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0810A - 3자 물류 수송망 설계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3자 물류 수송망 설계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0810A
KR20080080810A KR1020070021007A KR20070021007A KR20080080810A KR 20080080810 A KR20080080810 A KR 20080080810A KR 1020070021007 A KR1020070021007 A KR 1020070021007A KR 20070021007 A KR20070021007 A KR 20070021007A KR 20080080810 A KR20080080810 A KR 20080080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ort network
logistics
block
transport
transpor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1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형림
김현수
박남규
조재형
강무홍
박병주
조민제
박용성
이정희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21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80810A/ko
Publication of KR20080080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08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1Overseas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5Relationships between shipper or supplier and carriers
    • G06Q10/08355Routing metho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류 수송망 설계시에 수송망과 관련되는 수송 모드, 라우팅, 스케줄링 등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지역을 한정하지 않고 전체 운송 경로를 효율적으로 설계할 수 있도록한 3자 물류 수송망 설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물류 정보가 입력되면 이들 물류 정보를 저장하는 고객 데이터 베이스;수송망 설계를 위해 데이터 수집 및 관리를 하는 데이터 관리 블록;화물과 운송 수단별 특성 및 제공되는 스케줄 정보를 고려하여 적합한 수송망들을 검색하고,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수송망 검색 블록;상기 검색된 수송망별 소요 시간과 표준 비용을 산정하는 시간-비용 산정 블록;검색된 수송망들의 평가 결과에 따라 요구되는 수송망을 선정하는 최적 수송망 선정 블록을 포함한다.
3자 물류, 수송망, WSPP, MADM, 스케줄 정보, 수송망 설계

Description

3자 물류 수송망 설계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lanning of 3PL Transportation Network}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류 수송망 계획 시스템의 물류 수송망 설계 과정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물류 수송망 계획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수집한 스케줄 정보를 시간과 경유지 운송수단의 조건을 고려하여 3자 물류 수송망 설계하는 과정의 일례를 나타낸 테이블
도 4는 3자 물류 수송망을 생성하는 기술을 나타낸 테이블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최적 수송망을 설계하는 일례를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이기 위한 인터페이스 개발의 일례를 나타낸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고객 데이터 베이스 21. 수송망 검색 블록
22. 시간-비용 산정 블록 23. 데이터 관리 블록
24. 수송망 제거 블록 25. 최적 수송망 평가 블록
26. 최적 수송망 선정 블록
본 발명은 물류 수송망 설계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수송망과 관련되는 수송 모드, 라우팅, 스케줄링 등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지역을 한정하지 않고 전체 운송 경로를 효율적으로 설계할 수 있도록한 3자 물류 수송망 설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새로운 수송망 설계를 통한 물류비 절감이 물류 관련 업체의 큰 이슈가 되고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수송망 설계는 대부분이 선박, 항공기, 열차 각각에 대해서만 고려되었으며 여러 가지 수송 모드를 고려하는 복합수송망의 설계는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았다.
이는 선박, 항공기, 열차를 모두 고려하여 수송망을 설계하기 위해서 필요한 운항 스케줄 정보가 산재되어 있어 복합 수송망을 설계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랐기 때문이었다.
현재 모든 수송 모드의 스케줄 데이터를 수집하여 제공할 수 있는 기술 및 제공된 스케줄 데이터를 이용한 물류 수송망 설계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컴퓨터와 인터넷의 보급에 따라 기존 오프라인에서 행해지고 있던 기업 내부 업무 및 상거래 업무의 온라인화가 급속히 증대되고 있다. 이는 업무 효율성 증대를 가져왔고 이에 더 많은 분야에서의 온라인화가 가속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업무의 온라인화는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고 3자물류 업계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3자 물류 업계에서는 주로 화주를 대신하여 화물을 출발지에서 도착지까지 전달해주는 업무를 맡고 있으며 업무처리를 위해서 먼저 출발지, 도착지간의 수송 장비, 출발/도착 스케줄, 그리고 운임 등을 선정하는 최적 수송 네트워크를 설계하고 다음으로 선정된 수송 장비의 소유주(선사, 항공사 등)와 Booking 업무 등이 진행된다.
Booking을 위해서는 많은 서류작업이 필요하며 이를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으로는 문서관리시스템인 양재IT솔루션, WebLogis 등이 있다. 하지만 최적 수송 네트워크 설계를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으로는 단순히 선박, 항공기, 철도 등의 스케줄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Shipping Gazette, Schedule Bank 등 단순 검색시스템이 대부분이었으며 출발지, 목적지에 따른 복합수송을 고려한 최적 수송 네트워크를 찾아주는 시스템은 제공되지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이 현재까지의 물류 수송망 시스템에서는 3자 물류 업계에서 운송 스케줄 정보의 수집 단계에서의 문제뿐만 아니라, 수집된 정보를 활용한 수송망 설계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즉, 운송 수단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3자 물류 업체의 경우 운송수단이 없이 화주로부터 화물 운송 요청을 받아서 화주 대신 운송사들에게 화물 운송 요청을 하는 업무를 함으로써, 3자 물류 업체 자체적으로 수송 경로에 대한 스케줄 정보를 생성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수송 수단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3자 물류 업체의 제약사항으로 운송 회사의 수송수단을 이용하여 화물을 수송하므로 3자 물류 업체 스스로 수송 스케줄을 계획할 수 없다.
그리고 수송 수단을 보유하지 못한 3자 물류 업체의 경우에는 화주의 다양한 화물 수송 요청에 대해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응하기 위해 수송 경로에 대한 스케줄 정보 확보가 물류 업계에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수단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관한 솔루션이 제공되지 못하고 있다.
특히, 3자 물류(3PL:Third Party Logistics)에서는 NPS(Network Planning System), NOS(Network Optimization System), DSS(Decision Support System), 화물 트래킹 시스템, 빌링 시스템 등이 필요하나, 현재의 업무처리에서는 체계적인 시스템의 부재로 인해 충분하고 객관적인 정보가 제공되지 않고 있으며, 관례나 관계에 의해 비효율적으로 선정되고 있어 물류비 상승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은 체계적인 시스템의 부재는 거래 기업의 물량이 늘어나고, 3자 물류 물량이 늘어나면서 담당자의 경험에 의한 수작업으로 진행되는 수송망 계획으로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종래 기술의 물류 시스템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기술적 측면에서의 문제뿐만 아니라 사업적 측면에서도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현재의 물류 시스템에서는, 국제적인 복합운송 대행 서비스를 화주에게 제공하기 위해 3자 물류 업체에서는 해외에 거래 파트너를 두고 있으며, 해당 국가로의 국제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여러 많은 국가에 해외 거래 파트너 관계를 형성하기에는 중,소규모 의 3자 물류 업체의 경우에는 어려움이 많다. 따라서, 3자 물류 업체의 신규 고객을 위한 화물 운송 요청을 받았을 경우, 최적의 운송 경로 및 저렴한 운송비용을 위해 새로운 운송 경로 대안을 즉각적으로 제시하지 못함으로써 신규 고객 확보 기회가 적어진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물류 시스템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물류 수송망 설계시에 수송망과 관련되는 수송 모드, 라우팅, 스케줄링 등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지역을 한정하지 않고 전체 운송 경로를 효율적으로 설계할 수 있도록한 3자 물류 수송망 설계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국내외 Door to Door 서비스가 가능한 물류 수송망 계획을 지원하기 위하여 수송망과 관련되는 수송 모드, 라우팅, 스케줄링 등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최적의 결과를 생성하는 시스템 및 화주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최적 수송망을 생성하여 화주의 물류비 절감 및 서비스 향상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수송망 선정을 위한 세부 알고리즘, 복합운송 검색 알고리즘, 복합 운송망 선정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효율적인 물류 수송망 설계를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시스템과 사용자의 지속적인 상호 작용을 위한 인터페이스의 설계 및 구현에 의해 전체 운송 경로를 효율적으로 설계할 수 있도록한 3자 물류 수송망 설계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3자 물류 수송망 설계 시스템은 물류 정보가 입력되면 이들 물류 정보를 저장하는 고객 데이터 베이스;수송망 설계를 위해 데이터 수집 및 관리를 하는 데이터 관리 블록;화물과 운송 수단별 특성 및 제공되는 스케줄 정보를 고려하여 적합한 수송망들을 검색하고,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수송망 검색 블록;상기 검색된 수송망별 소요 시간과 표준 비용을 산정하는 시간-비용 산정 블록;검색된 수송망들의 평가 결과에 따라 요구되는 수송망을 선정하는 최적 수송망 선정 블록을 포함하고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시간-비용 산정 블록의 산정 결과에 따라 수송망 설계시 활용 가치가 낮은 수송망을 제거하는 수송망 제거 블록과,수리적 모형 또는 다속성 의사결정 방법론을 적용하여 검색된 수송망들을 평가를 하는 최적 수송망 평가 블록을 더 포함하고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수송망 설계를 위하여 입력되는 물류 정보는, 온라인 또는 오프 라인으로 취득된 화주 프로필, 출발일, 도착일, 출발지, 도착지, 화물 종류, 물량의 항목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데이터 관리 블록은 항구,공항,역을 포함하는 노드 정보를 저장하는 노드 DB와, 화물 종류,물량 정보를 저장하는 화물 DB와, 선박,항공기,기차를 포함하는 운송 수단 정보를 저장하는 운송 수단 D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데이터 관리 블록에서 수송망 검색 블록에 제공되는 스케줄 정보의 제공은, 사용자가 원하는 출발지와 목적지, 경유지 등 및 특정시간을 기준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3자 물류 수송망 설계 방법은 제공된 스케줄 정보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수송망을 설계하기 위하여, 복합 운송 경로 테이블을 검색하여 수송망 설계를 위한 노드들을 도출하는 단계;상기 도출된 노드 정보들을 이용하여 노드와 그에 인접한 노드간의 운항 스케줄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노드간의 소요 시간 및 비용을 산출하고 산출 결과에서 절대 열세인 네트워크를 분리하는 단계;WSPP(Web service Production Platform) 알고리듬을 적용하여 최적 경로를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네트워크를 분리하는 단계에서, 아크별로 시간 및 비용의 비교를 Pruning method를 적용하여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3자 물류 수송망 설계 시스템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3자 물류 수송망 설계 시스템 및 방법의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의 각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류 수송망 계획 시스템의 물류 수송망 설계 과정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물류 수송망 계획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3자 물류 수송망 설계 시스템 및 방법은 시스템 내에서 사용자에게 스케줄 정보제공뿐 아니라, 사용자가 직접 물류수송망 계획까지 할 수 있도 록 지원한다.
본 발명에 따른 3자 물류 수송망 설계 시스템은 도 2에서와 같이, 온라인, 오프 라인으로 취득된 화주 프로필, 출발일, 도착일, 출발지, 도착지, 화물 종류, 물량 등의 물류 정보가 입력되면 이들 물류 정보를 저장하는 고객 데이터 베이스(20)와, 항구,공항,역 등의 노드 정보를 저장하는 노드 DB, 화물 종류,물량 정보를 저장하는 화물 DB, 선박,항공기,기차 등의 운송 수단 정보를 저장하는 운송 수단 DB를 활용하여 최적 수송망 설계를 위해 데이터 수집 및 관리를 하는 데이터 관리 블록(23)과, 데이터 관리 블록(23)의 화물과 운송 수단별 특성 및 스케줄을 고려하여 적합한 수송망을 검색하고,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수송망 검색 블록(21)과, 데이터 관리 블록(23)의 비용 정보를 활용하여 검색된 수송망별 소요 시간과 표준 비용을 산정하는 시간-비용 산정 블록(22)과, 수송망 설계시 활용 가치가 낮은 수송망을 제거하는 수송망 제거 블록(24)과, 수리적 모형(lable setting algorithm 등의)및 다속성 의사결정(Multi-Attribute Decision Making)방법론에 의해 최적의 수송망 평가를 하는 최적 수송망 평가 블록(25)과, 최적 수송망 평가 블록(25)의 결과를 토대로 최적의 수송망을 선정하는 최적 수송망 선정 블록(26)을 포함하고 구성된다.
여기서, 최적 수송망 설계를 위해 데이터 수집 및 관리를 하는 데이터 관리 블록(23)에서의 수송 스케줄 정보를 수집을 위한 에이전트 시스템이, 제공되는 룰에 의해 HTML 문서에서 URL을 추출하며 HTML 페이지를 찾고 스케줄 제공 페이지를 식별하는 스케줄 정보 제공 페이지 검색 블록;스케줄 정보 제공 페이지를 식별하는 데 필요한 규칙 그리고 식별된 스케줄 제공 페이지에서 데이터의 변동을 감지하며 스케줄 정보를 수집하는데 필요한 룰을 제공하는 룰(Rule) 베이스 블록;상기 스케줄 정보 제공 페이지 검색 블록에서 식별된 페이지 정보를 저장하는 스케줄 페이지 정보 저장 블록;상기 저장된 식별 스케줄 제공 페이지에서 데이터의 변동을 감지하며 스케줄 정보를 수집하는 스케줄 정보 수집 블록; 그리고 상기 수집된 스케줄 정보를 저장하는 스케줄 DB 블록;을 포함하고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3자 물류 수송망 설계 시스템은 시스템과 사용자의 지속적인 상호 작용이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 설계되는데, 정보 입력 단계의 간소화 및 편의 제공을 위한 인터페이스 구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동적인 출력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RIA(Rich Internet Application)기반의 FLEX 기술을 적용하고, RIA 구현 시 모든 사용자 상호 작용은 요청/웹 서버 응답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전체 페이지를 다시 드로잉하지 않고 서버에서 데이터를 받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3자 물류 수송망 설계 시스템의 물류 수송망 설계 과정은 도 1에서와 같다.
그리고 도 3은 수집한 스케줄 정보를 시간과 경유지 운송수단의 조건을 고려하여 3자 물류 수송망 설계하는 과정의 일례를 나타낸 테이블이고, 도 4는 3자 물류 수송망을 생성하는 기술을 나타낸 테이블이다.
본 발명에 따른 3자 물류 수송망 설계 시스템은 선박스케줄뿐 아니라, 철도, 항공스케줄 정보를 수집, 통합관리 하여 물류수송망 계획에 필요한 정보를 사용자 에게 제공하고, 스케줄 제공이 선사나 항공사 기준이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출발지와 목적지, 경유지 등 및 특정시간을 기준으로 제공한다.
먼저, 복합 운송 경로 테이블을 검색하여(S101), 수송망을 설계하기 위한 항구, 공항, 역 등의 노드를 도출한다.(S102)
그리고 도출된 노드 정보들을 이용하여 노드와 그에 인접한 노드간의 운항 스케줄 정보를 검색한다.(S103)
그리고 노드간의 소요 시간 및 비용을 산출하고(S104), 아크별로 시간 및 비용의 비교를 Pruning method를 적용하여(S105) 산출 결과에서 절대 열세인 네트워크를 분리한다.(S106)
그리고 WSPP(Web service Production Platform) 알고리듬을 적용하여(S107), 최적 경로를 선정한다.(S108)
이와 같은 물류 수송망 설계 과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화면 구성은 도 5a내지 도 5c에서와 같다.
도 5a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최적 수송망을 설계하는 일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와 같은 물류 수송망 설계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3자 물류 수송망 설계 시스템을 다음과 같이 구현한다.
먼저, 최적 수송망 설계를 지원하기 위해 개발된 알고리즘들을 웹기반 시스템에 적용한다.
그리고 최적 수송망 설계를 용이하게 지원하기 위해 사용자의 숙련도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기능 구현하는데, 사용자가 숙련자인 경우에 사용자가 직접 운송 경로, 스케줄을 모두 선택하여 수송망 설계할 수 있도록한 직접 설계 기능과, 사용자가 반숙련자인 경우에 주요 운송 경로 정보를 시스템이 제공하여 사용자는 스케줄만 선택하여 수송망을 설계할 수 있는 반자동 설계 기능과, 사용자가 미숙자인 경우에 운송 경로 및 스케줄을 시스템이 모두 선택하여 자동으로 수송망을 설계하는 완전 자동 선정 기능을 지원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3자 물류 수송망 설계 시스템은 사용자 편의를 위한 인터페이스 기술을 포함하는데, 3자 물류 수송망 설계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구성은 도 6에서와 같다.
도 6은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이기 위한 인터페이스 개발의 일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에서와 같이, 고객이 원하는 일자, 시간대를 선택함으로써 배송시간 및 전체 경로를 Time Window 단위로 비주얼하게 표현한다.
그리고 국내뿐 아니라 국제물류에서 기업물류의 전 과정을 가시적으로 관리, 통제할 수 있는 지능형 물류정보관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3자 물류 수송망 설계 시스템 및 방법은 사용자의 편리성을 최대한 고려한 다양한 형태의 인터페이스를 갖고 구성되는 것으로, 시스템 내에서 사용자에게 스케줄 정보제공뿐 아니라, 사용자가 직접 물류수송망 계획까지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 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3자 물류 수송망 설계 시스템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3자 물류 업체 자체적으로 수송 경로에 대한 스케줄 정보를 생성하여 최적의 물류 수송망을 설계할 수 있다.
둘째, 물류 수송망 설계시에 수송망과 관련되는 수송 모드, 라우팅, 스케줄링 등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지역을 한정하지 않고 전체 운송 경로를 효율적으로 설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사용자가 원하는 최적의 결과를 생성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여 화주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최적 수송망을 생성하여 화주의 물류비 절감 및 서비스 향상을 지원할 수 있다.
넷째, 시스템과 사용자의 지속적인 상호 작용을 위한 인터페이스의 설계에 의해 사용자의 숙련 정도에 따라 전체 운송 경로를 효율적으로 설계할 수 있다.

Claims (8)

  1. 물류 정보가 입력되면 이들 물류 정보를 저장하는 고객 데이터 베이스;
    수송망 설계를 위해 데이터 수집 및 관리를 하는 데이터 관리 블록;
    화물과 운송 수단별 특성 및 제공되는 스케줄 정보를 고려하여 적합한 수송망들을 검색하고,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수송망 검색 블록;
    상기 검색된 수송망별 소요 시간과 표준 비용을 산정하는 시간-비용 산정 블록;
    검색된 수송망들의 평가 결과에 따라 요구되는 수송망을 선정하는 최적 수송망 선정 블록을 포함하고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자 물류 수송망 설계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비용 산정 블록의 산정 결과에 따라 수송망 설계시 활용 가치가 낮은 수송망을 제거하는 수송망 제거 블록과,
    수리적 모형 또는 다속성 의사결정 방법론을 적용하여 검색된 수송망들을 평가를 하는 최적 수송망 평가 블록을 더 포함하고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자 물류 수송망 설계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수송망 설계를 위하여 입력되는 물류 정보는,
    온라인 또는 오프 라인으로 취득된 화주 프로필, 출발일, 도착일, 출발지, 도착지, 화물 종류, 물량의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자 물류 수송망 설계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데이터 관리 블록은,
    항구,공항,역을 포함하는 노드 정보를 저장하는 노드 DB와, 화물 종류,물량 정보를 저장하는 화물 DB와, 선박,항공기,기차를 포함하는 운송 수단 정보를 저장하는 운송 수단 D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자 물류 수송망 설계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수송망 검색 블록에 의해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는,
    동적인 출력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RIA(Rich Internet Application)기반의 FLEX 기술을 적용하고,
    RIA 구현 시 모든 사용자 상호 작용은 요청/웹 서버 응답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전체 페이지를 다시 드로잉하지 않고 서버에서 데이터를 받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자 물류 수송망 설계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데이터 관리 블록에서 수송망 검색 블록에 제공되는 스케줄 정보의 제공은,
    사용자가 원하는 출발지와 목적지, 경유지 등 및 특정시간을 기준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자 물류 수송망 설계 시스템.
  7. 제공된 스케줄 정보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수송망을 설계하기 위하여,
    복합 운송 경로 테이블을 검색하여 수송망 설계를 위한 노드들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도출된 노드 정보들을 이용하여 노드와 그에 인접한 노드간의 운항 스케줄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노드간의 소요 시간 및 비용을 산출하고 산출 결과에서 절대 열세인 네트워크를 분리하는 단계;
    WSPP(Web service Production Platform) 알고리듬을 적용하여 최적 경로를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요구되는 수송망을 설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자 물류 수송망 설계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분리하는 단계에서, 아크별로 시간 및 비용의 비교를 Pruning method를 적용하여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자 물류 수송망 설계 방법.
KR1020070021007A 2007-03-02 2007-03-02 3자 물류 수송망 설계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808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1007A KR20080080810A (ko) 2007-03-02 2007-03-02 3자 물류 수송망 설계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1007A KR20080080810A (ko) 2007-03-02 2007-03-02 3자 물류 수송망 설계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0810A true KR20080080810A (ko) 2008-09-05

Family

ID=40020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1007A KR20080080810A (ko) 2007-03-02 2007-03-02 3자 물류 수송망 설계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80810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9337B1 (ko) * 2011-10-27 2013-11-13 (주) 성원애드피아 시간에 따라 차등 금액이 부과되는 퀵배송 시스템
KR20150027395A (ko) * 2013-09-02 2015-03-1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이동식 거주 단지 자원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60119633A (ko) 2015-04-06 2016-10-14 (주)한국화물운송 화물 연계 운송 관리 방법 및 시스템, 컴퓨터 프로그램, 그 기록매체
CN106203923A (zh) * 2016-08-19 2016-12-07 贵州汉方健康信息科技有限公司 供应链信息管理系统及管理方法
KR101982250B1 (ko) 2017-12-28 2019-08-28 (주)와이오엘 선박화물 운송서비스 제공을 위한 o2o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16542592A (zh) * 2023-07-03 2023-08-04 深圳市华运国际物流有限公司 一种国际物流运输路径分析评定系统
KR102617309B1 (ko) * 2023-05-04 2023-12-21 임준석 항공화물 종합 운송 관리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항공화물 운송절차 관리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9337B1 (ko) * 2011-10-27 2013-11-13 (주) 성원애드피아 시간에 따라 차등 금액이 부과되는 퀵배송 시스템
KR20150027395A (ko) * 2013-09-02 2015-03-1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이동식 거주 단지 자원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60119633A (ko) 2015-04-06 2016-10-14 (주)한국화물운송 화물 연계 운송 관리 방법 및 시스템, 컴퓨터 프로그램, 그 기록매체
CN106203923A (zh) * 2016-08-19 2016-12-07 贵州汉方健康信息科技有限公司 供应链信息管理系统及管理方法
KR101982250B1 (ko) 2017-12-28 2019-08-28 (주)와이오엘 선박화물 운송서비스 제공을 위한 o2o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617309B1 (ko) * 2023-05-04 2023-12-21 임준석 항공화물 종합 운송 관리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항공화물 운송절차 관리방법
CN116542592A (zh) * 2023-07-03 2023-08-04 深圳市华运国际物流有限公司 一种国际物流运输路径分析评定系统
CN116542592B (zh) * 2023-07-03 2023-10-10 深圳市华运国际物流有限公司 一种国际物流运输路径分析评定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ovač et al. Novel Spherical Fuzzy MARCOS Method for Assessment of Drone‐Based City Logistics Concepts
Wang et al. Towards enhancing the last-mile delivery: An effective crowd-tasking model with scalable solutions
Chriqui et al. Common bus lines
Klabjan Large-scale models in the airline industry
Maróti et al. Maintenance routing for train units: the transition model
Goel The value of in-transit visibility for supply chains with multiple modes of transport
Andersson* et al. The flight perturbation problem
KR20080080810A (ko) 3자 물류 수송망 설계 시스템 및 방법
Mahmoudi et al. A cumulative service state representation for the pickup and delivery problem with transfers
Cortes et al. Last-mile delivery efficiency: en route transloading in the parcel delivery industry
Meesuptaweekoon et al. Dynamic vehicle routing problem with multiple depots
Fleuren et al. Supply chain–wide optimization at tnt express
Vallée et al. Extended logistical factors for success in international trade
Billhardt et al. Coordinating open fleets. A taxi assignment example
Canca et al. A methodology for schedule‐based paths recommendation in multimodal public transportation networks
Ismail et al. A heterogeneous vehicle routing problem with soft time windows for 3PL company’s deliveries: A case study
Bagchi et al. Dynamic vehicle scheduling: An expert systems approach
Sun et al. Optimizing transportation by inventory routing and workload balancing: Optimizing daily dray operations across an intermodal freight network
KR20150117209A (ko) 여행 계획 시스템
Liu et al. Optimizing the ground intra-city express delivery network: An integrated multiple centrality assessment, multi-criteria decision-making, and multi-objective integer programming model
Miwa et al. Efficiency of routing and scheduling system for small and medium size enterprises utilizing vehicle location data
Malairajan et al. Decision support system for real time vehicle routing in indian dairy industry: A case study
Rosyida et al. Freight route planning in intermodal transportation network to deal with combinational disruptions
Fabri et al. The in‐house logistics routing problem
Arslan Operational strategies for on-demand delivery ser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