2012-09-10 2014-03-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운송 운임 결정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44309A (ko) * 2017-10-20 2019-04-30 (주)지앤비쉬핑 포워딩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0786B1 (ko) * 2018-12-18 2019-08-14 주식회사 오토위니 자동차 상품 운임비 산출 장치와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1385B1 (ko) 2022-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94646B (zh) 库存调度方法以及装置
Engebrethsen et al. Transportation mode selection in inventory models: A literature review
Abate et al. The optimal shipment size and truck size choice–The allocation of trucks across hauls
US20190087778A1 (en) Dynamic Load Matching Engine Methods and Systems
US20190266690A1 (en) System and methods for transportation system
US7904352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material movement and inventory
CN109196541B (zh) 中介装置、中介方法和计算机能读取的存储介质
KR101982250B1 (ko) 선박화물 운송서비스 제공을 위한 o2o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018180893A (ja) 共同配送計画装置、及び共同配送計画方法
CN113627855A (zh) 一种物流配送运费核算方法、系统及电子设备
KR102390562B1 (ko) 입찰을 통해 진행되는 수출입 화물 물류 및 통관에 대한 중개 방법
Mendoza et al. Estimating freight rates in inventory replenishment and supplier selection decisions
Yoshimoto et al. The impac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on road freight transportation
KR102328444B1 (ko) 수출 물류 견적 서버 및 그 방법
US20180374031A1 (en) Transportation adjustments based on recommended shipping packages
KR102361385B1 (ko) 수출 물류 견적 서버 및 그 방법
KR102248340B1 (ko) 항공 수출 물류 중개 시스템
KR102010786B1 (ko) 자동차 상품 운임비 산출 장치와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US11537981B2 (en) Produced physical bulk asset hauling dispatch system
KR102248339B1 (ko) 해상 수출 물류 비용 연산 및 중개 시스템
KR102248342B1 (ko) 해상 수출 물류 중개 시스템
KR20220066587A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항공 수출 물류 비용 연산 및 중개 시스템
KR102159532B1 (ko) 기계 거래 중개 서버
KR20230111749A (ko) 실시간 화물추적 api 연동 기반의 화물이력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20066588A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해상 수출 물류 비용 연산 및 중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