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4299B1 - 피메일 단자의 스프링 - Google Patents

피메일 단자의 스프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4299B1
KR101664299B1 KR1020140178120A KR20140178120A KR101664299B1 KR 101664299 B1 KR101664299 B1 KR 101664299B1 KR 1020140178120 A KR1020140178120 A KR 1020140178120A KR 20140178120 A KR20140178120 A KR 20140178120A KR 101664299 B1 KR101664299 B1 KR 101664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plate
conductive metal
female terminal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8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0985A (ko
Inventor
배재근
임동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40178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4299B1/ko
Publication of KR20160070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0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4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4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7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spring member in the socket

Landscapes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메일 단자의 스프링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도전성 금속판을 펀칭 및 절곡하여 바닥판, 측판 및 상판으로 둘러싸인 내부공간을 형성한 스프링부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금속판의 양단부가 상호 접촉되는 접촉 영역의 경계면은 상기 도전성 금속판의 판면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메일 단자의 스프링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피메일 단자의 스프링{SPRING 0F FEMALE TERMINAL}
본 발명은 단자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피메일 단자의 스프링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피메일 접속 단자는, 전방에 상대 측의 메일 접속 단자를 받아들이는 스프링부와, 후방에 전선을 접속하는 전선 압착부를 가지며, 이들은 하나의 도전성 재질로 형성된 금속판을 절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피메일 단자의 스프링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피메일 단자의 비드부는 실질적으로 메일 단자가 삽입되어 메일 단자와 피메일 단자간의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메일 단자를 압착된 상태로 수용하는 스프링부(10)와, 스프링부(10)의 후방에 스프링부(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와이어가 연결되는 와이어 압착부(미도시)로 구성되어 있다.
스프링부(10)는 바닥판(11)과, 그 좌우 양측에 연결되는 측판(12) 및 일측의 측판(12)과 일체로 형성되어 절곡됨으로써 각진 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상판(13)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바닥판(11), 측판(12) 및 상판(13)은 일체로 형성된 판상의 도전성성 금속 재질로 형성된 금속판이 각진 통형상을 형성하도록 절곡되어 스프링부(10)를 형성하게 되며, 상호 접촉하게 되는 금속판의 양단부는 레이저 용접됨으로써 상호 접합이 이루어진다.
와이어 압착부(미도시)는 스프링부(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스프링부(10)와 체결되는 와이어의 외면을 잡아주어 스프링부(10)가 와이어의 단부에서 유동됨을 방지하게 된다.
와이어 압착부(미도시)의 일측면은 개구 형성되어 와이어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고 개구 형성된 일측면의 양측은 와이어 압착부(미도시)의 외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됨으로써 와이어가 와이어 압착부(미도시)에 안착된 후에 절곡되어 와이어의 외면을 압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피메일 단자에 있어서는, 스프링부(10)를 형성함에 있어 상호 접촉되는 금속판의 양단부를 레이저 용접(L)의 방법으로 접합함으로 인하여 스프링부(10)의 제작에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피메일 단자의 스프링를 제작함에 있어 스프링부를 형성하는 도전성 금속판의 양단부가 상호 접촉되는 영역의 경계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상태에서 상호 접촉되도록 변경함으로써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피메일 단자의 스프링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메일 단자의 스프링은, 도전성 금속판을 펀칭 및 절곡하여 바닥판, 측판 및 상판으로 둘러싸인 내부공간을 형성한 스프링부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금속판의 양단부가 상호 접촉되는 접촉 영역의 경계면은 상기 도전성 금속판의 판면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접촉 영역은 상기 상판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촉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상판의 일부분은 나머지 부분에 비하여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 영역의 종단면은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의 양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도전성 금속판의 판면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수직면으로 이루어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경사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방향은 상기 접촉 영역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된 상기 상판의 일부분이 상기 상판의 나머지 부분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피메일 단자의 스프링를 제작함에 있어 스프링부를 형성하는 도전성 금속판의 양단부가 상호 접촉되는 영역의 경계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상태에서 상호 접촉되도록 변경함으로써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피메일 단자의 스프링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메일 단자의 스프링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피메일 단자의 스프링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메일 단자의 스프링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메일 단자의 스프링은, 도전성 금속판을 펀칭 및 절곡하여 바닥판(110), 측판(120) 및 상판(130)으로 둘러싸인 내부공간(101)을 형성한 피메일 단자의 스프링부(100)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금속판의 양단부가 상호 접촉되는 접촉 영역(131)의 경계면은 상기 도전성 금속판의 판면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프링부(100)는 바닥판(110)과, 그 좌우 양측에 연결되는 측판(120) 및 일측의 측판(120)과 연결되어 절곡됨으로써 각진 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상판(130)으로 이루어진다.
스프링부(100)는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바닥판(110)과 상판(130)의 폭은 측판(120)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스프링부(100)의 전체적인 종단면 형상은 폭이 높이보다 길게 형성된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프링부(100)의 전면은 개구 형성되어 메일 단자가 내부공간(101)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여 메일 단자와 피메일 단자 사이에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전성 금속판의 양단부가 상호 접촉되는 접촉 영역(131)은 상판(130)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스프링부(100)의 이상 여부를 용이하게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일 뿐만 아니라, 메일 단자를 내부공간(101)에 삽입시에 접촉 영역(131)을 별도의 용접이나 혹은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접합하지 않더라도 최대의 탄력이 메일 단자 측으로 가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만약, 접촉 영역(131)이 측판(120)의 일측에 형성되도록 한 경우에는 내부공간(101)으로 메일 단자를 삽입시에 일측의 측판에서부터 접촉 영역이 형성된 타측의 측판까지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접촉 영역이 벌어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접촉 영역(131)이 상판(130)에 형성된 경우에는 측판(120)에 형성된 경우보다 양측의 측판(120)에서 접촉 영역(131)까지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기 때문에 메일 단자 측으로 가해지는 탄력을 최대화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접촉 영역(131)을 기준으로 상판(130)의 일부분은 나머지 부분에 비하여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게 형성된 상판(130)의 일부분이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된 상판(131)의 나머지 부분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길이가 길게 형성된 상판(131)의 단부가 길이가 짧게 형성된 상판의 단부의 상측에 배치되므로 상판(131)이 외력에 의하여 눌려질 경우에 휘어지거나 혹은 접혀져서 변형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접촉 영역(131)의 종단면은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사면(131a)과, 경사면(131a)의 양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도전성 금속판의 판면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수직면(131b)으로 이루어진다.
경사면(131a)에 의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길이가 길게 형성된 상판(131)의 단부가 길이가 짧게 형성된 상판의 단부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으며, 경사면(131a)의 양측 단부에 수직면(131b)을 형성함으로써 스프링부(100)의 폭방향을 따라 양측 외부에서 내부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접촉 영역(131)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경사면(131a)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방향은 접촉 영역(131)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된 상판(130)의 일부분이 상판(130)의 나머지 부분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된 상판(130)이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 상판(130)의 나머지 부분을 지지하게 되는 지지력을 높임으로써 외력이 작용시에 상판(130)이 휘어지거나 손상됨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와이어 압착부(미도시)는 메일 단자가 삽입되도록 개구 형성된 전면과 대향되는 후면에 일체로 구비되는 부재로서 전기적인 접속을 위하여 와이어가 압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와이어 압착부(미도시)는 스프링부(100)와 일체로 형성되어 스프링부(100)와 연결되어야 하는 와이어의 외면을 압착하여 스프링부(100)가 와이어의 단부에서 유동됨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단선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와이어 압착부(미도시)의 일측면은 개구 형성되어 와이어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고 개구 형성된 일측면의 양측은 와이어 압착부(미도시)의 외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됨으로써 와이어가 와이어 압착부(미도시)에 안착된 후에 절곡되어 와이어의 외면을 압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피메일 단자의 스프링은 피메일 단자의 스프링를 제작함에 있어 스프링부를 형성하는 도전성 금속판의 양단부가 상호 접촉되는 영역의 경계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상태에서 상호 접촉되도록 변경함으로써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스프링 101 : 내부공간
110 : 바닥판 120 : 측판
130 : 상판 131 : 접촉 영역
131a : 경사면 131b : 수직면

Claims (5)

  1. 도전성 금속판을 펀칭 및 절곡하여 바닥판(110), 측판(120) 및 상판(130)으로 둘러싸인 내부공간(101)을 형성한 피메일 단자의 스프링부(100)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금속판의 양단부가 상호 접촉되는 접촉 영역의 경계면은 상기 도전성 금속판의 판면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접촉 영역(131)은 상기 상판(130)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접촉 영역(131)을 기준으로 상기 상판(130)의 일부분은 나머지 부분에 비하여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고, 상기 접촉 영역(131)의 종단면은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사면(131a)과, 상기 경사면(131a)의 양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도전성 금속판의 판면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수직면(131b)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경사면(131a)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방향은 상기 접촉 영역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된 상기 상판(130)의 일부분이 상기 상판(130)의 나머지 부분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메일 단자의 스프링.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40178120A 2014-12-11 2014-12-11 피메일 단자의 스프링 KR101664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120A KR101664299B1 (ko) 2014-12-11 2014-12-11 피메일 단자의 스프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120A KR101664299B1 (ko) 2014-12-11 2014-12-11 피메일 단자의 스프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0985A KR20160070985A (ko) 2016-06-21
KR101664299B1 true KR101664299B1 (ko) 2016-10-10

Family

ID=56353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8120A KR101664299B1 (ko) 2014-12-11 2014-12-11 피메일 단자의 스프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429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0415A (ja) 2000-01-24 2001-08-03 Yazaki Corp 端子金具
JP2001266988A (ja) 2000-03-15 2001-09-28 Sumitomo Wiring Syst Ltd 雄端子金具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61066B2 (en) * 2005-02-02 2008-04-22 Sumitomo Wiring Systems, Ltd. Terminal fitting and a blank theref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0415A (ja) 2000-01-24 2001-08-03 Yazaki Corp 端子金具
JP2001266988A (ja) 2000-03-15 2001-09-28 Sumitomo Wiring Syst Ltd 雄端子金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0985A (ko) 2016-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90363B1 (en) A female terminal fitting
KR101517319B1 (ko) 단자 금구
KR101360320B1 (ko) 플러그 연결을 위한 전기 접촉부
JP6119524B2 (ja) 端子金具
EP2485334B1 (en) Multi-contact terminal fitting
US11309651B2 (en) Connector with a housing and a terminal having a conductive case, a conductive member in the case and a coil spring biasing the conductive member toward a meeting terminal
JP6909414B2 (ja) 端子
JP6084898B2 (ja) 接続端子
CN107851921B (zh) 阴端子
EP1689033A1 (en) A male terminal fitting, a plate material therefor and a method of forming it
KR101664299B1 (ko) 피메일 단자의 스프링
KR101770375B1 (ko) 압입 커넥터 단자
JP2013243016A (ja) 雌端子
JP6143194B2 (ja) 雄端子金具
EP2575215B1 (en) Terminal fitting
JP6918586B2 (ja) コネクタ
KR101723042B1 (ko) 메일 단자 핀구조
KR101608375B1 (ko) 비드부를 구비한 피메일 단자
CN203351776U (zh) 连接端子
KR101967506B1 (ko) 암형 전기 단자
JP7215933B2 (ja) 接続端子
EP3047498B1 (en) Active electrical component
JP5962994B2 (ja) 端子金具、および端子金具の製造方法
JP2013045536A (ja) 電子部品付きコネクタ
JP6056529B2 (ja) ノイズフィルタ内蔵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