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0375B1 - 압입 커넥터 단자 - Google Patents

압입 커넥터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0375B1
KR101770375B1 KR1020150169815A KR20150169815A KR101770375B1 KR 101770375 B1 KR101770375 B1 KR 101770375B1 KR 1020150169815 A KR1020150169815 A KR 1020150169815A KR 20150169815 A KR20150169815 A KR 20150169815A KR 101770375 B1 KR101770375 B1 KR 101770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ody
contact unit
terminal
press
connecto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9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7041A (ko
Inventor
타카요시 엔도
사카이 야기
타쿠야 타케다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67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7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0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0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8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terminals for insertion into h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8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terminals for insertion into holes
    • H01R12/585Terminals having a press fit or a compliant portion and a shank passing through a hole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압입 커넥터 단자(100)는 회로 기판(300)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전기 도전성 쓰루 홀(301)을 통해 지나갈 만큼 충분한 길이를 가지는 단자 몸체(11); 및 단자 몸체(11)의 중심축을 둘러싸도록 단자 몸체(11) 둘레에 배치된 접촉 유닛(30)을 포함하고, 이 접촉 유닛(30)은 중심축 둘레의 방사상 방향으로 팽창/수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접촉 유닛(30)은 단자 몸체(11)의 강성보다 낮은 강성을 가지고, 단자 몸체(11)는 접촉 유닛(30)의 전기 전도도보다 큰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지고; 그리고 단자 몸체(11) 및 접촉 유닛(30)이 완전히 쓰루 홀(301)로 삽입될 때, 접촉 유닛(30)이 쓰루 홀(301) 내에서 방사상 방향으로 단자 몸체(11)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단자 몸체(11)와 접촉 유닛(30) 사이에 갭이 존재한다.

Description

압입 커넥터 단자{PRESS-FIT CONNECTOR TERMINAL}
본 발명은 회로 기판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전기 도전성 쓰루 홀(through-hole)로 삽입되는 압입 커넥터 단자에 관한 것이고, 더욱 상세하게는 대량의 전류를 통과시킬 수 있는 압입 커넥터 단자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대략 60 내지 80A/핀 범위의 전류가 흐를 수 있는 압입 커넥터 단자에 대한 증가하는 수요가 존재한다. 더 많은 전류가 압입 커넥터 단자를 통해 흐를 수 있게 압입 커넥터 단자를 만들기 위해, 압입 커넥터 단자는 큰 단면적을 가질 필요가 있다. 즉, 압입 커넥터 단자는 증가된 두께를 가지는 전기 도전성 시트로 만들어질 필요가 있다. 그러나, 증가된 두께를 가지는 시트로 만들어진 압입 커넥터 단자는 압입 커넥터 단자의 스프링 성능이 나빠짐으로 인해 압입 커넥터 단자가 단단해 지는 것을 피할 수 없게 되어, 압입 커넥터 단자가 회로 기판을 관통하여 형성된 쓰루 홀로 삽입될 때 압입 커넥터 단자가 쓰루 홀 및/또는 회로 기판의 내측면을 손상시킬 수 있다는 우려를 야기하는 문제점을 수반한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출원 공개번호 제2009-21016호는 압입 단자를 개시한다. 비교적 큰 두께를 가진 압입 단자는 그 도 4 및 5에 도시되어 있다. 압입 단자가 쓰루 홀로 삽입될 때, 압입 단자를 형성하는 탄성 접촉 피스들은 쓰루 홀의 내측면과 접촉하고, 쓰루 홀에 대한 스프링으로서 역할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뿐만 아니라, 쓰루 홀의 내측면은 탄성 접촉 피스로부터의 접촉 압력을 받는 넓은 영역을 가지기 때문에, 쓰루 홀 및 회로 기판의 수지 내장된 부분이 탄성 접촉 피스에 의해 야기되는 탄성 반작용력으로 인한 크립 변형(creep-deformed)의 방지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대량의 전류를 압입 커넥터 단자를 통해 흐르게 하기 위해 압입 커넥터 단자가 증가된 두께를 가지도록 설계된다면, 압입 커넥터 단자는 그 스프링 성능이 나빠짐으로 인해 압입 커넥터 단자가 단단해 지는 것을 피할 수 없게 되어, 압입 커넥터 단자가 회로 기판을 관통하여 형성된 쓰루 홀로 삽입될 때 압입 커넥터 단자가 쓰루 홀 및/또는 회로 기판의 내측면을 손상시킬 수 있다는 우려를 야기하는 문제점을 수반할 것이다.
상기 공개문헌의 도 4 및 6에 제안된 압입 단자가 플로팅(floating) 구조를 가지지 않기 때문에, 압입 단자가 쓰루 홀로 삽입될 때, 탄성 접촉 피스에 의해 쓰루 홀의 내측면에 가해지는 접촉 압력의 변동이 발생하고, 이는 그 사이의 연결 안정성의 저하를 야기한다.
종래의 압입 커넥터 단자의 앞서 언급한 문제점들을 고려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신을 통해 비교적 대량의 전류가 흐르는 것을 허용할 수 있고, 자신과 쓰루 홀 간의 우수한 접속 안정성을 제공하는 압입 커넥터 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형태는 압입 커넥터 단자로서, 회로 기판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전기 도전성 쓰루 홀(through-hole)을 통해 지나갈 만큼 충분한 길이를 가지는 단자 몸체; 및 단자 몸체의 중심선을 둘러싸도록 단자 몸체 둘레에 배열된 접촉 유닛을 포함하고, 접촉 유닛은 상기 중심선 둘레의 방사상 방향으로 팽창/수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접촉 유닛은 단자 몸체의 강성보다 낮은 강성을 가지고; 단자 몸체는 접촉 유닛의 전기 전도도보다 큰 전기 전도도를 가진 재료로 이루어지고; 및 단자 몸체 및 접촉 유닛이 쓰루 홀로 완전히 삽입될 때, 접촉 유닛이 쓰루 홀 내에서 방사상 방향으로 단자 몸체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단자 몸체와 접촉 유닛 사이에 갭이 존재하는 압입 커넥터 단자를 제공한다.
상기 구조에 따라, 접촉 유닛은 압입 단자로서 역할 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고, 이는 압입 커넥터 단자가 회로 기판의 쓰루 홀 내로 삽입될 때 압입 커넥터 단자가 회로 기판 및/또는 쓰루 홀의 내측면을 손상시키지 않음을 보장하고, 그리고 압입 커넥터 단자와 쓰루 홀 간의 안정적인 접속을 더 보장한다.
게다가, 접촉 유닛은 쓰루 홀 내에서 단자 몸체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다. 그러므로, 접촉 유닛 및 단자 몸체는 플로팅 구조(floating structure)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압입 커넥터 단자가 회로 기판의 쓰루 홀 내로 끼워맞춤될 때, 압입 커넥터 단자 및 쓰루 홀이 축방향으로 서로 어긋나 있더라도, 이러한 플로팅 구조가 축방향의 편차를 흡수하여 접촉 유닛과 쓰루 홀의 내측면 사이의 접촉 압력을 동등하게 함을 보장하고, 압입 커넥터 단자와 쓰루 홀 사이에 안정적인 접속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에서는, 제1 형태에 더하여, 접촉 유닛은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단자 몸체 둘레에 배열된 복수의 접촉 피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형태는, 제1 형태에 더하여, 접촉 유닛의 말단부 및 근단부에서 단자 몸체를 둘러싸는 제1 및 제2 바인더를 더 포함하고, 제1 및 제2 바인더 각각은 C자형 단면을 가지고; 및 접촉 피스는 제1 및 제2 바인더에 접속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4 형태는, 제3 형태에 더하여, 제1 바인더 부근에 위치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이 커버는 단자 몸체의 말단부를 덮는다.
본 발명의 제5 형태에서는, 제4 형태에 더하여, 커버는 평평한 부분; 및 평평한 부분의 바깥 둘레에서부터 공통의 방향으로 뻗어 있는 복수의 연장부를 포함하고, 이 연장부 중 하나는 제1 바인더를 통해 접촉 유닛에 접속되어 있고; 및 단자 몸체는 그 상면에서, 접촉 유닛이 단자 몸체의 상면 둘레에서 단자 몸체에 대하여 스윙 가능하도록, 상기 평평한 부분의 밑면과 접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6 형태는, 제3 형태에 더하여, 전기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진 지지부; 및 접속부를 더 포함하고, 단자 몸체는 지지부의 상면 위에 서 있고; 접속부는 제2 바인더로부터 지지부를 향해 뻗어 있고; 그리고 접속부는 제2 바인더와 지지부의 상면 사이에 갭이 존재하도록 지지부의 측면에 접착된다.
본 발명의 제7 형태에서는, 제6 형태에 더하여, 제2 바인더와 접속부 사이에 탄성 변형 가능한 경계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경계부는 갭과 같은 높이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제8 형태에서는, 제6 형태에 더하여, 지지부는 그 단부에서 서로 접착되어 있고 서로 중첩된 2개의 전기 도전성 시트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9 형태에서는, 제6 형태에 더하여, 단자 몸체부 및 지지부는 적어도 99.9% IACS의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이점들은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압입 커넥터 단자는 자신을 통해 비교적 대량의 전류가 흐르는 것을 허용할 수 있고, 회로 기판에 손상을 가하지 않고, 자신과 회로 기판 사이에 안정적인 접속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압입 커넥터 단자의 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압입 커넥터 단자의 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압입 커넥터 단자의 전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라인 A-A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라인 B-B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6는 도 3에 도시된 라인 C-C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압입 커넥터 단자의 분해 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압입 커넥터 단자의 분해 투시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압입 커넥터 단자를 포함하는 단자 모듈의 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단자 모듈을 부분적으로 도시된 회로 기판에 접속시키는 단계를 보여주는 투시도이다.
도 11은 부분적으로 도시된 회로 기판에 접속되어 있는 도 9에 도시된 단자 모듈을 보여주는 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화살표(D)가 가리키는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라인 E-E를 따라 취해진 부분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라인 F-F를 따라 취해진 부분 단면도이다.
도 15는 플로팅 상태에 있는 도 1에 도시된 압입 커넥터 단자를 도시한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라인 G-G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압입 커넥터 단자의 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압입 커넥터 단자의 투시도이다.
도 19는 도 17에 도시된 압입 커넥터 단자의 우 측면도이다.
도 20은 도 17에 도시된 압입 커넥터 단자의 분해 투시도이다.
도 21은 도 17에 도시된 압입 커넥터 단자의 분해 투시도이다.
(제1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압입 커넥터 단자(100)가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서술된다. 본 명세서에서, 도 1에 도시된 화살표(X)가 가리키는 방향은 좌-우 또는 수평 방향을 지시하고, 도 1에 도시된 화살표(Y)가 가리키는 방향은 상-하 또는 수직 방향을 지시하고,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화살표(Z)가 가리키는 방향은 전-후 방향을 지시한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압입 커넥터 단자(100)는 핀 부(10), 단자 몸체(11), 접촉 유닛(30) 및 커버(34)를 포함한다.
핀 부(10)는 전기 도전성을 가지는 금속 시트를 미리 정해진 형상으로 펀칭(punching)하는 단계 및, 컬랩싱(collapsing) 및 벤딩(bending) 단계를 포함하여, 펀칭된 금속 시트를 프레싱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된다. 핀 부(10)는 U자 형으로 접혀진 금속 시트로 이루어진 지지부(12), 지지부(12)의 하면까지 이어진 엘보우 부(14), 및 엘보우 부(14)에서부터 뒤쪽으로 뻗어 있는 평평한 접속부(13)를 포함한다. (도시되지 않은) 본딩 와이어는 평평한 접속부(13)에, 그 단부에서, 접속된다.
단자 몸체(11)는 지지부(12)의 상면에 서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몸체(11)는 원통부 및 원형부에서 이어져 형성되어 있고 끝이 절단된 원뿔 형상을 가지는 상부(11b)를 포함한다.
단자 몸체(11)는 회로 기판(300)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전기 도전성 쓰루 홀(301)(도 10 참조)을 관통할 만큼 충분한 길이를 가지도록 설계된다.
접촉 유닛(30)은 단자 몸체 둘레에 배열된다. 접촉 유닛(30)은 쓰루 홀(301)의 내측면(302)(도 10 참조)와 탄성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접촉 유닛(30) 및 핀 부(10)는 전기 도전성을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지고, 단자 몸체(11)보다 더 큰 정도까지 스프링으로서 역할 한다.
핀 부(10) 및 단자 몸체(11)는 접촉 유닛(30)의 재료보다 더 높은 전기 도전성을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진다.
핀 부(10) 및 단자 몸체(11)는 임의의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핀 부(10) 및 단자 몸체(11)는 구리, 특히 99.9% IACS 이상의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순수한 구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자 몸체(11) 및 접촉 유닛(30)은 압입 커넥터 단자(100)가 쓰루 홀(301)로 끼워맞춤될 때 단자 몸체(11)와 접촉 유닛(30) 사이에 접촉 유닛(30)이 상기 단자 몸체(11)와 가까워지고 그로부터 멀어질 수 있을 만큼 충분한 갭(S)이 생성되도록 하는 크기를 가지도록 설계된다.
접촉 유닛(30)은 압입 커넥터 단자(100)가 쓰루 홀(301)로 끼워맞춤될 때 접촉 유닛(30)이, 아래에 더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단자 몸체(11)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단자 몸체(11)에 접속된다.
접촉 유닛(30)은 탄성을 가지는 단일 금속 시트를 구부려 제조된다. 접촉 유닛(30)은 단자 몸체(11) 또는 접촉 유닛(30)의 가상의 중심선(30c) 둘레에 배열된 복수의 접촉 피스(31)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접촉 피스(31)는 그 세로 방향으로 그 중심에서 둔각으로 구부려지거나 또는 바깥쪽으로 돌출한다. 각각의 접촉 피스(31)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고, 더욱 상세하게는 단자 몸체(11) 또는 가상의 중심선(30c)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팽창 가능하고 수축 가능하다.
압입 커넥터 단자(100)는 접촉 유닛(30)의 말단(상부) 및 근단(하부)을 둘러싸는 제1 및 제2의 C자형 바인더(32 및 33)를 더 포함한다. 접촉 피스(31)는 그 상단부 및 하단부에서 제1 및 제2 바인더(32 및 33)에 접속된다.
커버(34)는 단자 몸체(11)의 상부(11b)를 덮기 위해 제1 바인더(32) 위에 놓여진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34)는 단자 몸체(11)의 상부(11b)의 평평한 상면(11a)과 평행하게 뻗어 있는 평평한 부분(34a), 및 연장부(34b)가 단자 몸체(11)의 상부(11b)를 둘러싸도록 평평한 부분(34a)의 바깥 둘레에서부터 제1 바인더(32)를 향해 아래쪽으로 뻗어 있는 복수의 연장부(34b)를 포함한다. 연장부(34b)는 스커트 형상으로 퍼져 있고,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하나의 연장부(34b)는 제1 바인더(32)에 접속되어 있다.
도 1 및 2에 도시된 압입 커넥터 단자(100)는 도 7 및 8에 도시된 접촉 유닛(30)에 단자 몸체(11)삽입하여 제조되고, 그 다음 커버(34)는 도 4에 도시된 용접 영역(W) 내에서 단자 몸체(11)의 상부(11b)의 평평한 상면(11a)에 평평한 부분(34a)의 하면에서 용접된다. 압입 커넥터 단자(100)에서, 단자 몸체(11)의 중심선(11c) 및 접촉 유닛(30)의 가상의 중심선(30c)은 서로 일치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2)의 상면 및 제2 바인더(33)의 하면은 서로 이격되어 있다.
단자 몸체(11) 및 커버(34)는 앞서 언급한 용접을 대신하여 코오킹(caulking)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압입 커넥터 단자(100)의 지지부(12) 및 엘보우 부(14)를 전기 절연성 수지로 이루어진 베이스(40)를 이용하여 일정한 자세(posture)로 고정시킴으로써 단자 모듈(50)이 완성된다. 단자 모듈(50)은 베이스(40)를 압입 커넥터 단자(100)와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제조된다. 대안으로서, 베이스(40)는 압입 커넥터 단자(100)와는 분리되어 제조될 수도 있다.
압입 커넥터 단자(100)에서, 핀 부(10) 및 단자 몸체(11)가 접촉 유닛(30)의 재료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진 재료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압입 커넥터 단자(100)는 비교적 대량의 전류가 자신을 통해 흐르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접촉 유닛(30)은 핀 부(10) 및 단자 몸체(11)보다 더 큰 정도까지 스프링으로서 역할 하는 전기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더 상세하게는, 접촉 유닛(30)을 형성하는 접촉 피스(31)들은 단자 몸체(11) 및 가상의 중심선(30c)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팽창 및 수축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고, 따라서 접촉 유닛(30)은 압입 단자로서 역할 하는 기능을 가지며, 이는 압입 커넥터 단자(100)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 기판(300)의 쓰루 홀(301)로 삽입될 때, 압입 커넥터 단자(100)가 회로 기판(300) 및/또는 쓰루 홀(301)의 내측면(302)을 손상시키지 않음을 보장하고, 압입 커넥터 단자(100)와 쓰루 홀(301) 간의 안정적인 접속을 더 보장한다.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몸체(11) 및 접촉 유닛(30)의 접촉 피스(31)는 압입 커넥터 단자(100)가 쓰루 홀(301)로 끼워맞춤될 때, 단자 몸체(11)와 접촉 피스(31) 사이에 접촉 피스(31)가 단자 몸체(11)에 가까워졌다가 그로부터 멀어질 수 있을 만큼 충분한 갭(S)이 형성되도록 하는 크기를 가지도록 설계되고, 단자 몸체(11) 및 접촉 유닛(30)은 회로 기판(300) 상에 위치하는 용접 영역(W)에서 서로 연결된다. 즉, 커버(34)는 쓰루 홀(301)을 통과하여 회로 기판(300)을 지나 돌출한 단자 몸체(11)의 상부(11b)에 연결된다. 그러므로,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유닛(30)의 연장부(34b)는 용접 영역(W) 부근에서 단자 몸체(11)에 대하여 스윙(swing) 가능하다. 즉, 접촉 유닛(30)은 단자 몸체(11)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고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플로팅 구조를 형성한다.
따라서, 압입 커넥터 단자(100)가 쓰루 홀(301)로 삽입될 때, 압입 커넥터 단자(100)와 회로 기판(300)의 쓰루 홀(301)이 축방향으로 서로 어긋나 있더라도, 접촉 유닛(30)의 연장부(34b)가 단자 몸체(11)에 대하여 용접 영역(W) 둘레에서 스윙하므로, 도 15 및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쓰루 홀(301)에 대한 압입 커넥터 단자(100)의 축방향 편차가 흡수된다. 그러므로, 접촉 유닛(30)의 접촉 피스(31)와 쓰루 홀(301)의 내측면(302) 간의 접촉 압력이 일정하게 되어, 압입 커넥터 단자(100)와 쓰루 홀(301) 사이에 안정적인 접속이 보장된다.
(제2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압입 커넥터 단자(200)가 도 17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서술된다.
도 1 내지 도 16에 도시된 압입 커넥터 단자(100)의 부품 또는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부품 또는 엘리먼트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가지며, 아래에 명시적으로 서술되지 않았다면 압입 커넥터 단자(100)의 대응 부품 또는 엘리먼트와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하며,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7 및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입 커넥터 단자(200)는 끝이 절단된 원뿔 형상을 가지는 커버(35)를 포함한다. 커버(35)는 제1 바인더(32)에서 이어져 있고, 그 위에 놓여있다. 커버(35)는 그 상단부에 가상의 중심선(30c) 방향으로 뻗어 있는 쓰루 홀(36)이 형성되어 있다.
압입 커넥터 단자(200)는 제1 바인더(33)의 일부분으로부터 핀 부(20)를 향해 뻗은, 즉, 접촉 피스(31)가 제2 바인더(33)에서 제1 바인더(32)를 향해 뻗어 있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뻗어 있는, T자 형상의 접속부(37)를 더 포함한다.
도 19 및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몸체(21)는 핀 부(20)의 지지부(12)의 상면상에 서 있다. 단자 몸체(21)는 원통부 및 원통부에서 이어져 형성되어 있고 절단된 원뿔 형상을 가지는 상부(21b)를 포함한다. 상부(21b)는 평평한 상면(21a)을 가진다.
단자 몸체(21)는 지지부(12)의 상면과 평평한 상면(21a) 사이의 길이가 가상의 중심선(30c) 방향으로 접촉 유닛(30A)의 길이(또는 제1 및 제2 바인더(32 및 33) 사이의 거리)보다 더 작도록 설계된다.
도 20 및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입 커넥터 단자(200)는 접촉 유닛(30A)으로 핀 부(20)의 단자 몸체(21)를 삽입하고, 지지부(12)의 측면 상에 접속부(37)를 용접함으로써 완성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2)의 상면과 제2 바인더(33)의 하면 사이에 갭이 존재한다. 단자 몸체(21) 및 커버(35)는 앞서 언급한 용접을 대신하여 코오킹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몸체(21)와 접촉 피스(31) 사이에 접촉 유닛(30A) 내에 갭(S)이 형성되어 있다. 압입 커넥터 단자(200)가 쓰루 홀(301)로 삽입된 후, 갭(S)은 단자 몸체(21)와 접촉 피스(31) 사이에 존재하도록 유지되어, 접촉 피스(31)는 단자 몸체(21)를 향해 그리고 그로부터 멀어지도록 변형될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몸체(21)의 평평한 상면(21a)과 커버(35)의 하면 사이에 공간(R)이 더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접촉 유닛(30)과 유사하게, 접촉 유닛(30A)은 압입 기능을 가진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입 커넥터 단자(200)는 제2 바인더(33)와 접속부(37) 사이에 형성된 탄성 변형 가능한 경계부(38)를 포함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계부(38)는 갭(S)과 같은 높이에 위치한다.
그러므로, 접촉 유닛(30A)은 경계부(38) 둘레에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즉, 접촉 유닛(30A)은 경계부(38)의 두께 방향으로 경계부(38) 둘레에서 스윙 가능하다. 그러므로, 접촉 유닛(30A)은 도 1에 도시된 압입 커넥터 단자(100)의 접촉 유닛(30)과 유사하게, 플로팅 구조를 가진다.
도 1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서술된 압입 커넥터 단자(100 및 200)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일 뿐임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해 보호되는 대상은 특정 실시예인 압입 커넥터 단자(100 및 200)로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그 반대로, 본 발명의 보호 대상은 아래의 청구항의 정신 및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모든 대안, 수정 및 동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압입 커넥터 단자는 전기전자 산업 및 자동차 산업과 같은 분야에서 대량의 전류를 통과시키는 회로 기판의 쓰루 홀에 삽입되는 커넥터로서 널리 채용될 수 있다.

Claims (9)

  1. 압입 커넥터 단자로서,
    회로 기판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전기 도전성 쓰루 홀(through-hole)을 통과할 만큼 충분한 길이를 가지는 단자 몸체; 및
    상기 단자 몸체의 중심선을 둘러싸도록 상기 단자 몸체 둘레에 배열된 접촉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 유닛은 상기 중심선 둘레의 방사상 방향으로 팽창/수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촉 유닛은 상기 단자 몸체의 강성보다 낮은 강성을 가지고;
    상기 단자 몸체는 상기 접촉 유닛의 전기 전도도보다 큰 전기 전도도를 가진 재료로 이루어지고; 및
    상기 단자 몸체 및 상기 접촉 유닛이 상기 쓰루 홀로 완전히 삽입될 때, 상기 접촉 유닛이 상기 쓰루 홀 내에서 방사상 방향으로 상기 단자 몸체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단자 몸체와 상기 접촉 유닛 사이에 갭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입 커넥터 단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유닛은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상기 단자 몸체 둘레에 배열된 복수의 접촉 피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입 커넥터 단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유닛의 말단부 및 근단부에서 상기 단자 몸체를 둘러싸는 제1 및 제2 바인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바인더 각각은 C자형 단면을 가지고; 및
    상기 접촉 피스는 상기 제1 및 제2 바인더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입 커넥터 단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인더 부근에 위치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단자 몸체의 말단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입 커넥터 단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평평한 부분; 및
    상기 평평한 부분의 바깥 둘레에서부터 공통의 방향으로 뻗어 있는 복수의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 중 하나는 상기 제1 바인더를 통해 상기 접촉 유닛에 접속되어 있고; 및
    상기 단자 몸체는 그 상면에서, 상기 접촉 유닛이 상기 단자 몸체의 상면 둘레에서 상기 단자 몸체에 대하여 스윙 가능하도록, 상기 평평한 부분의 밑면과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입 커넥터 단자.
  6. 제 3 항에 있어서,
    전기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진 지지부; 및
    접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자 몸체는 상기 지지부의 상면 위에 서 있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제2 바인더로부터 상기 지지부를 향해 뻗어 있고; 그리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제2 바인더와 상기 지지부의 상면 사이에 갭이 존재하도록 상기 지지부의 측면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입 커넥터 단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인더와 상기 접속부 사이에 탄성 변형 가능한 경계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경계부는 상기 갭과 같은 높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입 커넥터 단자.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그 단부에서 서로 접착되어 있고 서로 중첩된 2개의 전기 도전성 시트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입 커넥터 단자.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몸체 및 상기 지지부는 적어도 99.9% IACS의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입 커넥터 단자.






KR1020150169815A 2014-12-03 2015-12-01 압입 커넥터 단자 KR1017703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45219A JP5839099B1 (ja) 2014-12-03 2014-12-03 プレスフィット用コネクタ端子
JPJP-P-2014-245219 2014-12-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7041A KR20160067041A (ko) 2016-06-13
KR101770375B1 true KR101770375B1 (ko) 2017-08-22

Family

ID=55069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9815A KR101770375B1 (ko) 2014-12-03 2015-12-01 압입 커넥터 단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509072B2 (ko)
JP (1) JP5839099B1 (ko)
KR (1) KR101770375B1 (ko)
CN (1) CN105680211B (ko)
DE (1) DE102015222904A1 (ko)
FR (1) FR30297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72255B2 (ja) 2015-12-22 2017-08-02 第一精工株式会社 プレスフィット端子
US11715902B2 (en) * 2021-05-27 2023-08-01 Te Connectivity India Private Limited Low insertion force contact termina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6031A (ja) * 2004-09-16 2006-03-30 Honda Tsushin Kogyo Co Ltd プレスフィットコンタクト
JP2009021016A (ja) 2007-07-10 2009-01-29 Yazaki Corp プレスフィット端子
CN103311708A (zh) * 2012-03-15 2013-09-18 第一精工株式会社 压配型连接器端子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3927A (en) * 1991-01-03 1992-01-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olderless compliant socket
JP2836648B2 (ja) * 1991-05-07 1998-12-14 富士通株式会社 接点ピン
JP3418466B2 (ja) * 1994-11-04 2003-06-23 矢崎総業株式会社 雄型ターミナ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3297397B2 (ja) * 1999-05-27 2002-07-0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圧入端子及びこれ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JP2002100424A (ja) * 2000-09-25 2002-04-05 Shin Etsu Polymer Co Ltd 電気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695337B2 (ja) * 2004-02-04 2011-06-08 日本発條株式会社 導電性接触子および導電性接触子ユニット
KR100664158B1 (ko) * 2004-10-06 200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락 방지용 전원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CN102315532B (zh) * 2010-06-30 2015-07-0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DE102011005073A1 (de) * 2011-03-03 2012-09-06 Würth Elektronik Ics Gmbh & Co. Kg Tandem Multi Fork Einpresspin
JP5445605B2 (ja) * 2011-08-30 2014-03-19 第一精工株式会社 プレスフィット用コネクタ端子
JP5541305B2 (ja) * 2012-03-16 2014-07-09 第一精工株式会社 プレスフィット用コネクタ端子
JP5831509B2 (ja) * 2013-08-09 2015-12-09 第一精工株式会社 プレスフィット用コネクタ端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6031A (ja) * 2004-09-16 2006-03-30 Honda Tsushin Kogyo Co Ltd プレスフィットコンタクト
JP2009021016A (ja) 2007-07-10 2009-01-29 Yazaki Corp プレスフィット端子
CN103311708A (zh) * 2012-03-15 2013-09-18 第一精工株式会社 压配型连接器端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5222904A1 (de) 2016-06-09
FR3029701A1 (fr) 2016-06-10
FR3029701B1 (fr) 2018-03-16
KR20160067041A (ko) 2016-06-13
CN105680211B (zh) 2018-05-08
JP5839099B1 (ja) 2016-01-06
CN105680211A (zh) 2016-06-15
US9509072B2 (en) 2016-11-29
JP2016110758A (ja) 2016-06-20
US20160164201A1 (en) 2016-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1028B2 (en) Connection structure for connecting a terminal fitting and a circuit board
JP4716529B2 (ja) コンタクト及び電気コネクタ
US9455514B2 (en) Female terminal having an elastic contact member with a plurality of curved contact portions
US9331411B2 (en) Connector terminal
JP6500771B2 (ja) コネクタ
EP3185364A1 (en) Press-fit terminal
WO2016084571A1 (ja) 接続端子
JP5858024B2 (ja) 同軸コネクタプラグ
KR101770375B1 (ko) 압입 커넥터 단자
US20160020541A1 (en) Terminal
JP2006179362A (ja) 接続端子およびそれを備えたコネクタ
US20160120024A1 (en) Linear Conductor Connection Terminal
JP6681655B2 (ja) 同軸コネクタ
JP6515798B2 (ja) 端子金具及びコネクタ
JP6406645B2 (ja) 圧接コネクタ
TWI601339B (zh) 接觸件及連接器
JP6117042B2 (ja) 給電用コネクタ
KR101664299B1 (ko) 피메일 단자의 스프링
JP6140010B2 (ja) 突き当て式コネクタ
JP5066618B2 (ja) コンタクト及び電気コネクタ
JP2018014168A (ja) 端子及びコネクタ
JP2016219151A (ja) プレスフィット端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