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0786B1 - 자동차 상품 운임비 산출 장치와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자동차 상품 운임비 산출 장치와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0786B1
KR102010786B1 KR1020180164577A KR20180164577A KR102010786B1 KR 102010786 B1 KR102010786 B1 KR 102010786B1 KR 1020180164577 A KR1020180164577 A KR 1020180164577A KR 20180164577 A KR20180164577 A KR 20180164577A KR 102010786 B1 KR102010786 B1 KR 102010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vehicle
buyer
freight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4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토위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토위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토위니
Priority to KR1020180164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07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0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0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06Q30/0284Time or distance, e.g. usage of parking meters or taxime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4Choice of carriers
    • G06Q10/08345Pricing
    • G06Q50/28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자동차 상품 운임비 산출 장치는, 판매자에 의해 판매 물품으로 등록된 자동차 상품에 대하여 구매자의 가격 정보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자동차 상품의 운임비를 포함하는 가격 정보를 구매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된 송수신부; 상기 자동차 상품의 물품 정보 및 상기 구매자의 네트워크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자동차 상품의 출발지 정보 및 도착지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경로 결정부; 상기 물품 정보, 상기 출발지 정보 및 상기 도착지 정보에 기초하여 포워딩 업체 서버와 통신함으로써 상기 자동차 상품의 운송방법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운송방법 결정부; 및 상기 물품 정보, 상기 출발지 정보, 상기 도착지 정보 및 상기 운송방법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수학식을 적용함으로써 상기 운임비를 산출하도록 구성된 운임 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를 이용하면, 자동차 상품의 직수출시 해상운송료를 포함한 구매자 위치까지의 운임비를 자동 산출함으로써 구매자가 소요 금액을 정확하게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상품 운임비 산출 장치와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APPARATUS AND METHOD FOR CALCULATING SHIPPING COSTS FOR CAR PRODUCTS AND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실시예들은 자동차 상품 운임비 산출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상품의 직수출시 해상운송료를 포함한 구매자 위치까지의 운임비를 자동 산출함으로써 구매자가 소요 금액을 정확하게 알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 기술이 급격히 발달하면서, 대부분의 재화가 인터넷을 통해서 매매 가능하게 되었다. 그 중에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중고차를 중개 또는 매매하는 사업 방식이 있는데, 일 예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47384호는 중고차의 품질 및 성능에 관한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중고차의 판매 절차를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는 중고차 매매 운영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한다.
그러나,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47384호에 개시된 중고차 매매 운영 시스템을 비롯한 종래 기술들은 동일 국가 내에서 판매자와 구매자 간에 중고차를 매매하는 것을 보조하는 것에 그치고 있어, 일국으로부터 타국으로의 중고차 등 차량 수출입 절차를 쉽게 처리할 수 있는 정보처리 시스템은 존재하지 않았다.
동일 국가 내에서의 매매와 달리 수출 또는 수입의 경우에는 판매자와 구매자가 서로 상이한 국가에 위치하여 대금이나 물품을 정상적으로 수령하지 못할 위험을 상대적으로 크게 안고 있으며, 또한 선적이나 수출입에 관련 서류의 구비 등 여러 단계에 거친 무역 처리 절차들이 필요한데, 현재까지 국가 간의 경계를 넘어 중고차 등 차량 매매를 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은 존재하지 않았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47384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서로 상이한 국가에 위치하는 자동차의 판매자와 구매자가 글로벌 자동차 거래 플랫폼(platform)을 통하여 매매를 수행함에 있어서, 자동차 상품의 직수출시 해상운송료를 포함한 구매자 위치까지의 운임비를 자동 산출함으로써 구매자가 소요 금액을 정확하게 알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상품 운임비 산출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상품 운임비 산출 장치는, 판매자에 의해 판매 물품으로 등록된 자동차 상품에 대하여 구매자의 가격 정보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자동차 상품의 운임비를 포함하는 가격 정보를 구매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된 송수신부; 상기 자동차 상품의 물품 정보 및 상기 구매자의 네트워크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자동차 상품의 출발지 정보 및 도착지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경로 결정부; 상기 물품 정보, 상기 출발지 정보 및 상기 도착지 정보에 기초하여 포워딩 업체 서버와 통신함으로써 상기 자동차 상품의 운송방법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운송방법 결정부; 및 상기 물품 정보, 상기 출발지 정보, 상기 도착지 정보 및 상기 운송방법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수학식을 적용함으로써 상기 운임비를 산출하도록 구성된 운임 결정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경로 결정부는, 상기 구매자의 네트워크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도착지 정보에 상응하는 국가 및 구매자의 인접 항구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운송방법 결정부는, 상기 자동차 상품의 운송방법을 로로(Ro-Ro; Roll-on/Roll-off) 방식, 컨테이너(container) 방식 및 혼재화물(consolidation) 방식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운임 산출부는, 상기 자동차 상품의 운송방법이 로로 방식으로 결정될 경우, 해상운송료(ocean freight), 화물입항료(wharfage fee), 적하비(loading fee), 서류 발급비 및 캐리어 비용(carrier charge)을 합산하여 상기 운임비를 산출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운임 산출부는, 상기 자동차 상품의 운송방법이 컨테이너 방식으로 결정될 경우, 해상운송료, 터미널화물처리비(Terminal Handling Charge), 화물입항료, 트럭킹비(trucking fee), 쇼링비(shoring fee) 및 캐리어 비용을 합산하여 상기 운임비를 산출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운임 산출부는, 상기 자동차 상품의 운송방법이 혼재화물 방식으로 결정될 경우, 해상운송료 및 캐리어 비용을 합산하여 상기 운임비를 산출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상품 운임비 산출 방법은, 자동차 상품 운임비 산출 장치가, 판매자에 의해 판매 물품으로 등록된 자동차 상품에 대하여 구매자의 가격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자동차 상품 운임비 산출 장치가, 상기 자동차 상품의 물품 정보 및 상기 구매자의 네트워크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자동차 상품의 출발지 정보 및 도착지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자동차 상품 운임비 산출 장치가, 상기 물품 정보, 상기 출발지 정보 및 상기 도착지 정보에 기초하여 포워딩 업체 서버와 통신함으로써 상기 자동차 상품의 운송방법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자동차 상품 운임비 산출 장치가, 상기 물품 정보, 상기 출발지 정보, 상기 도착지 정보 및 상기 운송방법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수학식을 적용함으로써 상기 자동차 상품의 운임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자동차 상품 운임비 산출 장치가, 상기 운임비를 포함하는 가격 정보를 구매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자동차 상품의 출발지 정보 및 도착지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자동차 상품 운임비 산출 장치가, 상기 구매자의 네트워크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도착지 정보에 상응하는 국가 및 구매자의 인접 항구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자동차 상품의 운송방법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자동차 상품 운임비 산출 장치가, 상기 자동차 상품의 운송방법을 로로 방식, 컨테이너 방식 및 혼재화물 방식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자동차 상품의 운송방법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자동차 상품의 운송방법이 로로 방식으로 결정될 경우 상기 자동차 상품 운임비 산출 장치가, 해상운송료, 화물입항료, 적하비, 서류 발급비 및 캐리어 비용을 합산하여 상기 운임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자동차 상품의 운송방법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자동차 상품의 운송방법이 컨테이너 방식으로 결정될 경우 상기 자동차 상품 운임비 산출 장치가, 해상운송료, 터미널화물처리비, 화물입항료, 트럭킹비, 쇼링비 및 캐리어 비용을 합산하여 상기 운임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자동차 상품의 운송방법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자동차 상품의 운송방법이 혼재화물 방식으로 결정될 경우 상기 자동차 상품 운임비 산출 장치가, 해상운송료 및 캐리어 비용을 합산하여 상기 운임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자동차 자동차 상품 운임비 산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동차 상품 운임비 산출 장치 및 방법을 이용하면, 서로 상이한 국가에 위치하는 자동차의 판매자와 구매자가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platform) 시스템을 통해 직접 연결되어 중고차 등 자동차 상품의 직거래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때 해상운송료를 포함한 구매자 위치까지의 운임비를 자동 산출함으로써 구매자가 소요 금액을 정확하게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동차 상품 운임비 산출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구매자의 네트워크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차 상품의 도착지 국가 및 항구를 자동 결정함으로써 운임비를 간편하게 산출할 수 있다. 나아가, 자동차 상품의 운송방법에 따른 특정 계산로직을 차종에 따라 적용하여, 구매자의 입장에서 자동차 상품을 수령하기까지 실제로 소요되는 금액을 정확하게 알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platform)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상품 운임비 산출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무역 중개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상품 운임비 산출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 시스템에 의해 물품 정보를 표시하는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의 개념도이다.
도 6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 시스템에 수하인을 입력하는 예시적인 UI의 개념도이다.
도 7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 시스템에 의해 운송 정보를 표시하는 예시적인 UI의 개념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 시스템을 통해 견적송장(proforma invoice) 및 선하증권(bill of landing)을 확인하는 예시적인 UI의 개념도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platform)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 시스템(3)은 물품 등록부(31), 구매 처리부(32), 선적 대행부(33) 및 대금 지급부(34)를 포함한다. 이때,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상품 운임비 산출 장치(320)는 구매 처리부(32)에 포함되어,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 시스템(3)의 일부로서 동작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른 실시예에서 자동차 상품 운임비 산출 장치(320)는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 시스템(3)과 통신하며 동작하는 별도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 시스템(3)은 후기 수신부(35)를 더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 시스템(3)은 사용자 관리부(36)를 더 포함한다.
실시예들에 따른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 시스템(3) 및 자동차 상품 운임비 산출 장치(320)는 전적으로 하드웨어이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 시스템(3) 및 자동차 상품 운임비 산출 장치(320)에 포함된 각 부(unit)는 특정 형식 및 내용의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또는/또한 전자통신 방식으로 주고받기 위한 하드웨어 및 이에 관련된 소프트웨어를 통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 "모듈", "장치", "단말기", "서버" 또는 "시스템" 등의 용어는 하드웨어 및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는 CPU 또는 다른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기기일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는 실행중인 프로세스, 객체(object), 실행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program) 등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따른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 시스템(3)을 구성하는 각각의 요소는 반드시 서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별개의 장치를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즉, 도 1의 물품 등록부(31), 구매 처리부(32), 선적 대행부(33), 대금 지급부(34), 후기 수신부(35) 및 사용자 관리부(36)는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 시스템(3)을 구성하는 하드웨어를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에 따라 기능적으로 구분한 것일 뿐, 반드시 각각의 부가 서로 독립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서는 물품 등록부(31), 구매 처리부(32), 선적 대행부(33), 대금 지급부(34), 후기 수신부(35) 및 사용자 관리부(36) 중 하나 이상이 서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별개의 장치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도 2에 도시된 자동차 상품 운임비 산출 장치(320)의 구성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 시스템(3)은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치(1, 2) 및 하나 이상의 외부 서버(4, 5)와 통신하며 동작할 수 있다.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방법은 객체와 객체가 네트워킹 할 수 있는 모든 통신 방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선 통신, 무선 통신, 3G, 4G, 혹은 그 이외의 방법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는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GSM(Global System for Mobile Network),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LTE Advanced, IEEE802.16m, WirelessMAN-Advanced, HSPA+,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Mobile WiMAX (IEEE 802.16e), UMB (formerly EV-DO Rev. C), Flash-OFDM, iBurst and MBWA (IEEE 802.20) systems, HIPERMAN, Beam-Division Multiple Access (BDMA),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및 초음파 활용 통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법에 의한 통신 네트워크를 지칭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장치(1)는 자동차 상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판매자가 사용하는 장치이며, 사용자 장치(2)는 자동차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자가 사용하는 장치이다. 이때, 판매자와 구매자는 서로 상이한 국가에 위치하고 있어 판매자와 구매자 사이의 상품 매매를 위해서는 수출 및 선적에 관련된 절차들이 이루어져야 하는 관계를 갖는다.
도 1에서 각각의 사용자 장치(1, 2)는 노트북 컴퓨터의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장치(1, 2)는 스마트폰(smartphone) 등 이동 통신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tablet) 컴퓨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등을 위한 셋톱박스(set-top box) 등 임의의 컴퓨팅 장치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장치(1, 2)의 개수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서,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 시스템(3)을 이용하는 판매자 또는 구매자의 실제 수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즉,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 시스템(3)은 복수의 판매자의 판매 물품을 등록하고 이를 복수의 구매자를 대상으로 판매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자동차 상품이란, 자동차 자체, 또는 자동차의 내부 또는 외부에 결합 또는 구비되어 자동차와 관련된 동작을 하는 부품이나 소모품 등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중고차를 예로 들어 자동차 상품에 대하여 설명하나, 실시예들에 따른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 시스템(3)을 통하여 거래되는 자동차 상품은 중고차가 아닌 신차일 수도 있고, 또는 차량의 일부 부품이거나 차량에 관련된 소모품 등일 수도 있으며, 특정 형태의 상품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물품 등록부(31)는 하나 이상의 판매자가 판매하고자 하는 자동차 상품을 판매 물품으로 등록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물품 등록부(31)는 판매자의 사용자 장치(1)로부터 판매자의 자동차 상품에 관련된 상품 정보, 예컨대, 차량의 차종, 연식, 색상 등 차량 정보, 차량의 현재 상태 정보, 차량 사진, 차량에 대한 설명, 차량의 가격 등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품 등록부(31)는 판매 물품에 해당하는 자동차 상품들을 구매자가 확인할 수 있는 온라인 쇼핑몰을 제공함으로써, 구매자가 원하는 자동차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한다.
구매 처리부(32)는 구매자로부터 판매 물품에 대한 구매 요청을 수신한다. 이를 위하여, 구매 처리부(32)는 구매자의 사용자 장치(2)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구매 처리부(32)는 구매 요청에 상응하는 견적송장(Proforma Invoice; PI)을 생성하여 구매자의 사용자 장치(2)에 전송할 수 있으며, 이는 상세히 후술한다. 자동차 상품 운임비 산출 장치(320)는 구매 처리부(32)의 일부로서 구현되어, 자동차 상품의 직수출시 해상운송료를 포함한 구매자 위치까지의 운임비를 자동 산출하는 기능을 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상품 운임비 산출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자동차 상품 운임비 산출 장치(320)는 송수신부(321)와, 경로 결정부(322)와, 운송방법 결정부(323)와, 운임 산출부(32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 시스템(3)과 관련하여 전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도 2의 자동차 상품 운임비 산출 장치(320)를 구성하는 각각의 부는 기능적으로 구분된 것일 뿐, 반드시 각 부가 서로 독립적인 별개의 하드웨어로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자동차 상품 운임비 산출 장치(320)를 구성하는 각각의 부는 하드웨어 수단 및 이를 운용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수단을 통칭하는 것일 수 있다.
송수신부(321)는 판매자에 의해 판매 물품으로 등록된 자동차 상품에 대하여 구매자의 가격 정보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송수신부(321)에 구매가 요청되는 판매 물품이란, 도 1의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 시스템(3)의 물품 등록부(31)에 등록된 자동차 상품을 지칭할 수 있으며, 예컨대, 중고차 등일 수 있다. 송수신부(321)는 구매자의 사용자 장치(2)와의 통신을 통하여 가격 정보 요청을 수신하고, 가격 정보가 요청된 차량의 운임비를 포함하는 가격 정보가 산출되면 이를 구매자의 사용자 장치(2)에 제공할 수 있다.
경로 결정부(322)는, 가격 정보가 요청된 차량의 물품 정보 및 구매자의 네트워크 주소 정보(예컨대, IP(Internet Protocol) 주소 등)를 이용하여 차량 운송의 출발지 정보 및 도착지 정보를 결정한다. 구매자의 IP 주소 등은 구매자의 사용자 장치(2)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예컨대, 경로 결정부(322)는 구매자의 IP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구매자의 국가와 인근 항구를 탐지하는 방식으로 도착지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출발지 정보는 판매자로부터 수신된 해당 차량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는, 더 정확한 도착지 탐지를 위하여 구매자의 사용자 장치(2; 도 1)에 구비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비가 사용될 수도 있다.
운송방법 결정부(323)는, 가격 정보가 요청된 차량의 물품 정보, 출발지 정보 및 도착지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차량의 운송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송방법 결정부(323)는 차량의 운송방법을 로로(Ro-Ro; Roll-on/Roll-off) 방식, 컨테이너(container) 방식 및 혼재화물(consolidation) 방식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할 수 있다. 이 중 어느 방식으로 운송방법을 결정할 것인지는 차량의 차종 및 선적일정 등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며, 운송방법 결정부(323)는 이의 결정을 위하여 포워딩 업체 서버(5; 도 1)와 통신할 수도 있다.
운임 산출부(324)는, 가격 정보가 요청된 차량의 물품 정보, 출발지 정보, 도착지 정보 및 결정된 운송방법에 기초하여 구매자의 위치까지 해당 차량을 운송하는데 필요한 운임을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운임 산출부(324)는 로로, 컨테이너 및 혼재화물의 각 운송방법에 따라 상이한 수학식을 적용함으로써 운임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운임 산출부(324)는 운임비와 차량의 가격이 포함된 구매자의 총 소요 비용을 가격 정보로서 구매자의 사용자 장치(2; 도 1)에 제공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자동차 상품 운임비 산출 장치(320)에 의한 구체적인 운임 산출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구매자로부터 PI에 상응하는 구매 대금이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 시스템(3)의 운영자에게 지급되면, 선적 대행부(33)는 구매자가 구매한 자동차 상품에 상응하는 상업송장(Commercial Invoice; CI)을 생성하여 선적을 진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선적 대행부(33)는 구매 대금의 입금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금융기관 서버(4)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선적 대행부(33)는 CI 및 기타 필요 서류를 하나 이상의 포워딩(forwarding) 업체 서버(5)에 전송하여 선적을 의뢰할 수 있으며, 포워딩 업체로부터 발행된 선하증권(Bill of Landing; B/L)을 구매자의 사용자 장치(2)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워딩 업체란, 화주(즉, 자동차 상품의 판매자 또는 차동차 무역 중개 시스템의 운영자)의 대리인으로서 송하인의 화물을 인수하여 화주가 요구하는 목적지의 수하인(즉, 자동차 상품의 구매자)에게 인도할 때까지 적절한 운송수단을 선택하여 화물을 유기적으로 결합하고 운송에 따르는 일체의 부대적인 업무를 처리하는 운송주선업자를 지칭한다. 도면에는 하나의 포워딩 업체 서버(5)만 도시되었으나,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 시스템(3)이 통신하는 포워딩 업체는 복수일 수 있으며 따라서 포워딩 업체 서버(5)도 복수 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선적 대행부(33)는 구매 대금 지급에 대한 확인 상태 또는 선적에 대한 처리 상태를 구매자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트랙킹(tracking)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구매자는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 시스템(3)이 제공하는 트래킹 웹 페이지(web page)를 통하여 구매 차량의 PI를 확인하거나, 구매 대금의 송금 영수증을 업로드하거나, 송금한 대금에 대한 확인 영수증을 수신하거나,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 시스템(3)이 생성한 CI 및 선적 정보를 확인하거나, B/L을 확인하고 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상세히 후술한다.
대금 지급부(34)는, 구매자가 구매를 요청한 자동차 상품을 판매자로부터 수령한 후 판매자에게 판매 대금을 지급하도록 구성된다.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 시스템(3)에서는 자동차 상품이 확보될 때까지 구매자의 구매 대금을 판매자에게 지급하지 않고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 시스템(3)이 보유함으로써, 구매자가 대금을 지불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상품을 수령하지 못하게 되는 위험을 제거할 수 있다.
사용자 관리부(36)는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 시스템(3)을 이용하는 하나 이상의 판매자 또는 하나 이상의 구매자의 개인 정보(예컨대, 신상 정보, ID, 비밀번호 등)를 관리하며, 구매 상품에 관련된 제반 정보(PI, CI, B/L 등)를 각 사용자에 매칭시켜 저장함으로써 사용자가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 시스템(3)에 로그인하여 자신이 판매 또는 구매한 상품의 처리 상황을 조회할 수 있도록 한다.
후기 수신부(35)는 구매자의 선택에 따라 자동차 상품을 수령한 구매자로부터 상품에 관련된 후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기 정보는 구매한 상품의 정보(예컨대, 사진 등)와 구매 경험에 대하여 구매자가 입력한 후기 내용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품 구매 후 후기를 전송한 구매자에 대하여 가상의 화폐(예컨대, 포인트 등)나 할인 혜택 등의 형태로 보상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보상 정보는 해당 구매자의 정보로서 사용자 관리부(36)에 저장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무역 중개 방법의 순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 및 도 3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무역 중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 시스템(3)에는 하나 이상의 판매자에 의해 물품 정보가 등록되어 있으며, 구매자는 자신의 사용자 장치(2)(이하, "구매자 장치"로도 지칭함)를 이용하여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 시스템(3)이 제공하는 온라인 쇼핑몰을 열람하다가 구매를 희망하는 자동차 상품의 예약 또는 구매 요청을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 시스템(3)에 전송할 수 있다(S11). 구매 요청을 위하여 구매자는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 시스템(3)에 비용의 상세 견적을 요청할 수 있으며,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 시스템(3)의 자동차 상품 운임비 산출 장치(320)는 운임비를 포함하는 소요 비용을 산출하여 구매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상품 운임비 산출 방법의 순서도이며,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 시스템에 의해 물품 정보를 표시하는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의 개념도이다.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 시스템(3)이 제공하는 온라인 쇼핑몰에는 판매 물품에 해당하는 자동차 상품의 상태(중고차, 신차 등), 유형(세단, SUV 등), 제조사, 등급, 모델, 연식, 조향 방식, 배기량, 변속기(transmission), 좌석 수, 연료 유형(디젤 또는 가솔린 등), 도어 수, 색상, 위치, 차량 크기, 엔진 출력, 실린더 개수, 구동 유형(전륜 이륜, 사륜 등), 옵션 사양 등의 물품 정보가 업로드될 수 있다. 구매자는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 시스템(3; 도 1)이 제공하는 온라인 쇼핑몰 상의 게시 내용을 통해 또는 별도의 요청을 통하여 자신이 관심있는 차량 가격의 상세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때 자동차 상품 운임비 산출 장치(320; 도 1)가 가격의 상세 정보를 산출하는 역할을 한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격의 상세 정보에는 판매 물품(item)의 국가 및 출발 항구, 가격, 해상운송료(ocean freight), 화물입항료(wharfage fee), 적하비(loading fee), 서류 발급비(documents fee) 및 총 가격 등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해상운송료 및 화물입항료 등은 구매자가 위치하는 지역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므로, 구매자가 온라인 쇼핑몰 상의 기초 게시 내용을 보고 상세 견적을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 시스템(3)에 요청하면,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 시스템(3)에서 구매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정확한 비용을 계산하여 구매자에게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또는 이메일 등 별도의 수단을 통해 발송하는 방식으로 차량 가격의 상세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자동차 상품 운임비 산출 장치(320)는 먼저 구매자의 사용자 장치(2)와의 통신을 통하여 사용자 장치(2)의 네트워크 주소(예컨대, IP 주소)를 감지할 수 있다(S31). 다음으로, 자동차 상품 운임비 산출 장치(320)는 감지된 IP 주소 등을 통하여 구매자가 위치한 국가를 특정하고(S32), 또한 IP 주소로부터 파악되는 구매자의 현재 위치와 인접한 항구를 도착지로 하도록 항구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S33). IP 주소를 통해 국가와 위치를 파악하는 동작은 IP 주소별 국가 및/또는 위치를 나타내는 외부 서버(미도시)를 조회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자동으로 감지된 국가 및/또는 위치는 구매자에 의하여 수동으로 확인 및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이때 IP 주소를 대체하여 또는 이와 병행하여 구매자의 회원정보가 이용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도착지 정보, 특히, 항구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하기 위하여 구매자 장치(2)로부터 수신된 GPS 정보가 이용될 수도 있다. 이때, 자동차 상품 운임비 산출 장치(320)는 구매자 국가에 존재하는 항구 중 GPS 정보를 이용하여 파악되는 구매자의 현재 위치에 가장 인접하여 위치하는 항구를 차량의 도착지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항구별로 화물입항료, 적하비 및/또는 캐리어 비용 등에 차이가 있는 경우, 자동차 상품 운임비 산출 장치(320)는 단순히 구매자와 가장 가까운 항구를 도착지로 하는 대신 구매자의 위치에서 인접한 복수 개의 후보 항구를 결정하고 이 중에서 제반 소요 비용을 감안하였을 때 가장 적은 비용이 소요되는 항구를 도착지 항구로 결정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동차 상품 운임비 산출 장치(320)는 구매자의 IP 주소, 회원정보 및/또는 GPS 정보로부터 파악되는 구매자의 거주국가의 주변 항구 중 운임비 정보를 보유한 항구 및 구매하고자 하는 차량 종류에 따른 항구들을 분류하여 가격이 낮은 순으로 정렬하고, 그 중 최저가의 운임비를 기본값으로 구매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이때, 구매자가 직접 항구를 선택할 경우에는 최저가의 운임비를 대체하여 또는 이와 동시에 해당 항구의 운임비를 제공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자동차 상품 운임비 산출 장치(320)는 가격 정보가 요청된 차량의 운송방법을 설정할 수 있다(S34). 예를 들어, 자동차 상품 운임비 산출 장치(320)는 차량의 운송방법을 로로(Ro-Ro; Roll-on/Roll-off) 방식, 컨테이너(container) 방식 또는 혼재화물(consolidation) 방식 등으로 결정할 수 있다. 로로 방식은 크레인을 사용하지 않고 롤온(roll-on) 및 롤오프(roll-off) 방식으로 화물을 적재 및 양하할 수 있는 선박을 통해 화물을 운송하는 방식을 지칭하며, 입방미터(Cubic Meter; CBM)에 비례하여 운임이 달라진다. 컨테이너 방식은 컨테이너선에 크레인을 통해 화물을 적재 및 양하하여 화물을 운송하는 방식을 지칭하고, 사용되는 컨테이너 규격(예컨대, 20ft, 40ft, 40HQ)에 운임이 영향을 받는다. 혼재화물 방식은 소규모 화물을 집화하여 대형화함으로써 컨테이너 단위 화물로 만들어 운송하는 방식을 지칭하고, 주로 40HQ 규격의 컨테이너가 사용된다.
자동차 상품 운임비 산출 장치(320)는 운송비를 산출할 자동차 상품의 크기에 따라 적절한 운송방법을 결정하고, 결정된 운송방법을 기반으로 운임을 산출한다. 예를 들어, 차량의 경우 세단(sedan), 컨버터블(convertible) 쿠페(coupe), 해치백(hatchback), 왜건(wagon), SUV, 트럭(truck), 밴(Van), 미니밴, 버스 등 차량 형태에 따라 적용 가능한 운송방법이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부품이나 소모품 등의 경우에는 로로 방식이나 혼재화물 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적당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차량의 경우에도 차량의 무게가 소정의 기준치(예컨대, 1.5톤 트럭)를 넘는지 여부 등에 따라 적용 가능한 운송방법이 상이할 수 있다.
자동차 상품 운임비 산출 장치(320)는 운송할 자동차 상품의 크기 및 무게를 감안하여 적용 가능한 운송방법을 결정하거나, 복수의 운송방법이 적용 가능할 경우 운임이 적게 산출되는 운송방법을 적용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또한, 국가 및 기본 항구가 설정되면 해당 항구에 상응하는 운송방법이 결정되고, 가능한 운송방법이 복수일 경우 가장 저렴한 운송방법이 선택될 수 있다. 항구에 따라 운송 방법이 로로 방식만 가능한 경우 또는 로로/컨테이너/혼재화물 방식이 모두 가능한 경우 등이 있으며, 또한 구매자는 가능한 복수의 운송 방법 중에서 구매자의 선택에 의해 운송 방법을 지정할 수도 있다.
운임을 산출할 상품에 대한 출발지 및 도착지 항구와 운송방법 등이 결정되면, 자동차 상품 운임비 산출 장치(320)는 각 운송방법에 따른 계산 로직을 적용하여 해당 상품의 운임을 산출할 수 있다(S35, S36). 예를 들어, 운송방법이 로로(Ro-Ro) 방식일 경우 운임비는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1]
운임비 = 해상운송료(ocean freight) + 화물입항료(wharfage fee) + 적하비(loading fee) + 서류 발급비(documents fee) + 캐리어 비용(carrier charge)
또는, 운송방법이 컨테이너 방식일 경우 운임비는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2]
운임비 = 해상운송료 + 터미널화물처리비(Terminal Handling Charge; THC) + 화물입항료(wharfage fee) + 트럭킹비(trucking fee) + 쇼링비(shoring fee) + 캐리어 비용
나아가, 운송방법이 혼재화물 방식일 경우 운임비는 하기 수학식 3과같이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3]
운임비 = 해상운송료 + 캐리어 비용
상기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3의 해상운송료는 선박을 통한 운반 비용에 해당한다. 로로 방식의 경우 운임 계산방법은 CBM 방식과 유닛(unit)당 방식이 있는데, CBM 방식은 차량의 크기(CBM)에 단위운임을 곱하여 운임을 계산하는 방식(예컨대, 12 CBM × 80불(단위요금) = 960불)이며, 유닛당 방식은 차량 한대당 고정운임비가 정해지는 방식이다. 한편, 컨테이너 및 혼재화물 방식의 경우에는 소요되는 컨테이너의 규격(예컨대, 20피트, 40피트 등)에 따라 해상운송료가 달라질 수 있다. 적하비는 화물을 선적에 싣고 내리는 비용으로 CBM 유닛 수에 따라 비용이 달라질 수 있으며, 서류발급비는 선하증권(B/L)의 발급에 대해 선사가 청구하는 비용이다.
화물입항료는 항만 시설의 이용료에 해당하는 것으로, 화물입항료는 자동차 상품의 종류가 일반 차량인지, 트럭인지, 차량 부품인지, 차량 관련 장비인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THC는 수출 시 차량의 야적장 입고 시점부터 선측까지, 수입시 선측에서 야적장 출고 시점까지 화물의 이동에 따른 화물처리비용을 지칭하며, 트럭킹비는 컨테이너의 내륙 수송비를 지칭하고, 쇼링비는 컨테이너 내부에 화물을 적입하고 움직이지 않도록 부자재를 대어 고정시키는 비용을 지칭한다. THC, 트럭킹비는 사용되는 컨테이너의 규격에 따라 비용이 달라지며, 쇼링비는 컨테이너 안에 들어가는 화물 개수와 종류에 따라 비용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캐리어 비용은 화주(판매자)의 위치로부터 쇼링장, 항구 등 지정한 입고지까지의 차량운송비용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3에 의하여 산출되는 금액은 운임포함인도(Cost and Freight; CFR) 금액이며, 자동차 상품 운임비 산출 장치(320)는 이 금액을 기초로 운임비를 산출할 수 있다(S36). CFR 금액이란 항구발생비용(Free On Board; FOB)과 해상 운임을 더한 것을 의미하며, 구매자의 구매 조건에 따라 CFR 금액 자체가 운임비일 수도 있고, 또는 구매자가 CIF(Cost, Insurance and Freight) 조건으로 구매하는 경우에는 CFR 금액에 보험료를 추가한 금액이 운임비로 산출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자동차 상품 운임비 산출 장치(320)는 대상 차량에 대하여 판매자 또는 구매자가 설정한 구매 조건 정보(예컨대, CFR 조건 또는 CIF 조건 등)를 수신하고, 이를 기초로 CFR 금액에 기타 금액(예컨대, 보험료)를 가산할지 여부를 결정하여 최종 운임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자동차 상품 운임비 산출 장치(320)는, 운임비를 포함하여 구매자가 납부하여야 할 총 금액을 포함하는 가격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S37). 산출된 가격 정보는 도 5에 예시된 것과 같은 형태로 구매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출되는 총 가격은 1) 자동차 상품의 상품가격과, 2) 전술한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3에 의하여 산출된 운임비와, 3) 그 외 필요한 기타 경비를 합산한 가격일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구매자는 희망에 따라 해당 차량의 상세 정보를 이미지 및/또는 동영상으로 확인하거나,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 시스템(3)이 제공하는 차량 상태 보고서를 확인할 수 있다.
차량 상태 보고서에는, 차량 외부를 복수 개의 부분으로 나누어 각 부분의 부식 정도, 홀 유무, 깨짐 유무 등의 상태를 표시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또한 차량 내부의 각 부품의 동작 상태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외부는 전면 범퍼, 후드, 지붕, 트렁크 덮개, 후면 범퍼, 좌우측 휀더(fender), 좌우측 앞문, 좌우측 뒷문, 좌우측 로커 패널(rocker panel), 좌우측 쿼터 패널(quarter panel) 등으로 구분되어 각 부분의 부식 정도, 해당 부분의 홀 또는 깨짐 유무 등이 차량 상태 보고서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차량 내부의 부품을 엔진, 변속기, 브레이크 시스템, 공기조절기, 히터, 오디오 시스템, 창문 스위치, 4륜 구동 장치 등으로 나누어 각 부품의 동작 상태가 차량 상태 보고서에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차량 상태 보고서의 형태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차량 상태 보고서에 포함되는 정보의 종류와 이의 구성 방식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구매자가 차량 구매의 결정에 필요한 정보들을 확인한 후 구매 요청 버튼 등 UI 요소(300)를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구매자 장치(2)로부터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 시스템(3)에 구매 요청이 전송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UI 요소의 형태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라는 점이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다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 시스템(3)에서는 특정 구매자의 구매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해당 자동차 상품(예컨대, 중고 차량)을 예약 처리하여 다른 구매자에 의한 구매 요청이 불가능하도록 하고(S12), 예약 사실을 해당 차량의 판매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판매자의 사용자 장치(1) (이하, "판매자 장치"로도 지칭함)에 전송할 수 있다(S13)
다음으로,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 시스템(3)에서는 구매가 요청된 차량에 상응하는 견적송장(PI)을 생성하여 구매자 장치(2)에 전송함으로써, 구매자가 구매 대금을 송금할 것을 요청한다(S14). 일 실시예에서, PI는 도 5에 도시된 차량 가격의 상세 정보와 동일한 정보 내용 및/또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 시스템(3)에서는 PI를 판매자 장치(1)에도 확인을 위하여 전송할 수 있다(S15).
구매자는 PI를 확인 후 이상이 없을 경우 구매 대금을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 시스템(3)의 운영자에게 송금하고, 송금 영수증을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 시스템(3)에 전송할 수 있다(S16). 예를 들어, 구매자는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 시스템(3)이 제공하는 트랙킹 웹 페이지를 통하여 송금 영수증을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 시스템(3)에 업로드할 수 있다. 또한, 구매자가 업로드한 송금 영수증은 확인을 위하여 판매자 장치(1)에 제공될 수 있다(S17).
일 실시예에서, 구매자가 구매 대금을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 시스템(3)의 운영자 계좌로 입급한 것이 금융기관 서버(4)를 통하여 확인되면,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 시스템(3)에서는 입금 확인 영수증을 구매자 장치(2)에 전송할 수 있다(S18). 예를 들어, 상기 입금 확인 영수증은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 시스템(3)의 운영자의 계좌가 개설되어 있는 은행 등 금융기관에 의하여 발행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 시스템(3)은 입금 확인 정보를 판매자 장치(1)에 전송하고, 판매자가 차량을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 시스템(3)의 운영자에게 인도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S19).
판매자로부터 차량이 인도되면,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 시스템(3)에서는 해당 차량을 구매자의 위치로 운송하기 위해 포워딩 업체와의 통신을 통해 선적을 준비하는 동시에 선적 및 수출입 절차를 위한 상업송장(CI)을 발행할 수 있다(S20).
선적 준비를 위해서는 구매자로부터 수하인 정보를 입력받아야 하는데,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 시스템에 수하인을 입력하는 예시적인 UI의 개념도이다. 도 6에 도시되는 것과 같이, 구매자는 구매한 차량을 수령할 수하인의 이름, 이메일 주소, 전화 번호, 주소 등의 정보를 입력하고, 필요에 따라 UI 요소(400)를 이용하여 기존의 입력 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 시스템(3)에서는 구매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포워딩 업체로부터 수신된 선적일정 정보를 운송 정보로서 구매자 장치(2)에 전송할 수 있으며(S21), 판매자에게는 해당 일정에 맞추어 판매 차량을 선적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S22).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 시스템에 의해 운송 정보를 표시하는 예시적인 UI의 개념도이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운송편에 해당하는 선박의 이름과 종류(예컨대, 컨테이너선, 로로(ro-ro)선, 벌크선 등), 항해번호(voyage number), 항해선, 예정 출발시각, 예정 도착시각, 선적지 국가(country of loading), 도착지 국가(country of discharging), 선적항(port of loading), 도착항(port of discharging) 등의 정보가 운송 정보로서 구매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 시스템(3)은, 구매자용 CI 및 판매자용 CI를 각각 구매자 장치(2) 및 판매자 장치(1)에 전송할 수 있다(S23, S24). 또한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 시스템(3)은, 포워딩 업체용 CI를 확인을 위하여 포워딩 업체 서버(5)에 전송할 수 있다(S25).
또한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 시스템(3)은, 운송에 필요한 기타 서류들을 판매자 장치(1)로부터 수신하고 확인을 위하여 포워딩 업체 서버(5)에 전송할 수 있다(S26, S27). 운송에 필요한 기타 서류들이란, 수출신고서, 수출승인서(수출승인 물품의 경우), 포장명세서, 중량 및 용적(부피) 확인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 시스템(3)은 구매자가 차량을 도착항에서 수령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선하증권(B/L)을 생성하여 구매자와 포워딩 업체에 확인을 위하여 전송할 수 있다(S28, S29). 구매자 및 포워딩 업체의 확인이 완료되면,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 시스템(3)의 운영자는 B/L 원본을 구매자가 지정한 장소로 발송하며, 이의 운송 상태를 트랙킹 정보의 일부로서 구매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30). 즉,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 시스템(3)은 상품인 차량의 배송 정보와 B/L의 배송 정보를 각각 별도의 트랙킹 정보로 구매자 장치(1)에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서 구매자에게 PI를 제공하는 것과, 구매자가 송금 영수증을 전송하고 입금 확인 영수증을 수신하는 것, 구매자, 판매자 및/또는 포워딩 업체에 CI, B/L 또는 기타 서류를 제공하는 것 등의 과정은 모두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 시스템(3)이 제공하는 트래킹 웹 페이지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트래킹 웹 페이지를 통하여 제공되는 차량 또는 서류의 트랙킹 정보는 실시간으로 갱신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 시스템을 통해 구매자가 PI 및 B/L을 확인할 수 있는 예시적인 UI의 개념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구매자는 UI 요소(601, 602)를 통하여 PI 및 B/L 등의 서류를 확인할 수 있고, 필요할 경우 UI 요소(603, 604)를 이용하여 해당 서류의 수정을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 시스템(3)에 요청할 수 있다. 구매자가 특정 서류에 대한 수정을 요청한 경우, 수정 요청에 대한 진행 상태와 진행 일자, 관리자의 확인 상태 등이 UI 요소(610)를 통하여 구매자가 확인 가능하도록 표시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구매자는 차량의 수령 후 차량의 사진 및/또는 동영상이나 구매자가 직접 입력한 후기 내용을 포함하여 후기 정보를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 시스템(3)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후기 정보는 구매자가 구매한 차량의 판매자에 대한 평가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매자들에 의하여 축적된 각 판매자의 평가 정보는 다른 잠재적인 구매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게시될 수 있다. 또한,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 시스템(3)에서는 후기 정보를 입력한 구매자를 대상으로 포인트나 할인 혜택 등 보상을 지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자동차 무역 중개 방법은 도면에 제시된 순서도를 참조로 하여 설명되었다. 간단히 설명하기 위하여 상기 방법은 일련의 블록들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블록들의 순서에 한정되지 않고, 몇몇 블록들은 다른 블록들과 본 명세서에서 도시되고 기술된 것과 상이한 순서로 또는 동시에 일어날 수도 있으며, 동일한 또는 유사한 결과를 달성하는 다양한 다른 분기, 흐름 경로, 및 블록의 순서들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방법의 구현을 위하여 도시된 모든 블록들이 요구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자동차 상품의 운임비 산출 방법 및 자동차 무역 중개 방법에 의한 동작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자동차 상품의 운임비 산출 방법 및 자동차 무역 중개 방법에 의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판매자에 의해 판매 물품으로 등록된 자동차 상품에 대하여 구매자의 가격 정보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자동차 상품의 운임비를 포함하는 가격 정보를 구매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된 송수신부;
    상기 자동차 상품의 물품 정보 및 상기 구매자의 네트워크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자동차 상품의 출발지 정보 및 도착지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경로 결정부;
    상기 물품 정보, 상기 출발지 정보 및 상기 도착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자동차 상품의 운송방법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운송방법 결정부; 및
    상기 물품 정보, 상기 출발지 정보, 상기 도착지 정보 및 상기 운송방법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수학식을 적용함으로써 상기 운임비를 산출하도록 구성된 운임 결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운송방법 결정부는, 상기 자동차 상품의 운송방법을 차종 및 선적일정에 기초하여 로로 방식, 컨테이너 방식 및 혼재화물 방식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운임 결정부는,
    상기 자동차 상품의 운송방법이 로로 방식으로 결정될 경우, 해상운송료, 화물입항료, 적하비, 서류 발급비 및 캐리어 비용을 합산하여 상기 운임비를 산출하며,
    상기 자동차 상품의 운송방법이 컨테이너 방식으로 결정될 경우, 해상운송료, 터미널화물처리비, 화물입항료, 트럭킹비, 쇼링비 및 캐리어 비용을 합산하여 상기 운임비를 산출하고,
    상기 자동차 상품의 운송방법이 혼재화물 방식으로 결정될 경우, 해상운송료 및 캐리어 비용을 합산하여 상기 운임비를 산출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경로 결정부는, 상기 구매자의 네트워크 주소 정보를 외부 서버에서 조회함으로써 상기 도착지 정보에 상응하는 국가 및 구매자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구매자의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복수 개의 후보 항구를 운임비가 낮은 순으로 정렬하여 상기 구매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상기 구매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도착지 정보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된 자동차 상품 운임비 산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자동차 상품 운임비 산출 장치가, 판매자에 의해 판매 물품으로 등록된 자동차 상품에 대하여 구매자의 가격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자동차 상품 운임비 산출 장치가, 상기 자동차 상품의 물품 정보 및 상기 구매자의 네트워크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자동차 상품의 출발지 정보 및 도착지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자동차 상품 운임비 산출 장치가, 상기 물품 정보, 상기 출발지 정보 및 상기 도착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자동차 상품의 운송방법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자동차 상품 운임비 산출 장치가, 상기 물품 정보, 상기 출발지 정보, 상기 도착지 정보 및 상기 운송방법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수학식을 적용함으로써 상기 자동차 상품의 운임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자동차 상품 운임비 산출 장치가, 상기 운임비를 포함하는 가격 정보를 구매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자동차 상품의 운송방법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자동차 상품 운임비 산출 장치가, 상기 자동차 상품의 운송방법을 차종 및 선적일정에 기초하여 로로 방식, 컨테이너 방식 및 혼재화물 방식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자동차 상품의 운송방법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자동차 상품의 운송방법이 로로 방식으로 결정될 경우 상기 자동차 상품 운임비 산출 장치가, 해상운송료, 화물입항료, 적하비, 서류 발급비 및 캐리어 비용을 합산하여 상기 운임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자동차 상품의 운송방법이 컨테이너 방식으로 결정될 경우 상기 자동차 상품 운임비 산출 장치가, 해상운송료, 터미널화물처리비, 화물입항료, 트럭킹비, 쇼링비 및 캐리어 비용을 합산하여 상기 운임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자동차 상품의 운송방법이 혼재화물 방식으로 결정될 경우 상기 자동차 상품 운임비 산출 장치가, 해상운송료 및 캐리어 비용을 합산하여 상기 운임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차 상품의 출발지 정보 및 도착지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자동차 상품 운임비 산출 장치가, 상기 구매자의 네트워크 주소 정보를 외부 서버에서 조회함으로써 상기 도착지 정보에 상응하는 국가 및 구매자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자동차 상품 운임비 산출 장치가, 상기 구매자의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복수 개의 후보 항구를 운임비가 낮은 순으로 정렬하여 상기 구매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상기 구매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도착지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 상품 운임비 산출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7항에 따른 자동차 상품 운임비 산출 방법을 실행하도록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80164577A 2018-12-18 2018-12-18 자동차 상품 운임비 산출 장치와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0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577A KR102010786B1 (ko) 2018-12-18 2018-12-18 자동차 상품 운임비 산출 장치와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577A KR102010786B1 (ko) 2018-12-18 2018-12-18 자동차 상품 운임비 산출 장치와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0786B1 true KR102010786B1 (ko) 2019-08-14

Family

ID=67622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4577A KR102010786B1 (ko) 2018-12-18 2018-12-18 자동차 상품 운임비 산출 장치와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07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8125A (ko) * 2019-12-18 2021-06-28 (주)코머신 수출 물류 견적 서버 및 그 방법
CN114077626A (zh) * 2020-08-21 2022-02-22 北京车行一六八信息技术有限公司 车辆销售信息的整合方法、系统、电子装置和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2284A (ja) * 2000-11-15 2002-08-09 Tau:Kk ウェブサイトにおける事故車及び未整備中古車販売システム及びそのシッピング自動計算方法
KR20110047384A (ko) 2009-10-30 2011-05-09 김진한 중고 자동차 매매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33722A (ko) * 2012-09-10 2014-03-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운송 운임 결정 시스템 및 방법
KR101531696B1 (ko) * 2014-09-24 2015-06-29 주식회사 기가코리아 해외 구매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2284A (ja) * 2000-11-15 2002-08-09 Tau:Kk ウェブサイトにおける事故車及び未整備中古車販売システム及びそのシッピング自動計算方法
KR20110047384A (ko) 2009-10-30 2011-05-09 김진한 중고 자동차 매매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33722A (ko) * 2012-09-10 2014-03-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운송 운임 결정 시스템 및 방법
KR101531696B1 (ko) * 2014-09-24 2015-06-29 주식회사 기가코리아 해외 구매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8125A (ko) * 2019-12-18 2021-06-28 (주)코머신 수출 물류 견적 서버 및 그 방법
KR102361385B1 (ko) * 2019-12-18 2022-02-10 (주)코머신 수출 물류 견적 서버 및 그 방법
CN114077626A (zh) * 2020-08-21 2022-02-22 北京车行一六八信息技术有限公司 车辆销售信息的整合方法、系统、电子装置和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4529B1 (ko)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 시스템, 자동차 무역 중개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US10268982B2 (en) Carrier and shipper interfacing and shipment tracking framework for efficient scheduling and transportation of cargo, with security monitoring and efficient payment to carriers
CN101718982B (zh) 装货、运输、卸货管控一体化系统及方法
KR101905144B1 (ko) 마켓 연동 택배 시스템
US2004023060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acilitating shipping commerce
CN112997205A (zh) 用于实时在线货运管理的方法、系统、设备及程序
CA3020645A1 (en) Dynamic load matching engine methods and systems
KR101859904B1 (ko) 택배 방법
US20200134551A1 (en) System for facilitating international trade and method
US20210042701A1 (en) System, method, and program product, for load board and logistics management
KR101941934B1 (ko) 온라인 화물운송 차량중계장치
US20080021714A1 (en) Vehicle transportation tracking
KR102010786B1 (ko) 자동차 상품 운임비 산출 장치와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US20230351316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ed vehicle transportation
Yoshimoto et al. The impac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on road freight transportation
Subramanian et al. Blockchain applications and future opportunities in transportation
KR102390562B1 (ko) 입찰을 통해 진행되는 수출입 화물 물류 및 통관에 대한 중개 방법
US2018015079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selecting an end to end freight service
US20230054733A1 (en) Automobile trade brokerage platform system, automobile trade brokerag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therefor
KR102328444B1 (ko) 수출 물류 견적 서버 및 그 방법
KR20210067250A (ko) 화물 정보 제공 시스템
KR101738489B1 (ko) 온라인 투 오프라인 기반의 화물운송 중계 장치
KR102361385B1 (ko) 수출 물류 견적 서버 및 그 방법
KR20230109341A (ko) 수입 윤활유 거래 중개 방법 및 시스템
Cavinato Supply chain and transportation dictiona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