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2250B1 - 선박화물 운송서비스 제공을 위한 o2o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선박화물 운송서비스 제공을 위한 o2o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82250B1 KR101982250B1 KR1020170182512A KR20170182512A KR101982250B1 KR 101982250 B1 KR101982250 B1 KR 101982250B1 KR 1020170182512 A KR1020170182512 A KR 1020170182512A KR 20170182512 A KR20170182512 A KR 20170182512A KR 101982250 B1 KR101982250 B1 KR 1019822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ip
- information
- freight
- cargo
- shipp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06Q30/0284—Time or distance, e.g. usage of parking meters or taximet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물 운송서비스 제공을 위한 O2O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은 웹 플랫폼을 이용하여 화물운송의뢰정보 및 견적문의 정보를 포함하는 화주정보를 제공하는 화주 단말; 상기 웹 플랫폼 또는 모바일 플랫폼을 이용하여 선주정보를 제공하는 선주 단말; 및 상기 화주정보의 물동량에 최적화된 선사운임을 제시하는 선주정보를 상기 화주 단말로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선박화물 운송서비스 제공을 위한 O2O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정지역을 중심으로 한 배후지역의 물류여건은 도로, 항만, 공항 등의 연계되어 있으며, 이를 중심으로 중소 포워딩/알선/종합물류업체들이 산재해 있으나 비효율적인 업무체계와 영세한 규모, 그리고 대부분의 업무를 실질적으로 페이퍼 위크에 의해 처리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이로 인해 물류비용이 높아지고 국제 경쟁력을 상실하는 원인이 된다.
즉, 오프라인에서 선박 또는 항공기를 이용한 화물의 운송은 화주와 선사가 직접 거래하기 어려우므로, 운송주선인 (Freight Forwarder 또는 N.V.O.C.C.)을 통해 거래된다.
화주측면에서는 복합한 국제화물유통관련 업무 및 화물 수령에 관련된 일체의 서류 작성 및 절차를 운송주선인이 대신하므로, 이와 관련된 인원,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되어 본업인 생산 및 판매에 전념하거나 화물 유통 및 수령에 관한 조언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운송주선인은 다수의 송화인으로부터 위탁 받은 선복교섭권을 활용하여 대형화된 화물양을 배경으로 운송인으로부터 화주에게 보다 유리한 레이트를 유도함으로써, 규모의 경제'의 이익을 위탁자와 함께 누릴 수 있다. 또한, 수출입업자가 자신의 활동을 최소화시키면서도 일관 수송서비스를 받아들이기 위한 당해 상품의 운임부담력 또는 수급의 완급에 따라 최적수송 시스템의 선택이 가능하다. 한편, 선사에게도 다수의 일반 화주를 직접 대하는 것보다 몇몇의 포워더를 상대함으로써 영업비용을 절감하면서도 안정적인 운송물량을 확보할 수 있다.
무역업체의 무역활동을 크게 나누어보면 마케팅단계, 계약단계, 선적단계, 대금회수단계, 사후관리 등으로 나눌 수 있다.
통상 운송주선인은 상기한 무역활동 중 선적단계에서의 업무를 대행하고 있으며 선적단계에서의 무역업체의 주요 업무를 분석하면 먼저 운임 및 제비용 등을 조사하여 원가에 반영하고 선적스케줄을 조사하여 적당한 스케줄로 예약하고 적하보험, 수출통관, 내륙운송 등의 부대절차를 예약한다. 그 후, 선적서류를 작성하여 운송주선인, 보험사 등 관련된 업체에게 발송하고 구체적인 물류 절차로 들어가게 되며 운송주선업체에게 제출한 선적서류에 근거한 선하증권의 사본을 발급 받아서 수입상과의 계약사항과 위배되는지의 여부를 검사하고 상이한 바가 없을 시 이를 수락하고 원본을 발급받아 수출대금회수 단계로 넘어가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현재까지의 오프라인 프로세스에서는 운임 및 제비용의 조사단계에서 선적지와 도착지, 화물의 형태, 양, 품목, 운송수단과 선적기한, 제품가격, 출고지와 도착지 및 선적형태 등의 비용자료를 얻기 위한 제반 데이터를 운송주선 인이나 관련업체에 전화 또는 팩스를 사용하여 전달하였고 운송주선인 등은 이에 대하여 다시 전화 또는 팩스로 무역업체에서 원하는 자료를 통보함으로써 상호간에 불필요한 입력작업이나 전송작업, 조사작업을 수행하게 되어, 시간적/금전적 손실을 초래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선적 단계를 관련업체에 의뢰하기 위하여 선적 서류등을 접수하고 선하증권을 획득하기 위해 유사한 절차를 반복함으로써 마찬가지로 거래당사자 간의 시간적/금전적 손실을 가져왔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는 이유는 거래당사자 간의 데이터에 호환성이 없고 데이터를 파일상태로 상호간에 전달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한편, 부분적인 무역업무 전산화를 위해서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 전자 자료 교환)시스템이 도입되었으나, 이는 EDI 포맷으로 정형화된 다수의 무역 서류들을 온라인(Online)으로 관세청 등의 관련기관에 접수하거나, 선사에 예약(Booking)처리하는 부분에 있어서만 제한적으로 서비스되고 있으며, 무역 전분야에 걸쳐서 온라인화되는 데는 각 업체 간의 무역 서류 양식의 다양화로 용이하게 이루어지기 어렵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선박화물 운송서비스 제공을 위한 O2O 웹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화물 운송서비스 제공을 위한 O2O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은 웹 플랫폼 또는 모바일 플랫폼을 이용하여 화주정보를 제공하는 화주 단말; 상기 웹 플랫폼 또는 모바일 플랫폼을 이용하여 선주정보를 제공하는 선주 단말; 및 상기 화주정보의 물동량에 최적화된 선사운임을 제시하는 선주정보를 상기 화주 단말로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선박화물품목정보, 상기 선박화물운송정보 및 선박화물운임견적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수단,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주들이 운영하는 선박에 따른 컨테이너 보유수, 운항정보(운송시간, 경유구간, 출발/도착일 등), 운송가능한 선박화물수량정보, 선박화물 개수에 따른 선적구간별 선사운임정보 및 선박화물이 선적될 선박의 컨테이너의 규격, 컨테이너 넘버, 컨테이너 씰(seal) 넘버 및 컨테이너 위치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 수단, 상기 선박화물운송의뢰정보에 따른 차등적 서비스 이용료, 선사운임을 표시하는 표시수단; 및 선주가 운영하는 선박에 따른 컨테이너 보유수, 운항정보(운송시간, 경유구간, 출발/도착일), 운송가능한 선박화물수량정보, 선박화물 개수에 따른 선적구간별 선사운임정보 을 입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수단들을 포함하는 상기 웹 플랫폼 또는 모바일 플랫폼을 제공하는 플랫폼 제공부; 상기 화주 단말에서 실행된 상기 웹 플랫폼 또는 모바일 플랫폼을 통해 기 설정된 회원가입절차에 따라 입력한 입력정보들(회사명, 회사주소, 사업자등록번호, ID, 비번, 주요 품목 출발항, 도착항)을 등록, 저장 및 관리하고, 회원가입자 중 플랫폼 서비스의 이용료를 지불한 화주의 경우, 기 설정된 화주가입절차를 진행하고, 화주가입절차가 완료되면 화주단말에서 입력한 입력정보(선박화물품목정보 및 선박화물운송정보)에 따른 견적운임(선사운임+수수료)을 확인할 수 있는 액세스 코드(4자리)를 화주 단말로 배포하는 화주관리부; 각 선주(선박회사)의 선주 단말에서 제공된 선박에 따른 컨테이너 보유수, 운항정보(운송시간, 경유구간, 출발/도착일 등), 운송가능한 선박화물수량정보, 선박화물 개수에 따른 선적구간별 선사운임정보를 등록, 소멸 및 관리하는 선주관리부; 상기 화주 단말에서 입력된 선박화물운송의뢰정보와 부합하는 선주정보에서 제시한 선사운임 및 서비스 수수료를 합산한 운임료를 산출 및 제공하고, 상기 화주 단말에서 입력된 선박화물운송의뢰정보의 선박화물정보가 지역특화물에 해당할 경우, 화주의 화주 단말에서 입력된 선박화물운송의뢰정보와 부합하는 선주정보에서 제시한 선사운임 및 기 설정된 서비스 수수료를 합산한 운임료를 산출 및 제공하는 선사운임 처리부; 및 선박화물의 입출하시의 상태정보, 상기 선박화물이 선적된 컨테이너의 위치, 선박의 위치정보를 관리 및 제공하는 선적정보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사운임 처리부는 상기 화주정보의 선박화물운송정보와 부합하는 선주정보를 분석 및 추출한 후, 추출된 선주정보에서 제시한 선사운임 및 기 설정된 서비스 수수료를 합산한 운임료를 산출하도록, 선박화물의 품목, 개수, 무게, 부피, HS 코드를 분석 및 해당 선박화물의 지역특화물인지 여부를 분석한 후, 해당 선박화물을 수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주정보를 분석하여 추출하는 선박화물 분석부; 상기 선박화물 분석부에서 추출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주정보 중 해당 선박화물의 운송경로가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주정보를 분석하여 추출하는 운송구간 분석부; 상기 운송구간 분석부에서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주정보 중 선박화물운임견적정보와 매칭순위가 가장 높은 순서로 선사운임정보를 제시한 선주정보를 내림차순 또는 올림차순으로 제공하는 선사운임 분석부; 상기 선박화물의 물동량, 지역특선박화물 유무, 선박화물무게, 품목특성에 따라 기 설정된 마진의 수수료를 차등결정하여 제공하는 수수료 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웹 플랫폼 또는 모바일 플랫폼은 상기 선박화물품목정보, 상기 선박화물운송정보 및 선박화물운임견적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수단;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주들이 운영하는 선박에 따른 컨테이너 보유수, 운항정보(운송시간, 경유구간, 출발/도착일 등), 운송가능한 선박화물수량정보, 선박화물 개수에 따른 선적구간별 선사운임정보 및 선박화물이 선적될 선박의 컨테이너의 규격, 컨테이너 넘버, 컨테이너 씰(seal) 넘버 및 컨테이너 위치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 수단; 상기 선박화물운송의뢰정보에 따른 차등적 서비스 이용료, 선사운임을 표시하는 표시수단; 및 선주가 운영하는 선박에 따른 컨테이너 보유수, 운항정보(운송시간, 경유구간, 출발/도착일), 운송가능한 선박화물수량정보, 선박화물 개수에 따른 선적구간별 선사운임정보 을 입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수단들을 포함하고, 상기 화주 단말에 제공되는 견적운임은 선사의 선임(ocean freight)과 상기 수수료(운임정책에 따라 결정되는 선임의 퍼센티지)가 합산된 운임이고, 상기 운임정책은 국제유가의 변동, 표준 선박회사 운임지표(CCFI, SCFI), 국내외 물류의 시장동향을 반영하고, 상기 화주정보는 수취, 운송, 배송하고자 하는 선박화물의 품목, 무게, 부피, HS 코드가 포함된 선박화물품목정보 및 선박화물 운송수단, 선박화물의 출발항, 도착항, 선박화물 물동량이 포함된 선박화물운송정보 및 선박화물운임 견적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선주정보는 선박회사가 운영하는 선박에 따른 컨테이너 보유수, 운항정보(출발항, 도착항, 운송시간, 경유구간, 출발/도착일 등), 운송가능한 선박화물수량정보, 선박화물 개수에 따른 선적구간별 선사운임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화주 단말에서 입력된 선박화물이 선적될 선박의 컨테이너의 규격, 컨테이너 넘버, 컨테이너 씰(seal) 넘버 및 컨테이너 위치정보 및 물동량의 누적치 또는 평균치에 기초하여 화주에 적합한 선주정보, 선적된 선박화물의 상태정보(선박화물의 현재 통관상태정보, 창고보관상태정보, 포장 현지 운송 상태정보, 위치정보)를 상기 화주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화물 운송서비스 제공을 위한 O2O 플랫폼 서비스 방법은 화주의 화주 단말에서 웹 플랫폼 또는 모바일 플랫폼을 이용하여 선박화물운송의뢰정보 및 견적의뢰 정보를 포함하는 화주정보를 서비스 서버로 제공하는 제1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화주정보의 물동량에 최적화된 선사운임 및 물동량에 따른 수수료가 합산된 견적운임을 상기 화주 단말로 제공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화주정보의 선박화물운송정보와 부합하는 선주정보를 분석 및 추출한 후, 추출된 선주정보에서 제시한 선사운임 및 기 설정된 서비스 수수료를 합산한 운임료를 산출하는 단계로서, 선박화물의 품목, 개수, 무게, 부피, HS 코드를 분석 및 해당 선박화물의 지역특화물인지 여부를 분석한 후, 해당 선박화물을 수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주정보를 분석하여 추출하는 단계; 상기 선박화물 분석부에서 추출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주정보 중 해당 선박화물의 운송경로가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주정보를 분석하여 추출하는 단계; 상기 운송구간 분석부에서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주정보 중 선박화물운임견적정보와 매칭순위가 가장 높은 순서로 선사운임정보를 제시한 선주정보를 내림차순 또는 올림차순으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선박화물의 물동량, 지역특화물 유무, 선박화물무게, 품목특성에 따라 기 설정된 마진의 수수료를 차등결정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선박화물품목정보, 상기 선박화물운송정보 및 선박화물운임견적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수단,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주들이 운영하는 선박에 따른 컨테이너 보유수, 운항정보(운송시간, 경유구간, 출발/도착일 등), 운송가능한 선박화물수량정보, 선박화물 개수에 따른 선적구간별 선사운임정보 및 선박화물이 선적될 선박의 컨테이너의 규격, 컨테이너 넘버, 컨테이너 씰(seal) 넘버 및 컨테이너 위치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 수단, 상기 선박화물운송의뢰정보에 따른 차등적 서비스 이용료, 선사운임을 표시하는 표시수단; 및 선주가 운영하는 선박에 따른 컨테이너 보유수, 운항정보(운송시간, 경유구간, 출발/도착일), 운송가능한 선박화물수량정보, 선박화물 개수에 따른 선적구간별 선사운임정보 을 입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수단들을 포함하는 상기 웹 플랫폼 또는 모바일 플랫폼을 제공하는 플랫폼 제공부; 상기 화주 단말에서 실행된 상기 웹 플랫폼 또는 모바일 플랫폼을 통해 기 설정된 회원가입절차에 따라 입력한 입력정보들(회사명, 회사주소, 사업자등록번호, ID, 비번, 주요 품목 출발항, 도착항)을 등록, 저장 및 관리하고, 회원가입자 중 플랫폼 서비스의 이용료를 지불한 화주의 경우, 기 설정된 화주가입절차를 진행하고, 화주가입절차가 완료되면 화주단말에서 입력한 입력정보(선박화물품목정보 및 선박화물운송정보)에 따른 견적운임(선사운임+수수료)을 확인할 수 있는 액세스 코드(4자리)를 화주 단말로 배포하는 화주관리부; 각 선주(선박회사)의 선주 단말에서 제공된 선박에 따른 컨테이너 보유수, 운항정보(운송시간, 경유구간, 출발/도착일 등), 운송가능한 선박화물수량정보, 선박화물 개수에 따른 선적구간별 선사운임정보를 등록, 소멸 및 관리하는 선주관리부; 상기 화주 단말에서 입력된 선박화물운송의뢰정보와 부합하는 선주정보에서 제시한 선사운임 및 서비스 수수료를 합산한 운임료를 산출 및 제공하고, 상기 화주 단말에서 입력된 선박화물운송의뢰정보의 선박화물정보가 지역특선박화물에 해당할 경우, 화주의 화주 단말에서 입력된 선박화물운송의뢰정보와 부합하는 선주정보에서 제시한 선사운임 및 기 설정된 서비스 수수료를 합산한 운임료를 산출 및 제공하는 선사운임 처리부; 및 선박화물의 입출하시의 상태정보, 상기 선박화물이 선적된 컨테이너의 위치, 선박의 위치정보를 관리 및 제공하는 선적정보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웹 플랫폼 또는 모바일 플랫폼은 상기 선박화물품목정보, 상기 선박화물운송정보 및 선박화물운임견적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수단;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주들이 운영하는 선박에 따른 컨테이너 보유수, 운항정보(운송시간, 경유구간, 출발/도착일 등), 운송가능한 선박화물수량정보, 선박화물 개수에 따른 선적구간별 선사운임정보 및 선박화물이 선적될 선박의 컨테이너의 규격, 컨테이너 넘버, 컨테이너 씰(seal) 넘버 및 컨테이너 위치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 수단; 상기 선박화물운송의뢰정보에 따른 차등적 서비스 이용료, 선사운임을 표시하는 표시수단; 및 선주가 운영하는 선박에 따른 컨테이너 보유수, 운항정보(운송시간, 경유구간, 출발/도착일), 운송가능한 선박화물수량정보, 선박화물 개수에 따른 선적구간별 선사운임정보 을 입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수단들을 포함하고, 상기 화주정보는 수취, 운송, 배송하고자 하는 선박화물의 품목, 무게, 부피, HS 코드가 포함된 선박화물품목정보 및 선박화물 운송수단, 선박화물의 출발항, 도착항, 선박화물 물동량이 포함된 선박화물운송정보 및 선박화물운임 견적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선주정보는 선박회사가 운영하는 선박에 따른 컨테이너 보유수, 운항정보(출발항, 도착항, 운송시간, 경유구간, 출발/도착일 등), 운송가능한 선박화물수량정보, 선박화물 개수에 따른 선적구간별 선사운임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화주 단말에서 입력된 선박화물이 선적될 선박의 컨테이너의 규격, 컨테이너 넘버, 컨테이너 씰(seal) 넘버 및 컨테이너 위치정보 및 물동량의 누적치 또는 평균치에 기초하여 화주에 적합한 선주정보, 선적된 선박화물의 상태정보(선박화물의 현재 통관상태정보, 창고보관상태정보, 포장 현지 운송 상태정보, 위치정보)를 상기 화주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화주 단말에 제공되는 견적운임은 선사의 선임(ocean freight)과 상기 수수료(운임정책에 따라 결정되는 선임의 퍼센티지)가 합산된 운임이고, 상기 운임정책은 국제유가의 변동, 표준 선박회사 운임지표(CCFI, SCFI), 국내외 물류의 시장동향을 반영한 운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수단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화물 운송서비스 제공을 위한 O2O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이용하면, 종래의 선사운임, 포워더 마진 및 수수료로 측정되는 비용 중 포워더의 마진을 현저하게 줄여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지역특화구간의 선박화물의 선사운임 및 수수료를 할인함으로써, 수출입화주들의 운송 오더를 지속시킬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화주의 물동량에 따라 차등적 선사운임을 제공함으로써, 화주는 해상운임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고, 선주는 지속적인 운송오더(order)를 제공받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즉, 기존의 포워드의 마진이 없는 투명하고, 경쟁력 있는 가격(선사운임)을 제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화주의 업무의 단순화가 가능하고,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화물 운송서비스 제공을 위한 O2O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비스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선사운임 처리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화주단말의 웹플랫폼 또는 모바일플랫폼(어플)에 표시되는 회원가입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월간 물동량이 20TEU 이상일 경우, 화주단말의 웹플랫폼 또는 모바일플랫폼(어플)에 표시되는 견적운임을 표시한 화면의 일 예시도이다.
도 6은 월간 물동량이 20TEU 미만일 경우, 화주단말의 웹플랫폼 또는 모바일플랫폼(어플)에 표시되는 견적운임을 표시한 화면의 일 예시도이다.
도 7은 화주 단말의 웹플랫폼 또는 모바일플랫폼(어플)에 표시된 운송의뢰화면의 일 예시도이다.
도 8은 화주 단말의 웹 플랫폼 또는 모바일플랫폼(어플)에 표시된 선박회사목록을 나타낸 화면의 일 예시도이다.
도 9는 화주 단말의 웹 플랫폼 또는 모바일플랫폼(어플)에 표시된 선박회사의 운항스케쥴 및 컨테이너 규격에 따른 견적운임을 나타낸 화면의 일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화물 운송 O2O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S722 단계를 간략하게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을 도시한 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비스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선사운임 처리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화주단말의 웹플랫폼 또는 모바일플랫폼(어플)에 표시되는 회원가입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월간 물동량이 20TEU 이상일 경우, 화주단말의 웹플랫폼 또는 모바일플랫폼(어플)에 표시되는 견적운임을 표시한 화면의 일 예시도이다.
도 6은 월간 물동량이 20TEU 미만일 경우, 화주단말의 웹플랫폼 또는 모바일플랫폼(어플)에 표시되는 견적운임을 표시한 화면의 일 예시도이다.
도 7은 화주 단말의 웹플랫폼 또는 모바일플랫폼(어플)에 표시된 운송의뢰화면의 일 예시도이다.
도 8은 화주 단말의 웹 플랫폼 또는 모바일플랫폼(어플)에 표시된 선박회사목록을 나타낸 화면의 일 예시도이다.
도 9는 화주 단말의 웹 플랫폼 또는 모바일플랫폼(어플)에 표시된 선박회사의 운항스케쥴 및 컨테이너 규격에 따른 견적운임을 나타낸 화면의 일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화물 운송 O2O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S722 단계를 간략하게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을 도시한 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화물 운송서비스 제공을 위한 O2O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보다 상세하세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화물 운송서비스 제공을 위한 O2O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비스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선사운임 처리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화주단말의 웹플랫폼 또는 모바일플랫폼(어플)에 표시되는 회원가입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는 월간 물동량이 20TEU 이상일 경우, 화주단말의 웹플랫폼 또는 모바일플랫폼(어플)에 표시되는 견적운임을 표시한 화면의 일 예시도이고, 도 6은 월간 물동량이 20TEU 미만일 경우, 화주단말의 웹플랫폼 또는 모바일플랫폼(어플)에 표시되는 견적운임을 표시한 화면의 일 예시도이고, 도 7은 화주 단말의 웹플랫폼 또는 모바일플랫폼(어플)에 표시된 운송의뢰화면의 일 예시도이고, 도 8은 화주 단말의 웹 플랫폼 또는 모바일플랫폼(어플)에 표시된 선박회사목록을 나타낸 화면의 일 예시도이고, 도 9는 화주 단말의 웹 플랫폼 또는 모바일플랫폼(어플)에 표시된 선박회사의 운항스케쥴 및 컨테이너 규격에 따른 견적운임을 나타낸 화면의 일 예시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화물 운송서비스 제공을 위한 O2O 웹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100)은 화주 단말(200), 서비스 서버(300) 및 선주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각 구성요소들(200, 300, 400)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망을 통하여 화주 단말(200) 및 선주 단말(400)은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서버(300)는 관리자의 단말(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단말(200, 400) 및 서버(300)와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는,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3G, 4G, LTE, W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각 단말(200, 400)은 후술할 서버에서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웹 플랫폼과 접속 가능한 단말로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화주 단말(200) 및 선주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주 단말(200)은 선박화물을 운송하고자 하는 수출입업체(화주)의 단말로서, 서비스 서버(300)에서 제공한 웹 플랫폼을 이용하여 회원가입에 필요한 정보, 운임확인(견적가 확인)에 필요한 정보 및 선박화물운송의뢰정보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웹 플랫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원가입정보를 입력란이 표시되고, 상기 회원가입정보는 회사명, 회사주소, 사업자등록번호, ID, 비번, 주요 품목 출발항, 도착항, 월간 물동량, 선박화물정보, 담당자 및 연락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웹 플랫폼은 회원가입이 완료되면, 주요 품목 출발항, 도착항, 월간 물동량에 따른 운임확인(견적가 확인) 정보를 표시한다.
여기서, 운임확인(견적가 확인) 정보는 물동량에 따라 화주가 실제 지불하는 가격(선사운임+수수료) 정보이다.
여기서, 선박화물운송의뢰정보는 예컨대, 수출입회사(이하, 화주)가 수취, 운송, 배송하고자 하는 선박화물의 품목, 무게, 부피, HS 코드 등이 포함된 선박화물품목정보 및 화물 운송수단, 화물의 하역지(도착항, 도착공항), 화물 입하빈도 등이 포함된 선박화물운송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주 단말(200)은 웹 플랫폼을 통해 회원 가입 시 입력한 정보(선박화물정보, 운송구간, 물동량)를 바탕으로 바로 실시간으로 포트간 견적운임과 운송시간(선박스케쥴)을 제공받는다.
다음으로, 상기 선주 단말(400)은 서비스 서버(300)에서 제공한 웹 플랫폼을 이용하여 선박회사(이하, 선주)가 운영하는 선박에 따른 선사의 운임, 스케쥴정보(운송시간, 경유구간등) 운송가능한 선박화물수량정보, 선적구간별 선사운임정보등을 포함하는 선사정보를 제공한다.
다음으로, 서비스 서버(300)는 화주 단말(200)에서 입력한 선박화물운송의뢰정보를 수용할 수 있는 선주정보 및 선주정보 중 선박화물운임견적정보와 매칭순위가 가장 높은 순서로 선사운임정보를 제시한 선주정보의 스케줄 정보, 예컨대, 화물 운임과 스케줄이 맞는 정보를 화주 단말로 제공한다.
상기 서비스 서버(300)는 화주 단말(200)에서 입력한 선박화물이 선적될 선박의 컨테이너의 규격, 컨테이너 넘버, 컨테이너 씰(seal) 넘버 및 위치정보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300)는 복수의 선주정보에 포함된 선사운임정보 중 가장 낮은 운임구간을 갖는 선주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300)는 화주(수출입회사)의 수출입실적(물동량)의 누적치에 기초하여 해당 화주에 적합한 선사를 자동으로 선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300)는 선적된 선박화물의 상태정보(예컨대, 선박화물의 현재 통관상태정보, 창고보관상태정보, 포장 현지 운송 상태정보, 위치정보 등)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비스 서버(300)는 웹 플랫폼 제공부(310), 화주관리부(320), 선주관리부(330), 선사운임 처리부(340), 선적정보관리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서버(300)의 각 부(310, 320, 330, 340, 350, 360)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호연동된다.
또한, 서비스 서버(300)의 각 부(310, 320, 330, 340, 350, 360)는 화주 및 선주에서 제공한 입력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저장매체인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프로그램(DBMS)을 이용하여 저장공간(하드디스크 또는 메모리)에 구현된 일반적인 데이터구조를 가지며, 데이터의 검색(추출), 삭제, 편집, 추가 등을 자유롭게 행할 수 있는 데이터 저장형태의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오라클(Oracle), 인포믹스(Infomix), 사이베이스(Sybase), DB2와 같은 관계형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이나, 겜스톤(Gemston), 오리온(Orion), O2 등과 같은 객체 지향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OODBMS) 및 엑셀론(Excelon), 타미노(Tamino), 세카이주(Sekaiju) 등의 XML 전용 데이터베이스(XML Native Database)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 구현될 수 있도록 필드(field) 또는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물류 서버(300)는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s), 리눅스(Linux), 유닉스 (UNIX), 매킨토시(Macintosh)등의 운영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윈도우 환경에서 사용되는 웹사이트(Website), IIS(Internet Information Server)와 유닉스환경에서 사용되는 CERN, NCSA, APPACH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플랫폼 제공부(310)는 웹 플랫폼 또는 모바일 플랫폼을 제공한다.
상기 웹 플랫폼 또는 모바일 플랫폼은 화주(수출입회사)의 화주 단말(200)에서 실행되는 플랫폼으로, 화주 단말(200)에서 입력한 화물운송의뢰정보, 예컨대, 수출입회사(이하, 화주)가 수취, 운송, 배송하고자 하는 선박화물의 품목(HS code), 무게, 부피등이 포함된 선박화물품목정보 및 화물 운송수단, 선박화물의 하역지, 하역지의 비용정보, 선박화물 입하빈도 등이 포함된 선박화물운송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수단들을 제공한다.
또한, 웹 플랫폼 또는 모바일 플랫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주들이 운영하는 선박에 따른 컨테이너 보유수, 운항정보(운송시간, 경유구간, 출발/도착일 등), 운송가능한 선박화물수량정보, 선박화물 개수에 따른 선적구간별 선사운임정보 등을 검색하고, 또한, 웹 플랫폼 또는 모바일 플랫폼은 화주 단말(200)에서 입력한 화물이 선적될 선박의 컨테이너의 규격, 컨테이너 넘버, 컨테이너 씰(seal) 넘버 및 컨테이너의 위치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 수단들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웹 플랫폼 또는 모바일 플랫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수단들을 통해 입력된 선박화물운송의뢰정보에 따른 차등적 수수료, 선박화물운임(선사운임)을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웹 플랫폼 또는 모바일 플랫폼은 선주(선박회사)의 선주 단말에서 실행되는 웹 플랫폼으로, 선주가 운영하는 선박에 따른 컨테이너 보유수, 운항정보(운송시간, 경유구간, 출발/도착일 등), 운송가능한 선박화물수량정보, 선박화물 개수에 따른 선적구간별 선사운임 등을 포함하는 선주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수단들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웹 플랫폼 또는 모바일 플랫폼은 화주 단말(200) 및 선주 단말(400)에 설치 또는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웹 페이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앱(app)은 모바일 콘텐츠를 자유롭게 사고 파는 가상의 장터인 애플리케이션 마켓에서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화주관리부(320)는 화주 단말(200)에서 웹 플랫폼 또는 모바일 플랫폼을 통해 기 설정된 회원가입절차에 따라 입력한 입력정보들(회사명, 회사주소, 사업자등록번호, ID, 비번, 주요 품목 출발항, 도착항)을 등록, 저장 및 관리한다.
또한, 화주관리부(320)는 회원가입자 중 해당 O2O 플랫폼 서비스의 이용료를 지불한 화주의 경우, 기 설정된 화주가입절차를 진행하고, 화주가입절차가 완료되면 화주단말에서 입력한 입력정보(선박화물품목정보 및 선박화물운송정보)에 따른 견적운임(선사운임+수수료)을 확인할 수 있는 액세스 코드(4자리)를 화주 단말로 배포하는 기능을 한다.
참고로, 상기 액세스 코드는 화주(무역회사, 제조회사) 회사가 아닌 다른 회사가 업데이트되는 플랫폼의 운임을 레퍼런스로 확인하지 못하도록 하기 수단일 수 있다. 상기 액세스 코드는 일정기한(7일 또는 15일 또는 30일) 마다 업데이트되어 화주 단말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한번이라도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여 선박화물운송의뢰를 한 화주에 대해서는 엑세스 코드 없이 플랫폼에 로그인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선박화물운송의뢰정보는 수취, 운송, 배송하고자 하는 선박화물의 품목, 무게, 부피, HS 코드 등이 포함된 선박화물품목정보 및 선박화물 운송수단, 선박화물의 하역지, 선박화물 입하빈도 등이 포함된 선박화물운송정보일 수 있다.
여기서, 회원가입 상태의 화주 단말은 일반 정보들(B/L 화물 트래킹, 운임지표, 일반 선박 스케쥴등 )만이 표시되고, 화주가입 상태의 화주 단말은 Access코드 입력시 견적운임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선주관리부(330)는 각 선주(선박회사)의 선주 단말(400)에서 제공된 선박에 따른 컨테이너 보유수, 운항정보(운송시간, 경유구간, 출발/도착일 등), 운송가능한 선박화물수량정보, 선박화물 개수에 따른 선적구간별 선사운임정보 등을 등록, 소멸 및 관리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선사운임 처리부(340)는 화주의 화주 단말에서 입력된 선박화물운송의뢰정보와 부합하는 선주정보에서 제시한 선사운임 및 서비스 수수료를 합산한 운임료를 산출 및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선사운임 처리부(340)는 화주의 화주 단말에서 입력된 선박화물운송의뢰정보의 선박화물정보가 지역특화물에 해당할 경우, 화주의 화주 단말에서 입력된 선박화물운송의뢰정보와 부합하는 선주정보에서 제시한 선사운임 및 기 설정된 서비스 수수료를 합산한 운임료를 산출 및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선사운임 처리부(340)는 선박화물 분석부(341), 운송구간 분석부(342), 선사운임 분석부(343) 및 수수료 결정부(3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물 분석부(341)는 해당 선박화물의 품목, 개수, 무게, 부피, HS 코드를 분석 및 해당 화물의 지역특화물인지 여부를 분석한 후, 해당 선박화물을 수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주정보를 분석하여 추출한다.
상기 운송구간 분석부(342)는 상기 선박화물 분석부(341)에서 추출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주정보 중 해당 선박화물의 운송경로가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주정보를 분석하여 추출한다.
상기 선사운임 분석부(334)는 상기 운송구간 분석부(342)에서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주정보 중 선박화물운임견적정보와 매칭순위가 가장 높은 순서로 선사운임정보를 제시한 선주정보를 내림차순 또는 올림차순으로 분석하여 제공한다.
상기 수수료 결정부(335)는 해당 선박화물의 물동량, 특성(예컨대, 지역특화물, 선박화물무게, 품목특성)에 따라 견기 설정된 마진의 수수료를 차등결정하여 제공한다.
지역특화물에 해당될 경우 높은 원가경쟁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약간 더 높은 수수료를 더하고, 지역특화물이 아닌 경우에는 더 낮은 수수료를 더하여 제공한다.
여기서, 화주 단말(200)에 제공되는 견적운임은 선사의 선임(ocean freight)과 수수료(당사 운임정책에 따라 결정되는 선임의 퍼센티지)가 합산된 운임일 수 있다.
예) 지역특화물의 경우, 마닐라항=>인천항 선사운임 380불, 물동량에 따른 수수료를 10%로 결정하면 380불+19불=399불이 화주 단말(200)에 제공(표시)될 수 있다.
또한 해당화물의 화주가 가지고 있는 물동량에 따라 수수료가 결정된다.
화물의 운임은 지역 특화물 여부, 물동량에 따른 운임정책(플랫폼 운임 알고리즘)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선사의 선임이 마닐라 인천구간이 20피트 기준 380불이고, 화물이 지역특화물이면 아래처럼 월별 물동량의 개수에 따라서 견적운임이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월 5개 미만 20%(380불+380불*0.2) → 456불, 월 5개 이상 10개 미만 15%(380불+380불*0.15) → 437불, 월 10개 이상 20개 미만 10%(380불+380불*0.1) → 418불, 월 20개 이상 50개 미만 5%(380불+380불*0.05) → 399불, 월 50개 이상 100개 미만 2%(380불+380불*0.02) → 388불, 월 100개 이상 0% → 399불의 견적운임이 결정될 수 있다.
위의 지역특화물인지에 따라서 또 물동량에 따른 0% ~ 20% 등의 가중치 수치들은 본 발명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해 임의로 정해 놓은 수치로, 당사의 운임정책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당사의 운임정책(플랫폼 운임 알고리즘)은 국제유가의 변동, 표준 선박회사 운임지표(CCFI, SCFI), 국내외 물류의 시장동향을 반영한다.
상기 선적정보관리부(350)는 화물의 입출하시의 상태정보, 화물이 선적된 컨테이너의 위치, 선박의 위치정보 등을 관리 및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화물 운송서비스 제공을 위한 O2O 플랫폼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S722 단계를 간략하게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화물 운송서비스 제공을 위한 O2O 웹 플랫폼 서비스 방법(S700)은 화주의 화주 단말, 서비스 서버 및 선주의 선주 단말 간에 이루어지는 서비스 방법일 수 있다.
상기 화주는 화주 단말(200)에서 웹 플랫폼 또는 모바일 플랫폼을 실행한 후, 일련의 절차를 통해 회원가입 및 화주가입 후, 해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화주가 화주가입이 완료되면, 서비스 서버는 화주단말로 화주가 입력한 입력정보(선박화물품목정보 및 선박화물운송정보)에 따른 견적운임(선사운임+수수료)을 확인할 수 있는 액세스 코드(4자리)를 화주 단말로 배포하고, 화주 단말은 배포된 액세스 코드를 통해 견적운임(선사운임+수수료)를 확인할 수 있다.
선주 또한, 선주 단말(400)에서 웹 플랫폼을 실행한 후, 일련의 절차(회원정보 가입)를 통해 회원가입 후, 해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먼저, 화주(수출입업체)의 화주 단말(200)에서 웹 플랫폼 또는 모바일 플랫폼을 이용하여 선박화물운송 및 견적운임의뢰를 서비스 서버(300)에 요청(S710)하면, 서비스 서버(300)에서 화주정보의 지역특화물 및/또는 물동량에 최적화된 선사운임구간을 제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주정보 및 상기 물동량에 따른 견적운임(선사운임+수수료)를 상기 화주 단말로 제공(S720)한다.
여기서, 상기 S720은 화주 단말(200)에서 입력된 선박화물품목정보, 선박화물운송정보, 선박화물운임견적정보를 등록(S721)한 후, 선박화물품목분석, 운송구간분석, 선사운임분석 및 매칭, 지역특화물 및/또는 물동량에 따른 차등 수수료를 결정(S722)한 후, 선사운임과 수수료가 합산된 견적운임을 화주 단말로 제공(S723)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S722는 도 11 참조, 서비스 서버(300)가 선사운임 처리부(340)를 통해 화주의 화주 단말(200)에서 입력된 선박화물운송의뢰정보와 부합하는 선주정보에서 제시한 선사운임 및 서비스 수수료를 합산한 운임료를 산출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때, 화주의 화주 단말(200)에서 입력된 선박화물운송의뢰정보의 선박화물정보가 지역특화물에 해당할 경우, 화주의 화주 단말(200)에서 입력된 선박화물운송의뢰정보와 부합하는 선주정보에서 제시한 선사운임 및 기 설정된 서비스 수수료를 합산한 견적운임을 산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S722는 선사운임 처리부(340)의 선박화물 분석부(341)에서 해당 선박화물의 품목, 개수, 무게, 부피, HS 코드를 분석 및 해당 선박화물의 지역특화물인지 여부를 분석한 후, 해당 선박화물을 수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주정보를 분석하여 추출하고, 운송구간 분석부(342)가 상기 선박화물 분석부(341)에서 추출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주정보 중 해당 선박화물의 운송경로가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주정보를 분석하여 추출한 후, 선사운임 분석부(334)는 상기 운송구간 분석부(342)에서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주정보 중 선박화물운임견적정보와 매칭순위가 가장 높은 순서로 선사운임을 제시한 선주정보를 내림차순 또는 올림차순으로 분석하여 제공하고, 이후, 수수료 결정부(335)에서 해당 선박화물의 물동량, 특성(예컨대, 지역특화물)에 따라 기 설정된 마진의 수수료를 차등결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선적정보관리부(350)는 선박화물의 입출하시의 상태정보, 화물이 선적된 컨테이너의 위치, 선박의 위치정보 등을 관리 및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상기 S720은 상기 화주 단말(200)에서 입력한 화물운송의뢰정보를 수용가능한 선주정보 중 선박화물운임견적정보와 매칭순위가 가장 높은 순서로 선사운임정보를 제시한 선주정보를 상기 화주 단말(200)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720은 상기 화주 단말에서 입력된 선박화물이 선적될 선박의 컨테이너의 규격, 컨테이너 넘버, 컨테이너 씰(seal) 넘버 및 컨테이너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S720은 복수의 선주정보에 포함된 선사운임정보 중 가장 낮은 운임구간을 갖는 선주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720은 상기 화주 단말(200)의 화주(수출입회사)의 물동량의 누적치 또는 평균치에 기초하여 화주(수출입회사)에 적합한 선주정보를 상기 화주 단말(200)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720은 선적된 선박화물의 상태정보(화물의 현재 통관상태정보, 창고보관상태정보, 포장 현지 운송 상태정보, 위치정보)를 상기 화주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화물 운송서비스 제공을 위한 O2O 플랫폼 서비스 방법(S700)은 화주 단말(200)에서 추가 견적운임을 요청(S730)하면, 서비스 서버(300)에서 추가 견적운임요청에 따른 추가견적운임을 산출하여 제공(S740)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추가 견적운임은 해외운송(항구간 항구)운임을 제외한 현지에서의 운송, 국내에서의 운송 또는 적하보험, 통관비, 관세등이 포함되는 견적운임일 수 있다.
이후, 화주 단말(200)은 화주가 지정(선택)한 선주정보를 서비스 서버(300)로 제공(S750)하면, 서비스 서버(300)는 화주가 선택한 선주의 선주단말로 화주 정보를 제공(S760)한다.
도 12는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상술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컴퓨팅 디바이스(1100)를 포함하는 시스템(1000)의 예시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개인 컴퓨터, 서버 컴퓨터, 핸드헬드 또는 랩탑 디바이스,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폰, PDA, 미디어 플레이어 등),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소비자 전자기기, 미니 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임의의 전술된 시스템 또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분산 컴퓨팅 환경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1110) 및 메모리(1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싱 유닛(1110)은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메모리(1120)는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OM, 플래시 메모리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추가적인 스토리지(11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1130)는 자기 스토리지, 광학 스토리지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스토리지(1130)에는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이 저장될 수 있고, 운영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도 저장될 수 있다. 스토리지(1130)에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은 프로세싱 유닛(1110)에 의해 실행되기 위해 메모리(1120)에 로딩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입력 디바이스(들)(1140) 및 출력 디바이스(들)(11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디바이스(들)(1140)은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펜, 음성 입력 디바이스, 터치 입력 디바이스, 적외선 카메라, 비디오 입력 디바이스 또는 임의의 다른 입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 디바이스(들)(1150)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스피커, 프린터 또는 임의의 다른 출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구비된 입력 디바이스 또는 출력 디바이스를 입력 디바이스(들)(1140) 또는 출력 디바이스(들)(1150)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컴퓨팅 디바이스(1100)가 다른 디바이스(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300))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통신접속(들)(116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접속(들)(1160)은 모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무선 주파수 송신기/수신기, 적외선 포트, USB 접속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1100)를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접속시키기 위한 다른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접속(들)(1160)은 유선 접속 또는 무선 접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의 각 구성요소는 버스 등의 다양한 상호접속(예를 들어, 주변 구성요소 상호접속(PCI), USB, 펌웨어(IEEE 1394), 광학적 버스 구조 등)에 의해 접속될 수도 있고, 네트워크(1200)에 의해 상호접속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시스템" 등과 같은 용어들은 일반적으로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중인 소프트웨어인 컴퓨터 관련 엔티티를 지칭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구성요소는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중인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 실행 가능물(executable),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 상에서 구동중인 애플리케이션 및 컨트롤러 모두가 구성요소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는 프로세스 및/또는 실행의 스레드 내에 존재할 수 있으며, 구성요소는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로컬화될 수 있고, 둘 이상의 컴퓨터 사이에서 분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100: 화물 운송서비스 제공을 위한 O2O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200: 화주 단말
300: 서비스 서버
310: 플랫폼 제공부
320: 화주관리부
330: 선주관리부
340: 선사운임 처리부
341: 화물분석부
342: 운송구간 분석부
343: 선사운임 분석 및 매칭부
344: 수수료 결정부
350: 선적정보관리부
360: 수수료 결정부
400: 선주 단말
200: 화주 단말
300: 서비스 서버
310: 플랫폼 제공부
320: 화주관리부
330: 선주관리부
340: 선사운임 처리부
341: 화물분석부
342: 운송구간 분석부
343: 선사운임 분석 및 매칭부
344: 수수료 결정부
350: 선적정보관리부
360: 수수료 결정부
400: 선주 단말
Claims (16)
- 웹 플랫폼 또는 모바일 플랫폼을 이용하여 화주정보를 제공하는 화주 단말;
상기 웹 플랫폼 또는 모바일 플랫폼을 이용하여 선주정보를 제공하는 선주 단말; 및
상기 화주정보의 물동량에 최적화된 선사운임을 제시하는 선주정보를 상기 화주 단말로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는
선박화물품목정보, 선박화물운송정보 및 선박화물운임견적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수단,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주들이 운영하는 선박에 따른 컨테이너 보유수, 운항정보(운송시간, 경유구간, 출발/도착일 등), 운송가능한 선박화물수량정보, 선박화물 개수에 따른 선적구간별 선사운임정보 및 선박화물이 선적될 선박의 컨테이너의 규격, 컨테이너 넘버, 컨테이너 씰(seal) 넘버 및 컨테이너 위치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 수단, 선박화물운송의뢰정보에 따른 차등적 서비스 이용료, 선사운임을 표시하는 표시수단; 및 선주가 운영하는 선박에 따른 컨테이너 보유수, 운항정보(운송시간, 경유구간, 출발/도착일), 운송가능한 선박화물수량정보, 선박화물 개수에 따른 선적구간별 선사운임정보 을 입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수단들을 포함하는 상기 웹 플랫폼 또는 모바일 플랫폼을 제공하는 플랫폼 제공부;
상기 화주 단말에서 실행된 상기 웹 플랫폼 또는 모바일 플랫폼을 통해 기 설정된 회원가입절차에 따라 입력한 입력정보들(회사명, 회사주소, 사업자등록번호, ID, 비번, 주요 품목 출발항, 도착항)을 등록, 저장 및 관리하고, 회원가입자 중 플랫폼 서비스의 이용료를 지불한 화주의 경우, 기 설정된 화주가입절차를 진행하고, 화주가입절차가 완료되면 화주단말에서 입력한 입력정보(선박화물품목정보 및 선박화물운송정보)에 따른 견적운임(선사운임+수수료)을 확인할 수 있는 액세스 코드(4자리)를 화주 단말로 배포하는 화주관리부;
각 선주(선박회사)의 선주 단말에서 제공된 선박에 따른 컨테이너 보유수, 운항정보(운송시간, 경유구간, 출발/도착일 등), 운송가능한 선박화물수량정보, 선박화물 개수에 따른 선적구간별 선사운임정보를 등록, 소멸 및 관리하는 선주관리부;
상기 화주 단말에서 입력된 선박화물운송의뢰정보와 부합하는 선주정보에서 제시한 선사운임 및 서비스 수수료를 합산한 운임료를 산출 및 제공하고, 상기 화주 단말에서 입력된 선박화물운송의뢰정보의 선박화물정보가 지역특화물에 해당할 경우, 화주의 화주 단말에서 입력된 선박화물운송의뢰정보와 부합하는 선주정보에서 제시한 선사운임 및 기 설정된 서비스 수수료를 합산한 운임료를 산출 및 제공하는 선사운임 처리부; 및
선박화물의 입출하시의 상태정보, 상기 선박화물이 선적된 컨테이너의 위치, 선박의 위치정보를 관리 및 제공하는 선적정보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사운임 처리부는
상기 화주정보의 선박화물운송정보와 부합하는 선주정보를 분석 및 추출한 후, 추출된 선주정보에서 제시한 선사운임 및 기 설정된 서비스 수수료를 합산한 운임료를 산출하도록,
선박화물의 품목, 개수, 무게, 부피, HS 코드를 분석 및 해당 선박화물의 지역특화물인지 여부를 분석한 후, 해당 선박화물을 수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주정보를 분석하여 추출하는 선박화물 분석부;
상기 선박화물 분석부에서 추출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주정보 중 해당 선박화물의 운송경로가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주정보를 분석하여 추출하는 운송구간 분석부;
상기 운송구간 분석부에서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주정보 중 선박화물운임견적정보와 매칭순위가 가장 높은 순서로 선사운임정보를 제시한 선주정보를 내림차순 또는 올림차순으로 제공하는 선사운임 분석부;
상기 선박화물의 물동량, 지역특선박화물 유무, 선박화물무게, 품목특성에 따라 기 설정된 마진의 수수료를 차등결정하여 제공하는 수수료 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웹 플랫폼 또는 모바일 플랫폼은
상기 선박화물품목정보, 상기 선박화물운송정보 및 선박화물운임견적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수단;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주들이 운영하는 선박에 따른 컨테이너 보유수, 운항정보(운송시간, 경유구간, 출발/도착일 등), 운송가능한 선박화물수량정보, 선박화물 개수에 따른 선적구간별 선사운임정보 및 선박화물이 선적될 선박의 컨테이너의 규격, 컨테이너 넘버, 컨테이너 씰(seal) 넘버 및 컨테이너 위치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 수단;
선박화물운송의뢰정보에 따른 차등적 서비스 이용료, 선사운임을 표시하는 표시수단; 및
선주가 운영하는 선박에 따른 컨테이너 보유수, 운항정보(운송시간, 경유구간, 출발/도착일), 운송가능한 선박화물수량정보, 선박화물 개수에 따른 선적구간별 선사운임정보 을 입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수단들을 포함하고,
상기 화주 단말에 제공되는 견적운임은
선사의 선임(ocean freight)과 상기 수수료(운임정책에 따라 결정되는 선임의 퍼센티지)가 합산된 운임이고, 상기 운임정책은 국제유가의 변동, 표준 선박회사 운임지표(CCFI, SCFI), 국내외 물류의 시장동향을 반영하고,
상기 화주정보는
수취, 운송, 배송하고자 하는 선박화물의 품목, 무게, 부피, HS 코드가 포함된 선박화물품목정보 및 선박화물 운송수단, 선박화물의 출발항, 도착항, 선박화물 물동량이 포함된 선박화물운송정보 및 선박화물운임 견적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선주정보는
선박회사가 운영하는 선박에 따른 컨테이너 보유수, 운항정보(출발항, 도착항, 운송시간, 경유구간, 출발/도착일 등), 운송가능한 선박화물수량정보, 선박화물 개수에 따른 선적구간별 선사운임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화주 단말에서 입력된 선박화물이 선적될 선박의 컨테이너의 규격, 컨테이너 넘버, 컨테이너 씰(seal) 넘버 및 컨테이너 위치정보 및 물동량의 누적치 또는 평균치에 기초하여 화주에 적합한 선주정보, 선적된 선박화물의 상태정보(선박화물의 현재 통관상태정보, 창고보관상태정보, 포장 현지 운송 상태정보, 위치정보)를 상기 화주 단말로 제공하는 선박화물 운송서비스 제공을 위한 O2O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화주의 화주 단말에서 웹 플랫폼 또는 모바일 플랫폼을 이용하여 선박화물운송의뢰정보 및 견적의뢰 정보를 포함하는 화주정보를 서비스 서버로 제공하는 제1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화주정보의 물동량에 최적화된 선사운임 및 물동량에 따른 수수료가 합산된 견적운임을 상기 화주 단말로 제공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화주정보의 선박화물운송정보와 부합하는 선주정보를 분석 및 추출한 후, 추출된 선주정보에서 제시한 선사운임 및 기 설정된 서비스 수수료를 합산한 운임료를 산출하는 단계로서,
선박화물의 품목, 개수, 무게, 부피, HS 코드를 분석 및 해당 선박화물의 지역특화물인지 여부를 분석한 후, 해당 선박화물을 수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주정보를 분석하여 추출하는 단계;
선박화물 분석부에서 추출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주정보 중 해당 선박화물의 운송경로가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주정보를 분석하여 추출하는 단계;
운송구간 분석부에서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주정보 중 선박화물운임견적정보와 매칭순위가 가장 높은 순서로 선사운임정보를 제시한 선주정보를 내림차순 또는 올림차순으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선박화물의 물동량, 지역특화물 유무, 선박화물무게, 품목특성에 따라 기 설정된 마진의 수수료를 차등결정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는
선박화물품목정보, 상기 선박화물운송정보 및 선박화물운임견적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수단,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주들이 운영하는 선박에 따른 컨테이너 보유수, 운항정보(운송시간, 경유구간, 출발/도착일 등), 운송가능한 선박화물수량정보, 선박화물 개수에 따른 선적구간별 선사운임정보 및 선박화물이 선적될 선박의 컨테이너의 규격, 컨테이너 넘버, 컨테이너 씰(seal) 넘버 및 컨테이너 위치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 수단, 상기 선박화물운송의뢰정보에 따른 차등적 서비스 이용료, 선사운임을 표시하는 표시수단; 및 선주가 운영하는 선박에 따른 컨테이너 보유수, 운항정보(운송시간, 경유구간, 출발/도착일), 운송가능한 선박화물수량정보, 선박화물 개수에 따른 선적구간별 선사운임정보 을 입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수단들을 포함하는 상기 웹 플랫폼 또는 모바일 플랫폼을 제공하는 플랫폼 제공부;
상기 화주 단말에서 실행된 상기 웹 플랫폼 또는 모바일 플랫폼을 통해 기 설정된 회원가입절차에 따라 입력한 입력정보들(회사명, 회사주소, 사업자등록번호, ID, 비번, 주요 품목 출발항, 도착항)을 등록, 저장 및 관리하고, 회원가입자 중 플랫폼 서비스의 이용료를 지불한 화주의 경우, 기 설정된 화주가입절차를 진행하고, 화주가입절차가 완료되면 화주단말에서 입력한 입력정보(선박화물품목정보 및 선박화물운송정보)에 따른 견적운임(선사운임+수수료)을 확인할 수 있는 액세스 코드(4자리)를 화주 단말로 배포하는 화주관리부;
각 선주(선박회사)의 선주 단말에서 제공된 선박에 따른 컨테이너 보유수, 운항정보(운송시간, 경유구간, 출발/도착일 등), 운송가능한 선박화물수량정보, 선박화물 개수에 따른 선적구간별 선사운임정보를 등록, 소멸 및 관리하는 선주관리부;
상기 화주 단말에서 입력된 선박화물운송의뢰정보와 부합하는 선주정보에서 제시한 선사운임 및 서비스 수수료를 합산한 운임료를 산출 및 제공하고, 상기 화주 단말에서 입력된 선박화물운송의뢰정보의 선박화물정보가 지역특선박화물에 해당할 경우, 화주의 화주 단말에서 입력된 선박화물운송의뢰정보와 부합하는 선주정보에서 제시한 선사운임 및 기 설정된 서비스 수수료를 합산한 운임료를 산출 및 제공하는 선사운임 처리부; 및
선박화물의 입출하시의 상태정보, 상기 선박화물이 선적된 컨테이너의 위치, 선박의 위치정보를 관리 및 제공하는 선적정보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웹 플랫폼 또는 모바일 플랫폼은
선박화물품목정보, 상기 선박화물운송정보 및 선박화물운임견적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수단;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주들이 운영하는 선박에 따른 컨테이너 보유수, 운항정보(운송시간, 경유구간, 출발/도착일 등), 운송가능한 선박화물수량정보, 선박화물 개수에 따른 선적구간별 선사운임정보 및 선박화물이 선적될 선박의 컨테이너의 규격, 컨테이너 넘버, 컨테이너 씰(seal) 넘버 및 컨테이너 위치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 수단;
상기 선박화물운송의뢰정보에 따른 차등적 서비스 이용료, 선사운임을 표시하는 표시수단; 및
선주가 운영하는 선박에 따른 컨테이너 보유수, 운항정보(운송시간, 경유구간, 출발/도착일), 운송가능한 선박화물수량정보, 선박화물 개수에 따른 선적구간별 선사운임정보 을 입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수단들을 포함하고,
상기 화주정보는
수취, 운송, 배송하고자 하는 선박화물의 품목, 무게, 부피, HS 코드가 포함된 선박화물품목정보 및 선박화물 운송수단, 선박화물의 출발항, 도착항, 선박화물 물동량이 포함된 선박화물운송정보 및 선박화물운임 견적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선주정보는
선박회사가 운영하는 선박에 따른 컨테이너 보유수, 운항정보(출발항, 도착항, 운송시간, 경유구간, 출발/도착일 등), 운송가능한 선박화물수량정보, 선박화물 개수에 따른 선적구간별 선사운임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화주 단말에서 입력된 선박화물이 선적될 선박의 컨테이너의 규격, 컨테이너 넘버, 컨테이너 씰(seal) 넘버 및 컨테이너 위치정보 및 물동량의 누적치 또는 평균치에 기초하여 화주에 적합한 선주정보, 선적된 선박화물의 상태정보(선박화물의 현재 통관상태정보, 창고보관상태정보, 포장 현지 운송 상태정보, 위치정보)를 상기 화주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화주 단말에 제공되는 견적운임은
선사의 선임(ocean freight)과 상기 수수료(운임정책에 따라 결정되는 선임의 퍼센티지)가 합산된 운임이고, 상기 운임정책은 국제유가의 변동, 표준 선박회사 운임지표(CCFI, SCFI), 국내외 물류의 시장동향을 반영한 운임인 선박화물 운송서비스 제공을 위한 O2O 플랫폼 서비스 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82512A KR101982250B1 (ko) | 2017-12-28 | 2017-12-28 | 선박화물 운송서비스 제공을 위한 o2o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82512A KR101982250B1 (ko) | 2017-12-28 | 2017-12-28 | 선박화물 운송서비스 제공을 위한 o2o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82250B1 true KR101982250B1 (ko) | 2019-08-28 |
Family
ID=67775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82512A KR101982250B1 (ko) | 2017-12-28 | 2017-12-28 | 선박화물 운송서비스 제공을 위한 o2o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82250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58276B1 (ko) | 2020-02-18 | 2020-09-25 | (주)와이오엘 | 블록체인기반 화물 운송시스템 |
CN112365084A (zh) * | 2020-11-26 | 2021-02-12 | 中远海运科技股份有限公司 | 船舶推荐系统和平台 |
CN112435153A (zh) * | 2020-11-26 | 2021-03-02 | 中远海运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运输船货搓合平台和方法 |
KR20220086829A (ko) | 2020-12-17 | 2022-06-24 | 원종훈 | 화물차 사고시 보험사 연계를 통한 임대 산출 플랫폼 시스템 |
KR102652352B1 (ko) * | 2024-01-17 | 2024-03-28 | 비컨글로벌 주식회사 | 해상운송을 위한 스케줄 조회 및 매칭 자동화 솔루션 운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09843A (ko) * | 2000-07-27 | 2002-02-02 | 이창희 | 인터넷을 이용한 물류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 |
KR20020015202A (ko) * | 2000-08-21 | 2002-02-27 | 강상훈 | 지피에스와 인터넷을 통한 컨테이너의 위치추적방법 및 그시스템 |
KR20080080810A (ko) | 2007-03-02 | 2008-09-05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3자 물류 수송망 설계 시스템 및 방법 |
KR20160117395A (ko) * | 2016-09-27 | 2016-10-10 | 박상완 | 맞춤형 운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
2017
- 2017-12-28 KR KR1020170182512A patent/KR101982250B1/ko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09843A (ko) * | 2000-07-27 | 2002-02-02 | 이창희 | 인터넷을 이용한 물류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 |
KR20020015202A (ko) * | 2000-08-21 | 2002-02-27 | 강상훈 | 지피에스와 인터넷을 통한 컨테이너의 위치추적방법 및 그시스템 |
KR20080080810A (ko) | 2007-03-02 | 2008-09-05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3자 물류 수송망 설계 시스템 및 방법 |
KR20160117395A (ko) * | 2016-09-27 | 2016-10-10 | 박상완 | 맞춤형 운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58276B1 (ko) | 2020-02-18 | 2020-09-25 | (주)와이오엘 | 블록체인기반 화물 운송시스템 |
CN112365084A (zh) * | 2020-11-26 | 2021-02-12 | 中远海运科技股份有限公司 | 船舶推荐系统和平台 |
CN112435153A (zh) * | 2020-11-26 | 2021-03-02 | 中远海运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运输船货搓合平台和方法 |
KR20220086829A (ko) | 2020-12-17 | 2022-06-24 | 원종훈 | 화물차 사고시 보험사 연계를 통한 임대 산출 플랫폼 시스템 |
KR102652352B1 (ko) * | 2024-01-17 | 2024-03-28 | 비컨글로벌 주식회사 | 해상운송을 위한 스케줄 조회 및 매칭 자동화 솔루션 운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82250B1 (ko) | 선박화물 운송서비스 제공을 위한 o2o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
Choi et al. | The mean-variance approach for global supply chain risk analysis with air logistics in the blockchain technology era | |
US20190172010A1 (en) | Freight shipment booking system | |
US20150032656A1 (en) | System and Methods for Determining Supply Chain Freight Costs | |
US20210334782A1 (en) | Method and system for negotiating, generating, documenting, and fulfilling vendor financing opportunities | |
KR20200088182A (ko) | 화물 운송 중개 시스템 | |
Cheon et al. | Processing time ambiguity and port competitiveness | |
Johnson et al. | A methodology for modelling comprehensive international procurement costs | |
US20140250028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user with real time international shipping rates from a plurality of freight forwarders | |
Wu | Modelling of containerized air cargo forwarding problems under uncertainty | |
US20130218611A1 (en) | Computer-Implemented Method for Matching Aggregated Traveler Demand to Aircraft | |
KR20230088207A (ko) |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을 활용한 다국가 다채널 이커머스 풀필먼트 통합 솔루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
Choi | The value of time and the impact on the air freight product portfolio-A study of the South Korean market 2017–2021 | |
US20170132716A1 (en) | Computer system for updating travel and expense records and outputting travel and expense recommendations | |
KR102248340B1 (ko) | 항공 수출 물류 중개 시스템 | |
WO2002003221A2 (en) | Transportation of goods | |
Kawasaki et al. | Inland cargo flow modelling considering shipment time variability on cross-border transport | |
US20140188754A1 (en) |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multiple transportation agreements | |
Ali et al. | Optimization of a periodically assessing model with manageable lead time under SLC with back order rebate for deteriorating items | |
Bajaj et al. | Single-source, single-destination, multi product EOQ model with quantity discount incorporating partial/full truckload policy | |
KR102248339B1 (ko) | 해상 수출 물류 비용 연산 및 중개 시스템 | |
KR20010098143A (ko) | 화물 운송 방법 | |
US20190080379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ed acquisitions | |
Durdu et al. | The Effects of Route Optimization Software to the Customer Satisfaction | |
Jalal et al. | A location–transportation problem under demand uncertainty for a pharmaceutical network in Brazi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