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1986B1 -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1986B1
KR102241986B1 KR1020190009554A KR20190009554A KR102241986B1 KR 102241986 B1 KR102241986 B1 KR 102241986B1 KR 1020190009554 A KR1020190009554 A KR 1020190009554A KR 20190009554 A KR20190009554 A KR 20190009554A KR 102241986 B1 KR102241986 B1 KR 102241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ivery
dairy product
dairy
delivery person
ord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9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2540A (ko
Inventor
장혜연
Original Assignee
장혜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혜연 filed Critical 장혜연
Priority to KR1020190009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1986B1/ko
Publication of KR20200092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2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1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1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50/2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고객 단말기로부터 유제품 주문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주문수령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유제품 주문정보를 문자형태로 생성한 후 캡쳐하여 텍스트 파일이나 데이터 파일로 변환한 후 테더링 기능을 이용하여 외부로 송신하는 주문정보 변환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로부터 배달원을 지정하고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를 지정하는 배달원 지정부; 주문정보 변환부로부터 텍스트 파일이나 데이터 파일을 수신한 후, 텍스트 파일이나 데이터 파일에서 검색된 유제품 주문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주문정보 관리창을 디스플레이시키고, 배달원이 출발할 때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배달출발신호를 고객 단말기에 송신하는 유제품 차고지 단말; 유제품 차고지 단말로부터 유제품 주문정보를 수신하여, 배달원 지정부가 지정한 배달원의 배달원 단말기로 송신하는 유제품 주문정보 송신부; 및 유제품의 배달이 완료된 후 배달원 단말기로부터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를 수신하였을 때, 수신한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가 배달원 지정부로부터 수신한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와 일치하면 유제품의 배달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고 주문수령부에 유제품의 배달완료정보를 송신하는 유제품 수신 판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DELIVERY SERVICE OF MILK PRODUCTS}
본 발명은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객이 단말기를 이용하여 유제품을 주문하는 경우 유제품 배달 관련 정보를 송수신함으로써 고객이 원하는 유제품을 신속하게 배달하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바쁜 현대인들이 늘어나면서 소비자들의 생활패턴이 변해가고, 이로 인해 시간에 대한 기회비용이 높아지게 되면서 유통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새로운 니즈(needs)가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 혼자서 육아와 집안일을 담당하는 육아맘, 맞벌이 부부, 및 1인 가구의 비중이 증가하는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음식, 식료품 및 유제품의 배달 주문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온라인 및 오프라인의 마트(mart)에서 판매되는 유통기간이 존재하는 식품뿐만 아니라, 농장에서 바로 생산한 채소처럼 싱싱하고, 가정에서 방금 조리한 음식처럼 따끈따끈한 음식을 소비자가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배달이 되기를 원하는 소비자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종래의 주문 및 배달 방식은, 판매업체가 상품을 직접 홍보하고, 주문이 들어오면 직접 배송하거나 전문배송업체에 배달을 요청하는 등 모든 업무를 판매업체가 관리한다. 이에 따라, 판매업체들은 상품 홍보 및 주문시 배달하는 부분에 대해 많은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특히, 배달전문 판매업체에서는 배달직원을 고용하여 상품을 배달을 하는데, 해당 배달직원이 갑자기 퇴사하거나, 새로운 배달직원의 채용이 늦어지거나, 배달 주문량이 적어 배달직원을 고용하기 적절치 않는 등 다양한 이유로 주문배달을 포기하는 판매업체도 있다. 아니면, 처음부터 매장에서만 판매하고 배달을 하지 않는 판매업체도 있다.
이와 같이, 판매업체에서 배달을 하지 않으면 소비자가 직접 판매업체로 방문해서 포장된 상품을 구매해야 하는데, 이러한 경우 소비자들은 상품 구매를 위해 상당한 시간을 할애해야 한다. 판매업체를 이용하는 사람이 많을 경우에는,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상품을 받을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의 불만이 커질 수 있다.
이러한 소비자들의 니즈(needs)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최근에는 많은 판매점들이 배달음식 포탈사이트 및 배달 전문업체를 통해 홍보 및 배달을 대행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소비자들의 만족시키고 있다.
그러나, 소비자들의 다양한 니즈(needs)를 모두 만족시키기에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문제점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바쁜 약속이 있어서 원하는 시간에 식사를 하여야 하는데, 음식을 주문할 때 정확한 도착시간이 정해지지 않아서 음식을 불안하게 기다려야 하거나, 또는 배달이 늦어질 경우 원하는 시간에 음식을 먹을 수 없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면이나 국 같은 음식은 판매업체에서 배달업체가 도착하기로 예정된 시간에 맞춰 포장해 놓았는데, 배달업체가 판매업체에 도착하기로 약속한 시간보다 늦어져 음식이 퍼지거나 식어서 먹을 수 없는 경우도 종종 발생된다.
또한, 유제품의 경우에도 배달시간을 맞추지 못하여 소비자의 불만족이 종종 발생하곤 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26307호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고객은 단말기를 이용하여 유제품 배달을 간편하게 주문하고 판매자는 유제품 배달을 원하는 고객을 손쉽게 유치할 수 있도록 하는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고객 단말기를 통해 특정 제조사에 한정되지 않고 고객이 원하는 임의의 유제품을 선택하여 신속히 배달할 수 있게 하는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배달 횟수가 2회 이상인 경우에도 유제품 배달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유제품 주문정보로부터 배달시간에 맞추어 배달할 수 있게 되는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고객이 고객 단말기를 통해 정해진 시간 이내에 유제품이 신속히 배달되었다는 것을 알고 만족할 수 있게 되는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고객에게 유제품의 배달이 완료되기 전에 고객의 단말기로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를 송신함으로써, 낯선 방문자에 대한 고객의 불안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달을 가장하여 불순한 의도를 가진 사람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은, 고객 단말기로부터 유제품 주문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주문수령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유제품 주문정보를 문자형태로 생성한 후 캡쳐하여 텍스트 파일이나 데이터 파일로 변환한 후 테더링 기능을 이용하여 외부로 송신하는 주문정보 변환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로부터 배달원을 지정하고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를 지정하는 배달원 지정부; 주문정보 변환부로부터 텍스트 파일이나 데이터 파일을 수신한 후, 텍스트 파일이나 데이터 파일에서 검색된 유제품 주문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주문정보 관리창을 디스플레이시키고, 배달원이 유제품 주문정보에 해당하는 유제품의 배달을 위해 출발할 때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배달출발신호를 상기 고객 단말기에 송신하는 유제품 차고지 단말; 유제품 차고지 단말로부터 유제품 주문정보를 수신하여, 배달원 지정부가 지정한 배달원의 배달원 단말기로 송신하는 유제품 주문정보 송신부; 및 배달원 지정부로부터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를 수신하고, 유제품의 배달이 완료된 후 배달원 단말기로부터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를 수신하였을 때, 수신한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가 배달원 지정부로부터 수신한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와 일치하면 유제품의 배달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고 주문수령부에 유제품의 배달완료정보를 송신하는 유제품 수신 판단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유제품 주문정보는 고객 이름, 고객 스마트폰 번호, 고객 주소, 적어도 하나의 유제품 이름, 해당 유제품의 수량, 배달 횟수, 배달 일시 및 결제정보이다.
또한, 유제품 차고지 단말은 배달 일시보다 설정시간 전에 주문정보 변환부로부터 텍스트 파일이나 데이터 파일을 수신한다.
또한, 주문수령부는 배달 횟수를 판단하고, 배달 횟수가 마지막인 경우 유제품 차고지 단말에 텍스트 파일이나 데이터 파일을 송신한 후, 데이터베이스에서 유제품 주문정보를 삭제한다.
또한,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는 배달원 번호, 배달원 이름 및 스마트폰 번호이다.
또한, 유제품 주문정보 송신부는 유제품 주문정보의 고객 주소에 해당하는 맵 이미지를 생성하여 배달원 단말기에 송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제품 배달 서비스 방법은, 주문수령부가 고객 단말기로부터 유제품 주문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1 단계; 주문정보 변환부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유제품 주문정보를 문자형태로 생성한 후 캡쳐하여 텍스트 파일이나 데이터 파일로 변환하는 제2 단계; 배달원 지정부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로부터 배달원을 지정하고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를 지정하는 제3 단계; 유제품 차고지 단말이 주문정보 변환부로부터 테더링 기능을 통해 텍스트 파일이나 데이터 파일을 수신한 후, 텍스트 파일이나 데이터 파일에서 검색된 유제품 주문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주문정보 관리창을 디스플레이시키는 제4 단계; 배달원이 유제품 주문정보에 해당하는 유제품의 배달을 위해 출발할 때, 유제품 차고지 단말이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배달출발신호를 고객 단말기에 송신하는 제5 단계; 유제품 주문정보 송신부가 유제품 차고지 단말로부터 유제품 주문정보를 수신하여 배달원 지정부가 지정한 배달원의 배달원 단말기로 송신하는 제6 단계; 유제품 수신 판단부가 배달원 지정부로부터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를 수신하는 제7 단계; 유제품의 배달이 완료된 후 배달원 단말기로부터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를 수신하였을 때, 유제품 수신 판단부가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가 배달원 지정부로부터 수신한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제8 단계; 및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가 배달원 지정부로부터 수신한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와 일치할 때, 유제품 수신 판단부가 유제품의 배달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고 주문수령부에 유제품의 배달완료정보를 송신하는 제9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객은 단말기를 이용하여 유제품 배달을 간편하게 주문하고 판매자는 유제품 배달을 원하는 고객을 손쉽게 유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객 단말기를 통해 특정 제조사에 한정되지 않고 고객이 원하는 임의의 유제품을 선택하여 신속히 배달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달 횟수가 2회 이상인 경우에도, 유제품 배달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유제품 주문정보로부터 배달시간에 맞추어 배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객은 고객 단말기를 통해 정해진 시간 이내에 유제품이 신속히 배달되었다는 것을 알고 만족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객에게 유제품의 배달이 완료되기 전에 고객의 단말기로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를 송신함으로써, 낯선 방문자에 대한 고객의 불안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달을 가장하여 불순한 의도를 가진 사람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이 고객 단말기와 배달원 단말기에 네트워크로 연결된 상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을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제품 주문정보 리스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 리스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달 횟수가 1회인 경우에 배달출발신호가 고객 단말기에 송신되었을 때의 고객 단말기의 화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달 횟수가 1회인 경우에 유제품의 배달완료정보가 고객 단말기에 송신되었을 때의 고객 단말기의 화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제품 배달 서비스 방법을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이 고객 단말기와 배달원 단말기에 네트워크로 연결된 상태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1000)은 고객 단말기(10) 및 배달원 단말기(20)와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라 함은 인터넷(internet) 등과 같은 유무선 통신망 또는 이들의 결합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네트워크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종래의 인터넷이나 이동 통신망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예를 들어,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1000)은 고객 단말기(10) 및 배달원 단말기(20)와 인터넷망 또는 이동통신망 등과 같은 종래의 다양한 네트워크 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이 없음을 유의해야 한다. 고객 단말기(10) 및 배달원 단말기(20)는 문자 메시지의 송수신이 가능한 스마트폰, PDA 등일 수 있으며, 특히 스마트폰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문자 메시지는 이동 통신망이나 인터넷망을 통해 전송되는 메시지로서, 글자 수에 제한이 있는 단문 메시지인 SMS(Short Message Service), 글자 수에 제한이 없는 장문 메시지인 LMS(Long Message Service), 이미지, 음악, 동영상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파일을 첨부할 수 있는 문자 메시지인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및 실시간 송수신되는 인스턴트 메시지(Instant messag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유제품이란 우유를 가공하여 만든 식품을 통틀어 이르는 말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가공된 우유, 버터, 치즈, 분유, 연유 등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을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1000)은, 주문수령부(100), 주문정보 변환부(200), 배달원 지정부(300), 유제품 차고지 단말(400), 유제품 주문정보 송신부(500) 및 유제품 수신 판단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주문수령부(100)는 고객 단말기(10)로부터 유제품 주문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한다. 유제품 주문정보는 고객 이름, 고객 스마트폰 번호, 고객 주소, 적어도 하나의 유제품 이름, 해당 유제품의 수량, 배달 횟수, 배달 일시 및 결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30)에는 유제품 주문정보 리스트가 포함되어 있으며, 주문수령부(100)가 데이터베이스(30)에 유제품 주문정보를 저장하면 유제품 주문정보 리스트에 해당 유제품 주문정보가 추가된다.
고객은 고객용 유제품 배달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고객 단말기(10)에 다운로드하여 설치함으로써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1000)을 이용할 수 있다. 즉, 고객은 고객용 유제품 배달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통해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1000)에 접속하여 배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주문수령부(100)는 고객 단말기(10)으로부터 유제품 주문정보를 수신한 시간과 유제품 수신 판단부(600)로부터 유제품의 배달완료정보를 수신한 시간을 저장하고, 유제품 주문정보를 수신한 시간과 유제품의 배달완료정보를 수신한 시간과의 시간차를 카운팅하여 그 시간차(이하, 시간차)가 제1 설정시간 이내인지를 판단한다. 제1 설정시간은 2시간, 3시간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주문수령부(100)가 고객 단말기(10)로부터 유제품 주문정보를 수신한 시간과 유제품 수신 판단부(600)로부터 유제품의 배달완료정보를 수신한 시간이 각각 2018년 12월10일 3시, 2018년 12월10일 4시30분이고 제1 설정시간이 2시간이라고 가정하자. 이때, 시간차는 1시간 30분이므로, 주문수령부(100)는 시간차가 제1 설정시간 이내라고 판단한다. 시간차가 제1 설정시간 이내인 경우, 계획했던 시간 내에 고객에게 유제품의 배달이 완료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배달 횟수가 1회인 경우, 주문수령부(100)는 시간차가 제1 설정시간 이내일 때 고객 단말기(10)로 제1 설정시간 이내에 유제품을 배달하였다는 메시지를 송신한다. 배달 횟수가 2회 이상인 경우에는 고객이 유제품 배달 예상시간을 알고 있으므로 유제품을 배달하였다는 메시지를 송신하지 않는다.
주문정보 변환부(200)는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된 유제품 주문정보를 문자형태로 생성한 후 캡쳐하여 텍스트 파일(text file)(또는 데이터 파일(data file))로 변환한 후 테더링 기능(tethering function)을 이용하여 외부로 송신한다. 테더링 기능은 스마트폰처럼 인터넷이 가능한 기기를 이용하여 다른 기기에도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로서, 빠른 통신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에 효과적이다. 이렇게 하여, 배달 횟수가 2회 이상인 경우에도, 유제품 배달시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된 유제품 주문정보로부터 배달시간에 맞추어 배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주문정보 변환부(200)는 배달 횟수를 판단하고, 배달 횟수가 마지막인 경우 유제품 차고지 단말(400)에 텍스트 파일이나 데이터 파일을 송신한 후 데이터베이스(30)에서 유제품 주문정보를 삭제한다.
배달원 지정부(300)는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된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로부터 배달원을 지정하고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를 지정한다. 데이터베이스(30)에는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 리스트가 포함되어 있다. 배달원으로 홍길동(1번 배달원), 이동근(2번 배달원), 김철수(3번 배달원), 이수호(4번 배달원), 박경수(5번 배달원)의 5명이 있다고 가정하자. 이때, 배달이 끝나 대기하고 있는 홍길동이 배달원으로 지정될 수 있고, 예를 들어 1234를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로 지정할 수 있다. 배달원 지정방식은 배달이 끝나 대기하고 있는 배달원 중에서 배달원 번호가 빠른 사람부터 순서대로 지정할 수 있다.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는 랜덤방식으로 4자리로 지정될 수 있다. 배달원 지정방식과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 지정방식은 각각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판매업체가 고용하는 배달원은 배달원용 유제품 배달 어플리케이션을 배달원 단말기에 다운로드하여 설치함으로써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1000)을 이용할 수 있다. 즉, 배달원은 배달원용 유제품 배달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통해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1000)에 접속하여 배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유제품 차고지 단말(400)은 주문정보 변환부(100)로부터 텍스트 파일이나 데이터 파일을 수신한 후, 텍스트 파일이나 데이터 파일에서 검색된 유제품 주문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주문정보 관리창을 디스플레이시킨다. 특히, 유제품 차고지 단말(400)은 배달 일시보다 제2 설정시간 전에 주문정보 변환부(100)로부터 텍스트 파일이나 데이터 파일을 수신한다. 제2 설정시간은 1시간, 2시간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주문정보 관리창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고객 이름, 고객 스마트폰 번호, 고객 주소, 적어도 하나의 유제품 이름, 해당 유제품의 수량, 배달 횟수, 배달 일시 및 결제정보의 유제품 주문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유제품 차고지 단말(400)은 배달원이 유제품 주문정보에 해당하는 유제품의 배달을 위해 출발할 때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배달출발신호를 고객 단말기(10)에 송신한다. 배달 횟수가 1회인 경우, 유제품 주문정보에 배달완료 예약시간이 입력되었을 때, 유제품 차고지 단말(400)은 배달완료 예약시간보다 제3 설정시간 이전에 배달출발신호를 고객 단말기(10)에 송신할 수 있다. 제3 설정시간은 1시간, 2시간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배달완료 예약시간은 년, 월, 일, 시 단위로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이 개인적인 사정상 유제품을 1일 전에 미리 주문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고객은 2018년 12월 10일 4시에 유제품을 주문하지만 배달완료 예약시간을 2018년 12월 11일 6시로 입력하는 것이 일 예이다.
유제품 주문정보 송신부(500)는 유제품 차고지 단말(400)로부터 유제품 주문정보를 수신하여, 배달원 지정부(300)가 지정한 배달원의 배달원 단말기(20)로 송신한다. 이때, 유제품 주문정보 송신부(500)는 유제품 주문정보의 고객 주소에 해당하는 맵 이미지(map image)를 생성하여 배달원 단말기(20)에 송신할 수 있다. 맵 이미지는 줌 인(zoom in) 또는 줌 아웃(zoom out)이 가능하므로, 배달원이 고객 주소의 맵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고객 주소에 용이하게 찾아갈 수 있도록 한다.
고객에게 유제품의 배달이 완료되기 전에 유제품 주문정보 송신부(500)가 고객 단말기(10)로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를 송신함으로써, 낯선 방문자에 대한 고객의 불안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달을 가장하여 불순한 의도를 가진 사람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유제품 수신 판단부(600)는 배달원 지정부(300)로부터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를 수신한다.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는 배달원 번호, 배달원 이름 및 스마트폰 번호일 수 있다.
또한, 유제품 수신 판단부(600)는 유제품의 배달이 완료된 후, 배달원 단말기(20)로부터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를 수신하였을 때, 수신한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가 배달원 지정부(300)로부터 수신한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와 일치하면 유제품의 배달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고 주문수령부(100)에 유제품의 배달완료정보를 송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에 의하면, 고객은 단말기를 이용하여 유제품 배달을 간편하게 주문하고 판매자는 유제품 배달을 원하는 고객을 손쉽게 유치할 수 있다.
또한, 고객은 고객 단말기를 통해 특정 제조사에 한정되지 않고 고객이 원하는 임의의 유제품을 선택하여 신속히 배달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서울우유, 비락우유 등의 여러 가지 종류의 우유 중에서 고객이 원하는 우유를 선택하여 주문하면 주문된 유제품을 정해진 시간에 맞추어 간편하게 배달할 수 있다.
전술한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1000)을 구성하는 주문수령부(100), 주문정보 변환부(200), 배달원 지정부(300), 유제품 차고지 단말(400), 유제품 주문정보 송신부(500) 및 유제품 수신 판단부(600)는 데스크톱(desktop) 컴퓨터 또는 스마트 폰, PDA 등과 같은 모바일 통신단말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1000)을 구성하는 주문수령부(100), 주문정보 변환부(200), 배달원 지정부(300), 유제품 차고지 단말(400), 유제품 주문정보 송신부(500) 및 유제품 수신 판단부(6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다. 네트워크라 함은 인터넷(internet) 등과 같은 유무선 통신망 또는 이들의 결합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네트워크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종래의 인터넷이나 이동 통신망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예를 들어,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1000)은 인터넷망 또는 이동통신망 등과 같은 종래의 다양한 네트워크 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이 없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주문수령부(100), 주문정보 변환부(200) 및 배달원 지정부(300)는 마켓에 설치될 수 있으며, 유제품 차고지 단말(400), 유제품 주문정보 송신부(500) 및 유제품 수신 판단부(600)는 유제품 차고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1000)은 아이폰, 안드로이드, 블랙베리, 윈도폰 7 운영체제상에서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제품 주문정보 리스트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유제품 주문정보 리스트에는 고객 이름, 고객 스마트폰 번호, 고객 주소, 적어도 하나의 유제품 이름, 해당 유제품의 수량, 배달 횟수, 배달 일시 및 결제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고객이 AAA인 경우, "AAA, 010-1234-5678,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ooo , oo 요구르트, 3개, 30회, 매일 8시, 30,000원"이라는 유제품 주문정보가 유제품 주문정보 리스트에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고객 이름은 AAA이고, 고객 스마트폰 번호는 010-1234-5678이며, 고객 주소는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ooo이며, 유제품 이름은 oo 요구르트이며, 유제품의 수량은 3개, 배달 횟수는 30회이며, 배달 일시는 매일 8시이며, 결제정보는 30,000원이다.
고객이 BBB인 경우, "BBB, 010-2345-6789,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ooo , oo 유기농 우유, 2개, 60회, 매일 9시, 35,000원"이라는 유제품 주문정보가 유제품 주문정보 리스트에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고객 이름은 BBB이고, 고객 스마트폰 번호는 010-2345-6789이며, 고객 주소는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ooo이며, 유제품 이름은 oo 유기농 우유이며, 유제품의 수량은 2개, 배달 횟수는 60회이며, 배달 일시는 매일 9시이며, 결제정보는 35,000원이다.
고객이 CCC인 경우, "CCC, 010-3456-7890,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ooo , oo 고칼슘 우유, 2개, 30회, 매일 9시, 300,000원"이라는 유제품 주문정보가 유제품 주문정보 리스트에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고객 이름은 CCC이고, 고객 스마트폰 번호는 010-3456-7890이며, 고객 주소는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ooo이며, 유제품 이름은 oo 고칼슘 우유이며, 유제품의 수량은 2개, 배달 횟수는 30회이며, 배달 일시는 매일 9시이며, 결제정보는 90,000원이다.
이와 같이, 고객은 단말기에 원하는 유제품 주문정보를 입력하여 유제품이 원하는 시간에 배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 리스트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 리스트에는 배달원 번호, 배달원 이름 및 스마트폰 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배달원이 홍길동인 경우, "1번, 홍길동, 010-6789-0123"이라는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가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 리스트에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배달원 번호는 1번이고, 배달원 이름은 홍길동이며, 스마트폰 번호는 010-6789-0123이다.
배달원이 이동근인 경우, "2번, 이동근, 010-7890-1234"이라는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가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 리스트에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배달원 번호는 2번이고, 배달원 이름은 이동근이며, 스마트폰 번호는 010-7890-1234이다.
배달원이 김철수인 경우, "3번, 김철수, 010-8901-2345"이라는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가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 리스트에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배달원 번호는 3번이고, 배달원 이름은 김철수이며, 스마트폰 번호는 010-8901-2345이다.
배달원이 이수호인 경우, "4번, 이수호, 010-9012-3456"이라는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가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 리스트에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배달원 번호는 4번이고, 배달원 이름은 이수호이며, 스마트폰 번호는 010-9012-3456이다.
배달원이 박경수인 경우, "5번, 박경수, 010-0123-4567"이라는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가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 리스트에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배달원 번호는 5번이고, 배달원 이름은 박경수이며, 스마트폰 번호는 010-0123-4567이다.
배달원이 다른 배달을 나간 이유 등으로 배달할 수 없는 경우에는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 리스트에서 삭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달 횟수가 1회인 경우에 배달출발신호가 고객 단말기에 송신되었을 때의 고객 단말기의 화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AAA 고객님, 고객님께서 주문하신 ooo 요구르트 3개가 배달을 위해 출발하였습니다. 1시간 이내에 도착 예정입니다."라는 메시지가 고객 단말기에 송신되었음을 알 수 있다.
고객은 고객 단말기를 통해 주문한 유제품이 배달될 예정이라는 것을 미리 알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달 횟수가 1회인 경우에 우유의 배달완료정보가 고객 단말기에 송신되었을 때의 고객 단말기의 화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AAA 고객님, 고객님께서 주문하신 ooo 우유 2개의 배달이 완료되었습니다. 우유 배달시간은 50분이 소요되었습니다."라는 메시지가 고객 단말기에 송신되었음을 알 수 있다.
고객은 고객 단말기를 통해 우유 배달시간이 얼마나 걸렸는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제품 배달 서비스 방법을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7을 참조하면, 유제품 배달 서비스 방법은 S100 내지 S900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주문수령부(100)가 고객 단말기(10)으로부터 유제품 주문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한다(S100). 유제품 주문정보는 고객 이름, 고객 스마트폰 번호, 고객 주소, 적어도 하나의 유제품 이름, 해당 유제품의 수량, 배달 횟수, 배달 일시 및 결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30)에는 유제품 주문정보 리스트가 포함되어 있으며, 주문수령부(100)가 데이터베이스(30)에 유제품 주문정보를 저장하면 유제품 주문정보 리스트에 해당 유제품 주문정보가 추가된다.
고객은 고객용 유제품 배달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고객 단말기(10)에 다운로드하여 설치함으로써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1000)을 이용할 수 있다. 즉, 고객은 고객용 유제품 배달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통해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1000)에 접속하여 배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S100 이후, 주문정보 변환부(200)가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된 유제품 주문정보를 문자형태로 생성한 후 캡쳐하여 텍스트 파일(또는 데이터 파일)로 변환한다(S200). 이렇게 하여, 배달 횟수가 2회 이상인 경우에도, 유제품 배달시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된 유제품 주문정보로부터 배달시간에 맞추어 배달할 수 있게 된다.
S200 이후, 배달원 지정부(300)가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된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로부터 배달원을 지정하고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를 지정한다(S300). 데이터베이스(30)에는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 리스트가 포함되어 있다. 배달원으로 홍길동(1번 배달원), 이동근(2번 배달원), 김철수(3번 배달원), 이수호(4번 배달원), 박경수(5번 배달원)의 5명이 있다고 가정하자. 이때, 배달이 끝나 대기하고 있는 홍길동이 배달원으로 지정될 수 있고, 예를 들어 1234를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로 지정할 수 있다. 배달원 지정방식은 배달이 끝나 대기하고 있는 배달원 중에서 배달원 번호가 빠른 사람부터 순서대로 지정할 수 있다.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는 랜덤방식으로 4자리로 지정될 수 있다. 배달원 지정방식과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 지정방식은 각각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배달원은 배달원용 유제품 배달 어플리케이션을 배달원 단말기에 다운로드하여 설치함으로써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1000)을 이용할 수 있다. 즉, 배달원 은 배달원용 유제품 배달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통해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1000)에 접속하여 배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S300 이후, 유제품 차고지 단말(400)이 주문정보 변환부(200)로부터 테더링 기능(tethering function)을 통해 텍스트 파일이나 데이터 파일을 수신한 후, 텍스트 파일이나 데이터 파일에서 검색된 유제품 주문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주문정보 관리창을 디스플레이시킨다(S400). 주문정보 관리창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고객 이름, 고객 스마트폰 번호, 고객 주소, 적어도 하나의 유제품 이름, 해당 유제품의 수량, 배달 횟수, 배달 일시 및 결제정보의 유제품 주문정보를 포함한다.
S400 이후, 유제품 차고지 단말(400)이 배달원이 유제품 주문정보에 해당하는 유제품의 배달을 위해 출발할 때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배달출발신호를 고객 단말기에 송신한다(S500). 고객에게 유제품의 배달이 완료되기 전에 유제품 주문정보 송신부(500)가 고객 단말기(10)로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를 송신함으로써, 낯선 방문자에 대한 고객의 불안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달을 가장하여 불순한 의도를 가진 사람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S500 이후, 유제품 주문정보 송신부(500)가 유제품 차고지 단말(400)로부터 유제품 주문정보를 수신하여, 배달원 지정부(300)가 지정한 배달원의 배달원 단말기(20)로 송신한다(S600). 이때, 유제품 주문정보 송신부(500)는 유제품 주문정보의 고객 주소에 해당하는 맵 이미지(map image)를 생성하여 배달원 단말기(20)에 송신할 수 있다. 맵 이미지는 줌 인(zoom in) 또는 줌 아웃(zoom out)이 가능하므로, 배달원이 고객 주소의 맵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고객 주소에 용이하게 찾아갈 수 있도록 한다.
S600 이후, 유제품 수신 판단부(600)가 배달원 지정부(300)로부터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를 수신한다(S700).
S700 이후, 유제품의 배달이 완료된 후 배달원 단말기(20)로부터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를 수신하였을 때,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가 배달원 지정부(300)로부터 수신한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S800).
S800 이후,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가 배달원 지정부(300)로부터 수신한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와 일치할 때, 유제품 수신 판단부(600)는 유제품의 배달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고 주문수령부(100)에 유제품의 배달완료정보를 송신한다(S900).
또한, S900 이후에도 주문수령부(100)가 고객 단말기(10)로부터 유제품 주문정보를 수신한 시간과 유제품 수신 판단부(600)로부터 유제품의 배달완료정보를 수신한 시간과의 시간차를 카운팅하여 그 시간차(이하, 시간차)가 제1 설정시간 이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주문수령부(100)가 시간차가 제1 설정시간 이내일 때 고객 스마트폰(10)으로 제1 설정시간 이내에 유제품을 배달하였다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주문수령부(100)는 유제품 주문정보 리스트에서 배달이 완료된 유제품 주문정보를 삭제한다. 이렇게 하여, 고객은 제1 설정시간 이내에 유제품이 신속히 배달되었다는 것을 알고 만족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S100 내지 S900에 관한 더 상세한 설명은 전술한 도 1 내지 도 6에 관한 설명을 참조하기로 하며, 전술한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과 관련한 모든 사항도 또한 부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관련하여, 현재에는 판매업체가 직접 상품을 홍보하거나 영업사원이 나서 홍보하는 과정에서 허위행위가 증가하고 있으며, 영업사원들의 갑질로 인하여 영업사원들이 부당하게 돈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판매업체에서는 영업사원들이 거짓으로 고객을 유치하는 일이 증가함으로써 폐업률이 증가하고, 허위로 영업하는 영업사원들때문에 우유 및 유제품에 대한 불신이 늘어남으로써 고객과 판매업체는 많은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이에 따라, 경쟁하는 판매업체들끼리 직접 어플을 통하여 실제의 내용만으로 홍보를하여 고객들에게 믿음을 주고, 허위로 고객을 유치하는 영업사원들때문에 발생하는 노예계약과 위약금 자체를 최소한으로 줄여 여러 우유를 먹어보며 자유롭게 배달신청 및 중단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우선적으로 시행할 시스템은 단말기의 어플 실행을 통한 고객들의 유제품 선택을 통해 해당 관할 판매업체에 전달되면, 그 판매업체의 이름과 대표자 이름을 알 수 있도록 하며 해당 판매업체에서 담당할 수 있다. 추후로는 배달의 민족처럼 해당 판매업체에 대한 평가도 시행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고객 단말기 20 : 배달원 단말기
30 : 데이터베이스 100 : 주문수령부
200 : 주문정보 변환부 300 : 배달원 지정부
400 : 유제품 차고지 단말 500 : 유제품 주문정보 송신부
600 : 유제품 수신 판단부 1000 :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

Claims (7)

  1. 고객 단말기(10)로부터 유제품 주문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하는 주문수령부(100);
    상기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된 유제품 주문정보를 문자형태로 생성한 후 캡쳐하여 텍스트 파일이나 데이터 파일로 변환한 후 테더링 기능을 이용하여 외부로 송신하는 주문정보 변환부(200);
    상기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된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로부터 배달원을 지정하고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를 지정하는 배달원 지정부(300);
    상기 주문정보 변환부(200)로부터 상기 텍스트 파일이나 상기 데이터 파일을 수신한 후, 상기 텍스트 파일이나 상기 데이터 파일에서 검색된 유제품 주문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주문정보 관리창을 디스플레이시키고, 배달원이 상기 유제품 주문정보에 해당하는 유제품의 배달을 위해 출발할 때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배달출발신호를 상기 고객 단말기(10)에 송신하는 유제품 차고지 단말(400);
    상기 유제품 차고지 단말(400)로부터 유제품 주문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배달원 지정부(300)가 지정한 배달원의 배달원 단말기(20)로 송신하는 유제품 주문정보 송신부(500); 및
    상기 배달원 지정부(300)로부터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를 수신하고, 유제품의 배달이 완료된 후 상기 배달원 단말기(20)로부터 상기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상기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를 수신하였을 때, 수신한 상기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상기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가 상기 배달원 지정부(300)로부터 수신한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와 일치하면 유제품의 배달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고 상기 주문수령부(100)에 유제품의 배달완료정보를 송신하는 유제품 수신 판단부(600)를 포함하는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주문수령부(100)가 고객 단말기(10)로부터 유제품 주문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하는 제1 단계;
    주문정보 변환부(200)가 상기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된 유제품 주문정보를 문자형태로 생성한 후 캡쳐하여 텍스트 파일이나 데이터 파일로 변환하는 제2 단계;
    배달원 지정부(300)가 상기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된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로부터 배달원을 지정하고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를 지정하는 제3 단계;
    유제품 차고지 단말(400)이 상기 주문정보 변환부(200)로부터 테더링 기능을 통해 상기 텍스트 파일이나 상기 데이터 파일을 수신한 후, 상기 텍스트 파일이나 상기 데이터 파일에서 검색된 유제품 주문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주문정보 관리창을 디스플레이시키는 제4 단계;
    배달원이 상기 유제품 주문정보에 해당하는 유제품의 배달을 위해 출발할 때, 상기 유제품 차고지 단말(400)이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배달출발신호를 상기 고객 단말기(10)에 송신하는 제5 단계;
    유제품 주문정보 송신부(500)가 상기 유제품 차고지 단말(400)로부터 상기 유제품 주문정보를 수신하여 배달원 지정부(300)가 지정한 배달원의 배달원 단말기(20)로 송신하는 제6 단계;
    유제품 수신 판단부(600)가 상기 배달원 지정부(300)로부터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를 수신하는 제7 단계;
    유제품의 배달이 완료된 후 상기 배달원 단말기(20)로부터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를 수신하였을 때, 유제품 수신 판단부(600)가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가 배달원 지정부(300)로부터 수신한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제8 단계; 및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가 상기 배달원 지정부(300)로부터 수신한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와 유제품 수신 비밀번호와 일치할 때, 유제품 수신 판단부(600)가 유제품의 배달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고 상기 주문수령부(100)에 유제품의 배달완료정보를 송신하는 제9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유제품 차고지 단말(400)은 상기 배달 일시보다 설정시간 전에 상기 주문정보 변환부(200)로부터 상기 텍스트 파일이나 상기 데이터 파일을 수신하며,
    상기 주문정보 변환부(200)는 상기 배달 횟수를 판단하고, 상기 배달 횟수가 마지막인 경우 상기 유제품 차고지 단말(400)에 상기 텍스트 파일이나 상기 데이터 파일을 송신한 후, 상기 데이터베이스(30)에서 상기 유제품 주문정보를 삭제하고,
    상기 유제품 주문정보는 고객 이름, 고객 스마트폰 번호, 고객 주소, 적어도 하나의 유제품 이름, 해당 유제품의 수량, 배달 횟수, 배달 일시 및 결제정보이며,
    상기 배달원의 프로필 정보는 배달원 번호, 배달원 이름 및 스마트폰 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제품 배달 서비스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제품 주문정보 송신부(500)는 상기 유제품 주문정보의 고객 주소에 해당하는 맵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배달원 단말기(20)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제품 배달 서비스 방법.
  7. 삭제
KR1020190009554A 2019-01-25 2019-01-25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241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554A KR102241986B1 (ko) 2019-01-25 2019-01-25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554A KR102241986B1 (ko) 2019-01-25 2019-01-25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2540A KR20200092540A (ko) 2020-08-04
KR102241986B1 true KR102241986B1 (ko) 2021-04-19

Family

ID=72049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9554A KR102241986B1 (ko) 2019-01-25 2019-01-25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198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7862B1 (ko) * 2010-12-07 2012-08-28 (주)와토시스 스마트 폰을 이용한 배달 주문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1567138B1 (ko) * 2013-09-13 2015-11-10 김정우 주문 시스템 및 방법
KR101905144B1 (ko) * 2018-06-04 2018-10-08 고창신 마켓 연동 택배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9136A (ko) * 2008-06-05 2008-06-26 이진범 택배 안전 비밀번호 발급 및 설정 방법
KR20160137459A (ko) * 2016-11-08 2016-11-30 송석주 회원제 화장품 정기 배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826307B1 (ko) 2017-01-25 2018-02-06 진정식 상품 주문 및 배달을 위한 판매업체와 배달업체 간의 중개 서비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7862B1 (ko) * 2010-12-07 2012-08-28 (주)와토시스 스마트 폰을 이용한 배달 주문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1567138B1 (ko) * 2013-09-13 2015-11-10 김정우 주문 시스템 및 방법
KR101905144B1 (ko) * 2018-06-04 2018-10-08 고창신 마켓 연동 택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2540A (ko) 2020-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140526A1 (en) Smart Appliance Processing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KR101417870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음식주문 방법 및 시스템
KR101953851B1 (ko) 고객 단말을 이용한 무인 주문, 결제 및 수령을 포함하는 무인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US2015022101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efficient shopping
WO2015092860A1 (ja) 訪問管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訪問管理方法
WO2016035699A1 (ja) 予約システム
US2015028708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online marketplace for local merchants
US20200090248A1 (en) Network computing system for determining interest levels for consumable items
JP2019003634A5 (ko)
US10586250B1 (en) Incentivized crowd-source pricing
US20130317911A1 (en) Real-Time Advertisement Negotiation
KR20140118655A (ko) 전자 메뉴판을 이용한 전자주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109802B1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물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WO2017000014A1 (en) Improved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US20160239901A1 (en) Food inventory and purchasing tool
WO2002073486A1 (fr) Systeme de commande sur internet
US20130006762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on and display of time sensitive information
JP7107644B2 (ja) 設定装置、設定方法及び設定プログラム
KR102241986B1 (ko) 유제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150262258A1 (en) System and method publishing ad hoc offer messages and anonymous geographic proximity and category searches
KR102097763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배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87203A (ko) 사용자 위치기반 포인트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01740A (ko) 소비자와 점포 간의 실시간 매칭 서비스 시스템 및 그 기록 매체
JP2018026003A (ja) 商品情報処理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607397B1 (ko) 소셜 플랫폼을 통한 주문 관리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