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5144B1 - 마켓 연동 택배 시스템 - Google Patents

마켓 연동 택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5144B1
KR101905144B1 KR1020180064203A KR20180064203A KR101905144B1 KR 101905144 B1 KR101905144 B1 KR 101905144B1 KR 1020180064203 A KR1020180064203 A KR 1020180064203A KR 20180064203 A KR20180064203 A KR 20180064203A KR 101905144 B1 KR101905144 B1 KR 101905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ivery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terminal
carg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4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창신
Original Assignee
고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창신 filed Critical 고창신
Priority to KR1020180064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51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5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5144B1/ko
Priority to PCT/KR2018/014770 priority patent/WO2019235702A1/ko
Priority to CN201811505744.3A priority patent/CN110555645A/zh
Priority to US16/242,199 priority patent/US20190370742A1/en
Priority to JP2019027887A priority patent/JP6712339B2/ja
Priority to EP19162077.2A priority patent/EP357916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50/2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5Relationships between shipper or supplier and carri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3Trac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8Historical dat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052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measuring forces due to impac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켓 연동 택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전문 배달인에게 배송비의 이익이 최대로 지급되며, 당일 택배가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택배 배송과정에 발생되는 충격과 온습도 변화 및 화물의 외형변화를 감지하여 택배 착신자에게 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에 따라 택배 배송 과정의 정상 배송여부를 확인 가능하도록 하고, 분양하여 받은 배너 영역에 마켓을 제공하여 입점 활성화를 촉진하는 마켓 연동하는 마켓 연동 택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마켓 연동 택배 시스템에 있어서, 택배 수행을 위해 배달원 등록, 인증과 배송 요청을 받아 해당 배송 요청에 대한 배달원의 지정을 수행하며 배달원의 배송 상황정보를 수집하여 요청시 이를 전송하는 메인서버와; 상기 메인서버에 데이터 통신가능하도록 접속하여 택배 수행을 위한 배달원 등록과정을 수행하며 특정 배송 요청에 배달원 지정 의사정보를 상기 메인서버로 전송하며 배달원 지정 통보를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수신받는 배달원단말기와; 상기 메인서버에 데이터 통신가능하도록 접속하여 배송하고자 하는 화물에 대한 배송 요청을 수행하며 해당 배송 요청에 대한 배송 정보를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수신받는 클라이언트단말기;를 포함하되 배송 출발지에서 배송할 화물에 부착되어 배송할 화물의 현재 상태정보인 제1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배달원단말기로 전송하며 배송 목적지 도착시 배송할 화물의 현재 상태정보인 제2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배달원단말기로 전송하는 IoT복합센서모듈이 포함된다.

Description

마켓 연동 택배 시스템{Market linkage courier system}
본 발명은 마켓 연동 택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전문 배달인에게 배송비의 이익이 최대로 지급되며, 당일 택배가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택배 배송과정에 발생되는 충격과 온습도 변화 및 화물의 외형변화를 감지하여 택배 착신자에게 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에 따라 택배 배송 과정의 정상 배송여부를 확인 가능하도록 하며, 분양하여 받은 배너 영역에 마켓을 제공하여 입점 활성화를 촉진하는 마켓 연동 택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우체국 주도의 소포시스템이 민간기업에 의해 택배시스템으로 전환되면서, 소화물의 물류 시스템에 큰 변화가 이루어졌다. 민간기업에 의한 택배시스템이 도입되면서 개인과 개인간에, 기업과 개인간에 그리고 기업과 기업간에 소화물 또는 대화물이 물류배송이 활성되면서 현재는 국가 경제의 한 축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아주 작은 소화물이나 서류 등의 당일 배송이 필요한 경우가 있었고, 이에 발 맞추어 이륜자동차에 의한 퀵배송이 만들어졌고 현재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이다.
그러나, 기존의 택배시스템은 화물을 한 장소에 모은 후 지역별로 나누어 다시 분류한 다음 해당 지역으로 화물을 보내고, 해당 지역에서는 다시 작은 지역으로 물품을 분류한 후 배달원에 의한 배달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아무리 가까운 거리, 예컨대 서울에서 수원까지의 거리라 하더라도 통상적으로 1박 2일이 소요되게 된다. 따라서, 당일 배송이 필요한 경우 기존의 택배시스템을 전혀 이용할 수 없다라는 단점이 있다.
한편, 당일 배송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 퀵배송을 이용할 수 있지만 이는 비용이 많이 들어가며, 특히 원거리 지역인 경우에는 상당한 비용이 들어가게 된다. 또한 퀵배송의 경우도 아주 먼 원거리의 배송, 예컨대 서울에서 천안까지의 원거리 배송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라는 단점이 있다.
한편, 기존의 중고물품 거래는 판매사이트와 택배시스템이 별도로 이루어지고, 또한 판매하는 물품의 검증이 확실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사기거래이 위험성이 존재하고, 또한 안전결제를 통한 결제의 경우 결제대금이 늦게 지급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택배의 경우 적절한 비용으로 지역에 상관없이 당일자로 배송이 가능하고, 개인간 물품거래의 경우 판매물품의 검증과 당일자 배송과 빠른 결제대금 지급이 가능한 택배시스템이 도입된다면 사용자 모두에게 아주 유용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저렴한 비용으로 당일자 배송 및 안전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고, 분양하여 받은 배너 영역에 마켓을 제공하여 입점 활성화를 촉진하는 마켓 연동 택배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마켓 연동 택배 시스템에 있어서, 택배 수행을 위해 배달원 등록, 인증과 배송 요청을 받아 해당 배송 요청에 대한 배달원의 지정을 수행하며 배달원의 배송 상황정보를 수집하여 요청시 이를 전송하는 메인서버와; 상기 메인서버에 데이터 통신가능하도록 접속하여 택배 수행을 위한 배달원 등록과정을 수행하며 특정 배송 요청에 배달원 지정 의사정보를 상기 메인서버로 전송하며 배달원 지정 통보를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수신받는 배달원단말기와; 상기 메인서버에 데이터 통신가능하도록 접속하여 배송하고자 하는 화물에 대한 배송 요청을 수행하며 해당 배송 요청에 대한 배송 정보를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수신받는 클라이언트단말기;를 포함하되 배송 출발지에서 배송할 화물에 부착되어 배송할 화물의 현재 상태정보인 제1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배달원단말기로 전송하며 배송 목적지 도착시 배송할 화물의 현재 상태정보인 제2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배달원단말기로 전송하는 IoT복합센서모듈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IoT복합센서모듈은 온습도센서, 충격센서, 화물 배송박스의 개폐유무를 판단하는 온오프센서, 화물의 크랙을 감지하는 크랙센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크랙센서는 크랙이 발생되는 일측 지점에 배치되는 슬라이더체와, 상기 슬라이더체에 이격되어 다수개가 설치되는 PIO포트와, 상기 각 PIO포트의 일측 단부에 체결되는 스프링부재와, 상기 스프링부재의 일단에 스프링부재의 이동에 따라 접촉 또는 비접촉되며 크랙이 발생되는 타측 지점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전원단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메인서버는 배달원단말기 또는 클라이언트단말기의 요청이 있는 경우 택배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배달원단말기 또는 클라이언트단말기는 제공받은 택배전용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실행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메인서버는 상기 배달원단말기와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배달원의 인증 및 등록과 배달원 지정을 관리하는 배송인력 관리서버와, 상기 클라이언트단말기와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고객에 요청에 따른 화물을 배송을 관리하기 위한 배송관리서버와, 배송에 따른 비용 결제와 배송인력에 대한 배송비용의 정산과 B2B, B2P 및 P2P에 따른 비용 결제 및 정산을 관리하는 결제관리서버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결제관리서버는 외부의 금융기관서버와 연결되어 비용 정산이 이루어지며 배송 요금에 대한 결제 및 정산과 화물 비용 및 배송 요금에 대한 결제 및 정산 중 어느 하나의 비용 정산이 수행된다.
또한 상기 배송인력 관리서버는 배달원단말기로부터 배달원 등록 요청이 있는 경우 배달원의 식별정보 입력을 요청하고 입력된 식별정보를 통해 등록이 완료되는 경우 해당 배달원단말기로 특정 개인코드를 전송하도록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배송관리서버는 클라이언트단말기로부터 배송 요청이 있는 경우 배송 목적지, 배송 출발지, 목적 배송 날짜 및 시간, 수신인을 포함하는 배송 정보의 입력을 요청하고 정상적으로 입력되는 경우 이를 접수하여 배송번호를 생성하고 클라이언트단말기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배송관리서버는 클라이언트단말기로부터 배송 요청을 수신한 경우 배송인력 관리서버로 배송 정보를 전송하고, 배송인력 관리서버는 등록된 다수의 배달원단말기들에 해당 배송 정보를 전송하고 배달원 지정의사 정보를 요청한다.
아울러 상기 배송인력 관리서버는 신속한 배송을 위해 배달원단말기의 GPS정보 또는 기지국정보와 배송할 화물의 배송 정보를 비교하여 배송 출발지 또는 배송 목적지로부터 설정 거리 이내에 있는 배달원단말기로 배송 정보 전송 및 배달원 지정의사 정보를 요청한다.
또한 상기 배송인력 관리서버는 배송 출발지와 배송 목적지가 설정 거리보다 먼 경우 전체 경로를 다수의 분할경로로 분류하여 해당 분할경로별로 배달원단말기에 배송 정보 전송 및 배달원 지정의사 정보를 요청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배달원단말기는 배송인력 관리서버로부터 배달원 지정통보 정보가 수신된 경우 해당 배송 출발지에 도착한 후 배송할 화물을 수거할 시에 배송할 화물에 배송라벨을 부착하고 이에 대한 영상정보를 택배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배송관리서버로 전송한다.
아울러 상기 배달원단말기는 배송 목적지에 도착한 후 배송할 화물을 수신하는 착신자로부터 서명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배송관리서버로 전송하며, 배송관리서버는 서명정보와 함께 배송이 완료되었음을 클라이언트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배송인력 관리서버는 다수의 분할경로별로 배달원을 지정하고자 하는 경우 전체 배송 경로 중 부분 경로로 배송이 가능한 제1배달원단말기의 배송 지정의사 정보가 수신된 경우 이를 제외한 나머지 배송 경로에 대해 배송 정보 및 배송의사 정보 요청을 해당 설정 거리 이내의 배달원단말기로 전송한다.
아울러 2개소의 분할경로별로 각각 제1배달원단말기 및 제2배달원단말기가 지정된 경우 제1배달원단말기와 제2배달원단말기가 서로 만나게 되면 상기 제1배달원단말기는 인계하는 화물 영상정보를 배송관리서버로 전송하여 인계 완료를 알리며 제2배달원단말기는 인수된 화물 영상정보를 배송관리서버로 전송하여 인수 완료를 알린다.
또한 상기 결제관리서버는 화물 비용 및 배송 요금에 대한 결제 및 정산이 이루어지는 경우 클라이언트단말기로부터 화물 구매대금과 배송 요금을 결제관리서버로 정산이 이루어지고, 정산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배송 요청 정보를 배송관리서버를 통해 수신받도록 해당 정보를 배송관리서버로 전송하며 배송관리서버는 정상적으로 배송 정보가 입력된 경우 이를 배송인력 관리서버로 전송하여 배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배송이 정상적으로 완료되고 클라이언트단말기로부터 화물 구매확정 정보가 수신되며 이를 결제관리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결제관리서버는 클라이언트단말기로부터 정산된 요금 중 화물 구매대금을 해당 화물 판매자로 송금한다.
아울러 상기 결제관리서버는 클라이언트단말기로부터 화물 구매확정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클라이언트단말기로부터 정산된 요금 중 배송 요금을 제외한 요금에 대해 클라이언트단말기에서 지정한 계좌정보를 통해 송금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마켓 연동 택배 시스템은, 클라이언트단말기로 가맹점 정보를 제공하는 마켓관리서버가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마켓관리서버는, 접속되는 클라이언트단말기로 제공할 가맹점 정보를 리스트업하고, 입점 요청에 따른 입점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가맹점관리부와, 상기 가맹점관리부에 의해 클라이언트단말기로 제공된 가맹점 정보를 통해 클라이언트단말기의 구매 요청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가맹점의 해당 상품 정보에 따른 결제 과정을 결제서버와 연계하여 처리하는 결제관리부와, 상기 결제관리부에 의해 결제 처리가 완료된 상품에 대해 클라이언트단말기로부터 전달된 배송 정보에 따라 배송관리서버 및 배송인력 관리서버와 연계하여 배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배송관리부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맹점관리부는 상기 클라이언트단말기로 가맹점 정보 제공하는 경우 웹페이지 형태로 제공하게 되는데, 상기 웹페이지에는 배송 요청 또는 배달원 등록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페이지에 좌측 또는 우측 배너 공간을 형성하여 해당 배너 공간에 상기 가맹점 정보가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맹점관리부는 상기 배너 공간을 가맹점이 분양받을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켓 연동 택배 시스템은 배달원단말기를 통해 배송관리서버로 등록하는 경우 누구나 배달원으로 지정될 수 있음에 따라 많은 배달원의 모집이 가능하여 특정 배송 경로에 최적의 배달원이 배정될 가능성이 증대되고, 이를 통해 배송 시간이 최소화될 수 있다.
아울러 배송 거리가 먼 경우에도 다수의 분할경로로 분류하여 분할경로별 배송 배달원을 모집함에 따라 거리에 상관없이 당일 배송이 가능하고, 배달원에게 배송요금을 대부분을 지급함으로써 배달원의 수익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IoT복합센서모듈을 통해 배송 과정에서의 화물 상태 정보 변화를 정확한 센서 데이터를 통해 확인 가능함으로써 배송 과정에서의 화물 파손 여부를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택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택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크랙센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켓 연동 택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문 배달원의 등록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배달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원거리 배달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물품거래에 안전결제와 배달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고 이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택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택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크랙센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택배 시스템(1000)은 크게 택배 수행을 위해 배달원 등록, 인증과 배송 요청을 받아 해당 배송 요청에 대한 배달원의 지정을 수행하며 배달원의 배송 상황정보를 수집하여 요청시 이를 전송하는 메인서버(100)와, 상기 메인서버(100)에 데이터 통신가능하도록 접속하여 택배 수행을 위한 배달원 등록과정을 수행하며 특정 배송 요청에 배달원 지정 의사정보를 상기 메인서버(100)로 전송하며 배달원 지정 통보를 상기 메인서버(100)로부터 수신받는 배달원단말기(600)와, 상기 메인서버(100)에 데이터 통신가능하도록 접속하여 배송하고자 하는 화물에 대한 배송 요청을 수행하며 해당 배송 요청에 대한 배송 정보를 상기 메인서버(100)로부터 수신받는 클라이언트단말기(700)과, 배송 출발지에서 배송할 화물에 부착되어 배송할 화물의 현재 상태정보인 제1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배달원단말기(600)로 전송하며 배송 목적지 도착시 배송할 화물의 현재 상태정보인 제2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배달원단말기(600)로 전송하는 IoT복합센서모듈(8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IoT복합센서모듈(800)은 화물의 배송 시 배달원이 인수 후 최종 착신자에게 인계시까지의 화물 상태 정보 변화를 감지하여 이를 착신자 또는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배송 과정의 화물 손상을 정확한 센서 데이터를 통해 확인가능함에 따라 배송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논란의 요소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IoT복합센서모듈(800)은 온습도센서, 충격센서, 화물 배송박스의 개폐유무를 판단하는 온오프센서, 화물의 크랙을 감지하는 크랙센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온오프센서로는 화물의 포장박스와 같은 포장수단에 보안 봉인라벨 형태로 부착되어 이의 탈착 또는 훼손을 감지하는 스티커타입센서가 해당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크랙센서(810)는 크랙이 발생되는 일측 지점에 배치되는 슬라이더체(811)와, 상기 슬라이더체(811)에 이격되어 다수개가 설치되는 PIO포트(812)와, 상기 각 PIO포트(812)의 일측 단부에 체결되는 스프링부재(813)와, 상기 스프링부재(813)의 일단에 스프링부재(813)의 이동에 따라 접촉 또는 비접촉되며 크랙이 발생되는 타측 지점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전원단자부(8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크랙 발생 일측지점에 설치되는 슬라이더체(811)가 이동하게 되면 다수개가 설치되는 PIO포트(812)를 pull down시켜 어느 정도 슬라이더체(811)가 이동했는지 알 수 있게 되며, 크랙의 발생여부는 물론 크랙의 길이를 슬라이더체(811)를 통해 알 수 있게 된다 .
이와 같은 IoT복합센서모듈(800)은 배달원이 배송 출발지에 도착시 배송할 화물에 부착되며 현재 화물의 상태정보인 제1상태정보를 생성하여 배달원단말기(600)로 이를 전달하며 배달원단말기(600)는 이를 배송관리서버(300)로 전송한다.
아울러 배송 목적지에 도착시 도착된 화물의 상태정보인 제2상태정보를 생성하여 배달원단말기(600)로 이를 전달하며 배달원단말기(600)는 이를 배송관리서버(300)로 전송함으로써 배송관리서버(300)에서 제1상태정보와 제2상태정보를 비교하여 정상적인 배송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대한 판단결과를 착신자 또는 클라이언트단말기(700)로 제공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메인서버(100)는 배달원단말기(600) 및 클라이언트단말기(700)의 회원 등록, 인증은 물론 배송 요청에 대한 배송 전과정을 관리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메인서버(100)는 상기 배달원단말기(600)와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배달원의 인증 및 등록과 배달원 지정을 관리하는 배송인력 관리서버(200)와, 상기 클라이언트단말기(700)와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고객에 요청에 따른 화물을 배송을 관리하기 위한 배송관리서버(300)와, 배송에 따른 비용 결제와 배송인력에 대한 배송비용의 정산과 B2B, B2P 및 P2P에 따른 비용 결제 및 정산을 관리하는 결제관리서버(400)를 포함한다.
상기 배송인력 관리서버(200)는 다수의 배달원의 정보를 관리하여 배송 요청이 있는 경우 적합한 배달원의 배달원단말기(600)로 배송 정보를 전송함에 따라 배달원 지정의사 정보를 수신받아 특정 배달원을 지정하고 해당 배달원을 통해 배송이 이루어지도록 관리한다.
이와 같은 배송인력 관리서버(200)는 배달원단말기(600)와 데이터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어 배달원단말기(600)로부터 배달원 등록 요청을 받는데, 배달원 등록 요청시에는 배달원단말기(600)로 배달원의 식별정보, 즉 개인정보로서 예컨대 주소와 같은 개인인적 정보, 활동가능한 지역, 운송수단 구비여부, 등록할 휴대폰번호, 입금계좌정보를 입력하도록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운송 수단은 자동차, 화물차, 이륜차 이외에 최근에 주요한 운송 수단으로 부상하고 있는 드론을 포함한다.
이러한 과정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배달원은 배달원단말기(600)를 통하여 주요 배달 지역을 카테고리로 선택하고 상세한 배달 조건(운송 수단 구비여부, 취급 가능한 상품 목록등)을 입력한 후에 자신의 조건(가능 시간대나 가능 요일)과 맞는 배달의 종류(신속 배달, 익일 배달)와 그에 따른 조건들은 입력하여 배송인력 관리서버(200)로 제공한다.
이를 위해 배달원단말기(600)의 배달원 등록 요청이 있거나 클라이언트단말기(700)의 배송 요청이 있는 경우 메인서버(100)에서는 택배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여 배달원단말기(600) 또는 클라이언트단말기(700)가 제공받은 택배전용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실행하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배달원단말기(600) 또는 클라이언트단말기(700)는 메인서버(100)에 접속시 상기 택배전용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통해 메인서버(100)와 연결되며 다양한 정보 조회, 요청 정보 전달 및 수신 등이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배송인력 관리서버(200)는 배달원단말기(600)로부터 배달원 등록 요청에 따른 배달원의 식별정보 입력이 완료되고 정상적인 입력인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배달원단말기(600)로 특정 개인코드를 전송하게 된다.
이와 같은 개인코드를 통해 택배전용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하고 로그인이 수행됨에 따라 반복적인 별도의 인증 과정은 생략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배송인력 관리서버(200)로 다수의 배달원단말기(600)의 등록이 완료되면 향후 배송 요청이 배송관리서버(300)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 등록된 배달원단말기(600)들로 배송 요청시 함께 전달받는 배송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배달원단말기(600)로부터 배달원 지정의사 정보를 수신받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배송인력 관리서버(200)는 신속한 배송을 위해 배달원단말기(600)의 GPS정보 또는 기지국정보와 배송할 화물의 배송 정보를 비교하여 배송 출발지 또는 배송 목적지로부터 설정 거리 이내에 있는 배달원단말기(600)로 배송 정보 전송 및 배달원 지정의사 정보를 요청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차량없이 도보를 이용하는 배달원의 경우 1KM 이내, 운송수단(자동차, 이륜자, 화물차, 드론을 포함)을 이용하는 배달원의 경우 3KM 이내에 있는 배달원단말기(600)로 배송 정보를 전송하고 배달원 지정의사 정보를 요청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배달원 지정의사 정보를 요청받은 배달원단말기(600) 중 선착순으로 지정의사를 전송한 배달원단말기(600)에게 배송인력 관리서버(200)는 배달원 지정통보 정보를 전달하고 해당 지정통보 정보를 전달받은 배달원단말기(600)는 배송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에서는 선착순으로 지정의사를 전송한 배달원단말기(600)를 선택하도록 하였으나, 배달원단말기(600)를 통하여 입력된 배달 가능 조건과 클라이언트 단말기(700)를 통하여 입력된 배달 요청 조건의 일치도를 판단하여 배달원단말기(600)를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배달원단말기(600)를 통하여 입력되는 배달 가능 조건과 클라이언트 단말기(700)를 통하여 입력되는 배달 요청 조건들을 실시간으로 비교하여 가장 최적으로 근접하는 조건을 제시한 배달원과 배송자를 1 대 1로 연결시켜서 배송에 대한 거래를 성사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써, 배송의 거래가 양방향적으로 실시간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여 조건에 맞는 제공자를 일일이 찾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과 시간상의 절약이 이루어 질 수 있으며, 부당한 조건에 할 수 없이 응하여야 하는 부당함이 없으므로, 배송자 및 배달자 양측의 경제적, 시간적인 이익을 창출하는 윈윈(win win)전략을 세울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와 달리, 경매 방식이나, 역경매 방식을 통하여 다수의 배달원단말기(600)가 배달 요청을 한 경우에 어느 하나의 배달원단말기(600)를 지정할 수 있다.
즉, 경매와 역경매방식을 응용하여 상기 배송을 요청하는 배송자가 출발지와 목적지,경유지 등을 포함한 배송 기본정보와 배달원의 조건을 설정한 다음 경매 또는 역경매 방식으로 자동중개 또는 수동중개로 배송 구매를 요청하고 이에 대응하여, 배달원이 상기 배달 구매 요청에 대하여 사전에 설정하여 놓은 배달원 조건에 만족하는 배달 구매요청에 대하여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입찰하여 서로 합리적인 요금과 조건으로 중개가 이루어지고 신속하게 배송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송인력 관리서버(200)는 배송 출발지와 배송 목적지가 설정 거리보다 먼 경우 전체 경로를 다수의 분할경로로 분류하여 해당 분할경로별로 배달원단말기(600)에 배송 정보 전송 및 배달원 지정의사 정보를 요청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다수의 분할경로별로 배달원을 지정하고자 하는 경우 배송인력 관리서버(200)에서 배송 경로를 분류하여 각 배송 경로별로 배송할 배달원단말기(600)를 지정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로는 전체 배송 경로 중 부분 경로로 배송이 가능한 제1배달원단말기(610)의 배송 지정의사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제외한 나머지 배송 경로에 대해 배송 정보 및 배송의사 정보 요청을 해당 설정 거리 이내의 배달원단말기(600)로 전송하여 나머지 경로에 대한 배송을 담당할 제2배달원단말기(620) 또는 그 이상의 배달원단말기를 지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송관리서버(300)는 상기 클라이언트단말기(700)와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고객에 요청에 따른 화물을 배송을 관리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클라이언트단말기(700)로부터 배송 요청이 있는 경우 배송 목적지, 배송 출발지, 목적 배송 날짜 및 시간, 수신인을 포함하는 배송 정보의 입력을 요청하고 정상적으로 입력되는 경우 이를 접수하여 배송번호를 생성하고 클라이언트단말기(700)로 제공한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화물을 배송하기 원하는 배송자는 클라이언트 단말기(700)를 통하여 배송관리서버(300)에 접속하여 자신이 보내려고 하는 화물의 거래 형태(해상운송, 항공운송 또는 내륙운송중 하나 이상)를 먼저 선택한 후 상품형태 및 상품종류 카테고리를 선택하고 상세한 상품명을 입력한 후에 자신에게 적합한 운송비용 및 운송일시 등의 조건을 입력하게 되면 배송관리서버(300)는 이러한 내용을 배달원이 배달원단말기(600)를 통하여 접속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배송관리서버(300)는 클라이언트단말기(700)로부터 배송 요청을 수신한 경우 배송인력 관리서버(200)로 배송 정보를 전송하고, 배송인력 관리서버(200)는 등록된 다수의 배달원단말기(600)들에 해당 배송 정보를 전송하고 배달원 지정의사 정보를 요청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배송 정보는 보내는 사람과 받는 사람의 정보와, 보내고자 하는 화물의 정보와, 보내고자 하는 화물의 가격 정보, 배송 출발지 정보, 배송 목적지 정보 등이 해당된다.
한편 상기 결제관리서버(400)는 배송에 따른 비용 결제와 배송인력에 대한 배송비용의 정산과 B2B, B2P 및 P2P에 따른 비용 결제 및 정산을 관리하도록 구비되는데, 이러한 결제관리서버(400)는 외부의 금융기관서버(500)와 연결되어 비용 정산이 이루어지며 배송 요금에 대한 결제 및 정산과 화물 비용 및 배송 요금에 대한 결제 및 정산 중 어느 하나의 비용 정산이 수행된다.
즉, 일반적으로 배송 요청만이 수신되는 경우 결제 요금은 배송 요금이 될 것이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물품 구매 및 배송이 함께 요청되는 경우 물품 구매대금 즉 화물 비용 및 이의 배송 요금이 합산되어 결제 요금으로 정산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 화물 비용 및 배송 요금에 대한 결제 및 정산이 이루어지는 경우 결제관리서버(400)는 클라이언트단말기(700)로부터 화물 구매대금과 배송 요금을 결제관리서버(400)로 정산이 이루어지고, 정산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배송 요청 정보를 배송관리서버(300)를 통해 수신받도록 해당 정보를 배송관리서버(300)로 전송하며 배송관리서버(300)는 정상적으로 배송 정보가 입력된 경우 이를 배송인력 관리서버(200)로 전송하여 배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배송이 정상적으로 완료되고 클라이언트단말기(700)로부터 화물 구매확정 정보가 수신되며 이를 결제관리서버(400)로 전송하며 상기 결제관리서버(400)는 클라이언트단말기(700)로부터 정산된 요금 중 화물 구매대금을 해당 화물 판매자로 송금한다.
물론 상기 결제관리서버(400)는 클라이언트단말기(700)로부터 화물 구매확정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클라이언트단말기(700)로부터 정산된 요금 중 배송 요금을 제외한 요금에 대해 클라이언트단말기(700)에서 지정한 계좌정보를 통해 송금이 이루어지게 될 것이다.
한편 상기 배달원단말기(6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인서버(100)에 데이터 통신가능하도록 접속하여 택배 수행을 위한 배달원 등록과정을 수행하며 특정 배송 요청에 배달원 지정 의사정보를 상기 메인서버(100)로 전송하며 배달원 지정 통보를 상기 메인서버(100)로부터 수신받도록 이루어지며 배달원 지정통보가 수신되면 해당 배달원단말기(600)의 배달원은 해당 배송 정보에 따른 화물 배송을 수행하고 이에 대한 화물 인수 정보 및 화물 인계 정보를 각각 배송관리서버(300)로 전송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화물 인수 정보의 전송은 배달원단말기(600)가 배송 출발지에 도착한 후 배송할 화물을 수거할 시에 배송할 화물에 배송라벨을 부착하고 이에 대한 영상정보를 택배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배송관리서버(300)로 전송하는 것으로 달성되며, 화물 인계 정보 전송은 상기 배달원단말기(600)가 배송 목적지에 도착한 후 배송할 화물을 수신하는 착신자로부터 서명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배송관리서버(300)로 전송하는 것으로 달성된다.
물론 이때 배송관리서버(300)는 서명정보와 함께 배송이 완료되었음을 클라이언트단말기(700)로 전송하여 배송이 완료되었음을 통지한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이 여기서 분할경로별로 각각 제1배달원단말기(610) 및 제2배달원단말기(620)가 지정된 경우 제1배달원단말기(610)와 제2배달원단말기(620)가 서로 만나게 되면 상기 제1배달원단말기(610)는 인계하는 화물 영상정보를 배송관리서버(300)로 전송하여 인계 완료를 알리며 제2배달원단말기(620)는 인수된 화물 영상정보를 배송관리서버(300)로 전송하여 인수 완료를 알린다.
한편 상기 클라이언트단말기(7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인서버(100)에 데이터 통신가능하도록 접속하여 배송하고자 하는 화물에 대한 배송 요청을 수행하며 해당 배송 요청에 대한 배송 정보를 상기 메인서버(100)로부터 수신받도록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켓 연동 택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마켓 연동 택배 시스템(1000)은 마켓관리서버(900)가 구비되어 클라이언트단말기(700)에 가맹점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마켓관리서버(900)는 접속되는 클라이언트단말기(700)로 제공할 가맹점 정보를 리스트업하는 가맹점관리부(910)와, 상기 가맹점관리부(910)에 의해 클라이언트단말기(700)로 제공된 가맹점 정보를 통해 클라이언트단말기(700)의 구매 요청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가맹점의 해당 상품 정보에 따른 결제 과정을 결제서버(400)와 연계하여 처리하는 결제관리부(920)와, 상기 결제관리부(920)에 의해 결제 처리가 완료된 상품에 대해 클라이언트단말기(700)로부터 전달된 배송 정보에 따라 배송관리서버(300) 및 배송인력 관리서버(200)와 연계하여 배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배송관리부(9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맹점관리부(910)는 다양한 가맹점으로부터 입점 요청을 받으며, 이를 별도의 관리자 단말기(도면 미표시)로 전송하며 해당 관리자 단말기는 입점 요청에 따른 입점 허용 여부를 결정하여 입점 허용정보를 가맹점관리부(91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입점 허용정보에 의해 입점 요청이 수용되는 경우 클라이언트단말기(700)로 제공되는 가맹점 정보에 해당 입점 요청이 수용된 가맹점 정보가 함께 포함되어 제공되게 되며 입점 요청이 수용되지 않은 경우 입점 요청한 가맹점에 전송하여 결과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가맹점관리부(910)가 클라이언트단말기(700)로 가맹점 정보 제공하는 경우 웹페이지 형태로 제공하게 되는데, 상기 웹페이지에는 전술한 택배 시스템(1000)의 배송 요청 또는 배달원 등록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페이지에 좌측 또는 우측 배너 공간을 형성하여 해당 배너 공간에 상기 가맹점 정보가 출력되도록 하거나 별도의 가맹점 페이지를 생성하여 복수개의 가맹점 정보가 클라이언트단말기(700)로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가맹점관리부(910)는 배너 공간을 가맹점에게 분양한다.
이를 위하여 가맹점관리부(910)는 배너 공간에 대하여 다수의 가맹점이 분양받기를 원하면 선순위 분양 요청자나, 최대 분양가를 제출한 가맹점이 분양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여기에서, 분양을 받는다는 것은 1회 분양 대금 지급으로 비용 발생이 종료되는 것으로, 해당 가맹점은 배너 광고에 대하여 해마다 광고비를 지급하거나, 광고비의 상승에 대한 압력을 받지 않아 안정적인 영업 활동을 전개시킬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가맹점관리부(910)는 배너 형태의 광고 공간을 분양받은 해당 가맹점이 다른 가맹점에게 분양 받은 배너 형태의 광고 공간을 매도할 수 있도록 하는 광고 공간 매도 기능을 제공하여 배너 형태의 광고 공간을 분양 받은 해당 가맹점이 이를 다른 가맹점에게 매도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배너 형태의 광고 공간을 분양하게 되면, 배너 형태의 광고 공간을 분양 받은 해당 가맹점은 이를 다른 가맹점에게 매도할 수 있어 마켓 연동 택배 시스템을 활성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가맹점들로는 일예로 설명하면 길거리 음식점, 휴게소 음식점, 수제 반찬가게, 해외직구 대행마켓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상기 길거리 음식점이 입점하는 경우는 명동, 노량진 등 번화가의 길거리 음식에 대하여 가맹점 입점을 허용하여 붕어빵, 컵밥, 닭꼬치 등의 길거리 음식을 클라이언트단말기(700)의 요청에 따라 바로 결제관리부(920)에 의해 결제가 이루어지고, 배송관리부(930)에 의해 즉각적인 배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휴게소 음식점의 경우에도 요근래 방송에서도 인기가 급등하고 있는 휴게소 음식에 대하여 가맹점 입점을 허용하여 휴게소의 음식을 먹기 위해 많은 시간적, 금전적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을 휴게소를 자주 왕래하는 관광버스 운전기사, 화물차 운전기사 등이 배달원이 되어 본 발명에 따른 택배 시스템을 통해 클라이언트에게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주로 블로그를 통해 판매하는 수제 반찬가게의 경우에도 기존 배달 어플과 동일한 배달 서비스를 제공하여 당일 주문하면 그 날 저녁 반찬으로 먹을 수 있으며, 해외직구 대행마켓의 경우에도 여행, 출장 등의 일정으로 외국에 다녀오는 인원이 배달원 등록을 하여 사전에 예약된 물건을 대해 배송을 해줌에 따라 해외직구 물품의 배송이 쉽고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반대로 해외에서 물건을 사온 후 마켓관리서버(900)에 상품을 등록해 판매를 하는 방식을 택할 수 있다. 해외의 유명한 초콜릿, 특정 도시에서만 판매하는 스페셜 에디션 상품 등을 손쉽게 구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랑스 파리에서 판매하는 스타벅스 텀블러를 구매하고 싶은 사람이 있다면 마켓관리서버(900)에 요청 정보를 업로드하여 파리에 출장을 다녀오는 사람에게 요청하는 방식이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배너는 하나의 가맹점을 대표하는 형태가 아닌 길거리 음식점, 휴게소 음식점, 수제 반찬가게, 해외직구 대행마켓 등의 각각의 상위 개념을 대표하는 배너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배너는 각각 길거리 음식점, 휴게소 음식점, 수제 반찬가게, 해외직구 대행마켓 등을 대표하며, 해당 배너를 클릭하면 각각의 하위에 해당하는 가맹점들이 다수개 배너로 표시된다. 여기에서는 이러한 배너를 확장형 배너로 명명한다.
이와 같은 확장형 배너는 상품 카테고리를 단계별로 분류하여 상위단계 분류 리스트의 항목을 다수개 디스플레이 하며, 이중에서 어느 하나의 배너 광고가 선택되면, 해당항목의 하위단계가 다수개 보여지고 여기에서 그 다음 하위단계 리스트의 항목을 선택할 수 있게 되어있다.
상위단계 분류리스트의 항목 이미지 위로 마우스를 올려놓으면 이벤트가 발생하여 해당 항목에 연관된 레이어가 작동하여 하위단계 분류리스트가 보여진다. 그리고 하위 단계분류리스트의 항목 이미지 위로 마우스를 올려놓으면 해당 항목 이미지우측에 연관된 레이어가 작동하여 레이어에 포함된 배너광고가 보여진다.
이와 같이 확장형 배너로 배너를 구성하게 되면 웹페이지상에 너무 많은 배너들이 난립하여 웹페이지가 전달하려는 내용에 대한 집중도를 떨어뜨리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가맹점들에게는 더 많은 광고 기회를 줄 수가 있다.
또한, 가맹점들은 동일한 분류의 가맹점들과 함께 광고가 되기 때문에 관심을 쉽게 불러일으킬 수 있으며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상황에서 배너는 하나의 가맹점을 대표하는 형태가 아닌 백화점처럼 여러 가지 가맹점을 대표하는 윈도우형 배너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윈도우형 배너는 해당 배너를 클릭하면 해당 윈도우형 배너가 포함하고 있는 다용한 종류의 상품을 판매하는 가맹점들의 배너를 다수개 디스플레이해준다.
이와 같은 윈도우형 배너는 백화점에서 다양한 상품을 판매하듯이, 다종다양한 상품을 제공하는 가맹점들이 집중화되어 있어 한번 클릭으로 여러 상품을 선택하여 배달을 요청할 수 있는 기회를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결제관리부(820)는 가맹점 정보에 따른 구매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구매 물품의 비용 및 배송 요금에 대한 결제 및 정산을 위해 결제관리서버(400)로 이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 결제관리서버(400)로부터 결제 확인 정보가 수신되면 배송관리부(830)가 해당 물품에 대한 클라이언트단말기(700)의 배송 정보를 수신받아 이를 배송관리서버(300)로 전송하며 배송관리서버(300)는 정상적으로 배송 정보가 입력된 경우 이를 배송인력 관리서버(200)로 전송하여 배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배송이 정상적으로 완료되고 클라이언트단말기(700)로부터 물품 구매확정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결제관리서버(400)로 전송하며 상기 결제관리서버(400)는 클라이언트단말기(700)로부터 정산된 요금 중 물품 구매대금을 해당 물품 판매자로 송금한다.
본원 발명의 배송인력은 기존의 택배회사에서 고용하는 전문배달원과 달리 일반인들을 이용하게 된다. 일반인들을 이용한다는 점에서는, 기존의 음식전문배달업체와 유사하다. 그러나, 기존의 음식전문배달업체의 경우에는 신속한 배달을 위해 이륜자동차와 같은 운송수단을 가진 인원을 이용하지만, 본원 발명의 배달원은 아무런 제한이 없다. 즉 일반민간인, 택시기사, 화물운송차기사 등이 배달원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또한 운송수단의 유무가 전혀 필요없다.
먼저 본원 발명의 배달원의 등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먼저 배달원 등록을 원하는 일반인은 메인서버(100)를 통해 제공되는 인터넷 웹페이지를 통해 택배시스템에 접속한다(S10). 그런 다음, 개인정보, 예컨대 주소와 같은 개인인적 정보, 활동가능한 지역, 운송수단 구비여부, 등록할 휴대폰번호, 입금계좌 등과 같은 정보를 입력한다(S11). 그런 다음 공인인증서와 인증수단을 통해 개인인증을 한 후 회원가입을 완료하고(S12), 개인코드를 발급받는다(S13). 다음에, 등록 휴대폰에 택배전용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한 후 발급된 개인코드로 로그인한다(S14).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때, 정확성을 기하기 위해 등록휴대폰을 통한 휴대폰 인증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단계를 통해 전문 배달원의 등록절차가 완료된다.
다음에, 화물을 발송하기 위한 절차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화물을 특정지역에 배송하고자 하는 사람은 먼저 컴퓨터 또는 휴대폰 인터넷을 통해 본원 발명의 택배시스템에 접속한 후 배송을 요청하게 된다(S20). 이때 배송을 요청하는 사람은 택배시스템에 회원가입을 하거나 또는 회원가입하지 않고서도 배송을 요청하게 된다. 배송을 요청을 할 때, 보내는 사람과 받는 사람의 정보와, 보내고자 하는 화물의 정보와, 보내고자 하는 화물의 가격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이때, 보내는 사람의 주소와 배송요청을 하는 주소가 상이한 경우, 발송요청지 주소를 기입한다. 그러면, 택배시스템에서 배송번호를 배송 요청자에게 제공하게 된다(S21).
다음에, 택배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전문 배달원에게 배송할 화물이 있음을 통지한다(S22). 이때 신속한 배송을 위해, 전문 배달원의 휴대폰의 GPS정보, 또는 GPS정보를 확인할 수 없을 때 기지국정보와, 보내는 사람의 주소 또는 발송요청지 주소의 지리적정보를 이용하여, 일정 거리 이내에 있는 전문 배달원에게만 통지하게 된다. 예컨대, 차량없이 도보를 이용하는 전문배달원의 경우 1KM 이내, 운송수단을 이용하는 전문배달원의 경우 3KM 이내에 있는 전문 배달원에게 통지하게 된다.
그런 다음, 조건이 맞는 전문 배달원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선착순으로 배송 의사를 확인한다(S23). 그런 다음, 택배 시스템으로부터 담당 배달원이 지정되고(S24), 지정된 담당 배달원은 배송요청을 한 주소지로 가서 배송할 화물을 수거하게 된다(S25). 이때 배송을 요청한 당사자가 미리 화물을 배송할 수 있는 상태로 포장하거나 또는 전문 배달원이 현장에서 포장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전문 배달원은 포장된 화물에 보내는 사람과 받는 사람의 정보와 함께 배송번호를 배송라벨에 기입한 후 배송라벨을 화물에 부착하고 배송 요청자의 확인을 받은 후, 이 상태의 모습을 사진촬영한 후 애플리케이션에 업로드한다(S26). 이와 같이 배송할 화물을 사진촬영한 후 업로드하는 이유는 추후 발생할 지도 모르는 파손에 대한 증거자료로 사용할 목적이다.
이때, 전문 배달원은 IoT복합센서모듈을 배송 출발지에 도착시 배송할 화물에 부착하며, IoT복합센서모듈은 현재 화물의 상태정보인 제1상태정보를 생성하여 배달원단말기로 이를 전달하며 배달원단말기는 이를 배송관리서버로 전송한다.
그런 다음, 전문 배달원은 목적지, 즉 받는 사람의 주소지로 화물을 배송한 후, 받는 사람에게 화물은 전달한 다음 전문 배달원의 휴대폰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받는 사람의 서명을 받는다(S27). 그런 다음, 택배 시스템으로 화물배송완료가 전송되고, 보내는 사람에게 화물이 정상적으로 배송되었음을 배송 요청자에게 통지한다. 이 방법에서, 배송요청자는 택배 시스템의 웹페이지를 통해 화물의 배송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기존의 택배시스템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방법, 즉 화물이 위치한 지역만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과는 달리, 화물의 배송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즉, 전문 배달원이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은 GPS의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화물이 위치하는 구체적인 장소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IoT복합센서모듈은 배송 목적지에 도착시 도착된 화물의 상태정보인 제2상태정보를 생성하여 배달원단말기로 이를 전달하며 배달원단말기는 이를 배송관리서버로 전송함으로써 배송관리서버에서 제1상태정보와 제2상태정보를 비교하여 정상적인 배송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대한 판단결과를 착신자 또는 클라이언트단말기로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IoT 복합센서모듈은 전문 배달원에 의해 화물에서 수거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화물배송은 근거리, 예컨대 서울지역, 수원지역, 대구지역, 부산지역과 같은 지역에서 이루어지는 과정을 설명한 것이다. 그러나, 만일 원거리 화물배송, 예컨대 서울에서 대구까지 화물을 배송하는 경우에 당일 배송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일반적인 택배시스템을 통해서도 1박 2일이 소요되게 된다.
그러나, 본원 발명의 택배 시스템은 회사에 전속된 전문 배달원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인을 전문 배달원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당일 배송도 가능하게 된다.
도 6을 참조하여 원거리 배달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서울 노원구에서 대구 서구로 화물을 배달하는 경우를 예로 든다.
먼저, 배송하고자 하는 사람은 먼저 컴퓨터 또는 휴대폰 인터넷을 통해 본원 발명의 택배시스템에 접속한 후 배송을 요청하게 된다(S30).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보내는 사람과 받는 사람의 정보와, 보내고자 하는 화물의 정보와, 보내고자 하는 화물의 가격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이때, 보내는 사람의 주소와 배송요청을 하는 주소가 상이한 경우, 배송 요청지 주소를 기입한다. 그러면, 택배시스템에서 배송번호를 배송 요청자에게 제공하게 된다(S31).
다음에, 택배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전문 배달원에게 대구 서구지역에 배송할 화물이 있음을 통지한다(S32). 이때 신속한 배송을 위해, 전문 배달원의 휴대폰의 GPS정보, 또는 GPS정보를 확인할 수 없을 때 기지국정보와, 보내는 사람의 주소 또는 발송요청지 주소의 지리적정보를 이용하여, 일정 거리 이내에 있는 전문 배달원에게만 통지하게 된다. 만일 일정 거리 이내에 전문배달원이 없다면 지역을 더 넓혀 전문 배달원을 찾게 된다.
그런 다음, 조건이 맞는 전문 배달원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선착순으로 배송 의사를 확인한다(S33). 만일 조건이 맞는 전문 배달원이 대구 서구지역까지 직접 배송할 수 있다면 상기에서 설명한 단계 S24 내지 S27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즉, 대구에서 서울 노원구쪽으로 출장이나 개인적인 일로 방문한 후 대구로 귀향하는 경우 서울 노원구에서 화물을 인수한 후 대구 서구에서 받는 사람에게 직접 전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서울 노원구에서 대구 서구로 한 사람의 전문 배달원에 의한 배송이 불가능한 경우 다수의 전문 배달원에 의한 연계 배송이 가능하다.
먼저, 서울 특정지역에서 대구 서구까지 배송이 가능함을 등록한 제1전문 배달원을 찾는다는 요청을 전문 배달원에게 통지한다(S33).
그런 다음, 서울 특정지역에서 대구 서구까지 배송이 가능한 제1전문 배달원이 배송 의사를 확인하게 된다(S34).
다음에, 제1전문 배달원이 있는 특정지역, 예컨대 고속버스 터미널, 기차역까지 배송이 가능한 제2전문 배달원을 찾는다는 요청을 전문 배달원에게 통지한다(S35).
다음에, 서울 특정지역까지 배송이 가능한 제2전문 배달원의 배송 의사를 확인하고(S35), 제2전문 배달원이 배송요청 주소지까지 방문하여 배송할 화물의 사진을 촬영하여 업로드 한 후 화물을 수거한다(S36).
이때, 제2 전문 배달원은 IoT복합센서모듈을 배송 출발지에 도착시 배송할 화물에 부착하며, IoT복합센서모듈은 현재 화물의 상태정보인 제1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제2 전문 배달원의 배달원단말기로 이를 전달하며 배달원단말기는 이를 배송관리서버로 전송한다.
다음에, 특정지역에서 제1전문 배달원과 제2전문 배달원이 만난 후, 화물을 인계한다(S37). 이때, 업로드한 화물 사진을 통해 인계되는 화물의 이상 여부를 확인한 후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1전문 배달원과 제2전문 배달원이 인수, 인계완료를 확인한다(S38).
그런 다음, 제1전문 배달원은 대구 서구지역에서 받는 사람에게 화물을 전달한 후 서명을 받은 후 배송을 완료하게 된다(S39).
이때, IoT복합센서모듈은 배송 목적지에 도착시 도착된 화물의 상태정보인 제2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제1 전문 배달원의 배달원단말기로 이를 전달하며 제1 전문 배달원의 배달원단말기는 이를 배송관리서버로 전송함으로써 배송관리서버에서 제1상태정보와 제2상태정보를 비교하여 정상적인 배송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대한 판단결과를 착신자 또는 클라이언트단말기로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IoT 복합센서모듈은 제1 전문 배달원에 의해 화물에서 수거된다.
이와 같이, 다수의 전문 배달원을 이용함으로써 화물을 당일자로 원거리까지 배송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에서, 고속버스터미널이나, 기차역을 이용하는 전문 배달원을 예로 들었지만, 항공기가 취항하는 지역인 경우에는 항공기를 이용하는 전문 배달원을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직접 차량은 운전하는 운전자, 예컨대 승용차를 이용하는 운전자 또는 서울지역에 화물을 배달하고 돌아가는 화물차 운전자도 전문 배달원으로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는 두 명의 전문 배달원을 이용하는 것을 예로 들었지만, 서울 특정지역까지 배달하는 전문 배달원과, 서울 특정지역에서 대구 특정지역까지 배달하는 전문 배달원과, 대구 특정지역에서 최종 목적지까지 배달하는 전문 배달원까지 3명의 전문 배달원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요즘 개인 간의 상거래, 예컨대 중고물품의 거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중고거래는 직거래를 통해 이루어지지만 택배거래를 통해 이루어지기도 한다. 그러나, 중고거래 특성상 서로를 신뢰하지 못해 소위 안전결재라는 수단을 통해 이루어지기도 한다. 그러나, 안전결재를 사용하는 경우에, 결제와 택배배송을 따로 이루어지고, 또한 안전결재의 대금은 물품이 배송된 이후에도 상당한 기간, 예컨대 3-4일이 지나 입금이 되고, 서비스 비용이 비싸기 때문에 물품을 판매하는 사람이 안전결재를 회피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본원 발명의 택배시스템에서는 결제와 택배배송이 같이 이루어지고 또한 당일자로 배송이 가능하며, 결제대금을 빨리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7을 통해 안전거래와 택배시스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판매페이지를 통해 구매자가 물품 구매결정을 하고 구매대금을 택배시스템의 계좌로 입금한다(S40).
그러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배송할 물품이 있음을 전문 배달원에게 통지하고(S41), 배송할 전문 배달원이 지정되면 전문 배달원은 판매자에서 물품을 수거하게 된다(S41). 이때, 물품은 판매자가 미리 포장하는 것이 아니라 전문 배달원이 포장하게 된다. 그리고, 전문 배달원은 판매페이지에 나타난 정보, 즉 사진정보와 설명을 정보를 근거로 수거할 물품의 이상유무를 판단하고, 이상이 없다면 물품의 사진을 촬영하고 또한 물품을 포장한 후 물품의 포장상태를 사진 촬영한 후, 촬영한 사진들을 업로드 한다.
이때, 전문 배달원은 IoT복합센서모듈을 배송 출발지에 도착시 배송할 화물에 부착하며, IoT복합센서모듈은 현재 화물의 상태정보인 제1상태정보를 생성하여 배달원단말기로 이를 전달하며 배달원단말기는 이를 배송관리서버로 전송한다.
그런 다음, 전문 배달원은 포장된 물품을 구매자에게 직접 배송한 후, 구매자로부터 현장에서 직접 확인하게 한 후 물품의 이상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물품에 이상이 없다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구매자로부터 구매확정을 받는다(S42).
이때, IoT복합센서모듈은 배송 목적지에 도착시 도착된 화물의 상태정보인 제2상태정보를 생성하여 배달원단말기로 이를 전달하며 배달원단말기는 이를 배송관리서버로 전송함으로써 배송관리서버에서 제1상태정보와 제2상태정보를 비교하여 정상적인 배송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대한 판단결과를 착신자 또는 클라이언트단말기로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IoT 복합센서모듈은 전문 배달원에 의해 화물에서 수거된다.
그러면 택배시스템에서는 당일자로 또는 익일자로 수수료를 제외한 판매대금을 판매자의 계좌로 입금하게 된다(S43).
만일, 구매자로부터 구매확정을 받지 않고 반송을 하는 경우, 구매자의 입금금액에서 배송요금과 반송요금을 차감한 후 반송이 완료된 후 구매자의 반환계좌로 입금금액을 입금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판매사이트에서 구매와 함께 판매사이트를 통해 물품이 배송이 이루어지므로, 당사자가 직접 택배를 통해 물품을 배송할 필요가 없으며, 전문 배달원을 통해 물품의 이상유무가 판단되므로 사기거래를 방지할 수 있으며, 물품의 대금이 빠른 시간내에 판매자에게 지급된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현재의 음식배달 서비스의 경우, 음식배달 서비스를 시행하는 업체의 웹페이지에 각종 음식점 안내를 하고, 주문자는 상기 웹페이지를 통해 음식점과 음식을 선택하면, 음식배달 서비스업체의 전문배달원이 음식점을 방문하여 선택된 음식을 수거하여 주문자에게 배달하게 된다. 이 경우, 음식점에서 웹페이지를 통한 서비스비용을 받지 않고, 대신에 음식점에서 지불하는 소정의 배달료에서 이익을 취하기 때문에 전문배달원이 손에 쥐게 되는 비용은 작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원 발명에서는, 음식배달 웹페이지를 작성하고, 이 웹페이지에 가상의 음식점을 만든 후 희망하는 음식점에 부여하게 된다. 그리고 주문자가 가상의 음식점을 선택하게 되면 음식점의 실제 웹페이지나 블로그에 연결되고, 주문자는 실제 웹페이지나 블로그에서 음식을 주문하게 된다. 그러면, 음식의 주문은 상기에서 설명한 방식으로 등록된 전문 배달원에 의해 배달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메인서버 200 : 배송인력 관리서버
300 : 배송관리서버 400 : 결제관리서버
500 : 금융기관서버 600 : 배달원단말기
700 : 클라이언트단말기 800: IoT 복합센서 모듈
900: 마켓관리서버 1000 : 택배 시스템

Claims (20)

  1. 마켓 연동 택배 시스템에 있어서,
    택배 수행을 위해 배달원 등록, 인증과 배송 요청을 받아 해당 배송 요청에 대한 배달원의 지정을 수행하며 배달원의 배송 상황정보를 수집하여 요청시 이를 전송하는 메인서버;
    상기 메인서버에 데이터 통신가능하도록 접속하여 택배 수행을 위한 배달원 등록과정을 수행하며 특정 배송 요청에 배달원 지정 의사정보를 상기 메인서버로 전송하며 배달원 지정 통보를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수신받는 배달원단말기; 및
    상기 메인서버에 데이터 통신가능하도록 접속하여 배송하고자 하는 화물에 대한 배송 요청을 수행하며 해당 배송 요청에 대한 배송 정보를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수신받는 클라이언트단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배송 출발지에서 배송할 화물에 부착되어 배송할 화물의 현재 상태정보인 제1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배달원단말기로 전송하며 배송 목적지 도착시 배송할 화물의 현재 상태정보인 제2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배달원단말기로 전송하는 IoT복합센서모듈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메인서버는
    상기 배달원단말기와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배달원의 인증 및 등록과 배달원 지정을 관리하는 배송인력 관리서버;
    상기 클라이언트단말기와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고객에 요청에 따른 화물을 배송을 관리하기 위한 배송관리서버; 및
    배송에 따른 비용 결제와 배송인력에 대한 배송비용의 정산과 B2B, B2P 및 P2P에 따른 비용 결제 및 정산을 관리하는 결제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배송관리서버는
    클라이언트단말기로부터 배송 요청이 있는 경우 배송 목적지, 배송 출발지, 목적 배송 날짜 및 시간, 수신인을 포함하는 배송 정보의 입력을 요청하고 정상적으로 입력되는 경우 이를 접수하여 배송번호를 생성하고 클라이언트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배송관리서버는
    클라이언트단말기로부터 배송 요청을 수신한 경우 배송인력 관리서버로 배송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배송인력 관리서버는
    등록된 다수의 배달원단말기들에 해당 배송 정보를 전송하고 배달원 지정의사 정보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배송인력 관리서버는
    신속한 배송을 위해 배달원단말기의 GPS정보 또는 기지국정보와 배송할 화물의 배송 정보를 비교하여 배송 출발지 또는 배송 목적지로부터 설정 거리 이내에 있는 배달원단말기로 배송 정보 전송 및 배달원 지정의사 정보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배송인력 관리서버는
    배송 출발지와 배송 목적지가 설정 거리보다 먼 경우 전체 경로를 다수의 분할경로로 분류하여 해당 분할경로별로 배달원단말기에 배송 정보 전송 및 배달원 지정의사 정보를 요청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켓 연동 택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IoT복합센서모듈은,
    온습도센서, 충격센서, 화물 배송박스의 개폐유무를 판단하는 온오프센서, 화물의 크랙을 감지하는 크랙센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켓 연동 택배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랙센서는
    크랙이 발생되는 일측 지점에 배치되는 슬라이더체;
    상기 슬라이더체에 이격되어 다수개가 설치되는 PIO포트;
    상기 각 PIO포트의 일측 단부에 체결되는 스프링부재;
    상기 스프링부재의 일단에 스프링부재의 이동에 따라 접촉 또는 비접촉되며 크랙이 발생되는 타측 지점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전원단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켓 연동 택배 시스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관리서버는 외부의 금융기관서버와 연결되어 비용 정산이 이루어지며 배송 요금에 대한 결제 및 정산과 화물 비용 및 배송 요금에 대한 결제 및 정산 중 어느 하나의 비용 정산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켓 연동 택배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인력 관리서버는
    상기 배달원단말기로부터 배달원 등록 요청이 있는 경우 배달원의 식별정보 입력을 요청하고 입력된 식별정보를 통해 등록이 완료되는 경우 해당 배달원단말기로 특정 개인코드를 전송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켓 연동 택배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달원단말기는
    배송인력 관리서버로부터 배달원 지정통보 정보가 수신된 경우 해당 배송 출발지에 도착한 후 배송할 화물을 수거할 시에 배송할 화물에 배송라벨을 부착하고 이에 대한 영상정보를 택배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배송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켓 연동 택배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달원단말기는
    배송 목적지에 도착한 후 배송할 화물을 수신하는 착신자로부터 서명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배송관리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배송관리서버는 서명정보와 함께 배송이 완료되었음을 클라이언트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켓 연동 택배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인력 관리서버는
    다수의 분할경로별로 배달원을 지정하고자 하는 경우,
    전체 배송 경로 중 부분 경로로 배송이 가능한 제1배달원단말기의 배송 지정의사 정보가 수신된 경우 이를 제외한 나머지 배송 경로에 대해 배송 정보 및 배송의사 정보 요청을 해당 설정 거리 이내의 배달원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켓 연동 택배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2개소의 분할경로별로 각각 제1배달원단말기 및 제2배달원단말기가 지정된 경우 제1배달원단말기와 제2배달원단말기가 서로 만나게 되면 상기 제1배달원단말기는 인계하는 화물 영상정보를 배송관리서버로 전송하여 인계 완료를 알리며 제2배달원단말기는 인수된 화물 영상정보를 배송관리서버로 전송하여 인수 완료를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켓 연동 택배 시스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관리서버는
    화물 비용 및 배송 요금에 대한 결제 및 정산이 이루어지는 경우,
    클라이언트단말기로부터 화물 구매대금과 배송 요금을 결제관리서버로 정산이 이루어지고, 정산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배송 요청 정보를 배송관리서버를 통해 수신받도록 해당 정보를 배송관리서버로 전송하며 배송관리서버는 정상적으로 배송 정보가 입력된 경우, 이를 배송인력 관리서버로 전송하여 배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배송이 정상적으로 완료되고 클라이언트단말기로부터 화물 구매확정 정보가 수신되며 이를 결제관리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결제관리서버는 클라이언트단말기로부터 정산된 요금 중 화물 구매대금을 해당 화물 판매자로 송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켓 연동 택배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관리서버는
    클라이언트단말기로부터 화물 구매확정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클라이언트단말기로부터 정산된 요금 중 배송 요금을 제외한 요금에 대해 클라이언트단말기에서 지정한 계좌정보를 통해 송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켓 연동 택배 시스템.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켓 연동 택배 시스템은,
    클라이언트단말기로 가맹점 정보를 제공하는 마켓관리서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켓 연동 택배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마켓관리서버는,
    접속되는 클라이언트단말기로 제공할 가맹점 정보를 리스트업하고, 입점 요청에 따른 입점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가맹점관리부와, 상기 가맹점관리부에 의해 클라이언트단말기로 제공된 가맹점 정보를 통해 클라이언트단말기의 구매 요청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가맹점의 해당 상품 정보에 따른 결제 과정을 결제서버와 연계하여 처리하는 결제관리부와, 상기 결제관리부에 의해 결제 처리가 완료된 상품에 대해 클라이언트단말기로부터 전달된 배송 정보에 따라 배송관리서버 및 배송인력 관리서버와 연계하여 배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배송관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켓 연동 택배 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가맹점관리부는 상기 클라이언트단말기로 가맹점 정보 제공하는 경우 웹페이지 형태로 제공하게 되는데, 상기 웹페이지에는 배송 요청 또는 배달원 등록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페이지에 좌측 또는 우측 배너 공간을 형성하여 해당 배너 공간에 상기 가맹점 정보가 출력되도록 하는 마켓 연동 택배 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가맹점관리부는 상기 배너 공간을 가맹점이 분양받을 수 있도록 하는 마켓 연동 택배 시스템.
KR1020180064203A 2018-06-04 2018-06-04 마켓 연동 택배 시스템 KR101905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203A KR101905144B1 (ko) 2018-06-04 2018-06-04 마켓 연동 택배 시스템
PCT/KR2018/014770 WO2019235702A1 (ko) 2018-06-04 2018-11-28 마켓 연동 택배 시스템
CN201811505744.3A CN110555645A (zh) 2018-06-04 2018-12-10 市场联动物流系统
US16/242,199 US20190370742A1 (en) 2018-06-04 2019-01-08 Market-linked delivery system
JP2019027887A JP6712339B2 (ja) 2018-06-04 2019-02-19 マーケットに連動する宅配システム
EP19162077.2A EP3579162A1 (en) 2018-06-04 2019-03-12 Market-linked delivery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203A KR101905144B1 (ko) 2018-06-04 2018-06-04 마켓 연동 택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5144B1 true KR101905144B1 (ko) 2018-10-08

Family

ID=63864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4203A KR101905144B1 (ko) 2018-06-04 2018-06-04 마켓 연동 택배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90370742A1 (ko)
EP (1) EP3579162A1 (ko)
JP (1) JP6712339B2 (ko)
KR (1) KR101905144B1 (ko)
CN (1) CN110555645A (ko)
WO (1) WO2019235702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0438B1 (ko) * 2019-03-20 2019-10-21 (주)진주소프트 블록체인을 이용한 화물 운송용 잠금장치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20200092540A (ko) * 2019-01-25 2020-08-04 장혜연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31136A (ko) * 2019-05-13 2020-11-23 이상주 Rtk를 이용한 만남 성립에 대한 추정적 확인 및 이의 처리 방법 및 시스템
WO2022107940A1 (ko) * 2020-11-22 2022-05-27 이상주 Rtk를 이용한 만남 성립에 대한 추정적 확인 및 이의 처리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94394B2 (en) * 2019-09-05 2022-04-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gig economy transportation of delivery pods
CN113859847B (zh) * 2020-06-10 2023-02-28 深圳市海柔创新科技有限公司 仓储盘点方法和仓储系统
KR102250745B1 (ko) 2020-07-03 2021-05-11 쿠팡 주식회사 배달원의 배정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320401B1 (ko) * 2021-02-10 2021-11-02 문정훈 P2p 대출 기반 운임비 선지급형 화물운송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WO2022190181A1 (ko) * 2021-03-08 2022-09-15
US20220309461A1 (en) * 2021-03-26 2022-09-29 Jpmorgan Chase Bank, N.A. Systems and methods for real-time payment on delivery
US11621991B2 (en) * 2021-06-29 2023-04-04 ROVl GUIDES, INC. Adaptive content streaming based on bandwidth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8762B1 (ko) * 2016-11-09 2017-03-23 주식회사 화성 Ble기반 시설물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PR053100A0 (en) * 2000-10-05 2000-10-26 Exago Pty Limited Supply chain management system
KR20020061091A (ko) * 2001-01-13 2002-07-22 (주)자우넷 물품의 배송을 위한 자동 주문처리 방법
JP2002324117A (ja) * 2001-04-25 2002-11-08 A I Corp:Kk 荷物の配送依頼受付および運送業者への集配業務割当て処理システム
JP2006031140A (ja) * 2004-07-13 2006-02-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輸送物情報管理システム
KR20060134703A (ko) * 2005-06-23 2006-12-28 임종석 배달대행 서비스 제공방법
EP1934786A4 (en) * 2005-09-16 2011-06-08 Sendori Inc ELECTRONIC MARKETPLACE TO LIVE DOMAIN NAMES AND TO RETURN WEB SURFERS FROM A LANDING DOMAIN
JP2009080565A (ja) * 2007-09-25 2009-04-16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宅配サービス仲介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3033304A (ja) * 2011-07-29 2013-02-14 Japan Post Service Co Ltd メッセージ提供システム及びメッセージ提供方法
US20160063433A1 (en) * 2014-08-28 2016-03-03 Dane Glasgow Shipment data logger
US20160104112A1 (en) * 2014-10-13 2016-04-14 Marc Gorlin Peer to Peer Delivery System
CN104843243B (zh) * 2015-04-16 2017-02-22 顺丰速运有限公司 一种用于快递的分拣方法及其分拣装置
US20160379163A1 (en) * 2015-06-24 2016-12-29 Intel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tracking shipments
KR20170020155A (ko) * 2015-08-14 2017-02-22 주식회사 티케이에스세미콘 배송 환경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기록하는 리더 로거 장치 및 배송 정보 관리 시스템
KR101770603B1 (ko) * 2015-12-07 2017-08-25 홍교식 스마트 물류 제어 시스템
JP6635558B2 (ja) * 2016-11-04 2020-01-29 ダブル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配送管理システム
CN107330649A (zh) * 2017-06-16 2017-11-07 广西师范学院 一种物流运输监测系统
CN207154173U (zh) * 2017-08-31 2018-03-30 兰州理工大学技术工程学院 一种快递传送及分拣执行机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8762B1 (ko) * 2016-11-09 2017-03-23 주식회사 화성 Ble기반 시설물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2540A (ko) * 2019-01-25 2020-08-04 장혜연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241986B1 (ko) * 2019-01-25 2021-04-19 장혜연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010438B1 (ko) * 2019-03-20 2019-10-21 (주)진주소프트 블록체인을 이용한 화물 운송용 잠금장치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20200131136A (ko) * 2019-05-13 2020-11-23 이상주 Rtk를 이용한 만남 성립에 대한 추정적 확인 및 이의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205680B1 (ko) * 2019-05-13 2021-01-21 이상주 Rtk를 이용한 만남 성립에 대한 추정적 확인 및 이의 처리 방법 및 시스템
WO2022107940A1 (ko) * 2020-11-22 2022-05-27 이상주 Rtk를 이용한 만남 성립에 대한 추정적 확인 및 이의 처리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212286A (ja) 2019-12-12
JP6712339B2 (ja) 2020-06-17
CN110555645A (zh) 2019-12-10
EP3579162A1 (en) 2019-12-11
WO2019235702A1 (ko) 2019-12-12
US20190370742A1 (en) 2019-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5144B1 (ko) 마켓 연동 택배 시스템
KR101859904B1 (ko) 택배 방법
JP6476232B2 (ja) 物流支援システム、物流支援方法、および物流支援プログラム
US9928540B1 (en) System for integrating courier service with customer applications
CA3080333C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conducting an online transaction to fulfill a rail-shipment service inquiry or a rail-shipment service ordering
US6975937B1 (en) Technique for processing customer service transactions at customer site using mobile computing device
CA2370084C (en) System and method for on-line ordering of a transporation service providing route selection capability
US20200151816A1 (en) Transportation and freight capacity units
US11790382B2 (en) Method to transmit geolocation exchange based markets
US20140040043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Acquisition and Delivery of Goods
US20130091070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Acquisition and Delivery of Goods
MXPA04001792A (es) Sistema y metodo internacional de entrega contra pago.
KR102124529B1 (ko)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 시스템, 자동차 무역 중개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JP2005501304A (ja) 配布システム及び方法
US11823090B2 (en) Transportation and freight and parking and tolling and curb capacity unit IPO method and system
US20130024232A1 (en) Electronic method and system for connecting a buyer, a seller, and third party courier to facilitate the exchange of physical goods
JP2002324117A (ja) 荷物の配送依頼受付および運送業者への集配業務割当て処理システム
CA237005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price quotation for a transportation service based on equipment ownership
US20220148012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Acquisition and Delivery of Goods
KR20230047677A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메타버스 환경에서 배송 서비스를 다각화시키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
KR20210067250A (ko) 화물 정보 제공 시스템
US20240062295A1 (en) Transportation and Freight and Parking and Tolling and Curb Capacity Unit IPO Method and System
US20230360072A1 (en) Method to transmit geolocation exchange based markets
KR20180115051A (ko) 허위매물 원천 차단이 가능한 중고차 거래 방법
KR20210006219A (ko) 판매자와 배송자 일체 기반 배송 주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