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1091A - 물품의 배송을 위한 자동 주문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물품의 배송을 위한 자동 주문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1091A
KR20020061091A KR1020010002076A KR20010002076A KR20020061091A KR 20020061091 A KR20020061091 A KR 20020061091A KR 1020010002076 A KR1020010002076 A KR 1020010002076A KR 20010002076 A KR20010002076 A KR 20010002076A KR 20020061091 A KR20020061091 A KR 200200610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ivery
customer
deliveryman
server
o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2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욱
Original Assignee
(주)자우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자우넷 filed Critical (주)자우넷
Priority to KR1020010002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61091A/ko
Publication of KR20020061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1091A/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객의 입장에서는 주문 접수 및 배송 절차가 간편하고 신속할 뿐 아니라 안전하며, 배송 서비스 사업자의 입장에서는 관리 및 운영 비용이 저렴하고 능률적인 배송서비스의 운영을 가능하게 하는 물품 배송 자동주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물품 배송 자동주문 처리 방법은 고객(1)이 공중 전화망을 통해 배송 서비스 사업자가 운영하는 접수센터(3)의 CTI서버(31)에 접속하여 배달원(5)을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대해 상기 서버(31)가 상기 고객(1)에게 주문번호를 발송하는 고객호출 접수단계(S100); 상기 서버(31)가 업무 가능한 배달원(5)을 검색하고, 검색된 상기 배달원(5)에 대해 이동통신망을 이용해 상기 서버(31)로의 접속을 요청하는 배달원 호출단계(S200); 상기 서버(31)의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배달원(5)이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버(31)에 접속하고, 상기 서버(31)로부터 상기 고객(1)에 대한 정보를 입수하며, 과금업체(9)를 매개로 상기 배송 서비스 사업자에 대해 고객정보 이용료를 결제하는 배달원의 호출 접수단계(S300); 및 상기 고객의 정보에 따라 상기 배달원(5)이 상기 고객(1)의 위치로 이동하여, 배달지로 물품을 배송하고, 배송 이용료를 수금한 뒤, 수금사실을 상기 서버(31)에 통지하는 물품배송단계(S400);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고객의 주문을 접수하고 접수된 주문을 배달원에게 전달하는 데 CTI서버 및 이동통신망을 이용함으로써 고객의 주문 접수 및 확인절차와 배송 서비스 운영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물품의 배송을 위한 자동 주문처리 방법{processing method for automatically giving an order for delivering articles}
본 발명은 물품의 배송을 위한 자동주문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객의 주문 접수가 간편하고, 배달원의 위치정보가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관리되며, 이용 고객의 수가 증가하여도 유지비용이 증대되지 않고, 배송 물품의 현재 처리 상태를 고객이 점검할 수 있으며, 배달원이 고객에게 직접적으로 위치를 확인하는 불편이 없고, 종래의 배송 이용료 지입금 관행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한 물품 배송을 위한 자동주문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 상거래시 고객이 물품의 배송을 원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배달원 요청단계(S110), 유효배달원 확인단계(S120), 요청고객 정보전달단계(S130), 고객위치 확인단계(S140), 고객위치로의 이동단계(S150) 및, 배달지로의 물품배송단계(S160)를 거쳐 배송 서비스가 이루어진다.
즉,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배송을 원하는 고객(101)은 이를 전문으로 하는 배송회사의 접수센터(103)에 전화를 건다. 이때 접수센터(103)의 전화접수원이 전화를 받게 되며, 고객의 전화번호, 위치, 이송할 물품의 상세한정보 및 출발지와 도착지 정보 등을 얻어 기록한다(S110).
그리고 나서, 접수센터(103)의 접수원은 배달원(105)의 현 위치와 작업대기상태 정보를 토대로 현재 고객(101)의 위치와 근거리에 위치하고, 현재 다른 업무를 진행중이지 않은 배달원(105)을 찾게 된다. 이때 배달원(105)의 수가 적은 영세한 배송회사의 경우에는 수작업으로 기록된 배달원(105)의 현 위치와 현재의 작업지시서를 참조하게 되는 반면에, 배달원(105)의 수가 보다 많은 배송회사의 경우에는 특정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현재 고객(101)의 배달 요청에 적합한 배달원을 찾게 된다(S120).
다음에, 접수원은 선택한 배달원(105)에게 작업지시를 하게 되는데, 해당 배달원이 배송회사 내에 있는 경우에는 직접 지시를 하며, 배송회사 외부에 있는 경우에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작업을 지시한다. 작업지시에 의해 배달원이 접수하게 되는 정보는 출발지의 개략적인 정보와 고객(101)의 전화번호이다(S130).
작업지시를 받은 배달원(105)은 고객(101)에게 전화를 하여 물품의 출발지를 확인한다(S140). 그리고 나서, 배달원(105)은 출발지로 이동한다(S150). 출발지에서 고객(101)의 물품을 인수한 배달원은 물품을 도착지로 배달하고, 출발지 또는 도착지에서 대금을 수령한다(S160).
이렇게 해서 일련의 배송 서비스가 완료되며, 이때 각 단계마다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먼저, 배달원 요청단계(S110)에 있어서 배달을 원하는 고객(101)의 요청이 점차 증가되는 경우 접수센터(103)의 접수원의 수가 상대적으로 증가되어야 하므로배송 서비스의 운영비용이 증대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유효배달원 확인단계(S120)에서 배달원(105)의 위치 정보가 불분명한 경우 해당 배달원이 고객에게 가는 시간이 지연될 수 있으며, 검색된 배달원이 현재 업무지시를 받고 있지 않은 상태가 명백하여야 하나 그렇지 않은 경우에 또는 배달원(105)이 기존의 배달을 마치지 않은 상태에서 개인적인 영리를 목적으로 중복하여 작업지시를 받는 경우에 원활하게 배송업무가 진행되지 않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끝으로, 고객위치 확인단계(S140)에서 고객(101)은 출발지를 확인하는 배달원으로부터의 불필요한 전화를 받게 될 뿐 아니라 배달원에게 자신의 위치를 상세히 설명하여야 하는 불편을 감수해야 하며, 출발지의 위치 파악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에는 반복적으로 위치설명을 해야하는 불편이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배송 서비스 방식은 배달원(105)으로부터 사전에 일정 금액을 지입 받고 배달원에게 업무를 지시하여 고객(101)의 물품을 배달하도록 하고, 대금을 전액 배달원의 수수료로 갖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인 수익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배송회사는 배달원이 사전에 납입한 지입금으로 운영되며, 이중 접수원의 인건비와 기타 관리비를 제외한 나머지를 실제 수익으로 갖게 된다. 따라서 배달원은 보다 많은 업무지시를 받기 위해 자신의 위치정보와 현 업무상태를 접수원에게 사실과 달리 보고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배송 서비스의 질이 현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물품 배송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첫째 고객의 주문 접수를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둘째 배달원의 위치정보가 정확하게 접수센터의 데이터베이스에 실시간으로 보고되도록 하며, 셋째 고객의 요청이 많아지더라도 전화접수원의 수를 늘리지 않고 이를 해결함으로써 수익을 극대화시키고, 넷째 고객의 요구에 가장 적합한 배달원에게 고객의 정보를 제공하여 배송하도록 함으로써 배송업무의 분배를 최적화하며, 다섯째 배달원이 고객에게 전화를 걸어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발생하는 불편을 사전에 방지하고, 여섯째 고객으로 하여금 배달원에게 전달한 물품의 현재 위치 또는 배송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일곱째 배송회사가 배송처리에 따른 수수료를 배달원에게 정확하게 청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물품 배송시스템을 구현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물품배송 서비스의 기본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물품배송 서비스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물품배송 주문처리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도 3의 고객호출 접수단계의 진행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도 3의 배달원 호출단계의 진행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도 3의 배달원의 호출접수단계의 진행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도 6의 배달원 및 주문처리 상태변경 프로세스의 진행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도 8은 도 4의 처리상태 확인 프로세스의 진행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도 9는 도 6의 정보 이용료 과금 프로세스의 진행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 : 고객 3 : 무인 접수센터
5 : 배달원 7 : 이동통신 사업자
9 : 과금업체 31,33 : 서버
35,351,353,355 : 데이터베이스 S100 : 고객호출 접수단계
S200 : 배달원 호출단계 S300 : 배달원의 호출접수단계
S400 : 물품배송단계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고객이 공중 전화망을 통해 배송 서비스 사업자가 운영하는 접수센터의 CTI서버에 접속하여 배달원을 요청하고, 이 요청에 대해 서버가 고객에게 주문번호를 발송하는 고객호출 접수단계; 서버가 업무 가능한 배달원을 검색하고, 검색된 배달원에 대해 이동통신망을 이용해 서버로의 접속을 요청하는 배달원 호출단계; 서버의 접속 요청에 따라 배달원이 이동통신망을 통해 서버에 접속하고, 서버로부터 고객에 대한 정보를 입수하며, 과금업체를 매개로 배송 서비스 사업자에 대해 고객정보 이용료를 결제하는 배달원의 호출 접수단계; 및 고객의 정보에 따라 배달원이 고객의 위치로 이동하여, 배달지로물품을 배송하고, 배송 이용료를 수금한 뒤, 수금사실을 서버에 통지하는 물품배송단계;로 구성되어 있는 물품의 배송을 위한 자동주문 처리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물품의 배송을 위한 자동주문 처리방법을 첨부도면을 참조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자동주문 처리방법은 온/오프라인 상의 각 경제 주체를 하나로 묶어 최초, 고객의 물품 배송주문으로부터 최종, 목적지에 물품을 배달하기까지의 일련의 절차와 관련한 물품배송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객(1), 배송 서비스 사업자, 배달원(5), 이동통신 사업자(7) 및 과금업체(9)와 같은 운영주체와 이들 각각의 운영주체를 연결하는 공중전화망, 이동통신망, 인터넷망 등의 통신망으로 구성된 전체 시스템에 의해 구현된다.
여기에서 무인접수센터(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CTI(Computer-Telephony Integration) 서버(31), WEB 서버(33) 및 데이터베이스(35)로 구성되는데, CTI 서버(31)는 컴퓨터를 사용해 전화 통화를 관리하는 서버로서, 외부에서 걸려온 전화를 직접 사내의 관련 부서로 연결하는 것과 같은 전산화된 교환 서비스 또는 주문접수 로직을 처리하는 역할을 하며, WEB 서버(33)는 인터넷 서비스와 관련하여 웹사이트를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35)는 배달원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351), 고객정보 데이터베이스(353) 및 주문정보 데이터베이스(355)로 이루어져 있는데, 배달원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351)는 이동통신 사업자(7)에게서 제공 받는 배달원(5) 소유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상시 저장하며, 배달원(5)의 위치이동에 따라 자동적으로 배달원(5)의 위치정보를갱신하도록 되어 있고, 고객정보 데이터베이스(353)는 고객(1)의 전화번호와 고객번호 및 위치정보 등을 저장하고 있으며, 주문정보 데이터베이스(355)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주문의 상태를 저장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이 구성된 시스템에 의해 운영되는 본 발명에 따른 물품의 배송을 위한 자동 주문처리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고객호출 접수단계(S100), 배달원 호출단계(S200), 배달원의 호출접수단계(S300), 물품배송단계(S400)로 이루진 진행절차에 따라 수행된다.
여기에서, 고객(1)이 신규주문을 하기 위해 즉, 배달원(5)을 요청하기 위하여 또는 이전의 주문에 대한 진행확인을 위하여 공중 전화망 또는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하는 데 따른 처리과정인 고객호출 접수단계(S100)는 다시 고객(1)이 배달원(5)을 요청하는 과정(P110)과 해당 고객에게 주문번호를 발송하는 과정(P12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배달원 호출단계(S200)는 단계(S100)에서의 고객(1) 호출에 따라 배달원(5)을 호출하는 단계로서, 업무가 가능한 배달원(5)을 검색하는 과정(P210)과 검색된 배달원(5)에 대해 접수센터(3)로 접속할 것을 이동통신망을 이용해 요청하는 과정(P220)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때 유효 배달원의 검색이 가능하도록 접수센터(3)는 이동통신 사업자(7)로부터 상시 배달원(5)의 위치정보를 접수하는 과정(P230)을 반복하도록 되어 있다.
이어서, 단계(S200)에서의 접속 요청에 대응해 배달원(5)이 접수센터(3)에 접속을 하여 물품배송에 따른 정보를 입수하게 되는 배달원의 호출 접수단계(S300)에서는 배달원(5)이 이동통신망을 통해 접수센터(3)에 접속하는 과정(P310)과 접수센터(3)로부터 고객(1)에 대한 정보를 입수하는 과정(P320)을 거치게 된다.
다음에, 물품배송단계(S400)는 실질적으로 배달원에 의해 물품이 배송되는 단계로서, 배달원(5)이 현재 고객(1)이 요구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P410), 이동 후 고객(1)이 요구하는 배달지로 물품을 배송하는 과정(P420), 과정(P410)에서 선불로 또는 과정(P420)에서 후불로 고객(1)으로부터 배송 이용료를 수금하는 과정(P430) 및 배송 이용료의 선/후불 수금 사실을 접수센터(3)에 통지하는 과정(P440)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물품의 배송을 위한 자동주문 처리방법을 통해 물품을 배송하고자 하는 고객(1)은 최초 고객호출 접수단계(S100)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달원 요청과정(P110)을 거치게 되는데, 먼저 공중전화망 또는 인터넷망을 통하여 접수센터(3)에 접속을 한다. 이때 고객(1)이 공중전화망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CTI 서버(31)가, 인터넷 망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WEB 서버(33)가 이에 대응하여 고객(1)의 전화번호와 회원번호를 요청한다(P111). 공중전화망을 이용하는 고객(1)은 전화기의 수자판을 통하여, 인터넷을 이용하는 고객(1)은 CGI(Common Gateway Interface)를 통하여 접수센터(3)의 서버(31 또는 33)로 회원정보를 전송한다(P112). 접수센터(3)의 서버는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353)에서 고객의 전화번호를 검색하는데, 이때 신규고객인 경우 공중전화망을 통하여 접속한 고객(1)에 대해서는 SR(Speech Recognition) 기술 즉, 음성인식기술을 사용하여 고객의 위치정보 및 여타의 정보를 받아들이고,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한 고객(1)에 대해서는 CGI를 통하여 각종 정보를 받아들인 후 고객정보 데이터베이스(353)에 이를 저장한다(P113). 이후, 각 서버는 고객(1)이 신규의 배달원(5)을 요청하고 있는 지 여부를 전화기의 번호판 또는 CGI를 사용하여 고객(1)에게 확인하는데, 확인 결과 신규 배달원의 요청이 아니면 고객이 이전 주문에 대한 확인을 위하여 접속한 것으로 보고 처리상태 확인프로세스(P600)를 발생시킨다(P114).
확인과정(P114)을 통하여 고객(1)이 배달원(5)을 요청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주문번호 발송과정(P120)을 개시하는데, 먼저 신규주문을 데이터베이스(355)에 저장한다(P121). 그리고 나서 주문번호를 발생시킨 다음(P122), 배달원 호출단계(S200)를 발생시킨 뒤(P123), CTI 서버(31)는 TTS(Text To Speech)를 사용하여, WEB 서버(33)는 CGI를 이용하여 고객(1)에게 주문번호를 발송함으로써(P124) 고객호출 접수단계(S100)는 종료된다.
여기에서, 처리상태 확인프로세스(P6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객(1)이 기 주문한 것에 대한 처리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세스로서, 다음과 같은 절차로 진행된다.
먼저, CTI 또는 WEB 서버(31,33)는 고객(1)의 주문번호 입력을 요청한다(P610). 이에 따라 고객(1)이 기 발송된 주문번호를 입력하면, 서버는 입력된 주문번호와 고객(1)이 일치하는 지를 확인한다(P620). 이때 고객(1)이 주문번호를 입력하지 않으면 해당 고객의 주문번호를 출력한다. 주문번호와 고객의 일치여부를 확인한 결과, 일치하는 경우에는 주문정보 데이터베이스(355) 내에 저장된 주문처리 상태를 TTS를 이용해 고객(1)에게 알려주며, 배달원(5)이 물품을 배송 중인 경우에는 현재 배달원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351)에 저장된 해당 배달원의 위치정보도 동시에 알려준다(P630). 반대로 주문번호와 고객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주문번호의 정확한 입력을 재요청한다.
이와 같이, 고객호출 접수단계(S100)를 통해 고객(1)의 호출이 접수되면, 접수센터(3)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달원 호출단계(S200)가 시작된다. 이 단계에서 서버(31)는 크게 배달원 검색(P210), 배달원에 대한 접속요청(P220) 그리고 배달원 위치정보 상시접수(P230)라는 과정을 통해 배달원을 호출하게 되는데, 먼저 검색과정(P210)에서 서버는 배달원 정보 데이터베이스(351)를 통하여 현재 업무가 진행 중이지 않은 배달원(5)을 검색한다(P211). 검색 결과 출력된 배달원 중 고객과 가장 근거리에 위치한 배달원을 다시 검색한다(P212). 이렇게 해서 최적의 배달원이 검색되면 서버(31)는 해당 배달원에게 접속을 요청하게 되는데(P220), 이동통신 사업자(7)가 제공하는 SMS(Short Messaging Service) 즉, 문자메시지 서비스를 사용하여 해당 배달원에게 고객의 주문번호를 전송한다(P221). 이후 서버는 배달원의 접속을 기다리기 위해 일정시간을 대기한다(P222). 그리고 나서 접속대기 시간이 일정시간을 초과하면 배달원 호출 단계(S200)를 다시 진행하거나 또 다른 배달원을 검색하여 위와 같은 방식으로 메시지를 보내게 된다(P223). 그런데 이때 서버(31)는 배달원의 위치를 즉각적으로 검색할 수 있도록 이동통신 사업자(7)로부터 배달원의 위치정보를 수시로 접수하여 배달원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351)에 저장하게 된다(P230).
이렇게 해서 서버(31)로부터 주문번호 메시지에 의해 호출을 받은 배달원은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달원의 호출접수 단계(S300)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서버(31)에 접속하여(P310), 고객의 정보를 전송받게 된다(P320).
즉, 접속과정(P310)에서 배달원은 최초 자신 소유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해 접수센터(3)의 CTI 서버(31)에 접속한다(P311). 접속 후 배달원(5)은 서버의 요청에 따라 단말기를 통해 배달원 번호를 입력한다(P312). 배달원 번호를 전송 받은 CTI 서버(31)는 해당 배달원이 현재 주문처리 중에 있는 배달원인 지 여부를 판단하여 주문처리 중에 있는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달원 및 주문처리 상태변경 프로세스(P600)를 시작하여 배달원의 주문상태를 이동상태로 또는 다른 새로운 주문의 접수가 가능한 상태로 변경한다(P313).
여기에서, 배달원 및 주문처리 상태변경 프로세스(P500)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가 배달원의 주문처리 및 주문접수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로서, 배달원의 현재상태를 묻고(P510), 배달원의 입력정보에 따라 배달할 물품의 접수를 위해 배달원이 고객의 위치로 도착한 경우에는 주문정보 데이터베이스(355)의 물품접수 상태를 완료 후 이동상태로 변경한 후(P520) 접속을 종료한다. 배달원이 물품을 도착지에 배송 완료한 경우에는 주문정보 데이터베이스(355)의 처리상태를 처리완료로 변경한다(P530). 그리고 나서 배달원 데이터베이스(351)에서 해당 배달원을 다른 주문의 접수가 가능한 상태로 변경하고(P540) 접속을 종료한다. 배달원의 업무 시작과 종료시에도 위와 같은 상태변경 프로세스(P500)를 그대로 적용할 수 있는 바, 접속한 배달원이 업무시작을 요청하는 경우에는 배달원 데이터베이스(351)에서 해당 배달원을 다른 주문의 접수가 가능한 상태로 변경하고(P540) 접속을 종료한다. 또한 배달원이 업무종료를 요청하는 경우에는 배달원 데이터베이스(351)에서 해당 배달원을 다른 주문의 접수가 불가능한 상태로 변경하고(P550) 접속을 종료한다.
주문 처리 확인과정(P313)에서 주문 처리 중인 아닌 것으로 판단된 배달원에 대해서는 해당 배달원이 배달원 호출단계(S200)에서 호출에 의해 접속한 배달원인 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 결과 접속한 배달원이 다른 주문을 처리하고 있는 중이거나 접속을 요청하지 않은 배달원인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배달원 및 주문처리 상태변경 프로세스(P500)를 진행하며(P314), 반대로 호출에 의해 접속한 배달원인 경우에는 주문번호의 입력을 요청한다(P315). 배달원이 주문번호를 입력하면(P316) 주문번호를 확인한 CTI 서버는 현재 새로운 주문의 접수가 가능한 지를 배달원에게 묻고(P317), 접수가 불가능할 경우에는 해당 배달원을 배달원 데이터베이스(351)에서 삭제하고(P318) 접속을 종료한 다음, 배달원 호출단계(S200)를 재개한다.
반대로 배달원의 주문접수가 가능한 경우에는 고객정보 전송과정(P320)에 따라 해당 배달원에게 TTS를 사용하여 이동하여야 할 고객의 위치를 알려준 후(P321), 배달원(5)이 과금업체(9)를 매개로 배송 서비스 사업자에 대해 고객정보 이용료를 결제하는 정보이용료에 대한 과금프로세스(P700)를 발생시킨 다음(P322) 접속을 종료한다.
이때, 과금 프로세스(P7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송 서비스 사업자가 CTI서버를 통해 배달원(5)의 정보이용료를 확보하는 과정으로서, 먼저 CTI 서버에서 배달원의 배송이용료 수금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배달원이 고객으로부터 배송료를 수금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되면 배달원(5)에 대한 정보 이용료의 과금을 보류하고 배송 이용료가 수금될 때까지 대기한다(P710). 배송이용료가 수금된 것으로 확인되면 서버는 RTBS(Real Time Billing System) 사업자 즉, 실시간 과금시스템 사업자(9)의 서버에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하여, 배달원의 이동통신 요금에서 과금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해당 수금액에 상당하는 정보이용료 대금을 청구하고(P720), 과금업체(9)가 지급하는 과금액에 상당하는 정보이용료 대금을 수령한다(P730). 이와 같이 정보이용료 대금을 지급한 과금업체(9)는 배달원(5)에게 정보이용료 대금 지급사실을 확인하도록 요청하게 되며, 대금 지급사실에 대한 배달원(5)의 확인이 없으면 이동통신 사업자에 대한 요금청구 요청을 보류하고 배달원(5)의 확인을 대기한다(P740). 과정(P740)에서 배달원(5)의 확인을 얻은 과금업체(9)는 비로소 접수센터(3)에 지급한 정보이용료 대금에 상당하는 금액을 통신요금으로서 배달원(5)에게 청구하도록 이동통신 사업자(7)에게 요청하게 된다(P750). 과금업체(9)의 요청에 따라 이동통신 사업자(7)는 배달원(5)에 대해 해당 통신요금을 청구하며(P760), 배달원(5)은 이동통신요금으로 부과된 정보 서비스 이용료 상당요금을 납부함으로써 자신의 정보이용료를 배송 사업자에게 후납하게 된다(P770). 끝으로 이동통신 사업자(7)가 납부된 요금을 정보이용료 대금으로서 과금업체(9)에 환급함으로써(P780) 일련의 정보 이용료 과금절차가 종료된다.
계속해서, 배달원의 호출접수단계(S300)에 이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배송 단계(S400)가 개시된다. 이 단계(S400)가 개시되면 배달원은 전송된 고객 정보에 따라 고객의 위치로 이동하여 배송할 물품을 접수하고 CTI 서버(31)에 접속해 물품의 접수를 통보한다(P410). 그리고 나서 배달지로 물품을 배송하고(P420), 고객으로부터 배송 이용료를 수금하는데, 이용료가 선불인 경우에는 과정(P410)에서 고객으로부터 이용료를 수금하며, 후불인 경우에는 과정(P420)의 배달지에서 이용료를 수금한다(P430). 선/후불로 배송 이용료를 수금을 한 배달원(5)은 이동통신망을 이용해 수금사실을 접수센터(3)에 통지한다(P440). 이와 같이 배송완료를 통보함으로써 배달원은 다른 작업지시를 받을 수 있는 상태가 되는 한편, 고객은 CTI 서버에 공중전화망을 통해 접속하여 물품의 현 위치 또는 배송결과 등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지금까지는 CTI 서버와 공중전화망을 이용하는 경우에 대해서만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하고 있으나, 접수센터에 설치된 WEB 서버(33)를 이용해 고객으로 하여금 인터넷망을 통해 배달원 요청, 배송처리상태 확인 등의 절차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물품의 배송을 위한 자동 주문처리 방법에 따르면, 고객의 전화를 받는 접수원의 업무를 CTI, TTS, SR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정형화된 업무처리 절차로 변경함으로써 고객은 간단한 절차를 통하여 배달원을 요청할 수 있고, 보다 신속한 배송절차의 구현이 가능하며, 배송의 진행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등 고객에 대한 배송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CTI 서버에 의해 접수원의 업무를 대행함으로써 고객의 요청 증가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인건비의 증가를 막고 영업이익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CTI서버가 TTS 기술을 사용하여 고객의 위치정보를 배달원에게 직접 제공하기 때문에 배달원이 고객에게 전화를 하여 위치를 확인하여야 하는 과정이 생략되므로, 배송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의 편리성을 일층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배달원의 업무현황을 즉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므로 배달원의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하게 되며, 과금업체를 통해 배달원에 의한 정보 이용료의 수금 시스템을 합리화함으로써 배달원에게는 지입금의 사전 납입에 대한 부담을 없애고, 배송 서비스사업자에게는 서비스 이용료의 정확한 회수를 보장할 수 있게 되므로 이용료 수수와 관련된 금전문제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7)

  1. 고객(1)이 공중 전화망을 통해 배송 서비스 사업자가 운영하는 접수센터(3)의 CTI서버(31)에 접속하여 배달원(5)을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대해 상기 서버(31)가 상기 고객(1)에게 주문번호를 발송하는 고객호출 접수단계(S100); 상기 서버(31)가 업무 가능한 배달원(5)을 검색하고, 검색된 상기 배달원(5)에 대해 이동통신망을 이용해 상기 서버(31)로의 접속을 요청하는 배달원 호출단계(S200); 상기 서버(31)의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배달원(5)이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버(31)에 접속하고, 상기 서버(31)로부터 상기 고객(1)에 대한 정보를 입수하며, 과금업체(9)를 매개로 상기 배송 서비스 사업자에 대해 고객정보 이용료를 결제하는 배달원의 호출 접수단계(S300); 및 상기 고객의 정보에 따라 상기 배달원(5)이 상기 고객(1)의 위치로 이동하여, 배달지로 물품을 배송하고, 배송 이용료를 수금한 뒤, 수금사실을 상기 서버(31)에 통지하는 물품배송단계(S40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배송을 위한 자동주문 처리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호출 접수단계(S100)는 상기 CTI 서버(31)가 공중전화망을 통해 상기 서버(31)에 접속한 고객의 전화번호와 회원번호를 요청하고, 입력된 전화번호에 의해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353)를 검색하여 신규고객인 지 여부를 판단하는 고객의 배달원 요청과정(P110)과, 상기 과정(P110)에서의 판단 결과 신규고객에 대해서는 SR기술을 사용해 고객 및 주문정보를 입력 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353)에 저장하고 주문번호를 발생시키며 배달원호출 단계(S200)를 발생시킨 다음 발생된 주문번호를 상기 고객(1)에게 발송하며 신규고객이 아닌 경우에는 처리상태 확인 프로세스(P600)를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는 고객에 대한 주문번호 발송과정(P120)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배송을 위한 자동주문 처리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달원 호출단계(S200)는 상기 서버(31)가 배달원 정보 데이터베이스(351)를 통해 업무가 진행 중이지 않은 배달원(5)을 검색하고 검색된 상기 배달원(5) 중 다시 최근거리에 있는 배달원을 검색하는 배달원 검색과정(P210)과, 검색된 상기 배달원(5)에게 SMS를 이용해 고객의 주문번호를 전송함으로써 접속을 요청한 다음 접속대기 시간이 초과할 때까지 반복해서 일정시간을 대기하는 배달원 접속요청과정(P220)과, 이동통신 사업자(7)로부터 수시로 배달원의 위치정보를 접수하여 상기 배달원 정보 데이터베이스(351)를 통해 저장하는 배달원 위치정보 상시접수과정(P230)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배송을 위한 자동주문 처리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달원의 호출 접수단계(S300)는 상기 배달원(5)이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배달원 번호를 입력하면 상기 서버(31)가 주문처리 중이거나 접속요청을 한 배달원이 아닌 경우에는 배달원 및 주문처리 상태변경 프로세스(P500)를 발생시키고 접속요청을 한 배달원인 경우에는 상기 주문번호를입력하도록 한 뒤 주문처리가 가능한 지를 확인하는 배달원 접속과정(P310)과, 상기 접속과정(P310)에서의 확인결과 주문처리가 가능하지 않은 상기 배달원(5)에 대해서는 유효배달원 목록에서 삭제하고 주문처리가 가능한 상기 배달원(5)에 대해서만 TTS를 통해 고객정보를 전송한 뒤 정보 이용료 과금 프로세스(P700)를 발생시키는 고객정보 전송과정(P320)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배송을 위한 자동주문 처리방법.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상태 확인 프로세스(P600)는 상기 서버(31)가 상기 고객(1)의 주문번호 입력을 요청하는 과정(P610)과, 상기 과정(P610)에서의 요청에 따라 상기 고객(1)이 주문번호를 입력하면 상기 서버(31)가 입력된 주문번호와 고객(1)이 일치하는 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P620)과, 상기 과정(P620)에서의 확인결과 상기 주문번호와 고객(1)이 일치하지 않으면 주문번호를 재요청하고 일치하면 주문번호 데이터베이스(355) 내에 저장된 주문처리 상태를 상기 고객(1)에게 TTS를 이용해 알려주는 과정(P630)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배송을 위한 자동주문 처리방법.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배달원 및 주문처리 상태변경 프로세스(P500)는 상기 서버(31)가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배달원(5)의 현재상태를 확인하는 과정(P510)과, 상기 과정(P510)에서의 확인결과 상기 배달원(5)이 물품접수를 위해 상기 고객(1)의 위치로 도착한 경우 주문정보 데이터베이스(355)의 물품접수 상태를 완료 후 이동으로 변경하는 과정(P520)과, 상기 배달원(5)이 물품을 도착지에 배송완료한 경우 주문정보 데이터베이스(355)의 처리상태를 처리완료로 변경하는 과정(P530)과, 상기 과정(P530)에서 물품의 배송을 완료한 상기 배달원을 배달원 데이터베이스(351)에서 다른 주문의 접수가 가능한 상태로 변경하는 과정(P540)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배송을 위한 자동주문 처리방법.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이용료 과금 프로세스(P700)는 상기 서버(31)가 상기 배달원(5)의 배송 이용료 수금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P710)과, 상기 서버(31)가 상기 배달원(5)의 이동통신 요금에서 과금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상기 수금액에 상당하는 정보 이용료 대금을 과금업체(9)에 청구하는 과정(P720)과, 상기 과금업체(9)가 상기 청구된 대금을 상기 서버(31)를 운영하는 상기 배송 서비스 사업자에게 지급하는 과정(P730)과, 상기 과금업체(9)가 상기 배달원(5)에게 정보이용료 대금의 지급사실을 확인할 것을 요청하는 과정(P740)과, 상기 과금업체(9)가 상기 이동통신 사업자(7)에게 상기 지급 대금을 이동통신 요금과 함께 상기 배달원(5)에게 청구할 것을 요청하는 과정(P750)과, 상기 이동통신 사업자(7)가 상기 청구요청에 따라 상기 배달원(5)에게 상기 지급대금을 이동통신 사용 요금과 함께 청구하는 과정(P760)과, 상기 배달원(5)이 상기 이동통신 사업자(7)로부터 부과된 요금을 납부하는 과정(P770)과,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 사업자(7)가 납부된 요금을 상기 과금업체(9)에 환급하는 과정(P780)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배송을 위한 자동주문 처리방법.
KR1020010002076A 2001-01-13 2001-01-13 물품의 배송을 위한 자동 주문처리 방법 KR200200610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2076A KR20020061091A (ko) 2001-01-13 2001-01-13 물품의 배송을 위한 자동 주문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2076A KR20020061091A (ko) 2001-01-13 2001-01-13 물품의 배송을 위한 자동 주문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1091A true KR20020061091A (ko) 2002-07-22

Family

ID=27691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2076A KR20020061091A (ko) 2001-01-13 2001-01-13 물품의 배송을 위한 자동 주문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6109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226B1 (ko) * 2007-02-14 2008-10-24 조양현 수금 대행 및 배달사원 공유를 위한 배달정보 제공 방법
KR101016885B1 (ko) * 2010-11-18 2011-02-22 임경재 농업용 관체 연결구
WO2019235702A1 (ko) * 2018-06-04 2019-12-12 Ko Chang Sin 마켓 연동 택배 시스템
CN110570137A (zh) * 2018-06-05 2019-12-13 北京京东振世信息技术有限公司 信息推送方法和装置
CN111754150A (zh) * 2019-03-29 2020-10-09 本田技研工业(中国)投资有限公司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通信终端和存储介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226B1 (ko) * 2007-02-14 2008-10-24 조양현 수금 대행 및 배달사원 공유를 위한 배달정보 제공 방법
KR101016885B1 (ko) * 2010-11-18 2011-02-22 임경재 농업용 관체 연결구
WO2019235702A1 (ko) * 2018-06-04 2019-12-12 Ko Chang Sin 마켓 연동 택배 시스템
CN110570137A (zh) * 2018-06-05 2019-12-13 北京京东振世信息技术有限公司 信息推送方法和装置
CN111754150A (zh) * 2019-03-29 2020-10-09 本田技研工业(中国)投资有限公司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通信终端和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90019A (ko) 복수의 수단에 의한 휴대용 장치 서비스 지불
JP2004515168A (ja) 個人の識別番号を請求するプロフェッショナルサービス
EP1361742B1 (en) Prepaid system and method and communication terminal
RU2233557C2 (ru) Способ расчетов за услуги, вызываемые из сети интернет
KR101068022B1 (ko) 휴대폰 결제를 위한 인증 처리 시스템 및 휴대폰 결제 처리 방법
CN111583008A (zh) 用电客户电费智能自动销账系统及方法
KR20020061091A (ko) 물품의 배송을 위한 자동 주문처리 방법
JP4786050B2 (ja) 電子機器の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カスタマセンタ並びにユーザシステム
KR100868379B1 (ko)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전화번호 검색순위 및/또는 경제동향지수 제공 방법 및 시스템
WO2001099398A1 (fr) Procede pour modifier une fonction d'un appareil electronique, central d'abonne, systeme vendeur, et systeme utilisateur
KR20010008183A (ko) 음식 주문/배달 시스템 및 방법
KR100393752B1 (ko) 선불제 통신카드를 이용한 후불제 과금 시스템
KR20020009279A (ko) 휴대전화를 이용한 전 세계 언어 통역서비스
JP2000332919A (ja) 通信制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方法
KR100404901B1 (ko) 선불제 통화시간 또는 유니트를 이용한 후불제 과금 방법
GB2387502A (en) Billing and regulating used service functions in a communication apparatus
KR20000037374A (ko) 비과금번호를 이용한 이동통신 선불 과금 시스템 및 방법
JP2003058565A (ja) 情報検索システム、情報検索サーバ、情報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10035522A (ko) 전화번호 임대 처리방법 및 전화번호 임대 처리시스템
KR100460352B1 (ko) 선불카드를 이용한 후불제 통화과금시스템
KR100742972B1 (ko)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형 국제전화카드와 그 판매방법 및그것을 이용한 전화서비스방법
WO2007119440A1 (ja) 通信制御装置、位置依存課金制御システムおよび位置依存課金制御方法
JP2002300323A (ja) 転送電話課金装置および転送電話課金方法
JP5050038B2 (ja) 電子機器の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カスタマセンタ並びにユーザシステム
KR101460763B1 (ko) 통신 단말의 기기 변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