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7506B1 - 암형 전기 단자 - Google Patents

암형 전기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7506B1
KR101967506B1 KR1020157021754A KR20157021754A KR101967506B1 KR 101967506 B1 KR101967506 B1 KR 101967506B1 KR 1020157021754 A KR1020157021754 A KR 1020157021754A KR 20157021754 A KR20157021754 A KR 20157021754A KR 101967506 B1 KR101967506 B1 KR 101967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leaf spring
electrical terminal
spring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1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5992A (ko
Inventor
박주현
스테펜 뮬러
Original Assignee
앱티브 테크놀러지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앱티브 테크놀러지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앱티브 테크놀러지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50105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5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7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7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7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spring member in the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3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rectangular transverse section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형 전기 단자의 접촉핀(21)을 수용하는 접촉 섹션을 갖는 암형 전기 단자에 관한 것이다. 암형 전기 단자의 스프링 모듈이 접촉 섹션 내에 배치되고, 접촉핀(21)을 접촉 섹션에 고정한다. 스프링 모듈은 접촉핀(21)을 접촉 섹션을 향해 가압하는 제1 판스프링(131) 및 제1 판스프링(131)을 접촉핀(21)을 향해 가압하는 제2 판스프링(132)을 포함한다. 제1 판스프링(131)은 바람직하게는 그 중간부에서 접촉핀(21)과 접촉하게되는 제1 굴곡부(131a)를 포함한다. 제2 판스프링(132)은 바람직하게는 그 자유 단부에서 제1 판스프링(131)의 제1 굴곡부(131a)와 접촉하게 되는 제1 굴곡부(132a)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암형 전기 단자 {FEMALE ELECTRICAL TERMINAL}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용 암형 전기 단자(female electrical terminal)에 관한 것이다.
전기 커넥터는 2개의 전자 디바이스들 사이의 전기 접속을 위해 사용된다. 전기 커넥터는 서로 상보적으로 정합될 수 있는 수형(male) 전기 커넥터 및 암형(female) 전기 커넥터를 포함한다. 수형 전기 단자 및 암형 전기 커넥터는 이들의 각각의 전기 커넥터에 고정된다.
전형적인 전기 단자는 미리 결정된 형상으로 금속 블랭크(metal blank)의 단편(piece)을 굽힘으로써 형성된다. 암형 전기 단자는 접촉 섹션 및 탄성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접촉 섹션은 수형 전기 단자의 접촉핀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탄성 요소는 수형 전기 단자의 접촉핀을 접촉 섹션 내부의 접촉 섹션에 고정한다. 이러한 암형 전기 단자 및 이러한 수형 전기 단자가 서로 정합될 때, 접촉핀은 접촉핀의 삽입 방향에 수직으로 탄성 요소로부터 접촉력 하에서 접촉 섹션과 밀접 접촉하게 되고, 따라서 접촉 섹션에 접촉핀을 고정하고 접촉핀과 접촉 섹션 사이의 전기 접속을 행한다.
암형 전기 단자를 형성하기 위한 금속 블랭크는 고전도성 금속 재료를 포함하지만, 이러한 금속 재료는 만족스러운 강성을 갖지 않는다. 전도도에 초점을 맞추면, 접촉 섹션 및 탄성 요소는 고전도성 금속 재료를 포함하는 금속 블랭크의 단일 단편으로부터 제조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탄성 요소에 의해 제공된 접촉력의 약화를 유도할 수도 있어, 따라서 암형 전기 단자와 수형 전기 단자 사이의 비의도된 분리를 유발한다.
또한, 접촉 섹션 및 탄성 요소는 고강성 금속 재료를 포함하는 금속 블랭크의 단일 단편으로부터 제조될 수도 있다. 이는, 이어서 탄성 요소의 접촉력을 향상시킬 수도 있지만, 접촉 섹션 및 탄성 요소의 전도도를 열화시키고, 따라서 허용 가능한 전류 밀도를 감소시킨다.
즉, 접촉 섹션과 탄성 요소가 금속 블랭크의 단일 단편으로부터 제조되기 때문에, 전도도 및 강성은 서로 양립 불가능하다.
또한, 종래의 암형 전기 단자는 수형 전기 단자의 접촉핀에 단일의 접촉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된 탄성 요소를 포함한다. 따라서, 종래의 암형 전기 단자가 진동 상황 하에서 사용될 때, 접촉핀과 탄성 요소 사이의 그 접촉 구조체는 약화될 수도 있다.
전기 단자가 자동차의 엔진 격실에 사용될 때, 자동차 내에서 발생하는 진동은 암형 전기 단자의 탄성 요소와 수형 전기 단자의 접촉핀 사이의 접촉을 약화시킬 수도 있다. 이는 2개의 전자 디바이스들 사이의 안정한 접속을 행하지 않을 수도 있고 접속 실패를 유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형 전기 단자의 접촉핀에 더 강한 접촉력을 인가하고 더 안정한 접속을 성취하는 암형 전기 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및 다른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접촉핀으로 수형 전기 단자에 접속되기에 적합한 암형 전기 단자를 제공한다. 암형 전기 단자는
- 접촉핀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내부 캐비티를 갖는 접촉 섹션, 및
- 내부 캐비티 내에 배열되고 접촉핀을 접촉 섹션에 고정하는 스프링 모듈을 포함한다.
스프링 모듈은 접촉핀을 접촉 섹션을 향해 가압하는 제1 판스프링 및 제1 판스프링을 접촉핀을 향해 가압하는 제2 판스프링을 포함한다. 제1 판스프링은 바람직하게는 그 중간부에서 접촉핀과 접촉하게 되는 제1 굴곡부를 포함한다. 제2 판스프링은 바람직하게는 그 자유 단부에서 제1 판스프링의 제1 굴곡부와 접촉하게 되는 제1 굴곡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프링 모듈은 내부 캐비티에 끼워지도록 구성된 프레임을 더 포함한다. 제1 판스프링은 프레임의 일 단부로부터 연장하고, 반면에 제2 판스프링은 프레임의 대향 단부로부터 연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판스프링은 프레임의 대향 단부와 접촉하게 되는 제2 굴곡부를 그 자유 단부에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 판스프링은 제2 판스프링의 제1 굴곡부와 프레임의 후방 단부 사이에 위치된 제2 굴곡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판스프링은 제2 판스프링의 것보다 넓은 폭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접촉 섹션은 프레임의 일 단부에 결합하는 잠금립(locking lip)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프레임은 접촉 섹션의 단부에 결합하는 정지 러그(stop lug)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접촉핀에 수직인 라인을 따라, 제1 판스프링의 제1 굴곡부는 접촉핀과 접촉하게 되고, 제2 판스프링의 제1 굴곡부는 제1 판스프링의 제1 굴곡부와 접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접촉 섹션은 스프링 모듈에 대향하는 접촉 섹션의 단부로부터 연장하는 접촉 스트랩을 포함한다. 접촉핀은 스프링 모듈과 접촉 스트랩 사이에 개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접촉 스트랩은 스프링 모듈을 향해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리지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판스프링은 제1 판스프링의 종방향으로 제1 굴곡부에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접촉 섹션은 구리 합금 재료를 포함하고, 반면에 스프링 모듈은 접촉 섹션의 구리 합금 재료보다 높은 강성을 갖는 구리 합금 재료 또는 스테인레스강 재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암형 전기 단자에 따르면, 수형 전기 단자의 접촉핀에 접촉력을 인가하도록 접촉 섹션 내에 배치된 스프링 모듈은 접촉 섹션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제공된다. 접촉 섹션은 고전도성 금속 재료로부터 제조되고, 반면에 스프링 모듈은 고강성 금속 재료로부터 제조된다. 이에 따라, 암형 전기 단자는 허용 가능한 전류 강도의 어떠한 증가 없이 스프링 모듈의 접촉력을 강화하고, 따라서 더 안정한 전기 접속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 모듈은 이중층 배열로 배치된 2개의 판스프링을 포함한다. 이들의 상부 판스프링은 수형 전기 단자의 접촉핀에 1차 접촉력을 인가하고, 반면에 이들의 하부 판스프링은 상부 판스프링을 지지하고 상부 판스프링에 2차 접촉력을 인가한다. 따라서, 암형 전기 단자는 진동에 의해 유발된 접속 실패 없이 그 접촉 섹션에 수형 전기 단자의 접촉핀을 안정적으로 고정한다.
물론,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대안 및/또는 실시예는 이들의 양립 불가능하거나 다른 것들을 배제하지 않는 정도로, 다양한 구성에서 서로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이해를 완성하는데 사용되고 적절하게는 그 정의에 기여할 수 있는 비한정적인 예로서 제시된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목적으로 실시예를 포함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숙독할 때 더 양호하게 이해될 것이고, 다른 특징 및 장점이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형 전기 단자 및 상보형 수형 전기 단자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상하 전복되어 있는 도 1에 도시된 암형 전기 단자 및 접촉 섹션으로부터 분리된 스프링 모듈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접촉 스트랩이 보이는 상태로 암형 전기 단자의 접촉 섹션을 도시하는 횡방향 단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스프링 모듈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플레이트 스프링이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도 4와 유사한 도면이다.
도 6은 암형 전기 단자의 전방부를 도시하는 종방향 단면 사시도이다.
도 7은 접촉핀이 접촉 섹션에 삽입되어 있는, 도 6에 대응하는 종방향 측단면도이다.
도 8은 암형 전기 단자의 접촉 섹션 와이어 접속 섹션을 형성하는 금속 블랭크의 단편의 평면도이다.
도 9는 암형 전기 단자의 스프링 모듈을 형성하는 다른 금속 블랭크의 단편의 평면도이다.
도면에서, 상이한 실시예들에 공통적인 구조적 및/또는 기능적 요소들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질 수도 있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따라서, 달리 언급되지 않으면, 이들 요소는 동일한 구조적, 치수적 및 재료 특성을 갖는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암형 전기 단자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루어진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방향성 용어 "전방" 또는 "앞방향"은 암형 전기 단자가 상보형 수형 전기 단자에 대면하는 방향을 칭하고, 방향성 용어 "후방" 또는 "뒷방향"은 전방 또는 앞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을 칭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형 전기 단자(100)는 상보형 수형 전기 단자(20)에 정합되어, 이에 의해 암형 전기 단자(100)에 결합된 전기 와이어와 수형 전기 단자(20)에 결합된 다른 전기 와이어 사이에 전기 접속을 행한다.
수형 전기 단자(20)는 세장형 얇은 접촉핀(21) 및 접촉핀(21)에 대향하여 연장하는 와이어 접속 섹션(22)을 포함한다. 접촉핀(21)은 암형 전기 단자(100)에 삽입된다. 전기 와이어가 와이어 접속 섹션(22)에 결합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암형 전기 단자(100)는
- 수형 전기 단자(20)의 접촉핀(21)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접촉 섹션(110),
- 접촉 섹션(110)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와이어 접속 섹션(120), 및
- 수형 전기 단자(20)의 접촉핀(21)을 접촉 섹션(110)에 탄성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접촉 섹션(110)에 배치된 스프링 모듈(130)을 포함한다.
접촉 섹션(110) 및 와이어 접속 섹션(120)은 도 8에 도시된 금속 블랭크(100a)의 단편을 굽힘으로써 형성되고, 반면에 스프링 모듈(130)은 도 9에 도시된 다른 금속 블랭크(100b)의 단편에 의해 형성된다.
접촉 섹션(110)은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일반적으로 박스 형상 또는 관형 형상을 갖는다. 접촉 섹션(110)은 저부 부분(111), 저부 부분(111)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측면 부분(112) 및 저부 부분(111)에 각각 대향하여 측면 부분(112)으로부터 연장하는 한 쌍의 상부 부분(113)을 갖고, 따라서 수형 전기 단자(20)의 접촉핀(21)을 수용하는 내부 캐비티(114)를 그 내부에 형성하고,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상부 부분(113)은 저부 부분(111)의 절반의 크기를 갖는다.
상부 부분(113)은 접촉 섹션(110)의 상부를 형성하도록 서로 대향된다. 접촉 섹션(110)의 전방 단부는 수형 전기 단자(20)의 접촉핀(21)의 진입을 위해 개방되어 있다.
도 3,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섹션(110)은 저부 부분(111)의 전방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접촉 스트랩(115)을 포함한다. 접촉 스트랩(115)은 저부 부분(111)에 평행하게 연장하고, 스프링 모듈(130)에 대향된다. 접촉 스트랩(115)은 조인트(115a)로 저부 부분(111)에 연결된다. 조인트(115a)는 전방으로 볼록한 만곡된 표면을 포함한다. 접촉 스트랩(115)의 조인트(115a)는 수형 전기 단자(20)의 접촉핀(21)의 삽입을 안내한다.
접촉 스트랩(115)은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자유 단부로부터 저부 부분(111)을 향해 연장하는 한 쌍의 지지 레그(115c)를 갖는다. 지지 레그(115c)는 저부 부분(111)의 내부면에 맞접한다(abut). 접촉 스트랩(115)은 수형 전기 단자(20)의 접촉핀(21)에 접촉하고, 따라서 전류의 흐름을 허용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스트랩(115)은 스프링 모듈(130)을 향해 내부 캐비티(114)의 내향으로 돌출하는 4개의 접촉 리지(115b)를 갖는다. 접촉 리지(115b)는 수형 전기 단자(20)의 접촉핀(21)에 접촉하는 접촉 스트랩(115)의 표면 상에 전방 및 후방으로 연장한다.
암형 전기 단자(100) 및 수형 전기 단자(20)가 서로 정합되고 접촉핀(21)이 접촉 스트랩(115)에 접촉할 때, 접촉 스트랩(115)의 표면 또는 접촉핀(21)의 표면에 고착된 이물질은 불안정한 접촉을 유발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접촉 스트랩(115) 및 접촉핀(21)은 접촉 리지(115b)를 통해 서로 접촉하고, 따라서 접촉 스트랩(115) 또는 접촉핀(21)의 표면 상태의 영향 없이 안정한 전기 접속을 제공한다.
접촉 섹션(110)은 각각의 상부 부분(113)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잠금립(116)을 갖는다. 잠금립(116)은 접촉 섹션(110)의 전방 단부의 일부를 차단하고, 접촉 섹션(110)에 삽입된 스프링 모듈(130)이 접촉 섹션(11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잠금립(116)은 스프링 모듈(130)이 접촉 섹션(110)의 내부 캐비티(114)에 삽입된 후에 내향으로 절곡될 수도 있다.
와이어 접속 섹션(120)은 접촉 섹션(110)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한다. 와이어 접속 섹션(120)은 와이어 크림프 배럴(wire crimp barrel)(121), 절연 크림프 배럴(122) 및 전이부(123)를 갖는다.
와이어 크림프 배럴(121)은 전기 와이어의 전도 와이어 코어에 접속된다. 절연 크림프 배럴(122)은 와이어 크림프 배럴(121)로부터 연장하고 전기 와이어의 절연 커버링에 연결된다. 와이어 크림프 배럴(121) 및 절연 크림프 배럴(122)은 2개의 측방향으로 돌출하는 윙탭(wing tab)을 갖는다. 이들 윙탭은 전도성 와이어 코어와 전기 와이어의 절연 커버링을 각각의 배럴에 결합하도록 절첩되거나 크림프될 수도 있다.
전이부(123)는 접촉 섹션(110)과 와이어 크림프 배럴(121)을 상호 연결한다. 바람직하게는, 전이부(123)는 후방을 향해 점진적으로 좁아지고, 따라서 접촉 섹션(110) 내의 스프링 모듈(130)이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스프링 모듈(130)은 접촉 섹션(110)의 내부 캐비티(114)에 끼워지고, 접촉 스트랩(115)에 대향하여 위치된다. 스프링 모듈(130)은 접촉 섹션(110)의 전방 단부로부터 내부 캐비티(114) 내로 삽입된다.
수형 전기 단자(20)의 접촉핀(21)이 접촉 섹션(110)에 삽입될 때, 접촉핀(21)은 접촉 스트랩(115)과 스프링 모듈(130) 사이에 개재된다.
스프링 모듈(130)은 접촉 섹션(110)의 내부면을 향해, 즉 접촉 스트랩(115)을 향해 접촉핀(21)을 가압하거나 편향시킨다. 유리하게는, 스프링 모듈(130)은 접촉 스트랩(115) 또는 접촉핀(21)에 수직으로 접촉핀(21)에 수직 접촉력을 인가하고, 이에 의해 접촉핀(21)을 자신과 접촉 스트랩(115) 사이에 고정한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스프링 모듈(130)은 하나가 다른 하나 위에 병치되거나 또는 이중층 배열로 배치된 제1 판스프링(131) 및 제2 판스프링(132)을 포함한다.
제1 판스프링(131)은 내부 캐비티(114)를 향해 지향한다. 제1 판스프링(131)은 접촉핀(21)과 표면 접촉하게 되고, 접촉 섹션(110)을 향해[접촉 스트랩(115)을 향해] 접촉핀(21)을 가압한다. 제1 판스프링(131)은 1차 수직 접촉력을 접촉핀(21)에 인가한다.
제1 판스프링(131)의 외부에 위치된 제2 판스프링(132)은 제1 판스프링(131)을 지지하고, 제1 판스프링(131)을 접촉핀(21)을 향해 가압한다. 제2 판스프링(132)은 제1 판스프링(131)을 거쳐 부가의 또는 2차 수직 접촉력을 접촉핀(21)에 인가한다.
스프링 모듈(130)은
- 접촉 섹션(110)의 내부 캐비티(114)에 끼워진 프레임(133),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 프레임(33),
- 프레임(133)의 전방 단부(일 단부)(133a)로부터 연장하는 제1 판스프링(131), 및
- 프레임(133)의 후방 단부(대향 단부)(133b)로부터 연장하는 제2 판스프링(132)을 포함한다.
제1 판스프링(131) 및 제2 판스프링(132)은 반대 방향에서 프레임(133)의 종방향 단부로부터 연장한다. 제1 판스프링(131) 및 제2 판스프링(132)은 외팔보(cantilever)의 형태를 취한다.
프레임(133)은 전방 단부(133a) 및 후방 단부(133b)로부터 직립하는 한 쌍의 측벽(133c)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측벽(133c)의 대향하는 선단부는 스프링 모듈(130)의 내향으로 만곡된다. 측벽(133c)은 접촉 섹션(110)의 캐비티(114)의 수직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를 갖는다.
프레임(133)은 측벽(133c)의 외부면에서 접촉 섹션(110)의 내부면에 접촉할 수도 있다. 프레임(133)의 측벽(133c)은 그 저부로부터 직립하고, 따라서 스프링 모듈(130)과 접촉 섹션(110)의 내부면 사이의 끼워맞춤을 허용한다.
특히, 측방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정지 러그(133d)는 측벽(133c)의 전방 단부에 형성된다. 스프링 모듈(130)이 접촉 섹션(110)의 내부 캐비티(114)에 끼워질 때, 정지 러그(133d)는 접촉 섹션(110)의 측면 부분(112)의 전방 단부에 결합하여, 스프링 모듈(130)의 삽입을 제한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판스프링(131)은 제2 판스프링(132)의 것보다 넓은 폭을 갖고, 제2 판스프링(132)을 덮도록 구성된다.
제1 판스프링(131)은 제1 굴곡부(131a) 및 제2 굴곡부(131b)를 갖는다. 제1 굴곡부(131a)는 프레임(133)의 전방 단부(133a)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한다. 특히, 제1 굴곡부(131a)는 제1 판스프링(131)의 중간부에, 즉 프레임(133)의 전방 단부(133a)와 제1 판스프링(131)의 자유 단부 사이에 위치된다. 유리하게는, 제1 굴곡부(131a)는 접촉 스트랩(115)을 향해 볼록하고, 그 대략의 절반점에서 접촉핀(21)과 접촉하게 된다.
제2 굴곡부(131b)는 제1 굴곡부(131a)로부터 연장하고, 접촉 스트랩(115)에 대해, 즉 제1 굴곡부(131a)의 곡률에 대해 대향하여 볼록하다. 제2 굴곡부(131b)의 단부는 제1 판스프링(131)의 자유 단부가 된다.
특히, 제1 굴곡부(131a)는 전방 및 후방으로, 즉 제1 판스프링(131)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슬릿(131c)을 갖고 형성된다.
제1 판스프링(131)은 특히 제2 굴곡부(131b)의 대략 절반부에서, 제2 판스프링(132)의 기부 단부 또는 프레임(133)의 후방 단부(133b)와 접촉하게 된다.
제2 판스프링(132)은 제1 판스프링(131)의 외부에 위치된다. 제2 판스프링(132)은 프레임(133)의 후방 단부(133b)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한다. 제2 판스프링(132)은 제1 굴곡부(132a) 및 제2 굴곡부(132b)를 갖는다.
제2 판스프링(132)의 제1 굴곡부(132a)는 제1 판스프링(131)의 제1 굴곡부(131a)와 접촉하게 되도록 구성되고, 제2 판스프링(132)의 자유 단부를 형성한다.
제2 판스프링(132)의 제2 굴곡부(132b)는 제1 굴곡부(132a)와 프레임(133)의 후방 단부(133b) 사이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굴곡부(132a)는 접촉 스트랩(115)을 향해 볼록하다. 유사하게, 제2 굴곡부(132b)는 바람직하게는 접촉 스트랩(115)에 대해, 즉 제2 판스프링(132)의 제1 굴곡부(132a)의 곡률에 대향하여 볼록하다.
스프링 모듈(130)의 제1 판스프링(131) 상에 어떠한 하중도 작용하지 않을 때, 제2 판스프링(132)은 제1 판스프링(131)의 제1 굴곡부(131a)와 접촉하게 되지 않는다. 제1 판스프링(131) 상에 하중이 작용하면, 제2 판스프링(132)은 제1 굴곡부(132a)의 대략 절반부에서 제1 판스프링(131)의 제1 굴곡부(131a)의 표면과 접촉하게 될 수 있다.
수형 전기 단자(20)의 접촉핀(21)이 스프링 모듈(130)이 접촉 섹션(110)의 내부 캐비티(114)에 끼워진 상태로 스프링 모듈(130)과 접촉 스트랩(114) 사이에 삽입되면, 제1 판스프링(131)과 제2 판스프링(132)은 탄성적으로 굴곡하거나 접촉 스트랩(115)으로부터 이격하여 탄성적으로 가압된다.
또한, 접촉핀(21)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라인을 따라, 제1 판스프링(131)의 제1 굴곡부(131a)는 접촉핀(21)과 접촉하게 될 수도 있다. 유사하게, 제2 판스프링(132)의 제1 굴곡부(132a)는 제1 판스프링(131)의 제1 굴곡부(131a)와 접촉하게 될 수도 있다.
즉, 접촉핀(21)과 제1 판스프링(131)과 제2 판스프링(132)의 수직 접촉 위치, 접촉핀(21)과 제1 판스프링(131) 사이의 접촉점 뿐만 아니라 제1 판스프링(131)과 제2 판스프링(132) 사이의 다른 접촉점은 접촉핀(21)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라인 상에 놓일 수도 있고 또는 라인과 긴밀 접촉하여 위치될 수도 있다.
전술된 압력 또는 굴곡에 의해, 제1 판스프링(131)은 바람직하게는 제1 굴곡부(131a)의 절반부로부터 접촉핀(21)을 향해 수직 접촉력을 인가한다. 또한, 제2 판스프링(132)은 바람직하게는 제1 굴곡부(132a)의 절반부로부터, 제1 판스프링(131)의 제1 굴곡부(131a) 뿐만 아니라 접촉핀(21)을 향해 부가의 수직 접촉력을 인가한다.
더욱이, 접촉핀(21)과 제1 판스프링(131)과 제2 판스프링(132) 사이의 접촉점이 전술된 바와 같이 라인 상에 놓이기 때문에, 수직 접촉력 및 부가의 수직 접촉력은 라인 상에 통합되고, 따라서 강한 접촉력을 접촉핀(21)에 인가한다.
따라서, 각각의 제1 판스프링(131) 및 제2 판스프링(132)으로부터의 수직 접촉력은 접촉핀(21)에 인가되고, 이에 의해 접촉 스트랩(115)과 제1 판스프링(131) 사이에 접촉핀(21)을 단단히 보유하고 접촉핀(21)을 접촉 스트랩(115) 및 스프링 모듈(130)과 안정하게 접촉하게 한다.
도 8은 암형 전기 단자(100)의 접촉 섹션(110) 및 와이어 접속 섹션(120)으로 형성된 금속 블랭크의 단일 단편을 도시한다. 도 9는 스프링 모듈(130)로 형성된 다른 금속 블랭크의 단일 단편을 도시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접촉 섹션(110) 및 와이어 접속 섹션(120)은 제1 금속 블랭크(100a)를 굽힘으로써 형성되고, 스프링 모듈(130)은 제2 금속 블랭크(100b)를 굽힘으로써 형성된다.
제1 금속 블랭크(100a) 및 제2 금속 블랭크(100b)는 블랭킹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1 금속 블랭크(100a)는 고전도성 구리 합금 재료로부터 제조되고, 제2 금속 블랭크(100b)는 바람직하게는 고강성 스테인레스강 또는 제1 금속 블랭크(100a)의 것보다 높은 강성을 갖는 구리 합금 재료로부터 제조된다. 이에 따라, 접촉 섹션(110)은 고전도성 금속 재료로부터 제조되고, 반면에 스프링 모듈(130)은 고강성 금속 재료로부터 제조된다.
따라서, 암형 전기 단자(100)는 허용 가능한 전류 강도의 감소를 방지하면서 스프링 모듈(130)의 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암형 전기 단자(100) 및 수형 전기 단자(20)는 서로 단단히 접속될 수 있다.
명백하게, 본 발명은 단지 예로서 제공되고 여기에 전술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또한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취한, 본 명세서에서 전술된 상이한 실시예들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여, 본 발명의 부분으로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고려될 수도 있는 상이한 수정 및 대안을 또한 포함한다.

Claims (15)

  1. 접촉핀(21)으로 수형 전기 단자(20)에 접속되기에 적합한 암형 전기 단자(100)이며,
    - 상기 접촉핀(21)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내부 캐비티(114)를 갖는 접촉 섹션(110), 및
    - 상기 내부 캐비티(114) 내부에 배열되고 상기 접촉핀(21)을 상기 접촉 섹션(110)에 고정하는 스프링 모듈(130)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모듈(130)은 상기 접촉핀(21)을 상기 접촉 섹션(110)을 향해 가압하는 제1 판스프링(131) 및 상기 제1 판스프링(131)을 상기 접촉핀(21)을 향해 가압하는 제2 판스프링(13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판스프링(131)은 상기 접촉핀(21)과 접촉하게 되는 제1 굴곡부(131a)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판스프링(132)은 상기 제1 판스프링(131)의 제1 굴곡부(131a)와 접촉하게 되는 제1 굴곡부(132a)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모듈(130)은 상기 내부 캐비티(114)에 끼워지도록 구성된 프레임(133)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판스프링(131)은 상기 프레임(133)의 일 단부(133a)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제2 판스프링(132)은 상기 프레임(133)의 후방 단부(133b)로부터 연장하는 암형 전기 단자(100).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스프링(131)은 상기 프레임(133)의 후방 단부(133b)와 접촉하게 되는 제2 굴곡부(131b)를 그 자유 단부에 더 포함하는 암형 전기 단자(100).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스프링(132)은 상기 제2 판스프링(132)의 제1 굴곡부(132a)와 상기 프레임(133)의 후방 단부(133b) 사이에 위치된 제2 굴곡부(132b)를 더 포함하는 암형 전기 단자(100).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섹션(110)은 상기 프레임(133)의 일 단부(133a)에 결합하는 잠금립(116)을 갖는 암형 전기 단자(100).
  7.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33)은 상기 접촉 섹션(110)의 단부에 결합하는 정지 러그(133d)를 갖는 암형 전기 단자(100).
  8.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핀(21)에 수직인 라인을 따라, 상기 제1 판스프링(131)의 제1 굴곡부(131a)는 상기 접촉핀(21)과 접촉하게 되고, 상기 제2 판스프링(132)의 제1 굴곡부(132a)는 상기 제1 판스프링(131)의 제1 굴곡부(131a)와 접촉하게 되는 암형 전기 단자(100).
  9.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섹션(110)은 상기 스프링 모듈(130)에 대향하는 접촉 섹션(110)의 단부로부터 연장하는 접촉 스트랩(115)을 포함하는 암형 전기 단자(100).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핀(21)은 상기 스프링 모듈(130)과 상기 접촉 스트랩(115) 사이에 개재되는 암형 전기 단자(100).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스트랩(115)은 상기 스프링 모듈(130)을 향해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리지(115b)를 구비하는 암형 전기 단자(100).
  12.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스프링(131)은 상기 제1 판스프링(131)의 종방향으로 상기 제1 굴곡부(131a)에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131c)을 갖는 암형 전기 단자(100).
  13.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스프링(131)은 상기 제2 판스프링(132)의 것보다 넓은 폭을 갖는 암형 전기 단자(100).
  14.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섹션(110)은 구리 합금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모듈(130)은 상기 접촉 섹션(110)의 구리 합금 재료보다 높은 강성을 갖는 구리 합금 재료 또는 스테인레스강 재료를 포함하는 암형 전기 단자(100).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스프링(131)은 그 중간부에서 상기 접촉핀(21)과 접촉하게 되는 제1 굴곡부(131a)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판스프링(132)은 그 자유 단부에서 상기 제1 판스프링(131)의 제1 굴곡부(131a)와 접촉하게 되는 제1 굴곡부(132a)를 포함하는 암형 전기 단자(100).
KR1020157021754A 2013-01-15 2013-01-15 암형 전기 단자 KR1019675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3/050670 WO2014111132A1 (en) 2013-01-15 2013-01-15 Female electrical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5992A KR20150105992A (ko) 2015-09-18
KR101967506B1 true KR101967506B1 (ko) 2019-04-09

Family

ID=47628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1754A KR101967506B1 (ko) 2013-01-15 2013-01-15 암형 전기 단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67506B1 (ko)
WO (1) WO20141111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005536B4 (de) * 2014-04-16 2016-04-07 Lisa Dräxlmaier GmbH Kontaktlamelle zur Bildung einer Steckbuchse durch Koppeln mit einem Gehäuseelement sowie Steckbuchse, gebildet durch Koppeln der Kontaktlamelle mit einem Gehäuselem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0182B1 (ko) * 2010-04-13 2011-10-05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삽입성 및 접압성 향상을 위한 이중 스프링구조를 갖는 암형 단자
JP2013004453A (ja) * 2011-06-21 2013-01-07 Yazaki Corp 雌端子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3673Y2 (ja) * 1993-11-15 1998-10-2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用雌端子金具
US6062918A (en) * 1996-07-01 2000-05-16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receptacle contact assembly
JP3763574B2 (ja) * 2003-03-14 2006-04-0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7294027B1 (en) * 2006-10-03 2007-11-13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terminal with layered springs
US7806737B2 (en) * 2008-02-04 2010-10-05 Methode Electronics, Inc. Stamped beam connector
JP5208265B2 (ja) * 2009-02-25 2013-06-12 住友電装株式会社 雌端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0182B1 (ko) * 2010-04-13 2011-10-05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삽입성 및 접압성 향상을 위한 이중 스프링구조를 갖는 암형 단자
JP2013004453A (ja) * 2011-06-21 2013-01-07 Yazaki Corp 雌端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11132A1 (en) 2014-07-24
KR20150105992A (ko) 2015-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90756B2 (en) Electrical terminal assembly
US7419411B2 (en) Exposed-spring female terminal
JP6761736B2 (ja) コネクタ
US8795007B2 (en) Terminal fitting
US20150349448A1 (en) Connector
US9033743B2 (en) Electric connection terminal and connector including the same
CN103155295B (zh) 阴型金属端子配件
US20140134883A1 (en) Electric Connection Terminal and Connector Including the Same
US20120252283A1 (en) Fuse terminal
US9136660B2 (en) Female terminal
CN202855957U (zh) 电连接器
JP6807024B2 (ja) 雌端子
US9478903B2 (en) Connecting terminal
CN107851921B (zh) 阴端子
CN110679041B (zh) 大电流用端子及连接器
KR101967506B1 (ko) 암형 전기 단자
KR102446801B1 (ko) 암단자
KR20160076567A (ko) 피메일 단자 스프링
KR200471889Y1 (ko) 리셉터클 터미널
KR100907541B1 (ko) 리셉터클 터미널
KR100787202B1 (ko) 리셉터클 터미널
JP5564277B2 (ja) 雌型端子金具
JP5173777B2 (ja) オス端子の構造
KR101664299B1 (ko) 피메일 단자의 스프링
KR20100011827A (ko) 터미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