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8489B1 - 온라인 투 오프라인 기반의 화물운송 중계 장치 - Google Patents

온라인 투 오프라인 기반의 화물운송 중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8489B1
KR101738489B1 KR1020160133486A KR20160133486A KR101738489B1 KR 101738489 B1 KR101738489 B1 KR 101738489B1 KR 1020160133486 A KR1020160133486 A KR 1020160133486A KR 20160133486 A KR20160133486 A KR 20160133486A KR 101738489 B1 KR101738489 B1 KR 101738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lorry
freight
destination
desired dest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3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형철
임재형
김영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엘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엘피
Priority to KR1020160133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84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8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8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06F17/18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for evaluating statistical data, e.g. average values, frequency distributions, probability functions, regression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06Q10/047Optimisation of routes or paths, e.g. travelling salesman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4Choice of carriers
    • G06Q10/08345Pri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5Relationships between shipper or supplier and carriers
    • G06Q10/08355Routing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lgebra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온라인 투 오프라인 기반의 화물운송 중계 장치는 화물차주 단말에 있는 위치 측정 센서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된 화물차주의 현재 위치와 상기 화물차주 단말에 가변적으로 설정된 희망 목적지를 주기적으로 갱신하여 화물차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화물차 관리부, 차량종류와 화물내용을 포함하는 화물정보 및 화물차의 출발지와 도착지를 포함하는 운송경로정보를 포함하는 온라인 배차신청을 수신하는 온라인 배차신청 수신부 및 상기 온라인 배차신청을 기초로 상기 화물차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출발지의 제1 특정 거리 내에서 인접한 현재 위치에 있는 제1 화물차 그룹을 선택한 다음 상기 제1 화물차 그룹에서 상기 도착지의 제2 특정 거리 내에서 인접한 희망 목적지에 있는 제2 화물차 그룹을 선택하는 화물차 선택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화물운송 중계 장치는 O2O 기반으로 보다 객관적인 화물 운송 비용을 제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온라인 투 오프라인 기반의 화물운송 중계 장치{INTERMEDIATING APPARATUS FOR CARGO TRANSPORTATION BASED ON ONLINE-TO-OFFLINE}
본 발명은 화물 운송 중계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O2O(Online to Offline) 기반으로 화물 정보(화물차량, 목적지, 배송 운임료 등)를 기초로 객관적인 물류 비용을 제시할 수 있는 온라인 투 오프라인 기반의 화물운송 중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 운송은 화주가 주선사에게 요청하면 주선사가 콜센터망에 화물을 등록하고, 차주가 요청사항을 승인하면 주선사가 화주에게 차주의 정보를 통보하는 4 단계의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화물 운송의 표준 물류 단가는 주선사들에 의해 역경매 방식으로 책정되어 화주의 입장에서 차주에게 전달되는 정확한 금액을 알 수 없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33003(2015.06.25)호는 화주와 차주 간에 거래 행위를 중계하고 수하인의 전자 서명이 기록된 전자 인수증을 검증하여 운송 대금을 차주에게 지급하는 화물 운송 서비스 제공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의뢰받은 화물을 지정된 수하인에게 운송시키는 화물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화주 단말로부터 화물에 대한 운송의뢰를 수신하는 의뢰 수신 단계; 상기 화물을 운송할 차주를 배정하고, 이 차주의 단말로 수하인 정보 및 화물 정보가 기록된 전자 인수증을 전송하는 인수증 전송 단계; 상기 차주의 단말로부터 수하인의 서명이 포함된 전자 인수증을 수신하는 인수증 수신 단계; 상기 전자 인수증에 포함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화물이 정상적으로 운송되었는지 여부를 검증하는 검증 단계; 및 상기 검증 단계에서 상기 화물이 정상적으로 운송된 것으로 검증되면, 상기 화물의 운송비를 상기 차주의 은행계좌로 송금하는 운송비 지급 단계를 포함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25659(2014.07.25)호는 화물운송 정보 중계 방법 및 시스템, 그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화주 단말 및 차주 단말, 운송사 단말, 금융사 시스템과 네트워크 연결된 화물운송 정보 중계 시스템을 통해 실행되는 화물운송 정보 중계 방법으로서, (a) 화물운송 정보 중계 시스템이, 화주 단말로부터 입력된 화물운송 의뢰 정보를 운송사 단말이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단계; (b) 화물운송 정보 중계 시스템이, 운송사 단말로부터 입력된 화물운송 요청 정보를 차주 단말이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단계; (c) 화물운송 정보 중계 시스템이, 운송 대상 화물을 상차한 차주 단말로부터 화물 상차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d) 화물운송 정보 중계 시스템이, 운송 대상 화물을 하차한 차주 단말로부터 화물 하차 정보를 전송받으며, 상기 화물 하차 정보에 근거하여 차주 단말로 전자인수증을 전송하는 단계; (e) 화물운송 정보 중계 시스템이, 상기 전자인수증에 대한 수하인의 확인 입력을 전송받으며, 확인 입력된 전자인수증을 금융사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운임 선지급 요청을 하는 단계; 및 (f) 금융사 시스템이, 운임 지불자 및 그 신용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전자인수증에 근거하여 차주 및 운송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운임 선지급 처리를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화물운송 정보 중계 방법이 개시된다.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33003(2015.06.25)호 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25659(2014.07.25)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O2O 기반으로 화물 정보(화물차량, 목적지, 배송 운임료 등)를 기초로 객관적인 물류 비용을 제시할 수 있는 온라인 투 오프라인 기반의 화물운송 중계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화물의 출발지와 도착지에 따라 각각의 거리를 산출하여 가장 인접한 화물차량을 배치할 수 있는 온라인 투 오프라인 기반의 화물운송 중계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온라인 투 오프라인 기반의 화물운송 중계 장치는 화물차주 단말에 있는 위치 측정 센서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된 화물차주의 현재 위치와 상기 화물차주 단말에 가변적으로 설정된 희망 목적지를 주기적으로 갱신하여 화물차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화물차 관리부, 차량종류와 화물내용을 포함하는 화물정보 및 화물차의 출발지와 도착지를 포함하는 운송경로정보를 포함하는 온라인 배차신청을 수신하는 온라인 배차신청 수신부 및 상기 온라인 배차신청을 기초로 상기 화물차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출발지의 제1 특정 거리 내에서 인접한 현재 위치에 있는 제1 화물차 그룹을 선택한 다음 상기 제1 화물차 그룹에서 상기 도착지의 제2 특정 거리 내에 인접한 희망 목적지를 설정한 제2 화물차 그룹을 선택하는 화물차 선택부를 포함한다.
화물차 관리부는 특정 화물차주 단말에 설정된 희망 목적지가 변경되면 상기 변경 이전 및 상기 변경 이후의 희망 목적지들 각각에 관한 희망 목적지 집중도를 분석하여 상기 변경 이전 및 상기 변경 이후의 희망 목적지들 각각에 관한 제2 특정 거리를 산출하여 상기 화물차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할 수 있다.
화물차 관리부는 아래의 수학식을 기초로 상기 변경 이전 및 상기 변경 이후의 희망 목적지들 각각에 관한 제2 특정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1]
D2=(C-{R(y)-R(x)})*M
R(k) = Num(ki) / Num(
Figure 112016099683781-pat00001
) * 100
(여기에서, C는 기준 거리, x는 변경 이전의 목적지, y는 변경 이후의 목적지, R(x)는 변경 이전의 희망 목적지 집중도, R(y)는 변경 이후의 희망 목적지 집중도, M은 거리 단위 상수)
화물차 관리부는 상기 변경 이후의 희망 목적지에 관한 희망 목적지 집중도가 특정 기준 이상이면 상기 특정 화물차주 단말에 설정된 희망 목적지가 변경되기 전에 과거의 역경매 방식으로 산출된 배송 운임료들에 관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산출된 예상 배송 운임료를 제공할 수 있다.
화물차 관리부는 상기 특정 화물차주 단말에 설정된 희망 목적지가 변경되기 전에 상기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상위 특정 개수만큼의 최고 예상 배송 운임료와 연관된 목적지들을 제공할 수 있다.
화물차 관리부는 특정 주기 단위로 모든 화물차주 단말들의 현재 위치들을 분류하여 위치 분포군들을 형성하고 상기 위치 분포군들 각각에 관한 제1 특정 거리를 산출하여 상기 화물차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할 수 있다.
화물차 관리부는 아래의 수학식을 기초로 상기 위치 분포군들 각각에 관한 제1 특정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2]
D1=(X(n1)+X(n2)+X(n3))/3
(여기에서, X(n)은 화물차의 출발지에서 화물차주의 현재 위치를 뺀 값)
화물차 선택부는 상기 제2 화물차 그룹에서 화물차주 회원들 간에 균등하게 운송 기회를 제공하도록 상기 온라인 배차신청을 순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운송 중계 장치는 O2O 기반으로 화물 정보(화물차량, 목적지, 배송 운임료 등)를 기초로 객관적인 물류 비용을 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운송 중계 장치는 화물의 출발지와 도착지에 따라 각각의 거리를 산출하여 가장 인접한 화물차량을 배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투 오프라인 기반의 화물운송 중계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화물운송 중계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는 화물운송 중계 장치에서 수행되는 화물운송 중계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화물운송 중계 장치에서 수행되는 화물운송 중계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투 오프라인 기반의 화물운송 중계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물운송 중계 시스템(100)은 화물운송 중계 장치(110), 화물차주 단말(120), 사용자 단말(130) 및 사용자 컴퓨터(140)를 포함한다.
화물운송 중계 장치(110)는 클라이언트에게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화물운송 중계 장치(110)는 사용자(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의해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화물차주 단말(120)은 화물차주의 스마트폰에 해당할 수 있고, 화물운송 중계 장치(110)와 GPS를 통해 연결되어 화물차주의 현재 위치를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고, 화물차주가 희망하는 목적지를 실시간으로 갱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물차주 단말(120)은 화물차주 단말(120)에 있는 위치 측정 센서로부터 설정된 주기마다 화물차주의 현재 위치를 주기적으로 화물운송 중계 장치(11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화물차주 단말(120)은 화물차주가 희망하는 목적지를 변경할 때마다 실시간으로 변경된 희망 목적지를 화물운송 중계 장치(110)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30)은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해당할 수 있고, 화물운송 중계 장치(110)와 블루투스, Wifi 등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 컴퓨터(140)는 화물운송 중계 장치(11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온라인으로 배차를 신청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물운송 중계 장치(110)는 사용자 단말(130) 또는 사용자 컴퓨터(140)와 연결되어 사용자(클라이언트)의 서비스 요청을 수신할 수 있고, 각 사용자(클라이언트)의 요청 사항을 화물차주 단말(1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화물운송 중계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화물운송 중계 장치(110)는 화물차 관리부(210), 온라인 배차신청 수신부(220), 화물차 선택부(230), 제어부(240) 및 화물차 데이터베이스(250)를 포함한다.
화물차 관리부(210)는 GPS를 통해 화물차주 단말(120)로부터 주기적으로 화물차주의 현재 위치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화물차 관리부(210)는 주기적으로 화물차주 단말(120)에 가변적으로 설정된 희망 목적지를 갱신하여 화물차 데이터베이스(250)를 구축할 수 있다. 여기에서, 화물차 데이터베이스(250)는 화물차주의 프로파일 정보, 화물차주의 현재 위치, 화물차주의 희망 목적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온라인 배차신청 수신부(220)는 사용자 단말(130) 또는 사용자 컴퓨터(14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온라인 배차신청을 수신할 수 있다. 온라인 배차신청 수신부(220)는 차량종류와 화물내용을 포함하는 화물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화물차의 출발지와 도착지를 포함하는 운송경로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온라인 배차신청 수신부(220)는 사용자 단말(130) 또는 사용자 컴퓨터(140)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화물차량과 화물의 종류 및 주의사항, 경유지의 유무, 화물의 상하차 시 지원 필요의 유무 등을 포함하는 화물 정보와 출발지와 도착지, 경유지 등을 포함하는 운송경로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화물차 선택부(230)는 온라인 배차신청을 기초로 화물차 데이터베이스(250)에서 출발지로부터 제1 특정 거리 내에 인접한 위치에 있는 제1 화물차 그룹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화물차 선택부(230)는 제1 화물차 그룹에서 도착지의 제2 특정 거리 내에 희망 목적지를 설정한 제2 화물차 그룹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물차 선택부(230)는 화물차의 출발지로부터 현재 위치가 제1 특정 거리 내에 인접한 제1 화물차 그룹을 선택하고, 그 중에서 화물차의 도착지로부터 제2 특정 거리 내에 희망 목적지를 설정한 제2 화물차 그룹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물차 선택부(230)는 화물차의 출발지는 서울이고, 도착지는 부산인 경우, 서울에서 10km 이내에 인접한 제1 화물차 그룹을 선택하고, 그 중에서 부산에서 5km 이내에 희망 목적지를 설정한 제2 화물차 그룹을 선택할 수 있다. 화물차 선택부(230)는 제2 화물차 그룹에게 화물정보 및 운송경로정보를 전송하여 최종적으로 1대의 화물차가 배차 완료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물차 선택부(230)는 제2 화물차 그룹에서 화물차주 회원들 간에 균등한 운송 기회를 제공할 수 있도록 온라인 배차신청을 순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화물운송 중계 장치(11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화물차 관리부(210), 온라인 배차신청 수신부(220) 및 화물차 선택부(23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화물차 데이터베이스(250)는 화물차 관리부(210)에서 수신되는 화물차주의 현재 위치 정보와 화물차주의 희망 목적지에 대한 정보, 온라인 배차신청 수신부(220)에서 수신되는 화물 정보 및 출발지와 도착지를 포함하는 운송경로정보, 각 화물차주에 대한 프로파일 정보 등을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물차 데이터베이스(250)는 화물차주에 대한 나이, 성별, 화물운송 경력, 사고 빈도 등을 포함하는 화물차주에 대한 프로파일 정보, GPS를 통해 주기적으로 갱신되는 화물차주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산출되는 각 화물차별 제1 특정 거리와 화물차주에 의해 변경되는 희망 목적지에 따라 갱신되는 제2 특정 거리에 대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있는 화물운송 중계 장치에서 수행되는 화물운송 중계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화물운송 중계 장치(110)는 화물차 관리부(210)를 통해 화물차주 단말(120)로부터 화물차주의 현재 위치와 화물차주가 설정한 희망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화물차 데이터베이스(250)를 구축할 수 있다(S310). 일 실시예에서, 화물차 관리부(210)는 화물차주의 현재 위치가 변경되거나 화물차주의 희망 목적지가 변경되는 경우, 변경되는 제1 및 제2 특정 거리를 산출하여 화물차 선택부(230)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특정 거리를 산출하는 방법은 도 4를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한다.
일 실시예에서, 화물차 관리부(210)는 특정 화물차주 단말(120)에 설정된 희망 목적지가 변경되면, 변경하기 이전과 변경 이후의 희망 목적지들에 관한 희망 목적지 집중도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희망 목적지 집중도는 전체 화물차주 단말(120)로부터 설정된 희망 목적지 대비 특정 화물차주 단말(120)에 의해 설정된 희망 목적지에 대한 비율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화물차 관리부(210)는 화물차주 단말에 설정된 희망 목적지의 변경 이전과 변경 이후의 희망 목적지들 각각에 대한 제2 특정 거리를 산출하여 화물차 데이터베이스(250)를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물차 관리부(210)는 화물차주 단말(120)로부터 기존 부산으로 설정된 희망 목적지에서 울산으로 희망 목적지를 변경하였을 때, 기존에 부산으로 설정된 희망 목적지에 관한 희망 목적지 집중도와 울산으로 변경된 희망 목적지에 관한 희망 목적지 집중도를 각각 분석하여 제2 특정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물차 관리부(210)는 특정 지역에 희망 목적지가 몰리게 될 경우 희망 목적지 집중도가 높아지게 되고, 특정 지역에 높아진 희망 목적지 집중도를 반영하여 제2 특정 거리를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물차 관리부(210)는 서울에 대한 희망 목적지 집중도가 의정부에 대한 희망 목적지 집중도보다 높을 경우, 제2 특정 거리를 서울에서 경기도 범위로 넓게 증가시켜 화물차를 보다 넓은 지역으로 배치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화물운송 중계 장치(110)는 온라인 배차신청 수신부(220)를 통해 차량종류와 화물내용을 포함하는 화물 정보 및 화물차의 출발지와 도착지를 포함하는 운송경로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320). 여기에서, 화물 정보는 사용자 단말(130) 또는 사용자 컴퓨터(140)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화물차량과 화물의 종류 및 주의사항, 경유지의 유무, 화물의 상하차 시 지원 필요의 유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운송경로정보는 화물차의 출발지, 도착지 및 경유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화물운송 중계 장치(110)는 화물차 선택부(230)를 통해 온라인 배차신청을 기초로 화물차 데이터베이스(250)에서 출발지로부터 제1 특정 거리에 인접한 위치에 있는 제1 화물차 그룹을 선택할 수 있다(S330). 일 실시예에서, 화물운송 중계 장치(110)는 화물차 관리부(210)를 통해 특정 주기 단위로 모든 화물차주 단말(120)들로부터 현재 위치들을 분류하여 위치 분포군들을 형성하고 각각의 위치에 관한 제1 특정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물차 관리부(210)는 1시간마다 화물운송 중계 장치(110)와 연결된 모든 화물차주 단말(120)들로부터 현재 위치들을 수신하여 각각의 화물차주의 현재 위치들을 분류하여 위치 분포군들을 형성할 수 있고, 각각의 위치 분포군들에 관한 제1 특정 거리를 산출하여 화물차 데이터베이스(250)를 주기적으로 갱신할 수 있다.
화물운송 중계 장치(110)는 화물차 선택부(230)를 통해 선택된 제1 화물차 그룹에서 도착지의 제2 특정 거리 내에 희망 목적지를 설정한 제2 화물차 그룹을 선택할 수 있다(S340). 일 실시예에서, 화물차 선택부(230)는 제1 특정 거리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화물차주들 순서대로 제1 화물차 그룹을 선택할 수 있고, 화물차주 단말(120)이 설정한 희망 목적지와 화물차의 도착지가 가장 인접한 화물차들부터 순서대로 온라인 배차신청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물차 선택부(230)는 화물운송 중계 장치(110)와 연결된 화물차주 회원들 간에 균등하게 운송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서 온라인 배차신청을 순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화물차 선택부(230)는 사고 빈도가 적은 화물차주 순으로 배차를 제공하거나 고객의 만족도가 높은 화물차주 순으로 배차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화물운송 중계 장치에서 수행되는 화물운송 중계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화물운송 중계 장치(110)는 화물차 관리부(210)를 통해 화물차주 단말(120)로부터 화물차주의 현재 위치와 화물차주가 변경한 희망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화물차 데이터베이스(250)를 구축할 수 있다(S410). 일 실시예에서, 화물차 관리부(210)는 주기적으로 화물차주 단말(120)로부터 현재 위치를 수신할 수 있고, 화물차주가 변경한 희망 목적지를 수신하여 화물차 데이터베이스(250)를 구축할 수 있다. 여기에서, 화물차 데이터베이스(250)는 화물차주의 프로파일 정보, 화물차주의 현재 위치에 따라 변경되는 제1 특정 거리와 화물차주가 변경한 희망 목적지에 따라 변경되는 제2 특정 거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화물운송 중계 장치(110)는 온라인 배차신청 수신부(220)를 통해 차량종류와 화물내용을 포함하는 화물 정보 및 화물차의 출발지와 도착지를 포함하는 운송경로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420). 일 실시예에서, 온라인 배차신청 수신부(220)는 사용자 단말(130) 또는 사용자 컴퓨터(140)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화물차량의 종류, 화물의 종류 및 내용 등을 포함하는 화물정보와 화물차의 출발지와 도착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운송경로정보를 수신하여 온라인 배차신청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라인 배차신청 수신부(220)는 사용자로부터 출발지는 서울, 도착지는 대전, 경유지는 천안이고, 화물의 종류는 100개의 플라스틱 의자에 해당하는 정보들을 수신하면, 이와 관련된 정보들을 화물차 선택부(230)로 전송할 수 있다.
화물운송 중계 장치(110)는 화물차 선택부(230)를 통해 온라인 배차신청을 기초로 화물차 데이터베이스(250)에서 출발지로부터 제1 특정 거리 내에 인접한 위치에 있는 제1 화물차 그룹을 선택할 수 있다(S430). 여기에서, 제1 특정 거리는 화물차 관리부(210)를 통해 산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물차 선택부(230)는 화물운송 중계 장치(110)와 연결된 모든 화물차주의 현재 위치들을 수신하고 각각의 현재 위치들을 분류하여 위치 분포군들을 형성할 수 있다. 화물차 선택부(230)는 주기적으로 화물차주의 현재 위치들을 수신하여 형성된 위치 분포군들을 화물차 관리부(210)로 전송하고, 화물차 관리부(210)는 각각의 위치 분포군들에 관한 제1 특정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특정 거리는 다음의 수학식을 따라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2]
D1=(X(n1)+X(n2)+X(n3))/3
여기에서, X(n)은 화물차의 출발지에서 화물차주의 현재 위치를 뺀 값에 해당한다.
화물운송 중계 장치(110)는 화물차 선택부(230)를 통해 선택된 제1 화물차 그룹에서 도착지의 제2 특정 거리 내에 희망 목적지를 설정한 제2 화물차 그룹을 선택할 수 있다(S440). 여기에서, 제2 특정 거리는 화물차 관리부(210)를 통해 산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물차 관리부(210)는 화물차주 단말(120)로부터 변경된 희망 목적지를 수신하고, 변경 이전 및 변경 이후의 희망 목적지들 각각에 관한 희망 목적지 집중도를 분석하여 제2 특정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1]
D2=(C-{R(y)-R(x)})*M
R(k) = Num(ki) / Num(
Figure 112016099683781-pat00002
) * 100
여기에서, C는 기준 거리, x는 변경 이전의 목적지(예: 서울), y는 변경 이후의 목적지(예: 부산), R(x)는 변경 이전의 희망 목적지 집중도, R(y)는 변경 이후의 희망 목적지 집중도에 해당하고, M은 거리 단위 상수에 해당한다.
일 실시예에서, 화물차 관리부(210)는 기준 거리에 대한 거리 단위에 따라 M을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물차 관리부(210)는 기준 거리를 m 단위로 설정한 경우, km로 거리 단위를 환산하기 위해 M에 1000을 적용하여 제2 특정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화물운송 중계 장치(110)는 화물차 관리부(210)를 통해 변경된 희망 목적지에 관한 희망 목적지 집중도가 특정 기준 이상이면, 특정 화물차주 단말(120)에 변경 이전의 희망 목적지에 관한 예상 배송 운임료를 제공할 수 있다(S450). 여기에서, 예상 배송 운임료는 과거 역경매 방식으로 산출된 배송 운임료에 관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산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물차 관리부(210)는 희망 목적지 집중도가 특정 기준 이상일 경우, 희망 목적지를 변경한 화물차주 단말(120)에게 희망 목적지를 변경하기 전에 예상되는 배송 운임료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물차 관리부(210)는 특정 화물차주가 희망 목적지를 대구에서 울산으로 변경하여 울산에 관한 희망 목적지 집중도가 일정 수준 이상이 된 경우, 희망 목적지가 대구일 경우에 과거 역경매 방식으로 산출된 배송 운임료들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예상되는 배송 운임료를 화물차주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배송 운임료는 화물이 배송되는 거리, 화물의 무게, 화물의 상하차 시에 지원의 필요 유무에 따라 변경될 수 있고, 역경매 방식으로 산출될 수 있다.
화물운송 중계 장치(110)는 화물차 관리부(210)를 통해 특정 화물차주 단말(120)에 설정된 희망 목적지가 변경되기 전에 높은 운임료 순으로 예상 배송 운임료와 연관된 목적지들을 화물차주에게 제공할 수 있다(S460).
일 실시예에서, 화물차 관리부(210)는 특정 화물차주가 설정된 희망 목적지를 변경하기 전에,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다른 목적지들과 연관된 상위 특정 개수만큼의 최고 배송 운임료를 화물차주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물차 관리부(210)는 희망 목적지 집중도가 높은 지역부터 낮은 지역까지 각각의 목적지에 따라 책정되는 예상 배송 운임료에 대해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상위 5~10개의 최고 배송 운임료와 연관된 목적지들을 산출하여 화물차주 단말(12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화물운송 중계 시스템
110: 화물운송 중계 장치 120: 화물차주 단말
130: 사용자 단말 140: 사용자 컴퓨터
210: 화물차 관리부 220: 온라인 배차신청 수신부
230: 화물차 선택부 240: 제어부
250: 화물차 데이터베이스

Claims (8)

  1. 화물차주 단말에 있는 위치 측정 센서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된 화물차주의 현재 위치와 상기 화물차주 단말에 가변적으로 설정된 희망 목적지를 주기적으로 갱신하여 화물차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화물차 관리부;
    차량종류와 화물내용을 포함하는 화물정보 및 화물차의 출발지와 도착지를 포함하는 운송경로정보를 포함하는 온라인 배차신청을 수신하는 온라인 배차신청 수신부; 및
    상기 온라인 배차신청을 기초로 상기 화물차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출발지의 제1 특정 거리 내에서 인접한 현재 위치에 있는 제1 화물차 그룹을 선택한 다음 상기 제1 화물차 그룹에서 상기 도착지의 제2 특정 거리 내에 인접한 희망 목적지를 설정한 제2 화물차 그룹을 선택하는 화물차 선택부를 포함하고,
    상기 화물차 관리부는 상기 화물차주의 현재 위치들을 분류하여 위치 분포군들을 형성하고, 상기 위치 분포군들 중에서 복수의 위치 분포군들과 상기 화물차의 출발지 위치와의 거리 차이의 평균에 해당하는 거리를 상기 제1 특정 거리로 산출하며,
    상기 화물차 관리부는 기준 거리에서 상기 화물차주 단말로부터 수신된 변경 이후의 희망 목적지와 변경 이전의 희망 목적지의 집중도의 차이를 기초로 상기 제2 특정 거리를 산출하는 온라인 투 오프라인 기반의 화물운송 중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차 관리부는
    특정 화물차주 단말에 설정된 희망 목적지가 변경되면 상기 변경 이전 및 상기 변경 이후의 희망 목적지들 각각에 관한 희망 목적지 집중도를 분석하여 상기 변경 이전 및 상기 변경 이후의 희망 목적지들 각각에 관한 제2 특정 거리를 산출하여 상기 화물차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투 오프라인 기반의 화물운송 중계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차 관리부는
    특정 주기 단위로 모든 화물차주 단말들의 현재 위치들을 분류하여 위치 분포군들을 형성하고 상기 위치 분포군들 각각에 관한 제1 특정 거리를 산출하여 상기 화물차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투 오프라인 기반의 화물운송 중계 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차 선택부는
    상기 제2 화물차 그룹에서 화물차주 회원들 간에 균등하게 운송 기회를 제공하도록 상기 온라인 배차신청을 순차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투 오프라인 기반의 화물운송 중계 장치.
KR1020160133486A 2016-10-14 2016-10-14 온라인 투 오프라인 기반의 화물운송 중계 장치 KR101738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3486A KR101738489B1 (ko) 2016-10-14 2016-10-14 온라인 투 오프라인 기반의 화물운송 중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3486A KR101738489B1 (ko) 2016-10-14 2016-10-14 온라인 투 오프라인 기반의 화물운송 중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8489B1 true KR101738489B1 (ko) 2017-05-22

Family

ID=59050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3486A KR101738489B1 (ko) 2016-10-14 2016-10-14 온라인 투 오프라인 기반의 화물운송 중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84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4738B1 (ko) 2022-08-24 2023-04-24 곳간로지스 주식회사 화물운송과 물류창고를 통합 운영하는 전자문서 처리형 중개 플랫폼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4738B1 (ko) 2022-08-24 2023-04-24 곳간로지스 주식회사 화물운송과 물류창고를 통합 운영하는 전자문서 처리형 중개 플랫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51135A1 (en) Predictive analytics for transport services
KR101941934B1 (ko) 온라인 화물운송 차량중계장치
CN107278312B (zh) 用于管理和优化送货网络的系统和方法
Meisel et al. Integrated production and intermodal transportation planning in large scale production–distribution-networks
US20190080284A1 (en)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for freight system
US20200134557A1 (en) Logistical service for processing modular delivery requests
KR20140016053A (ko) 운송 매칭 시스템 및 운송 매칭 방법
US20180341919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vitation mechanisms to facilitate associate delivery of products en route from work
CN109564647A (zh) 评价装置、评价方法和评价程序
US20180276614A1 (en) System for Inventory Control
CA2413065A1 (en) Transportation planning, execution, and freight payment managers and related methods
WO201807204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freight transportation
JP2013075742A (ja) 荷物配送システム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102045797B1 (ko) 개방형 택배 플랫폼 및 이를 이용한 택배시스템
KR20210008581A (ko) 멀티 인수 및 멀티 배송을 위한 물류 운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10288281A (zh) 一种进出口货品管理系统
KR101553674B1 (ko) 지하철을 이용한 물품 배송 시스템
KR101770603B1 (ko)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
KR102364975B1 (ko) 배송 시스템, 배송 관리 시스템, 배송 관리 장치 및 배송 관리 방법
Taniguchi et al. City logistics 2: modeling and planning initiatives
KR101738489B1 (ko) 온라인 투 오프라인 기반의 화물운송 중계 장치
KR102571338B1 (ko) 블록체인 기반의 환적운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32524A (ko) 블록체인 기반의 운송 이력 매칭을 이용한 운송 중개 플랫폼 시스템, 운송 중개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0370727B1 (ko) 지하철역과 국철역을 이용한 수화물 배송 방법
KR20010093038A (ko) 운송 최적화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