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1285A - 퓨즈판, 및 그것을 구비하는 전지 블록 - Google Patents

퓨즈판, 및 그것을 구비하는 전지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1285A
KR20130081285A KR1020137007918A KR20137007918A KR20130081285A KR 20130081285 A KR20130081285 A KR 20130081285A KR 1020137007918 A KR1020137007918 A KR 1020137007918A KR 20137007918 A KR20137007918 A KR 20137007918A KR 20130081285 A KR20130081285 A KR 20130081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metal plate
plate
insulating resin
resi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7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2459B1 (ko
Inventor
마사히로 오노
다카시 나카가와
아키라 다카노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081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1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2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2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055Fusible members
    • H01H85/08Fusi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of the fusible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69/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69/02Manufacture of fu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241Structural association of a fuse and another component or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055Fusible members
    • H01H85/12Two or more separate fusible members in parall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0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8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current, e.g. fu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143Electrical contacts; Fastening fusible members to such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01H85/205Electric connections to contacts on the b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01M2200/103F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7Fuse m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us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Protection Of Static Devi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금속판과, 전지에 접속되는 접속부와, 금속판과 접속부를 연결하는 퓨즈부와, 퓨즈부에 접착된 절연성 수지막을 가지는 퓨즈판이며, 퓨즈부의 배선 패턴은 굴곡부를 가지고, 절연성 수지막은, 퓨즈부의 한 면을 덮는 구형 시트 형상 형태인, 퓨즈판.

Description

퓨즈판, 및 그것을 구비하는 전지 블록 {FUSE BOARD AND BATTERY BLOCK EQUIPPED WITH SAME}
본 발명은, 퓨즈판(fuse板), 및 그것을 구비하는 전지 블록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단전지를 조합시킴으로써, 소망의 전압 또는 전류량을 가지는 전지 블록을 얻을 수 있다. 전지 블록에 있어서, 복수 단전지의 전극 단자는, 1개의 전극판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단전지에 과잉 전류가 흘렀을 경우에는, 전지 블록 자체가 쇼트(short)할 염려가 있다. 그래서, 그 쇼트를 방지하기 위해서, 전극판과 단전지를 차단하기 위한 퓨즈를 설치하는 일이 있다.
단전지와 전극판 사이에 퓨즈를 설치하려면, 단전지의 전극 단자와 전극판을, 브라켓 용접함으로써 형성하거나 하는 것 외에, 와이어 본딩(Wire Bonding) 함으로써 형성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1을 참조).
또 특허 문헌 2에는, (가) 도전성(導電性) 금속판을 프레스 타발(打拔) 가공함으로써, 입력측 단자부, 복수의 출력측 단자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나) 타발된 금속판의 퓨즈부가 형성되는 개소를 포함한 영역을 절연체로 미리 몰딩하는 공정과, (다) 거의S자 형상 퓨즈부를 타발 가공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한 퓨즈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얻어진 퓨즈와 전지의 접속 강도가 약한 등의 문제가 있었다.
그 외에도, 여러 가지 관련 기술이 개시되어 있지만(예를 들면, 특허 문헌 3~7 참조), 상술한 과제를 해소하기까지는 달하지 않았다.
미국 특허 제7671565호 명세서 특개 2001-160347호 공보 특개 2005-347251호 공보 WO2011/007535호 공보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3-0075352호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5-0275370호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7-0188147호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단전지를 포함한 전지 블록에 있어서, 전지 블록의 쇼트를 방지하기 위하여, 각 단전지에 퓨즈를 설치한다. 그렇지만, 와이어 본딩은 작업 공정이 번잡하다. 한편, 용접으로 퓨즈를 전극 단자에 접합하려고 하면, 용접 작업에 있어서의 진동으로 인해, 퓨즈를 구성하는 배선(配線)이 절단되어 버리는 일이 있었다. 또, 전지 블록을 실제로 사용하고 있는 사이에, 진동에 의해 퓨즈를 구성하는 배선이 절단되어 버리는 일도 있었다.
특히, 금속판을 타발하여, 굽힘 가공해서 얻어진 퓨즈판을, 단전지에 용접하려고 하면, 퓨즈를 구성하는 배선도 비교적 벌키(bulky) 하기 때문에, 보다 진동하기 쉽고, 절단되기 쉽다. 그래서 본 발명은, 퓨즈의 배선 패턴을 호적화(好適化)하고, 그리고 또 퓨즈를 보호하는 수지막을 배치함으로써, 진동에 의해 퓨즈 배선이 절단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본 발명의 제1은, 이하에 나타내는 퓨즈판에 관한 것이다.
[1]금속판과, 전지에 접속되는 접속부와, 금속판과 접속부를 연결하는 퓨즈부와, 퓨즈부에 접착된 절연성 수지막을 가지는 퓨즈판이며, 퓨즈부의 배선 패턴은 굴곡부(屈曲部)를 가지고, 절연성 수지막은, 퓨즈부의 한 면을 덮는, 구형(矩形) 시트 모양 형태를 가진 퓨즈판.
[2]제[1]에 있어서,
금속판은, 진동 가능한 서스펜션부(Suspension)를 포함하고, 그리고 또 퓨즈부는 서스펜션부에 접속하는, 퓨즈판.
[3]제[1]에 있어서,
퓨즈판은, 금속판을 타발 가공 및 굽힙 가공함으로써, 접속부 및 퓨즈부를 패터닝(patterning)해서 얻어지는, 퓨즈판.
[4]제[1]에 있어서,
금속판의 면(面)높이와, 접속부의 면 높이는 상위(相違)한, 퓨즈판.
[5]제[1]에 있어서,
퓨즈부의 배선 패턴은 2이상의 굴곡부를 가지고, 그리고 또 2이상의 굴곡부는, 퓨즈부의 양단(兩端)을 잇는 직선에 대해서, 서로 반대 측에 있는, 퓨즈판.
[6]제[1]에 있어서,
퓨즈부의 두께는, 금속판의 두께보다 얇은, 퓨즈판.
[7]제[1]에 있어서,
절연성 수지막은, 절연성 수지와, 무기(無機) 필러(filler)를 포함하는, 퓨즈판.
[8]제[1]에 있어서,
퓨즈판은, 1개의 금속판과, 복수의 접속부와, 복수의 퓨즈부와, 복수의 절연성 수지막을 가지는, 퓨즈판.
본 발명의 제2는, 이하에 나타내는 퓨즈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9][1]에 기재한 퓨즈판의 제조 방법이며, 금속판을 준비하는 스텝과, 금속판을 타발 가공함으로써 접속부와 퓨즈부를 성형하는 스텝과, 금속체를 접어 굽힘 가공함으로써 접속부의 위치를 조정하는 스텝과, 접속부를 절연성 수지막으로 덮는 스텝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제3은, 이하에 나타내는 전지 블록에 관한 것이다.
[10]2이상의 전극 단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전지와, 복수의 단전지 각각의, 한쪽 전극 단자에 접속된 퓨즈판을 포함하는 전지 블록이며,
퓨즈판은, 금속판과, 복수의 단전지 각각의, 한쪽 전극 단자에 용접된 접속부와, 금속판과 접속부를 연결하는 퓨즈부와, 퓨즈부에 접착된 절연성 수지막을 가지고,
퓨즈부의 배선 패턴은 굴곡부를 가지는, 전지 블록.
본 발명의 제4는, 이하에 나타내는 퓨즈판에 관한 것이다.
[11]상면으로 부터 하면으로 이르는 개구부(開口部)가 복수 설치된 금속판과,
개구부의 둘레 2점으로부터 각각 연설(延設; extend)된 제1 막대 모양체 및 제2 막대 모양체, 제1 막대 모양체 및 제2 막대 모양체 각각의 타단(他端)과 연속해서 일체로 성형된 본체부를 구비하는, 진동 가능하게 형성된 거의U자 형상의 서스펜션부와, 서스펜션부의 본체부로부터, 금속판과의 접합부 측을 향하여 서스펜션부와 연속해서 일체로 성형된, 굴곡한 배선 패턴을 구비하는 퓨즈부와,
퓨즈부와 연속해서 일체로 성형되어, 전지에 접속 가능하게 성형된 접속부와, 퓨즈부의 한 면을 덮듯이, 서스펜션부의 본체의 일부로부터 접속부의 일부에 이르는 구형 시트 형상의 절연성 수지막을 가지는 퓨즈판.
[12]제[11]에 있어서,
접속부의 상면은, 금속판의 하면보다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는, 퓨즈판.
본 발명의 퓨즈판은, 금속판을 타발 가공 및 굽힘 가공함으로써, 간편하면서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퓨즈판은, 진동 등에 의해도 퓨즈부의 배선이 절단되기 어렵다. 따라서, 퓨즈판을 전지에 접속할 때의 용접 작업시나, 전지의 사용시에 있어서, 진동에 의해 퓨즈 부재가 절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퓨즈판에 복수의 접속부와 퓨즈부를 설치하면, 복수의 단전지를 가지는 전지 블록이며, 각 단전지에 퓨즈 기능이 부여되어 있는 전지 블록이 제공된다. 따라서, 어느것인가의 단전지에 이상(異常)이 발생하더라도, 전지 블록으로서의 쇼트가 방지된다.
도1은 실시형태에 따른 퓨즈판의 상면 사시도이다.
도2A는 실시 형태에 따른 퓨즈판의 상면도이다. 도2B는 실시형태에 따른 퓨즈판의 단면도이다.
도3A는 실시형태에 따른 퓨즈판의 퓨즈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그 1). 도3B는 실시형태에 따른 퓨즈판의 퓨즈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그 2).
도4A는 실시형태에 따른 퓨즈판의 전지 블록의 상면 사시도이다. 도4B는 실시형태에 따른 퓨즈판의 전지 블록의 단면도이다.
이하에, 실시 형태를 열거하여 본 발명의 설명을 행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 중 동일한 기능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단,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대조해서 판단해야 할 것이다. 또, 도면 상호간에 있어서도 서로의 치수의 관계나 비율이 다른 부분이 포함되어 있는 것은 물론이다.
<퓨즈판에 대해서>
본 발명의 퓨즈판은, 금속판과, 전지에 접속되는 접속부와, 퓨즈부와 절연성 수지막을 가진다. 바람직한 것은, 본 발명의 퓨즈판은, 1개의 금속판에 대해서, 2개 이상의 접속부와 퓨즈부와 절연성 수지막을 가진다. 2개 이상의 접속부와 퓨즈부와 절연성 수지막을 가지는 퓨즈판은, 복수의 단전지를 포함하는 전지 블록의 퓨즈판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퓨즈판(100)의 상면 사시도이다. 도2A는 퓨즈판(100)의 상면도이다. 도2B는 퓨즈판(100)의 단면도이다.
퓨즈판(100)은, (가) 상면(11a)으로부터 하면(11b)에 이르는 개구부(11)가 복수 설치된 금속판(10)과, (나) 개구부(11)의 둘레의 2점(11a, 11c)으로부터 각각 연설된 제1 막대 모양체(40a) 및 제2 막대 모양체(40b), 제1 막대 모양체(40a) 및 제2 막대 모양체(40c) 각각의 타단(他端)과 연속해서 일체로 성형된 본체부(40b)를 구비하는, 진동 가능하게 형성된 거의U자 형상(コ자 형상)의 서스펜션부(40)와, (다) 서스펜션부(40)의 본체부(40b)로부터, 금속판(10)과의 접합부측(11a, 11c)를 향하여 서스펜션부(40)와 연속해서 일체로 성형된, 굴곡한 배선 패턴을 구비하는 퓨즈부(30)와, (라) 퓨즈부(30)와 연속해서 일체로 성형되어, 전지에 접속가능하게 성형된 접속부(20)와, (마) 퓨즈부(30)의 한 면을 덮듯이, 서스펜션부(40)의 본체(40b)의 일부로부터 접속부(20)의 일부에 이르는 구형 시트 형상의 절연성 수지막(50)을 가진다.
접속부(20)의 상면(20a)은, 금속판(10)의 하면(10b)보다 거리 D를 두고,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스펜션부(30)가 중력 방향(도면 Z방향)으로 진동 가능하게 됨으로써, 사용시에 진동에 의한 스트레스를 받더라도, 그 스트레스를 흡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삼차원 형상을 가지는 서스펜션부(30)를 설치함으로써, 퓨즈판(100)에 의하면, 전지와의 접속 신뢰성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또 퓨즈부(30)는, 절연성 수지막(50)으로 보호되어 있기때문에, 진동에 의한 스트레스를 받더라도, 절단되기 어렵다.
퓨즈판(100)은, 금속판을 타발 가공 및 굽힘 가공함으로써, 개구부(11), 서스펜션부(40), 퓨즈부(30) 및 접속부(20)를 패터닝해서 얻어진다. 즉 퓨즈판(10)은 금속판으로부터 일체 성형이 가능하기 때문에, 간단하면서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퓨즈는, 금속판으로부터 프레스 타발된 채 평면 형상을 하고 있다. 특허 문헌 2등에 개시된 퓨즈는, 삼차원적인 서스펜션부(30)를 구비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특허 문헌 2등에 개시된 퓨즈는, 사용시의 진동에 의한 스트레스를 전부 흡수할 수 없기 때문에, 전지와의 접속 신뢰성을 높게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다.
퓨즈판을 구성하는 금속판은, 금속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의 예로서는, 알루미늄, 스텐레스, 동 또는 놋쇠(眞鍮) 등을 들 수 있지만, 바람직한 것은 알루미늄이다. 금속판의 두께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약 0.15~3 mm이면 좋다. 부재로서의 역학 강도를 얻기위해서이다.
퓨즈판을 구성하는 접속부는, 전지의 전극 단자에 접속되는 금속 부재이다.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접속부는 전극 단자에 용접된다. 접속부를 구성하는 금속은, 전술의 금속판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접속부의 두께는 특히 제한되지 않고, 0.1~0.4 mm이면 되고, 바람직한 것은 0.2~0.25 mm이다. 너무 두꺼우면, 전지의 전극 단자에 용접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
접속부는, 금속판의 면 높이와는 다른 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속부를, 전지의 전극 단자에 간편하게 접속하기 위해서이다.
퓨즈부는, 미세한 금속 배선이고, 그 선 폭은, 0.1~0.4mm이면 된다. 퓨즈부를 구성하는 금속선의 두께는 0.1~0.4mm이면 되고, 바람직한 것은 0.2~0.25 mm이다. 퓨즈를 구성하는 금속 배선의 금속은, 전술한 금속판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퓨즈부의 금속 배선의 선폭이 너무 굵거나, 두께가 너무 두껍거나 하면, 퓨즈 기능(과잉 전류가 흘렀을 때에 절단하는 기능)을 얻을 수 없다.
퓨즈부의 금속 배선 패턴은, 굴곡부를 가지고 있으며, 말하자면 「휘어짐」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도3A, 도3B참조). 그것에 의해, 퓨즈부의 스트레스가 저감되어, 절단되기 어렵게 되기 때문이다. 퓨즈부의 금속 배선 패턴은 굴곡부를 가지고 있으면 되고, 그 휘어짐의 양t(도3A참조)은, 퓨즈 패턴의 선 폭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퓨즈부의 퓨즈 패턴은, 2이상의 굴곡부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도3B참조). 2개의 굴곡부는, 퓨즈부의 양단을 잇는 직선(접속부로의 접속 위치와 금속판으로의 접속 위치를 잇는 직선)에 대해서, 서로 반대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퓨즈 패턴으로 함으로써, 어떠한 방향의 스트레스가 인가(印加)되더라도, 그 응력(應力)을 완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절연성 수지막은, 퓨즈부를 보호하는 보호막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퓨즈부는, 미세한 금속 배선이므로, 진동에 의해 절단되기 쉽다. 그래서, 절연성 수지막을 퓨즈부에 접착시킴으로써, 퓨즈부의 절단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성 수지막은, 적어도 퓨즈부의 한 면을 덮듯이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업성이나 전지와의 접속 신뢰성 향상의 관점에서는, 서스펜션부 본체의 일부로부터 접속부의 일부에 이르는 구형 시트 형상의 절연성 수지막을 퓨즈부의 한 면을 덮듯이,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지와의 접속 신뢰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금속판으로부터의 프레스 타발 공정에 있어서의 위치 맞춤이 한 번으로 끝나게 되어, 제조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특허 문헌 2와 같이, 절연성 수지막의 형상을 퓨즈부의 형상에 맞추어 타발 가공했을 경우, 퓨즈부의 절단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 특허 문헌 2에서는, 금속판으로부터의 프레스 타발 공정 사이에, 퓨즈가 형성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영역에 절연체를 설치하는 공정을 가진다. 그 때문에, 각 공정마다, 구멍뚫는 부분의 위치 맞춤을 행할 필요가 있어, 제조 공정이 복잡하다.
절연성 수지막은, 폴리이미드, 에폭시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등의 수지 성분과, 절연성 무기 필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 필러의 예에는, 유리 필러 등이 포함된다. 절연성 수지막의 두께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50μm~500μm이면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퓨즈판은, 진동가능한 서스펜션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스펜션부는, 금속판과 퓨즈부를 연결하고 있기때문에, 퓨즈판의 진동을 서스펜션부가 흡수하여, 진동에 의한 응력이 퓨즈부에 인가되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서스펜션부는, 예를 들면 ㄷ자형(U-Shaped)의 부재이고, 그 양단을 금속판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ㄷ자형의 중앙 부분에, 퓨즈부가 연결되어 있다.
서스펜션부를 구성하는 금속의 용적은, 퓨즈부를 구성하는 금속의 용적보다 크다. 그것에 의해, 퓨즈판의 진동을 서스펜션부가 흡수하여, 퓨즈부로의 응력 인가를 억제한다.
<퓨즈판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본 발명의 퓨즈판은, 원료 금속판을, 타발 가공 및 굽힘 가공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원료 금속판을, 타발 가공함으로써, 퓨즈판을 구성하는 접속부, 퓨즈부 및 서스펜션부를 성형한다. 이 결과, 원재료 금속판은, 퓨즈를 구성하는 금속판이 된다. 또, 접속부, 퓨즈부 및 서스펜션부의 금속은, 퓨즈를 구성하는 금속판과 동일한 금속으로 구성된다.
원료 금속판을, 타발 가공하기 전에, 접속부, 퓨즈부 및 서스펜션부가 되는 부분을, 압축해서 얇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축한 후, 접속부 및 퓨즈부에 대응하는 부재를 타발 성형한다.
또, 접속부를 전지에 접속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굽힘 가공한다. 구체적으로는, 금속체의 면 높이와, 접속부의 면 높이를 다르게 한다. 소정의 형상으로 굽힘 가공한 후, 절연성 수지막을 퓨즈부에 접착시킴으로써, 퓨즈판을 얻는다.
<전지 블록에 대해>
본 발명의 전지 블록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퓨즈판과 복수의 단전지를 포함한다. 복수의 단전지는, 한쌍의 전극 단자를 가진다. 퓨즈판의 접속부는, 복수 단전지의 한쪽 전극에 접속되어 있다. 해당 접속은, 용접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전지 블록은, 복수의 단전지와 그것을 수용하는 부재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단전지의 수용 부재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복수의 파이프 형상 부재를 일체화한 것이며, 각 파이프 형상 부재에 단전지를 수용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이하에 있어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1에는, 실시형태에 따른 퓨즈판(100)의 상면 사시도가 표시된다. 퓨즈판(100)은, 금속판(10)과, 20개의 퓨즈 기능부(90)를 가진다. 퓨즈 기능부(90)는 각각, 접속부(20)와, 퓨즈부(30)와, 서스펜션부(40)와, 절연성 수지막(50)을 포함한다(도2A, 도2B참조).
도2A에는, 실시형태에 따른 퓨즈판(100)의 상면도가 표시된다. 도2A에 표시되는 것처럼, 금속판(10)에, 접속부(20)와, 퓨즈부(30)와, 절연성 수지막(50)과, 서스펜션부(40)가 성형되어 있다. 서스펜션부(40)는, ㄷ자형(U-shaped)을 하고 있고, ㄷ자형의 양단이 금속판(10)에 고정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ㄷ자형의 중앙부에, 퓨즈부(30)의 한쪽이 접속되어 있다. 또, 퓨즈부(30)의 다른쪽은, 접속부(20)에 접속되어 있다.
도2B는, 퓨즈판(100)의 X-X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2B에 표시되는 것처럼, 금속판(10)의 두께에 비해서, 접속부(20)와 퓨즈부(30)와 서스펜션부(40)의 두께가 얇다. 접속부를 얇게 함으로써, 전지의 전극 단자로의 용접을 간편하게 한다. 또, 퓨즈부(30)를 얇게 함으로써, 퓨즈 기능을 얻는다. 또, 도2B에 표시되는 것처럼, 금속판(10)의 면높이와, 접속부(20)의 면높이가 상위하다. 높이를 달리함으로써, 접속부(20)를 단전지의 전극 단자에 접속하기 쉽게 한다(도4참조).
퓨즈판(100)이 진동하면, ㄷ자형 서스펜션부(40)가 진동을 흡수하려고 한다. 그 때문에, 서스펜션부(40)에 접속되어 있는 퓨즈부(30)는, 진동에 의한 응력을 받기 어렵다. 또, 퓨즈부(30)는, 절연성 수지막(50)으로 보호되어 있으므로, 진동에 의한 스트레스를 받더라도, 절단되기 어렵다.
도3A, 도3B는, 퓨즈판(100)의 퓨즈부(30)를 구성하는 금속 배선 패턴의 예를 나타낸다. 도3A에 표시되는 퓨즈부(30)의 배선 패턴은, 굴곡부(31)를 가진다. 굴곡부(31)를 설치함으로써, 퓨즈부(30)를 구성하는 금속 배선에 휘어짐이 생겨, 금속 배선이 응력을 받기 어렵게 된다. 휘어짐의 정도 t는, 배선의 폭보다 크면 된다.
다음에, 도3B에 나타나는 퓨즈부(30)는, 제1 굴곡부(31)와 제2 굴곡부(32)를 가진다. 2개의 굴곡부를 설치함으로써, 퓨즈부(30)를 구성하는 금속 배선에 휘어짐이 생기고, 또 진동에 의한 응력 부하가 완화되기 쉽다. 특히, 도3B에 표시되는 것처럼, 퓨즈부(30)의 접속부(20)와의 접속부와, 서스펜션부(40)와의 접속부를 연결하는 직선에 대해서, 제1 굴곡부(31)와 제2 굴곡부(32)가, 서로 반대측에 있으면, 보다 응력이 완화되기 쉽다.
도4A에는, 1개의 퓨즈판(100)을 포함하는 전지 블록(200)이 표시된다. 전지 블록(200)은, 합계 20개의 단전지(150)가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단전지(150)의 한쪽 전극에, 퓨즈판(100)이 접속되어 있다.
도4B는, 전지 블록(200)의 퓨즈판(100)과 단전지(150)와의 접속부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4B에 표시되는 것처럼, 단전지(150)의 전극 단자(151)와, 퓨즈판(100)의 접속부(20)가 접속되어 있다. 해당 접속은, 용접일 수 있다. 용접 작업중에 진동이 발생하는 일이 있지만, 퓨즈판(100)의 퓨즈부(30)에는 응력이 인가되기 어렵기 때문에, 퓨즈부의 배선이 절단되지 않는다.
전지 블록(200)은, 만약에 단전지(150)에 이상이 발생하여 과잉 전류가 흘렀을 경우에는, 퓨즈판(100)의 어느것인가의 퓨즈부(30)의 배선이 절단된다. 따라서, 전지 블록(200)이 쇼트를 일으키는 일이 없다.
본 출원은, 동 출원인에 의해 먼저 된 일본 특허 출원, 즉, 특허출원 2011-121643호(출원일 2011년 5월 31일), 특허출원 2011-181891호(출원일 2011년 8월 23일)에 기초하는 우선권 주장을 수반하는 것이며, 이들 명세서의 내용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부로서 여기에 조합시키는 것으로 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퓨즈판은, 금속판을, 타발 가공 및 굽힘 가공함으로써, 간편하면서도 저비용으로 얻을 수 있다. 더구나, 퓨즈부를 구성하는 미세한 금속 배선의 절단이 억제되어 있다. 그 때문에, 단전지 또는 복수의 단전지를 포함하는 전지 블록의 퓨즈판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진동이 발생하기 쉬운 용접을 이용하여, 단전지와 퓨즈판을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퓨즈판을 구비하는 전지 블록은, 진동에 의한 퓨즈의 절단을 일으키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지 블록은, 자동차용 축전지 등의, 진동을 받기 쉬운 환경에서 매우 적합하게 이용될 수 있다.
10 금속판
11 개구부
20 접속부
30 퓨즈부
31 제1 굴곡부
32 제2 굴곡부
40 서스펜션부
50 절연성 수지막
90 퓨즈 기능부
100 퓨즈판
150 단전지
151 전극 단자
200 전지 블록

Claims (12)

  1. 금속판과, 전지에 접속되는 접속부와, 상기 금속판과 상기 접속부를 연결하는 퓨즈부와, 상기 퓨즈부에 접착된 절연성 수지막을 가지는 퓨즈판이며,
    상기 퓨즈부의 배선 패턴은 굴곡부를 가지고,
    상기 절연성 수지막은, 상기 퓨즈부의 한 면을 덮는, 구형 시트 형상 형태를 하고 있는, 퓨즈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은, 진동가능한 서스펜션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또 상기 퓨즈부는 상기 서스펜션부에 접속되는, 퓨즈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퓨즈판은, 금속판을 타발 가공 및 굽힘 가공함으로써, 상기 접속부 및 상기 퓨즈부를 패터닝하여 얻어지는, 퓨즈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의 면높이와, 상기 접속부의 면높이는 상위한, 퓨즈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퓨즈부의 배선 패턴은 2이상의 굴곡부를 가지고, 그리고 또 상기 2이상의 굴곡부는, 상기 퓨즈부의 양단을 잇는 직선에 대해서, 서로 반대 측에 있는, 퓨즈판.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퓨즈부의 두께는, 상기 금속판의 두께보다 얇은, 퓨즈판.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연성 수지막은, 절연성 수지와 무기 필러를 포함하는, 퓨즈판.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퓨즈판은, 1개의 상기 금속판과, 복수의 상기 접속부와, 복수의 상기 퓨즈부와, 복수의 상기 절연성 수지막을 가지는, 퓨즈판.
  9. 청구항 1에 기재한 퓨즈판의 제조 방법이며,
    금속판을 준비하는 스텝과,
    상기 금속판을 타발 가공함으로써, 접속부와 퓨즈부를 성형하는 스텝과,
    상기 금속체를 접어 굽힘 가공함으로써, 상기 접속부의 위치를 조정하는 스텝과,
    상기 접속부를, 절연성 수지막으로 덮는 스텝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
  10. 2이상의 전극 단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전지와, 상기 복수의 단전지 각각의, 한쪽 전극 단자에 접속된 퓨즈판을 포함하는 전지 블록이며,
    상기 퓨즈판은, 금속판과, 상기 복수의 단전지 각각의, 한쪽 전극 단자에 용접된 접속부와, 상기 금속판과 상기 접속부를 연결하는 퓨즈부와, 상기 퓨즈부에 접착된 절연성 수지막을 가지고,
    상기 퓨즈부의 배선 패턴은 굴곡부를 가지는, 전지 블록.
  11. 상면으로부터 하면으로 이르는 개구부가 복수 설치된 금속판과,
    상기 개구부의 둘레의 2점으로부터 각각 연설된 제1 막대 모양체 및 제2 막대 모양체, 상기 제1 막대 모양체 및 상기 제2 막대 모양체의 각각의 타단과 연속해서 일체로 성형된 본체부를 구비하는, 진동 가능하게 형성된 거의 U자 형상의 서스펜션부와,
    상기 서스펜션부의 본체부로부터, 상기 금속판과의 접합부 측을 향하여 상기 서스펜션부와 연속해서 일체로 성형된, 굴곡한 배선 패턴을 구비하는 퓨즈부와,
    상기 퓨즈부와 연속해서 일체로 성형되어, 전지에 접속 가능하게 성형된 접속부와,
    상기 퓨즈부의 한 면을 덮도록, 상기 서스펜션부의 본체의 일부로부터 상기 접속부의 일부에 이르는 구형 시트 형상의 절연성 수지막을 가지는 퓨즈판.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의 상면은, 상기 금속판의 하면보다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는, 퓨즈판.
KR1020137007918A 2011-05-31 2012-05-25 퓨즈판, 및 그것을 구비하는 전지 블록 KR1014324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21643 2011-05-31
JP2011121643 2011-05-31
JP2011181891 2011-08-23
JPJP-P-2011-181891 2011-08-23
PCT/JP2012/003412 WO2012164884A1 (ja) 2011-05-31 2012-05-25 ヒューズ板、およびそれを具備する電池ブロッ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1285A true KR20130081285A (ko) 2013-07-16
KR101432459B1 KR101432459B1 (ko) 2014-08-20

Family

ID=47258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7918A KR101432459B1 (ko) 2011-05-31 2012-05-25 퓨즈판, 및 그것을 구비하는 전지 블록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566165B2 (ko)
EP (1) EP2608243B1 (ko)
JP (3) JP5185474B2 (ko)
KR (1) KR101432459B1 (ko)
CN (1) CN103140912B (ko)
WO (1) WO201216488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9487A (ko) 2019-05-08 2020-11-18 주식회사 엘지화학 복수의 전지를 직렬로 연결하는 접속부재 및 상기 접속부재가 부가된 원통형 전지셀 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18937B2 (ja) 2013-01-29 2016-11-02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極部材、および、電池ブロック
JP6006134B2 (ja) * 2013-02-08 2016-10-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接続部材
KR101696010B1 (ko) 2013-06-19 2017-01-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JP6229903B2 (ja) 2013-10-31 2017-11-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JP2015135869A (ja) * 2014-01-16 2015-07-27 株式会社テラプローブ 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6492668B2 (ja) * 2014-01-23 2019-04-0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蓄電装置、蓄電システム、電子機器、電動車両および電力システム
JP6211425B2 (ja) * 2014-01-28 2017-10-11 ダイキョーニシカワ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JP6216254B2 (ja) * 2014-01-28 2017-10-18 ダイキョーニシカワ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JP6282125B2 (ja) * 2014-01-31 2018-02-21 ダイキョーニシカワ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KR102172843B1 (ko) * 2014-03-20 2020-11-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2248595B1 (ko) 2014-04-15 2021-05-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WO2016062250A1 (en) * 2014-10-23 2016-04-28 Quantum Force Engineering Limited Battery assembly
WO2016072054A1 (ja) * 2014-11-04 2016-05-1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極部材および集電板、電池ブロック
EP3295497A4 (en) * 2015-05-11 2018-03-21 Gogoro Inc. Electrical connector for portable multi-cell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
TR201900526T4 (tr) 2015-11-24 2019-02-21 Nordfels Gmbh Busbar ve böyle bir busbara sahip batarya modülü.
US9966586B2 (en) * 2015-12-30 2018-05-08 Thunder Power New Energy Vehicle Development Company Limited Integrated busbar and battery connection for electric vehicle battery packs
US9989579B2 (en) 2016-06-20 2018-06-05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thermal-mechanical strain fatigue in an electrical fuse
US10978267B2 (en) 2016-06-20 2021-04-13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High voltage power fuse including fatigue resistant fuse element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EP3282501B1 (de) 2016-08-08 2020-05-13 Voltlabor GmbH Batterie, batteriemodul für die batterie und stromschiene hierfür
WO2018055676A1 (ja) * 2016-09-20 2018-03-29 株式会社東芝 組電池および導電部材
WO2018055677A1 (ja) * 2016-09-20 2018-03-29 株式会社東芝 組電池および導電部材
JP7027415B2 (ja) * 2017-05-29 2022-03-01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池パック
KR102410972B1 (ko) * 2017-09-22 2022-06-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2350459B1 (ko) 2017-12-07 2022-01-1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원통형 이차전지 모듈
KR102505612B1 (ko) * 2018-01-31 2023-03-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2259380B1 (ko) 2018-04-20 2021-06-0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버스바를 구비한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팩
US11289298B2 (en) 2018-05-31 2022-03-29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for estimating thermal-mechanical fatigue in an electrical fuse
US11143718B2 (en) 2018-05-31 2021-10-12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for estimating thermal-mechanical fatigue in an electrical fuse
US20200091493A1 (en) * 2018-09-19 2020-03-19 Tiveni Mergeco, Inc. Battery module including coated or clad material contact plate
US11108119B2 (en) * 2018-10-26 2021-08-31 The Boeing Company Fusible link design for lithium-ion 18650 cells
KR20200093334A (ko) * 2019-01-28 2020-08-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EP4358654A2 (en) * 2019-03-28 2024-04-24 CPS Technology Holdings LLC Flexible circuit having a fuse, bus bar holder including a lead-in structure, electrical conduction assembly having a bus bar, and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20210035520A (ko) * 2019-09-24 2021-04-01 주식회사 엘지화학 버스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그것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전자 디바이스
AT522585B1 (de) * 2019-12-13 2020-12-15 Kreisel Electric Gmbh & Co Kg Vorrichtung zum Trennen der elektrischen Verbindung zu einer Batteriezelle im Ausgasungsfall
KR102344019B1 (ko) * 2019-12-23 2021-12-28 대산전자(주) 퓨즈가 적용된 버스바
CN211428258U (zh) * 2019-12-30 2020-09-04 合肥国轩高科动力能源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的外短路保护装置
CN111180649B (zh) * 2019-12-30 2021-06-11 合肥国轩高科动力能源有限公司 一体式高温分解接插件及含有该接插件的锂离子电池
DE102020110813A1 (de) 2020-04-21 2021-10-2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Elektrischer Energiespeicher für ein Kraftfahrzeug, Kraftfahrzeug sowi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olchen elektrischen Energiespeichers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37505U (ko) * 1979-03-20 1980-09-30
DE3040884C2 (de) * 1980-10-30 1986-09-25 Hermann Stribel KG, 7443 Frickenhausen Sicherungseinrichtung
JPH05266871A (ja) * 1991-04-23 1993-10-15 Ryoden Kasei Co Ltd 携帯機器の電池電極の接続端子の取り付け構造
US5204194A (en) * 1992-05-21 1993-04-20 Magnavox Electronic Systems Company Multicell battery having a tab-fuse for overcurrent interruption
JPH07254347A (ja) 1994-03-16 1995-10-03 Asahi Denki Seisakusho:Kk 大容量定格電流値を有する速断形限流ヒューズ
US5644282A (en) * 1995-02-06 1997-07-01 Motorola, Inc. Fuse and Battery apparatus utilizing same
US5805423A (en) * 1996-05-17 1998-09-08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Battery contact and retention apparatus for printed circuit boards
US6342826B1 (en) * 1999-08-11 2002-01-29 Therm-O-Disc, Incorporated Pressure and temperature responsive switch assembly
JP3814451B2 (ja) 1999-12-03 2006-08-30 住友電装株式会社 ヒューズの製造方法
JP3740116B2 (ja) * 2002-11-11 2006-02-01 三菱電機株式会社 モールド樹脂封止型パワー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576794B2 (ja) * 2003-02-18 2010-11-10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絶縁樹脂組成物及びその使用
KR100571231B1 (ko) 2004-05-31 2006-04-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이온전지의 휴즈장치
TWI294193B (en) * 2005-12-06 2008-03-01 Giga Byte Tech Co Ltd Battery holder structure with jumper
KR100719723B1 (ko) * 2005-12-29 2007-05-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도전성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팩 전지
US7671565B2 (en) 2006-02-13 2010-03-02 Tesla Motors, Inc. Battery pack and method for protecting batteries
KR20080025437A (ko) * 2006-09-18 2008-03-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단자의 위치조절이 가능하고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WO2008098193A2 (en) * 2007-02-09 2008-08-14 Johnson Controls--Saft Advanced Power Solutions Llc Buss bar for batteries
US7923144B2 (en) * 2007-03-31 2011-04-12 Tesla Motors, Inc. Tunable frangible battery pack system
CN101836310B (zh) * 2007-07-16 2013-03-27 株式会社Lg化学 用于二次电池的电连接构件
GB0806190D0 (en) * 2008-04-04 2008-05-14 Obrist Closures Switzerland A closure
US20100291426A1 (en) * 2009-05-15 2010-11-18 Sinoelectric Powertrain Corporation Flexible fusible link, systems, and methods
US9104629B2 (en) * 2009-07-09 2015-08-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nomic reclamation processing on sequential storage media
JP4815016B2 (ja) 2009-07-17 2011-11-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池接続部材とそれを用いた電池モジュール
JP2011121643A (ja) 2009-12-12 2011-06-23 Mitsuru Nozaki 乾麺の結束方法
JP2011181891A (ja) 2010-02-08 2011-09-15 Toshiba Corp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US8361646B2 (en) * 2010-03-15 2013-01-29 Electronvault, Inc. Modular interconnection system
JP6018937B2 (ja) * 2013-01-29 2016-11-02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極部材、および、電池ブロッ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9487A (ko) 2019-05-08 2020-11-18 주식회사 엘지화학 복수의 전지를 직렬로 연결하는 접속부재 및 상기 접속부재가 부가된 원통형 전지셀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2459B1 (ko) 2014-08-20
JP5185474B2 (ja) 2013-04-17
JP5314806B2 (ja) 2013-10-16
EP2608243A4 (en) 2014-08-13
WO2012164884A1 (ja) 2012-12-06
JPWO2012164884A1 (ja) 2015-02-23
EP2608243B1 (en) 2015-12-30
JP5360329B2 (ja) 2013-12-04
CN103140912A (zh) 2013-06-05
JP2013127973A (ja) 2013-06-27
CN103140912B (zh) 2015-07-22
EP2608243A1 (en) 2013-06-26
US10566165B2 (en) 2020-02-18
JP2013219052A (ja) 2013-10-24
US20130202941A1 (en) 2013-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2459B1 (ko) 퓨즈판, 및 그것을 구비하는 전지 블록
EP2738837B1 (en) Battery module comprising an interlinking member having a vibration-damping portion
JP6070744B2 (ja) 電池の製造方法
JP5715766B2 (ja) 配線材の接続構造
KR101456936B1 (ko) 차량용 배터리의 전압센싱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셀모듈조립체
JP2019079726A (ja) 電圧検出装置
JP4737664B2 (ja) 面実装型固体電解コンデンサとその製造方法
JP7065400B2 (ja) コンタクト、コネクタ及び接続装置
US20070108254A1 (en) Circuit board
CN100421310C (zh) 能够减小翘曲的连接器
US11621501B2 (en) Terminal, wire harness, and electric wire with terminal
CN220830008U (zh) 采样件及电池
JP7389086B2 (ja) 端子、ワイヤハーネス、及び、端子付き電線
CN115053316A (zh) 熔断器以及熔断器的制造方法
JP7209274B2 (ja) コネクタ及び接続装置
JP2022054955A (ja) 端子、ワイヤハーネス、及び、端子付き電線
KR101664299B1 (ko) 피메일 단자의 스프링
JP2021111723A (ja) 基板構造体
KR20220108032A (ko) 퓨즈
JP2008097915A (ja) 電池
JP2019192410A (ja) 電池装置
KR20150001540U (ko) 중계단자를 포함한 정션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